KR20120113009A -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3009A
KR20120113009A KR1020110030668A KR20110030668A KR20120113009A KR 20120113009 A KR20120113009 A KR 20120113009A KR 1020110030668 A KR1020110030668 A KR 1020110030668A KR 20110030668 A KR20110030668 A KR 20110030668A KR 20120113009 A KR20120113009 A KR 20120113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haft
housing
parallel
shaf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각
Original Assignee
이정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각 filed Critical 이정각
Priority to KR1020110030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3009A/ko
Publication of KR20120113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08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21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with means for adjusting al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축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전체 길이를 축소시킴과 함께 하우징에 미치는 비틀림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입력축(121)과, 입력축(121)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구동 피니언(122)과, 제1 구동 피니언(122)에 기어 맞물림되는 제1 피동 기어(131)와, 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1 피동 기어(131)의 회전축에 해당하며 입력축(121)에 대해 평행한 평행축(132)과, 평행축(132)의 단부에 형성되는 베벨 피니언(133)과, 베벨 피니언(133)에 기어 맞물림되는 베벨 기어(141)와, 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베벨 기어(141)의 회전축에 해당하며 입력축(121)에 대해 수직한 수직축(142)과, 수직축(142)에 형성되는 제2 구동 피니언(143)과, 제2 구동 피니언(143)에 기어 맞물림되는 제2 피동 기어(151)와, 그리고 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2 피동 기어(151)의 회전축에 해당하며 수직축(142)에 대해 평행한 출력축(1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AN ORTHOGOAL TYPE OF REDUCTION GEAR FOR LIFT}
본 발명은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입력축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전체 길이를 축소시킴과 함께 하우징에 미치는 비틀림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속 장치는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평행 타입 감속 장치와 직교 타입 감속 장치로 크게 나뉘어진다.
평행 타입 감속 장치는 입력축과 출력축이 같은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그 사이에 지름이 다른 여러 개의 기어가 조합된 것으로, 직교 타입 감속 장치에 비해 입력축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길이가 긴 특징이 있으며, 비교적 설치 공간이 넓거나 긴 곳에 적용된다.
직교 타입 감속 장치는 입력축과 출력축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그 사이에 지름이 다른 여러 개의 기어가 조합된 것으로, 평행 타입 감속 장치에 비해 입력축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길이가 줄어드는 특징이 있으며, 비교적 설치 공간이 협소하거나 짧은 곳에 적용된다.
특히, 직교 타입 감속 장치는 하이포이드 기어 세트 또는 베벨 기어 세트를 이용하여 입력축과 출력축이 수직으로 배치되므로 운전 소음이 크긴 하지만 감속 효율이 뛰어나다는 측면에서 감속 장치가 현재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운전 소음에 덜 영향을 받는 리프트에 적용시키기 위한 기술이 중점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인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107423호 및 일본공개특허 제2005-201428호에 나타나 있다. 참고로,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는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내리기 위해 사용되는 기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의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107423호에 개시된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축(30)과, 상기 입력축(30)의 말단에 형성되는 하이포이드 피니언과, 상기 하이포이드 피니언에 기어 맞물림되는 하이포이드 기어(40)와, 상기 하이포이드 기어(40)의 회전축에 해당하며 상기 입력축(30)에 대해 수직한 수직축(43)과, 상기 수직축(43)에 형성되는 구동 피니언(41)과, 상기 구동 피니언(41)에 기어 맞물림되는 피동 기어(50)와, 상기 피동 기어(50)의 회전축에 해당하며 상기 수직축(43)에 대해 평행한 출력축(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축(43)의 횡방향 중심선 중 입력축(3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1 중심선(PCL1)과, 출력축(52)의 횡방향 중심선 중 입력축(3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 중심선(PCL2) 사이의 거리(PL)가 하이포이드 기어(40)의 반지름(PR)보다 크다. 이는 감속 장치의 하우징(20)에 미치는 비틀림 응력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기어를 배치하면서 야기되는 어쩔 수 없는 구조적 문제이다. 즉, 감속 장치의 하우징(20)에 미치는 비틀림 응력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출력축(52)의 중심을 입력축(30)의 길이 방향 연장선(EL) 상에 위치시켜, 출력축(52)과 입력축(30) 사이의 높이 차(즉, 거리 차)를 없애면서 나타나는 구조적 문제이다.
따라서, 제1 중심선(PCL1)과 제2 중심선(PCL2) 사이의 거리(PL)가 하이포이드 기어(40)의 반지름(PR)보다 크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감속 장치는 입력축(3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그 전체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설치 공간에 대한 호환성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위의 일본공개특허 제2005-201428호에 개시된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의 말단에 형성되는 하이포이드 피니언(24)과, 상기 하이포이드 피니언(24)에 기어 맞물림되는 하이포이드 기어(25)와, 상기 하이포이드 기어(25)의 중심축과 함께 이에 평행을 이루는 제1 평행축을 서로 기어 결합시키기 위한 제1 평행축 기어 감속기구(28)와, 제1 평행축과 함께 이에 평행을 이루는 출력축(30)과, 상기 평행축과 상기 출력축(30)을 서로 기어 결합시키기 위한 제2 평행축 기어 감속기구(2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포이드 기어(25)의 중심축의 횡방향 중심선 중 입력축의 하이포이드 피니언(24)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3 중심선(P2CL1)과, 출력축(30)의 횡방향 중심선 중 입력축의 하이포이드 피니언(24)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4 중심선(P2CL2) 사이의 거리(P2L)가 하이포이드 기어(25)의 반지름(P2R)보다 작다. 따라서, 이 기술은 상술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107423호에 개시된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인 전체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전체 길이를 축소하기 위해, 무리하게 출력축(30)이 입력축의 하이포이드 피니언(24) 위에 배치되면서, 출력축(30)의 중심이 입력축의 길이 방향 연장선(EL2) 상에 위치되지 못해, 감속 장치의 케이싱(32)에는 비틀림 응력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문제가 있다. 궁극적으로, 케이싱(32)에 비틀림 응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질 경우 케이싱(32)이 변형되는 등 케이싱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종합하자면, 일본공개특허 제2005-20142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감속 장치의 전체 길이를 줄이기 위해 출력축(30)을 입력축의 연장선(EL2)보다 위에 위치시면 케이싱(32)에 비틀림 변형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문제가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10742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비틀림 변형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출력축(52)을 입력축(30)의 연장선(EL) 상에 위치시키면 감속 장치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감속 장치의 전체 길이를 줄이면서 감속 장치의 비틀림 변형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요구되었고,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감속기 하우징은 2족 분할 내지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고장발생시 부품을 하우징 내부에서 전부 외부로 인출한 다음 이를 수리 후 조립하여 내부에 설치하거나 또는 일부의 부품을 내부에서 조립하게 됨으로 부품 교체 및 수리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입력축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전체 길이를 축소시킴과 함께 하우징에 미치는 비틀림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저속용 감속기를 제공하는 목적과 또한 감속기의 하우징을 일체형이 아니 조립형으로 제작하여 A/S 및 수리시 부품을 개별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는, 조립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구동 피니언; 상기 제1 구동 피니언에 기어 맞물림되는 제1 피동 기어;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피동 기어의 회전축에 해당하며 상기 입력축에 대해 평행한 평행축; 상기 평행축의 단부에 형성되는 베벨 피니언; 상기 베벨 피니언에 기어 맞물림되는 베벨 기어;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베벨 기어의 회전축에 해당하며 상기 입력축에 대해 수직한 수직축; 상기 수직축에 형성되는 제2 구동 피니언; 상기 제2 구동 피니언에 기어 맞물림되는 제2 피동 기어; 및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피동 기어의 회전축에 해당하며 상기 수직축에 대해 평행한 출력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수직축의 횡방향 중심선 중 상기 입력축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1 중심선과, 상기 출력축의 횡방향 중심선 중 상기 입력축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 중심선 사이의 거리는 상기 베벨 기어의 반지름보다 작고, 그리고 상기 평행축과 상기 입력축 사이의 간격 조절을 통해 상기 출력축의 중심을 상기 입력축의 길이 방향 연장선 상에 위치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베벨 기어의 중심은 상기 평행축의 길이 방향 연장선 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벨 기어의 지름은 상기 제2 피동 기어의 지름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직축의 제1 중심선과, 출력축의 제2 중심선 사이의 거리가 베벨 기어의 반지름보다 작게 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종래의 기술에 비해 감속 장치의 전체 길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궁극적으로, 감속 장치의 길이가 축소되므로, 설치 공간에 대한 호환성이 커지게 되고, 하우징 내부에 요구되는 윤활유의 양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기술들에 비해 입력축과 평행한 평행축이 더 구비되므로, 출력축의 중심이 입력축의 길이 방향 연장선 상에 위치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가짐에 따라, 즉, 입력축과 평행축 사이의 간격 조절을 통해 출력축과 입력축이 동일한 높이 상에 위치될 수 있게 되므로, 입력축의 회전시 출력축과의 높이 차(즉, 거리 차)로 인해 하우징에 가해지는 비틀림 응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벨 기어 세트(베벨 피니언과 베벨 기어의 쌍을 총칭)를 제외한 부분에서 기어가 장착된 축들(입력축 및 평행축)이 2열로 병렬 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하이포이드 기어 세트를 제외한 부분에서 1열 축(입력축)만을 갖는 종래 기술들에 비해 보다 정밀한 감속비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감속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벨 기어의 중심이 평행축의 길이 방향 연장선 상에 위치되므로, 평행축에 형성된 베벨 피니언에 대해 베벨 기어의 미끌림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이 볼트로 결합되는 조립 구조로 이루어져 A/S시 간단 용이하게 분리하여 문제가 발생된 부품만 교체함으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가 모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를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를 "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감속기에 있어서 하우징을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한 것을 나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는 제1 종래기술에 따른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종래기술에 따른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2는 도 1의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가 모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를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그리고 도 4는 도 3의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를 "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감속기에 있어서 하우징을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한 것을 나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과, 입력축(121)과, 제1 구동 피니언(122)과, 제1 피동 기어(131)와, 평행축(132)과, 베벨 피니언(133)과, 베벨 기어(141)와, 수직축(142)과, 제2 구동 피니언(143)과, 제2 피동 기어(151)와, 그리고 출력축(1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10)은 감속 장치의 외장을 이루며, 그 내부에는 기어 오일인 윤활유가 채워진다. 또한, 하우징(110)에는 입력축(121)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제1 개구가 형성되고, 출력축(15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2 개구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개구 각각에는 기어 오일의 누유를 막기 위한 오일 링이 장착된다. 나아가,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된 여러 구성요소들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은 제1 및 제2 하우징(111)(112)으로 분리된 구성을 가지며, 제1 및 제2 하우징(111)(112)은 볼트 및 가스켓(미도시)에 의해 서로 긴밀하게 결합된다. 한편, 다른 예로서, 하우징(110)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축(121)은 베어링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M)의 축이 삽입되도록 입력축(121)에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제1 구동 피니언(122)은 입력축(120)의 외주연에 형성된다. 제1 피동 기어(131)는 제1 구동 피니언(122)에 기어 맞물림되며, 제1 구동 피니언(122)에 비해 큰 지름을 갖는다.
평행축(132)은 제1 피동 기어(131)의 회전축에 해당하며, 베어링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제1 구동 피니언(122)에 의해 제1 피동 기어(131)가 회전되면 이와 동시에 회전된다. 특히, 평행축(132)과 입력축(121)은 서로 평행하게 2열로 병렬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베벨 피니언(133)은 평행축(132)의 단부의 외주연에 형성된다. 베벨 기어(141)는 베벨 피니언(133)에 기어 맞물림되며, 베벨 피니언(133)에 비해 큰 지름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베벨 피니언(133)과 베벨 기어(141)가 쌍을 이룰 경우 베벨 기어 세트라 불리어진다.
수직축(142)은 베벨 기어(141)의 회전축에 해당하며, 베어링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베벨 피니언(133)에 의해 베벨 기어(141)가 회전되면 이와 동시에 회전된다.
제2 구동 피니언(143)은 수직축(142)의 외주연에 형성된다. 제2 피동 기어(151)는 제2 구동 피니언(143)에 기어 맞물림되며, 제2 구동 피니언(143)에 비해 큰 지름을 갖는다. 또한, 베벨 기어(141)가 출력축(152)에 닿지 못하도록 상술한 베벨 기어(141)의 지름은 후술하는 제2 피동 기어(151)의 지름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력축(152)은 제2 피동 기어(151)의 회전축에 해당하며, 베어링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제2 구동 피니언(143)에 의해 제2 피동 기어(151)가 회전되면 이와 동시에 회전된다. 또한, 출력축(152)의 단부에는 외부 기기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스퍼 기어(152a)가 형성된다. 또한, 베벨 기어 세트를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축(152)과 입력축(121)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외부의 회전력[일예로, 모터(M)의 회전력]이 입력축(121)에 전달되면, 제1 구동 피니언(122), 제1 피동 기어(131), 베벨 피니언(133), 베벨 기어(141), 제2 구동 피니언(143) 및 제2 피동 기어(151)를 거쳐 출력축(152)에 전달된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축(142)의 제1 중심선(CL1)과 출력축(152)의 제2 중심선(CL2) 사이의 거리(L)가 베벨 기어(141)의 반지름(R)보다 작은 것이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이다. 여기서, 제1 중심선(CL1)은 수직축(142)의 횡방향 중심선 중 입력축(12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중심선을 가리키고, 제2 중심선(CL2)은 출력축(152)의 횡방향 중심선 중 입력축(12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중심선을 가리킨다. 이러한 특징에 따라, 입력축(121)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도 6에 도시된 제1 종래 기술에 비해 감속 장치의 전체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제1 및 제2 종래기술들에는 없는 입력축(121)에 대해 평행한 평행축(132)이 더 구비됨에 따라, 수직축(142)의 제1 중심선(CL1)과 출력축(152)의 제2 중심선(CL2) 사이의 거리(L)를 베벨 기어(141)의 반지름(R)보다 작게 하여 본 장치의 전체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음과 함께, 출력축(152)의 중심이 입력축(121)의 길이 방향 연장선(EL) 상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즉 입력축(121)과 평행축(132) 사이의 간격 조절을 통해 출력축(152)과 입력축(121)이 동일한 높이 상에 위치될 수 있게 되므로, 입력축(121)의 회전시 출력축(152)과의 높이 차(즉, 거리 차)로 인해 하우징(110)에 가해지는 비틀림 응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벨 기어 세트를 제외한 부분에서 기어가 장착된 축들[입력축(121) 및 평행축(132)]이 2열로 병렬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하이포이드 기어 세트를 제외한 부분에서 1열 축[입력축(도 5의 30)]만을 갖는 제1 및 제2 종래 기술에 비해 보다 정밀한 감속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벨 기어(141)의 중심은 상기 평행축(132)의 길이 방향 연장선(EL2) 상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평행축(132)에 형성된 베벨 피니언(133)에 대해, 베벨 기어(141)의 미끌림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우징은 볼트로 조립되는 다수의 분할 구조로 이루어져 고장 수리시 하우징 내부의 부품을 전부 분해하지 않고 일부부만 수리할 수 있도록함으로서 교체 수리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감속기 하우징을 볼트에 의해 조립되는 다수의 이음부(T)를 형성하여 분할 구조로 형성 함으로서 기존의 일체형 하우징의 분해조립의 난해성과 더불어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 를 갖는다. 즉, 기존에는 일체형 하우징으로 이루어져 감속기어가 구동시 하우징에 소음이 전달되어 진동이 발생되었으나, 본 발명은 다수의 분할 구조를 채택하여 이음부에 우레탄, 고무, 연질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패킹을 끼워 볼트로 조립함으로써 진동을 방지하여 소음을 줄이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견고성에 있어서 다수의 분할 구조로 이음부(T)에 패킹을 설치한 후 다수의 볼트로 조이므로 하우징에 전체적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방지하고, 조립체결한 볼트에 의해 감속기어가 구동시 미세한 불균형에 의해 발생되는 편심이 볼트에 의해 보정됨으로 전체적인 하우징 구조에 있어서 견고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1 내지 도4와 같이 감속기의 하우징의 공간부를 최소화시킨 원형의 하우징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도5와 같이 감속기 하우징을 직사각형으로 구성하여 제조시 간편성을 도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감속기 하우징을 직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구성하는 것은 설치장소와 제작여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직축(142)의 제1 중심선(CL1)과, 출력축(152)의 제2 중심선(CL2) 사이의 거리(L)가 베벨 기어(141)의 반지름(R)보다 작게 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종래의 기술에 비해 감속 장치의 전체 길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기술들에는 없는 입력축(121)과 평행한 평행축(132)이 더 구비되므로, 출력축(152)의 중심이 입력축(121)의 길이 방향 연장선(EL) 상에 위치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가짐에 따라, 즉, 입력축(121)과 평행축(132) 사이의 간격 조절을 통해 출력축(152)과 입력축(121)이 동일한 높이 상에 위치될 수 있게 되므로, 입력축(121)의 회전시 출력축(152)과의 높이 차(즉, 거리 차)로 인해 하우징(110)에 가해지는 비틀림 응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베벨 기어 세트(베벨 피니언과 베벨 기어의 쌍을 총칭)를 제외한 부분에서 기어가 장착된 축들[입력축(121) 및 평행축(132)]이 2열로 병렬 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하이포이드 기어 세트를 제외한 부분에서 1열 축[입력축(도 5의 30)]만을 갖는 종래 기술에 비해 보다 정밀한 감속비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감속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110)이 볼트로 결합되는 조립 구조로 이루어져 A/S시 간단 용이하게 분리하여 문제가 발생된 부품만 교체함으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하우징 121: 입력축
122: 제1 구동 피니언 131: 제1 피동 기어
132: 평행축 133: 베벨 피니언
141: 베벨 기어 142: 수직축
143: 제2 구동 피니언 151: 제2 피동 기어
152: 출력축 T:이음부

Claims (4)

  1.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에 있어서,
    조립형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입력축(121);
    상기 입력축(120)에 형성되는 제1 구동 피니언(122);
    상기 제1 구동 피니언(122)에 기어 맞물림되는 제1 피동 기어(131);
    상기 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피동 기어(131)의 회전축에 해당하며 상기 입력축(121)에 대해 평행한 평행축(132);
    상기 평행축(132)의 단부에 형성되는 베벨 피니언(133);
    상기 베벨 피니언(133)에 기어 맞물림되는 베벨 기어(141);
    상기 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베벨 기어(141)의 회전축에 해당하며 상기 입력축(121)에 대해 수직한 수직축(142);
    상기 수직축(142)에 형성되는 제2 구동 피니언(143);
    상기 제2 구동 피니언(143)에 기어 맞물림되는 제2 피동 기어(151); 및
    상기 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피동 기어(151)의 회전축에 해당하며 상기 수직축(142)에 대해 평행한 출력축(1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축(142)의 횡방향 중심선 중 상기 입력축(12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1 중심선(CL1)과, 상기 출력축(152)의 횡방향 중심선 중 상기 입력축(12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 중심선(CL2) 사이의 거리(L)는 상기 베벨 기어(141)의 반지름(R)보다 작고,
    상기 평행축(132)과 상기 입력축(121) 사이의 간격 조절을 통해 상기 출력축(152)의 중심을 상기 입력축(121)의 길이 방향 연장선(EL1) 상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 기어(141)의 중심은 상기 평행축(132)의 길이 방향 연장선(EL2)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 기어(141)의 지름은 상기 제2 피동 기어(151)의 지름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볼트로 조립되는 다수의 이음부(T)를 가는 분할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
KR1020110030668A 2011-04-04 2011-04-04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 KR201201130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668A KR20120113009A (ko) 2011-04-04 2011-04-04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668A KR20120113009A (ko) 2011-04-04 2011-04-04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009A true KR20120113009A (ko) 2012-10-12

Family

ID=47282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668A KR20120113009A (ko) 2011-04-04 2011-04-04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30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845A (ko) * 2015-09-30 2016-07-28 주식회사 세진아이지비 동력전달장치
CN112610658A (zh) * 2020-12-29 2021-04-06 齐重数控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大型双驱静压回转台精密传动副啮合精度的调整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845A (ko) * 2015-09-30 2016-07-28 주식회사 세진아이지비 동력전달장치
CN112610658A (zh) * 2020-12-29 2021-04-06 齐重数控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大型双驱静压回转台精密传动副啮合精度的调整方法
CN112610658B (zh) * 2020-12-29 2022-06-28 齐重数控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大型双驱静压回转台精密传动副啮合精度的调整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240800A (ja) 補機ギアボックスのための機械的駆動システム
US11754162B2 (en) Double-flexspline harmonic reducer
JP2005241006A (ja) 補機ギアボックスのための機械的駆動システム
CA2682454C (en) Planetary reduction gear apparatus
CN103225694B (zh) 输送装置
KR20120113009A (ko) 리프트용 직교 타입 감속 장치
US20120283028A1 (en) Flexible coupling and vehicle motiv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KR101760152B1 (ko) 크라운 기어를 위한 동력 장치가 제공되는 그라인더
CN102011858B (zh) 行星减速器
US20090301244A1 (en) gearbox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e
CN201531565U (zh) 行星齿轮减速装置
CN206802111U (zh) 可以降低核潜艇舵装置辅助齿轮油泵机组噪音的联轴器
RU2729123C2 (ru) Узел дифференциала
JPWO2006126571A1 (ja) ハイポイドギア装置および車両用終減速装置
KR20170117347A (ko) 밸런스 샤프트 어셈블리
CN104879477A (zh) 一种降噪音行星减速器
CN207406747U (zh) 一种斜齿轮消隙结构
JP6570837B2 (ja) 減速機
RU2655968C1 (ru) Планетарный редуктор силовой установки
JP2020159463A (ja) 動力伝達装置
KR20120113010A (ko) 리프트용 감속 장치
CN118775526A (zh) 齿轮传动结构及消隙抗冲击减速器
RU2668117C1 (ru) Блок подачи очистного комбайна
CN204828626U (zh) 数控车床丝杠驱动齿轮箱的结构
CN219119728U (zh) 一种风电齿轮箱的齿圈连接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