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2993A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2993A
KR20120112993A KR1020110030633A KR20110030633A KR20120112993A KR 20120112993 A KR20120112993 A KR 20120112993A KR 1020110030633 A KR1020110030633 A KR 1020110030633A KR 20110030633 A KR20110030633 A KR 20110030633A KR 20120112993 A KR20120112993 A KR 20120112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opening
cover
cover plat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봉
김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
Priority to KR1020110030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2993A/ko
Publication of KR20120112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31Water discharge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34Drying phases, including dripping-off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조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토출구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송풍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세척조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일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세척조와 연통 된 덕트;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송풍수단; 상기 덕트 및 상기 송풍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송풍 수단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를 상기 덕트로 공급하는 가열수단; 및 상기 덕트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세척하는 가전기기이다. 상기 식기 세척기는 세척 행정, 헹굼 행정 및 건조 행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는 식기의 건조를 위해 히터와 송풍 팬 등이 구비된다. 상기 히터와 송풍 팬 등은 세척조 내부에 가열된 공기를 덕트를 통하여 공급시킴으로써 식기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하지만 세척 행정 또는 헹굼 행정 등의 과정에서 가열된 공기를 세척조로 유입시킬 수 있는 통로인 토출구(덕트에 형성된 개구부)로 세척수가 유입되면 히터 또는 송풍 팬 등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의 토출구로의 유입을 막기 위해 토출구의 크기(단면적)를 작게 형성시키기도 하지만 덕트의 단면적과 토출구의 단면적의 차이로 인해 송풍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세척조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토출구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송풍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세척조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일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세척조와 연통 된 덕트; 상기 덕트에 연결되어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송풍수단; 상기 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 수단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를 상기 덕트로 공급하는 가열수단; 및 상기 덕트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덕트의 개구부를 차폐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덕트와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힌지부로부터 연장된 회전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방지 부재 하부에 장착된 웨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수단은 전기히터 또는 가스히터일 수 있고, 상기 송풍수단은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세척조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토출구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송풍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구성하는 덕트의 개구부가 커버부에 의해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구성하는 덕트의 개구부가 오픈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실시 예와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구성하는 덕트의 개구부가 커버부에 의해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구성하는 덕트의 개구부가 오픈 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00)는 세척조(110), 덕트(120), 송풍 수단(130), 가열 수단(140) 및 커버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세척조(110)는 그릇이 세척되는 공간으로 식기가 안착 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다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관하다.
상기 덕트(120)는 상기 세척조(110)와 연결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덕트(120)는 공기의 유동공간으로 일단부에 개구부(토출구)(121)가 형성되고, 덕트(120)의 개구부(121)를 통하여 세척조(110)와 덕트(120)가 연통된다(즉, 세척조(110)의 내부와 덕트(120)의 내부가 연통 된다).
상기 덕트(120)의 일단부는 세척조(110)의 하부에 연결된다. 즉, 상기 덕트(120)의 일단부가 세척조(110)의 하부를 관통하여 끼워져 세척조(110)의 하면으로부터 위로 돌출된다. 상기 덕트(120)는 세척조(110)의 하부에 반드시 연결될 필요는 없다. 하지만 개구부(121)를 통해 가열 수단(140)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세척조(110)에서 보다 효과적인 가열공기의 확산을 위해서는 덕트(120)는 세척조(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개구부(121) 하부의 덕트(120) 외주면에 나사산(미도시)을 형성시키고 너트(123)를 덕트(120)의 나사산(미도시)에 끼움으로써 세척조(110)와 덕트(120)는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120)의 타단부에 개구부(유입구)(125)를 형성시켜 외부의 공기를 덕트(120) 내부로 유입시킨다. 상기 외부 공기는 덕트(120)의 외부에 있는 공기일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덕트(미도시)를 이용하여 세척조(110)와 덕트(120)의 타단부에 형성된 개구부(유입구)(125)에 연결시킴으로써 유동 되는 세척조(110) 내부의 공기일 수도 있다.
상기 송풍 수단(130)은 외부공기를 흡입한다. 즉, 상기 송풍 수단(130)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 흡입된 외부공기를 덕트(120)를 통하여 세척조(110)로 유입시킨다. 예로써 상기 송풍 수단(130)은 공기를 유동시키는 날개인 임펠러(impeller)(132)와 임펠러(132)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134)일 수 있다. 상기 임펠러(132)와 구동 모터(134)는 당업자라면 누구나 이해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가열 수단(140)은 덕트(120) 및 송풍수단(130)과 연결되어 송풍 수단(130)에 의해 덕트(120)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가열한다. 상기 가열 수단(140)은 공기를 가열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며, 예로써 가열 수단(140)은 전기히터 또는 가스히터일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송풍 수단(130) 및 가열 수단(140)에 의해 덕트(120)를 통하여 세척조(110)에 유입되는 공기는 고온의 공기이다.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150)는 커버 플레이트(151)와 힌지부(15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150)는 회전 방지 부재(155) 및 웨이트(weight)(1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50)는 덕트(120)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개구부(121)를 개폐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51)는 판상으로 개구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51)는 개구부(121)의 상부에 위치하여 개구부(121)를 차폐한다.
상기 힌지부(153)는 커버 플레이트(151)에 장착되어 덕트(120)의 일부분(개구부(121)와 인접한 부분)과 힌지결합한다. 그러므로 상기 커버 플레이트(151)는 힌지부(153)에 의해 개구부(121)의 상부에서 개구부(121)의 개폐가 가능하다.
상기 힌지부(153)는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힌지부(153)의 형상에 관하여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덕트(120)의 내부 공기를 개구부(121)를 통하여 세척조(110)로 유입시키기 위해 송풍 수단(130)을 작동시키면, 송풍 수단(130)에 의해 형성된 바람에 의해(즉, 풍압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151)는 힌지부(153)를 중심으로 축회전함으로써 개구부(121)가 오픈 된다.
상기 회전 방지 부재(155)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힌지부(153)로부터 커버 플레이트(151)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51)가 힌지부(153)를 중심으로 축회전하며 오픈 될 때, 회전 방지 부재(155)는 커버 플레이트(151)가 일정각도 이상 오픈 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힌지부(153)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커버 플레이트(151)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회전 방지부재(155)가 연결되기 때문에, 커버 플레이트(151)와 회전 방지 부재(155)는 힌지부(153)를 중심으로 마치 시소와 같이 움직이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송풍 수단(130)의 작동으로 커버 플레이트(151)가 힌지부(153)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면, 회전 방지 부재(155)가 덕트(120)와 접촉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 방지 부재(155)가 덕트(120)에 걸림으로써 회전 방지 부재(155)와 연결된 커버 플레이트(151)는 더 이상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 웨이트(weight)(157)는 상기 회전 방지 부재(155)의 하부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상기 웨이트(157)의 무게 때문에 보다 적은 풍압으로도 커버 플레이트(151)가 힌지부(153)에 의해 축회전되어 개구부(121)를 오픈 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50)를 구성하는 커버 플레이트(151), 힌지부(153), 회전 방지 부재(155) 및 웨이트(157)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따로 형성시켜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150)는 무게 중심이 힌지부(153)를 기준으로 커버 플레이트(151) 쪽에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 플레이트(151)는 그 무게가 회전 방지 부재(155) 및 웨이트(157)의 무게의 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도록, 커버 플레이트(151)의 크기 또는 재질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회전 방지 부재(155)와 덕트(120)의 접촉에 의해 결정되는 커버 플레이트(151)의 오픈 회전 각도는 클로즈 상태를 기준으로 최대 90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써 상기 회전 방지 부재(155)에 장착된 웨이트(157)가 너트(123)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커버 플레이트(151)의 오픈 회전각도가 90도 미만이 되는 것을 예로써 도시하였다.
즉, 상기 송풍 수단(130)의 작동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151)가 회전하여 개구부(121)를 오픈 하게 되고, 오픈 된 개구부(121)를 통하여 덕트 내부의 공기가 세척조(110)로 공급된다. 상기 송풍 수단(130)이 정지하면, 커버부(150)의 무게 중심은 커버 플레이트(151) 쪽에 형성되고 또한 커버 플레이트(151)의 오픈 회전 각도가 90도 미만이기 때문에, 자중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151)는 개구부(121)를 폐하도록 축 회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커버부로 인해 덕트의 일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막아 히터 등의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개구부의 크기(단면적)를 크게 형성시킬 수 있다(즉, 덕트 내부의 단면적과 개구부의 단면적을 동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일정시간에 보다 많은 양의 공기를 세척조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어 세척조 내부에 안착 된 식기들의 건조 시간이 단축되며, 시간 단축으로 인한 에너지감소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공기가 유동하면서 개구부의 크기(단면적)와 덕트의 내부 크기(단면적)의 차이에서 발생 되는 소음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 식기 세척기 110 : 세척조
120 : 덕트 130 : 송풍 수단
140 : 가열 수단 150 : 커버부

Claims (5)

  1. 세척조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일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세척조와 연통된 덕트;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송풍수단;
    상기 덕트 및 상기 송풍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송풍 수단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를 상기 덕트로 공급하는 가열수단; 및
    상기 덕트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덕트의 개구부를 차폐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덕트와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힌지부로부터 연장된 회전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회전 방지 부재 하부에 장착된 웨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전기히터 또는 가스히터이며,
    상기 송풍수단은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110030633A 2011-04-04 2011-04-04 식기 세척기 KR20120112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633A KR20120112993A (ko) 2011-04-04 2011-04-04 식기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633A KR20120112993A (ko) 2011-04-04 2011-04-04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993A true KR20120112993A (ko) 2012-10-12

Family

ID=47282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633A KR20120112993A (ko) 2011-04-04 2011-04-04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299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8057A (zh) * 2015-06-08 2015-10-07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
WO2019056764A1 (zh) * 2017-09-20 2019-03-28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及底座组件
WO2019199081A1 (ko) * 2018-04-12 2019-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WO2020120032A1 (en) * 2018-12-12 2020-06-18 Arcelik Anonim Sirketi A dishwasher comprising a fan pocke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8057A (zh) * 2015-06-08 2015-10-07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
WO2019056764A1 (zh) * 2017-09-20 2019-03-28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及底座组件
US11490781B2 (en) 2017-09-20 2022-11-08 Foshan Shunde Midea Washing Appliances Manufacturing Co., Ltd. Dishwasher and base component
US11950742B2 (en) 2017-09-20 2024-04-09 Foshan Shunde Midea Washing Appliances Manufacturing Co., Ltd. Dishwasher water channel, base for dishwasher, and dishwasher
WO2019199081A1 (ko) * 2018-04-12 2019-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11540695B2 (en) 2018-04-12 2023-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improve drying performance
WO2020120032A1 (en) * 2018-12-12 2020-06-18 Arcelik Anonim Sirketi A dishwasher comprising a fan pock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59354B (zh) 洗碟机的加热循环式烘干模块
RU2585560C1 (ru)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US9044134B2 (en) Dishwasher
KR102384522B1 (ko) 식기세척기
US10024561B2 (en) Washing appliance with improved air handling system
US9247858B2 (en) Fluid inlet for a dishwasher
KR20120112993A (ko) 식기 세척기
CN104831500A (zh) 一种抗起球袜的清洗烘干一体机
JP2013085850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758526B1 (ko) 업소용 식기세척기
EP2180817B1 (en) Dish washing machine
KR102005441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US2674249A (en) Air flow controller for dishwashing and drying machines
KR101561772B1 (ko) 식기세척기의 식기 건조장치
US20150320289A1 (en) Dishwasher appliance having improved ventilation apparatus
KR20100082472A (ko) 세탁기
KR20070037173A (ko) 식기세척기의 건조장치
KR20150105770A (ko) 식기세척기의 식기 건조장치
KR102412768B1 (ko) 식기세척기
KR20090070865A (ko) 식기 세척기의 유로 연결 구조체
CN112244721A (zh) 一种清洗机及清洗方法
US20200069147A1 (en) Dishwasher appliance with a vortex air dryer
JP2004147742A (ja) 食器洗浄乾燥機
US20130206186A1 (en) Dishwasher appliance with a dampening baffle
KR20150100435A (ko) 식기세척기의 식기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