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2495A - 스크류 전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크류 전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2495A
KR20120112495A KR1020127016668A KR20127016668A KR20120112495A KR 20120112495 A KR20120112495 A KR 20120112495A KR 1020127016668 A KR1020127016668 A KR 1020127016668A KR 20127016668 A KR20127016668 A KR 20127016668A KR 20120112495 A KR20120112495 A KR 20120112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nose
delivery system
driver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2511B1 (ko
Inventor
필립 와트
Original Assignee
신세스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세스 게엠바하 filed Critical 신세스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120112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4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feeding screws or nuts
    • B25B23/06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feeding screws or nuts using built-in magaz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75Screwdrivers, spanners or wrenches
    • A61B17/8886Screwdrivers, spanners or wrenches holding the screw head
    • A61B17/8888Screwdrivers, spanners or wrenches holding the screw head at its central reg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4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feeding screw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8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 B25B23/10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using mechanical grip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8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 B25B23/10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using mechanical gripping means
    • B25B23/101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using mechanical gripping means for hand-driven screw-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 Sealing Of Jar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스크류 전달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캐리어 본체를 포함한 캐리어, 드라이버 및 노우즈를 포함한다. 상기 캐리어는 캐리어 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하는 보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는 보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는 패스너의 헤드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본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 부재가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노우즈는 보어와 작동가능하게 정렬될 수 있으며, 제1 가이드 부재와 정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보어로부터 노우즈로의 드라이버의 삽입이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들의 결합을 유발함으로써, 캐리어 본체에 대한 노우즈의 회전을 유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류 전달 시스템{SCREW DELIVERY SYSTEM}
본원은 2009년 12월 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번호 제61/265,484 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이 출원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참조에 의해 본원에 포함되었다.
예컨대, 두개안면에서의 응용에 있어서, 근저(根底) 골에 임플란트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크류는 임플란트의 낮은 프로파일을 유지하기 위하여 비교적 소형이다. 종래의 드라이버는 임플란트의 상보적 스크류 홀 속으로 스크류를 박아 넣기에 충분한 토크를 두개안면 스크류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소정의 깊이로 스크류를 삽입하는 것과 관련된 삽입 토크를 십자형 드라이브가 견딜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스크류는 그들의 헤드가 스크류 드라이버의 십자형 드라이브와 정합될 수 있도록 모듈 내에 보유된다. 수술시, 사용자는 스크류 드라이버를 스크류에 정렬시키고, 스크류가 스크류 드라이버에 박히도록 스크류 드라이버에 압축력을 가하게 된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스크류 드라이버는 수술실 직원들에 의해 미리 장전되어(pre-loaded) 스크류 삽입을 위해 외과 의사에게 전달된다. 근저 골에 임플란트를 고정함에 있어서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중 스크류 드라이버가 흔히 사용된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현재의 기술은, 드라이버에 스크류를 박기 위해 사용되는 힘과 스크류 드라이버와 스크류의 정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크류가 스크류 드라이버에 잘못 정렬되거나 충분히 박히지 않기 때문에, 드라이버로부터 빠져버릴 수 있다. 이는 수술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고, 사용자에게는 골칫거리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류 전달 시스템은 캐리어 본체를 포함한 캐리어, 드라이버 및 노우즈(nose)를 포함한다. 상기 캐리어는 캐리어 본체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보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는 보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는 패스너의 헤드와 정합하도록 구성된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본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 부재가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노우즈는 보어와 작동가능하게 정렬될 수 있으며, 제1 가이드 부재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보어로부터 노우즈로의 드라이버의 삽입이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들의 결합을 유발함으로써, 캐리어 본체에 대한 노우즈의 회전을 유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류 전달 시스템은 캐리어 및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는 캐리어 본체와, 상기 캐리어 본체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본체는 복수의 패스너를 보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는 보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패스너의 헤드와 정합하도록 구성된 헤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가 보어 내에서 전진됨에 따라, 각각의 패스너가 박아 넣어지게 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의 헤드는 각각의 패스너의 헤드와 직접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보어는 복수의 패스너의 각각의 패스너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류 카트리지는 한 쌍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측벽들에 의해 결합된 곡선형의 전면과 곡선형의 후면을 가진 카트리지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장하는 복수의 보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보어는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연장하여 후면까지 개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스크류가 위치될 수 있다.
본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아울러, 상술한 개요는 첨부도면을 참조하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원의 스크류 전달 시스템을 도시하기 위하여, 첨부도면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원이 정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스크류 전달 시스템의 사시도로서, 상기 스크류 전달 시스템은 스크류 카트리지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상기 캐리어의 단부에 커플링되는 가이드 본체, 상기 캐리어 내부에 배치된 드라이버, 및 상기 가이드 본체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드라이버가 캐리어를 통해 병진할 때, 상기 캐리어에 대해 회전하는 노우즈를 포함한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스크류 전달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1c는 1C-1C 라인을 따라 취한 도 1b에 도시된 스크류 전달 시스템의 측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스크류 전달 시스템의 캐리어의 측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캐리어의 평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캐리어의 정면도이다.
도 2d는 도 2a에 도시된 캐리어의 배면도이다.
도 2e는 2E-2E 라인을 따라 취한 도 2b에 도시된 캐리어의 측단면도이다.
도 2f는 2F-2F 라인을 따라 도 2b에 도시된 캐리어의 단부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a에 도시된 스크류 전달 시스템의 스크류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스크류 카트리지의 평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스크류 카트리지의 배면도이다.
도 3d는 도 3a에 도시된 스크류 카트리지의 측면도이다.
도 3e는 3E-3E 라인을 따라 취한 도 3d에 도시된 스크류 카트리지의 측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a에 도시된 스크류 전달 시스템의 드라이버의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드라이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크류 전달 시스템의 측단면도로서, 스크류 카트리지의 보어와 캐리어 모두를 관통하고, 상기 스크류 카트리지의 보어에 배치된 스크류와 정합하고 있는 드라이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는 도 1a에 도시된 스크류 전달 시스템의 노우즈의 측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노우즈의 정면도이다.
도 6c는 6C-6C 라인을 따라 취한 도 6b에 도시된 노우즈의 측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1a에 도시된 스크류 전달 시스템의 가이드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가이드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7c는 도 7a에 도시된 가이드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8a는 도 1에 도시된 스크류 전달 시스템의 회전 조립체의 배면 사시도로서, 가이드 본체 내부에 배치된 노우즈와, 노우즈의 채널을 관통한 드라이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회전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8c는 도 8a에 도시된 회전 조립체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9a는 캐리어 본체의 후방 단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후방 캡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후방 캡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9c는 도 9a에 도시된 후방 캡의 배면도이다.
도 10a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스크류 전달 시스템의 사시도로서, 상기 스크류 전달 시스템은 캐리어 본체, 및 단일 유닛으로서 상기 캐리어 본체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된 가이드 본체와 노우즈를 포함한 정렬 조립체를 포함한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정렬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1a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스크류 전달 시스템의 사시도로서, 상기 스크류 전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노우즈와,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홈을 형성하는 가이드 본체를 포함한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노우즈의 사시도로서, 상기 노우즈는 가상선으로 나타낸 내부 채널을 형성한다.
도 11c는 도 11b에 도시된 노우즈의 측단면도이다.
도 11d는 도 11a에 도시된 가이드 본체의 사시도로서, 상기 가이드 본체는 가상선으로 나타낸 내부 나선형 홈을 형성한다.
도 11e는 도 11d에 도시된 가이드 본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스크류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로서, 상기 스크류 카트리지는 래칫(ratchet)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 로킹 기구(locking mechanism)를 형성한다.
도 13a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드라이버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로서, 상기 드라이버는, 당해 드라이버가 사용자에 의해 회전될 때, 회전하는 박음부(driving portion)를 갖는다.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드라이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캐리어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드라이버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로서, 상기 드라이버는 외부 하우징과 박음부를 갖고, 상기 박음부는 당해 박음부가 외부 하우징 내부에 수용될 때 회전한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전달 시스템의 사시도로서, 상기 스크류 전달 시스템은 캐리어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미리 장전된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도 16a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스크류 전달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로서, 상기 스크류 전달 시스템은 복수의 패스너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채널과, 상기 채널 아래에 배치된 보어 내에서 활주가능하며, 상기 채널 내부에 배치된 각각의 패스너에 개별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버를 형성한다.
도 16b는 도 16a에 도시된 스크류 전달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로서, 보어 속에 장전된 스크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스크류 전달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로서, 상기 스크류 전달 시스템은 캐리어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미리 장전된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각각의 드라이버는 미리 장전된 패스너를 조직 속으로 박아 넣도록 개별적으로 배향될 수 있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스크류 전달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1c를 참조하면, 스크류 전달 시스템(10)은 조직 속으로 삽입될 패스너에 대해 드라이버를 자동 배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스크류 전달 시스템에 대하여, 상기 스크류 전달 시스템(10)은 임플란트 부위에 대한 패스너의 전달 속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팬실베이니아주, 웨스트 체스터에 소재한 신세스 인코포레이티드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MatrixNEUROTM 스크류와 같은 패스너들을 드라이버에 예측가능하고 반복가능하게 위치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스크류들은 직경이 약 1.5㎜ 내지 약 2㎜일 수 있고, 길이가 약 5㎜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최대 6 내지 50개의 스크류가 단일의 고정 절차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크류 전달 시스템(10)은 MatrixNEUROTM 스크류 또는 임의의 적당한 대안적인 스크류를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단지 편의를 위해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면, 상기 스크류 전달 시스템(10)은 종방향(L)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하고 있으며, 상기 종방향(L)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측방향(A)을 따라 더 연장하고, 상기 길이 방향(L)과 상기 측방향(A) 모두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횡방향(T)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하고 있다. 상기 스크류 전달 시스템(10)은 종방향(L)으로 길게 연장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특정하지 않는다면, 스크류 전달 시스템(10)의 직교 방향성 부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측방향", "종방향" 및 "횡방향"들은 시스템(10)의 나머지 방향성 부품들을 설명하기 위해서도 마찬가지로 사용된다. 상기 스크류 전달 시스템(10)은 종방향 후방 단부(11)와 종방향 전방 단부(13)를 형성하고, 방향성 용어 "전방"과 "후방" 및 이들의 파생어는 단부(13)를 향한 단부(11)로부터의 방향과, 단부(11)를 향한 단부(13)로부터의 방향을 각각 의미한다.
용어 "상단", "바닥", "좌", "우", "상부", 및 "하부"는 인용되는 도면들에서의 방향을 지정한다. 마찬가지로, 용어 "내측으로", "외측으로", "상방으로", 및 "하방으로"는 인용되는 대상물의 기하학적 중심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을 각각 지정할 수 있다. 용어는 위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한 단어들, 그들의 파생어, 및 유사한 의미의 단어들을 포함한다.
종방향(L)과 측방향(A)이 실질적으로 수평인 평면을 따라 연장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횡방향(T)이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을 따라 연장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방향들을 포함하는 상기 평면들은, 예컨대, 전달 시스템(10)이 사용될 때의 소정 방위에 따라 사용시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용어 "수직(vertical)"과 "수평(horizontal)"은 단지 명료함과 편의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은 시스템(10)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이 방위들은 사용시 변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스크류 전달 시스템(10)은 캐리어(14)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14)는 전방부(34), 후방부(38), 및 상기 전방부(34)와 후방부(38) 사이에 배치된 리셉터클(42)을 형성한다. 상기 시스템(10)은 캐리어(14)의 리셉터클(42) 내에 배치된 패스너 카트리지(18)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패스너 카트리지(18)는 횡방향 회전축(R)을 중심으로 전방부(34)와 후방부(38)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스크류 카트리지일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14)는 당해 캐리어(14)의 전방 단부에 배치된 가이드 본체(30)와, 당해 캐리어(14)의 후방 단부에 배치된 후방 단부 캡(32)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본체(30)의 내부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우즈(26)가 배치된다. 상기 캐리어(14)와 상기 스크류 카트리지(18)가 제1 상류 스크류 정렬 조립체(15)를 형성할 수 있는 반면, 상기 노우즈(26)와 상기 가이드 본체(30)는 제2 하류 스크류 정렬 조립체(16)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캐리어(14), 스크류 카트리지(18), 노우즈(26) 및 가이드 본체(30)도 함께 스크류 정렬 조립체(31)를 형성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스크류 전달 시스템(10)은 제1 및 제2 스크류 정렬 조립체(15, 16) 모두를 통해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드라이버(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 전달 시스템(10)과, 특히, 드라이버(22)는 필요에 따라 표준 핸들 또는 배터리 구동식 드라이버 핸들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작동시, 드라이버(22)는 처음에 리셉터클(42)과의 간섭으로부터 분리되어 뒤로 당겨지거나, 정렬 조립체(31)로부터 완전히 제거된다. 그 다음, 제1 스크류가 드라이버(22)와 정렬되도록, 스크류 카트리지(18)가 캐리어(14)의 스크류 카트리지 리셉터클(42) 속으로 삽입되어 횡방향 축(R)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리셉터클(42)은 카트리지(18)를 견고하게 수용 및 보유함과 동시에, 그 내부에서 카트리지(18)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크기여야 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카트리지(18)가 캐리어(14)의 리셉터클(42)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제거되지 않도록, 상기 카트리지(18)는 회전되면 제 위치에 로킹되도록 쇄정된다.
그 다음, 스크류 드라이버(22)가 캐리어(14)와 카트리지(18)를 통해 전방으로 병진함으로써, 카트리지(18)로부터 종방향으로 정렬된 스크류를 노우즈(26) 속으로 밀어내게 된다.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22)의 병진 전방 운동으로 인해 스크류의 헤드는 드라이버(22)의 팁과 회전식으로 정렬되며, 이에 따라, 드라이버의 팁이 스크류 헤드에 결합된다. 상기 드라이버(22)의 팁과 스크류의 헤드가 정렬될 때까지, 상기 스크류와 함께 노우즈(26)는 드라이버(22)에 의해 가해진 선형력(linear force) 하에서 가이드 본체(30)를 통해 가이드된다. 결국, 계속된 선형력에 의해, 노우즈(26)가 분리됨으로써, 드라이버(22)와 스크류가, 예컨대, 근저 골 또는 다른 조직 또는 구조물의 임플란트 부위로의 삽입을 위해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완료되면, 드라이버(22)는 노우즈(26), 카트리지(18) 및 캐리어(14)를 통해 뒤로 후퇴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카트리지(18)는 다음 임플란트 스크류에 대해 인덱싱되며, 프로세스가 반복된다.
도 2a 내지 도 2f를 참조하면, 캐리어(14)는 캐리어 본체(44)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본체(44)는 전방부(34), 후방부(38), 및 상기 전방부(34)와 후방부(38) 사이에 배치된 리셉터클(42)을 형성한다. 상기 캐리어(14)는 카트리지(18)와 드라이버(22)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캐리어 본체(44)의 전방부(34)는 가이드 본체(3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플랜지(46)를 형성한다. 상기 캐리어(14)는, 캐리어 본체(44)를 종방향으로 관통하며 드라이버(2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종방향 보어(5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어(54)는 일반적으로 후방부(38)와 전방부(34)의 중심을 관통하며, 그 내부에서 드라이버(22)가 전방과 후방으로 활주할 수 있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상기 보어(54)가 캐리어 본체(44)를 관통하면서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보어(54)가 전방부(34)를 관통할 때, 상기 보어(54)는 후방부(38)를 관통하는 당해 보어(54)의 부분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도 1c와 도 2d 내지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부(38)는 보어(54)의 후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보어(54) 위에 배치된 제2 종방향 보어(72) 내부에 위치된 로킹 기구(60)를 더 포함한다. 도 2e 및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부(38)는 캐리어 본체(44)를 측방향으로 관통하는 제3 측방향 보어(64)를 더 형성한다.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종방향 보어(72)는 후방부(38)를 완전히 관통하고, 상기 제3 측방향 보어(64)는 종방향 보어(54)를 관통한다. 상기 제3 보어(64)는, 드라이버(22)에 결합되어 상기 드라이버(22)를 캐리어(14) 내부에서 중심에 위치시키거나(centering) 또는 캐리어 내부에서 유지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볼 디텐트(ball detents)(17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볼 디텐트(172)는 드라이버(22)가 보다 원활하게 병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c 및 도 2e를 계속 참조하면, 상기 로킹 기구(60)는 제2 보어(72) 내부에 수용된 볼 베어링(61)과 스프링(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63)은 볼 베어링을 전방으로 바이어스시키기 위해 상기 볼 베어링(61)을 가압한다. 상기 카트리지(18)가 리셉터클(42) 내부에서 회전할 때, 상기 볼 베어링(61)은 카트리지(18)의 디텐트(106)(도 3a 참조)와 결국 결합하게 될 것이다. 특히, 카트리지(18)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카트리지(18)가 정렬 위치에 놓일 때까지(예컨대, 스크류가 드라이버(22)와 정렬되도록 하는 위치), 상기 볼 베어링(61)은 후방으로 바이어스되며, 상기 정렬 위치에서, 상기 볼 베어링(61)은 스프링(63)의 힘 하에서 그 본래 위치를 향해 전방으로 복귀하여 디텐트(106)에 결합됨으로써 카트리지(18)를 제 위치에 로킹하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캐리어의 로킹 기구는 인덱싱 시스템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보어(64)는 캐리어 본체(44)의 후방부(38)를 측방향으로 관통한다. 볼 디텐트가 제3 보어(64)에 배치되며, 드라이버(22)를 위한 중심 위치 장치(centering device)로서 작용한다. 즉, 결합되었을 때, 상기 볼 디텐트는 캐리어(14)의 보어(54) 내에서 드라이버(22)를 중심에 위치시킨다.
도 2a, 2b 및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18)가 리셉터클(42) 내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캐리어 본체(44)의 전방부(34)와 후방부(38) 사이에 리셉터클(42)이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부(34)와 후방부(38)는 모두 리셉터클(42)의 일부분 위로 연장하는 이브(eve)(84)를 포함한다. 상기 리셉터클(42)의 바닥(88)의 중간부는 카트리지(18)의 바닥면 속으로 연장된 리세스에 수용되는 돌출부(92)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92)는 리셉터클(42) 내부에서 중심에 위치된 카트리지(18)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면, 상기 카트리지(18)는 대향하는 평탄한 종방향 측면(110)들에 의해 결합된 곡선형의 전면(102)과 후면(96)을 각각 가진 상부 플레이트(51)와 하부 플레이트(53)를 포함한다. 상기 평탄한 측면(110)은 캐리어(14)의 리셉터클(42) 내부에 카트리지(18)를 포획하는데 도움이 된다. 예컨대, 상기 리셉터클의 이브(84)에 의해 생성되는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카트리지의 평탄한 측면(110)들을 정렬시킴으로써, 카트리지(18)가 리셉터클(42) 내에 위치된다. 그 다음, 상기 평탄한 측면(110)들이 이브(84)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카트리지(18)가 리셉터클(42) 속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카트리지(18)가 리셉터클(42) 내의 제자리에 위치되면, 축(R)을 중심으로 한 카트리지(18)의 회전으로 인해, 곡선형의 전면(102)과 후면(96)이 리셉터클(42)의 이브(84) 아래에 포획될 수 있음으로써, 리셉터클(42)로부터의 카트리지의 상방 운동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 카트리지(18)는 상부 플레이트(51)와 하부 플레이트(53) 사이에 배치된 리세스(9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리세스가 후면(96)으로부터 전방으로 상기 곡선형의 전면(102)의 후방 위치까지 연장함으로써, 상기 리세스(94)는 곡선형 후방 단부(106)에서 개방되어 있고 양 측면에서 개방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세스(94)는 측면(110)들과 정렬되는 위치에서 종료된다. 상기 리세스(94)는 후면(96)에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심지어 상기 리세스가 축(R)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도, 상기 드라이버(22)가 리세스(94) 속으로 연장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카트리지(18)는 골 또는 기저 구조물에 대해 고정되는 스크류와 같은, 하나 이상의 패스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카트리지(18)는 각각 곡선형의 전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하여 리세스(94) 속으로 종료되는 복수의 보어(98)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보어(98)가 전면(102)으로부터 연장하고, 후면(96)까지 관통하여 연장한다고 말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18)는 스크류 주위로 성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어(98)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카트리지(18)는 일회용일 수 있으며, 수개의 스크류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들은, 드라이버(22)에 대한 배향 없이 수용되도록, 느슨하게 포장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14)가 회전할 때 스크류 전달 시스템(10)이 흔들리지 않고 중심선 위에서 균형을 유지하도록, 상기 스크류들은 방사상으로 배향될 수 있다. 수동 또는 자동으로 사용자가 각각의 스크류 위치로 카트리지를 용이하게 인덱싱하여 스크류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카트리지(18)는 내부에 수용된 각각의 스크류에 대응하는 표식(77)을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18)에 남은 스크류들은 카트리지(18)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어 나중에 사용하기 위해 멸균 모듈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제로, 스크류들은 멸균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스크류들을 모두 공급한 후, 상기 카트리지(18)는 폐기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18)의 각각의 보어(98)는 도 3e에 도시된 스크류(116)와 같은 단일의 스크류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보어(98)들은 소정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3.3㎜와 같은 3㎜ 내지 4㎜의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5㎜와 같은 임의의 소정 길이의 스크류들을 수용할 수 있다. 사용시, 드라이버(22)는 리세스(94)와 제1 보어(98a)를 통해 전방으로 병진하고, 제1 스크류(116)에 직접 결합하여 이를 추출해낸다. 일단 제1 스크류(116)가 골에 고정되면, 드라이버는 카트리지(18)로부터 후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18)는 스크류(116)들 중 다른 스크류, 예컨대, 제1 보어(98a)에 인접한 제2 보어(98)에 배치된 스크류를 드라이버(22)와 정렬되도록 위치시키기 위해 회전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22)는 다시 한번 리세스(94)와 제2 보어(98)를 통해 전방으로 병진함으로써, 제2 스크류(116)에 직접 결합하여 이를 추출해낸다. 모든 스크류(116)가 사용될 때까지, 필요에 따라 이러한 절차가 계속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8)의 후면(96)은 각각의 보어(98)와 방사상으로 정렬된 디텐트(106)와 같은 로킹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디텐트(106)들은 후면(96) 속으로 연장하는 수직하게 배향된 라운드형 리세스들로서 제공된다. 상기 캐리어(14)의 로킹 기구(60)는 카트리지(18)가 회전할 때 각각의 디텐트(106)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로킹 기구(60)가 디텐트(106a)에 결합될 때, 예컨대, 드라이버(22)는 제1 보어(98a)에 수용된 스크류와 정렬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카트리지(18)와 캐리어(14)는 드라이버(22)가 각각의 보어(98)와 그 내부에 수용된 스크류에 적절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카트리지(18)와 캐리어(14)가 제1 정렬 조립체(15)를 제공한다고 말할 수 있다.
카트리지(18)의 모든 스크류가 사용되면, 상기 평탄한 측면(110)들과 이브(84)를 정렬시키고, 리셉터클(42)로부터 카트리지(18)를 상방으로 수직하게 들어올림으로써, 카트리지(18)가 리셉터클(42)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폐기된다. 그 다음, 전술한 방식으로 리셉터클(42) 내부에 제2 카트리지(18)가 삽입될 수 있다. 이 과정은 절차를 완료하기 위해 필요한 횟수만큼 완료될 수 있다. 카트리지(18)가 6개의 스크류를 가진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카트리지(18)가 6개의 스크류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갯수의 스크류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드라이버(22)는 종방향으로 긴 로드 부재(150)와, 상기 로드 부재(150)의 후방 단부에 배치된 커플링(154), 및 상기 로드 부재(150)의 전방 단부에 배치된 헤드부(158)를 포함한다. 상기 로드 부재(150)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단면을 갖는다. 상기 커플링(154)은 핸들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커플링일 수 있고, 표준 핸들 또는 배터리 구동식 핸들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커플링(154)은 핸들에 형성된 육각형 리세스에 결합하도록 된 육각 커플링이다.
상기 헤드부(158)는 스크류 카트리지(18)에 의해 수용된 스크류의 헤드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158)는 스크류의 대응하는 정합 특징부와 정합하도록 된 정합 특징부를 형성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158)는 스크류의 헤드에 의해 형성되는 십자형부와 결합하도록 된 십자형부(159)를 형성하고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 부재(150)는 한 쌍의 전방 정지부(stop)(162), 한 쌍의 후방 정지부(166), 및 상기 전방 정지부와 후방 정지부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리세스(170)를 또한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정지부(162)는 헤드부(158)에 가까운 반면, 상기 후방 정지부(166)는 커플링(154)에 가깝다. 도 1c를 다시 참조하면, 전방 정지부(162)와 후방 정지부(166)는 후방 단부 캡(32) 내부에서 연장하는 핀 또는 볼트(167)와 접촉하게 되도록 각각 위치된다. 따라서, 드라이버(22)가 완전히 뒤로 당겨졌을 때, 상기 핀(167)은 전방 정지부(162)의 후방 에지에 접촉하게 될 것이고, 드라이버(22)가 완전히 전진하였을 때, 상기 핀(167)은 후방 정지부(166)의 전방 에지에 접촉하게 될 것이다. 상기 드라이버(22)가 그의 완전 전진 및 완전 후진 위치 사이로 전진 또는 후진하며 활주할 때, 상기 핀(167)이 드라이버(22)와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리세스(170)들은 충분한 간극을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핀(167)은 리세스(170) 내부에(즉, 상기 로드 부재(150)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되도록 후방 단부 캡(32) 내부에서 연장함으로써, 그것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병진할 때 드라이버(22)가 회전하지 않도록 억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라이버(22)는 캐리어(14)의 보어(54)와 카트리지(18)의 보어(98)를 통해 병진할 수 있다. 드라이버(22)가 카트리지(18)로부터 패스너를 픽업하면, 상기 드라이버(22)는 하류 정렬 조립체를 통해 패스너를 밀어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패스너의 헤드와 드라이버의 헤드를 정렬시키게 된다. 드라이버(22)가 더 전진하면, 드라이버(22)와 패스너가 정합하게 될 것이다. 그 다음, 드라이버(22)가 회전하여 패스너를 기저 구조물 속으로 박아넣는다.
상기 드라이버(22)의 커플링(154)에 핸들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와셔에 의해 제2 부분으로부터 분리된 제1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핸들을 편안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제1 부분은 인체공학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제1 부분은 드라이버에 부착될 수 있는 제2 부분과 독립적일 수 있으며, 드라이버와 관계없이 회전할 수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를 픽업하며 드라이버가 회전할 때, 상기 제1 부분은 사용자의 손 안에서 정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일단 드라이버(22)가 스크류를 픽업하면, 사용자가 제2 부분을 파지하고 이를 회전시킬 수 있음으로써, 드라이버를 회전시켜 뼈속에 스크류를 견고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하, 도 6a 내지 도 6c, 도 7a 내지 도 7c 및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드라이버(22)의 헤드부(158)가 스크류 헤드의 정합 특징부와 정렬될 때, 노우즈(26)는 스크류를 수용하여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크류와 드라이버(22)의 정합은 가이드 본체(30)를 통해 노우즈(26)를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스크류 헤드에 대해 드라이버(22)의 헤드부(158)가 정렬되도록 스크류와 노우즈(26)가 특정량 회전함으로써, 상기 헤드부(158)가 스크류 헤드의 정합 특징부와 정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노우즈(26)가 정지하여 가이드 본체(30)를 통해 더 이상 가이드될 수 없으면, 계속되는 선형력에 의해, 상기 노우즈(26)는 분리되며, 스크류와 드라이버(22)가 당해 노우즈(26)를 통과하여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노우즈(26)는 드라이버(22)의 헤드부(158)에 스크류가 박힐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한 힘을 가함으로써 분리될 것이다. 필요한 건 아니지만, 상기 노우즈(26)가 티타늄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우즈(26)는 대체로 원뿔 또는 절두체로서 형성될 수 있는 노우즈 본체(209)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노우즈 본체(209)는 전방부(212)에 일체로 연결된 후방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부(210)는 곡선형이며, 전방 단부 보다 후방 단부에서 외경이 더 큰 오목한 외표면(214)을 형성한다. 상기 전방부(212)는 종방향으로 전방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복수의 슬릿(218)이 전방부(212) 속으로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후방부(210) 속으로 후방으로 연장함으로써, 상기 본체(209)를 복수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가요성 핑거(222)들로 분할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9)와 그에 따른 핑거(222)들은 내부 채널(225)을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채널(225)은 당해 채널(225)의 길이를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표면(226)을 포함한다. 상기 채널(225)의 전방 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표면(226)은 방사상 내측으로 휘어지기 시작하여 사면(228)을 형성한다. 상기 사면(228)은 본체(209)의 개구(230)에서 종료된다.
상기 내부 채널(225)은 카트리지(18)로부터 나온 스크류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크기이다. 채널(225)을 통해 스크류가 밀려나올 때, 핑거(222)들은 휘어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펼쳐지기 시작하고, 스크류 샤프트 또는 헤드가 본체(209)의 개구(230) 또는 사면(228)에 접촉하면, 노우즈(26)로부터 드라이버(22)와 스크류를 밀어낼 수 있도록 핑거(222)들을 더 펼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힘이 필요하게 된다. 추가적인 힘(적어도 1.5lbs의 힘)은 스크류가 드라이버(22)의 헤드부(158)에 박힐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면(228)은 노우즈(26)로부터 스크류를 밀어내는 것을 충분히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드라이버(22)에 스크류를 충분히 박을 수 있는 힘을 생성하기 위해 30°각도를 형성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230)는, 노우즈(26)가 가이드 본체(30)를 통해 이동할 때 스크류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스크류 나사산의 외경보다 더 작아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개구(230)는 1.4㎜의 직경을 가질 수 있는 반면, 상기 스크류 나사산은 1.5㎜의 주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더 작은 개구(230)가 스크류를 포획함으로써, 상기 스크류는 가이드 본체(30)를 통해 이동할 때 노우즈(26)와 함께 회전한다.
상기 후방부(210)의 외표면(214)은 당해 후방부(210)의 길이를 따라 응력을 확산시키도록 휘어져 있다. 이는 분리될 때 응력 수준이 피로 또는 항복 응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상기 채널(225)의 내표면(226)으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하는 벌지(bulge)(233)를 제공함으로써, 노우즈 본체(209)의 기부(base)에서 응력점이 제거될 수도 있다.
상기 노우즈(26)는 노우즈 본체(209)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샤프트(234)를 더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34)는 원통형이며, 그 후방 단부에 플랜지(236)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236)는, 노우즈(26)가 가이드 본체(30)를 통해 전진됨에 따라, 가이드 본체(30)에 의해 형성되는 정지부에 대해 스프링을 압축하도록 되어 있다. 스크류가 배치 완료되고 드라이버(22)가 역전되면, 상기 스프링은 노우즈(26)를 그 본래 위치로 가압할 것이다. 또한, 상기 샤프트(234)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 부재(238)를 포함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지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238)는 샤프트(234)를 따라 연장하는 나선형 홈(239)이다. 상기 나선형 홈(239)은 가이드 본체(30)에 의해 지지된 가이드 부재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노우즈(26)가 가이드 본체(30)를 통해 전진됨에 따라, 상기 노우즈(26)는 가이드 본체(30)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이하,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본체(30)는 캐리어 본체(44)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본체(30)는 캐리어 본체(44)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본체(30)는 대체로 원통형이거나 원뿔 형상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본체(30)는 완전히 관통하며 연장하는 보어(24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본체(30)는 노우즈(26)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 부재(238)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242)를 더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242)는 보어(240)의 내표면(244)으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돌출부(243)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본체(30)는 캐리어(14)의 플랜지(46)와 접하도록 구성되고 후방으로 연장하는 커플링 플랜지(250)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플랜지(250)는 플랜지(46)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하는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 본체(30)와 캐리어(14)가 단일 피이스로 제조되거나, 함께 용접되거나, 억지 끼워맞춤을 이용하여 함께 고정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본체(30)는 금속 재료로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 본체(30)는 노우즈(26)가 그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본체(30)는 경질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작동에 있어서,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본체(30)는, 노우즈가 당해 가이드 본체(30)를 통해 이동할 때 상기 노우즈(26)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가이드 본체(30)의 돌출부(243)가 노우즈(26)의 나선형 홈(239)에 결합하여, 상기 노우즈가 당해 가이드 본체(30)를 통해 이동할 때, 상기 노우즈(26)의 회전을 유발한다. 상기 나선형 홈(239)은, 드라이버(22)의 헤드가 스크류의 헤드에 의해 형성된 정합 특징부와 정합될 수 있도록, 상기 노우즈(26)가 충분히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나선형 홈(239)은 십자형부를 형성하는 정합 특징부에 대해 노우즈(26)가 90°회전할 수 있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그러나, 십자형부를 형성하는 정합 특징부에 대한 충분한 회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특정 거리에서 노우즈(26)를 135°회전시키도록 홈(239)을 디자인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컨대, 약 9㎜의 종방향 전방 이동에서 노우즈(26)를 135°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되는 정합 특징부(십자형, 평탄형, 육각형 등)에 따라 회전 각도가 변화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우즈(26)의 플랜지(236)와 가이드 본체(30) 사이에 스프링(256)이 존재한다. 상기 스프링(256)은 노우즈(26)의 운동을 제어하며, 스프링(256)이 압착 위치(collapsed position)에 있을 때, 스프링은 노우즈(26)에 대한 정지부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노우즈(26)가 소정 거리를 이동하면, 스프링(256)은 완전히 압축될 것이다. 이 시점에서, 상기 노우즈(26)는 정지하는 반면, 드라이버(22)는 스크류와 함께 계속 이동하여, 노우즈(26)와 가이드 본체(30)를 빠져나간다. 스크류가 뼈에 삽입된 후, 드라이버(22)는 후퇴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256)은 노우즈(26)를 그 본래 위치로 가압할 것이다. 따라서, 이 과정이 반복될 때, 노우즈(26)는 항상 동일한 위치로부터 시작하게 될 것이다.
노우즈(26)와 가이드 본체(30) 간의 회전 관계는 스크류를 유지하고 있는 노우즈(26)가 가이드 본체(3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드라이버(22)에 대해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회전 조립체(260)를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 회전 조립체(260)는 드라이버(22)와 스크류 간의 상대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기구일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회전 조립체(260)는, 드라이버가 전방으로 병진할 때, 스크류에 대한 드라이버 헤드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기구를 또한 포함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드라이버(22), 노우즈(26) 및 가이드 본체(30) 사이의 상호작용을 또한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22)가 전방으로 밀리면, 노우즈(26)는 가이드 본체(30) 내부에서 전방으로 전진할 수 있다. 특히, 드라이버(22)가 카트리지(18)로부터 스크류를 픽업하면, 상기 스크류는 노우즈(26) 속으로 전진하여 노우즈(26)의 개구(230)에 접촉하게 될 것이다. 상기 스크류가 노우즈 개구(230)에 접촉하였을 때, 스크류와 노우즈 개구(230) 간의 간섭은 스크류와 함께 노우즈의 전방 전진을 유발할 것이다. 이 시점에서, 상기 가이드 본체(30)의 돌출부(243)가 노우즈(26)의 나선형 홈(239)에 결합됨으로써, 노우즈(26)가 전방으로 전진됨에 따라, 스크류와 함께 종축(L)을 중심으로 한 노우즈(26)의 회전을 유발하게 된다. 노우즈(26)와 스크류가 회전함에 따라, 결국, 드라이버(22)의 헤드는 스크류의 헤드와 정렬되어 정합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노우즈(26)와 가이드 본체(30)가 제2 정렬 조립체(16)를 제공한다고 말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10)은 캐리어 본체(44)의 후방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커플링되도록 구성된 후방 단부 캡(32)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캡(32)은 당해 캡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종방향 보어(262)와, 그 내부에서 연장하는 한 쌍의 측방향 보어(263)를 형성한다. 상기 종방향 보어(262)는 드라이버(22)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방향 보어(263)는 드라이버(22)의 회전을 억제하는 핀(167)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핀(167)은 캐리어(14)에 대한 드라이버(22)의 전후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도 10a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스크류 전달 시스템은 단일 유닛으로서 캐리어 본체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된 정렬 조립체를 형성하는 노우즈와 가이드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전달 시스템(310)은 캐리어(314)와, 상기 캐리어(314)의 전방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 하류 스크류 정렬 조립체(322)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렬 조립체(322)는 가이드 본체(330)에 회전가능하게 커플링된 노우즈(326)를 포함한다. 상기 노우즈(326)와 가이드 본체(330)는 캐리어(314)에 탈착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는 단일의 통합형 유닛을 형성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우즈(326)는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노우즈 본체와 유사한 노우즈 본체(332)와, 상기 노우즈 본체(33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샤프트(334)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334)는 원통형이며, 그 후방 단부에 플랜지(336)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336)는, 노우즈(326)가 가이드 본체(330)를 통해 전진됨에 따라, 가이드 본체(330)에 의해 형성된 정지부에 대해 스프링(337)을 압착하도록 되어 있다. 스크류가 위치되고, 드라이버(22)가 역전되면, 상기 스프링(337)은 노우즈(326)를 그 본래 위치로 가압할 것이다. 또한, 상기 샤프트(334)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 부재(338)를 포함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지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 부재(337)는 샤프트(334)를 따라 연장하는 나선형 홈(339)이다. 상기 나선형 홈(339)은 가이드 본체(330)에 지지된 가이드 부재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노우즈(326)가 가이드 본체(330)를 통해 전진됨에 따라, 상기 노우즈(326)는 가이드 본체(330)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본체(330)는 완전히 관통하며 연장하는 보어(340)와, 노우즈(326)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 부재(338)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342)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342)는 보어(340)의 내표면으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돌출부(443)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본체(330)는 캐리어(314)와 접하도록 구성되고 후방으로 연장하는 커플링 플랜지(35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플랜지(350)는 노우즈(326)에 의해 형성된 나선형 홈(339)에 대향하는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나선형 홈이 샤프트(334)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권취되어 있으면, 상기 플랜지(350)의 나사산은 반시계 방향이 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이드 본체(330)가 캐리어(314)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가이드 본체(330)와 노우즈(326)는 단일의 통합형 유닛으로서 제거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e를 참조하면, 스크류 전달 시스템은, 노우즈가 가이드 본체를 통해 전진할 때, 노우즈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대안적인 결합 부재들을 가진 노우즈와 가이드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전달 시스템(410)은 캐리어(414)와, 상기 캐리어(414)의 전방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 하류 스크류 정렬 조립체(422)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렬 조립체(422)는 가이드 본체(430) 내부에서 회전가능한 노우즈(426)를 포함한다.
도 11b 및 도 11c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노우즈(426)는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노우즈 본체와 유사한 노우즈 본체(432)와, 상기 노우즈 본체(43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샤프트(434)를 포함한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우즈 본체(432)는 당해 본체(432)를 통해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채널(433)을 형성한다. 상기 채널(433)은 스크류와 같은 패스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434)는 원통형이며,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 부재(438)를 지지하는 플랜지(436)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438)는 플랜지(436)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돌출부(439)이다. 상기 돌출부(439)들은 가이드 본체(430)에 의해 지지된 가이드 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노우즈(426)가 가이드 본체(430)를 통해 전진할 때, 상기 노우즈(426)는 가이드 본체(430)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도 11d 및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본체(430)는 완전히 관통하며 연장하는 보어(440)와, 상기 보어(440)의 내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442)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442)는 노우즈(426)에 지지된 돌출부(439)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나선형 홈(443)이다. 따라서, 상기 노우즈(426)가 가이드 본체(430)를 통해 전진할 때, 상기 노우즈(426)는 가이드 본체(430)의 나선형 홈(443)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는 특정량만큼 회전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면, 스크류 전달 시스템이 적절한 대안적인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518)는 하부 플레이트(534)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된 상부 플레이트(530)를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530)와 하부 플레이트(534)는 카트리지(518)의 보어에 대해 스크류를 설치 또는 제거하기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518)는, 카트리지(18)의 디텐트(106)와는 반대로, 치형부(teeth)(52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치형부(526)는 상부 플레이트(530)로부터 소정 각도로 상방향으로 연장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치형부(526)는 횡방향 축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연장하는 사면과, 상기 사면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표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14)와 같은 캐리어의 로킹 기구가, 치형부(526)에 결합하는 래칫(ratchet)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로킹 기구는 그 원위 단부에 헤드를 가진 종방향 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방향 암은 그 헤드와 함께 상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카트리지(51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래칫의 헤드는 제1 치형부(526a)의 사면을 따라 활주하며, 상방향으로 휘어질 것이다. 상기 헤드는 사면을 넘어가면 그 본래 위치로 복귀하게 될 것이며, 치형부의 수직면에 당접함으로써, 카트리지(518)를 제 위치에 로킹하게 된다.
상기 카트리지는 카트리지(18)의 보어(98)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보어(598)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카트리지(118)는 카트리지(518) 내부에 스크류(516)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각각의 보어(598) 속에 배치된 스크류 포획 장치(5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 포획 장치(538)는 스크류 주위로 연장하는 스포크(spokes)(546)를 가진 링(542)이다. 상기 링(542)의 외표면은 각각의 보어(598)의 내표면과 당접할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링(542)의 외표면과 상기 보어(598)의 내표면 사이에 억지 끼워맞춤이 이루어질 것이다. 드라이버(22)가 스크류(516)에 대해 전방으로 밀리면, 측방향 힘으로 인하여 스포크(546)가 변형됨으로써 스크류 포획 장치(538)로부터 스크류(516)가 분리되고, 스크류(516)가 보어(598)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카트리지(518)의 특징부가 상기 카트리지(18)에 합체되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컨대, 상기 카트리지(18)도 스크류 포획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13a 및 도 13b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전술한 실시예가 드라이버 정합 단부에 일치하도록 스크류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류를 드라이버와 정합시키는 특징부를 포함하는 반면, 이는 드라이버를 회전시키는 구상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스크류 전달 시스템은 캐리어(626) 내부에서 회전하는 드라이버(6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622)는 박음부(630)와 외부 하우징(634)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하우징(634)은 슬리브(626)의 내부 나사산(642)과 정합하는 나사산(638)을 포함한다. 드라이버(622)가 전방으로 전진됨에 따라, 상기 드라이버는 당해 드라이버(622)와 슬리브(626) 간의 나사결합 관계로 인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드라이버(622)의 회전은 사용자가 회전 운동을 제공할 필요없이 스크류의 헤드에 드라이버가 위치되어 정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드라이버(622)는 회전 조립체(260)를 형성한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라이버(622)의 외부 하우징(634)은, 당해 드라이버(622)가 스크류의 위치를 찾을 때, 스크류 포획 장치를 통해 스크류를 밀어내는 대신 박음부(630)가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내부 스프링(646)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 전달 시스템은 삽입될 스크류와 스크류 드라이버 간의 상대 회전을 제공함으로써, 스크류가 당해 스크류 전달 시스템을 빠져나가기 전에 드라이버와 스크류의 정합 특징부들이 일치하여 정합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4를 참조하면, 스크류 전달 시스템은 스크류의 헤드와 정합하기 위해 회전하도록 구성된 상이한 드라어버(7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622)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드라이버(722)를 선형적으로 전진시킬 때, 상기 드라이버(722)는 사용자가 회전 운동을 제공할 필요없이 회전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라이버(722)는 박음부(726)와 외부 하우징(730)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하우징(730)이 박음부(726) 상으로 압착되면, 박음부(726)는 회전하게 될 것이다. 그 이유는 상기 박음부(726)가 핀(734)과 같은 정합 부재를 포함하고, 외부 하우징(730)이 상기 박음부(726)의 핀(734)과 정합하는 나선형 트랙(738)과 같은 정합 부재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드라이버(722)는 회전 조립체(260)를 형성한다. 박음부(726)를 전방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스프링(742)이 외부 하우징(730) 내부에 위치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크류 전달 시스템(810)은 캐리어(818) 내에 배치된 복수의 스크류 및 드라이버 조립체(814)를 포함한다. 각각의 조립체(814)는 스크류(826)가 미리 장전된 드라이버(822)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드라이버(822)는 근위 단부의 커플링(830)과 원위 단부의 드라이버 헤드(834)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822)는 각각의 드라이버 헤드(834)에 미리 장전된다. 상기 커플링(830)은 핸들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커플링일 수 있고, 표준 핸들 또는 배터리 구동식 핸들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커플링(830)은 핸들에 형성된 육각형 리세스에 결합하도록 된 육각 커플링이다. 사용시, 핸들이 제1 조립체(814)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스크류(822)가 근저 골 또는 다른 구조물에 제공될 수 있다. 일단 제1 스크류(822)가 제 위치에 놓이면, 제1 드라이버(826)는 폐기될 수 있으며, 상기 핸들은 제2 조립체(814)에 제공될 수 있다. 절차가 완료될 때까지, 이 프로세스는 계속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스크류 전달 시스템(910)은 본체(914), 상기 본체(914)의 보어(922)를 관통하는 드라이버(918), 스크류 캐리지(924), 및 상기 본체(914)에 커플링되고 상기 보어(922)와 스크류 캐리지(924) 모두와 소통하는 선형 스크류 카트리지(926)를 포함한다. 상기 선형 스크류 카트리지(926)는 선형이며, 선형적인 배열로 스크류(944)들을 유지함으로써, 각각의 스크류는 실질적으로 선형인 방향을 따라 차례로 놓이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914)는 후방부(930)와, 상기 후방부(930)에 커플링된 전방부(934)를 포함한다. 상기 보어(922)는 본체(914)의 전방부(934)와 후방부(930)를 모두 관통하여 연장한다. 상기 드라이버(918)는 보어(922)를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하며 활주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카트리지(926)는 본체(914)의 상부면에 부착된다. 상기 카트리지(926)는 본체(914)와 함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형 본체(940)에 의해 형성된다. 관형 본체(940)는 실질적으로 그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관형 채널(942)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크류(944)가 카트리지(926)의 관형 채널(942) 내부에 선형으로 위치된다. 관형 본체(940)는 스크류 캐리지(924)와 소통하는 개구(950)를 원위 단부에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 캐리지(924)는 당해 스크류 캐리지를 관통하는 보어를 포함하고,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상부 위치에서, 스크류 캐리지(924)의 보어는 카트리지(926)의 개구(950)와 정렬된다. 하부 위치에서, 스크류 캐리지(924)의 보어는 본체(914)의 보어(922)와 정렬된다. 따라서, 본체(914)의 보어(922)는, 근저 구조물 속으로 스크류가 박아 넣어져야 할 때, 각각의 스크류(944)를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사용시, 드라이버(918)가 뒤로 당겨질 수 있으며, 제1 스크류(942)는 관형 채널(942)을 통해 개구(950)를 나와 캐리지(924) 속으로 밀려 들어갈 수 있다. 그 후, 상기 캐리지(924)가 보어(922) 속으로 하방으로 밀릴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드라이버(918)가 전방으로 밀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크류에 직접 결합하여 보어(922)를 따라 본체(914)의 외부로 전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크류 헤드의 박음 특징부(driving feature)에 대한 드라이버의 정렬을 돕기 위해, 조립체(16)와 같은 정렬 조립체가 사용된다. 제1 스크류가 적절하게 임플란트되면, 상기 드라이버(918)는 후퇴될 수 있으며, 프로세스가 반복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스크류 전달 시스템은 캐리어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미리 장전된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드라이버는 조직 속으로 미리 장전된 패스너를 박아 넣기 위해 개별적으로 배향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전달 시스템(1010)은 캐리어(1014), 상기 캐리어(1014)의 보어(1022)를 관통하는 드라이버(1018), 및 캐리어(1014)에 부착된 복수의 블레이드 조립체(1026)를 포함한다. 상기 캐리어(1014)는 당해 캐리어(1014)의 외표면에 인접하여 연장하는 트랙(1030)을 포함한다. 상기 트랙(1030)은 블레이드 조립체(1026)를 지지한다. 또한, 캐리어(1014)는 보어(1022) 속으로 종료되는 대형의 보어(1034)를 포함한다. 상기 보어(1034)는 드라이버(1018)에 접촉하여 전방으로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1038)을 수용한다.
상기 드라이버(1018)는 기부(1042)와, 상기 기부(1042)로부터 연장하는 샤프트(1046)를 포함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1046)는 캐리어(1014)의 보어(1022)를 관통하며, 상기 기부(1042)는 표면(1050)에 당접함으로써, 드라이버(1018)가 전방으로 바이어스될 때, 상기 드라이버(1022)가 캐리어(1014)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기부(1042)는 보어(1022)의 내경과 샤프트(1046)의 외경 모두 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각각의 블레이드 조립체(1026)는 드라이버 헤드(1058) 상에 미리 장전된 스크류(1054)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드라이버 헤드(1058)는 트랙(1030)을 따라 이동하며, 그 바닥에 형성된 리세스(1062)를 포함한다. 상기 리세스(1062)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046)의 단부를 수용하는 크기여야 한다.
사용시, 상기 드라이버(1018)는 뒤로 당겨질 수 있으며, 스프링(1066)은 제1 블레이드 조립체(1026)를 보어(1022)의 개구를 향하여 전진시킨다. 블레이드 조립체(1026)가 제 위치에 놓이면, 드라이버(1018)는 샤프트(1046)의 단부가 드라이버 헤드(1058)의 리세스(1062)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해제될 수 있다. 제1 스크류(1054)가 임플란트되면, 상기 드라이버(1018)는 뒤로 당겨질 수 있으며, 제2 블레이드 조립체(1026)가 임플란트되기 위해 위치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절차가 완료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스크류 전달 조립체는 선택적으로 채용될 수 있는 복수의 블레이드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전달 시스템(1110)은 캐리어(1114)와, 상기 캐리어(1114)의 공동(1122) 내부에 수용된 복수의 블레이드 조립체(1118)를 포함한다. 상기 캐리어(1114)는 그 외부 벽체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1126)과 그 원위 단부의 개구(1128)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1110)은 공동(1122) 내부에 수용된 3개의 조립체(1118)를 포함한다.
각각의 블레이드 조립체(1118)는 그 원위 단부에 헤드부(1132)를 가진 세장형 샤프트(1130)와, 그 근위 단부의 누름식 버튼(1134)를 포함한다. 각각의 헤드부(1132)는 당해 헤드부에 대해 미리 장전된 스크류(1140)를 갖고, 각각의 버튼(1134)은 캐리어(1114)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통공(1126)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다.
사용시, 개구(1128)의 외부로 제1 조립체(1118)를 전진시키기 위해 제1 버튼(1134)이 눌려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임플란트될 제1 스크류(1140)가 노출된다. 제1 스크류가 임플란트된 후, 제1 조립체(1118)는 후퇴될 수 있으며, 임플란트를 위해 제2 스크류(1140)를 노출시키기 위해 제2 조립체(1118)가 채용될 수 있다. 모든 조립체(1118)가 채용될 때까지, 이 절차가 반복될 수 있다.
실시예들과 그들의 장점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였으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형성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형, 치환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원의 범위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프로세스, 기계, 제조, 물질의 구성, 수단, 방법 및 단계들의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응하는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실현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실시하는 현존하거나 후에 개발될 프로세스, 기계, 제조, 물질의 구성, 수단, 방법 및 단계들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청구항들의 넓은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중 일부는 전술하였으나, 나머지들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임의의 실시예의 특징부들의 임의의 조합과, 그 당연한 변형을 포함한다.
또한, 개시된 스크류 전달 시스템은, 단독으로 또는 상기 조립체(31)와 같은 정렬 조립체와 조합되거나, 상기 드라이버(22)와 같은 드라이버와 더 조합하여,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를 포함한 키트로서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각각의 카트리지는 스크류 샤프트 직경, 스크류 길이 및 스크류 헤드 구조(예컨대, 평탄형, 십자형, 육각형 등)와 같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치수를 가진 스크류들을 보유할 수 있다.

Claims (36)

  1. 스크류 전달 시스템이며,
    캐리어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본체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보어를 형성하는 캐리어;
    상기 보어 속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되고, 패스너의 헤드와 정합하도록 구성된 헤드를 가진 드라이버;
    상기 캐리어 본체에 의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보어와 작동가능하게 정렬되며,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노우즈를 포함하고,
    상기 노우즈는 패스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드라이버가 상기 보어로부터 상기 노우즈 속으로 삽입될 때,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와 제2 가이드 부재가 결합하고, 상기 노우즈와 패스너는 상기 캐리어 본체에 대해 회전하는
    스크류 전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패스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버가 상기 패스너를 상기 노우즈 속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상기 노우즈와 상기 패스너가 상기 캐리어 본체에 대해 함께 회전하는
    스크류 전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가 상기 패스너와 노우즈를 전방으로 밀 때, 상기 패스너와 노우즈의 회전이 상기 패스너의 헤드를 상기 드라이버 헤드에 대해 정렬시키는
    스크류 전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본체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본체는 제1 가이드 부재를 지지하는
    스크류 전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본체가 상기 캐리어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스크류 전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본체는 상기 캐리어 본체의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커플링된 단부 캡을 포함하는
    스크류 전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를 가진 카트리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스크류 전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본체의 리셉터클 내부에 위치되는 카트리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그 내부에 복수의 패스너를 갖는
    스크류 전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곡선형의 전면과 곡선형의 후면을 가진 카트리지 본체를 포함하는
    스크류 전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복수의 보어를 형성하고, 각각의 보어는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후면까지 개방되며, 각각의 보어 내부에 패스너가 위치되는
    스크류 전달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카트리지에 의해 형성된 대응하는 로킹 기구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로킹 기구를 포함하는
    스크류 전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ⅰ) 상기 카트리지의 로킹 기구는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곡선형의 후면에 형성된 복수의 디텐트이고, 각각의 디텐트는 각각의 보어와 정렬되며,
    (ⅱ) 상기 캐리어의 로킹 기구는 각각의 디텐트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스프링 장착식 볼인
    스크류 전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는 돌출부이고,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는 나선형 홈인
    스크류 전달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는 나선형 홈이고,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는 돌출부인
    스크류 전달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우즈는 상기 캐리어 본체에 대해 적어도 90°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스크류 전달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우즈는 복수의 핑거를 형성하는 노우즈 본체와, 상기 노우즈 본체를 통해 연장하는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을 통해 패스너가 전진됨에 따라, 상기 노우즈 본체의 핑거들은 외측으로 휘어지도록 구성되는
    스크류 전달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각각의 핑거는 비선형 근위부를 포함하는
    스크류 전달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노우즈 본체는 상기 채널과 소통하는 원위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원위 개구는 상기 패스너 헤드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스크류 전달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노우즈 본체의 원위 개구를 통해 패스너를 밀기 위해 적어도 1.5lbs의 힘이 요구되는
    스크류 전달 시스템.
  20. 스크류 전달 시스템이며,
    복수의 패스너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본체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보어를 형성하는 캐리어;
    상기 보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패스너의 헤드와 정합하도록 구성된 헤드를 가진 드라이버; 및
    패스너의 헤드를 드라이버의 헤드와 정렬시키도록 구성되는 정렬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어는 복수의 패스너의 각각의 패스너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드라이버가 상기 보어 내에서 전진됨에 따라, 각각의 패스너가 박아 넣어지게 되었을 때, 상기 드라이버의 헤드는 각각의 패스너의 헤드와 직접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스크류 전달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조립체는
    상기 캐리어 본체에 의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보어와 작동가능하게 정렬되며,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노우즈를 포함하고,
    (ⅰ) 드라이버는 상기 노우즈 속으로 상기 복수의 패스너 중 제1 패스너를 밀어넣도록 구성되고, 상기 드라이버가 상기 스크류와 노우즈를 상기 캐리어 본체에 대해 전방으로 밀 때, 상기 제1 패스너와 노우즈가 상기 캐리어 본체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드라이버 헤드에 대해 제1 패스너의 헤드를 정렬시키는
    스크류 전달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본체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본체는 제1 가이드 부재를 지지하는
    스크류 전달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본체는 상기 캐리어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스크류 전달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본체는 상기 캐리어 본체의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커플링된 단부 캡을 포함하는
    스크류 전달 시스템.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는 돌출부이고,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는 나선형 홈인
    스크류 전달 시스템.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노우즈는 복수의 편향가능한 핑거를 형성하는 노우즈 본체와, 관통 연장하는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노우즈 본체의 핑거들은 패스너가 채널을 통해 전진됨에 따라 외측으로 휘어지도록 구성되는
    스크류 전달 시스템.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스너를 초기에 유지하는 카트리지를 더 포함하는
    스크류 전달 시스템.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의 회전없이, 상기 패스너의 헤드는 상기 드라이버 헤드에 정렬되는
    스크류 전달 시스템.
  29. 제20항에 있어서,
    (ⅰ) 상기 드라이버는 핸들부와 드라이버 부분을 포함하고,
    (ⅱ) 상기 핸들부가 전방으로 전진됨에 따라, 상기 드라이버 부분은 상기 캐리어 본체에 대해 회전하는
    스크류 전달 시스템.
  30. 제20항에 있어서,
    (ⅰ) 상기 캐리어 본체는 상기 보어 위에 배치되어 상기 보어와 소통하는 채널을 포함하고,
    (ⅱ) 상기 복수의 패너스가 상기 채널 내부에서 차례로 정렬되는
    스크류 전달 시스템.
  31. 스크류 전달 시스템용 스크류 카트리지이며,
    곡선형의 전면, 대향하는 곡선형의 후면, 및 상기 전면과 후면 사이에 연결된 한 쌍의 대향하는 측벽을 가진 카트리지 본체;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카트리지 본체를 통해 연장하고 상기 후면까지 개방된 복수의 각 오프셋(angular offset) 보어; 및
    상기 복수의 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위치된 골 패스너를 포함하는
    스크류 카트리지.
  32.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로킹 기구를 포함하는
    스크류 카트리지.
  33. 제32항에 있어서,
    (ⅰ) 상기 로킹 기구는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곡선형의 후면에 형성된 복수의 디텐트이고, 각각의 디텐트는 개별 보어와 정렬되는
    스크류 카트리지.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기구는 래칫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치형부인
    스크류 카트리지.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스크류 카트리지.
  36. 제31항에 있어서,
    각각의 보어 내부에 위치된 포획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획 장치는 패스너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스크류 카트리지.
KR1020127016668A 2009-12-01 2010-11-30 스크류 전달 시스템 KR1018325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6548409P 2009-12-01 2009-12-01
US61/265,484 2009-12-01
PCT/US2010/058289 WO2011068780A2 (en) 2009-12-01 2010-11-30 Screw delivery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495A true KR20120112495A (ko) 2012-10-11
KR101832511B1 KR101832511B1 (ko) 2018-02-26

Family

ID=43479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668A KR101832511B1 (ko) 2009-12-01 2010-11-30 스크류 전달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534164B2 (ko)
EP (2) EP2507017B1 (ko)
JP (1) JP5722338B2 (ko)
KR (1) KR101832511B1 (ko)
CN (1) CN102666025B (ko)
BR (1) BR112012012739B1 (ko)
CA (1) CA2781138C (ko)
WO (1) WO201106878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1732B2 (en) * 2009-01-14 2016-03-01 Douglas W. Walker Multi-chamber automatic feed medical screwdriver
WO2011068780A2 (en) 2009-12-01 2011-06-09 Synthes Usa, Llc Screw delivery system
JP5921332B2 (ja) * 2012-05-22 2016-05-24 勝行 戸津 自動ドライバーへのねじの自動供給および装着方法並びにねじ自動供給機構を備えた自動ドライバー
EP3352946B1 (en) 2015-09-25 2021-04-14 Zimmer Biomet Cmf And Thoracic, Llc Fastener cartridge
CN105537922A (zh) * 2016-03-07 2016-05-04 河北航天振邦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双工位定子螺钉机及其安装方法
JP7067313B2 (ja) * 2018-06-27 2022-05-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締結方法
US11279008B2 (en) 2018-07-05 2022-03-22 Stryker European Operations Holdings, LLC Automatic screw driver with screw cartridge
US11154337B2 (en) * 2019-02-26 2021-10-26 Medos Iniernational Sarl Spinal screw handling
KR102495189B1 (ko) * 2020-11-17 2023-02-06 아트라스콥코 코리아 주식회사 볼트 공급 장치
US11337743B1 (en) 2021-11-30 2022-05-24 Bio Med Pro LLC Autoloading screwdriver apparatus
USD1014749S1 (en) 2021-12-06 2024-02-13 Bio Med Pro LLC Screwdriver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0189A (en) 1923-12-08 1925-03-09 Frederick William Henning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crewdrivers
US1708766A (en) * 1926-05-22 1929-04-09 Lochner Albert Thomas Screw driver
US2202240A (en) * 1937-12-20 1940-05-28 Walter F Trotter Wrench socket
US3528466A (en) 1968-02-02 1970-09-15 Intern Enterprises Inc Screw fastener and apparatus for applying
JPS57118172U (ko) 1981-01-12 1982-07-22
JPS6225168U (ko) * 1985-07-30 1987-02-16
US4998452A (en) * 1988-03-25 1991-03-12 Blum Kurt E Cartridge and magazine apparatus for storage and automatic feed of screw fasteners
US4936169A (en) * 1988-07-25 1990-06-26 Parsons Billy J Device for positioning and applying fasteners
US5302068A (en) * 1990-10-03 1994-04-12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having recessed, non-circular head, and fastener-driving tool
CH684820A5 (de) 1991-05-10 1995-01-13 Synthes Ag Schraubenlader.
WO1996000637A1 (en) 1993-04-13 1996-01-11 Shea Reeford P Automatic screw feeder
CN2217485Y (zh) * 1995-03-15 1996-01-17 王乐凯 自攻螺丝连发器
EP0800796A1 (fr) * 1996-04-12 1997-10-15 Caron, Philippe Dispositif de vissage incorporant un chargeur de vis, utilisable plus particulierement dans le domaine de la chirurgie maxillo-faciale
JP3119832B2 (ja) * 1997-05-12 2000-12-25 グンゼ株式会社 ねじ締め用具
JPH11170178A (ja) * 1997-12-11 1999-06-29 Tachikawa Pin Seisakusho:Kk 自動ネジ締め機および連結ネジケ−ス
US6328746B1 (en) * 1998-08-06 2001-12-11 Michael A. Gambale Surgical screw and driver system
WO2000078509A1 (en) * 1999-06-17 2000-12-28 Babij Alex Jr A screw guide
AU2001276154A1 (en) * 2000-07-18 2002-02-18 Alex Babij Jnr Improvements to screw guides and cartridges
US6813977B2 (en) * 2001-06-11 2004-11-09 Davicorp Inc. Screw gun
US7461574B2 (en) 2003-04-28 2008-12-09 Biomet Microfixation, Llc Multiple screw delivery apparatus
JP4557146B2 (ja) * 2004-09-29 2010-10-06 株式会社安川電機 締結装置
US7846167B2 (en) 2005-11-07 2010-12-07 Biomet Microfixation, Llc Driver assembly and fastener apparatus
US20070119871A1 (en) 2005-11-07 2007-05-31 Garcia Saddy R Fastener cartridge
US7406899B2 (en) 2006-07-24 2008-08-05 Walker Douglas W Automatic feed medical screwdriver
US8087325B2 (en) * 2009-06-29 2012-01-03 Neubardt Seth L Tool device for inserting fasteners
WO2011068780A2 (en) 2009-12-01 2011-06-09 Synthes Usa, Llc Screw deliver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2511B1 (ko) 2018-02-26
JP2013512117A (ja) 2013-04-11
WO2011068780A3 (en) 2011-08-25
EP2730375A2 (en) 2014-05-14
EP2730375A3 (en) 2014-09-10
CN102666025B (zh) 2014-12-10
JP5722338B2 (ja) 2015-05-20
CA2781138A1 (en) 2011-06-09
EP2507017B1 (en) 2014-03-12
US20140018817A1 (en) 2014-01-16
WO2011068780A2 (en) 2011-06-09
BR112012012739A2 (pt) 2017-09-26
BR112012012739B1 (pt) 2020-05-26
US8943927B2 (en) 2015-02-03
EP2507017A2 (en) 2012-10-10
CN102666025A (zh) 2012-09-12
US20110130767A1 (en) 2011-06-02
CA2781138C (en) 2018-02-20
US8534164B2 (en) 201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2495A (ko) 스크류 전달 시스템
EP2833813B1 (en) Bone screw and self-retaining driver
US8414594B2 (en) Magazine for receiving at least one bone screw and bone plate having such a magazine
US7766920B2 (en) Cannulated fastener system
US6575974B2 (en) Surgical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on of fractured bones
US8709014B2 (en) Device, kit, and a method for handling a medical implant
US11672580B2 (en) Driven universal screw guide
CN112672700A (zh) 连发施夹钳和连发施夹钳送料装置
CN112370137A (zh) 脊柱微创手术用持棒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