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2142A -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방법 및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방법 및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2142A
KR20120112142A KR1020120031791A KR20120031791A KR20120112142A KR 20120112142 A KR20120112142 A KR 20120112142A KR 1020120031791 A KR1020120031791 A KR 1020120031791A KR 20120031791 A KR20120031791 A KR 20120031791A KR 20120112142 A KR20120112142 A KR 20120112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logical treatment
aerobic biological
aerobic
treatment tank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나리 고마츠
Original Assignee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2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1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과제) 유기물 함유 배수를 혐기성 생물 처리한 후 호기성 생물 처리하고, 호기성 생물 처리수를 막분리 처리하는 데에 있어서, 호기성 생물 처리 슬러지의 막여과성을 개선시켜 막플럭스를 개선시키고, 약품 세정 빈도를 저감시킨다.
(해결 수단) 유기물 함유 배수를 혐기성 생물 처리조 (1) 에서 혐기적으로 생물 처리한 후, 혐기성 생물 처리조 (1) 로부터 유출되는 혐기성 생물 처리수를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에서 호기적으로 생물 처리하고, 호기성 생물 처리수를 막분리 수단 (4) 으로 고액 분리하는 데에 있어서,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내의 슬러지 체류 시간을 15 일 이상으로 제어한다.

Description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방법 및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METHOD FOR TREATMENT OF ORGANIC SUBSTANCE-CONTAINING WASTEWATER AND DEVICE FOR TREATMENT OF ORGANIC SUBSTANCE-CONTAINING WASTEWATER}
본 발명은 유기물 함유 배수를 혐기성 생물 처리한 후 호기성 생물 처리하고, 호기성 생물 처리수를 막분리 처리하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방법 및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혐기성 생물 처리조 이후의 호기성 생물 처리조로서, 막분리 활성 슬러지식의 호기성 생물 처리조를 채용한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에 있어서, 호기성 생물 처리 슬러지의 막여과성을 개선시켜 막의 투과 수량 (플럭스) 을 높게 유지하고, 또 약품 세정 빈도를 저감시키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방법 및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방법으로서, 유기물 함유 배수를 혐기성 생물 처리한 후, 호기성 생물 처리하고, 호기성 생물 처리수를 고액 분리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또, 호기성 생물 처리수의 고액 분리 수단으로서, 막분리 장치를 사용하여 활성 슬러지를 농축하는 막분리 활성 슬러지법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호기성 생물 처리수의 고액 분리 수단으로서 막분리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혐기성 생물 처리는, 막슬러지의 원인이 되는 대사 산물의 생성량이, 호기성 생물 처리보다 적기 때문에, 유기물 함유 배수 (원수) 를 직접 호기성 생물 처리한 후 막분리 처리하는 경우보다, 호기성 생물 처리의 전단 (前段) 에 혐기성 생물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의 편이, 막오염이 저감되어 막의 약품 세정 빈도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7558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97688호
전술한 바와 같이, 호기성 생물 처리수를 막분리 장치로 고액 분리하는 경우, 호기성 생물 처리의 전단에서 혐기성 생물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대사 산물에 의한 막오염을 저감시킬 수 있는데, 혐기성 생물 처리에서는, 호기성 생물 처리에 비해, 점질물의 생성량이 적고, 플록의 형성력이 약하기 때문에, 직경 10 ㎛ 미만의 미세한 SS 성분이 혐기성 생물 처리수에 함유되게 된다. 이들 미세한 SS 성분은, 후단의 호기 처리 후에도 대부분이 잔류하여, 막분리 처리에 있어서, 막표면에 치밀한 케이크층을 형성하여, 막간 차압을 상승시키기 쉽다. 이 때문에, 혐기성 생물 처리수를 호기성 생물 처리하고, 막분리 장치에 의해 고액 분리를 실시하여, SS 성분이 없는 청징한 처리수를 얻고자 한 경우에는, 막플럭스를 높게 취할 수 없고, 막의 약품 세정을 빈번하게 실시할 필요가 있는 것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유기물 함유 배수를 혐기성 생물 처리한 후 호기성 생물 처리하고, 호기성 생물 처리수를 막분리 처리하는 데에 있어서, 호기성 생물 처리 슬러지의 막여과성을 개선시켜 막플럭스를 높게 유지하고, 막의 약품 세정 빈도를 저감시키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방법 및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막분리 활성 슬러지식의 호기성 생물 처리조에 있어서의 슬러지 체류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호기성 생물 처리조 내에서의 미세 SS 성분의 분해가 촉진됨으로써, 호기성 생물 처리 슬러지의 막여과성이 개선되고, 후단의 막분리 장치의 막플럭스가 향상되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지견에 기초하여 달성된 것으로, 이하를 요지로 한다.
[1]유기물 함유 배수를 혐기적으로 생물 처리하는 혐기성 생물 처리 공정과, 그 혐기성 생물 처리 공정으로부터 유출되는 혐기성 생물 처리수를 호기적으로 생물 처리하는 호기성 생물 처리 공정과, 그 호기성 생물 처리 공정의 호기성 생물 처리수를 고액 분리하는 막분리 공정을 갖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그 호기성 생물 처리 공정 내에 있어서의 슬러지 체류 시간을 15 일 이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방법.
[2][1]에 있어서, 상기 호기성 생물 처리 공정에 있어서의 슬러지 체류 시간을 20 ? 50 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방법.
[3]유기물 함유 배수를 혐기적으로 생물 처리하는 혐기성 생물 처리조와, 그 혐기성 생물 처리조로부터 유출되는 혐기성 생물 처리수를 호기적으로 생물 처리하는 호기성 생물 처리조와, 그 호기성 생물 처리조의 호기성 생물 처리수를 고액 분리하는 막분리 수단을 갖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에 있어서, 그 호기성 생물 처리조 내에 있어서의 슬러지 체류 시간이 15 일 이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4][3]에 있어서, 상기 호기성 생물 처리조에 있어서의 슬러지 체류 시간이 20 ? 50 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5][3]또는[4]에 있어서, 상기 막분리 수단은, 상기 호기성 생물 처리조 내에 침지된 침지형 막분리 장치이고, 그 호기성 생물 처리조는 잉여 슬러지의 인발 수단과, 그 잉여 슬러지의 인발 수단으로부터의 잉여 슬러지의 인발량의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호기성 생물 처리조의 슬러지 체류 시간을 15 일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 50 일로 제어함으로써, 혐기성 생물 처리에 의해 생성되어, 호기성 생물 처리조 내에 유입되는 미세한 SS 성분의 분해를 촉진시켜, 호기성 생물 처리 슬러지의 막여과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이것을 고액 분리하는 막분리 장치의 막플럭스를 높게 유지하고, 약품 세정 빈도를 저감시켜, 효율적인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도 2 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에 있어서의 막간 차압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방법 및 처리 장치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계통도이고, 도 1 에 있어서, 1 은 혐기성 생물 처리조, 2 는 호기성 생물 처리조이다. 혐기성 생물 처리조 (1) 내에는 담체 (3) 가 충전되어 있다.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내에는, 침지형 막모듈 (4) 이 침지 배치되고, 막모듈 (4) 의 하방에는 산기관 (폭기 수단) (5) 이 형성되어 있다. P1, P2 는 펌프이고, PI 는 압력계이다.
도 1 에 있어서, 유기물 함유 배수 (원수) 는, 배관 (11) 으로부터 혐기성 생물 처리조 (1) 의 바닥부에 도입되어, 혐기성 생물 처리조 (1) 내를 상향류로 흐르는 동안에 혐기성 생물 처리되고, 혐기성 생물 처리수는 배관 (12) 으로부터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에 도입된다.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내의 호기성 생물 처리수는, 막모듈 (4) 에 의해 고액 분리되고, 막투과수가 처리수로서 배관 (13) 으로부터 취출된다. 잉여 슬러지는 배관 (14) 으로부터 발출된다.
혐기성 생물 처리조 (1) 의 처리 방식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유동성 담체 (3) 를 충전한 유동상식 (流動床式) 이외에, 고정상식 처리조여도 되고, 또, 조 내에 고밀도이고 침강성이 큰 그래뉼 슬러지의 슬러지 블랭킷을 형성하고, 원수를 상향류 통액시켜 고부하 고속 처리를 실시하는 UASB (Upflow Anaerobic Sludge Blanket:상향류 혐기성 슬러지 블랭킷) 법이나, 이 UASB 법보다 더욱 높이가 높은 반응조를 사용하여 고유속으로 원수를 통액시켜, 슬러지 블랭킷을 고전개율로 전개시켜 추가적인 고부하에 의해 혐기성 처리를 실시하는 EGSB (Expanded Granule Sludge Blanket) 법이어도 된다.
또, 산생성 반응과 메탄 생성 반응을 동일한 처리조 내에서 실시하는 1 상식 (相式) 이어도 되고, 각 반응을 다른 처리조에서 실시하는 2 상식이어도 된다.
담체를 사용한 유동상식 처리조, 고정상식 처리조나, UASB, EGSB 와 같은 그래뉼을 사용한 처리조는, CODCr 부하 5 ㎏/㎥?d 이상의 고부하 처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1 에 나타내는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는, 조 내에 막모듈 (4) 을 침지 배치한 침지형 막분리 활성 슬러지 처리조인데, 막모듈은 이와 같이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내에 형성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외에 막모듈을 형성하는 조외형 막분리 활성 슬러지법을 채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조외형 막분리 활성 슬러지법의 경우, 처리조 (2) 와는 별도로 형성한 폭기조 내에 막모듈을 침지시켜 막투과수를 얻고, 막농축수를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에 순환시켜도 된다.
침지형 막모듈이 아니라, 통상적인 막모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동력이 비교적 적어도 된다는 점, 및 전단력이 비교적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슬러지의 크기가 작아지지 않아, 막의 로딩이 발생되기 어렵다는 점에서, 침지형 막모듈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막의 종류로는, SS 의 고액 분리성이 우수한 MF (정밀 여과) 막이나 UF (한외 여과) 막을 사용할 수 있고, 그 형식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평막, 튜뷸러막, 중공사막 중 아무거나 채용할 수 있다.
도 1 의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에서는, 막모듈 (4) 의 하방에 산기관 (5) 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막모듈 (4) 의 하방에 산기관 (5) 을 형성함으로써, 막모듈 (4) 의 막면 부착물이 산기에 의한 폭기류의 세정 작용으로 일부 박리 제거되어 막투과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는 다단으로 형성하고, 예를 들어, 전단을 탈질조로 하고, 후단을 질화조로 하여, 질화조로부터 탈질조에 슬러지를 순환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막모듈은 질화조 또는 질화조의 슬러지를 순환시키는 다른 폭기조 (막침지조) 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와 같은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에 있어서,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의 슬러지 체류 시간 (SRT) 을 15 일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 50 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의 슬러지 체류 시간이 15 일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 50 일이 되도록, 배관 (14) 으로부터의 잉여 슬러지의 인발량을 제어한다.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에 있어서의 슬러지 체류 시간을 15 일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일 이상으로 함으로써, 혐기성 생물 처리조 (1) 에서 생성되고,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에 유입된 미세한 SS 성분의 분해를 촉진시켜, 호기성 생물 처리 슬러지의 막여과성을 개선시키고, 막플럭스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단,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의 슬러지 체류 시간을 과도하게 길게 해도, 그것에 걸맞는 효과는 얻어지지 않고, 슬러지 체류 시간을 길게 하기 위한 호기성 생물 처리조 용량이 과대해지고, 또, 슬러지의 자기 소화 산물이 증가하여, 막을 오염시키기 쉬워진다는 점에서,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의 슬러지 체류 시간은 50 일 이하, 특히 30 일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의 그 밖의 처리 조건으로는, CODCr 부하 0.7 ? 5 ㎏/㎥?일, 특히 1 ? 2.5 ㎏/㎥/일, BOD 부하 0.3 ? 3 ㎏/㎥?일, 특히 0.5 ? 2 ㎏/㎥?일이고, MLSS 농도 2,000 ? 20,000 ㎎/ℓ, 특히 4,000 ? 12,000 ㎎/ℓ 인 것이 막여과성, 처리 효율면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로 처리하는 유기물 함유 배수로는, 통상적으로 생물 처리되는 유기물 함유 배수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전자 산업 배수, 화학 공장 배수, 식품 공장 배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부품 제조 프로세스에서는, 현상 공정, 박리 공정, 에칭 공정, 세정 공정 등으로부터 각종 유기성 배수가 다량으로 발생하고, 또한 배수를 회수하여 순수 레벨로 정화시켜 재사용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기 때문에, 이들 배수는 본 발명의 처리 대상 배수로서 적합하고, 본 발명의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의 처리수를 필요에 따라 추가로 고도 처리함으로써 고순도수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기성 배수로는,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틸알코올 등을 함유하는 유기성 배수, 모노에탄올아민 (MEA),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로옥사이드 (TMAH) 등의 유기태 질소, 암모니아태 질소를 함유하는 유기성 배수, 디메틸술폭사이드 (DMSO) 등의 유기 황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기성 배수를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비교예 1, 실시예 1, 2]
하기 수질의 전자 부품 제조 공장의 배수를 원수로 하여, 도 1 에 나타내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로 처리를 실시하였다.
<원수 수질>
CODCr:1,500 ? 3,000 ㎎/ℓ (평균 2,000 ㎎/ℓ)
T-N:30 ? 70 ㎎/ℓ (평균 50 ㎎/ℓ)
T-P:3.0 ㎎/ℓ (Ca, Mg, K, 그 밖의 미량 금속과 함께 영양제로서 첨가)
혐기성 생물 처리조 (1) 로는, 조 용량 10 ℓ (φ16 ㎝ × H 60 ㎝ 의 원통상) 인 것을 사용하고, 수리학적 체류 시간:4.8 시간, 온도:35 ℃ 로 가온시켜 처리를 실시하였다.
혐기성 생물 처리조 (1) 에는, 폴리프로필렌제 원통상 담체 (φ3 ㎜ × 5 ㎜) 를 4 ℓ 충전하고, 맥주 공장의 배수 처리 시설의 그래뉼을 종 슬러지로 하여 500 ㎖ 투입하고 2 개월 순양 (馴養) 한 후, 처리수를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에 도입하였다.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로는, 조용량 1.5 ℓ 인 것을 사용하고, 막모듈 (4) 로는, 중공사 형식의 MF 막 (아사히 화성 케미컬즈 (주) 제조 「마이크로자 MF 레버러토리 모듈」, 폴리불화비닐리덴제, 구멍 직경 0.10 ㎛) 을 사용하여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내의 산기관 (5) 의 상방에 침지 배치하였다.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는, 전자 부품 제조 공장 배수 처리 설비의 활성 슬러지를 종 슬러지로 하여 시동하고, 막모듈 (4) 에서는, 6 분 흡인 여과/2 분 정지의 사이클, 여과시의 플럭스 0.4 m/일로 흡인함으로써 막분리 처리하였다.
또, 막간 차압이 30 kPa 까지 상승된 시점에서, 막모듈 (4) 을 끌어 올려, 약품 세정 (유효 염소 0.3 % NaClO + NaOH (pH 12 로 조정) 용액에 6 시간 침지) 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조건으로 처리하는 데에 있어서,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에서 150 ㎖/일로 잉여 슬러지를 인발하여 (슬러지 체류 시간 = 10 일), 1 개월 운전하였다.
<실시예 1>
상기 비교예 1 의 운전 후,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에서 75 ㎖/일로 잉여 슬러지를 인발한 것 (슬러지 체류 시간 = 20 일) 이외에는 상기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2 개월 운전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 의 운전 후,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에서 30 ㎖/일로 잉여 슬러지를 인발한 것 (슬러지 체류 시간 = 50 일) 이외에는 상기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3 개월 운전하였다.
비교예 1 및 실시예 1, 2 에 있어서의 막간 차압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도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및 실시예 1, 2 모두, 혐기성 생물 처리조 (1) 에서는, 10 ㎏/㎥?일의 CODCr 부하에 대해, 시험 기간을 통해서 90 % 전후의 제거율이 안정적으로 얻어지고,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의 처리수 CODCr 은 10 ㎎/ℓ 이하 (평균 5.4 ㎎/ℓ) 에서 안정적으로 추이되었다.
비교예 1 및 실시예 1, 2 에 있어서, 잉여 슬러지 인발량의 변경 후, 운전이 안정적이었다고 보여지는 기간의 막간 차압의 상승 속도는, 비교예 1:1.6 kPa/일, 실시예 1:0.3 kPa/일, 실시예 2:0.6 kPa/일이며, 비교예 1 에서는 대략 15 ? 20 일에 1 회의 빈도로 약품 세정이 필요했던 것에 반해, 실시예 1, 2 에서는 약품 세정 빈도를 2 개월에 1 회 정도로 저감시킬 수 있었다.
또, 혐기성 생물 처리수의 SS 를 분석한 결과, 혐기성 생물 처리수에는 60 ? 100 ㎎/ℓ 의 SS 가 함유되어 있고, 호기성 생물 처리조 (2) 로 항상 유입되고 있었다. 혐기성 생물 처리수 및 호기성 생물 처리조 슬러지의 SS 성분의 입경 분포를 측정한 결과, 혐기성 생물 처리수에서는 입경 10 ㎛ 미만의 미세한 SS 성분이 40 % 를 차지하고 있고, 비교예 1 의 호기성 생물 처리조 슬러지에서도 입경 10 ㎛ 미만의 미세한 SS 성분이 약 10 % 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에 반해, 실시예 1, 2 에 있어서의 호기성 생물 처리조 슬러지에서는, 입경 10 ㎛ 미만의 미세한 SS 성분이 각각 약 0.3 %, 1.2 % 로 현저하게 적어져 있어, 호기성 생물 처리조 내에서 미세 SS 성분이 분해되어, 막여과성의 향상으로 이어진다고 생각되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혐기성 생물 처리와 막분리 활성 슬러지 처리를 조합한 처리에 있어서, 혐기성 생물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미세한 SS 성분에 의한 막오염을 저감시켜, 막의 세정 빈도를 줄임과 함께 막플럭스를 높게 하여 운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 … 혐기성 생물 처리조
2 … 호기성 생물 처리조
3 … 담체
4 … 막모듈
5 … 산기관

Claims (5)

  1. 유기물 함유 배수를 혐기적으로 생물 처리하는 혐기성 생물 처리 공정과,
    그 혐기성 생물 처리 공정으로부터 유출되는 혐기성 생물 처리수를 호기적으로 생물 처리하는 호기성 생물 처리 공정과,
    그 호기성 생물 처리 공정의 호기성 생물 처리수를 고액 분리하는 막분리 공정을 갖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그 호기성 생물 처리 공정 내에 있어서의 슬러지 체류 시간을 15 일 이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성 생물 처리 공정에 있어서의 슬러지 체류 시간을 20 ? 50 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방법.
  3. 유기물 함유 배수를 혐기적으로 생물 처리하는 혐기성 생물 처리조와,
    그 혐기성 생물 처리조로부터 유출되는 혐기성 생물 처리수를 호기적으로 생물 처리하는 호기성 생물 처리조와,
    그 호기성 생물 처리조의 호기성 생물 처리수를 고액 분리하는 막분리 수단을 갖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에 있어서,
    그 호기성 생물 처리조 내에 있어서의 슬러지 체류 시간이 15 일 이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성 생물 처리조에 있어서의 슬러지 체류 시간이 20 ? 50 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막분리 수단은, 상기 호기성 생물 처리조 내에 침지된 침지형 막분리 장치이고, 그 호기성 생물 처리조는 잉여 슬러지의 인발 수단과, 그 잉여 슬러지의 인발 수단으로부터의 잉여 슬러지의 인발량의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KR1020120031791A 2011-03-30 2012-03-28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방법 및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KR201201121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74613 2011-03-30
JP2011074613A JP2012206040A (ja) 2011-03-30 2011-03-30 有機物含有排水の処理方法及び有機物含有排水の処理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142A true KR20120112142A (ko) 2012-10-11

Family

ID=46987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791A KR20120112142A (ko) 2011-03-30 2012-03-28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방법 및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2206040A (ko)
KR (1) KR20120112142A (ko)
CN (1) CN102730901A (ko)
TW (1) TWI5960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888B1 (ko) * 2013-04-29 2014-05-14 (주)전테크 1,4-다이옥산 함유폐수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
TW201420517A (zh) * 2013-09-17 2014-06-01 Leaderman & Associates Co Ltd 含氫氧化四甲基銨及氨氮之廢液的處理方法及其處理裝置
JP6530188B2 (ja) * 2014-12-26 2019-06-12 オルガノ株式会社 排水処理装置及び排水処理方法
CN105366806B (zh) * 2015-12-03 2018-04-10 清华大学 一种厌氧‑微氧膜生物反应器及其运行方法
JP6612195B2 (ja) * 2016-07-26 2019-11-27 水ing株式会社 有機性廃水の処理設備及びその運転方法
JP2019130504A (ja) * 2018-02-01 2019-08-08 オルガノ株式会社 水処理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CN109607766A (zh) * 2018-12-06 2019-04-12 同济大学 一种用于ifas工艺中的变泥龄启动方法
CN109655600A (zh) * 2018-12-11 2019-04-19 内蒙古工业大学 一种降解硝态氮为主的厌氧植物滞留元实验装置
CN113501621A (zh) * 2021-07-26 2021-10-15 上海东振环保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显影液废水处理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08262C (zh) * 2003-04-02 2005-06-29 董红敏 高浓度有机污水处理组合方法及其设备
TWI313187B (en) * 2003-11-21 2009-08-11 Ind Tech Res Inst System for the treatment of organic containing waste water
JP5315587B2 (ja) * 2005-12-27 2013-10-16 栗田工業株式会社 有機物含有排水の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CA2666331A1 (en) * 2006-10-16 2008-04-24 Environmental Biotechnology Crc Pty Limited Wastewater treatment
JP5034778B2 (ja) * 2007-08-24 2012-09-26 栗田工業株式会社 膜分離式排水処理方法および装置
CN101402502B (zh) * 2008-07-21 2011-04-27 北京桑德环保集团有限公司 米非司酮废水处理方法及处理设备
CN101759324B (zh) * 2009-12-17 2012-01-18 北京市水利科学研究所 生物滤池-陶瓷膜生物反应器装置及应用其净化水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00330A (zh) 2013-01-01
CN102730901A (zh) 2012-10-17
JP2012206040A (ja) 2012-10-25
TWI596063B (zh) 2017-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2142A (ko)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방법 및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Li et al. Treatment of synthetic wastewater by a novel MBR with granular sludge developed for controlling membrane fouling
Liu et al. Performance of a hybrid membrane bioreactor in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US20150144554A1 (en)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with moving bed bioreactor (mbbr)
KR20080080623A (ko) 유기물 함유 폐수의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KR101373881B1 (ko)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JP5194783B2 (ja) 有機物含有水の生物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101721251B1 (ko) 막 결합형 sbr 공법
KR101956383B1 (ko) 막분리 활성 오니 장치에 의한 유기성 배수의 처리 방법
Shi et al. Biological removal of nitrogen by a membrane bioreactor-attapulgite clay system in treating polluted water
JP2011173040A (ja) 排水処理方法及び装置
JP2010017615A (ja) Dmso含有排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JP2012192367A (ja) 窒素を含有する有機物性排水の処理装置
JP6084150B2 (ja) 脱窒処理方法及び脱窒処理装置
KR20120112143A (ko)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장치
JP5333953B2 (ja) 脱水ろ液の窒素除去システム並びに窒素除去方法
Delgado et al. Nitrification in a hollow-fibre membrane bioreactor
JP5801769B2 (ja) 有機性排水の嫌気性消化処理方法及び装置
KR102078434B1 (ko) 유기성 배수의 처리 방법 및 처리 장치
JP2007117842A (ja) 高濃度有機性廃水の窒素除去方法及び装置
KR102108870B1 (ko) 질소, 인 제거 막분리 고도처리장치
JP5817177B2 (ja) 有機性排水の処理装置
Chen et al. Application of a membrane bioreactor system for opto-electronic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a pilot study
KR20090068124A (ko) 유기물 함유수의 생물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13022536A (ja) アミン含有排水の生物処理法及び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