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536A - 건물 외벽면의 요철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건물 외벽면의 요철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1536A
KR20120111536A KR1020110030063A KR20110030063A KR20120111536A KR 20120111536 A KR20120111536 A KR 20120111536A KR 1020110030063 A KR1020110030063 A KR 1020110030063A KR 20110030063 A KR20110030063 A KR 20110030063A KR 20120111536 A KR20120111536 A KR 20120111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guide member
protrusion
wall surface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6068B1 (ko
Inventor
김균태
김창한
한재구
이교선
조문영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30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068B1/ko
Publication of KR20120111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2Arrangements for cleaning building fac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건축물의 외벽면을 마주하여 수직하게 하강하는 본체(20)와, 외벽면과 마주하는 상기 본체(20)의 전면에 구비되어 본체(20)가 이동함에 따라 건축물의 외벽면에 접촉하여 표면에 묻은 물질을 긁어내는 와이퍼부재(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로서, 건축물 외벽면의 돌출부(110)를 인지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있으며; 아암부(12)는 이동부재(11)에서 건축물의 외벽면 방향으로 진퇴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고; 본체(20)에는 가이드부재(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11)는 상기 가이드부재(21)와 상대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어, 돌출부(110)가 존재하지 않은 부분에서는 상기 가이드부재(21)와 이동부재(11)가 서로 잠겨진 상태에서 함께 하강하고, 돌출부(110)에서는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간의 상대이동이 허용됨으로써, 이동부재(11)와 와이퍼부재(10)는 하강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20)와 가이드부재(21)는 등속도로 계속 하강함과 동시에 와이퍼부재(10)가 후퇴하게 되고; 와이퍼부재(10)가 후퇴하여 돌출부(110)에 닿지 않게 된 상태에서는 이동부재(11)가 가속하여 하강하고; 돌출부(110)를 지나친 후에는 본체(20)와 가이드부재(21)는 등속도로 계속 하강함과 동시에 와이퍼부재(10)가 하강하지 않는 상태에서 전진하여 와이퍼부재(10)가 외벽면에 닿게 되며; 와이퍼부재(10)가 외벽면에 닿은 상태에서는 이동부재(11)도 하강하여; 돌출부가 존재하여도 본체(20)가 정지하지 않고 등속 하강할 수 있어, 돌출부의 존재로 인하여 돌출부 위쪽의 외벽면이 다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건물 외벽면의 요철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Apparatus for Cleaning Surface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면을 청소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빌딩 등과 같은 건축물의 외벽면을 따라 하강하면서 건축물의 창문이나 외벽 표면 등의 외벽면에 물을 분사하고 닦아 내어 청소하되, 외벽면에 돌출된 부분이 존재하더라도, 깨끗하게 건축물의 외벽면을 청소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빌딩 등과 같은 건축물이 매우 높은 층수를 가지는 고층으로 건설되는 경우가 많고, 그 외벽면이 유리로 이루어진 경우도 매우 많다. 이와 같이 고층 빌딩을 포함하는 건축물에서 유리, 외면 등의 외벽면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장치로서, 다양한 구조의 자동화된 청소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에 의한 건축물 외벽면의 청소장치(이하, "청소장치"라고 약칭함)는, 건축물의 옥상에서 아래로 늘어뜨린 케이블 등에 의하여 건축물의 외벽면을 따라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면서, 외벽면에 물을 분사하고, 외벽면에 묻은 물을 와이퍼부재로 긁어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건축물 외벽면이 완전한 평면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위와 같은 종래의 청소장치만으로도 건축물 외벽면을 깨끗이 청소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건축물 외벽면에는 돌출되거나 또는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의 요철부가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요철부로 인하여 청소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1 및 도 2에는 각각 종래의 청소장치가 건축물의 유리창(100)을 청소하는 상태를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위치(1)"라고 표시된 상태와 같이, 청소장치의 와이퍼부재(10)가 빌딩의 유리창(100) 표면을 긁으면서 아래로 이동하게 되는데, "위치(2)"라고 표시된 상태와 같이, 빌딩의 외벽면에 돌출부(110)에 와이퍼부재(10)가 걸린 후에도 계속하여 청소장치가 하강하게 되면, 고무나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탄성을 가지는 와이퍼부재(10)는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3)"의 상태와 같이 변형되면서 돌출부를 타고 넘어가서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어 "위치(4)"라고 표시된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와이퍼부재(10)가 돌출부를 지나면서 그 형상이 원상 복귀될 때, 그 충격으로 인하여 와이퍼부재(10)에 묻어 있던 물기 내지 물방울이, 이미 와이퍼부재(10)가 지나가서 청소가 완료된 유리창으로 튀게 되고, 그에 따라 청소가 완료되었던 유리창이 다시 더럽혀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와이퍼부재(10)의 형상이 원상 복귀되어 유리창(100)의 표면에 닿게 되는 지점이 돌출부(110)의 아래쪽으로 일정 거리(도 1에서 도면부호 b로 표시된 거리) 떨어진 위치가 되며, 그에 따라 돌출부(110)의 바로 아래쪽의 일정 거리(도 1에서 도면부호 b로 표시된 거리) 부분은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와이퍼부재(10)가 돌출부(110)에 닿기 전에 미리 와이퍼부재(10)를 실외측으로 후퇴시켜서, 와이퍼부재(10)가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돌출부(110)를 지나가고, 돌출부(110)를 지난 후 다시 와이퍼부재(10)가 전진하여 유리창(100)에 닿도록 하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와이퍼부재(10)가 돌출부(110)에 닿기 전에 미리 후퇴하게 되어 유리창(100)과 접촉되지 않게 되므로, 돌출부(110)의 위쪽에 일정 거리(도 2에서 도면부호 a로 표시된 거리)는 와이퍼부재(10)에 의해 청소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또한 와이퍼부재(10)가 돌출부(110)를 지나서 다시 전진하여 유리창(100)과 접촉하게 되면, 앞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돌출부(110)의 바로 아래쪽의 일정 거리(도 2에서 도면부호 b로 표시된 거리) 부분은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와이퍼부재(10)가 돌출부(110)에 닿은 후에 와이퍼부재(10)를 후퇴시키는 방안을 고려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와이퍼부재(10)가 돌출부(110)에 닿은 상태에서 청소장치의 하향 이동을 정지시켜야 한다. 왜냐하면 와이퍼부재(10)가 후퇴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청소장치가 하향 이동하는 중에 정지시키는 것은 또다른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청소장치에는 청소용 물과 전원 등이 구비되어 있고, 청소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 등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당한 자체 중량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중량체인 청소장치는 빌딩의 옥상에서 늘어뜨린 케이블 등에 매달려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청소장치가 하향 이동하는 중에 와이퍼부재(10)가 돌출부를 만나서 청소장치의 이동을 정지시키게 되면, 중량물인 청소장치의 정지로 인한 충격이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와이퍼부재(10)에도 충격이 가해져서 와이퍼부재(10)가 불규칙하게 움직이게 되고, 결국 와이퍼부재(10)에 묻어 있던 물기가, 이미 청소가 완료된 위쪽 유리창으로 튀게 되어 다시 더럽혀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와이퍼부재(10)가 돌출부(110)를 지나간 후에는 다시 와이퍼부재(10)가 유리창쪽으로 전진해야 하므로, 와이퍼부재(10)가 돌출부(110)를 지난 직후에도 다시 청소장치가 정지해야 하고, 그에 따라 위와 같은 와이퍼부재(10)로부터 상향으로의 물 튀김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이미 청소된 유리창의 재오염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청소장치가 하강하다가 돌출부(110)를 만날때마다 정지하였다가 다시 하강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작업속도가 저하되고 경제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빌딩 등과 같은 건축물의 외부에 청소장치를 설치하여 옥상에서 늘어뜨린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청소장치를 하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유리창이나 외면 등의 외벽면을 청소함에 있어서, 건축물 외벽면에 돌출부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이미 청소된 위쪽 외벽면이 와이퍼부재의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물 튀김 또는 청소장치의 정지로 인한 충격 때문에 발생하는 물 튀김으로 인하여 다시 오염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만들고, 돌출부의 존재 때문에 발생하는 작업정지로 인한 작업속도 저하 및 경제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건축물의 외벽면을 마주하여 수직하게 하강하는 본체와, 외벽면과 마주하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본체)가 이동함에 따라 건축물의 외벽면에 접촉하여 표면에 묻은 물질을 긁어내는 와이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로서, 상기 와이퍼부재의 후방에는 아암부가 연장되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건축물의 외벽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를 인지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아암부는 이동부재에서 건축물의 외벽면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또는 외벽면으로부터 후퇴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가이드부재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상대이동하지 못하게 잠겨진 상태에 있거나 또는 상대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어,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은 부분에서는 상기 가이드부재와 이동부재가 서로 잠겨진 상태에서 함께 하강하여, 와이퍼부재에 의해 외벽면을 청소하다가, 돌출부에 와이퍼부재가 닿게 되는 위치가 되면, 이동부재와 가이드부재간의 잠겨진 상태가 해제되어 상대이동이 허용됨으로써, 이동부재와 와이퍼부재는 하강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와 가이드부재는 등속도로 계속 하강함과 동시에 와이퍼부재가 후퇴하게 되고; 와이퍼부재가 후퇴하여 돌출부에 닿지 않게 된 상태에서는 가이드부재가 이동하던 방향으로 이동부재가 가속 이동하고; 와이퍼부재가 하강하여 돌출부를 지나친 후에는 본체와 가이드부재는 등속도로 계속 하강함과 동시에 와이퍼부재가 전진하여 와이퍼부재의 전방단부가 외벽면에 닿게 되며; 와이퍼부재가 외벽면에 닿은 상태에서는 가이드부재의 이동과 함께 이동부재도 하강하게 되어; 돌출부가 존재하여도 본체가 정지하지 않고 등속 하강할 수 있어, 돌출부의 존재로 인하여 돌출부 위쪽의 외벽면이 다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가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가이드부재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아암부는 이동부재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있되, 상기 아암부가 결합되는 이동부재의 상단부는 본체의 횡방향 측면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이동부재를 관통한 아암부의 단부는 상기 본체의 횡방향 측면에 위치하여 진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동부재에는 톱니형태의 제1래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가 삽입되는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제1래크부에 맞물리는 제1피니언 및 상기 제1피니언을 회동구동시키는 제1구동모터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이동부재와 가이드부재는 제1래크부와 제2피니언의 결합에 의하여 상대이동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이동부재와 가이드부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본체의 전면에서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된 레일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물려있되, 제1래크부는 가이드부재에 형성되고, 이동부재 내에는 상기 제1래크부와 맞물리는 제1피니언과, 상기 제1피니언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가 내장되어 있어, 상기 이동부재와 가이드부재는 제1래크부와 제1피니언의 결합에 의하여 상대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아암부에는 제2래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아암부가 결합되는 이동부재의 상단부에서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제2래크부와 맞물리는 제2피니언 및 상기 제2피니언을 회전구동시키는 제2구동모터가 구비되어 있어, 제2래크부와 제2피니언의 작동에 의해 상기 아암부가 이동부재에서 후방으로 후퇴하거나 전방으로 전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장치에 의하면, 와이퍼부재가 건축물의 외벽면을 닦으면서 하강하다가 돌출부를 만나게 되면, 와이퍼부재가 후퇴하여 돌출부를 지나간 후 다시 외벽면에 접촉하여 하강하면서 청소를 하면서도, 무거운 중량체로 이루어진 본체는 와이퍼부재의 이러한 진퇴 작동과 무관하게 계속하여 등속도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돌출부로 인한 본체의 갑작스런 정지로 인한 정지충격이 와이퍼부재에 가해지지 않게 되고, 정지충격으로 인하여 와이퍼부재로부터 물이 위쪽 유리창으로 튀어서, 청소되었던 부분이 다시 오염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청소장치가 하강하다가 돌출부를 만나더라도 정지하지 않고 계속하여 하강하게 되므로, 작업정지로 인한 작업속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성도 증대되어 경제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종래의 청소장치가 건축물의 유리창을 청소하는 상태를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벽면의 청소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원 A부분의 개략적인 투시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청소장치가 건축물 외벽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지나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방향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벽면의 청소장치(1)(이하, "청소장치(1)"라고 약칭함)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3의 원 A부분의 개략적인 투시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청소장치(1)가 건축물 외벽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지나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청소장치(1)의 하강 단계를 도 3의 선 B-B에서의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청소장치(1)는, 건축물의 외벽면을 마주하여 수직하게 하강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전면에 구비되어 본체(20)가 이동함에 따라 건축물의 외벽면에 접촉하여 표면에 묻은 물질을 긁어내는 와이퍼부재(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와이퍼부재(10)는 고무나 합성수지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편의상 건축물의 외벽면으로서 유리창(100)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상기 청소장치(1)는 와이퍼부재(10)의 전방단부가 건축물의 외벽면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본체(20)가 하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와이퍼부재(10)가 건축물의 외벽면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하향으로 긁어가게 되어 외벽면을 청소하게 된다. 상기 본체(20)를 하강시키는 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는 공지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축물의 옥상에서부터 아래로 한 쌍의 케이블을 늘어뜨리고, 케이블을 본체(20)의 횡방향 양측면에 연결하여 케이블을 아래로 내려서 본체(20)가 등속도로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본체(20)를 하강시키는 구성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20) 자체를 승하강 시키는 구성은 본 발명의 핵심적인 요지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바, 편의상 도면에서는 이와 같이 본체(20) 자체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상기 본체(20)에서는 유리창으로 물이 분사되는데, 이를 위하여 분사하기 위한 물을 담고 있는 탱크(미도시)가 상기 본체(20) 내에 내장될 수 있다. 물을 유리창(100)으로 분사하기 위한 노즐부(25)는 상기 와이퍼부재(10)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구비되는데, 상기 노즐부(25)는 유리창을 향하는 본체(20)의 일측면에서 상기 본체(20)에 노즐공 형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본체(20)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별도 부재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한편, 와이퍼부재(10)는 본체(20)의 전면에서 상기 노즐부(25)의 위쪽 위치에 구비되는데, 상기 와이퍼부재(10)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유리창(100)을 향하여 전진하거나 또는 유리창(100)으로부터 후퇴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앞서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것처럼, 청소장치(1)의 와이퍼부재(10)가 빌딩의 유리창(100) 표면을 긁으면서 아래로 이동하다가 건축물의 외벽면에 돌출부를 만나게 될 때, 위쪽의 이미 청소가 완료된 유리창의 재오염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통해서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청소장치(1)는, 와이퍼부재(10)가 돌출부에 닿게 되면, 와이퍼부재(10)는 그 하강을 정지하게 되지만, 본체(20)는 정지하지 않고 계속 하강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는 돌출부(110)에 와이퍼부재(10)가 닿게 되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돌출부 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 감지센서"는 와이퍼부재(10)의 하강 방향으로 신호를 보내어 돌출부(110)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인지하는 방식을 통해서, 돌출부(110)의 존재를 인식하게 되는 형식의 센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와이퍼부재(10)의 하면에 부착되어 직접 돌출부(110)와 와이퍼부재(10) 사이에 위치하여 와이퍼부재(10)가 돌출부(110)에 접촉되었을 때 그 접촉 사실을 인지함으로써, 돌출부(110)의 존재를 인식하게 되는 형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와이퍼부재(10)의 후방은 이동부재(11)에 결합되어 있는데, 이동부재(11)에 대해 상기 와이퍼부재(10)는 전방으로 진출하거나 후방으로 후퇴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즉, 와이퍼부재(10)의 후방에는 아암부(12)가 길게 연장되어 있고, 상기 아암부(12)가 이동부재(11)에 결합되어 있되, 아래에서 예시하는 것처럼 래크와 피니언의 결합구조 등을 이용하여 아암부(12)가 이동부재(11)에서 유리창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후퇴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본체(20)에는 가이드부재(21)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는 서로에 대해 상대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초기 정상위치"에서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는 서로에 대해 잠겨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즉,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가 서로에 대해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맞물려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가이드부재(21)가 하강할 때 이동부재(11) 역시 동일한 속도로 함께 하강하게 된다. 그런데 이동부재(11)가 후술하는 것처럼, 돌출부(110) 등으로 인하여 하강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는 경우, "제1상대이동 개시신호"가 발해지면서,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간의 잠김상태가 해제되고, 가이드부재(21)만이 계속 하강하게 된다. 즉, "가이드부재의 독자적인 하강 상태"에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가이드부재(21)는 등속도로 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재의 독자적인 하강 상태"에 있는 동안에는 이동부재(11)는 정지하고 있고 가이드부재(21)는 계속 이동하게 되므로, 이동하던 방향으로 볼 때, 가이드부재(21)는 이동부재(11)보다 더 앞선 위치에 있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의 독자적인 하강 상태"에 있는 중에, "상대이동 종료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멈춰있던 이동부재(11)는 가이드부재(21)가 이동하던 방향으로 다시 적극적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 때, 이동부재(11)는 가이드부재(21)가 이동하는 속도보다 더욱 빠르게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이드부재(21)는 계속하여 등속운동을 하고 있지만, "상대이동 종료신호"의 수신에 의해 이동부재(11)가 가이드부재(21)의 이동방향으로 가속운동을 시작함으로써, 가이드부재(21)의 이동거리를 따라잡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부재(11)의 가속운동에 의해 이동방향으로 앞서 가고 있던 가이드부재(21)를 따라 잡아서, "초기 정상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잠김신호"가 발해져서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가 다시 서로에 대해 고정되어 상대운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가이드부재(21)가 계속하여 등속 하강함에 따라 이동부재(11)도 동일한 속도로 함께 하강하게 된다.
한편,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가 초기 정상위치를 벗어나서 서로에 대해 상대운동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신호로서 "제2상대이동 개시신호"가 발해지는 경우가 있다. 후술하는 것처럼, 와이퍼부재(10)가 돌출부(110)를 통과한 직후에는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간의 잠김상태가 해제되고, 이동부재(11)가 적극적으로 가이드부재(21)의 이동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는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간의 잠김상태가 해제되고, 이동부재(11)가 적극적으로 가이드부재(21)의 이동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신호가 바로 "제2상대이동 개시신호"이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기 위한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의 구성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재(21)가 는 본체(20)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져 본체(20)의 일측면(유리창을 향한 측면)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재(11) 역시 길게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부재(21) 내에 삽입되어 있는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11)가 가이드부재(21)에 삽입되어 있는 형태에 의하면, 후술하는 것처럼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가 서로 상대이동하여 이동부재(11)가 가이드부재(21)로부터 뽑히는 형태로 상대이동이 일어날 때, 이동부재(11)가 뽑힐 수 있는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돌출부(110)의 수직길이가 길거나, 돌출부(110)를 지난 후 이동부재(11)가 가속하여 "초기 정상위치"로 복귀하는데 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장치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와이퍼부재(10)의 후방에는 아암부(12)가 연장되어 있고, 상기 아암부(12)가 이동부재(11)의 상단에 관통되어 있는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청소장치(1)의 작동 개시 시점에서는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는 앞서 설명한 "초기 정상위치"에 있게 된다. 즉, 이동부재(11)가 가이드부재(21)에 삽입되어 있고,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는 서로 상대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잠김상태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소장치(1)가 하강하면서 유리창(100)을 청소할 때, 돌출부(110)가 존재하지 않은 부분에서는 본체(20)에 구비된 가이드부재(21)와 이동부재(11)가 함께 하강하게 되며, 그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부재(11)에 후방이 결합되어 있는 와이퍼부재(10)도 유리창(100)에 전방단부가 닿은 채로 하강하면서 유리창(100)의 표면을 긁어내면서 닦게 된다.
위와 같은 통상적인 유리창(100)의 청소작업이 진행되다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돌출부(예를 들어, 유리창 사이에 존재하는 창틀로 인한 돌출부 등)(110)에 와이퍼부재(10)가 닿게 되는 위치가 될 때, 본 발명에서와 같은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의 결합구조가 없다면, 청소장치(1)에서 와이퍼부재(10)는 돌출부(110)에 의해 진행이 방해되어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되며, 그에 따라 이동부재(11)의 하강 역시 정지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돌출부(110)에 와이퍼부재(10)가 닿게 되는 것을 "돌출부 감지센서(미도시)"가 인지하게 되는데, "돌출부 감지센서"에 의해 이와 같이 돌출부(110)에 와이퍼부재(10)가 닿게 되는 것을 인지하게 되면, "제1상대이동 개시신호"가 발해지게 되어,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간의 잠김상태가 해제되고, 그에 따라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 간의 상대운동이 허용된다. 따라서 돌출부(110)로 인하여 이동부재(11)는 더 이상 하강하지 않는 상태에 있지만, 가이드부재(21)는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청소장치(1)의 본체(20)는 계속하여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의 독자적인 하강 상태"에서는 마치 이동부재(11)가 가이드부재(21)로부터 뽑히는 형태로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가 상대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21)는 등속도로 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단순히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 간의 잠김상태를 해제하여 가이드부재(21)가 중력에 의해 하강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이동부재(11)가 가이드부재(21)의 하강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능동적으로 움직임으로써 가이드부재(21)가 등속도로 하강하게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와이퍼부재(10)가 돌출부(110)를 만나게 되면, 비록 와이퍼부재(10)와 이동부재(11)는 돌출부로 인하여 하강이 일시적으로 중지되지만,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 간의 상대이동이 허용되므로, 가이드부재(21)와 본체(20)는 정지하지 않고 계속하여 하강하게 되는 "가이드부재의 독자적인 하강 상태"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와이퍼부재(10)가 하강하다가 돌출부(110)를 만나게 되더라도, 와이퍼부재(10)가 돌출부(110)를 회피한 상태로 하강할 수 있으며, 본체(20)의 정지로 인한 출렁거림 등의 정지 충격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정지 충격으로 인한 와이퍼부재(10)로부터의 물 튀김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이미 청소가 완료된 위쪽 유리창의 오염도 생기지 않게 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와이퍼부재(10)가 유리창(100)을 향하여 전진하거나 또는 유리창(100)으로부터 후퇴할 수 있는 구조로 와이퍼부재(10)의 후방이 이동부재(11)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돌출부(110)를 인지하게 되어 "제1상대이동 개시신호"가 발해지면, 와이퍼부재(10) 및 이동부재(11)의 하강이 정지되고 가이드부재(21)와 본체(20)는 계속하여 하강하는 "가이드부재의 독자적인 하강 상태"에 있게 됨과 동시에, 와이퍼부재(10)에 대해서는 "후퇴신호"가 발해지고 그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와이퍼부재(10)는 유리창(100)으로부터 돌출부(110)의 돌출 높이(t)를 초과한 길이로 후퇴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가이드부재의 독자적인 하강 상태"에서는 와이퍼부재(10)가 돌출 높이(t)를 초과하는 길이로 후퇴하는 동안에도, 가이드부재(21)와 이동부재(11)간의 상대이동이 허용되어, 가이드부재(21)와 본체(20)는 정지하지 않고 계속 하강한다. 도 7에는 와이퍼부재(10)가 후퇴함과 동시에 가이드부재(21)는 계속하여 하강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서 점선은,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위치를 참고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는 하강하는 와이퍼부재(10)가 돌출부(110)에 걸리게 될 것이라는 것을 인지하는 "돌출부 감지센서"와 더불어, 와이퍼부재(10)의 전방단부가 돌출부(110)에 닿지 않도록 충분히 후퇴하였는지를 인지하는 "후퇴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후퇴감지센서"를 통해서 와이퍼부재(10)가 돌출부(110)에 걸리지 않을 정도로 후퇴한 것으로 인지하게 되면, "상대이동 종료신호"가 발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이동부재(11)는 가이드부재(21)가 이동하던 방향으로 이동하기 다시 시작한다. 이 때 이동부재(11)는 가속도를 가지고 이동하기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이드부재(21)로부터 뽑혀있는 상태에 있던 이동부재(11)는 다시 가이드부재(21)에 삽입된 상태로 복원되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가속되어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도 8에는 이와 같이 이동부재(11)가 가속 하강하여 와이퍼부재(10)가 돌출부(110)에 닿지 않은 상태로 지나가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서 점선은,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위치를 참고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동부재(11)가 하강하여 와이퍼부재(10)가 돌출부(110)에 닿지 않은 채로 돌출부(110)를 완전히 지나간 직후에는 다시 "제2상대이동 개시신호"가 발해지게 된다. 이를 위해서 "돌출부 통과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이러한 "돌출부 통과 감지센서"(미도시)를 통해서 와이퍼부재(10)가 돌출부(110)를 통과하였음을 인지하게 되면 위와 같은 "제2상대이동 개시신호"가 발해지게 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제2상대이동 개시신호"가 발해지면,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간의 잠김상태는 해제되고, 이동부재(11)가 적극적으로 가이드부재(21)의 이동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와이퍼부재(10)가 돌출부(110)를 지나치도록 이동부재(11)가 하강하는 동안에도 가이드부재(21)는 계속하여 하강하고 있는데, 와이퍼부재(10)가 돌출부(110)를 지난 상태에서는, 와이퍼부재(10)가 유리창(100)에 닿도록 전진하는 동안 비록 가이드부재(21)는 계속 하강하여 그 위치가 점점 아래로 내려가더라도, 와이퍼부재(10)가 돌출부(110) 바로 아래의 높이에 계속 위치하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상태를 만들기 위해서는 단순히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간의 잠김상태가 해제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이동부재(11)는 능동적으로 가이드부재(21)의 이동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야 한다.
따라서, "제2상대이동 개시신호"가 발해지게 되면, 가이드부재(21)와 본체(20)는 계속 하강함과 동시에, 이동부재(11)는 능동적으로 가이드부재(21)의 이동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므로써,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마치 이동부재(11)는 더 이상 하강하지 않아 돌출부(110)의 바로 아래 위치에 머무르고 있고, 단지 가이드부재(21)와 본체(20)만 하강하는 상태가 된다. 그와 동시에 와이퍼부재(10)의 "전진신호"가 발해져서, 와이퍼부재(10)는 유리창(100)을 향하여 전진하여 전방단부가 돌출부의 바로 아래쪽 위치에서 유리창(100)에 닿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돌출부의 바로 아래쪽 위치부터 다시 와이퍼부재(10)에 의한 청소를 시작할 수 있게 되고,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참고로 도 9에서 점선은,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와이퍼 접촉센서"(미도시)에 의해 와이퍼부재(10)의 전방단부가 유리창(100)에 닿는 것을 인지하게 되면, 다시 "상대이동 종료신호"가 발해지고,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부재(11)는 가이드부재(21)에 삽입된 상태로 복원되기 위하여 가이드부재(21)가 이동하던 방향으로 가속도를 가지고 빠르게 하강하게 된다. 이동부재(11)의 적극적인 가속 하강에 의해 이동부재(11)가 "초기 정상위치"의 상태로 가이드부재(21)에 삽입되면 다시 "잠김상태"가 되어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가 함께 동일한 속도로 하강하게 된다. 참고로 도 10에서 점선은, 도 9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위와 같은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 간의 상대이동과 잠금, 그리고 이동부재(11)의 가속이동 및 와이퍼부재(10)의 전진/후퇴작동을 다음에서 예시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의 부분 상세 투시도에 도시된 것처럼, 래크와 피니언 구조를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 사이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이동부재(11)에는 톱니형태의 제1래크부(15a)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부재(11)가 삽입되는 가이드부재(21)에는 상기 제1래크부(15a)에 맞물리는 제1피니언(16a)을 내장해둔다. 상기 제1피니언(16a)은, 가이드부재(21)에 내장되어 있는 제1구동모터(M1)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데, 상기 제1구동모터(M1)는 온(on) 상태에서는 적극적으로 회전축을 회동시켜 제1피니언(16a)을 회전시키게 되지만, 오프(off) 상태에서는 제1구동모터(M1)에 전달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회전축에 외부로부터 회전력이 가해질 때 제1구동모터(M1)는 작동하지 않지만, 제1구동모터(M1)의 회전축은 외부로부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동구동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회전축에 외부로부터 회전력이 가해져도 상기 회전축이 전혀 회동구동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제1구동모터(M1)가 오프(off)되어 제1구동모터(M1) 스스로 회전축을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잠금신호"가 전달되면, 제1구동모터(M1)의 회전축이 잠기게 되어 회전축에 외부로부터 회전력이 가해져도 회전축이 회전하지 않게 된다. 즉, 중력이나 기타 힘이 제1래크부(15a)나 제1피니언(16a)에 작용하더라도 제1피니언(16a)이 회전하지 않게 되어 제1래크부(15a)와 제1피니언(16a)이 서로 결합된 상태와 위치를 고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오프(off)되어 제1구동모터(M1)가 스스로 회전축을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해제신호"가 전달되면, 제1구동모터(M1)의 회전축 잠김상태가 해제되어, 제1구동모터(M1)의 회전축이 회동가능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오프(off)상태에서 해제신호가 전달되면, 중력이나 기타 힘이 제1래크부(15a) 또는 제1피니언(16a)에 작용하였을 때, 제1피니언(16a)이 등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구동모터(M1) 자체는 이미 공지된 것이다.
앞서 설명한, "초기 정상위치"에서는 제1구동모터(M1)는 오프(off)되어 있으며 회전축이 잠김상태에 있기 때문에, 제1구동모터(M1)의 회전축이 외력에 의해 전혀 회전되지 않은 상태로 고정되어 제1피니언(16a)이 회동하지 못하는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제1래크부(15a)와 제1피니언(16a)이 서로 맞물려 있는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는 서로 상대이동을 하지 않고 동일 속도로 함께 움직일 수 있는 잠김상태에 있게 되는 것이다.
돌출부(110)를 인지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1상대이동 개시신호"가 발해지게 되면 가이드부재(21)에 구비되어 있던 상기 제1구동모터(M1)에도 "해제신호"가 전달되고, 그에 따라 제1구동모터(M1)의 회전축 잠김상태가 해제되어 제1래크부(15a)에 대해 제1피니언(16a)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의 잠김상태가 풀어지게 되어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 간의 상대운동이 허용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가이드부재(21)만이 하강하게 되어, 마치 이동부재(11)가 가이드부재(21)로부터 뽑히는 형태로 상대이동이 일어나게 된다. 이 때, 제1구동모터(M1)는 여전히 오프 상태에 있어 본체(20)에 부착되어 있는 가이드부재(21)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제1피니언(16a)이 단순 회전하여 가이드부재(21)가 하강할 수도 있지만, 가이드부재(21)의 등속 하강을 보장하기 위하여, 제1구동모터(M1)가 온(on) 상태로 되어, 제1구동모터(M1)가 제1피니언(16a)을 능동적으로 회동시켜 이동부재(11)가 이동부재(11)가 가이드부재(21)로부터 뽑히는 형태로 상대이동이 일어나게 할 수도 있다.
와이퍼부재(10)가 돌출부에 닿지 않을 정도로 후퇴하여 "상대이동 종료신호"가 발해지면, 상기 제1구동모터(M1)는 온(on) 상태로 되어 회전축을 회전구동시키고 그에 따라 제1피니언(16a)이 회전하면서, 가이드부재(21)가 이동하던 방향으로 이동부재(11)도 적극적으로 이동하기 다시 시작하여, 이동부재(11)가 다시 가이드부재(21)로 삽입되는 형태로 상대이동이 일어나게 된다. 즉, 본체(20)와 가이드부재(21)가 등속도로 하강하는 상태에서, 이동부재(11)가 가속된 상태로 하강하여 가이드부재(21)의 하강속도를 따라잡아 이동부재(11)가 가이드부재(21)내로 다시 삽입되는 것이다.
한편, "제2상대이동 개시신호"가 발해지는 경우는,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의 잠김상태가 풀어지게 됨과 동시에 제1구동모터(M1)가 온(on) 상태로 되면서, 가이드부재(21)가 하강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1피니언(16a)이 제1래크부(15a)를 거슬러 올라가도록 제1구동모터(M1)가 제1피니언(16a)을 회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와이퍼부재(10)는 마치 이동하지 않고 공중에 정지한 것처럼 보이고 단지 가이드부재(21)만이 하강하는 형태로 상대이동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와이퍼부재(10)의 후퇴 및 전진 작동에도 위와 같은 래크(rack)부와 피니언 결합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와이퍼부재(10)의 후방에는 아암부(12)가 길게 연장되어 있고, 상기 아암부(12)가 이동부재(11)에 결합되어 있다. 아암부(12)에는 제2래크부(15b)를 형성하고, 아암부(12)가 관통하게 되는 이동부재(11)의 상단부에서 이동부재(11)의 내부에는 상기 제2래크부(15b)와 맞물리는 제2피니언(16b) 및 상기 제2피니언(16b)을 회전구동시키는 제2구동모터(M2)를 배치하여 신호에 따라 아암부(12)가 이동부재(11)에서 후방으로 후퇴하거나 전방으로 전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상대이동 개시신호"가 전송됨과 동시에 "후퇴신호"가 전송되어 오면 이동부재(11)에 구비된 제2구동모터(M2)가 작동하여 제2피니언(16b)이 회동하여 제2래크부(15b)가 형성된 아암부(12)가 후퇴하여 와이퍼부재(10)가 유리창(100)으로부터 후퇴하게 되고, "제2상대이동 개시신호"가 발해짐과 동시에 "전진신호"가 전송되어 오면 이동부재(11)에 구비된 제2구동모터(M2)의 작동에 의해 제2피니언(16b)이 회동하여 제2래크부(15b)가 형성된 아암부(12)가 전진하여 와이퍼부재(10)가 유리창(100)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와이퍼부재(10) 후방에 구비된 아암부(12)가 이동부재(11)에 결합되도록 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부재(11)의 상단부를 본체(20)의 횡방향 측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이동부재(11)를 관통한 아암부(12)의 단부는 상기 본체(20)의 횡방향 측면에 위치하여 진퇴하도록 구성하게 되면, 아암부(12)의 진퇴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한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의 상대이동 허용 구조는 위에서 설명한 래크와 피니언에 의해서만 구현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2개의 부재가 서로 필요에 따라 상대이동되거나 결합하여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기타 공지의 기계적인 구조를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아암부(12)의 진퇴구조에 있어서도, 위에서 설명한 래크와 피니언을 이용한 구조로만 구현되지 아니하며, 기타 공지의 기계적인 구조를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장치(1)에서는, 와이퍼부재(10)가 유리창(100)을 닦으면서 하강하다가 돌출부(110)를 만나게 되면, 와이퍼부재(10)가 후퇴하여 돌출부(110)를 지나간 후 다시 유리창(100)에 접촉하여 하강하면서 청소를 하면서도, 무거운 중량체로 이루어진 본체(20)는 와이퍼부재(10)의 이러한 작동과 무관하게 계속하여 등속도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20)의 갑작스런 정지로 인한 정지충격이 와이퍼부재(10)에 가해지지 않게 되고, 정지충격으로 인하여 와이퍼부재(10)로부터 물이 위쪽 유리창(100)으로 튀어서, 청소되었던 부분이 다시 오염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의 설명에서는 이동부재(11)가 가이드부재(21) 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3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부재(21)는 본체(20)의 전면에서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된 레일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동부재(11)는 상기 가이드부재(21)에 맞물리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를 앞서 설명한 래크부와 피니언의 결합구조로 결합한다면, 톱니형상의 제1래크부는 가이드부재(21)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이동부재(11) 내에 상기 제1래크부와 물리는 제1피니언과, 이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내장할 수 있다. 물론 앞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도, 이동부재(11)에 제1피니언과 제1구동모터를 내장하고, 가이드부재(21)의 내면에 제1래크부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아암부(12)와 이동부재(11)의 결합 구조는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는 돌출부(110)에 와이퍼부재(10)가 닿게 되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돌출부 감지센서(미도시)", 와이퍼부재(10)가 돌출부(110)를 회피하기 위하여 후퇴할 때 돌출부(110)에 닿지 않도록 충분히 후퇴하였는지를 인지하는 "후퇴감지센서(미도시)", 와이퍼부재(10)가 후퇴한 후 다시 하강할 때 돌출부(10)를 완전히 지나쳐서 하강하였는지를 인지하는 "돌출부 통과 감지센서(미도시)", 와이퍼부재(10)가 돌출부를 완전히 지나쳐서 하강한 후 다시 유리창쪽으로 전진할 때 와이퍼부재(10)가 유리창(100)에 닿았는지를 인지하는 "와이퍼 접촉센서(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 감지센서", "후퇴감지센서", "돌출부 통과 감지센서" 및 "와이퍼 접촉센서"들은 인식상황에 따라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다양한 공지의 물체인식 센서 기술을 활용하며 별도의 독립된 센서가 각각의 상황을 인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1개의 센서 또는 복합센서군(이하 "복합센서군"이라고 칭함)으로 구성되어 상기의 모든 상황(돌출부에 와이퍼부재가 닿게 되는 상황, 와이퍼부재가 충분히 후퇴되어 있는 상황, 돌출부를 통과한 상황, 와이퍼부재가 유리창에 닿아 있는 상황)을 인지할 수도 있다. 상기 "복합센서군"은 와이퍼부재(10)의 말단에서 전방위로 신호를 보내어 돌출부(110) 또는 유리창(100)으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인지하는 방식을 통해서, 돌출부(110)의 존재를 인식하거나 유리창(100)과의 접촉을 인식하게 되는 형식의 센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와이퍼부재(10)의 말단에 부착되어 직접 돌출부(110)와 와이퍼부재(10) 사이에 위치하여 와이퍼부재(10)가 돌출부(110) 또는 유리창(100)에 접촉되었을 때 그 접촉 사실을 인지하고 와이퍼부재(10)와 돌출부(110)의 접촉이 떨어졌을 때 이를 인식하게 되는 형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동부재(11)와 아암부(12) 사이에 위치하여 압력변화 등을 센싱하여 와이퍼부재(10)와 돌출부(110) 또는 유리창(100)의 접촉여부를 인지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합센서군"은 상기의 다양한 인지방법이 복합적으로 적용된다.
10: 와이퍼부재
11: 이동부재
20: 본체
21: 가이드부재

Claims (5)

  1. 건축물의 외벽면을 마주하여 수직하게 하강하는 본체(20)와, 외벽면과 마주하는 상기 본체(20)의 전면에 구비되어 본체(20)가 이동함에 따라 건축물의 외벽면에 접촉하여 표면에 묻은 물질을 긁어내는 와이퍼부재(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로서,
    상기 와이퍼부재(10)의 후방에는 아암부(12)가 연장되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아암부(12)는, 상기 와이퍼부재(10)가 건축물의 외벽면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또는 외벽면으로부터 후퇴할 수 있도록 이동부재(11)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본체(20)의 전면에는 가이드부재(21)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11)는 상기 가이드부재(21)와 서로 수직하게 잠겨진 상태에 있거나 또는 상대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어, 돌출부(110)가 존재하지 않은 부분에서는 상기 가이드부재(21)와 이동부재(11)가 서로 잠겨진 상태에서 함께 하강하여, 와이퍼부재(10)에 의해 외벽면을 청소하다가, 돌출부(110)에 와이퍼부재(10)가 닿게 되는 것을 인지하게 되면,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간의 잠겨진 상태가 해제되어 상대이동이 허용됨으로써, 이동부재(11)와 와이퍼부재(10)는 하강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20)와 가이드부재(21)는 계속 하강함과 동시에 와이퍼부재(10)가 후퇴하게 되고;
    와이퍼부재(10)가 후퇴하여 돌출부(110)에 닿지 않게 된 상태에서는 가이드부재(21)가 이동하던 방향으로 이동부재(11)가 가속하여 하강하고;
    와이퍼부재(10)가 하강하여 돌출부(110)를 지나친 후에는 본체(20)와 가이드부재(21)는 계속 하강함과 동시에 가이드부재(21)로부터 이동부재(11)가 빠져나오는 형태로 상대이동이 일어나면서 와이퍼부재(10)가 돌출부(110)를 지난 위치를 유지한 채로 와이퍼부재(10)가 외벽면 방향으로 전진하여 와이퍼부재(10)의 전방단부가 외벽면에 닿게 되며;
    와이퍼부재(10)가 외벽면에 닿은 상태에서는 가이드부재(21)의 이동과 함께 이동부재(11)도 하강하면서 외벽면을 청소하게 됨으로써;
    돌출부가 존재하여도 본체(20)가 정지하지 않고 하강할 수 있어, 돌출부의 존재로 인하여 돌출부 위쪽의 외벽면이 다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11)는 가이드부재(21) 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아암부(12)는 이동부재(11)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있되, 상기 아암부(12)가 결합되는 이동부재(11)의 상단부는 본체(20)의 횡방향 측면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이동부재(11)를 관통한 아암부(12)의 단부는 상기 본체(20)의 횡방향 측면에 위치하여 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이동부재(11)에는 톱니형태의 제1래크부(15a)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11)가 삽입되는 가이드부재(21)에는 상기 제1래크부(15a)에 맞물리는 제1피니언(16a) 및 제1상기 피니언(16a)을 회동구동시키는 제1구동모터(M1)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는 제1래크부(15a)와 제1피니언(16b)의 결합에 의하여 상대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가이드부재(21)에는 톱니형태의 제1래크부(15a)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21)에 삽입되는 상기 이동부재(11)에는 상기 제1래크부(15a)에 맞물리는 제1피니언(16a) 및 제1상기 피니언(16a)을 회동구동시키는 제1구동모터(M1)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이동부재(11)와 가이드부재(21)는 제1래크부(15a)와 제1피니언(16b)의 결합에 의하여 상대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12)에는 제2래크부(15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아암부(12)가 결합되는 이동부재(11)의 상단부에서 상기 이동부재(11) 에는 상기 제2래크부(15b)와 맞물리는 제2피니언(16b) 및 상기 제2피니언(16b)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M2)가 구비되어 있어,
    제2래크부(15b)와 제2피니언(16b)의 작동에 의해 상기 아암부(12)가 이동부재(11)에서 후방으로 후퇴하거나 전방으로 전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
KR1020110030063A 2011-04-01 2011-04-01 건물 외벽면의 요철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건축물 외벽면 청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면 청소방법 KR101276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063A KR101276068B1 (ko) 2011-04-01 2011-04-01 건물 외벽면의 요철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건축물 외벽면 청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면 청소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063A KR101276068B1 (ko) 2011-04-01 2011-04-01 건물 외벽면의 요철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건축물 외벽면 청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면 청소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536A true KR20120111536A (ko) 2012-10-10
KR101276068B1 KR101276068B1 (ko) 2013-06-14

Family

ID=4728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063A KR101276068B1 (ko) 2011-04-01 2011-04-01 건물 외벽면의 요철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건축물 외벽면 청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면 청소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06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314B1 (ko) * 2013-12-18 2015-03-23 전자부품연구원 리미트 스위치를 이용한 건물 외벽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9397715A (zh) * 2018-11-28 2019-03-01 苏州久美玻璃钢股份有限公司 一套缠绕机自动收胶设备
CN111021763A (zh) * 2019-12-02 2020-04-17 江苏盈孚环境科技有限公司 适用于环境的水幕投放装置
WO2020107241A1 (zh) * 2018-11-28 2020-06-04 苏州久美玻璃钢股份有限公司 一套缠绕机自动收胶设备
CN112319971A (zh) * 2020-11-23 2021-02-05 大冶市稳利环保建材有限公司 一种瓷砖表面残余保护膜撕除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134B1 (ko) * 2014-03-13 2015-07-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세척액 산포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11728B (de) * 1999-12-16 2004-05-25 Thurnher Julius Reinigungsvorrichtung für eine fassadenfläch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314B1 (ko) * 2013-12-18 2015-03-23 전자부품연구원 리미트 스위치를 이용한 건물 외벽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9397715A (zh) * 2018-11-28 2019-03-01 苏州久美玻璃钢股份有限公司 一套缠绕机自动收胶设备
WO2020107241A1 (zh) * 2018-11-28 2020-06-04 苏州久美玻璃钢股份有限公司 一套缠绕机自动收胶设备
CN109397715B (zh) * 2018-11-28 2020-09-29 苏州久美玻璃钢股份有限公司 一套缠绕机自动收胶设备
CN111021763A (zh) * 2019-12-02 2020-04-17 江苏盈孚环境科技有限公司 适用于环境的水幕投放装置
CN112319971A (zh) * 2020-11-23 2021-02-05 大冶市稳利环保建材有限公司 一种瓷砖表面残余保护膜撕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068B1 (ko) 201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068B1 (ko) 건물 외벽면의 요철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건축물 외벽면 청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면 청소방법
KR101276062B1 (ko) 상대이동 구조를 이용하여 건물 외벽면의 돌출부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건축물 외벽면 청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면 청소방법
KR101186139B1 (ko) 전면 회전브러쉬 장치를 구비한 건물 외벽면의 요철대응기능의 건물 외벽면 청소로봇 조립체를 이용한 건물 외벽면 청소 방법
WO2018028707A1 (zh) 墙面清洗机
EP2332876A1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US4800607A (en) Apparatus for cleaning windowpanes
CN112921766B (zh) 沥青路面裂缝检测装置
KR20080007942A (ko) 유리창 청소기구
KR20120105807A (ko) 건물 외벽 청소용 로봇의 양방향 세정장치
KR101133173B1 (ko) 십자형 가이드부재 배치에 의한 상대이동 구조를 이용하여 건물 외벽면의 돌출부 건너뜀 기능을 가지는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
KR101803946B1 (ko) 건물 외벽면 유리창 청소 장치
KR20170140580A (ko) 외벽 청소기
KR101805518B1 (ko) 장애물 회피기능이 들어간 회전형 유리창 청소장치 및 방법
KR101308976B1 (ko) 요동방지 크레인장치에 의한 청소로봇 조립체의 설치구조를 가지는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
WO2018120291A1 (zh) 无人建筑物外壁清扫装置
KR101804229B1 (ko) 청소 로봇
KR100747410B1 (ko) 공동주택의 발코니창문 자동세척장치
KR101994393B1 (ko) 건물 외벽 청소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870561B1 (ko) 건물 외벽 유리창용 자동 청소장치
KR101308974B1 (ko) 폐세척액 회수기능과 건물 외벽면의 돌출부 대응기능을 구비한 건물 외벽면 청소로봇 조립체
KR101362182B1 (ko) 연직한 연장레일을 구비한 크레인장치를 이용한 청소로봇 조립체의 요동방지 설치구조를 가지는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외벽면의 청소방법
KR20050110554A (ko) 고층건물의 밖의 유리면과 건물 외벽면을 원격 조종으로닦는 방법과 그 장치
KR101805517B1 (ko) 장애물 회피기능이 들어간 일체형 유리창 청소장치 및 방법
JP2004161462A (ja) 展望用エレベータの外装窓ガラス清掃装置
KR101308975B1 (ko) 건물 외벽면의 구배에 대응하여 승하강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는 건물 외벽면 청소로봇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