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0983A - 열풍로 운전방법 - Google Patents

열풍로 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0983A
KR20120110983A KR1020110029201A KR20110029201A KR20120110983A KR 20120110983 A KR20120110983 A KR 20120110983A KR 1020110029201 A KR1020110029201 A KR 1020110029201A KR 20110029201 A KR20110029201 A KR 20110029201A KR 20120110983 A KR20120110983 A KR 20120110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hot stove
temperature
set valu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5059B1 (ko
Inventor
오한상
김봉호
김태경
문호
서광용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9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059B1/ko
Publication of KR20120110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9/00Stoves for heating the blast in blast furnaces
    • C21B9/10Other details, e.g. blast mains
    • C21B9/12Hot-blast valves or slides for blast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풍로 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감지부(27)가 열풍로 조업 중 열풍밸브(19a)의 개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판단부(28)가 상기 감지부(27)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열풍밸브(19a)의 개도 정보를 판단하여, 상기 열풍로(10)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와, 제어부(29)가 상기 판단부(28)의 판단결과 열풍로(10)가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열풍로 3기 운전 조업 모드에서 열풍로 2기 운전 조업 모드로 변화되게 열풍로(10) 운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설비문제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열풍로 2기 조업을 할 경우 열풍로를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고 고로 조업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열풍로 운전방법{Operating method of hot stove}
본 발명은 열풍로 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비문제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2기 조업을 할 경우 열풍로 내 온도를 최적화하는 열풍로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풍로는 철광석과 코크스가 장입된 고로에 용선과 슬래그가 형성되도록 고온의 열풍을 제조하여 공급하는 설비이다.
열풍로에서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코크스는 연소되어 CO가스가 되고, CO가스는 하강하는 장입물층을 상승하면서 철광석을 가열, 환원, 용해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비문제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2기 조업을 할 경우 열풍로 내 온도를 최적화하여 3기 운전시와 동일하게 고로 생산성이 유지되게 제어하는 열풍로 운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감지부가 열풍로 조업 중 열풍밸브의 개도를 감지하는 단계; 판단부가 상기 감지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열풍밸브의 개도 정보를 판단하여, 상기 열풍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 열풍로가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열풍로 3기 운전 조업 모드에서 열풍로 2기 운전 조업 모드로 변화되게 열풍로 운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열풍로 2기 운전 조업 모드는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2개의 열풍로를 연소운전-대기운전-송풍운전 순서로 순환시키고, 이상이 발생한 열풍로는 보열운전한다.
상기 열풍로 연소운전은 상기 열풍로 연소열을 계산하는 단계;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를 산출하고, 상기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가 설정값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한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가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열풍로 연소운전을 대기운전으로 변환한다.
상기 판단한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가 설정값 이상이면 연소 공기량, COG 혼소율, 혼합가스량 조정을 통해 연소열을 재계산하고 상기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가 재수행된다.
상기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의 설정값은 100℃이다.
상기 열풍로 대기운전은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나머지 열풍로가 연소운전으로 변환되면 송풍운전으로 변환된다.
상기 열풍로 송풍운전은 상기 열풍로 및 풍온을 모니터링 하면서 냉풍공급밸브(CBMCV) 개도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열풍로 배면온도,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 풍온 설정치 편차가 각각 설정값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판단한 열풍로 배면온도,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 풍온 설정치 편차가 각각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열풍로 송풍운전을 연소운전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한 열풍로 배면온도,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 풍온 설정치 편차 중 어느 하나가 각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송풍기 풍량 조정을 수행하고 열풍로 및 풍온을 모니터링 하면서 냉풍공급밸브(CBMCV) 개도를 조정하는 단계가 재수행된다.
상기 열풍로 배면온도 설정값은 550℃이고, 상기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의 설정값은 100℃이며, 상기 풍온 설정치 편차의 설정값은 50℃이다.
상기 열풍로 2기 운전 조업 모드는 연소 50분, 대기 10분, 송풍 60분 사이클로 순환된다.
상기 열풍로 송풍운전은 송풍기 풍량과 냉풍공급밸브(CBMCV) 유량 비를 7:3으로 조정한다.
본 발명은 설비문제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열풍로 2기 조업을 할 경우, 열풍로의 연소-대기-송풍 운전 시간을 변경하고, 열풍로로 공급되는 냉풍의 유량과 혼냉실로 공급되는 냉풍의 유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고로에서 출선되는 용선 온도를 열풍로 3기 조업과 유사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열풍로를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고 고로 조업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고로 출선비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열풍로 운전방법을 보인 열풍 설비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열풍로 운전방법을 보인 열풍로 설비의 밸브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열풍로 운전방법을 보인 플로차트.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열풍로 운전방법 중 제1 열풍로 연소운전의 실시예를 보인 플로차트.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열풍로 운전방법 중 제2 열풍로 송풍운전의 실시예를 보이 플로차트.
도 6은 고로 1기에 대하여 열풍로 3기 운전을 수행한 경우(a)와 열풍로 이상 발생으로 인해 본 발명의 열풍로 운전방법을 적용하여 고로 1기에 대하여 열풍로 2기 운전을 수행한 경우(b)의 고로 풍온을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고로 1기에 대하여 열풍로 3기 운전을 수행한 경우(a)와 열풍로 이상 발생으로 인해 본 발명의 열풍로 운전방법을 적용하여 고로 1기에 대하여 열풍로 2기 운전을 수행한 경우(b)의 용선온도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열풍로 운전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27)가 열풍로(10) 조업 중 열풍밸브(19a)의 개도를 감지하는 단계(S1)와, 판단부(28)가 감지부(27)로부터 제공받은 열풍밸브(19a)의 개도 정보를 판단하여, 열풍로(10)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2)와, 제어부(29)가 판단부(28)의 판단결과 열풍로(10)가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열풍로 3기 운전 조업 모드에서 열풍로 2기 운전 조업 모드로 변화되게 열풍로 운전을 제어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
열풍로(10)가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열풍로 3기 운전 조업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S4)가 수행된다.
열풍로 2기 운전 조업 모드는 3기의 열풍로 중 이상이 발생한 1기의 열풍로를 제외한 나머지 2기의 열풍로를 정상운전한다는 의미이다. 정상운전은 2기 열풍로를 연소-대기-송풍운전 순서로 순환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상이 발생한 열풍로(10)는 열풍로 내 온도 유지를 위한 보열운전을 수행한다.
보열운전은 열풍로(10) 내 연와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상이 발생한 열풍로의 정상운전 복귀시 안정적으로 열풍로를 운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열풍로 보열운전 방법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로(10)는 크게 축열실(11), 연소실(13), 혼냉실(15)로 구성되며, 연소-대기-송풍을 교대로 반복하여 열풍을 얻기 때문에 고로 1기당 3기의 열풍로(10)가 사용된다. 도 1 및 도 2에는 1기의 열풍로만 도시되어 있다.
열풍로(10)는 연소실(13)에서 연소용 가스(BFG, COG)와 공기를 연소시켜 약 1250℃로 상승시킨 후 축열실(11)의 내부에 배치된 체커(미도시)에 열을 축적하고 있다가 축열과정이 완료된 후 송풍관(17)으로 유입되는 냉풍을 축열된 체커를 통해 연소실(13) 측으로 공급함에 따라 냉풍이 체커의 열을 빼앗아 열풍으로 변화되고, 열풍이 연소실(13)을 거치고 열풍관(19)을 통해 혼냉실(15)을 거쳐 고로(30)로 공급된다.
열풍로(10)는 고로(30)에 공급되는 열풍을 제조하기 위해 축열실(11)의 체커에 충분히 열이 축적될 때까지는 송풍밸브(17a)와 열풍밸브(19a)를 닫혀있는 상태로 유지하고, 축열실(11)의 체커에 충분한 열의 축적이 이루어지면 연도밸브(23a)를 닫고 송풍밸브(17a)와 열풍밸브(19a)를 열어 송풍관(17)과 열풍관(19)을 열려있는 상태로 유지한다.
열풍로 이상은 열풍밸브(19a)의 개도가 100%인지의 유무로 판단한다.
열풍밸브(19a)의 개도가 100% 미만이면 열풍로 이상으로 판단한다. 열풍밸브(19a)의 개도가 100% 미만이면 열풍로(10)의 지붕 부분에 해당되는 열풍로 돔 온도 편차가 커지고, 고로(30)로 공급되는 고로 풍온 편차 등이 커져 고로 조업이 불안정해진다.
열풍로 돔 온도 편차는 열풍로 돔 부분에서 측정된 열풍로 온도와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와의 편차이고, 고로 풍온 편차는 고로 풍구 부분에서 측정된 열풍 온도와 풍온 설정치와의 편차이다.
이에 따라, 열풍로 3기 운전 조업 모드에서 열풍로 2기 운전 조업 모드로 변화되게 열풍로 운전을 제어한다. 그런데, 열풍로 3기 운전 조업 모드의 경우 열량이 충분하여 고로에 높은 온도의 열풍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나 열풍로 2기 운전 조업 모드의 경우 열풍로 3기와 동일하게 높은 온도의 열풍을 고로에 공급하는 경우 열풍로의 열 손실이 발생하여 열풍로 설비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이에, 열풍로의 열 손실이 방지되고 고로 생산성에도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최선의 범위에서 열풍로 2기 운전 조업 모드를 수행한다.
열풍밸브(19a)의 개도는 감지부(27)가 감지한다. 열풍밸브(19a)의 개도를 감지하는 감지부(27)는 열풍관에 구비된 리미트 스위치이다. 리미트 스위치는 열풍밸브(19a)의 개도가 일정한 한계위치에 이르면 접점이 전환되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감지한다.
감지부(27)는 열풍밸브(19a)의 개도 감지 외에도 열풍로 배면온도, 열풍로 돔 온도, 고로 풍온을 감지한다.
열풍로 배면온도, 열풍로 돔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부(27)는 열풍로 돔의 철피에 설치된 온도센서, 열풍로 돔의 연와에 설치된 온도센서, 열풍로 돔의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 설치된 온도센서이고, 고로 풍온을 감지하는 감지부는 고로 풍구 부분에 구비되는 복수의 온도센서이다. 온도센서로는 열전대(thermocouple)가 사용될 수 있다.
열풍로 2기 운전 조업 모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상운전되는 2기 열풍로를 제1 열풍로, 제2 열풍로라 칭하고, 보열운전되는 열풍로를 제3 열풍로라 칭하기로 한다.
제1 열풍로가 연소운전되면 제2 열풍로는 송풍운전되고, 제1 열풍로와 제2 열풍로는 연소-대기-송풍운전 순서로 서로 순환된다. 제1 열풍로가 연소운전되고, 제2 열풍로가 송풍운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에 제1 열풍로 연소운전의 실시예를 플로차트로 나타내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로 연소운전은 열풍로(10)의 연소열을 계산하는 단계(S11)와,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를 측정하고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가 설정치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2)를 포함한다.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는 열풍로 돔 부분에서 측정된 열풍로 온도와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와의 편차이다.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는 1380~1400℃범위로 설정된다. 열풍로 돔 온도는 연소시 중요하며 충분한 열량을 얻기 위해 온도가 높은 것이 유리하나 1400℃를 초과하면 고온 가스가 열풍로 돔을 가열하여 연와 설비에 크랙을 발생시켜 열풍로 수명을 단축시킨다.
열풍로 돔 부분의 온도 측정은 열풍로 돔의 철피에 설치된 온도센서, 열풍로 돔의 연와에 설치된 온도센서, 열풍로 돔의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 설치된 온도센서에서 수행된다.
판단한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가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열풍로 연소운전을 대기운전으로 변환한다.(S13)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의 설정값은 100℃이다.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가 100℃ 미만이면 열풍로가 안정적으로 운전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열풍로 연소운전을 대기운전으로 변환한다.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가 100℃ 이상이면 연소실 화염이 세고 열량 손실이 높아 열풍로 운전이 안정적이지 않다. 따라서, 판단한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가 설정치 이상이면 연소 공기량, COG 혼소율, 혼합가스량 조정을 통해 연소열을 재계산하고(S14), 상기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S11)가 재수행된다.
열풍로(10)로 공급되는 연소 공기량, COG 혼소율, 혼합가스량에 의해 연소열이 계산되며 연소열 변화에 따른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를 산출한다.
연소 공기량은 혼합가스의 연소를 위해 공급되는 공기량이고, COG 혼소율은 코크스오븐가스(COG)가스 혼합비율이고, 혼합가스는 고로가스(BFG)와 코크스오븐가스(COG)가 혼합된 가스를 의미한다.
열풍로 대기운전 중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나머지 제2 열풍로가 연소운전으로 변환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가 포함된다.(S15) 판단결과, 제2 열풍로가 연소운전으로 변환되면 대기운전 중인 제1 열풍로를 송풍운전으로 변환한다.(S16) 이를 통해 제1 열풍로와 제2 열풍로의 연소-대기-송풍운전 사이클이 순환된다.
제1 열풍로 연소운전 중 제2 열풍로는 송풍운전된다. 도 5는 제2 열풍로 송풍운전의 실시예를 보인 플로차트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로(제2 열풍로) 송풍운전은 열풍로 및 풍온을 모니터링 하면서(S21) 냉풍공급밸브(CBMCV) 개도를 조정하는 단계(S22)와, 열풍로 배면온도,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 풍온 설정치 편차가 각각 설정값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3)를 포함한다.
판단한 열풍로 배면온도,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 풍온 설정치 편차가 각각 설정값 미만이면 열풍로 송풍운전을 연소운전으로 변환한다.(S24)
열풍로 배면온도는 열풍로 연와 온도를 의미하고,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열풍로 돔 부분에서 측정된 열풍로 온도와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와의 편차이다.
풍온은 고로로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이며, 풍온 설정치 편차는 고로 풍구 부분에서 측정된 열풍 온도와 풍온 설정치와의 편차이다.
풍온 설정치는 열풍로 배면온도, 열풍로 돔 온도, 풍량에 근거하여 열풍로의 열이 손실이 방지되는 범위 내에서 설정된다. 열풍로 배면온도로 열풍로의 온도 저하 유무를 관리하고 열풍로 돔 온도와 풍량으로 열풍로 연소열을 관리하여 최종 열풍로의 열 손실을 관리한다.
고로 풍구 부분에서 측정된 열풍 온도는 풍구 부분에 설치된 복수의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다.
열풍로 배면온도 설정값은 550℃이고,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의 설정값은 100℃이며, 풍온 설정치 편차의 설정값은 50℃이다.
열풍로 배면온도 설정값 550℃는 연와 변태점을 고려한 것이다. 열풍로 배면온도가 550℃ 미만으로 낮아지면 연와가 변태점 이하로 낮아져 연와에 크랙이 발생하고 축열, 방산 방지와 같은 연와 기능이 상실된다.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의 설정값 100℃는 전술한 이유와 동일하게 열풍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설정값이다.
풍온 설정치 편차의 설정값 50℃는 고로 조업 안정화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것이다. 풍온 설정치 편차가 50℃ 이상이면 고로로 공급되는 열량에서 차이가 발생하고 코크스의 연소 온도가 변화하여 연소시 생성되는 환원가스의 편차가 발생한다. 환원가스의 편차는 철광석의 환원 및 융융 반응 속도 편차를 발생시켜 고로 조업 실적 편차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판단한 열풍로 배면온도,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 풍온 설정치 편차 중 어느 하나가 각각 설정된 설정값 이상이면, 송풍기 풍량 조정을 수행하고(S25) 열풍로 및 풍온을 모니터링 하면서(S21) 냉풍공급밸브(CBMCV) 개도를 조정하는 단계(S22)가 재수행된다.
열풍로(제2 열풍로)의 연소운전은 전술한 열풍로(제1 열풍로)의 연소운전 방법과 동일한 과정으로 진행되며 연소운전 후 대기운전이 수행되며(S26) 이러한 연소-대기-송풍운전은 이상이 발생한 열풍로의 정상운전 복귀 또는 고로조업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 순환된다.
상술한 열풍로 2기 운전 조업 모드를 적용할 경우, 열풍로는 연소 50분, 대기 10분, 송풍 60분 사이클로 순환되며, 송풍기 풍량 조정밸브(25a)(열풍로로 유입되는 냉풍의 유량)와 혼냉실로 냉풍을 공급하는 냉풍공급밸브(CBMCV)(26a)의 유량 비는 7:3으로 조정된다.
실험결과, 이 경우 고로로 공급되는 열풍의 풍온은 950~970℃ 범위로 유지된다. 또한, 고로 출선비도 1.9 범위로 유지된다. 고로 출선비 1.9는 열풍로 3기 조업시보다는 낮으나 출선비 조건 1.5 이상을 상회하므로 고로 조업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에 의한 열풍로 2기 운전 조업 모드를 적용한 경우 열풍로 온도, 풍온, 용선온도를 열풍로 3기 조업 모드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구분 고로 3기 운전 조업 모드
(제1 내지 제3 열풍로
정상운전)
고로 2기 운전 조업 모드
(제1 및 제2 열풍로 정상운전, 제3 열풍로 보열운전)
순환 사이클 연소 80분, 대기 10~13분, 송풍 45분 연소 50분, 대기 10분, 송풍 60분
송풍기 풍량:
냉풍공급밸브(CBMCV) 유량
균압유량밸브(CBSV), 및 냉풍공급밸브(CBMCV)로 조절 7:3
풍온 1220~1230℃ 950~970℃
용선온도 1490~1510℃ 1510~1530
출선비 2.2~2.3 1.9
[출선비 조건:1.5 이상]
표 1 및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고로(30)에 공급되는 열풍온도는 낮아지나 출선되는 용선 온도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열풍로 2기 조업 모드를 유지하더라도 열풍로의 연소-대기-송풍운전 시간을 변경하는 것과 송풍기 풍량, 냉풍공급밸브 유량을 변경하는 것에서 열풍로를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고 고로 조업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열풍로 11:축열실
13:연소실 15:혼냉실
17:송풍관 17a:송풍밸브
19:열풍관 19a:열풍밸브
21a:균압유량조절밸브 23a:연도밸브
25a:냉풍공급밸브 26a:송풍기 풍량 조정밸브
27:감지부 28:판단부
29:제어부 30:고로

Claims (11)

  1. 감지부가 열풍로 조업 중 열풍밸브의 개도를 감지하는 단계;
    판단부가 상기 감지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열풍밸브의 개도 정보를 판단하여, 상기 열풍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 열풍로가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열풍로 3기 운전 조업 모드에서 열풍로 2기 운전 조업 모드로 변화되게 열풍로 운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로 운전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풍로 2기 운전 조업 모드는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2개의 열풍로를 연소운전-대기운전-송풍운전 순서로 순환시키고, 이상이 발생한 열풍로는 보열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로 운전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풍로 연소운전은
    상기 열풍로 연소열을 계산하는 단계;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를 산출하고, 상기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가 설정값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한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가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열풍로 연소운전을 대기운전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로 운전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판단한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가 설정값 이상이면 연소 공기량, COG 혼소율, 혼합가스량 조정을 통해 연소열을 재계산하고 상기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가 재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로 운전방법.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의 설정값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로 운전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열풍로 대기운전은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나머지 열풍로가 연소운전으로 변환되면 송풍운전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로 운전방법.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풍로 송풍운전은
    상기 열풍로 및 풍온을 모니터링 하면서 냉풍공급밸브(CBMCV) 개도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열풍로 배면온도,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 풍온 설정치 편차가 각각 설정값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판단한 열풍로 배면온도,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 풍온 설정치 편차가 각각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열풍로 송풍운전을 연소운전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로 운전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판단한 열풍로 배면온도,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 풍온 설정치 편차 중 어느 하나가 각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송풍기 풍량 조정을 수행하고 열풍로 및 풍온을 모니터링 하면서 냉풍공급밸브(CBMCV) 개도를 조정하는 단계가 재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로 운전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열풍로 배면온도 설정값은 550℃이고, 상기 열풍로 돔 온도 설정치 편차의 설정값은 100℃이며, 상기 풍온 설정치 편차의 설정값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로 운전방법.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풍로 2기 운전 조업 모드는
    연소 50분, 대기 10분, 송풍 60분 사이클로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로 운전 방법.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풍로 송풍운전은
    송풍기 풍량과 냉풍공급밸브(CBMCV) 유량 비를 7:3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로 운전 방법.
KR1020110029201A 2011-03-31 2011-03-31 열풍로 운전방법 KR101205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201A KR101205059B1 (ko) 2011-03-31 2011-03-31 열풍로 운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201A KR101205059B1 (ko) 2011-03-31 2011-03-31 열풍로 운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983A true KR20120110983A (ko) 2012-10-10
KR101205059B1 KR101205059B1 (ko) 2012-11-26

Family

ID=47281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201A KR101205059B1 (ko) 2011-03-31 2011-03-31 열풍로 운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0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020B1 (ko) * 2013-01-31 2014-04-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열풍로의 연소 제어방법
CN115357069A (zh) * 2022-08-30 2022-11-18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减小高炉烘炉时低风温阶段风温波动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6347A (ja) 2003-11-14 2005-06-09 Jfe Steel Kk 熱風炉における熱風温度制御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020B1 (ko) * 2013-01-31 2014-04-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열풍로의 연소 제어방법
CN115357069A (zh) * 2022-08-30 2022-11-18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减小高炉烘炉时低风温阶段风温波动的控制方法
CN115357069B (zh) * 2022-08-30 2024-03-19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减小高炉烘炉时低风温阶段风温波动的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5059B1 (ko) 2012-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059B1 (ko) 열풍로 운전방법
KR20000003099A (ko) 고로 노저온도 제어방법
JP5685899B2 (ja) 熱風炉の燃焼制御装置及び熱風炉の燃焼制御方法
US8163062B2 (en) Method for operating a hearth furnace
KR100361246B1 (ko) 고로 열풍로의 균배압 제어방법
KR100862812B1 (ko) 냉풍조절용밸브를 이용한 고로의 열풍로 균압 제어장치
US112611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ed oxy-fuel boosting of a regenerative glass melting furnace
JP4495011B2 (ja) 熱風炉の制御方法
KR100905591B1 (ko) 고로 열풍로의 온도 제어장치
KR101388020B1 (ko) 열풍로의 연소 제어방법
JPS63226524A (ja) 熱風炉における燃焼制御方法
KR20030054318A (ko) 로 말기 고로의 연소공기 온도상승을 통한 열풍로의열효율 향상방법
KR102466507B1 (ko) 열풍로 설비의 운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32995B1 (ko) 고로 송풍용 열풍의 온도 제어장치
KR101193751B1 (ko) 열풍로 보열방법
JP2013096002A (ja) 熱風炉の燃焼制御方法および燃焼制御装置
JPH07120171A (ja) 蓄熱式交番燃焼バーナシステムを備えた加熱炉の操炉方法
KR100804230B1 (ko) 고로 열풍로 연소제어방법
JP5557708B2 (ja) 施設園芸用温風暖房機およびその冷却制御方法
JP4082092B2 (ja) 熱風炉の保熱方法
KR101225116B1 (ko) 제철 부생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940738B1 (ko) 열풍로 연소 제어장치
CN113739570A (zh) 一种环形套筒窑循环空气温度自动控制系统及控制方法
Singh et al. Increasing BF hot blast temperature
KR20050098121A (ko) 열풍로의 압력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