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4318A - 로 말기 고로의 연소공기 온도상승을 통한 열풍로의열효율 향상방법 - Google Patents

로 말기 고로의 연소공기 온도상승을 통한 열풍로의열효율 향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4318A
KR20030054318A KR1020010084459A KR20010084459A KR20030054318A KR 20030054318 A KR20030054318 A KR 20030054318A KR 1020010084459 A KR1020010084459 A KR 1020010084459A KR 20010084459 A KR20010084459 A KR 20010084459A KR 20030054318 A KR20030054318 A KR 20030054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mbustion
air
combustion air
mixe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4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병권
김석쌍
이욱상
임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84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4318A/ko
Publication of KR20030054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431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9/00Stoves for heating the blast in blast furnaces
    • C21B9/14Preheating the combustion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9/00Stoves for heating the blast in blast furnaces
    • C21B9/10Other details, e.g. blast mai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100/00Handling of exhaust gases produced during the 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100/60Process control or energy utilisation in the 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100/64Controll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gas, e.g. pressure or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17/004Systems for reclaiming waste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로 말기 고로의 연소공기 온도상승을 통한 열풍로의 열효율 향상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송풍기(30)로부터 공급되는 약 230∼250℃의 고온의 냉풍의 일부를 연소용 공기 공급라인(40-1)의 폐열회수장치(51) 전단으로 공급하고, 나머지 연소용 공기만을 연소용 공기 공급팬(40)에 의하여 공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연소용 공기를 승온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로 말기 열풍로 조업시에 고로로 송풍되는 잉여 냉풍을 연소용 공기에 혼합하여 연소용 공기의 연소실 공급 온도를 60℃ 증가시키는 수단을 제공하여, 연소용 공기와 함께 사용되는 연소용 혼합가스 중 COG 사용량을 하루 92KN㎥/Day까지 현저하게 줄여, 열풍로 열효율을 8.87% 증가시켜, 로 말기 열풍로 조업안정 및 에너지 절감, 그리고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매우 획기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로 말기 고로의 연소공기 온도상승을 통한 열풍로의 열효율 향상방법 {Air Temperature Raising Method for Combustion of Furnace in the Last Stage}
본 발명은 고로의 로 말기 조업시 연소공기 고온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풍설비에서 공급되는 약 230∼250℃의 냉풍을 대기에서 흡입하여 1차 승온과정을 거쳐 공급하는 연소용 공기에 혼합하여 공급하면서 연소용 공기유량을 제어하여 연소용 공기의 온도를 추가로 승온하여 열풍로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로 말기 고로의 연소공기 온도상승을 통한 열풍로의 열효율 향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로의 연소공정은 연소용 공기와 혼합가스(BFG와 COG의 혼합기체)를 연소실(20)에서 연소시킨 후 축열실(21) 내부의 연와에 열풍을 저장하고, 이 연소시 발생된 폐가스(Stove Waste Gas)는 연도변(50-2)을 통하여 굴뚝(50-1)으로 배출하는 과정이다. 한편, 이를 위한 송풍공정은 송풍기(30)에서 약 230∼250℃의 냉풍을 불어넣어 주고, 송풍밸브(30-2)와 축열실(21), 연소실(20)을 통과시키면서 축열실(21) 내부에 저장된 열에 의하여 열풍으로 바꾸고, 이렇게 바뀐 열품이 고로(10) 내로 불어넣어지는 과정이다.
여기서 고로(10)에 공급되는 열풍을 만드는 열풍로의 연소 작업시 연소실(20) 내부로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와 혼합가스의 온도는 연소 효율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연소실(20) 내부로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와 혼합가스의 온도를 승온시킴으로써 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연소공정에서 연소후 배출되는 열풍로 폐가스는 많은 열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폐가스 라인에 폐열회수장치(50)를 설치하여 열에너지를 회수하여 재활용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이렇게 회수된 열에너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매체를 매개로 하여 열매 순환펌프(60)에 의하여 순환되어 폐열회수장치(51) 및폐열회수장치(52)에 공급되며, 상기 폐열회수장치(51)를 지나는 연소용 공기 공급라인(40-1)의 공기와 상기 폐열회수장치(52)를 혼합가스 공급라인(41)의 혼합기체는 이에 의하여 각각 승온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이때 열풍로 연소 후 배출되는 폐가스의 온도는 약 200∼230℃의 온도범위를 갖는 것이 보통이다. 이 열에너지는 열 매체를 통하여 폐열회수장치(51)에 공급되는데, 상기 폐열회수장치(51)에 의하여 승온되는 연소용 공기의 최종 온도는 약 120℃ 정도이다. 또한, 상기 열 매체가 순환하여 폐열회수장치(52)에 공급되는데, 상기 폐열회수장치(52)에 의하여 승온되는 연소용 혼합가스의 최종 온도는 약 110℃이다.
따라서 연소실(20) 내부로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는 약 120℃ 정도이고, 연소용 혼합가스는 약 110℃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연소용 공기 공급라인(40-1)으로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는 대기 중의 공기를 연소용 공기 공급팬(40)에 의하여 강제로 흡입 승압하여 공급되는 것인데, 그 온도 범위는 대기 온도 수준이 된다. 따라서 열 매체의 순환 과정에서 폐열회수장치(51)에서의 열손실이 가장 크게 되어, 최종적으로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약 120℃ 정도 이상으로 올리지 못하게 된다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폐열회수장치(52)를 통과하기 전의 혼합가스의 온도 범위도 약 28∼45℃의 온도 범위를 가지고 있어서 열 매체를 통한 폐열회수장치(52)에서의 승온 과정 후에도 110℃ 정도로 승온의 한계가 있게 되어, 열풍로의 열효율 상승의 변수로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열풍로의 로 말기 조업시점이 되면 열풍로의 보수기간이 장기간인 관계로 예컨대 4기의 열풍로 설비가 설치되어 있다면 그 중 1기씩을 세워놓고 단계적, 순차적으로 보수를 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정상적인 2기 송풍, 2기 연소의 조업 조건을 맞출 수 없게 되고, 2기 연소, 1기 송풍의 조업을 할 수 밖에 없게 되어, 고로(10)로 공급되는 송풍 온도의 목표치를 낮춰야만 하므로, 정상적인 열풍로의 열효율을 유지하기가 더욱 어렵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폐열회수장치(51)에 의하여 승온될 공기의 온도를 높임으로써 연소실(20) 내부의 연소용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서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로 말기 고로의 연소공기 온도상승을 통한 열풍로의 열효율 향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고로 열풍로의 일반적 조업 개념도,
도 2는 종래의 연소용 공기 및 혼합가스의 승온 작업을 나타내는 조업 상황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냉풍을 첨가하여 연소용 공기의 승온 작업을 나타내는 조업 상황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소용 공기 승온 작업시 제어과정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소용 공기 승온과정의 제어개념 설명을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연소용 공기 승온 방법의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고로 20 : 연소실
21 : 축열실 21-1 : 돔 온도계
22 : 혼냉실 23 : 열풍변
23-1 : 열풍 온도계 30 : 송풍기
30-1 : 냉풍 공급라인 30-2 : 송풍밸브
30-3 : 냉풍 공급라인 온도계 30-4 : 유량 발신기
40 : 연소용 공기 공급팬(Combustion Air Fan)
40-1 : 연소용 공기 공급라인 40-2 : 연소용 공기 공급라인 온도계
40-3 : 유량 발신기 40-4 : 연소용 공기 제어밸브
41 : 혼합가스 공급라인
41-1 : 연소용 혼합가스 공급라인 온도계
41-2 : 유량 발신기 50, 51, 52 : 폐열회수장치(Heater)
50-1 : 굴뚝 50-2 : 연도변
60 : 열매 순환펌프 60-1 : 열매 순환라인
70 : 계장신호 제어기 75 : 열풍로 피엘시(PLC)
80 : 전기신호 제어기
90 : 고로 피시(PC, Process Computer) 100 : 냉풍 공급라인
100-1 : 냉풍유량 차단밸브
100-2, 100-3 : 냉풍공급 차단 수동밸브
100-4 : 연소용 냉풍유량 제어밸브 100-5 : 연소용 냉풍유량 발신기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상온보다 높은 냉풍을 공급하는 송풍기(30)와,
상기 송풍기(30)의 출력 측에 연결된 후 밸브(100-1, 100-2, 100-3, 100-4)와 연소용 냉풍유량 발신기(100-5)를 거쳐 연소용 공기 공급라인(40-1)에 연결되는 냉풍 공급라인(100)과,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연소용 공기 공급팬(40)과,
상기 연소용 공기 공급팬(40)에 연결된 후 연소용 공기 제어밸브(40-4)를 거쳐서 상기 냉풍 공급라인(100)과 연결된 부분 다음에 설치되는 유량 발신기(40-3)를 거쳐 폐열회수장치(51)에 연결되어 연소실(20)에 공기를 공급하는 연소용 공기 공급라인(40-1)과,
상기 연소용 공기 공급라인(40-1)을 승온시키기 위하여 열매 순환라인(60-1)에 의하여 가열되는 폐열회수장치(51)와,
유량 발신기(41-2) 및 미도시된 제어밸브를 거쳐 폐열회수장치(52)에 연결되어 연소실(20)에 연료를 공급하는 혼합가스 공급라인(41)과,
상부에 돔 온도계(21-1)가 설치된 축열실(21)과,
상기 유량 발신기(30-4, 100-5) 및 온도계(21-1, 40-2)의 신호를 받아 송풍기(30), 연소용 공기 공급팬(40) 및 밸브(100-1, 100-2, 100-3, 100-4)를 제어하는 계장신호 제어기(70), 열풍로 피엘시(75), 전기신호 제어기(80) 및 고로 피시(90)로 구성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송풍기(30)로 상온보다 높은 냉풍을 공급하면서 냉풍유량 및 온도를 측정하고, 연소용 공기 공급팬(40)으로 공기를 공급하면서 공기유량 및 온도를 측정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냉풍유량 및 공기유량의 혼합기체의 온도와 미리 정해져 있는 온도 목표치를 비교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온도의 차이에 따라 연소용 공기 제어밸브(40-4)의 개도를 조절하여 연소용 공기 공급팬(40)에서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3 단계와,
상기 혼합된 연소용 공기와 연료용 혼합가스를 연소실로 공급하여 연소시키는 제4 단계와,
축열실(21) 상부에 설치된 돔 온도계(21-1)에 의하여 검출되는 온도에 따라 혼합가스 공급라인(41)의 제어밸브의 개도를 조절하여 혼합가스 중 코크오븐가스(COG)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5 단계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송풍기(30)로부터 공급되는 약 230∼250℃의 고온의 냉풍의 일부를 연소용 공기 공급라인(40-1)의 폐열회수장치(51) 전단으로 공급하고, 나머지 연소용 공기만을 연소용 공기 공급팬(40)에 의하여 공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연소용 공기를 승온시키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대하여 참조도면에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송풍기(30), 냉풍 공급라인(100), 연소용 공기 공급팬(40), 연소용 공기 공급라인(40-1), 폐열회수장치(51), 혼합가스 공급라인(41), 축열실(21) 및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 송풍기(30)는 상온보다 고온인 냉풍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장치이다.
상기 냉풍 공급라인(100)은 상기 송풍기(30)의 출력 측에 연결된 후 밸브(100-1, 100-2, 100-3, 100-4)와 연소용 냉풍유량 발신기(100-5)를 거쳐 연소용 공기 공급라인(40-1)에 연결되는 라인인데, 상기 라인의 경로 상에는 적어도 하나씩의 밸브와 유량 발신기를 갖추어야 한다. 상기 라인에는 송풍기(30)로부터의 약 230∼250℃의 냉풍이 공급된다.
상기 연소용 공기 공급팬(40)은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 또한 종래의 장치와 동일한 장치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연소용 공기 공급라인(40-1)은 상기 연소용 공기 공급팬(40)에 연결된 후 연소용 공기 제어밸브(40-4)를 거쳐서 상기 냉풍 공급라인(100)과 연결된 부분 다음에 설치되는 유량 발신기(40-3)를 거쳐 폐열회수장치(51)에 연결되어 연소실(20)에 공기를 공급하는 라인이다. 종래와 달리 연소용 공기 제어밸브(40-4)가 설치되고, 상기 냉풍 공급라인(100)과 연소용 공기 공급라인(40-1)의 결합부위 다음 단에는 유량 발신기(40-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폐열회수장치(51)는 상기 연소용 공기 공급라인(40-1)을 승온시키기 위하여 열매 순환라인(60-1)에 의하여 가열되는 장치로서, 종래의 장치와 동일한 장치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혼합가스 공급라인(41)은 유량 발신기(41-2) 및 미도시된 제어밸브를 거쳐 폐열회수장치(52)에 연결되어 연소실(20)에 연료를 공급하는 라인으로서, 종래의 라인과 동일하지만, 미도시된 제어밸브와 유량 발신기(41-2)가 적어도 하나씩은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축열실(21)은 상부에 돔 온도계(21-1)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돔 온도계(21-1)의 측정값에 따라 연료의 투입량이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 발신기(30-4, 100-5) 및 온도계(21-1, 40-2)의 신호를 받아 송풍기(30), 연소용 공기 공급팬(40) 및 밸브(100-1, 100-2, 100-3, 100-4)를 제어하는 계장신호 제어기(70), 열풍로 피엘시(75), 전기신호 제어기(80) 및 고로 피시(90)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제1 단계부터 제5 단계로 구성된다.
제1 단계에서는 송풍기(30)로 냉풍을 공급하면서 냉풍유량 및 온도를 측정하고, 이와 동시에 연소용 공기 공급팬(40)으로 공기를 공급하면서 공기유량 및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유량과 온도 데이터로부터 혼합기체의 유량과 온도가 산출될 수 있다.
제2 단계에서는 상기 냉풍유량 및 공기유량의 혼합기체의 온도와 미리 정해져 있는 온도 목표치를 비교한다. 상기 온도 목표치는 로의 상황과 열풍의 필요량에 따라 결정된다.
제3 단계에서는 상기 온도의 차이에 따라 연소용 공기 제어밸브(40-4)의 개도를 조절하여 연소용 공기 공급팬(40)에서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의 공급량을 제어한다. 즉, 온도가 목표치보다 낮으면 연소용 공기 제어밸브(40-4)의 개도를 작게 하여 연소용 공기의 온도를 승온시키고, 반대로 온도가 목표치보다 높으면 연소용 공기 제어밸브(40-4)의 개도를 크게 하여 연소용 공기의 온도를 감온시키는 작용을 한다.
제4 단계에서는 상기 혼합된 연소용 공기와 연료용 혼합가스를 연소실로 공급하여 연소시킨다. 이때 연소용 공기는 승온된 상태이므로 열효율이 좋아진다.
제5 단계에서는 축열실(21) 상부에 설치된 돔 온도계(21-1)에 의하여 검출되는 온도에 따라 혼합가스 공급라인(41)의 제어밸브의 개도를 조절하여 혼합가스 중 코크오븐가스(COG)의 공급량을 제어한다. 따라서 연소용 공기가 승온되어 연소실(20) 내의 분위기 온도가 상승된 상태에서 연소되므로 혼합가스 중 코크오븐가스(COG)는 종래의 경우보다 적은 양만 공급되어도 동일한 온도로 연소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송풍기(30)로부터 송풍이 시작되면 약 230∼250℃의 냉풍이 송풍밸브(30-2)를 통하여 축열실(21)을 통과하면서 축열실(21)에 저장되어 있는 열기를 이용하여 냉풍을 목표 송풍온도까지 승온시킨다. 그 후 열풍변(23)이 열리면 연소실(20)과 혼냉실(22)을 거쳐서 고로(10) 내부로 공급된다.
통상적으로 4기가 설치되어 있는 열풍로 설비는 2기 송풍, 2기 연소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작업하게 되나, 로 말기의 조업시에는 2기 연소, 1기 송풍의 조업 조건으로 진행된다. 상기의 과정에서 연소 후 배출되는 열풍로의 폐가스의 열기를 회수하기 위하여 열매 순환펌프(60)를 가동함으로써 열 매체를 순환시키게 된다.
상기 과정과 거의 동시에 냉풍 공급라인(100)의 냉풍유량 차단 수동밸브(100-2) 및 연소용 냉풍유량 제어밸브(100-4)가 열려서 냉풍을 예컨대 약 400∼600㎥/min의 유량 범위 내에서 폐열회수장치(51) 전단의 연소용 공기 공급라인(40-1)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고로(10)로 송풍되는 송풍량 외에 잉여 냉풍을 연소용 공기로 공급할수 있는 근거와 조건은 로 말기 조업시의 목표 송풍량은 약 5,600∼5,800㎥/min 정도이며, 이를 근거로 할 때 정상 조업시의 약 6,200㎥/min 정도에 비하여 최소한 약 400㎥/min 정도, 또는 최대한 약 600㎥/min 정도까지의 여유가 있게 되며, 뿐만 아니라 송풍기(30)의 토출측 냉풍은 일반 공기와 동일한 성분을 가지며, 온도가 약 230∼250℃ 정도로서, 연소용 공기 공급팬(40)에 의하여 대기 중에서 흡입하여 공급하는 연소용 공기의 온도보다 아주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송풍기(30)에서 공급되는 냉풍은 유량 발신기(30-4)에서 고로 송풍량을 검출하고, 연소용 냉풍유량 발신기(100-5)에서 연소용 냉풍량을 검출하면, 송풍량의 범위 내에서는 개별적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송풍기(30)에서 연소용 냉풍 공급을 시작하면, 먼저 가동되고 있던 연소용 공기 공급팬(40)의 연소용 공기 제어밸브(40-4)에서는 연소용 냉풍유량 발신기(100-5)에서 검출된 유량에 근거하여 연소용 공기의 유량을 줄이게 된다.
이때 통상적으로 열풍로 2기 연소시의 이론 연소 온도를 근거로 한 실제 연소용 공기 유량은 3,000k㎥/hr 정도이며, 공급된 냉풍 유량 400∼600㎥/min 정도를 고려하면 약 49,400∼49,600㎥/min 정도 줄어들게 되며, 최종적인 연소용 공기의 유량은 변화가 없게 되는 것이다.
즉, 종래의 폐열회수장치(51) 후단에서 연소용 공기의 공급온도는 약 120℃였는데, 이에 본 발명에서는 송풍기(30)에 의하여 공급된 약 240℃의 냉풍을 가하여 혼합시킨다. 이렇게 되면 유체의 종류가 같으므로, 단순 계산시 혼합된 연소용 공기의 온도는 약 180℃가 되어서, 약 60℃의 연소용 공기의 승온 효과가 있게 된다.
따라서 승온된 연소용 공기와 연소용 혼합가스(BFG+COG)를 이용하면 열풍로 연소시 연소용 공기의 온도 상승분 만큼의 열량의 소모가 적어지게 되고, 목표한 축열실(21)의 돔(Dome) 온도를 맞추기 위해 혼합가스(BFG+COG) 중 코크 오븐 가스(COG)를 공급하는 밸브의 개도 값을 줄이게 된다. 즉, 혼합가스 중 열풍로의 열 효율에 직접적으로 관계하는 코크 오븐 가스(COG) 사용량이 줄어들게 되고,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그 코크 오븐 가스(COG) 혼소율도 또한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다음의 수학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풍로의 열효율은 높아지게 된다.
여기서 상수 1440은 1일 24시간을 분단위로 환산한 것이고, 0.343은 열풍비열을, 0.317은 냉풍비열을 나타내는 수치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다른 변형예}{치환수단}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노 말기 조업시 고로(10)로 송풍되는 목표 풍량 외에 잉여 냉풍 600㎥/min을 신설된 냉풍 공급라인(100)을 통해 연소용 공기에 혼합하여 공급하게 될 경우, 공급 전의 연소용 공기의 온도 120℃에 냉풍의 온도 240℃가 합해져서 혼합된 연소용 공기의 온도는 180℃로 60℃가 상승하게 된다.
그런데, 이미 공지된 열풍로의 연소 이론에 따르면 연소용 공기의 온도가 10℃ 상승할 때 이를 열량으로 정산하면 COG 0.64KN㎥/H의 감소 효과가 있다고 한다. 이를 근거로 본 발명에서처럼 연소용 공기 온도 60℃ 상승시 열풍로 열 효율을 수학식 2를 적용하여 계산하면, 혼합가스 중 COG 사용량이 3.83KN㎥/Hr으로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루 동안의 전체 COG 사용량의 감소는 92KN㎥/Day가 된다.
아래의 표 1에는 본 발명 적용 전의 연소용 공기 온도 120℃를 기준으로 2 고로 일일 조업결과를 열효율 계산식인 수학식 2에 대입하여 계산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송풍량 열풍온도 냉풍온도 BFG사용량 COG사용량 COG발열량 BFG발열량 COG혼소율 열효율
5,600 1,149.0 229.4 3,510 202 4221.4 773.90 5.44 72.611
또한 아래의 표 2에는 본 발명 적용 후의 연소용 공기 온도 180℃를 기준으로 2 고로 일일 조업결과를 동일한 조업 조건으로 열효율 계산식인 수학식 2에 대입하여 계산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송풍량 열풍온도 냉풍온도 BFG사용량 COG사용량 COG발열량 BFG발열량 COG혼소율 열효율
5,600 1,149.0 229.4 3,510 110 4221.4 773.90 3.04 81.477
상기 본 발명 적용 전후의 열풍로 열효율 계산 결과를 비교하여 보면, 연소용 공기 온도 60℃ 증가로 인하여 COG 사용량을 하루 92KN㎥/Day까지 줄일 수 있게 되어 열풍로의 열효율을 72.61%에서 81.48%까지 약 8.87% 상승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로 말기 열풍로 조업시에 고로로 송풍되는 잉여 냉풍을 연소용 공기에 혼합하여 연소용 공기의 연소실 공급 온도를 60℃ 증가시키는 수단을 제공하여, 연소용 공기와 함께 사용되는 연소용 혼합가스 중 COG 사용량을 하루 92KN㎥/Day까지 현저하게 줄여, 열풍로 열효율을 8.87% 증가시켜, 로 말기 열풍로 조업안정 및 에너지 절감, 그리고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매우 획기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로 말기 고로의 연소공기 온도상승을 통한 열풍로의 열효율 향상방법에 있어서,
    송풍기(30)로 상온보다 높은 냉풍을 공급하면서 냉풍유량 및 온도를 측정하고, 연소용 공기 공급팬(40)으로 공기를 공급하면서 공기유량 및 온도를 측정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냉풍유량 및 공기유량의 혼합기체의 온도와 미리 정해져 있는 온도 목표치를 비교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온도의 차이에 따라 연소용 공기 제어밸브(40-4)의 개도를 조절하여 연소용 공기 공급팬(40)에서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3 단계와,
    상기 혼합된 연소용 공기와 연료용 혼합가스를 연소실로 공급하여 연소시키는 제4 단계와,
    축열실(21) 상부에 설치된 돔 온도계(21-1)에 의하여 검출되는 온도에 따라 혼합가스 공급라인(41)의 제어밸브의 개도를 조절하여 혼합가스 중 코크오븐가스(COG)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5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 말기 고로의 연소공기 온도상승을 통한 열풍로의 열효율 향상방법.
KR1020010084459A 2001-12-24 2001-12-24 로 말기 고로의 연소공기 온도상승을 통한 열풍로의열효율 향상방법 KR200300543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459A KR20030054318A (ko) 2001-12-24 2001-12-24 로 말기 고로의 연소공기 온도상승을 통한 열풍로의열효율 향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459A KR20030054318A (ko) 2001-12-24 2001-12-24 로 말기 고로의 연소공기 온도상승을 통한 열풍로의열효율 향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4318A true KR20030054318A (ko) 2003-07-02

Family

ID=32212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4459A KR20030054318A (ko) 2001-12-24 2001-12-24 로 말기 고로의 연소공기 온도상승을 통한 열풍로의열효율 향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431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035B1 (ko) * 2006-10-25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열량 정보를 이용한 가열로의 혼합가스 연소 제어방법
US7695701B2 (en) 2008-03-07 2010-04-13 Du Pont Process for treating acid gas in staged furnaces with inter-stage heat recovery
KR101431638B1 (ko) * 2012-12-27 2014-08-20 주식회사 포스코 방풍구의 배출 공기를 재사용하는 열풍로 공기 제어 시스템
KR20180126720A (ko) * 2017-05-18 2018-11-28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로용 열풍 상시 정풍량 공급 장치
CN110283957A (zh) * 2019-06-13 2019-09-27 首钢集团有限公司 一种钢铁系统富氧燃烧方法
KR102260259B1 (ko) 2019-12-18 2021-06-03 주식회사 포스코 열풍로 연소효율 증대장치
KR20210081013A (ko) * 2019-12-23 2021-07-0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열풍로 재순환 설비 및 운전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035B1 (ko) * 2006-10-25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열량 정보를 이용한 가열로의 혼합가스 연소 제어방법
US7695701B2 (en) 2008-03-07 2010-04-13 Du Pont Process for treating acid gas in staged furnaces with inter-stage heat recovery
KR101431638B1 (ko) * 2012-12-27 2014-08-20 주식회사 포스코 방풍구의 배출 공기를 재사용하는 열풍로 공기 제어 시스템
KR20180126720A (ko) * 2017-05-18 2018-11-28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로용 열풍 상시 정풍량 공급 장치
CN110283957A (zh) * 2019-06-13 2019-09-27 首钢集团有限公司 一种钢铁系统富氧燃烧方法
KR102260259B1 (ko) 2019-12-18 2021-06-03 주식회사 포스코 열풍로 연소효율 증대장치
KR20210081013A (ko) * 2019-12-23 2021-07-0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열풍로 재순환 설비 및 운전방법
WO2021133015A1 (ko) * 2019-12-23 2021-07-0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열풍로 재순환 설비 및 운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67448B (zh) 一种干熄焦系统耐材大面积更换后的烘炉方法
CN108709413A (zh) 一种采用烟气炉进行干熄焦温风干燥烘炉的方法
KR20030054318A (ko) 로 말기 고로의 연소공기 온도상승을 통한 열풍로의열효율 향상방법
CN1924106B (zh) 预焙阳极焙烧升温工艺
CN108707713B (zh) 一种热风炉保温装置及方法
CN108870438A (zh) 一种基于烟气co测量及统计分析的燃烧优化技术
CN206014992U (zh) 一种热风炉用的凉炉、烘炉装置
CN103740380B (zh) 一种焦炉烘炉工艺
KR100905591B1 (ko) 고로 열풍로의 온도 제어장치
CN103134314B (zh) 一种节能碳阳极焙烧系统及其方法
KR102466507B1 (ko) 열풍로 설비의 운전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753443A (zh) 一种从源头控制焦炉废气中氮氧化物的系统
CN209636161U (zh) 一拖二正压烘炉装置
KR100995598B1 (ko) 코크스 제조공정에서의 연소실 온도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JPH09209015A (ja) 熱風炉の高効率燃焼制御方法
KR100804230B1 (ko) 고로 열풍로 연소제어방법
KR101205059B1 (ko) 열풍로 운전방법
CN206328336U (zh) 一种从源头控制焦炉废气中氮氧化物的系统
CN110467932A (zh) 一种用于干熄焦锅炉快速降温的方法
JPH08127811A (ja) 熱風炉の燃焼制御方法
KR100406423B1 (ko) 고로 열풍로 연소제어방법
CN205537067U (zh) 新型木材干燥窑控制仪
CN216972317U (zh) 一种玻璃熔窑排烟系统
JP4082092B2 (ja) 熱風炉の保熱方法
CN114908203B (zh) 电加热还原性气体的方法、装置及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