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0337A - 소재 진입 감지기기 - Google Patents

소재 진입 감지기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0337A
KR20120110337A KR1020110028124A KR20110028124A KR20120110337A KR 20120110337 A KR20120110337 A KR 20120110337A KR 1020110028124 A KR1020110028124 A KR 1020110028124A KR 20110028124 A KR20110028124 A KR 20110028124A KR 20120110337 A KR20120110337 A KR 20120110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lling
feed roller
suction
e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국
배진운
유광현
유승철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8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0337A/ko
Publication of KR20120110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3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3/00Safet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eaker blocks; Devices for freeing jammed rolls for handling cobbles; Overload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4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 B21B45/06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of strip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4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 B21B45/08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hydrau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3/00Path parameters
    • B21B2273/18Presence of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소재 진입 감지기기에 관한 것으로, 소재를 압연하는 압연부와, 압연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압연부에서 송출되는 소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부와, 이송롤러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소재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이송롤러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감지부의 상방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재가 압연부로 인입되기 전에 소재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므로, 압연부를 포함한 각종 기기들의 작동을 지연 없이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생산 지연이나 사고 발생 등에 의한 손실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고, 소재의 품질 향상을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소재 진입 감지기기{APPARATUS FOR SENSING ENTRY OF MATERIAL}
본 발명은 소재 진입 감지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연 공정에서 소재의 진입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소재 진입 감지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 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 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 공정, 액체 상태의 철이 고체로 되는 연주 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압연 공정은 연주 공정에서 생산된 슬래브, 블룸 등의 중간 소재를 회전하는 여러 개의 롤러 사이를 통과시켜 연속적인 힘을 가하여 늘리거나 얇게 만드는 과정을 말하며 크게 열간 압연과 냉간 압연으로 나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압연 공정에서 소재의 진입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소재 진입 감지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기기는: 소재를 압연하는 압연부; 상기 압연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압연부에서 송출되는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부; 상기 이송롤러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이송롤러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의 상방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체분사부는, 일단부가 외부의 유체공급원과 연통되는 배출덕트; 일단부가 상기 배출덕트의 타단부와 연통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송롤러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배출노즐; 및 상기 배출덕트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덕트의 일단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배출노즐의 타단부로 분사시키는 배출펌프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노즐은 상기 감지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롤러부에 구비되고, 상기 소재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를 흡입하는 수증기흡입부를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증기흡입부는, 상기 감지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소재에서 생성되는 수증기가 유입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고, 유입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덕트; 및 상기 흡입덕트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덕트 내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상기 이송롤러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소재의 하부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디스케일러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상기 이송롤러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소재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디스케일러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부는 상기 소재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고, 상기 소재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하여 상기 소재의 진입을 감지하는 레이저 변위센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기기는: 소재를 압연하는 압연부; 상기 압연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압연부에서 송출되는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부; 상기 이송롤러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이송롤러부에 구비되고, 상기 소재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를 흡입하는 수증기흡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기기는: 소재를 압연하는 압연부; 상기 압연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를 상기 압연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부; 상기 이송롤러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이송롤러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의 상방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롤러부에 구비되고, 상기 소재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를 흡입하는 수증기흡입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상기 이송롤러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소재의 하부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디스케일러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재가 압연부로 인입되기 전에 소재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므로, 압연부를 포함한 각종 기기들의 작동을 지연 없이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생산 지연이나 사고 발생 등에 의한 손실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고, 소재의 품질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감지부가 이송롤러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냉각수와 소재의 접촉에 의해 생성되는 수증기의 영향을 적게 받으므로, 감지부를 통해 소재의 진입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분사부에 의해 스케일 등의 이물질이 감지부로 낙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감지부의 작동 오류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케일러부에 의해 소재의 표면에 형성되는 스케일이 제거되므로, 감지부를 통한 소재의 진입 감지 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기기에서 감지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기기에서 감지부와 유체분사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기기에서 감지부와 유체분사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기기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기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기기에서 감지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기기에서 감지부와 유체분사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기기에서 감지부와 유체분사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기기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기기는 제1압연부(10), 이송롤러부(20), 감지부(30), 유체분사부(40), 수증기흡입부(50), 제2압연부(60), 제어부(70), 디스케일러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압연부(10)와 제2압연부(60)는 소재(S)가 사상압연 공정에서 마무리 압연이 용이하게 되도록 소재(S)를 목표하는 두께와 폭으로 압연한다. 제1압연부(10)는 상측에 배치되는 제1상부워크롤(11)과, 하측에 배치되는 제1하부워크롤(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소재(S)는 제1상부워크롤(11)과 제1하부워크롤(12) 사이로 이송되면서 제1상부워크롤(11)과 제1하부워크롤(12)에 의해 압연된다. 제1압연부(10)에서 압연되어 송출되는 소재(S)는 이송롤러부(20)에 의해 후공정으로 이송된다.
이송롤러부(20)는 제1압연부(10)의 후방에 배치된다. 이송롤러부(20)는 소재(S)를 후공정으로 이송하는 복수의 이송롤러(21)와, 이송롤러(21)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송롤러(21)는 제1압연부(10)의 출구측에서부터 제2압연부(60)의 입구측까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된다. 롤러지지대(22)는 이송롤러(21)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S)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최상단이 이송롤러(21)의 최상부보다 높게 형성된다.
롤러지지대(22)는 이송롤러(21)의 회전 지지대 역할을 위해 제1압연부(10)의 출구측에서부터 제2압연부(60)의 입구측까지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감지부(30)는 이송롤러(21)의 하방에 배치된다. 감지부(30)는 소재(S)가 이송롤러(21)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한다.
감지부(30)는 제2압연부(60)보다 제1압연부(10)에 보다 가깝게 배치된다. 이는 감지부(30)를 통해 얻어진 소재(S)의 진입 정보로 제2압연부(6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소재(S)가 감지부(30)를 통과한 후 제2압연부(60)에 인입되는 데까지의 시간적 여유를 두기 위함이다.
감지부(30)는 레이저 변위센서(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이저 변위센서(30)는 소재(S)의 이송 경로를 이루는 이송롤러(21)의 하방에 배치되어 이송롤러(21)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한다. 레이저가 조사되는 지점을 소재(S)가 통과하는 경우 소재(S)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는 다시 레이저 변위센서(30)로 수신되면서 소재(S)의 진입은 감지된다.
감지부(30)는 소재(S)의 진입을 감지한 경우 이를 제어부(70)에 송신하고, 제어부(70)는 수신된 진입 정보를 토대로 제2압연부(60)와 같이 감지부(30)의 후방에 배치되는 각종 기기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레이저 변위센서(30)는 레이저의 조사 방향이 소재(S)의 하부 표면과 수직하도록 이송롤러(21)와 수직하게 배치된다.
제1압연부(10)의 출구측에는 디스케일러부(80)가 설치된다. 디스케일러부(80)는 소재(S)를 향해 냉각수를 분사하여 소재(S)의 표면에 형성되는 스케일을 제거한다.
디스케일러부(80)는 감지부(30)의 전방(도 1 기준 좌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소재(S)는 감지부(30)를 통과하기 전에 표면에 형성되는 스케일이 디스케일러부(80)에 의해 제거되므로, 소재(S)를 둘러싼 스케일에 의해 감지부(30)의 감지 정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케일러부(80)는 조압연 공정 중 소재(S)의 역이송을 고려하여 감지부(3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소재(S)는 감지부(30)를 통과하기에 앞서 디스케일러부(80)에 의해 표면에 형성되는 스케일이 제거된다.
유체분사부(40)는 이송롤러부(20)의 하방에 배치된다. 유체분사부(40)는 감지부(30)의 상방으로 유체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소재(S)에 부착된 스케일 등의 이물질이 감지부(30)로 낙하하는 것을 차단한다.
유체분사부(40)는 배출노즐(41), 배출덕트(42), 배출펌프(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배출덕트(42)는 일단부가 소재 진입 감지기기의 외부에 배치되는 유체공급원(미도시)과 연통되고, 타단부가 배출노즐(41)과 연통된다.
배출노즐(41)은 일단부가 배출덕트(42)와 연통되고, 타단부(41a)가 소재(S)에 대향되도록 이송롤러(21)의 하방에 배치된다. 배출노즐(41)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감지부(3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배출노즐(41)과 감지부(30)는 하우징(H)에 의해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배출노즐(41)은 이물질의 낙하를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배출구를 이루는 타단부(41a)의 형상이 깔때기 형상으로 확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체분사부(40)에 의해 감지부(3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감지부(30)를 통해 소재(S)의 진입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분사부(40)에서 분사되는 유체는 공기이다.
또한 유체분사부(40)는 감지부(30)의 상방으로 유체를 고압으로 분사하므로 감지부(30)와 소재(S) 사이에 존재하는 수증기를 제거한다. 따라서 수증기는 감지부(3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와 접촉하기 전에 유체에 의해 다른 곳으로 이동되므로 감지부(30)는 수증기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감지부(30)를 통해 소재(S)의 진입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배출펌프(43)는 배출덕트(42)에 구비된다. 배출펌프(43)는 압력 작용을 이용하여 유체를 수송하는 기계로, 배출덕트(42) 내에 흡입력을 제공하여 유체공급원의 유체를 배출덕트(42)로 유입하여 배출노즐(41)의 타단부(41a)로 분사시킨다. 이러한 배출펌프(43)에 대한 구성 및 작동원리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사항이라 할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증기흡입부(50)는 흡입구(51), 흡입덕트(52) 및 흡입펌프(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소재(S)에 의해 생성되는 수증기를 흡입한다. 수증기흡입부(50)는 이송롤러부(20)에 구비되며, 소재(S) 주위에서 생성되는 수증기가 감지부(30)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기 전에 수증기를 흡입하므로, 수증기에 의해 감지부(30)의 감지 정확도가 저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흡입구(51)는 수증기의 흡입이 용이하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소재(S)의 이송 경로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된다. 흡입구(51)는 롤러지지대(22), 즉 감지부(30)의 상방에 설치되므로, 소재(S)에 의해 생성되는 수증기가 감지부(30)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기 전에 수증기를 흡입할 수 있다.
흡입구(51)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 흡입덕트(52)와 연통된다. 흡입덕트(52)는 흡입구(51)를 통해 흡입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내부에 흡입펌프(53)가 구비된다. 흡입펌프(53)는 수증기가 흡입구(51)를 통해 흡입되도록 흡입덕트(52) 내에 흡입력을 제공한다.
흡입구(51), 흡입구(51)와 맞닿는 흡입덕트(52)의 일단부는 롤러지지대(22)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흡입구(51)는 롤러지지대(22)의 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롤러지지대(22)의 내측면에 노출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재(S)의 이동 시 소재(S)와 흡입구(51)의 충돌은 방지된다.
제2압연부(60)는 이송롤러부(20)의 후방에 배치되고, 소재(S)를 목표하는 두께와 폭으로 압연한다. 제2압연부(60)는 상측에 배치되는 제2상부워크롤(61)과, 하측에 배치되는 제2하부워크롤(6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소재(S)는 제2상부워크롤(61)과 제2하부워크롤(62) 사이로 이송되면서 제2상부워크롤(61)과 제2하부워크롤(62)에 의해 압연된다.
제어부(70)는 감지부(30)와 연결되어 감지부(30)에 의해 소재(S)의 진입이 감지된 경우 이러한 진입 정보를 토대로 제2압연부(60)를 포함한 감지부(30)의 후방에 배치되는 각종 기기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로써, 작업의 지연이 없이 순차적으로 압연 공정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생산 지연이나 사고 발생 등에 의한 손실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소재(S)의 진입이 감지된 경우 작업자가 이를 참고할 수 있도록 제어부(70)는 디스플레이부(도시 생략)를 통해 소재(S)의 진입을 안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기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기기는 압연부(110), 이송롤러부(120), 감지부(130), 유체분사부(140), 수증기흡입부(150), 제어부(170), 디스케일러부(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압연부(110)는 소재(S)가 사상압연 공정에서 마무리 압연이 용이하게 되도록 소재(S)를 목표하는 두께와 폭으로 압연한다. 압연부(110)는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워크롤(111)과,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워크롤(1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압연부(110)는 일 실시예에서의 제1압연부(10)에 대응되는 구성이다.
이송롤러부(120)는 압연부(1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소재(S)를 압연부(110)로 이송시킨다. 이송롤러부(120)는 소재(S)를 후공정으로 이송하는 복수의 이송롤러(121)와, 이송롤러(121)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감지부(130)는 이송롤러(121)의 하방에 배치된다. 감지부(130)는 소재(S)가 이송롤러(121)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한다. 즉, 감지부(130)는 소재(S)가 압연부(110)에 인입되기 이전에 이송롤러(121)에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고, 이러한 진입 정보를 제어부(170)에 전송한다.
감지부(130)는 레이저 변위센서(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이저 변위센서(130)는 소재(S)의 이송 경로를 이루는 이송롤러(121)의 하방에 배치되어 이송롤러(121)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한다. 레이저가 조사되는 지점을 소재(S)가 통과하는 경우 소재(S)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는 다시 레이저 변위센서(130)로 수신되면서 소재(S)의 진입은 감지된다.
감지부(130)는 소재(S)의 진입을 감지한 경우 이를 제어부(170)에 송신하고, 제어부(170)는 수신된 진입 정보를 토대로 압연부(110)와 같이 감지부(130) 후방에 배치되는 각종 기기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레이저 변위센서(130)는 레이저의 조사 방향이 소재(S)의 하부 표면과 수직하도록 이송롤러(121)와 수직하게 배치된다.
압연부(110)의 전방에는 디스케일러부(180)가 설치된다. 디스케일러부(180)는 소재(S)를 향해 냉각수를 분사하여 소재(S)의 표면에 형성되는 스케일을 제거한다.
디스케일러부(180)는 감지부(130)의 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소재(S)는 감지부(130)를 통과하기 전에 표면에 형성되는 스케일이 디스케일러부(180)에 의해 제거되므로, 소재(S)를 둘러싼 스케일에 의해 감지부(130)의 감지 정확도가 저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유체분사부(140)는 이송롤러부(120)의 하방에 배치된다. 유체분사부(140)는 감지부(130)의 상방으로 유체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소재(S)에 부착된 스케일 등의 이물질이 감지부(130)로 낙하하는 것을 차단한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유체분사부(140)는 배출노즐(41), 배출덕트(42), 배출펌프(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배출덕트(42)는 일단부가 소재 진입 감지기기의 외부에 배치되는 유체공급원(미도시)과 연통되고, 타단부가 배출노즐(41)과 연통된다.
배출노즐(41)은 일단부가 배출덕트(42)와 연통되고, 타단부(41a)가 소재(S)에 대향되도록 이송롤러(121)의 하방에 배치된다. 배출노즐(41)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감지부(13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배출노즐(41)은 이물질의 낙하를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배출구를 이루는 타단부(41a)의 형상이 깔때기 형상으로 확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체분사부(140)에 의해 감지부(13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감지부(130)를 통해 소재(S)의 진입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분사부(140)에서 분사되는 유체는 공기이다.
또한 유체분사부(140)는 감지부(130)의 상방으로 유체를 고압으로 분사하므로 감지부(130)와 소재(S) 사이에 존재하는 수증기를 제거한다. 따라서 수증기는 감지부(13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와 접촉하기 전에 유체에 의해 다른 곳으로 이동되므로 감지부(130)는 수증기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감지부(130)를 통해 소재(S)의 진입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배출펌프(43)는 배출덕트(42)에 구비된다. 배출펌프(43)는 압력 작용을 이용하여 유체를 수송하는 기계로, 배출덕트(42) 내에 흡입력을 제공하여 유체공급원의 유체를 배출덕트(42)로 유입하여 배출노즐(41)의 타단부(41a)로 분사시킨다.
수증기흡입부(150)는 흡입구(51), 흡입덕트(52) 및 흡입펌프(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소재(S)에 의해 생성되는 수증기를 흡입한다. 수증기흡입부(150)는 이송롤러부(120)에 구비되며, 소재(S) 주위에서 생성되는 수증기가 감지부(130)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기 전에 수증기를 흡입하므로, 수증기에 의해 감지부(130)의 감지 정확도가 저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흡입구(51)는 수증기의 흡입이 용이하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소재(S)의 이송 경로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된다. 흡입구(51)는 롤러지지대(122), 즉 감지부(130)의 상방에 설치되므로, 소재(S)에 의해 생성되는 수증기가 감지부(130)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기 전에 수증기를 흡입할 수 있다.
흡입구(51)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 흡입덕트(52)와 연통된다. 흡입덕트(52)는 흡입구(51)를 통해 흡입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내부에 흡입펌프(53)가 구비된다. 흡입펌프(53)는 수증기가 흡입구(51)를 통해 흡입되도록 흡입덕트(52) 내에 흡입력을 제공한다.
흡입구(51), 흡입구(51)와 맞닿는 흡입덕트(52)의 일단부는 롤러지지대(122)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흡입구(51)는 롤러지지대(122)의 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롤러지지대(122)의 내측면에 노출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재(S)의 이동 시 소재(S)와 흡입구(51)의 충돌은 방지된다.
제어부(170)는 감지부(130)와 연결되어 감지부(130)에 의해 소재(S)의 진입이 감지된 경우 이러한 진입 정보를 토대로 압연부(110)를 포함한 감지부(130)의 후방에 배치되는 각종 기기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로써, 순차적으로 압연 공정의 진행을 조절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입 감지기기를 이용하여 소재의 진입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소재(S)가 제1압연부(10)로부터 송출되면 우선적으로 디스케일러부(80)가 작동된다. 이를 통해 소재(S)의 표면에 형성되는 스케일이 제거되므로, 스케일에 의해 소재(S)의 진입 감지 정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케일러부(80)의 작동과 동시에, 또는 디스케일러부(80)의 작동 이후에 유체분사부(40)와 수증기흡입부(50)가 작동된다. 이로써, 소재(S) 주위에 존재하는 수증기는 수증기흡입부(50)를 통해 흡입될 뿐만 아니라, 유체분사부(40)를 통해 주위로 흩어지게 되므로 감지부(30)는 수증기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이러한 수증기의 제거에 의해 감지부(30)의 측정 정확도는 향상된다.
더욱이, 유체분사부(40)는 감지부(30)의 상방으로 유체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소재(S)에 부착된 스케일 등의 이물질이 감지부(30)로 낙하하는 것을 차단하므로 감지부(30)의 작동 오류를 차단할 수 있다.
감지부(30)는 이송롤러(21) 상에서 소재(S)의 진입을 감지한 경우 이를 제어부(70)에 전송한다. 제어부(70)는 전송된 진입 정보를 토대로 제2압연부(60)를 포함한 감지부(30)의 후방에 설치되는 각종 기기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감지부(30)에 의해 소재(S)의 진입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이후의 압연 공정을 지연 없이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생산 지연이나 사고 발생 등에 의한 손실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조압연 공정에서 소재의 진입을 감지하는 소재 진입 감지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조압연 공정이 아닌 타 공정에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제1압연부 20 : 이송롤러부
30 : 감지부 40 : 유체분사부
50 : 수증기흡입부 60 : 제2압연부
70 : 제어부 80 : 디스케일러부

Claims (12)

  1. 소재를 압연하는 압연부;
    상기 압연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압연부에서 송출되는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부;
    상기 이송롤러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이송롤러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의 상방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입 감지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분사부는, 일단부가 외부의 유체공급원과 연통되는 배출덕트;
    일단부가 상기 배출덕트의 타단부와 연통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송롤러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배출노즐; 및
    상기 배출덕트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덕트의 일단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배출노즐의 타단부로 분사시키는 배출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입 감지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노즐은 상기 감지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입 감지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부에 구비되고, 상기 소재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를 흡입하는 수증기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입 감지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흡입부는, 상기 감지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소재에서 생성되는 수증기가 유입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고, 유입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덕트; 및
    상기 흡입덕트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덕트 내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입 감지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상기 이송롤러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소재의 하부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디스케일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입 감지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상기 이송롤러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소재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디스케일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입 감지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소재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고, 상기 소재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하여 상기 소재의 진입을 감지하는 레이저 변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입 감지기기.
  9. 소재를 압연하는 압연부;
    상기 압연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압연부에서 송출되는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부;
    상기 이송롤러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이송롤러부에 구비되고, 상기 소재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를 흡입하는 수증기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입 감지기기.
  10. 소재를 압연하는 압연부;
    상기 압연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를 상기 압연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부;
    상기 이송롤러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이송롤러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의 상방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입 감지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부에 구비되고, 상기 소재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를 흡입하는 수증기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입 감지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소재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상기 이송롤러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소재의 하부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디스케일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입 감지기기.
KR1020110028124A 2011-03-29 2011-03-29 소재 진입 감지기기 KR201201103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124A KR20120110337A (ko) 2011-03-29 2011-03-29 소재 진입 감지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124A KR20120110337A (ko) 2011-03-29 2011-03-29 소재 진입 감지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337A true KR20120110337A (ko) 2012-10-10

Family

ID=47281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124A KR20120110337A (ko) 2011-03-29 2011-03-29 소재 진입 감지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03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7157A (ko) 이동 중인 피가공재의 스케일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779549B1 (ko) 스카핑 장치 및 스카핑 방법
KR101298709B1 (ko) 소재 상향 방지 장치
KR20120110337A (ko) 소재 진입 감지기기
KR101184938B1 (ko) 소재변형 제어장치
KR20120110339A (ko) 소재 진입 감지장치
KR20120110338A (ko) 소재 진입 감지장치
KR101184939B1 (ko) 압연장치
JP5869103B2 (ja) 水蒸気遮断装置
KR101175794B1 (ko) 압연기
KR101193864B1 (ko) 온도 측정 장치
KR101677548B1 (ko) 코팅롤 표면 청소장치
KR101291561B1 (ko) 수증기 차단장치
CN104923523B (zh) 一种铝用矫直机雾化装置
KR101344329B1 (ko) 소재 상향 교정 장치
KR101204851B1 (ko) 소재 온도 측정장치
KR101291536B1 (ko) 압연용 측면가이드
KR101257476B1 (ko) 수증기 차단장치
KR101148949B1 (ko) 소재속도 측정장치
KR20200052675A (ko) 피처리물 처리방법 및 피처리물 처리장치
KR101562138B1 (ko) 사상 압연 디스케일러의 노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31021B1 (ko) 세척액 분사기 및 에어 분사기를 구비한 열간 압연 설비
KR101176004B1 (ko) 이동식 온도측정장치 및 사상압연장치용 이동식 온도측정장치
KR20110087988A (ko) 소재속도 측정장치
KR101204853B1 (ko) 수증기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