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0331A -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10331A KR20120110331A KR1020110028118A KR20110028118A KR20120110331A KR 20120110331 A KR20120110331 A KR 20120110331A KR 1020110028118 A KR1020110028118 A KR 1020110028118A KR 20110028118 A KR20110028118 A KR 20110028118A KR 20120110331 A KR20120110331 A KR 201201103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rdination
- pipe
- measuring
- gas
- measuring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gauge glasses or other apparatus involving a window or transparent tube for directly observing the level to be measured or the level of a liquid column in free communication with the main body of the liquid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5/00—Other details
- C10B45/02—Devices for producing compact unified coal charges outside the ov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는: 가스이송관로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관로부와, 관로부의 측면이 개구되어 가스이송관로를 흐르는 안수가 유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유입부와, 관로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안수에 의해 부상되는 부양부 및 부양부와 같이 이동되어 관로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측정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이송관로를 지나는 안수의 수위를 측정하여 가스이송관로의 유지보수 작업 및 후공정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크스 제조공정은 코크스로에서 석탄을 약 1100℃의 고온으로 건류하여 코크스를 생산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코크오븐가스(COG:COKE OVEN GAS)와 안수(암모니아수)는 가스냉각기로 이동된다.
가스냉각기로 이동된 안수와 냉각과정에서 생성된 콜타르(COAL TAR), 타르 슬러지(TAR SLUDGE) 및 기타 부유물질을 포함한 저장유체는 데칸타(DECANTER)로 이동된다.
데칸타의 인입구를 통해 유입된 안수, 콜타르, 타르 슬러지 및 부유물질은 각기 비중이 상이하여 비중 차이에 의하여 분리된다.
비중이 제일 무거운 타르 슬러지(비중: 1.20~1.25)는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타르 슬러지 다음으로 비중이 무거운 콜타르(비중: 1.18)는 조절밸브를 통하여 후공정으로 이송되며, 비중이 제일 가벼운 안수(비중: 1.0)는 안수 배출구를 통해 안수탱크로 이동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코크오븐가스와 안수가 통과되는 가스이송관로에서, 안수의 수위를 측정하여 가스이송관로의 유지보수 작업 및 후공정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는: 가스이송관로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관로부와, 관로부의 측면이 개구되어 가스이송관로를 흐르는 안수가 유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유입부와, 관로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안수에 의해 부상되는 부양부 및 부양부와 같이 이동되어 관로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측정몸체를 포함한다.
또한 측정몸체는, 관로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측정용 눈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관로부에서 측정몸체의 이탈을 구속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토퍼부는, 관로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재 및 측정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걸림부재에 걸리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관로부를 따라 측정몸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부는, 관로부를 따라 장공 형상으로 개구되는 안내홈부 및 측정몸체에서 돌출되어 안내홈부에 위치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는, 유입부를 통해 관로부의 내측으로 유입된 안수에 의하여 부양부와 측정몸체가 이동되어 안수의 수위를 측정하므로, 가스이송관로의 유지보수 작업 및 후공정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가 가스이송관로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가 가스이송관로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가 가스이송관로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부와 측정몸체가 안수에 의해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가 가스이송관로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가 가스이송관로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부와 측정몸체가 안수에 의해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철공장에서 사용되는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가 가스이송관로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가 가스이송관로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가 가스이송관로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부와 측정몸체가 안수에 의해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1)는, 가스이송관로(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관로부(20)와, 관로부(20)의 측면(22)이 개구되어 가스이송관로(10)를 흐르는 안수(19)가 유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유입부(24)와, 관로부(20)의 내측에 설치되며 유입부(24)를 통해 유입된 안수(19)에 의해 부상되는 부양부(30) 및 부양부(30)와 같이 이동되어 관로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측정몸체(40)를 포함한다.
코크오븐가스(18)와 안수(19)가 이동되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가스이송관로(10)의 일측에는 개구부(12)가 구비되며,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1)는 개구부(12)를 통해 가스이송관로(10)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개구부(12)는 차폐커버(16)에 의하여 개폐되며, 이를 위하여 개구부(12)의 외측에는 수나사가 구비되며, 차폐커버(16)의 내측에 암나사가 구비된다.
개구부(12)를 통해 가스이송관로(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관로부(20)는, 내측에 부양부(30)가 상하로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로부(20)의 측면(22)이 개구되어 유입부(24)를 형성하며, 이러한 유입부(24)를 통해 가스이송관로(10)를 흐르는 안수(19)가 관로부(2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24)는 가스이송관로(10)에 설치된 관로부(20)의 하측에 형성되므로, 가스이송관로(10)의 하부를 따라 이동되는 안수(19)가 유입부(24)를 통해 관로부(2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관로부(20)의 내측에는, 유입부(24)를 통해 유입된 안수(19)에 의해 부상되는 부양부(30)가 설치된다.
부양부(30)는, 안수(19)에 의해 부양이 이루어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된 플로트(Float)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부(30)는,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며, 내측에 공간을 구비하는 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부양부(30)의 상측(도 4기준)으로 연장되는 측정몸체(40)는, 안수(19)에 의해 부양부(30)가 부양되는 경우, 부양부(30)와 같이 이동되어 관로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작업자가 측정몸체(40)의 돌출 정도를 육안으로 검사하여 안수(19)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몸체(40)는, 관로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측정용 눈금(42)이 구비되므로, 작업자가 관로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측정몸체(40)에 구비된 측정용 눈금(42)을 읽는 것만으로, 안수(19)의 수위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부양부(30)와 측정몸체(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생산되어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부양부(30)와 측정몸체(40)는 일체로 이동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부양부(30)와 측정몸체(40)가 관로부(20)의 하부(도 4기준)로 이탈되지 않도록 스토퍼부(50)가 구비된다.
관로부(20)에서 측정몸체(40)의 이탈을 구속하는 스토퍼부(50)는, 관로부(2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재(52) 및 측정몸체(4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걸림부재(52)에 걸리는 지지부재(54)를 포함한다.
걸림부재(52)는 관로부(2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걸림부재(52)에 걸리는 지지부재(54)는, 측정몸체(4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부재(54)는 단일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통공이 내측에 구비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54)는, 측정몸체(40)가 관로부(20)의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부재(54)에 걸려서 측정몸체(40)의 하부 이탈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걸림부재(52)의 내경보다 부양부(30)의 외경이 작으므로, 부양부(30)는 걸림부재(52)의 내측을 통과하여 이동이 가능하며, 걸림부재(52)의 내경보다 지지부재(54)의 외경이 크므로, 지지부재(54)는 걸림부재(52)에 걸려서 하부 이동이 구속된다.
관로부(20)를 따라 측정몸체(4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60)가 설치되므로, 부양부(30)와 측정몸체(40)의 상하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60)는, 관로부(20)를 따라 장공 형상으로 개구되는 안내홈부(62) 및 측정몸체(40)에서 돌출되어 안내홈부(62)에 위치하는 안내부재(64)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홈부(62)는, 관로부(20)의 측면(22)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종방향으로 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안내홈부(62)의 상부를 다른 부재로 막아서 안내홈부(62)를 홀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안내부재(64)는, 측정몸체(40)에서 돌출되어 안내홈부(62)에 걸리는 기술사상 안에서, 사각판 형상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다.
이러한 부양부(30), 측정몸체(40), 지지부재(54) 및 안내부재(64)는, 가스이송관로(10)를 따라 흐르는 안수(19)의 수위에 따라 관로부(20)를 따라 이동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양부(30)를 관로부(20)의 상측으로 삽입하여, 관로부(20)의 내측에 부양부(30)와 측정몸체(40)를 설치한다.
측정몸체(40)와 연결된 안내부재(64)는 안내홈부(62)를 따라 하부로 이동하므로, 측정몸체(40)의 상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이송관로(10)의 개구부(12)를 통해 종방향(도 4기준)으로 삽입되어 관로부(20)의 하측이 가스이송관로(10)의 저면부(14)에 접한 상태로 안수(19)의 수위를 측정한다.
관로부(20)가 가스이송관로(10)의 내측에 수직방향(도 4기준)으로 유입되지 않은 경우, 안수(19)의 수위에 따라 이동되는 부양부(30)의 이동거리가 증가하므로, 안수(19)의 수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이송관로(10)를 따라 안수(19)와 코크오븐가스(18)가 흐르는 경우, 안수(19)가 유입부(24)에 구비된 유입공(26)을 통해 관로부(20)의 내측으로 유입되며, 이러한 안수(19)에 의해 부양부(30)가 상측으로 이동된다.
부양부(30)의 상측 이동으로, 측정몸체(40)와 안내부재(64)도 상측으로 이동되며, 측정몸체(40)의 상부(이하 도 5기준)는 관로부(2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작업자는, 관로부(20)에서 돌출된 측정몸체(40)의 측정용 눈금(42)을 체크하는 작업만으로 안수(19)의 수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1)는, 유입부(24)를 통해 관로부(20)의 내측으로 유입된 안수(19)에 의하여 부양부(30)와 측정몸체(40)가 이동되어 안수(19)의 수위를 측정하므로, 가스이송관로(10)의 유지보수 작업 및 후공정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제철공장에서 사용되는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가스와 안수를 동시에 이송시키는 가스이송관로가 설치된 다른 공장에도, 본 발명에 의한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
10: 가스이송관로 12: 개구부
14: 저면부 16: 차폐커버
18: 코크오븐가스 19: 안수
20: 관로부 22: 측면
24: 유입부 26: 유입공
30: 부양부 40: 측정몸체
42: 측정용 눈금 50: 스토퍼부
52: 걸림부재 54: 지지부재
60: 가이드부 62: 안내홈부
64: 안내부재
10: 가스이송관로 12: 개구부
14: 저면부 16: 차폐커버
18: 코크오븐가스 19: 안수
20: 관로부 22: 측면
24: 유입부 26: 유입공
30: 부양부 40: 측정몸체
42: 측정용 눈금 50: 스토퍼부
52: 걸림부재 54: 지지부재
60: 가이드부 62: 안내홈부
64: 안내부재
Claims (6)
- 가스이송관로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관로부;
상기 관로부의 측면이 개구되어 상기 가스이송관로를 흐르는 안수가 유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유입부;
상기 관로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상기 안수에 의해 부상되는 부양부; 및
상기 부양부와 같이 이동되어 상기 관로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측정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몸체는,
상기 관로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측정용 눈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부에서 상기 측정몸체의 이탈을 구속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관로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재; 및
상기 측정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재에 걸리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부를 따라 상기 측정몸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관로부를 따라 장공 형상으로 개구되는 안내홈부; 및
상기 측정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안내홈부에 위치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8118A KR20120110331A (ko) | 2011-03-29 | 2011-03-29 |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8118A KR20120110331A (ko) | 2011-03-29 | 2011-03-29 |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0331A true KR20120110331A (ko) | 2012-10-10 |
Family
ID=47281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8118A KR20120110331A (ko) | 2011-03-29 | 2011-03-29 |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110331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2984B1 (ko) * | 2013-08-12 | 2014-09-23 | 주식회사 포스코 | 가스 포집관 침전물 제거장치 |
-
2011
- 2011-03-29 KR KR1020110028118A patent/KR2012011033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2984B1 (ko) * | 2013-08-12 | 2014-09-23 | 주식회사 포스코 | 가스 포집관 침전물 제거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677678B (zh) | 一种触发上浮式采水装置 | |
KR101882631B1 (ko) | 분체 반송 장치 및 차콜 회수 장치 | |
DOP2015000278A (es) | Transporte de sólidos en un sistema de desulfuración de gases de combustión | |
CN107894260B (zh) | 一种用于气液分离的消气器和气液分离方法 | |
KR20120110331A (ko) |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 | |
CN205003144U (zh) | 一种水质自动监测站 | |
KR101993514B1 (ko) | 유체 누출 감지 장치 | |
JP2015078871A (ja) | 漏洩検知装置 | |
CN105419857A (zh) | 一种新型的管道式油罐自动脱水器 | |
CN202720137U (zh) | 固体物料取样装置 | |
EA201290911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лучшенной гравитационной сепараци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близко расположенных каналов | |
KR101237070B1 (ko) | 가스이송관로용 안수 측정장치 | |
CN206832610U (zh) | 一种输油管道腐蚀速率测试装置 | |
CN205590753U (zh) | 一种钢丝水浴淬火机组的自动加水装置 | |
CN208224204U (zh) | 气体外溢检测装置及刮蜡设备 | |
CN202170790U (zh) | 井口轻油回收装置 | |
KR101921447B1 (ko) | 수중 펌프 구동식 상등수 배출장치 | |
CN205740363U (zh) | 浮球液硫封罐 | |
CN205352820U (zh) | 高温液体样品冷却装置 | |
CN205441513U (zh) | 溴素储罐 | |
RU146824U1 (ru) | Стенд для исследования условий работы и газо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их характеристик лифтовых колонн | |
US8978684B2 (en) | Water knock out bottle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 |
CN204973554U (zh) | 一种湿法脱硫吸收塔ph值测量系统 | |
KR20140004355A (ko) | 빌지 처리 장치 | |
Lee et al. | Development of Aerosol Scrubbing Test Loop for Containment Filtered Vent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