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9834A - 황토 등의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다색 다기능 티슈 - Google Patents

황토 등의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다색 다기능 티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9834A
KR20120109834A KR1020110027517A KR20110027517A KR20120109834A KR 20120109834 A KR20120109834 A KR 20120109834A KR 1020110027517 A KR1020110027517 A KR 1020110027517A KR 20110027517 A KR20110027517 A KR 20110027517A KR 20120109834 A KR20120109834 A KR 20120109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tissue
color
lo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3935B1 (ko
Inventor
원정희
이일휴
윤재만
나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10027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935B1/ko
Publication of KR20120109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1/00Processes for making continuous lengths of paper, or of cardboard, or of wet web for fibre board production, on paper-making machines
    • D21F11/006Making patterned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2Material of vegetable origi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28Colorants ; Pigments or opacify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6Biocidal agents, e.g. 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 D21H2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substances are added
    • D21H23/22Addition to the formed pap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색 다기능 티슈에 관한 것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1종 이상의 색상을 갖는 바탕 영역; 및 바탕 영역 내에서 불연속적으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바탕 영역과 구별되는 색상을 가지며,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영역을 포함하는 티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황토 등의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다색 다기능 티슈{Multi-color and multi-functional tissue having functional materials such like a clay depending on the color}
본 발명은 다양한 색상을 가지며 색마다 다른 기능 또는 다른 재질을 갖는 티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개 이상의 색상을 가지는 티슈에 있어서 각 색상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티슈, 타올 티슈, 화장실용 티슈, 냅킨, 물티슈, 기저귀, 생리대 및 기타 유사한 특성을 갖는 티슈 제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티슈 제품은 흰색 또는 다른 한, 두 가지 색을 갖도록 제조하며, 색을 부여하기 위하여 제조과정 중 염료나 파이버를 투입하거나, 제조 후 인쇄가공 등을 통하여 제한된 색상 및 기능성을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일반적인 티슈제품에서 전통적으로 요구되는 색상이나 기능성 이외에도, 피부에 유익한 각종 효능을 주거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미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등 각종 기능에 대한 요구가 늘어가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821355호에는 기능성 물질이 첨가된 티슈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특허는 동일 재질의 2장의 티슈지 사이에 황토분말, 콜라겐, 동백유, 코코넛 오일 등의 기능성 물질과 접착제의 혼합물을 투입하여 기능성 물질을 코팅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황토의 원적외선 효과에 의한 노화방지, 혈액순환촉진, 스트레스 해소 등의 자정작용과 곰팡이 등에 의한 항균력을 높이고 음식냄새 및 암모니아 냄새 등의 유해가스를 흡착하는 기능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401034호에는 항균 피부 로션을 갖는 티슈 페이퍼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특허는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를 퇴치하는 항균물질이 함유된 로션 조성물로 처리된 항균 티슈의 제조기술에 관한 것으로, 건조된 웹의 표면에 도포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능성 티슈에 대한 특허의 경우, 동일한 재질의 펄프지 표면이나 동일한 다겹의 펄프지 사이에 하나 이상의 기능성 물질의 혼합물을 코팅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어 왔으나, 이러한 기능성 물질들의 혼합물에서는 기능성 물질들이 동일한 형상이어야 하며, 제조방법이 동일해야 하는 제약이 따른다.
예를 들어, 천연염료는 티슈 제조과정 중 초지 과정에서 물과 혼합하여 염색해야 하므로, 티슈의 건조 과정에서 코팅하는 보습로션 조성물과 혼합하여 적용할 수 없다.
또한, 분말상태로 코팅하는 기능성 물질은 제형이 다른 액상추출물의 기능성 물질과 동시에 섞어 티슈에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여러 가지 기능을 부여하고자 할 때, 각각의 기능성 물질이 서로 간섭하여 원하는 기능을 100%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실제적으로 사용자가 서로 다른 기능을 인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색 및 다기능의 티슈를 제조하되, 색상별로 기능을 분리하여 각각의 색에 서로 다른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각 색에 적용된 피부에 유익한 효능 물질들간의 간섭 없이 그 효과가 최대한 발휘되며, 그 효과에 대하여 사용자가 분리하여 인지할 수 있는 다색 다기능 티슈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분리된 색에 서로 다른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수분공급과 유분 제거 등 동시에 발현될 수 없는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티슈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1종 이상의 색상을 갖는 바탕 영역; 및 바탕 영역 내에서 불연속적으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바탕 영역과 구별되는 색상을 가지며,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영역을 포함하는 티슈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 영역은 개별적으로는 단색으로 이루어지되, 전체적으로는 2종 이상의 색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기능성 영역은 색상마다 각기 다른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 색에 적용된 피부에 유익한 효능 물질들간의 간섭 없이 그 효과가 최대한 발휘되고, 그 효과에 대하여 사용자가 분리하여 인지할 수 있으며, 또한 수분공급과 유분 제거 등 동시에 발현될 수 없는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탕 영역과 기능성 영역은 각각 독립적으로 천연 소재 및 합성 소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바탕 영역과 기능성 영역은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지되, 두 영역의 재질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탕 영역과 기능성 영역의 색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천연 염료, 인공 염료, 식용색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천연 염료로는 쪽, 꼭두서니, 석류, 금잔화, 밤, 아카시아, 대황, 오배자, 감, 뽕나무, 치자, 홍화, 소목, 단풍나무, 고구마, 오징어먹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 물질은 항균제, 항염제, 주름 개선제, 미백제, 피부 진정제, 자외선 차단제, 흡유제, 보습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항균제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올리브, 계피, 생강, 소나무, 이질풀, 스피어민트, 감송유, 쑥국화, 샐비아, 허브, 왁스애플, 워터애플, 황백, 어성초, 선학초, 백년초, 작약, 육두구, 정향, 유칼립투스, 자몽, 인삼, 잔소리자 등과 같은 천연물질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항염제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루페나믹산, 이부프로펜, 벤지다민, 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알부틴 등의 합성 항염제, 그리고 아카시아, 굴피나무열매, 자작나무 수액, 애기수영, 대황, 백봉령, 곽향 등의 천연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주름 개선제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포도뿌리추출물, 폴리에톡실레이티드 레틴아미드, 아데노신 및 이의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미백제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파-비사보롤, 락토바실러스/황기추출물, 락토바실러스/가시오가피뿌리추출물, 유용성감초추출물, 에틸아스코빌에테르, 알부틴 및 이의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피부 진정제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파비사보롤, 알로에베라, 만지스타, 구갈, 콜라겐, 녹차, 은행, 해초, 라벤더, 카모마일, 티트리, 레몬밤, 벌꿀, 아보카도, 소이빈 등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자외선 차단제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호모살레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폰산, 파바, 티타늄디옥사이드, 티이에이-살리실레이트, 징크옥사이드,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 에틸헥산. 시녹세이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벤조페톤, 드로메트리졸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흡유제로는 폴리프로필렌 합성물질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습제로는 알로에 성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 물질은 분말형태의 고형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분말형태의 고형성분으로는 황토, 숯, 옥, 은, 식물의 미세 분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 물질은 젤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젤상 조성물으로는 세안용 크림, 세안용 로션, 마사지크림, 스킨로션, 밀크로션, 영양크림, 팩, 에센스, 밑 화장용 크림, 파운데이션, 바디로션, 자외선 차단용 크림, 자외선 차단용 로션, 미백크림, 미백로션, 여드름 치료용 크림, 여드름 치료용 로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기능성 영역을 제조하는 단계; 및 기능성 영역을 바탕 영역의 제조과정 중 초지 형성 이전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티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능성 영역은 기능성 물질이 전체적으로 분포된 티슈 형태로 제조한 후, 분쇄 또는 절단한 다음, 바탕 영역의 제조과정 중에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능성 영역은 부직포 형태로 만든 후, 바탕 영역의 제조과정 중에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티슈의 제조방법은 바탕 영역을 제조하는 단계; 및 기능성 물질을 바탕 영역 위에 도포 또는 인쇄하여 기능성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이 실시형태의 경우, 티슈 형성 이후에 도포, 인쇄 등을 통하여 기능성 물질을 추가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기능성 영역은 파지, 티슈, 천연물질 및/또는 합성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색 및 다기능의 티슈를 제조하되, 색상별로 기능을 분리하여 각각의 색에 서로 다른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각 색에 적용된 피부에 유익한 효능 물질들간의 간섭 없이 그 효과가 최대한 발휘되며, 그 효과에 대하여 사용자가 분리하여 인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분리된 색에 서로 다른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수분공급과 유분 제거 등 동시에 발현될 수 없는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색 다기능 티슈의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색 다기능 티슈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3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자극 완화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보습력 증가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색 다기능 티슈의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본 발명의 티슈는 바탕 영역(10) 및 기능성 영역(20)으로 구성되고, 기능성 영역은 색상 및 기능별로 제1기능성 영역(21), 제2기능성 영역(22), 제3기능성 영역(23), 제4기능성 영역(24) 등으로 구성된다.
바탕 영역(10)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펄프, 천연물질 및/또는 합성 물질 등의 웹 영역으로서, 1종 또는 그 이상의 색상을 갖는다.
기능성 영역(20)은 다색 다기능을 포함하는 불연속적인 영역으로서, 바탕 영역(10)의 티슈 제조 단계 중 초지 형성 이전 단계 중에 각각의 색상과 기능을 가진 파지, 티슈, 천연물질 및/또는 합성물질로 이루어진 원료를 삽입하거나, 바탕 영역(10)을 제조한 후 그 위에 도포 또는 인쇄 과정을 거쳐 형성함으로써, 바탕 영역(10)과는 다른 구성 형태를 갖도록 한다.
기능성 영역(20)은 바탕 영역(10) 내에서 불연속적으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바탕 영역(10)과 구별되는 색상을 가지며,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다.
기능성 영역(20)은 바탕 영역(10) 내에서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로 존재하며, 도 1과 같이 각 색상별로도 하나 이상 존재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성 영역(20)은 개별적으로는 단색으로 이루어지되, 전체적으로는 2종 이상의 색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기능성 영역(20)은 색상마다 각기 다른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파란색으로 표시되는 제1기능성 영역(21)에는 흡유 기능을 부여할 수 있고, 보라색으로 표시되는 제2기능성 영역(22)에는 항균 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노란색으로 표시되는 제3기능성 영역(23)에는 피부 진정 기능을 부여할 수 있고, 녹색으로 표시되는 제4기능성 영역(24)에는 보습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색에 적용된 피부에 유익한 효능 물질들간의 간섭 없이 그 효과가 최대한 발휘되고, 그 효과에 대하여 사용자가 분리하여 인지할 수 있으며, 또한 수분공급과 유분 제거 등 동시에 발현될 수 없는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바탕 영역(10)과 기능성 영역(20)은 각각 독립적으로 천연 소재 및 합성 소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바탕 영역(10)과 기능성 영역(20)은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지되, 두 영역의 재질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바탕 영역(10)과 기능성 영역(20)의 색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천연 염료, 인공 염료, 식용 색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천연 염료로는 쪽, 꼭두서니, 석류, 금잔화, 밤, 아카시아, 대황, 오배자, 감, 뽕나무, 치자, 홍화, 소목, 단풍나무, 고구마, 오징어먹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능성 영역(20)에 함유되는 기능성 물질로는 항균제, 항염제, 주름 개선제, 미백제, 피부 진정제, 자외선 차단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개별 기능성 영역(20)은 하나의 색상만으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기능성 물질만을 포함하며, 특히 색상별로 기능성을 분리한다.
항균제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올리브, 계피, 생강, 소나무, 이질풀, 스피어민트, 감송유, 쑥국화, 샐비아, 허브, 왁스애플, 워터애플, 황백, 어성초, 선학초, 백년초, 작약, 육두구, 정향, 유칼립투스, 자몽, 인삼, 잔소리자 등과 같은 천연물질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항염제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루페나믹산, 이부프로펜, 벤지다민, 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알부틴 등의 합성 항염제, 그리고 아카시아, 굴피나무열매, 자작나무 수액, 애기수영, 대황, 백봉령, 곽향 등의 천연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주름 개선제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포도뿌리추출물, 폴리에톡실레이티드 레틴아미드, 아데노신 및 이의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미백제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파-비사보롤, 락토바실러스/황기추출물, 락토바실러스/가시오가피뿌리추출물, 유용성감초추출물, 에틸아스코빌에테르, 알부틴 및 이의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피부 진정제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파비사보롤, 알로에베라, 만지스타, 구갈, 콜라겐, 녹차, 은행, 해초, 라벤더, 카모마일, 티트리, 레몬밤, 벌꿀, 아보카도, 소이빈 등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제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호모살레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폰산, 파바, 티타늄디옥사이드, 티이에이-살리실레이트, 징크옥사이드,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 에틸헥산. 시녹세이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벤조페톤, 드로메트리졸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흡유제로는 폴리프로필렌 합성물질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습제로는 알로에 성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능성 물질은 분말형태의 고형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분말형태의 고형성분으로는 황토, 숯, 옥, 은, 식물의 미세 분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능성 물질은 젤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젤상 조성물으로는 세안용 크림, 세안용 로션, 마사지크림, 스킨로션, 밀크로션, 영양크림, 팩, 에센스, 밑 화장용 크림, 파운데이션, 바디로션, 자외선 차단용 크림, 자외선 차단용 로션, 미백크림, 미백로션, 여드름 치료용 크림, 여드름 치료용 로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색 다기능 티슈의 제조공정도로서, 티슈 제조공정은 펄프 제조 단계, 해리 단계, 정선 및 세척 단계, 초지 형성 단계, 건조 단계, 합지 단계, 가공 및 포장 단계 등으로 구성된다.
펄프 제조단계에서는 목재나 그 밖의 식물체를 기계적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펄프를 만든다.
해리 단계에서는 펄프를 물에 풀고 너무 긴 섬유를 알맞게 절단하거나 가로로 길게 째거나 눌러서 으깨는 방법으로 콜로이드화한다.
정선 및 세척 단계에서는 체, 스크린 등으로 주원료 이외의 이물질을 걸러서 제거한다.
초지 형성 단계에서는 초지기를 이용하여 초지를 형성한다.
건조 단계에서 형성된 초지를 탈수시켜 건조한다.
합지 단계에서는 2장 이상의 초지를 합지한다.
마지막으로, 가공 및 포장한다.
바탕 영역을 이루는 티슈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며, 기능성 영역을 이루는 재료는 상술한 방법 또는 다른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기능성 영역 재료를 파지, 티슈, 천연물질, 합성물질 등을 이용하여 제조한 후, 이를 상술한 티슈의 제조과정 중 초지 형성 이전에 삽입하거나, 바탕 영역을 형성한 후 도포 또는 인쇄 방식으로 삽입할 수 있다.
기능성 영역은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서 만들어질 수 있다. 첫째, 바탕 영역의 제조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만들되, 티슈 형성과정에서 기능성 물질을 원료 형태(액상, 고상 또는 분말 형태)로 삽입하여 전체 영역에 걸쳐서 기능성 물질을 갖는 티슈로 만들고, 이를 분쇄 또는 절단을 통해 잘게 쪼갠 후, 바탕영역 제조 단계에 삽입하는 방법이다. 둘째, 부직포 공법 또는 필름 가공 등의 방법을 통하여 합성 부직포를 만들고, 이를 바탕영역 제조 단계에 삽입하는 방법이다. 셋째,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액상 또는 고상을 만든 후 바탕 영역 위에 도포 또는 인쇄 등을 통하여 기능성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도 1과 같이 흰색의 바탕 영역(10)에 파란색으로 표시되는 2개의 제1기능성 영역(21), 보라색으로 표시되는 2개의 제2기능성 영역(22), 노란색으로 표시되는 3개의 제3기능성 영역(23), 녹색으로 표시되는 3개의 제4기능성 영역(24)을 갖는 다색 다기능 티슈를 제조하였다.
파란색의 제1기능성 영역(21)은 파란색 염료 및 흡유 기능을 하는 폴리프로필렌 합성물질을 함유하고, 보라색의 제2기능성 영역(22)은 보라색 염료 및 항균물질로서 올리브 추출물을 함유하며, 노란색의 제3기능성 영역(23)은 레몬, 치자 등의 천연 염료 및 피부 진정제로서 알파-비사보롤을 함유하고, 녹색의 제4기능성 영역(24)은 녹색 염료 및 알로에 성분을 함유하였다.
[비교예 1]
친유성기를 가진 합성파이버로 이루어진 티슈
[비교예 2]
보습 기능을 위한 알로에 로션의 단일 기능성 물질로 구성된 티슈
[비교예 3]
황토 염료와 쑥, 치자 등의 다양한 식물성 염액을 이용한 기능성 물질로 구성된 티슈
[시험예 1]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티슈의 기능성 인지 여부를 시험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성인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하여 관능평가로 실시하였다.
<관능평가의 기준>
0: 기능성 물질이 시각적으로 인지되지 않음.
1: 기능성 물질이 시각적으로는 인지되나, 기능발현이 인지되지 않음.
2: 기능성 물질이 시각적으로는 인지되지 않으나, 기능 발현이 인지됨.
3: 기능성 물질이 시각적으로 확실히 인지되며, 기능발현이 인지됨.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관능평가 결과 3 2 0 1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다색 다기능 티슈의 경우 기능성 물질이 시각적으로 확실히 인지되고 기능발현이 인지되었으나, 비교예의 티슈는 부분적으로만 인지되었다.
[시험예 2]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티슈에 대하여 오일 흡수 실험을 실시하였다.
오일 흡수를 위하여 실시예의 티슈 중 흡유기능을 가진 파란색 영역 1 g을 취했으며(실시예 2), 다른 티슈들은 각각 1 g씩 취한 후, 콩기름 등의 식물성 오일에 10분간 함침한 다음,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2분 동안 분리한 후, 흡유된 오일의 양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초기 무게 1 g 1 g 1 g 1 g
나중 무게 3.5 g 3.6 g 1.5 g 1.4 g
증가 무게
(오일흡유량)
2.5 g 2.6 g 0.5 g 0.4 g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다색 다기능 티슈는 친유성기를 가진 합성파이버로 이루어진 비교예 1의 티슈와 동등 수준의 흡유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3]
실시예의 항균영역을 나타내는 보라색 영역의 시험편(실시예 3)과 비교예 1, 2, 3의 대조편 3종의 티슈에 대하여, 직물 및 기타 섬유 제품의 항균도 시험(KS K 0693)을 이용하여 항균도를 시험하였다.
시험편은 적당한 크기로 0.4 g을 채취하였다. 또한, 대조편도 시험편과 같은 크기로 채취하였다. 접종원으로는 보존균을 뉴트리언트 한천 평판 배지상에 획선을 그어 접종하고, 37±1℃에서 24 내지 28시간 배양하였다. 이 평판을 5 내지 10℃에서 보존하였고, 1주 이상 보존한 것은 사용하지 않았으며, 한번 사용한 것은 사용하지 않았다. 배양된 뉴트리언트 한천 평판 배지에서 일부를 취하여 뉴트리언트 배지 20 mL가 담긴 100 mL 삼각 플라스크에 접종한 후 37±1℃에서 18 내지 24시간 진동 배양하였다. 배양 후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일정한 흡광도가 되도록 조제하여 접종액으로 하였다(0℃에서 보존시 4시간 이내에는 사용 가능).
나사식 뚜껑을 가진 약 30 mL 용량의 유리용기 안에 시험편을 넣어 흔들었다. 대조편 6검체, 시험편 3검체를 채취하였다. 하나의 유리용기 안에 넣는 시험편 및 대조편의 양은 접종원을 흡수할 수 있고 유리용기 안에 유동하는 접종원이 없도록 하였다. 시험편과 섬유 종류는 같으나 항균 가공을 하지 않은 것을 대조편으로 하였다. 접종원을 피펫으로 정확히 0.2 mL 채취하여 각 유리용기에 있는 시험편 및 대조편 위에 골고루 살포되도록 주의해서 접종하였다, 건조를 막기 위해서 뚜껑을 꼭 닫았다. 시험균액을 접종한 대조편 3검체, 가공시료 3검체가 담긴 유리용기를 37±1℃에서 18±1시간 배양하였다. 접종균 접촉 후 즉시 균액을 추출하고, 접종후 가능한 빨리 접종된 대조편을 담고 있는 유리용기에 0℃의 중화용액 20 mL를 넣고 심하게 흔들어 준 다음, 각 검체로부터 균액을 추출해낸 후 생리 식염수를 이용하여 계속해서 희석시켰다. 이것으로 각각 1.0 mL를 정확히 채취하여 페트리 접시에 떨어뜨린 후, 45 내지 46℃의 뉴트리언트 한천배지(6.1.2) 약 15 mL를 부어 골고루 섞이도록 배양하였다. 37±1℃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모든 평판 배지를 배양하고, 배양 후 생균수 30 내지 300개의 콜로니가 있는 페트리 접시의 콜로니를 세어서 기록하였다. 다음 식에 의해 생균수를 계산하였다(유효 숫자 2자리).
[수학식 1]
M = Z × R × 20
여기에서
M: 생균수
Z: 콜로니 수
R: 희석 배수
20: 추출용 생리 식염수의 양
다음 식과 같이 시험편에 의한 세균의 살균 감소율과 정균 감소율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2]
살균 감소율(%) = (Ma - Mc) / Ma × 100
정균 감소율(%) = (Mb - Mc) / Mb × 100
여기에서
Ma: 대조편의 접종 직후의 생균수(3검체의 평균값)
Mb: 대조편의 18시간 배양 후 생균수(3검체의 평균값)
Mc: 시험편의 18시간 배양 후 생균수(3검체의 평균값)
감소값으로 표시할 경우, 다음 식과 같이 시험편에 의한 세균의 살균 감소값과 정균 감소값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3]
살균 감소값 = logMa - logMc
정균 감소값 = logMb - logMc
초기 균수 24시간 후 감소율
실시예 3
(보라색 영역)
1.4×106 20 이하 99.99%
비교예 1 1.3×106 1.3×105 10%
비교예 2 1.2×106 1.5×107 -10%
비교예 3 1.4×106 20 이하 99.99%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다색 다기능 티슈는 항균기능을 갖는 비교예 3의 티슈와 동등 수준의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4]
실시예의 피부 진정효과를 나타내는 노란색 영역의 시험편(실시예 4)과 비교예 1, 2, 3의 대조편 3종의 티슈에 대하여, 피부 자극 실험을 건강한 성인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CTFA 가이드라인[참고문헌: The Cosmetic, Toilit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D.C., 20036, 1991]에 따라 실시하였다.
실험방법은 핀 챔버(Finn Chamber)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시료를 각각 15 mg씩 적하시킨 후, 이것을 시험 부위인 인체의 등에 얹어 테이프로 고정시켰다. 이어서 24시간 동안 첩포한 후, 첩포를 제거하고 다시 4시간 경과한 다음, 시험 부위의 피부 반응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판정하였다. 또한, SLS(Sodium lauryl Sulfate)에 대한 자극완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SLS 0.5%(w/v) 및 실시예와 비교예의 시료 각각 0.1%(v/v)를 혼합한 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증상의 판정기준은 아래와 같다.
<증상의 판정 기준>
0: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 없음
1: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2: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3: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 오름
[수학식 4]
자극도 = [{0×명} + {1×명} + {2×명} + {3×명}] / 피시험자 수
시료 판정결과(명) 자극도
3 2 1 0
증류수 0 3 6 41 0.24
SLS(0.5%(w/v)) 1 4 11 34 0.38
실시예 4 0 1 7 52 0.18
비교예 1 1 3 13 33 0.38
비교예 2 0 1 9 40 0.22
비교예 3 0 1 10 39 0.24
SLS(0.5%(w/v))+실시예4 0 0 2 48 0.04
SLS(0.5%(w/v))+비교예1 0 4 10 36 0.36
SLS(0.5%(w/v))+비교예2 0 0 5 45 0.10
SLS(0.5%(w/v))+비교예3 0 1 8 41 0.20
도 3 및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다색 다기능 티슈는 비교예의 티슈에 비해 우수한 피부진정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5]
실시예의 보습효과를 나타내는 녹색 영역의 시험편(실시예 5)과 비교예 1, 2, 3 티슈의 보습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보습 증가율에 대한 비교평가를 실시하였다.
보습 증가율을 평가하는 Corneometer CM820 및 Skicon-200 기기를 이용하여 건강한 성인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온도 22℃ 및 상대습도 50%의 실험조건을 갖춘 항온항습 실험실에서 시행하였고, 시험대상자는 실험전 30분 동안 항온항습실에서 지내면서 안정한 조건을 갖추도록 했다. 시험시료는 가로 10 cm, 세로 10 cm로 절취하여 미리 준비하였다. 실험방법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험시료를 시험대상자에 도포하기 전에 Cormeometer와 Skicon을 이용하여 팔의 보습력을 측정하고, 시험시료 도포 1시간, 3시간, 6시간 후의 보습력을 측정하여 시험시료 도포전과 시험시료 도포후의 차이값을 백분율로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다색 다기능 티슈는 보습처리된 비교예 2의 티슈와 동등 수준 이상의 보습효과를 나타내었다.
10: 바탕 영역
20: 기능성 영역
21: 제1기능성 영역
22: 제2기능성 영역
23: 제3기능성 영역
24: 제4기능성 영역

Claims (23)

  1.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바탕 영역; 및
    바탕 영역 내에서 불연속적으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복수의 기능성 물질을 독립적으로 함유하는 복수의 기능성 영역을 포함하는 티슈.
  2. 제1항에 있어서,
    바탕 영역은 1종 이상의 색상을 갖고, 복수의 기능성 영역은 바탕 영역과 구별되는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기능성 영역은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4. 제3항에 있어서,
    기능성 영역은 색상마다 각기 다른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5. 제1항에 있어서,
    바탕 영역과 기능성 영역은 각각 독립적으로 천연 소재 및 합성 소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6. 제1항에 있어서,
    바탕 영역과 기능성 영역의 색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천연 염료, 인공 염료, 식용색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7. 제6항에 있어서,
    천연 염료 및 식용색소는 쪽, 꼭두서니, 석류, 금잔화, 밤, 아카시아, 대황, 오배자, 감, 뽕나무, 치자, 홍화, 소목, 단풍나무, 고구마, 오징어먹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자연물 유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8. 제1항에 있어서,
    기능성 물질은 항균제, 항염제, 주름 개선제, 미백제, 피부 진정제, 자외선 차단제, 흡유제, 보습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9. 제8항에 있어서,
    항균제는 올리브, 계피, 생강, 소나무, 이질풀, 스피어민트, 감송유, 쑥국화, 샐비아, 허브, 왁스애플, 워터애플, 황백, 어성초, 선학초, 백년초, 작약, 육두구, 정향, 유칼립투스, 자몽, 인삼, 잔소리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10. 제8항에 있어서,
    항염제는 프루페나믹산, 이부프로펜, 벤지다민, 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알부틴으로 구성되는 합성 항염제; 및 아카시아, 굴피나무열매, 자작나무 수액, 애기수영, 대황, 백봉령, 곽향으로 구성되는 천연 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11. 제8항에 있어서,
    주름 개선제는 포도뿌리추출물, 폴리에톡실레이티드 레틴아미드, 아데노신 및 이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12. 제8항에 있어서,
    미백제는 알파-비사보롤, 락토바실러스/황기추출물, 락토바실러스/가시오가피뿌리추출물, 유용성감초추출물, 에틸아스코빌에테르, 알부틴 및 이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13. 제8항에 있어서,
    피부 진정제는 알파비사보롤, 알로에베라, 만지스타, 구갈, 콜라겐, 녹차, 은행, 해초, 라벤더, 카모마일, 티트리, 레몬밤, 벌꿀, 아보카도, 소이빈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14. 제8항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제는 호모살레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폰산, 파바, 티타늄디옥사이드, 티이에이-살리실레이트, 징크옥사이드,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 에틸헥산. 시녹세이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벤조페톤, 드로메트리졸 및 이들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15. 제1항에 있어서,
    기능성 물질은 분말형태의 고형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16. 제15항에 있어서,
    분말형태의 고형성분은 황토, 숯, 옥, 은, 식물의 미세 분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17. 제1항에 있어서,
    기능성 물질은 젤상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18. 제17항에 있어서,
    젤상 조성물은 세안용 크림, 세안용 로션, 마사지크림, 스킨로션, 밀크로션, 영양크림, 팩, 에센스, 밑 화장용 크림, 파운데이션, 바디로션, 자외선 차단용 크림, 자외선 차단용 로션, 미백크림, 미백로션, 여드름 치료용 크림, 여드름 치료용 로션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19.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기능성 영역을 제조하는 단계; 및
    기능성 영역을 바탕 영역의 제조과정 중 초지 형성 이전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티슈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기능성 영역은 기능성 물질이 전체적으로 분포된 티슈 형태로 제조한 후, 분쇄 또는 절단한 다음, 바탕 영역의 제조과정 중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의 제조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기능성 영역은 부직포 형태로 만든 후, 바탕 영역의 제조과정 중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의 제조방법.
  22. 바탕 영역을 제조하는 단계; 및
    기능성 물질을 바탕 영역 위에 도포 또는 인쇄하여 기능성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티슈의 제조방법.
  23. 제19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기능성 영역은 파지, 티슈, 천연물질, 합성물질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의 제조방법.
KR1020110027517A 2011-03-28 2011-03-28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다색 다기능 티슈 KR101233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517A KR101233935B1 (ko) 2011-03-28 2011-03-28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다색 다기능 티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517A KR101233935B1 (ko) 2011-03-28 2011-03-28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다색 다기능 티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834A true KR20120109834A (ko) 2012-10-09
KR101233935B1 KR101233935B1 (ko) 2013-02-15

Family

ID=47280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517A KR101233935B1 (ko) 2011-03-28 2011-03-28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다색 다기능 티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9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68837A (zh) * 2019-06-26 2020-08-25 李和伟 一种祛痘干巾及包装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023935A1 (es) * 1999-04-23 2002-09-04 Kimberly Clark Co Un producto de tisu o de toalla que tiene dos superficies externas, un metodo para hacer dicho producto, una composicion incrementada de barrera de la piely un metodo para incrementar/restaurar/mantener la funcion de barrera de la piel de un usuario
US6896766B2 (en) * 2002-12-20 2005-05-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per wiping products treated with a hydrophobic additive
KR20030079903A (ko) * 2003-09-26 2003-10-10 조광래 향수성분을 포함하는 압착 티슈 구조
KR20090088509A (ko) * 2008-02-15 2009-08-20 임봉춘 녹차농축액이 함유된 화장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68837A (zh) * 2019-06-26 2020-08-25 李和伟 一种祛痘干巾及包装
CN111568837B (zh) * 2019-06-26 2022-05-24 李和伟 一种祛痘干巾及包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3935B1 (ko) 201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307B1 (ko) 수용성 규소가 포함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US7198780B2 (en) Self-tanning composition in sheeted substrate
CN106236687A (zh) 一种叶绿素抗皱面霜及其制备方法
CN110522655A (zh) 一种具有蓝色乳光和丁达尔效应的活性多肽奶基质脂质体精华水及其制备方法
KR20130028192A (ko) 복합 기능 황토 한지 얼굴 미용 마스크 시트 팩
WO2013012197A2 (ko)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574556B1 (ko) 둥근마, 신선초, 오크라 및 토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102227916B1 (ko) 천연 재료로 제조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20210023965A (ko) 천연 재료로 제조된 마스크팩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07969B1 (ko) 과일 및 흑초의 혼합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33935B1 (ko)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다색 다기능 티슈
KR101966747B1 (ko) 녹용의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056263B1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34794B1 (ko) 피부각질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각질 제거용 패치
KR101497191B1 (ko) 블랙헤드 및 피지제거 효과를 갖는 피부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105222A (ko)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132285A (ko) 과실 식초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8532B1 (ko) 추출 수율 및 미네랄 함량이 증진된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0794519B1 (ko) 새싹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3839390B2 (ja) 化粧料
KR102057829B1 (ko) 치마버섯 균사체 또는 이의 배양물로부터 분리된 베타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충진 앰플
KR20070074005A (ko) 나무섬유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772336B1 (ko) 율피, 가자추출물을 안정화한 니오좀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951295B1 (ko) 화피 및 녹용의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