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9833A - 녹화 구조물 - Google Patents

녹화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9833A
KR20120109833A KR1020110027516A KR20110027516A KR20120109833A KR 20120109833 A KR20120109833 A KR 20120109833A KR 1020110027516 A KR1020110027516 A KR 1020110027516A KR 20110027516 A KR20110027516 A KR 20110027516A KR 20120109833 A KR20120109833 A KR 20120109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planting
tank
green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6660B1 (ko
Inventor
김완순
서지현
윤나희
손혜영
정순진
이재석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재석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27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660B1/ko
Publication of KR20120109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6Reservoirs, separate from plant-pots, dispensing directly into root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저수공간이 형성된 상부수조(100); 상부수조(100)의 물이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상부수조(100)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식물(1)의 뿌리가 수납되도록 중간에 식재공(201)이 형성된 파이프(200); 파이프(200)를 통해 낙하하는 물이 담기도록, 내부에 저수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파이프(200)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수조(300); 하부수조(300)의 물을 상부수조(100)에 공급하는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구조물을 제시함으로써, 식물에 대하여 공급된 물을 재활용할 수 있고, 실내외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녹화 구조물{STRUCTURE FOR PLATING}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실내외의 녹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시의 환경을 개선하고자, 건물의 내외에 녹화 구조물을 조성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녹화 구조물은 종래의 인테리어의 개념을 뛰어넘어, 건물의 내외부에서 녹지를 향유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최근 부각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벽면 녹화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었다.
즉, 녹화 구조물에 식재된 식물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물이 공급되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를 재활용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는 점, 녹화 구조물이 설치된 실내의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려가 없었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식물에 대하여 공급된 물을 재활용할 수 있고, 실내외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녹화 구조물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저수공간이 형성된 상부수조(100); 상기 상부수조(100)의 물이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상부수조(100)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식물(1)의 뿌리가 수납되도록 중간에 식재공(201)이 형성된 파이프(200); 상기 파이프(200)를 통해 낙하하는 물이 담기도록, 내부에 저수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파이프(200)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수조(300); 상기 하부수조(300)의 물을 상기 상부수조(100)에 공급하는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파이프(200)는 상기 상부수조(100) 및 하부수조(30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수조(300)에는 끼움돌기(310)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200)의 하단은 상기 끼움돌기(3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수조(100)에는 결합공(110)이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200)의 상단은 상기 결합공(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이프(200)는 열지어 다수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이프(200)의 식재공(201)에는 식재관(202)이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재관(202)은 상기 식재공(201)에서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재공(201)은 상기 파이프(200)의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이프(200)는 복수의 부품 파이프(210,220,23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부품 파이프(210,220,230)는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상기 식재공(201)은 상기 복수의 부품 파이프(210,220,230)에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이프(200)는 대나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식물에 대하여 공급된 물을 재활용할 수 있고, 실내외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녹화 구조물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녹화 구조물의 제1 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녹화 구조물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하부수조의 사시도.
도 4는 하부수조와 파이프의 단면도.
도 5는 상부수조와 파이프의 사시도.
도 6은 파이프와 식재관의 단면도.
도 7은 녹화 구조물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녹화 구조물의 제2 실시예의 제1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녹화 구조물의 제2 실시예의 정면도.
도 10은 녹화 구조물의 제2 실시예의 제2 사용상태의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녹화 구조물은 기본적으로, 내부에 저수공간이 형성된 상부수조(100); 상부수조(100)의 물이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상부수조(100)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식물(1)의 뿌리가 수납되도록 중간에 식재공(201)이 형성된 파이프(200); 파이프(200)를 통해 낙하하는 물이 담기도록, 내부에 저수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파이프(200)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수조(300); 하부수조(300)의 물을 상부수조(100)에 공급하는 모터, 공급관 등의 공급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하부수조(300)로부터 공급장치에 의해 물이 공급되는 상부수조(100)를 설치하고, 그 상부수조(100)로부터 물이 파이프(200)를 통해 낙하하여 하부수조(300)에 담기도록 하면서, 그 파이프(200)의 중간에 형성된 식재공(201)에 식물(1)을 식재(植栽)하여, 파이프(200)를 타고 내려오는 물이 식물에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식물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면서도, 파이프 및 식물의 조합에 의해 실내외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파이프(200)는 합성수지 재질 등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으나, 대나무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대나무 파이프(200)의 식재공(201)에 식물이 식재된 형상에 의해 우수한 미관을 제공할 수 있다(도 2).
상부수조(100)에도 식물(1)을 식재하는 경우, 더욱 우수한 미관을 얻을 수 있다(도 2).
본 발명에 의한 녹화 구조물은 벽면에 고정된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고, 실내의 중간에 설치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파이프(200)가 상부수조(100) 및 하부수조(30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을 취하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이 공간을 구획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파이프(200)의 식재공(201)에 식재된 식물(1)이 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수의 파이프(200)가 열지어 설치되는 경우, 일부의 파이프(200)의 식재공(201)은 일측을 향하도록 하고, 다른 일부의 파이프(200)의 식재공(201)은 타측을 향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구획된 양측 공간에 대하여 모두 식물(1)이 향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
파이프(200)의 회전을 위해서는, 하부수조(300)에 끼움돌기(310)가 형성되고, 파이프(200)의 하단이 그 끼움돌기(3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4).
또한, 파이프(200)의 상단의 경우, 상부수조(100)에 결합공(110)이 형성되고, 파이프(200)의 상단이 결합공(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를 취하면 된다(도 5).
상부수조(100)의 결합공(110)과 파이프(200) 사이의 공간은 별도의 방수부재 등에 의해 물이 새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파이프(200)의 식재공(201)에는 식물(1)의 뿌리를 직접 수납할 수도 있으나, 극세사포와 같은 천에 의해 식물(1)의 뿌리를 감싸 심지를 형성하고, 이를 식재공(201)에 수납하는 것이 식물에 대한 물의 안정적인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나아가, 파이프(200)의 식재공(201)에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식재관(202)을 설치하고, 이 식재관(202)에 식물을 수납하는 경우 더욱 안정적인 식재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도 6 내지 9).
이러한 식재관(202)은 식재공(201)에서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안정적인 식재구조를 이루기 위하여 더욱 바람직하다.
식재공(201) 및 식재관(202)은 파이프(200)의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가 형성되는 것이 많은 식물의 식재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한편, 파이프(200)가 복수의 부품 파이프(210,220,23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복수의 부품 파이프(210,220,230)는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식재공(201)(또는 식재관(202))은 복수의 부품 파이프(210,220,230)에 각각 형성된 구성을 취하는 경우, 각각의 부품 파이프(210,220,230)를 그 식재공(201)(또는 식재관(202))이 상호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이 실내공간의 구획을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 양측에 대하여 식물이 향하는 구조를 더욱 용이하고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도 6).
여기서, 상측의 부품 파이프(210)와 하측의 부품 파이프(220)는 상호 요철 결합구조 등에 의해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면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상부수조 200 : 파이프
201 : 식재공 202 : 식재관
210,220,230 : 부품 파이프 300 : 하부수조
310 : 끼움돌기

Claims (10)

  1. 내부에 저수공간이 형성된 상부수조(100);
    상기 상부수조(100)의 물이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상부수조(100)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식물(1)의 뿌리가 수납되도록 중간에 식재공(201)이 형성된 파이프(200);
    상기 파이프(200)를 통해 낙하하는 물이 담기도록, 내부에 저수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파이프(200)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수조(300);
    상기 하부수조(300)의 물을 상기 상부수조(100)에 공급하는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200)는 상기 상부수조(100) 및 하부수조(30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조(300)에는 끼움돌기(310)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200)의 하단은 상기 끼움돌기(3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구조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조(100)에는 결합공(110)이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200)의 상단은 상기 결합공(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구조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200)는 열지어 다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200)의 식재공(201)에는 식재관(202)이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관(202)은 상기 식재공(201)에서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공(201)은 상기 파이프(200)의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200)는 복수의 부품 파이프(210,220,23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부품 파이프(210,220,230)는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상기 식재공(201)은 상기 복수의 부품 파이프(210,220,230)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구조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200)는 대나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구조물.
KR1020110027516A 2011-03-28 2011-03-28 녹화 구조물 KR101316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516A KR101316660B1 (ko) 2011-03-28 2011-03-28 녹화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516A KR101316660B1 (ko) 2011-03-28 2011-03-28 녹화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833A true KR20120109833A (ko) 2012-10-09
KR101316660B1 KR101316660B1 (ko) 2013-10-10

Family

ID=47280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516A KR101316660B1 (ko) 2011-03-28 2011-03-28 녹화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66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4586A (zh) * 2013-11-27 2014-02-19 江惠贤 一种具有流水造型的花架
CN103625203A (zh) * 2013-11-27 2014-03-12 江惠贤 一种天然竹制花架
CN103598028A (zh) * 2013-11-29 2014-02-26 江惠贤 一种多功能天然竹制花架
CN103640399A (zh) * 2013-11-29 2014-03-19 江惠贤 一种多功能具有流水造型的花架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5291Y1 (ko) * 1991-01-05 1993-08-13 이인돈 가정용 입체 무배지 수경재배 장치
KR200339586Y1 (ko) 2003-10-09 2004-01-24 이학엽 착생란 재배용 아파트형 화분
KR100647211B1 (ko) * 2006-03-28 2006-11-23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벽천 꽃조형물과, 이를 이용한 생태방음벽녹화시스템의 설계방법
KR100863625B1 (ko) * 2007-04-16 2008-10-15 김진완 옹벽 또는 법면 녹화용 펜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6660B1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926B1 (ko) 벽면 녹화용 식생대
KR101231434B1 (ko) 다층구조를 가진 재배장치
KR101316660B1 (ko) 녹화 구조물
US20110302837A1 (en) Ecological Cloth Structure for Cultivating Plants
CN103669642A (zh) 墙上种植系统
CN104186238B (zh) 一种抽屉式快速组合植物墙
KR20140143539A (ko) 분리조립이 가능한 식생포트와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용 식생장치 및 벽면녹화 시스템
CN106998657B (zh) 多段迭层用的装饰盆单元
CN203633281U (zh) 一种植物幕墙
CN204047329U (zh) 一种抽屉式快速组合植物墙
JP2007270457A (ja) 暑熱環境低減装置
JP2010017161A (ja) 壁面緑化パネル
JP2009165400A (ja) 植栽用ユニットとそれを用いる緑化用植栽ユニット及びそのシステム
KR20110101630A (ko) 이동식 화단.
CN203951915U (zh) 立体绿化装置
CN201369959Y (zh) 一种方形立体组合花盆
KR101387205B1 (ko) 다층구조를 가진 재배장치
CN203575204U (zh) 一种立体绿化模块
CN104160890B (zh) 一种可快速组合的抽屉式花箱
KR20080101533A (ko) 장식용 식재장치
KR20130113652A (ko) 조립식 식재유니트
KR101540024B1 (ko) 식재 가능한 건물마감모듈
CN202425374U (zh) 抽屉式花箱
CN204047330U (zh) 一种可快速组合的抽屉式花箱
KR20200014607A (ko) 조경용 꽃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