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024B1 - 식재 가능한 건물마감모듈 - Google Patents

식재 가능한 건물마감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024B1
KR101540024B1 KR1020130009765A KR20130009765A KR101540024B1 KR 101540024 B1 KR101540024 B1 KR 101540024B1 KR 1020130009765 A KR1020130009765 A KR 1020130009765A KR 20130009765 A KR20130009765 A KR 20130009765A KR 101540024 B1 KR101540024 B1 KR 101540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planting
layer
material layer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6769A (ko
Inventor
안장혁
Original Assignee
안장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장혁 filed Critical 안장혁
Priority to KR1020130009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024B1/ko
Publication of KR20140096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Abstract

본 발명은 식재 가능한 건물마감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 및 상측이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면과 대응되고 그 중앙이 관통된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서브프레임; 일정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부분이 자리잡기 위한 기반을 제공하며, 상기 식물의 성장을 위한 양분이 저장되는 식재기반층;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상기 식재기반층의 전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식물이 초기에 고정될 수 있도록 식재되는 식재층;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상기 식재층의 전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식재관통부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마감재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재 가능한 건물마감모듈{Vegetation finishing module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마감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및 조경시설물의 외벽에 전면 녹화가 가능한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도심 내에 충분한 녹지 환경의 조성을 가능하게 하는 식재 가능한 건물마감모듈에 관한 것이다.
녹화사업은 도시화로 지상에서 확보하기 불가능한 녹지량을 보상할 수 있는 방편일 뿐 아니라, 단열로 인한 건축물의 에너지 절감 효과, 도시의 열섬화현상 완화 효과, 공기 정화 효과, 소음 경감 효과 등을 발휘하여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함께 그 중요성에 대해 주목받고 있는 실정이다.
벽면녹화는 녹화사업의 일환으로 친환경적 계획 차원에서 도심지의 건축물의 벽면, 담장, 방음벽, 콘크리트 옹벽, 교각 등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구조물에 대하여 식물로 피복함으로써 녹시율(綠視率)을 증대시켜 삭막한 도시경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 벽면녹화의 실정은 계절적 변화로 인해 식재식물의 하자율이 높아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발생하여 효용가치가 떨어진다. 식물의 특성상 관리가 부족하거나 환경적 요인에 의해 휴면 및 고사로 이어지게 된다. 이 시기의 벽면녹화는 경관의 저해요소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일부 식물의 고사가 미관상의 큰 결함을 초래하지 않도록 외장재에 벽면녹화기능과와 외장마감기능이 결합된 자연친화적인 디자인기능을 갖춘 건물외벽 녹화모듈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유사한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10-0610500호(식생판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장형 벽면녹화구조)가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계절의 변화에 따라 건물외벽에 식재된 식물이 휴면 및 고사하여도 미관을 유지하기 위해 마감재를 구비하고, 상기 마감재를 관통하여 식물이 자라도록 하여 식물이 휴면 및 고사된 상태에서도 건축물의 외관이 저해되지 않도록 하는 건물외벽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계절변화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식물을 간편하게 식재할 수 있도록 식물의 교체가 용이하게하는 건물마감모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 및 상측이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면과 대응되고 그 중앙이 관통된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서브프레임; 일정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부분이 자리잡기 위한 기반을 제공하며, 상기 식물의 성장을 위한 양분이 저장되는 식재기반층;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상기 식재기반층의 전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식물이 초기에 고정될 수 있도록 식재되는 식재층;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상기 식재층의 전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식재관통부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마감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을 향하는 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면 내면에 접하여 상기 서브프레임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결합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의 일측면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브프레임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된 일측면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식재기반층, 상기 식재층, 상기 마감재층은 서로 대응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서로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상기 식재기반층, 상기 식재층, 상기 마감재층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요입되게 결합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요홈에 상기 식재기반층, 상기 식재층, 상기 마감재층이 함께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상기 식재기반층, 상기 식재층, 상기 마감재층과 각각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결합요홈이 서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식재기반층, 상기 식재층, 상기 마감재층이 상기 결합요홈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의 측면 중 개구된 측면과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요입되게 유로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유로요홈을 통해 상기 식물의 성장을 위한 수분 및 영양분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결합가이드가 형성된 면의 반대측 면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가 보온되도록 차폐하는 투명재질의 보온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재기반층, 식재층, 마감재층이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메인프레임이 카세트와 같은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식물의 교체 및 양분의 보충을 위해 상기 식재층, 식재기반층 등을 교환하는 작업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져 유지보수작업이 보다 원활해 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마감재층에 관통되게 식재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식재관통부를 통해 식물이 식생하게 되는데, 식물이 휴면기 또는 괴사에 의해 보기 흉하게 되더라도, 상기 마감재층이 외부로 노출되어 건물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 건물마감모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건물마감모듈의 조립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건물마감모듈이 외벽에 조립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프레임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프레임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건물마감모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 건물마감모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건물마감모듈의 조립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건물마감모듈이 외벽에 조립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건물마감모듈(100)의 외관은 메인프레임(110)과 서브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전면 및 상측이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10);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전면과 대응되고 그 중앙이 관통된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서브프레임(120); 일정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식재되는 식물(P)의 뿌리부분이 자리잡기 위한 기반을 제공하며, 상기 식물(P)의 성장을 위한 양분이 저장되는 식재기반층(130); 상기 메인프레임(110)에서 상기 식재기반층(130)의 전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식물(P)이 초기에 고정될 수 있도록 식재되는 식재층(140); 상기 메인프레임(110)에서 상기 식재층(140)의 전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식물(P)이 성장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식재관통부(150a)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마감재층(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전면에는 상기 서브프레임(120)이 결합된다. 상기 서브프레임(120)은 상기 식재기반층(130), 상기 식재층(140), 상기 마감재층(150)이 상기 메인프레임(110)이 결합된 후에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전면을 덮어 상기 식재기반층(130), 상기 식재층(140), 상기 마감재층(150)을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메인프레임(110)은 상기 서브프레임(120)이 결합되도록 그 전면과 상측면이 개구된 박스형상이다.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상측면이 개구되는 것은 상기 식재층(140) 및 식재기반층(130)으로 상기 식물(P)을 기르기 위한 물 및 영양분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서브프레임(120)은, 상기 서브프레임(120)에서 상기 메인프레임(110)을 향하는 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전면 내측면에 접하여 상기 서브프레임(120)이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결합가이드(12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가이드(120a)는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내측면에 접하여 상기 서브프레임(120)이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결합되었을 때,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결합가이드(120a)는 상기 마감재층(150) 까지 접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마감재층(150), 상기 식재층(140), 상기 식재기반층(130)이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모두 조립되었을 때,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120)의 일측면은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브프레임(120)이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결합된 일측면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브프레임(120)이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하측에 해당하는 측면에 힌지결합되어 있지만, 양측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서브프레임(120)은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결합돌기(도시되지 않음) 및 요홈(도시되지 않음)이 상기 서브프레임(120)과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사이에 구비되어 압입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식재기반층(130)은 식재되는 식물(P)이 자라면서 연장되는 뿌리가 자리잡을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식재기반층(130)은 일정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내면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식재층(140)은 초기에 식재되는 식물(P)이 고정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것으로 식재층(140)에 상기 식물(P)의 씨앗 또는 모종이 고정되었다가, 상기 씨앗 또는 모종이자라면서 점점 뿌리가 깊어지게 되면, 상기 식재기반층(130)으로 뿌리가 더 연장되어 자라게 되는 것이다.
상기 마감재층(150)은 상기 식재층(140)을 덮는 부분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식물(P)이 자랄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식재관통부(150a)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식재관통부(150a)는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길이방향으로 열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세로방향 또는 다수개의 홀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식재층(140)에 식재되는 상기 식물(P)의 씨앗 또는 모종은 그 발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식재관통부(150a)와 대응하는 위치에 식재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마감재층(150)은 계절에 따라 상기 식물(P)이 휴면기 또는 고사하였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식물(P)이 잘 번성한다면 도 2에서 보듯이, 녹지를 조성할 수 있어서 건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것이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상기 식물(P)이 죽거나 휴면기에 들었을 때는 그러한 효과를 얻기 힘들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마감재층(150)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마감재층(150)에 의해 건물외관을 미려하게 가꿀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마감재층(150)은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 및 재질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마감재층(150)의 식재관통부(150a)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미적인 부분을 표현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식재기반층(130), 상기 식재층(140), 상기 마감재층(150)은 상기 메인프레임(110)이 카세트와 같이 끼워서 결합되는 바, 교체가 용이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식재기반층(130), 상기 식재층(140), 상기 마감재층(150)을 각각 교체하여 원하는 식물(P)을 키우거나, 양분을 더해주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건물마감모듈(100)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식재기반층(130), 상기 식재층(140), 상기 마감재층(150)은 상기 메인프레임(110)이 대응되는 판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10)에는 서로마주보는 양측면에 요입되게 결합요홈(110a, 110b)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요홈(110a, 110b)은 상기 식재기반층(130), 상기 식재층(140), 상기 마감재층(150)의 양측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 상기 식재기반층(130), 상기 식재층(140), 상기 마감재층(15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프레임(110)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프레임(110)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결합요홈(110a)은 상기 식재기반층(130), 상기 식재층(140), 상기 마감재층(150)을 서로 포개놓은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식재기반층(130), 상기 식재층(140), 상기 마감재층(150)을 함께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결합요홈(110b)이 상기 식재기반층(130), 상기 식재층(140), 상기 마감재층(150)과 동일한 두께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식재층(140), 상기 마감재층(150)이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조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건물마감모듈(100)은 모듈설치가이드에 의해 건물의 외벽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듈설치가이드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폭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건물마감모듈(100)이 상기 모듈서치가이드의 사이에 적층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프레임(110)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측면 중 개구된 측면과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요입되게 유로요홈(110c)이 형성되어, 상기 유로요홈(110c)을 통해 상기 식물(P)의 성장을 위한 수분 및 영양분이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로요홈(110c)에 상기 식재층(140) 또는 상기 식재기반층(130)이 삽입되고, 상기 유로요홈(110c)을 통해 수분 및 영양분을 흘려보내주면, 상기 식재층(140) 또는 상기 식재기반층(130)으로 상기 수분 및 영양분이 흡수되고, 이를 통하여 상기 식물(P)의 생장을 촉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로요홈(110c)의 측면에는 유로통공(110d)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유로통공(110d)은 도 3과 같이 상기 건물마감모듈(100)이 적층되었을 때, 상기 건물마감모듈(100)의 상기 유로요홈(110c)이 서로 연통되게 하여, 가장 외곽에 있는 상기 건물마감모듈(100)의 상기 유로요홈(110c)에 상기 수분 및 영양분을 흘려보내주면 상기 유로통공(110d)을 통해 서로 인접한 상기 건물마감모듈(100)의 유로요홈(110c)으로 상기 수분 및 영양분이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서브프레임(120)에는 상기 서브프레임(120)에서 상기 결합가이드(120a)가 형성된 면의 반대측 면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내부가 보온되도록 차폐하는 투명재질의 보온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온층은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내부를 일부차폐하여 겨울철에도 상기 식물(P)이 보다 장기간 식생할 수 있도록 온실의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건물마감모듈(100)의 작업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사용자는 식재층(140)에 식재를 원하는 식물(P)을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식재층(140)에서 상기 식물(P)이 고정되는 위치는 마감재층(150)의 식재관통부(150a)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식재기반층(130), 식재층(140), 마감재층(150)을 순차적으로 메인프레임(110)에 결합시킨다. 이때, 결합요홈(110a, 110b)에 상기 식재기반층(130), 식재층(140), 마감재층(150)을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서브프레임(120)을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결합시킨다. 상기 서브프레임(120)의 결합가이드(120a)가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내면에 접하도록 잘 맞추어 결합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로 사용자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모듈설치가이드에 상기 건물마감모듈(100)을 차례로 적층하여 설치한다.
만일 사용자가 식재된 식물(P)을 바꾸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에서 상기 식재층(140)을 분리하고, 분리된 상기 식재층(140)에 원하는 식물(P)을 식재한 후 다시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결합하여 간단히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식물(P)을 기르기 위한 양분이 부족할 경우, 또는 상기 식물(P)의 변경에 의해 다른 토양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식재기반층(130)을 교체하여 보수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건물마감모듈(100)의 유지보수가 원활해진다.
또한, 상기 마감재층(150)의 식재관통부(150a)를 통해 상기 식물(P)이 자라기 때문에, 상기 식물(P)이 휴면기 또는 괴사한 경우에도 상기 마감재층(150)에 의해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어 상기 식물(P)에 의해 건물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건물마감모듈 110 : 메인프레임
120 : 서브프레임 120a: 결합가이드
130 : 식재기반층 140 : 식재층
150 : 마감재층 150a: 식재관통부

Claims (7)

  1. 전면 및 상측이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면과 대응되고 그 중앙이 관통된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서브프레임;
    일정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부분이 자리잡기 위한 기반을 제공하며, 상기 식물의 성장을 위한 양분이 저장되는 식재기반층;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상기 식재기반층의 전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식물이 초기에 고정될 수 있도록 식재되는 식재층;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상기 식재층의 전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식재관통부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마감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측면 중 개구된 측면과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요입되게 유로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유로요홈을 통해 상기 식물의 성장을 위한 수분 및 영양분이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 가능한 건물마감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을 향하는 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면 내면에 접하여 상기 서브프레임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결합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식재 가능한 건물마감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의 일측면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브프레임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된 일측면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 가능한 건물마감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기반층, 상기 식재층, 상기 마감재층은 서로 대응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서로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상기 식재기반층, 상기 식재층, 상기 마감재층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요입되게 결합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요홈에 상기 식재기반층, 상기 식재층, 상기 마감재층이 함께 삽입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 가능한 건물마감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상기 식재기반층, 상기 식재층, 상기 마감재층과 각각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결합요홈이 서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식재기반층, 상기 식재층, 상기 마감재층이 상기 결합요홈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 가능한 건물마감모듈.
  6. 삭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결합가이드가 형성된 면의 반대측 면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가 보온되도록 차폐하는 투명재질의 보온층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 가능한 건물마감 모듈.
KR1020130009765A 2013-01-29 2013-01-29 식재 가능한 건물마감모듈 KR101540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765A KR101540024B1 (ko) 2013-01-29 2013-01-29 식재 가능한 건물마감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765A KR101540024B1 (ko) 2013-01-29 2013-01-29 식재 가능한 건물마감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769A KR20140096769A (ko) 2014-08-06
KR101540024B1 true KR101540024B1 (ko) 2015-07-28

Family

ID=5174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765A KR101540024B1 (ko) 2013-01-29 2013-01-29 식재 가능한 건물마감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0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215B1 (ko) * 2016-01-15 2016-06-07 주식회사 이지건축 건축용 실내벽면 마감재
GB2603809A (en) * 2021-02-16 2022-08-17 Designlaw Ltd A façade casset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9658A (ja) * 1999-05-21 2001-06-26 Nikko Kasei Kk 建築物の緑化用人工土壌成形体及び壁面緑化用パネル
JP2005065654A (ja) * 2003-08-28 2005-03-17 Hyper Lab Co Ltd 壁面プランター
KR200418035Y1 (ko) * 2006-03-15 2006-06-07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식생 방음패널
JP2012115224A (ja) * 2010-12-03 2012-06-21 Shuwa Industry Corp 植物マット用フレー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9658A (ja) * 1999-05-21 2001-06-26 Nikko Kasei Kk 建築物の緑化用人工土壌成形体及び壁面緑化用パネル
JP2005065654A (ja) * 2003-08-28 2005-03-17 Hyper Lab Co Ltd 壁面プランター
KR200418035Y1 (ko) * 2006-03-15 2006-06-07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식생 방음패널
JP2012115224A (ja) * 2010-12-03 2012-06-21 Shuwa Industry Corp 植物マット用フレー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769A (ko)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738B1 (ko) 벽면녹화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 수직정원 시스템
KR101299905B1 (ko) 수직 벽면 녹화장치
KR101540024B1 (ko) 식재 가능한 건물마감모듈
KR101701001B1 (ko) 다목적 친환경 식생블록
KR101187406B1 (ko) 이끼 패널과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CN104770237A (zh) 立体垂直绿化种植系统及其应用方法
KR101638985B1 (ko) 조립식 식생모듈
KR101568638B1 (ko) 도시녹화를 위한 건물의 실내외 녹화용 식생보드
CN202014493U (zh) 生态移动容器
KR100853728B1 (ko)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
KR20140113258A (ko) 도시녹화를 위한 건물의 실내외 녹화용 식생보드
KR20130009339A (ko) 다층건물의 외부벽면에 벽면녹화를 통하여 광고 및 홍보효과를 갖도록 되는 버티칼 가든 박스
KR101127187B1 (ko) 이끼 식재판
KR101238382B1 (ko) 옥상의 정원 및 보온용 배지판
KR100927957B1 (ko) 조립식 화단
KR101187405B1 (ko)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와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KR100777386B1 (ko) 건축물의 외벽 녹화구조
KR101018884B1 (ko) 식조경수를 이용한 건축용 방음벽
KR20050105874A (ko) 플랜터형 식생방음벽
KR102045006B1 (ko) 실내외 겸용 모듈형 벽면 녹화 장치
JP2008022708A (ja) 植物栽培用緑化枠
CN201479665U (zh) 隔热植被板改进结构
CN206149935U (zh) 一种立面种植佛甲草的可移动支架
KR101414078B1 (ko) 생육모듈
KR100578563B1 (ko) 식생벽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