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9320A - Heavy duty pneumatic tire - Google Patents
Heavy duty pneumatic ti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09320A KR20120109320A KR1020120027111A KR20120027111A KR20120109320A KR 20120109320 A KR20120109320 A KR 20120109320A KR 1020120027111 A KR1020120027111 A KR 1020120027111A KR 20120027111 A KR20120027111 A KR 20120027111A KR 20120109320 A KR20120109320 A KR 201201093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nter
- shoulder
- groove
- block
- ti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6—Patterns comprising block rows or discontinuous ri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1—Shape of the shoulders between tread and sidewall, e.g. rounded, stepped or cantilever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4—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continuous circumferential ribs, e.g. zig-za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1—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isolated elements, e.g. bl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69—Tie bars for linking block elements and bridging the groo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46—Circumferential grooves with zigzag sha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55—Circumferential grooves characterised by dep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58—Lateral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45 to 90 degees to the equatorial plane
- B60C2011/0367—Lateral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45 to 90 degees to the equatorial plane characterised by dep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86—Continuous ribs
- B60C2011/0393—Narrow ribs, i.e. having a rib width of less than 8 mm
- B60C2011/0395—Narrow ribs, i.e. having a rib width of less than 8 mm for linking shoulder bl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04—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 B60C2011/12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sinusoidal or zigzag at the tread surf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200/00—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B60C2200/06—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heavy dut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센터 내마모 성능 및 힐&토우 내마모 성능을 높은 차원에서 양립할 수 있는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트럭, 버스 등에서 이용되는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에는, 타이어 교환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올시즌으로 주행 가능해야 하고, 높은 트랙션 성능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이러한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의 트레드부에는, 복수의 블록이 구분된 블록패턴이 널리 채용되고 있다. Heavy-pneumatic pneumatic tires used in trucks, buses, and the like are not easy to replace tires, so they must be able to run all season and high traction performance is required. For this reason, the block pattern which divided | segmented several blocks into the tread part of such a heavy load pneumatic tire is employ | adopted widely.
그러나, 이러한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는, 접지압이 큰 센터 블록이 상대적으로 크게 마모되는 소위 센터 마모가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센터 마모를 막기 위해서, 하기 특허문헌 1이 제안되어 있다. However, such a heavy-load pneumatic tire has a problem that so-called center wear, which causes a relatively large wear of the center block, is likely to occur. In order to prevent such center wear, the following
특허문헌 1의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에서는, 센터 가로홈의 홈 경사 각도를 숄더 가로홈보다 크게 하는 구성 등이 채용됨으로써, 센터 블록의 블록 강성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센터 내마모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다. In the heavy-load pneumatic tire of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에서는, 숄더 블록의 블록 강성이 상대적으로 작아져, 블록의 둘레 방향의 선착측이나 후착측의 단부가 조기에 마모되는 힐&토우 마모가 생기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heavy-load pneumatic tire of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실상에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센터 가로홈, 미들 가로홈 및 숄더 가로홈에, 각각 홈 바닥을 융기시킨 센터 타이바, 미들 타이바 및 숄더 타이바를 형성하며, 숄더 타이바의 융기 높이를 가장 크게 하고, 또한 센터 랜드부의 최대 폭(Wcr), 미들 랜드부의 최대 폭(Wmi) 및 숄더 랜드부의 최대 폭(Wsh)을 일정 범위로 규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센터 내마모 성능 및 힐&토우 내마모 성능을 높은 차원에서 양립시킬 수 있는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situation, and forms a center tie bar, a middle tie bar and a shoulder tie bar in which the bottom of the groove is raised in the center cross groove, the middle cross groove and the shoulder cross groove, respectively, and the shoulder tie Based on the maximum height of the ridge height of the bar and defining the maximum width Wcr of the center land portion, the maximum width Wmi of the middle land portion and the maximum width Wsh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within a certain range,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vy-duty pneumatic tire capable of achieving both high performance and high heel & toe wear resistance.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트레드부에, 타이어 적도 위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센터 주홈과, 상기 센터 주홈의 양 외측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1쌍의 미들 주홈과, 상기 미들 주홈의 양 외측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1쌍의 숄더 주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트레드부에, 상기 센터 주홈과 상기 미들 주홈 사이의 센터 랜드부, 상기 미들 주홈과 상기 숄더 주홈 사이의 미들 랜드부, 및 상기 숄더 주홈과 트레드 접지단 사이의 숄더 랜드부가 구분되며, 상기 센터 랜드부, 상기 미들 랜드부 및 상기 숄더 랜드부는, 각각 센터 가로홈, 미들 가로홈 및 숄더 가로홈에 의해서, 센터 블록, 미들 블록 및 숄더 블록으로 구분된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로서, 상기 센터 가로홈, 미들 가로홈 및 숄더 가로홈에는, 각각 홈 바닥을 융기시킨 센터 타이바, 미들 타이바 및 숄더 타이바가 형성되고, 상기 숄더 타이바의 융기 높이가 가장 크며, 상기 센터 랜드부의 최대 폭을 Wcr, 상기 미들 랜드부의 최대 폭을 Wmi 및 상기 숄더 랜드부의 최대 폭을 Wsh라고 할 때, 하기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0.9≤Wmi/Wcr≤0.980.9≤Wmi / Wcr≤0.98
1.1≤Wsh/Wcr≤1.221.1≤Wsh / Wcr≤1.22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비(Wsh/Wmi)가 1.12∼1.36인 청구항 1에 기재된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이다. Moreover, invention of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센터 타이바 및 미들 타이바의 타이어 축 방향의 중간점은, 상기 센터 가로홈 및 상기 미들 가로홈의 타이어 축 방향의 중앙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숄더 타이바의 타이어 축 방향의 중간점은, 상기 숄더 가로홈의 타이어 축 방향의 외측 영역에 위치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이다. In addition,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an intermediate point in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center tie bar and the middle tie bar is located in a center region of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center cross groove and the middle cross groove, The intermediate point of the tire axial direction is a heavy-load pneumatic tire according to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숄더 타이바의 최대 융기 높이는, 상기 숄더 주홈의 최대 홈 깊이의 70∼85%인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is the heavy-load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y one of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센터 블록, 상기 미들 블록 및 상기 숄더 블록은, 각각 블록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중앙 영역에, 타이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핑이 형성되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이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5, the center block, the middle block and the shoulder block are each of any of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숄더 타이바의 최대 홈 깊이와 상기 숄더 블록의 상기 사이핑의 최대 깊이의 차가, 상기 숄더 주홈의 최대 홈 깊이의 30% 이상인 청구항 5에 기재된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이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6 is the heavy-load pneumatic tir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groove depth of the shoulder tie bar and the maximum depth of the sipping of the shoulder block is 30% or more of the maximum groove depth of the shoulder main groove. to be.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양해를 구하지 않는 한, 타이어의 각 부의 치수는, 정규 림에 림 조립되고 또한 정규 내압이 충전된 무부하의 정규 상태에 있어서 특정되는 값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understood, the dimension of each part of a tire shall be a value specified in the normal state of the no load which rim-assembled to the normal rim and the normal internal pressure was filled.
상기 「정규 림」이란, 타이어가 기초하고 있는 규격을 포함하는 규격 체계에 있어서, 상기 규격이 타이어마다 정하는 림이며, 예컨대 JATMA라면 표준 림, TRA라면 "Design Rim", 혹은 ETRTO라면 "Measuring Rim"을 의미한다. The "regular rim" is a rim that is defined for each tire in a standard system including a standard on which the tire is based, for example, a standard rim for JATMA, "Design Rim" for TRA, or "Measuring Rim" for ETRTO. Means.
상기 「정규 내압」이란, 상기 규격이 타이어마다 정하고 있는 공기압이며, JATMA라면 최고 공기압, TRA라면 표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에 기재된 최대치, ETRTO라면 "INFLATION PRESSURE"로 한다. The above-mentioned "regular internal pressure" is the air pressure prescribed | regulated by the said tire for every tire, the maximum air pressure in the case of JATMA, the maximum value described in the table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 in the case of TRA, and "INFLATION PRESSURE" in the case of ETRTO.
본 발명의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는, 트레드부에, 타이어 적도 위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센터 주홈과, 센터 주홈의 양 외측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1쌍의 미들 주홈과, 미들 주홈의 양 외측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1쌍의 숄더 주홈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트레드부에는, 센터 주홈과 미들 주홈 사이의 센터 랜드부, 미들 주홈과 숄더 주홈 사이의 미들 랜드부 및 숄더 주홈과 트레드 접지단 사이의 숄더 랜드부가 구분된다. The heavy-load pneumatic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er main groove extending continuously over the tire equator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air of middle main grooves extending continuously in both sides of the center main groove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air of shoulder main grooves are formed which extend both outer sides of the middle main groove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ccordingly, the tread portion is divided into a center land portion between the center main groove and the middle main groove, a middle land portion between the middle main groove and the shoulder main groove, and a shoulder land portion between the shoulder main groove and the tread ground end.
또한, 센터 랜드부, 미들 랜드부 및 숄더 랜드부는, 각각 센터 가로홈, 미들 가로홈 및 숄더 가로홈에 의해서, 센터 블록, 미들 블록 및 숄더 블록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블록 패턴은 높은 트랙션 성능을 발휘하는 데 도움이 된다. In addition, the center land portion, the middle land portion, and the shoulder land portion are divided into a center block, a middle block, and a shoulder block by a center cross groove, a middle cross groove, and a shoulder cross groove, respectively. This block pattern helps to exhibit high traction performance.
또한, 센터 가로홈, 미들 가로홈 및 숄더 가로홈에는, 각각 홈 바닥을 융기시킨 센터 타이바, 미들 타이바 및 숄더 타이바가 형성된다. 이러한 타이바는, 각 랜드부에 있어서, 타이어 둘레 방향 위치에서의 강성차를 작게 할 수 있어, 힐&토우 내마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구나, 각 타이바 중, 숄더 타이바의 융기 높이가 가장 크게 설정되기 때문에, 숄더 랜드부에 생기는 경향이 있는 힐&토우 마모나 부분이 누락되는 마모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In addition, center tie grooves, middle tie grooves, and shoulder cross grooves are formed with center tie bars, middle tie bars, and shoulder tie bars with raised groove bottoms, respectively. Such a tie bar can reduce the stiffness difference in the tire circumferential position at each land portion, and can improve heel & toe wear resistance. Moreover, since the ridge height of the shoulder tie bar is set to be the largest among each tie ba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wear of the heel & toe and the missing portion that tend to occur in the shoulder land portion.
또한, 센터 랜드부의 최대 폭을 Wcr, 미들 랜드부의 최대 폭을 Wmi 및 숄더 랜드부의 최대 폭을 Wsh라고 할 때, 하기의 관계를 만족한다. Further, when the maximum width of the center land portion is Wcr, the maximum width of the middle land portion is Wmi, and the maximum width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is Wsh, the following relationship is satisfied.
0.9≤Wmi/Wcr≤0.98 0.9≤Wmi / Wcr≤0.98
1.1≤Wsh/Wcr≤1.221.1≤Wsh / Wcr≤1.22
이에 따라, 접지압이 비교적 큰 센터 블록의 블록 강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기 때문에, 센터 내마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구나, 숄더 블록의 블록 강성도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힐&토우 마모나 부분 누락 마모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는, 센터 내마모 성능 및 힐&토우 내마모 성능을 높은 차원에서 양립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the block stiffness of the center block having a relatively large ground pressure is relatively high, so that the center wear resistance can be improved. Moreover, since the block rigidity of the shoulder block is also sufficiently secured, heel & toe wear or partial missing wear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Therefore, the heavy-load pneumatic tire of this invention can make both center wear resistance and heel & toe wear performance high in both dimensions.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를 도시하는 트레드 전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센터 랜드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미들 랜드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숄더 랜드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의 B-B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tread development figure which shows the heavy duty pneumatic tire of this embodiment.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center land por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middle land por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a shoulder land por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이하, 단순히 「타이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는, 예컨대 트럭·버스 등의 중하중 차량에 사용된다. As shown in FIG. 1, the heavy-load pneumatic tire (henceforth simply a "tire") of this embodiment is used for heavy-load vehicles, such as a truck and bus.
본 실시형태의 타이어(1)의 트레드부(2)에는, 타이어 적도(C) 위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센터 주홈(3A)과, 센터 주홈(3A)의 양 외측에서 연장되는 1쌍의 미들 주홈(3B)과, 미들 주홈(3B)의 양 외측에서 연장되는 1쌍의 숄더 주홈(3C)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트레드부(2)에는, 센터 주홈(3A)과 미들 주홈(3B) 사이의 1쌍의 센터 랜드부(4A), 미들 주홈(3B)과 숄더 주홈(3C) 사이의 미들 랜드부(4B) 및 숄더 주홈(3C)과 트레드 접지단(2t) 사이의 숄더 랜드부(4C)가 구분된다. The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접지단(2t)」은, 외관상 명료한 엣지에 의해서 식별할 수 있을 때에는 상기 엣지로 하지만, 식별 불능인 경우에는, 상기 정규 상태의 타이어(1)에 정규 하중을 부하하여 캠버각 0°로 트레드부(2)를 평면에 접지시켰을 때의 가장 타이어 축 방향 외측에서 평면에 접지되는 접지단이 트레드 접지단(2t)으로서 정해진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
상기 「정규 하중」이란, 타이어가 기초하고 있는 규격을 포함하는 규격 체계에 있어서, 각 규격이 타이어마다 정하고 있는 하중이며, JATMA라면 최대 부하 능력, TRA라면 표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에 기재된 최대치, ETRTO라면 "LOAD CAPACITY"로 한다. The above-mentioned "normal load" is a load defined for each tire in the standard system including the standard on which the tire is based, the maximum load capacity for JATMA, and the table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 for TRA. In the case of the maximum value described in ETRTO, "LOAD CAPACITY" is assumed.
본 실시형태의 센터 주홈(3A), 미들 주홈(3B) 및 숄더 주홈(3C)은, 지그재그형으로 굴곡하면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된다. 이러한 주홈(3A, 3B, 3C)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엣지 성분을 발휘할 수 있어, 트랙션 성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주홈(3A, 3B, 3C)의 홈 폭(W1a, W1b, W1c)이 6∼9 mm 정도, 최대 홈 깊이(D1a, D1b, D1c)(도 2에 도시함)는 14∼22 mm 정도가 바람직하다. The center
상기 센터 주홈(3A)은, 도 3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5∼15도 정도의 각도(α1a)로 경사져 있는 급경사부(5A)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30∼50도 정도의 각도(α1b)로 경사져 있는 완경사부(6A)로 이루어지고, 이들 급경사부(5A) 및 완경사부(6A)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다. As shown in an enlarged view in FIG. 3, the center
이러한 센터 주홈(3A)은, 상기 각도(α1a)가 작은 급경사부(5A)가, 트레드부(2)의 바깥면(2S)과 노면 사이에 개재되는 수막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원활히 안내할 수 있어,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센터 주홈(3A)은, 상기 각도(α1b)가 큰 완경사부(6A)가 타이어 축 방향의 엣지 성분을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트랙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center
또한, 급경사부(5A)는, 그 타이어 둘레 방향의 길이(L1a)가, 완경사부(6A)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길이(L1b)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급경사부(5A)는, 상기 수막을 보다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어, 배수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급경사부(5A)의 길이(L1a)는 완경사부(6A)의 길이(L1b)의 5∼10배 정도가 바람직하다.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5 A of steep inclination parts are set to the length L1a of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larger than the length L1b of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6A of mild inclination parts. As a result, the
상기 미들 주홈(3B)은, 도 4에 확대하여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일측으로 경사지는 제1 경사부(5B)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타측으로 경사지는 제2 경사부(6B)를 포함하며, 이들 제1, 제2 경사부(5B, 6B)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다. As shown in an enlarged view in FIG. 4, the middle
또한, 제1 경사부(5B) 및 제2 경사부(6B)는,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각 각도(α2a, α2b) 및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각 길이(L2a, L2b)가 동일하게 설정된다. 이에 따라, 미들 주홈(3B)은, 엣지 성분에 의한 트랙션 성능과 배수 성능을 밸런스 좋게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각도(α2a, α2b)가 5∼15도 정도,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각 길이(L2a, L2b)는 상기 길이(L1a + L1b)/2의 40∼60% 정도가 바람직하다. In addition, each angle (alpha) 2a, (alpha) 2b with respect to a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each length L2a, L2b of a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set the same in the
상기 숄더 주홈(3C)은, 도 5에 확대하여 도시되는 바와 같이, 미들 주홈(3B)과 마찬가지로, 제1 경사부(5C)와 제2 경사부(6C)를 포함하고, 이들 제1, 제2 경사부(5C, 6C)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다. 또한, 제1, 제2 경사부(5C, 6C)는,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각 각도(α3a, α3b) 및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각 길이(L3a, L3b)가 동일하게 설정되고, 그 지그재그의 위상이 미들 주홈(3B)과 반 피치 어긋나게 배치되기 때문에, 트랙션 성능과 배수 성능을 밸런스 좋게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각도(α3a, α3b)도 5∼15도 정도,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각 길이(L3a, L3b)는 상기 길이(L1a + L1b)/2의 40∼60% 정도가 바람직하다. The shoulder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센터 랜드부(4A)에는, 센터 주홈(3A)과 미들 주홈(3B) 사이에 연장되고,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센터 가로홈(7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센터 랜드부(4A)에는, 센터 가로홈(7A)에 의해서 구분되는 센터 블록(8A)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상기 센터 가로홈(7A)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센터 주홈(3A)의 급경사부(5A)와 미들 주홈(3B)의 타이어 축 방향 내측에서 볼록하게 되는 지그재그 정점(3Bi)을 연통하고, 5∼15도 정도의 각도(α7a)로 경사져 연장된다. As shown in FIG. 3, the center
이러한 센터 가로홈(7A)은, 타이어 둘레 방향 및 타이어 축 방향에 대하여 엣지 성분을 발휘할 수 있어, 트랙션 성능 및 조종 안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센터 가로홈(7A)은, 그 경사를 따라서, 트레드부(2)의 바깥면(2S)(도 2에 도시함)과 노면 사이에 개재되는 수막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어,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을 효과적으로 발휘하기 위해서, 센터 가로홈(7A)의 홈 폭(W7a)(도 1에 도시함)이 14∼17 mm 정도, 최대 홈 깊이(D7a)(도 2에 도시함)는 15∼25 mm 정도가 바람직하다. The center
또한, 상기 센터 블록(8A)은, 센터 블록(8A)의 센터 주홈(3A)에 면하는 블록 가장자리(8As)가, 1쌍의 급경사부(5A, 5A) 및 완경사부(6A)에 의해서 지그재그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센터 블록(8A)은, 미들 주홈(3B)에 면하는 블록 가장자리(8At)가, 상기 미들 주홈(3B)의 제1 경사부(5B) 및 제2 경사부(6B)에 의해서, 타이어 축 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가로 V자형을 이루고 있다. In the
이에 따라, 센터 블록(8A)은, 그 트레드면이, 타이어 둘레 방향의 일단측의 블록 가장자리(8Aa)에서 중앙을 향하여 타이어 축 방향의 폭(W4a)이 점증하며, 타이어 둘레 방향의 타단측의 블록 가장자리(8Ab)에서 중앙을 향하여 폭(W4a)이 대략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센터 블록(8A)은, 타이어 둘레 방향 및 타이어 축 방향에 대한 엣지 성분을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어, 트랙션 성능 및 조종 안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the
또한, 센터 블록(8A)은, 그 타이어 둘레 방향의 중앙 영역(T4a)에, 타이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핑(S1)이 형성된다. 이러한 사이핑(S1)은, 센터 블록(8A)의 강성을 부분적으로 저하시켜, 센터 랜드부(4A)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강성 단차를 완화시킬 수 있어, 센터 마모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In the
여기서, 「센터 블록(8A)의 중앙 영역(T4a)」이란, 센터 블록(8A)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최대 길이(L4a)의 35%의 길이를 가지며, 그 타이어 둘레 방향의 중심을 센터 블록(8A)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중심과 일치하는 영역으로 하고, 이 중앙 영역(T4a)의 타이어 둘레 방향 외측을 「외측 영역」으로 한다. Here, the "center area T4a of the
상기 사이핑(S1)은, 타이어 축 방향 양 외측의 블록 가장자리(8As, 8At)에서부터 각각 내측으로 높이가 서로 다르게 연장되는 1쌍의 메인부(13A, 13A)와, 이 메인부(13A, 13A)의 타이어 축 방향의 내측단 사이를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연장되는 서브부(14A)를 포함하며, 대략 역Z자형으로 형성된다. The siping S1 includes a pair of
이러한 사이핑(S1)은, 일직선형인 것에 비해서, 엣지 길이를 크게 할 수 있으며, 블록 강성을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트랙션 성능을 유지하면서, 센터 마모를 보다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이핑(S1)의 최대 깊이(도시 생략)는 1∼4 mm 정도가 바람직하다. Such siping S1 can increase the edge length and reduce the block stiffness as compared with the linear one, and thus can effectively prevent center wear while maintaining traction performance. Preferably, the maximum depth (not shown) of the siping S1 is preferably about 1 to 4 mm.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미들 랜드부(4B)에는, 미들 주홈(3B)과 숄더 주홈(3C)을 연통하고,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미들 가로홈(7B)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미들 랜드부(4B)에는, 미들 가로홈(7B)에 의해서 구분된 미들 블록(8B)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상기 미들 가로홈(7B)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미들 주홈(3B)의 타이어 축 방향 외측에서 볼록하게 되는 지그재그 정점(3Bo)과 숄더 주홈(3C)의 타이어 축 방향 내측에서 볼록하게 되는 지그재그 정점(3Ci) 사이를 연통한다. 또한, 미들 가로홈(7B)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타이어 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센터 가로홈(7A)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대략 반 피치 어긋나게 배치되며, 상기 센터 가로홈(7A)과 역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된다. As shown in FIG. 4, the middle
이러한 미들 가로홈(7B)도, 센터 가로홈(7A)과 마찬가지로, 트랙션 성능, 조종 안정 성능 및 배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미들 가로홈(7B)의 홈 폭(W7b)(도 1에 도시함)이 5∼20 mm 정도, 최대 홈 깊이(D7b)(도 2에 도시함)가 18∼22 mm 정도, 타이어 축 방향에 대한 각도(α7b)(도 4에 도시함)는 5∼15도가 바람직하다. This middle
상기 미들 블록(8B)은, 미들 주홈(3B)에 면하는 블록 가장자리(8Bs)가, 상기 미들 주홈(3B)의 제1 경사부(5B) 및 제2 경사부(6B)에 의해서, 타이어 축 방향 내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가로 V자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숄더 주홈(3C)에 면하는 블록 가장자리(8Bt)는, 상기 숄더 주홈(3C)의 제1 경사부(5C) 및 제2 경사부(6C)에 의해서, 타이어 축 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가로 V자형을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미들 블록(8B)의 트레드면은, 그 타이어 둘레 방향 양측의 블록 가장자리(8Ba, 8Bb)에서 각각 중앙을 향하여, 타이어 축 방향의 폭(W4b)이 점증한다. In the
이러한 미들 블록(8B)도, 타이어 둘레 방향 및 타이어 축 방향에 대한 엣지 성분을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어, 트랙션 성능 및 조종 안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Such
또한, 미들 블록(8B)에는, 블록 가장자리(8Bs)의 타이어 축 방향 내측에서 볼록하게 되는 볼록부(17s)에, 고무 볼륨을 줄이는 세로로 긴 오목부(18)가 형성된다. 이러한 오목부(18)는, 미들 블록(8B)의 트레드면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접지압이 커지는 타이어 축 방향 내측의 블록 강성을 완화시킬 수 있어, 힐&토우 마모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Further, in the
더욱이, 미들 블록(8B)에는, 그 타이어 둘레 방향의 중앙 영역(T4b)에, 타이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핑(S2)이 형성된다. 이 사이핑(S2)도, 센터 블록(8A)에 형성되는 사이핑(S1)과 마찬가지로, 1쌍의 메인부(13B, 13B)와, 서브부(14B)를 포함하여 대략 Z자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사이핑(S2)도, 트랙션 성능을 유지하면서, 힐&토우 마모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이핑(S2)의 최대 깊이(도시 생략)는 1∼4 mm 정도가 바람직하다. Moreover, the sipping S2 extended in a tire axi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여기서, 「미들 블록(8B)의 중앙 영역(T4b)」이란, 미들 블록(8B)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최대 길이(L4b)의 35%의 길이를 가지며, 그 타이어 둘레 방향의 중심이 미들 블록(8B)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중심과 일치하는 영역으로 하고, 상기 중앙 영역(T4b)의 타이어 둘레 방향 외측을 「외측 영역」으로 한다. Here, the "center area T4b of the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숄더 랜드부(4C)에는, 숄더 주홈(3C)과 트레드 접지단(2t)을 연통하고,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숄더 가로홈(7C)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숄더 랜드부(4C)에는, 숄더 가로홈(7C)에 의해서 구분되는 숄더 블록(8C)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상기 숄더 가로홈(7C)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숄더 주홈(3C)의 타이어 축 방향 외측에서 볼록하게 되는 지그재그 정점(3Co)과 트레드 접지단(2t) 사이를 연통하고, 미들 가로홈(7B)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된다. 또한, 숄더 가로홈(7C)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타이어 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미들 가로홈(7B)과 대략 반 피치 어긋나게 배치된다. As shown in FIG. 5, the shoulder
이러한 숄더 가로홈(7C)도, 트랙션 성능, 조종 안정 성능 및 배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숄더 가로홈(7C)은, 그 최대 홈 깊이(D7c)가, 센터 가로홈(7A) 및 미들 가로홈(7B)에 비해서 작게 설정되기 때문에, 힐&토우 마모가 비교적 생기기 쉬운 숄더 랜드부(4C)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강성 단차를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숄더 가로홈(7C)의 홈 폭(W7c)(도 1에 도시함)이 5∼20 mm 정도, 최대 홈 깊이(D7c)가 14∼17 mm 정도, 타이어 축 방향에 대한 각도(α7c)(도 5에 도시함)는 5∼15도 정도가 바람직하다. This shoulder
상기 숄더 블록(8C)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숄더 주홈(3C)에 면하는 블록 가장자리(8Cs)가, 상기 숄더 주홈(3C)의 제1 경사부(5C) 및 제2 경사부(6C)에 의해서, 타이어 축 방향 내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가로 V자형을 이루며, 트레드 접지단(2t)에 면하는 블록 가장자리(8Ct)가,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As for the
이에 따라, 숄더 블록(8C)의 트레드면은, 그 타이어 둘레 방향의 양단 측의 블록 가장자리(8Ca, 8Cb)에서 중앙을 향하여, 타이어 축 방향의 폭(W4c)이 점증하여, 트랙션 성능 및 조종 안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the tread surface of the
또한, 숄더 블록(8C)에는, 그 타이어 둘레 방향의 중앙 영역(T4c)에, 타이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핑(S3)이 형성된다. 이 사이핑(S3)도, 1쌍의 메인부(13C, 13C)와, 서브부(14C)를 포함하여 대략 역Z자형으로 형성되어, 트랙션 성능을 유지하면서, 힐&토우 마모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이핑(S3)의 최대 깊이(D2c)(도 6에 도시함)는 1∼4 mm 정도가 바람직하다. In the
여기서, 「숄더 블록(8C)의 중앙 영역(T4c)」이란, 숄더 블록(8c)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최대 길이(L4c)의 35%의 길이를 가지며, 그 중심이 숄더 블록(8C)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중심과 일치하는 영역으로 하고, 상기 중앙 영역(T4c)의 타이어 둘레 방향 외측을 「외측 영역」으로 한다. Here, the "center area T4c of the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센터 가로홈(7A), 미들 가로홈(7B) 및 숄더 가로홈(7C)에, 각각 홈 바닥을 융기시킨 센터 타이바(16A), 미들 타이바(16B) 및 숄더 타이바(16C)가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1,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센터 타이바(16A)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센터 블록(8A, 8A) 사이를 이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이러한 센터 타이바(16A)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센터 블록(8A, 8A)을 연결하여, 센터 랜드부(4A)(도 1에 도시함)의 둘레 방향 강성을 크게 할 수 있어, 트랙션 성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며, 센터 마모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The
한편,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센터 타이바(16A)의 최대 융기 높이(H1)는,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는데, 작으면, 전술한 바와 같은 작용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최대 융기 높이(H1)가 지나치게 크더라도, 센터 가로홈(7A)의 홈 용적이 과도하게 작아져, 배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최대 융기 높이(H1)는, 바람직하게는, 미들 주홈(3B)의 최대 홈 깊이(D1b)의 3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7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 although the maximum raised height H1 of the
한편, 타이바의 융기 높이는, 상기 타이바가 타이어 축 방향에서 인접하는 주홈 중, 최대 홈 깊이가 큰 주홈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주홈의 최대 홈 깊이와 타이바의 최대 홈 깊이의 차로 구해지는 것으로 한다. 센터 타이바(16A)의 경우에는, 미들 주홈(3B)의 최대 홈 깊이(D1b)와 센터 타이바(16A)의 최대 홈 깊이(D3a)의 차에 의해 측정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aised height of the tie bar is determ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groove depth of the main groove and the maximum groove depth of the tie bar, based on the main groove having the largest maximum groove depth among the main grooves in which the tie bar is adjacent in the tire axial direction. . In the case of the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센터 타이바(16A)의 타이어 축 방향의 최대 길이(L6a)는, 바람직하게는, 센터 가로홈(7A)의 타이어 축 방향의 최대 길이(L7a)의 3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7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다. Similarly, as shown in FIG. 3, the maximum length L6a in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또한, 센터 랜드부(4A)에서는, 타이어 축 방향의 중앙부에서 센터 마모나 힐&토우 마모가 생기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센터 타이바(16A)의 타이어 축 방향의 중간점(16Ac)은, 센터 가로홈(7A)의 타이어 축 방향의 중앙 영역(T7a)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센터 타이바(16A)는, 센터 랜드부(4A)의 타이어 축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강성 단차를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어, 센터 마모를 막을 수 있다. In the
여기서, 「센터 가로홈(7A)의 중앙 영역(T7a)」이란, 센터 가로홈(7A)의 타이어 축 방향의 최대 길이(L7a)의 35%의 길이를 가지며, 그 중심이 센터 가로홈(7A)의 타이어 축 방향의 중심과 일치하는 영역으로 하고, 상기 중앙 영역(T7a)의 타이어 축 방향 외측을 「외측 영역」으로 한다. Here, the "center area T7a of the center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미들 타이바(16B)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미들 블록(8B, 8B) 사이를 이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미들 타이바(16B)도, 힐&토우 마모를 막으면서, 트랙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As shown in FIG. 4, the
또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미들 타이바(16B)의 최대 융기 높이(H2)는, 센터 타이바(16A)와 같은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미들 주홈(3B)의 최대 홈 깊이(D1b)의 3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7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maximum raised height H2 of the
마찬가지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미들 타이바(16B)의 타이어 축 방향의 최대 길이(L6b)는, 바람직하게는, 미들 가로홈(7B)의 타이어 축 방향의 최대 길이(L7b)의 3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7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다. Similarly, as shown in FIG. 4, the maximum length L6b in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또한, 미들 타이바(16B)의 타이어 축 방향의 중간점(16Bc)은, 미들 가로홈(7B)의 타이어 축 방향의 중앙 영역(T7b)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미들 타이바(16B)는, 센터 타이바(16A)와 마찬가지로, 힐&토우 마모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mediate point 16Bc of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여기서, 「미들 가로홈(7B)의 중앙 영역(T7b)」이란, 미들 가로홈(7B)의 타이어 축 방향의 최대 길이(L7b)의 35%의 길이를 가지며, 그 중심이 미들 가로홈(7B)의 타이어 축 방향의 중심과 일치하는 영역으로 하고, 상기 중앙 영역(T7b)의 타이어 축 방향 내측을 「내측 영역」, 타이어 축 방향 외측을 「외측 영역」으로 한다. Here, the "center region T7b of the middle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숄더 타이바(16C)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숄더 블록(8C, 8C) 사이를 이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힐&토우 마모를 막으면서, 트랙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As shown in Fig. 5, the
또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숄더 타이바(16C)의 최대 융기 높이(H3)는, 센터 타이바(16A) 및 미들 타이바(16B)에 비해서 가장 크게 설정된다. 이에 따라, 숄더 타이바(16C)는, 모든 랜드부(4A, 4B, 4C) 중에서, 힐&토우 마모나 부분 누락 마모가 가장 발생하기 쉬운 숄더 랜드부(4C)의 강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maximum raised height H3 of the
한편, 숄더 타이바(16C)의 최대 융기 높이(H3)가 작으면, 전술한 바와 같은 작용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최대 융기 높이(H3)가 지나치게 크더라도, 배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대 융기 높이(H3)는, 바람직하게는, 숄더 가로홈(7C)의 최대 홈 깊이의 7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8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하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ximum raised height H3 of the
마찬가지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숄더 타이바(16C)의 타이어 축 방향의 최대 길이(L6c)는, 바람직하게는, 숄더 가로홈(7C)의 타이어 축 방향의 최대 길이(L7c)의 3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7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다. Similarly, as shown in FIG. 5, the maximum length L6c in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또한, 숄더 랜드부(4C)에서는, 타이어 축 방향의 외측에서 힐&토우 마모나 부분 누락 마모가 생기기 쉽기 때문에, 숄더 타이바(16C)의 타이어 축 방향의 중간점(16Cc)이, 숄더 가로홈(7C)의 타이어 축 방향의 외측 영역(T7c)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여기서, 「숄더 가로홈(7C)의 외측 영역(T7c)」이란, 숄더 가로홈(7C)의 타이어 축 방향의 최대 길이(L7c)의 40%의 길이를 가지며, 그 타이어 축 방향 외측단이 트레드 접지단(2t)에 일치하는 영역으로 하고, 상기 외측 영역(T7c)의 타이어 축 방향 내측을 「내측 영역」으로 한다. Here, the "outer region T7c of the shoulder
또한,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숄더 타이바(16C)의 최대 홈 깊이(D3c)와, 숄더 블록(8C)의 사이핑(S3)의 최대 깊이(D2c)의 차(D3c-D2c)가, 숄더 주홈(3C)의 최대 홈 깊이(D1c)의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숄더 블록(8C)과 숄더 가로홈(7C)에 의해 형성되는 강성 단차를 보다 효과적으로 작게 할 수 있어, 힐&토우 마모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6, the difference D3c-D2c between the maximum groove depth D3c of the
한편, 비((D3c-D2c)/D1c)가 30%를 넘으면, 전술한 바와 같은 작용을 발휘할 수 없다. 반대로, 상기 비(D3c-D2c)/D1c)가 지나치게 작으면, 숄더 블록(8C)끼리 서로 지지하는 힘이 작아져, 힐&토우 마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비((D3c-D2c)/D1c)는,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ratio ((D3c-D2c) / D1c) exceeds 30%, the above-mentioned effect cannot be exhibited. On the contrary, when the said ratio D3c-D2c / D1c is too small, the force which the
더욱이,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센터 랜드부(4A)(센터 블록(8A))의 최대 폭을 Wcr, 미들 랜드부(4B)(미들 블록(8B))의 최대 폭을 Wmi 및 숄더 랜드부(4C)(숄더 블록(8C))의 최대 폭을 Wsh라고 할 때, 하기의 관계를 만족한다. Moreover, as shown in FIG. 1, in this embodiment, the maximum width of the
0.9≤Wmi/Wcr≤0.980.9≤Wmi / Wcr≤0.98
1.1≤Wsh/Wcr≤1.221.1≤Wsh / Wcr≤1.22
이에 따라, 접지압이 비교적 큰 센터 블록(8A)의 블록 강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기 때문에, 센터 마모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더구나, 숄더 블록(8C)의 블록 강성도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힐&토우 마모나 부분 누락 마모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As a result, the block stiffness of the
또한, 숄더 랜드부(4C)의 강성을 확보한 다음에, 그 랜드부 폭을 상대적으로 좁게 하여, 타이어 축 방향에서의 접지압의 차를 작게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숄더 랜드부(4C)의 랜드부 폭을 상대적으로 좁게 하면서, 숄더 타이바(16C)를 크게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숄더 랜드부(4C) 중, 타이바 설치 영역과, 비설치 영역에서 생기는 강성차를 작게 하여, 폭 방향에서의 마모량의 차를 작게 할 수 있어, 편마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securing the rigidity of the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타이어(1)는, 센터 내마모 성능 및 힐&토우 내마모 성능을 높은 차원에서 양립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상기 비(Wmi/Wcr)가 0.98을 넘으면, 센터 블록(8A)의 블록 강성이 과도하게 작아져, 센터 마모를 충분히 막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비(Wmi/Wcr)가 0.9 미만이면, 미들 블록(8B)의 블록 강성이 과도하게 작아져, 힐&토우 마모를 충분히 막을 수 없는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비(Wmi/Wcr)는, 바람직하게는 0.9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96 이하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0.9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92 이상이다. When the ratio Wmi / Wcr exceeds 0.98, the block stiffness of the
같은 관점에서, 상기 (Wsh/Wcr)는, 바람직하게는, 1.2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18 이하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14 이상이다. From the same point of view, (Wsh / Wcr) is preferably 1.22 or less, more preferably 1.18 or less, and preferably 1.10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14 or more.
또한, 상기 비(Wmi/Wcr)의 상기 범위의 중앙치 0.94 및 비(Wsh/Wcr)의 상기 범위의 중앙치(1.16)를 각 비의 기준치로 하면, 상기 비(Wmi/Wcr) 및 비(Wsh/Wcr)는, 모두 기준치 이하 또는 기준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미들 블록(8B)과 숄더 블록(8C)의 강성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어, 힐&토우 마모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Further, when the median value 0.94 of the range of the ratio (Wmi / Wcr) and the median value (1.16) of the range of the ratio (Wsh / Wcr) are reference values of the ratio, the ratio (Wmi / Wcr) and the ratio (Wsh / It is preferable that all of Wcr) is below a reference value or more than a reference value. Thereby, the rigid balance of the
한편, 상기 비(Wmi/Wcr)가 기준치보다 크고, 상기 비(Wsh/Wcr)가 기준치보다 작으면, 미들 블록(8B)과 숄더 블록(8C)의 강성차가 과도하게 작아져, 숄더 블록(8C)의 힐&토우 마모를 충분히 막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비(Wmi/Wcr)가 기준치보다 작고, 상기 비(Wsh/Wcr)가 기준치보다 크면, 미들 블록(8B)과 숄더 블록(8C)의 강성차가 과도하게 커져, 미들 블록(8B)의 힐&토우 마모를 충분히 막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atio Wmi / Wcr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the ratio Wsh / Wcr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stiffness difference between the
이상,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양태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especially preferabl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in detail,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mbodiment shown, It can variously deform and implement.
[실시예][Example]
도 1에 도시하는 기본 구조를 이루고, 표 1에 나타내는 센터 랜드부, 미들 랜드부, 숄더 랜드부 등을 갖는 타이어를 제조하여, 이들의 성능을 평가했다. 한편, 공통 사양은 다음과 같다. The tire which has the basic structure shown in FIG. 1, and has a center land part, a middle land part, a shoulder land part, etc. which were shown in Table 1 was manufactured, and these performances were evaluated. On the other hand, common specifications are as follows.
타이어 사이즈 : 11.00R20Tire size: 11.00R20
림 사이즈 : 20×8.00Rim Size: 20 × 8.00
센터 주홈, 미들 주홈, 숄더 주홈 : Center main home, middle main home, shoulder main home:
홈 폭(W1a, W1b, W1c) : 6∼9 mm Groove width (W1a, W1b, W1c): 6 to 9 mm
최대 홈 깊이(D1a, D1b, D1c) : 20.4 mm Groove depth (D1a, D1b, D1c): 20.4 mm
완경사부 : 각도(α1a) : 10도Mild slope: Angle (α1a): 10 degrees
길이(L1a) : 45 mm Length (L1a): 45 mm
급경사부 : 각도(α1b) : 40도Steep slope: Angle (α1b): 40 degrees
길이(L1b) : 5 mm Length (L1b): 5 mm
제1, 2 경사부 : 각도(α2a, α2b, α3a, α3b) : 10도1st, 2nd inclination part: angle ((alpha) 2a, alpha2b, alpha3a, alpha3b): 10 degree
길이(L2a, L2b, L3a, L3b) : 22 mm Length (L2a, L2b, L3a, L3b): 22 mm
센터 가로홈, 미들 가로홈, 숄더 가로홈 : Center Groove, Middle Groove, Shoulder Groove:
각도(α7a, α7 b, α7c) : 10도Angle (α7a, α7 b, α7c): 10 degrees
홈 폭(W7a, W7b, W7c) : 5∼20 mm Groove width (W7a, W7b, W7c): 5-20 mm
최대 홈 깊이(D7a, D7b, D7c) : 15.4∼20.4 mm Groove depth (D7a, D7b, D7c): 15.4 to 20.4 mm
최대 길이(L7a, L7b, L7c) : 20∼50 mm Maximum length (L7a, L7b, L7c): 20 to 50 mm
센터 블록 : Center block:
최대 길이(L4a) : 40 mm Maximum Length (L4a): 40 mm
중앙 영역(T4a) : 14 mm Center area (T4a): 14 mm
비(T4a/L4a) : 35% Ratio (T4a / L4a): 35%
미들 블록 : Middle block:
최대 길이(L4b) : 42 mm Maximum length (L4b): 42 mm
중앙 영역(T4b) : 14.7 mm Center area (T4b): 14.7 mm
비(T4b/L4b) : 35% Ratio (T4b / L4b): 35%
숄더 블록 : Shoulder block:
최대 길이(L4c) : 40 mm Maximum Length (L4c): 40 mm
중앙 영역(T4c) : 14 mm Center area (T4c): 14 mm
비(T4c/L4c) : 35% Ratio (T4c / L4c): 35%
센터 타이바 :Center tie bar:
최대 홈 깊이(D3a) : 10.2 mm Groove depth (D3a): 10.2 mm
최대 융기 높이(H1) : 10.2 mm Maximum elevation height (H1): 10.2 mm
최대 길이(L6a) : 16 mm Maximum length (L6a): 16 mm
중앙 영역(T7a) : 11.2 mm Center area (T7a): 11.2 mm
비(H1/D1a) : 50% Ratio (H1 / D1a): 50%
비(L6a/L7a) : 50% Ratio (L6a / L7a): 50%
비(T7a/L7a) : 35% Ratio (T7a / L7a): 35%
미들 타이바 : Middle tie bar:
최대 홈 깊이(D3b) : 10.2 mm Groove depth (D3b): 10.2 mm
최대 융기 높이(H2) : 10.2 mm Maximum elevation height (H2): 10.2 mm
최대 길이(L6b) : 16 mm Maximum length (L6b): 16 mm
중앙 영역(T7b) : 11.2 mm Center area (T7b): 11.2 mm
비(H2/D1b) : 50% Ratio (H2 / D1b): 50%
비(L6b/L7b) : 50% Ratio (L6b / L7b): 50%
비(T7b/L7b) : 35% Ratio (T7b / L7b): 35%
숄더 타이바 : Shoulder tie bar:
최대 길이(L6c) : 20 mm Maximum length (L6c): 20 mm
외측 영역(T7c) : 16 mm Outer area (T7c): 16 mm
비(L6c/L7c) : 50% Ratio (L6c / L7c): 50%
비(T7c/L7c) : 40% Ratio (T7c / L7c): 40%
사이핑(S1, S2)의 최대 깊이 : 2.5 mm Depth of siping (S1, S2): 2.5 mm
테스트 방법은 다음과 같다. The test method is as follows.
<센터 내마모 성능> Center wear resistance
각 공시(供試) 타이어를 상기 림에 림조립하고, 내압 780 kPa 충전하여, 8톤 2-D차의 전체 바퀴에 장착하여, 정적(定積) 상태에서 일반도로/고속도로를 8만 km 주행한 후에, 센터 블록의 최대 마모량과 숄더 블록의 최대 마모량의 비(센터 마모 지수)를 측정했다. 또한, 숄더 블록의 선착측 가장자리와 후착측 가장자리의 마모량의 차와, 숄더 주홈의 최대 홈 깊이의 비(힐&토우 마모 지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측정했다. 모두 수치가 작을수록 양호하다. Each rim tire was rim-assembled on the rim, filled with internal pressure of 780 kPa, and mounted on all wheels of an 8-ton 2-D car, driving 80,000 km on a general road / highway in a static state. After that, the ratio (center wear index) of the maximum wear amount of the center block and the maximum wear amount of the shoulder block was measured.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wear between the first edge and the rear edge of the shoulder block and the ratio (heel & toe wear index) of the maximum groove depth of the shoulder main groove were measured in the same manner. In all cases, the smaller the value, the better.
<미들 블록 및 숄더 블록의 힐&토우 내마모 성능> <Heel and toe wear resistance of middle block and shoulder block>
각 공시 타이어를 상기 조건으로 림 조립하여, 상기 차량에 장착하고, 정적 상태에서 일반도로/고속도로를 8만 km 주행한 후에, 미들 블록의 선착측 가장자리와 후착측 가장자리의 마모량의 차와, 미들 주홈의 최대 홈 깊이의 비(미들 블록의 힐&토우 마모 지수) 및 숄더 블록의 선착측 가장자리와 후착측 가장자리와의 마모량의 차와, 숄더 주홈의 최대 홈 깊이의 비(숄더 블록의 힐&토우 마모 지수)를 측정했다. 모두 수치가 작을수록 양호하다. After the rims are assembled on the vehicle under the above conditions, the vehicle is mounted, and after traveling 80,000 km on the general road / highway in a static st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mount of wear on the first side edge and the rear side edge of the middle block and the middle main groove Ratio of the maximum groove depth of the middle block (heel & toe wear index of the middle block) and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wear between the first edge and the trailing edge of the shoulder block and the ratio of the maximum groove depth of the shoulder main groove (heel & toe wear of the shoulder block) Index). In all cases, the smaller the value, the better.
<배수 성능> <Drain performance>
각 공시 타이어를 상기 조건으로 림 조립하여, 상기 차량에 장착하고, 수심 1.4∼1.6 mm의 아스팔트 노면에서, 속도 60 km/h로 ABS를 온으로 한 조건으로 풀 브레이킹을 하여, 제동 거리를 측정했다. 평가는, 실시예 1의 제동 거리를 100으로 하는 지수로 표시했다. 수치가 작을수록 양호하다. Each test tire was rim-assembled under the above conditions, mounted on the vehicle, and braking distance was measured by full braking under the condition that ABS was turned on at a speed of 60 km / h on an asphalt road surface having a depth of 1.4 to 1.6 mm. . Evaluation was expressed by the index which makes the braking distance of Example 1 100. The smaller the value, the better.
테스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The test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테스트 결과, 실시예의 타이어는, 센터 내마모 성능 및 힐&토우 내마모 성능을 높은 차원에서 양립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of the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tire of the example can achieve both a center wear resistance and a heel & toe wear performance at a high level.
1 :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 2 : 트레드부
3A : 센터 주홈 3B : 미들 주홈
3C : 숄더 주홈 4A : 센터 랜드부
4B : 미들 랜드부 4C : 숄더 랜드부
7A : 센터 가로홈 7B : 미들 가로홈
7C : 숄더 가로홈 8A : 센터 블록
8B : 미들 블록 8C : 숄더 블록
16A : 센터 타이바 16B : 미들 타이바
16C : 숄더 타이바1: Heavy duty pneumatic tire 2: Tread part
3A: Center
3C: shoulder
4B:
7A: Center
7C: Shoulder
8B:
16A:
16C: Shoulder Tie Bar
Claims (6)
상기 센터 랜드부, 상기 미들 랜드부 및 상기 숄더 랜드부는, 각각 센터 가로홈, 미들 가로홈 및 숄더 가로홈에 의해서, 센터 블록, 미들 블록 및 숄더 블록으로 구분된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로서,
상기 센터 가로홈, 미들 가로홈 및 숄더 가로홈에는, 각각 홈 바닥을 융기시킨 센터 타이바(tie bar), 미들 타이바 및 숄더 타이바가 형성되고,
상기 숄더 타이바의 융기 높이가 가장 크며,
상기 센터 랜드부의 최대 폭을 Wcr, 상기 미들 랜드부의 최대 폭을 Wmi 및 상기 숄더 랜드부의 최대 폭을 Wsh라고 할 때, 하기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
0.9≤Wmi/Wcr≤0.98
1.1≤Wsh/Wcr≤1.22The tread portion includes a center main groove extending continuously over the tire equator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air of middle main grooves extending continuously from both outside of the center main groove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both outer sides of the middle main groove. By forming a pair of shoulder main grooves extending continuous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center land portion between the center main groove and the middle main groove, the middle land portion between the middle main groove and the shoulder main groove and the shoulder main groove are formed in the tread portion. Shoulder land between the tread and the ground end,
The center land portion, the middle land portion and the shoulder land portion, as a heavy load pneumatic tire divided into a center block, a middle block and a shoulder block, respectively, by a center cross groove, a middle cross groove and a shoulder cross groove,
The center lateral groove, the middle lateral groove and the shoulder lateral groove are each formed with a center tie bar, a middle tie bar and a shoulder tie bar which raised the bottom of the groove,
The ridge height of the shoulder tie bar is the largest,
When the maximum width of the center land portion is Wcr, the maximum width of the middle land portion is Wmi, and the maximum width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is Wsh, the following relationship is satisfied.
0.9≤Wmi / Wcr≤0.98
1.1≤Wsh / Wcr≤1.22
상기 숄더 타이바의 타이어 축 방향의 중간점은, 상기 숄더 가로홈의 타이어 축 방향의 외측 영역에 위치하는 것인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 The middle point of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said center tie bar and the middle tie bar is located in the center area | region of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said center cross groove and the said middle cross groove,
The mid-point in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shoulder tie bar is located in the outer region of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shoulder lateral groo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1068391A JP5342586B2 (en) | 2011-03-25 | 2011-03-25 | Heavy duty pneumatic tire |
JPJP-P-2011-068391 | 2011-03-2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9320A true KR20120109320A (en) | 2012-10-08 |
KR101747981B1 KR101747981B1 (en) | 2017-06-15 |
Family
ID=46855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7111A KR101747981B1 (en) | 2011-03-25 | 2012-03-16 | Heavy duty pneumatic tire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241061A1 (en) |
JP (1) | JP5342586B2 (en) |
KR (1) | KR101747981B1 (en) |
CN (1) | CN102689568B (en) |
BR (1) | BR10201200837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12012006998B4 (en) * | 2012-10-10 | 2019-05-16 | The Yokohama Rubber Co., Ltd. | tire |
US9688105B2 (en) * | 2012-11-30 | 2017-06-27 | Bridgestone Corporation | Pneumatic tire |
JP5698775B2 (en) * | 2013-02-08 | 2015-04-08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Heavy duty pneumatic tire |
WO2014148260A1 (en) * | 2013-03-18 | 2014-09-25 |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 Tire |
JP6242294B2 (en) * | 2013-06-10 | 2017-12-06 |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 Pneumatic tire |
JP5809672B2 (en) * | 2013-09-02 | 2015-11-11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Heavy duty tire |
EP3059101B1 (en) * | 2013-11-07 | 2018-06-27 |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 Heavy-duty tire |
JP5852686B2 (en) * | 2014-02-10 | 2016-02-03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Heavy duty tire |
JP5852627B2 (en) * | 2013-11-07 | 2016-02-03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Heavy duty tire |
JP5852703B2 (en) * | 2014-05-28 | 2016-02-03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Heavy duty tire |
JP6243233B2 (en) | 2014-01-17 | 2017-12-06 |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 tire |
CN104044405A (en) * | 2014-06-30 | 2014-09-17 | 中国化工橡胶桂林有限公司 | Tread patterns of driving tire of motorlorry |
JP6114723B2 (en) * | 2014-08-26 | 2017-04-12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Heavy duty pneumatic tire |
US10144250B2 (en) * | 2014-08-26 | 2018-12-04 |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 Heavy duty pneumatic tire |
WO2016059992A1 (en) | 2014-10-16 | 2016-04-21 | 横浜ゴム株式会社 | Pneumatic tire |
JP6050802B2 (en) * | 2014-11-18 | 2016-12-21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Heavy duty pneumatic tire |
JP6393162B2 (en) * | 2014-11-21 | 2018-09-19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Heavy duty pneumatic tire |
JP6383300B2 (en) * | 2015-02-02 | 2018-08-29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Pneumatic tire |
JP6366525B2 (en) * | 2015-02-27 | 2018-08-01 |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 Pneumatic tire |
JP6466229B2 (en) * | 2015-04-01 | 2019-02-06 |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 Pneumatic tire |
JP6311743B2 (en) * | 2016-05-30 | 2018-04-18 | 横浜ゴム株式会社 | Pneumatic tire |
JP6781578B2 (en) * | 2016-06-30 | 2020-11-04 | Toyo Tire株式会社 | Pneumatic tires |
JP6747888B2 (en) * | 2016-06-30 | 2020-08-26 | Toyo Tire株式会社 | Pneumatic tire |
CN109414965B (en) * | 2016-07-19 | 2021-08-13 | 横滨橡胶株式会社 | Pneumatic tire |
JP6838421B2 (en) * | 2017-02-16 | 2021-03-03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tire |
JP6540756B2 (en) * | 2017-07-27 | 2019-07-10 | 横浜ゴム株式会社 | Pneumatic tire |
DE102017215426A1 (en) * | 2017-09-04 | 2019-03-07 |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 Tread pattern of a vehicle tire |
JP7035550B2 (en) * | 2018-01-18 | 2022-03-15 | 横浜ゴム株式会社 | Pneumatic tires |
JP6652220B2 (en) * | 2018-02-07 | 2020-02-19 | 横浜ゴム株式会社 | Pneumatic tire |
JP7017947B2 (en) * | 2018-02-21 | 2022-02-09 | Toyo Tire株式会社 | Pneumatic tires |
JP6954867B2 (en) * | 2018-06-19 | 2021-10-27 |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 Heavy load tires |
JP7085427B2 (en) * | 2018-07-10 | 2022-06-16 | Toyo Tire株式会社 | Pneumatic tires |
JP7092591B2 (en) * | 2018-07-26 | 2022-06-28 | Toyo Tire株式会社 | Pneumatic tires |
JP7122934B2 (en) | 2018-10-25 | 2022-08-22 | Toyo Tire株式会社 | pneumatic tire |
JP7159827B2 (en) * | 2018-12-04 | 2022-10-25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tire |
JP7492124B2 (en) | 2020-04-30 | 2024-05-29 | 横浜ゴム株式会社 | tire |
JP7497607B2 (en) * | 2020-04-30 | 2024-06-11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tire |
TWI803826B (en) * | 2021-02-09 | 2023-06-01 | 正新橡膠工業股份有限公司 | Tire tread noise reduction structure |
CN112937221A (en) * | 2021-04-26 | 2021-06-11 | 正新橡胶(中国)有限公司 | Pneumatic tire |
CN113352819A (en) * | 2021-07-09 | 2021-09-07 | 赛轮集团股份有限公司 | Tyre for vehicle wheels |
JP2024118533A (en) | 2023-02-21 | 2024-09-02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Heavy Duty Tires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669273A1 (en) * | 1990-11-15 | 1992-05-22 | Michelin & Cie | PNEUMATIC ENVELOPE BEARING ROD FOR HEAVY WEIGHT VEHICLES. |
DE69722728T2 (en) * | 1996-08-05 | 2003-12-04 |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Kobe | tire |
JP4713785B2 (en) * | 2001-08-23 | 2011-06-29 |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 Pneumatic tire |
JP3933495B2 (en) * | 2001-08-23 | 2007-06-20 |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 Pneumatic radial tire |
KR100593008B1 (en) * | 2004-05-31 | 2006-06-23 |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
JP4312141B2 (en) * | 2004-10-13 | 2009-08-12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Heavy duty radial tire |
JP4330561B2 (en) * | 2005-07-12 | 2009-09-16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Heavy duty tire |
JP4886288B2 (en) * | 2005-12-08 | 2012-02-29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Pneumatic tire |
JP5227355B2 (en) * | 2010-03-19 | 2013-07-03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Heavy duty tire |
JP5123981B2 (en) * | 2010-04-27 | 2013-01-23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Heavy duty tire |
-
2011
- 2011-03-25 JP JP2011068391A patent/JP5342586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
- 2012-03-16 CN CN201210071520.2A patent/CN102689568B/en active Active
- 2012-03-16 KR KR1020120027111A patent/KR101747981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2-03-23 US US13/428,758 patent/US2012024106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03-26 BR BR102012008374-4A patent/BR102012008374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BR102012008374A2 (en) | 2013-06-04 |
JP2012201253A (en) | 2012-10-22 |
BR102012008374B1 (en) | 2020-11-17 |
CN102689568B (en) | 2015-12-16 |
KR101747981B1 (en) | 2017-06-15 |
US20120241061A1 (en) | 2012-09-27 |
JP5342586B2 (en) | 2013-11-13 |
CN102689568A (en) | 2012-09-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109320A (en) | Heavy duty pneumatic tire | |
EP3040216B1 (en) | Pneumatic tire | |
EP3037280B1 (en) | Pneumatic tire | |
KR101886886B1 (en) | Heavy duty pneumatic tire | |
KR101746239B1 (en) | Pneumatic tire | |
KR101862884B1 (en) | Pneumatic tire | |
CN106080046B (en) | Pneumatic tire | |
US10668775B2 (en) | Tire | |
KR20130079168A (en) | Heavy duty pneumatic tire | |
JP6769181B2 (en) | tire | |
US11267291B2 (en) | Tire | |
CN108569086B (en) | Tyre for vehicle wheels | |
US11267290B2 (en) | Tire | |
CN104553623A (en) | Aerated tire | |
US20140202606A1 (en) | Agricultural machine tire | |
JP6130884B2 (en) | Pneumatic tire | |
CN108068555A (en) | Tyre for heavy load | |
JP6357079B2 (en) | Heavy duty tire | |
CN111989230B (en) | Pneumatic tire | |
US20220396101A1 (en) | Tire | |
US11884108B2 (en) | Tire | |
EP3925800B1 (en) | Ti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