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9300A - 낚시용 신발 - Google Patents

낚시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9300A
KR20120109300A KR1020120022332A KR20120022332A KR20120109300A KR 20120109300 A KR20120109300 A KR 20120109300A KR 1020120022332 A KR1020120022332 A KR 1020120022332A KR 20120022332 A KR20120022332 A KR 20120022332A KR 20120109300 A KR20120109300 A KR 20120109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fixing
sole
fishing
fitt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9953B1 (ko
Inventor
노부유끼 야마구찌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9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A43B13/26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projecting beyond the sol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by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 본체의 저면으로부터의 펠트솔의 떨어짐을 방지하는 낚시용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낚시용 신발(1)은, 신발 본체(2)와, 신발 본체(2)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펠트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층과 펠트보다도 경질인 고정층이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신발창(4)과, 상기 고정층을 신발 본체(2)의 저면 사이에서 끼움 지지하여 고정하는 끼움 지지 수단(12, 13)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낚시용 신발 {SHOES FOR FISHING}
본 발명은, 주로 낚시를 할 때에 사용되는 낚시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발창의 이면에 미끄럼 방지용의 신발창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낚시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계류 낚시나 갯바위 낚시 등에 사용되는 낚시용 신발은, 미끄러지기 어려운 신발창 구조를 구비하고 있고,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신발 본체와, 상기 신발 본체의 저면에 착탈 가능한 미끄럼 방지 효과를 발휘하는 펠트솔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펠트솔이 닳아 마모된 경우에는 새로운 펠트솔로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99004호
전술한 특허 문헌 1의 낚시용 신발은, 신발 본체의 저면과 펠트솔이 면 파스너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신발 본체의 저면과 펠트솔의 밀착면간에 모래(자갈)가 인입되면, 면 파스너의 훅이 찌부러져 밀착력이 저하되어, 펠트솔이 신발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박리되기 쉬워진다. 또한, 최악의 경우에는, 펠트솔이 신발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완전하게 떨어지게 될 가능성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신발 본체의 저면으로부터의 펠트솔의 떨어짐을 방지하는 낚시용 신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낚시용 신발은, 신발 본체와, 상기 신발 본체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펠트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층과 펠트보다도 경질인 고정층이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신발창과, 상기 고정층을 상기 신발 본체의 저면 사이에서 끼움 지지하여 고정하는 끼움 지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낚시용 신발에 따르면, 신발창의 고정층이 끼움 지지 수단에 의해 신발 본체의 저면에 대하여 끼움 지지 고정되므로, 신발 본체의 저면과 신발창 사이의 간극에 자갈 등의 이물질이 인입된 경우라도, 신발창이 신발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끼움 지지 수단에 의한 끼움 지지력에 의해, 신발 본체의 저면과 신발창의 밀착성이 견고하게 되고, 신발 본체의 저면과 신발창이 면 파스너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면 파스너의 부상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낚시용 신발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낚시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 끼움 지지 수단은, 상기 신발 본체의 저면에 매설되는 수용부와, 상기 고정층을 상기 신발 본체의 저면과의 사이에서 끼움 지지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고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2에 기재된 낚시용 신발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낚시용 신발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지는 동시에, 고정부가 수용부에 수용됨으로써 신발창의 고정층이 신발 본체의 저면에 대하여 끼움 지지 고정되므로, 끼움 지지 고정 상태가 안정된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낚시용 신발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낚시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및 상기 고정부가 나사를 갖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3에 기재된 낚시용 신발에 따르면, 청구항 2에 기재된 낚시용 신발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지는 동시에, 고정부와 수용부의 나사 결합에 수반하는 체결력에 의해 신발창의 고정층이 신발 본체의 저면에 대하여 끼움 지지 고정되어, 고정부에 의해 고정층이 신발 본체의 저면에 견고하게 압박되므로, 신발 본체의 저면과 신발창의 밀착성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그로 인해, 신발창이 신발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낚시용 신발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낚시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4에 기재된 낚시용 신발에 따르면, 청구항 2에 기재된 낚시용 신발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지는 동시에, 고정부를 수용부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신발창이 신발 본체에 고정되므로, 고정 작업이 매우 간단하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낚시용 신발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낚시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 끼움 지지 수단은, 상기 신발 본체의 저면에 장착되는 판 형상 부재와, 상기 신발창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상기 판 형상 부재와 걸림으로써 상기 고정층을 상기 신발 본체에 대하여 끼움 지지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갖는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5에 기재된 낚시용 신발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낚시용 신발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지는 동시에, 신발 본체의 저면에 장착되는 판 형상 부재와 고정 부재의 걸림에 수반하는 인장력에 의해 신발창의 고정층이 신발 본체의 저면에 대하여 끼움 지지 고정되므로, 신발 본체의 저면과 신발창의 밀착성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그로 인해, 신발창이 신발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낚시용 신발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낚시용 신발에 있어서, 끼움 지지 수단이 신발의 전단부 영역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6에 기재된 낚시용 신발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낚시용 신발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지는 동시에, 박리가 발생하기 쉬운 신발의 전단부 영역을 끼움 지지 수단에 의해 중점적으로 보강함으로써, 신발 본체의 저면으로부터의 신발창의 박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전단부 영역」이란, 발바닥의 모지구(母指球)와 소지구(小指球)를 연결하는 라인보다도 발가락끝측의 영역이다.
본 발명의 낚시용 신발에 따르면, 신발창의 고정층이 끼움 지지 수단에 의해 신발 본체의 저면에 대하여 끼움 지지 고정되므로, 신발 본체의 저면으로부터의 펠트솔의 떨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신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낚시용 신발에 있어서의 신발 본체의 저면과 신발창의 장착부의 주요부 단면도.
도 3은 신발 본체의 저면과 신발창을 끼움 지지 수단에 의해 끼움 지지 고정하는 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4의 (a)는 끼움 지지 수단을 구성하는 고정부의 사시도, 도 4의 (b)는 도 4의 (a)의 A 방향 화살표도(평면도), 도 4의 (c)는 도 4의 (b)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의 (a)는 끼움 지지 수단을 구성하는 수용부의 제1 변형예의 사시도, 도 5의 (b)는 끼움 지지 수단을 구성하는 수용부의 제2 변형예의 사시도.
도 6은 끼움 지지 수단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끼움 지지 수단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끼움 지지 수단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9는 끼움 지지 수단의 제5 변형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로크 전).
도 10은 끼움 지지 수단의 제5 변형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로크 후).
도 11의 (a)는 제5 변형예에 따른 끼움 지지 수단의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11의 (b)는 도 11의 (a)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2의 (a)는 제5 변형예에 따른 끼움 지지 수단의 로크 고무의 평면도, 도 12의 (b)는 도 12의 (a)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3의 (a)는 제5 변형예에 따른 끼움 지지 수단의 로크 핀의 절반 측단면도, 도 13의 (b)는 도 13의 (a)의 C 방향 화살표도.
도 14의 (a)는 제5 변형예에서 사용되는 지그의 절반 측단면도, 도 14의 (b)는(a)의 D 방향 화살표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신발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신발(1)은, 장화 타입(부츠 타입)으로 적용되어 있고, 낚시꾼의 발 부분을 덮는 신발 본체(2)와, 신발 본체(2)의 저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 고정되는 신발창(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신발 본체(2)의 저면과 신발창(4) 사이의 착탈 가능한 장착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매직 테이프나 벨크로(모두 등록 상표) 등의 면 파스너(10A, 10B)에 의해 행해진다.
신발 본체(2)는, 예를 들어, 합성 고무, 우레탄, EVA 등의 합성 수지로 일체 형성되어 있고, 저면을 형성하는 미드솔(2a)을 갖는다. 미드솔(2a)의 표면[신발 본체(2)의 저면]에는 면 파스너(10A)가 고착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상세하게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교체솔로서의 신발창(4)은, 지면과 접촉되는 펠트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층(4b)과, 미드솔(2a)에 대향하여 신발 본체(2)에 설치되는 펠트보다도 경질인[예를 들어, 미드솔(2a)의 굽힘 강성과 동등하거나 그 이하의 합성 고무로 이루어짐] 고정층(4a)이 일체화되어 이루어지고, 고정층(4a)의 표면[미드솔(2a)과 대향되는 면]에는, 면 파스너(10A)와 착탈 가능하게 밀착 접합되는 면 파스너(10B)가 고착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신발(1)은, 고정층(4a)을 미드솔(2a)[신발 본체(2)의 저면]과의 사이에서 끼움 지지하여 고정하는 끼움 지지 수단을 더 갖는다. 구체적으로, 이 끼움 지지 수단은, 특히, 발바닥의 모지구와 소지구를 연결하는 라인보다도 발가락끝측에 있는 상기 신발(1)(신발창)의 전단부 영역과, 발바닥의 발뒤꿈치 근방의 후단부 영역에 설정되어 있고(도 1 참조), 미드솔(2a) 중에 예를 들어 인서트 성형에 의해 매설되는 나사 부착된 수용부로서의 고정용 너트(13)와, 고정층(4a)을 미드솔(2a) 사이에서 끼움 지지하도록 고정용 너트(13)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 부착된 고정부로서의 고정용 볼트(12)를 갖는다.
고정용 너트(13)는, 도 3에 명확하게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판 형상의 헤드부(13a)와, 상기 헤드부(13a)의 대략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또한 암나사를 내주면에 갖는 원통 형상의 축부(13b)와, 헤드부(13a)의 내면으로부터 축부(13b)를 따라서 연장되는 동시에 헤드부(13a)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회전 억제부(21)를 갖고 있고,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강도가 높은 플라스틱 등에 의해 형성되고, 신발 본체(2)[미드솔(2a)]를 형성할 때에 그 구성 재료에 매설되어 신발 본체(2)[미드솔(2a)]와 일체화된다(도 2 참조). 또한, 이때, 회전 억제부(21)가 넓은 면적에 걸쳐 상기 구성 재료와 둘레 방향으로 걸려, 미드솔(2a)에 대한 고정용 너트(13)의 회전을 억제한다. 또한, 도 3에서는, 고정용 너트(13)의 구조를 알기 위해, 고정용 너트(13)가 단독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 고정용 너트(13)가 미드솔(2a) 중에 매설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고정용 볼트(12)는, 고정층(4a)을 미드솔(2a)과의 사이에서 끼움 지지하기 위한 원판 형상의 끼움 지지부(12a)와, 상기 끼움 지지부(12a)의 대략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또한 수나사를 외주면에 갖는 축부(12b)를 갖고 있고,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강도가 높은 플라스틱 등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고정용 볼트(12)는, 미끄럼 방지층(4b)에 형성된 대경 구멍(11)과 고정층(4a)에 형성된 소경 구멍(17)에 삽입 관통됨으로써, 고정용 너트(13)에 나사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끄럼 방지층(4b)에 형성된 대경 구멍(11)은, 고정용 볼트(12)를 미끄럼 방지층(4b)의 표면보다도 내측으로 매몰시킬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저부에서 고정층(4a)을 노출시키는 동시에 고정층(4a)의 소경 구멍(17)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소경 구멍(17)의 내경은 고정용 너트(13)의 원통 형상의 축부(13b)의 외경과 대략 일치하고 있고, 미드솔(2a)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축부(13b)의 선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신발창(4)을 신발 본체(2)의 저면[미드솔(2a)]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미드솔(2a)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용 너트(13)의 축부(13b)의 선단부를 고정층(4a)의 소경 구멍(17)에 끼워 넣어 신발창(4)을 미드솔(2a)에 대하여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고정층(4a)의 소경 구멍(17)을 통하여 고정용 볼트(12)의 축부(12)를 고정용 너트(13)의 축부(13b)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용 볼트(12)의 끼움 지지부(12a)를 노출시키는 고정층(4a)에 대하여 압박한다. 이에 의해, 미드솔(2a)과 끼움 지지부(12a) 사이에서 고정층(4a)이 끼움 지지되고, 신발창(4)이 미드솔(2a)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 경우, 도 4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층(4a)에 대하여 압박되는 고정용 볼트(12)의 끼움 지지부(12a)의 압접면 부위(이면)에, 너트(13)와 볼트(12) 사이의 나사의 느슨함을 방지하는 볼록부(18)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b)에서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볼록부(18)가 둘레 방향과 동등한 각도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와 같은 볼록부는, 도 4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끼움 지지부(12a)의 외주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돌기부(18A)라도 상관없다.
또한, 고정용 볼트(12)의 끼움 지지부(12a)에는, 고정용 볼트(12)를 고정용 너트(13)에 대하여 나사 결합시키기 위한 지그(30)의 결합부(30a, 30a)(도 3 참조)를 결합할 수 있는 한 쌍의 결합 구멍(19, 19)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도 3 및 도 4의 (a) 참조].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미드솔(2a)에 대한 신발창(4)의 전술한 장착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신발창(4)을 외측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위하도록 신발창(4)의 주연을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a')가 미드솔(2a)의 주연부에 형성되고, 그것에 의해, 신발창(4)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20)가 형성되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신발(1)에 따르면, 신발창(4)의 고정층(4a)이 끼움 지지 수단에 의해 신발 본체(2)의 저면에 대하여 끼움 지지 고정되므로, 예를 들어 신발 본체(2)의 저면과 신발창(4) 사이의 간극에 자갈 등의 이물질이 인입된 경우라도, 신발창(4)이 신발 본체(2)의 저면으로부터 떨어지는[면 파스너(10A, 10B)끼리가 떨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끼움 지지 수단을 구성하는 볼트(12)와 너트(13)의 나사 결합에 수반하는 체결력에 의해 신발창(4)의 고정층(14a)이 미드솔(2a)[신발 본체(2)의 저면]에 대하여 끼움 지지 고정되어, 볼트(12)의 끼움 지지부(12a)에 의해 고정층(4a)이 미드솔(2a)에 견고하게 압박할 수 있으므로, 미드솔(2a)과 신발창(4)의 밀착성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그로 인해, 신발창(4)이 미드솔(2a)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끼움 지지 수단(12, 13)에 의한 끼움 지지력에 의해, 신발 본체(2)의 저면과 신발창(4)의 밀착성이 견고하게 되어, 면 파스너(10A, 10B)의 부상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박리가 발생하기 쉬운 신발의 전단부 영역을 끼움 지지 수단에 의해 중점적으로 보강하고 있기 때문에, 미드솔(2a)로부터의 신발창(4)의 박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끼움 지지 수단을 구성하는 고정용 너트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되는 제1 변형예에 따른 고정용 너트(13A)는, 회전 억제부로서[도 3의 회전 억제부(21)에 대신하여], 전술한 인서트 성형시에 신발 본체(2)[미드솔(2a)]를 형성하는 구성 재료가 인입되는 복수의 오목부(관통 구멍)(23)를 헤드부(13a)의 외주를 따라서 갖는다. 한편, 도 5의 (b)에 도시되는 제2 변형예에 따른 고정용 너트(13B)는, 회전 억제부로서[도 3의 회전 억제부(21)에 대신하여], 신발 본체(2)[미드솔(2a)]를 형성하는 구성 재료 중에 파고 들어가는 복수의 절결부(25)를 헤드부(13a)의 외주에 갖는다.
도 6은 끼움 지지 수단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수나사 및 암나사(너트 및 볼트)의 설치 방법이 상술한 실시 형태와 반대로 되어 있다. 즉, 이 변형예에서는, 미드솔(2a)에 매설되는 수용부가 고정용 볼트(13C)로 형성되고, 신발창(4)의 대경 구멍(11)에 끼워 넣어지는 고정부가 고정용 너트(12A)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정용 볼트(13C)는, 원판 형상의 헤드부(13a)와, 상기 헤드부(13a)의 대략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매설 상태(장착 상태)로 소경 구멍(17)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동시에 수나사를 외주면에 갖는 원통 형상의 축부(13b')와, 헤드부(13a)의 내면으로부터 축부(13b')를 따라서 연장되는 동시에 헤드부(13a)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회전 억제부(21)를 갖는다. 한편, 고정용 너트(12A)는, 고정층(4a)을 미드솔(2a)과의 사이에서 끼움 지지하기 위한 원판 형상의 끼움 지지부(12a)와, 상기 끼움 지지부(12a)의 대략 중앙 부분에 형성되고 또한 암나사를 내주면에 갖는 나사 구멍(12b')을 갖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미드솔(2a)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용 볼트(13C)의 축부(13b')의 선단부를 고정층(4a)의 소경 구멍(17)에 끼워 넣어 신발창(4)을 미드솔(2a)에 대하여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고정층(4a)의 소경 구멍(17)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용 볼트(13C)의 축부(13b')에 대하여 고정용 너트(12A)를 나사 결합하여, 고정용 너트(12A)의 끼움 지지부(12a)를 노출시키는 고정층(4a)에 대하여 압박한다. 이에 의해, 미드솔(2a)과 끼움 지지부(12a) 사이에서 고정층(4a)이 끼움 지지되어, 신발창(4)이 미드솔(2a)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7은 끼움 지지 수단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변형예의 끼움 지지 수단은, 신발 본체(2)의 저면에 장착되는 판 형상 부재(47)와, 신발창(4)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판 형상 부재(47)와 걸림으로써 고정층(4a)을 신발 본체(2)에 대하여 끼움 지지 고정하는 예를 들어 직사각 형상의 고정 부재(45)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판 형상 부재(47)는, 직사각형 단면의 장척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이와 일체를 이루는 예를 들어 직사각 형상의 장착부(48)를 미드솔(2a) 중에 매설함으로써 미드솔(2a)에 대하여 고정되어, 미드솔(2a)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판 형상 부재(47)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빠짐 방지용의 걸림 돌기부(49)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걸림 돌기부(49)는, 고정 부재(45)의 걸림 구멍(46)에 삽입될 때에 그 쐐기 형상의 걸림 단부가 탄성 변형되고, 걸림 구멍(46)으로부터 빠져 나올 때에 원래의 형상으로 탄성적으로 복원함으로써 걸림 구멍(46)의 단부 모서리에 빠짐 방지 상태로 걸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신발창(4)의 고정층(4a)에는 판 형상 부재(47)를 삽입 관통할 수 있는 직사각 형상의 소구멍(41)이 형성되는 동시에, 신발창(4)의 미끄럼 방지층(4b)에는 고정 부재(45)를 미끄럼 방지층(4b)의 표면보다도 내측으로 매몰시킬 수 있는 직사각 형상의 대구멍(42)이 형성되어 있고, 대구멍(42)은 그 저부에서 고정층(4a)을 노출시키는 동시에 고정층(4a)의 소구멍(41)에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신발창(4)을 신발 본체(2)의 저면[미드솔(2a)]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미드솔(2a)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판 형상 부재(47)를 신발창(4)의 고정층(4a)의 소구멍(41) 및 보유 지지 플레이트(43)의 구멍(44)에 통과시킨 상태에서, 또한, 노출되는 고정층(4a)에 대하여 고정 부재(45)를 압박하면서 고정 부재(45)의 걸림 구멍(46)에 판 형상 부재(47)를 통과시켜 간다. 그리고, 충분한 압박 상태가 얻어지는 위치에서 판 형상 부재(47)의 걸림 돌기부(49)를 고정 부재(45)의 걸림 구멍(46)에 걸리게 한다. 이에 의해, 미드솔(2a)과 고정 부재(45) 사이에서 고정층(4a)이 끼움 지지되어, 신발창(4)이 미드솔(2a)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이와 같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고정 부재(45)로부터 돌출되는 여분의 판 형상 부재(47)가 컷트된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의 낚시용 신발에 따르면, 신발 본체(2)의 저면에 장착되는 판 형상 부재(47)와 고정 부재(45)의 걸림에 수반하는 인장력에 의해 신발창(4)의 고정층(4a)이 신발 본체(2)의 저면[미드솔(2a)]에 대하여 끼움 지지 고정되므로, 신발 본체(2)의 저면과 신발창(4)의 밀착성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그로 인해, 신발창(4)이 신발 본체(2)의 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끼움 지지 수단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끼움 지지 수단은, 신발 본체(2)에 매몰되는 일 없이 고정되는 수용부로서의 축체(52)와, 고정부로서의 금속 와셔(60)로 구성된다. 축체(52)는, 신발 본체(2)의 저부(2b)에 형성된 오목 홈(50)의 내측으로 매몰하도록 배치되어 저부(2b)에 걸림 고정되는 접시 형상의 헤드부(52a)와, 신발 본체(2)의 저부(2b) 및 미드솔(2a)에 형성된 관통 구멍(70, 80)에 삽입 관통되는 축부(52b)를 갖고 있고, 그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관통하여 형성되는 슬롯 형상의 구멍(53)을 이용하여 탄성적으로 직경 축소됨으로써 관통 구멍(70, 80)에 삽입 관통된다. 또한, 금속 와셔(60)는, 그 내측 구멍(60a)을 이용하여, 신발창(4)의 고정층(4a)의 소경 구멍(17)으로부터 돌출되는 축부(52b)의 단부에 압박되어 끼워 넣어짐으로써, 그 압접부(60b)를 탄성적으로 고정층(4a)에 압박하면서, 축부(52b)를 대경 구멍(11) 내에 탄성적으로 인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금속 와셔(60)는, 축부(52b)를 대경 구멍(11) 내에 탄성적으로 충분히 인장한 상태에서, 그 압접부(60b)가 미드솔(2a)과의 사이에서 고정층(4a)을 끼움 지지하여, 신발창(4)을 미드솔(2a)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도 9 내지 도 14는 끼움 지지 수단의 제5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끼움 지지 수단은, 제4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나사를 수반하는 일 없이 끼움 지지(수용부와 고정부가 탄성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신발 본체(2)의 저면[미드솔(2a)]에 매설되는 수용부로서의 플레이트(90)와, 신발창(4)에 미리 매설되어 고정층(4a)을 미드솔(2a) 사이에서 끼움 지지하는 고정부로서의 로크 고무(80)를 갖는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크 고무(80)는, 이에 삽입되는 로크 핀(100)과 협동하여 플레이트(90)에 결합함으로써 신발창(4)을 신발 본체(2)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변형예에 있어서, 수용부로서의 플레이트(90)는, 도 11에 명확하게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앙에 타원형의 장착 삽입 구멍(90c)을 갖는 원형의 베이스부(90b)와, 상기 베이스부(90b)의 외주연으로부터 수직으로 상승되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리 형상의 플랜지부(90a)에 따라서 단차 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플레이트(90)는, 그 베이스부(90b)가 미드솔(2a)의 관통 구멍(70) 내에 노출되어 위치되도록 미드솔(2a) 중에 예를 들어 인서트 성형에 의해 매설되고, 특히 본 변형예에서는, 인서트 성형시에 미드솔(2a)을 형성하는 구성 재료가 인입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90d) 및 절결부(90e)를 플랜지부(90a)의 외주를 따라서 형성하고 있다.
한편, 고정부로서의 로크 고무(80)는, 예를 들어 고무 등의 탄성 변형 가능한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신발창(4)에 예를 들어 인서트 성형에 의해 매설되어 일체화된다. 구체적으로는, 로크 고무(80)는, 도 12에 명확하게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신발창(4)의 고정층(4a)과 미끄럼 방지층(4b) 사이에 매설되는(도 9 및 도 10 참조) 접시 형상의 플랜지부(80a)와, 상기 플랜지부(80a)가 매설된 상태에서 고정층(4a)의 관통 구멍(79)에 삽입 관통되어 위치되는(도 9 및 도 10 참조) 원통 형상의 축부(80b)를 갖는다. 이 경우, 축부(80b)의 선단은, 고정층(4a)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신발창(4)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신발창(4)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지면과 접촉되는 펠트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층(4b)과, 미드솔(2a)에 대향하여 신발 본체(2)에 장착되는 펠트보다도 경질인 고정층(4a)이 일체화되어 이루어지지만, 고정층(4a)과 미끄럼 방지층(4b) 사이 및 고정층(4a)과 면 파스너(10B) 사이에 접착층(72, 74)을 갖고 있고(이 적층 구조는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도 적용할 수 있음), 고정층(4a)과 미끄럼 방지층(4b) 사이의 접착층(74) 중에 로크 고무(80)의 플랜지부(80a)가 매설된다. 그리고, 플랜지부(80a)에는, 접착층(74)을 형성하는 구성 재료(예를 들어 고무)가 인입되는 복수의 절결부(80g)가 외주를 따라서 형성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고정층(4a)이 펠트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축부(80b)는, 그 중심에 로크 핀 삽입 관통 구멍(80c)을 갖고 있고, 로크 핀 삽입 관통 구멍(80c)을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는 3개의 축체(80d, 80d, 80d)에 의해 구성된다. 즉, 축부(80d)는, 슬릿(82)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거의 3등분되어 단면이 대략 부채형의 3개의 축체(80d, 80d, 80d)로 분할되어 있고, 슬릿(82)의 존재에 의해 고정층(4a)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그 선단측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직경 확장(탄성 변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로크 핀 삽입 관통 구멍(80c)은 축부(80b)의 선단 개구부(80f) 및 플랜지부(80a)의 저면에서 각각 개방되어 있고, 로크 핀 삽입 관통 구멍(80c)과 선단 개구부(80f) 사이의 축부(80b)의 내면에는, 로크 핀 삽입 관통 구멍(80c)에 삽입 관통되는 로크 핀(100)이 축체(80d, 80d, 80d)의 선단측을 직경 방향 외측으로 확대시켜 선단 개구부(80f)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촉진시키기(안내하기) 위한 끝이 가는 테이퍼면(80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크 고무(80)의 로크 핀 삽입 관통 구멍(80c)에 삽입 관통되는 로크 핀(100)은, 도 13에 명확하게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의 축부(100b)로 이루어지고, 축부(100b)의 후단부에는 도 14에 도시되는 지그(150)의 결합 홈(152)과 결합 가능한 대략 타원 형상의 결합 돌기부(100d)가 설치된다. 또한, 축부(100b)에는, 결합 돌기부(100d)의 근방에, 로크 핀(100)이 로크 고무(80)의 로크 핀 삽입 관통 구멍(80c)에 삽입 관통되어 로크될 때에 로크 고무(80)의 플랜지부(80a)의 저면에 압접하는 플랜지 형상의 압접부(100a)가 설치된다. 또한, 축부(100b)의 선단에는 플랜지 형상의 빠짐 고정부(100c)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신발창(4)을 신발 본체(2)의 저면[미드솔(2a)]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신발창(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로크 고무(80)의 축부(80b)의 선단측을 미드솔(2a)의 관통 구멍(70) 내에 삽입하여 이 관통 구멍(70)에 위치되는 플레이트(90)의 장착 삽입 구멍(90c)에 삽입한다. 그리고, 그 상태로부터, 로크 고무(80)의 축부(80b)의 선단측을 장착 삽입 구멍(90c)을 통하여 플레이트(90)의 상측으로 소정량 돌출시키면, 미드솔(2a)의 표면[신발 본체(2)의 저면]의 면 파스너(10A)와 고정층(4a)의 표면[미드솔(2a)과 대향되는 면]의 면 파스너(10B)가 적정한 위치에서 밀착 접합된다. 그 후, 이번은, 지그(150)를 사용하여[지그(150)의 결합 홈(152)을 로크 핀(100)의 결합 돌기부(100d)와 결합시킨 상태에서] 로크 고무(80)의 로크 핀 삽입 관통 구멍(80c)에 로크 핀(100)을 삽입 관통하면, 삽입 관통된 로크 핀(100)은, 로크 핀 삽입 관통 구멍(80c)의 테이퍼면(80e)의 안내에 의해 선단 개구부(80f)를 향하여 전진시켜, 플레이트(90)의 상측으로 돌출된 로크 고무(80)의 축체(80d, 80d, 80d)의 선단측을 직경 방향 외측으로 확대하고[축체(80d, 80d, 80d)의 선단측이 플레이트(90)의 베이스부(90b) 상에 걸림], 로크 고무(80)를 플레이트(90)에 대하여 로크한다. 그리고, 로크 핀(100)의 빠짐 고정부(100c)가 선단 개구부(80f)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로크 핀(100)이 로크 고무(80)에 대하여 빠짐 방지된 상태에서, 상기 로크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의해, 신발창(4)이 미드솔(2a)이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그 상태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제4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나사를 사용하는 일 없이 신발창(4)을 신발 본체(2)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으므로, 고정 작업이 매우 간단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낚시용 신발로서, 부츠 타입을 예시하였지만, 단화 타입(운동 신발 타입)으로 적용해도 좋다. 즉, 신발 본체(1)의 형상, 소재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끼움 지지 수단의 구조나 끼움 지지 형태도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이다. 또한, 끼움 지지 수단의 배치 위치는, 신발의 전단부 영역 및 후단부 영역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끼움 지지 수단의 수도 임의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용 너트(13)의 축부(13b)가 미드솔(2a)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었지만, 돌출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1 : 낚시용 신발
2 : 신발 본체
4 : 신발창
4a : 미끄럼 방지층
4b : 고정층
12 : 고정용 볼트(끼움 지지 수단, 고정부)
13 : 고정용 너트(끼움 지지 수단, 수용부)
45 : 고정 부재
47 : 판 형상 부재
52 : 축체(끼움 지지 수단, 수용부)
60 : 금속 와셔(끼움 지지 수단, 고정부)
80 : 로크 고무(끼움 지지 수단, 고정부)
90 : 플레이트(끼움 지지 수단, 수용부)

Claims (6)

  1. 신발 본체와,
    상기 신발 본체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펠트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층과 펠트보다도 경질인 고정층이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신발창과,
    상기 고정층을 상기 신발 본체의 저면 사이에서 끼움 지지하여 고정하는 끼움 지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지지 수단은, 상기 신발 본체의 저면에 매설되는 수용부와, 상기 고정층을 상기 신발 본체의 저면과의 사이에서 끼움 지지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고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신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및 상기 고정부가 나사를 갖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신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신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지지 수단은, 상기 신발 본체의 저면에 장착되는 판 형상 부재와, 상기 신발창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상기 판 형상 부재와 걸림으로써 상기 고정층을 상기 신발 본체에 대하여 끼움 지지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신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지지 수단이 신발의 전단부 영역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신발.
KR1020120022332A 2011-03-23 2012-03-05 낚시용 신발 KR1013299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64742 2011-03-23
JP2011064742 2011-03-23
JPJP-P-2011-144793 2011-06-29
JP2011144793A JP5415485B2 (ja) 2011-03-23 2011-06-29 釣用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742A Division KR101705933B1 (ko) 2011-03-23 2013-09-23 낚시용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300A true KR20120109300A (ko) 2012-10-08
KR101329953B1 KR101329953B1 (ko) 2013-11-14

Family

ID=472648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332A KR101329953B1 (ko) 2011-03-23 2012-03-05 낚시용 신발
KR1020130112742A KR101705933B1 (ko) 2011-03-23 2013-09-23 낚시용 신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742A KR101705933B1 (ko) 2011-03-23 2013-09-23 낚시용 신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415485B2 (ko)
KR (2) KR1013299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06891B2 (ja) 2011-07-29 2014-02-0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用靴
JP5808291B2 (ja) 2012-05-30 2015-11-1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アウトソール着脱靴およびアウトソール取り外し補助具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4255A (en) * 1923-01-05 1923-09-27 Leslie Hurst Burrows Improvements in and connected with the manufacture of boots and shoes
JPH09168406A (ja) * 1995-12-19 1997-06-30 Daiwa Seiko Inc
JPH1199004A (ja) 1997-09-29 1999-04-13 Shimano Inc 魚釣り用ブーツ
JP3737377B2 (ja) 2001-03-26 2006-01-18 サングリーン商事株式会社 釣り用ブーツのフエルト底
DE10248482B4 (de) * 2002-10-17 2005-09-22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ohl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hle
KR200365239Y1 (ko) * 2004-07-27 2004-10-21 주식회사 보승인터내셔널 볼링화용 밑창
JP5230953B2 (ja) 2007-02-15 2013-07-10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履き物
US7774958B2 (en) * 2007-03-12 2010-08-17 Carruthers Stephen M Replaceable shoe cleat
JP5275130B2 (ja) * 2009-05-11 2013-08-28 日本飛行機株式会社 ワークの仮止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933B1 (ko) 2017-02-10
JP5415485B2 (ja) 2014-02-12
KR101329953B1 (ko) 2013-11-14
KR20130114057A (ko) 2013-10-16
JP2012210393A (ja) 201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6651A (en) Fitting structure of spikes or the like for sport shoes
US3054197A (en) Snap-on shoe cleat asembly
US20040088883A1 (en) Boot with replaceable sole plate
AU742008B2 (en) Slipping prevention device for footwear
KR101329953B1 (ko) 낚시용 신발
US6708428B2 (en) Quick-release connector system for footwear with reliable engagement
US6510625B2 (en) Structur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ttachment to/from shoe sole
US6115947A (en) Shoe system and method
US9044069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interlocking cleat member and raised base
US6711833B1 (en) Tap shoe and fastening assembly and method for attaching tap to dance shoe
US1094434A (en) Sporting-shoe.
KR101344662B1 (ko) 낚시용 신발
US1728010A (en) Sport shoe
JPH09168406A (ja)
JP2010263970A (ja) 自転車用靴
US887791A (en) Heel-plate.
JP2000166614A (ja) スパイク用弾性アダプタ
JP2010263969A (ja) 自転車用靴
JPH10127308A (ja) 履 物
JP2006068179A (ja) スノーボード用ビンディング
JP2003038210A (ja) スポーツ靴用クリートの取付け構造
JP2003334106A (ja) 運動靴のスパイク取付け構造
AU709894B2 (en) Detachable football stud
KR200175952Y1 (ko) 스파이크 결합부재
JP2021013655A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