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8311A - 봉독 함유 패치 - Google Patents

봉독 함유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8311A
KR20120108311A KR1020110026011A KR20110026011A KR20120108311A KR 20120108311 A KR20120108311 A KR 20120108311A KR 1020110026011 A KR1020110026011 A KR 1020110026011A KR 20110026011 A KR20110026011 A KR 20110026011A KR 20120108311 A KR20120108311 A KR 20120108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 venom
patch
present
venom
b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식
Original Assignee
김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식 filed Critical 김형식
Priority to KR1020110026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8311A/ko
Publication of KR20120108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3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15Drug-containing film-forming compositions, e.g. spray-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봉독 함유 패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봉독 함유 패치는 봉독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부염 치료 물질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봉독 함유 패치는 염증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TNF-a와 IL-1βmRNA의 발현량을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여드름 치료 및 소염 효과가 우수하다. 더 나아가, 분말상의 봉독을 균일하게 분산, 용해시킨 후, 이를 패치에 도포시키는 방식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봉독 함유 패치는 바르는 방식이나, 복강 투여 방식에 비하여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봉독 함유 패치{Patch containing bee venom}
본 발명은 봉독 함유 패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봉독의 우수한 소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여드름과 같은 피부염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봉독 함유 패치에 관한 것이다.
서양 일벌의 독낭에서 채취한 독을 봉독이라 부른다. 봉독에는 다양한 성분이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중 펩타이드가 항염증과 항균작용, 강력한 진통작용, 면역증강 등의 역할을 한다.
하지만, 종래의 봉독을 활용하는 방식은 주로 액상 형태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0-0088389호(이하 인용발명 1)는 봉독과 생약을 주성분으로 하는 액상 제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여드름과 같은 피부질환에 대하여, 봉독을 지속적으로 피부 내로 주입시키는 기술이 절실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피부 질환 등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봉독 함유 패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봉독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부염 치료 물질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독 함유 패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피부염 치료물질은 봉독; 점착제; 및 경피 투과 촉진제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봉독은 분말상으로 용매에 분산된 후, 용해되며, 상기 점착제 및 경피 투과 촉진제는 상기 봉독 용해 후 첨가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봉독은 에탄올 및 에틸 아세테이트 혼합액에 분산, 용해된 후, 상기 점착제 및 경피 투과 촉진제가 첨가되며, 여기에서 상기 점착제 및 경피 투과 촉진제 첨가 후 소정 시간 이상 혼합액을 회전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피부염 치료물질 중 상기 봉독은 0.4 내지 0.5mg/g 농도로 함유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치는 여드름 치료용 패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봉독 함유 패치는 염증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TNF-a와 IL-1βmRNA의 발현량을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여드름 치료 및 소염 효과가 우수하다. 더 나아가, 분말상의 봉독을 균일하게 분산, 용해시킨 후, 이를 패치에 도포시키는 방식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봉독 함유 패치는 바르는 방식이나, 복강 투여 방식에 비하여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독 분산 용액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패치 도포 물질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 제조 공정 중 각 단계별 사진이다.
도 4는 TPA 처리 후 각 실험군 및 대조군 별 귀 무게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5 및 6은 각각 TNF-α 및 IL-1β의 유전자 발현량의 분석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 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피부에 소정 시간이상 접착된 후, 약물을 서서히 경피 내로 주입시키는 패치 성분으로 봉독, 특히 분산된 분말상의 봉독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액상 봉독 대신 고상인 분말형의 봉독을 용매에 분산, 용해시킨 후, 이를 패치 표면에 도포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봉독 함유 패치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봉독 함유 패치 제조
실시예 1-1
봉독 분산 용액 제조
먼저 분말상의 봉독 10mg을 에탄올, 에틸렌아세테이트에 혼합하고, 회전시켜 봉독을 용매에 분산, 용해시켰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독 분산 용액의 사진으로, 우측 용기에 보관된 용액이 본 실시예에 따른 봉독 분산 용액의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봉독 분산 용액에서 봉독은 일정 수준의 용해도로 용매에 용해되나, 100% 수준으로 용해되지 않으며, 일부는 여전히 분말상으로 용액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2
패치 도포 물질인 피부염 치료물질 제조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봉독 분산 용액에 다시 점착제(MD-607, 다우코닝)와 경피 투과 촉진제인 폴리에틸렌글리콜-12 팜 케르넬글리세라이드(olyethyleneglycol-12 palm kernelglyceride (Crovol A40, croda)를 첨가하고, 60분 이상 회전시켜 완전한 평행상태가 되도록 하였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패치 도포 물질의 사진으로, 좌측 용기가 본 실시예에 따른 패치 도포 물질을 제조한 후의 사진이다.
실시예 1-3
실시예 1-2의 패치 도포 물질을 이형지에 도포하고, 이를 100℃로 20분간 건조시켰다. 건조 후 다시 후면필름을 부착시켜, 본 발명에 따른 봉독 함유 패치를 완성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 제조 공정 중 각 단계별 사진이다.
실시예 2
실시예 1-1의 봉독(Bee Venom) 대신 Allergen 으로 작용하는 효소를 개발 단계에서 제거한 효소제거봉독(Sweet Bee Venom, SBV), 즉, 봉독의 사람에게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고 효과적인 작용을 하는 성분인 멜리틴 아파민 등만을 추출한 봉독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패치를 제조하였다. 도 1과 2에 SBV라 표시된 용기가 본 실시예에 따른 물질이 함유된 용기의 사진이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 물질의 성분 구성을 나타내며, 상기 치료용 물질중 봉독의 농도는 0.455mg/g으로 0.4 내지 0.5mg/g 범위의 수준이었다.
봉독 SBV Ethanol EA Crovol A40 MD-607
Sample 1 10mg - 2.0mL 1.81mL 0.15mL 4.86g
Sample 2 - 10mg 2.0mL 1.81mL 0.15mL 4.85g
실험예 1
자가외용실험
실시예 1과 2에서 제조된 봉독 함유 패치를 여드름이 발생한 피부 부위에 붙이고, 시간대 별 효과를 분석하였다. 하기 표 2는 본 실험예에 따른 시간대별 측정 결과이다.
패치 부착 1시간 후 붙일 당시 5분 정도 따끔거리다가 없어짐
아직까지는 효과가 보이지않음.
패치 부착 3시간 후 투명한 패치를 붙여서 인지 붉었던 여드름이 약한 연분홍으로 된 것 같다.
패치 부착 6시간 후 볼록했던 여드름이 거의 평평해지고 색도 많이 연해짐
패치 부착 24시간 후 여드름 위에 부착 시켰던 패치를 때어 보니 거의 완벽하게 여드름이 들어갔다.
상기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봉독 함유 패치는 장시간 피부에서 작용하여, 주성분인 봉독이 지속적으로 피부 내로 침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여드름과 같은 피부 질환에 본 발명에 따른 봉독 함유 패치가 효과적이다는 것을 상기 결과로부터 알 수 있다.
실험예 2
피부염 억제 효과
본 실험예에서는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TPA)를 이용하여, 피부염을 유도하였을 때 본 발명에 따른 봉독 함유 패치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를 억제할 수 있는지를 실험하였다.
동물로는 male Swiss Webster (ICR) mice 10 주령을 사용하였다. 또한 자극제 처리후 봉독 패치 처리한 실험군(BV-Patch)과 그 대조군으로서 봉독 바른군(BV-Oint) 및 복강 투여군(BV0IP) 및 스테로이드계 물질인 dexamethasone 바른군(DEXA)을 선정하였다.
실험예 2-1
TPA 자극으로부터 유도된 피부염에 대한 봉독 효과
TPA를 각각 귀에 발랐을 때 바르지 않은 군(con)에 비해 귀가 빨갛게 변화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귀가 빨갛게 되는 것은 염증의 초기 증상으로 그 부위로 혈관 투과성이 증가되면서 다양한 면역 세포 및 수분이 조직에 침투함으로 부종이 수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4는 TPA 처리 후 각 실험군 및 대조군 별 귀 무게에 대한 그래프이고, 표 3은 귀 무게의 정량적 분석 결과이다.
Con TPA BV-Patch BV-Oint DEXA
귀무게
(mg)
8.525±
0.1377
13.95±
0.3819
11.96±0.7160 13.26±
0.2657
8.350 ±
0.2894
도 4 및 표 3의 결과를 참조하면, TPA로 처리한 경우(TPA), 처리하지 않은 경우(con)보다 부종에 의하여 귀 무게가 증가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패치 형태로 처리한 경우(BV-Patch)는 복강 투여를 한 경우보다 부종 억제 효과가 다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2
염증성 유전자 발현변화
본 실험예에서는 TNF-a(tumor necrosis foactor-alpha), IL-1β 에 대한 염증성 유전자 발현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실험예에서는 Real Time PCR을 사용, 세포에서 항상 발현하는 β-Actin 또는 GAPDH (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 )의 mRNA양을 바탕으로 타겟 유전자의 발현양을 비교하였으며, GAPDH의 mRNA에 비해 상대적인 TNF-α유전자 발현량을 분석하였다.
도 5 및 6은 각각 TNF-α 및 IL-1β의 유전자 발현량의 분석 결과이다.
도 5를 참조하면, GAPDH에 비해 상대적으로 TNF-α의 유전자 발현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TPA 군은 대조군에 비해 TNF-α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였지만 샘플간 차이가 심하여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다만 봉독 패치에서 다른 샘플과 다르게 TNF-α의 발현이 크게 감소되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봉독 패치는 양성 대조군인 덱사메타손과 비슷한 양의 억제 효능을 보였다.
본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와 균등하거나 또는 등가적인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5)

  1. 봉독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부염 치료 물질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독 함유 패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염 치료물질은 봉독;
    점착제; 및
    경피 투과 촉진제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봉독은 분말상으로 용매에 분산된 후, 용해되며, 상기 점착제 및 경피 투과 촉진제는 상기 봉독 용해 후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독 함유 패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봉독은 에탄올 및 에틸 아세테이트 혼합액에 분산, 용해된 후, 상기 점착제 및 경피 투과 촉진제가 첨가되며, 여기에서 상기 점착제 및 경피 투과 촉진제 첨가 후 소정 시간 이상 혼합액을 회전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독 함유 패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염 치료물질 중 상기 봉독은 0.4 내지 0.5mg/g 농도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독 함유 패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는 여드름 치료용 패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독 함유 패치.
KR1020110026011A 2011-03-23 2011-03-23 봉독 함유 패치 KR201201083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011A KR20120108311A (ko) 2011-03-23 2011-03-23 봉독 함유 패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011A KR20120108311A (ko) 2011-03-23 2011-03-23 봉독 함유 패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311A true KR20120108311A (ko) 2012-10-05

Family

ID=47279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011A KR20120108311A (ko) 2011-03-23 2011-03-23 봉독 함유 패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83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2317A1 (ko) * 2016-02-17 2017-08-24 가톨릭관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봉독 추출물 함유 경피투과 패치
WO2019035597A1 (ko) * 2017-08-14 2019-02-21 한국 한의학 연구원 아파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풍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2317A1 (ko) * 2016-02-17 2017-08-24 가톨릭관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봉독 추출물 함유 경피투과 패치
KR101876176B1 (ko) * 2016-02-17 2018-07-09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봉독 추출물 함유 경피투과 패치
WO2019035597A1 (ko) * 2017-08-14 2019-02-21 한국 한의학 연구원 아파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풍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hangapazham et al. Phytochemicals in wound healing
Prajapati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transdermal patch of repaglinide
de Melo et al. Oleanolic acid, a natural triterpenoid improves blood glucose tolerance in normal mice and ameliorates visceral obesity in mice fed a high-fat diet
Chakraborty et al. Wound healing potential of insulin-loaded nanoemulsion with Aloe vera gel in diabetic rats
Fatahian et al. Promising anti-atherosclerotic effect of berberine: evidence from in vitro, in vivo, and clinical studies
Gustafson et al. Combination therapy in psoriasis: an evidence-based review
DE3314003A1 (de) Teilbare tablette mit verzoegerter wirkstofffreigab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eshri antidiabetic efficacy of ethanolic extract of holarrhena antidysenterica seed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and it’ s influence on certain biochemical parameters
Purnomo et al. Incretin effect of Urena lobata leaves extract on structure and function of rats islet β-cells
KR20120108311A (ko) 봉독 함유 패치
Sharma et al. Dipeptidyl-peptidase IV (DPP-IV) inhibitor delays tolerance to anxiolytic effect of ethanol and withdrawal-induced anxiety in rats
Sun et al. Protective effects of asiatic acid in a spontaneous type 2 diabetic mouse model
EP0319555B1 (de) Transdermal therapeutisch wirkende pharmazeutische zubereitung sowie vorrichtung zum aufbringen der zubereitung
SG10201800072YA (en) Microneedle Patches Comprising Corticosteroid
CN102657602B (zh) 3,5-二羟基-4-异丙基二苯乙烯壳聚糖凝胶剂及其制备方法
Elkhoely Liraglutide ameliorates gentamicin-induced acute kidney injury in rats via PGC-1α-mediated mitochondrial biogenesis: Involvement of PKA/CREB and Notch/Hes-1 signaling pathways
Ataei et al. Recent advances in curcumin-based nanoformulations in diabetes
LI et al. Evaluation of antifatigue effects of 20 (S)-ginsenoside Rg3 in forced swimming mice.
Kaur et al. Oral delivery of antidiabetic polypeptide-k: journey so far and the road ahead
WO2012035478A2 (en) Antifungal varnish composition
CN107308170A (zh) 药物联用在制备抗炎药物中的应用以及抗炎药物组合物
Asghari et al. Cardiac hypertrophy and fibrosis were attenuated by olive leaf extract treatment in a rat model of diabetes
Tatu et al. Formulation, preparation,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analysis and clinical uses of capsaicin microemulsions
DE102010009071A1 (de) Essbare Foli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olchen
EP2606895A1 (en) Transdermal absorption patch of antiviral drug and its prepar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