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7172A -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적용한 시스템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적용한 시스템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7172A
KR20120107172A KR1020110024701A KR20110024701A KR20120107172A KR 20120107172 A KR20120107172 A KR 20120107172A KR 1020110024701 A KR1020110024701 A KR 1020110024701A KR 20110024701 A KR20110024701 A KR 20110024701A KR 20120107172 A KR20120107172 A KR 20120107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ame
user
convers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승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4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7172A/ko
Publication of KR20120107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1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63F13/87Communicating with other players during game play, e.g. by e-mail or ch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그의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에서 게임 실행 중 상대방과 통화 또는 메시지를 주고 받는 연동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 시 기 설치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에 통화와 문자메시지 기능을 제공하므로 게임 진행에 있어 다른 참여자들과 용이하게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다. 또한, 게임을 실행하는 각각의 사용자들 간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게임 진행에 대한 흥미를 부가시켜 게임 산업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다.

Description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적용한 시스템 및 단말기{Method for providing game service, system and terminal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그의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게임 실행 중 게임 상대방과 음성 또는 문자 형태의 대화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그의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디지털 기술 기반의 다양한 제품 및 서비스에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 개념이 도입되고 있다. 디지털 컨버전스는 디지털 기술 기반의 여러 제품이나 서비스를 융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텔레비전에 대해서도 인터넷을 포함하는 다양한 서비스와 제품을 융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서, IPTV와 스마트 TV를 들 수 있다. IPTV는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nternet Protocol Television)의 약자로,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하여 정보 서비스, 동영상 콘텐츠 및 방송 등을 텔레비전 수상기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스마트 TV는 TV에 운영체제(OS)를 탑재하여 TV와 PC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차세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스마트 TV는 컨텐츠를 인터넷에서 실시간으로 다운받아 실행할 수 있고, 인터넷에 접속하여 뉴스, 날씨, 이메일 등의 다양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센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IPTV나 스마트 TV는 비디오를 비롯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는 일반 케이블 방송이나 위성 방송과 별다른 차이점이 없지만, 양방향성이 추가된다는 점이 큰 특징이다. 일반 공중파 방송이나 케이블 방송 또는 위성 방송과는 달리 시청자가 자신이 편리한 시간에 자신이 보고 싶은 프로그램만 선택하여 볼 수 있다.
국내의 경우, 통신사업자들이 기존의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여 경제 효과를 누리고자 IPTV나 스마트 TV 제공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여기서, 이러한 IPTV나 스마트 TV를 이용할 경우,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라도 리모콘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인터넷 검색은 물론 영화 감상, 홈쇼핑, 홈뱅킹, 온라인 게임, MP3 등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온라인 게임의 경우, 텔레비전의 큰 화면을 통해 게임을 할 수 있으며,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장치에 접속하여 다른 사람들과 함께 게임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디지털 기기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게임에서, 게임 참여자 간의 의사소통을 위하여 채팅 기능이 제공되고 있으나, 기존의 채팅 기능은 게임이 실행되는 부분과 별도로 채팅 창이나 영역을 할당하고, 상기 채팅 창이나 영역을 통해 게임 참여자의 문자 메시지를 단순히 입력 순서에 따라서 표시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용상 불편한 점이 많다.
따라서, 게임 중에서 보다 간편한 방식으로 게임 참여자간에 의사 소통을 가능케 하는 새로운 서비스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게임 실행 중 게임 진행 과정에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간편한 방식으로 게임 참여자간 문자뿐만 아니라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는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그의 시스템 및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둘 이상의 단말기 간에 게임 실행 중, 둘 이상의 단말기 간에 음성 또는 문자로 이루어진 대화 메시지 전달을 위한 채널을 연결하는 서비스장치; 및 서비스 장치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와 게임을 실행하는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서비스 장치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와 대화 메시지 전달을 위한 채널을 연결하고, 연결된 채널을 통해서 대화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송수신된 대화 메시지를 게임의 캐릭터를 통해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하여,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 조작에 따른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 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결과를 출력하는 표시부; 가청음을 감지하여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오디오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 및 통신부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와 통신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대화모드를 실행하여, 입력부 또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통해 문자 또는 음성으로 사용자의 대화 메시지를 입력 받아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로 송신하고,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로부터 문자 또는 음성으로 이루어진 다른 사용자의 대화 메시지를 수신하며, 송수신되는 대화 메시지를 상기 게임의 캐릭터를 통해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서비스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비스통신부; 게임 실행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저장부; 및 통신부를 통해 접속한 둘 이상의 단말기 간에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대화 모드를 실행하여, 둘 이상의 단말기 간에 사용자의 문자 또는 음성으로 이루어진 대화 메시지를 전달하고, 대화 메시지가 상기 사용자의 게임 캐릭터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가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와 통신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단계; 단말기가 사용자의 대화 요청을 확인하는 단계; 단말기가 대화 요청에 따라 게임에 참여한 사용자간의 대화를 위한 대화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단말기가 문자 또는 음성으로 사용자의 대화 메시지를 입력 받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에 송신하고,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로부터 다른 사용자의 대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기가 상기 실행된 대화모드에서 송수신되는 대화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의 게임 캐릭터를 통해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출력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대화 메시지를 게임 캐릭터와 매칭하여 화면상에 표시하거나,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대화 메시지를 게임 캐릭터의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TV, IPTV, 태블릿 PC를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를 통해 게임을 실행하는 중에, 게임에 참여한 다수의 사용자 간에 음성 또는 문자로 의사 소통을 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대화 메시지를 사용자에 대응하는 게임 캐릭터를 통해서 출력함으로써, 실행중인 게임과 결합하여 의사소통을 더 쉽고 재미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게임을 실행하는 다수의 사용자들 간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게임 진행에 대한 흥미를 부가시켜 게임 산업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대화 메시지 출력에 대한 예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말기(10), 서비스장치(20) 및 네트워크(30)로 구성된다.
네트워크(30)는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단말기(10) 및 서비스장치(2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네트워크(30)는 단말기(10) 및 서비스장치(20)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30)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망으로, 아이피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올 아이피(All IP)망 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30)는 유선네트워크, 이동네트워크, Wibro(Wireless Broadband)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위성네트워크 중 하나일 수 있다. 이중, 네트워크(30)가 와이파이 망으로 구성되는 경우 즉, 현재 위치한 장소 근처에 무선접속장치(AP, Access Point)가 설치되어 일정한 거리 내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하는 근거리 네트워크일 때,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와이파이 망을 통해 게임 실행 중 대화모드에 따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네트워크(30)를 통해서 복수의 사용자가 상호 통신하여 온라인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로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무선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IPTV 및 스마트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단말기(10)는 상호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직접 통신할 수 도 있고, 서비스 장치(20)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게임 실행 중 대화모드를 실행하여 다른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말기를 제1단말기(10a)라 하고, 제1단말기(10a)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시하거나 대화모드에서 메시지를 제1단말기(10a)로 전송하는 단말기를 제2단말기(10b)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는 제1,2단말기(10a, 10b) 간에 게임 실행 중 대화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둘 이상의 단말기(10) 사이에 게임 실행 중 대화가 이루어질 수 도 있다.
제1,2단말기(10a, 10b)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비스장치(20)에 접속하여 게임을 실행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제1단말기(10a)는 제2단말기(10b)와 직접 통신하여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제1,2단말기(10a, 10b)는 서비스장치(20)에 접속하고, 서비스장치(20)로 단말기정보, 게임식별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인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1,2 단말기(10a, 10b)는 서비스장치(20)의 승인에 따라 게임을 실행한다.
한편, 제1단말기(10a)는 게임 실행 중 사용자의 대화모드 실행 요청을 확인한다. 이때, 제1단말기(10a)는 게임을 실행하는 제2단말기(10b)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서비스장치(20)로 대화모드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셋 이상의 단말기가 함께 게임을 실행하는 경우, 제1단말기(10a)는 특정 단말기를 선택하여 서비스장치(20)로 대화모드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에 의하여 대화 메시지 전달을 위한 채널이 형성되면, 제1단말기(10a)는 대화모드를 진행하여, 제2단말기(10b)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의 대화 메시지를 음성 또는 문자로 인식한다. 그리고, 제1단말기(10a)는 인식한 대화 메시지를 제2단말기(10b)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1단말기(10a)는 상기 인식한 사용자의 대화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의 게임 캐릭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단말기(10a)는 사용자의 대화 메시지를 사용자의 게임 캐릭터와 매칭하여 말 풍선 형태로 화면상에 표시하거나, 상기 대화 메시지를 해당 게임 캐릭터의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음색을 그대로 출력할 수 도 있고, 상기 게임 캐릭터의 음색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도 있다. 한편, 제1 단말기(10a)는 제2 단말기(10b)로부터 게임 상대방의 대화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대화 메시지를 게임 상대방의 게임 캐릭터를 통해서 출력한다. 출력하는 형태는 앞서 예시한 것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단말기(10a)는 대화모드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가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대화모드의 종료가 요청되면, 제1단말기(10a)는 서비스장치(20)에 대화모드 종료를 요청한다. 그리고, 제1단말기(10a)는 다시 게임 실행 모드로 전환하여, 해당 게임을 계속 실행한다.
서비스장치(2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다수의 단말기(10)에 대하여 게임 및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실행 중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게임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판매 또는 제공하는 앱 스토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20a), 게임과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20b), 네트워크 기반의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 서비스 장치(20c),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장치(20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장치(20)는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지역 구분 없이 범 지구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다. 상기 서비스 장치(20)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실행 중 대화 기능을 독립적인 서비스로 제공할 수 도 있고, 기존에 제공되는 다른 서비스(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연계하여 제공할 수 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는 제1단말기(10a) 및 제2단말기(10b)의 요청에 따라 게임을 제공한다. 이때, 서비스장치(20)는 제1단말기(10a) 및 제2단말기(10b)에 대한 인증정보를 확인한 후, 게임 접속을 승인할 수 있다.
게임 실행 중 서비스장치(20)는 제1단말기(10a)로부터 수신되는 대화모드 실행 요청을 확인한다. 즉, 서비스장치(20)는 제1단말기(10a)의 대화모드 실행 요청에 따라 제2단말기(10b)로 대화모드 진행을 요청한다. 그리고, 서비스 장치(20)는 제1,2단말기(10a, 10b) 간에 대화 메시지 전달을 위한 채널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채널을 통해 제1,2 단말기(10a, 10b)간에 대화 메시지가 교환될 수 있다.
서비스장치(20)는 제1단말기(10a)로부터 대화모드 종료를 요청 받는다. 이때, 서비스장치(20)는 나머지 제2단말기(10b)로 대화모드 종료를 요청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20)는 제1단말기(10a)와 제2단말기(10b) 간에 앞서 형성된 채널을 해지하고, 이전에 제공하던 게임을 계속 제공한다.
제2단말기(10b)는 제1단말기(10a)와 연결되어 게임을 진행한다. 이때, 제2단말기(10b)는 서비스장치(20)에 접속하고, 서비스장치(20)로 단말기정보, 게임식별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인증정보를 전송하여 게임 실행을 요청한다. 그리고 나서, 제2단말기(10b)는 서비스장치(20)의 승인에 따라 제1단말기(10a)와 게임을 실행한다.
게임 실행 중 제2단말기(10b)는 제1단말기(10a)의 대화모드 진행에 따라 서비스장치(20)로부터 대화모드 진행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2단말기(10b)는 대화모드를 진행한다. 대화모드 중 제2단말기(10b)는 제1단말기(10a)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때, 제2단말기(10b)는 수신된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제2단말기(10b)는 메시지를 캐릭터와 매칭하여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단말기(10b)는 메시지를 캐릭터에 상응하는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2단말기(10b)는 서비스장치(20)로부터 대화모드 종료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상응하여 대화모드를 종료한다. 그리고, 제2단말기(20)는 게임을 계속 실행한다.
이를 통해, 게임 실행 중, 게임에 참여한 사용자 간에 음성과 문자 형태로 대화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므로 게임 진행에 있어 다른 참여자들과 용이하게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다. 또한, 대화 메시지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각 사용자의 게임 캐릭터를 통해서 각 사용자의 음성 또는 문자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관심 및 흥미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게임 산업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는 게임 실행 중 대화모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제어부(11), 입력부(12), 표시부(13), 저장부(14), 오디오처리부(15) 및 통신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어부(11)는 대화모드 모듈(11a)과 게임실행 모듈(11b)를 구비한다.
제어부(11)는 단말기(10)의 각 구성을 초기화하고, 필요한 신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는 네트워크(30)를 통해서 다른 단말기와 연결되어 게임을 진행한다. 이때, 제어부(11)는 서비스장치(20)에 접속하고, 서비스장치(20)로 단말기정보, 게임식별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인증정보를 전송하여 게임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11)는 서비스장치(20)의 승인에 따라 다른 단말기와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게임 실행 중 대화모드 진행 요청을 감지한다. 이때, 제어부(11)는 게임을 실행하는 다른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서비스장치(20) 또는 다른 단말기로 대화모드 실행을 요청한다. 한편, 제어부(11)는 셋 이상의 단말기가 함께 게임을 실행하는 경우, 특정 단말기를 선택하여 대화모드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대화모드에서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대화 메시지를 문자 입력 또는 사용자의 음성 인식을 통해서 수집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상기 사용자의 대화 메시지를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는 상기 사용자의 대화 메시지를 바로 사용자의 게임 캐릭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 형태의 대화 메시지를 사용자의 게임 캐릭터와 매칭하여 화면상에 표시하거나, 음성 형태의 대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게임 캐릭터의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게임 캐릭터가 말하는 것처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단말기로부터 상대방의 대화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대화 메시지를 상대방의 게임 캐릭터를 통해 음성 또는 문자로 출력한다.
제어부(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화 모드를 실행하는 중에, 대화모드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가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대화모드의 종료가 요청되면, 제어부(11)는 서비스장치(20) 또는 다른 단말기에 대화모드 종료를 요청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대화 모드를 종료하여, 게임 실행 모드로 전환하고, 해당 게임을 계속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10)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부(11)는 대화모드 모듈(11a)과 게임실행 모듈(11b)을 구비한다. 여기서, 대화모드 모듈(11a)은 게임 실행 중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대화모드를 실행한다. 즉, 대화모드 모듈(11a)은 상술한 대화 모드를 실행하는 모듈로서, 다른 단말기들과 네트워크(30)를 통해 게임 실행 중 사용자와 상대방의 대화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해당 게임 캐릭터를 통해 출력 한다. 이를 위해, 대화모드 모듈(11a)은 대화모드 실행을 서비스장치(20) 또는 다른 단말기로 요청하고, 대화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게임실행 모듈(11b)은 게임을 실행하는 모듈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장치(20)에 접속하여 게임을 실행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서비스장치(20)로 전송하고, 서비스장치(20)의 승인에 따라서 게임을 제공받아 실행한다. 또한, 게임실행 모듈(11b)는 저장부(14)에 저장된 게임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하여 해당 게임을 진행할 수 도 있다.
입력부(12)는 단말기(10)의 조작을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는 수단으로서,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단말기(10)의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단말기(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1)로 전달한다. 이러한 입력부(12)는 단말기(10)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컨트롤러, 리모트 컨트롤러, 터치패드, 제스처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 TV의 경우, 사용자 편의성을 위해서 리모트 컨트롤러를 주로 이용하며, 3D를 지원하는 경우 3D 용 마우스 컨트롤러를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입력부(1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게임 접속을 요청하는 입력신호 및 대화모드 실행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어부(11)로 전달할 수 있다.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3)는 게임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는 게임 실행 중 대화모드 진행에 따라 발생하는 대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14)는 단말기(1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4)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4)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11)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기(1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사용자의 요청 신호에 따라 게임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및 대화모드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단말기(1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오디오처리부(15)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1)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오디오처리부(15)는 단말기(10)의 기능 실행, 게임 실행 및 대화모드 실행에 따른 경고음이나 효과음을 제공할 수 있으며, 대화 모드에서는 음성으로 이루어진 사용자의 대화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다.
통신부(16)는 단말기(10)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즉, 통신부(16)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비스장치(20) 또는 다른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통신부(16)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16)는 게임 실행을 위한 데이터를 서비스장치(20) 또는 다른 단말기와 송수신한다. 또한, 통신부(16)는 대화모드 실행에 따라서, 사용자 및 상대방의 대화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는 서비스제어부(21), 서비스저장부(22) 및 서비스통신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비스제어부(21)는 서비스장치(20)의 각 구성을 초기화하고, 필요한 신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제어부(21)는 다수의 단말기(10), 특히 제1단말기(10a) 및 제2단말기(10b)의 요청에 따라 게임을 제공한다. 이때, 서비스제어부(21)는 제1단말기(10a) 및 제2단말기(10b)에 대한 인증정보를 확인한 후, 게임 접속을 승인할 수 있다.
서비스제어부(21)는 게임 실행 중 임의의 단말기, 예를 들어, 제1단말기(10a)로부터 전송되는 대화모드 실행 요청을 확인하고, 상기 제1단말기(10a)와 게임 실행 중인 다른 단말기, 예를 들어, 제2단말기(10b)로 대화모드 진행을 요청한다.
이후, 서비스제어부(21)는 제1,2 단말기(10a, 10b) 간에 대화 메시지를 교환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한다. 이 채널을 통해 제1,2 단말기(10a, 10b) 간에 대화 메시지가 송수신된다.
서비스제어부(21)는 임의의 단말기, 예를 들어 제1단말기(10a)로부터 대화모드 종료를 요청 받는다. 이에, 서비스제어부(21)는 대화모드를 실행하고 있는 제2단말기(10b)로 대화모드 종료를 요청한다. 그리고, 서비스제어부(21)는 상기 대화 메시지 교환을 위해 형성한 채널을 해제하고, 제1단말기(10a)와 제2단말기(10b)로 이전에 제공하던 게임을 계속 제공한다.
서비스저장부(22)는 서비스장치(2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서비스저장부(22)는 서비스제어부(21)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저장부(22)는 제1단말기(10a) 및 제2단말기(10b)로 제공되는 게임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서비스저장부(22)는 제1단말기(10a) 및 제2단말기(10b)의 게임 실행을 위한 인증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인증정보가 저장된다.
서비스통신부(23)는 서비스장치(20)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즉, 서비스통신부(23)는 네트워크(30)를 통해 단말기(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통신부(43)는 각각의 단말기의 게임 실행을 위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접속 승인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서비스통신부(23)는 게임 실행 중 제1단말기(10a)의 대화모드 실행 요청에 따라 제2단말기(10b)로 대화모드 진행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서비스통신부(23)는 대화모드 종료에 따라 제2단말기(10b)로 대화모드 종료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서비스장치(20)는 서버 기반 컴퓨팅 기반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게임 실행을 위한 게임데이터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은, 먼저, 제1단말기(10a)와 제2단말기(10b)가 각각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게임 실행 요청에 따라서 서비스 장치(20)로 게임 실행을 요청한다(S11과 S13 단계). 그리고, 서비스 장치(20)를 통해서 게임을 실행한다(S15 단계). 이때, 제1,2단말기(10a,10b)는 서비스장치(20)로 단말기정보, 게임식별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인증정보를 전송하여 게임 실행을 요청한다. 그리고 나서, 제1단말기(10a)와 제2단말기(10b)는 서비스장치(20)의 승인에 따라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서비스장치(20)는 제1단말기(10a) 및 제2단말기(10b)의 요청에 따라 게임을 제공한다. 이때, 서비스장치(20)는 제1단말기(10a) 및 제2단말기(10b)에 대한 인증정보를 확인한 후, 게임 접속을 승인할 수 있다.
제1단말기(10a)는 S17 단계에서 게임 실행 중 사용자의 대화모드 진행 요청을 확인하여, 서비스장치(20)로 대화모드 실행에 따른 요청을 전송한다. 이에, 서비스장치(20)는 S19 단계에서 제2단말기(10b)로 대화모드 진행을 요청한다. 한편, 제1단말기(10a)는 셋 이상의 단말기가 함께 게임을 실행하는 경우, 특정 단말기를 선택하여 서비스장치(20)로 대화모드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S21, S23 단계에서, 상대방, 즉, 제2 단말기(10b)로부터 대화모드 실행을 허용하는 응답이 서비스 장치(20)를 통해서 제1 단말기(10a)로 전송되고, 이에 S25 단계에서 제1,2 단말기(10a, 10b) 간에 대화 메시지 전송을 위한 채널이 형성된다.
이후, 제1,2단말기(10a, 10b)는 S27, S29 단계에서 각각 대화모드를 진행한다.
상기 대화 모드에서, 제1 사용자가 음성 또는 문자 형태의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면, 제1단말기(10a)는 S31 단계에서 제2단말기(10b)로 상기 제1 사용자의 대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제2단말기(10b)는 S33 단계에서 수신된 제1 사용자의 대화 메시지를 제1 사용자의 게임 캐릭터를 통해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2단말기(10b)는 대화 메시지를 해당 게임 캐릭터와 매칭하여 화면상에 표시하거나 해당 게임 캐릭터의 음성을 빌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2 사용자가 음성 또는 문자 형태의 대화 메시지를 생성하면, S35 단계에서, 제2 단말기(10b)가 상기 제2 사용자의 대화 메시지를 제1 단말기(10a)로 전송하며, S37 단계에서 제1 단말기(10a)는 수신된 제2 사용자의 대화 메시지를 제2 사용자의 게임 캐릭터를 통해 출력한다.
상술한 S31 단계 내지 S37 단계가 반복되어, 제1,2 사용자간에 게임 캐릭터를 통해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2 단말기(10a, 10b)는 S39 단계에서 사용자의 대화모드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가 있는지 확인하여, 대화모드의 종료가 요청되면, 서비스장치(20)로 대화모드 종료를 요청한다.
서비스장치(20)는 제1,2단말기(10a, 10b)로부터 대화모드 종료를 요청 받으면, 대화모드를 실행하고 있는 상대방에게 대화모드 종료를 요청하고, S41 단계에서 대화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채널을 해지한다. 이후, 제1,2단말기(10a, 10b)는 S43 단계에서 이전에 실행되던 게임을 계속 실행한다.
이를 통해,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 시 기 설치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에 게임 캐릭터를 통해 통화 또는 문자 교환 기능을 제공하므로 게임 진행에 있어 다른 참여자들과 용이하게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다. 또한, 게임을 실행하는 각각의 사용자들 간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게임 진행에 대한 흥미를 부가시켜 게임 산업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는, 서비스 장치(20)의 개입 없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10)는 S51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게임 실행 요청에 따라서 게임을 실행한다. 상기 게임 실행은, 단말기(10)에 저장된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와 통신을 통해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단말기(10)는 S57 단계에서 게임 실행 중 상대방과의 대화 요청이 있는 지를 확인한다. 대화 요청이 있으면, 단말기(10)는 S55 단계에서 함께 게임을 실행하고 있는 상대방, 즉, 다른 단말기를 확인하고, S57 단계에서 상기 확인된 다른 단말기와 대화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채널을 연결한다.
이후, 단말기(10)는 S59 단계에서 대화 모드로 전환하여, S61 단계에서, 상기 다른 단말기와 게임에 참여한 사용자의 대화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이는 각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음성 또는 문자 형태의 대화 메시지를 입력 받아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는 S63 단계에서 상기 송수신된 대화 메시지를 상기 게임의 캐릭터를 통해서 출력한다. 예를 들어, 각 사용자의 대화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의 게임 캐릭터와 매칭하여 문자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게 된다.
단말기(10)는 S65 단계에서 대화 종료 요청이 있는 지를 확인한다. 대화 종료가 요청되지 않으면, 단말기(10)는 상기 S61 단계 및 S63 단계를 반복 실행한다.
한편, 대화 종료가 요청된 경우, S67 단계에서 앞서 대화 메시지 송수신을 위해 연결한 채널을 해지하고, S71 단계에서 대화 모드를 종료하고, 게임 실행 모드로 전환하여 이전에 실행중인 게임을 계속 실행한다.
상술한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는 대화 메시지를 게임 캐릭터와 매칭하여 문자 형태로 화면에 출력하거나, 게임 캐릭터의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대화 메시지의 출력 예를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 6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단말기(60)는 게임 실행 중 대화 요청에 따라 대화모드를 진행하는데, 상기 대화 모드는 기존 게임 화면을 그대로 이용할 수 도 있고, 게임 화면과는 별도의 화면 구성으로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화 모드에서 도 6a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사용자의 게임 캐릭터(61)가 화면으로 출력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화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의 게임 캐릭터(61)와 매칭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 더 구체적으로, 해당 사용자의 게임 캐릭터(61)와 연결된 말 풍선을 통해 대화 메시지를 문자로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화 메시지를 해당 게임 캐릭터(61)의 음성으로 변환하여 단말기(60)의 스피커(63)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하는 게임 캐릭터(61)는 출력되는 음성과 매칭하여 말하는 것처럼 동작하거나 표정을 짓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게임 실행 중, 자신의 게임 캐릭터를 통해 다른 게임 참여자와 보다 흥미롭게 대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TV, IPTV, 태블릿 PC를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를 통해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을 실행하는 중에, 기 설치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게임에 참여한 다수의 사용자 간에 통화와 문자음성 또는 문자로 메시지 기능을 제공하므로 게임 진행에 있어 다른 참여자들과 용이하게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대화 메시지를 사용자에 대응하는 게임 캐릭터를 통해서 출력함으로써, 실행중인 게임과 결합하여 의사소통을 더 쉽고 재미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게임을 실행하는 각각의 다수의 사용자들 간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게임 진행에 대한 흥미를 부가시켜 게임 산업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다.
10: 단말기 11: 제어부 12: 입력부
13: 표시부 14: 저장부 15: 오디오처리부
16: 통신부 11a: 대화모드 모듈 11b: 게임실행 모듈
20: 서비스장치 21: 서비스제어부 22: 서비스저장부
23: 서비스통신부 30: 네트워크

Claims (6)

  1. 둘 이상의 단말기 간에 게임 실행 중, 상기 둘 이상의 단말기 간에 음성 또는 문자로 이루어진 대화 메시지 전달을 위한 채널을 연결하는 서비스장치; 및
    상기 서비스 장치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와 게임을 실행하는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상기 서비스 장치를 통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와 대화 메시지 전달을 위한 채널을 연결하고, 연결된 채널을 통해서 대화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송수신된 대화 메시지를 상기 게임의 캐릭터를 통해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 조작에 따른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
    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결과를 출력하는 표시부;
    가청음을 감지하여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오디오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와 통신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대화모드를 실행하여, 상기 입력부 또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통해 문자 또는 음성으로 사용자의 대화 메시지를 입력 받아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로부터 문자 또는 음성으로 이루어진 다른 사용자의 대화 메시지를 수신하며, 송수신되는 대화 메시지를 상기 게임의 캐릭터를 통해서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네트워크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비스통신부;
    게임 실행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접속한 둘 이상의 단말기 간에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대화 모드를 실행하여, 상기 둘 이상의 단말기 간에 사용자의 문자 또는 음성으로 이루어진 대화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대화 메시지가 상기 사용자의 게임 캐릭터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4. 단말기가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와 통신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사용자의 대화 요청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대화 요청에 따라 게임에 참여한 사용자간의 대화를 위한 대화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문자 또는 음성으로 사용자의 대화 메시지를 입력 받아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로부터 다른 사용자의 대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실행된 대화모드에서 상기 송수신되는 대화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의 게임 캐릭터를 통해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대화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의 게임 캐릭터와 매칭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대화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의 캐릭터의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10024701A 2011-03-21 2011-03-21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적용한 시스템 및 단말기 KR20120107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701A KR20120107172A (ko) 2011-03-21 2011-03-21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적용한 시스템 및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701A KR20120107172A (ko) 2011-03-21 2011-03-21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적용한 시스템 및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172A true KR20120107172A (ko) 2012-10-02

Family

ID=47279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701A KR20120107172A (ko) 2011-03-21 2011-03-21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적용한 시스템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71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2432A1 (ko) * 2013-03-15 2014-09-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2432A1 (ko) * 2013-03-15 2014-09-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2459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ultimedia accessiblity
US10963147B2 (en) Media-aware interface
US1027606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user speech in a communication session
CN106465074B (zh) 数字助手在通信中的使用
US10701451B2 (en) Program interaction system, method, client, and backend server
US11247134B2 (en) Message push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5518645B (zh) 负载平衡的持久连接技术
WO2012055315A1 (zh) 一种提供和管理互动服务的系统和方法
KR20220065856A (ko) 정보 처리 방법, 시스템,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KR20130134623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을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CN112169327A (zh) 一种云游戏的控制方法以及相关装置
KR20120002766A (ko) 휴대 단말기의 위치 기반 말풍선 서비스 이용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826279B1 (ko)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데이터 표시 방법 및 시스템
KR20120107172A (ko)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적용한 시스템 및 단말기
KR20140002285A (ko) 보이스 에스앤에스 시스템
KR101882963B1 (ko) 게임데이터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WO2020192245A1 (zh) 应用开启方法、装置和计算机系统及介质
US200903107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o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150107038A (ko)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1625531B1 (ko)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911870B1 (ko) 메시지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75628B1 (ko) 통합형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위한 서버 및 시스템
US20220217191A1 (en) Method and device to manage audio and/or video sources during a streaming session
KR20120080432A (ko) 게임 실행 중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05560A (ko) 메시지 전송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