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038A -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038A
KR20150107038A KR1020140029348A KR20140029348A KR20150107038A KR 20150107038 A KR20150107038 A KR 20150107038A KR 1020140029348 A KR1020140029348 A KR 1020140029348A KR 20140029348 A KR20140029348 A KR 20140029348A KR 20150107038 A KR20150107038 A KR 20150107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ice
additional information
messenger servi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3238B1 (ko
Inventor
이재하
오길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9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238B1/ko
Publication of KR20150107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확인하고, 프로필 정보에 대응하는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하고, 프레즌스 정보를 반영하여 부가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메신저 서비스에서 상대방의 프레즌스 정보를 고려하여 최적의 부가정보를 알려줄 수 있으므로,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상대방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중인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대화명, 프로필 사진, 닉네임, 친구 목록 또는 대화내용에 포함된 방문 장소 등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부가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Method for providing messenger service based on moving inform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확인하고, 프로필 정보에 대응하는 프레즌스(presence) 정보를 생성하고, 프레즌스 정보를 반영하여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들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본적인 음성 통신 기능에서 더 나아가 최근에는 데이터 통신,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음악 또는 동영상 파일 재생, 게임, 방송 시청 등 다양한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에서 실행될 수 있는 기능의 증대를 위한 기술 개발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하드웨어 개량 기술은 물론 소프트웨어 개량 기술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망에 접속한 후 다수의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대화를 진행할 수 있는 메신저 프로그램의 사용 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메신저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사용자 간의 게임 등의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대화 상대자에게 선물하기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대화 상대자의 프레즌스 정보를 고려하지 못하고, 사용자 판단에 의해 선물을 선택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0869877호, 2008년 11년 14일 등록(명칭: 통합 프레즌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종래의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대화 상대자에게 선물하기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대화 상대자의 프레즌스 정보를 고려하지 못하고, 사용자 판단에 의해 선물을 선택하는 불편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확인하고, 프로필 정보에 대응하는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하고, 프레즌스 정보를 반영하여 부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는 다수의 단말기들 간에 메신저 서비스 기반의 부가정보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비스통신부 및 다수의 단말기들 간의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고,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들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를 반영하여 부가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부가정보를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 별로 구분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에 있어서,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중인 단말기들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프레즌스 정보와, 프레즌스 정보를 반영한 부가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 및 서비스장치와 통신하여 메신저 서비스 기반의 부가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와 메신저 서비스를 실행하고,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한 대화 중 서비스장치로부터 상대방의 프레즌스 정보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부가정보를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 화면의 일 측에 부가정보를 팝업형태 또는 배너형태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와 메신저 서비스를 실행하고,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한 대화 중 서비스장치로부터 상대방의 프레즌스 정보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부가정보를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단말기 및 다수의 단말기들 간의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고,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들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를 반영하여 부가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부가정보를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 별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은 서비스장치가 다수의 단말기들 간의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들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를 반영하여 부가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서비스장치가 선택된 부가정보를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 별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확인하는 단계는 서비스장치가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중인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대화명, 프로필 사진, 닉네임, 친구 목록 또는 대화내용에 포함된 방문 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생성하는 단계는 서비스장치가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서비스장치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중인 사용자들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선택하는 단계는 서비스장치가 프레즌스 정보에 따라 특정 상품 또는 매장에서 이용 가능한 할인정보, 쿠폰정보, 이벤트 정보 및 행사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공하는 단계는 서비스장치가 부가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 상대자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공하는 단계는 서비스장치가 부가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대화 화면의 일 측에 표시될 수 있도록 팝업형태 또는 배너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서비스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특정 부가정보에 대한 선물하기 서비스를 요청 받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기로 부가정보와 관련된 선물하기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은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와 메신저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한 대화 중 서비스장치로부터 상대방의 프레즌스 정보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기가 수신된 부가정보를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단말기가 화면 상에 제공되는 부가정보를 선택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선택된 부가정보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부가정보에 대한 선물하기 기능이 요청되면, 단말기가 부가정보에 대한 선물하기 서비스를 서비스장치로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다수의 단말기들 간의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들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를 반영하여 부가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부가정보를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 별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와 메신저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와,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한 대화 중 서비스장치로부터 상대방의 프레즌스 정보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부가정보를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신저 서비스에서 상대방의 프레즌스 정보를 고려하여 최적의 부가정보를 알려줄 수 있으므로,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상대방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중인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대화명, 프로필 사진, 닉네임, 친구 목록 또는 대화내용에 포함된 방문 장소 등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부가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플랫폼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지만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기일 때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다수의 단말기(10), 서비스장치(20) 및 통신망(3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나 서비스장치(20)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망(30)은 다수의 단말기(10) 및 서비스장치(20)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망(3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무선랜(WLAN, 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통신망(30)은 상기에 제시된 통신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서비스장치(20)와 통신망(30)을 통해 통신하여 다른 단말기와의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와 메신저 서비스를 실행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한 대화 중 서비스장치(20)로부터 상대방의 프레즌스 정보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부가정보는 상대방 위치 정보 또는 상태 정보와 관련된 프레즌스 정보를 반영한 특정 상품 또는 매장에서 이용 가능한 할인정보, 쿠폰정보, 이벤트 정보 및 행사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후, 단말기(10)는 수신된 부가정보를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제공한다.
단말기(1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화면 상에 제공되는 부가정보를 선택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선택된 부가정보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한다. 이후, 단말기(10)는 부가정보에 대한 선물하기 기능이 요청되면, 다른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는 부가정보에 대한 선물하기 서비스를 서비스장치(20)로 요청한다.
서비스장치(20)는 다수의 단말기(10)와 통신망(30)을 통해 통신하여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20)는 다수의 단말기들 간의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20)는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들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서비스장치(20)는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중인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대화명, 프로필 사진, 닉네임, 친구 목록 또는 대화내용에 포함된 방문 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한다.
서비스장치(20)는 프레즌스 정보를 반영하여 부가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부가정보를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 별로 구분하여 제공한다. 이때, 서비스장치(20)는 프레즌스 정보에 따라 특정 상품 또는 매장에서 이용 가능한 할인정보, 쿠폰정보, 이벤트 정보 및 행사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를 선택한다.
서비스장치(2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특정 부가정보에 대한 선물하기 서비스를 요청 받는다. 그리고, 서비스장치(20)는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기(상대방 단말기)로 부가정보와 관련된 선물하기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메신저 서비스에서 상대방의 프레즌스 정보를 고려하여 최적의 부가정보를 알려줄 수 있으므로,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상대방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중인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대화명, 프로필 사진, 닉네임, 친구 목록 또는 대화내용에 포함된 방문 장소 등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부가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과정을 도 2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는 제어부(11), 입력부(12), 표시부(13), 저장부(14), 오디오처리부(15) 및 통신부(16)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부(11)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모듈(11a), 메신저 제공모듈(11b), 이동 정보 확인모듈(11c) 및 프레즌스 정보 생성모듈(11d)을 포함하고, 저장부(14)는 메신저 프로그램(14a), 어플리케이션(14b) 및 이동정보(14c)를 포함한다.
입력부(12)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기(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1)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2)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는 표시부(13)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12)는 다른 단말기와 메신저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입력 신호 등을 감지하여 제어부(11)로 전달한다.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3)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3)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구성된 경우, 표시부(13)는 입력부(12)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3)는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실행 화면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3)는 상대방과의 대화를 진행하는 화면, 프레즌스 정보를 반영한 메신저 서비스 화면 등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는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 화면의 일 측에 부가정보를 팝업형태 또는 배너형태로 표시한다.
저장부(14)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단말기(1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4)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11)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4)는 단말기(1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및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4)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14b) 및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메신저 프로그램(14a) 등이 저장된다.
오디오처리부(15)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K)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1)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오디오처리부(15)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1)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처리부(15)는 제어부(1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처리부(15)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메신저 서비스와 관련된 기능 실행에 따른 효과음 또는 실행음을 출력한다.
통신부(16)는 서비스장치(20)와 통신망(3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16)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부(16)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기(10)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서비스장치(20)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통신망(30)에 접속하여, 서비스장치(20)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16)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 및 서비스장치(20)와 통신하여 메신저 서비스 기반의 부가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부(11)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와 메신저 서비스를 실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한 대화 중 서비스장치(20)로부터 상대방의 프레즌스 정보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부가정보는 상대방 위치 정보 또는 상태 정보와 관련된 프레즌스 정보를 반영한 특정 상품 또는 매장에서 이용 가능한 할인정보, 쿠폰정보, 이벤트 정보 및 행사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는 수신된 부가정보를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제공한다. 즉, 제어부(11)는 서비스장치(20)로부터 수신된 부가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대화 화면의 일 측에 표시될 수 있도록 팝업형태 또는 배너형태로 제공한다.
제어부(11)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화면 상에 제공되는 부가정보를 선택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선택된 부가정보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한다. 이후, 제어부(11)는 부가정보에 대한 선물하기 기능이 요청되면, 다른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는 부가정보에 대한 선물하기 서비스를 서비스장치(20)로 요청한다.
이와 같은 단말기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부(11)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모듈(11a) 및 메신저 제공모듈(11b)을 포함한다. 특히, 어플리케이션 제공모듈(11a)은 서비스장치(20)로부터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거나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을 적용하여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메신저 제공모듈(11b)은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모든 기능을 수행한다. 즉, 메신저 제공모듈(11b)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다른 단말기와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플랫폼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단말기(10)는 단말기 운영체제(120) 및 단말기 하드웨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운영체제(120)는 단말기(10)의 전반적인 운용을 담당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단말 제조사 또는 통신 서비스 사업 제공자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제어부(11)의 역할은 상기 단말기 운영체제(120) 내의 하나의 모듈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단말기 하드웨어(130)은 단말기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 모뎀칩 프로세서 등 단말기(10)의 물리적 환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어부(11), 입력부(12), 표시부(13), 저장부(14), 오디오처리부(15) 및 통신부(16)의 실제 물리적 환경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 플랫폼은 서비스장치(20)에 의해 제공된 메신저 프로그램 지원을 위한 별도의 메신저 플랫폼(1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메신저 플랫폼(110)은 메신저 프로그램(14a)이 단말기(10) 내 저장되거나 메신저 프로그램(14a)이 활성화되는 순간에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메신저 플랫폼(110)은 메신저 프로그램(14a)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기 설정된 동작이 감지되면, 어플리케이션 제공 모듈(11a)을 통해 단말기(10) 내 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수집하기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수집하게 된다. 이후, 메신저 플랫폼(110)은 수집된 정보를 상기 API를 통해 메신저 프로그램(14a)으로 전달하고, 메신저 프로그램(14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메신저 플랫폼(110)은 단말기(10) 내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지 않더라도, 서비스장치(20)가 제공하는 API에 따라 정보를 수신하고 출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장치(20)로부터 제공받아 출력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20)는 서비스제어부(21), 서비스저장부(22) 및 서비스통신부(23)로 구성된다. 여기서, 서비스제어부(21)는 메신저 제공모듈(21a), 어플리케이션 제공모듈(21b), 사용자 정보 확인모듈(21c) 프레즌스 정보 생성모듈(21d) 및 부가정보 제공모듈(21e)을 포함하고, 서비스저장부(22)는 메신저 프로그램 관련정보(22a), 메신저 사용자 정보(22b), 프레즌스 정보(22c) 및 부가정보 DB(22d)을 포함한다.
서비스통신부(23)는 통신망(30)을 통해 다수의 단말기들 간에 메신저 서비스 기반의 부가정보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서비스저장부(22)는 서비스장치(20)의 기능 실행에 따른 모든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저장부(22)는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그램,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그램,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서비스저장부(22)는 메신저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22a), 메신저 사용자 정보(22b), 프레즌스 정보(22c) 및 부가정보 DB(22d) 등을 저장한다. 즉, 서비스저장부(22)는 메신저 프로그램 및 메신저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서비스저장부(22)는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중인 단말기들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프레즌스 정보와, 프레즌스 정보를 반영한 부가정보를 저장한다.
서비스제어부(21)는 운영 체제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제어부(21)는 다수의 단말기들 간의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제어부(21)는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들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서비스제어부(21)는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중인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대화명, 프로필 사진, 닉네임, 친구 목록 또는 대화내용에 포함된 방문 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한다.
서비스제어부(21)는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서비스제어부(21)는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중인 사용자들의 현재 상태를 확인한다.
서비스제어부(21)는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를 반영하여 부가정보를 선택한다. 즉, 서비스제어부(21)는 프레즌스 정보에 따라 특정 상품 또는 매장에서 이용 가능한 할인정보, 쿠폰정보, 이벤트 정보 및 행사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를 선택한다.
서비스제어부(21)는 선택된 부가정보를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 별로 구분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서비스제어부(21)는 부가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 상대자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서비스제어부(21)는 부가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대화 화면의 일 측에 표시될 수 있도록 팝업형태 또는 배너형태로 제공한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제어부(21)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특정 부가정보에 대한 선물하기 서비스를 요청 받게 되면,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기로 부가정보와 관련된 선물하기 기능을 수행한다.
서비스제어부(21)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특정 부가정보에 대한 선물하기 서비스를 요청 받는다. 그리고, 서비스제어부(21)는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기로 부가정보와 관련된 선물하기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서비스장치(20)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서비스제어부(21)는 메신저 제공모듈(11a), 어플리케이션 제공모듈(11b), 사용자 정보 확인모듈(21c), 프레즌스 정보 생성모듈(21d) 및 부가정보 제공모듈(21e)을 포함한다. 특히, 메신저 제공모듈(21a)은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모든 기능을 수행한다. 즉, 메신저 제공모듈(21a)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단말기들 간의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제공모듈(21b)은 단말기들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 정보 확인모듈(21c)은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들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프레즌스 정보 생성모듈(21d)은 사용자 정보 확인모듈(21c)을 통해 확인된 이동 정보를 기반으로 프레즌스 정보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부가정보 제공모듈(21e)은 프레즌스 정보 생성모듈(21d)을 통해 결정된 프레즌스 정보를 반영하여 부가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부가정보를 해당 단말기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서비스제어부(21)는 다수의 단말기(10)로 메신저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가입된 사용자들을 사용자 식별자로 구분하고 각각의 가입된 사용자들에 대해 상태, 수신모드, 메시지 수신자 리스트 및 가입자 환경 정보를 관리하고, 인터넷에 접속 중인(On-line) 사용자들 간에 IM 대화 메시지를 전달을 위한 IM 대화 세션, 즉 대화 채널을 관리하게 된다. 또한, 서비스제어부(21)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호 처리 및 MSRP(Message Session Relay Protocol) 릴레이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수의 단말기(10), 예컨대 발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 간에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서비스장치(20)는 서버 기반 컴퓨팅 기반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한편, 단말기(10)나 서비스장치(20)에 탑재되는 메모리는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정보 캐리어,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전파 신호에서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7c 및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는 S11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와 메신저 서비스를 실행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S13 단계에서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한 대화 중 서비스장치(20)로부터 상대방의 프레즌스 정보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부가정보는 상대방 위치 정보 또는 상태 정보와 관련된 프레즌스 정보를 반영한 특정 상품 또는 매장에서 이용 가능한 할인정보, 쿠폰정보, 이벤트 정보 및 행사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후, 단말기(10)는 S15 단계에서 수신된 부가정보를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제공한다. 즉, 단말기(10)는 서비스장치(20)로부터 수신된 부가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대화 화면의 일 측에 표시될 수 있도록 팝업형태 또는 배너형태로 제공한다.
단말기(10)는 S17 단계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부가정보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부가정보가 선택되면, 단말기(10)는 S19 단계에서 선택된 부가정보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한다. 이후, 단말기(10)는 S21 단계에서 상대방 단말기로 부가정보에 대한 선물하기 기능이 요청되는지 확인한다. 선물하기 기능이 요청되면, 단말기(10)는 S23에서 부가정보에 대한 선물하기 서비스를 상대방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하여 서비스장치(20)로 요청한다. 예를 들어, 도 7c 및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는 서비스장치(20)로부터 제공되는 상대방과 관련된 부가정보(701)를 화면의 일 측에 표시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되는 부가정보에 대한 상세정보(703)를 서비스장치(2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는 S31 단계에서 다수의 단말기들 간의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20)는 S33 단계에서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들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서비스장치(20)는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중인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대화명, 프로필 사진, 닉네임, 친구 목록 또는 대화내용에 포함된 방문 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한다.
서비스장치(20)는 S35 단계에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서비스장치(20)는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중인 사용자들의 현재 상태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장치(20)는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중인 단말기(10)의 사용자 정보(프로필 정보)를 확인한다. 즉, 서비스장치(20)는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확인하여 대화명으로 사용중인 내용을 분석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20)는 대화명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장치(20)는 사용자들 간의 대화 내용을 분석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20)는 대화 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장치(20)는 S37 단계에서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를 반영하여 부가정보를 선택한다. 즉, 서비스장치(20)는 프레즌스 정보에 따라 특정 상품 또는 매장에서 이용 가능한 할인정보, 쿠폰정보, 이벤트 정보 및 행사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를 선택한다.
서비스장치(20)는 S39 단계에서 선택된 부가정보를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 별로 구분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서비스장치(20)는 부가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 상대자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서비스장치(20)는 부가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대화 화면의 일 측에 표시될 수 있도록 팝업형태 또는 배너형태로 제공한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장치(2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특정 부가정보에 대한 선물하기 서비스를 요청 받게 되면,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기로 부가정보와 관련된 선물하기 기능을 수행한다.
서비스장치(20)는 S41 단계에서 특정 단말기로부터 부가정보에 대한 선물하기 서비스가 요청되는지 확인한다. 선물하기 서비스가 요청되면, 서비스장치(20)는 S43 단계에서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기로 부가정보와 관련된 선물하기 기능을 수행한다.
방법 단계들은 온 입력(on input) 데이터를 동작시키고 출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은 또한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 예를 들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장치는 이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확인하고, 프로필 정보에 대응하는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하고, 프레즌스 정보를 반영하여 부가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메신저 서비스에서 상대방의 프레즌스 정보를 고려하여 최적의 부가정보를 알려줄 수 있으므로,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상대방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중인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대화명, 프로필 사진, 닉네임, 친구 목록 또는 대화내용에 포함된 방문 장소 등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부가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이는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a, 10b, …, 10n: 단말기
20: 서비스장치 30: 통신망 11: 제어부
12: 입력부 13: 표시부 14: 저장부
15: 오디오처리부 16: 통신부 110: 메신저 플랫폼
120: 단말기 운영체제 130: 단말기 하드웨어 21: 서비스제어부
22: 서비스저장부 23: 서비스통신부
100: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시스템
11a, 21b: 어플리케이션 제공모듈 11b, 21a: 메신저 제공모듈
21c: 사용자 정보 확인모듈 21d: 프레즌스 정보 생성모듈
21e: 부가정보 제공모듈 14a: 메신저 프로그램
14b, 22c: 어플리케이션 22a: 메신저 프로그램 관련정보
22b: 메신저 사용자 정보 22c: 프레즌스 정보
22d: 부가정보 DB

Claims (16)

  1. 다수의 단말기들 간에 메신저 서비스 기반의 부가정보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비스통신부; 및
    상기 다수의 단말기들 간의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들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를 반영하여 부가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부가정보를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 별로 구분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중인 단말기들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프레즌스 정보와, 프레즌스 정보를 반영한 부가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3.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 및 서비스장치와 통신하여 메신저 서비스 기반의 부가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와 메신저 서비스를 실행하고,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한 대화 중 서비스장치로부터 상대방의 프레즌스 정보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부가정보를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 화면의 일 측에 상기 부가정보를 팝업형태 또는 배너형태로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와 메신저 서비스를 실행하고,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한 대화 중 서비스장치로부터 상대방의 프레즌스 정보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부가정보를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단말기; 및
    다수의 단말기들 간의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들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를 반영하여 부가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부가정보를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 별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시스템.
  6. 서비스장치가 다수의 단말기들 간의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들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를 반영하여 부가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선택된 부가정보를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 별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중인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대화명, 프로필 사진, 닉네임, 친구 목록 또는 대화내용에 포함된 방문 장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 중인 사용자들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프레즌스 정보에 따라 특정 상품 또는 매장에서 이용 가능한 할인정보, 쿠폰정보, 이벤트 정보 및 행사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부가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상기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 상대자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부가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대화 화면의 일 측에 표시될 수 있도록 팝업형태 또는 배너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서비스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특정 부가정보에 대한 선물하기 서비스를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기로 부가정보와 관련된 선물하기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13.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와 메신저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한 대화 중 서비스장치로부터 상대방의 프레즌스 정보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부가정보를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기가 상기 화면 상에 제공되는 부가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선택된 부가정보에 대한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정보에 대한 선물하기 기능이 요청되면, 상기 단말기가 상기 부가정보에 대한 선물하기 서비스를 상기 서비스장치로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15. 다수의 단말기들 간의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들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를 반영하여 부가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부가정보를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 별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6.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와 메신저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한 대화 중 서비스장치로부터 상대방의 프레즌스 정보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부가정보를 상기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40029348A 2014-03-13 2014-03-13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2143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348A KR102143238B1 (ko) 2014-03-13 2014-03-13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348A KR102143238B1 (ko) 2014-03-13 2014-03-13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038A true KR20150107038A (ko) 2015-09-23
KR102143238B1 KR102143238B1 (ko) 2020-08-10

Family

ID=54245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348A KR102143238B1 (ko) 2014-03-13 2014-03-13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2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516A (ko) * 2018-01-26 2020-08-10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로봇 고객 서비스로부터 사람 고객 서비스로 전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625475B1 (ko) * 2022-12-29 2024-01-16 주식회사 들의곰 메신저 프로필에서 보호자 연계를 통한 메신저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보호자 보호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877B1 (ko) 2002-05-23 2008-11-24 주식회사 케이티 통합 프레젠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12359A (ko) * 2008-04-24 2009-10-28 티에스씨시스템 주식회사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41243A (ko) * 2012-06-15 2013-12-2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멀티디바이스 환경에서 위치기반의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877B1 (ko) 2002-05-23 2008-11-24 주식회사 케이티 통합 프레젠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12359A (ko) * 2008-04-24 2009-10-28 티에스씨시스템 주식회사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41243A (ko) * 2012-06-15 2013-12-2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멀티디바이스 환경에서 위치기반의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516A (ko) * 2018-01-26 2020-08-10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로봇 고객 서비스로부터 사람 고객 서비스로 전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625475B1 (ko) * 2022-12-29 2024-01-16 주식회사 들의곰 메신저 프로필에서 보호자 연계를 통한 메신저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보호자 보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238B1 (ko) 202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33826B (zh) 用于语言模型自定义的灵活模式
KR102067656B1 (ko)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장치
KR102106787B1 (ko) 메신저 프로그램과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10439974B2 (en) Sharing of activity metadata via messaging systems
JP2021099861A (ja) メッセージングサービスのためのサーバ、システム、ユーザ端末、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106481A (ko) 메시지 기반 키워드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143238B1 (ko) 메신저 서비스에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50035100A (ko) 스크롤 반응형 광고배너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2212072B1 (ko) 메시지 기반 키워드 추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50108097A (ko) 메신저 프로그램에서의 정보 백업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678389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반의 영상데이터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467748B1 (ko)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데이터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50080967A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광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50082706A (ko)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2004968B1 (ko) 메신저 서비스의 첨부파일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KR102067655B1 (ko) 퀵 메뉴 편집을 위한 장치
KR101897158B1 (ko)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한 투표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KR20140085626A (ko) 컨텐츠 추천 방식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1532909B1 (ko) 메신저 서비스의 첨부파일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KR20150105719A (ko) 이동 정보 기반의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50106497A (ko) 메신저 서비스에서 위치정보 기반의 광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2210006B1 (ko) 메신저 서비스에서 특정 문자열을 이용한 검색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2232537B1 (ko) 메신저 프로그램과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163111B1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푸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544732B1 (ko)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