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6541A - 기록매체, 재생장치 및 집적회로 - Google Patents

기록매체, 재생장치 및 집적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6541A
KR20120106541A KR1020117018087A KR20117018087A KR20120106541A KR 20120106541 A KR20120106541 A KR 20120106541A KR 1020117018087 A KR1020117018087 A KR 1020117018087A KR 20117018087 A KR20117018087 A KR 20117018087A KR 20120106541 A KR20120106541 A KR 20120106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lock
view
stream
exten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8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지 사사키
히로시 야하타
도모키 오가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06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4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non-volatile solid state storage medium, e.g. DVD, CD-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Abstract

기록매체 상에는 메인 뷰 스트림, 서브 뷰 스트림 및 관리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관리정보는 각 스트림의 시르템 레이트를 포함한다. 각 스트림은 복수의 데이터 블록으로 분할되어서 복수의 익스텐트 블록을 구성하고 있다. 각 익스텐트 블록에는 메인 뷰 데이터 블록과 서브 뷰 데이터 블록이 교대로 연속해서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쌍을 구성하는 메인 b 데이터 블록과 서브 뷰 데이터 블록의 각 사이즈의 최대치는 다음의 조건에 의해 결정되어 있다. (ⅰ) 서브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 (ⅱ) 그 쌍이 익스텐트 블록 내의 선두의 쌍인지 여부, (ⅲ) 이어서 판독되는 2개의 익스텐트 블록의 기록영역의 사이에 롱 점프 영역이 존재하는가 여부.

Description

기록매체, 재생장치 및 집적회로{RECORDING MEDIUM, REPRODUCTION DEVICE AND INTEGRATED CIRCUIT}
본 발명은 입체 시 영상(stereoscopic video), 즉 3차원(3D) 영상의 재생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매체 상에서의 스트림 데이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3D 영상에 대한 일반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유원지에서는 3D 영상을 이용한 어트랙션(attraction)이 인기를 끌고 있다. 또, 전국 각지에서 3D 영상의 영화를 상영하는 영화관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3D 영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서 3D 영상을 각 가정에서도 재생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 기술에서는 3D 영상콘텐츠를 고화질 상태로 광 디스크 등의 휴대성 기록매체에 기록할 것이 요구된다. 또, 2D 재생장치에 대한 그 기록매체의 호환성이 요구된다. 즉, 그 기록매체에 기록된 3D 영상콘텐츠로부터 2D 재생장치는 2D 영상을 재생할 수 있고, 3D 재생장치는 3D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2D 재생장치」는 평면 시 영상, 즉 2차원(2D) 영상만을 재생할 수 있는 종래의 재생장치를 의미하고, 「3D 재생장치」는 3D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재생장치를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3D 재생장치가 종래의 2D 영상도 재생할 수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도 100은 3D 영상콘텐츠가 기록된 광디스크에 대하여 2D 재생장치에 대한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광디스크(PDS)에는 2종류의 비디오 스트림이 저장되어 있다. 일방은 2D/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이고, 타방은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이다. 「2D/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3D 영상의 재생에서는 시청자의 왼쪽 눈에 보이는 2D 영상, 즉 「레프트 뷰」를 나타내고, 2D 영상의 재생에서는 그 2D 영상 그 자체를 나타낸다.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3D 영상의 재생에서 시청자의 오른쪽 눈에 보이는 2D 영상, 즉 「라이트 뷰」를 나타낸다. 좌우의 비디오 스트림 사이에서는 프레임 레이트는 동일하지만 프레임의 표시 시기는 프레임 주기의 절반만큼 어긋나 있다. 예를 들어, 각 비디오 스트림의 프레임 레이트가 1초간에 24 프레임일 때 2D/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과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각 프레임이 1/48초마다 교대로 표시된다.
각 비디오 스트림은 도 100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광디스크(PDS) 상에서는 복수의 익스텐트 EX1A-C, EX2A-C로 분할되어 있다. 각 익스텐트는 GOP(그룹·오브·픽쳐)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광디스크 드라이브에 의해 일괄해서 판독된다. 이하, 2D/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에 속하는 익스텐트를 「2D/레프트 뷰 익스텐트」라고 하고,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에 속하는 익스텐트를 「라이트 뷰 익스텐트」라고 한다. 2D/레프트 뷰 익스텐트 EX1A-C와 라이트 뷰 익스텐트 EX2A-C는 교대로 광디스크(PDS)의 트랙 TRC상에 배치되어 있다. 인접하는 2개의 익스텐트 EX1A+EX2A, EX1B+EX2B, EX1C+EX2C의 사이에서는 재생시간이 동일하다. 이와 같은 익스텐트의 배치를 「인터리브 배치」라고 한다. 인터리브 배치로 기록된 익스텐트 군은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3D 영상의 재생과 2D 영상의 재생의 양쪽에서 이용된다.
2D 재생장치(PL2)에서는 광디스크 드라이브(DD2)가 광디스크(PDS) 상의 익스텐트 중 2D/레프트 뷰 익스텐트 EX1A-C만을 선두로부터 차례로 판독하는 한편, 라이트 뷰 익스텐트 EX2A-C의 판독을 스킵한다. 또, 영상 디코더(VDC)가 광디스크 드라이브(DD2)에 의해 판독된 익스텐트를 순차 영상프레임(VFL)으로 복호 한다. 이에 의해 표시장치(DS2)에는 레프트 뷰만이 표시되므로 시청자에게는 통상의 2D 영상이 보인다.
3D 재생장치(PL3)에서는 광디스크 드라이브(DD3)가 광디스크(PDS)로부터 2D/레프트 뷰 익스텐트와 라이트 뷰 익스텐트를 교대로, 부호로 나타내면 EX1A, EX2A, EX1B, EX2B, EX1C, EX2C의 순으로 판독한다. 또, 판독된 각 익스텐트로부터 2D/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좌 영상 디코더(VDL)에 보내지고,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우 영상 디코더(VDR)에 보내진다. 각 영상 디코더(VDL, VDR)는 교대로 각 비디오 스트림을 영상프레임(VFL), VFR에 복호 한다. 이에 의해 표시장치(DS3)에는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가 교대로 표시된다. 한편, 셔터안경 SHG는 좌우의 렌즈를 표시장치(DS3)에 의한 화면의 전환에 동기하여 교대로 불투명하게 한다. 따라서 셔터안경(SHG)을 쓴 시청자에게는 표시장치(DS3)에 표시된 영상이 3D 영상으로 보인다.
광디스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록매체에 3D 영상콘텐츠를 저장할 때에는 상기와 같이 익스텐트의 인터리브 배치를 이용한다. 이에 의해 그 기록매체를 2D 영상의 재생과 3D 영상의 재생의 양쪽에서 이용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 제 3935507호 공보
도 100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인터리브 배치의 익스텐트 군으로부터 2D 영상이 재생될 때 광디스크 드라이브(DD2)는 라이트 뷰 익스텐트 EX2A-C의 기록영역마다 「점프」를 하고, 그 기록영역으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을 스킵 한다. 점프기간 중 2D 재생장치(PL2) 내의 버퍼에는 광디스크 드라이브(DD2)로부터 데이터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그 버퍼에 축적된 데이터는 영상 디코더(VDC)의 처리에 수반하여 감소한다. 따라서 2D 영상이 심리스로 재생되기 위해서는 각 2D/레프트 뷰 익스텐트 EX1A-C의 데이터량, 즉 사이즈가 점프기간에서의 버퍼 언더플로를 방지할 수 있을 정도 이상이 아니면 안 된다.
동일한 익스텐트 군으로부터 3D 영상이 재생될 때에는 2D/레프트 뷰 익스텐트 EX1A-C가 판독되고 있는 기간 중 라이트 뷰 익스텐트 EX2A-C는 판독되지 않다. 따라서 그 기간 중 3D 재생장치(PL3) 내의 버퍼에 축적된 라이트 뷰 익스텐트 EX2A-C의 데이터는 우 영상 디코더(VDR)의 처리에 수반하여 감소한다. 역으로, 라이트 뷰 익스텐트 EX2A-C가 판독되고 있는 기간 중 버퍼에 축적된 2D/레프트 뷰 익스텐트 EX1A-C의 데이터는 좌 영상 디코더(VDL)의 처리에 수반하여 감소한다. 따라서 3D 영상이 심리스로 재생되기 위해서는 좌우의 익스텐트 EX1A-C, EX2A-C의 각 사이즈가 일방의 익스텐트의 판독기간의 도중에 버퍼 내의 타방의 익스텐트의 데이터가 고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 이상이 아니면 안 된다.
또, 기록매체 상의 데이터영역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일련의 스트림 데이터의 기록영역을 도중에 분할하고 다른 데이터를 그 사이에 삽입하여 기록하는 것이 좋은 경우도 있다. 그 외에, 광디스크에는 소위 2층 디스크와 같은 기록 층을 복수 포함하는 것이 있다. 그러한 광디스크에서는 일련의 스트림 데이터가 2층에 걸쳐서 기록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경우, 일련의 스트림 데이터로부터 영상이 재생될 때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점프에 의해 다른 데이터의 판독을 스킵하거나 또는 기록 층의 전환을 한다. 그 점프에 관계없이 영상을 심리스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익스텐트의 사이즈가 점프기간에서의 버퍼 언더플로 또는 어느 하나의 익스텐트의 데이터의 고갈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 이상이 아니면 안 된다. 이상의 조건으로부터 익스텐트의 사이즈의 하한은 제한된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3D 재생장치에 의해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좌우의 익스텐트는 일단 그 3D 재생장치 내의 각각의 버퍼에 축적된다. 3D 영상이 심리스로 재생되기 위해서는 각각의 버퍼는 일방의 익스텐트의 데이터를 타방의 익스텐트의 판독기간 중에 고갈하지 않을 정도 이상으로 축적할 수 있지 않으면 안 된다. 익스텐트의 사이즈가 클수록 판독기간은 길어지므로, 일방의 익스텐트의 판독기간 중에 타방의 익스텐트의 데이터의 고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버퍼의 용량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그 결과, 재생장치에 탑재 가능한 버퍼의 용량으로부터 익스텐트의 사이즈의 상한은 제한된다. 여기서, 버퍼의 용량이 작을수록 재생장치의 제조비용은 일반적으로 낮다. 그러므로, 익스텐트의 사이즈에 대한 제한을 충족시킨 상태에서 버퍼의 용량을 가능한 한 삭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생장치에 평면 시 영상과 입체 시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재생시킬 때에도 그 재생장치 내의 버퍼에 언더플로를 발생시키지 않고, 그 버퍼의 용량의 한층 더 삭감할 수 있게 하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의 관점에 의한 기록매체에는 메인 뷰 스트림, 서브 뷰 스트림 및 관리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메인 뷰 스트림에는 입체 시 영상의 메인 뷰를 구성하는 메인 뷰 비디오 스트림이 다중화되어 있다. 서브 뷰 스트림에는 입체 시 영상의 서브 뷰를 구성하는 서브 뷰 비디오 스트림이 다중화되어 있다. 서브 뷰 비디오 스트림은 메인 뷰 비디오 스트림을 참조하여 부호화되어 있다. 관리정보는 메인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와 서브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를 포함한다. 그 기록매체는 소정 수 이상의 섹터 또는 층 경계가 존재하는 롱 점프 영역을 갖는다. 그 기록매체 상에서는 메인 뷰 스트림은 복수의 메인 뷰 데이터블록으로 분할되어 배치되고, 서브 뷰 스트림은 복수의 서브 뷰 데이터블록으로 분할되어 배치되며, 익스텐트 블록이 복수 구성되어 있다. 각 익스텐트 블록은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서브 뷰 데이터블록이 교대로 연속해서 배치된 데이터로, 입체 시 영상이 재생될 때에 하나의 익스텐트로 참조된다. 각 익스텐트 블록은 서브 뷰 데이터블록을 선두의 데이터블록으로 하고, 또한 서브 뷰 데이터블록과 메인 뷰 데이터블록의 쌍을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한다. 제 1 익스텐트 블록은 제 2 익스텐트 블록의 직전에, 또는 제 3 익스텐트 블록의 다음에 판독된다. 제 1 익스텐트 블록에서 하나의 쌍을 구성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서브 뷰 데이터블록의 각 사이즈의 최대치는 다음의 3개의 조건에 의해 결정되어 있다: (i) 서브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 (ii) 그 쌍이 제 1 익스텐트 블록에서 선두의 쌍인지 여부, 및 (iii) 제 1 익스텐트 블록의 기록영역과 제 2 익스텐트 블록의 기록영역의 사이, 또는 제 1 익스텐트 블록의 기록영역과 제 3 익스텐트 블록의 기록영역의 사이에 롱 점프 영역이 존재하는가 여부.
본 발명의 제 2의 관점에 의한 기록매체에는 데이터 스트림과 관리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데이터 스트림은 복수의 데이터블록으로 이루어지며, 메인 뷰 스트림과 서브 뷰 스트림을 포함한다. 메인 뷰 스트림은 평면 시 재생에 이용된다. 서브 뷰 스트림은 메인 뷰 스트림과 조합되어서 입체 시 영상의 재생에 이용된다. 데이터블록은 메인 뷰 스트림으로부터 구성되는 복수의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서브 뷰 스트림으로부터 구성되는 복수의 서브 뷰 데이터블록을 포함한다. 데이터블록의 종류에는 공통 데이터블록과,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과,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이 있다. 공통 데이터블록은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서브 뷰 데이터블록의 양방을 포함하고, 평면 시 재생시 및 입체 시 재생시의 양방에서 액세스 된다.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은 메인 뷰 데이터블록만을 포함하고, 평면 시 재생시에만 액세스 된다.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은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서브 뷰 데이터블록의 양방을 포함하고, 입체 시 재생시에만 액세스 된다.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에 포함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에 포함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은 동일한 내용이다. 관리정보는 메인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 서브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 입체 시 영상 재생경로 정보 및 평면 시 영상 재생경로 정보를 포함한다. 입체 시 영상 재생경로 정보는 입체 시 재생시에 공통 데이터블록 및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에 포함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 및 서브 뷰 데이터블록을 재생하는 경로를 나타낸다. 평면 시 영상 재생경로 정보는 평면 시 재생시에 공통 데이터블록 및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에 포함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을 재생하는 경로를 나타낸다. 이 기록매체는 소정 수 이상의 섹터 또는 층 경계가 존재하는 롱 점프 영역을 갖는다. 공통 데이터블록 중 제 1 공통 데이터블록과 제 2 공통 데이터블록은 그 순으로 판독되고, 제 1 공통 데이터블록의 기록영역과 제 2 공통 데이터블록의 기록영역의 사이에는 롱 점프 영역이 존재한다.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과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 중 내용이 대응하는 제 1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과 제 1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은 제 1 공통 데이터블록의 기록영역과 롱 점프 영역의 사이, 또는 롱 점프 영역과 제 2 공통 데이터블록의 기록영역의 사이에 기록되어 있다. 제 1 공통 데이터블록, 제 2 공통 데이터블록 및 제 1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에 포함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의 최소치는 적어도 다음의 3개의 파라미터로 결정되어 있다: (1) 재생장치가 평면 시 재생시에 상기의 기록매체로부터 그 메인 뷰 데이터블록을 판독하는 속도, (2) 그 메인 뷰 데이터블록의 비트 레이트, 및 (3) 재생장치가 평면 시 재생시에 롱 점프 영역을 점프하는데 필요한 시간. 제 1 공통 데이터블록, 제 2 공통 데이터블록, 제 1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 및 제 1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에 포함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의 최대치는 적어도 다음의 2개의 조건에 의해 결정되어 있다: (4) 서브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 및 (5) 이어서 판독되는 2개의 데이터블록의 기록영역 간에 롱 점프 영역이 존재하는가 여부.
본 발명의 제 1의 관점에 의한 기록매체에서는 하나의 쌍을 구성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서브 뷰 데이터블록의 각 사이즈의 최대치가 상기 3개의 조건 (i)-(iii)에 의해 결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서브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의 상승에 관계없이 재생장치는 리드 버퍼의 용량을 작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그 기록매체는 그 재생장치에 평면 시 영상과 입체 시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재생시킬 때에도 리드 버퍼에 언더플로를 발생시키지 않고 그 용량을 더 삭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관점에 의한 기록매체는 롱 점프 영역의 앞 또는 뒤에서 입체 시 영상의 재생경로와 평면 시 영상의 재생경로를 분리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공통 데이터블록과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에 포함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의 최소치를 상기 3개의 파라미터 (1)-(3)에 의해 결정하는 것과 동시에, 공통 데이터블록,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 및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에 포함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의 최대치를 적어도 상기 2개의 조건 (4), (5)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그 기록매체는 그 재생장치에 평면 시 영상과 입체 시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재생시킬 때에도 리드 버퍼에 언더플로를 발생시키지 않고 그 용량을 더 삭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기록매체를 사용하는 홈시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고 있는 BD-ROM 디스크(101) 상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 (a), (b), (c)는 각각 도 1에 나타내고 있는 BD-ROM 디스크(101) 상의 메인 TS, 제 1 서브 TS, 제 2 서브 TS에 다중화된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일람표이다.
도 4는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400) 내에서의 TS 패킷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 (a)는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를 구성하는 일련의 TS 패킷의 각각에 포함되는 TS헤더(501H)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b)는 그 TS 패킷 열의 형식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c)는 그 TS 패킷 열로 구성된 소스 패킷 열의 형식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d)는 일련의 소스 패킷(502)이 연속적으로 기록된 BD-ROM 디스크(101)의 볼륨영역(202B) 상의 섹터 군의 모식도이다.
도 6은 PG 스트림(600)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701)과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702)의 픽쳐를 표시시간 순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비디오 스트림(800)의 데이터 구조의 상세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PES 패킷 열(902)로의 비디오 스트림(901)의 저장방법의 상세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1001)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1002)의 각 픽쳐에 할당된 PTS와 DTS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1100)이 포함하는 오프셋 메타데이터(1110)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 (a), (b)는 각각 PG 플레인(1210)과 IG 플레인(1220)에 대한 오프셋 제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c)는 (a), (b)에 나타내고 있는 그래픽스 플레인이 나타내는 2D 그래픽스 영상으로부터 시청자(1230)에게 지각되는 3D 그래픽스 영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 (a), (b)는 오프셋 시퀀스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는 (a), (b)에 나타내고 있는 오프셋 시퀀스에 따라서 재현되는 3D 그래픽스 영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PMT(1410)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도 3에 나타내고 있는 메인 TS와 제 1 서브 TS 또는 제 2 서브 TS 중 어느 하나와의 BD-ROM 디스크(101) 상에서의 물리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 (a)는 어느 BD-ROM 디스크 상에 개별적으로 연속해서 기록된 메인 TS(1601)과 서브 TS(1602)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BD-ROM 디스크(101) 상에 기록된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0], D[1], D[2], …와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0], B[1], B[2], …의 인터리브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c), (d)는 각각 인터리브 배치로 기록된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군 D[n]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군 B[n]의 각 익스텐트 ATC 시간을 예시하는 모식도이다(n=0, 1, 2).
도 17은 인접하는 데이터블록 간에 익스텐트 ATC 시간을 일치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도 15에 나타내고 있는 익스텐트 블록 군 1501-1503에 대한 2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1801)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9는 2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102) 내의 재생처리계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 (a)는 2D 재생 모드에서의 동작 중 도 19에 나타내고 있는 리드 버퍼(1902)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DA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b)는 재생 대상의 익스텐트 블록(2010)과 2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2020)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1은 BD-ROM 디스크에 관한 점프거리 SJUMP와 최대 점프시간 TJUMP _ MAX의 사이의 대응 표의 일 예이다.
도 22는 3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102) 내의 재생처리계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3 (a), (b)는 하나의 익스텐트 블록으로부터 3D 영상이 심리스로 재생될 때 도 22에 나타내고 있는 RB1 (2211), RB2 (2212)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DA1, DA2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는 그 익스텐트 블록(2310)과 3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2320)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4 (a)는 (M+1)번째 (문자 M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의 익스텐트 블록과 (M+2)번째의 익스텐트 블록에서 연속해서 3D 영상이 심리스로 재생될 때 도 22에 나타내고 있는 RB1 (2211), RB2 (2212)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DA1, DA2의 변화 및 이들의 합 DA1+DA2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군이다. (b)는 이들 익스텐트 블록(2401, 2402)과 3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2420)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5 (a), (b)는 각각 도 24 (b)에 나타내고 있는 2개의 익스텐트 블록(2401, 2402)으로부터 연속해서 3D 영상이 심리스로 재생될 때 도 22에 나타내고 있는 RB1 (2211), RB2 (2212)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DA1, DA2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6 (a), (b), (c)는 각각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 및 이들 합계의 시간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7은 도 22에 나타내고 있는 RB1 (2211), RB2 (2212)의 각각으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에 전송되는 TS 패킷과 ATC 시간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8 (a)는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2와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b)는 BD-ROM 디스크 상에서 각각 층 경계(LB)의 직전, 직후에 배치된 제 1 익스텐트 SSEXTSS[0]와 제 2 익스텐트 SSEXTSS[1]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c)는 BD-ROM 디스크 상에서 각각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의 기록영역 NAV의 직전, 직후에 배치된 제 3 익스텐트 SSEXTSS[10]과 제 4 익스텐트 SSEXTSS[11]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9는 평균 전송속도 REXT1, REXT2의 조합별로 각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maxSEXT1, maxSEXT2와 익스텐트 ATC 시간 TEXT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30은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제 1 클립정보파일(01000.clpi)(231)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1 (a)는 도 30에 나타내고 있는 엔트리 맵(3030)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b)는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파일 2D(241)에 속하는 소스 패킷 군(3110) 중 엔트리 맵(3030)에 의해 각 EP_ID(3105)에 대응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c)는 그 소스 패킷 군(3110)에 대응하는 BD-ROM 디스크(101) 상의 데이터블록 군D[n], B[n](n=0, 1, 2, 3, …)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2 (a)는 도 30에 나타내고 있는 익스텐트 기점(3042)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b)는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제 2 클립정보파일(02000.clpi)(232)에 포함되는 익스텐트 기점(3220)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c)는 3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102)에 의해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제 1 파일 SS(244A)로부터 추출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0], B[1], B[2], …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d)는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제 1 파일 DEP(02000.m2ts)(242)에 속하는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0], EXT2[1], …과 익스텐트 기점(3220)이 나타내는 SPN(3222)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e)는 제 1 파일 SS(244A)에 속하는 익스텐트 SSEXTSS[0]와 BD-ROM 디스크(101) 상의 익스텐트 블록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3은 BD-ROM 디스크(101) 상에 기록된 하나의 익스텐트 블록(3300)과, 파일 2D(3310), 파일 베이스(3311), 파일 DEP(3312) 및 파일 SS(3320)의 각 익스텐트 군과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4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3410)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3420)에 설정된 엔트리 포인트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5는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1.mpls)(221)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6은 플레이 아이템 ID=#N(N=1, 2, 3, …)의 플레이 아이템 정보, PI #N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7 (a), (b)는 각각 커넥션 컨디션이 "5", "6"일 때에 접속되어야 할 2개의 재생구간 PI #(N-1), PI #N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8은 도 35에 나타내고 있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1.mpls)(221)이 나타내는 PTS와 파일 2D(01000.m2ts)(241)로부터 재생되는 부분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9는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3D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2.mpls)(222)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0은 도 39에 나타내고 있는 3D 플레이리스트 파일(222)의 메인 패스(3901)가 포함하는 STN 테이블(4005)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1은 도 40에 나타내고 있는 STN 테이블 SS(4030)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2는 도 39에 나타내고 있는 3D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2.mpls)(222)이 나타내는 PTS와, 제 1 파일 SS(01000.ssif)(244A)로부터 재생되는 부분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3은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인덱스파일(index.bdmv)(211)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4는 도 43에 나타내고 있는 인덱스테이블(4310)의 항목 「타이틀 3」을 참조함으로써 재생장치(102)가 6종류의 판별처리 (1)-(6)를 이용하여 재생 대상의 플레이리스트 파일을 선택하는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45는 2D 재생장치(45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6은 도 45에 나타내고 있는 플레이어 변수 기억부(4536)가 기억하는 시스템 파라미터(SPRM)의 일람표이다.
도 47은 도 45에 나타내고 있는 재생제어부(4535)에 의한 2D 플레이리스트 재생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48은 도 45에 나타내고 있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4523)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9 (a)는 도 48에 나타내고 있는 PG 디코더(4872)가 PG 스트림 내의 하나의 데이터 엔트리로부터 그래픽스 오브젝트를 복호 하는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b)-(e)는 그 처리에 따라서 변화하는 그래픽스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0은 3D 재생장치(50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1은 도 50에 나타내고 있는 재생제어부(5035)에 의한 3D 플레이리스트 재생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52는 도 50에 나타내고 있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3은 도 50에 나타내고 있는 플레인 가산부(5024)의 1 플레인+오프셋 모드 또는 1 플레인+제로 오프셋 모드에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4는 도 53에 나타내고 있는 각 크로핑 처리부(5331-5334)에 의한 오프셋 제어의 플로차트이다.
도 55는 도 53에 나타내고 있는 제 2 크로핑 처리부(5332)에 의한 오프셋 제어로 가공되기 전후의 PG 플레인(GP, RGP, LGP)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a), (b), (c)는 각각 오른쪽 방향의 오프셋이 부여된 PG 플레인(RGP), 오프셋 제어에 의해 가공되기 전의 PG 플레인(GP), 왼쪽 방향의 오프셋이 부여된 PG 플레인(LGP)을 나타낸다.
도 56은 2 플레인 모드의 플레인 가산부(5624)의 부분적인 기능 블록도이다.
도 57 (a), (b), (c)는 2D·PG 스트림이 나타내는 레프트 뷰 그래픽스 영상 GOB0와, 라이트 뷰 PG 스트림이 나타내는 라이트 뷰 그래픽스 영상 GOB1-3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d), (e), (f)는 각각 (a), (b), (c)에 나타내고 있는 레프트 뷰 그래픽스 영상에 대한 오프셋 제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8 (a), (d)는 PI #(N-1) 및 PI #N(문자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이 심리스로 접속되어 있을 때 그 접속점의 전후에 위치하는 각 데이터블록이 RB1, RB2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전송되는 기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a)에서는 EXT2[n]의 전송기간 TATC20[n]이 EXT1[n]의 전송기간 TATC1[n]보다 늦게 종료하고, (d)에서는 EXT2[n]의 전송기간 TATC21[n]이 EXT1[n]의 전송기간 TATC1[n]보다 빨리 종료한다. (b), (c)는 각각 (a)에 나타내고 있는 EXT1[n], EXT1[n+1], EXT2[n], EXT2[n+1]을 3D 재생장치에 의해 복호 할 때의 RB1, RB2의 각 축적 데이터량 DA1, DA2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e), (f)는 각각 (d)에 나타내고 있는 EXT1[n], EXT1[n+1], EXT2[n], EXT2[n+1]을 3D 재생장치에 의해 복호 할 때의 RB1, RB2의 각 축적 데이터량 DA1, DA2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9 (a), (b)는 각각 PI #(N-1)과 PI #N 사이의 심리스 접속에 CC=6, 5가 설정되는 경우, 그 접속점의 전후에 위치하는 각 소스 패킷에 설정되는 ATS와 그 소스 패킷의 전송기간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0 (a)는 (M+1)번째 (문자 M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의 익스텐트 블록(EXTSS[M])(6001), (M+2)번째의 익스텐트 블록(EXTSS[M+1])(6002)이 심리스로 접속될 때 RB1, RB2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DA1, DA2의 변화 및 이들의 합 DA1+DA2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군이다. (b)는 EXTSS[M](6001), EXTSS[M+1](6002) 및 3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602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1 (a)는 하나의 익스텐트 페어에 대하여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과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n]의 조합별로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maxSEXT1[n], maxSEXT2[n]을 나타내는 표이다(문자 n는 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b)는 층 경계(LB)의 직전, 직후에 배치된 (M+1)번째의 익스텐트 블록(EXTSS[M])(6101)과 (M+2)번째의 익스텐트 블록(EXTSS[M+1])(6102)에 대하여 각 익스텐트 페어 중에서 사이즈가 작은 데이터블록이 사이즈가 큰 데이터블록보다 앞에 배치되도록 한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문자 M은 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도 62 (a), (b)는 도 61 (b)에 나타내고 있는 EXTSS[M](6101), EXTSS[M+1](6102)로부터 연속해서 3D 영상이 심리스로 재생될 때 RB1과 RB2의 각각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DA1, DA2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3 (a)는 익스텐트 블록의 도중에 위치하는 익스텐트 페어 중에서 데이터블록의 순서가 역전한 배치에 대한 익스텐트 기점의 데이터 구조(Syntax)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b)는 파일 베이스에 속하는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k](k=0, 1, 2, …)와 익스텐트 기점이 나타내는 익스텐트 개시플래그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c)는 파일 DEP에 속하는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k]와 익스텐트 개시플래그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d)는 파일 SS에 속하는 익스텐트 SSEXTSS[0]와 BD-ROM 디스크 상의 익스텐트 블록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4 (c)는 RB1에 구해지는 용량이 가장 큰 데이터블록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a), (b)는 (c)에 나타내고 있는 EXTSS[M](6401), EXTSS[M+1](6402)로부터 연속해서 3D 영상이 심리스로 재생될 때 RB1, RB2의 각각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DA1, DA2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f)는 RB2에 구해지는 용량이 가장 큰 데이터블록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d), (e)는 (f)에 나타내고 있는 EXTSS[N](6403_, EXTSS[N+1](6404)로부터 연속해서 3D 영상이 심리스로 재생될 때 RB1, RB2의 각각 축적되는 데이터량 DA1, DA2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5 (c)는 데이터블록의 순서가 역전하고 있는 익스텐트 페어을 도중에 포함하는 익스텐트 블록(6510)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a), (b)는 (c)에 나타내고 있는 익스텐트 블록(6501)으로부터 연속해서 3D 영상이 심리스로 재생될 때 RB1, RB2의 각 축적 데이터량 DA1, DA2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6은 데이터블록의 순서가 역전하고 있는 익스텐트 페어을 도중에 포함하는 익스텐트 블록(6600)과 AV 스트림 파일(6610-6620)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7은 BD-ROM 디스크(101)의 층 경계(LB)의 전후에 기록된 데이터블록 군의 배치 1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8은 도 67에 나타내고 있는 배치 1의 데이터블록 군에 대한 2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6810)와 3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682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9는 BD-ROM 디스크(101)의 층 경계(LB)의 전후에 기록된 데이터블록 군의 배치 2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0은 도 69에 나타내고 있는 배치 2의 데이터블록 군에 대한 2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7010)와 3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702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1은 도 70에 나타내고 있는 제 2 익스텐트 블록(6902)의 후단에 위치하는 3D 재생전용블록 B[4]3D의 판독 시간 SEXT1[4]/RUD72와, RB2의 축적 데이터량 DA2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2는 BD-ROM 디스크(101)의 층 경계(LB)의 전후에 기록된 데이터블록 군의 배치 3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3은 도 72에 나타내고 있는 배치 3의 데이터블록 군에 대한 2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7310)와 3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732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4는 파일 베이스(7401)과 파일 DEP(7402)의 각 익스텐트 EXT1[k], EXT2[k](문자 k는 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에 대하여 설정된 엔트리 포인트(7410, 742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5 (a)는 인접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에서 익스텐트 ATC 시간이 다르고, 또한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이 다를 때의 재생경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b)는 인접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에서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이 동일할 때의 재생경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6 (a)는 멀티앵글에 대응하는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의 재생경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b)는 BD-ROM 디스크 상에 기록된 데이터블록 군(7601)과, 그것에 대한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7602)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c)는 앵글별 스트림 데이터 Ak, Bk, Ck를 구성하는 익스텐트 블록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7은 멀티앵글기간을 구성하는 데이터블록 군(7701) 및 그들에 대한 2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7710)와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772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8 (a)는 1TS에 의한 멀티앵글기간 PANG를 구성하는 익스텐트 블록 군(7810)과 그들에 대한 재생경로(7820)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b)는 2TS에 의한 멀티앵글기간 PANG를 구성하는 익스텐트 블록 군(7830) 및 그들에 대한 2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7840)와 3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7850)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기록장치(79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80 (a), (b)는 3D 영상의 한 신의 표시에 이용되는 레프트 뷰 픽쳐와 라이트 뷰 픽쳐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c)는 도 79에 나타내고 있는 비디오 인코더(7902)에 의해 이들의 픽쳐로부터 산출된 깊이 정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1은 도 79에 나타내고 있는 기록장치(7900)를 이용하여 BD-ROM 디스크에 영화 콘텐츠를 기록하는 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도 8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집적회로(3)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83은 도 82에 나타내고 있는 스트림 처리부(5)의 대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84는 도 83에 나타내고 있는 스위칭부(53)가 DMAC일 때의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5는 도 82에 나타내고 있는 AV 출력부(8)의 대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86은 도 85에 나타내고 있는 AV 출력부(8)를 포함하는 재생장치(102)의 데이터 출력에 관한 부분의 상세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7은 도 82에 나타내고 있는 집적회로(3) 내의 제어 버스 및 데이터 버스의 토폴러지의 예 (a), (b)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8은 표시장치(103)에 탑재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집적회로(3)와 그 주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89는 도 88에 나타내고 있는 AV 출력부(8)의 상세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90은 도 82에 나타내고 있는 집적회로(3)를 이용한 재생장치(102)에 의한 재생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91은 도 90에 나타내고 있는 각 스텝 S1-5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92 (a)-(c)는 시차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에 의한 3D 영상(입체 시 영상)의 재생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3은 2D 영상 MVW와 뎁스 맵 DPH의 조합으로부터 레프트 뷰 LVW와 라이트 뷰 RVW를 구성하는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4 (a)는 복호스위치정보(A050)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b)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A001)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A002)의 각 픽쳐에 할당된 복호 카운터의 일 예 A010, A02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c)는 이들 비디오 스트림 A001, A002의 각 픽쳐에 할당된 복호 카운터의 다른 예 A030, A04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5는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사이의 차이를 보상하는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표시장치(103)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96 (a)는 3D 영상을 촬영하는 한 쌍의 비디오 카메라 CML, CMR의 수평 화각 HAL, HAR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b), (c)는 각각 좌측의 비디오 카메라 CML로 촬영된 레프트 뷰 LV와 우측의 비디오 카메라 CMR로 촬영된 라이트 뷰 RV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d), (e)는 각각 가공 후의 좌 영상 플레인이 나타내는 레프트 뷰 LV와 가공 후의 우 영상 플레인이 나타내는 라이트 뷰 RV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7 (a)는 3D 영상을 촬영하는 한 쌍의 비디오 카메라 CML, CMR의 수직 화각 VAL, VAR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b)는 좌측의 비디오 카메라 CML로 촬영된 레프트 뷰 LV와 우측의 비디오 카메라 CMR로 촬영된 라이트 뷰 RV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c)는 가공 후의 좌 영상 플레인이 나타내는 레프트 뷰 LV와 가공 후의 우 영상 플레인이 나타내는 라이트 뷰 RV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8 (a)는 그래픽스 플레인 GPL이 나타내는 그래픽스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b), (c)는 각각 그래픽스 플레인 GPL에 오른쪽 방향과 왼쪽 방향의 오프셋을 부여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d), (e)는 각각 오른쪽 방향과 왼쪽 방향의 오프셋이 부여된 그래픽스 플레인 GP1, GP2가 나타내는 그래픽스 영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9는 그래픽스 플레인에 대하여 규정되는 그래픽 부품의 배치에 관한 조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0은 3D 영상콘텐츠가 기록된 광디스크에 대하여 2D 재생장치에 대한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한 기록매체 및 재생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기록매체를 사용하는 홈시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홈시어터 시스템은 시차 영상을 이용한 3D 영상(입체 시 영상)의 재생방식을 채용하고, 특히 표시 방식으로 계시 분리방식 (繼時分離方式)을 채용하고 있다(상세는《보충》참조). 도 1을 참조하면, 이 홈시어터 시스템은 기록매체(101)를 재생 대상으로 하고, 재생장치(102), 표시장치(103), 셔터안경(104) 및 리모컨(105)을 포함한다.
기록매체(101)는 판독 전용 블루레이 디스크(등록상표)(BD: Blu-ray Disc), 즉 BD-ROM 디스크이다. 기록매체(101)는 그 외의 휴대성 기록매체, 예를 들어 DVD 등의 다른 방식에 의한 광디스크, 리무버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SD 메모리카드 등의 반도체 메모리장치라도 좋다. 그 기록매체, 즉 BD-ROM 디스크(101)는 3D 영상에 의한 영화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다. 이 콘텐츠는 그 3D 영상의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각각을 나타내는 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한다. 또, 그 콘텐츠는 그 3D 영상의 뎁스 맵을 나타내는 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들 비디오 스트림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데이터블록 단위로 BD-ROM 디스크(101) 상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파일 구조를 이용하여 액세스 된다. 레프트 뷰 또는 라이트 뷰를 나타내는 비디오 스트림은 2D 재생장치와 3D 재생장치의 각각에 의해 그 콘텐츠를 2D 영상으로 재생하는데 이용된다. 한편,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각각을 나타내는 비디오 스트림의 쌍, 또는 레프트 뷰 또는 라이트 뷰의 어느 것과 뎁스 맵의 각각을 나타내는 비디오 스트림의 쌍은 3D 재생장치에 의해 그 콘텐츠를 3D 영상으로 재생하는데 이용된다.
재생장치(102)는 BD-ROM 드라이브(121)를 탑재하고 있다. BD-ROM 드라이브(121)는 BD-ROM 방식에 준거한 광디스크 드라이브이다. 재생장치(102)는 BD-ROM 드라이브(121)를 이용하여 BD-ROM 디스크(101)로부터 콘텐츠를 판독한다. 또, 재생장치(102)는 그 콘텐츠를 영상데이터/음성데이터로 복호 한다. 여기서, 재생장치(102)는 3D 재생장치이고, 그 콘텐츠를 2D 영상과 3D 영상의 어느 것으로도 재생 가능하다. 이하, 2D 영상과 3D 영상의 각각을 재생할 때의 재생장치(102)의 동작 모드를 「2D 재생 모드」, 「3D 재생 모드」라고 한다. 2D 재생 모드에서는 영상데이터는 레프트 뷰 또는 라이트 뷰의 어느 일방의 영상프레임을 포함한다. 3D 재생 모드에서는 영상데이터는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양쪽의 영상프레임을 포함한다.
또, 3D 재생 모드는 레프트/라이트(L/R) 모드와 뎁스 모드로 분류할 수 있다. 「L/R모드」에서는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각각을 나타내는 비디오 스트림의 조합으로부터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영상프레임의 쌍이 재생된다. 「뎁스 모드」에서는 레프트 뷰 또는 라이트 뷰 중 어느 하나와 뎁스 맵의 각각을 나타내는 비디오 스트림의 조합으로부터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영상프레임의 쌍이 재생된다. 재생장치(102)는 L/R모드를 구비한다. 또, 재생장치(102)는 뎁스 모드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재생장치(102)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케이블(122)로 표시장치(103)에 접속되고 있다. 재생장치(102)는 영상데이터/음성데이터를 HDMI 방식의 영상신호/음성신호로 변환하고, HDMI 케이블(122)를 통해서 표시장치(103)에 전송한다. 2D 재생 모드에서는 영상신호에는 레프트 뷰 또는 라이트 뷰의 어느 일방의 영상프레임이 다중화되어 있다. 3D 재생 모드에서는 영상신호에는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양쪽의 영상프레임이 시분할로 다중화되어 있다. 또, 재생장치(102)는 HDMI 케이블(122)를 통해서 표시장치(103)와의 사이에서 CEC 메시지를 교환한다. 이에 의해 재생장치(102)는 3D 영상의 재생에 대응 가능한지 여부를 표시장치(103)에 문의할 수 있다.
표시장치(103)는 액정 디스플레이이다. 표시장치(103)는 그 외에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및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 다른 방식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또는 프로젝터라도 좋다. 표시장치(103)는 영상신호에 따라서 화면(131) 상에 영상을 표시하고, 음성신호에 따라서 내장의 스피커로부터 음성을 발생시킨다. 표시장치(103)는 3D 영상의 재생에 대응 가능하다. 2D 영상의 재생시에 화면(131) 상에는 레프트 뷰 또는 라이트 뷰의 어느 일방이 표시된다. 3D 영상의 재생시에 화면(131) 상에는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가 교대로 표시된다.
표시장치(103)는 좌우 신호 송신부(132)를 포함한다. 좌우 신호 송신부(132)는 좌우 신호 LR를 적외선 또는 무선으로 셔터안경(104)에 송출한다. 좌우 신호 LR은 현시점에서 화면(131)에 표시되는 영상이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 중 어느 것인가를 나타낸다. 3D 영상의 재생시에 표시장치(103)는 영상신호에 부수하는 제어신호로부터 레프트 뷰 프레임과 라이트 뷰 프레임을 식별하는 것에 의해 프레임의 전환을 검지한다. 또, 표시장치(103)는 좌우 신호 송신부(132)에 검지된 프레임의 전환에 동기하여 좌우 신호 LR를 변화시킨다.
셔터안경(104)은 2매의 액정표시패널(141L, 141R)과 좌우 신호 수신부(142)를 포함한다. 각 액정표시패널(141L, 141R)은 좌우의 각 렌즈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좌우 신호 수신부(142)는 좌우 신호 LR를 수신하고, 그 변화에 따라서 좌우의 액정표시패널(141L, 141R)에 신호를 보낸다. 각 액정표시패널(141L, 141R)은 그 신호에 따라서 광을 그 전체에서 동일하게 투과시키거나 또는 차단한다. 특히 좌우 신호 LR이 레프트 뷰의 표시를 나타낼 때 왼쪽 눈 측의 액정표시패널(141L)은 광을 투과시키고, 오른쪽 눈 측의 액정표시패널(141R)은 광을 차단한다. 좌우 신호 LR이 라이트 뷰의 표시를 나타낼 때는 그 역이다. 이와 같이, 2매의 액정표시패널(141L, 141R)은 프레임의 전환과 동기하여 교대로 광을 투과시킨다. 그 결과, 시청자가 셔터안경(104)를 쓰고 화면(131)을 보았을 때 레프트 뷰는 그 시청자의 왼쪽 눈에만 비치고, 라이트 뷰는 그 오른쪽 눈에만 비친다. 그때 그 시청자에게는 각 눈에 비치는 영상 간의 차이가 동일한 입체적 물체에 대한 양안 시차로 지각되므로 그 영상이 입체적으로 보인다.
리모컨(105)은 조작부와 송신부를 포함한다. 조작부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한다. 각 버튼은 전원의 온 오프, 또는 BD-ROM 디스크(101)의 재생 개시 혹은 정지 등 재생장치(102) 또는 표시장치(103)의 각 기능에 대응되어 있다. 조작부는 사용자에 의한 각 버튼의 눌림을 검출하고, 그 버튼의 식별정보를 신호로 송신부에 전달한다. 송신부는 그 신호를 적외선 또는 무선에 의한 신호 IR로 변환하여 재생장치(102) 또는 표시장치(103)에 송출한다. 한편, 재생장치(102)와 표시장치(103)는 각각 그 신호 IR을 수신하고, 그 신호 IR이 나타내는 버튼을 특정하여 그 버튼에 대응된 기능을 실행한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는 재생장치(102) 또는 표시장치(103)를 원격 조작할 수 있다.
<BD-ROM디스크 상의 데이터 구조>
도 2는 BD-ROM 디스크(101) 상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BD-ROM 디스크(101) 상의 데이터 기록영역의 최 내주부에는 BCA(Burst Cutting Area)(201)이 설치되어 있다. BCA에 대해서는 BD-ROM 드라이브(121)에 의한 액세스만이 허가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한 액세스는 금지된다. 이에 의해 BCA(201)는 저작권 보호기술에 이용된다. BCA(201)보다 바깥쪽의 데이터 기록영역에서는 내주로부터 외주로 향하여 트랙이 나선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에는 트랙(202)이 모식적으로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묘사되어 있다. 그 좌측은 디스크(101)의 내주부를 나타내고, 우측은 외주부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트랙(202)은 내주로부터 순서대로 리드인 영역(202A), 볼륨영역(202B) 및 리드아웃 영역(202c)를 포함한다. 리드인 영역(202a)은 BCA(201)의 바로 외주 측에 설치되어 있다. 리드인 영역(202a)은 볼륨영역(202B)에 기록된 데이터의 사이즈 및 물리어드레스 등, BD-ROM 드라이브(121)에 의한 볼륨영역(202B)으로의 액세스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리드 아웃 영역(202C)은 데이터 기록영역의 최 외주부에 설치되고, 볼륨영역(202B)의 종단(終端)을 나타낸다. 볼륨영역(202b)은 영상 및 음성 등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포함한다.
볼륨영역(202b)은 「섹터」라고 불리는 소 영역(202D)으로 분할되고 있다. 섹터의 사이즈는 공통이며, 예를 들어 2048 바이트이다. 각 섹터(202D)에는 볼륨영역(202B)의 선단으로부터 순서대로 일련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이 일련번호는 논리블록번호(LBN)라고 불리고, BD-ROM 디스크(101) 상의 논리어드레스에 이용된다. BD-ROM 디스크(101)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에서는 수신처의 섹터의 LBN이 지정됨으로써 판독 대상의 데이터가 특정된다. 이렇게 하여 볼륨영역(202b)은 섹터 단위로 액세스 가능하다. 또, BD-ROM 디스크(101) 상에서는 논리어드레스가 물리어드레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특히, LBN이 연속하고 있는 영역에서는 물리어드레스도 실질적으로 연속하고 있다. 따라서 BD-ROM 드라이브(121)는 LBN이 연속하고 있는 섹터로부터 데이터를 그 광 픽업에 시크를 실행하게 하는 일 없이 연속해서 판독할 수 있다.
볼륨영역(202B)에 기록된 데이터는 소정의 파일시스템으로 관리된다. 그 파일시스템으로는 UDF(Universal Disc Format)가 채용되고 있다. 그 파일시스템은 그 외에 ISO9660라도 좋다. 그 파일시스템에 따라서 볼륨영역(202B)에 기록된 데이터는 디렉터리/파일형식으로 표현된다(상세는《보충》참조). 즉, 이들 데이터는 디렉터리 단위 또는 파일 단위로 액세스 가능하다.
≪BD-ROM 디스크 상의 디렉터리/파일 구조≫
또, 도 2는 BD-ROM 디스크(101)의 볼륨영역(202B)에 저장된 데이터의 디렉터리/파일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이 디렉터리/파일 구조에서는 루트(ROOT) 디렉터리(203)의 아래에 BD무비(BDMV: BD Movie) 디렉터리(210)가 놓여 있다. BDMV 디렉터리(210)의 아래에는 인덱스파일(index.bdmv)(211)과 무비 오브젝트 파일(MovieObject.bdmv)(212)이 놓여 있다.
인덱스파일(211)은 BD-ROM 디스크(101)에 기록된 콘텐츠의 전체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이다. 그 정보는 특히, 그 콘텐츠를 재생장치(102)에 인식시키기 위한 정보 및 인덱스테이블을 포함한다. 인덱스테이블은 그 콘텐츠를 구성하는 타이틀과 재생장치(10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사이의 대응 표이다. 그 프로그램을 「오브젝트」라고 한다. 오브젝트의 종류에는 무비 오브젝트와 BD-J(BD Java (등록상표)) 오브젝트가 있다.
무비 오브젝트 파일(212)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무비 오브젝트를 포함한다. 각 무비 오브젝트는 내비게이션 커멘드의 열을 포함한다. 내비게이션 커멘드는 일반적인 DVD 플레이어에 의한 재생처리와 동일한 재생처리를 재생장치(102)에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지령이다. 내비게이션 커멘드의 종류에는 예를 들어 타이틀에 대응하는 플레이리스트 파일의 판독명령, 플레이리스트 파일이 나타내는 AV 스트림 파일의 재생명령 및 다른 타이틀로의 천이명령이 있다. 내비게이션 커멘드는 인터프리터형 언어로 기술되고, 재생장치(102)에 포함된 인터프리터, 즉 작업제어 프로그램(job control program)에 의해 해독되어 그 제어부에 원하는 작업을 실행시킨다. 내비게이션 커멘드는 오피코드(opcode)와 오퍼랜드(operand)로 이루어진다. 오피코드는 타이틀의 분기와 재생 및 연산 등, 재생장치에 실행시켜야 할 조작의 내용을 나타낸다. 오퍼랜드는 타이틀번호 등 그 조작의 대상의 식별정보를 나타낸다. 재생장치(102)의 제어부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각 무비 오브젝트를 호출하여, 그 무비 오브젝트에 포함되는 내비게이션 커멘드를 열의 순으로 실행한다. 이에 의해 재생장치(102)는 일반적인 DVD 플레이어와 마찬가지로 먼저 표시장치(103)에 메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커멘드를 선택하게 한다. 다음에, 재생장치(102)는 선택된 커멘드에 따라서 타이틀의 재생 개시/정지 및 다른 타이틀로의 전환 등, 재생되는 영상의 진행을 동적으로 변화시킨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BDMV 디렉터리(210)의 아래에는 플레이리스트(PLAYLIST) 디렉터리(220), 클립정보(CLIPINF) 디렉터리(230), 스트림(STREAM) 디렉터리(240), BD-J오브젝트(BDJO: BD Java Object) 디렉터리(250) 및 Java 아카이브(JAR: Java Archive) 디렉터리(260)가 놓여 있다.
STREAM 디렉터리(240)의 아래에는 3종류의 AV 스트림 파일(01000.m2ts)(241), (02000.m2ts)(242), (03000.m2ts)(243) 및 입체 시 인터리브 파일(SSIF: Stereoscopic Interleaved File) 디렉터리(244)가 놓여 있다. SSIF 디렉터리(244)의 아래에는 2종류의 AV 스트림 파일(01000.ssif)(244A), (02000.ssif)(244B)가 놓여 있다.
「AV 스트림 파일」은 BD-ROM 디스크(101) 상에 기록된 영상콘텐츠의 실체 중 파일시스템이 정하는 파일형식으로 정렬된 것을 말한다. 여기서, 영상콘텐츠의 실체는 일반적으로 영상·음성·자막 등을 나타내는 각종 스트림 데이터, 즉 엘리멘터리 스트림이 다중화된 스트림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는 내장의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의 종류에 의해 메인 트랜스포트 스트림(TS)과 서브 TS로 대별된다. 「메인 TS」는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으로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하는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를 말한다.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은 단독으로 재생 가능하고, 2D 영상을 나타내는 비디오 스트림을 말한다. 또, 베이스 뷰는 「메인 뷰」라고도 한다. 「서브 TS」는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으로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하는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를 말한다.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그 재생에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을 필요로 하며, 그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의 조합에 의해 3D 영상을 나타내는 비디오 스트림을 말한다. 또, 디펜던트 뷰는 「서브 뷰」라고도 한다.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종류에는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 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 및 뎁스 맵 스트림이 있다.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이 나타내는 2D 영상이 L/R모드의 재생장치에 의해 3D 영상의 레프트 뷰로 이용될 때 그 3D 영상의 라이트 뷰를 나타내는 비디오 스트림으로서 이용된다. 「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그 역이다. 「뎁스 맵 스트림」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이 나타내는 2D 영상이 뎁스 모드의 재생장치에 의해 가상적인 2D화면에 대한 3D 영상의 투영으로 이용될 때 그 3D 영상의 뎁스 맵을 나타내는 스트림 데이터로서 이용된다. 특히, 그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이 레프트 뷰를 나타낼 때 이용되는 뎁스 맵 스트림을 「레프트 뷰 뎁스 맵 스트림」이라고 하고, 그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이 라이트 뷰를 나타낼 때 이용되는 뎁스 맵 스트림을 「라이트 뷰 뎁스 맵 스트림」이라고 한다.
AV 스트림 파일은 내장의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의 종류에 의해 파일 2D, 파일 디펜던트(이하, 파일 DEP라고 한다) 및 인터리브 파일(이하, 파일 SS라고 한다)의 3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파일 2D」는 2D 재생 모드에서의 2D 영상의 재생에 이용되는 AV 스트림 파일이며, 메인 TS를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파일 DEP」는 서브 TS를 포함하는 AV 스트림 파일을 말한다. 「파일 SS」는 동일한 3D 영상을 나타내는 메인 TS와 서브 TS의 쌍을 포함하는 AV 스트림 파일을 말한다. 파일 SS는 특히, 그 메인 TS를 어느 하나의 파일 2D와 공유하고, 그 서브 TS를 어느 하나의 파일 DEP와 공유한다. 즉, BD-ROM 디스크(101)의 파일시스템에서는 메인 TS는 파일 SS와 파일 2D의 어느 것으로도 액세스 가능하고, 서브 TS는 파일 SS와 파일 DEP의 어느 것으로도 액세스 가능하다. 이와 같이, BD-ROM 디스크(101) 상에 기록된 일련의 데이터를 다른 파일에 공유시키고, 어느 파일로도 액세스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파일의 크로스 링크」라고 한다.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예에서는 제 1 AV 스트림 파일(01000.m2ts)(241)은 파일 2D이고, 제 2 AV 스트림 파일(02000.m2ts)(242)과 제 3 AV 스트림 파일(03000.m2ts)(243)은 모두 파일 DEP이다. 이와 같이, 파일 2D와 파일 DEP는 STREAM 디렉터리(240)의 아래에 놓인다. 제 1 AV 스트림 파일, 즉 파일 2D(241)가 포함하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은 3D 영상의 레프트 뷰를 나타낸다. 제 2 AV 스트림 파일, 즉 제 1 파일 DEP(242)가 포함하는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이다. 제 3 AV 스트림 파일, 즉 제 2 파일 DEP(243)가 포함하는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뎁스 맵 스트림이다.
또,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예에서는 제 4 AV 스트림 파일(01000.ssif)(244A)과 제 5 AV 스트림 파일(02000.ssif)(244b)는 모두 파일 SS이다. 이와 같이, 파일 SS는 SSIF 디렉터리(244)의 아래에 놓인다. 제 4 AV 스트림 파일, 즉 제 1 파일 SS(244A)는 파일 2D(241)와는 메인 TS, 특히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을 공유하고, 제 1 파일 DEP(242)와는 서브 TS, 특히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을 공유한다. 제 5 AV 스트림 파일, 즉 제 2 파일 SS(244B)는 파일 2D(241)와는 메인 TS, 특히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을 공유하고, 제 2 파일 DEP(243)와는 서브 TS, 특히 뎁스 맵 스트림을 공유한다.
CLIPINF 디렉터리(230)에는 3종류의 클립정보파일(01000.clpi)(231), (02000.clpi)(232), (03000.clpi)(233)이 놓여 있다. 「클립정보파일」은 파일 2D와 파일 DEP에 일 대 일로 대응된 파일이며, 특히 각 파일의 엔트리 맵을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엔트리 맵」은 파일 2D 또는 파일 DEP가 나타내는 각 신의 표시시간과 그 신이 기록된 각 파일 내의 어드레스의 사이의 대응 표이다. 클립정보파일 중 파일 2D에 대응되어 있는 것을 「2D클립정보파일」이라고 하고, 파일 DEP에 대응되어 있는 것을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이라고 한다. 또, 파일 DEP가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할 때 대응하는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을 「라이트 뷰 클립정보파일」이라고 한다. 파일 DEP가 뎁스 맵 스트림을 포함할 때 대응하는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을 「뎁스 맵 클립정보파일」이라고 한다.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예에서는 제 1 클립정보파일(01000.clpi)(231)은 2D클립정보파일이고, 파일 2D(241)에 대응되어 있다. 제 2 클립정보파일(02000.clpi)(232)은 라이트 뷰 클립정보파일이고, 제 1 파일 DEP(242)에 대응되어 있다. 제 3 클립정보파일(03000.clpi)(233)은 뎁스 맵 클립정보파일이고, 제 2 파일 DEP(243)에 대응되어 있다.
PLAYLIST 디렉터리(220)에는 3종류의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1.mpls)(221), (00002.mpls)(222), (00003.mpls)(223)이 놓여 있다. 「플레이리스트 파일」은 AV 스트림 파일의 재생경로, 즉 AV 스트림 파일의 재생 대상의 부분과 그 재생 순서를 규정하는 파일을 말한다. 플레이리스트 파일의 종류에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과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이 있다. 「2D 플레이리스트 파일」은 파일 2D의 재생경로를 규정한다.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은 2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에 대해서는 파일 2D의 재생경로를 규정하고, 3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에 대해서는 파일 SS의 재생경로를 규정한다.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예에서는 제 1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1.mpls)(221)은 2D 플레이리스트 파일이고, 파일 2D(241)의 재생경로를 규정한다. 제 2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2.mpls)(222)은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이고, 2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에 대해서는 파일 2D(241)의 재생경로를 규정하며, L/R모드의 재생장치에 대해서는 제 1 파일 SS(244A)의 재생경로를 규정한다. 제 3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3.mpls)(223)은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이고, 2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에 대해서는 파일 2D(241)의 재생경로를 규정하며, 뎁스 모드의 재생장치에 대해서는 제 2 파일 SS(244B)의 재생경로를 규정한다.
BDJO 디렉터리(250)에는 BD-J오브젝트 파일(XXXXX.bdjo)(251)이 놓여 있다. BD-J오브젝트 파일(251)은 BD-J오브젝트를 1개 포함한다. BD-J오브젝트는 바이트코드 프로그램이며, 재생장치(102)에 실장된 Java 가상 머신에 타이틀의 재생처리 및 그래픽스 영상의 묘사 처리를 실행시킨다. BD-J오브젝트는 Java 언어 등의 컴파일러형 언어로 기술되고 있다. BD-J오브젝트는 애플리케이션 관리테이블과 참조 대상의 플레이리스트 파일의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관리테이블」은 Java 가상 머신에 실행시켜야 할 Java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그 실행 시기, 즉 라이프 사이클의 대응 표이다. 「참조 대상의 플레이리스트 파일의 식별정보」는 재생 대상의 타이틀에 대응하는 플레이리스트 파일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Java 가상 머신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 BD-J오브젝트를 호출하고, 그 BD-J오브젝트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테이블에 따라서 Java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에 의해 재생장치(102)는 재생되는 각 타이틀의 영상의 진행을 동적으로 변화시키거나 또는 표시장치(103)에 그래픽스 영상을 타이틀의 영상과는 독립적으로 표시시킨다.
JAR 디렉터리(260)에는 JAR 파일(YYYYY.jar)(261)이 놓여 있다. JAR 파일(261)은 BD-J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관리테이블에 따라서 실행되어야 할 Java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본체를 일반적으로 복수 포함한다. 「Java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BD-J오브젝트와 마찬가지로 Java 언어 등의 컴파일러형 언어로 기술된 바이트코드 프로그램이다. Java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종류에는 Java 가상 머신에 타이틀의 재생처리를 실행시키는 것 및 Java 가상 머신에 그래픽스 영상의 묘사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JAR 파일(261)은 Java 아카이브 파일이며, 재생장치(102)에 판독된 때에 그 내부의 메모리에 전개된다. 이에 의해 그 메모리 내에 Java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의 구조≫
도 3 (a)는 BD-ROM 디스크(101) 상의 메인 TS에 다중화된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일람표이다. 메인 TS는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TS) 형식의 디지털 스트림이며,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파일 2D(241)에 포함된다. 도 3 (a)을 참조하면, 메인 TS는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301)과 프라이머리 오디오 스트림(302A, 302b)를 포함한다. 메인 TS는 그 외에,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PG) 스트림(303A, 303B), 인터랙티브 그래픽스(IG) 스트림(304), 세컨더리 오디오 스트림(305) 및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306)을 포함해도 좋다.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301)은 영화의 주 영상을 나타내고,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306)은 부 영상을 나타낸다. 여기서, 주 영상이란 영화의 본편의 영상 등 콘텐츠의 주요한 영상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화면 전체에 표시되는 것을 가리킨다. 한편, 부 영상이란 예를 들어 주 영상 내에 작은 화면으로 표시되는 영상과 같이, 픽쳐 인 픽쳐 방식을 이용하여 주 영상과 동시에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의미한다.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301)과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306)은 모두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이다. 각 비디오 스트림(301, 306)은 MPEG-2, MPEG-4 AVC, 또는 SMPTE VC-1 등의 동화상 압축 부호화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다.
프라이머리 오디오 스트림(302A, 302b)은 영화의 주 음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2개의 프라이머리 오디오 스트림(302A, 302B) 사이에서는 언어가 다르다. 세컨더리 오디오 스트림(305)은 대화 화면의 조작에 수반하는 효과음 등, 주 음성과 중첩되어야 할(믹싱되어야 할) 부 음성을 나타낸다. 각 오디오 스트림(302A, 302B, 305)은 AC-3, 돌비 디지털 플러스(Dolby Digital Plus: 「돌비 디지털」은 등록상표), MLP(Meridian Lossless Packing: 등록상표), DTS(Digital Theater System: 등록상표), DTS-HD, 또는 리니어 PCM(Pulse Code Modulation) 등의 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다.
각 PG 스트림(303A, 303b)은 그래픽스에 의한 자막 등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301)이 나타내는 영상에 중첩해서 표시되어야 할 그래픽스 영상을 나타낸다. 2개의 PG 스트림(303A, 303B) 사이에서는 예를 들어 자막의 언어가 다르다. IG 스트림(304)은 표시장치(103)의 화면(131) 상에 대화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그래픽스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용의 그래픽스 부품 및 그 배치를 나타낸다.
엘리멘터리 스트림(301-306)은 패킷 식별자(PID)에 의해 식별된다. PID의 할당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하나의 메인 TS는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을 한 개만 포함하므로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301)에는 16진 수치 0x1011이 할당된다. 하나의 메인 TS에 다른 엘리멘터리 스트림이 종류별로 최대 32개까지 다중화 가능할 때 프라이머리 오디오 스트림(302A, 302B)에는 0x1100에서 0x111F까지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된다. PG 스트림(303A, 303B)에는 0x1200에서 0x121F까지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된다. IG 스트림(304)에는 0x1400에서 0x141F까지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된다. 세컨더리 오디오 스트림(305)에는 0x1A00에서 0x1A1F까지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된다.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306)에는 0x1B00에서 0x1B1F까지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된다.
도 3 (b)는 BD-ROM 디스크(101) 상의 제 1 서브 TS에 다중화된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일람표이다. 제 1 서브 TS는 MPEG-2 TS형식의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이며,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제 1 파일 DEP(242)에 포함된다. 도 3 (b)를 참조하면, 제 1 서브 TS는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311)을 포함한다. 제 1 서브 TS는 그 외에, 레프트 뷰 PG 스트림(312A, 312B), 라이트 뷰 PG 스트림(313A, 313B), 레프트 뷰 IG 스트림(314), 라이트 뷰 IG 스트림(315) 및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316)을 포함해도 좋다.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311)은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이며, 메인 TS 내의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301)이 3D 영상의 레프트 뷰를 나타낼 때 그 3D 영상의 라이트 뷰를 나타낸다.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PG 스트림의 쌍 312A+313A, 312B+313B는 자막 등의 그래픽스 영상을 3D 영상으로 표시할 때 그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쌍을 나타낸다.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IG 스트림의 쌍 314, 315는 대화화면의 그래픽스 영상을 3D 영상으로 표시할 때 그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쌍을 나타낸다.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316)은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이며, 메인 TS 내의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306)이 3D 영상의 레프트 뷰를 나타낼 때 그 3D 영상의 라이트 뷰를 나타낸다.
엘리멘터리 스트림(311-316)에 대한 PID의 할당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311)에는 0x1012가 할당되어 있다. 하나의 서브 TS에 다른 엘리멘터리 스트림이 종류별로 최대 32개까지 다중화 가능할 때 레프트 뷰 PG 스트림(312A, 312B)에는 0x1220에서 0x123F까지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되고, 라이트 뷰 PG 스트림(313A, 313B)에는 0x1240에서 0x125F까지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된다. 레프트 뷰 IG 스트림(314)에는 0x1420에서 0x143F까지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되고, 라이트 뷰 IG 스트림(315)에는 0x1440에서 0x145F까지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된다.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316)에는 0x1B20에서 0x1B3F까지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된다.
도 3 (c)는 BD-ROM 디스크(101) 상의 제 2 서브 TS에 다중화된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일람표이다. 제 2 서브 TS는 MPEG-2 TS형식의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이며,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제 2 파일 DEP(243)에 포함된다. 도 3 (c)를 참조하면, 제 2 서브 TS는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321)을 포함한다. 제 2 서브 TS는 그 외에, 뎁스 맵 PG 스트림(323A, 323B), 뎁스 맵 IG 스트림(324) 및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326)을 포함해도 좋다.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321)은 뎁스 맵 스트림이며, 메인 TS 내의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301)과의 조합으로 3D 영상을 나타낸다. 뎁스 맵 PG 스트림(323A, 323b)는 메인 TS 내의 PG 스트림(303A, 303B)이 나타내는 2D 영상이 가상적인 2D화면에 대한 3D 영상의 투영으로 이용될 때 그 3D 영상의 뎁스 맵을 나타내는 PG 스트림으로 이용된다. 뎁스 맵 IG 스트림(324)은 메인 TS 내의 IG 스트림(304)이 나타내는 2D 영상이 가상적인 2D화면에 대한 3D 영상의 투영으로 이용될 때 그 3D 영상의 뎁스 맵을 나타내는 IG 스트림으로 이용된다.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326)은 뎁스 맵 스트림이며, 메인 TS 내의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306)과의 조합으로 3D 영상을 나타낸다.
엘리멘터리 스트림(321-326)에 대한 PID의 할당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321)에는 0x1013이 할당된다. 하나의 서브 TS에 다른 엘리멘터리 스트림이 종류별로 최대 32개까지 다중화 가능할 때 뎁스 맵 PG 스트림(323A, 323B)에는 0x1260에서 0x127F까지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된다. 뎁스 맵 IG 스트림(324)에는 0x1460에서 0x147F까지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된다.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326)에는 0x1B40에서 0x1B5F까지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된다.
도 4는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400) 내에서의 TS 패킷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패킷 구조는 메인 TS와 서브 TS에서 공통이다.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400) 내에서는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401, 402, 403, 404)는 TS 패킷(421, 422, 423, 424)의 열로 변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스트림(401)에서는 먼저 각 프레임(401A) 또는 각 필드가 하나의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411)으로 변환된다. 다음에, 각 PES 패킷(411)이 일반적으로 복수의 TS 패킷(421)으로 변환된다. 마찬가지로 오디오 스트림(402), PG 스트림(403) 및 IG 스트림(404)은 각각 일단 PES 패킷(412, 413, 414)의 열로 변환된 후, TS 패킷(422, 423, 424)의 열로 변환된다. 최후에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401, 402, 403, 404)로부터 얻어진 TS 패킷(421, 422, 423, 424)가 하나의 스트림 데이터(400)에 시분할로 다중화된다.
도 5 (b)는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를 구성하는 TS 패킷 열의 형식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각 TS 패킷(501)은 188 바이트 길이의 패킷이다. 도 5 (b)를 참조하면, 각 TS 패킷(501)은 TS 페이로드(501P)와 어뎁테이션(adaptation) 필드(이하, AD필드라고 한다)(501A)의 적어도 어느 하나 및 TS헤더(501H)를 포함한다. TS 페이로드(501P)와 AD필드(501A)는 양방을 합해서 184 바이트 길이의 데이터영역이다. TS 페이로드(501P)는 PES 패킷의 저장영역으로 이용된다. 도 4에 나타내고 있는 PES 패킷(411-414)은 각각 일반적으로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되고, 각 부분이 다른 TS 페이로드(501P)에 저장된다. AD필드(501A)는 TS 페이로드(501P)의 데이터량이 184 바이트에 미치지 못할 때 스터핑 바이트(stuffing bytes)(즉, 더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이다. AD필드(501A)는 그 외에, TS 패킷(501)이 예를 들어 후술하는 PCR일 때 그 정보의 저장영역으로 이용된다. TS헤더(501H)는 4 바이트 길이의 데이터영역이다.
도 5 (a)는 TS헤더(501H)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 (a)를 참조하면, TS헤더(501H)는 TS우선도(transport_priority)(511), PID(512) 및 AD필드 제어(adaptation_field_control)(513)을 포함한다. PID(512)는 동일한 TS 패킷(501) 내의 TS 페이로드(501P)에 저장된 데이터가 속하는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PID를 나타낸다. TS우선도(511)는 PID(512)가 나타내는 값이 공통되는 TS 패킷 군 중에서의 TS 패킷(501)의 우선도를 나타낸다. AD필드 제어(513)는 TS 패킷(501) 내에서의 AD필드(501A)와 TS 페이로드(501P)의 각각의 유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AD필드 제어(513)가"1"을 나타낼 때 TS 패킷(501)은 AD필드(501A)를 포함하지 않고, TS 페이로드(501P)를 포함한다. AD필드 제어(513)가 "2"를 나타낼 때는 그 역이다. AD필드 제어(513)가 "3"을 나타낼 때 TS 패킷(501)은 AD필드(501A)와 TS 페이로드(501P)의 양방을 포함한다.
도 5 (c)는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의 TS 패킷 열로 구성된 소스 패킷 열의 형식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 (c)를 참조하면, 각 소스 패킷(502)은 192 바이트 길이의 패킷이며, 도 5 (b)에 나타내고 있는 TS 패킷(501) 중 하나와 4 바이트 길이의 헤더(TP_Extra_Header)(502H)를 포함한다. TS 패킷(501)이 BD-ROM 디스크(101)에 기록될 때 그 TS 패킷(501)에 헤더(502H)가 부여됨으로써 소스 패킷(502)은 구성된다. 헤더(502H)는 ATS(Arrival_Time_Stamp)를 포함한다. 「ATS」는 시각정보이며, 다음과 같이 이용된다: 소스 패킷(502)이 BD-ROM 디스크(101)로부터 재생장치(102) 내의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보내졌을 때 그 소스 패킷(502)으로부터 TS 패킷(502P)이 추출되어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 내의 PID 필터에 전송된다. 그 헤더(502H) 내의 ATS는 그 전송이 개시되어야 할 시각을 나타낸다. 여기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는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를 엘리멘터리 스트림마다 복호 하는 장치를 말한다. 시스템 타깃 디코더와 그에 따른 ATS의 이용의 상세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 5 (d)는 일련의 소스 패킷(502)이 연속적으로 기록된 BD-ROM 디스크(101)의 볼륨영역(202B) 상의 섹터 군의 모식도이다. 도 5 (d)를 참조하면, 일련의 소스 패킷(502)은 32개씩, 3개의 연속하는 섹터(521, 522, 523)에 기록되어 있다. 이는 32개의 소스 패킷의 데이터량 192바이트×32=6144바이트가 3개의 섹터의 합계 사이즈 2048바이트×3=6144바이트와 같은 것에 기인하다. 이와 같이, 3개의 연속하는 섹터(521, 522, 523)에 기록된 32개의 소스 패킷(502)를 「얼라인드 유닛(Aligned Unit)」(520)이라고 한다. 재생장치(102)는 BD-ROM 디스크(101)로부터 소스 패킷(502)를 얼라인드 유닛(520)별로, 즉 32개씩 판독한다. 섹터 군(521, 522, 523, …)은 선두로부터 순서대로 32개씩 분할되고, 각각이 하나의 오류 정정부호(ECC) 블록(530)을 구성하고 있다. BD-ROM 드라이브(121)는 ECC 블록(530)마다 오류정정처리를 한다.
≪PG 스트림의 데이터 구조≫
도 6은 PG 스트림(600)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PG 스트림(600)은 복수의 데이터 엔트리 #1, #2, …를 포함한다. 각 데이터 엔트리는 PG 스트림(600)의 표시 단위(디스플레이 세트)를 나타내고, 재생장치(102)에 1매의 그래픽스 플레인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그래픽스 플레인」이란 2D 그래픽스 영상을 나타내는 그래픽스 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플레인 데이터를 말한다. 「플레인 데이터」란 화소 데이터의 이차원 배열이며, 그 배열의 사이즈는 영상프레임의 해상도와 같다. 1세트의 화소 데이터는 색 좌표치와 α값(불투명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색 좌표치는 RGB치 또는 YCrCb치로 나타낸다. 그래픽스 플레인의 종류에는 PG 플레인, IG 플레인, 이미지 플레인 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SD) 플레인이 포함된다. PG 플레인은 메인 TS 내의 PG 스트림으로 생성된다. IG 플레인은 메인 TS 내의 IG 스트림으로 생성된다. 이미지 플레인은 BD-J오브젝트에 따라서 생성된다. OSD 플레인은 재생장치(102)의 펌웨어에 따라서 생성된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각 데이터 엔트리는 복수의 기능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이들 기능 세그먼트는 선두로부터 순서대로 표시제어 세그먼트(Presentation Control Segment: PCS), 윈도 정의 세그먼트(Window Define Segment: WDS), 펠릿정의 세그먼트(Pallet Define Segment: PDS) 및 오브젝트 정의 세그먼트(Object Define Segment: ODS)를 포함한다.
WDS는 그래픽스 플레인 내의 직사각형 영역, 즉 윈도를 규정한다. 구체적으로는 WDS는 윈도 ID(611), 윈도 위치(612) 및 윈도 사이즈(613)를 포함한다. 윈도 ID(611)는 WDS의 식별정보(ID)이다. 윈도 위치(612)는 그래픽스 플레인 내에서의 윈도의 위치, 예를 들어 윈도의 좌측 상단 각의 좌표를 나타낸다. 윈도 사이즈(613)는 윈도의 높이로 폭을 나타낸다.
PDS는 소정 종류의 컬러 ID와 색 좌표치(예를 들어, 휘도 Y, 적색 차 Cr, 청색 차 Cb, 불투명도α)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규정한다. 구체적으로는 PDS는 펠릿 ID(621)과 컬러 룩업 테이블(CLUT)(622)를 포함한다. 펠릿 ID(621)는 PDS의 ID이다. CLUT(622)는 그래픽스 오브젝트의 묘사에 이용되는 색의 일람표이다. CLUT(622)에는 256색이 등록 가능하고, 0에서 255까지의 컬러 ID가 하나씩 각 색에 할당되어 있다. 또, 컬러 ID=255는 「무색 투명」에 일정하게 할당되어 있다.
ODS는 일반적으로 복수로 하나의 그래픽스 오브젝트를 나타낸다. 「그래픽스 오브젝트」란 그래픽스 화상을 화소 코드와 컬러 ID의 사이의 대응관계로 표현하는 데이터이다. 그래픽스 오브젝트는 런렝스 부호화방식을 이용하여 압축된 후에 분할되어서 각 ODS에 분배되고 있다. 또, 각 ODS는 오브젝트 ID, 즉 그래픽스 오브젝트의 ID를 포함한다.
PCS는 동일한 데이터 엔트리에 속하는 디스플레이 세트의 상세를 나타내고, 특히, 그래픽스 오브젝트를 이용한 화면 구성을 규정한다. 그 화면 구성의 종류는 컷 인/아웃(Cut-In/Out), 페이드인/아웃(Fade-In/Out), 색 변화(Color Change), 스크롤(Scroll) 및 와이프 인/아웃(Wipe-In/Out)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PCS는 오브젝트 표시 위치(601), 크로핑 정보(602), 참조 윈도 ID(603), 참조 펠릿 ID(604) 및 참조 오브젝트 ID(605)를 포함한다. 오브젝트 표시 위치(601)는 그래픽스 오브젝트가 표시되어야 할 그래픽스 플레인 내의 위치, 예를 들어 그래픽스 오브젝트가 표시되어야 할 영역의 좌측 상단 각의 좌표를 WDS가 규정하는 윈도 내의 좌표로 나타낸다. 크로핑 정보(602)는 크로핑 처리에 의해 그래픽스 오브젝트 중에서 절취되어야 할 직사각형 형상의 부분의 범위를 나타낸다. 그 범위는 예를 들어 좌측 상단 각의 좌표, 높이 및 폭으로 규정된다. 실제로는 그 부분을 오브젝트 표시 위치(601)가 나타내는 위치에 묘사할 수 있다. 참조 윈도 ID(603), 참조 펠릿 ID(604) 및 참조 오브젝트 ID(605)는 각각 그래픽스 오브젝트의 묘사 처리에서 참조되어야 할 WDS, PDS 및 그래픽스 오브젝트의 ID를 나타낸다. 콘텐츠 공급자는 PCS 내의 이들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재생장치(102)에 화면 구성을 지시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어느 자막을 서서히 소거하면서 다음의 자막을 표시시킨다」라고 하는 시각 효과를 재생장치(102)에 실현시킬 수 있다.
≪IG 스트림의 데이터 구조≫
도 4를 더 참조하면, IG 스트림(404)은 대화 구성 세그먼트(Interactive Composition Segment: ICS), PDS 및 ODS를 포함한다. PDS와 ODS는 PG 스트림(403)에 포함되는 것과 동일한 기능 세그먼트이다. 특히, ODS가 포함하는 그래픽스 오브젝트는 버튼 및 팝업메뉴 등 대화 화면을 구성하는 GUI용 그래픽 부품을 나타낸다. ICS는 이들의 그래픽스 오브젝트를 이용한 대화 조작을 규정한다. 구체적으로는 ICS는 버튼 및 팝업메뉴 등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상태가 변화하는 그래픽스 오브젝트의 각각에 대하여 취할 수 있는 상태, 즉, 노멀, 셀렉티드 및 액티브의 각 상태를 규정한다. ICS는 버튼 정보를 더 포함한다. 버튼정보는 사용자가 버튼 등에 대해서 확정 조작을 한 때에 재생장치가 실행해야 할 커멘드를 포함한다.
≪비디오 스트림의 데이터 구조≫
도 7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701)과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702)의 픽쳐를 표시시간 순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701)은 픽쳐(710, 711, 712, …, 719)(이하, 베이스 뷰 픽쳐라고 한다)를 포함하고,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702)은 픽쳐(720, 721, 722, …, 729( (이하, 라이트 뷰 픽쳐라고 한다)를 포함한다. 각 픽쳐(710-719, 720-729)는 1 프레임 또는 1 필드를 나타내고, MPEG-2 또는 MPEG-4 AVC 등의 동화상 압축 부호화방식에 의해 압축되어 있다.
상기의 부호화방식에 의한 각 픽쳐의 압축에는 그 픽쳐의 공간방향 및 시간방향에서의 용장성(冗長性)이 이용된다. 여기서, 공간방향에서의 용장성만을 이용하는 픽쳐의 부호화를 「픽쳐 내 부호화」라고 한다. 한편, 시간방향에서의 용장성, 즉, 표시 순서가 연속하는 복수의 픽쳐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유사성을 이용하는 픽쳐의 부호화를 「픽쳐 간 예측부호화」라고 한다. 픽쳐 간 예측부호화에서는 먼저 부호화 대상의 픽쳐에 대하여 표시시간이 앞 또는 뒤인 다른 픽쳐가 참조 픽쳐로 설정된다. 다음에, 부호화 대상의 픽쳐와 그 참조 픽쳐의 사이에서 모션 벡터가 검출되고, 그것을 이용하여 모션 보상(motion compensation)이 이루어진다.또, 모션 보상 후의 픽쳐와 부호화 대상의 픽쳐의 사이의 차분치가 구해지며, 그 차분치로부터 공간방향에서의 용장성이 제거된다. 이렇게 하여 각 픽쳐의 데이터량이 압축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 뷰 픽쳐(710-719)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GOP(731, 732)로 분할되어 있다. 「GOP」는 I(Intra) 픽쳐를 선두로 하는 복수 매의 연속하는 픽쳐의 열을 말한다. 「I픽쳐」는 픽쳐 내 부호화에 의해 압축된 픽쳐를 말한다. GOP는 일반적으로 I픽쳐 외에 P(Predictive) 픽쳐와 B(Bidirectionally Predivtive) 픽쳐를 포함한다. 「P픽쳐」는 픽쳐 간 예측부호화에 의해 압축된 픽쳐로서 표시시간이 그보다 앞인 I픽쳐 또는 다른 P픽쳐가 한 장 참조 픽쳐로 이용된 것을 말한다. 「B픽쳐」는 픽쳐 간 예측부호화에 의해 압축된 픽쳐로서 표시시간이 그보다 앞 또는 뒤인 I픽쳐 또는 P픽쳐가 2매 참조 픽쳐로 이용된 것을 말한다. B픽쳐 중 다른 픽쳐에 대한 픽쳐 간 예측부호화에 의해 참조 픽쳐로 이용되는 것을 특히 「Br(reference B) 픽쳐」라고 한다.
도 7에 나타내고 있는 예에서는 각 GOP(731, 732) 내의 베이스 뷰 픽쳐가 이하의 순으로 압축된다. 제 1 GOP(731)에서는 먼저 선두의 베이스 뷰 픽쳐가 I0픽쳐(710)에 압축된다. 여기서, 하부의 숫자는 각 픽쳐에 표시시간 순으로 할당된 일련번호를 나타낸다. 다음에, 4번째의 베이스 뷰 픽쳐가 I0픽쳐(710)를 참조 픽쳐로 하여 P3픽쳐(713)에 압축된다. 여기서, 도 7에 나타내고 있는 각 화살표는 선단의 픽쳐가 후단의 픽쳐에 대한 참조 픽쳐인 것을 나타낸다. 이어서, 2, 3번째의 베이스 뷰 픽쳐가 I0픽쳐(710)와 P3픽쳐(713)를 참조 픽쳐로 하여 각각 Br1 픽쳐(711), Br2 픽쳐(712)에 압축된다. 또, 7번째의 베이스 뷰 픽쳐가 P3픽쳐(713)를 참조 픽쳐로 하여 P6픽쳐(716)에 압축된다. 이어서, 4, 5번째의 베이스 뷰 픽쳐가 P3픽쳐(713)와 P6픽쳐(716)를 참조 픽쳐로 하여 각각 Br4 픽쳐(714), Br5 픽쳐(715)에 압축된다. 마찬가지로 제 2 GOP(732)에서는 먼저 선두의 베이스 뷰 픽쳐가 I7픽쳐(717)에 압축된다. 다음에 3번째의 베이스 뷰 픽쳐가 I7픽쳐(717)를 참조 픽쳐로 하여 P9픽쳐(719)에 압축된다. 이어서, 2번째의 베이스 뷰 픽쳐가 I7픽쳐(717)와 P9픽쳐(719)를 참조 픽쳐로 하여 Br8 픽쳐(718)에 압축된다.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701)에서는 각 GOP(731, 732)가 그 선두에 I픽쳐를 반드시 포함하므로 베이스 뷰 픽쳐는 GOP 마다 복호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GOP(731)에서는 먼저 I0픽쳐(710)가 단독으로 복호 된다. 다음에, 복호 후의 I0픽쳐(710)를 이용하여 P3픽쳐(713)가 복호 된다. 이어서, 복호 후의 I0픽쳐(710)와 P3픽쳐(713)를 이용하여 Br1 픽쳐(711)과 Br2 픽쳐(712)가 복호 된다. 후속하는 픽쳐 군(714, 715, …)도 마찬가지로 복호 된다. 이렇게 하여,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701)은 단독으로 복호 가능하고, 또한 GOP 단위에서의 랜덤 액세스가 가능하다.
도 7을 더 참조하면, 라이트 뷰 픽쳐(720-729)는 픽쳐 간 예측부호화에 의해 압축되어 있다. 그러나 그 부호화방법은 베이스 뷰 픽쳐(710-719)의 부호화방법과는 달리 영상의 시간방향에서의 용장성에 더하여 좌우의 영상 간의 용장성도 이용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라이트 뷰 픽쳐(720-729)의 참조 픽쳐가 도 7에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702)으로부터 만이 아니라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701)으로부터도 선택된다. 특히 각 라이트 뷰 픽쳐(720-729)와 그 참조 픽쳐로 선택된 베이스 뷰 픽쳐는 표시시각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들 픽쳐는 3D 영상의 동일한 신의 라이트 뷰와 레프트 뷰의 쌍, 즉 시차 영상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라이트 뷰 픽쳐(720-729)는 베이스 뷰 픽쳐(710-719)와 일 대 일로 대응한다. 특히 이들 픽쳐 사이에서는 GOP 구조가 공통이다.
도 7에 나타내고 있는 예에서는 먼저 제 1 GOP(731) 내의 선두의 라이트 뷰 픽쳐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701) 내의 I0픽쳐(710)를 참조 픽쳐로 하여 P0픽쳐(720)에 압축된다. 이들 픽쳐(710, 720)는 3D 영상의 선두 프레임의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를 나타낸다. 다음에, 4번째의 라이트 뷰 픽쳐가 P0픽쳐(720)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701) 내의 P3픽쳐(713)를 참조 픽쳐로 하여 P3픽쳐(723)에 압축된다. 이어서, 2번째의 라이트 뷰 픽쳐가 P0픽쳐(720)와 P3픽쳐(723)에 더하여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701) 내의 Br1 픽쳐(711)를 참조 픽쳐로 하여 B1픽쳐(721)에 압축된다. 마찬가지로 3번째의 라이트 뷰 픽쳐가 P0픽쳐(720)와 P3픽쳐(730)에 더하여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701) 내의 Br2 픽쳐(712)를 참조 픽쳐로 하여 B2픽쳐(722)에 압축된다. 이후의 라이트 뷰 픽쳐(724-729)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그 라이트 뷰 픽쳐와 표시시각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베이스 뷰 픽쳐가 참조 픽쳐로 이용된다.
상기와 같은 좌우의 영상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동화상 압축 부호화방식으로는 MVC(Multiview Video Coding)라고 불리는 MPEG-4 AVC/H.264의 수정 규격이 알려져 있다. MVC는 ISO/IEC MPEG와 ITU-T VCEG의 공동 프로젝트인 JVT(Joint Video Team)에 의해 2008년 7월에 책정된 것이며, 복수의 시점에서 보이는 영상을 합쳐서 부호화하기 위한 규격이다. MVC에서는 영상 간 예측부호화에 영상의 시간방향에서의 유사성뿐만이 아니라 시점이 다른 영상 간의 유사성도 이용된다. 그 예측부호화에서는 각 시점에서 본 영상을 개별로 압축하는 예측부호화보다 영상의 압축률이 높다.
상기와 같이, 각 라이트 뷰 픽쳐(720-729)의 압축에는 베이스 뷰 픽쳐가 참조 픽쳐로 이용된다. 따라서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701)과는 달리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702)를 단독으로 복호 할 수 없다. 그러나 시차 영상 간의 차이는 일반적으로 적으며, 즉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사이의 상관은 높다. 따라서 라이트 뷰 픽쳐는 일반적으로 베이스 뷰 픽쳐보다 압축률이 현저하게 높고, 즉 데이터량이 현저하게 작다.
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뎁스 맵 스트림은 복수의 뎁스 맵을 포함한다. 이들 뎁스 맵은 베이스 뷰 픽쳐와 일 대 일로 대응하고, 각 베이스 뷰 픽쳐가 나타내는 1 프레임 또는 1 필드의 2D 영상에 대한 뎁스 맵을 나타낸다. 각 뎁스 맵은 베이스 뷰 픽쳐와 마찬가지로 MPEG-2 또는 MPEG-4 AVC 등의 동화상 압축 부호화방식에 의해 압축되어 있다. 특히 그 부호화방식에서는 픽쳐 간 예측부호화가 이용된다. 즉, 각 뎁스 맵이 다른 뎁스 맵을 참조 픽쳐로 이용하여 압축된다. 뎁스 맵 스트림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마찬가지로 GOP 단위로 분할되고, 각 GOP가 그 선두에 I픽쳐를 반드시 포함한다. 따라서 뎁스 맵은 GOP 마다 단독으로 복호 가능하다. 그러나 뎁스 맵 자체는 2D 영상의 각부의 깊이를 화소별로 나타내는 정보에 지나지 않으므로 뎁스 맵 스트림을 단독으로 영상의 재생에 이용할 수는 없다. 뎁스 맵 스트림의 압축에 이용되는 부호화방식은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압축에 이용되는 부호화방식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이 MVC의 포맷으로 부호화되어 있을 때 뎁스 맵 스트림도 MVC의 포맷으로 부호화되어 있다. 그 경우, 재생장치(102)는 3D 영상의 재생시에 부호화방식을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L/R모드와 뎁스 모드의 전환을 매끄럽게 실현할 수 있다.
도 8은 비디오 스트림(800)의 데이터 구조의 상세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데이터 구조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에서 실질적으로 공통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비디오 스트림(800)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비디오 시퀀스 #1, #2, …로 구성되어 있다. 「비디오 시퀀스」는 하나의 GOP(810)를 구성하는 픽쳐 군(811, 812, 813, 814, …)에 개별적으로 헤더 등의 부가정보를 조합한 것이다. 이 부가정보와 각 픽쳐의 조합을 「비디오 액세스유닛(VAU)」이라고 한다. 즉, 각 GOP(810, 820)에서는 픽쳐 마다 하나의 VAU #1, #2, …가 구성되어 있다. 각 픽쳐는 VAU 단위로 비디오 스트림(800)에서 판독 가능하다.
또, 도 8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 내에서 각 비디오 시퀀스의 선단에 위치하는 VAU #1 (831)의 구조를 나타낸다. VAU #1 (831)은 액세스유닛(AU) 식별코드(831A), 시퀀스 헤더(831B), 픽쳐 헤더(831C), 보충데이터(831D) 및 압축 픽쳐 데이터(831E)를 포함한다. 2번째 이후의 VAU #2는 시퀀스 헤더(831B)를 포함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는 VAU #1 (831)과 동일한 구조이다. AU 식별코드(831A)는 VAU #1 (831)의 선단을 나타내는 소정의 부호이다. 시퀀스 헤더(831B)는 GOP 헤더라고도 하며, VAU #1 (831)을 포함하는 비디오 시퀀스 #1의 식별번호를 포함한다. 또, 시퀀스 헤더(831B)는 GOP(810)의 전체에서 공통되는 정보, 예를 들어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어스펙트 비 및 비트 레이트를 포함한다. 픽쳐 헤더(831C)는 고유의 식별번호, 비디오 시퀀스 #1의 식별번호 및 픽쳐의 복호에 필요한 정보, 예를 들어 부호화방식의 종류를 나타낸다. 보충데이터(831D)는 픽쳐의 복호 이외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 예를 들어, 클로즈드 캡션을 나타내는 문자정보, GOP 구조에 관한 정보 및 타임코드정보를 포함한다. 특히 보충데이터(831D)는 복호스위치정보를 포함한다(상세는《보충》참조). 압축 픽쳐 데이터(831E)는 베이스 뷰 픽쳐를 포함한다. VAU #1 (831)은 그 외에 필요에 따라서 패딩 데이터(831F), 시퀀스 종단(終端) 코드(831G) 및 스트림 종단코드(831H)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해도 좋다. 패딩 데이터(831F)는 더미 데이터이다. 그 사이즈를 압축 픽쳐 데이터(831E)의 사이즈에 맞춰서 조절함으로써 VAU #1 (831)의 비트레이트를 소정치로 유지할 수 있다. 시퀀스 종단코드(831G)는 VAU #1 (831)이 비디오 시퀀스 #1의 종단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스트림 종단코드(831H)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800)의 종단을 나타낸다.
또, 도 8은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 내에서 각 비디오 시퀀스의 선단에 위치하는 VAU #1 (832)의 구조도 나타낸다. VAU #1 (832)은 서브 시퀀스 헤더(832B), 픽쳐 헤더(832C), 보충데이터(832D) 및 압축 픽쳐 데이터(832E)를 포함한다. 2번째 이후의 VAU #2는 서브 시퀀스 헤더(832B)를 포함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는 VAU #1 (832)과 동일한 구조이다. 서브 시퀀스 헤더(832B)는 VAU #1 (832)를 포함하는 비디오 시퀀스 #1의 식별번호를 포함한다. 또, 서브 시퀀스 헤더(832B)는 GOP(810)의 전체에서 공통되는 정보, 예를 들어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어스펙트 비 및 비트레이트를 포함한다. 특히, 이들 값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의 대응하는 GOP에 대하여 설정된 값, 즉 VAU #1 (831)의 시퀀스 헤더(831B)가 나타내는 값과 같다. 픽쳐 헤더(832C)는 고유의 식별번호, 비디오 시퀀스 #1의 식별번호 및 픽쳐의 복호에 필요한 정보, 예를 들어 부호화방식의 종류를 나타낸다. 보충데이터(832D)는 오프셋 메타데이터만을 포함한다(상세는 후술한다). 여기서, 보충데이터의 종류에는 오프셋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것(832D) 외에도 픽쳐의 복호 이외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 예를 들어 클로즈드 캡션을 나타내는 문자정보, GOP 구조에 관한 정보, 타임코드정보 및 복호스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있다. 따라서 VAU #1 (832)은 보충데이터(832D)에 더하여 다른 보충데이터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압축 픽쳐 데이터(832E)는 디펜던트 뷰 픽쳐를 포함한다. VAU #1 (832)은 그 외에 필요에 따라서 패딩 데이터(832F), 시퀀스 종단코드(832G) 및 스트림 종단코드(832H)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해도 좋다. 패딩 데이터(832F)는 더미 데이터이다. 그 사이즈를 압축 픽쳐 데이터(832E)의 사이즈에 맞춰서 조절함으로써 VAU #1 (832)의 비트레이트를 소정치로 유지할 수 있다. 시퀀스 종단코드(832G)는 VAU #1 (832)가 비디오 시퀀스 #1의 종단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스트림 종단코드(832H)는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800)의 종단을 나타낸다.
VAU의 각부의 구체적인 내용은 비디오 스트림(800)의 부호화방식마다 다르다. 예를 들어 그 부호화방식이 MPEG-4 AVC일 때 도 8에 나타내고 있는 VAU의 각부는 하나의 NAL(Network Abstraction Layer) 유닛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AU 식별코드(831A), 시퀀스 헤더(831B), 픽쳐 헤더(831C), 보충데이터(831D), 압축 픽쳐 데이터(831E), 패딩 데이터(831F), 시퀀스 종단코드(831G) 및 스트림 종단코드(831H)는 각각 AU 딜리미터(Access Unit Delimiter), SPS(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PPS(픽쳐 파라미터 세트), SEI(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 뷰컴퍼넌트, 필러 데이터(Filler Data), 엔드 오브 시퀀스(End of Sequence) 및 엔드 오브 스트림(End of Stream)에 상당한다. 특히, VAU #1 (832)에서는 오프셋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보충데이터(832D)는 하나의 NAL 유닛으로 구성되며, 그 NAL 유닛은 오프셋 메타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9는 PES 패킷 열(902)로의 비디오 스트림(901)의 저장방법의 상세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저장방법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에서 공통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제의 비디오 스트림(901)에서는 픽쳐가 표시시간 순이 아니라 부호화 순으로 다중화되어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의 VAU에는 도 9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선두에서부터 순서대로 I0픽쳐(910), P3픽쳐(911), B1픽쳐(912), B2픽쳐(913), …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하부의 숫자는 각 픽쳐에 표시시간 순으로 할당된 일련번호를 나타낸다. P3픽쳐(911)의 부호화에는 I0픽쳐(910)가 참조 픽쳐로 이용되고, B1픽쳐(912)와 B2픽쳐(913)의 각 부호화에는 I0픽쳐(910)와 P3픽쳐(911)가 참조 픽쳐로 이용된다. 이들 VAU가 하나씩 다른 PES 패킷(920, 921, 922, 923, …)에 저장된다. 각 PES 패킷(920, …)은 PES 페이로드(920P)와 PES 헤더(920H)를 포함한다. VAU는 PES 페이로드(920P)에 저장된다. 한편, PES 헤더(920H)는 동일한 PES 패킷(920)의 PES 페이로드(920P)에 저장된 픽쳐의 표시시각, 즉 PTS(Presentation Time-Stamp) 및 그 픽쳐의 복호 시각, 즉 DTS(Decoding Time-Stamp)를 포함한다.
도 9에 나타내고 있는 비디오 스트림(901)과 마찬가지로, 도 3, 4에 나타내고 있는 다른 엘리멘터리 스트림도 일련의 PES 패킷의 각 PES 페이로드에 저장된다. 또 각 PES 패킷의 PES 헤더는 그 PES 패킷의 PES 페이로드에 저장된 데이터의 PTS를 포함한다.
도 10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1001)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1002)의 각 픽쳐에 할당된 PTS와 DTS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양 비디오 스트림(1001, 1002)의 사이에서는 3D 영상의 동일한 프레임 또는 필드를 나타내는 한 쌍의 픽쳐에 대하여 동일한 PTS 및 동일한 DTS가 할당되어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의 선두의 프레임 또는 필드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1001)의 I1픽쳐(1011)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1002)의 P1픽쳐(1021)의 조합으로 재현된다. 따라서 이들 픽쳐의 쌍(1011, 1021)에서는 PTS가 동일하고, 또한 DTS가 동일하다. 여기서, 하부의 숫자는 각 픽쳐에 DTS의 순으로 할당된 일련번호를 나타낸다. 또,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1002)이 뎁스 맵 스트림일 때 P1픽쳐(1021)는 I1픽쳐(1011)에 대한 뎁스 맵을 나타내는 I픽쳐로 치환된다. 마찬가지로, 각 비디오 스트림(1001, 1002)의 2번째의 픽쳐, 즉, P2픽쳐(1012, 1022)의 쌍에서는 PTS가 동일하고, 또한 DTS가 동일하다. 각 비디오 스트림(1001, 1002)의 3번째의 픽쳐, 즉 Br3픽쳐(1013)와 B3픽쳐(1023)의 쌍에서는 PTS와 DTS가 모두 공통이다. Br4픽쳐(1014)와 B4픽쳐(1024)의 쌍에서도 동일하다.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1001)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1002)의 사이에서 PTS가 동일하고, 또한 DTS가 동일한 픽쳐를 포함하는 VAU의 쌍을 「3D VAU」라고 한다. 도 10에 나타내고 있는 PTS와 DTS의 할당에 의해, 3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 내의 디코더에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1001)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1002)를 3D VAU 단위로 병렬로 처리하도록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3D 영상의 동일한 프레임 또는 필드를 나타내는 한 쌍의 픽쳐가 디코더에 의해 확실히 병렬로 처리된다. 또, 각 GOP의 선두의 3D VAU에서는 시퀀스 헤더가 동일한 해상도, 동일한 프레임 레이트 및 동일한 어스펙트 비를 포함한다. 특히, 그 프레임 레이트는 2D 재생모드에서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1001)이 단독으로 복호 될 때의 값과 같다.
[오프셋 메타데이터]
도 11은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1100)이 포함하는 오프셋 메타데이터(1110)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오프셋 메타데이터(1110)는 각 비디오 시퀀스(즉, 각 GOP)의 선단에 위치하는 VAU #1 내의 보충데이터(1101)에 저장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오프셋 메타데이터(1110)는 PTS(1111), 오프셋 시퀀스 ID(1112) 및 오프셋 시퀀스(1113)를 포함한다. PTS(1111)는 VAU #1 내의 압축 픽쳐 데이터가 나타내는 프레임, 즉, 각 GOP의 최초의 프레임의 PTS와 같다.
오프셋 시퀀스 ID(1112)는 오프셋 시퀀스(1113)에 차례로 할당된 일련번호 0, 1, 2, …, M이다. 문자 M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그 정수는 오프셋 시퀀스(1113)의 총 수와 같다. 비디오 플레인에 합성되어야 할 그래픽스 플레인및 부 영상 플레인에는 오프셋 시퀀스 ID(1112)가 할당된다. 이에 의해 각 플레인 데이터에 오프셋 시퀀스(1113)가 대응되어 있다. 여기서, 「비디오 플레인」이란 비디오 시퀀스가 포함하는 픽쳐에서 생성되는 플레인 데이터, 즉 화소 데이터의 이차원 배열을 말한다. 그 배열의 사이즈는 영상프레임의 해상도와 같다. 1세트의 화소 데이터는 색 좌표치(RGB치 또는 YCrCb치)와 α값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각 오프셋 시퀀스(1113)는 프레임 번호(1121)와 오프셋 정보(1122, 1123)의 대응 표이다. 프레임 번호(1121)는 하나의 비디오 시퀀스(예를 들어 비디오 시퀀스 #1)가 나타내는 프레임 #1, #2, …, #N에 표시 순으로 할당된 일련번호 1, 2, …, N이다. 정수 N은 1 이상이며, 그 비디오 시퀀스가 포함하는 프레임의 총수를 나타낸다. 각 오프셋 정보(1122, 1123)는 하나의 그래픽스 플레인에 대한 오프셋 제어를 규정하는 제어정보이다.
「오프셋 제어」란 그래픽스 플레인(또는 부 영상 플레인)에 수평좌표의 좌 방향과 우 방향의 각 오프셋을 부여하여 베이스 뷰 비디오 플레인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플레인의 각각에 합성하는 처리를 말한다. 「그래픽스 플레인에 수평방향의 오프셋을 부여한다」는 것은 그 그래픽스 플레인 내에서 각 화소 데이터를 수평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에 의해 하나의 그래픽스 플레인으로부터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를 나타내는 그래픽스 플레인의 쌍이 생성된다. 그 쌍에서 재생되는 2D 그래픽스 영상의 각부의 표시위치는 원래의 표시위치에서 좌우로 어긋나 있다. 이들 변위가 시청자에게 양안 시차로 착각됨으로써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쌍이 그 시청자에게는 하나의 3D 그래픽스 영상으로 보인다. 부 영상 플레인이 나타내는 영상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오프셋은 방향과 크기로 정해진다. 따라서 도 11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각 오프셋 정보는 오프셋 방향(1122)과 오프셋 값(1123)을 포함한다. 오프셋 방향(1122)은 3D 그래픽스 영상의 깊이가 화면보다 앞이나 안쪽인지를 나타낸다. 오프셋 방향(1122)의 값에 의해 원래의 2D 그래픽스 영상의 표시위치에 대한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각 표시위치의 방향이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정해진다. 오프셋 값(1123)은 원래의 2D 그래픽스 영상의 표시위치와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각 표시위치의 사이의 거리를 수평방향의 화소 수로 나타낸다.
도 12 (a), (b)는 PG 플레인(1210)과 IG 플레인(1220)에 대한 오프셋 제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들 오프셋 제어에서는 레프트 뷰 비디오 플레인(1201)과 라이트 뷰 비디오 플레인(1202)의 각각에 2종류의 그래픽스 플레인(1210, 1220)이 합성된다. 여기서, 「레프트 뷰/라이트 뷰 비디오 플레인」이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조합으로 생성되는 레프트 뷰/라이트 뷰를 나타내는 비디오 플레인을 말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PG 플레인(1210)이 나타내는 자막(1211)을 화면보다 앞에 표시하고, IG 플레인(1220)이 나타내는 버튼(1221)을 화면보다 안쪽에 표시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도 12 (a)를 참조하면, PG 플레인(1210)에는 우 방향의 오프셋이 부여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PG 플레인(1210) 내의 각 화소 데이터의 위치가 레프트 뷰 비디오 플레인(1201) 내의 대응하는 화소 데이터의 위치에서 오프셋 값과 같은 화소 수(SFP)만큼 오른쪽으로(가상적으로) 이동한다. 다음에, 레프트 뷰 비디오 플레인(1201)의 범위보다 우측에(가상적으로) 돌출해 있는 PG 플레인(1210)의 우단의 띠 형상 영역(1212)를 「절취한다」. 즉, 그 영역(1212)의 화소 데이터 군을 파기한다. 한편, PG 플레인(1210)의 좌단에 투명한 띠 형상 영역(1213)을 추가한다. 그 띠 형상 영역(1213)의 폭은 우단의 띠 형상 영역(1212)의 폭, 즉 오프셋 값(SFP)과 같다. 이렇게 하여 PG 플레인(1210)에서 레프트 뷰를 나타내는 PG 플레인이 생성되고, 레프트 뷰 비디오 플레인(1201)에 합성된다. 특히, 그 레프트 뷰 PG 플레인에서는 자막(1211)의 표시위치가 원래의 표시위치보다 오른쪽으로 오프셋 값(SFP)만큼 어긋나 있다.
한편, IG 플레인(1220)에는 좌 방향의 오프셋이 부여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IG 플레인(1220) 내의 각 화소 데이터의 위치가 레프트 뷰 비디오 플레인(1201) 내의 대응하는 화소 데이터의 위치에서 오프셋 값과 같은 화소 수(SFI)만큼 왼쪽으로(가상적으로) 이동한다. 다음에, 레프트 뷰 비디오 플레인(1210)의 범위보다 좌측으로(가상적으로) 돌출해 있는 IG 플레인(1220)의 좌단의 띠 형상 영역(1222)를 절취한다. 한편, IG 플레인(1220)의 우단에 투명한 띠 형상 영역(1223)을 추가한다. 그 띠 형상 영역(1223)의 폭은 좌단의 띠 형상 영역(1222)의 폭, 즉 오프셋 값(SFI)과 같다. 이렇게 하여 IG 플레인(1220)에서 레프트 뷰를 나타내는 IG 플레인이 생성되고, 레프트 뷰 비디오 플레인(1201)에 합성된다. 특히, 그 레프트 뷰 IG 플레인에서는 버튼(1221)의 표시위치가 원래의 표시위치보다 왼쪽으로 오프셋 값(SFI)만큼 어긋나 있다.
도 12 (b)를 참조하면, PG 플레인(1210)에는 좌 방향의 오프셋이 부여되고, IG 플레인(1220)에는 우 방향의 오프셋이 부여된다. 즉, 상기의 조작을 PG 플레인(1210)과 IG 플레인(1220)에서 반대로 하면 좋다. 그 결과, 각 플레인 데이터(1210, 1220)로부터 라이트 뷰를 나타내는 플레인 데이터가 생성되고, 라이트 뷰 비디오 플레인(1220)에 합성된다. 특히, 라이트 뷰 PG 플레인에서는 자막(1211)의 표시위치가 원래의 표시위치보다 왼쪽으로 오프셋 값(SFP)만큼 어긋나 있다. 한편, 라이트 뷰 IG 플레인에서는 버튼(1221)의 표시위치가 원래의 표시위치보다 오른쪽으로 오프셋 값(SFI)만큼 어긋나 있다.
도 12 (c)는 (a), (b)에 나타내고 있는 그래픽스 플레인이 나타내는 2D 그래픽스 영상에서 시청자(1230)에게 지각되는 3D 그래픽스 영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들 그래픽스 플레인이 나타내는 2D 그래픽스 영상이 화면(1240)에 교대로 표시될 때 시청자(1230)에게는 도 12 (c)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자막(1231)은 화면(1240)보다 앞으로 보이고, 버튼(1232)은 화면(1240)보다 안쪽으로 보인다. 각 3D 그래픽스 영상(1231, 1232)과 화면(1240) 사이의 거리는 오프셋 값(SFP, SFI)에 의해 조절 가능하다.
도 13 (a), (b)는 오프셋 시퀀스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그래프에서는 오프셋 방향이 화면보다 앞을 나타낼 때 오프셋 값이 정(正)이다. 도 13 (a)는 도 13 (b) 중 최초의 GOP, GOP1의 표시기간에서의 그래프를 확대한 것이다. 도 13 (a)을 참조하면, 계단형상의 그래프(1301)는 오프셋 시퀀스 ID=0의 오프셋 시퀀스, 즉 오프셋 시퀀스[0]의 오프셋 값을 나타낸다. 한편, 수평인 그래프(1302)는 오프셋 시퀀스 ID=1의 오프셋 시퀀스, 즉 오프셋 시퀀스[1]의 오프셋 값을 나타낸다. 오프셋 시퀀스[0]의 오프셋 값(1301)은 최초의 GOP의 표시기간 GOP1에서는 프레임 FR1, FR2, FR3, …, FR15, …의 순으로 계단형상으로 증가하고 있다. 도 13 (b)를 참조하면, 그 오프셋 값(1301)의 계단형상의 증가는 2번째 이후의 각 GOP의 표시기간 GOP2, GOP3, …, GOP40, …에서도 동일하게 계속된다. 1프레임당의 증가량이 충분히 작으므로 도 13 (b)에서는 오프셋 값(1301)이 선형으로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한편, 오프셋 시퀀스[1]의 오프셋 값(1302)은 최초의 GOP의 표시기간 GOP1에서는 부(負)의 일정치로 유지되고 있다. 도 13 (b)를 참조하면, 그 오프셋 값(1302)은 40번째의 GOP의 표시기간 GOP40의 종료시에 정의 값으로 급증한다. 이와 같이 오프셋 값은 불연속으로 변화해도 좋다.
도 13 (c)는 도 13 (a), (b)에 나타내고 있는 오프셋 시퀀스에 따라서 재현되는 3D 그래픽스 영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자막의 3D 영상(1303)이 오프셋 시퀀스[0]에 따라서 표시될 때 그 3D 영상(1303)은 화면(1304)의 바로 앞에서 서서히 튀어나오는 것처럼 보인다. 한편, 버튼의 3D 영상(1305)이 오프셋 시퀀스[1]에 따라서 표시될 때 그 3D 영상(1305)은 화면(1304)보다 안쪽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화면(1304)보다 앞으로 튀어나오는 것처럼 보인다. 이와 같이, 프레임 단위에서의 오프셋 값의 증감의 패턴을 오프셋 시퀀스마다 다양하게 변화시킨다. 이에 의해 복수의 3D 그래픽스 영상에 대하여 개개의 깊이의 변화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AV 스트림 파일에 포함되는 그 외의 TS 패킷≫
AV 스트림 파일에 포함되는 TS 패킷의 종류에는 도 3에 나타내고 있는 엘리멘터리 스트림으로부터 변환된 것 이외에도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PMT(Program Map Table) 및 PCR(Program Clock Reference)가 있다. PCR, PMT 및 PAT는 유럽 디지털 방송규격으로 정해진 것이며, 본래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퍼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규정하는 역할을 갖는다. PCR, PMT 및 PAT를 이용함으로써 AV 스트림 파일도 그 퍼셜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동일하게 규정된다. 구체적으로는 PAT는 동일한 AV 스트림 파일에 포함되는 PMT의 PID를 나타낸다. PAT 자신의 PID는 0이다. PMT는 동일한 AV 스트림 파일에 포함되는 영상·음성·자막 등을 나타내는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PID와 그 속성정보를 포함한다. 또, PMT는 그 AV 스트림 파일에 관한 각종의 디스크립터(기술자라고도 한다)를 포함한다. 디스크립터에는 특히, 그 AV 스트림 파일의 카피의 허가/금지를 나타내는 카피 컨트롤 정보가 포함된다. PCR는 자신에게 할당된 ATS에 대응시켜야 할 STC(System Time Clock)의 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STC」는 재생장치(102) 내의 디코더에 의해 PTS 및 DTS의 기준으로 이용되는 클록이다. 그 디코더는 PCR를 이용하여 ATC에 STC를 동기시킨다.
도 14는 PMT(1410)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PMT(1410)는 PMT 헤더(1401), 디스크립터(1402) 및 스트림 정보(1403)를 포함한다. PMT 헤더(1401)는 PMT(1410)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길이 등을 나타낸다. 각 디스크립터(1402)는 PMT(1410)를 포함하는 AV 스트림 파일의 전체에 관한 디스크립터이다. 앞에서 설명한 카피 컨트롤 정보는 디스크립터(1402)의 하나에 포함된다. 스트림 정보(1403)는 AV 스트림 파일에 포함되는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에 관한 정보이며, 하나씩 다른 엘리멘터리 스트림에 할당되어 있다. 각 스트림 정보(1403)는 스트림 타입(1431), PID(1432) 및 스트림 디스크립터(1433)를 포함한다. 스트림 타입(1431)은 그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압축에 이용된 코덱의 식별정보 등을 포함한다. PID(1432)는 그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PID를 나타낸다. 스트림 디스크립터(1433)는 그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속성정보,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이트 및 어스펙트 비를 포함한다.
PCR, PMT 및 PAT를 이용함으로써 재생장치(102) 내의 디코더에 AV 스트림 파일을 유럽 디지털방송 규격에 준거한 퍼셜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마찬가지로 처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BD-ROM 디스크(101)용의 재생장치와 유럽 디지털방송 규격에 준거한 단말장치의 사이의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의 인터리브 배치≫
3D 영상의 심리스 재생에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BD-ROM 디스크(101) 상에서의 물리적인 배치가 중요하다. 여기서, 「심리스 재생」이란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로부터 영상과 음성을 중단되는 일 없이 매끄럽게 재생하는 것을 말한다.
도 15는 도 3에 나타내고 있는 메인 TS와 제 1 서브 TS 또는 제 2 서브 TS 중 어느 하나와의 BD-ROM 디스크(101) 상에서의 물리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각 TS는 복수의 데이터블록 D[n], B[n](n=0, 1, 2, 3, …)으로 분할되어서 BD-ROM 디스크(101) 상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데이터블록」이란 BD-ROM 디스크(101) 상의 연속영역, 즉 물리적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섹터에 기록된 일련의 데이터를 말한다. BD-ROM 디스크(101)에서는 물리어드레스가 논리어드레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각 데이터블록 내에서는 LBN도 연속하고 있다. 따라서 BD-ROM 드라이브(121)는 하나의 데이터블록을 광 픽업에 시크를 실행하게 하는 일 없이 연속해서 판독할 수 있다. 이하, 메인 TS에 속하는 데이터블록 B[n]을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이라고 하고, 서브 TS에 속하는 데이터블록 D[n]을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이라고 한다. 특히, 제 1 서브 TS에 속하는 데이터블록을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이라고 하고, 제 2 서브 TS에 속하는 데이터블록을 「뎁스 맵 데이터블록」이라고 한다.
각 데이터블록 B[n], D[n]은 BD-ROM 디스크(101)의 파일시스템에서는 파일 2D 또는 파일 DEP 내의 하나의 익스텐트로 액세스 가능하다. 즉, 각 데이터블록의 논리어드레스는 파일 2D 또는 파일 DEP의 파일 엔트리로부터 알 수 있다(상세는《보충》참조).
도 15에 나타내고 있는 예에서는 파일 2D(01000.m2ts)(241)의 파일 엔트리(1510)가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의 각 사이즈와 그 선단의 LBN을 나타낸다. 따라서 각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은 파일 2D(241)의 익스텐트 EXT2D[n]으로 액세스 가능하다. 이하, 파일 2D(241)에 속하는 익스텐트 EXT2D[n]을 「2D 익스텐트」라고 한다. 한편, 파일 DEP(02000.m2ts)(242)의 파일 엔트리(1520)가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의 각 사이즈와 그 선단의 LBN을 나타낸다. 따라서 각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은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이고, 제 1 파일 DEP(242)의 익스텐트 EXT2[n]으로 액세스 가능하다. 이하, 제 1 파일 DEP(242)에 속하는 익스텐트 EXT2[n]을 「라이트 뷰 익스텐트」라고 한다.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이 뎁스 맵 데이터 블록인 경우도 마찬가지로 각 뎁스 맵 블록은 제 2 파일 DEP(03000.m2ts)(243)의 익스텐트로 액세스 가능하다. 이하, 제 2 파일 DEP(243)에 속하는 익스텐트를 「뎁스 맵 익스텐트」라고 한다. 또, 라이트 뷰 익스텐트와 뎁스 맵 익스텐트와 같이 어느 파일 DEP에 속하는 익스텐트를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라고 총칭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데이터블록 군은 BD-ROM 디스크(101) 상의 트랙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기록되고 있다. 또,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은 하나씩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블록 군의 배치를 「인터리브 배치」라고 한다. 특히, 인터리브 배치로 기록된 일련의 데이터블록 군을 「익스텐트 블록」이라고 한다. 도 15에는 3개의 익스텐트 블록(1501, 1502, 1503)이 나타나 있다. 제 1 익스텐트 블록(1501)과 제 2 익스텐트 블록(1502)과 같이 익스텐트 블록의 사이는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의 기록영역(NAV)에 의해 분리된다. 또, BD-ROM 디스크(101)가 다층 디스크인 경우, 즉 기록 층을 복수 포함하는 경우, 제 2 익스텐트 블록(1502)과 제 3 익스텐트 블록(1503)과 같이 익스텐트 블록의 사이는 기록 층간의 경계(LB)에 의해서도 분리된다. 이렇게 하여 일련의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익스텐트 블록으로 분할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 경우, 재생장치(102)가 그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로부터 영상을 심리스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각 익스텐트 블록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심리스로 접속해야 한다. 이하, 이를 위해 재생장치(102)가 필요로 하는 처리를 「익스텐트 블록간의 심리스한 접속」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익스텐트 블록(1501-1503)에서는 각각 2종류의 데이터블록 D[n], B[n]의 수가 동일하다. 또, (n+1)번째의 인접하는 데이터블록의 쌍 D[n], B[n]에서는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하다. 이하, 이와 같은 데이터블록의 쌍을 「익스텐트 페어」이라고 한다. 여기서,「ATC(Arrival Time Clock)」는 ATS의 기준으로 되어야 할 클록을 의미한다. 「익스텐트 ATC 시간」은 하나의 데이터블록 내의 소스 패킷에 부여된 ATS의 범위의 크기, 즉, 그 데이터블록의 선두의 소스 패킷과 다음의 데이터블록의 선두의 소스 패킷과의 사이에서의 ATS의 차를 나타낸다. 그 차는 재생장치(102)가 그 데이터블록 내의 모든 소스 패킷을 리드 버퍼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ATC의 값으로 나타낸 것과 같다. 「리드 버퍼」는 재생장치(102) 내의 버퍼 메모리이며, BD-ROM 디스크(101)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블록을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보낼 때까지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리드 버퍼의 상세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 15에 나타내고 있는 예에서는 3개의 익스텐트 블록(1501-1503)이 서로 심리스로 접속되므로 각 익스텐트 페어 D[n], B[n](n=0, 1, 2, …)로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하다.
각 익스텐트 페어 D[n], B[n]에서는 선두에 위치하는 VAU는 동일한 3D VAU에 속하고, 특히 동일한 3D 영상을 나타내는 GOP의 선두의 픽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5에서는 각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D[n]의 선단은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P픽쳐를 포함하고, 선두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의 선단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의 I픽쳐를 포함한다. 그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P픽쳐는 그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의 I픽쳐가 나타내는 2D 영상을 레프트 뷰로 할 때의 라이트 뷰를 나타낸다. 특히, 그 P픽쳐는 도 7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그 I픽쳐를 참조 픽쳐로 압축되어 있다. 따라서 3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102)는 어느 익스텐트 페어 D[n], B[n]으로부터도 3D 영상의 재생을 개시할 수 있다. 즉, 인터럽트 재생(interrupt playback) 등 비디오 스트림의 랜덤 액세스를 필요로 하는 처리가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인터리브 배치에서는 각 익스텐트 페어 D[n], B[n] 중에서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이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보다 앞에 배치된다. 이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이 일반적으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보다 데이터량이 작은, 즉 비트 레이트가 낮은 것에 기인하다. 예를 들어, 도 15에서는 (n+1)번째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D[n]에 포함되는 픽쳐는 도 7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n+1)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에 포함되는 픽쳐를 참조 픽쳐로 압축되어 있다. 따라서 그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D[n]의 사이즈 SEXT2[n]은 일반적으로 그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의 사이즈 SEXT1[n] 이하이다: SEXT2[n]≤SEXT1[n]. 한편, 뎁스 맵의 화소 당의 데이터량, 즉 깊이치의 비트 수는 일반적으로 베이스 뷰 픽쳐의 화소 당의 데이터량, 즉 색 좌표치와 α값(불투명도)의 비트 수의 합보다 작다. 또, 도 3 (a), (c)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메인 TS는 제 2 서브 TS와는 달리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 외에도 프라이머리 오디오 스트림 등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포함한다. 따라서 뎁스 맵 데이터블록의 사이즈 SEXT3[n]은 일반적으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의 사이즈 SEXT1[n]이하이다: SEXT3[n]≤SEXT1[n].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를 데이터블록으로 분할하는 의의]
재생장치(102)는 BD-ROM 디스크(101)에서 3D 영상을 심리스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메인 TS와 서브 TS를 병렬로 처리해야 한다. 그러나 그 처리에 이용 가능한 리드 버퍼의 용량은 일반적으로 한정되어 있다. 특히, BD-ROM 디스크(101)로부터 리드 버퍼에 연속해서 판독할 수 있는 데이터량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재생장치(102)는 메인 TS와 서브 TS를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한 부분의 쌍으로 분할하여 판독해야 한다.
도 16 (a)는 어느 BD-ROM 디스크 상에 개별로 연속해서 기록된 메인 TS(1601)과 서브 TS(1602)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재생장치(102)가 이들의 메인 TS(1601)과 서브 TS(1602)를 병렬로 처리할 때 도 16 (a)에 실선의 화살표 (1)-(4)로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BD-ROM 드라이브(121)는 메인 TS(1601)과 서브 TS(1602)를 교대로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한 부분씩 판독한다. 그때 BD-ROM 드라이브(121)는 도 16 (a)에 점선의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판독처리의 도중에 BD-ROM 디스크 상의 판독대상 영역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예를 들어 화살표 (1)이 나타내는 메인 TS(1601)의 선단 부분이 판독된 때 BD-ROM 드라이브(121)는 광 픽업에 의한 판독동작을 일단 정지하고, BD-ROM 디스크의 회전 속도를 올린다. 이에 의해 화살표 (2)가 나타내는 서브 TS(1602)의 선단 부분이 기록된 BD-ROM 디스크 상의 섹터를 신속하게 광 픽업의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광 픽업의 판독동작을 일단 정지시키고, 그 사이에 다음의 판독대상 영역 상에 광 픽업을 위치하게 하기 위한 조작을 「점프」라고 한다. 도 16 (a)에 나타내고 있는 점선의 화살표는 판독처리의 도중에 필요한 각 점프의 범위를 나타낸다. 각 점프의 기간 중 광 픽업에 의한 판독처리는 정지하고, 디코더에 의한 복호처리만이 진행한다. 도 16 (a)에 나타내고 있는 예에서는 점프가 과대하므로 판독처리를 복호처리 시간에 늦지 않도록 하기가 어렵다. 그 결과, 심리스 재생을 확실하게 지속하기가 어렵다.
도 16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BD-ROM 디스크(101) 상에 기록된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0], D[1], D[2], …와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0], B[1], B[2], …의 인터리브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 (b)를 참조하면, 메인 TS와 서브 TS는 각각 복수의 데이터블록으로 분할되어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그 경우, 재생장치(102)는 3D 영상의 재생시에 도 16 (b)에 화살표 (1)-(4)로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데이터블록 D[0], B[0], D[1], B[1], …을 선두에서부터 차례로 판독한다. 그것만으로 재생장치(102)는 메인 TS와 서브 TS를 교대로 판독하는 것을 원활하게 실현할 수 있다. 특히, 그 판독처리에서는 점프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3D 영상의 심리스 재생이 확실하게 지속 가능하다.
[인접하는 데이터블록 간에 익스텐트 ATC 시간을 일치시키는 의의]
도 16 (c)는 인터리브 배치로 기록된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군 D[n]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군 B[n]의 각 익스텐트 ATC 시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n=0, 1, 2). 도 16 (c)를 참조하면, 각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과 그 직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의 쌍에서는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하다. 예를 들어 선두의 데이터블록의 쌍 D[0], B[0]에서는 익스텐트 ATC 시간이 모두 1초로 동일하다. 따라서 각 데이터블록 D[0], B[0]이 재생장치(102) 내의 리드 버퍼에 판독된 때 그 중의 모든 TS 패킷이 동일한 1초간에 리드 버퍼에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보내진다. 마찬가지로, 2번째의 데이터블록의 쌍 D[1], B[1]에서는 익스텐트 ATC 시간이 모두 0.7초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0.7초간에 각 데이터블록 내의 모든 TS 패킷이 리드 버퍼에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보내진다.
도 16 (d)는 인터리브 배치로 기록된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군 D[n]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군 B[n]의 각 익스텐트 ATC 시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 (d)을 참조하면 모든 데이터블록 D[n], B[n]에서 익스텐트 ATC 시간이 1초로 동일하다. 따라서 각 데이터블록 D[n], B[n]이 재생장치(102) 내의 리드 버퍼에 판독된 때 어느 데이터블록에서도 동일한 1초간에 모든 TS 패킷이 리드 버퍼에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보내진다.
상기와 같이,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은 일반적으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보다 압축률이 높다. 따라서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복호처리의 속도는 일반적으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복호처리의 속도보다 낮다. 한편,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할 때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은 일반적으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보다 데이터량이 작다. 따라서 도 16 (c), (d)와 같이, 인접하는 데이터블록 간에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할 때 복호 대상의 데이터가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공급되는 속도는 그 디코더의 처리속도와 균형을 유지하기 쉽다. 즉, 시스템 타깃 디코더는 특별히 인터럽트 재생에서도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복호처리와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복호처리를 용이하게 동기 시킬 수 있다.
<익스텐트 ATC 시간을 일치시키는 방법>
도 17은 인접하는 데이터블록 간에 익스텐트 ATC 시간을 일치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먼저,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에 저장되는 소스 패킷(이하, SP1라고 한다)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에 저장되는 소스 패킷(이하, SP2라고 한다)에는 동일한 ATC 시간 축으로 ATS가 부여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직사각형(1710, 1720)은 각각 SP1#p(p=0, 1, …, k, k+1, …, i, i+1)과 SP2#q(q=0, 1, …, m, m+1, …, j, j+1)를 나타낸다. 이들 직사각형(1710, 1720)은 ATC의 시간 축 방향으로 각 소스 패킷의 ATS의 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각 직사각형(1710, 1720)의 선두의 위치 A1 (p), A2 (q)는 그 소스 패킷의 ATS의 값을 나타낸다. 각 직사각형(1710, 1720)의 길이(AT1, AT2)는 3D 재생장치가 1개의 소스 패킷을 리드 버퍼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전송하는데 요하는 시간을 나타낸다.
SP1#0의 ATS A1 (0)로부터 익스텐트 ATC 시간 TEXT[n]이 경과 할 때까지의 기간에 리드 버퍼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전송되는 SP1, 즉 SP1#0, 1, …, k는 (n+1)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EXT1[n]에 저장된다. 마찬가지로, SP1#(k+1)의 ATS A1 (k+1)로부터 익스텐트 ATC 시간 TEXT[n+1]이 경과할 때까지의 기간에 리드 버퍼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전송되는 SP1, 즉 SP1#(k+1), …, i는 (n+2)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EXT1[n+1]에 저장된다.
한편, (n+1)번째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EXT2[n]에 저장되어야 할 SP2는 다음과 같이 선택된다. 먼저, SP1#0의 ATS A1 (0)와 익스텐트 ATC 시간 TEXT[n]의 합, 즉 SP1#(k+1)의 ATS A1 (k+1)=A1 (0)+TEXT[n]이 구해진다. 다음에, SP1#0의 ATS A1 (0)로부터 SP1#(k+1)의 ATS A1 (k+1)까지의 기간에 리드 버퍼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로의 전송이 개시되는 SP2, 즉 SP2#0, 1, …, m가 선택된다. 따라서 선두의 SP2, 즉 SP2#0의 ATS A2 (0)는 반드시 선두의 SP1, 즉 SP1#0의 ATS A1 (0) 이상이다: A2 (0)≥A1 (0). 또, 최후의 SP2, 즉 SP2#m의 ATS A2 (m)는 SP1#(k+1)의 ATS A1 (k+1) 이하이다: A2 (m)≤A1 (k+1). 여기서, SP2#m의 전송 완료는 SP1#(k+1)의 ATS A1 (k+1) 이후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n+2)번째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EXT2[n+1]에 저장되어야 할 SP2는 다음과 같이 선택된다. 먼저, (n+3)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EXT1[n+2]의 선두에 위치하는 SP1#(i+1)의 ATS A1 (i+1)=A1 (k+1)+TEXT가 구해진다. 다음에, SP1#(k+1)의 ATS A1 (k+1)로부터 SP1#(i+1)의 ATS A1 (i+1)까지의 기간에 리드 버퍼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의 전송이 개시되는 SP2, 즉, SP2#(m+1)-SP2#j가 선택된다. 따라서 선두의 SP2, 즉 SP2#(m+1)의 ATS A2 (m+1)는 선두의 SP1, 즉 SP1#(k+1)의 ATS A1 (k+1) 이상이다: A2 (m+1)≥A1 (k+1). 또, 최후의 SP2#j의 ATS A2 (j)는 다음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EXT1[n+2]의 선두에 위치하는 SP1#(i+1)의 ATS A1 (i+1) 이하이다 : A2 (j)≤A1 (i+1).
[데이터량이 작은 데이터블록을 앞에 두는 의의]
3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는 각 익스텐트 블록의 선두에 위치하는 데이터블록을 판독할 때 또는 재생개시위치의 데이터블록을 판독할 때 먼저 그 데이터블록을 모두 리드 버퍼에 판독한다. 그 사이, 그 데이터블록은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는 인계되지 않는다. 그 판독이 완료한 후, 재생장치(102)는 그 데이터블록을 다음의 데이터블록과 병렬로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인계한다. 이 처리를 「프리로드」라고 한다.
프리로드의 기술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L/R 모드에서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복호에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복호 후의 데이터를 출력처리까지 보유하기 위한 버퍼를 필요 최소한의 용량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들 데이터블록을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동시에 공급하여 복호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뎁스 모드에서는 복호 후의 베이스 뷰 픽쳐와 뎁스 맵의 쌍으로부터 시차 화상을 나타내는 비디오 플레인의 쌍을 생성하는 처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복호 후의 데이터를 그 처리까지 보유하기 위한 버퍼를 필요 최소한의 용량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뎁스 맵 데이터블록을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동시에 공급하여 복호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프리로드에 의해 익스텐트 블록의 선두 또는 재생개시위치의 데이터블록의 전체를 미리 리드 버퍼에 판독해 둔다. 이에 의해 그 데이터블록과 후속하는 데이터블록을 리드 버퍼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동시에 전송하여 복호 시킬 수 있다. 또, 이후의 익스텐트 페어도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동시에 복호 시킬 수 있다.
프리로드에서는 최초로 판독되는 데이터블록의 전체가 리드 버퍼에 축적된다. 따라서 리드 버퍼에는 적어도 그 데이터블록의 사이즈와 동일한 용량이 요구된다. 여기서, 리드 버퍼의 용량을 최소한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프리로드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블록의 사이즈를 가능한 한 축소해야 한다. 한편, 인터럽트 재생 등의 랜덤 액세스에서는 어느 익스텐트 페어도 재생개시위치에 선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어느 익스텐트 페어에서도 데이터량이 작은 쪽을 앞에 둔다. 이에 의해 리드 버퍼의 용량을 최소한으로 유지할 수 있다.
≪데이터블록에 대한 AV 스트림 파일의 크로스 링크≫
도 15에 나타내고 있는 데이터블록 군에 대하여 AV 스트림 파일의 크로스 링크는 다음과 같이 실현된다. 제 1 파일 SS(01000.ssif)(244A)의 파일 엔트리(1540)는 각 익스텐트 블록(1501-1503)을 하나의 익스텐트로 간주하여 각 사이즈와 그 선단의 LBN을 나타낸다. 따라서 각 익스텐트 블록(1501-1503)은 제 1 파일 SS(244A)의 하나의 익스텐트 EXTSS[0], EXTSS[1], EXTSS[2]로 액세스 가능하다. 이하, 제 1 파일 SS(244A)에 속하는 익스텐트 EXTSS[0], EXTSS[1], EXTSS[2]를 「익스텐트 SS」라고 한다. 각 익스텐트 SSEXTSS[0], EXTSS[1], EXTSS[2]는 파일 2D(241)와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을 공유하고, 파일 DEP(242)와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D[n]을 공유한다.
≪익스텐트 블록 군에 대한 재생경로≫
도 18은 익스텐트 블록 군(1501-1503)에 대한 2D 재생모드에서의 재생경로(1801)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2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는 파일 2D(241)를 재생한다. 따라서 2D 재생모드에서의 재생경로(1801)가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각 익스텐트 블록(1501-1503)에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n=0, 1, 2, …)가 차례로 2D 익스텐트 EXT2D[n]으로서 판독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선두의 익스텐트 블록(1501)에서 선두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0]이 판독되고, 그 직후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D[0]의 판독이 최초의 점프 J2D1에 의해 스킵된다. 다음에 2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1]이 판독되고, 그 직후의 데이터(NAV)와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D[1]의 판독이 2번째의 점프 JNAV에 의해 스킵된다. 이어서, 2번째 이후의 익스텐트 블록(1502, 1503) 내에서도 마찬가지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판독과 점프가 반복된다.
2번째의 익스텐트 블록(1502)과 3번째의 익스텐트 블록(1503)의 사이에 발생하는 점프 JLY는 층 경계(LB)를 넘는 롱 점프이다. 「롱 점프」는 점프 중에서도 시크 시간이 긴 것의 총칭이며, 구체적으로는 (ⅰ) 기록 층의 전환을 수반하는 점프 및 (ⅱ) 점프거리가 소정의 임계치를 넘는 점프를 말한다. 「점프거리」란 점프기간 중에 판독조작이 스킵되는 BD-ROM 디스크(101) 상의 영역의 길이를 말한다. 점프거리는 통상 그 부분의 섹터 수로 나타낸다. 상기 (ⅱ)의 임계치는 BD-ROM의 규격에서는 예를 들어 40000 섹터이다. 그러나 그 임계치는 BD-ROM 디스크의 종류와 BD-ROM 드라이브의 판독처리에 관한 성능에 의존한다. 롱 점프는 특히 포커스 점프와 트랙 점프를 포함한다. 「포커스 점프」는 기록 층의 전환에 수반하는 점프이며, 광 픽업의 초점거리를 변화시키는 처리를 포함한다. 「트랙 점프」는 광 픽업을 BD-ROM 디스크(101)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처리를 포함한다.
도 18은 익스텐트 블록 군(1501-1503)에 대한 L/R 모드에서의 재생경로(1802)도 나타낸다. L/R 모드의 재생장치(102)는 제 1 파일 SS(244A)를 재생한다. 따라서 L/R 모드에서의 재생경로(1802)가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각 익스텐트 블록(1501, 1502, 1503)이 차례로 익스텐트 SS EXTSS[0], EXTSS[1], EXTSS[2]로 판독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선두의 익스텐트 블록(1501)에서 데이터블록 D[0], B[0], D[1], B[1]이 연속해서 판독되고, 그 직후의 데이터(NAV)의 판독이 최초의 점프 JNAV에 의해 스킵된다. 다음에 2번째의 익스텐트 블록(1502)에서 데이터블록 D[2], …, B[3]이 연속해서 판독된다. 그 직후에 기록 층의 전환에 수반하는 롱 점프 JLY가 발생하고, 이어서 3번째의 익스텐트 블록(1503)에서 데이터블록 D[4], B[4], …가 연속해서 판독된다.
익스텐트 블록(1501-1503)을 제 1 파일 SS(244A)의 익스텐트로 판독할 때 재생장치(102)는 제 1 파일 SS(244A)의 파일 엔트리(1540)로부터 각 익스텐트 SS EXTSS[0], EXTSS[1], …의 선단의 LBN과 그 사이즈를 판독하여 BD-ROM 드라이브(121)에 인계한다. BD-ROM 드라이브(121)는 그 LBN에서 그 사이즈의 데이터를 연속해서 판독한다. 이러한 처리는 데이터블록 군을 제 1 파일 DEP(242)와 파일 2D(241)의 각 익스텐트로 판독하는 처리보다 BD-ROM 드라이브(121)의 제어가 다음의 2점 (A), (B)에서 간단하다: (A) 재생장치(102)는 1개소의 파일 엔트리를 이용하여 각 익스텐트를 차례로 참조하면 좋다; (B) 판독대상의 익스텐트의 총수가 실질상 반감하므로, BD-ROM 드라이브(121)에 인계되어야 할 LBN과 사이즈의 쌍의 총수가 적다. 단, 재생장치(102)는 익스텐트 SS EXTSS[0], EXTSS[1], …을 판독한 후, 각각을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으로 분리하여 디코더에 인계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 분리처리에는 클립정보파일이 이용된다. 그 상세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 15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각 익스텐트 블록(1501-1503)의 실제의 판독에서는 BD-ROM 드라이브(121)는 각 데이터블록의 후단에서 다음의 데이터블록의 선단까지의 사이에 제로 섹터 천이 J0를 실시한다. 「제로 섹터 천이」란 2개의 연속하는 데이터블록 사이에서의 광 픽업의 이동을 말한다. 제로 섹터 천이가 이루어지는 기간(이하, 제로 섹터 천이기간이라고 한다)에서는 광 픽업은 판독동작을 일단 정지하고 대기한다. 그 의미로 제로 섹터 천이는 「점프거리가 0 섹터와 같은 점프」라고도 간주할 수 있다. 제로 섹터 천이기간의 길이, 즉 제로 섹터 천이시간은 BD-ROM 디스크(101)의 회전에 의한 광 픽업의 위치의 이동시간 외에 오류정정처리에 수반하는 오버헤드를 포함해도 좋다. 「오류정정처리에 수반하는 오버헤드」란 2개의 데이터블록의 경계가 ECC 블록의 경계와 일치하고 있지 않을 때 그 ECC 블록을 이용한 오류정정처리가 2회 행해지는 것에 기인한 여분의 시간을 말한다. 오류정정처리에는 하나의 ECC 블록의 전체가 필요하다. 따라서 하나의 ECC 블록이 2개의 연속하는 데이터블록에 공유되어 있을 때 어느 데이터블록의 판독처리에서도 그 ECC 블록의 전체가 판독되어서 오류정정처리에 이용된다. 그 결과, 이들 데이터블록을 1개 판독할 때마다 그 데이터블록 외에 최대 32 섹터의 여분의 데이터가 판독된다. 오류정정처리에 수반하는 오버헤드는 그 여분의 데이터의 판독시간의 합계, 즉 32[섹터]×2048[바이트]×8[비트/바이트]×2[회]/판독속도로 평가된다. 또, 각 데이터블록은 ECC 블록 단위로 구성되어도 좋다. 그 경우, 각 데이터 블록의 사이즈는 ECC 블록의 정수 배와 같으므로 오류정정처리에 수반하는 오버헤드를 제로 섹터 천이시간에서 제외할 수 있다.
≪데이터블록/익스텐트 블록의 사이즈≫
각 데이터블록은 얼라인드 유닛 단위로 구성된다. 특히 각 데이터블록의 사이즈는 얼라인드 유닛의 사이즈(=6144바이트=약 6KB)의 배수와 같다. 그 경우, 데이터블록 간의 경계는 섹터 간의 경계와 일치하므로 BD-ROM 드라이브는 어느 데이터블록도 그 전체를 확실하게 연속해서 판독할 수 있다.
[1 : 심리스 재생에 필요한 조건]
도 15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서로 분리된 복수의 익스텐트 블록(1501-1503)에서 2D 영상과 3D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심리스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블록과 익스텐트 블록(1501-1503)의 각 사이즈는 이하의 [1-1], [1-2]에서 설명하는 조건을 만족하면 좋다.
1-1 : 2D 재생 모드에서의 조건
도 19는 2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102) 내의 재생처리계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그 재생처리계통은 BD-ROM 드라이브(1901), 리드 버퍼(1902) 및 시스템 타깃 디코더(1903)를 포함한다. BD-ROM 드라이브(1901)는 BD-ROM 디스크(101)에서 2D 익스텐트를 판독하고, 판독속도 RUD54로 리드 버퍼(1902)에 전송한다. 리드 버퍼(1902)는 재생장치(102)에 내장된 버퍼 메모리이며, BD-ROM 드라이브(1901)로부터 2D 익스텐트를 수신해서 축적한다. 시스템 타깃 디코더(1903)는 리드 버퍼(1902) 내에 축적된 각 2D 익스텐트로부터 소스 패킷을 평균 전송속도 REXT2D로 판독하고, 영상데이터 VD와 음성데이터 AD로 복호 한다.
평균 전송속도 REXT2D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1903)가 리드 버퍼(1902) 내의 각 소스 패킷으로부터 TS 패킷을 추출하는 처리의 평균 속도의 192/188배와 같다. 여기서, 계수 192/188은 소스 패킷과 TS 패킷의 사이의 바이트 수의 비와 같다. 평균 전송속도 REXT2D는 통상 비트/초에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비트 단위로 나타낸 2D 익스텐트의 사이즈를 익스텐트 ATC 시간으로 나누었을 때의 값과 같다. 「비트 단위로 나타낸 익스텐트의 사이즈」는 그 익스텐트 내의 소스 패킷 수와 소스 패킷 1개 당의 비트수(=192[바이트]×8[비트/바이트])의 곱과 같다. 평균 전송속도 REXT2D는 일반적으로 2D 익스텐트마다 다르다. 평균 전송속도 REXT2D의 최대치 RMAX2D는 파일 2D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의 192/188배와 같다. 「시스템 레이트」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1903)에 의한 TS 패킷의 처리속도의 최고치를 의미한다. 시스템 레이트 RTS는 통상 비트/초(bps)로 나타내므로 바이트/초(Bps)로 나타내는 메인 TS의 기록속도(TS recording rate)의 8배와 같다.
평균 전송속도 REXT2D는 이하와 같이 평가된다. 먼저, 익스텐트 ATC 시간이 다음과 같이 산정된다. 도 17에 나타내고 있는 예에서는 (n+1)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EXT1[n]의 익스텐트 ATC 시간 TEXT[n]은 SP1#0의 ATS A1 (0)과 (n+2)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EXT1[n+1]의 선두에 위치하는 SP1#(k+1)의 ATS A1 (k+1)의 사이의 차에 의거하여 다음의 식으로 나타낸다:
TEXT[n]=(A1 (k+1)-A1 (0)+WA) /TATC
여기서, 랩 어라운드 값 WA는 SP1#0의 ATS A1 (0)로부터 SP1#(k+1)의 ATS A1 (k+1)까지 ATC가 카운트 되는 기간 중 랩 어라운드가 생길 때마다 제거된 카운트 값의 합을 나타낸다. 즉, 랩 어라운드 값 WA는 그 기간에서의 랩 어라운드의 횟수와 랩 어라운드가 발생하는 카운트 값의 곱과 같다. 예를 들어, ATC가 30 비트의 카운터로 카운트 되는 경우, 랩 어라운드 값 WA는 230과 같다. 한편, 정수 TATC는 ATC의 주기를 나타내고, 예를 들어 27MHz와 같다 : TATC=27×106.
다음에, 2D 익스텐트의 사이즈가 다음과 같이 산정된다. 도 17에 나타내고 있는 예에서는 (n+1)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EXT1[n]의 사이즈 SEXT1[n]은 그 데이터블록에 저장되는 소스 패킷, 즉 SP1#0, 1, …, k의 전체의 데이터량 192×(k+1)×8[비트]와 같다.
마지막으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EXT1[n]의 사이즈 SEXT1[n]을 익스텐트 ATC 시간 TEXT[n]으로 나눈 값이 평균 전송속도 REXT2D[n]으로 평가된다 : REXT2D[n]=SEXT1[n]/TEXT[n].
상기의 평가에서 익스텐트 ATC 시간이 정확하게 계산되는 것을 목적으로 각 2D 익스텐트의 사이즈가 소스 패킷 길이의 어느 일정한 배수에 일치되어도 좋다. 또, 어느 2D 익스텐트가 그 배수보다 많은 소스 패킷을 포함할 때 그 2D 익스텐트의 익스텐트 ATC 시간이 다음과 같이 산정되어도 좋다 : 먼저, 소스 패킷의 총수로부터 그 배수를 제외하고, 그 차에 소스 패킷 1개 당의 전송시간(=188×8/시스템 레이트)을 곱한다. 다음에, 그 곱에 상기의 배수에 상당하는 익스텐트 ATC 시간을 더한다. 그 합이 상기의 2D 익스텐트의 익스텐트 ATC 시간으로 결정된다.
그 외에 익스텐트 ATC 시간은 다음과 같이 산정되어도 좋다 : 먼저, 하나의 2D 익스텐트에 대하여 그 선두의 소스 패킷의 ATS로부터 최후의 소스 패킷의 ATS까지의 시간 간격을 구한다. 다음에, 그 시간 간격에 소스 패킷 1개 당의 전송시간을 더한다. 그 합이 그 2D 익스텐트의 익스텐트 ATC 시간으로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7의 예에서 (n+1)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EXT1[n]의 익스텐트 ATC 시간 TEXT[n]은 SP1#0의 ATS A1 (0)과 그 데이터블록 EXT1[n]의 후단에 위치하는 SP1#k의 ATS A1 (k)의 사이의 차에 의거하여 다음의 식으로 나타낸다 :
TEXT[n]=(A1 (k)-A1 (0)+WA)/TATC+188×8/RTS1
여기서, 랩 어라운드 값 WA는 SP1#0의 ATS A1 (0)로부터 SP1#k의 ATS A1 (k)까지 ATC가 카운트 되는 기간 중 랩 어라운드가 생길 때마다 제거된 카운트 값의 합을 나타낸다. 한편, 상측 식의 우변 제 2 항은 TS 패킷의 데이터 길이 188[바이트]×8[비트/바이트]를 시스템 레이트 RTS2로 나눈 값이며, 하나의 TS 패킷을 리드 버퍼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같다.
상기의 익스텐트 ATC 시간의 계산에는 다음의 익스텐트의 참조가 불필요하므로 다음의 익스텐트가 존재하지 않아도 익스텐트 ATC 시간이 산정 가능하다. 또, 다음의 익스텐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익스텐트 ATC 시간의 계산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판독속도 RUD54는 통상 비트/초로 나타내고, 평균 전송속도 REXT2D의 최고치 RMAX2D보다 큰 값, 예를 들어 54Mbps에 설정된다: RUD54>RMAX2D. 이에 의해 BD-ROM 드라이브(1901)가 BD-ROM 디스크(101)로부터 하나의 2D 익스텐트를 판독하고 있는 동안 시스템 타깃 디코더(1903)의 복호처리에 수반하는 리드 버퍼(1902)의 언더플로가 방지된다.
도 20 (a)는 2D 재생 모드에서의 동작 중 리드 버퍼(1902)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DA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 (b)는 재생 대상의 익스텐트 블록(2010)과 2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2020)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0 (b)를 참조하면, 재생경로(2020)에 따라서 익스텐트 블록(2010) 내의 각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n=0, 1, 2, …)이 하나의 2D 익스텐트 EXT2D[n]으로 BD-ROM 디스크(101)로부터 리드 버퍼(1902)에 판독된다. 도 20 (a)을 참조하면, 각 2D 익스텐트 EXT2D[n]의 판독기간 PR2D[n]에서는 축적 데이터량 DA는 판독속도 RUD54와 평균 전송속도 REXT2D[n]의 사이의 차 RUD54-REXT2D[n]과 같은 속도로 증가한다. 한편, 2개의 연속하는 2D 익스텐트 EXT2D[n-1], EXT2D[n]의 사이에서는 점프 J2D[n]이 발생한다. 그 점프기간 PJ2D[n]에서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의 판독이 스킵 되므로 BD-ROM 디스크(101)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이 정지한다. 따라서 점프기간 PJ2D[n]에서는 축적 데이터량 DA는 평균 전송속도 REXT2D[n]으로 감소한다.
BD-ROM 드라이브(1901)에 의한 판독/전송동작은 실제로는 도 20 (a)의 그래프로부터 시사되는 연속적인 것은 아니라 단속적인 것이다. 이에 의해 각 2D 익스텐트의 판독기간 PR2D[n]에 축적 데이터량 DA가 리드 버퍼(1902)의 용량을 초과하는 것, 즉 리드 버퍼(1902)의 오버플로가 방지된다. 즉, 도 20 (a)의 그래프는 실제로는 계단형상인 증감을 직선적인 증감으로 근사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0 (b)에 나타내고 있는 익스텐트 블록(2010)에서 2D 영상을 심리스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2개의 조건을 만족하면 좋다: 먼저, 각 2D 익스텐트 EXT2D[n]의 사이즈 SEXT2D[n]은 소정의 하한 이상이면 좋다. 이 하한을 「최소 익스텐트 사이즈」라고 한다. 다음에, 2D 익스텐트의 간격은 소정의 상한 이하이면 좋다.
1-1-1 : 2D 익스텐트의 최소 익스텐트 사이즈
각 점프기간 PJ2D[n]에서는 리드 버퍼(1902)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1903)로의 데이터 공급을 지속시켜서 그 디코더(1903)에 연속적인 출력을 확보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거기에는 2D 익스텐트의 사이즈가 다음의 조건 1을 만족하면 좋다.
각 2D 익스텐트 EXT2D[n]의 사이즈 SEXT2D[n]은 그 판독기간 PR2D[n]에서 다음의 점프기간 PJ2D[n+1]에 걸쳐서 리드 버퍼(1902)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1903)에 전송되는 데이터량과 같다. 그 경우, 도 20 (a)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축적 데이터량 DA는 그 점프기간 PJ2D[n+1]의 종료시에 그 판독기간 PR2D[n]의 개시시에서의 양을 밑돌지 않는다. 즉, 각 점프기간 PJ2D[n]에서는 리드 버퍼(1902)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1903)에의 데이터 공급이 지속하고, 특히 리드 버퍼(1902)는 언더플로를 일으키지 않는다. 여기서, 판독기간 PR2D[n]의 길이는 2D 익스텐트 EXT2D[n]의 사이즈 SEXT2D[n]을 판독속도 RUD54로 나눈 값 SEXT2D[n]/RUD54와 같다. 따라서 조건 1은 다음을 나타낸다. 각 2D 익스텐트 EXT2D[n]의 최소 익스텐트 사이즈는 다음의 식 (1)의 우변으로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식 (1)에서는 점프시간 TJUMP -2D[n]은 점프기간 PJ2D[n]의 길이이고, 초 단위로 나타낸다. 한편, 판독속도 RUD54와 평균 전송속도 REXT2D는 모두 비트/초로 나타낸다. 따라서 식 (1)에서는 평균 전송속도 REXT2D를 수 「8」로 나누고, 2D 익스텐트의 사이즈 SEXT2D[n]의 단위를 비트에서 바이트로 변환하고 있다. 즉, 2D 익스텐트의 사이즈 SEXT2D[n]은 바이트 단위로 나타낸다. 함수 CEIL()는 괄호 내의 수치의 소수점 이하의 끝수를 올리는 조작을 의미한다.
1-1-2 : 2D 익스텐트의 간격
리드 버퍼(1902)의 용량은 유한하므로 점프시간 TJUMP -2D[n]의 최대치는 제한된다. 즉, 점프기간 PJ2D[n]의 직전에 축적 데이터량 DA가 리드 버퍼(1902)의 용량에 가득해도 점프시간 TJUMP -2D[n]이 너무 길면, 점프기간 PJ2D[n] 중에 축적 데이터량 DA가 0에 달하여 리드 버퍼(1902)의 언더플로가 발생할 위험성이 있다. 이하, BD-ROM 디스크(101)에서 리드 버퍼(1902)로의 데이터 공급이 끊어져 있는 상태에서 축적 데이터량 DA가 리드 버퍼(1902)의 용량에서 0에 달할 때까지의 시간, 즉, 심리스 재생을 보증할 수 있는 점프시간 TJUMP -2D의 최대치를 「최대 점프시간 TJUMP _ MAX」라고 한다.
광디스크의 규격에서는 통상 점프거리와 최대 점프시간의 사이의 관계가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세스 스피드 등에 의해 결정되어 있다. 도 21은 BD-ROM 디스크에 관한 점프거리 SJUMP와 최대 점프시간 TJUMP _ MAX의 사이의 대응 표의 일 예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점프거리 SJUMP는 섹터 단위로 나타내고, 최대 점프시간 TJUMP_MAX는 m초 단위로 나타내고 있다. 1 섹터는 2048 바이트와 같다. 점프거리 SJUMP가 0 섹터, 1-10000 섹터, 10001-20000 섹터, 20001-40000 섹터, 40001 섹터 1/10스트로크 및 1/10 스트로크 이상의 각 범위에 속할 때 최대 점프시간 TJUMP _ MAX는 각각 0m초, 200m초, 300m초, 350m초, 700m초 및 1400m초이다. 점프거리 SJUMP가 0 섹터와 같을 때의 최대 점프시간 TJUMP _ MAX는 제로 섹터 천이시간 TJUMP0와 같다. 단, 도 21의 예에서는 제로 섹터 천이시간 TJUMP0는 0m초로 간주되고 있다.
이상으로부터 식 (1)에 대입되어야 할 점프시간 TJUMP -2D[n]은 BD-ROM 디스크의 규격에 따라 점프거리별로 규정된 최대 점프시간 TJUMP _ MAX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21의 표에서 2개의 연속하는 2D 익스텐트 EXT2D[n], EXT2D[n+1]의 사이에서의 점프거리 SJUMP에 대응하는 최대 점프시간 TJUMP _ MAX가 점프시간 TJUMP -2D[n]으로 식 (1)에 대입된다. 여기서, 그 점프거리 SJUMP는 (n+1)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n]의 후단으로부터 (n+2)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n+1]의 선단까지의 섹터 수와 같다.
2개의 2D 익스텐트 EXT2D[n], EXT2D[n+1]간의 점프 J2D[n]에서는 그 점프시간 TJUMP -2D[n]이 최대 점프시간 TJUMP _ MAX에 제한되므로 그 점프거리 SJUMP, 즉 2개의 2D 익스텐트 EXT2D[n], EXT2D[n+1]의 간격도 제한된다. 예를 들어 점프시간 TJUMP -2D[n]이 최대 점프시간 TJUMP _ MAX=700m초 이하로 제한될 때 2개의 2D 익스텐트 EXT2D[n], EXT2D[n+1]간의 점프거리 SJUMP는 최대로 1/10스트로크(=약 1.2GB)까지 허용된다. 이 점프거리 SJUMP의 최대치와 같이 점프시간 TJUMP가 최대 점프시간 TJUMP_MAX와 같을 때의 점프거리 SJUMP를 「최대 점프거리 SJUMP _ MAX」라고 한다. 2D 영상의 심리스 재생에는 2D 익스텐트의 간격이 최대 점프거리 SJUMP _ MAX 이하일 것이 필요하다.
각 익스텐트 블록 내에서는 2D 익스텐트의 간격은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와 같다. 따라서 그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는 최대 점프거리 SJUMP_MAX 이하로 제한된다. 구체적으로는 2D 익스텐트간의 최대 점프시간 TJUMP _ MAX가 도 21에 규정된 최소치 200m초로 제한되는 경우,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는 대응하는 최대 점프거리 SJUMP _ MAX=10000 섹터(=약 19.5MB) 이하로 제한된다.
다른 기록 층에 배치된 2개의 익스텐트 블록간을 심리스로 접속할 때 먼저 판독된 익스텐트 블록의 후단으로부터 다음에 판독되는 익스텐트 블록의 선단까지 롱 점프가 발생한다. 그 롱 점프는 포커스 점프 등 기록 층의 전환 조작을 수반한다. 따라서 그 롱 점프에 필요한 시간은 도 21의 표에 규정된 최대 점프시간 TJUMP _ MAX에 더하여 기록 층의 전환 조작에 필요한 시간, 즉 「층 전환 시간」을 더 포함한다. 층 전환 시간은 예를 들어 350m초이다. 여기서, 먼저 판독된 익스텐트 블록의 후단에는(n+1)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n]이 배치되고, 뒤에 판독되는 익스텐트 블록의 선단에는 (n+2)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n+1]이 배치되고 있다. 그 경우, (n+1)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n]의 사이즈가 만족되어야 할 식 (1)에서는 점프시간 TJUMP -2D[n]은 2개의 파라미터 TJ[n], TL[n]의 합으로 정해진다 : TJUMP -2D[n]=TJ[n]+TL[n]. 제 1 파라미터 TJ[n]은 BD-ROM 디스크의 규격에 의해 롱 점프의 점프거리 SJUMP에 대하여 규정된 최대 점프시간 TJUMP _ MAX를 나타낸다. 그 최대 점프시간 TJUMP _ MAX는 도 21의 표에서 (n+1)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n]의 후단으로부터 (n+2)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n+1]의 선단까지의 섹터 수에 대응된 값과 같다. 제 2 파라미터 TL[n]은 층 전환 시간, 예를 들어 350m초를 나타낸다. 따라서 2개의 2D 익스텐트 EXT2D[n], EXT2D[n+1]의 간격은 도 21의 표에서 롱 점프의 최대 점프시간 TJUMP _ MAX로부터 층 전환 시간을 뺀 값에 대응하는 최대 점프거리 SJUMP _ MAX 이하로 제한된다. 예를 들어, 점프시간 TJUMP -2D[n]이 최대 점프시간 TJUMP _ MAX=700m초 이하, 또는 600m초 이하로 제한될 때 2개의 2D 익스텐트 EXT2D[n], EXT2D[n+1]간의 최대 점프거리 SJUMP _ MAX는 40000 섹터(=약 78.1MB) 또는 10000 섹터(=약 19.5MB)이다.
1-2 : 3D 재생 모드에서의 조건
도 22는 3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102) 내의 재생처리계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그 재생처리계통은 BD-ROM 드라이브(2201), 스위치(2202), 한 쌍의 리드 버퍼(2211, 2212) 및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를 포함한다. BD-ROM 드라이브(2201)는 BD-ROM 디스크(101)로부터 익스텐트 SS를 판독하고, 판독속도 RUD72로 스위치(2202)에 전송한다. 스위치(2202)는 각 익스텐트 SS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으로 분리한다. 그 분리처리의 상세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제 1 리드 버퍼(2211) 및 제 2 리드 버퍼(2212)(이하, RB1 및 RB2라고 한다)는 재생장치(102)에 내장된 버퍼 메모리이며, 스위치(2202)에 의해 분리된 각 데이터블록을 축적한다. RB1 (2211)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을 저장하고, RB2 (2212)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을 저장한다.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는 RB1 (2211) 내의 각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으로부터는 소스 패킷을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로 판독하고, RB2 (2212) 내의 각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으로부터는 소스 패킷을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로 판독하다. 또,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는 판독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쌍을 영상데이터 VD와 음성데이터 AD로 복호 한다.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가 RB1 (2211) 내의 각 소스 패킷으로부터 TS 패킷을 추출하는 처리의 평균 속도의 192/188배와 같다.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의 최고치 RMAX1는 파일 2D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1의 192/188배와 같다: RMAX1=RTS1×192/188. 그 시스템 레이트 RTS1는 통상 비트/초(bps)에 나타내므로 바이트/초(Bps)로 나타내는 메인 TS의 기록 속도의 8배와 같다.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가 RB2 (2212) 내의 각 소스 패킷으로부터 TS 패킷을 추출하는 처리의 평균 속도의 192/188배와 같다.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의 최고치 RMAX2는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2의 192/188배와 같다: RMAX2=RTS2×192/188. 그 시스템 레이트 RTS2는 통상 비트/초(bps)로 나타내므로 바이트/초(Bps)로 나타내는 메인 TS의 기록 속도의 8배와 같다. 각 전송속도 REXT1, REXT2는 통상 비트/초로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비트 단위로 나타낸 각 데이터블록의 사이즈를 익스텐트 ATC 시간으로 나누었을 때의 값과 같다. 익스텐트 ATC 시간은 그 데이터블록 내의 소스 패킷을 모두 RB1 (2211) 또는 RB2 (2212)에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에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같다.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는 2D 익스텐트의 평균 전송속도 REXT2D와 완전히 동일하게 평가된다: REXT1[·]=SEXT1[·]/TEXT[·]. 한편,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와 익스텐트 ATC 시간의 비에 대신하여 다음의 데이터량 SPEXT2[·]과 익스텐트 ATC 시간의 비로 평가된다: REXT2[·]=SPEXT2[·]/TEXT[·]. 그 데이터량 SPEXT2[·]은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중 대응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이 전송되는 기간 내에 실제로 전송되는 부분의 데이터량과 같다. 도 17에 나타내고 있는 (n+1)번째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EXT2[n]에 대하여 그 데이터량 SPEXT2[n]은 그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EXT2[n]에 저장되는 소스 패킷, SP2#0, 1, …, m 중 (n+1)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EXT1[n]의 선두의 소스 패킷, SP1#0의 ATS A1 (0)로부터 익스텐트 ATC 시간 TEXT[n]이 경과 할 때까지의 기간에 RB2 (2212)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에 전송되는 부분의 데이터량과 같다. 즉, 그 데이터량 SPEXT2[n]은 그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EXT2[n]의 사이즈 SEXT2[n]보다 SP1#(k+1)의 ATS A1 (k+1) 이후에 전송되는 SP2#m의 데이터량만큼 작다. 한편, 다음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EXT2[n+1]에 대해서는 상기의 데이터량 SPEXT2[n+1]은 그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EXT2[n+1]에 저장되는 소스 패킷, SP2#(m+1), …, j에 더하여 (n+2)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EXT1[n+1]의 선두의 소스 패킷, SP1#(k+1)의 ATS A1 (k+1)에서 익스텐트 ATC 시간 TEXT[n+1]이 경과 할 때까지의 기간에 RB2 (2212)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에 전송되는 데이터량과 같다. 즉, 그 데이터량 SPEXT2[n+1]은 그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EXT2[n+1]의 사이즈 SEXT2[n+1]보다 SP1#(k+1)의 ATS A1 (k+1) 이후에 전송되는 SP2#m의 데이터량만큼 크다. 이와 같이,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과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에서는 평가의 방법이 다르다. 그러나 그 차는 적으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어느 전송속도도 데이터블록의 사이즈와 익스텐트 ATC 시간의 비와 같다고 간주한다.
판독속도 RUD72는 통상 비트/초로 나타내고, 어느 하나의 전송속도 REXT1, REXT2의 최고치 RMAX1, RMAX2보다 큰 값, 예를 들어 72Mbps로 설정된다: RUD72>RMAX1, RUD72>RMAX2. 이에 의해 BD-ROM 드라이브(2201)에 의해 BD-ROM 디스크(101)로부터 하나의 익스텐트 SS를 판독하고 있는 동안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의 복호처리에 수반하는 RB1 (2211)과 RB2 (2212)의 언더플로가 방지된다.
1-2-1 : 익스텐트 블록 내에서의 심리스 접속
도 23 (a), (b)는 하나의 익스텐트 블록으로부터 3D 영상이 심리스로 재생될 때 RB1 (2211), RB2 (2212)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DA1, DA2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3 (c)는 그 익스텐트 블록(2310)과 3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2320)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3 (c)를 참조하면, 재생경로(2320)에 따라서 익스텐트 블록(2310)의 전체가 하나의 익스텐트 SS로 일괄해서 판독된다. 그 후, 스위치(2202)에 의해 그 익스텐트 SS에서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k]와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k]이 분리된다(k=…, n, n+1, n+2, …).
BD-ROM 드라이브(2201)에 의한 판독/전송동작은 실제로는 도 23 (a), (b)의 각 그래프로부터 시사되는 연속적인 것은 아니라 단속적인 것이다. 이에 의해 각 데이터블록 D[k], B[k]의 판독기간 PRD[k], PRB[k]에서는 RB1 (2211), RB2 (2212)의 오버플로가 방지된다. 즉, 도 23 (a), (b)의 각 그래프는 실제로는 계단형상인 증감을 직선적인 증감으로 근사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3 (a), (b)를 참조하면, (n+1)번째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의 판독기간 PRD[n]에서는 RB2 (2212)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판독속도 RUD72와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n]의 사이의 차 RUD72-REXT2[n]과 같은 속도로 증가하고, RB1 (2211)의 축적 데이터량 DA1는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1]로 감소한다. 도 23 (c)를 참조하면, (n+1)번째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에서 (n+1)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까지는 제로 섹터 천이 J0[2n]이 발생한다. 도 23 (a), (b)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제로 섹터 천이기간 PJ0[n]에서는 RB1 (2211)의 축적 데이터량 DA1는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1]로 계속 감소하고, RB2 (2212)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n]으로 감소한다.
또, 도 23 (a), (b)를 참조하면, (n+1)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의 판독기간 PRB[n]에서는 RB1 (2211)의 축적 데이터량 DA1는 판독속도 RUD72와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의 사이의 차 RUD72-REXT1[n]과 같은 속도로 증가한다. 한편, RB2 (2212)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n]으로 계속 감소한다. 또, 도 23 (c)를 참조하면, 그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에서 다음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1]까지는 제로 섹터 천이 J0[2n+1]이 발생한다. 도 23 (a), (b)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제로 섹터 천이기간 PJ0[2n+1]에서는 RB1 (2211)의 축적 데이터량 DA1는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으로 감소하고, RB2 (2212)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n]으로 계속 감소한다.
하나의 익스텐트 블록(2310)에서 3D 영상을 심리스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그 익스텐트 블록에 속하는 데이터블록 B[n], D[n]의 각 사이즈는 이하에 설명되는 조건 2, 3을 만족하면 좋다.
(n+1)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의 사이즈 SEXT1[n]은 적어도 그 판독기간 PRB[n]에서 다음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1]의 판독기간 PRB[n+1]의 직전까지 RB1 (2211)에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에 전송되는 데이터량과 같다. 그 경우, 도 23 (a)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다음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1]의 판독기간 PRB[n+1]의 직전에서는 RB1 (2211)의 축적 데이터량 DA1이 (n+1)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의 판독기간 PRB[n]의 직전에서의 양을 밑돌지 않는다. 여기서, (n+1)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의 판독기간 PRB[n]의 길이는 그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의 사이즈 SEXT1[n]을 판독속도 RUD72로 나눈 값 SEXT1[n]/RUD72와 같다. 한편, (n+2)번째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1]의 판독기간 PRD[n+1]의 길이는 그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1]의 사이즈 SEXT2[n+1]을 판독속도 RUD72로 나눈 값SEXT2[n+1]/RUD72와 같다. 따라서 조건 2는 다음의 것을 나타낸다. 그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의 최소 익스텐트 사이즈는 다음의 식 (2)의 우변에서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n+1)번째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의 사이즈 SEXT2[n]은 적어도 그 판독기간 PRD[n]에서 다음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1]의 판독기간 PRD[n+1]의 직전까지 RB2 (2212)에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에 전송되는 데이터량과 같다. 그 경우, 도 23 (b)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다음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1]의 판독기간 PRD[n+1]의 직전에서는 RB2 (2212)의 축적 데이터량 DA2가 (n+1)번째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의 판독기간 PRD[n]의 직전에서의 양을 밑돌지 않는다. 여기서, (n+1)번째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의 판독기간 PRD[n]의 길이는 그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의 사이즈 SEXT2[n]을 판독속도 RUD72로 나눈 값SEXT2[n]/RUD72와 같다. 따라서 조건 3은 다음과 같은 것을 나타낸다. 그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의 최소 익스텐트 사이즈는 다음의 식 (3)의 우변에서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1-2-2 : 익스텐트 블록간의 심리스 접속
도 24 (b)는 (M+1)번째(문자 M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의 익스텐트 블록(2401)과 (M+2)번째의 익스텐트 블록(2402) 및 이들 익스텐트 블록(2401, 2402)과 3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2420)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4 (b)를 참조하면 2개의 익스텐트 블록(2401, 2402)의 사이는 층 경계(LB) 또는 다른 데이터의 기록영역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재생경로(2420)에 따라서 먼저 (M+1)번째의 익스텐트 블록(2401)의 전체가 (M+1)번째의 익스텐트 SS, 즉 EXTSS[M]으로 일괄해서 판독된다. 그 직후에 점프 J[M]이 발생한다. 계속해서, (M+2)번째의 익스텐트 블록(2402)이 (M+2)번째의 익스텐트 SS, 즉 EXTSS[M+1]로서 일괄해서 판독된다.
도 24 (a)는 2개의 익스텐트 블록(2401, 2402)으로부터 연속해서 3D 영상이 심리스로 재생될 때 RB1 (2211), RB2 (2212)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DA1, DA2의 변화 및 이들의 합 DA1+DA2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군이다. 도 24 (a)에서는 일점 쇄선의 그래프는 RB1 (2211)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DA1의 변화를 나타내고, 점선의 그래프는 RB2 (2212)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DA2의 변화를 나타내며, 실선의 그래프는 양 데이터량의 합 DA1+DA2의 변화를 나타낸다. 여기서, 실선의 그래프는 데이터블록이 1개 판독될 때마다 생기는 미세한 변화를 평균화해서 직선적으로 근사한 것이다. 또, 제로 섹터 천이시간 TJUMP0는 0m초로 간주되고 있다.
도 24 (a)를 참조하면, EXTSS[M](2401)의 전체가 BD-ROM 디스크(101)로부터 RB1 (2211), RB2 (2212)에 판독되는 기간 PRBLK[M]에서는 그들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DA1, DA2도 증대한다. 구체적으로는 EXTSS[M](2401) 전체의 판독기간 PRBLK[M] 중 축적 데이터량의 합 DA1+DA2는 판독속도 RUD72와 평균 전송속도 REXTSS[M] 사이의 차 RUD72-REXTSS[M]과 같은 속도로 증가한다. 그 평균 전송속도 REXTSS[M]은 EXTSS[M](2401) 전체의 사이즈 SEXTSS[M]를 그 익스텐트 ATC 시간 TEXTSS로 나눈 값으로 평가된다.
평균 전송속도 REXTSS[M]의 구체적인 평가는 이하와 같다. 먼저, 익스텐트 ATC 시간이 다음과 같이 산정된다. EXTSS[M](2401)의 익스텐트 ATC 시간 TEXTSS[M]은 그 선두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0의 ATS A10와 EXTSS[M+1](2402) 내의 선두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1의 ATS A11의 사이의 차에 의거하여 다음의 식으로 나타낸다:
TEXTSS[M]=(A11-A10+WA) /TATC
여기서, 랩 어라운드 값 WA는 EXTSS[M](2401) 내의 선두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0의 ATS A10로부터 EXTSS[M+1](2402) 내의 선두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1의 ATS A11까지 ATC가 카운트 되는 기간 중 랩 어라운드가 생길 때마다 버려진 카운트 값의 합을 나타낸다. 또, 정수 TATC는 ATC의 주기를 나타낸다: TATC=27×106[Hz].
그 외에 익스텐트 ATC 시간은 다음과 같이 산정되어도 좋다. 도 24의 예에서 EXTSS[M](2401)의 익스텐트 ATC 시간 TEXT[M]은 그 선두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0의 ATS A10와 최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2의 ATS A12의 사이의 차에 의거하여 다음의 식으로 나타낸다:
TEXTSS[M]=(A12-A10+WA)/TATC+188×8/min(RTS1, RTS2).
여기서, 랩 어라운드 값 WA는 EXTSS[M](2401) 내의 선두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0의 ATS A10에서 최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2의 ATS A12까지 ATC가 카운트 되는 기간 중 랩 어라운드가 생길 때마다 버려진 카운트 값의 합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식의 우변 제 2항은 TS 패킷의 데이터 길이 188×8[비트]을 파일 2와 파일 DEP의 각각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1, RTS2 중 더 작은 쪽으로 나눈 값이다. 이값은 하나의 TS 패킷을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RB1로부터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RB2로부터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 중 더 긴 쪽과 같다. 이 익스텐트 ATC 시간의 계산에는 다음의 익스텐트 블록의 참조가 불필요하므로 다음의 익스텐트 블록이 존재하지 않아도 익스텐트 ATC 시간이 산정 가능하다. 또, 다음의 익스텐트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익스텐트 ATC 시간의 계산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평균 전송속도 REXTSS[M]이 다음의 데이터량 SPEXTSS[M]과 익스텐트 ATC 시간 TEXTSS[M]의 비로 평가된다: REXTSS[M]=SPEXTSS[M]/TEXTSS[M]. 그 데이터량 SPEXTSS[M]은 EXTSS[M](2401) 중 선두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0의 ATS A10에서 익스텐트 ATC 시간 TEXTSS[M]이 경과하는 동안에 RB1과 RB2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실제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총량과 같다. 도 17에 나타내고 있는 (n+1)번째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EXT2[n]과 같이, 대응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EXT1[n]의 ATS A1 (0)로부터 익스텐트 ATC 시간 TEXTSS[M]이 경과 할 때까지의 기간보다 뒤에 RB2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전송되는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의 데이터량 SPEXTSS[M]은 EXTSS[M](2401)의 사이즈 SEXTSS[M]보다 작다. 이와 같이, 평균 전송속도 REXTSS의 평가에 이용되는 데이터량 SPEXTSS[M]과 익스텐트 블록의 사이즈 SEXTSS[M]은 다르다. 그러나 그 차는 적으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평균 전송속도는 익스텐트 블록의 사이즈와 익스텐트 ATC 시간의 비와 같다고 간주한다.
EXTSS[M](2401)의 후단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2가 RB1 (2211)에 판독된 시점에서 축적 데이터량의 합 DA1+DA2는 최대치에 달한다. 그 직후의 점프기간 PJ[M]에서는 축적 데이터량의 합 DA1+DA2는 평균 전송속도 REXTSS[M]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축적 데이터량의 합 DA1+DA2의 최대치를 충분히 크게 조절함으로써 점프 J[M] 중에서의 RB1 (2211), RB2 (2212)의 어느 언더플로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2개의 익스텐트 블록(2401, 2402)를 심리스로 접속할 수 있다.
축적 데이터량의 합 DA1+DA2의 최대치는 EXTSS[M](2401)의 사이즈에 의존한다. 따라서 EXTSS[M](2401)을 EXTSS[M+1](2402)에 심리스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EXTSS[M](2401)의 사이즈가 다음의 조건 4를 만족하면 좋다.
EXTSS[M](2401)의 선단에 위치하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0의 판독기간 PRD0에서는 프리로드가 이루어진다. 그 프리로드 기간 PRD0에서는 아직 그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0에 대응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0이 RB1 (2211)에는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0를 RB2 (2212)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에 전송할 수 없다. 따라서 그 프리로드 기간 PRD0에서는 그 직전의 점프 J[M-1]의 기간에 이어서 M번째의 익스텐트 블록의 데이터가 RB2 (2212)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에 전송된다. 이에 의해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로의 데이터 공급이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EXTSS[M+1](2402)의 선단에 위치하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1의 판독기간 PRD1에서도 프리로드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그 프리로드 기간 PRD1에서는 그 직전의 점프기간 PJ[M]에 이어서 EXTSS[M](2401)의 데이터가 RB2 (2212)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에 전송된다. 이에 의해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로의 데이터 공급이 유지된다. 그러므로 점프 J[M] 중에서의 RB1 (2211), RB2 (2212)의 언더플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EXTSS[M](2401)의 익스텐트 ATC 시간 TEXTSS가 적어도 EXTSS[M](2401)에서의 프리로드 기간 PRD0의 종료시점 T0에서 EXTSS[M+1](2402)에서의 프리로드 기간 PRD1의 종료시점 T1까지의 기간의 길이와 같으면 좋다. 즉, EXTSS[M](2401)의 사이즈 SEXTSS[M]은 적어도 그 기간 T0-T1에 RB1 (2211)과 RB2 (2212)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에 전송되는 데이터량의 합과 같으면 좋다.
도 24 (a)로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기간 T0-T1의 길이는 EXTSS[M](2401)의 판독기간 PRBLK[M]의 길이, 점프 J[M]의 점프시간 TJUMP[M] 및 2개의 익스텐트 블록(2401, 2402) 사이에서의 프리로드 기간 PRD0, PRD1의 길이의 차 TDIFF[M]를 더한 값과 같다. 또, EXTSS[M](2401)의 판독기간 PRBLK[M]의 길이는 EXTSS[M](2401)의 사이즈 SEXTSS[M]를 판독속도 RUD72로 나눈 값 SEXTSS[M]/RUD72와 같다. 따라서 조건 4는 다음의 것을 나타낸다. EXTSS[M](2401)의 최소 익스텐트 사이즈는 다음의 식 (4)의 우변에서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각 프리로드 기간 PRD0, PRD1의 길이는 각 익스텐트 블록(2401, 2402)의 선단에 위치하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0, D1의 사이즈 SEXT20, SEXT21를 판독속도 RUD72로 나눈 값 SEXT20/RUD72, SEXT21/RUD72와 같다. 따라서 프리로드 기간 PRD0, PRD1의 길이의 차 TDIFF는 이들 값의 차와 같다: TDIFF=SEXT21/RUD72-SEXT20/RUD72. 또, 식 (4)의 우변은 식 (1)-(3)의 우변과 마찬가지로 바이트 단위의 정수치로 나타내도 좋다.
여기서,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의 복호처리를 다음과 같이 변형하는 경우, 식 (4)에서는 차 TDIFF를 0으로 간주해도 좋다. 먼저,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의 전체에서의 차 TDIFF의 최대치, 즉 차 TDIFF의 워스트치를 미리 구해 둔다. 다음에, 그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를 재생할 때 그 복호처리의 개시시점을 그 판독의 개시시점보다도 차 TDIFF의 워스트 치에 동일한 시간만큼 늦춘다.
[2: 리드 버퍼의 용량을 절약하기 위한 조건]
심리스 재생을 위한 상기의 조건 1-4에 의해 데이터블록과 익스텐트 블록의 최소 익스텐트 사이즈는 제한된다. 한편,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일반적으로는 각 데이터블록의 사이즈가 클수록 리드 버퍼는 큰 용량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리드 버퍼의 용량을 가능한 한 삭감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블록과 익스텐트 블록의 각 사이즈의 상한을 가능한 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한을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라고 한다.
2-1: 리드 버퍼의 용량의 하한
도 25 (a)는 도 24 (b)에 나타내고 있는 2개의 익스텐트 블록(2401, 2402)에서 연속해서 3D 영상이 심리스로 재생될 때 RB1 (2211)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DA1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5 (a)를 참조하면, 축적 데이터량 DA1는 EXTSS[M](2401)의 후단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2가 RB1 (2211)에 판독된 직후의 값 DM1에서 점프기간 PJ[M]과 EXTSS[M+1](2402)의 프리로드 기간 PRD1에 걸쳐서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으로 감소한다. 여기서, 문자 n는 0 이상의 정수이며, EXTSS[M](2401) 내의 최후의 익스텐트 페어 D2, B2가 파일 DEP, 파일 베이스의 각 선두의 익스텐트로부터 세어서 (n+1)번째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그 프리로드 기간 PRD1의 종료까지 축적 데이터량 DA1이 0에 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값 DM1이 다음의 데이터량 이상이면 좋다. 그 데이터량은 점프기간 PJ[M]과 프리로드 기간 PRD1에서 RB1 (2211)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에 전송되는 데이터량이며, 각 기간의 길이 TJUMP, SEXT2[n+1]/RUD72의 합에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을 곱한 값과 같다: DM1≥(TJUMP+SEXT2[n+1]/RUD72)×REXT1[n].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은 최고치 RMAX1=RTS1×192/188까지 달할 수 있으므로 RB1 (2211)의 용량 RB1의 하한은 다음의 식 (5)의 우변에서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도 25 (b)는 2개의 익스텐트 블록(2401, 2402)으로부터 연속해서 3D 영상이 심리스로 재생될 때 RB2 (2212)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DA2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5 (b)를 참조하면, 축적 데이터량 DA2는 EXTSS[M](2401)의 후단에 위치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2의 판독이 개시된 시점에서의 값 DM2로부터 그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2의 판독기간과 EXTSS[M+1](2402)의 프리로드 기간 PRD1에 걸쳐서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n]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그 프리로드 기간 PRD1의 종료까지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로의 데이터 공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값 DM2가 다음의 데이터량 이상이면 좋다. 그 데이터량은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2의 판독기간, 점프기간 PJ[M] 및 프리로드 기간 PRD1에서 RB2 (2212)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에 전송되는 데이터량이며, 각 기간의 길이 SEXT1[n]/RUD72, TJUMP 및 SEXT2[n+1]/RUD72의 합에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n]을 곱한 값과 같다: DM2≥(SEXT1[n]/RUD72+TJUMP+SEXT2[n+1]/RUD72)×REXT2[n]. 여기서,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n]은 최고치 RMAX2=RTS2×192/188까지 달할 수 있다. 또, 어느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도 인터럽트 재생시에 최초로 판독되는 데이터블록이 될 수 있다. 따라서 RB2 (2212)의 용량 RB2는 어느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 SEXT2[·]도 밑돌아서는 안 된다. 즉, 그 용량 RB2는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maxSEXT2 이상이 아니면 안 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RB2 (2212)의 용량 RB2의 하한은 다음의 식 (6)의 우변에서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2-2: 2D 익스텐트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식 (5)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익스텐트 블록간의 점프 J[M]의 직후에 판독되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1의 사이즈 SEXT2[n+1]이 작을수록 RB1 (2211)의 용량의 하한을 축소할 수 있다. 한편, 식 (6)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그 점프 J[M]의 직후에 판독되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1의 사이즈 SEXT2[n+1]에 더하여, 그 점프 J[M]의 직전에 판독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2의 사이즈 SEXT1[n]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maxSEXT2의 각각이 작을수록 RB2 (2212)의 용량의 하한을 축소할 수 있다. 또, (k+1)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k]는 (k+1)번째의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k]와 익스텐트 ATC 시간이 공통이다(문자 k는 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k+1)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k]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의 제한에 의해 그 익스텐트 ATC 시간이 단축되면, (k+1)번째의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k]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도 제한된다. 따라서 RB1 (2211), RB2 (2212)의 각 용량의 하한을 허용범위 내에 억제하기 위해서는 각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EXT1[·]의 사이즈가 다음의 조건 5를 만족하면 좋다.
도 15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각 익스텐트 블록(1501-1503) 내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k](k=0, 1, 2, …)는 파일 2D(241)와 파일 SS(244A)에 공유되고 있다. 따라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k]의 사이즈 SEXT1[k]는 식 (1)을 만족해야 한다. 식 (1)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k]의 사이즈 SEXT1[k]를 가능한 한 축소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하면 좋다: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k]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를 식 (1)의 우변의 상한, 즉,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k]의 최소 익스텐트 사이즈의 상한에 가능한 한 접근하면 좋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는 조건 5는 다음의 것을 나타낸다.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k]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는 다음의 식 (7)의 우변에서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식 (7)의 우변은 식 (1)의 우변과는 다음의 점에서 다르다. 먼저, 분모에 포함되는 평균 전송속도 REXT2D가 그 최고치 RMAX2D로 치환되어 있다. 따라서 식 (7)의 우변의 2번째의 분수는 식 (1)의 것의 최대치와 같다. 다음에, 식 (7)의 점프시간 TJUMP-2D_MIN는 도 21의 표에 규정된 최대 점프시간 TJUMP _ MAX 중에서 0m초의 다음에 큰 값 200m초로 설정된다. 이는 「각 익스텐트 블록(1501-1503) 내에서는 2D 익스텐트 EXT2D[k], EXT2D[k+1]의 간격은 10000 섹터 이하로 제한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10000 섹터는 도 21의 표에서 최대 점프시간 TJUMP _ MAX=200m초에 대응된 최대 점프거리 SJUMP _ MAX와 같다. 한편, 각 익스텐트 블록(1501-1503) 내에서의 2D 익스텐트 EXT2D[k], EXT2D[k+1]의 간격은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k]의 사이즈 SEXT2[k]와 같다. 따라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가 식 (7)의 우변에 나타내는 것은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가 10000 섹터 이하로 제한되는 것을 의미한다.
2-3: 2D 익스텐트로에의 마진의 추가
도 21에 나타내고 있는 2D 재생 모드의 재생경로(2101)로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2D 재생 모드에서는 점프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심리스 재생을 더 확실히 실시하기 위해서는 식 (1)의 우변에 나타내고 있는 2D 익스텐트의 최소 익스텐트 사이즈에 마진(여유량)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마진의 추가에 의해 식 (7)이 변경되는 것은 리드 버퍼의 용량의 증대를 초래할 수도 있으므로 회피해야 한다. 식 (7)을 변경하지 않도록 마진을 추가하는 방법에는 이하의 3종류가 있다.
제 1의 방법은 식 (1)의 우변의 분모에 포함되는 평균 전송속도 REXT2D를 그 최고치 RMAX2D로 치환한다. 즉, 2D 익스텐트의 사이즈 SEXT2D는 식 (1)에 대신하여 다음의 식 (8)을 만족한다:
Figure pct00008
상기와 같이, 평균 전송속도 REXT2D를 그 최고치 RMAX2D에로 치환하는 것은 식 (1)에서 식 (7)을 도출했을 때와 동일하다. 따라서 식 (1)이 식 (8)으로 변경되어도 식 (7)은 변경되지 않는다.
제 2의 방법은 2D 익스텐트의 익스텐트 ATC 시간을 ΔT초 연장한다. 즉, 2D 익스텐트의 사이즈 SEXT2D는 식 (1)에 대신하여 다음의 식 (9A) 또는 (9b)를 만족한다:
Figure pct00009
연장시간 ΔT는 GOP의 길이, 또는 소정 시간당 재생 가능한 익스텐트 수의 상한으로부터 결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GOP의 길이가 최대 1초이면, 연장시간 ΔT는 1초로 설정된다. 한편, 소정 시간[초]당 재생 가능한 익스텐트 수의 상한이 k개이면, 연장시간 ΔT는 소정 시간 /k[초]로 설정된다.
제 2의 방법에서는 식 (7)은 그 우변이 연장시간 ΔT를 양에 포함하도록 변경된다. 즉, 식 (9A) 또는 (9B)이 채용되는 경우,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는 식 (7)에 대신하여 다음의 식 (10A) 또는 (10b)를 만족한다:
Figure pct00010
식 (10A)의 우변에서 나타내는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는 식 (1)의 우변에서 나타내는 최소 익스텐트 사이즈보다 연장시간 ΔT에 리드 버퍼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에 판독되는 데이터량만큼 크다. 식 (10B)의 우변에서 나타내는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는 식 (7)의 우변에서 나타내는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보다 동일한 데이터량만큼 크다. 즉, 어느 경우에도 그 데이터량이 마진으로 확보된다.
제 3의 방법은 식 (1)의 우변에 포함되는 평균 전송속도 REXT2D를 모두 그 최고치 RMAX2D로 치환한다. 즉, 2D 익스텐트의 사이즈 SEXT2D는 식 (1)에 대신하여 다음의 식 (11)을 만족한다:
Figure pct00011
제 3의 방법에서는 최소 익스텐트 사이즈에 제 1의 방법보다 큰 마진을 추가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반면 2D 익스텐트의 비트 레이트가 낮은 경우에도 그 사이즈가 크므로 리드 버퍼에는 충분히 큰 용량이 확보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마진의 크기와 리드 버퍼의 이용효율이라는 비교 형량(比較衡量)이 필요하다.
2-4: 데이터블록의 전송대역 폭의 제한
도 7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디펜던트 뷰 픽쳐는 베이스 뷰 픽쳐를 참조해서 압축되고 있다. 따라서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보다 평균적인 비트 레이트가 일반적으로 낮다. 따라서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2는 파일 2D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1보다 일반적으로는 낮게 설정된다. 예를 들어, 파일 2D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1이 45Mbps 이하로 설정될 때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2는 30Mbps 이하로 설정된다: RTS1≤45Mbps, RTS2≤30Mbps.
여기서, 시스템 레이트 RTS1, RTS2의 합계가 임계치 이하로 제한되고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그 임계치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에 할당된 전송대역의 폭 이하로 설정되며, 예를 들어 60Mbps와 같다: RTS1+RTS2≤60Mbps. 그 경우, 파일 2D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1이 45Mbps로 설정되면,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2는 15Mbps 이하로 제한된다: RTS1=45Mbps, RTS2≤15Mbps. 각 비디오 스트림의 비트 레이트가 평균적인 값에 유지되고 있는 한 시스템 레이트 RTS1, RTS2의 합계에 대한 그와 같은 제한은 상기의 전송대역을 효율 좋게 이용하는데 유리하다. 그러나 실제로는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비트 레이트가 일시적으로 상승하여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의 비트 레이트를 초과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자연의 풍경을 나타내는 3D 영상에서 카메라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베이스 뷰(예를 들어 레프트 뷰)의 초점이 갑자기 벗어나서 디펜던트 뷰(예를 들어 라이트 뷰)의 초점만이 맞는 경우, 그와 같은 비트 레이트의 역전이 발생한다. 그 경우,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는 시스템 레이트 RTS1=45Mbps보다 상당히 낮음에도 불구하고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는 시스템 레이트 RTS2≤15Mbps(정확하게는 192/188≒1.02배이다. 이하, 특별히 필요하지 않은 한 그 계수는 1로 간주한다)를 넘을 수가 없다. 이와 같이, 시스템 레이트 RTS1, RTS2의 합계가 제한되어 있는 경우,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가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비트 레이트의 일시적인 상승에는 대응할 수 없다.
그 대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레이트 RTS1, RTS2의 합계를 제한하는데 대신하여 (n+1)번째의 익스텐트 페어 D[n], B[n](n=0, 1, 2, …)별로 전송속도 REXT1[n], REXT2[n]의 합계를 제한하면 좋다: REXT1[n]+REXT2[n]≤60Mbps. 도 26 (a), (b)는 각각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과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의 시간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6 (a)을 참조하면,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는 제 1 시각 T0에서 최고치 RMAX1≒45Mbps로부터 급락하고, 제 1 시각 T0에서 제 2 시각 T1까지의 기간 Tstr 중 저 레벨=15Mbps에 머물고 있다. 도 26 (b)에서 실선의 그래프 GR1이 나타내는 것과 같이,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는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의 변화에 대하여 상보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의 기간 Tstr에는 피크 P1이 최고치 RMAX2≒30Mbps까지 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과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n]의 합계가 익스텐트 단위로 제한되고 있는 경우,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는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비트 레이트의 일시적인 상승에도 대응할 수 있다.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에 할당된 전송대역을 스트림 데이터의 전송에 더 효율 좋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2를 더 높게 설정한다. 도 26 (c)는 도 26 (a)에 나타내고 있는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과 도 26 (b)에 나타내고 있는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의 합계의 시간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6 (c)에서 실선의 그래프 GR3의 오목부 CV가 나타내는 것과 같이,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과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의 합계는 제 1 시각 T0에서 제 2 시각 T1까지의 기간 Tstr 중 임계치 60Mbps를 밑돌고 있다. 이는 도 26 (b)에서 실선의 그래프 GR1이 나타내는 것과 같이,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가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2=30Mbps 이하로 제한되고 있는 것에 기인하다. 도 26 (a)이 나타내는 것과 같이, 그 기간 Tstr에서는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는 15Mbps까지 강하하고 있으므로, 전송대역 폭에는 적어도 그 값과 임계치의 사이의 차 60-15=45Mbps와 같은 여유가 남아 있다. 따라서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2는 30Mbps보다 높은 범위, 바람직하게는 파일 2D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1과 동일한 범위, 예를 들어 45Mbps 이하로 설정된다: RTS1≤45Mbps, RTS2≤45Mbps. 도 26 (b), (c)에는 각각 그 경우에서의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 및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과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의 합계가 점선의 그래프 GR2, GR4로 나타나 있다. 도 26 (b)에서 점선의 그래프 GR2가 나타내는 것과 같이,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의 피크 P2는 30Mbps를 넘을 수 있다. 그 결과, 도 26 (c)에서 점선의 그래프 GR4가 나타내는 것과 같이,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과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의 합계는 상기의 기간 Tstr중 임계치 60Mbps의 근방에 유지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의 전송대역의 이용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단,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2를 파일 2D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1과 동일한 정도로 큰 값으로 설정한 경우, 이들의 합계 RTS1+RTS2는 일반적으로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의 전송대역보다 높다. 한편,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과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n]은 모두 평균치이므로 이들의 합계에 임계치를 두어도 전송속도의 순시치의 합계가 그 임계치를 넘는 것까지는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로 각 시스템 레이트 RTS1, RTS2가 45Mbps로 설정되고, 각 익스텐트의 익스텐트 ATC 시간이 3초간이고, 또한 그 전반의 1.5초간에서는 전송속도의 합계가 30Mbps로 유지되고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그 경우, 후반의 1.5초간에서 각 전송속도가 만일 시스템 레이트 45Mbps까지 상승했다고 하더라도 익스텐트 전체에서 평균한 전송속도의 합계는 60Mbps로 억제된다. 따라서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과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n]의 합계를 60Mbps 이하로 제한하더라도 전송속도의 순시치의 합계가 45Mbps×2=90Mbps까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과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n]의 합계를 제한하는 것만으로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의 전송대역이 포화하는 위험성을 없앨 수는 없다.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의 전송 대역이 포화하는 위험성을 더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평균 전송속도의 합계에 대한 제한을 다음과 같이 더 변경한다. 도 27은 RB1 (2211), RB2 (2212)의 각각으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에 전송되는 TS 패킷과 ATC 시간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상단의 직사각형(2710)은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에 포함되는 TS 패킷, TS1#p(p=0, 1, 2, 3, …, k, k+1, k+2)의 전송기간을 나타내고, 하단의 직사각형(2720)은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에 포함되는 TS 패킷, TS2#q(q=0, 1, 2, 3, …, m-1, m, m+1)의 전송기간을 나타낸다. 이들 직사각형(2710, 2720)은 ATC의 시간 축 방향으로 TS 패킷의 전송 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각 구형(2710, 2720)의 선두의 위치는 그 TS 패킷의 전송개시시각을 나타낸다. 각 구형(2710, 9320)의 길이 AT1, AT2는 1개의 TS 패킷이 RB1 (2211), RB2 (2212)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에 전송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나타낸다. 3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102)는 하나의 TS 패킷을 전송하기 시작할 때마다 그 전송개시시각을 기점으로 하는 소정 시간 길이, 예를 들어 1초간의 윈도 WIN1, WIN2, WIN3을 설정한다. 또, 재생장치(102)는 각 윈도 WIN1, WIN2, WIN3 내에서 TS1과 TS2의 각 전송속도를 평균하고, 이들의 평균치의 합계를 소정의 임계치 이하로 제한한다. 도 27에 나타내고 있는 예에서는 먼저, TS1#0의 전송개시시각 A1를 기점으로 하는 제 1 윈도 WIN1이 설정되고, 그 중에 전송되는 TS1#0-k와 TS2#0-m에 대하여 평균 전송속도의 합계가 임계치 이하로 제한된다. 마찬가지로, TS2#0의 전송개시시각 A2를 기점으로 하는 제 2 윈도 WIN2 중에서 전송되는 TS1#0-(k+1)과 TS2#0-m 및 TS1#1의 전송개시시각 A3을 기점으로 하는 제 3 윈도 WIN3 중에서 전송되는 TS1#1-(k+1)과 TS2#0-(m+1)의 각각에 대하여 평균 전송속도의 합계가 임계치 이하로 제한된다. 이와 같이, 각 TS 패킷의 전송개시시각에서 일정 길이의 윈도를 설정할 때마다 각 윈도에서의 평균 전송속도의 합계를 소정의 임계치 이하로 제한한다. 이에 의해 윈도가 짧을수록 시스템 타깃 디코더(2203)의 전송 대역이 포화하는 위험성이 감소한다.
2-5: 시스템 레이트와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의 사이의 관계
식 (5), (6)를 참조하면, RB1 (2211), RB2 (2212)의 각 용량의 하한은 익스텐트 블록간의 점프 J[M]의 최대 점프시간 TJUMP _ MAX와 시스템 레이트 RTS1, RTS2에도 의존한다. 특히, 점프 J[M]이 롱 점프이고, 또한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2가 파일 2D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1보다 높게 상승하는 경우, RB2 (2212)의 용량의 하한이 허용범위를 초과할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그 시스템 레이트 RTS2의 상승에 관계없이, RB2 (2212)의 용량의 하한을 허용범위 내에 두려기 위해서는 점프 J[M]의 최대 점프시간 TJUMP _ MAX와 그 시스템 레이트 RTS2에 의해 각 데이터블록 EXT1[·], EXT2[·]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maxSEXT1, maxSEXT2를 변경해야 한다. 특히, 롱 점프의 직전에 판독되는 익스텐트 블록에 대해서는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2가 높을수록 데이터블록 EXT1[·], EXT2[·]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는 축소되어야 한다.
도 28 (a)는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2와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의 사이의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표이다. 여기서, (i+1)번째의 익스텐트 페어 EXT1[i], EXT2[i](문자 i는 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에 대한 평균 전송속도 REXT1[i], REXT2[i]의 합계가 임계치 64Mbps 이하인 것을 상정한다: REXT1[i]+REXT2[i]≤64Mbps. 도 28 (a)을 참조하면, 먼저 익스텐트 페어 B[i], D[i]는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2 및 BD-ROM 디스크 상에서의 배치에 의해 3종류의 타입 (A), (B), (C)로 분류된다. 그 시스템 레이트 RTS2가 임계치 32Mbps보다 높은 경우, 롱 점프의 직전에 판독되는 익스텐트 블록 내의 2번째 이후의 익스텐트 페어가 타입 (B)로 분류되고, 롱 점프의 직후에 판독되는 익스텐트 블록 내의 선두의 익스텐트 페어가 타입 (C)로 분류된다. 한편, 그 시스템 레이트 RTS2가 임계치 32Mbps 이하인 경우에서의 모든 익스텐트 페어 및, 그 시스템 레이트 RTS2가 임계치 32Mbps보다 높은 경우에서의 타입 (B), (C) 이외의 익스텐트 페어는 타입 (A)로 분류된다. 다음에, 각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는 타입 (A), (B), (C)별로 다른 값으로 설정된다. 타입 (A)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i]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는 일률적으로 19MB로 설정된다 : SEXT1[i]≤19MB. 타입 (A)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i]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는 상기의 시스템 레이트 RTS2가 임계치 32Mbps 이하인 경우는 일률적으로 6MB로 설정되고, 임계치 32Mbps를 초과하는 경우는 일률적으로 8MB로 설정된다: SEXT2[i]≤6MB, 8MB. 타입 (B)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i]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는 7MB로 축소되고,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i]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는 3MB로 축소된다: SEXT1[i]≤7MB, SEXT2[i]≤3MB. 타입 (C)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i]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는 타입 (A)과 동일한 19MB로 설정되고,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i]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는 타입 (A)보다 작은 6MB로 설정된다: SEXT1[i]≤19MB, SEXT2[i]≤6MB.
또, 도 28 (a)에 나타내고 있는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의 구체적인 수치는 평균 전송속도의 합계에 대한 임계치=64Mbps 등, 상정되어 있는 파라미터의 구체적인 값에 의거하여 최적화된 일 예에 지나지 않는다. 이하에 설명하는 이들의 수치의 결정 방법으로부터도 명백한 것과 같이, 이들 수치는 BD-ROM 드라이브의 판독속도와 점프에 관한 성능, 각 리드 버퍼로부터 디코더로의 평균 전송속도와 그들의 합계에 대한 임계치, 각 AV 스트림 파일의 시스템 레이트와 그 상한,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의 임계치 등, 각종 파라미터에 의존한다. 또,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의 허용 오차는 각종 파라미터의 변동 범위나 설정 정밀도에 의존한다. 당업자라면 이러한 의존관계에 의거하여 실제로 이용 가능한 리드 버퍼의 용량에 따라서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및 그 허용 오차를 최적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도 28 (a)에서는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가 임계치와 같은 경우, 어느 익스텐트 페어도 타입 (A)로 분류된다. 그 외에, 그 경우에도 롱 점프의 직전에 판독되는 익스텐트 블록 내의 2번째 이후의 익스텐트 페어가 타입 (B)로 분류되고, 롱 점프의 직후에 판독되는 익스텐트 블록 내의 선두의 익스텐트 페어가 타입 (C)로 분류되어도 좋다.
도 28 (b)는 BD-ROM 디스크 상에서 각각 층 경계(LB)의 직전, 직후에 배치된 제 1 익스텐트 SS EXTSS[0]와 제 2 익스텐트 SS EXTSS[1]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2개의 익스텐트 SS EXTSS[0], EXTSS[1]의 사이는 층 경계(LB)에 의해 분리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사이에서는 롱 점프가 발생한다. 그 경우,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2가 임계치 32Mbps보다 높으면, 제 1 익스텐트 SS EXTSS[0] 내의 2번째 이후의 익스텐트 페어 B[1], D[1], B[2], D[2]는 타입 (B)로 분류되고, 제 2 익스텐트 SS EXTSS[1] 내의 선두의 익스텐트 페어 B[3], D[3]은 타입 (C)로 분류된다.
도 28 (c)는 BD-ROM 디스크 상에서 각각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의 기록영역 NAV의 직전, 직후에 배치된 제 3 익스텐트 SS EXTSS[10]과 제 4 익스텐트 SS EXTSS[11]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8 (c)에서는 2개의 익스텐트 SS EXTSS[10], EXTSS[11]의 사이를 분리하고 있는 기록영역 NAV의 섹터 수는 40000 이하이다. 그 경우, 2개의 익스텐트 SS EXTSS[10], EXTSS[11]간에 발생하는 점프는 롱 점프는 아니다. 따라서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2의 값에 관계없이 제 3 익스텐트 SS EXTSS[10] 내의 2번째 이후의 익스텐트 페어 B[11], D[11], B[12], D[12]와, 제 4 익스텐트 SS EXTSS[11]의 선두의 익스텐트 페어 B[13], D[13]는 모두 타입 (A)로 분류된다. 한편, 그 기록영역 NAV의 섹터 수가 40001 이상인 경우, 2개의 익스텐트 SS EXTSS[10], EXTSS[11]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점프는 롱 점프이다. 따라서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2가 임계치 32Mbps보다 높으면 도 28 (c)와는 다르며, 제 3 익스텐트 SS EXTSS[10] 내의 2번째 이후의 익스텐트 페어 B[11], D[11], B[12], D[12]는 타입 (B)로 분류되고, 제 4 익스텐트 SS EXTSS[11] 내의 선두의 익스텐트 페어 B[13], D[13]은 타입 (C)로 분류된다.
도 28 (a)에 나타내고 있는 타입 (A)의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먼저, (i+1)번째의 익스텐트 페어 EXT1[i], EXT2[i]에 대한 평균 전송속도 REXT1[i], REXT2[i]의 합계가 임계치 64Mbps에 일치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REXT1[i]+REXT2[i]=64Mbps. 그 경우, 그 익스텐트 페어 EXT1[i], EXT2[i] 전체의 데이터량은 최대이다. 다음에, 이들의 평균 전송속도 REXT1, REXT2의 여러가지 조합에 대하여 각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maxSEXT1, maxSEXT2와 익스텐트 ATC 시간 TEXT가 구해진다.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maxSEXT1, maxSEXT2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은 다음의 3개이다: 1. 조건 5로서 식 (10A)가 만족된다. 여기서, 연장시간 ΔT는 1초로 설정된다. 2. 양쪽의 데이터블록 간에 익스텐트 ATC 시간 TEXT가 일치한다. 3. 조건 2, 3이 모두 만족된다. 이렇게 구해진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maxSEXT1, maxSEXT2 중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가 시스템 레이트 RTS2 이하인 경우의 것이고, 또한 최대의 것이 실제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로 선택된다. 또, 조건 5는 식 (7) 또는 (10B)로 나타내어도 좋다. 조건 5는 그 외에, 데이터블록의 사이즈가 식 (8) 또는 (11)의 우변의 상한 이하라고 하는 부등식으로 나타내어도 좋다.
도 29는 평균 전송속도 REXT1, REXT2의 조합별로 각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maxSEXT1, maxSEXT2와 익스텐트 ATC 시간 TEXT를 나타내는 표이다. 여기서, 파일 2D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1과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2는 모두 48Mbps 이하인 경우를 상정한다: RTS1≤48Mbps, RTS2≤48Mbps. 예를 들어,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i]가 48Mbps일 때 식 (10A)로부터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maxSEXT1는 약 19MB이고, 그 익스텐트 ATC 시간 TEXT가 약 3.2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i]가 64-48=16Mbps이므로 그것과 익스텐트 ATC 시간 TEXT= 약 3.2초의 곱으로부터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maxSEXT2가 약 6MB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평균 전송속도 REXT1, REXT2의 다른 조합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maxSEXT1, maxSEXT2가 구해진다.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2가 임계치 32Mbps 이하인 경우,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도 32Mbps 이하이다. 도 29로부터 각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maxSEXT1, maxSEXT2로서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32Mbps의 범위에서의 최대치 약 19MB, 약 6MB가 선택된다. 한편, 시스템 레이트 RTS2가 임계치 32Mbps를 초과하고 있을 때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는 48Mbps까지 상승 가능하다. 도 29로부터 각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maxSEXT1, maxSEXT2로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48Mbps의 범위에서의 최대치 약 19MB, 약 8MB가 선택된다.
도 28 (a)에 나타내고 있는 타입 (B)의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는 이하와 같이 결정된다. 먼저, 식 (6)으로부터는 다음의 내용이 명백하다: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2가 상한치 48Mbps에 달할 때 RB2 (2212)의 용량의 하한은 최대가 된다. 그 하한을 가능한 한 낮게 억제하기 위해서는 롱 점프의 직전에 판독되는 익스텐트 블록 내의 최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를 가능한 한 축소하면 좋다. 이를 위해서는 식 (2)-(4)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되는 것과 같이, 동일한 익스텐트 블록 내의 2번째 이후의 데이터블록, 즉 타입 (B)의 데이터블록의 사이즈 SEXT1[i], SEXT2[i]를 모두 가능한 한 축소하면 좋다.
타입 (B)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는 다음과 같이 축소된다. 도 29의 표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하나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EXT2[i]에 대한 평균 전송속도 REXT2[i]가 상한치 48Mbps에 달할 때 동일한 익스텐트 페어에 속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EXT1[i]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maxSEXT1[i]는 약 3MB이다. 이값의 삭감을 목적으로 타입 (B)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maxSEXT2[i]가 도 29에 나타내고 있는 값, 약 8MB보다 축소된다. 예를 들어, 도 28 (a)에 나타내고 있는 표에서는 그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maxSEXT2[i]는 약 3MB로 제한된다. 여기서, 동일한 익스텐트 페어에 속하는 데이터블록 사이에서는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가 약 3MB인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EXT2[i]에 대한 평균 전송속도 REXT2[i]가 상한치 48Mbps에 달할 때 동일한 익스텐트 페어에 속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EXT1[i]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maxSEXT1[i]는 약 1MB로 제한된다. 식 (5)로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롱 점프의 직전에 판독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를 상기와 같이 약 3MB에서 약 1MB까지 축소함으로써 RB1 (2211)의 용량의 하한을 약 1.4MB 삭감할 수 있다: (3MB/72Mbps)×48Mbps×(192/188)-(1MB/72Mbps)×48Mbps×(192/188)=2.1MB-0.7MB=1.4MB.
타입 (B)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는 다음과 같이 축소된다. (i+2)번째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EXT2[i+1]의 사이즈 SEXT2[i+1]이 약 3MB이고, 또한 (i+1)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EXT1[i]에 대한 평균 전송속도 REXT1[i]가 상한치 48Mbps에 달할 때 식 (2)의 우변에서 나타내는 최소 익스텐트 사이즈 minSEXT1[i]는 약 7MB와 같다: 48Mbps×(192/188)×3MB/(72Mbps-48Mbps×(192/188))=6.4MB≒7MB. 따라서 조건 2가 만족되도록 타입 (B)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는 약 7MB로 결정된다.
도 28 (a)에 나타내고 있는 타입 (C)의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는 이하와 같이 결정된다. 식 (5), (6)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되는 것과 같이, 타입 (C)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 SEXT1[·]은 리드 버퍼의 용량의 하한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타입 (C)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는 타입 (A)의 것과 동일하다. 한편, 타입 (C)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 SEXT2[·]은 RB1 (2211), RB2 (2212)의 어느 용량의 하한에도 영향을 준다. 즉, 각 시스템 레이트 RTS1, RTS2가 상한치 48Mbps에 달할 때 RB1 (2211), RB2 (2212)의 각 용량의 하한은 최대가 된다. 이들의 하한을 가능한 한 낮게 억제하기 위해서는 타입 (C)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를 가능한 한 축소하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그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maxSEXT2[i]가 도 29에 나타내고 있는 값, 약 8MB보다 축소된다. 예를 들어, 도 28 (a)에 나타내고 있는 표에서는 그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maxSEXT2[·]는 약 6MB로 제한된다. 그 값은 도 29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동일한 익스텐트 페어에 속하는 데이터블록의 사이에 평균 전송속도 REXT1[n], REXT2[·]이 동일한 값, 32Mbps에 일치할 때의 각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와 같다. 식 (5)과 도 29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되는 것과 같이, 타입 (C)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가 그 값 약 6MB를 밑돌 때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에 대한 평균 전송속도는 32Mbps를 초과하여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타입 (C)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를 약 6MB보다 축소한 경우, RB1 (2211)의 용량의 하한은 오히려 삭감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maxSEXT2[·]은 약 6MB로 결정된다. 식 (5), (6)으로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타입 (C)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를 상기와 같이 약 8MB에서 약 6MB까지 축소함으로써 RB1 (2211)과 RB2 (2212)의 용량의 하한을 모두 약 1.5MB 삭감할 수 있다: (8MB/72Mbps)×48Mbps×(192/188)-(6MB/72Mbps)×48Mbps×(192/188)=5.5MB-4MB=1.5MB.
도 28 (a)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2가 소정의 임계치(예를 들어 32Mbps)보다 높게 상승하는 경우에는 타입 (B)의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는 축소되고, 시스템 레이트 RTS2가 그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서의 값(예를 들어, 19MB, 6MB)보다 작은 값(예를 들어, 6MB, 3MB)으로 설정된다. 또, 타입 (C)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는 타입 (A)의 것(예를 들어 8MB)보다 작은 값(예를 들어 6MB)으로 설정된다. 그 결과, BD-ROM 디스크(101)는 식 (2)-(4)를 만족한 상태로 재생장치(102)에 RB1 (2211)과 RB2 (2212)의 어느 용량의 하한도 허용범위 내로 유지시킬 수 있다. 즉, BD-ROM 디스크(101)는 2D 재생 모드와 3D 재생 모드의 어느 재생장치(102) 내의 리드 버퍼에도 언더플로를 발생시키지 않고 그 용량을 더 삭감시킬 수 있다.
≪클립정보파일≫
도 30은 제 1 클립정보파일(01000.clpi), 즉 2D클립정보파일(231)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02000.clpi, 03000.clpi)(232, 233)도 동일한 데이터 구조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먼저, 클립정보파일 전반에 공통되는 데이터 구조를 2D클립정보파일(231)의 데이터 구조를 예로 설명한다. 그 후, 2D클립정보파일과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의 데이터 구조상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0을 참조하면, 2D클립정보파일(231)은 클립정보(3010), 스트림 속성정보(3020), 엔트리 맵(3030) 및 3D메타데이터(3040)를 포함한다. 3D메타데이터(3040)는 익스텐트 기점(3042)를 포함한다.
클립정보(3010)는 도 30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시스템 레이트(3011), 재생개시시각(3012) 및 재생종료시각(3013)을 포함한다. 시스템 레이트(3011)는 파일 2D(01000.m2ts)(241)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를 규정한다. 여기서, 도 19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2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102)는 파일 2D(241)에 속하는"TS 패킷"을 리드 버퍼(1902)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1903)에 전송한다. 따라서 파일 2D(241)에서는 TS 패킷의 전송속도가 시스템 레이트 RTS 이하로 억제되도록 소스 패킷의 ATS의 간격이 설정되어 있다. 재생개시시각(3012)은 파일 2D(241)의 선두의 VAU에 할당된 PTS, 예를 들어 선두의 영상프레임의 PTS를 나타낸다. 재생종료시각(3012)은 파일 2D(241)의 후단의 VAU에 할당된 PTS로부터 소정 양 더 지연된 STC의 값, 예를 들어 최후의 영상프레임의 PTS에 1 프레임당의 재생시간을 더한 값을 나타낸다.
스트림 속성정보(3020)는 도 30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파일 2D(241)에 포함되는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PID(3021)과 그 속성정보(3022) 사이의 대응 표이다. 속성정보(3022)는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PG 스트림 및 IG 스트림의 각각에서 다르다.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의 PID0x1011에 대응된 속성정보는 그 비디오 스트림의 압축에 이용된 코덱의 종류, 그 비디오 스트림을 구성하는 각 픽쳐의 해상도, 어스펙트 비 및 프레임 레이트를 포함한다. 한편, 프라이머리 오디오 스트림의 PID0x1100에 대응된 속성정보는 그 오디오 스트림의 압축에 이용된 코덱의 종류, 그 오디오 스트림에 포함되는 채널 수, 언어 및 샘플링 주파수를 포함한다. 속성정보(3022)는 재생장치(102)에 의해 디코더의 초기화에 이용된다.
[엔트리 맵]
도 31 (a)는 엔트리 맵(3030)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1 (a)을 참조하면, 엔트리 맵(3030)은 테이블(3100)을 포함한다. 테이블(3100)은 메인 TS에 다중화된 비디오 스트림과 동일한 수이며, 각 비디오 스트림에 하나씩 할당되어 있다. 도 31 (a)에서는 각 테이블(3100)은 할당 처의 비디오 스트림의 PID로 구별되고 있다. 각 테이블(3100)은 엔트리 맵 헤더(3101)과 엔트리 포인트(3102)를 포함한다. 엔트리 맵 헤더(3101)는 그 테이블(3100)에 대응된 PID와 그 테이블(3100)에 포함되는 엔트리 포인트(3102)의 총수를 포함한다. 엔트리 포인트(3102)는 PTS(3103)와 소스 패킷 번호(SPN)(3104)의 쌍을 하나씩 다른 엔트리 포인트 ID(EP_ID)(3105)에 대응시킨다. PTS(3103)는 엔트리 맵 헤더(3101)가 나타내는 PID의 비디오 스트림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I픽쳐의 PTS와 같다. SPN(3104)은 그 I픽쳐가 저장된 소스 패킷 군의 선두의 SPN와 같다. 여기서, 「SPN」이란 하나의 AV 스트림 파일에 속하는 소스 패킷 군에 선두로부터 순서대로 할당된 일련번호를 말한다. SPN은 그 AV 스트림 파일 내에서의 각 소스 패킷의 어드레스로 이용된다. 2D클립정보파일(231) 내의 엔트리 맵(3030)에서는 SPN은 파일 2D(241)에 속하는 소스 패킷 군, 즉, 메인 TS를 저장하고 있는 소스 패킷 군에 할당된 번호를 의미한다. 따라서 엔트리 포인트(3102)는 파일 2D(241)에 포함되는 각 I픽쳐의 PTS와 어드레스, 즉 SPN과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낸다.
엔트리 포인트(3102)는 파일 2D(241) 내의 모든 I픽쳐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단, I픽쳐가 GOP의 선두에 위치하고, 또한 그 I픽쳐의 선두를 포함하는 TS 패킷이 2D 익스텐트의 선두에 위치할 때는 그 I픽쳐에는 엔트리 포인트(3102)가 설정되지 않으면 안 된다.
도 31 (b)는 파일 2D(241)에 속하는 소스 패킷 군(3110) 중 엔트리 맵(3030)에 의해 각 EP_ID(3105)에 대응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1 (c)는 그 소스 패킷 군(3110)에 대응하는 BD-ROM 디스크(101) 상의 데이터블록 군D[n], B[n](n=0, 1, 2, 3, …)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재생장치(102)는 파일 2D(241)에서 2D 영상을 재생할 때 엔트리 맵(3030)을 이용하여 임의의 신을 나타내는 프레임의 PTS로부터 그 프레임을 포함하는 소스 패킷의 SPN을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재생개시위치로 특정의 엔트리 포인트의 PTS, 예를 들어 PTS=360000이 지정된 때 먼저 재생장치(102)는 엔트리 맵(3030)으로부터 그 PTS에 대응된 SPN=3200을 검색한다. 다음에, 재생장치(102)는 그 SPN과 소스 패킷 1개 당의 데이터량 192 바이트의 곱을 구하고, 또 그 곱을 섹터 1개 당의 데이터량 2048 바이트로 나누었을 때의 몫 SPN×192/2048을 구한다. 도 5 (b), (c)로부터 이해되는 것과 같이, 그 몫은 메인 TS 중 그 SPN이 할당된 소스 패킷보다 앞의 부분이 기록된 섹터의 총수와 같다. 도 31 (b)에 나타내고 있는 예에서는 그 몫, 3200×192/2048=300은 0에서 3199까지의 SPN이 할당된 소스 패킷 군(3111)이 기록된 섹터의 총수와 같다. 재생장치(102)는 이어서 파일 2D(241)의 파일 엔트리를 참조하여 2D 익스텐트 군이 기록된 섹터 군의 선두에서부터 세어서 (상기의 총수+1)번째의 섹터의 LBN을 특정한다. 도 31 (c)에 나타내고 있는 예에서는 2D 익스텐트 EXT2D[0], EXT2D[1], EXT2D[2], …로 액세스 가능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0], B[1], B[2], …가 기록된 섹터 군 중 선두에서부터 세어서 301번째의 섹터의 LBN이 특정된다. 재생장치(102)는 그 LBN을 BD-ROM 드라이브에 지정한다. 이에 의해 그 LBN의 섹터로부터 순서대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군이 얼라인드 유닛 단위로 판독된다. 또, 재생장치(102)는 최초로 판독된 얼라인드 유닛으로부터 재생개시위치의 엔트리 포인트가 나타내는 소스 패킷을 선택하고, 그들로부터 I픽쳐를 추출하여 복호 한다. 그 이후, 후속하는 픽쳐는 먼저 복호 된 픽쳐를 이용하여 순차 복호 된다. 이렇게 하여 재생장치(102)는 파일 2D(241)로부터 특정의 PTS 이후의 2D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또, 엔트리 맵(3030)은 빨리 감기 재생 및 되감기 재생 등의 특수 재생의 효율적인 처리에 유리하다. 예를 들어, 2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102)는 먼저 엔트리 맵(3030)을 참조하여 재생개시위치, 예를 들어 PTS=360000 이후의 PTS를 포함하는 엔트리 포인트, EP_ID=2, 3, …으로부터 SPN=3200, 4800, …을 차례로 판독한다. 다음에, 재생장치(102)는 파일 2D(241)의 파일 엔트리를 이용하여 각 SPN에 대응하는 섹터의 LBN을 특정한다. 이어서, 재생장치(102)는 각 LBN을 BD-ROM 드라이브에 지정한다. 이에 의해 각 LBN의 섹터로부터 얼라인드 유닛이 판독된다. 또, 재생장치(102)는 각 얼라인드 유닛으로부터 각 엔트리 포인트가 나타내는 소스 패킷을 선택하고, 그들로부터 I픽쳐를 추출하여 복호 한다. 이렇게 하여, 재생장치(102)는 2D 익스텐트 군 EXT2D[n] 자체를 해석하는 일 없이 파일 2D(241)로부터 I픽쳐를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익스텐트 기점]
도 32 (a)는 익스텐트 기점(3042)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2 (a)를 참조하면, 「익스텐트 기점(Extent_Start_Point)」(3042)은 베이스 뷰 익스텐트 ID(EXT1_ID)(3211)과 SPN(3212)를 포함한다. EXT1_ID(3211)는 제 1 파일 SS(01000.ssif)(244A)에 속하는 각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에 선두에서부터 순서대로 할당된 일련번호이다. SPN(3212)은 각 EXT1_ID(3211)에 1개씩 할당되며, 그 EXT1_ID(3211)에 의해 식별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선단에 위치하는 소스 패킷의 SPN과 동일하다. 여기서, 그 SPN은 제 1 파일 SS(244A)에 속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군에 포함되는 각 소스 패킷에 선두에서부터 순서대로 할당된 일련번호이다.
도 15에 나타내고 있는 익스텐트 블록(1501-1503)에서는 각 베이스 뷰 데이터 블록 B[0], B[1], B[2]…는 파일 2D(241)와 제 1 파일 SS(244A)에 공유된다. 그러나 기록 층 간의 경계 등, 롱 점프가 필요한 개소에 배치된 데이터블록 군은 일반적으로 파일 2D(241) 또는 제 1 파일 SS(244A) 중 어느 하나에만 속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을 포함한다(자세한 것은 실시형태 2의 설명을 참조). 따라서 익스텐트 기점(3042)이 나타내는 SPN(3212)은 파일 2D(241)에 속하는 2D 익스텐트의 선단에 위치하는 소스 패킷의 SPN과는 일반적으로 다르다.
도 32 (b)는 제 2 클립정보파일(02000.clpi), 즉 라이트 뷰 클립정보파일(232)에 포함되는 익스텐트 기점(3220)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2 (b)를 참조하면, 익스텐트 기점(3220)은 디펜던브 뷰 익스텐트 ID(EXT2_ID)(3221)과 SPN(3222)를 포함한다. EXT2_ID(3221)는 제 1 파일 SS(244A)에 속하는 각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에 선두에서부터 순서대로 할당된 일련번호이다. SPN(3222)은 각 EXT2_ID(3221)에 1개씩 할당되고, 그 EXT2_ID(3221)에 의해 식별되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선단에 위치하는 소스 패킷의 SPN과 동일하다. 여기서, 그 SPN은 제 1 파일 SS(244A)에 속하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군에 포함되는 각 소스 패킷에 선두에서부터 순서대로 할당된 일련번호이다.
도 32 (d)는 제 1 파일 DEP(02000.m2ts)(242)에 속하는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0], EXT2[1], …와 익스텐트 기점(3220)이 나타내는 SPN(3222)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은 제 1 파일 DEP(242)와 제 1 파일 SS(244A)에 공유된다. 따라서 도 32 (d)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익스텐트 기점(3220)이 나타내는 각 SPN(3222)은 각 라이트 뷰 익스텐트 EXT2[0], EXT2[1], …의 선단에 위치하는 소스 패킷의 SPN과 동일하다.
2D 클립정보파일(231)의 익스텐트 기점(3042)과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232)의 익스텐트 기점(3220)은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제 1 파일 SS(244A)로부터 3D 영상이 재생될 때 각 익스텐트 SS에 포함되는 데이터블록의 경계의 검출에 이용된다.
도 32 (e)는 제 1 파일 SS(244A)에 속하는 익스텐트 SS EXTSS[0]와 BD-ROM 디스크(101) 상의 익스텐트 블록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2 (e)을 참조하면, 그 익스텐트 블록은 인터리브 배치의 데이터블록 군 D[n], B[n](n=0, 1, 2, …)를 포함한다. 또, 이하의 설명은 다른 배치에서도 동일하게 성립한다. 그 익스텐트 블록은 하나의 익스텐트 SS EXTSS[0]으로 액세스 가능하다. 또, 그 익스텐트 SS EXTSS[0] 중에서 (n+1)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에 포함되는 소스 패킷의 수는 익스텐트 기점(3042)에서 EXT1_ID=n+1, n의 각각에 대응하는 SPN간의 차 A(n+1)-An과 동일하다. 여기서, A0=0으로 한다. 한편,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1]에 포함되는 소스 패킷의 수는 익스텐트 기점(3220)에서 EXT2_ID=n+1, n의 각각에 대응하는 SPN간의 차 B(n+1)-Bn과 동일하다. 여기서, B0=0으로 한다.
3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102)는 제 1 파일 SS(244A)로부터 3D 영상을 재생할 때 각 클립정보파일(231, 232)의 엔트리 맵과 익스텐트 기점(3042, 3220)을 이용한다. 이에 의해 재생장치(102)는 임의의 신의 라이트 뷰를 나타내는 프레임의 PTS로부터 그 프레임의 구성에 필요한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이 기록된 섹터의 LBN을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재생장치(102)는 먼저, 예를 들어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232)의 엔트리 맵으로부터 그 PTS에 대응된 SPN을 검색한다. 만일, 그 SPN이 나타내는 소스 패킷이 제 1 파일 DEP(242)의 3번째의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2], 즉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2]에 포함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다음에, 재생장치(102)는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232)의 익스텐트 기점(3220)이 나타내는 SPN(3222) 중에서 목표로 하는 SPN 이하에서 최대인 것 "B2"와 그에 대응하는 EXT2_ID "2"를 검색한다. 이어서, 재생장치(102)는 2D 클립정보파일(231)의 익스텐트 기점(3042)으로부터 그 EXT2_ID "2"와 동일한 EXT1_ID에 대응하는 SPN(3012)의 값 "A2"를 검색한다. 또, 재생장치(102)는 검색된 SPN의 합 B2+A2를 구한다. 도 32 (e)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그 합 B2+A2는 익스텐트 SS EXTSS[0]중에서 3번째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2]보다 앞에 배치된 소스 패킷의 총수와 같다. 따라서 그 합 B2+A2와 소스 패킷 1개당의 데이터량 192 바이트와의 곱을 섹터 1개당의 데이터량 2048 바이트로 나눈 때의 몫 (B2+A2)×192/2048은 익스텐트 SS EXTSS[0]의 선두에서부터 3번째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2]의 직전까지의 섹터 수와 동일하다. 이 몫을 이용해서 제 1 파일 SS(244A)의 파일엔트리를 참조하면 그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2]의 선단이 기록된 섹터의 LBN을 특정할 수 있다.
재생장치(102)는 상기와 같이 LBN을 특정한 후, 그 LBN을 BD-ROM 드라이브에 지정한다. 이에 의해 그 LBN의 섹터 이후에 기록된 익스텐트 SS EXTSS[0]의 부분, 즉 3번째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D[2] 이후의 데이터 블록 군 D[2], B[2], D[3], B[3], …가 얼라인드 유닛 단위로 판독된다.
또, 재생장치(102)는 익스텐트 기점(3042, 3220)을 이용하여 판독된 익스텐트 SS로부터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을 교대로 추출한다. 예를 들어 도 32 (e)에 나타내고 있는 익스텐트 SS EXTSS[0]에서 데이터 블록 군 D[n], B[n](n=0, 1, 2…)가 차례로 판독될 때를 상정한다. 재생장치(102)는 먼저 최초의 익스텐트 SS EXTSS[0]의 선두에서부터 B1개의 소스 패킷을 최초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0]으로서 추출한다. 다음에, 재생장치(102)는 B1번째의 소스 패킷과 그에 이어지는 (A1-1)개의 소스 패킷과의 합계 A1개의 소스 패킷을 최초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0]으로서 추출한다. 이어서, 재생장치(102)는 (B1+A1)번째의 소스 패킷과 그에 이어지는 (B2-B1-1)개의 소스 패킷과의 합계 (B2-B1)개의 소스 패킷을 2번째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1]로서 추출한다. 또, 재생장치(102)는 (A1+B2)번째의 소스 패킷과 그에 이어지는 (A2-A1-1)개의 소스 패킷과의 합계 (A2-A1)개의 소스 패킷을 2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1]로서 추출한다. 그 이후도 재생장치(102)는 마찬가지로 판독되는 소스 패킷의 수로부터 익스텐트 SS 내의 데이터블록 간의 경계를 검출하여 디펜던트 뷰와 베이스 뷰의 각 데이터블록을 교대로 추출한다. 추출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은 병렬로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인계되어서 복호 된다.
이렇게 하여 3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102)는 제 1 파일 SS(244A)로부터 특정의 PTS 이후의 3D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그 결과, 재생장치(102)는 BD-ROM 드라이브의 제어에 관한 상기의 이점 (A), (B)를 실제로 향수할 수 있다.
≪파일 베이스≫
도 32 (c)는 3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102)에 의해 제 1 파일 SS(244A)로부터 추출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0], B[1], B[2], …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2 (c)를 참조하면, 이들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n=0, 1, 2, …)에 포함되는 소스 패킷 군에 선두에서부터 순서대로 SPN을 할당한 때 각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의 선단에 위치하는 소스 패킷의 SPN은 익스텐트 기점(3042)이 나타내는 SPN(3212)과 동일하다. 이들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군 B[n]과 같이, 익스텐트 기점을 이용하여 하나의 파일 SS로부터 추출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군을 「파일 베이스」라고 한다. 또, 파일 베이스에 포함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을 「베이스 뷰 익스텐트」라고 한다. 도 32 (e)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각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0], EXT1[1], …은 클립정보파일 내의 익스텐트 기점(3042, 3220)에 의해 참조된다.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n]은 2D 익스텐트 EXT2D[n]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을 공유한다. 따라서 파일 베이스는 파일 2D와 동일한 메인 TS를 포함한다. 그러나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n]은 2D 익스텐트 EXT2D[n]과는 다르며, 어느 파일의 파일 엔트리에 의해도 참조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n]은 클립정보파일 내의 익스텐트 기점을 이용하여 파일 SS 내의 익스텐트 SS EXTSS[·]으로부터 추출된다. 이와 같이, 파일 베이스는 본래의 파일과는 다르며, 파일 엔트리를 포함하지 않고, 또한 베이스 뷰 익스텐트의 참조에 익스텐트 기점을 필요로 한다. 그러한 의미로 파일 베이스는 「가상적인 파일」이다. 특히 파일 베이스는 파일시스템에서는 인식되지 않고, 도 2에 나타내는 디렉터리/파일 구조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도 33은 BD-ROM 디스크(101) 상에 기록된 하나의 익스텐트 블록(3300)과 파일 2D(3310), 파일 베이스(3311), 파일 DEP(3312) 및 파일 SS(3320)의 각 익스텐트 군과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익스텐트 블록(3300)은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을 포함한다(n=0, 1, 2, 3, …).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은 2D 익스텐트 EXT2D[n]으로 파일 2D(3310)에 속한다.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은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n]으로 파일 DEP(3312)에 속한다. 익스텐트 블록(3300)의 전체가 하나의 익스텐트 SS EXTSS[0]으로서 파일 SS(3320)에 속한다. 따라서 익스텐트 SS EXTSS[0]은 2D 익스텐트 EXT2D[n]과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을 공유하고,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n]과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을 공유한다. 익스텐트 SS EXTSS[0]은 재생장치(102)에 판독된 후,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으로 분리된다. 이들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은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n]으로서 파일 베이스(3311)에 속한다. 익스텐트 SS EXTSS[0] 내에서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n]과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n]의 사이의 경계는 파일 2D(3310)와 파일 DEP(3312)의 각각에 대응된 클립정보파일 내의 익스텐트 기점을 이용하여 특정된다.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은 도 31, 32에 나타내고 있는 2D클립정보파일과 데이터 구조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과 2D클립정보파일의 사이의 차이점에 대하여 언급하고, 동일한 점에 대한 설명은 상기의 설명을 원용한다.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은 2D클립정보파일과는 주로 다음의 3점에서 다르다: (i) 스트림 속성정보에 조건이 부과되어 있다; (ii) 엔트리 포인트에 조건이 부과되어 있다; (iii) 3D메타데이터가 오프셋 테이블을 포함하지 않는다.
(i)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이 L/R모드의 재생장치(102)에 의해 3D 영상의 재생에 이용되는 것일 때 도 7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을 이용하여 압축되어 있다. 그때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비디오 스트림 속성이 동일하다. 여기서,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에 관한 비디오 스트림 속성정보는 2D 클립정보파일의 스트림 속성정보(3020) 내에서 PID=0x1011에 대응되어 있다. 한편,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에 관한 비디오 스트림 속성정보는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의 스트림 속성정보 내에서 PID=0x1012 또는 0x1013에 대응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의 비디오 스트림 속성정보 사이에서는 도 30에 나타내고 있는 각 항목, 즉, 코덱, 해상도, 어스펙트 비 및 프레임 레이트가 일치해야 한다. 코덱의 종류가 일치하고 있으면 베이스 뷰 픽쳐와 디펜던트 뷰 픽쳐 간에 부호화에서의 참조 관계가 성립하므로 각 픽쳐를 복호 할 수 있다. 해상도, 어스펙트 비 및 프레임 레이트가 모두 일치하고 있으면 좌우의 영상의 화면 표시를 동기 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그들 영상을 3D 영상으로서 시청자에게 위화감을 주는 일 없이 보이게 할 수 있다.
(ii)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의 엔트리 맵은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에 할당된 테이블을 포함한다. 그 테이블은 도 31 (a)에 나타내고 있는 테이블(3100)과 마찬가지로 엔트리 맵 헤더와 엔트리포인트를 포함한다. 엔트리 맵 헤더는 대응하는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PID, 즉 0x1012 또는 0x1013을 나타낸다. 각 엔트리포인트는 한 쌍의 PTS와 SPN을 하나의 EP_ID에 대응시키고 있다. 각 엔트리포인트의 PTS는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에 포함되는 어느 GOP에서 그 선두에 위치하는 픽쳐의 PTS와 동일하다. 각 엔트리포인트의 SPN은 동일한 엔트리 포인트에 속하는 PTS로 특정되는 PTS가 저장된 소스 패킷 군 중 그 선두에 할당된 SPN과 동일하다. 여기서, SPN은 파일 DEP에 속하는 소스 패킷 군, 즉 서브 TS를 구성하는 소스 패킷 군에 선두에서부터 순서대로 할당된 일련번호를 의미한다. 각 엔트리포인트의 PTS는 2D 클립정보파일의 엔트리 맵 중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에 할당된 테이블 내의 엔트리포인트의 PTS와 일치해야 한다. 즉, 동일한 3D VAU에 포함되는 한 쌍의 픽쳐의 일방을 포함하는 소스 패킷 군의 선두에 엔트리포인트가 설정되어 있을 때는 항상 타방을 포함하는 소스 패킷 군의 선두에도 엔트리포인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도 34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3410)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3420)에 설정된 엔트리포인트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각 비디오 스트림(3410, 3420)에서는 선두에서부터 세어서 동일한 순번의 GOP가 동일한 재생기간의 영상을 나타낸다. 도 34를 참조하면,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3410)에서는 그 선두의 GOP로부터 세어서 홀수 번째에 위치하는 GOP #1, GOP #3, GOP #5의 각 선두에 엔트리포인트 3401B, 3403B, 3405B가 설정되어 있다. 그와 함께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3420)에서도 그 선두의 GOP로부터 세어서 홀수 번째에 위치하는 GOP #1, GOP #3, GOP #5의 각 선두에 엔트리포인트 3401D, 3403D, 3405D가 설정되어 있다. 그 경우, 재생장치(102)는 예를 들어 GOP #3에서 3D 영상의 재생을 개시할 때 대응하는 엔트리포인트 3403B, 3403D의 SPN으로부터 파일 SS 내의 재생개시위치의 SPN을 즉시 산정할 수 있다. 특히 엔트리포인트 3403B, 3403D가 모두 데이터블록의 선단에 설정되어 있을 때 도 32 (e)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엔트리포인트 3403B, 3403D의 SPN의 합이 파일 SS 내의 재생개시위치의 SPN과 동일하다. 도 32 (e)의 설명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그 소스 패킷의 수로부터는 파일 SS 내의 재생개시위치의 부분이 기록된 섹터의 LBN을 산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3D 영상의 재생에 있어서도 인터럽트 재생 등, 비디오 스트림의 랜덤 액세스를 요하는 처리의 응답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2D 플레이리스트 파일≫
도 35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제 1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1. mpls)(221)은 이 데이터구조를 갖는다. 도 35를 참조하면, 2D 플레이리스트 파일(221)은 메인 패스(3501)과 2개의 서브 패스(3502, 3503)를 포함한다.
메인 패스(3501)는 플레이아이템정보(PI라고 한다)의 배열이며, 파일 2D(241)의 주요한 재생경로, 즉 재생대상인 부분과 그 재생순서를 규정한다. 각 PI는 고유의 플레이아이템 ID=#N(N=1, 2, 3, …)에 의해 식별된다. 각 PI #N은 주요한 재생경로가 다른 재생구간을 한 쌍의 PTS에서 규정한다. 그 쌍의 일방은 그 재생구간의 개시시각(In-Time)을 나타내고, 타방은 종료시각(Out-Time)을 나타낸다. 또, 메인 패스(3501) 내에서의 PI의 순서는 대응하는 재생구간의 재생경로 내에서의 순서를 나타낸다.
각 서브 패스(3502, 3503)는 서브 플레이아이템정보(SUB_PI라고 한다)의 배열이며, 파일 2D(241)의 주요한 재생경로에 병렬로 부수 가능한 재생경로를 규정한다. 그 재생경로는 메인 패스(3501)가 나타내는 파일 2D(241)의 부분과는 다른 부분과 그 재생순서, 또는 다른 파일 2D에 다중화된 스트림 데이터의 부분과 그 재생순서를 의미한다. 그 스트림 데이터는 메인 패스(3501)에 따라서 파일 2D(241)로부터 재생되는 2D 영상과 동시에 재생되어야 할 다른 2D 영상을 나타낸다. 그 다른 2D 영상은 예를 들어 픽쳐 인 픽쳐 방식에서의 부 영상, 브라우저 화면, 팝업메뉴, 또는 자막을 포함한다. 서브 패스(3502, 3503)에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221)에의 등록 순으로 일련번호 "0", "1"이 할당되어 있다. 그 일련번호는 서브 패스 ID로서 각 서브 패스(3502, 3503)의 식별에 이용된다. 각 서브 패스(3502, 3503)에서는 각 SUB_PI가 고유의 서브 플레이아이템 ID= #M(M=1, 2, 3, …)에 의해 식별된다. 각 SUB_PI #M은 재생경로가 다른 재생구간을 한 쌍의 PTS로 규정한다. 그 쌍의 일방은 그 재생구간의 재생개시시각을 나타내고, 타방은 재생종료시각을 나타낸다. 또, 각 서브 패스(3502, 3503) 내에서의 SUB_PI의 순서는 대응하는 재생구간의 재생경로 내에서의 순서를 나타낸다.
도 36은 PI #N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PI #N은 참조클립정보(3601), 재생개시시각(In_Time)(3602), 재생종료시각(Out_Time) (3603), 커넥션 컨디션(3604) 및 스트림 선택테이블(이하, STN(Stream Number) 테이블이라고 약칭한다)(3605)을 포함한다. 참조클립정보(3601)는 2D 클립정보파일(231)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재생개시시각(3602)과 재생종료시각(3603)은 파일 2D(241)의 재생대상 부분의 선단과 후단의 각 PTS를 나타낸다. 커넥션 컨디션(3604)은 재생개시시각(3602)과 재생종료시각(3603)에 의해서 규정된 재생구간에서의 영상을 1개 앞의 PI #(N-1)에 의해서 규정된 재생구간에서의 영상에 접속할 때의 조건을 규정한다. STN 테이블(3605)은 재생개시시각(3602)에서부터 재생종료시각(3603)까지의 사이에 재생장치(102) 내의 디코더에 의해 파일 2D(241)로부터 선택 가능한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리스트를 나타낸다.
SUB_PI의 데이터구조는 도 36에 나타내고 있는 PI의 데이터구조와 참조클립정보, 재생개시시각 및 재생종료시각을 포함하는 점에서 공통된다. 특히 SUB_PI의 재생개시시각과 재생종료시각은 PI의 그들과 동일한 시간 축 상의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SUB_PI는 「SP 커넥션 컨디션」이라고 하는 필드를 포함한다. SP 커넥션 컨디션은 PI의 커넥션 컨디션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커넥션 컨디션]
커넥션 컨디션(이하, CC라고 한다)(3604)은 예를 들어 "1", "5", "6"의 3종류의 값을 취할 수 있다. CC(3604)가 "1"일 때 PI #N에 의해 규정되는 파일 2D(241)의 부분으로부터 재생되는 영상은 직전의 PI #(N-1)에 의해 규정되는 파일 2D(241)의 부분으로부터 재생되는 영상과는 반드시 심리스로 접속되지 않아도 좋다. 한편, CC(3604)가 "5" 또는 "6"일 때 그들 양방의 영상이 반드시 심리스로 접속되지 않으면 안 된다.
도 37 (a), (b)는 각각 CC가 "5", "6"일 때 접속되어야 할 2개의 재생구간 PI #(N-1), PI #N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여기서, PI #(N-1)은 파일 2D(241)의 제 1 부분(3701)을 규정하고, PI #N은 파일 2D(241)의 제 2 부분(3702)를 규정한다. 도 37 (a)을 참조하면, CC가 "5"일 때 2개의 PI #(N-1), PI #N 사이에 STC가 중단되어 있어도 좋다. 즉, 제 1 부분(3701)의 후단의 PTS #1과 제 2 부분(3702)의 선단의 PTS #2는 불연속이라도 좋다. 단, 몇 가지 제약조건이 만족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부분(3701)에 이어서 제 2 부분(3702)이 디코더에 공급된 때에 그 디코더가 복호처리를 순조롭게 지속할 수 있도록 각 부분(3701, 3702)이 작성되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또, 제 1 부분(3701)에 포함되는 오디오 스트림의 마지막 프레임을 제 2 부분(3702)에 포함되는 오디오 스트림의 선두 프레임과 중복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한편, 도 37 (b)를 참조하면, CC가 "6"일 때 제 1 부분(3701)과 제 2 부분(3702)은 디코더의 복호처리상 일련의 부분으로서 취급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즉, 제 1 부분(3701)과 제 2 부분(3702) 사이에서는 STC와 ATC가 모두 연속이 아니면 안 된다. 마찬가지로 SP 커넥션 컨디션이 "5"또는"6"일 때 인접하는 2개의 SUB_PI에 의해 규정되는 파일 2D의 부분 사이에서는 STC와 ATC가 모두 연속이 아니면 안 된다.
도 36을 다시 참조하면, STN 테이블(3605)은 스트림 등록정보의 배열이다. 「스트림 등록정보」란 재생개시시각(3602)에서부터 재생종료시각(3603)까지의 사이에 메인 TS로부터 재생대상으로서 선택 가능한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개별로 나타내는 정보이다. 스트림 번호(STN)(3606)는 스트림 등록정보에 개별로 할당된 일련번호이며, 재생장치(102)에 의해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식별에 이용된다. 또, STN(3606)은 동일한 종류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사이에서는 선택의 우선순위를 나타낸다. 스트림 등록정보는 스트림 엔트리(3609)와 스트림 속성정보(3610)를 포함한다. 스트림 엔트리(3609)는 스트림 경로정보(3607)와 스트림 식별정보(3608)를 포함한다. 스트림 경로정보(3607)는 선택 대상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이 속하는 파일 2D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스트림 경로정보(3607)가 "메인 패스"를 나타낼 때 그 파일 2D는 참조클립정보(3601)가 나타내는 2D 클립정보파일에 대응하는 것이다. 한편, 스트림 경로정보(3607)가 "서브 패스 ID=1"을 나타낼 때 선택 대상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이 속하는 파일 2D는 서브 패스 ID=1 서브 패스에 포함되는 SUB_PI의 참조클립정보가 나타내는 2D 클립정보파일에 대응하는 것이다. 그 SUB_PI가 규정하는 재생개시시각 또는 재생종료시각의 어느 일방은 STN 테이블(3605)을 포함하는 PI가 규정하는 재생개시시각(3602)에서부터 재생종료시각(3603)까지의 기간에 포함된다. 스트림 식별정보(3608)는 스트림 경로정보(3607)에 의해 특정되는 파일 2D에 다중화되어 있는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PID를 나타낸다. 이 PID가 나타내는 엘리멘터리 스트림이 재생개시시각(3602)에서부터 재생종료시각(3603)까지의 사이에 선택 가능하다. 스트림 속성정보(3610)는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속성정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오디오 스트림, PG 스트림 및 IG 스트림의 각 속성정보는 언어의 종류를 나타낸다.
[2D 플레이리스트 파일에 따른 2D 영상의 재생]
도 39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1. mpls)(221)이 나타내는 PTS와 파일 2D(01000. m2ts)(241)로부터 재생되는 부분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2D 플레이리스트 파일(221)의 메인 패스(3501)에서는 PI #1은 재생개시시각 IN1을 나타내는 PTS #1과 재생종료시각 OUT1을 나타내는 PTS #2를 규정한다. PI #1의 참조클립정보(2701)는 2D 클립정보파일(01000. clpi)(231)을 나타낸다. 재생장치(102)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221)에 따라서 2D 영상을 재생할 때 먼저 PI #1로부터 PTS #1, #2를 판독한다. 다음에, 재생장치(102)는 2D 클립정보파일(231)의 엔트리 맵을 참조하여 PTS #1, #2에 대응하는 파일 2D(241) 내의 SPN #1, #2를 검색한다. 이어서, 재생장치(102)는 SPN #1, #2로부터 각각에 대응하는 섹터 수를 산정한다. 또, 재생장치(102)는 이들 섹터 수와 파일 2D(241)의 파일엔트리를 이용하여 재생대상의 2D 익스텐트 군 EXT2D[0], …, EXT2D[n]이 기록된 섹터 군 P1 선단의 LBN #1과 후단의 LBN #2를 특정한다. 섹터 수의 산정과 LBN의 특정은 도 31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재생장치(102)는 LBN #1에서부터 LBN #2까지의 범위를 BD-ROM 드라이브(121)에 지정한다. 이에 의해 그 범위의 섹터 군 P1로부터 2D 익스텐트 군 EXT2D[0], …, EXT2D[n]에 속하는 소스 패킷 군이 판독된다. 마찬가지로 PI #2가 나타내는 PTS #3, #4의 쌍은 먼저 2D 클립정보파일(231)의 엔트리 맵을 이용하여 SPN #3, #4의 쌍으로 변환된다. 다음에 파일 2D(241)의 파일엔트리를 이용하여 SPN #3, #4의 쌍이 LBN #3, #4의 쌍으로 변환된다. 또, LBN #3에서부터 LBN #4까지의 범위의 섹터 군 P2로부터 2D 익스텐트 군에 속하는 소스 패킷 군이 판독된다. PI #3이 나타내는 PTS #5, #6의 쌍으로부터 SPN #5, #6의 쌍으로의 변환, SPN #5, #6의 쌍으로부터 LBN #5, #6의 쌍으로의 변환 및 LBN #5부터 LBN #6까지의 범위의 섹터 군 P3으로부터의 소스 패킷 군의 판독도 마찬가지이다. 이렇게 하여 재생장치(102)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221)의 메인 패스(3501)에 따라서 파일 2D(241)에서 2D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2D 플레이리스트 파일(221)은 엔트리마크(3801)를 포함해도 좋다. 엔트리마크(3801)는 메인 패스(3501) 중 실제로 재생이 개시되어야 할 시점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38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PI #1에 대해서 복수의 엔트리마크(3801)가 설정되어도 좋다. 엔트리마크(3801)는 특히 랜덤 액세스 재생에서 재생개시위치의 검색에 이용된다. 예를 들어 2D 플레이리스트 파일(221)이 영화 타이틀의 재생경로를 규정할 때 엔트리마크(3801)는 각 챕터의 선두에 부여된다. 이에 의해 재생장치(102)는 그 영화 타이틀을 챕터마다 재생할 수 있다.
≪3D 플레이리스트 파일≫
도 39는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제 2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2. mpls)(222)은 이 데이터구조를 갖는다. 제 2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3. mpls)(223)도 마찬가지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3D 플레이리스트 파일(222)은 메인 패스(3901), 서브 패스(3902) 및 확장데이터(3903)를 포함한다.
메인 패스(3901)는 도 3 (a)에 나타내고 있는 메인 TS의 재생경로를 규정한다. 따라서 메인 패스(3901)는 도 34에 나타내고 있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221)의 메인 패스(350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2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는 3D 플레이리스트 파일(222)의 메인 패스(3901)에 따라서 파일 2D(241)로부터 2D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한편, 메인 패스(3901)는 도 35에 나타내고 있는 메인 패스(3501)과는 다음의 점에서 다르다: 각 PI의 STN 테이블은 어느 그래픽스 스트림의 PID에 하나의 STN을 대응시키고 있을 때에는 그 STN에 하나의 오프셋 시퀀스 ID를 할당하고 있다.
서브 패스(3902)는 도 3 (b), (c)에 나타내고 있는 서브 TS의 재생경로, 즉 제 1 파일 DEP(242) 또는 제 2 파일 DEP(243) 중 어느 하나의 재생경로를 규정한다. 서브 패스(3902)의 데이터구조는 도 35에 나타내고 있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241)의 서브 패스(3502, 3503)의 데이터구조와 같다. 따라서 그 동일한 데이터구조의 상세, 특히 SUB_PI의 데이터구조의 상세에 대한 설명은 도 35를 이용한 설명을 원용한다.
서브 패스(3902)의 SUB_PI #N(N=1, 2, 3, …)는 메인 패스(3001)의 PI #N과 일대 일로 대응한다. 또, 각 SUB_PI #N이 규정하는 재생개시시각과 재생종료시각은 각각 대응하는 PI #N이 규정하는 재생개시시각과 재생종료시각과 동일하다. 서브 패스(3902)는 또 서브 패스 타입(3910)을 포함한다. 「서브 패스 타입」은 일반적으로 메인 패스와 서브 패스 사이에 재생처리가 동기 해야하는가 여부를 나타낸다. 3D 플레이리스트 파일(222)에서는 특히 서브 패스 타입(3910)이 3D 재생모드의 종류, 즉 서브 패스(3902)에 따라서 재생되어야 할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종류를 나타낸다. 도 39에서는 서브 패스 타입(3910)은 그 값이 「3D L/R」이므로, 3D 재생모드가 L/R모드인 것, 즉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이 재생대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서브 패스 타입(3910)은 그 값이 「3D 깊이」일 때는 3D 재생모드가 뎁스 모드라는 것, 즉 뎁스 맵 스트림이 재생대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3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는 서브 패스 타입(3910)의 값이 「3D L/R」또는 「3D 깊이」라는 것을 검출한 때 메인 패스(3901)에 따른 재생처리와 서브 패스(3902)에 따른 재생처리를 동기 시킨다.
확장데이터(3903)는 3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에 의해서만 해석되는 부분이며, 2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에는 무시된다. 확장데이터(3903)는 특히 확장 스트림 선택테이블(3930)을 포함한다. 「확장 스트림 선택테이블(STN_table_SS)」(이하, STN 테이블 SS라고 약칭한다)은 3D 재생모드에서 메인 패스(3501) 내의 각 PI가 나타내는 STN 테이블에 추가되어야 할 스트림 등록정보의 배열이다. 이 스트림 등록정보는 서브 TS에서 재생대상으로서 선택 가능한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나타낸다.
[STN 테이블]
도 40은 3D 플레이리스트 파일(222)의 메인 패스(3901)가 포함하는 STN 테이블(4005)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0을 참조하면, "5"에서"11"까지의 STN(4006)이 할당된 스트림 식별정보(4008)는 PG 스트림 또는 IG 스트림의 PID를 나타낸다. 그 경우, 동일한 STN이 할당된 스트림 속성정보(4010)는 참조 오프셋 ID(stream_ref_offset_id)(4001)를 포함한다. 파일 DEP(242)에서는 도 11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각 비디오 시퀀스의 VAU #1에 오프셋 메타데이터(1110)가 배치되어 있다. 참조 오프셋 ID(4001)는 그 오프셋 메타데이터(1110)가 포함하는 오프셋 시퀀스 ID(1112)의 어느 것과 동일하다. 즉, 참조 오프셋 ID(4001)는 그 오프셋 메타데이터(1110)가 포함하는 복수의 오프셋 시퀀스 중에서 "5"에서"11"까지의 각 STN에 대응되어야 할 오프셋 시퀀스를 규정한다.
[STN 테이블 SS]
도 41은 STN 테이블 SS(4030)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1을 참조하면, STN 테이블 SS(4030)는 스트림 등록정보 열(4101, 4102, 4103, …)을 포함한다. 스트림 등록정보 열(4101, 4102, 4103, …)은 메인 패스(4001) 내의 PI #1, #2, #3, …에 개별로 대응한다. 3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는 이들 스트림 등록정보 열(4101, 4102, 4103, …)을 대응하는 PI 내의 STN 테이블에 포함되는 스트림 등록정보 열과 조합해서 이용된다. 각 PI에 대한 스트림 등록정보 열(4101)은 팝업 기간의 오프셋(Fixed_offset_during_Popup)(4111),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스트림 등록정보 열(4112), PG 스트림의 스트림 등록정보 열(4113) 및 IG 스트림의 스트림 등록정보 열(4114)를 포함한다.
팝업 기간의 오프셋(4311)은 IG 스트림으로부터 팝업메뉴가 재생되는가 여부를 나타낸다. 3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는 그 오프셋(4111)의 값에 의해서 비디오 플레인과 PG 플레인의 표시 모드(presentation mode)를 바꾼다. 여기서, 비디오 플레인의 표시 모드에는 베이스 뷰(B)-디펜던트 뷰(D) 표시 모드와 B-B표시 모드의 2종류가 있다. PG 플레인과 IG 플레인의 각 표시 모드에는 2 플레인 모드, 1 플레인+오프셋 모드 및 1 플레인+제로 오프셋 모드의 3종류가 있다. 예를 들어 팝업 기간의 오프셋(4111)의 값이 "0"일 때 IG 스트림으로부터는 팝업메뉴가 재생되지 않는다. 그때 비디오 플레인의 표시 모드로서 B-D표시 모드가 선택되고, PG 플레인의 표시 모드로서 2 플레인 모드 또는 1 플레인+오프셋 모드가 선택된다. 한편, 팝업 기간의 오프셋(4111)의 값이 "1"일 때 IG 스트림으로부터 팝업메뉴가 재생된다. 그때 비디오 플레인의 표시 모드로서 B-B표시 모드가 선택되고, PG 플레인의 표시 모드로서 1 플레인+제로 오프셋 모드가 선택된다.
「B-D표시 모드」에서는 재생장치(102)가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복호 된 플레인 데이터를 교대로 출력한다. 따라서 표시장치(103)의 화면에는 비디오 플레인이 나타내는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프레임이 교대로 표시되므로, 시청자에게는 그들이 3D 영상으로서 보인다. 「B-B표시 모드」에서는 재생장치(102)가 동작 모드를 3D 재생모드에 유지한 채로(특히 프레임 레이트를 3D 재생시의 값, 예를 들어 48 프레임/초에 유지한 채로),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복호 된 플레인 데이터만을 프레임당 2회씩 출력한다. 따라서 표시장치(103)의 화면에는 비디오 플레인에 대해서는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밖에 표시되지 않으므로, 시청자에게는 그들이 2D 영상으로서 밖에 안 보인다.
「2 플레인 모드」에서는 예를 들어 도 3 (b), (c)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서브 TS가 베이스 뷰와 디펜던트 뷰의 그래픽스 스트림의 양방을 포함할 때 재생장치(102)가 각 그래픽스 스트림으로부터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그래픽스 플레인 데이터를 복호하여 교대로 출력한다. 「1 플레인+오프셋 모드」에서는 재생장치(102)가 오프셋 제어에 의해 메인 TS 내의 그래픽스 스트림으로부터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그래픽스 플레인의 쌍을 생성해서 교대로 출력한다. 어느 모드에서도 표시장치(103)의 화면에는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그래픽스 플레인이 교대로 표시되므로, 시청자에게는 그들이 3D 영상으로서 보인다. 「1 플레인+제로 오프셋 모드」에서는 재생장치(102)가 동작 모드를 3D 재생모드에 유지한 채로, 오프셋 제어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메인 TS 내의 그래픽스 스트림으로부터 복호 된 그래픽스 플레인을 1 프레임당 2회씩 출력한다. 따라서 표시장치(103)의 화면에는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 중 어느 하나의 그래픽스 플레인 밖에 표시되지 않으므로, 시청자에게는 그들이 2D 영상으로서 밖에 안 보인다.
3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는 PI마다 팝업 기간의 오프셋(4111)을 참조하여 IG 스트림으로부터 팝업메뉴가 재생될 때는 B-B표시 모드와 1 플레인+제로 오프셋 모드를 선택한다. 이에 의해 팝업메뉴가 표시되는 동안 다른 3D 영상이 일시적으로 2D 영상으로 변경되므로 팝업메뉴의 시인성·조작성이 향상한다.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스트림 등록정보 열(4112), PG 스트림의 스트림 등록정보 열(4113) 및 IG 스트림의 스트림 등록정보 열(4114)은 각각 서브 TS로부터 재생대상으로서 선택 가능한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 PG 스트림 및 IG 스트림을 나타내는 스트림 등록정보를 포함한다. 이들 스트림 등록정보 열(4112, 4113, 4114)은 각각 대응하는 PI 내의 STN 테이블에 포함되는 스트림 등록정보 열 중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 PG 스트림 및 IG 스트림을 나타내는 것과 조합되어 이용된다. 3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는 STN 테이블 내의 어느 한 스트림 등록정보를 판독할 때 그 스트림 등록정보에 조합된 STN 테이블 SS 내의 스트림 등록정보 열도 자동으로 판독한다. 이에 의해 재생장치(102)는 2D 재생모드를 단지 3D 재생모드로 전환할 때 설정된 STN 및 언어 등의 스트림 속성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스트림 등록정보 열(4112)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스트림 등록정보(SS_dependent_view_block)(4120)를 포함한다. 그들은 대응하는 PI 내의 스트림 등록정보 중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을 나타내는 것과 동수이다. 각 스트림 등록정보(4120)는 STN(4121), 스트림 엔트리(4122) 및 스트림 속성정보(4123)를 포함한다. STN(4121)은 스트림 등록정보(4120)에 개별로 할당된 일련번호이며, 대응하는 PI 내의 조합 대상의 스트림 등록정보의 STN과 동일하다. 스트림 엔트리(4122)는 서브 패스 ID 참조정보(ref_to_Subpath_id)(4131), 스트림 파일 참조정보(ref_to_subClip_entry_id)(4132) 및 PID(ref_to_stream_PID_subclip)(4133)를 포함한다. 서브 패스 ID 참조정보(4131)는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경로를 규정하는 서브 패스의 서브 패스 ID를 나타낸다. 스트림 파일 참조정보(4132)는 그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이 저장된 파일 DEP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PID(4133)는 그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PID이다. 스트림 속성정보(4123)는 그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속성,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이트, 해상도 및 비디오 포맷을 포함한다. 특히 그들은 대응하는 PI 내의 조합 대상의 스트림 등록정보가 나타내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의 것과 공통이다.
PG 스트림의 스트림 등록정보 열(4113)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스트림 등록정보(4140)를 포함한다. 그들은 대응하는 PI 내의 스트림 등록정보 중 PG 스트림을 나타내는 것과 동수이다. 각 스트림 등록정보(4140)는 STN(4141), 입체 시 플래그(is_SS_PG)(4142), 베이스 뷰 스트림 엔트리(stream_entry_for_ base_view)(4143), 디펜던트 뷰 스트림 엔트리(stream_entry_for_dependent_view)( 4144) 및 스트림 속성정보(4145)를 포함한다. STN(4141)은 스트림 등록정보(4140)에 개별로 할당된 일련번호이며, 대응하는 PI 내의 조합 대상의 스트림 등록정보의 STN과 동일하다. 입체 시 플래그(4142)는「베이스 뷰 및 디펜던트 뷰(예를 들어, 레프트 뷰 및 라이트 뷰)의 양쪽의 PG 스트림이 BD-ROM 디스크(101)에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입체 시 플래그(4142)가 온일 때 서브 TS에는 양쪽의 PG 스트림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 뷰 스트림 엔트리(4143), 디펜던트 뷰 스트림 엔트리(4144) 및 스트림 속성정보(4145)의 어느 필드도 재생장치(102)에 의해 판독된다. 입체 시 플래그(4142)가 오프일 때 이들 필드(4143-4145)는 모두 재생장치(102)에 의해 무시된다. 베이스 뷰 스트림 엔트리(4143)와 디펜던트 뷰 스트림 엔트리(4144)는 각각 서브 패스 ID참조 정보(4151), 스트림 파일 참조정보(4152) 및 PID(4053)를 포함한다. 서브 패스 ID참조 정보(4151)는 베이스 뷰와 디펜던트 뷰의 각 PG 스트림의 재생경로를 규정하는 서브 패스의 서브 패스 ID를 나타낸다. 스트림 파일참조정보(4152)는 각 PG 스트림이 저장된 파일 DEP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PID(4153)는 각 PG 스트림의 PID이다. 스트림 속성정보(4145)는 각 PG 스트림의 속성, 예를 들어 언어의 종류를 포함한다. IG 스트림의 스트림 등록정보 열(4114)도 동일한 데이터 구조를 갖는다.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에 따른 3D 영상의 재생]
도 42는 3D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2.mpls)(222)이 나타내는 PTS와 제 1 파일 SS(01000.ssif)(244A)로부터 재생되는 부분과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2를 참조하면, 3D 플레이리스트 파일(222)의 메인 패스(3901)에서는 PI #1은 재생개시시각 IN1을 나타내는 PTS #1과 재생종료시각 OUT1을 나타내는 PTS #2를 규정한다. PI #1의 참조클립정보는 2D클립정보파일(01000.clpi)(231)을 나타낸다. 서브 패스(3902)에서는 SUB_PI #1이 PI #1과 동일한 PTS #1, #2를 규정한다. SUB_PI #1의 참조클립정보는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02000.clpi)(232)를 나타낸다.
재생장치(102)는 3D 플레이리스트 파일(222)에 따라서 3D 영상을 재생할 때 먼저 PI #1과 SUB_PI #1로부터 PTS #1, #2를 판독하다. 재생장치(102)는 다음에 2D클립정보파일(231)의 엔트리 맵을 참조하여 PTS #1, #2에 대응하는 파일 2D(241) 내의 SPN #1, #2를 검색한다. 그것과 병행하여 재생장치(102)는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232)의 엔트리 맵을 참조하여 PTS #1, #2에 대응하는 제 1 파일 DEP(242) 내의 SPN #11, #12를 검색한다. 재생장치(102)는 계속해서 도 32 (e)의 설명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각 클립정보파일(231, 232)의 익스텐트 기점(3042, 3220)을 이용하여 제 1 파일 SS(244A)의 선두로부터 재생개시위치까지의 소스 패킷 수 SPN #21을 SPN #1, #11로부터 산정한다. 재생장치(102)는 마찬가지로 제 1 파일 SS(244A)의 선두로부터 재생종료위치까지의 소스 패킷 수 SPN #22를 SPN #2, #12로부터 산정한다. 또, 재생장치(102)는 SPN #21, #22의 각각에 대응하는 섹터 수를 산정한다. 재생장치(102)는 계속해서 이들의 섹터 수와 제 1 파일 SS(244A)의 파일 엔트리를 이용하여 재생 대상의 익스텐트 SS 군 EXTSS[0], …, EXTSS[n]이 기록된 섹터 군 P11의 선단의 LBN #1과 후단의 LBN #2를 특정한다. 섹터 수의 산정과 LBN의 특정은 도 32 (e)의 설명에서 말한 것과 동일하다. 재생장치(102)는 마지막으로 LBN #1로부터 LBN #2까지의 범위를 BD-ROM 드라이브(121)에 지정한다. 이에 의해 그 범위의 섹터 군 P11로부터 익스텐트 SS 군 EXTSS[0], …, EXTSS[n]에 속하는 소스 패킷 군이 판독된다. 마찬가지로 PI #2와 SUB_PI #2가 나타내는 PTS #3, #4의 쌍은 먼저 클립정보파일(231, 232)의 각 엔트리 맵을 이용하여 SPN #3, #4의 쌍과 SPN #13, #14의 쌍으로 변환된다. 다음에, SPN #3, #13으로부터는 제 1 파일 SS(244A)의 선두로부터 재생개시위치까지의 소스 패킷 수 SPN #23이 산정되고, SPN #4, #14로부터는 제 1 파일 SS(244A)의 선두로부터 재생종료위치까지의 소스 패킷 수 SPN #24가 산정된다. 계속해서, 제 1 파일 SS(244A)의 파일 엔트리를 이용하여 SPN #23, #24의 쌍이 LBN #3, #4의 쌍으로 변환된다. 또, LBN #3으로부터 LBN #4까지의 범위의 섹터 군 P12로부터 익스텐트 SS 군에 속하는 소스 패킷 군이 판독된다.
상기의 판독 처리와 병행하여 재생장치(102)는 도 32 (e)의 설명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각 클립정보파일(231, 232)의 익스텐트 기점(3042, 3220)을 이용하여 각 익스텐트 SS로부터 베이스 뷰 익스텐트와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를 추출해서 병렬로 복호 한다. 이렇게 하여 재생장치(102)는 3D 플레이리스트 파일(222)에 따라서 제 1 파일 SS(244A)로부터 3D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인덱스파일≫
도 43은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인덱스파일(index.bdmv)(211)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3을 참조하면, 인덱스파일(211)은 인덱스테이블(4310), 3D존재 플래그(4320) 및 2D/3D 기호 플래그(4330)를 포함한다.
인덱스테이블(4310)은 「퍼스트 플레이」(4301), 「탑 메뉴」(4302) 및 「타이틀 k」(4303)(k=1, 2, …, n: 문자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를 포함한다. 각 항목에는 무비 오브젝트 MVO-2D, MVO-3D, …, 또는 BD-J 오브젝트 BDJO-2D, BDJO-3D, … 중 어느 하나가 대응되어 있다. 사용자의 조작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타이틀 또는 메뉴가 호출될 때마다 재생장치(102)의 제어부는 인덱스테이블(4310)의 대응하는 항목을 참조한다. 또, 제어부는 그 항목에 대응되어 있는 오브젝트를 BD-ROM 디스크(101)에서 호출하며, 그에 따라서 다양한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항목 「퍼스트 플레이」(4301)에는 디스크(101)가 BD-ROM 드라이브(121)에 삽입된 때에 호출될 오브젝트가 지정되어 있다. 항목 「탑 메뉴」(4302)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메뉴에 복귀하라」라고 하는 커멘드가 입력된 때에 표시장치(103)에 메뉴를 표시시키기 위한 오브젝트가 지정되어 있다. 항목 「타이틀 k」(4303)에는 BD-ROM 디스크(101) 상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타이틀이 개별로 할당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재생대상의 타이틀이 지정된 때 그 타이틀이 할당되어 있는 항목 「타이틀 k」에는 그 타이틀에 대응하는 AV 스트림 파일로부터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오브젝트가 지정되어 있다.
도 43에 나타내고 있는 예에서는 항목 「타이틀 1」과 항목 「타이틀 2」가 2D 영상의 타이틀에 할당되어 있다. 항목 「타이틀 1」에 대응되어 있는 무비 오브젝트 MVO-2D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1. mpls)(221)을 이용한 2D 영상의 재생처리에 관한 명령 군을 포함한다. 재생장치(102)에 의해 항목 「타이틀 1」이 참조된 때 그 무비 오브젝트 MVO-2D에 따라서 2D 플레이리스트 파일(221)이 BD-ROM 디스크(101)로부터 판독되어서, 거기에 규정된 재생경로를 따라서 2D 영상의 재생처리가 실행된다. 항목 「타이틀 2」에 대응되어 있는 BD-J 오브젝트 BDJO-2D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221)을 이용한 2D 영상의 재생처리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관리테이블을 포함한다. 재생장치(102)에 의해 항목 「타이틀 2」가 참조된 때 그 BD-J 오브젝트 BDJO-2D 내의 애플리케이션 관리테이블에 따라서 JAR 파일(261)로부터 Java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호출되어 실행된다. 이에 의해 2D 플레이리스트 파일(221)이 디스크(101)로부터 판독되어서, 거기에 규정된 재생경로를 따라서 2D 영상의 재생처리가 실행된다.
또, 도 43에 나타내고 있는 예에서는 항목 「타이틀 3」과 항목 「타이틀 4」가 3D 영상의 타이틀에 할당되어 있다. 항목 「타이틀 3」에 대응되어 있는 무비 오브젝트 MVO-3D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221)을 이용한 2D 영상의 재생처리에 관한 명령 군에 더하여 3D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2. mpls(222), (00003. mpls)(223)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3D 영상의 재생처리에 관한 명령 군을 포함한다. 항목 「타이틀 4」에 대응되어 있는 BD-J 오브젝트 BDJO-3D에서는 애플리케이션 관리테이블이 2D 플레이리스트 파일(221)을 이용한 2D 영상의 재생처리에 관한 Java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더하여 3D 플레이리스트 파일(222, 223)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3D 영상의 재생처리에 관한 Java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규정한다.
3D존재 플래그(4320)는 BD-ROM 디스크(101)에 3D 영상콘텐츠가 기록되고 있는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재생장치(102)는 BD-ROM 드라이브(121)에 BD-ROM 디스크(101)가 삽입된 때 먼저 그 3D존재 플래그(4320)를 체크한다. 3D존재 플래그(4320)가 오프인 경우, 재생장치(102)는 3D 재생 모드를 선택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재생장치(102)는 표시장치(103)에 대하여 HDMI 인증을 실행하지 않고 2D 재생 모드에 신속하게 이행할 수 있다. 여기서, 「HDMI 인증」이란 다음의 처리를 말한다: 재생장치(102)는 HDMI 케이블(122)를 통해 표시장치(103)와의 사이에서 CEC 메시지를 교환하고, 3D 영상의 재생에 대응 가능한가 여부 등을 표시장치(103)에 문의한다. HDMI 인증이 스킵됨으로써 BD-ROM 디스크(101)의 삽입으로부터 2D 영상의 재생 개시까지의 시간이 단축된다.
2D/3D 기호 플래그(4330)는 재생장치와 표시장치가 모두 2D 영상과 3D 영상의 어느 재생에도 대응 가능할 때 3D 영상의 재생을 우선으로 해야할지 여부를 지정하는 플래그이다. 2D/3D 기호 플래그(4330)는 콘텐츠 공급자에 의해 설정된다. 재생장치(102)는 BD-ROM 디스크(101)의 3D존재 플래그(4320)가 온일 때 계속해서 2D/3D 기호 플래그(4330)를 체크한다. 2D/3D 기호 플래그(4330)가 온인 경우, 재생장치(102)는 사용자에게 재생 모드를 선택하게 하는 일 없이 HDMI 인증을 실시하고, 그 결과에 의해 2D 재생 모드와 3D 재생 모드의 어느 것으로 동작한다. 즉, 재생장치(102)는 재생 모드의 선택 화면을 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HDMI 인증의 결과, 표시장치(103)가 3D 영상의 재생에 대응 가능하면, 재생장치(102)는 3D 재생 모드로 기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프레임 레이트의 전환 등, 2D 재생 모드로부터 3D 재생 모드로의 이행 처리에 기인하는 기동의 지연을 회피할 수 있다.
[3D 영상 타이틀의 선택시에서의 플레이리스트 파일의 선택]
도 43에 나타내고 있는 예에서는 재생장치(102)는 인덱스테이블(4310)의 항목 「타이틀 3」을 참조한 때 무비 오브젝트 MVO-3D에 따라서 먼저 다음의 판별 처리를 실시한다: (1) 3D존재 플래그(4320)가 온인가 오프인가, (2) 재생장치(102) 자신이 3D 영상의 재생에 대응하고 있는가 여부, (3) 2D/3D 기호 플래그(4330)가 온인가 오프인가, (4) 사용자가 3D 재생 모드를 선택하고 있는가 여부, (5) 표시장치(103)가 3D 영상의 재생에 대응하고 있는가 여부 및 (6) 재생장치(102)의 3D 재생 모드가 L/R모드와 뎁스 모드의 어느 것인가. 다음에, 재생장치(102)는 이들의 판별 결과에 따라서 어느 하나의 플레이리스트 파일(221-223)을 재생 대상으로 선택한다. 한편, 재생장치(102)는 항목 「타이틀 4」를 참조한 때 BD-J오브젝트 BDJO-3D 내의 애플리케이션 관리테이블에 따라서 JAR 파일(261)로부터 Java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한다. 이에 의해 먼저 상기의 판별 처리 (1)-(6)이 이루어지고, 다음에 그 판별 결과에 의해 플레이리스트 파일의 선택이 이루어진다.
도 44는 상기의 판별 처리 (1)-(6)를 이용하여 재생 대상의 플레이리스트 파일을 선택하는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여기서, 그 선택 처리의 전제로서 재생장치(102)가 제 1 플래그와 제 2 플래그를 포함할 때를 상정한다. 제 1 플래그는 재생장치(102)가 3D 영상의 재생에 대응 가능한가 여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 1 플래그가"0"일 때 재생장치(102)는 2D 영상의 재생에만 대응 가능하고, "1"일 때 3D 영상의 재생에도 대응 가능하다. 제 2 플래그는 3D 재생 모드가 L/R모드와 뎁스 모드의 어느 것인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 2 플래그가"0"일 때 3D 재생 모드는 L/R모드이고, "1"일 때 뎁스 모드이다. 또, 3D존재 플래그(4320)와 2D/3D 기호 플래그(4330)의 각각이 온일 때의 값을"1"로 하고, 오프일 때의 값을"0"으로 한다.
스텝 S4401에서는 재생장치(102)는 3D존재 플래그(4320)의 값을 체크한다. 그 값이"1"일 때, 처리는 스텝 S4402로 진행된다. 그 값이"0"일 때 처리는 스텝 S4407로 진행된다.
스텝 S4402에서는 재생장치(102)는 제 1 플래그의 값을 체크한다. 그 값이"1"일 때 처리는 스텝 S4403으로 진행된다. 그 값이"0"일 때 처리는 스텝 S4407로 진행된다.
스텝 S4403에서는 재생장치(102)는 2D/3D 기호 플래그(4330)의 값을 체크한다. 그 값이"0"일 때 처리는 스텝 S4404로 진행된다. 그 값이"1"일 때 처리는 스텝 S4405로 진행된다.
스텝 S4404에서는 재생장치(102)는 표시장치(103)에 메뉴를 표시시키고, 사용자에게 2D 재생 모드와 3D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 사용자가 리모컨(105) 등을 조작하여 3D 재생 모드를 선택한 때 처리는 스텝 S4405로 진행되고, 2D 재생 모드를 선택한 때 처리는 스텝 S4407로 진행된다.
스텝 S4405에서는 재생장치(102)는 HDMI 인증을 실시하여 표시장치(103)가 3D 영상의 재생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구체적으로는 재생장치(102)는 HDMI 케이블(122)를 통해서 표시장치(103)와의 사이에서 CEC 메시지를 교환하여 표시장치(103)가 3D 영상의 재생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장치(103)에 문의한다. 표시장치(103)가 3D 영상의 재생에 대응하고 있을 때 처리는 스텝 S4406로 진행된다. 표시장치(103)가 3D 영상의 재생에 대응하고 있지 않을 때 처리는 스텝 S4407로 진행된다.
스텝 S4406에서는 재생장치(102)는 제 2 플래그의 값을 체크한다. 그 값이"0"일 때 처리는 스텝 S4408로 진행된다. 그 값이"1"일 때 처리는 스텝 S4409로 진행된다.
스텝 S4407에서는 재생장치(102)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221)을 재생 대상으로 선택한다. 또, 그때 재생장치(102)는 표시장치(103)에 3D 영상의 재생이 선택되지 않았던 이유를 표시시켜도 좋다. 그 후, 처리는 종료한다.
스텝 S4408에서는 재생장치(102)는 L/R모드용의 3D 플레이리스트 파일(222)를 재생 대상으로 선택한다. 그 후, 처리는 종료한다.
스텝 S4409에서는 재생장치(102)는 뎁스 모드용의 3D 플레이리스트 파일(222)를 재생 대상으로 선택한다. 그 후, 처리는 종료한다.
<2D 재생장치의 구성>
2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102)는 BD-ROM 디스크(101)에서 2D 영상콘텐츠를 재생할 때 2D 재생장치로 동작한다. 도 45는 2D 재생장치(45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5를 참조하면, 2D 재생장치(4500)는 BD-ROM 드라이브(4501), 재생부(4502) 및 제어부(4503)를 포함한다. 재생부(4502)는 리드 버퍼(4521), 시스템 타깃 디코더(4523) 및 플레인 가산부(4524)를 포함한다. 제어부(4503)는 동적시나리오 메모리(4531), 정적시나리오 메모리(4532), 사용자 이벤트 처리부(4533), 프로그램 실행부(4534), 재생제어부(4535) 및 플레이어 변수 기억부(4536)를 포함한다. 재생부(4502)와 제어부(4503)는 서로 다른 집적회로에 탑재되어 있다. 그 외에, 양자가 단일의 집적회로에 통합되어 있어도 좋다.
BD-ROM 드라이브(4501)는 내부에 BD-ROM 디스크(101)가 삽입된 때 그 디스크(101)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그 반사광의 변화를 검출한다. 또, 그 반사광의 광량의 변화로부터 디스크(101)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한다. 구체적으로는 BD-ROM 드라이브(4501)는 광 픽업, 즉 광학 헤드를 구비하고 있다. 그 광학 헤드는 반도체 레이저, 콜리메이터 렌즈, 빔 스플리터, 대물렌즈, 집광렌즈 및 광검출기를 포함한다.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광 빔은 콜리메이터 렌즈, 빔 스플리터 및 대물렌즈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디스크(101)의 기록 층에 모인다. 모인 광 빔은 그 기록 층에서 반사/회절된다. 그 반사/회절 광은 대물렌즈, 빔 스플리터 및 집광렌즈를 통해서 광검출기에 모인다. 광검출기는 그 집광량에 따른 레벨의 재생신호를 생성한다. 또, 그 재생신호로부터 데이터가 복조된다.
BD-ROM 드라이브(4501)는 재생제어부(4535)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BD-ROM 디스크(101)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한다. 그 데이터 중 파일 2D의 익스텐트, 즉 2D 익스텐트는 리드 버퍼(4521)에 전송되고, 동적시나리오정보는 동적시나리오 메모리(4531)에 전송되며, 정적시나리오정보는 정적시나리오 메모리(4532)에 전송된다. 「동적시나리오정보」는 인덱스파일, 무비 오브젝트 파일 및 BD-J 오브젝트 파일을 포함한다. 「정적시나리오정보」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과 2D 클립정보파일을 포함한다.
리드 버퍼(4521), 동적시나리오 메모리(4531) 및 정적시나리오 메모리(4532)는 모두 버퍼메모리이다. 리드 버퍼(4521)로는 재생부(4502) 내의 메모리소자가 이용되고, 동적시나리오 메모리(4531) 및 정적시나리오 메모리(4532)로는 제어부(4403) 내의 메모리소자가 이용된다. 그 외에, 단일의 메모리소자의 다른 영역이 이들 버퍼메모리(4521, 4531, 4532)의 일부 또는 전부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리드 버퍼(4521)는 2D 익스텐트를 저장하고, 동적시나리오 메모리(4531)는 동적시나리오정보를 저장하며, 정적시나리오 메모리(4532)는 정적시나리오정보를 저장한다.
시스템 타깃 디코더(4523)는 리드 버퍼(4521)에서 2D 익스텐트를 소스 패킷 단위로 판독하여 다중분리 처리를 하고, 분리된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에 대해서 복호처리를 한다. 여기서,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복호에 필요한 정보, 예를 들어 코덱의 종류 및 스트림의 속성은 미리 재생제어부(4535)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4523)에 보내지고 있다. 또, 시스템 타깃 디코더(4523)는 복호 후의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 IG 스트림 및 PG 스트림 내의 각 VAU를 주 영상 플레인, 부 영상 플레인, IG 플레인 및 PG 플레인으로 변환하여 플레인 가산부(4523)에 송출한다. 한편, 시스템 타깃 디코더(4523)는 복호 후의 프라이머리 오디오 스트림과 세컨더리 오디오 스트림을 믹싱하여 표시장치(103)의 내장 스피커(103A) 등의 음성출력장치에 송출한다. 그 외에, 시스템 타깃 디코더(4523)는 프로그램 실행부(4534)로부터 그래픽스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 그래픽스 데이터는 GUI용의 메뉴 등의 그래픽스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JPEG 또는 PNG 등의 라스터 데이터로 표현되어 있다. 시스템 타깃 디코더(4523)는 그 그래픽스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미지 플레인으로 변환해서 플레인 가산부(4524)에 송출한다. 또, 시스템 타깃 디코더(4523)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플레인 가산부(4524)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4523)로부터 주 영상 플레인, 부 영상 플레인, IG 플레인, PG 플레인 및 이미지 플레인을 수신하고, 그들을 서로 중첩해서 하나의 영상프레임 또는 필드에 합성한다. 합성 후의 영상데이터는 표시장치(103)에 송출되어서 그 화면에 표시된다.
사용자 이벤트 처리부(4533)는 리모컨(105) 또는 재생장치(102)의 프런트 패널을 통해서 사용자의 조작을 검출하고, 그 조작의 종류에 따라서 프로그램 실행부(4534) 또는 재생제어부(4535)에 처리를 의뢰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모컨(105)의 버튼을 눌러서 팝업메뉴의 표시를 지시한 때 사용자 이벤트 처리부(4533)는 그 누름을 검출하여 그 버튼을 식별한다. 또, 사용자 이벤트 처리부(4533)는 프로그램 실행부(4534)에 그 버튼에 대응하는 커멘드의 실행, 즉 팝업메뉴의 표시처리를 의뢰한다. 한편,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모컨(105)의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 버튼을 누른 때 사용자 이벤트 처리부(4533)는 그 누름을 검출하여 그 버튼을 식별한다. 또, 사용자 이벤트 처리부(4533)는 재생제어부(4535)에 현재 재생 중인 플레이리스트의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 처리를 의뢰한다.
프로그램 실행부(4534)는 프로세서이며, 동적시나리오 메모리(4531)에 저장된 무비 오브젝트 파일 및 BD-J 오브젝트 파일로부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한다. 또, 프로그램 실행부(4534)는 각 프로그램에 따라서 다음의 제어를 실행한다: (1) 재생제어부(4535)에 대해서 플레이리스트 재생처리를 명령한다; (2) 메뉴용 또는 게임용의 그래픽스 데이터를 PNG 또는 JPEG의 라스터 데이터로서 생성하고, 그것을 시스템 타깃 디코더(4523)에 전송하여 다른 영상데이터에 합성시킨다. 이와 같은 제어의 구체적인 내용은 프로그램의 설계를 통해서 비교적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즉, 이들 제어내용은 BD-ROM 디스크(101)의 오서링 공정 중 무비 오브젝트 파일 및 BD-J 오브젝트 파일의 프로그래밍 공정에 의해 정해진다.
재생제어부(4535)는 2D 익스텐트 및 인덱스파일 등, 각종 데이터를 BD-ROM 디스크(101)에서 리드 버퍼(4521), 동적시나리오 메모리(4531) 및 정적시나리오 메모리(4532)에 전송하는 처리를 제어한다. 그 제어에는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디렉터리/파일구조를 관리하는 파일시스템이 이용된다. 즉, 재생제어부(4535)는 파일 오픈용의 시스템 콜을 이용하여 BD-ROM 드라이브(4501)에 각종 파일을 각 버퍼메모리(4521, 4531, 4532)에 전송시킨다. 여기서, 「파일 오픈」이란 다음의 일련의 처리를 말한다. 먼저, 시스템 콜에 의해 파일시스템에 검색 대상의 파일명이 주어져서 그 파일명이 디렉터리/파일구조로부터 검색된다. 그 검색에 성공한 때 재생제어부(4535) 내의 메모리에는 먼저 전송대상의 파일의 파일엔트리가 전송되어서 그 메모리 내에 FCB(File Control Block)가 생성된다. 그 후, 전송대상의 파일의 파일 핸들이 파일시스템으로부터 재생제어부(4535)에 반환된다. 이후, 재생제어부(4435)는 그 파일 핸들을 BD-ROM 드라이브(4501)에 제시함으로써 BD-ROM 드라이브(4501)에 그 전송대상의 파일을 BD-ROM 디스크(101)로부터 각 버퍼메모리(4521, 4531, 4532)에 전송시킬 수 있다.
재생제어부(4535)는 BD-ROM 드라이브(4501)과 시스템 타깃 디코더(4523)를 제어하여 파일 2D로부터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복호 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재생제어부(4535)는 먼저 프로그램 실행부(4534)로부터의 명령, 또는 사용자 이벤트 처리부(4533)로부터의 의뢰에 따라서 정적시나리오 메모리(4532)에서 2D 플레이리스트 파일을 판독하여 그 내용을 해석한다. 다음에, 재생제어부(4535)는 그 해석된 내용, 특히 재생경로에 따라서 BD-ROM 드라이브(4501)과 시스템 타깃 디코더(4523)에 재생대상의 파일 2D를 지정하여 그 판독처리 및 복호처리를 지시한다. 이와 같은 플레이리스트 파일에 의거한 재생처리를 「플레이리스트 재생」이라고 한다.
그 외에, 재생제어부(4535)는 정적시나리오정보를 이용하여 플레이어 변수 기억부(4536)에 각종 플레이어 변수를 설정한다. 또, 재생제어부(4535)는 이들 플레이어 변수를 참조하여 시스템 타깃 디코더(4523)에 복호 대상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지정하고, 또한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복호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플레이어 변수 기억부(4536)는 플레이어 변수를 기억하기 위한 레지스터 군이다. 플레이어 변수의 종류에는 시스템 파라미터(SPRM)와 범용의 파라미터(GPRM)가 있다. SPRM은 재생장치(102)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46은 SPRM의 일람표이다. 도 46을 참조하면, 각 SPRM에는 일련번호(4601)가 할당되며, 각 일련번호(4601)에 변수 값(4602)이 개별로 대응되어 있다. SPRM은 예를 들어 64개이고, 각각이 나타내는 의미는 이하와 같다. 여기서, 괄호 내의 숫자는 일련번호(4601)를 나타낸다.
SPRM(0) : 언어코드
SPRM(1) : 프라이머리 오디오 스트림 번호
SPRM(2) : 자막 스트림 번호
SPRM(3) : 앵글 번호
SPRM(4) : 타이틀 번호
SPRM(5) : 챕터 번호
SPRM(6) : 프로그램 번호
SPRM(7) : 셀 번호
SPRM(8) : 선택 키 정보
SPRM(9) : 내비게이션 타이머
SPRM(10) : 재생시각정보
SPRM(11) : 가라오케용 믹싱 모드
SPRM(12) : 시청제한용 국가정보
SPRM(13) : 시청제한레벨
SPRM(14) : 플레이어 설정치(비디오)
SPRM(15) : 플레이어 설정치(오디오)
SPRM(16) : 오디오 스트림용 언어코드
SPRM(17) : 오디오 스트림용 언어코드(확장)
SPRM(18) : 자막 스트림용 언어코드
SPRM(19) : 자막 스트림용 언어코드(확장)
SPRM(20) : 플레이어 영역코드
SPRM(21) :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 번호
SPRM(22) : 세컨더리 오디오 스트림 번호
SPRM(23) : 재생상태
SPRM(24) - SPRM(63): 예비
SPRM(10)는 복호처리 중의 픽쳐의 PTS를 나타내고, 그 픽쳐가 복호 되어 주 영상 플레인 메모리에 기입될 때에 갱신된다. 따라서 SPRM(10)를 참조하면 현재의 재생시점을 알 수 있다.
SPRM(13)의 시청제한레벨은 소정의 제한 연령을 나타내고, BD-ROM 디스크(101)에 기록된 타이틀의 시청에 대한 시청제한 제어에 이용된다. SPRM(13)의 값은 재생장치(102)의 사용자에 의해 재생장치(102)의 OSD 등을 이용하여 설정된다. 여기서, 「시청제한 제어」란 시청자의 연령에 따라서 타이틀의 시청을 제한하는 처리를 말한다. 재생장치(102)는 각 타이틀에 대한 시청제한 제어를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먼저, 재생장치(102)는 BD-ROM 디스크(101)로부터 그 타이틀의 시청이 허가되는 시청자의 연령의 하한을 판독하여 SPRM(13)의 값과 비교한다. 그 하한이 SPRM(13)의 값 이하이면, 재생장치(102)는 그 타이틀의 재생을 계속한다. 그 하한이 SPRM(13)의 값을 넘고 있으면, 재생장치(102)는 그 타이틀의 재생을 정지한다.
SPRM(16)의 오디오 스트림용 언어코드 및 SPRM(18)의 자막 스트림용 언어코드는 재생장치(102)의 디폴트의 언어코드를 나타낸다. 그들은 재생장치(102)의 OSD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변경시킬 수도 있고, 프로그램 실행부(4434)를 통해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변경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PRM(16)이 「영어」를 나타내고 있을 때 재생제어부(4535)는 플레이리스트 재생처리에서, 먼저 현시점에서의 재생구간을 나타내는 PI, 즉 현재 PI가 포함하는 STN 테이블에서 「영어」의 언어코드를 포함하는 스트림 엔트리를 검색한다. 다음에, 재생제어부(4535)는 그 스트림 엔트리의 스트림 식별정보로부터 PID를 추출하여 시스템 타깃 디코더(4523)에 인계한다. 이에 의해 그 PID의 오디오 스트림이 시스템 타깃 디코더(4523)에 의해 선택되어서 복호 된다. 이와 같은 처리는 무비 오브젝트 파일 또는 BD-J 오브젝트 파일을 이용하여 재생제어부(4535)에 실행시킬 수 있다.
플레이어 변수는 재생처리 중 재생제어부(4535)에 의해 재생 상태의 변화에 따라서 갱신된다. 특히, SPRM(1), SPRM(2), SPRM(21) 및 SPRM(22)이 갱신된다. 그들은 순서대로 처리 중의 오디오 스트림, 자막 스트림,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 및 세컨더리 오디오 스트림의 각 STN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실행부(4534)에 의해 SPRM(1)이 변경된 때를 상정한다. 먼저, 재생제어부(4535)는 변경 후의 SPRM(1)이 나타내는 STN을 이용하여 현재 PI 내의 STN 테이블에서 그 STN을 포함하는 스트림 엔트리를 검색한다. 다음에, 재생제어부(4535)는 그 스트림 엔트리 내의 스트림 식별정보로부터 PID를 추출하여 시스템 타깃 디코더(4523)에 인계한다. 이에 의해 그 PID의 오디오 스트림이 시스템 타깃 디코더(4523)에 의해 선택되어서 복호 된다. 이렇게 하여 재생 대상의 오디오 스트림이 전환된다. 마찬가지로 재생 대상의 자막 및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을 전환할 수도 있다.
≪2D 플레이리스트 재생처리≫
도 47은 재생제어부(4535)에 의한 2D 플레이리스트 재생처리의 플로차트이다. 2D 플레이리스트 재생처리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에 따른 플레이리스트 재생처리이며, 재생제어부(4535)가 정적시나리오 메모리(4532)로부터 2D 플레이리스트 파일을 판독함으로써 개시된다.
스텝 S4701에서는 재생제어부(4535)는 먼저, 2D 플레이리스트 파일 내의 메인 패스로부터 PI를 1개 판독하고, 현재의 PI로 설정한다. 다음에, 재생제어부(4535)는 그 현재 PI의 STN 테이블로부터 재생 대상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PID를 선택하고, 또한 이들의 복호에 필요한 속성정보를 특정한다. 선택된 PID와 속성정보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4523)에 지시된다. 또, 재생제어부(4535)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 내의 서브 패스로부터 현재 PI에 부수하는 SUB_PI를 특정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4702로 진행된다.
스텝 S4702에서는 재생제어부(4535)는 현재 PI로부터 참조클립정보, 재생개시시각 IN1를 나타내는 PTS #1 및 재생종료시각 OUT1를 나타내는 PTS #2를 판독한다. 그 참조클립정보로부터 재생 대상의 파일 2D에 대응하는 2D클립정보파일이 특정된다. 또, 현재 PI에 부수하는 SUB_PI가 존재할 때는 그들로부터도 동일한 정보가 판독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4703으로 진행된다.
스텝 S4703에서는 재생제어부(4535)는 2D클립정보파일의 엔트리 맵을 참조하여 PTS #1, #2에 대응하는 파일 2D 내의 SPN #1, #2를 검색한다. SUB_PI가 나타내는 PTS의 쌍도 마찬가지로 SPN의 쌍으로 변환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4704로 진행된다.
스텝 S4704에서는 재생제어부(4535)는 SPN #1, #2로부터 각각에 대응하는 섹터 수를 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재생제어부(4535)는 먼저, SPN #1, #2의 각각과 소스 패킷 1개당의 데이터량 192 바이트의 곱을 구한다. 다음에, 재생제어부(4535)는 각 곱을 섹터 1개당의 데이터량 2048 바이트로 나누어서 그 몫을 구한다: N1=SPN #1×192/2048, N2=SPN #2×192/2048. 몫 N1, N2는 메인 TS 중 SPN #1, #2의 각각이 할당된 소스 패킷보다 앞의 부분이 기록된 섹터의 총수와 같다. SUB_PI가 나타내는 PTS의 쌍으로부터 변환된 SPN의 쌍도 마찬가지로 섹터 수의 쌍으로 변환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4705로 진행된다.
스텝 S4705에서는 재생제어부(4535)는 스텝 S4704에서 얻어진 섹터 수 N1, N2의 각각으로부터 재생 대상의 2D 익스텐트 군의 선단과 후단의 LBN을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재생제어부(4535)는 재생 대상의 파일 2D의 파일 엔트리를 참조하여 2D 익스텐트 군이 기록된 섹터 군의 선두로부터 세어서 (N1+1)번째의 섹터의 LBN=LBN #1과 (N2+1)번째의 섹터의 LBN=LBN #2를 특정한다. 또, 재생제어부(4535)는LBN #1로부터 LBN #2까지의 범위를 BD-ROM 드라이브(4501)에 지정한다. SUB_PI가 나타내는 PTS의 쌍으로부터 변환된 섹터 수의 쌍도 마찬가지로 LBN의 쌍으로 변환되어서 BD-ROM 드라이브(4501)에 지정된다. 그 결과, 지정된 범위의 섹터 군으로부터 2D 익스텐트 군에 속하는 소스 패킷 군이 얼라인드 유닛 단위로 판독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4706로 진행된다.
스텝 S4706에서는 재생제어부(4535)는 메인 패스에 미처리의 PI가 남아 있는가 여부를 체크한다. 남아 있을 때에는 처리가 스텝 S4701에서 반복된다. 남아 있지 않을 때에는 처리가 종료한다.
≪시스템 타깃 디코더≫
도 48은 시스템 타깃 디코더(4523)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8을 참조하면, 시스템 타깃 디코더(4523)는 소스 디 패킷다이저(4810), ATC 카운터(4820), 제 1 27 MHz 클록(4830), PID 필터(4840), STC 카운터(STC1)(4850), 제 2 27 MHz 클록(4860), 주 영상 디코더(4870), 부 영상 디코더(4871), PG 디코더(4872), IG 디코더(4873), 주 음성 디코더(4874), 부 음성 디코더(4875), 이미지 프로세서(4880), 주 영상 플레인 메모리(4890), 부 영상 플레인 메모리(4891), PG 플레인 메모리(4892), IG 플레인 메모리(4893), 이미지 플레인 메모리(4894) 및 음성 믹서(4895)를 포함한다.
소스 디 패킷다이저(4810)는 리드 버퍼(4521)로부터 소스 패킷을 판독하고, 그 중에서 TS 패킷을 인출하여 PID 필터(4840)에 송출한다. 또, 소스 디 패킷다이저(4810)는 그 송출 시각을 각 소스 패킷의 ATS가 나타내는 시각에 맞춘다. 구체적으로는 소스 디 패킷다이저(4810)는 먼저 ATC 카운터(4820)가 생성하는 ATC의 값을 감시한다. 여기서, ATC의 값은 ATC 카운터(4820)에 의해, 제 1 27 MHz 클록(4830)의 클록 신호의 펄스에 따라서 증가 된다. 다음에, 소스 디 패킷다이저(4810)는 ATC의 값이 소스 패킷의 ATS와 일치한 순간, 그 소스 패킷으로부터 인출된 TS 패킷을 PID 필터(4840)에 전송한다. 그와 같은 송출 시각의 조절에 의해 소스 디 패킷다이저(4810)로부터 PID 필터(4840)로의 TS 패킷의 평균 전송속도는 도 30에 나타내고 있는 2D클립정보파일(231) 내의 시스템 레이트(3011)에서 규정하는 값 RTS를 넘지 않는다.
PID 필터(4840)는 먼저 소스 디 패킷타이저(4810)로부터 송출된 TS 패킷이 포함하는 PID를 감시한다. 그 PID가 재생제어부(4535)로부터 미리 지정된 PID에 일치한 때 PID 필터(4840)는 그 TS 패킷을 선택하여, 그 PID가 나타내는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복호에 적절한 디코더(4870-4875)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PID가 0x1011일 때 그 TS 패킷은 주 영상 디코더(4870)에 전송된다. 한편, PID가 0x1B00-0x1B1F, 0x1100-0x111F, 0x1A00-0x1A1F, 0x1200-0x121F 및 0x1400-0x141F의 각 범위에 속할 때 TS 패킷은 각각 부 영상 디코더(4871), 주 음성 디코더(4874), 부 음성 디코더(4875), PG 디코더(4872) 및 IG 디코더(4873)에 전송된다.
또, PID 필터(4840)는 각 TS 패킷의 PID를 이용하여 그 TS 패킷 중에서 PCR을 검출한다. 그때 PID 필터(4840)는 STC 카운터(4850)의 값을 소정 값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STC 카운터(4850)의 값은 제 2 27MHz 클록(4860)의 클록 신호의 펄스에 따라서 증가된다. 또, STC 카운터(4850)에 설정되어야 할 값은 미리 재생제어부(4535)로부터 PID 필터(4840)에 지시되고 있다. 각 디코더(4870-4875)는 STC 카운터(4850)의 값을 STC로서 이용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디코더(4870-4875)는 먼저 PID 필터(4840)로부터 수신한 TS 패킷을 PES 패킷으로 재구성한다. 각 디코더(4870-4875)는 다음에 그 PES 페이로드가 포함하는 데이터의 복호처리의 시기를 그 PES 헤더에 포함되는 PTS 또는 DTS가 나타내는 시각에 따라서 조절한다.
주 영상 디코더(4870)는 도 48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트랜스포트 스트림 버퍼(TB: Transport Stream Buffer)(4801), 다중화 버퍼(MB: Multiplexing Buffer)(4802), 엘리멘터리 스트림 버퍼(EB: Elementary Stream Buffer)(4803), 압축 영상 디코더(DEC)(4804) 및 복호 픽쳐 버퍼(DPB: Decoded Picture Buffer)(4805)를 포함한다.
TB(4801),MB(4802) 및 EB(4803)는 모두 버퍼메모리이며, 각각 주 영상 디코더(4870)에 내장된 메모리소자의 한 영역을 이용한다. 그 외에, 그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다른 메모리소자로 분리되어 있어도 좋다. TB(4801)는 PID 필터(4840)로부터 수신된 TS 패킷을 그대로 축적한다.MB(4802)는 TB(4801)에 축적된 TS 패킷으로부터 복원된 PES 패킷을 축적한다. 또, TB(4801)로부터MB(4802)에 TS 패킷이 전송될 때 그 TS 패킷으로부터 TS 헤더가 제거된다. EB(4803)는 PES 패킷에서 부호화된 VAU를 추출해서 저장한다. 그 VAU에는 압축 픽쳐, 즉, I픽쳐, B픽쳐 및 P픽쳐가 저장되어 있다. 또,MB(4802)로부터 EB(4803)에 데이터가 전송될 때 그 PES 패킷으로부터 PES 헤더가 제거된다.
DEC(4804)는 압축 픽쳐의 복호처리에 특화한 하드웨어 디코더이며, 특히 그 복호처리의 가속기 기능을 구비한 LSI로 구성되어 있다. DEC(4804)는 EB(4803) 내의 각 VAU로부터 픽쳐를 원래의 TS 패킷에 포함되는 DTS가 나타내는 시각에 복호 한다. 그 복호처리에서는 DEC(4804)는 미리 그 VAU의 헤더를 해석하고, 그 VAU 내에 저장된 압축 픽쳐의 압축 부호화방식과 스트림 속성을 특정하여 그들에 따라서 복호방법을 선택한다. 그 압축 부호화방식은 예를 들어 MPEG-2, MPEG-4 AVC 및 VC1를 포함한다. 또, DEC(4804)는 복호 된 비 압축의 픽쳐를 DPB(4805)에 전송한다.
DPB(4805)는 TB(4801),MB(4802) 및 EB(4803)와 동일한 버퍼메모리이며, 주 영상 디코더(4870)에 내장된 메모리소자의 한 영역을 이용한다. DPB(4805)는 그 외에, 다른 버퍼메모리(4801, 4802, 4803)와는 다른 메모리소자로 분리되어 있어도 좋다. DPB(4805)는 복호 후의 픽쳐를 일시적으로 보유한다. DEC(4804)에 의해 P픽쳐 또는 B픽쳐가 복호 될 때 DPB(4805)는 DEC(4804)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보유하고 있는 복호 후의 픽쳐로부터 참조 픽쳐를 검색하여 DEC(4804)에 제공한다. 또, DPB(4805)는 보유하고 있는 각 픽쳐를 원래의 TS 패킷에 포함되는 PTS가 나타내는 시각에 주 영상 플레인 메모리(4890)에 기입한다.
부 영상 디코더(4871)는 주 영상 디코더(487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부 영상 디코더(4871)는 먼저 PID 필터(4840)로부터 수신된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의 TS 패킷을 비 압축의 픽쳐에 복호 한다. 다음에, 부 영상 디코더(4871)는 그 TS 패킷에 포함되는 PTS가 나타내는 시각에 비 압축의 픽쳐를 부 영상 플레인 메모리(4891)에 기입한다.
PG 디코더(4872)는 PID 필터(4840)로부터 수신된 TS 패킷을 비 압축의 그래픽스 데이터로 복호 하여, 그 TS 패킷에 포함되는 PTS가 나타내는 시각에 PG 플레인 메모리(4892)에 기입한다.
도 49 (a)는 PG 디코더(4872)가 PG 스트림 내의 하나의 데이터 엔트리로부터 그래픽스 오브젝트를 복호 하는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이 처리는 PG 디코더(4872)가 PID 필터(4840)로부터 도 6에 나타내고 있는 하나의 데이터 엔트리를 구성하는 TS 패킷 군을 수신한 때에 개시된다. 도 49 (b)-(e)는 그 처리에 따라서 변화하는 그래픽스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스텝 S4901에서는 PG 디코더(4872)는 먼저, PCS 내의 참조 오브젝트 ID(605)와 동일한 오브젝트 ID를 갖는 ODS를 특정한다. 다음에, PG 디코더(4872)는 특정된 ODS로부터 그래픽스 오브젝트를 복호 하여 오브젝트 버퍼에 기입한다. 여기서, 「오브젝트 버퍼」는 PG 디코더(4872)에 내장의 버퍼 메모리이다. 도 49 (b)에 나타내고 있는 「스마일리 페이스」FOB는 오브젝트 버퍼에 기입된 그래픽스 오브젝트의 예를 나타낸다.
스텝 S4902에서는 PG 디코더(4872)는 PCS 내의 크로핑 정보(602)에 따라서 크로핑 처리를 실행하고, 그래픽스 오브젝트로부터 그 일부를 절취하여 오브젝트 버퍼에 기입한다. 도 49 (c)에서는 스마일리 페이스 FOB의 좌우의 양단부로부터 띠 형상 영역 LST, RST가 절취되고, 나머지 부분 OBJ가 오브젝트 버퍼에 기입되어 있다.
스텝 S4903에서는 PG 디코더(4872)는 먼저, PCS 내의 참조 윈도 ID(603)와 동일한 윈도 ID를 갖는 WDS를 특정한다. 다음에, PG 디코더(4872)는 특정된 WDS가 나타내는 윈도 위치(612)와 PCS 내의 오브젝트 표시 위치(601)로부터 그래픽스 플레인에서의 그래픽스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를 결정한다. 도 49 (d)에서는 그래픽스 플레인 GPL에서의 윈도 WIN의 좌측 상단 구석의 위치와 그래픽스 오브젝트 OBJ의 좌측 상단 구석의 위치 DSP가 결정된다.
스텝 S4904에서는 PG 디코더(4872)는 오브젝트 버퍼 내의 그래픽스 오브젝트를 스텝 S4903에서 결정된 표시 위치에 기입한다. 그때 PG 디코더(4872)는 WDS가 나타내는 윈도 사이즈(613)를 이용하여 그래픽스 오브젝트를 묘사하는 범위를 정한다. 도 49 (d)에서는 그래픽스 오브젝트 OBJ가 그래픽스 플레인 GPL에 좌측 상단 구석의 위치 DSP에서 윈도 WIN의 범위 내에 기입되어 있다.
스텝 S4905에서는 PG 디코더(4872)는 먼저 PCS 내의 참조 펠릿 ID(604)와 동일한 펠릿 ID를 갖는 PDS를 특정한다. 다음에, PG 디코더(4872)는 PDS 내의 CLUT(622)를 이용하여 그래픽스 오브젝트 내의 각 화소 데이터가 나타내어야 할 색 좌표치를 결정한다. 도 49 (e)에서는 그래픽스 오브젝트 OBJ 내의 각 화소의 색이 결정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하나의 데이터 엔트리가 포함하는 그래픽스 오브젝트의 묘사 처리가 완료한다. 스텝 S4901-4905는 그 그래픽스 오브젝트와 동일한 PES 패킷에 포함되는 PTS가 나타내는 시각까지 실행된다.
IG 디코더(4873)는 PID 필터(4840)로부터 수신된 TS 패킷을 비 압축의 그래픽스 오브젝트에 복호 한다. 또, IG 디코더(4873)는 이들의 TS 패킷으로부터 복원된 PES 패킷에 포함되는 PTS가 나타내는 시각에 그 비 압축의 그래픽스 오브젝트를 IG 플레인 메모리(4893)에 기입한다. 이들 처리의 상세는 PG 디코더(4872)에 의한 것과 동일하다.
먼저, 주 음성 디코더(4874)는 PID 필터(4840)로부터 수신된 TS 패킷을 내장의 버퍼에 축적한다. 다음에, 주 음성 디코더(4874)는 그 버퍼 내의 TS 패킷 군으로부터 TS헤더와 PES 헤더를 제거하고, 나머지 데이터를 비 압축의 LPCM 음성데이터로 복호 한다. 또, 주 음성 디코더(4874)는 그 음성데이터를 원래의 PES 패킷에 포함되는 PTS가 나타내는 시각에 음성 믹서(4895)에 송출한다. 여기서, 주 음성 디코더(4874)는 TS 패킷에 포함되는 프라이머리 오디오 스트림의 압축 부호화방식 및 스트림 속성에 의해 압축 음성데이터의 복호방법을 선택한다. 그 압축 부호화방식은 예를 들어 AC-3 또는 DTS를 포함한다.
부 음성 디코더(4875)는 주 음성 디코더(4874)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부 음성 디코더(4875)는 먼저 PID 필터(4840)로부터 수신된 세컨더리 오디오 스트림의 TS 패킷 군으로부터 PES 패킷을 복원하고, 그 PES 페이로드가 포함하는 비 압축의 LPCM 음성데이터로 복호 한다. 다음에, 부 음성 디코더(4875)는 그 PES 헤더가 포함하는 PTS가 나타내는 시각에 비 압축의 LPCM 음성데이터를 음성 믹서(4895)에 송출한다. 여기서, 부 음성 디코더(4875)는 TS 패킷에 포함되는 세컨더리 오디오 스트림의 압축 부호화방식 및 스트림 속성에 따라서 압축 음성데이터의 복호방법을 선택한다. 그 압축 부호화방식은 예를 들어 돌비 디지털 플러스 또는 DTS-HD LBR을 포함한다.
음성 믹서(4895)는 주 음성 디코더(4874)와 부 음성 디코더(4875)의 각각으로부터 비 압축의 음성데이터를 수신하고, 그들을 이용하여 믹싱을 실행한다. 또, 음성 믹서(4895)는 그 믹싱에 의해 얻어진 합성음을 표시장치(103)의 내장 스피커(103A) 등에 송출한다.
이미지 프로세서(4880)는 프로그램 실행부(4534)로부터 그래픽스 데이터, 즉 PNG 또는 JPEG의 라스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때 이미지 프로세서(4880)는 그 그래픽스 데이터에 대한 렌더링 처리를 하여 이미지 플레인 메모리(4894)에 기입한다.
<3D 재생장치의 구성>
3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102)는 BD-ROM 디스크(101)에서 3D 영상콘텐츠를 재생할 때에 3D 재생장치로 동작한다. 그 구성의 기본 부분은 도 45, 48에 나타내고 있는 2D 재생장치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2D 재생장치의 구성으로부터의 확장 부분 및 변경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고, 기본 부분의 상세에 대한 설명은 상기의 2D 재생장치에 대한 설명을 원용한다. 또, 2D 플레이리스트 재생처리에 이용되는 구성은 2D 재생장치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그 상세에 대한 설명도 상기의 2D 재생장치에 대한 설명을 원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에 따른 3D 영상의 재생처리, 즉 3D 플레이리스트 재생처리를 상정한다.
도 50은 3D 재생장치(5000)의 기능 블록도이다. 3D 재생장치(5000)는 BD-ROM 드라이브(5001), 재생부(5002) 및 제어부(5003)를 포함한다. 재생부(5002)는 스위치(5020), 제 1 리드 버퍼(RB1)(5021), 제 2 리드 버퍼(RB2)(5022),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 플레인 가산부(5024) 및 HDMI 통신부(5025)를 포함한다. 제어부(5003)는 동적시나리오 메모리(5031), 정적시나리오 메모리(5032), 사용자 이벤트 처리부(5033), 프로그램 실행부(5034), 재생제어부(5035) 및 플레이어 변수 기억부(5036)를 포함한다. 재생부(5002)와 제어부(5003)는 서로 다른 집적회로에 실장되어 있다. 그 외에 양자가 단일의 집적회로에 통합되어 있어도 좋다. 특히, 동적시나리오 메모리(5031), 정적시나리오 메모리(5032), 사용자 이벤트 처리부(5033) 및 프로그램 실행부(5034)는 도 45에 나타내고 있는 2D 재생장치 내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들의 상세에 대한 설명은 상기의 2D 재생장치에 대한 설명을 원용한다.
재생제어부(5035)는 3D 플레이리스트 재생처리를 프로그램 실행부(5034) 등으로부터 명해진 때 정적시나리오 메모리(5032)에 저장된 3D 플레이리스트 파일로부터 PI를 차례로 판독하여 현재 PI로 설정한다. 재생제어부(5035)는 현재 PI를 설정할 때마다 먼저 그 STN 테이블과 그 3D 플레이리스트 파일 내의 STN 테이블 SS에 따라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와 플레인 가산부(5024)의 동작 조건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재생제어부(5035)는 복호 대상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PID를 선택하여 그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복호에 필요한 속성정보와 함께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에 인계한다. 선택된 PID가 나타내는 엘리멘터리 스트림 중에 PG 스트림 또는 IG 스트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재생제어부(5035)는 이들의 스트림 데이터에 할당된 참조 오프셋 ID(4001)를 특정하고, 플레이어 변수 기억부(5036) 내의 SPRM(27)에 설정한다. 또, 재생제어부(5035)는 STN 테이블 SS가 나타내는 팝업 기간의 오프셋(4111)에 의해 각 플레인 데이터의 표시 모드를 선택하고,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와 플레인 가산부(5024)에 지시한다.
다음에, 재생제어부(5035)는 현재 PI에 따라서 도 32 (e)의 설명에 나타나 있는 순서로 판독 대상의 익스텐트 SS가 기록된 섹터 군의 LBN의 범위를 BD-ROM 드라이브(5001)에 지시한다. 한편, 재생제어부(5035)는 정적시나리오 메모리(5032)에 저장된 클립정보파일 내의 익스텐트 기점을 이용하여 각 익스텐트 SS 내의 데이터블록의 경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한다. 이하, 그 정보를 「데이터블록 경계정보」라고 한다. 데이터블록 경계정보는 예를 들어 그 익스텐트 SS의 선두로부터 각 경계까지의 소스 패킷 수를 나타낸다. 또, 재생제어부(5035)는 데이터블록 경계정보를 스위치(5020)에 인계한다.
플레이어 변수 기억부(5036)는 2D 재생장치 내의 것(4536)과 마찬가지로, SPRM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46과는 달리, SPRM(24)는 도 44에 나타내고 있는 제 1 플래그를 포함하고, SPRM(25)은 제 2 플래그를 포함한다. 그 경우, SPRM(24)이"0"일 때는 재생장치(102)가 2D 영상의 재생에만 대응 가능하고, "1"일 때는 3D 영상의 재생에도 대응 가능하다. SPRM(25)가"0"일 때는 재생장치(102)가 L/R모드이고, "1"일 때는 뎁스 모드이다. 또, SPRM(25)가"2"일 때는 재생장치(102)가 2D 재생 모드이다. 또, SPRM(27)는 각 플레인 데이터에 할당된 참조 오프셋 ID(4001)의 저장 영역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SPRM(27)는 4 종류의 참조 오프셋 ID를 저장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이들의 참조 오프셋 ID는 PG 플레인에 대한 것(PG_ref_offset_id), IG 플레인에 대한 것(IG_ref_offset_id), 부 영상 플레인에 대한 것(SV_ref_offset_id) 및 이미지 플레인에 대한 것(IM_ref_offset_id)이다.
BD-ROM 드라이브(5001)는 도 45에 나타내고 있는 2D 재생장치 내의 것(4501)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BD-ROM 드라이브(5001)는 재생제어부(5035)로부터 LBN의 범위가 지시된 때 그 범위가 나타내는 BD-ROM 디스크(101) 상의 섹터 군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다. 특히, 파일 SS의 익스텐트, 즉 익스텐트 SS에 속하는 소스 패킷 군은 BD-ROM 드라이브(5001)로부터 스위치(5020)에 전송된다. 여기서, 각 익스텐트 SS는 도 15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베이스 뷰와 디펜던트 뷰의 데이터블록의 쌍을 1개 이상 포함한다. 이들 데이터블록은 RB1 (5021)과 RB2 (5022)에 병렬로 전송 되어야 한다. 따라서 BD-ROM 드라이브(5001)에는 2D 재생장치 내의 BD-ROM 드라이브(4501) 이상의 액세스 스피드가 요구된다.
스위치(5020)는 BD-ROM 드라이브(5001)로부터 익스텐트 SS를 수신한다. 한편, 스위치(5020)는 재생제어부(5035)로부터 그 익스텐트 SS에 관한 데이터블록 경계정보를 수신한다. 또, 스위치(5020)는 그 데이터블록 경계정보를 이용하여 각 익스텐트 SS로부터 베이스 뷰 익스텐트를 추출하여 RB1 (5021)에 송출하고,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를 추출하여 RB2 (5022)에 송출한다.
RB1 (5021)과 RB2 (5022)는 모두 재생부(5002) 내의 메모리 소자를 이용한 버퍼 메모리이다. 특히, 단일의 메모리 소자 내의 다른 영역이 RB1 (5021), RB2 (5022)로서 이용된다. 그 외에 다른 메모리 소자가 개별로 RB1 (5021), RB2 (5022)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RB1 (5021)는 스위치(5020)로부터 베이스 뷰 익스텐트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RB2 (5022)는 스위치(5020)로부터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는 3D 플레이리스트 재생처리에서 먼저 재생제어부(5035)로부터 복호 대상의 스트림 데이터의 PID와 그 복호에 필요한 속성정보를 수신한다. 다음에,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는 RB1 (5021)에 저장된 베이스 뷰 익스텐트와 RB2 (5022)에 저장된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로부터 교대로 소스 패킷을 판독한다. 이어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는 재생제어부(5035)로부터 수신된 PID가 나타내는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각 소스 패킷으로부터 분리해서 복호 한다. 또,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는 복호 후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그 종류별로 내장의 플레인 메모리에 기입한다.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은 좌 영상 플레인 메모리에 기입되고,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우 영상 플레인 메모리에 기입된다. 한편,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은 부 영상 플레인 메모리에 기입되고, IG 스트림은 IG 플레인 메모리에 기입되며, PG 스트림은 PG 플레인 메모리에 기입된다. 여기서, 도 3 (b), (c)에 나타내고 있는 PG 스트림 등과 같이 비디오 스트림 이외의 스트림 데이터가 베이스 뷰와 디펜던트 뷰의 스트림 데이터의 쌍으로 이루어질 때 그 스트림 데이터에 대응되어야 할 플레인 메모리는 베이스 뷰 플레인과 디펜던트 뷰 플레인의 양쪽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준비된다.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는 그 외에 프로그램 실행부(5034)로부터의 그래픽스 데이터, 예를 들어 JPEG 또는 PNG 등의 라스터 데이터에 대하여 렌더링 처리를 하여 이미지 플레인 메모리에 기입한다.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는 좌 영상 플레인 메모리와 우 영상 플레인 메모리로부터의 플레인 데이터의 출력 모드를 B-D표시 모드와 B-B표시 모드의 각각에 다음과 같이 대응시킨다. 재생제어부(5035)로부터 B-D표시 모드가 지시된 때,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는 좌 영상 플레인 메모리와 우 영상 플레인 메모리로부터 교대로 플레인 데이터를 출력한다. 한편, 재생제어부(5035)로부터 B-B표시 모드가 지시된 때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는 동작 모드를 3D 재생 모드에 유지한 채로 좌 영상 플레인 메모리와 우 영상 플레인 메모리 중 어느 하나에서만 플레인 데이터를 1 프레임당 2회씩 출력한다.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는 그래픽스 플레인 메모리와 부 영상 플레인 메모리로부터의 플레인 데이터의 출력 모드를 2 플레인 모드, 1 플레인+오프셋 모드 및 1 플레인+제로 오프셋 모드의 각각에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대응시킨다. 여기서, 그래픽스 플레인 메모리는 PG 플레인 메모리, IG 플레인 메모리 및 이미지 플레인 메모리를 포함한다.
재생제어부(5035)에서 2 플레인 모드가 지시된 때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는 각 플레인 메모리로부터 플레인 가산부(5024)에 베이스 뷰 플레인과 디펜던트 뷰 플레인을 교대로 송출한다.
재생제어부(5035)로부터 1 플레인+오프셋 모드가 지시된 때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는 각 플레인 메모리로부터 플레인 가산부(5024)에 2D 영상을 나타내는 플레인 데이터를 송출한다. 그것과 병행하여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는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각 비디오 시퀀스의 선두의 VAU를 판독할 때마다 그 VAU로부터 오프셋 메타데이터(1110)를 판독한다. 그 비디오 시퀀스의 재생구간에서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는 먼저 각 VAU와 함께 동일한 PES 패킷에 저장된 PTS와, 그 VAU의 압축 픽쳐 데이터가 나타내는 프레임의 번호를 특정한다. 다음에,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는 그 프레임 번호에 대응된 오프셋 정보를 오프셋 메타데이터로부터 판독하고, 특정된 PTS가 나타내는 시각에 플레인 가산부(5024)에 송출한다.
재생제어부(5035)로부터 1 플레인+제로 오프셋 모드가 지시된 때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는 각 플레인 메모리로부터 플레인 가산부(5024)에 2D 영상을 나타내는 플레인 데이터를 송출한다. 그것과 병행하여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는 오프셋 값가"0"으로 설정된 오프셋 정보를 플레인 가산부(5024)에 송출한다.
플레인 가산부(5024)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로부터 각종의 플레인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들을 서로 중첩하여 하나의 프레임 또는 필드에 합성한다. 특히 L/R모드에서는 좌 영상 플레인은 레프트 뷰 비디오 플레인을 나타내고, 우 영상 플레인은 라이트 뷰 비디오 플레인을 나타낸다. 따라서 플레인 가산부(5024)는 좌 영상 플레인에는 레프트 뷰를 나타내는 다른 플레인 데이터를 중첩하고, 우 영상 플레인 데이터에는 라이트 뷰를 나타내는 다른 플레인 데이터를 중첩한다. 한편, 뎁스 모드에서는 우 영상 플레인은 좌 영상 플레인이 나타내는 영상에 대한 뎁스 맵을 나타낸다. 따라서 플레인 가산부(5024)는 먼저 양쪽의 영상 플레인으로부터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비디오 플레인의 쌍을 생성한다. 그 후의 합성 처리는 L/R모드에서의 합성 처리와 동일하다.
플레인 가산부(5024)는 재생제어부(5035)로부터 부 영상 플레인 또는 그래픽스 플레인(PG 플레인, IG 플레인, 이미지 플레인)의 표시 모드로서 1 플레인+오프셋 모드가 지시된 때 그 플레인 데이터에 대하여 오프셋 제어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플레인 가산부(5024)는 먼저, 플레이어 변수 기억부(5036) 내의 SPRM(27)로부터 그 플레인 데이터에 대한 참조 오프셋 ID를 판독한다. 다음에, 플레인 가산부(5024)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로부터 수신한 오프셋 정보를 참조하여 참조 오프셋 ID가 나타내는 오프셋 시퀀스(1113)에 속하는 오프셋 정보, 즉 오프셋 방향(1122)과 오프셋 값(1123)의 쌍을 검색한다. 플레인 가산부(5024)는 그 후, 검색된 오프셋 값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플레인 데이터에 대해서 오프셋 제어를 실시한다. 이에 의해 플레인 가산부(5024)는 하나의 플레인 데이터로부터 레프트 뷰 플레인과 라이트 뷰 플레인의 쌍을 생성하고, 대응하는 비디오 플레인에 합성한다.
플레인 가산부(5024)는 재생제어부(5035)로부터 1 플레인+제로 오프셋 모드가 지시된 때 SPRM(27)를 참조하는 일 없이 각 플레인 데이터에 대한 오프셋 값을"0"으로 설정한다. 이에 의해 플레인 가산부(5024)는 각 플레인 데이터에 대한 오프셋 제어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킨다. 따라서 동일한 플레인 데이터가 레프트 뷰 비디오 플레인과 라이트 뷰 비디오 플레인의 양쪽에 합성된다.
플레인 가산부(5024)는 재생제어부(5035)로부터 2 플레인 모드가 지시된 때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로부터 베이스 뷰 플레인과 디펜던트 뷰 플레인의 쌍을 수신한다. 여기서, L/R모드에서는 베이스 뷰 플레인은 레프트 뷰 플레인을 나타내고, 디펜던트 뷰 플레인은 라이트 뷰 플레인을 나타낸다. 따라서 플레인 가산부(5024)는 베이스 뷰 플레인을 좌 영상 플레인에 중첩하고, 디펜던트 뷰 플레인을 우 영상 플레인에 중첩한다. 한편, 뎁스 모드에서는 디펜던트 뷰 플레인은 베이스 뷰 플레인이 나타내는 영상에 대한 뎁스 맵을 나타낸다. 따라서 플레인 가산부(5024)는 먼저 베이스 뷰 플레인과 디펜던트 뷰 플레인의 쌍으로부터 레프트 뷰 플레인과 라이트 뷰 플레인의 쌍을 생성하고, 그 후 비디오 플레인과의 합성 처리를 한다.
플레인 가산부(5024)는 그 외에 합성 후의 플레인 데이터의 출력 형식을 표시장치(103) 등, 그 데이터의 출력 처의 장치에 의한 3D 영상의 표시 방식에 맞춰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출력 처의 장치가 계시 분리방식을 이용할 때 플레인 가산부(5024)는 합성 후의 플레인 데이터를 하나의 영상프레임 또는 필드로 송출한다. 한편, 출력 처의 장치가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할 때 플레인 가산부(5024)는 내장의 버퍼 메모리를 이용하여 레프트 뷰 플레인과 라이트 뷰 플레인의 쌍을 하나의 영상프레임 또는 필드에 합성해서 송출한다. 구체적으로는 플레인 가산부(5024)는 먼저 합성된 레프트 뷰 플레인을 일단 그 버퍼 메모리에 저장해서 보유한다. 이어서, 플레인 가산부(5024)는 라이트 뷰 플레인을 합성하고, 버퍼 메모리에 보유된 레프트 뷰 플레인과 다시 합성한다. 그 합성에서는 레프트 뷰 플레인과 라이트 뷰 플레인이 각각 세로 방향으로 좁고 긴 직사각형의 소 영역으로 분할되며, 각 소 영역이 하나의 프레임 또는 필드 중에 횡 방향에 교대로 배열되어서 하나의 프레임 또는 필드로 재구성된다. 이렇게 하여 레프트 뷰 플레인과 라이트 뷰 플레인의 쌍이 하나의 영상프레임 또는 필드에 합성된다. 플레인 가산부(5024)는 그 합성 후의 영상프레임 또는 필드를 출력 처의 장치에 송출한다.
HDMI 통신부(5025)는 HDMI 케이블(122)에 의해 표시장치(103)에 접속되고, HDMI 케이블(122)를 통해서 표시장치(103)와의 사이에서 CEC 메시지를 교환한다. 이에 의해 HDMI 통신부(5025)는 표시장치(103)에 대해서 HDMI 인증을 실시하고, 3D 영상의 재생에 대응 가능한가 여부를 표시장치(103)에 문의한다.
≪3D 플레이리스트 재생처리≫
도 51은 재생제어부(5035)에 의한 3D 플레이리스트 재생처리의 플로차트이다. 3D 플레이리스트 재생처리는 재생제어부(5035)가 정적시나리오 메모리(5032)에서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을 판독함으로써 개시된다.
스텝 S5101에서는 재생제어부(5035)는 먼저 3D 플레이리스트 파일 내의 메인 패스로부터 PI를 1개 판독하여 현재의 PI로 설정한다. 다음에, 재생제어부(5035)는 그 현재 PI의 STN 테이블로부터 재생 대상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PID를 선택ㅎ하고, 또한 이들의 복호에 필요한 속성정보를 특정한다. 또, 재생제어부(5035)는 3D 플레이리스트 파일 내의 STN 테이블 SS(3930) 중 현재 PI에 대응하는 것에서 재생 대상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으로 추가되어야 할 것의 PID를 선택하고, 또한 이들의 복호에 필요한 속성정보를 특정한다. 선택된 PID와 속성정보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에 지시된다. 재생제어부(5035)는 그 외에 3D 플레이리스트 파일 내의 서브 패스로부터 현재 PI와 동시에 참조되어야 할 SUB_PI를 특정하고, 현재의 SUB_PI로 설정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5102로 진행된다.
스텝 S5102에서는 재생제어부(5035)는 STN 테이블 SS가 나타내는 팝업 기간의 오프셋(4111)에 의해 각 플레인 데이터의 표시 모드를 선택하고,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와 플레인 가산부(5024)에 지시한다. 특히, 팝업 기간의 오프셋의 값이"0"일 때 비디오 플레인의 표시 모드로 B-D표시 모드가 선택되고, 그래픽스 플레인의 표시 모드로 2 플레인 모드 또는 1 플레인+오프셋 모드가 선택된다. 한편, 팝업 기간의 오프셋의 값이"1"일 때 비디오 플레인의 표시 모드로 B-B표시 모드가 선택되고, 그래픽스 플레인의 표시 모드로 1 플레인+제로 오프셋 모드가 선택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5103으로 진행된다.
스텝 S5103에서는 그래픽스 플레인의 표시 모드로 1 플레인+오프셋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1 플레인+오프셋 모드가 선택된 경우, 처리는 스텝 S5104로 진행된다. 한편, 2 플레인 모드 또는 1 플레인+제로 오프셋 모드가 선택된 경우, 처리는 스텝 S5105로 진행된다.
스텝 S5104에서는 재생제어부(5035)는 현재 PI의 STN 테이블을 참조하여 선택된 PID가 나타내는 엘리멘터리 스트림 중에서 PG 스트림 또는 IG 스트림을 검출한다. 또, 재생제어부(5035)는 이들의 스트림 데이터에 할당된 참조 오프셋 ID를 특정해서 플레이어 변수 기억부(5036) 내의 SPRM(27)에 설정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5105로 진행된다.
스텝 S5105에서는 재생제어부(5035)는 현재의 PI와 SUB_PI의 각각으로부터 참조클립정보, 재생개시시각 IN1를 나타내는 PTS #1 및 재생종료시각 OUT1를 나타내는 PTS #2를 판독한다. 그 참조클립정보로부터 재생 대상의 파일 2D와 파일 DEP의 각각에 대응하는 클립정보파일이 특정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5106로 진행된다.
스텝 S5106에서는 재생제어부(5035)는 스텝 S5105에서 특정된 클립정보파일의 각 엔트리 맵을 참조하여, 도 42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PTS #1, #2에 대응하는 파일 2D 내의 SPN #1, #2과 파일 DEP 내의 SPN #11, #12를 검색한다. 또, 재생제어부(5035)는 각 클립정보파일의 익스텐트 기점을 이용하여 파일 SS의 선두로부터 재생개시위치까지의 소스 패킷 수 SPN #21을 SPN #1, #11로부터 산정하고, 파일 SS의 선두로부터 재생종료위치까지의 소스 패킷 수 SPN #22를 SPN #2, #12로부터 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재생제어부(5035)는 먼저 2D클립정보파일의 익스텐트 기점이 나타내는 SPN 중에서 SPN #1 이하에서 최대의 것"Am"를 검색하고,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의 익스텐트 기점이 나타내는 SPN 중에서 SPN #11 이하에서 최대의 것"Bm"을 검색한다. 이어서, 재생제어부(5035)는 검색된 SPN의 합 Am+Bm를 구해서 SPN #21로 결정한다. 다음에, 재생제어부(5035)는 2D클립정보파일의 익스텐트 기점이 나타내는 SPN 중에서 SPN #2보다 크고, 또한 최소의 것"An"을 검색하고,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의 익스텐트 기점이 나타내는 SPN 중에서 SPN #12보다 크고, 또한 최소의 것"Bn"을 검색한다. 이어서, 재생제어부(5035)는 검색된 SPN의 합 An+BN을 구해서 SPN #22로 결정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5107로 진행된다.
스텝 S5107에서는 재생제어부(5035)는 스텝 S5106에서 결정된 SPN #21, #22를 섹터 수의 쌍 N1, N2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는 재생제어부(5035)는 먼저 SPN #21과 소스 패킷 1개당의 데이터량 192 바이트의 곱을 구한다. 다음에, 재생제어부(5035)는 그 곱을 섹터 1개당의 데이터량 2048 바이트로 나누었을 때의 몫 SPN #21×192/2048을 구한다. 이 몫은 파일 SS의 선두로부터 재생개시위치의 직전까지의 섹터 수 N1과 같다. 마찬가지로 재생제어부(5035)는 SPN #22로부터 몫 SPN #22×192/2048을 구한다. 이 몫은 파일 SS의 선두로부터 재생종료위치의 직전까지의 섹터 수 N2와 같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5108로 진행된다.
스텝 S5108에서는 재생제어부(5035)는 스텝 S5107에서 얻어진 섹터 수 N1, N2의 각각으로부터 재생 대상의 익스텐트 SS 군의 선단과 후단의 LBN을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재생제어부(5035)는 재생 대상의 파일 SS의 파일 엔트리를 참조하여 익스텐트 SS 군이 기록된 섹터 군의 선두에서부터 세어서 (N1+1)번째의 섹터의 LBN=LBN #1과, (N2+1)번째의 섹터의 LBN=LBN #2를 특정한다. 또, 재생제어부(5035)는 LBN #1에서 LBN #2까지의 범위를 BD-ROM 드라이브(5001)에 지정한다. 그 결과, 지정된 범위의 섹터 군으로부터 익스텐트 SS 군에 속하는 소스 패킷 군이 얼라인드 유닛 단위로 판독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5109로 진행된다.
스텝 S5109에서는 재생제어부(5035)는 스텝 S5106에서 이용된 클립정보파일의 익스텐트 기점을 다시 이용하여 익스텐트 SS 군에 관한 데이터블록 경계정보를 생성해서 스위치(5020)에 송출한다. 구체적인 예로 재생개시위치를 나타내는 SPN #21이 각 익스텐트 기점이 나타내는 SPN의 합 An+Bn과 같고, 재생종료위치를 나타내는 SPN #22가 각 익스텐트 기점이 나타내는 SPN의 합 Am+Bm과 같을 때를 상정한다. 그때 재생제어부(5035)는 각 익스텐트 기점으로부터 SPN의 차의 열, A(n+1)-An, B(n+1)-Bn, A(n+2)-A(n+1), B(n+2)-B(n+1), …, Am-A(m-1), Bm-B(m-1)를 구해서 데이터블록 경계정보로 스위치(5020)에 송출한다. 도 32 (e)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이 열은 익스텐트 SS에 포함되는 각 데이터블록의 소스 패킷 수를 나타낸다. 스위치(5020)는 BD-ROM 드라이브(5001)로부터 수신되는 익스텐트 SS의 소스 패킷 수를 0에서부터 카운트한다. 그 카운트가 데이터블록 경계정보가 나타내는 SPN의 차와 일치할 때마다 스위치(5020)는 소스 패킷의 송출 처를 RB1 (5021)과 RB2 (5022)의 사이에서 전환하고, 또한 카운트를 0으로 리셋한다. 그 결과, 익스텐트 SS의 선두로부터 {B(n+1)-Bn}개의 소스 패킷은 최초의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로서 RB2 (4922)에 송출되며, 이어지는 {A(n+1)-An}개의 소스 패킷은 최초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로서 RB1 (5021)에 송출된다. 이후도 마찬가지로 스위치(5020)에 의해 수신되는 소스 패킷의 수가 데이터블록 경계정보가 나타내는 SPN의 차와 일치할 때마다 익스텐트 SS로부터 디펜던트 뷰와 베이스 뷰의 각 익스텐트가 교대로 추출된다.
스텝 S5110에서는 재생제어부(5035)는 메인 패스에 미처리의 PI가 남아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남아 있을 때는 처리가 스텝 S5101로부터 반복된다. 남아 있지 않을 때는 처리가 종료한다.
≪시스템 타깃 디코더≫
도 52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2에 나타내고 있는 구성요소는 도 48에 나타내고 있는 2D 재생장치의 것(4523)과는 다음의 2점에서 다르다: (1) 리드 버퍼로부터 각 디코더로의 입력 계통이 이중화되어 있는 점 및 (2) 주 영상 디코더는 3D 재생 모드에 대응 가능하고, 부 영상 디코더, PG 디코더 및 IG 디코더는 2 플레인 모드에 대응 가능한 점. 즉, 이들의 영상 디코더는 모두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을 교대로 복호 할 수 있다. 특히, 2 플레인 모드의 각 디코더는 베이스 뷰 플레인을 복호 하는 부분과 디펜던트 뷰 플레인을 복호 하는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어도 좋다. 한편, 주 음성 디코더, 부 음성 디코더, 음성 믹서, 이미지 프로세서 및 각 플레인 메모리는 도 48에 나타내고 있는 2D 재생장치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52에 나타내고 있는 구성요소 중 도 48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는 다른 것에 대하여 설명하고, 동일한 것의 상세에 대한 설명은 도 48에 대한 설명을 원용한다. 또, 각 영상 디코더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주 영상 디코더(5215)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일한 설명은 다른 영상 디코더의 구조에 대해서도 성립한다.
제 1 소스 디 패킷다이저(5211)는 RB1 (5021)로부터 소스 패킷을 판독하고, 그 중에서 TS 패킷을 추출하여 제 1 PID 필터(5213)에 송출한다. 제 2 소스 디 패킷다이저(5212)는 RB2 (5022)로부터 소스 패킷을 판독하고, 그 중에서 TS 패킷을 추출하여 제 2 PID 필터(5214)에 송출한다. 또, 각 소스 디 패킷다이저(5211, 5212)는 각 TS 패킷의 송출 시각을 각 소스 패킷의 ATS가 나타내는 시각에 맞춘다. 그 동기 방법은 도 48에 나타내고 있는 소스 디 패킷다이저(48710)에 의한 방법과 동일하다. 따라서 그 상세에 대한 설명은 도 48에 대한 설명을 원용한다. 이와 같은 송출 시각의 조절에 의해, 제 1 소스 디 패킷다이저(5211)로부터 제 1 PID 필터(5213)로의 TS 패킷의 평균 전송속도 RTS1는 2D클립정보파일이 나타내는 시스템 레이트를 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 2 소스 디 패킷다이저(5212)로부터 제 2 PID 필터(5214)로의 TS 패킷의 평균 전송속도 RTS2는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이 나타내는 시스템 레이트를 넘지 않는다.
제 1 PID 필터(5213)는 제 1 소스 디 패킷다이저(5211)로부터 TS 패킷을 수신할 때마다 그 PID를 선택 대상의 PID와 비교한다. 그 선택 대상의 PID는 재생제어부(5035)에 의해 미리 3D 플레이리스트 파일 내의 STN 테이블에 따라서 지정되어 있다. 양쪽의 PID가 일치했을 때 제 1 PID 필터(5013)는 그 TS 패킷을 그 PID에 할당된 디코더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PID가 0x1011일 때 그 TS 패킷은 주 영상 디코더(5215) 내의 TB1 (5201)에 전송된다. 그 외에 PID가 0x1B00-0x1B1F, 0x1100-0x111F, 0x1A00-0x1A1F, 0x1200-0x121F 및 0x1400-0x141F의 각 범위에 속할 때 대응하는 TS 패킷은 각각 부 영상 디코더, 주 음성 디코더, 부 음성 디코더, PG 디코더 및 IG 디코더에 전송된다.
제 2 PID 필터(5214)는 제 2 소스 디 패킷다이저(5212)로부터 TS 패킷을 수신할 때마다 그 PID를 선택 대상의 PID와 비교한다. 그 선택 대상의 PID는 재생제어부(5035)에 의해 미리 3D 플레이리스트 파일 내의 STN 테이블 SS에 따라서 지정되어 있다. 양쪽의 PID가 일치했을 때 제 2 PID 필터(5214)는 그 TS 패킷을 그 PID에 할당된 디코더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PID가 0x1012 또는 0x1013일 때 그 TS 패킷은 주 영상 디코더(5215) 내의 TB2 (5208)에 전송된다. 그 외에 PID가 0x1B20-0x1B3F, 0x1220-0x127F 및 0x1420-0x147F의 각 범위에 속할 때 대응하는 TS 패킷은 각각 부 영상 디코더, PG 디코더 및 IG 디코더에 전송된다.
주 영상 디코더(5215)는 TB1 (5201),MB1 (5202), EB1 (5203), TB2 (5208),MB2 (5209), EB2 (5210), 버퍼 스위치(5206), DEC(5204), DPB(5205) 및 픽쳐 스위치(5207)를 포함한다. TB1 (5201),MB1 (5202), EB1 (5203), TB2 (5208),MB2 (5209), EB2 (5210) 및 DPB(5205)는 모두 버퍼 메모리이다. 각 버퍼 메모리는 주 영상 디코더(5215)에 내장된 메모리 소자의 한 영역을 이용한다. 그 외에 이들의 버퍼 메모리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다른 메모리 소자로 분리되고 있어도 좋다.
TB1 (5201)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하는 TS 패킷을 제 1 PID 필터(5213)로부터 수신해서 그대로 축적한다.MB1 (5202)는 TB1 (5201)에 축적된 TS 패킷으로부터 PES 패킷을 복원해서 축적한다. 그때 각 TS 패킷으로부터 TS헤더가 제거된다. EB1 (5203)는MB1 (5202)에 축적된 PES 패킷으로부터 부호화된 VAU를 추출해서 축적한다. 그때 각 PES 패킷으로부터 PES 헤더가 제거된다.
TB2 (5208)는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하는 TS 패킷을 제 2 PID 필터(5214)로부터 수신해서 그대로 축적한다.MB2 (5209)는 TB2 (5208)에 축적된 TS 패킷으로부터 PES 패킷을 복원해서 축적한다. 그때 각 TS 패킷으로부터 TS헤더가 제거된다. EB2 (5210)는MB2 (5209)에 축적된 PES 패킷으로부터 부호화된 VAU를 추출해서 축적한다. 그때 각 PES 패킷으로부터 PES 헤더가 제거된다.
버퍼 스위치(5206)는 EB1 (5203)와 EB2 (5210)의 각각에 축적된 VAU의 헤더를 DEC(5204)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전송한다. 또, 버퍼 스위치(5206)는 그 VAU의 압축 픽쳐 데이터를 원래의 TS 패킷에 포함되는 DTS가 나타내는 시각에 DEC(5204)에 전송한다. 여기서,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사이에서는 동일한 3D VAU에 속하는 한 쌍의 픽쳐의 DTS가 같다. 따라서 버퍼 스위치(5206)는 DTS가 동일한 한 쌍의 VAU 중 EB1 (5203)에 축적된 쪽을 먼저 DEC(5204)에 전송한다.
DEC(5204)는 도 48에 나타내고 있는 DEC(4804)와 마찬가지로, 압축 픽쳐의 복호처리에 특화한 하드웨어 디코더이며, 특히 그 복호처리의 가속기 기능을 구비한 LSI로 구성되어 있다. DEC(5204)는 버퍼 스위치(5206)으로부터 전송된 압축 픽쳐 데이터를 순차 복호 한다. 그 복호처리에서는 DEC(5204)는 미리 각 VAU의 헤더를 해석해서 그 VAU 내에 저장된 압축 픽쳐의 압축 부호화방식과 스트림 속성을 특정하고, 그들에 따라서 복호방법을 선택한다. 여기서, 그 압축 부호화방식은 예를 들어 MPEG-2, MPEG-4 AVC 및 VC1를 포함한다. 또, DEC(5204)는 복호 된 비 압축의 픽쳐를 DPB(5205)에 전송한다.
DEC(5204)는 그 외에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하나의 비디오 시퀀스의 선두의 VAU를 판독할 때마다 그 VAU로부터 오프셋 메타데이터를 판독한다. 그 비디오 시퀀스의 재생구간에서는 DEC(5204)는 먼저, 그 VAU와 함께 하나의 PES 패킷에 저장된 PTS와, 그 VAU의 압축 픽쳐 데이터가 나타내는 프레임의 번호를 특정한다. 다음에, DEC(5204)는 그 프레임 번호에 대응된 오프셋 정보를 오프셋 메타데이터로부터 판독하고, 특정된 PTS가 나타내는 시각에 플레인 가산부(5024)에 송출한다.
DPB(5205)는 복호 된 비 압축의 픽쳐를 일시적으로 보유한다. DEC(5204)가 P픽쳐 및 B픽쳐를 복호 할 때 DPB(5205)는 DEC(5204)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보유되어 있는 비 압축의 픽쳐 중에서 참조 픽쳐를 검색해서 DEC(5204)에 제공한다.
픽쳐 스위치(5207)는 DPB(5205)로부터 비 압축의 각 픽쳐를 원래의 TS 패킷에 포함되는 PTS가 나타내는 시각에 좌 영상 플레인 메모리(5220)와 우 영상 플레인 메모리(5221) 중 어느 하나에 기입한다. 여기서, 동일한 3D VAU에 속하는 베이스 뷰 픽쳐와 디펜던트 뷰 픽쳐에서는 PTS가 동일하다. 따라서 픽쳐 스위치(5207)는 DPB(5205)에 보유된 PTS의 동일한 한 쌍의 픽쳐 중 베이스 뷰 픽쳐를 먼저 좌 영상 플레인 메모리(5220)에 기입하고, 이어서 디펜던트 뷰 픽쳐를 우 영상 플레인 메모리(5221)에 기입한다.
≪1 플레인+(제로·) 오프셋 모드의 플레인 가산부≫
도 53은 1 플레인+오프셋 모드 또는 1 플레인+제로 오프셋 모드의 플레인 가산부(5024)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3을 참조하면, 플레인 가산부(5024)는 시차 영상 생성부(5310), 스위치(5320), 4개의 크로핑 처리부(5331-5334) 및 4개의 가산부(5341-5344)를 포함한다.
시차 영상 생성부(5310)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로부터 좌 영상 플레인(5301)과 우 영상 플레인(5302)를 수신한다. L/R모드의 재생장치(102)에서는 좌 영상 플레인(5301)은 레프트 뷰 비디오 플레인을 나타내고, 우 영상 플레인(5302)은 라이트 뷰 비디오 플레인을 나타낸다. L/R모드의 시차 영상 생성부(5310)는 수신된 각 비디오 플레인(5301, 5302)를 그대로 스위치(5320)에 송출한다. 한편, 뎁스 모드의 재생장치(102)에서는 좌 영상 플레인(5301)은 2D 영상의 비디오 플레인을 나타내고, 우 영상 플레인(5302)은 그 2D 영상에 대한 뎁스 맵을 나타낸다. 뎁스 모드의 시차 영상 생성부(5310)는 먼저 그 뎁스 맵으로부터 그 2D 영상의 각부의 양안 시차를 계산한다. 다음에, 시차 영상 생성부(5310)는 좌 영상 플레인(5301)을 가공해서 비디오 플레인에서의 그 2D 영상의 각부의 표시 위치를 계산된 양안 시차에 의해 좌우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레프트 뷰 비디오 플레인과 라이트 뷰 비디오 플레인의 쌍이 생성된다. 또, 시차 영상 생성부(5310)는 생성된 비디오 플레인의 쌍을 좌 영상 플레인과 우 영상 플레인의 쌍으로 스위치(5320)에 송출한다.
스위치(5320)는 재생제어부(5035)로부터 B-D표시 모드가 지시된 때 PTS가 동일한 좌 영상 플레인(5301)과 우 영상 플레인(5302)를 그 순서로 제 1 가산부(5341)에 송출한다. 스위치(5320)는 재생제어부(5035)로부터 B-B표시 모드가 지시된 때 PTS가 동일한 좌 영상 플레인(5301)과 우 영상 플레인(5302)의 일방을 1 프레임당 2회씩 제 1 가산부(5341)에 송출하고, 타방을 파기한다.
제 1 크로핑 처리부(5331)는 재생제어부(5035)에서 1 플레인+오프셋 모드가 지시된 때 부 영상 플레인(5303)에 대하여 오프셋 제어를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제 1 크로핑 처리부(5331)는 먼저,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로부터 오프셋 정보(5307)를 수신한다. 그때 제 1 크로핑 처리부(5331)는 플레이어 변수 기억부(5036) 내의 SPRM(27)(5351)로부터 부 영상 플레인에 대한 참조 오프셋 ID를 판독한다. 다음에, 제 1 크로핑 처리부(5331)는 그 참조 오프셋 ID가 나타내는 오프셋 시퀀스에 속하는 오프셋 정보를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로부터 수신한 오프셋 정보(5307) 중에서 검색한다. 또, 제 1 크로핑 처리부(5331)는 검색된 오프셋 정보를 이용하여 부 영상 플레인(5303)에 대하여 오프셋 제어를 실시한다. 그 결과, 부 영상 플레인(5303)은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를 나타내는 한 쌍의 플레인 데이터로 변환된다. 또,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부 영상 플레인은 교대로 제 1 가산부(5341)에 송출된다.
여기서, SPRM(27)(5351)의 값은 일반적으로 현재 PI가 전환할 때마다 재생제어부(5035)에 의해 갱신된다. 그 외에 프로그램 실행부(5034)가 무비 오브젝트 또는 BD-J오브젝트에 따라서 SPRM(27)(5351)의 값을 설정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 2 크로핑 처리부(5332)는 PG 플레인(5304)를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PG 플레인으로 변환한다. 이들 PG 플레인은 교대로 제 2 가산부(5342)에 송출된다. 제 3 크로핑 처리부(5333)는 IG 플레인(5305)을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IG 플레인의 쌍으로 변환한다. 이들 IG 플레인은 교대로 제 3 가산부(5343)에 송출된다. 제 4 크로핑 처리부(5334)는 이미지 플레인(5306)을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이미지 플레인으로 변환한다. 이들의 이미지 플레인은 교대로 제 4 가산부(5344)에 송출된다.
제 1 크로핑 처리부(5331)는 재생제어부(5035)에서 1 플레인+제로 오프셋 모드가 지시된 때 부 영상 플레인(5303)에 대한 오프셋 제어를 실행하지 않고 부 영상 플레인(5303)을 그대로 2회 반복해서 제 1 가산부(5341)에 송출한다. 다른 크로핑 처리부(5332-5334)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제 1 가산부(5341)는 스위치(5320)로부터는 비디오 플레인을 수신하고, 제 1 크로핑 처리부(5331)로부터는 부 영상 플레인을 수신한다. 제 1 가산부(5341)는 그때 수신된 비디오 플레인과 부 영상 플레인을 1세트씩 중첩하여 제 2 가산부(5342)에 인계한다. 제 2 가산부(5342)는 제 2 크로핑 처리부(5332)로부터 PG 플레인을 수신하고, 제 1 가산부(5341)로부터 수신된 플레인 데이터에 중첩하여 제 3 가산부(5343)에 인계한다. 제 3 가산부(5343)는 제 3 크로핑 처리부(5333)로부터 IG 플레인을 수신하고, 제 2 가산부(5342)로부터 수신된 플레인 데이터에 중첩하여 제 4 가산부(5344)에 인계한다. 제 4 가산부(5344)는 제 4 크로핑 처리부(5334)로부터 이미지 플레인을 수신하고, 제 3 가산부(5343)로부터 수신된 플레인 데이터에 중첩하여 표시장치(103)에 송출한다. 여기서, 각 가산부(5341-5344)는 플레인 데이터의 중첩에α합성을 이용한다. 이렇게 하여 좌 영상 플레인(5301)과 우 영상 플레인(5302)의 각각에 도 53에 화살표(5300)로 나타낸 순서로 부 영상 플레인(5303), PG 플레인(5304), IG 플레인(5305) 및 이미지 플레인(5306)이 중첩된다. 그 결과, 각 플레인 데이터가 나타내는 영상은 표시장치(103)의 화면상에 좌 영상 플레인 또는 우 영상 플레인, 부 영상 플레인, IG 플레인, PG 플레인 및 이미지 플레인의 순으로 중첩된 것처럼 표시된다.
[오프셋 제어의 플로차트]
도 54는 각 크로핑 처리부(5331-5334)에 의한 오프셋 제어의 플로차트이다. 각 크로핑 처리부(5331-5334)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로부터 오프셋 정보(5307)를 수신한 때에 오프셋 제어를 개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2 크로핑 처리부(5332)가 PG 플레인(5304)에 대하여 오프셋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다른 크로핑 처리부(5331, 5333, 5334)는 각각 부 영상 플레인(5303), IG 플레인(5305) 및 이미지 플레인(5306)에 대하여 동일한 처리를 실시한다.
스텝 S5401에서는 제 2 크로핑 처리부(5332)는 먼저,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로부터 PG 플레인(5304)를 수신한다. 그때 제 2 크로핑 처리부(5332)는 SPRM(27)(5351)로부터 PG 플레인에 대한 참조 오프셋 ID를 판독한다. 다음에, 제 2 크로핑 처리부(5331)는 그 참조 오프셋 ID가 나타내는 오프셋 시퀀스에 속하는 오프셋 정보를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로부터 수신한 오프셋 정보(5307) 중에서 검색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5402로 진행된다.
스텝 S5402에서는 제 2 크로핑 처리부(5332)는 스위치(5320)에 의해 선택된 비디오 플레인이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어느 것을 나타내는가를 체크한다. 비디오 플레인이 레프트 뷰를 나타낼 때 처리는 스텝 S5403으로 진행된다. 비디오 플레인이 라이트 뷰를 나타낼 때 처리는 스텝 S5406으로 진행된다.
스텝 S5403에서는 제 2 크로핑 처리부(5332)는 검색된 오프셋 방향의 값을 체크한다. 여기서, 다음의 경우를 상정한다: 오프셋 방향의 값이"0"일 때는 3D 그래픽스 영상의 깊이가 화면보다 앞이고, 오프셋 방향의 값이"1"일 때는 안쪽이다. 그 경우, 오프셋 방향의 값이"0"일 때 처리는 스텝 S5404로 진행된다. 오프셋 방향의 값이"1"일 때 처리는 스텝 S5405로 진행된다.
스텝 S5404에서는 제 2 크로핑 처리부(5332)는 PG 플레인(5304)에 오른쪽 방향의 오프셋을 부여한다. 즉, PG 플레인(5304)이 포함하는 각 화소 데이터의 위치를 오프셋 값만큼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5409로 진행된다.
스텝 S5405에서는 제 2 크로핑 처리부(5332)는 PG 플레인(5304)에 왼쪽 방향의 오프셋을 부여한다. 즉, PG 플레인(5304)이 포함하는 각 화소 데이터의 위치를 오프셋 값만큼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5409로 진행된다.
스텝 S5406에서는 제 2 크로핑 처리부(5332)는 검색된 오프셋 방향의 값을 체크한다. 오프셋 방향의 값이"0"일 때 처리는 스텝 S5407로 진행된다. 오프셋 방향의 값이"1"일 때 처리는 스텝 S5408로 진행된다.
스텝 S5407에서는 스텝 S5404와는 반대로 제 2 크로핑 처리부(5332)는 PG 플레인(5304)에 왼쪽 방향의 오프셋을 부여한다. 즉, PG 플레인(5304)이 포함하는 각 화소 데이터의 위치를 오프셋 값만큼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5409로 진행된다.
스텝 S5408에서는 스텝 S5405와는 반대로 제 2 크로핑 처리부(5332)는 PG 플레인(5304)에 오른쪽 방향의 오프셋을 부여한다. 즉, PG 플레인(5304)이 포함하는 각 화소 데이터의 위치를 오프셋 값만큼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5409로 진행된다.
스텝 S5409에서는 제 2 크로핑 처리부(5332)는 처리 후의 PG 플레인(5304)를 제 3 크로핑 처리부(5334)에 송출한다. 그 후, 처리는 종료한다.
[오프셋 제어에 의한 플레인 데이터의 변화]
도 55 (b)는 제 2 크로핑 처리부(5332)에 의한 오프셋 제어에 의해 가공되기 전의 PG 플레인(GP)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5 (b)를 참조하면, PG 플레인(GP)은 자막"I Love you"를 나타내는 화소 데이터 군, 즉 자막 데이터(STL)를 포함한다. 그 자막 데이터(STL)는 PG 플레인 데이터 GP의 좌단에서 거리(D0)에 위치한다.
도 55 (a)는 오른쪽 방향의 오프셋이 부여된 PG 플레인(RGP)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5 (a)를 참조하면, 제 2 크로핑 처리부(5332)는 PG 플레인(GP)에 오른쪽 방향의 오프셋을 부여하는 경우, PG 플레인(GP) 내의 각 화소 데이터의 위치를 원래의 위치로부터 오프셋 값과 동일한 화소 수(OFS)만큼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제 2 크로핑 처리부(5332)는 먼저 크로핑 처리에 의해 PG 플레인(GP)의 우단으로부터 오프셋 값과 동일한 폭(OFS)의 띠 형상 영역 AR1에 포함되는 화소 데이터를 제거한다. 다음에, 제 2 크로핑 처리부(5332)는 PG 플레인(GP)의 좌단에 화소 데이터를 부가하여 폭(OFS)의 띠 형상 영역 AL1을 구성한다. 여기서, 그 영역 AL1에 포함되는 화소 데이터는 투명하게 설정된다. 이렇게 하여 오른쪽 방향의 오프셋이 부여된 PG 플레인(RGP)를 얻을 수 있다. 실제로 자막 데이터(STL)는 그 PG 플레인(RGP)의 좌단으로부터 거리 DR에 위치하고, 그 거리 DR은 원래의 거리(D0)에 오프셋 값(OFS)을 더한 값과 같다: DR=D0+OFS.
도 55 (c)는 왼쪽 방향의 오프셋이 부여된 PG 플레인(LGP)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5 (c)를 참조하면, 제 2 크로핑 처리부(5332)는 PG 플레인(GP)에 왼쪽 방향의 오프셋을 부여하는 경우, PG 플레인(GP) 내의 각 화소 데이터의 위치를 원래의 위치로부터 오프셋 값과 동일한 화소 수(OFS)만큼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제 2 크로핑 처리부(5332)는 먼저, 크로핑 처리에 의해 PG 플레인(GP)의 좌단으로부터 오프셋 값과 동일한 폭(OFS)의 띠 형상 영역(AL2)에 포함되는 화소 데이터를 제거한다. 다음에, 제 2 크로핑 처리부(5332)는 PG 플레인(GP)의 우단에 화소 데이터를 부가하여 폭(OFS)의 띠 형상 영역(AR2)를 구성한다. 여기서, 그 영역 AR2에 포함되는 화소 데이터는 투명하게 설정된다. 이렇게 하여 왼쪽 방향의 오프셋이 부여된 PG 플레인(LGP)를 얻을 수 있다. 실제로 자막 데이터(STL)는 그 PG 플레인(LGP)의 좌단으로부터 거리(DL)에 위치하고, 그 거리(DL)는 원래의 거리(D0)로부터 오프셋 값(OFS)을 제외한 값과 같다: DL=D0-OFS.
≪2 플레인 모드의 플레인 가산부≫
도 56은 2 플레인 모드의 플레인 가산부(5624)의 부분적인 기능 블록도이다. 도 56을 참조하면, 2 플레인 모드의 플레인 가산부(5624)는 도 53에 나타내고 있는 1 플레인+오프셋 모드의 플레인 가산부(5324)와 마찬가지로, 시차 영상 생성부(5310), 스위치(5320), 제 1 가산부(5341), 제 2 가산부(5342) 및 제 2 크로핑 처리부(5332)를 포함한다. 도 56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2 플레인 모드의 플레인 가산부(5624)는 도 53에 나타내고 있는 다른 크로핑 처리부(5331, 5333, 5334) 및 다른 가산부(5343, 5344)를 더 포함한다. 그들에 더하여 2 플레인 모드의 플레인 가산부(5624)는 PG 플레인(5304, 5305)의 입력부에 제 2 시차 영상 생성부(5610)와 제 2 스위치(5620)를 포함한다. 도 56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동일한 구성은 부 영상 플레인, IG 플레인 및 이미지 플레인의 각 입력부에도 포함된다.
제 2 시차 영상 생성부(5610)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로부터 레프트 뷰 PG 플레인(5604)과 라이트 뷰 PG 플레인(5605)을 수신한다. L/R모드의 재생장치(102)에서는 레프트 뷰 PG 플레인(5604)과 라이트 뷰 PG 플레인 데이터(5605)은 각각 문자와 같이 레프트 뷰 PG 플레인과 라이트 뷰 PG 플레인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 2 시차 영상 생성부(5610)는 각 플레인 데이터(5604, 5605)를 그대로 제 2 스위치(5620)에 송출한다. 한편, 뎁스 모드의 재생장치(102)에서는 레프트 뷰 PG 플레인(5604)은 2D 그래픽스 영상의 PG 플레인을 나타내고, 라이트 뷰 PG 플레인(5605)은 그 2D 그래픽스 영상에 대한 뎁스 맵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 2 시차 영상 생성부(5610)는 먼저, 그 뎁스 맵으로부터 그 2D 그래픽스 영상의 각부의 양안 시차를 계산한다. 다음에, 제 2 시차 영상 생성부(5610)는 레프트 뷰 PG 플레인(5604)를 가공하여 PG 플레인에 서의 그 2D 그래픽스 영상의 각부의 표시 위치를 계산된 양안 시차에 따라서 좌우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레프트 뷰 PG 플레인과 라이트 뷰 PG 플레인이 생성된다. 또, 제 2 시차 영상 생성부(5610)는 이들의 PG 플레인을 제 2 스위치(5620)에 송출한다.
제 2 스위치(5620)는 PTS의 동일한 레프트 뷰 PG 플레인(5604)과 라이트 뷰 PG 플레인(5605)을 그 순서로 제 2 크로핑 처리부(5332)에 송출한다. 제 2 크로핑 처리부(5332)는 각 PG 플레인(5604, 5605)을 그대로 제 2 가산부(5342)에 송출한다. 제 2 가산부(5342)는 제 1 가산부(5341)로부터 수신된 플레인 데이터에 각 PG 플레인(5604, 5605)을 중첩하여 제 3 가산부(5343)에 인계한다. 그 결과, 좌 영상 플레인(5301)에는 레프트 뷰 PG 플레인(5604)이 중첩되고, 우 영상 플레인(5302)에는 라이트 뷰 PG 플레인(5605)이 중첩된다.
[2 플레인 모드에서의 오프셋 정보의 용도]
2 플레인 모드의 제 2 크로핑 처리부(5632)는 오프셋 정보(5307)를 이용하여 레프트 뷰 PG 플레인(5604) 또는 라이트 뷰 PG 플레인(5605)에 대하여 오프셋 제어를 실시해도 좋다. 그 오프셋 제어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이점이 있다.
L/R모드에서는 도 3 (b)에 나타내고 있는 제 1 서브 TS 내의 레프트 뷰 PG 스트림(312A)에 대신하여, 도 3 (a)에 나타내고 있는 메인 TS 내의 PG 스트림(303A)(이하, 2D PG 스트림이라고 한다)이 레프트 뷰 PG 플레인으로 이용되어도 좋다. 즉, 도 41에 나타내고 있는 베이스 뷰 스트림 엔트리(4143)에서 서브 패스 ID참조 정보(4151)는 메인 패스를 나타내고, 스트림 파일참조정보(4152)는 2D PG 스트림이 저장된 파일 2D를 나타내며, PID(4153)는 2D PG 스트림의 PID를 나타낸다. 그 경우, 제 1 서브 TS는 레프트 뷰 PG 스트림을 포함하지 않아도 좋으므로 3D 영상콘텐츠의 데이터량을 삭감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반면 3D 그래픽스 영상에 다음의 문제가 생길 위험성이 있다. 도 57 (a), (b), (c)는 2D PG 스트림이 나타내는 레프트 뷰 그래픽스 영상 GOB0와 라이트 뷰 PG 스트림이 나타내는 라이트 뷰 그래픽스 영상 GOB1-3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7 (a)-(c)를 참조하면, 화면 SCR 내의 실선은 레프트 뷰 그래픽스 영상 GOB0를 나타내고, 점선은 라이트 뷰 그래픽스 영상 GOB1-3을 나타낸다. 도 57 (a), (b), (c)의 순으로 그래픽스 영상 간의 거리 Δ1,Δ2,Δ3은 작은(Δ1<Δ2<Δ3)이므로 3D 그래픽스 영상과 화면 SCR의 깊이의 차가 작다. 따라서 그래픽스 영상의 쌍이 도 57 (a), (b), (c)의 순으로 표시될 때 3D 그래픽스 영상은 화면 SCR에서 앞으로 튀어나온 것처럼 보인다. 레프트 뷰 그래픽스 영상 GOB0이 자막을 나타낼 때 그 영상 GOB0는 2D 영상으로도 이용되므로 그 표시 위치는 도 57 (a)-(c)의 사이에서 일정하다. 한편, 라이트 뷰 그래픽스 영상 GOB1-3의 표시 위치는 도 57 (a), (b), (c)의 순으로 왼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그래픽스 영상 간의 중심 위치 C1, C2, C3이 도 57 (a), (b), (c)의 순으로 왼쪽으로 이동한다. 즉, 자막의 3D 그래픽스 영상은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와 같은 자막의 이동은 시청자에게 위화감을 줄 위험성이 있다.
2 플레인 모드의 제 2 크로핑 처리부(5332)는 오프셋 정보에 따른 오프셋 제어를 다음과 같이 이용하여 3D 그래픽스 영상의 수평방향에서의 이동을 막는다. 도 57 (d), (e), (f)는 각각 도 57 (a), (b), (c)에 나타내고 있는 레프트 뷰 그래픽스 영상에 대한 오프셋 제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7 (d)-(f)를 참조하면, 화면 SCR 내의 실선은 오프셋 제어 후의 레프트 뷰 그래픽스 영상 GOB4-6을 나타내고, 가는 점선은 오프셋 제어 전의 레프트 뷰 그래픽스 영상 GOB0를 나타내며, 굵은 점선은 라이트 뷰 그래픽스 영상 GOB1-3을 나타낸다. 제 2 크로핑 처리부(5332)는 레프트 뷰 PG 플레인에 대해 도 57 (d), (e), (f)에 화살표로 나타낸 오프셋 OFS1, OFS2, OFS3을 차례로 부여한다. 이에 의해 오프셋 제어 후의 레프트 뷰 그래픽스 영상 GOB4-6은 오프셋 제어 전의 것 GOB0보다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도 57 (d)-(f)에서는 그래픽스 영상 간의 중심 위치 C0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3D 그래픽스 영상은 수평방향에는 이동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이렇게 하여 2D PG 스트림을 레프트 뷰 PG 스트림으로 이용하는 것이 시청자에게 위화감을 줄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의 효과>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BD-ROM 디스크(101)에서는 3D 영상의 AV 스트림 파일이 데이터블록으로 분할되어서 복수의 익스텐트 블록을 구성하고 있다. 특히, 이들의 데이터블록과 익스텐트 블록의 각 사이즈는 상기의 조건을 만족한다. 이들의 조건은 이하에 설명하는 할당 룰로 정리된다.
[룰 1] 파일 베이스는 어느 하나의 파일 2D와 비트 단위(bit-for-bit)로 일치한다. 단,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과 2D 익스텐트 EXT2D[·]의 사이에서는 LBN이 일치하지 않아도 좋다.
[룰 2] 익스텐트 SS EXTSS[·]는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와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의 쌍이 정수 개 인터리브 배치로 연속하는 데이터영역이다.
[룰 3] 도 15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파일 베이스의 선두에서부터 (i+1)번째 (문자 i는 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i]와, 파일 DEP의 선두로부터 (i+1)번째의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i]는 논리어드레스상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i],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i]의 순으로 연속해서 배치된다: EXT2[i]→EXT1[i].
[룰 4]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과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의 각 사이즈는 얼라인드 유닛의 사이즈(=약 6KB)의 정수 배에 일치된다.
[룰 5] (i+1)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i]에 속하는 소스 패킷의 ATS와 (i+1)번째의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i]에 속하는 소스 패킷의 ATS는 동일한 ATC 시간 축으로 나타낸다.
[룰 6] (i+1)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i]와 (i+1)번째의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i]는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하다.
[룰 7]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은 익스텐트 SS EXTSS[·]의 후단에 배치되고 있는 경우와 파일 2D의 파일 엔트리로부터 참조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제외하고 조건 1을 만족한다. 즉, 2D 익스텐트 EXT2D[·]의 사이즈 SEXT2D[·]은 식 (1)을 만족한다.
[룰 8]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은 익스텐트 SS EXTSS[·]의 후단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조건 2를 만족한다. 즉,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 SEXT1[·]은 식 (2)를 만족한다.
[룰 9]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은 익스텐트 SS EXTSS[·]의 후단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조건 3을 만족한다. 즉,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 SEXT2는 식 (3)을 만족한다.
[룰 10] 파일 SS의 선두에서부터 (i+1)번째의 익스텐트 SS EXTSS[i]는 (i+2)번째의 익스텐트 SS EXTSS[i+1]와 심리스로 접속되는 경우에는 조건 4를 만족한다. 즉, (i+1)번째의 익스텐트 블록의 사이즈 SEXTSS[i]는 식 (4)를 만족한다.
[룰 11] (i+1)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i]와 (i+1)번째의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i]는 조건 5를 만족한다. 즉,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각 사이즈는 도 28 (a)의 표에서 규정된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이하이다.
특히, 룰 11이 만족됨으로써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가 소정의 임계치(예를 들어 32Mbps)보다 높게 상승하는 경우에는 롱 점프의 직전에 판독되는 타입 (B)의 데이터블록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는 축소된다. 그 결과, BD-ROM 디스크(101)는 다른 룰을 만족한 채로 재생장치(102)에 RB2의 용량의 하한을 허용범위 내에 유지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2D 재생 모드와 3D 재생 모드의 어느 재생장치에서도 리드 버퍼에 언더플로를 발생시키지 않고 그 용량을 더 삭감할 수 있다.
<변형 예>
(1-A)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L/R모드에서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이 레프트 뷰를 나타내고,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이 라이트 뷰를 나타낸다. 역으로,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이 라이트 뷰를 나타내고,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이 레프트 뷰를 나타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BD-ROM 디스크(101)에서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다른 TS에 다중화되어 있다. 그 외에,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이 하나의 TS에 다중화되어 있어도 좋다.
(1-B) 3D 영상을 나타내는 AV 스트림 파일에서는 도 14에 나타내고 있는 PMT(1410)에 3D디스크립터가 추가되어도 좋다. 「3D디스크립터」는 3D 영상의 재생방식에 관해서 AV 스트림 파일 전체에 공통되는 정보이며, 특히 3D방식 정보를 포함한다. 「3D방식 정보」는 L/R모드 또는 뎁스 모드 등, 3D 영상의 AV 스트림 파일의 재생방식을 나타낸다. 또, PMT(1410)가 포함하는 각 스트림 정보(1403)에 3D 스트림 디스크립터가 추가되어도 좋다. 「3D 스트림 디스크립터」는 AV 스트림 파일에 포함되는 엘리멘터리 스트림별로 3D 영상의 재생방식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특히, 비디오 스트림의 3D 스트림 디스크립터는 3D 표시타입을 포함한다. 「3D 표시타입」은 그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영상을 L/R모드로 재생할 때 그 영상이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 중 어느 것인가를 나타낸다. 또, 3D 표시타입은 그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영상을 뎁스 모드로 재생할 때 그 영상이 2D 영상과 뎁스 맵 중 어느 것인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PMT(1410)가 3D 영상의 재생방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때 그 영상의 재생 계통은 AV 스트림 파일만으로도 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데이터 구조는 예를 들어 방송파로 3D 영상콘텐츠를 반포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1-C)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은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PID=0x1012, 0x1013에 할당되어 있는 비디오 스트림 속성정보에 소정의 플래그를 포함해도 좋다. 그 플래그가 온일 때는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이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을 참조하는 것임을 나타낸다. 또, 그 비디오 스트림 속성정보가 참조 처의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그 정보는 3D 영상콘텐츠가 규정의 포맷대로 작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소정의 툴로 검증하는 경우에 비디오 스트림간의 대응관계를 확인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는 클립정보파일에 포함되는 익스텐트 기점으로부터 베이스 뷰 익스텐트와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의 각 사이즈를 산출할 수 있다. 그 외에 각 익스텐트의 사이즈의 일람표가 예를 들어 클립정보파일에 메타데이터의 일부로서 저장되어도 좋다.
(1-D) 도 39에 나타내고 있는 3D 플레이리스트 파일(222)은 서브 패스(3902)를 1개 포함한다. 그 외에,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이 서브 패스를 복수 포함해도 좋다. 예를 들어, 일방의 서브 패스의 서브 패스 타입이 「3D L/R」이고, 타방의 서브 패스의 서브 패스 타입이 「3D 깊이」라도 좋다. 그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에 따라서 3D 영상이 재생될 때 재생 대상의 서브 패스가 이들 2종류의 서브 패스의 사이에서 전환됨으로써 재생장치(102)를 L/R모드와 뎁스 모드의 사이에서 용이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 특히 그 전환처리는 3D 플레이리스트 파일 그 자체를 전환하는 처리보다 신속하게 실현 가능하다.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은 서브 패스 타입이 동일한 서브 패스를 복수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동일한 신에 대한 양안 시차가 다른 3D 영상이 공통의 레프트 뷰에 대한 라이트 뷰의 차이로 표현될 때 다른 라이트 뷰를 나타내는 복수의 파일 DEP가 BD-ROM 디스크(101)에 기록된다. 그 경우,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은 서브 패스 타입이 「3D L/R」인 서브 패스를 복수 포함한다. 이들의 서브 패스는 다른 파일 DEP의 재생경로를 개별적으로 규정한다. 그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에 따라서 3D 영상이 재생될 때 재생 대상의 서브 패스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신속하게 전환되므로 3D 영상을 실질적으로 중단되게 하는 일 없이 그 양안 시차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원하는 양안 시차의 3D 영상을 용이하게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도 39에 나타내고 있는 3D 플레이리스트 파일(222)에서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은 메인 패스(3901) 내의 STN 테이블에 등록되고,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확장 데이터(3903) 내의 STN 테이블 SS(3930)에 등록되어 있다. 그 외에,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STN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어도 좋다. 그 경우, STN 테이블은 등록된 비디오 스트림이 베이스 뷰와 디펜던트 뷰의 어느 것을 나타내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BD-ROM 디스크(101)에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과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이 각각 기록되어 있다. 그 외에, 도 39에 나타내고 있는 서브 패스(3902)가 확장 데이터(3903)와 마찬가지로 3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102)에 의해서만 참조되는 영역에 기록되어도 좋다. 그 경우, 서브 패스(3902)가 2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102)를 오동작시킬 위험성은 없으므로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을 그대로 2D 플레이리스트 파일로 이용할 수 있다. 그 결과, BD-ROM 디스크의 오서링이 간단화 된다.
(1-E) 도 43에 나타내고 있는 인덱스파일(211)은 타이틀 전체에서 공통되는 3D존재 플래그(4320)와 2D/3D 기호 플래그(4330)를 포함한다. 그 외에, 인덱스파일이 타이틀별로 다른 3D존재 플래그 또는 2D/3D 기호 플래그를 설정하고 있어도 좋다.
(1-F) 3D 재생장치에서는 SPRM(13)에 시청제한레벨이 설정되어 있는데 더하여 SPRM(30)에 3D시청제한레벨이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3D시청제한레벨은 소정의 제한 연령을 나타내고, BD-ROM 디스크(101)에 기록된 3D 영상 타이틀의 시청에 대한 시청제한 제어에 이용된다. SPRM(13)의 값과 마찬가지로 SPRM(30)의 값은 3D 재생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3D 재생장치의 OSD 등을 이용하여 설정된다. 3D 재생장치는 각 3D 영상 타이틀에 대한 시청제한 제어를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3D 재생장치는 먼저 그 타이틀을 2D 재생 모드로 시청하는 것이 허가된 시청자의 연령을 BD-ROM 디스크(101)로부터 판독하고, SPRM(13)의 값과 비교한다. 그 연령이 SPRM(13)의 값을 넘으면, 3D 재생장치는 그 타이틀의 재생을 정지한다. 그 연령이 SPRM(13)의 값 이하이면, 3D 재생장치는 계속해서 그 타이틀을 3D 재생 모드로 시청하는 것이 허가된 시청자의 연령을 BD-ROM 디스크(101)로부터 판독하고, SPRM(30)의 값과 비교한다. 그 연령이 SPRM(30)의 값 이하이면, 3D 재생장치는 그 타이틀을 3D 재생 모드로 재생한다. 그 연령이 SPRM(30)의 값을 넘으면 3D 재생장치는 그 타이틀을 2D 재생 모드로 재생한다. 이렇게 연령에 의한 동공 간 거리의 차이를 고려하여 「일정 연령 미만의 아이에게는 3D 영상이 2D 영상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등의 시청제한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이 시청제한 제어는 바람직하게는 도 44에 나타내고 있는 재생 대상의 플레이리스트 파일을 선택하는 처리에서 「표시장치가 3D 영상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정된 때 즉 스텝 S4405에서 「Yes」라고 판정된 때에 이루어진다. 또, SPRM(30)에는 제한 연령에 대신하여 3D 재생 모드의 허가/금지를 나타내는 값이 설정되고, 3D 재생장치는 그 값에 따라서 3D 재생 모드의 유효/무효를 판단해도 좋다.
(1-G) 3D 재생장치에서는 「2D 재생 모드와 3D 재생 모드의 어느 것이 우선으로 되어야 하는가」를 나타내는 값이 SPRM(31)에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SPRM(31)의 값은 3D 재생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3D 재생장치의 OSD 등을 이용하여 설정된다. 3D 재생장치는 도 44에 나타내고 있는 재생 대상의 플레이리스트 파일을 선택하는 처리에서의 스텝 S4403에서 2D/3D 기호 플래그와 함께 SPRM(31)을 참조한다. 그들이 모두 2D 재생 모드를 나타내고 있을 때에는 3D 재생장치는 2D 재생 모드를 선택한다. 2D/3D 기호 플래그와 SPRM(31)이 모두 3D 재생 모드를 나타내고 있을 때에는 3D 재생장치는 재생 모드의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일 없이 스텝 S4405, 즉 HDMI 인증을 실시한다. 그 결과, 표시장치가 3D 영상의 재생에 대응 가능하면 3D 재생장치는 3D 재생 모드를 선택한다. 2D/3D 기호 플래그와 SPRM(31)이 다른 재생 모드를 나타내고 있을 때에는 3D 재생장치는 스텝 S4404를 실행하고, 즉 재생 모드의 선택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재생 모드를 선택하게 한다. 그 외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재생 모드를 선택하게 해도 좋다. 이렇게 하여 3D 영상콘텐츠에 2D/3D 기호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어도 그 값이 나타내는 재생 모드가 SPRM(31)이 나타내는 재생 모드, 즉,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재생 모드와 일치하지 않을 때에만 사용자에게 다시 재생 모드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BD-J오브젝트 등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SPRM(31)을 참조하여 재생 모드를 선택해도 좋다. 또, 스텝 S4404에서 사용자에게 재생 모드를 선택하게 할 때 선택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의 초기 상태가 SPRM(31)의 값에 의해 결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SPRM(31)의 값이 2D 재생 모드의 우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2D 재생 모드의 선택 버튼에 커서를 맞춘 상태에서 메뉴가 표시되고, 3D 재생 모드의 우선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3D 재생 모드의 선택 버튼에 커서를 맞춘 상태에서 메뉴가 표시된다. 그 외에, 3D 재생장치는 부, 모, 아이 등, 복수의 사용자의 어카운트를 관리하는 기능을 가질 때 현시점에서 로그인하고 있는 사용자의 어카운트에 맞춰서 SPRM(31)의 값을 설정해도 좋다.
SPRM(31)의 값은「2D 재생 모드와 3D 재생 모드의 어느 것이 우선되어야 하는가」에 더하여 「2D 재생 모드와 3D 재생 모드의 어느 것이 항상 설정되어야 하는가」를 나타내도 좋다. 「2D 재생 모드가 항상 설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SPRM(31)의 값이 나타내는 경우, 3D 재생장치는 2D/3D 기호 플래그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2D 재생 모드를 선택한다. 그 경우, SPRM(25)의 값은 2D 재생 모드를 나타내도록 설정된다. 「3D 재생 모드가 항상 설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SPRM(31)의 값이 나타내는 경우, 3D 재생장치는 2D/3D 기호 플래그의 값에 관계없이 재생 모드의 선택 화면을 표시하지 않고 HDMI 인증을 실시한다. 그 경우, SPRM(25)의 값은 3D 재생 모드(L/R모드 또는 뎁스 모드)를 나타내도록 설정된다. 이렇게 하여 3D 영상콘텐츠에 2D/3D 기호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어도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재생 모드가 항상 우선되도록 할 수 있다.
(1-H)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2가 파일 2D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1과 동일한 정도로 높게 설정되는 경우,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도 동일한 정도까지 상승할 수 있다. (n+1)번째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에 대한 전송속도 REXT2[n]이 그와 같이 상승한 경우, 평균 전송속도 REXT1[n], REXT2[n]의 합계에 대한 제한으로부터 (n+1)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에 대한 전송속도 REXT1[n]은 최고치 RMAX1보다 현저하게 강하한다. 한편, 식 (7)의 우변에서는 분모에 포함되는 평균 전송속도 REXT2D가 그 최고치 RMAX2D로 평가되고 있다. 또, (n+1)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익스텐트 ATC 시간은 그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와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의 비로 나타내는 값을 상한으로 한다. 따라서 그 상한은 실제의 익스텐트 ATC 시간보다 현저하게 길다. (n+1)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n+1)번째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에서는 익스텐트 ATC 시간이 공통이므로 그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는 최대에서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n]과 상기의 익스텐트 ATC 시간의 상한의 곱과 같다. 그 사이즈는 심리스 재생에 실제로 필요한 값보다도 현저하게 크기 때문에 RB2 (2212)의 용량을 더 삭감하는데 방해된다. 따라서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2를 파일 2D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1과 동일한 정도로 높게 설정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식 (7)은 다음의 식 (12)으로 변경된다:
Figure pct00012
식 (12)의 우변에서는 분모에 포함되는 전송속도로 2D 익스텐트에 대한 평균 전송속도의 최고치 RMAX2D, 또는 전송속도의 최고치의 합계 RMAX1+RMAX2와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의 사이의 차의 어느 낮은 쪽이 채용된다. 여기서, 전송속도의 최고치의 합계 RMAX1+RMAX2는 시스템 레이트의 합계 RTS1+RTS2의 192/188배와 같다. 따라서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가 시스템 레이트와 동일한 정도까지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차에 의해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가 평가된다. 이에 의해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익스텐트 ATC 시간의 상한은 실제의 익스텐트 ATC 시간에 가까운 값으로 억제된다. 그러므로,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는 심리스 재생에 실제로 필요한 값 정도로 억제된다. 이렇게 하여 RB2 (2212)의 용량을 충분히 작게 유지할 수 있다.
(1-I) PI간의 심리스 접속에서의 ATS의 설정조건
하나의 재생구간(PI) 내에서는 도 17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i+1)번째의 익스텐트 페어 EXT1[i], EXT2[i](i=0, 1, 2, …) 사이에서 익스텐트 ATC 시간을 일치시킬 때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EXT2[i]의 선두의 소스 패킷(SP2#0)의 ATS A2 (0)가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EXT1[i]의 선두의 소스 패킷(SP1#0)의 ATS A1 (0) 이상으로 설정된다: A2 (0)≥A1 (0). 그러나 (i+1)번째의 익스텐트 페어 EXT1[i], EXT2[i]의 사이에서 RB1, RB2의 각각으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로의 전송기간은 엄밀하게는 일치되어 있지 않다. 한편, 다른 PI간을 「커넥션 컨디션(CC)=6」이라고 하는 조건으로 심리스로 접속하는 경우, 도 37 (b)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이들의 PI간에 ATC가 연속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다른 PI간의 접속점에서는 RB2가 언더플로를 발생시킬 위험성이 있다.
도 58 (a)는 PI #(N-1) 및 PI #N(문자 N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이 심리스로 접속되고 있을 때 그 접속점의 전후에 위치하는 각 데이터블록이 RB1, RB2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전송되는 기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n+1)번째의 익스텐트 페어, EXT1[n], EXT2[n](문자 n는 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는 PI #(N-1)의 후단에 위치하고, (n+2)번째의 익스텐트 페어, EXT1[n+1], EXT2[n+1]은 PI #N의 선단에 위치한다. 여기서, EXT1[n]의 후단과 EXT1[n+1]의 선단의 사이에서는 ATC가 불연속이라도 좋다. EXT2[n]의 후단과 EXT2[n+1]의 선단의 사이에서도 동일하다. 도 58 (a)을 참조하면, EXT2[n]의 전송기간 TATC20[n]은 EXT1[n]의 전송기간 TATC1[n]보다 지연되어서 종료한다. 즉, EXT2[n+1]의 SP2#0의 ATS A2 (0)가 EXT1[n+1]의 SP1#0의 ATS A1 (0)보다 크다. 이들 ATS A1 (0), A2 (0) 사이에서는 EXT2[n]의 후단 부분(5801)의 전송기간이 EXT1[n+1]의 선단 부분의 전송기간과 중복된다.
도 58 (b), (c)는 각각 도 58 (a)에 나타내고 있는 EXT1[n], EXT1[n+1], EXT2[n], EXT2[n+1]을 3D 재생장치에 의해 복호 할 때의 RB1, RB2의 각 축적 데이터량 DA1, DA2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8 (b)를 참조하면, RB1의 축적 데이터량 DA1는 EXT1[n]의 판독기간 PRB[n]에서는 상승하고, EXT1[n]의 후단으로부터 EXT2[n+1]의 선단까지의 점프 또는 제로 섹터 천이가 생기는 기간 PJ 및 EXT2[n+1]의 판독기간 PRD[n+1]에서는 하강한다. 한편, EXT1[n]의 전송기간 TATC1[n]의 길이는 EXT1[n]의 판독기간 PRB[n]의 개시시각으로부터 EXT1[n+1]의 판독기간 PRB[n+1]의 개시시각까지의 시간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후자의 개시시각에서의 축적 데이터량 DA1는 전자의 개시시각에서의 값을 밑돌지 않는다. 즉, RB1는 언더플로를 일으키지 않는다. 도 58 (c)를 참조하면, RB2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EXT2[n]의 판독기간 PRD[n]에서는 상승하고, EXT1[n]의 판독기간 PRB[n] 및 상기의 점프 또는 제로 섹터 천이의 기간 PJ에서는 하강한다. 한편, EXT2[n]의 전송기간 TATC20[n]의 길이는 EXT1[n]의 판독기간 PRB[n]의 개시시각으로부터 EXT1[n+1]의 판독기간 PRB[n+1]의 개시시각까지의 시간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EXT2[n+1]의 판독기간 PRD[n+1]의 개시시각 TS1에서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EXT2[n]의 판독기간 PRD[n]의 개시시각 TS0에서의 값보다 크다. 즉, RB2는 언더플로를 일으키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도 58 (a)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다른 PI간의 접속점에서 EXT2[n]의 전송기간 TATC20[n]이 EXT1[n]의 전송기간 TATC1[n]보다 지연되어서 종료하는 경우에는 문제는 발생할 수 없다.
도 58 (d)는 (a)와 마찬가지로 PI #(N-1) 및 PI #N이 심리스로 접속되고 있을 때 그 접속점의 전후에 위치하는 각 데이터블록이 RB1, RB2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전송되는 기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단, 도 58 (d)에서는(a)와는 달리 EXT2[n]의 전송기간 TATC21[n]은 EXT1[n]의 전송기간 TATC1[n]보다 빨리 종료한다. 즉, EXT2[n+1]의 SP2#0의 ATS A2 (0)가 EXT1[n+1]의 SP1#0의 ATS A1 (0)보다 작다. 이들 ATS A2 (0), A1 (0)간에서는 EXT2[n+1]의 선단 부분(5811)의 전송기간이 EXT1[n]의 후단 부분의 전송기간과 형식적으로는 중복된다.
도 58 (e), (f)는 각각 도 58 (d)에 나타내고 있는 EXT1[n], EXT1[n+1], EXT2[n], EXT2[n+1]을 3D 재생장치에 의해 복호 할 때의 RB1, RB2의 각 축적 데이터량 DA1, DA2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8 (e)이 나타내는 그래프는 (b)의 그래프와 같다. 따라서 RB1는 언더플로를 일으키지 않는다. 도 58 (f)을 참조하면, RB2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EXT2[n]의 판독기간 PRD[n]에서 상승하고, EXT1[n]의 판독기간 PRB[n]에서 하강한다. 여기서, EXT2[n]의 전송기간 TATC21[n]은 EXT1[n]의 판독기간 PRB[n]보다 빨리 종료한다. 따라서 RB2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EXT1[n]의 판독기간 PRB[n]이 종료되는 것보다도 앞의 시각(TUF)에서 EXT2[n]의 판독기간 PRD[n]의 개시시각(TS0)에서의 값으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EXT1[n]의 판독기간 PRB[n]과 점프 또는 제로 섹터 천이의 기간(PJ)에서는 EXT2[n+1]을 BD-ROM 디스크로부터 RB2에 판독할 수 없다. 그 결과, EXT2[n+1] 내에서의 ATS의 설정에 반하여 EXT2[n]의 전송기간 TATC21[n]의 종료시각(TUF)으로부터 EXT2[n+1]의 판독기간 PRD[n]의 개시시각 TS1까지의 기간에서는 RB2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로의 데이터가 끊어진다. 즉, RB2는 언더플로를 일으킨다. 이렇게 하여, 도 58 (d)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다른 PI간의 접속점에서 EXT2[n]의 전송기간 TATC21[n]이 EXT1[n]의 전송기간 TATC1[n]보다 빨리 종료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PI간의 심리스 접속에 기인하는 RB2의 언더플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2개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하면 좋다. 제 1의 방법은 PI간의 접속점 이후에 판독되는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내에 설정되는 ATS가 나타내는 시각을 그 접속점보다 앞에 판독되는 베이스 뷰 익스텐트의 전송기간의 종료시각 이후로 설정한다. 제 2의 방법은 익스텐트 블록간의 심리스 접속에서는 프리로드를 불필요하게 한다.
(1-I-1) 제 1의 방법
도 59 (a), (b)는 각각 PI #(N-1)과 PI #N의 사이의 심리스 접속에 CC=6, 5가 설정되는 경우, 제 1의 방법에 의해 각 소스 패킷에 설정되는 ATS와, 그 소스 패킷의 전송기간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n+1)번째의 익스텐트 페어, EXT1[n], EXT2[n]은 PI #(N-1)의 후단에 위치하고, (n+2)번째의 익스텐트 페어, EXT1[n+1], EXT2[n+1]은 PI #N의 선단에 위치한다. 도 59 (a), (b)를 참조하면, 상단에 나열된 직사각형(5910)은 EXT1[n], EXT1[n+1]에 포함되는 소스 패킷의 전송기간을 나타내고, 하단에 나열된 직사각형(5920)은 EXT2[n], EXT2[n+1]에 포함되는 소스 패킷의 전송기간을 나타낸다. 시간 축과 병행하는 ATC의 축은 소스 패킷 사이에서의 ATS의 관계를 나타낸다. 여기서, ATC의 축 방향에 대한 각 직사각형(5910, 5920)의 선두의 위치는 대응하는 소스 패킷의 ATS의 값을 나타낸다. 도 59 (a)에서는 CC=6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PI #(N-1)과 PI #N에 걸쳐서 ATC가 연속하고 있다. 한편, 도 59 (b)에서는 CC=5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PI #(N-1)과 PI #N의 사이에 ATC가 불연속이라도 좋다.
도 59 (a), (b)를 참조하면, EXT2[n+1]의 선단에 위치하는 소스 패킷 SP22의 전송개시시각 T22는 EXT1[n]의 후단에 위치하는 소스 패킷 SP11의 전송완료시각 T12 이후이다: T22≥T12. 그 경우, EXT1[n] 내의 소스 패킷이 모두 전송된 후, EXT2[n+1]의 선단에 위치하는 소스 패킷 SP22는 전송되면 좋다. 이에 의해 EXT2[n+1]의 실제의 전송기간을 EXT2[n+1]에 설정된 ATS가 나타내는 기간과 정합시킬 수 있다. 즉, RB2의 언더플로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TS에 속하는 TS 패킷을 1개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 AT1는 TS 패킷의 길이 188 바이트를 메인 TS의 기록 속도 RMTS로 나눈 값과 같다: AT1=188/RMTS. 따라서 EXT1[n]의 후단에 위치하는 소스 패킷 SP11의 전송완료시각 T12는 그 소스 패킷 SP11의 전송개시시각 T11보다 메인 TS에 속하는 TS 패킷 1개당의 전송시간 AT1만큼 늦다: T12=T11+AT1=T11+188/RMTS. 도 59 (a)에서는 PI #(N-1)과 PI #N에 걸쳐서 ATC가 연속하고 있으므로 각 소스 패킷 SP11, SP22의 전송개시시각 T11, T22를 그 소스 패킷의 ATS A11, A22로 표현할 수 있다. 즉, 상기의 조건 T22≥T12를 다음의 식 (13)으로 나타낼 수 있다:
A22≥A11+188/RMTS.(13)
한편, 도 59 (b)에서는 PI #(N-1)과 PI #N의 사이에서 ATC가 불연속이다. 여기서, PI #(N-1)에 대한 ATC를 「ATC1」라고 하고, PI #N에 대한 ATC를 「ATC2」라고 부른다. 그 경우, EXT2[n]의 후단에 위치하는 소스 패킷 SP21과 EXT2[n+1]의 선단에 위치하는 소스 패킷 SP22의 사이에서의 ATS의 차 A22-A21는 반드시 이들 소스 패킷 SP21, SP22 사이에서의 전송개시시각의 차 T22-T21=ΔT2에는 일치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의 전송개시시각의 차 ΔT2를 ATC1로 환산한 값ΔA2를 이용하면 EXT2[n+1]의 선단에 위치하는 소스 패킷 SP22의 전송개시시각 T22를 EXT2[n]의 후단에 위치하는 소스 패킷 SP21의 ATS A21로 표현할 수 있다. 즉, 상기의 조건, T22≥T12를 다음의 식 (14)으로 나타낼 수 있다:
A21+ΔA2≥A11+188/RMTS.(14)
(1-I-2) 제 2의 방법
도 60 (b)는 (M+1)번째 (문자 M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의 익스텐트 블록(EXTSS[M])(6001), (M+2)번째의 익스텐트 블록(EXTSS[M+1])(6002) 및 3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602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0 (b)를 참조하면, 재생경로(6020)에 따라서 먼저 EXTSS[M](6001)의 전체가 일괄해서 판독된다. 그 직후에 점프 J[M]이 발생한다. 이어서, EXTSS[M+1](6002)가 일괄해서 판독된다.
도 60 (a)는 EXTSS[M](6001)과 EXTSS[M+1](6002)가 심리스로 접속될 때 RB1, RB2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DA1, DA2의 변화 및 이들의 합 DA1+DA2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군이다. 도 60 (a)에서는 일점 쇄선의 그래프는 RB1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DA1의 변화를 나타내고, 점선의 그래프는 RB2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DA2의 변화를 나타내며, 실선의 그래프는 양 데이터량의 합 DA1+DA2의 변화를 나타낸다. 여기서, 실선의 그래프는 데이터블록이 1개 판독질 때마다 생기는 미세한 변화를 평균화해서 직선적으로 근사한 것이다. 또, 제로 섹터 천이시간은 0m초로 간주되고 있다.
도 60 (a)을 참조하면, EXTSS[M](6001)의 판독기간 PRBLK[M]에서는 RB1, RB2의 각 축적 데이터량 DA1, DA2가 증대하므로 이들의 합 DA1+DA2는 판독속도 RUD72와 평균 전송속도 REXTSS[M]의 사이의 차 RUD72-REXTSS[M]과 같은 속도로 증가한다. EXTSS[M](6001)의 후단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가 RB1에 판독된 시점에서 축적 데이터량의 합 DA1+DA2는 최대치에 달한다. 그 직후의 점프기간 PJ[M]에서는 축적 데이터량의 합 DA1+DA2는 평균 전송속도 REXTSS[M]으로 감소한다. 또, 점프기간 PJ[M]의 종료시점에서 EXTSS[M+1](6002)의 판독기간 PRBLK[M+1]이 개시된다.
제 2의 방법은 EXTSS[M](6001)의 후단에 위치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1]의 후단 부분과 전송기간이 중복하는 디펜던트 뷰 스트림의 데이터 부분을 EXTSS[M+1](6002)의 선단에 위치하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에 배치한다. 이에 의해 EXTSS[M+1](6002)의 선단에 위치하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의 판독기간 PRD[n]에서는 프리로드가 불필요하게 된다. 즉, 그 판독기간 PRD[n]에서EXTSS[M](6001)에 포함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m], …, B[n-1]의 전송기간 TATC1[M]과 EXTSS[M+1](6002)에 포함되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 …의 전송기간 TATC2[M+1]을 중복시킨다. 그때 베이스 뷰 전송속도와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의 합계가 소정의 임계치를 넘지 않도록 EXTSS[M+1](6002)의 선단에 위치하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의 비트 레이트가 조절된다.
또, 점프 J[M] 중에서의 RB1, RB2의 언더플로를 방지하기 위한 조건 4를 다음과 같이 변경한다. 먼저, EXTSS[M](6001)에 포함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전체의 전송기간 TATC1[M]의 길이는 선두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m]의 판독 개시시각T1[M]으로부터 EXTSS[M+1](6002) 내의 선두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의 판독 개시시각 T1[M+1]까지의 시간 이상이면 좋다. 도 60 (a)로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그 시간 T1[M+1]-T1[M]은 EXTSS[M](6001)의 판독기간 PRBLK[M]의 길이, 점프 J[M]의 점프시간 TJUMP[M] 및 2개의 익스텐트 블록(6001, 6002)간에서의 선두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판독기간 PRD[n], PRD[m]의 길이의 차 TDIFF[M]를 합한 값과 같다. 다음에, EXTSS[M](6001)에 포함되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전체의 전송기간 TATC2[M]의 길이는 선두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m]의 판독 개시시각 T2[M]으로부터 EXTSS[M+1](6002) 내의 선두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의 판독 개시시각T2[M+1]까지의 시간 이상이면 좋다. 도 60 (a)로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그 시간 T2[M+1]-T2[M]은 EXTSS[M](6001)의 판독기간 PRBLK[M]의 길이와 점프 J[M]의 점프시간 TJUMP[M]의 합과 같다. 여기서, EXTSS[M](6001)의 판독기간 PRBLK[M]의 길이는 EXTSS[M](6001)의 사이즈 SEXTSS[M]를 판독속도 RUD72로 나눈 값 SEXTSS[M]/RUD72와 같다. 따라서 조건 4는 다음의 식 (15)로 나타낸다:
Figure pct00013
(1-J) 베이스 뷰와 디펜던트 뷰의 데이터블록의 순서
도 61 (a)는 하나의 익스텐트 페어에 대하여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과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n]의 조합별로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maxSEXT1[n], maxSEXT2[n]을 나타내는 표이다(문자 n는 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평균 전송속도 REXT1[n], REXT2[n]의 합계가 60Mbps이고, 또한 각 전송속도 REXT1[n], REXT2[n]이 45Mbps 이하인 경우가 상정되고 있다: REXT1[n]+REXT2[n]≤60Mbps, REXT1[n]≤45Mbps, REXT2[n]≤45Mbps.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maxSEXT2[n], maxSEXT2[n]은 식 (7)을 이용하여 계산된 값이다. 식 (7)이 2D 재생 모드의 BD-ROM 드라이브의 판독속도 RUD54를 포함하는 것으로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maxSEXT2[n], maxSEXT2[n]은 BD-ROM 드라이브의 성능에 의존한다. 따라서 도 61 (a)에 나타내고 있는 값은 일 예에 지나지 않는다.
도 61 (a)을 참조하면,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이 45Mbps이고, 또한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n]이 15Mbps일 때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maxSEXT2[n]은 6MB이다. 역으로,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이 15Mbps이고, 또한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n]이 45Mbps일 때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maxSEXT2[n]은 8MB이다. 식 (5), (6)의 도출시에 설명한 것과 같이, 각 익스텐트 블록의 선두에 위치하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가 클수록 리드 버퍼에 요구되는 용량은 크다. 따라서 익스텐트 블록의 프리로드 기간에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n]이 상승하는 것은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의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 maxSEXT2[n]이 증대하여 리드 버퍼의 용량의 삭감을 방해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n]의 상승에 수반하는 리드 버퍼의 용량의 증대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도 28 (a)에 나타내고 있는 표에 따라서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를 설정하면 좋다. 이에 더하여, 익스텐트 블록의 선두에 위치하는 익스텐트 페어 EXT1[n], EXT2[n]에서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n]이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을 넘는 경우에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이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의 앞에 배치되어도 좋다. 즉, 그 익스텐트 페어 중에서 사이즈가 작은 데이터블록이 사이즈가 큰 데이터블록보다 앞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이하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리드 버퍼의 용량을 작게 유지할 수 있다.
도 61 (b)는 층 경계(LB)의 직전, 직후에 배치된 (M+1)번째의 익스텐트 블록(EXTSS[M])(6101)과 (M+2)번째의 익스텐트 블록(EXTSS[M+1])(6102)에 대하여 상기의 배치를 채용한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문자 M은 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도 61 (b)를 참조하면, 파일 베이스(6111)에 포함되는 (n+1)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n]과 파일 DEP(6112)에 포함되는 (n+1)번째의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n]은 EXTSS[M+1](6102)의 선두에 배치되어 있다. 그 익스텐트 페어 EXT1[n], EXT2[n]에서는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n]이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보다 높다. 따라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이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의 앞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n-1)번째, n번째, 및 (n+2)번째의 익스텐트 페어 EXT1[k], EXT2[k](k=n-2, n-1, n+1)에서는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k]가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k]보다 낮다. 따라서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k]가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k]의 앞에 배치되어 있다.
도 62 (a), (b)는 도 61 (b)에 나타내고 있는 EXTSS[M](6101), EXTSS[M+1](6102)로부터 연속해서 3D 영상이 심리스로 재생될 때 RB1과 RB2의 각각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DA1, DA2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실선의 그래프 G1P, G2P는 EXTSS[M+1]의 선두에 배치된 (n+1)번째의 익스텐트 페어 EXT1[n], EXT2[n]에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이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의 앞에 배치되어 있을 때의 축적 데이터량 DA1, DA2의 변화를 나타낸다. 점선의 그래프 G1Q, G2Q는 그 익스텐트 페어 EXT1[n], EXT2[n]에서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이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의 앞에 배치되어 있을 때의 축적 데이터량 DA1, DA2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62 (a)를 참조하면, 어느 그래프 G1P, G1Q에서도 EXTSS[M](6101)의 후단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1]이 RB1에 판독된 시점에서 RB1의 축적 데이터량 DA1는 피크치 DM10, DM11에 달한다. 또, 그 직후의 점프기간 PJ[M]으로부터 EXTSS[M+1](6102)의 프리로드 기간 PRB[n], PRD[n]에 걸쳐서 축적 데이터량 DA1는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1]로 감소한다. 여기서, (n+1)번째의 익스텐트 페어 EXT1[n], EXT2[n]에서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이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보다 사이즈가 작다. 따라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이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의 앞에 배치되어 있을 때의 프리로드 기간 PRB[n]의 길이 SEXT1[n]/RUD72는 역의 배치에서의 프리로드 기간 PRD[n]의 길이 SEXT2[n]/RUD72보다 짧다. 그 결과, 실선의 그래프 G1P가 나타내는 축적 데이터량 DA1의 피크치 DM11는 점선의 그래프 G1Q가 나타내는 피크치 DM10보다 낮다.
도 62 (b)를 참조하면, 어느 그래프 G2P, G2Q에서도 EXTSS[M](6101)의 후단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1]의 판독이 개시된 시점에서 RB2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피크치 DM20, DM21에 달한다. 또, 그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1]의 판독기간부터 EXTSS[M+1](6102)의 프리로드 기간 PRB[n], PRD[n]에 걸쳐서 축적 데이터량 DA2는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n-1]로 감소한다. 여기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이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의 앞에 배치되어 있을 때의 프리로드 기간 PRB[n]의 길이 SEXT1[n]/RUD72는 역의 배치에서의 프리로드 기간 PRD[n]의 길이 SEXT2[n]/RUD72보다 짧다. 그 결과, 실선의 그래프 G2P가 나타내는 축적 데이터량 DA2의 피크치 DM21은 점선의 그래프 G2Q가 나타내는 피크치 DM20보다 낮다.
RB1, RB2의 각 용량은 각 그래프 G1P, G1Q, G2P, G2Q가 나타내는 피크치 DM10, DM11, DM20, DM21 이상이면 좋다. 따라서 익스텐트 블록의 선두에 배치된 익스텐트 페어에서 사이즈가 작은 데이터블록을 사이즈가 큰 데이터블록보다 앞에 배치한 경우, RB1, RB2의 용량을 작게 유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터럽트 재생의 개시 가능 위치에 배치된 익스텐트 페어에서도 사이즈가 작은 데이터블록을 사이즈가 큰 데이터블록보다 앞에 배치한다. 이에 의해 리드 버퍼의 용량을 작게 유지할 수 있다. 그 경우, 익스텐트 블록의 선두에 한정되지 않고, 도중에 위치하는 익스텐트 페어 중에서도 데이터블록의 순서가 역전할 수 있다. 도 63 (a)는 그러한 배치에 대한 익스텐트 기점의 데이터 구조(Syntax)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익스텐트 기점(Extent_Start_Point)은 도 32 (a), (b)에 나타내고 있는 익스텐트 기점과 마찬가지로 파일 2D와 파일 DEP의 각각에 대하여 설정된다. 도 63 (a)을 참조하면, 그 익스텐트 기점에서는 익스텐트 ID(extent_id)와 SPN(SPN_extent_start)의 각 쌍에 하나의 익스텐트 개시플래그(is_located_first_in_extent_pair)가 할당되어 있다.
도 63 (b)는 파일 베이스에 속하는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k](k=0, 1, 2, …)와 익스텐트 기점이 나타내는 익스텐트 개시플래그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3 (c)는 파일 DEP에 속하는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k]와 익스텐트 개시플래그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3 (d)는 파일 SS에 속하는 익스텐트 SS EXTSS[0]와 BD-ROM 디스크 상의 익스텐트 블록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3 (b), (c)를 참조하면, 익스텐트 ID와 동일한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k]와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k]가 하나의 익스텐트 페어를 이룬다. 그 익스텐트 페어에서는 익스텐트 개시플래그(6301, 6302)의 값이 반대로 설정되어 있다. 특히, 익스텐트 개시플래그의 값이"1"인 익스텐트는 "0"인 익스텐트보다 소스 패킷이 적다. 도 63 (d)을 참조하면, 익스텐트 개시플래그의 값이"1"인 익스텐트는 "0"인 익스텐트보다 앞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익스텐트 개시플래그(6301, 6302)는 익스텐트 페어 EXT1[n], EXT2[n] 중 어느 익스텐트가 앞에 배치되고 있는가를 나타낸다. 따라서 익스텐트 개시플래그(6301, 6302)의 값으로부터 익스텐트 페어 EXT1[n], EXT2[n] 중에서의 데이터블록의 배치를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익스텐트 페어 간에 데이터블록의 순서가 달라도 재생제어부(5035)는 익스텐트 기점을 이용하여 각 익스텐트 SS의 선두로부터 데이터블록간의 각 경계까지의 소스 패킷 수를 스위치(5020)에 알려줄 수 있다. 그 결과, 스위치(5020)는 익스텐트 SS로부터 베이스 뷰 익스텐트와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를 분리할 수 있다.
각 익스텐트 페어 중에서 데이터블록의 순서가 일정한 경우, RB1과 RB2의 각 용량의 하한은 식 (5), (6)으로 나타낸다. 이에 대해, 익스텐트 블록의 도중에 위치하는 익스텐트 페어 중에서 데이터블록의 순서가 역전해도 좋은 경우, RB1과 RB2의 각 용량의 하한은 이하와 같이 변경된다.
도 64 (c)는 RB1에 구해지는 용량이 가장 큰 데이터블록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4 (c)를 참조하면, (M+1)번째의 익스텐트 블록(EXTSS[M])(6401)과 (M+2)번째의 익스텐트 블록(6402)은 층 경계(LB)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문자 M은 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EXTSS[M+1](6402)의 선두에는 (n+1)번째의 익스텐트 페어 D[n], B[n]이 배치되고, 특히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이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의 앞에 위치한다(문자 n는 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한편, EXTSS[M](6401)의 후단에는 n번째의 익스텐트 페어 D[n-1], B[n-1]이 배치되고, 특히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1]이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1]의 앞에 위치한다.
도 64 (a), (b)는 도 64 (c)에 나타내고 있는 EXTSS[M](6401), EXTSS[M+1](6402)로부터 연속해서 3D 영상이 심리스로 재생될 때 RB1, RB2의 각각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DA1, DA2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4 (a)를 참조하면, n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1]이 RB1에 판독된 시점에서 RB1의 축적 데이터량 DA1는 피크치 DM1에 달한다. 그 직후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1]의 판독기간 ΔT1에서부터 층 경계(LB)를 넘는 롱 점프의 기간 ΔT2 및 EXTSS[M+1](6402)의 프리로드 기간 ΔT3에 걸쳐서 RB1에는 데이터블록이 판독되지 않으므로 그 축적 데이터량 DA1은 감소한다. 이들 기간 ΔT1-ΔT3에서는 먼저 (n-1)번째까지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k](k=…, n-3, n-2)가 평균 전송속도 REXT1[…, n-3, n-2]로 전송되고, 이어서 n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1]이 평균 전송속도 REXT1[n-1]로 전송된다. 프리로드 기간 ΔT3의 종료까지 축적 데이터량 DA1이 0에 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그 종료시점보다 n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1]의 익스텐트 ATC 시간 TEXT1[n-1]만큼 앞의 시점에서 축적 데이터량 DA1이 적어도 그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1]의 사이즈 SEXT1[n-1]과 같으면 좋다. 따라서 축적 데이터량 DA1의 피크치 DM1은 그 사이즈 SEXT1[n-1]보다 나머지 기간 ΔT1+ΔT2+ΔT3-TEXT1[n-1]에서 RB1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전송되는 데이터량 REXT1[…, n-3, n-2]×(ΔT1+ΔT2+ΔT3-TEXT1[n-1]) 이상 크면 좋다. 즉, RB1의 용량 RB1는 그 피크치 DM1 이상이면 좋다: RB1≥SEXT1[n-1]+REXT1[…, n-3, n-2]×(ΔT1+ΔT2+ΔT3-TEXT1[n-1]). 여기서, 롱 점프의 시간 ΔT2는 그 롱 점프의 최대 점프시간 TJUMP _ MAX로 평가된다.
도 64 (f)는 RB2에 구해지는 용량이 가장 큰 데이터블록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4 (f)를 참조하면, (N+1)번째의 익스텐트 블록(EXTSS[N])(6403)과 (N+2)번째의 익스텐트 블록(EXTSS[N+1])(6404)은 층 경계(LB)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문자 N는 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EXTSS[N+1](6404)의 선두에는 (n+1)번째의 익스텐트 페어 D[n], B[n]이 배치되고, 특히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이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의 뒤에 위치한다. 한편, EXTSS[N](6403)의 후단에는 n번째의 익스텐트 페어 D[n-1], B[n-1]이 배치되고, 특히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1]이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1]의 뒤에 위치한다.
도 64 (d), (e)는 도 64 (f)에 나타내고 있는 EXTSS[N](6403), EXTSS[N+1](6404)로부터 연속해서 3D 영상이 심리스로 재생될 때 RB1, RB2의 각각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DA1, DA2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4 (e)를 참조하면, n번째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1]이 RB2에 판독된 시점에서 RB2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피크치 DM2에 달한다. 그 직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1]의 판독기간 ΔT4로부터 층 경계(LB)를 넘는 롱 점프의 기간 ΔT5 및 EXTSS[N+1](6404)의 프리로드 기간 ΔT6에 걸쳐서 RB2에는 데이터블록이 판독되지 않으므로 그 축적 데이터량 DA2는 감소한다. 이들의 기간 ΔT4-ΔT6에서는 먼저 (n-1)번째까지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k](k=…, n-3, n-2)가 평균 전송속도 REXT2[…, n-3, n-2]로 전송되고, 이어서 n번째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1]이 평균 전송속도 REXT2[n-1]로 전송된다. 프리로드 기간 ΔT6의 종료까지 축적 데이터량 DA2가 0에 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그 종료시점보다 n번째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1]의 익스텐트 ATC 시간 TEXT2[n-1]만큼 앞의 시점에서 축적 데이터량 DA2가 적어도 그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1]의 사이즈 SEXT2[n-1]와 같으면 좋다. 따라서 축적 데이터량 DA2의 피크치 DM2는 그 사이즈 SEXT2[n-1]보다 나머지 기간 ΔT4+ΔT5+ΔT6-TEXT2[n-1]에서 RB2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전송되는 데이터량 REXT2[…, n-3, n-2]×(ΔT4+ΔT5+ΔT6-TEXT2[n-1]) 이상 크면 좋다. 즉, RB2의 용량 RB2는 그 피크치 DM2 이상이면 좋다: RB2≥SEXT2[n-1]+REXT2[…, n-3, n-2]×(ΔT4+ΔT5+ΔT6-TEXT2[n-1]). 여기서, 롱 점프의 시간 ΔT5는 그 롱 점프의 최대 점프시간 TJUMP _ MAX로 평가된다.
또, 익스텐트 블록의 도중에 위치하는 익스텐트 페어 중에서 데이터블록의 순서가 역전해도 좋은 경우는 그 익스텐트 페어에 대한 조건 2, 3, 즉 식 (2), (3)는 이하와 같이 변경된다.
도 65 (c)는 데이터블록의 순서가 역전되어 있는 익스텐트 페어를 도중에 포함하는 익스텐트 블록(6510)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5 (c)를 참조하면, (n+2)번째의 익스텐트 페어 D[n+1], B[n+1]에서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1]이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의 뒤에 위치한다. 그 전후의 익스텐트 페어 D[n], B[n], D[n+1], B[n+1]에서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 B[n+1]이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 D[n+1]의 뒤에 위치한다.
도 65 (a), (b)는 도 65 (c)에 나타내고 있는 익스텐트 블록(6501)으로부터 연속해서 3D 영상이 심리스로 재생될 때 RB1, RB2의 각 축적 데이터량 DA1, DA2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서, 제로 섹터 천이기간은 다른 기간에 비해 충분히 짧으므로 무시되고 있다. 도 65 (a), (b)를 참조하면, (n+1)번째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의 판독기간 PRD[n]에서는 RB2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판독속도 RUD72와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n]의 사이의 차 RUD72-REXT2[n]에 동일한 속도로 증가하고, RB1의 축적 데이터량 DA1는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1]로 감소한다. (n+1)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의 판독기간 PRB[n]에서는 RB1의 축적 데이터량 DA1는 판독속도 RUD72와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의 사이의 차 RUD72-REXT1[n]에 동일한 속도로 증가한다. 한편, RB2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n]으로 감소한다. (n+2)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1]의 판독기간 PRB[n+1]에서는 RB1의 축적 데이터량 DA1는 판독속도 RUD72와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1]의 사이의 차 RUD72-REXT1[n+1]에 동일한 속도로 계속 증가한다. 한편, RB2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n+1]로 계속 감소한다. (n+2)번째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1]의 판독기간 PRD[n+1]에서는 RB2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판독속도 RUD72와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n+1]의 사이의 차 RUD72-REXT2[n+1]에 동일한 속도로 증가하고, RB1의 축적 데이터량 DA1는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으로 감소한다. (n+3)번째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2]의 판독기간 PRD[n+2]에서는 RB2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판독속도 RUD72와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n+2]의 사이의 차 RUD72-REXT2[n+2]에 동일한 속도로 계속 증가하고, RB1의 축적 데이터량 DA1는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1]로 계속 감소한다.
이 경우, 익스텐트 블록(6410)에서 3D 영상을 심리스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먼저, (n+1)번째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의 익스텐트 ATC 시간이 그 판독기간 PRD[n]의 개시시점으로부터 다음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1]의 판독기간 PRD[n+1]의 개시시점까지의 시간 이상이면 좋다. 다음에, (n+1)번째와 (n+2)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 B[n+1]의 익스텐트 ATC 시간이 이들의 판독기간 PRB[n], PRB[n+1]의 개시시점으로부터 다음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2]의 판독기간 PRB[n+2]의 개시시점까지의 시간 이상이면 좋다. 이들 조건은 n번째의 익스텐트 페어 중에서 익스텐트 B(EXTB)가 익스텐트 A(EXTA)보다 앞에 위치하는 경우를 상정할 때 식 (2), (3)에 대신하여 다음의 식 (2A), (3A)으로 나타낸다:
Figure pct00014
여기서, 식 (2a)는 식 (2)에 포함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의 사이즈 SEXT1[n],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1]의 사이즈 SEXT2[n+1] 및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을 각각 익스텐트 A의 사이즈 SEXTA[n], 익스텐트 B의 사이즈 SEXTB[n+1] 및 익스텐트 A에 대한 평균 전송속도 REXTA[n]으로 변경함으로써 얻어진다. 식 (3a)는 식 (3)에 포함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의 사이즈 SEXT1[n],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의 사이즈 SEXT2[n] 및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n]을 각각 익스텐트 A의 사이즈 SEXTA[n], 익스텐트 B의 사이즈 SEXTB[n] 및 익스텐트 B에 대한 평균 전송속도 REXTB[n]으로 변경함으로써 얻어진다. 또, 식 (2A), (3A)의 어느 것에서도 제로 섹터 천이기간의 길이 TJUMP0는 0으로 간주되고 있다.
도 66은 데이터블록의 순서가 역전하고 있는 익스텐트 페어를 도중에 포함하는 익스텐트 블록(6600)과 AV 스트림 파일(6610-6620)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6을 참조하면, 3번째의 익스텐트 페어 D[2], B[2]에서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2]가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2]의 뒤에 위치한다. 그 외의 익스텐트 페어 D[k], B[k](k=0, 1, 3)에서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k]가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k]의 뒤에 위치한다.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n=0, 1, 2, 3, …)는 각각 하나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n]으로 파일 베이스(6611)에 속한다.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은 각각 하나의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n]으로 파일 DEP(6612)에 속한다. 익스텐트 블록(6600)의 전체는 하나의 익스텐트 SS EXTSS[0]으로 파일 SS(6620)에 속한다. 또,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n=0, 1, 2, 3, …)는 2D 익스텐트 EXT2D[n]으로 파일 2D(6610)에 속한다. 여기서, 2개의 연속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1], B[2]는 하나의 2D 익스텐트 EXT2D[1]로 참조된다. 이에 의해 그 2D 익스텐트 EXT2D[1]의 사이즈 SEXT2D[1]은 그 직후에 배치된 2개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2], D[3]의 전체의 사이즈 SEXT2[2]+SEXT2[3]이 크더라도 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BD-ROM 디스크에서는 롱 점프의 직전에 판독되는 익스텐트 블록의 후단, 또는 롱 점프의 직후에 판독되는 익스텐트 블록의 선단에서 2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와 3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가 분리되도록 데이터블록이 배치된다. 그 점을 제외하고 실시형태 2에 의한 BD-ROM 디스크와 재생장치는 실시형태 1에 의한 것과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실시형태 2에 의한 BD-ROM 디스크와 재생장치 중 실시형태 1에 의한 것으로부터의 변경 부분 및 확장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에 의한 BD-ROM 디스크와 재생장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의 실시형태 1에 대한 설명을 원용한다.
<롱 점프의 전후에서의 재생경로의 분리>
도 18에서는 2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1801)와 3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1802)는 모두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의 기록영역 NAV를 넘기 위한 점프 JNAV의 직전에는 2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1]을 통과하고, 층 경계(LB)를 넘기 위한 점프 JLY의 직전에는 4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3]을 통과한다. 기록영역 NAV의 섹터 수가 소정의 임계치, 예를 들어 40000 섹터를 넘고 있는 경우, 어느 점프 JNAV, JLY도 롱 점프이다. 롱 점프 JNAV, JLY 중에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의해 처리되어야 할 데이터량은 2D 재생 모드에서는 조건 1에 의해 각 롱 점프의 직전에 판독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1], B[3]의 사이즈로 확보된다. 한편, 3D 재생 모드에서는 조건 4에 의해 롱 점프의 직전에 판독되는 익스텐트 블록(1501, 1502) 전체의 사이즈로 확보된다. 따라서 조건 1에 의해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1], B[3]에 요구되는 최소 익스텐트 사이즈는 조건 2에 의해 요구되는 최소 익스텐트 사이즈보다 일반적으로 크다. 그러므로 RB1의 용량은 3D 재생 모드에서의 심리스 재생에 필요 최소한의 값보다 크지 않으면 안 된다. 또, 각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1], B[3]과 그 직전에 위치하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1], D[3]에서는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하다. 따라서 각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1], D[3]의 사이즈는 조건 2에 의해 요구되는 최소 익스텐트 사이즈보다 일반적으로 크다. 그러므로 RB2의 용량은 3D 재생 모드에서의 심리스 재생에 필요 최소한의 값보다 일반적으로 크다. 이와 같이, 도 18에 나타내고 있는 배치에서는 익스텐트 블록(1501-1503)간의 심리스인 접속은 가능하지만, RB1, RB2의 용량이 충분히 크게 확보되지 않으면 안 된다.
또, 도 28 (a)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RTS2가 소정의 임계치(예를 들어 32Mbps)보다 높은 경우, 롱 점프 JNAV, JLY의 직전, 직후에 판독되는 타입 (B), (C)의 데이터블록이 축소된다. 특히,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에는 그 사이즈의 축소에 의해 조건 1을 만족할 수 없게 될 위험성이 있다.
롱 점프 JNAV, JLY 중에서의 영상의 심리스 재생을 가능하게 한 채로 RB1, RB2의 용량을 더 삭감하기 위해서는 기록영역 NAV, 층 경계(LB) 등, 롱 점프 JNAV, JLY의 필요한 위치의 전후에서 데이터블록 군의 배치를 인터리브 배치로부터 변경하고, 2D 재생 모드와 3D 재생 모드의 사이에서 재생경로를 분리하면 좋다. 이와 같은 변경의 패턴에는 예를 들어 이하에 설명하는 배치 1, 2, 3이 있다. 배치 1-3의 어느 것으로도 2D 재생 모드와 3D 재생 모드에서 재생경로가 다른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을 통과한다. 이에 의해 3D 재생 모드에서 롱 점프의 직전 또는 직후에 판독되는 익스텐트 블록 내의 데이터블록, 특히 타입 (B), (C)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은 조건 1을 만족하지 않아도 좋다. 그 결과, 재생장치(102)에 RB1, RB2의 각 용량을 필요 최소한으로 유지시킨 채로 롱 점프 JNAV, JLY 중에서의 영상의 심리스 재생을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배치 1-3이 BD-ROM 디스크(101)의 층 경계(LB)의 전후에 기록된 익스텐트 블록에 채용된 경우를 상정한다. 또, 이들의 익스텐트 블록의 사이가 층 경계에 대신하여 소정의 섹터 수(예를 들어 40000 섹터)를 초과하는 다른 데이터의 기록영역에 의해 분리되어 있어도 이하의 설명은 동일하게 성립한다.
≪배치 1≫
도 67은 BD-ROM 디스크(101)의 층 경계(LB)의 전후에 기록된 데이터블록 군의 배치 1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7을 참조하면, 층 경계(LB)의 직전에는 제 1 익스텐트 블록(6701)이 배치되고, 층 경계(LB)의 직후에는 제 2 익스텐트 블록(6702)이 배치되어 있다. 각 익스텐트 블록(6701, 6702) 내에서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이 인터리브 배치를 구성하고 있다(n=1, 2, 3, …). (n+1)번째의 데이터블록의 쌍 D[n], B[n]은 익스텐트 페어를 구성하고, 특히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하다. 또, 배치 1에서는 제 1 익스텐트 블록(6701)의 후단 B[2]과 층 경계(LB)의 사이에 하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3]2D가 배치되어 있다. 그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3]2D는 제 2 익스텐트 블록(6702) 내의 선단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3]3D와 비트 단위(bit-for-bit)로 일치한다. 이하, 전자 B[3]2D를 「2D 재생전용블록」이라고 하고, 후자 B[3]3D를 「3D 재생전용블록」이라고 한다.
도 67에 나타내고 있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 중 3D 재생전용블록 B[3]3D 이외는 파일 2D(6710)의 익스텐트, 즉 2D 익스텐트 EXT2D[n]으로 액세스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익스텐트 블록(6701) 내의 최후로부터 2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1], 최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2]과 2D 재생전용블록 B[3]2D의 쌍B[2]+B[3]2D 및 제 2 익스텐트 블록(6702) 내의 2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4]는 각각 단일의 2D 익스텐트 EXT2D[1], EXT2D[2], EXT2D[3]으로 액세스 가능하다. 한편, 도 67에 나타내고 있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은 각각 파일 DEP(6712)의 단일의 익스텐트, 즉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n]으로 액세스 가능하다.
도 67에 나타내고 있는 데이터블록 군에서는 AV 스트림 파일의 크로스 링크가 다음과 같이 실현된다. 각 익스텐트 블록(6701, 6702)의 전체는 파일 SS(6720)의 단일의 익스텐트 EXTSS[0], EXTSS[1]으로 액세스 가능하다. 따라서 각 익스텐트 블록(6701, 6702) 내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1], B[2], B[4]는 파일 2D(6710)와 파일 SS(6720)에 공유된다. 그에 대하여 2D 재생전용블록 B[3]2D는 층 경계(LB)의 직전에 위치하는 2D 익스텐트 EXT2D[2]의 일부로만 액세스 가능하다. 한편, 3D 재생전용블록 B[3]3D는 층 경계(LB)의 직후의 익스텐트 SS EXTSS[1]의 일부로만 액세스 가능하다. 그러므로 2D 재생전용블록 B[3]2D 이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1], B[2], B[3]3D, B[4]는 파일 베이스(6711)의 익스텐트, 즉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n](n=1, 2, 3)로서 익스텐트 SS EXTSS[0], EXTSS[1]로부터 추출 가능하다.
도 68은 도 67에 나타내고 있는 배치 1의 데이터블록 군에 대한 2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6810)와 3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682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2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102)는 파일 2D(6710)를 재생한다. 따라서 2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6810)가 나타내는 것과 같이, 먼저 제 1 익스텐트 블록(6701) 내의 최후로부터 2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1]이 2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1]로 판독되고, 그 직후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2]의 판독이 점프 J2D1에 의해 스킵 된다. 다음에, 제 1 익스텐트 블록(67010 내의 최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2]와 그 직후의 2D 재생전용블록 B[3]2D의 쌍 B[2]+B[3]2D가 3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2]로 연속해서 판독된다. 그 직후의 층 경계(LB)에서는 롱 점프 JLY가 발생하여, 제 2 익스텐트 블록(6702)의 선단에 위치하는 3개의 데이터블록 D[3], B[3]3D, D[4]의 판독이 스킵 된다. 이어서, 제 2 익스텐트 블록(6702) 내의 2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4]가 4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3]로 판독된다. 한편, 3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102)는 파일 SS(6720)를 재생한다. 따라서 3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6820)가 나타내는 것과 같이, 먼저 제 1 익스텐트 블록(6701)의 전체가 최초의 익스텐트 SS EXTSS[0]로 연속해서 판독된다. 그 직후에 롱 점프 JLY가 발생하고, 2D 재생전용블록 B[3]2D의 판독이 스킵 된다. 이어서, 제 2 익스텐트 블록(6702)의 전체가 2번째의 익스텐트 SS EXTSS[1]로 연속해서 판독된다.
도 68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2D 재생 모드에서는 2D 재생전용블록 B[3]2D는 판독되지만, 3D 재생전용블록 B[3]3D의 판독은 스킵 된다. 역으로, 3D 재생 모드에서는 2D 재생전용블록 B[3]2D의 판독은 스킵 되지만, 3D 재생전용블록 B[3]3D는 판독된다. 그러나 양쪽의 데이터블록 B[3]2D, B[3]3D는 비트 단위로 일치하고 있으므로 어느 재생 모드에서도 재생되는 베이스 뷰 비디오 프레임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배치 1에서는 롱 점프 JLY의 전후에서 2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6810)와 3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6820)가 분리된다. 따라서 도 15에 나타내고 있는 배치와는 달리, 층 경계(LB)의 직전에 위치하는 2D 익스텐트 EXT2D[2]의 사이즈 SEXT2D[2]와 그 직전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2]의 사이즈 SEXT2[2]가 이하와 같이 각각 결정할 수 있다.
그 2D 익스텐트 EXT2D[2]의 사이즈 SEXT2D[2]는 3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2]의 사이즈 SEXT1[2]와 2D 재생전용블록 B[3]2D의 사이즈 S2D의 합 SEXT1[2]+S2D와 같다. 따라서 2D 영상을 심리스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합 SEXT1[2]+S2D가 조건 1을 만족하면 좋다. 여기서, 식 (1)의 우변에는 점프시간 Tjump -2D로 롱 점프 JLY의 최대 점프시간 Tjump _ max가 대입된다. 다음에, 2D 재생전용블록 B[3]2D의 후단으로부터 제 2 익스텐트 블록(6702) 내의 최초의 2D 익스텐트 EXT2D[3]=B[4]까지의 섹터 수가 2D 재생장치의 능력에 맞춰서 규정된 롱 점프 JLY의 최대 점프거리 Sjump _ max 이하이면 좋다.
한편, 3D 영상을 심리스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먼저 최초의 익스텐트 SS EXTSS[0] 내의 익스텐트 페어의 각 사이즈가 조건 2, 3, 5를 만족하면 좋다. 여기서, 최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2]의 사이즈 SEXT1[2]는 조건 1을 만족하지 않아도 좋다. 다음에, 최초의 익스텐트 SS EXTSS[0]의 전체의 사이즈가 조건 4를 만족하면 좋다. 또, 그 익스텐트 SS EXTSS[0]의 후단으로부터 다음의 익스텐트 SS EXTSS[1]의 선단까지의 섹터 수가 3D 재생장치의 능력에 맞춰서 규정된 롱 점프 JLY의 최대 점프거리 Sjump _ max 이하이면 좋다.
층 경계(LB)의 직전에 위치하는 2D 익스텐트 EXT2D[2] 중 최초의 익스텐트 SS EXTSS[0]에 공유되는 것은 앞쪽에 위치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2]만이다. 특히,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2]는 단독으로는 조건 1을 만족하지 않아도 좋다. 따라서 2D 재생전용블록 B[3]2D의 사이즈 S2D를 적절히 확대함으로써 2D 익스텐트 EXT2D[2]의 사이즈 SEXT2D[2]=SEXT1[2]+S2D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2]의 사이즈 SEXT1[2]를 더 작게 제한할 수 있다. 그 경우, 그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2]의 익스텐트 ATC 시간이 단축된다. 그러므로 그 직전에 위치하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2]의 사이즈 SEXT2[2]도 더 작게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도 28 (a)의 표에 따라서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를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3D 재생전용블록 B[3]3D는 2D 재생전용블록 B[3]2D와 비트 단위로 일치하고 있으므로, 2D 재생전용블록 B[3]2D의 사이즈 S2D의 확대는 3D 재생전용블록 B[3]3D의 직전에 위치하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3]의 사이즈를 확대시킨다. 그러나 그 사이즈는 도 15에 나타내고 있는 층 경계(LB)의 직전에 위치하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3]의 사이즈보다는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RB1, RB2의 각 용량을 3D 영상의 심리스 재생에 필요 최소한의 값에 더 접근시킬 수 있다.
배치 1에서는 2D 재생전용블록 B[3]2D의 복제 데이터가 제 2 익스텐트 블록(6702) 중에 단일의 3D 재생전용블록 B[2]3D로 배치되어 있다. 그 외에, 그 복제 데이터가 2개 이상의 3D 재생전용블록으로 분할되어 배치되어도 좋다.
≪배치 2≫
도 69는 BD-ROM 디스크(101)의 층 경계(LB)의 전후에 기록된 데이터블록 군의 배치 2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9를 도 67과 비교하면 명백한 것과 같이 배치 2는 배치 1과는 주로 3D 재생전용블록 B[3]3D, B[4]3D를 포함하는 익스텐트 블록(6902)이 층 경계(LB)의 직전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
도 69를 참조하면, 층 경계(LB)의 앞에는 제 1 익스텐트 블록(6901), 2D 재생전용블록(B[3]+B[4])2D 및 제 2 익스텐트 블록(6902)이 차례로 배치되고, 층 경계(LB)의 뒤에는 제 3 익스텐트 블록(6903)이 배치되어 있다. 각 익스텐트 블록(6901-6903) 내에서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이 인터리브 배치를 구성하고 있다(n=1, 2, 3, 4, …). n번째의 데이터블록의 쌍 D[n], B[n]은 하나의 익스텐트 페어를 구성하고, 특히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하다. 제 2 익스텐트 블록(6902)에서는 제 1 익스텐트 블록(6901)의 후단에 위치하는 익스텐트 페어 D[2], B[2]도 제 3 익스텐트 블록(6903)의 선단에 위치하는 익스텐트 페어 D[4], B[4]도 스트림 데이터의 내용이 연속하고 있다. 제 2 익스텐트 블록(6902)에 포함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은 모두 3D 재생전용블록 B[3]3D, B[4]3D이며, 이들의 전체 B[3]3D+B[4]3D는 그 앞에 위치하는 2D 재생전용블록(B[3]+B[4])2D와 비트 단위로 일치한다.
도 69에 나타내고 있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중 3D 재생전용블록 B[3]3D, B[4]3D 이외는 파일 2D(6910)의 익스텐트 EXT2D[1], EXT2D[2], EXT2D[3]로 액세스 가능하다. 특히, 제 1 익스텐트 블록(6901) 내의 최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2]와 2D 재생전용블록(B[3]+B[4])2D의 쌍은 단일의 2D 익스텐트 EXT2D[2]로 액세스 가능하다. 또, 제 1 익스텐트 블록(6901)과 제 3 익스텐트 블록(6903) 내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1], B[2], B[5]는 파일 베이스(6911)의 익스텐트 EXT1[1], EXT1[2], EXT1[5]로서 파일 SS(6920)의 익스텐트 EXTSS[0], EXTSS[1]로부터도 추출 가능하다. 그에 대하여 2D 재생전용블록(B[3]+B[4])2D는 2D 익스텐트 EXT2D[2]의 일부로만 액세스 가능하다. 한편, 3D 재생전용블록 B[3]3D, B[4]3D는 각각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3], EXT1[4]로 익스텐트 SS EXTSS[1]으로부터 추출 가능하다.
도 70은 도 69에 나타내고 있는 배치 2의 데이터블록 군에 대한 2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7010)와 3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702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2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102)는 파일 2D(6910)를 재생한다. 따라서 2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7010)가 나타내는 것과 같이, 먼저 제 1 익스텐트 블록(6901) 내의 최후로부터 2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1]이 2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1]로 판독되고, 그 직후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2]의 판독이 점프 J2D1에 의해 스킵 된다. 다음에, 제 1 익스텐트 블록(6901) 내의 최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2]과 그 직후의 2D 재생전용블록(B[3]+B[4])2D의 쌍이 3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2]로 연속해서 판독된다. 그 직후에 롱 점프 JLY가 발생하고, 제 2 익스텐트 블록(6902)의 판독 및 제 3 익스텐트 블록(6903)의 선단에 위치하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5]의 판독이 스킵 된다. 이어서, 제 3 익스텐트 블록(6903) 내의 최초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5]가 4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3]로 판독된다. 3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102)는 파일 SS(6920)를 재생한다. 따라서 3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7020)가 나타내는 것과 같이, 먼저 제 1 익스텐트 블록(6901)의 전체가 제 1 익스텐트 SS EXTSS[0]로 연속해서 판독된다. 그 직후에 점프 JEX가 발생하고, 2D 재생전용블록(B[3]+B[4])2D의 판독이 스킵 된다. 다음에, 제 2 익스텐트 블록(6902)의 전체가 제 2 익스텐트 SSEXTSS[1]로 연속해서 판독된다. 그 직후에 층 경계(LB)를 넘기 위한 롱 점프 JLY가 발생한다. 이어서, 제 3 익스텐트 블록(6903)의 전체가 제 3 익스텐트 SS EXTSS[2]로 연속해서 판독된다.
도 70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2D 재생 모드에서는 2D 재생전용블록(B[3]+B[4])2D는 판독되지만 3D 재생전용블록 B[3]3D, B[4]3D의 판독은 스킵 된다. 반대로 3D 재생 모드에서는 2D 재생전용블록(B[3]+B[4])2D의 판독은 스킵 되지만 3D 재생전용블록 B[3]3D, B[4]3D는 판독된다. 그러나 2D 재생전용블록(B[3]+B[4])2D와 3D 재생전용블록의 전체 B[3]3D+B[4]3D는 비트 단위로 일치하고 있으므로 어느 재생 모드에서도 재생되는 베이스 뷰 비디오 프레임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배치 2에서는 롱 점프 JLY의 직전에 2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7010)와 3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7020)가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층 경계(LB)의 직전에 위치하는 2D 익스텐트 EXT2D[2]의 사이즈 SEXT2D[2]와 그 직전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2]의 사이즈 SEXT2[2]가 이하와 같이 각각 결정할 수 있다.
그 2D 익스텐트 EXT2D[2]의 사이즈 SEXT2D[2]는 3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2]의 사이즈 SEXT1[2]와 2D 재생전용블록(B[3]+B[4])2D의 사이즈 S2D의 합 SEXT1[2]+S2D와 같다. 따라서 2D 영상을 심리스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합 SEXT1[2]+S2D가 조건 1을 만족하면 좋다. 여기서, 식 (1)의 우변에는 점프시간 Tjump -2D로 롱 점프 JLY의 최대 점프시간 Tjump _ max가 대입된다. 다음에, 2D 재생전용블록(B[3]+B[4])2D의 후단으로부터 제 3 익스텐트 블록(6903) 내의 최초의 2D 익스텐트 EXT2D[3]=B[5]까지의 섹터 수가 2D 재생장치의 능력에 맞춰서 규정된 롱 점프 JLY의 최대 점프거리 Sjump _ max 이하이면 좋다.
한편, 3D 영상을 심리스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먼저 최초의 익스텐트 SS EXTSS[0]와 2번째의 익스텐트 SS EXTSS[1]에 포함되는 익스텐트 페어의 각 사이즈가 조건 2, 3, 5를 만족하면 좋다. 여기서, 최초의 익스텐트 SS EXTSS[0]의 후단에 위치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2]의 사이즈 SEXT1[2] 및 2번째의 익스텐트 SS EXTSS[1] 내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3]3D, B[4]3D의 사이즈 SEXT1[3], SEXT1[4]는 조건 1을 만족하지 않아도 좋다. 다음에, 2번째의 익스텐트 SS EXTSS[1]의 전체의 사이즈가 조건 4를 만족하면 좋다. 또, 2번째의 익스텐트 SS EXTSS[1]의 후단으로부터 다음의 익스텐트 SS EXTSS[2]의 선단까지의 섹터 수가 3D 재생장치의 능력에 맞춰서 규정된 롱 점프 JLY의 최대 점프거리 Sjump _ max 이하이면 좋다.
2D 익스텐트 EXT2D[2] 중 익스텐트 SS EXTSS[0]에 공유되는 것은 앞쪽에 위치하는 3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2]뿐이다. 따라서 2D 재생전용블록(B[3]+B[4])2D의 사이즈 S2D를 적절히 확대함으로써 2D 익스텐트 EXT2D[2]의 사이즈 SEXT2D[2]=SEXT1[2]+S2D를 일정에 유지한 채로 3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2]의 사이즈 SEXT1[2]를 더 작게 제한할 수 있다. 거기에 수반하여 그 직전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2]의 사이즈 SEXT2[2]도 더 작게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3D 재생전용블록의 전체 B[3]3D+B[4]3D는 2D 재생전용블록(B[3]+B[4])2D와 비트 단위로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2D 재생전용블록(B[3]+B[4])2D의 사이즈 S2D가 확대하면 각 3D 재생전용블록 B[3]3D, B[4]3D의 직전에 위치하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3], D[4]의 사이즈가 확대한다. 그러나 3D 재생전용블록 B[3]3D, B[4]3D는 조건 1을 만족하지 않아도 좋다. 따라서 2D 재생전용블록은 단일의 데이터블록(B[3]+B[4])2D라도 3D 재생전용블록은 2개의 데이터블록 B[3]3D, B[4]3D로 분할되어도 좋다. 그 결과, 각 3D 재생전용블록 B[3]3D, B[4]3D의 사이즈를 충분히 축소할 수 있으므로 도 28 (a)의 표에 따라서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를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렇게 하여 RB1, RB2의 각 용량은 3D 영상의 심리스 재생에 필요 최소한의 값까지 더 삭감 가능하다.
식 (6)의 도출시에 설명한 것과 같이, 롱 점프의 직전에 판독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가 작을수록 RB2의 용량의 하한은 작다. 따라서 배치 2는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2개의 조건이 만족하도록 설계된다. 이들 조건이 만족됨으로써 제 2 익스텐트 블록(6902) 내의 각 데이터블록의 사이즈, 특히 3D 재생전용블록 B[3]3D, B[4]3D의 각 사이즈가 충분히 축소된다. 그 결과, RB2의 용량의 하한을 더 저감 시킬 수 있다.
제 1의 조건은 제 2 익스텐트 블록(6902)의 직전에 배치되는 2D 재생전용블록(B[3]+B[4])2D의 사이즈에 상한을 정한다. 그 상한은 2D 재생장치의 점프 성능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그 점프 성능이 도 21의 표에 따르는 경우, 2D 재생전용블록(B[2]+B[3])2D의 사이즈 S2D는 20000 섹터 이하로 제한된다. 제 2의 조건은 3D 재생전용블록 B[3]3D, B[4]3D의 익스텐트 ATC 시간에 상한 TEXT _3D_ MAX를 정한다. 즉, 3D 재생전용블록 B[3]3D, B[4]3D는 조건 5에 대신하여 조건 6을 만족한다. 조건 6은 식 (7)에 대신하여 다음의 식으로 나타낸다: SEXT1[n]≤REXT1[n]×TEXT _3D_ MAX. 그 상한 TEXT_3D_MAX는 예를 들어 0.5초로 설정된다.
도 71은 도 70에 나타내고 있는 제 2 익스텐트 블록(6902)의 후단에 위치하는 3D 재생전용블록 B[4]3D의 판독 시간 SEXT1[4]/RUD72와 RB2의 축적 데이터량 DA2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1을 참조하면, RB2로의 3D 재생전용블록 B[4]3D의 판독이 개시된 시점에서 RB2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피크치 DM2에 달한다. 그 피크치 DM2는 3D 재생전용블록 B[4]3D의 판독기간의 길이 SEXT1[4]/RUD72, 롱 점프에 필요한 시간 TLY 및 롱 점프 직후의 프리로드 기간의 길이 SEXT2[5]/RUD72의 합에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4]를 곱한 값 이상이다:
DM2≥(SEXT1[4]/RUD72+TLY+SEXT2[5]/RUD72)×REXT2[4].
따라서 만일 3D 재생전용블록 B[4]3D의 사이즈가 더 큰 값 SL[4]이면, 그 판독기간의 길이 SL[4]/RUD72가 증대하므로 도 71에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RB2의 축적 데이터량 DA2의 피크치 DM20이 증대한다. 그러므로 상기의 2개의 조건에 의해 3D 재생전용블록 B[3]3D, B[4]3D의 각 사이즈를 작게 제한한다. 이에 의해 RB2의 용량의 하한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조건 4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익스텐트 블록의 선두에 위치하는 익스텐트 페어의 사이즈, 특히, 프리로드 기간의 길이를 충분히 크게 확보해야 한다. 그러므로 3D 재생전용블록을 포함하는 익스텐트 페어가 익스텐트 블록의 선두에 위치하는 경우, 그 3D 재생전용블록은 조건 6을 만족하지 않아도 좋다. 즉, 그 익스텐트 ATC 시간은 상한 TEXT _3D_ MAX를 넘어도 좋다.
배치 2는 층 경계(LB)의 앞 외에 인터럽트 재생의 개시 가능 위치에 설치되어도 좋다. 도 69에는 인터럽트 재생의 개시 가능 위치, 즉 엔트리 포인트가 기록된 BD-ROM 디스크 상의 위치가 삼각형(6930, 6931, 6932)의 정점에서 나타나 있다. 흰 삼각형(6930)으로 나타낸 엔트리 포인트는 2D 재생 모드에서의 인터럽트 재생의 개시 가능 위치를 나타낸다. 검은 삼각형(6931, 6932)으로 나타낸 엔트리 포인트는 3D 재생 모드에서의 인터럽트 재생의 개시 가능 위치를 나타낸다. 각각의 3D 재생전용블록 B[3]3D, B[4]3D는 2D 재생전용블록(B[3]+B[4])2D보다 사이즈가 충분히 작다. 따라서 동일한 익스텐트 페어에 속하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3], D[4]의 사이즈도 충분히 작다. 그 결과, 3D 재생 모드에서의 인터럽트 재생시에 엔트리 포인트(6931, 6932)로의 액세스 개시부터 익스텐트 페어 D[3], B[3]3D의 복호 개시까지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짧다. 즉, 3D 재생 모드에서의 인터럽트 재생은 기동이 빠르다.
배치 2에서는 2D 재생전용블록(B[3]+B[4])2D의 복제 데이터가 2개의 3D 재생전용블록 B[3]3D, B[4]3D로 분할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 외에, 그 복제 데이터가 단일의 3D 재생전용블록이라도 좋고, 또는 3개 이상의 3D 재생전용블록으로 분할되어 배치되어도 좋다. 또, 제 2 익스텐트 블록(6902)은 제 1 익스텐트 블록(6901)의 후단에 인접하고, 2D 재생전용블록(B[3]+B[4])2D는 제 2 익스텐트 블록(6902)의 후단과 층 경계(LB)의 사이에 배치되어도 좋다.
≪배치 3≫
도 72는 BD-ROM 디스크(101)의 층 경계(LB)의 전후에 기록된 데이터블록 군의 배치 3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2를 도 69와 비교하면 명백한 것과 같이, 배치 3은 배치 2에 더하여 새로운 2D 재생전용블록과 새로운 3D 재생전용블록을 포함한다. 이들 데이터블록은 층 경계(LB)의 직후에 배치되어 있다.
도 72를 참조하면, 층 경계(LB)의 앞에는 제 1의 2D 재생전용블록(B[2]+B[3])2D와 제 1 익스텐트 블록(7201)이 차례로 배치되고, 층 경계(LB)의 뒤에는 제 2의 2D 재생전용블록(B[4]+B[5])2D, 제 2 익스텐트 블록(7202) 및 제 3 익스텐트 블록(7203)이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각 익스텐트 블록(7201-7203) 내에서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이 인터리브 배치를 구성하고 있다(n=2, 3, 4, …). n번째의 데이터블록의 쌍 D[n], B[n]은 하나의 익스텐트 페어를 구성하고, 특히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하다. 제 2 익스텐트 블록(7202)에서는 제 1 익스텐트 블록(7201)의 후단에 위치하는 익스텐트 페어 D[3], B[3]3D도 제 3 익스텐트 블록(7203)의 선단에 위치하는 익스텐트 페어 D[6], B[6]도 스트림 데이터의 내용이 연속하고 있다. 제 1 익스텐트 블록(7201)에 포함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은 모두 3D 재생전용블록 B[2]3D, B[3]3D이며, 이들 전체 B[2]3D+B[3]3D는 그 앞에 위치하는 제 1의 2D 재생전용블록(B[2]+B[3])2D와 비트 단위로 일치한다. 제 2 익스텐트 블록(7202)에 포함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은 모두 3D 재생전용블록 B[4]3D, B[5]3D이며, 이들 전체 B[4]3D+B[5]3D는 그 앞에 위치하는 제 2의 2D 재생전용블록(B[4]+B[5])2D와 비트 단위로 일치한다.
도 72에 나타내고 있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중 3D 재생전용블록 B[2]3D-B[5]3D 이외는 파일 2D(7210)의 익스텐트로 액세스 가능하다. 특히, 제 2의 2D 재생전용블록(B[4]+B[5])2D는 단일의 2D 익스텐트 EXT2D[2]로 액세스 가능하다. 또, 제 3 익스텐트 블록(7203) 내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6]은 파일 베이스(7211)의 익스텐트로 파일 SS(7220)의 익스텐트 EXTSS[3]로부터도 추출 가능하다. 그에 대하여 2D 재생전용블록(B[2]+B[3])2D, (B[4]+B[5])2D는 각각 2D 익스텐트로만 액세스 가능하다. 3D 재생전용블록 B[2]3D-B[5]3D는 각각 베이스 뷰 익스텐트로 익스텐트 SS EXTSS[1], EXTSS[2]로부터 추출 가능하다.
도 73은 도 72에 나타내고 있는 배치 3의 데이터블록 군에 대한 2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7310)와 3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732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2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102)는 파일 2D(7210)를 재생한다. 따라서 2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7310)가 나타내는 것과 같이 먼저 제 1의 2D 재생전용블록(B[2]+B[3])2D가 2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1]로 판독되고, 그 직후의 제 2 익스텐트 블록(7201)의 판독이 롱 점프 JLY에 의해 스킵 된다. 다음에, 제 2의 2D 재생전용블록(B[4]+B[5])2D가 3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2]로 판독되고, 그 직후의 제 2 익스텐트 블록(7202)의 판독 및 제 3 익스텐트 블록(7203)의 선단에 위치하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6]의 판독이 스킵 된다. 이어서, 제 3 익스텐트 블록(7203) 내의 최초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6]이 4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3]로 판독된다. 3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102)는 파일 SS(7220)를 재생한다. 따라서 3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7320)가 나타내는 것과 같이 먼저 제 1의 2D 재생전용블록(B[2]+B[3])2D의 판독이 점프 JEX에 의해 스킵 된다. 다음에, 제 1 익스텐트 블록(7201)의 전체가 제 2 익스텐트 SS EXTSS[1]로 연속해서 판독된다. 그 직후에 롱 점프 JLY가 발생하고, 제 2의 2D 재생전용블록(B[4]+B[5])2D의 판독이 스킵 된다. 이어서, 제 2 익스텐트 블록(7202)과 제 3 익스텐트 블록(7203)이 각각 제 3 익스텐트 SS EXTSS[2], 제 4 익스텐트 SS EXTSS[3]로 연속해서 판독된다.
도 73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2D 재생 모드에서는 2D 재생전용블록(B[2]+B[3])2D, (B[4]+B[5])2D는 판독되지만 3D 재생전용블록 B[2]3D-B[5]3D의 판독은 스킵 된다. 반대로 3D 재생 모드에서는 2D 재생전용블록(B[2]+B[3])2D, (B[4]+B[5])2D의 판독은 스킵 되지만 3D 재생전용블록 B[2]3D-B[5]3D는 판독된다. 그러나 2D 재생전용블록의 전체(B[2]+B[3])2D+(B[4]+B[5])2D와 3D 재생전용블록의 전체 B[2]3D+…+B[5]3D는 비트 단위로 일치하고 있으므로 어느 재생 모드에서도 재생되는 베이스 뷰 비디오 프레임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배치 3에서는 롱 점프 JLY의 전후에서 2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7310)와 3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7320)가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배치 2와 마찬가지로 층 경계(LB)의 직전에 위치하는 2D 익스텐트 EXT2D[1]의 사이즈 SEXT2D[1]와 그 직전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1]의 사이즈 SEXT2[1]를 각각 결정할 수 있다. 또, 층 경계(LB)의 직후에 있어서 2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7310)는 제 2 익스텐트 블록(7202)를 통과하지 않다. 따라서 그 익스텐트 블록 내의 데이터블록 D[4], B[4]3D, D[5], B[5]3D는 조건 1을 만족하지 않아도 좋으므로 각 사이즈를 충분히 축소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28 (a)의 표에 따라서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를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렇게 하여 RB1, RB2의 각 용량은 더 삭감할 수 있다.
또, 배치 1은 3D 재생전용블록이 2D 재생전용블록의 앞에 인접하는 익스텐트 블록 중에 배치되도록 변경되어도 좋다. 배치 3은 층 경계의 직전에 위치하는 익스텐트 블록이 통상의 인터리브 배치만을 포함하도록 변경되어도 좋고, 배치 1과의 조합인 것처럼 변경되어도 좋다. 또, 배치 3은 제 2의 2D 재생전용블록(B[4]+B[5])2D와 그 직후의 제 2 익스텐트 블록(7202)의 순서가 반대인 것처럼 변경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배치 1-3이 다양한 배치로 변경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변형 예>
(2-A) 익스텐트 페어 플래그
도 74는 파일 베이스(7401)와 파일 DEP(7402)의 각 익스텐트 EXT1[k], EXT2[k](문자 k는 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에 대하여 설정된 엔트리 포인트(7410, 742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파일 베이스(7401)의 엔트리 포인트(7410)는 2D클립정보파일의 엔트리 맵으로 정의되고, 파일 DEP(7402)의 엔트리 포인트(7420)는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의 엔트리 맵으로 정의된다. 각 엔트리 포인트(7410, 7420)는 특히 익스텐트 페어 플래그를 포함한다. 「익스텐트 페어 플래그」는 파일 베이스(7401)의 엔트리 포인트와 파일 DEP(7402)의 엔트리 포인트가 동일한 PTS를 나타낼 때 각각의 설정된 익스텐트 EXT1[i], EXT2[j]가 각 파일(7401, 7402)의 선두로부터 동일한 순서인지 여부(i=j 또는 i≠j)를 나타낸다. 도 74를 참조하면, (n+1)번째(문자 n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n]에 설정된 최초의 엔트리 포인트(7430)의 PTS는 (n-1)번째의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n-1]에 설정된 최후의 엔트리 포인트(7440)의 PTS와 같다. 따라서 각 엔트리 포인트(7430, 7440)의 익스텐트 페어 플래그의 값은"0"으로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n+1)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n]에 설정된 최후의 엔트리 포인트(7431)의 PTS는 (n+1)번째의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n+1]에 설정된 최초의 엔트리 포인트(7441)의 PTS와 같다. 따라서 각 엔트리 포인트(7431, 7441)의 익스텐트 페어 플래그의 값은"0"으로 설정된다. 그 외의 엔트리 포인트(7410, 7420)는 PTS가 동일할 때는 설정 처의 익스텐트 EXT1[·], EXT2[·]의 순서도 동일하므로 익스텐트 페어 플래그의 값은"1"로 설정된다.
3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102)는 인터럽트 재생을 개시할 때에 재생개시위치의 엔트리 포인트의 익스텐트 페어 플래그를 참조하여 그 값이"1"인 경우에 그 엔트리 포인트로부터 실제로 재생을 개시한다. 그 값이"0"인 경우에는 재생장치(102)는 그 엔트리 포인트의 전후로부터 익스텐트 페어 플래그의 값이"1"인 다른 엔트리 포인트를 찾아서 그 다른 엔트리 포인트로부터 재생을 개시한다. 이렇게 하여 n번째의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n]이 확실히 n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n]보다 먼저 판독된다. 그 결과, 인터럽트 재생처리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익스텐트 페어 플래그=0의 엔트리 포인트의 간격은 그것에 대응하는 표시시간의 길이가 일정한 초 수 이하, 예를 들어 1 GOP당의 표시시간 길이의 최대치의 2배 이하가 되도록 제한되어도 좋다. 그 외에, 익스텐트 페어 플래그=0의 엔트리 포인트의 다음의 엔트리 포인트에서는 익스텐트 페어 플래그의 값이"1"에 제한되어도 좋다. 또, 「각 익스텐트에는 엔트리 포인트가 반드시 1 이상 설정된다」라고 규정되어도 좋다. 어느 경우에도 엔트리 포인트의 간격이 충분히 짧으므로 인터럽트 재생의 개시시에 익스텐트 페어 플래그=1의 엔트리 포인트의 탐색에 수반하는 재생 개시까지의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앵글 전환 플래그가 익스텐트 페어 플래그로 대용되어도 좋다. 여기서, 「앵글 전환 플래그」란 멀티앵글에 대응의 콘텐츠에서 엔트리 맵 내에 준비된 플래그이며,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에서의 앵글의 전환 위치를 나타낸다(멀티앵글에 대해서는 후술 참조).
(2-B) 익스텐트 페어 사이에서의 재생기간의 일치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한 데이터블록의 쌍, 즉 익스텐트 페어에서는 재생 기간이 일치하고, 또한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이 동일해도 좋다. 환언하면, 익스텐트 페어 사이에서는 VAU의 수가 동일해도 좋다. 그 의의는 다음과 같다.
도 75 (a)는 인접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에서 익스텐트 ATC 시간이 다르고, 또한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이 다를 때의 재생경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5 (a)를 참조하면, 선두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0]의 재생시간은 4초간이고, 선두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0]의 재생시간은 1초간이다. 여기서,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0]의 복호에 필요한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의 부분은 그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0]과 동일한 재생시간을 갖는다. 따라서 재생장치 내의 리드 버퍼의 용량을 절약하기 위해서는 도 75 (a)에 화살표 ARW1로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재생장치에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0]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0]을 교대로 동일한 재생시간씩, 예를 들어 1초간 씩 판독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경우, 도 75 (a)에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판독 처리의 도중에 점프가 발생한다. 그 결과, 판독 처리를 복호처리 시간에 맞추기가 어려우므로 심리스 재생을 확실히 지속하기가 어렵다.
도 75 (b)는 인접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에서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이 동일할 때의 재생경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5 (b)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인접하는 한 쌍의 데이터블록의 사이에서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이 동일해도 좋다. 예를 들어, 선두의 데이터블록 쌍 B[0], D[0]에서는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이 모두 1초로 동일하고, 두 번째의 데이터블록 쌍 B[1], D[1]에서는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이 모두 0.7초로 동일하다. 그 경우, 3D 재생 모드의 재생장치는 도 75 (b)에 화살표 ARW2로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데이터블록 B[0], D[0], B[1], D[1], …을 선두에서부터 차례로 판독한다. 그것만으로 재생장치는 메인 TS와 서브 TS를 교대로 동일한 재생시간씩 판독하는 것을 원활하게 실현할 수 있다. 특히, 그 판독 처리에서는 점프가 생기지 않으므로 3D 영상의 심리스 재생을 확실히 지속할 수 있다.
실제로는 인접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에서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하면, 판독 처리에 점프를 일으키게 하는 일 없이 복호처리의 동기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기간 또는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이 동일하지 않아도 도 75 (b)에 나타내고 있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재생장치는 데이터블록 군을 선두로부터 차례로 판독하는 것만으로 3D 영상의 심리스 재생을 확실히 지속할 수 있다.
익스텐트 페어 사이에서는 VAU 중 어느 하나의 헤더의 수, 또는 PES 헤더의 수가 동일해도 좋다. 익스텐트 페어 사이에서의 복호처리의 동기에는 이들의 헤더가 이용된다. 따라서 익스텐트 페어 간에 헤더의 수가 동일하면, VAU 그 자체의 수가 동일하지 않아도 복호처리의 동기를 유지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다. 또, VAU 그 자체의 수가 동일한 경우와는 달리 VAU의 데이터가 모두 동일한 데이터블록 내에 다중화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그러므로 BD-ROM 디스크(101)의 오서링 공정에서 스트림 데이터의 다중화의 자유도가 높다.
익스텐트 페어 사이에서는 엔트리 포인트의 수가 동일해도 좋다. 도 74를 다시 참조하면, 익스텐트 페어 플래그=0의 엔트리 포인트(7430, 7440, 7431, 7441)를 제외하면 파일 베이스(7401)와 파일 DEP(7402)에서는 선두로부터 동일한 순서의 익스텐트 EXT1[k], EXT2[k]가 같은 수의 엔트리 포인트(7410, 7420)를 포함한다. 2D 재생 모드와 3D 재생 모드에서는 점프의 유무는 다르다. 그러나 익스텐트 페어 간에 엔트리 포인트의 수가 동일할 때 재생시간도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점프의 유무에 관계없이 복호처리의 동기를 유지하는 것은 용이하다. 또, VAU 그 자체의 수가 동일한 경우와는 달리, VAU의 데이터의 전부가 동일한 데이터블록 내에 다중화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그러므로 BD-ROM 디스크(101)의 오서링 공정에서 스트림 데이터의 다중화의 자유도가 높다.
(2-C) 멀티앵글
도 76 (a)는 멀티앵글에 대응하는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의 재생경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6 (a)을 참조하면, 그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에는 베이스 뷰, 라이트 뷰 및 뎁스 맵의 3종류의 스트림 데이터(L, R, D)가 다중화되어 있다. 예를 들어 L/R모드에서는 베이스 뷰와 라이트 뷰의 스트림 데이터(L, R)가 병렬로 재생된다. 또, 멀티앵글에서의 재생기간(TANG)에서 재생되는 부분에는 앵글(시야각)별로 스트림 데이터(Ak, Bk, Ck)가 다중화되어 있다(k=0, 1, 2, …, n). 각 앵글의 스트림 데이터(Ak, Bk, Ck)는 재생시간이 앵글 체인지 간격과 같은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다. 또, 각 부분 Ak, Bk, Ck에는 베이스 뷰, 라이트 뷰 및 뎁스 맵의 각 스트림 데이터가 다중화되어 있다. 멀티앵글기간(TANG)에서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지시에 따라서 앵글별 스트림 데이터(Ak, Bk, Ck)의 사이에 재생대상을 전환할 수 있다.
도 76 (b)는 BD-ROM 디스크 상에 기록된 데이터블록 군(7601)과 그들에 대한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7602)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그 데이터블록 군(7601)은 도 76 (a)에 나타내고 있는 스트림 데이터(L, R, D, Ak, Bk, Ck)를 포함한다. 도 76 (b)를 참조하면, 그 데이터블록 군(7601)에서는 통상의 스트림 데이터(L, R, D)에 더하여 앵글별 스트림 데이터(Ak, Bk, Ck)가 인터리브 배치로 기록되어 있다. L/R모드에서는 재생경로(7602)가 나타내는 것과 같이 라이트 뷰 데이터 블록(R)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은 판독되고, 뎁스 맵 데이터블록(D)의 판독은 점프에 의해 스킵 된다. 또, 앵글별 스트림 데이터(Ak, Bk, Ck) 중 선택된 것의 데이터블록(A0, B1, …, CN)은 판독되고, 그 외의 데이터블록의 판독은 점프에 의해 스킵 된다.
도 76 (c)는 앵글별의 스트림 데이터(Ak, Bk, Ck)를 구성하는 익스텐트 블록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6 (c)를 참조하면, 각 앵글의 스트림 데이터(Ak, Bk, Ck)는 3종류의 데이터블록(L, R, D)이 인터리브 배치를 구성하고 있다. L/R모드에서는 재생경로(7602)가 나타내는 것과 같이 앵글별 스트림 데이터(Ak, Bk, Ck) 중 선택된 것(A0, B1, …, Cn)으로부터 라이트 뷰 데이터 블록(R)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이 판독된다. 한편, 다른 데이터블록의 판독은 점프에 의해 스킵 된다.
또, 각 앵글의 스트림 데이터(Ak, Bk, Ck)에서는 베이스 뷰, 라이트 뷰 및 뎁스 맵의 각 스트림 데이터가 단일의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에 수렴되어 있어도 좋다. 단, 그 기록속도는 2D 재생장치로 재생 가능한 시스템 레이트의 범위에 억제할 수 없으면 안 된다. 또, 그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와 다른 3D 영상의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 사이에서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전송되어야 할 스트림 데이터(TS)의 수가 다르다. 따라서 3D 플레이리스트 파일 내의 각 PI는 재생대상의 TS의 수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해도 좋다. 그 플래그를 이용하여 그들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를 하나의 플레이리스트 파일 중에서 전환될 수 있다. 3D 재생모드에서 2개의 TS를 재생대상으로서 규정하는 PI에서는 그 플래그가 "2TS"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의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와 같은 단일의 TS를 재생대상으로서 규정하는 PI에서는 그 플래그가 "1TS"를 나타낸다. 3D 재생장치는 그 플래그의 값에 따라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의 설정을 전환할 수 있다. 또, 그 플래그는 커넥션 컨디션(CC)의 값으로 표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CC가 "7"을 나타낼 때는 2TS로부터 1TS에의 이행을 나타내고, "8"을 나타낼 때는 1TS로부터 2TS로의 이행을 나타낸다.
도 77은 멀티앵글기간을 구성하는 데이터블록 군(7701) 및 그들에 대한 2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7710)와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772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7을 참조하면, 그 데이터블록 군(7701)은 3종류의 앵글 체인지 구간 ANG1#k, ANG2#k, ANG3#k(k=1, 2, …, 6, 7)의 인터리브 배치로 이루어진다. 「앵글 체인지 구간」은 하나의 앵글에서 본 영상의 스트림 데이터가 연속해서 저장된 일련의 데이터블록 군을 말한다. 종류가 다른 앵글 체인지 구간에서는 영상의 앵글이 다르다. 각 종류의 k번째의 앵글 체인지 구간 ANG1#k, ANG2#k, ANG3#k는 서로 인접한다. 각 앵글 체인지 구간 ANGm#k(m=1, 2, 3)는 하나의 익스텐트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즉 하나의 익스텐트 SS EXTSS[k]로 참조된다(k=10, 11, …, 23). 이에 의해 복수의 앵글 체인지 구간이 하나의 익스텐트 SS EXTSS[k]를 구성하는 경우보다 리드 버퍼의 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 각 익스텐트 블록은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R)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을 하나씩 포함한다. 이들의 데이터블록의 쌍(R, L)은 n번째의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n]과 n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n]의 쌍으로 참조된다(문자 n는 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각 익스텐트 블록의 사이즈는 조건 1-4을 만족한다. 특히, 조건 1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프는 2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7710)가 나타내는 다른 앵글 체인지 구간의 판독을 스킵하기 위한 점프 JANG -2D이다. 한편, 조건 4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프는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7720)가 나타내는 다른 앵글 체인지 구간의 판독을 스킵하기 위한 점프 JANG - LR이다. 각 재생경로(7710, 7720)가 나타내는 것과 같이, 어느 점프 JANG -2D, JANG - LR도 일반적으로 앵글의 전환, 즉, 판독되어야 할 앵글 체인지 구간의 종류의 전환을 포함한다.
또, 도 77을 참조하면, 각 앵글 체인지 구간은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을 1개 포함한다. 따라서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의 익스텐트 ATC 시간은 앵글 체인지 구간의 길이의 최대치 TANG 이하로 제한된다. 예를 들어, 앵글의 전환을 표시시간 2초당에 1회의 비율로 실행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앵글 체인지 구간의 길이의 최대치 TANG를 2초간으로 제한해야 한다. 그 결과,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의 익스텐트 ATC 시간은 2초 이하로 제한된다. 그러므로 조건 5는 베이스 뷰 익스텐트의 사이즈 SEXT1이 식 (7)에 대신하여 다음의 식 (16)을 만족하는 것으로 변경된다:
Figure pct00015
또, 식 (16)의 우변에서는 식 (7)의 우변에 대신하여 식 (10A) 또는 (10B)의 우변이 이용되어도 좋다. 또, 식 (10A) 또는 (10B)에 나타내고 있는 2D 익스텐트의 익스텐트 ATC 시간에 대한 연장시간 ΔT와 마찬가지로 앵글 체인지 구간의 길이의 최대치 TANG는 GOP의 길이, 또는 소정 시간당에 재생 가능한 익스텐트 수의 상한으로 결정되어도 좋다. 또, 그 연장시간 ΔT는 멀티앵글에서는 0으로 설정되어도 좋다.
멀티앵글기간에 롱 점프가 발생하는 경우, 그 전후의 익스텐트 블록이 심리스로 접속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앵글에서의 베이스 뷰와 디펜던트 뷰의 스트림 데이터가 단일의 TS에 다중화되어 있는 경우(이하, 1TS에 의한 멀티앵글기간이라고 한다), 롱 점프의 직전에 배치되는 앵글 체인지 구간은 다른 앵글 체인지 구간보다 사이즈가 크게 설정된다. 한편, 각 앵글에서의 베이스 뷰와 디펜던트 뷰의 스트림 데이터가 다른 TS에 다중화되어 있는 경우(이하, 2TS에 의한 멀티앵글기간이라고 한다), 롱 점프의 직전의 앵글 체인지 구간에서는 재생경로가 분리된다.
도 78 (a)는 1TS에 의한 멀티앵글기간 PANG를 구성하는 익스텐트 블록 군(7810)과 그들에 대한 재생경로(7820)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8 (a)을 참조하면, 그 익스텐트 블록 군(7810)은 멀티앵글기간 PANG에 앵글 체인지 구간 Ak, Bk, Ck(k=0, 1, …, n: 문자 n는 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의 인터리브 배치를 포함한다. 또, 이들 앵글 체인지 구간(Ak, Bk, Ck)과 후속의 익스텐트 블록의 사이가 층 경계(LB)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사이에는 롱 점프 JLY가 발생한다. 그 경우, 그 롱 점프 JLY의 직전에 배치되는 (n+1)번째의 앵글 체인지 구간 An, Bn, Cn의 각 사이즈 Sn는 선두로부터 n번째까지의 앵글 체인지 구간 Ak, Bk, Ck(k=0, 1, …, n-1)의 각 사이즈 Sk보다 크다: Sn>Sk. 이에 의해 롱 점프 JLY의 직전에서는 리드 버퍼 내의 축적 데이터량이 충분히 증대하므로 롱 점프 JLY 중에서의 리드 버퍼의 언더플로가 방지된다.
도 78 (b)는 2TS에 의한 멀티앵글기간 PANG를 구성하는 익스텐트 블록 군(7830) 및 그들에 대한 2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7840)와 3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7850)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8 (b)를 참조하면, 그 익스텐트 블록 군(7830)은 멀티앵글기간 PANG에 앵글 체인지 구간 Ak, Bk, Ck(k=0, 1, …, n: 문자 n는 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의 인터리브 배치를 포함한다. 또, 이들 앵글 체인지 구간(Ak, Bk, Ck)과 후속의 익스텐트 블록의 사이는 층 경계(LB)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사이에는 롱 점프 JLY가 발생한다. 여기서, 선두로부터 n번째까지의 앵글 체인지 구간의 각 데이터블록 Ak, Bk, Ck(k=0, 1, …, n-1)는 하나의 익스텐트 페어 D, B를 포함한다. 한편, 층 경계(LB)의 직전에 배치되는 (n+1)번째의 앵글 체인지 구간 An, Bn, Cn은 2D 재생전용블록 An2D, Bn2D, Cn2D와 3D 재생전용블록 An3D, Bn3D, Cn3D의 2종류를 포함한다. 각 3D 재생전용블록 An3D, Bn3D, Cn3D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익스텐트 페어 D1, B13D, D2, B23D의 인터리브 배치를 포함한다. 2D 재생전용블록 An2D, Bn2D, Cn2D는 동일한 앵글의 3D 재생전용블록 An3D, Bn3D, Cn3D에 포함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13D, B23D 전체의 복제 (B1+B2)2D이며, 그들과 비트 단위로 일치한다. 2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7840)는 (n+1)번째의 앵글 체인지 구간으로 2D 재생전용블록 An2D, Bn2D, Cn2D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고, 3D 재생전용블록 An3D, Bn3D, Cn3D를 모두 스킵 한다. 반대로, 3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7850)는 (n+1)번째의 앵글 체인지 구간으로 3D 재생전용블록 An3D, Bn3D, Cn3D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고, 2D 재생전용블록 An2D, Bn2D, Cn2D를 모두 스킵 한다. 롱 점프 JLY 중에서의 리드 버퍼의 언더플로를 방지하는데 필요한 축적 데이터량은 2D 재생 모드에서는 각 2D 재생전용블록 An2D, Bn2D, Cn2D가 조건 1을 만족함으로써 이루어지고, 3D 재생 모드에서는 각 3D 재생전용블록 An3D, Bn3D, Cn3D가 조건 2-4을 만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 각 3D 재생전용블록 An3D, Bn3D, Cn3D는 조건 1을 만족하지 않아도 좋으므로 도 28 (a)의 표에 따라서 최대 익스텐트 사이즈를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 결과, 리드 버퍼의 용량을 충분히 작게 유지한 채로 익스텐트 블록 군(7830)의 심리스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2에 의한 기록매체의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 기록장치는 소위 오서링 장치라고 불리는 것이다. 오서링 장치는 통상 반포용의 영화 콘텐츠의 제작 스튜디오에 설치되고, 오서링 스태프에 의해 사용된다. 기록장치는 오서링 스태프의 조작에 따라서 먼저 영화 콘텐츠를 소정의 압축 부호화방식에 의해 AV 스트림 파일로 변환한다. 기록장치는 다음에 시나리오를 생성한다. 「시나리오」는 영화 콘텐츠에 포함되는 각 타이틀의 재생방법을 규정한 정보이며, 구체적으로는 동적시나리오 정보와 정적시나리오 정보를 포함한다. 기록장치는 이어서, AV 스트림 파일 및 시나리오로부터 BD-ROM 디스크용의 볼륨 이미지를 생성한다. 기록장치는 최후에 그 볼륨 이미지를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도 79는 그 기록장치(79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79를 참조하면, 그 기록장치(7900)는 데이터베이스부(7901), 비디오 인코더(7902), 소재 제작부(7903), 시나리오 생성부(7904), BD프로그램 제작부(7905), 다중화 처리부(7906) 및 포맷 처리부(7907)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부(7901)는 기록장치에 내장된 불휘발성 기억장치이며, 특히 HDD이다. 데이터베이스부(7901)는 그 외에, 기록장치에 외부에 부착된 HDD라도 좋고, 기록장치에 내장된 또는 외부에 부착된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장치라도 좋다.
비디오 인코더(7902)는 비 압축의 비트 맵 데이터 등의 영상데이터를 오서링 스태프로부터 접수하여 MPEG-4 AVC 또는 MPEG-2 등의 압축 부호화방식으로 압축한다. 이에 의해 주 영상데이터는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으로 변환되고, 부 영상데이터는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으로 변환된다. 특히, 3D 영상데이터는 MVC 등의 다시점 부호화방식을 이용하여, 도 7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쌍으로 변환된다. 즉, 레프트 뷰를 나타내는 비디오 프레임의 열은 그것 자신의 픽쳐 사이에서의 예측부호화에 의해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으로 변환된다. 한편, 라이트 뷰를 나타내는 비디오 프레임의 열은 그것 자신의 픽쳐 뿐만이 아니라 베이스 뷰 픽쳐와의 사이의 예측부호화에 의해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으로 변환된다. 또, 라이트 뷰를 나타내는 비디오 프레임의 열이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으로 변환되고, 레프트 뷰를 나타내는 비디오 프레임의 열이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으로 변환되어도 좋다. 변환 후의 각 비디오 스트림(7912)은 데이터베이스부(7901)에 보존된다.
비디오 인코더(7902)는 픽쳐 간 예측부호화의 처리 과정에서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사이에서의 각 영상의 움직임 벡터를 검출하고, 그들로부터 각 3D 영상의 깊이 정보를 산출한다. 도 80 (a), (b)는 3D 영상의 한 신의 표시에 이용되는 레프트 뷰 픽쳐와 라이트 뷰 픽쳐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c)는 비디오 인코더(7902)에 의해 그들의 픽쳐로부터 산출된 깊이 정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비디오 인코더(7902)는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각 픽쳐의 압축에 그들 픽쳐 간의 용장성(redundancy)을 이용한다. 즉, 비디오 인코더(7902)는 압축 전의 양 픽쳐를 8×8 또는 16×16의 화소 매트릭스마다, 즉 매크로 블록마다 비교하여 양 픽쳐 사이에서의 각 영상의 움직임 벡터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80 (a), (b)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먼저, 레프트 뷰 픽쳐(8001)과 라이트 뷰 픽쳐(8002)는 각각 매크로 블록(8003)의 매트릭스로 분할된다. 다음에, 양 픽쳐(8001, 8002) 사이에 이미지데이터가 매크로 블록(8003)마다 비교되어서, 그 결과로부터 각 영상의 움직임 벡터가 검출된다. 예를 들어, 「집」의 영상(8004)를 나타내는 영역은 양 픽쳐(8001, 8002) 사이에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그들 영역으로부터는 움직임 벡터가 검출되지 않는다. 한편, 「공」의 영상(8005)을 나타내는 영역은 양 픽쳐(8001, 8002) 사이에 다르므로 그들 영역으로부터는 그 영상(8005)의 움직임 벡터가 검출된다.
비디오 인코더(7902)는 검출된 움직임 벡터를 각 픽쳐(8001, 8002)의 압축에 이용한다. 한편, 비디오 인코더(7902)는 그 움직임 벡터를 「집」의 영상(8004) 및 「공」의 영상(8005) 등, 각 영상의 양안 시차의 계산에 이용한다. 또, 비디오 인코더(7902)는 각 영상의 양안 시차로부터 그 영상의 깊이를 산출한다. 그 깊이를 나타내는 정보는 도 80 (c)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각 픽쳐(8001, 8002)의 매크로 블록의 매트릭스와 같은 사이즈의 매트릭스(8006)에 정리된다. 이 매트릭스(8006) 내의 블록(8007)은 각 픽쳐(8001, 8002) 내의 매크로 블록(8003)과 일 대 일로 대응한다. 각 블록(8007)은 대응하는 매크로 블록(8003)이 나타내는 영상의 깊이를 예를 들어 8 비트의 심도로 나타낸다. 도 80에 나타내고 있는 예에서는 「공」의 영상(8005)의 깊이가 매트릭스(8006)의 영역(8008) 내의 각 블록에 기록된다. 그 영역(8008)은 그 영상(8005)을 나타내는 각 픽쳐(8001, 8002) 내의 영역의 전체에 대응한다.
비디오 인코더(7902)는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레프트 뷰 또는 라이트 뷰에 대한 뎁스 맵을 생성하여도 좋다. 그 경우, 비디오 인코더(7902)는 레프트 뷰 또는 라이트 뷰의 스트림 데이터와 뎁스 맵 스트림의 각각을 그 자신이 포함하는 픽쳐 사이에서의 예측부호화를 이용하여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뎁스 맵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변환 후의 각 비디오 스트림(7912)은 데이터베이스부(7901)에 보존된다.
또, 비디오 인코더(7902)는 그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레프트 뷰 비디오 플레인과 라이트 뷰 비디오 플레인의 일방에 밖에 포함되지 않는 수직방향의 띠 형상 영역의 폭 및 수평방향의 띠 형상 영역의 높이를 산정한다(상세는《보충》참조). 실제 이들 띠 형상 영역이 물체의 영상을 포함하고 있으면, 그 영상의 움직임 벡터가 레프트 뷰로부터 라이트 뷰에, 또는 그 역으로의 프레임 아웃을 나타내는 것으로 검출된다. 비디오 인코더(7902)는 그 움직임 벡터로부터 각 띠 형상 영역의 폭 또는 높이를 산정할 수 있다. 산정된 폭과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마스크영역 정보라고 한다)(7911)는 데이터베이스부(7901)에 보존된다.
비디오 인코더(7902)는 그 외에, 2D 영상의 데이터로부터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을 부호화할 때 오서링 스태프의 조작에 따라서 부 영상 플레인에 대한 오프셋 정보(7910)를 작성해도 좋다. 작성된 오프셋 정보(7910)는 데이터베이스부(7901)에 보존된다.
소재 제작부(7903)는 비디오 스트림 이외의 엘리멘터리 스트림, 예를 들어 오디오 스트림(7913), PG 스트림(7914) 및 IG 스트림(7915)을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부(7901)에 보존한다. 예를 들어, 소재 제작부(7903)는 오서링 스태프으로부터 비 압축의 LPCM 음성데이터를 접수하고, 그것을 AC-3 등의 압축 부호화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오디오 스트림(7913)으로 변환한다. 소재 제작부(7903)는 그 외에 오서링 스태프으로부터 자막 정보 파일을 접수하고, 그에 따라서 PG 스트림(7914)를 작성한다. 자막 정보 파일은 자막을 나타내는 이미지데이터 또는 텍스트데이터, 그 자막의 표시 시기 및 그 자막에 더해져야 할 페이드인/아웃 등의 시각 효과를 규정한다. 또, 소재 제작부(7903)는 오서링 스태프으로부터 비트 맵 데이터와 메뉴 파일을 접수하고, 그들에 따라서 IG 스트림(7915)을 작성한다. 비트 맵 데이터는 메뉴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메뉴 파일은 그 메뉴에 배치되는 각 버튼 상태의 천이 및 각 버튼에 부가되어야 할 시각효과를 규정한다.
또, 소재 제작부(7903)는 오서링 스태프의 조작에 따라서 PG 스트림(7914)과 IG 스트림(7915)의 각각에 대한 오프셋 정보(7910)를 작성한다. 그 경우, 소재 제작부(7903)는 비디오 인코더(7902)에 의해 생성된 깊이 정보 DPI를 이용하여 3D 그래픽스 영상의 깊이를 3D 영상의 깊이에 맞춰도 좋다. 그 경우, 3D 영상의 깊이가 프레임마다 심하게 변화하는 경우에는 소재 제작부(7903)는 깊이 정보 DPI를 이용하여 작성된 오프셋 값의 열을 다시 저역 통과 필터(low-pass filter)에 의해 처리하여 프레임마다의 변화를 감소시켜도 좋다. 이렇게 하여 작성된 오프셋 정보(7910)는 데이터베이스부(7901)에 보존된다.
시나리오 생성부(7904)는 오서링 스태프으로부터 GUI 경유로 접수된 지시에 따라서 BD-ROM 시나리오 데이터(7917)를 작성하고, 데이터베이스부(7901)에 보존한다. BD-ROM 시나리오 데이터(7917)는 데이터베이스부(7901)에 보존된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7912-7916)의 재생방법을 규정한다. BD-ROM 시나리오 데이터(7917)는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파일 군 중 인덱스파일(211), 무비 오브젝트 파일(212) 및 플레이리스트 파일(221-223)을 포함한다. 또, 시나리오 생성부(7904)는 파라미터 파일(PRF)을 작성하여 다중화 처리부(7906)에 송출한다. 파라미터 파일(PRF)은 데이터베이스부(7901)에 보존된 엘리멘터리 스트림(7912-7915) 중에서 메인 TS와 서브 TS의 각각에 다중화되어야 할 스트림 데이터를 규정한다.
BD프로그램 제작부(7905)는 오서링 스태프에 대하여 BD-J오브젝트 및 Java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프로그래밍 환경을 제공한다. BD프로그램 제작부(7905)는 GUI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의 요구를 접수하고, 그 요구에 따라서 각 프로그램의 소스코드를 작성한다. 또, BD프로그램 제작부(7905)는 BD-J오브젝트로부터 BD-J오브젝트 파일(251)을 작성하고, Java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JAR 파일(261)에 압축한다. 이들 프로그램 파일 군(BDP)은 포맷 처리부(7907)에 송출된다.
여기서, BD-J오브젝트가 다음과 같이 프로그래밍 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BD-J오브젝트는 도 50에 나타내고 있는 프로그램 실행부(5034)에 GUI용의 그래픽스 데이터를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에 송출시킨다. 또, BD-J오브젝트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에 그 그래픽스 데이터를 이미지 플레인 데이터로 처리시키고, 플레인 가산부(5024)에 이미지 플레인 데이터를 1 플레인+오프셋 모드로 송출시킨다. 그 경우, BD프로그램 제작부(7905)는 이미지 플레인에 대한 오프셋 정보(7910)를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부(7901)에 보존한다. BD프로그램 제작부(7905)는 그 오프셋 정보(7910)의 작성에 비디오 인코더(7902)에 의해 생성된 깊이 정보 DPI를 이용하여도 좋다.
다중화 처리부(7906)는 파라미터 파일(PRF)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부(7901)에 보존되고어있는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7912-7915)을 MPEG2-TS 형식의 스트림 파일에 다중화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먼저,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7912-7915)이 하나의 소스 패킷 열로 변환되고, 다음에 각 열의 소스 패킷이 한 개의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에 종합된다. 이렇게 하여 메인 TS와 서브 TS가 작성된다. 이들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MSD)는 포맷 처리부(7907)에 송출된다.
또, 다중화 처리부(7906)는 데이터베이스부(7901)에 보존되어 있는 오프셋 정보(7910)에 의거하여 오프셋 메타데이터를 작성한다. 도 11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작성된 오프셋 메타데이터(1110)는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 내에 저장된다. 그때 데이터베이스부(7901)에 보존되어 있는 마스크영역 정보(7911)은 오프셋 메타데이터와 함께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 내에 저장된다. 또, 다중화 처리부(7906)는 각 그래픽스 데이터를 가공하여 좌우의 각 영상프레임 내에서의 그래픽스 부품의 배치를 조정해도 좋다. 이에 의해 각 그래픽스 플레인이 나타내는 3D 그래픽스 영상이 다른 그래픽스 플레인이 나타내는 3D 그래픽스 영상과 동일한 시 방향과 중첩되어서 표시되는 것을 다중화 처리부(7906)는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에 다중화 처리부(7906)는 각 그래픽스 플레인에 대한 오프셋 값을 조정하여 각 3D 그래픽스 영상이 다른 깊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중화 처리부(7906)는 2D클립정보파일과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을 이하의 순서 (I)-(IV)로 작성한다: (I) 파일 2D와 파일 DEP의 각각에 대해 도 30에 나타내고 있는 엔트리 맵(3030)을 생성한다. (II) 각 파일의 엔트리 맵을 이용하여, 도 32 (a), (b)에 나타내고 있는 익스텐트 기점(3042, 3220)을 작성한다. 그때 인접하는 데이터블록 간에 익스텐트 ATC 시간을 일치시킨다. 또, 2D 익스텐트, 베이스 뷰 익스텐트,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및 익스텐트 SS의 각 사이즈가 조건 1-5을 만족하도록 익스텐트의 배치를 설계한다. (III) 메인 TS와 서브 TS의 각각에 다중화되어야 할 엘리멘터리 스트림으로부터 도 30에 나타내고 있는 스트림 속성정보(3020)를 추출한다. (IV) 도 30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엔트리 맵(3030), 3D메타데이터(3040) 및 스트림 속성정보(3020)의 조합을 클립정보(3010)에 대응시킨다. 이렇게 하여 각 클립정보파일(CLI)이 작성되어서 포맷 처리부(7907)에 송출된다.
포맷 처리부(7907)는 데이터베이스부(7901)에 보존된 BD-ROM 시나리오 데이터(7917), BD프로그램 제작부(7905)에 의해 제작된 BD-J오브젝트 파일 등의 프로그램 파일 군(BDP) 및 다중화 처리부(7906)에 의해 생성된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MSD)와 클립정보파일(CLI)로부터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디렉터리 구조의 BD-ROM 디스크 이미지(7920)를 작성한다. 그 디렉터리 구조에서는 파일시스템으로 UDF가 이용된다.
포맷 처리부(7907)는 파일 2D, 파일 DEP 및 파일 SS의 각 파일 엔트리를 작성할 때 2D클립정보파일과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의 각각에 포함되는 엔트리 맵과 3D메타데이터를 참조한다. 이에 의해 엔트리 포인트와 익스텐트 기점의 각 SPN이 할당 기술자의 작성에 이용된다. 특히, 도 15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은 데이터블록의 인터리브 배치가 표현되도록 각 할당 기술자가 나타내어야 할 LBN의 값과 익스텐트의 사이즈가 결정된다. 그 결과, 각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은 파일 SS와 파일 2D에 공유되고, 각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은 파일 SS와 파일 DEP에 공유된다.
<BD-ROM디스크 이미지의 기록방법>
도 81은 도 79에 나타내고 있는 기록장치(7900)를 이용하여 BD-ROM 디스크에 영화 콘텐츠를 기록하는 방법의 플로차트이다. 이 방법은 예를 들어 기록장치(7900)의 전원 투입에 의해 개시된다.
스텝 S8101에서는 BD-ROM 디스크에 기록되어야 할 엘리멘터리 스트림, 프로그램 및 시나리오 데이터가 작성된다. 즉, 비디오 인코더(7902)는 비디오 스트림(7912)를 작성한다. 소재 제작부(7903)는 오디오 스트림(7913), PG 스트림(7914) 및 IG 스트림(7915)을 작성한다. 시나리오 생성부(7904)는 BD-ROM 시나리오 데이터(7917)를 작성한다. 작성된 이들 데이터(7912-7917)는 데이터베이스부(7901)에 보존된다. 한편, 비디오 인코더(7902)는 오프셋 정보(7910)와 마스크영역 정보(7911)를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부(7901)에 보존한다. 소재 제작부(7903)는 오프셋 정보(7910)를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부(7901)에 보존한다. 시나리오 생성부(7904)는 파라미터 파일(PRF)을 작성하여 다중화 처리부(7906)에 송출한다. BD프로그램 제작부(7905)는 BD-J오브젝트 파일과 JAR 파일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파일 군(BDP)을 작성하여 포맷 처리부(7907)에 송출하고, 오프셋 정보(7910)를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부(7901)에 보존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8102로 진행된다.
스텝 S8102에서는 다중화 처리부(7906)는 데이터베이스부(7901)에 보존된 오프셋 정보(7910)에 의거하여 오프셋 메타데이터를 작성한다. 작성된 오프셋 메타데이터는 마스크영역 정보(7911)과 함께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 내에 저장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8103으로 진행된다.
스텝 S8103에서는 다중화 처리부(7906)는 파라미터 파일(PRF)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부(7901)로부터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7912-7915)을 판독해서 MPEG2-TS형식의 스트림 파일에 다중화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8104로 진행된다.
스텝 S8104에서는 다중화 처리부(7906)는 2D클립정보파일과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을 작성한다. 특히, 엔트리 맵과 익스텐트 기점의 작성에서는 익스텐트 페어 사이에 익스텐트 ATC 시간이 일치된다. 또, 2D 익스텐트, 베이스 뷰 익스텐트,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및 익스텐트 SS의 사이즈가 조건 1-5를 만족하도록 설계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8105로 진행된다.
스텝 S8105에서는 포맷 처리부(7907)는 BD-ROM 시나리오 데이터(7917), 프로그램 파일 군(BDP),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MDS) 및 클립정보파일(CLI)로부터 BD-ROM 디스크 이미지(7920)를 작성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8106로 진행된다.
스텝 S8106에서는 BD-ROM 디스크 이미지(7920)가 BD-ROM 프레스용 데이터로 변환된다. 또, 이 데이터는 BD-ROM 디스크의 원반에 기록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8107로 진행된다.
스텝 S8107에서는 스텝 S8106에서 얻어진 원반을 프레스 공정에 이용하여 BD-ROM 디스크(101)의 대량생산을 실시한다. 이렇게 하여 처리가 종료한다.
《실시형태 4》
도 8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집적회로(3)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82를 참조하면, 집적회로(3)는 실시형태 1 또는 2에 의한 재생장치(102)에 실장된다. 여기서, 재생장치(102)는 집적회로(3) 외에 매체 인터페이스(IF)부(1), 메모리부(2) 및 출력 단자(10)를 포함한다.
매체 IF부(1)는 외부의 매체(ME)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판독하여 집적회로(3)에 전송한다. 그 데이터의 구조는 실시형태 1 또는 2에 의한 BD-ROM 디스크(101) 상의 데이터의 구조와 같다. 매체 IF부(1)는 매체(ME)의 종류에 맞춰서 여러가지의 기능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매체(ME)가 광디스크 및 하드 디스크 등의 디스크 기록매체인 경우, 매체 IF부(1)는 디스크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매체(ME)가 SD카드 및 USB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인 경우, 매체 IF부(1)는 카드 IF를 포함한다. 매체(ME)가 CATV 등의 방송파인 경우, 매체 IF부(1)는 CAN 튜너 또는 Si튜너를 포함한다. 매체(ME)가 이더넷(ethernet)(등록상표), 무선 LAN 및 무선 공중회선 등의 네트워크인 경우, 매체 IF부(1)는 네트워크 IF를 포함한다.
메모리부(2)는 매체 IF부(1)에 의해 매체(ME)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판독된 데이터 및 집적회로(3)에 의해 처리되고 있는 도중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메모리부(2)로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및 DDRx SDRAM(Double-Data-Rate x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x=1, 2, 3, …) 등이 이용된다. 메모리부(2)는 단일의 메모리 소자이다. 그 외에 메모리부(2)는 복수의 메모리 소자를 포함해도 좋다.
집적회로(3)는 시스템 LSI이며, 매체 IF부(1)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대하여 영상·음성 처리를 시행한다. 도 82를 참조하면, 집적회로(3)는 주 제어부(6), 스트림 처리부(5), 신호처리부(7), 메모리 제어부(9) 및 AV 출력부(8)를 포함한다.
주 제어부(6)는 프로세서 코어와 프로그램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코어는 타이머 기능과 할당 기능을 갖는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OS 등의 기본적인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프로세서 코어는 프로그램 메모리 등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집적회로(3)의 전체의 제어를 실시한다.
스트림 처리부(5)는 주 제어부(6)의 제어 하에 매체(ME)로부터 매체 IF부(1)를 경유하여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 스트림 처리부(5)는 그 수신한 데이터를 집적회로(3) 내의 데이터 버스를 통해서 메모리부(2)에 저장한다. 스트림 처리부(5)는 그 외에,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영상계 데이터와 음성계 데이터를 분리한다. 여기서,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매체(ME)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실시형태 1 또는 2에 의한 구조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 경우, 「영상계 데이터」는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 PG 스트림 및 IG 스트림을 포함한다. 「음성계 데이터」는 프라이머리 오디오 스트림과 세컨더리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한다. 실시형태 1, 2에 의한 구조의 데이터에서는 메인 뷰 데이터와 서브 뷰 데이터가 각각 복수의 익스텐트로 분할되고, 그들이 교대로 배치되어서 일련의 익스텐트 블록을 구성하고 있다. 스트림 처리부(5)는 익스텐트 블록을 수신한 때 주 제어부(6)의 제어에 따라서 그 익스텐트 블록으로부터 메인 뷰 데이터를 추출하여 메모리부(2) 내의 제 1 영역에 저장하고, 서브 뷰 데이터를 추출하여 메모리부(2) 내의 제 2 영역에 저장한다. 메인 뷰 데이터는 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하고, 서브 뷰 데이터는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한다. 그 역이라도 좋다. 또, 메인 뷰와 서브 뷰의 조합이 2D 영상과 그 뎁스 맵의 조합이라도 좋다. 메모리부(2) 내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은 단일의 메모리 소자의 영역을 논리적으로 분할한 것이다. 그 외에, 각 영역이 물리적으로 다른 메모리 소자에 포함되어도 좋다.
스트림 처리부(5)에 의해 분리된 영상계 데이터와 음성계 데이터는 각각 부호화에 의해 압축되고 있다. 영상계 데이터의 부호화방식의 종류는 MPEG-2, MPEG-4 AVC, MPEG4-MVC 및 SMPTE VC-1 등을 포함한다. 음성계 데이터의 부호화방식의 종류는 돌비 AC-3, Dolby Digital Plus, MLP, DTS, DTS-HD 및 리니어 PCM 등을 포함한다. 신호처리부(7)는 주 제어부(6)의 제어 하에 영상계 데이터와 음성계 데이터를 각각의 부호화방식에 적합한 방법으로 복호 한다. 신호처리부(7)는 예를 들어 도 52에 나타내고 있는 각종 디코더에 상당한다.
메모리 제어부(9)는 집적회로(3) 내의 각 기능 블록 5-8에서 메모리부(2)로의 액세스를 조정한다.
AV 출력부(8)는 주 제어부(6)의 제어 하에 신호처리부(7)에 의해 복호 된 영상계 데이터와 음성계 데이터를 각각 적절한 형식으로 가공하고, 개별의 출력 단자(10)를 통해서 표시장치(103)와 그 내장 스피커에 출력한다. 그 가공의 종류는 영상계 데이터의 중첩 처리, 각 데이터의 포맷 변환 및 음성계 데이터의 믹싱 등을 포함한다.
도 83은 스트림 처리부(5)의 대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83을 참조하면, 스트림 처리부(5)는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 다중 분리부(52) 및 스위칭부(53)를 구비한다.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는 매체 IF부(1)과 집적회로(3) 내의 다른 기능 블록 6-9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실시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매체(ME)가 광디스크 또는 하드디스크일 때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는 SATA(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ATAPI(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Packet Interface) 또는 PATA(Paralle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를 포함한다. 매체(ME)가 SD카드 및 USB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일 때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는 카드 IF를 포함한다. 매체(ME)가 CATV 등의 방송파일 때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는 튜너 IF를 포함한다. 매체(ME)가 이더넷(등록상표), 무선 LAN 및 무선 공중회선 등의 네트워크일 때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는 네트워크 IF를 포함한다. 여기서, 매체(ME)의 종류에 따라서는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가 매체 IF부(1)에 대신하여 그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도록 해도 좋다. 반대로, 매체 IF부(1)가 집적회로(3)에 내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는 생략되어도 좋다.
다중 분리부(52)는 매체(ME)로부터 메모리부(2)에 전송된 데이터를 메모리 제어부(9)로부터 수신하여, 그 데이터로부터 영상계 데이터와 음성계 데이터를 분리한다. 여기서, 실시형태 1, 2에 의한 구조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익스텐트는 도 4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PG 스트림 및 IG 스트림 등의 소스 패킷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 서브 뷰 데이터는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다중 분리부(52)는 각 소스 패킷으로부터 PID를 판독하고, 그 PID에 따라서 소스 패킷 군을 영상계의 TS 패킷 VTS과 음성계의 TS 패킷 ATS으로 분별한다. 분별된 TS 패킷 VTS, ATS는 직접, 혹은 일단 메모리부(2)에 저장된 후에 신호처리부(7)에 전송된다. 다중 분리부(52)는 예를 들어 도 52에 나타내고 있는 소스 디 패킷다이저(5211, 5212) 및 PID 필터(5213, 5214)에 상당한다.
스위칭부(53)는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그 출력 처를 전환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가 메인 뷰 데이터를 수신한 때 그 데이터의 저장 처를 메모리부(2)의 제 1 영역으로 전환한다. 한편,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가 서브 뷰 데이터를 수신한 때 그 데이터의 저장 처를 메모리부(2)의 제 2 영역으로 전환한다.
스위칭부(53)는 예를 들어 DMAC(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이다. 도 84는 그 경우에서의 스위칭부(53)의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DMAC(53)는 주 제어부(6)의 제어 하에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와 그 데이터의 저장 처의 어드레스를 메모리 제어부(9)에 대해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가 메인 뷰 데이터(MD)를 수신한 때 DMAC(53)는 메인 뷰 데이터(MD)와 함께 어드레스 1 (AD1)을 송신한다. 여기서, 「어드레스 1」(AD1)은 메모리부(2) 내의 제 1 저장영역(21)의 선두 어드레스(AD1)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한편,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가 서브 뷰 데이터(SD)를 수신한 때 DMAC(53)는 서브 뷰 데이터(SD)와 함께 어드레스 2 (AD2)를 송신한다. 여기서, 「어드레스 2」(AD2)는 메모리부(2) 내의 제 2 저장영역(22)의 선두 어드레스(AD2)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이렇게 하여 DMAC(53)는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의해서 그 출력 처, 특히 메모리부(2) 내의 저장 처를 전환한다. 메모리 제어부(9)는 DMAC(53)로부터 수신된 메인 뷰 데이터(MD)와 서브 뷰 데이터(SD)를 각각 동시에 수신된 어드레스(AD1, AD2)가 나타내는 메모리부(2) 내의 영역(21, 22)에 저장한다.
주 제어부(6)는 스위칭부(53)에 의한 저장 처의 변경의 제어에 클립정보파일 내의 익스텐트 기점을 이용한다. 여기서, 그 클립정보파일은 메인 뷰 데이터(MD)와 서브 뷰 데이터(SD)의 어느 것보다 먼저 수신되어서 메모리부(2)에 저장되어 있다. 특히, 주 제어부(6)는 파일 베이스를 이용하여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가 메인 뷰 데이터(MD)라는 것을 인식한다. 한편, 주 제어부(6)는 파일 DEP를 이용하여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가 서브 뷰 데이터라는 것을 인식한다. 또, 주 제어부(6)는 그 인식된 결과에 따라서 스위칭부(53)에 제어신호(CS)를 보내서 데이터의 저장 처를 전환하도록 한다. 또, 스위칭부(53)는 주 제어부(6)와는 다른 전용의 제어회로에 의해 제어되어도 좋다.
스트림 처리부(5)는 도 83에 나타내고 있는 기능 블록(51, 52, 53) 외에, 암호 엔진부, 시큐어 관리부 및 다이렉트 메모리 액세스용의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암호 엔진부는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에 의해 수신된 암호화 데이터 및 키 데이터 등을 복호 한다. 시큐어 관리부는 비밀키를 보유하며, 그것을 이용하여 매체(ME)와 재생장치(102)의 사이에 기기 인증 프로토콜 등의 실행 제어를 실행한다.
상기의 예에서는 매체(ME)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메모리부(2)에 저장될 때 그 데이터가 메인 뷰 데이터(MD)와 서브 뷰 데이터(SD) 중 어느 것인가에 의해 그 저장 처가 전환된다. 그 외에 매체(ME)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그 종류에 관계없이 일단 메모리부(2) 내의 동일한 영역에 저장되고, 그 후 메모리부(2)로부터 다중 분리부(52)에 전송될 때 메인 뷰 데이터(MD)와 서브 뷰 데이터(SD)로 나누어져도 좋다.
도 85는 AV 출력부(8)의 대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85를 참조하면, AV 출력부(8)는 화상 중첩부(81), 비디오 출력 포맷 변환부(82) 및 오디오 비디오 출력 IF부(83)를 구비한다.
화상 중첩부(81)는 신호처리부(7)에 의해 복호 된 영상계 데이터(VP, PG, IG)를 서로 중첩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중첩부(81)는 먼저, 비디오 출력 포맷 변환부(82)로부터는 처리 후의 레프트 뷰 또는 라이트 뷰의 비디오 플레인 데이터(VP)를 수신하고, 신호처리부(7)로부터는 복호 후의 PG 플레인 데이터(PG)와 IG 플레인 데이터(IG)를 수신한다. 다음에, 화상 중첩부(81)는 비디오 플레인 데이터(VP)에 PG 플레인 데이터(PG)와 IG 플레인 데이터(IG)를 픽쳐 단위로 중첩한다. 화상 중첩부(81)는 예를 들어 도 50에 나타내고 있는 플레인 가산부(5024)에 상당한다.
비디오 출력포맷 변환부(82)는 신호처리부(7)로부터는 복호 후의 비디오 플레인 데이터(VP)를 수신하고, 화상 중첩부(81)로부터는 중첩 후의 영상계 데이터(VP/PG/IG)를 수신한다. 또, 비디오 출력포맷 변환부(82)는 그들 영상계 데이터(VP,VP/PG/IG)에 대해서 각종 처리를 필요에 따라서 실행한다. 그 처리의 종류에는 리사이즈 처리, IP 변환처리, 노이즈 축소처리 및 프레임 레이트 변환처리가 포함된다. 리사이즈 처리는 영상의 사이즈를 확대/축소하는 처리이다. IP 변환처리는 프로그래시브 방식과 인터레이스 방식 사이에 주사방식을 변환하는 처리이다. 노이즈 축소처리는 영상으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하는 처리이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처리는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는 처리이다. 비디오 출력포맷 변환부(82)는 처리 후의 비디오 플레인 데이터(VP)를 화상 중첩부(81)에 송출하거나, 또는 처리 후의 영상계 데이터(VS)를 오디오 비디오 출력 IF부(83)에 송출한다.
오디오 비디오 출력 IF부(83)는 비디오 출력포맷 변환부(82)로부터는 영상계 데이터(VS)를 수신하고, 신호처리부(7)로부터는 복호 후의 음성계 데이터(AS)를 수신한다. 또, 오디오 비디오 출력 IF부(83)는 수신된 데이터(VS, AS)에 대해서 데이터 송신형식에 맞춘 부호화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오디오 비디오 출력 IF부(83)의 일부는 집적회로(3)의 외부에 구비할 수 있어도 좋다.
도 86은 AV 출력부(8)를 포함하는 재생장치(102)의 데이터 출력에 관한 부분의 상세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6을 참조하면, 오디오 비디오 출력 IF부(83)는 아날로그 비디오 출력 IF부(83a), 디지털 비디오 오디오 출력 IF부(83b) 및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IF부(83c)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집적회로(3) 및 재생장치(102)는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복수 종류의 영상계 데이터와 음성계 데이터의 데이터 송신 방식에 대응 가능하다.
아날로그 비디오 출력 IF부(83a)는 비디오 출력포맷 변환부(82)로부터 영상계 데이터(VS)를 수신하고, 그 데이터(VS)를 아날로그 영상신호 형식의 데이터(VD)로 변환/부호화해 출력한다. 아날로그 비디오 출력 IF부(83a)는 예를 들어 NTSC, PAL 및 SECAM 중 어느 방식에 대응한 콤포지트 비디오 인코더, S영상신호(Y/C분리)용 인코더, 컴퍼넌트 영상신호용 인코더 및 D/A컨버터(DAC) 등을 포함한다.
디지털 비디오 오디오 출력 IF부(83b)는 신호처리부(7)로부터는 복호 후의 음성계 데이터(AS)를 수신하고, 비디오 출력포맷 변환부(82)로부터는 영상계 데이터(VS)를 수신한다. 또, 디지털 비디오 오디오 출력 IF부(83b)는 그들 데이터(AS, VS)를 일체화해서 암호화한다. 그 후, 디지털 비디오 오디오 출력 IF부(83b)는 암호화 데이터(SVA)를 데이터 송신규격에 맞춰서 부호화하여 출력한다. 디지털 비디오 오디오 출력 IF부(83b)는 예를 들어 도 50에 나타내고 있는 HDMI 송신부(5025)에 상당한다.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IF부(83c)는 신호처리부(7)로부터 복호 후의 음성계 데이터(AS)를 수신하여 D/A변환에 의해서 아날로그 음성데이터(AD)로 변환해 출력한다.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IF부(83c)는 예를 들어 오디오 DAC에 상당한다.
상기 영상계 데이터 및 음성계 데이터의 송신형식은 표시장치(103)/스피커(103A)가 구비하는 데이터 수신장치/데이터 입력단자의 종류에 맞춰서 전환 가능하고, 또,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도 전환 가능하다. 또, 재생장치(102)는 동일한 콘텐츠의 데이터를 단일의 송신형식만이 아니라 복수의 송신형식으로 병렬로 송신 가능하다.
AV 출력부(8)는 도 85, 86에 나타내고 있는 기능블록(81, 82, 83) 외에 그래픽스 엔진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그래픽스 엔진부는 신호처리부(7)에 의해 복호 된 데이터에 대해서 필터처리, 화면합성처리, 곡선 묘화 처리 및 3D 표시처리 등의 그래픽스 처리를 실행한다.
집적회로(3)는 도 82, 83, 85, 86에 나타내고 있는 상기의 기능블록을 내장한다. 그러나 그것은 필수는 아니며, 일부의 기능블록이 집적회로(3)에 외부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또, 도 82에 나타내고 있는 구성과는 달리 메모리부(2)가 집적회로(3)에 내장되어 있어도 좋다. 또, 주 제어부(6)와 신호처리부(7)는 완전하게 분리된 기능블록이 아니어도 좋으며, 예를 들어 주 제어부(6)가 신호처리부(7)의 처리의 일부를 실행해도 좋다.
집적회로(3) 내의 기능블록 간을 접속하는 제어버스 및 데이터버스의 토폴러지는 각 기능블록의 처리의 순서 및 내용에 맞춰서 선택되면 좋다. 도 87은 집적회로(3) 내의 제어버스 및 데이터버스의 토폴러지의 예 (a), (b)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7 (a)을 참조하면, 제어버스(11)과 데이터버스(12)는 모두 각 기능블록(5-9)을 다른 모든 기능블록에 직결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외에, 도 87 (b)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데이터버스(13)는 각 기능블록(5-8)을 메모리 제어부(9)에만 직결시키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그 경우, 각 기능블록(5-8)은 메모리 제어부(9) 및 메모리부(2)를 개재하여 데이터를 다른 기능블록에 전송한다.
집적회로(3)는 단일의 팁에 내장되는 LSI에 대신하여 다중 칩 모듈이라도 좋다. 그 경우, 집적회로(3)를 구성하는 복수의 칩은 하나의 패키지에 밀봉되어 있으므로 집적회로(3)는 외관상 단일의 LSI이다. 그 외에, 집적회로(3)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리콘피거러블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FPGA는 제조 후에 프로그램 가능한 LSI이다. 리콘피거러블 프로세서는 내부의 회로 셀 간의 접속 및 각 회로 셀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LSI이다.
<집적회로(3)의 표시장치에의 실장>
상기의 집적회로(3)와 동일한 집적회로를 표시장치에 실장하여 실시형태 4에 의한 재생장치가 실시하는 상기의 처리를 그 표시장치에 실행하게 해도 상관없다. 도 88은 표시장치(103)에 실장된 집적회로(3)와 그 주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88에 나타내고 있는 구성은 도 82에 나타내고 있는 구성과는 출력 단자(10)가 표시 구동부(11), 표시 패널(12) 및 스피커(13)로 치환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 그 외의 구성요소는 도 82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다. 따라서 그들의 동일한 구성요소의 상세에 대해서는 상기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88을 참조하면, 집적회로(3)는 매체 IF부(1)과 메모리(2)를 이용하여 매체 IF부(1)가 수신한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의 신호 처리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한다. 집적회로(3)에 의해 처리된 영상계 데이터는 표시 구동부(11)에 보내진다. 표시 구동부(11)는 그 영상계 데이터에 따라서 표시 패널(12)를 제어한다. 그 결과, 그 영상계 데이터는 표시 패널(12)의 화면상에 영상으로 출력된다. 여기서, 표시 패널(12)은 액정표시패널이다. 그 외에, 플라스마 표시 패널, 유기 EL표시 패널 등 다른 방식의 것이라도 좋다. 한편, 집적회로(3)에 의해 처리된 음성계 데이터는 스피커(13)를 통해서 음성으로 출력된다. 또, 스피커(13)에 대신해서 도 82에 나타내고 있는 출력 단자(10)와 동일한 출력 단자를 통해서 표시장치(103)에 외부에 부착된 스피커가 이용되어도 좋다.
도 89는 도 88에 나타내고 있는 AV 출력부(8)의 상세한 기능 블록도이다. AV 출력부(8)는 도 85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는 달리 오디오 비디오 출력 IF부(83)에 대신해서 비디오 출력 IF부(84)와 오디오 출력 IF부(85)의 쌍을 구비하고 있다. 비디오 출력 IF부(84)와 오디오 출력 IF부(85)는 집적회로(3)의 내부와 외부의 어느 것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비디오 출력 IF부(84)는 비디오 출력 포맷 변환부(82)로부터 표시 구동부(11)에 영상계 데이터를 전송한다. 오디오 출력 IF부(85)는 신호처리부(7)로부터 스피커(12)에 음성계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 비디오 출력 IF부(84)와 오디오 출력 IF부(85)는 각각 복수 구비되어 있어도 좋다. 또, 비디오 출력 IF부(84)와 오디오 출력 IF부(85)는 일체화되고 있어도 좋다.
<집적회로(3)를 이용한 재생장치(102)의 재생처리>
도 90은 집적회로(3)를 이용한 재생장치(102)에 의한 재생처리의 플로차트이다. 그 재생처리는 광디스크가 디스크 드라이버에 삽입되는 등, 매체 IF부(1)가 매체(ME)에 데이터 수신이 가능하게 접속된 때에 개시된다. 그 재생처리에서는 재생장치(102)는 매체(ME)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호 한다. 그 후, 재생장치(102)는 복호 후의 데이터를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로서 출력한다.
스텝 S1에서는 매체 IF부(1)가 매체(ME)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판독하여 스트림 처리부(5)에 전송한다. 그 후에 처리는 스텝 S2로 진행된다.
스텝 S2에서는 스트림 처리부(5)는 스텝 S1에서 수신되거나 또는 판독된 데이터를 영상계 데이터와 음성계 데이터로 분리한다. 그 후에 처리는 스텝 S3으로 진행된다.
스텝 S3에서는 신호처리부(7)는 스텝 S2에서 스트림 처리부(5)에 의해 분리된 각 데이터를 그 부호화방식에 적합한 방법으로 복호 한다. 그 후에 처리는 스텝 S4로 진행된다.
스텝 S4에서는 AV 출력부(8)는 스텝 S3에서 신호처리부(7)에 의해 복호 된 영상계 데이터에 대해서 중첩처리를 실행한다. 그 후에 처리는 스텝 S5로 진행된다.
스텝 S5에서는 AV 출력부(8)는 스텝 S2-4에서 처리된 영상계 데이터 및 음성계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 후에 처리는 스텝 S6으로 진행된다.
스텝 S6에서는 주 제어부(6)가 재생처리를 속행해야할 것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매체 IF부(1)에 의해 매체(ME)로부터 새롭게 수신되거나 또는 판독될 데이터가 남아 있는 등의 경우에는 스텝 S1부터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광디스크가 디스크 드라이버로부터 인출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재생정지가 지시되는 등에 의해 매체 IF부(1)가 매체(ME)로부터의 데이터 수신, 또는 판독을 종료시킨 경우에는 처리는 종료한다.
도 91은 도 90에 나타내고 있는 각 스텝 S1-6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91에 나타내고 있는 각 스텝 S101-110은 주 제어부(6)의 제어 하에서 이루어진다. 스텝 S101은 주로 스텝 S1의 상세에 상당하고, 스텝 S102-104는 주로 스텝 S2의 상세에 상당하며, 스텝 S105는 주로 스텝 S3의 상세에 상당하고, 스텝 S106-108은 주로 스텝 S4의 상세에 상당하며, 스텝 S109, S110은 주로 스텝 S5의 상세에 상당한다.
스텝 S101에서는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는 매체 IF부(1)를 통해서 매체(ME)로부터 재생대상의 데이터보다 먼저 그 데이터의 재생에 필요한 데이터, 예를 들어 플레이리스트 파일 및 클립정보파일을 수신하거나 또는 판독한다. 또,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는 메모리 제어부(9)를 개재하여 그 데이터를 메모리부(2)에 저장한다. 그 후에 처리는 스텝 S102로 진행된다.
스텝 S102에서는 주 제어부(6)는 클립정보파일에 포함되는 스트림 속성정보로부터 매체(ME)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의 각각의 부호화방식을 식별한다. 또, 주 제어부(6)는 식별된 부호화방식에 대응하는 복호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신호처리부(7)의 초기화를 실행한다. 그 후에 처리는 스텝 S103으로 진행된다.
스텝 S103에서는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는 매체 IF부(1)를 통해서 매체(ME)로부터 재생대상의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판독한다. 특히, 그들 데이터는 익스텐트 단위로 수신되거나 또는 판독된다. 또,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는 그들 데이터를 스위칭부(53)와 메모리 제어부(9)를 경유해서 메모리부(2)에 저장한다. 특히, 메인 뷰 데이터가 수신되거나 또는 판독된 때 주 제어부(6)는 스위칭부(53)를 제어하여 그 데이터의 저장 처를 메모리부(2) 내의 제 1 영역으로 전환한다. 한편, 서브 뷰 데이터가 수신되거나 또는 판독된 때 주 제어부(6)는 스위칭부(53)를 제어하여 그 데이터의 저장 처를 메모리부(2) 내의 제 2 영역으로 전환한다. 그 후에 처리는 스텝 S104로 진행된다.
스텝 S104에서는 메모리부(2)에 저장된 데이터는 스트림 처리부(5) 내의 다중 분리부(52)에 전송된다. 다중 분리부(52)는 먼저 그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소스 패킷으로부터 PID를 판독한다. 다음에, 다중 분리부(52)는 그 PID에 따라서 그 소스 패킷에 포함되는 TS 패킷이 영상계 데이터와 음성계 데이터 중 어느 것인가를 식별한다. 또, 다중 분리부(52)는 식별결과에 따라서 각 TS 패킷을 신호처리부(7) 내의 대응하는 디코더에 전송한다. 그 후에 처리는 스텝 S105로 진행된다.
스텝 S105에서는 신호처리부(7) 내에서는 각 디코더가 전송된 TS 패킷을 적절한 방법으로 복호 한다. 그 후에 처리는 스텝 S106으로 진행된다.
스텝 S106에서는 신호처리부(7)에서 복호 된 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 및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각 픽쳐가 비디오 출력포맷 변환부(82)로 보내진다. 비디오 출력포맷 변환부(82)는 그들 픽쳐를 표시장치(103)의 해상도에 맞춰서 리사이즈 한다. 그 후에 처리는 스텝 S107로 진행된다.
스텝 S107에서는 화상 중첩부(81)는 스텝 S106에서 리사이즈 된 픽쳐로 이루어지는 비디오 플레인 데이터를 비디오 출력포맷 변환부(82)로부터 수신한다. 한편, 화상 중첩부(81)는 신호처리부(7)로부터 복호 후의 PG 플레인 데이터와 IG 플레인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 화상 중첩부(81)는 그들 플레인 데이터를 중첩한다. 그 후에 처리는 스텝 S108로 진행된다.
스텝 S108에서는 비디오 출력포맷 변환부(82)는 스텝 S107에서 중첩된 플레인 데이터를 화상 중첩부(81)로부터 수신한다. 또, 비디오 출력포맷 변환부(82)는 그 플레인 데이터에 대해서 IP변환을 실행한다. 그 후에 처리는 스텝 S109로 진행된다.
스텝 S109에서는 오디오 비디오 출력 IF부(83)는 비디오 출력포맷 변환부(82)로부터는 스텝 S108에서 IP변환이 된 영상계 데이터를 수신하고, 신호처리부(7)로부터는 복호 후의 음성계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 오디오 비디오 출력 IF부(83)는 그들 데이터에 대해서 표시장치(103)/스피커(103A)에 의한 데이터 출력방식, 또는 각각에의 데이터 송신방식에 따라서 부호화처리 및 D/A변환 등을 실행한다. 이에 의해 영상계 데이터와 음성계 데이터는 각각 아날로그 출력형식 또는 디지털 출력형식으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출력형식의 영상계 데이터에는 콤포지트(composite) 영상신호, S영상신호 및 컴퍼넌트 영상신호 등이 포함된다. 또, 디지털 출력형식의 영상계 데이터/음성계 데이터에는 HDMI 등이 포함된다. 그 후에 처리는 스텝 S110로 진행된다.
스텝 S110에서는 오디오 비디오 출력 IF부(83)는 스텝 S109에서 처리된 영상계 데이터 및 음성계 데이터를 표시장치(103)/스피커(103A)에 송신한다. 그 후에 처리는 스텝 S6으로 진행된다. 또, 스텝 S6에 대해서는 상기의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의 각 스텝에서는 데이터가 처리될 때마다 그 결과가 메모리부(2)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도 좋다. 또, 스텝 S106 및 S108에서의 비디오 출력포맷 변환부(82)에 의한 리사이즈 처리 및 IP 변환처리는 필요에 따라서 생략되어도 좋다. 또, 그들 처리에 더하여 또는 그들 처리에 대신하여 노이즈 축소처리 및 프레임 레이트 변환처리 등, 다른 처리를 해도 좋다. 또, 가능한 것에 대해서는 처리순서가 변경되어도 좋다.
도 88에 나타내고 있는 표시장치(103)로 재생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도 그 재생처리의 플로차트는 기본적으로는 도 90, 91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다. 도 88, 89에 나타내고 있는 각 기능 블록은 도 82, 85에 나타내고 있는 각 기능 블록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보충》
≪3D 영상의 재생방법의 원리≫
3D 영상의 재생방법은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하는 방법과 시차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의 2개로 대별된다.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하는 방법의 특징은 현실의 입체적인 물체로부터 인간의 시각에 줄 수 있는 광학적인 정보와 거의 완전히 동일한 정보를 시청자의 시각에 줌으로써 그 시청자에게 영상 중의 물체를 입체적으로 보이게 하는 점에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을 동영상 표시에 이용하는 기술은 이론상 확립되어 있기는 하다. 그러나 그 동영상 표시에 필요로 하는 방대한 연산을 리얼 타임으로 처리 가능한 컴퓨터 및 1mm당 수천 개라고 하는 초고해상도의 표시장치는 모두 현재의 기술에서는 아직 실현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이 방법을 상업용으로서 실용화하는 목표는 현시점에서는 거의 서 있지 않다.
「시차 영상」이란 하나의 신을 보는 시청자의 각 눈에 비치는 2D 영상의 쌍, 즉,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쌍을 말한다. 시차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의 특징은 하나의 신의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를 시청자의 각각의 눈에만 보이도록 재생함으로써 그 시청자에게 그 장면을 입체적으로 보이게 하는 점에 있다.
도 92 (a)-(c)는 시차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에 따른 3D 영상(입체 시 영상)의 재생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2 (a)는 시청자(VWR)가 얼굴의 정면에 놓인 입방체(CBC)를 보고 있는 광경의 상면도이다. 도 92 (b), (c)는 각각 그때에 시청자(VWR) 좌측 눈(LEY), 우측 눈(REY)에 보이는 입방체(CBC)의 외관을 2D 영상으로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2 (b), (c)를 비교하면 명백한 바와 같이, 각 눈에 보이는 입방체(CBC)의 외관은 조금 다르다. 이 외관의 차이, 즉 양안 시차로부터 시청자(VWR)는 입방체(CBC)를 입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시차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먼저 하나의 신, 예를 들어 도 92 (a)에 나타내고 있는 입방체(CBC)에 대해서 시점이 다른 좌우의 2D 영상, 예를 들어 도 92 (b)에 나타내고 있는 입방체(CBC)의 레프트 뷰 및 도 92 (c)에 나타내고 있는 그 라이트 뷰를 준비한다. 여기서, 각 시점의 위치는 시청자(VWR)의 양안 시차로부터 결정된다. 다음에, 각 2D 영상을 시청자(VWR) 각각의 눈에만 보이도록 재생한다. 이에 의해 시청자(VWR)에는 화면에 재생되는 그 신, 즉 입방체(CBC)의 영상이 입체적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시차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은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하는 방법과는 달리 고작 2개의 시점에서부터 보이는 2D 영상을 준비하는 것만으로 좋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시차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그것을 구체화하기 위한 방식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그들 방식은 좌우의 2D 영상을 시청자의 각각의 눈에 어떻게 보이게 하는가 하는 관점에서 경시 분리방식, 렌티큘라 렌즈를 이용하는 방식 및 2색 분리방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계시 분리방식에서는 화면에 좌우의 2D 영상을 일정시간씩 교대로 표시하는 한편, 시청자에게 셔터안경을 통해서 화면을 관찰시킨다. 여기서, 셔터안경은 각 렌즈가 예를 들어 액정패널로 형성되어 있다. 각 렌즈는 화면상의 2D 영상의 전환에 동기하여 교대로 광을 그 전체에서 일정하게 투과시키거나 또는 차단한다. 즉, 각 렌즈는 시청자의 눈을 주기적으로 막는 셔터로서 기능한다. 더 상세하게 말하면, 화면상에 좌 영상이 표시되는 기간에서는 셔터안경은 좌측의 렌즈에는 빛을 투과시키고, 우측의 렌즈에는 빛을 차단시킨다. 반대로, 화면상에 우 영상이 표시되어 있은 기간에서는 셔터안경은 우측의 렌즈에는 빛을 투과시키고, 좌측의 렌즈에는 빛을 차단시킨다. 이에 의해 시청자의 눈에는 좌우의 영상의 잔상이 겹쳐서 하나의 3D 영상으로 보인다.
계시 분리방식에서는 상기와 같이 좌우의 영상을 일정 주기로 교대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2D 영상의 재생에서 1초당 24매의 영상프레임이 표시될 때 3D 영상의 재생에서는 좌우의 영상을 합해서 1초당 48매의 영상프레임이 표시된다. 따라서 이 방식에는 화면의 재표시를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표시장치가 매우 적합하다.
렌티큘라 렌즈를 이용하는 방식에서는 좌우의 각 영상프레임을 세로방향으로 홀쭉한 직사각형의 소 영역으로 분할하여, 하나의 화면 안에 좌우의 영상프레임의 각 소 영역을 횡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하여 동시에 표시한다. 여기서, 화면의 표면은 렌티큘라 렌즈로 덮여 있다. 렌티큘라 렌즈는 홀쭉한 호그 백 렌즈(hog-backed lens)를 복수 평행으로 배열하여 1매의 시트형상으로 한 것이다. 각 호그 백 렌즈는 화면의 표면을 세로방향에 연장하고 있다. 렌티큘라 렌즈를 통해서 상기 좌우의 영상프레임을 시청자에게 보이게 할 때 좌 영상프레임의 표시영역으로부터의 광은 시청자의 좌측 눈에만 결상하고, 우 영상프레임의 표시영역으로부터의 광은 우측 눈에만 결상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좌우의 눈에 비치는 영상 사이에서의 양안 시차에 의해 시청자에게는 3D 영상이 보인다. 또, 이 방식에서는 렌티큘라 렌즈에 대신하여, 동일한 기능을 갖는 액정소자 등의 다른 광학부품이 이용되어도 좋다. 그 외에, 예를 들어 좌 영상프레임의 표시영역에는 종 편광(縱 偏光)의 필터를 설치하고, 우 영상프레임의 표시영역에는 횡 편광(橫 偏光)의 필터를 설치해도 좋다. 그때 시청자에게는 편광안경을 통해서 화면을 보도록 한다. 여기서, 그 편광안경에서는 좌측의 렌즈에 종 편광 필터가 설치되고, 또 우측의 렌즈에 횡 편광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좌우의 영상이 시청자의 각각의 눈에만 보이므로 시청자에게 3D 영상을 보일 수 있다.
시차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3D 영상콘텐츠가 처음부터 좌우의 영상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외에, 2D 영상과 뎁스 맵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 2D 영상은 재생대상의 3D 영상으로부터 가상적인 2D 화면에의 투영을 나타내고, 뎁스 맵은 그 2D 화면에 대한 그 3D 영상의 각부의 깊이를 화소별로 나타낸다. 3D 영상콘텐츠가 2D 영상과 뎁스 맵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을 때 3D 재생장치 또는 표시장치는 먼저 그들 조합으로부터 좌우의 영상을 구성하고, 다음에 그들 영상으로부터 상기 방식 중 어느 하나로 3D 영상을 재현한다.
도 93은 2D 영상(MVW)과 뎁스 맵(DPH)의 조합으로부터 레프트 뷰(LVW)와 라이트 뷰(RVW)를 구성하는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3을 참조하면, 2D 영상(MVW)에서는 배경(BGV) 중에 원판(DSC)이 표시되어 있다. 뎁스 맵(DPH)은 그 2D 영상(MVW) 내의 각부의 깊이를 화소마다 나타낸다. 그 뎁스 맵(DPH)에 의하면 2D 영상(MVW) 중 원판(DSC)의 표시영역(DA1)의 깊이가 화면보다 앞쪽이고, 또한, 배경(BGV)의 표시영역(DA2)의 깊이가 화면보다 안쪽이다. 재생장치 내에서는 시차 영상 생성부(PDG)가 먼저 뎁스 맵(DPH)이 나타내는 각부의 깊이로부터 2D 영상(MVW) 내의 각부의 양안 시차를 계산한다. 다음에, 시차 영상 생성부(PDG)는 2D 영상(MVW) 내의 각부의 표시위치를 계산된 양안 시차에 따라서 좌우로 이동시켜서 레프트 뷰(LVW)와 라이트 뷰(RVW)를 구성한다. 도 93에 나타내고 있는 예에서는 시차 영상 생성부(PDG)는 2D 영상(MVW) 내의 원판(DSC)의 표시위치에 대해서 레프트 뷰(LVW) 내의 원판(DSL)의 표시위치를 그 양안 시차의 절반(S1)만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고, 라이트 뷰(RVW) 내의 원판(DSR)의 표시위치를 그 양안 시차의 절반(S1)만큼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시청자에게는 원판(DSC)이 화면보다 앞쪽에 보인다. 한편, 시차 영상 생성부(PDG)는 2D 영상(MVW) 내의 배경(BGV)의 표시위치에 대해서 레프트 뷰(LVW) 내의 배경(BGL)의 표시위치를 그 양안 시차의 절반(S2)만큼 왼쪽으로 이동시키고, 라이트 뷰(RVW) 내의 배경(BGR)의 표시위치를 그 양안 시차의 절반(S2)만큼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시청자에게는 배경(BGV)이 화면보다 안쪽에 보인다.
시차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에 따른 3D 영상의 재생시스템은 영화관 및 유원지의 어트랙션 등에서 이용되는 것에 대해서는 이미 확립되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그 방법은 3D 영상을 재생 가능한 홈시어터시스템의 실용화에도 유효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시차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 중 계시 분리방식 또는 편광안경을 이용한 방식을 상정한다. 단, 본 발명은 그들 방식과는 다른 방식에 대해서도 그들이 시차 영상을 이용하고 있는 한은 적용 가능하다. 그것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
<BD-ROM디스크 상의 파일시스템>
BD-ROM 디스크(101)의 파일시스템으로 UDF가 이용될 때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볼륨영역(202b)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디렉터리, 파일세트기술자 및 종단 기술자의 각각이 기록된 영역을 포함한다. 「디렉터리」는 동일한 디렉터리를 구성하는 데이터 군이다. 「파일세트기술자」는 루트 디렉터리의 파일엔트리가 기록되어 있는 섹터의 LBN을 나타낸다. 「종단 기술자」는 파일세트기술자의 기록영역의 종단을 나타낸다.
각 디렉터리는 공통의 데이터구조를 갖는다. 각 디렉터리는 특히 파일엔트리, 디렉터리 파일 및 하위 파일 군을 포함한다.
「파일엔트리」는 기술자태그, ICB(Information Control Block) 태그 및 할당기술자를 포함한다. 「기술자태그」는 그 기술자태그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종류가 파일엔트리라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기술자태그의 값이 "261"일 때 그 데이터의 종류는 파일엔트리이다. 「ICB 태그」는 그 파일엔트리 자신의 속성정보를 나타낸다. 「할당기술자」는 동일한 디렉터리에 속하는 디렉터리 파일이 기록된 섹터의 LBN을 나타낸다.
「디렉터리 파일」은 하위 디렉터리의 파일식별기술자와 하위 파일의 파일식별기술자를 일반적으로 복수씩 포함한다. 「하위 디렉터리의 파일식별기술자」는 그 디렉터리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 하위 디렉터리에 액세스하기 위한 정보이다. 이 파일식별기술자는 그 하위 디렉터리의 식별정보, 디렉터리 명의 길이, 파일엔트리 어드레스 및 디렉터리 명 그 자체를 포함한다. 특히 파일엔트리 어드레스는 그 하위 디렉터리의 파일엔트리가 기록된 섹터의 LBN을 나타낸다. 「하위 파일의 파일식별기술자」는 그 디렉터리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 하위 파일에 액세스하기 위한 정보이다. 이 파일식별기술자는 그 하위 파일의 식별정보, 파일명의 길이, 파일엔트리 어드레스 및 파일명 그 자체를 포함한다. 특히 파일엔트리 어드레스는 그 하위 파일의 파일엔트리가 기록된 섹터의 LBN을 나타낸다. 「하위 파일의 파일엔트리」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하위 파일의 실체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어드레스정보를 포함한다.
파일세트기술자와 하위 디렉터리/파일의 파일식별기술자를 차례로 거슬러 올라가면 볼륨영역(202B)에 기록된 임의의 디렉터리/파일의 파일엔트리에 액세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파일세트기술자로부터 루트 디렉터리의 파일엔트리가 특정되고, 그 파일엔트리 내의 할당기술자로부터 루트 디렉터리의 디렉터리 파일이 특정된다. 다음에, 그 디렉터리 파일로부터 루트 디렉터리 바로 아래의 디렉터리의 파일식별기술자가 검출되고, 그 중의 파일엔트리 어드레스로부터 그 디렉터리의 파일엔트리가 특정된다. 또, 그 파일엔트리 내의 할당기술자로부터 그 디렉터리의 디렉터리 파일이 특정된다. 이어서, 그 디렉터리 파일 중 하위 디렉터리 또는 하위 파일의 파일식별기술자 내의 파일엔트리 어드레스로부터 그 하위 디렉터리 또는 하위 파일의 파일엔트리가 특정된다.
「하위 파일」은 각각 익스텐트와 파일엔트리를 포함한다. 「익스텐트」는 일반적으로 복수이며, 각각 디스크 상의 논리어드레스, 즉 LBN이 연속하고 있는 데이터열이다. 익스텐트의 전체가 하위 파일의 본체를 구성한다. 「파일엔트리」는 기술자태그, ICB 태그 및 할당기술자를 포함한다. 「기술자태그」는 그 기술자태그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종류가 파일엔트리라는 것을 나타낸다. 「ICB 태그」는 그 파일엔트리 자신의 속성정보를 나타낸다. 「할당기술자」는 각 익스텐트에 대해서 1개씩 설치되며, 볼륨영역(202B) 상에서의 각 익스텐트의 배치, 구체적으로는 각 익스텐트의 사이즈와 그 선단의 LBN을 가리킨다. 따라서 각 할당기술자를 참조함으로써 각 익스텐트에 액세스할 수 있다. 그 외에, 각 할당기술자의 상위 2 비트는 그 할당기술자가 나타내는 LBN의 섹터에 익스텐트가 실제로 기록되어 있는가 여부를 나타낸다. 즉, 상위 2 비트가 "0"일 때 그 섹터에는 익스텐트가 할당된 상태이고, 또 기록이 완료된 상태라는 것을 나타내고, "1"일 때는 그 섹터에 익스텐트가 할당된 상태이나 미기록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UDF를 이용한 상기의 파일시스템과 같이, 볼륨영역(202B)에 대한 파일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볼륨영역(202B)에 기록된 각 파일이 복수의 익스텐트로 분할되어 있을 때 상기의 할당기술자와 마찬가지로 각 익스텐트의 배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볼륨영역(202B)에 함께 기록된다. 그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각 익스텐트의 배치, 특히 그 논리어드레스를 알 수 있다.
<복호스위치정보>
도 94 (a)는 복호스위치정보(A050)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복호스위치정보(A050)는 도 8에 나타내고 있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각 VAU에서 그 보충데이터(831D, 832D)에 저장되어 있다. 단,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각 GOP의 선두에 위치하는 VAU #1 (832)에서는 복호스위치정보(A050)는 오프셋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보충데이터(832D)와는 다른 보충데이터에 저장된다. 특히 보충데이터(831D, 832D)는 MPEG-4 AVC, MVC에서는 NAL 유닛의 일종"SEI"에 상당한다. 복호스위치정보(A050)는 재생장치(102) 내의 디코더에 다음에 복호 해야 할 VAU를 용이하게 특정시키기 위한 정보이다. 여기서, 그 디코더는 후술과 같이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을 VAU 단위로 교대로 복호 한다. 그때 그 디코더는 일반적으로 각 VAU에 부여된 DTS가 나타내는 시각에 맞춰서 다음에 복호 해야 할 VAU를 특정한다. 그러나 디코더의 종류에는 DTS를 무시하고 VAU를 순차 계속해서 복호 하는 것도 많다. 그러한 디코더에 있어서 각 VAU가 DTS에 더하여 복호스위치정보(A050)를 포함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도 94 (a)를 참조하면, 복호스위치정보(A050)는 다음 액세스유닛 타입(A051), 다음 액세스유닛 사이즈(A052) 및 복호 카운터(A053)를 포함한다. 다음 액세스유닛 타입(A051)은 다음에 복호 되어야 할 VAU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어느 것에 속하는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다음 액세스유닛 타입(A051)의 값이"1"일 때는 다음에 복호 되어야 할 VAU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에 속하고, "2"일 때는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에 속한다. 다음 액세스유닛 타입(A051)의 값이"0"일 때는 현재의 VAU가 복호 대상의 스트림의 후단에 위치하며, 다음에 복호 되어야 할 VAU가 존재하지 않는다. 다음 액세스유닛 사이즈(A052)는 다음에 복호 되어야 할 VAU의 사이즈를 나타낸다. 재생장치(102) 내의 디코더는 다음 액세스유닛 사이즈(A052)를 참조함으로써 VAU의 구조 자체를 해석하는 일 없이 그 사이즈를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디코더는 버퍼로부터 VAU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복호 카운터(A053)는 그것이 속하는 VAU가 복호 되어야 할 차례를 나타낸다. 그 차례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 내의 I픽쳐를 포함하는 VAU로부터 셀 수 있다.
도 94 (b)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A001)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A002)의 각 픽쳐에 할당된 복호 카운터의 일 예(A010, A02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4 (b)를 참조하면, 복호 카운터(A010, A020)는 양 비디오 스트림(A001, A002)의 사이에서 교대로 증가한다. 예를 들어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A001) 내의 I픽쳐를 포함하는 VAU(A011)에 대하여 복호 카운터(A010)로서"1"이 할당된다. 다음에 복호 되어야 할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A002) 내의 P픽쳐를 포함하는 VAU(A021)에 대하여 복호 카운터(A020)로서"2"가 할당된다. 또, 그 다음에 복호 되어야 할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A001) 내의 P픽쳐를 포함하는 VAU(A012)에 대하여 복호 카운터(A010)로서"3"이 할당된다. 그 할당에 의해 어떤 문제가 원인이 되어서 재생장치(102) 내의 디코더가 몇 개의 VAU가 손상된 때에도, 그에 따라서 누락 픽쳐를 디코더는 복호 카운터(A010, A020)로부터 바로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디코더는 에러처리를 적절하고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다.
도 94 (b)에 나타내고 있는 예에서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A001)의 3번째의 VAU(A013)의 판독에 에러가 생겨서 Br픽쳐가 누락되어 있다. 그러나 디코더는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A002)의 2번째의 VAU(A022)에 포함되는 P픽쳐의 복호처리에서 그 VAU(A022)로부터 복호 카운터(A020)를 판독하여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디코더는 다음에 처리해야 할 VAU의 복호 카운터(A010)를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P픽쳐를 포함하는 VAU(A022) 내의 복호 카운터(A020)는"4"이므로, 다음에 판독되어야 할 VAU의 복호 카운터(A010)는"5"라고 예측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다음에 판독된 VAU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A001)의 4번째의 VAU(A014)였으므로, 그 복호 카운터(A010)는"7"이다. 따라서 디코더는 VAU가 1개 손상되었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디코더는 다음의 에러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A002)의 3번째의 VAU(A023)로부터 추출된 B픽쳐에 대해서는 참조하고야 할 Br픽쳐가 누락되어 있으므로 복호처리를 스킵 한다」. 이와 같이, 디코더는 복호처리 마다 복호 카운터(A010, A020)를 체크한다. 이에 의해 디코더는 VAU의 판독 에러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고, 또한 적절한 에러처리를 신속히 실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재생 영상에의 노이즈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4 (c)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A001)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A002)의 각 픽쳐에 할당된 복호 카운터의 다른 예(A030, A04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4 (c)를 참조하면, 복호 카운터(A030, A040)는 각 비디오 스트림(A001, A002)에서 따로따로 증가 된다. 따라서 복호 카운터(A030, A040)는 동일한 3D VAU에 속하는 한 쌍의 픽쳐 간과 같다. 그 경우, 디코더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A001)의 VAU를 1개 복호 한 시점에서는 다음과 같이 예측할 수 있다: 「그 복호 카운터(A030)가 다음에 복호 되어야 할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A002)의 VAU의 복호 카운터(A040)와 동일하다」. 한편, 디코더는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A002)의 VAU를 1개 복호 한 시점에서는 다음과 같이 예측할 수 있다: 「그 복호 카운터(A040)에 1을 더한 값이 다음에 복호 되어야 할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A001)의 VAU의 복호 카운터(A030)와 동일하다」. 따라서 디코더는 어느 시점에서도 복호 카운터(A030, A040)로부터 VAU의 판독 에러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고, 또한 적절한 에러처리를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재생 영상에의 노이즈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2에 나타내고 있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에서는 DEC(5204)가 복호스위치정보(A050)를 이용하여 각 VAU로부터 픽쳐를 그 DTS에 상관없이 순차 복호 해도 좋다. 그 외에, 버퍼 스위치(5206)가 그 VAU 내의 복호스위치정보(A050)를 DEC(5204)에 답신하도록 해도 좋다. 그 경우, 버퍼 스위치(5206)는 그 복호스위치정보(A050)를 사용하여 다음의 VAU를 EB1 (5203)와 EB2 (5210)의 어느 것으로부터 전송해야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사이의 어긋남 보상>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사이에는 「어긋남(Misalignment)」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재생장치(102) 또는 표시장치(103)는 이하에 설명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그 어긋남을 보상한다. 이에 의해 그 어긋남이 시청자에게 위화감을 줄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다.
재생장치(102)는 상기의 어긋남의 보상처리에, 도 50에 나타내고 있는 기능부를 이용한다. 한편, 표시장치(103)가 그 보상처리를 하여도 좋다. 도 95는 그 보상처리를 하는 표시장치(103)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95를 참조하면, 표시장치(103)는 수신부(A101), 스트림 처리부(A102), 신호처리부(A103) 및 출력부(A104)를 구비하고 있다. 수신부(A101)는 재생장치(102) 외에 BD-ROM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장치, 외부 네트워크 및 방송파 등의 각종 매체로부터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트림 처리부(A102)에 인계한다. 스트림 처리부(A102)는 그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로부터 영상, 음성, 그래픽스 등 각종의 데이터를 분리하여 신호처리부(A103)에 인계한다. 신호처리부(A103)는 이들의 데이터를 개별로 복호 하여 출력부(A104)에 인계한다. 출력부(A104)는 복호 된 각 데이터를 소정의 형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출력부(A104)의 출력은 영상/음성 그 자체이다. 그 외에, HDMI 방식 등의 영상신호/음성신호라도 좋다. 도 95에 나타내고 있는 요소 A101, A102, A103 및 A104 중 디스크 드라이버, 표시 패널 및 스피커 등의 기계적인 부분 이외는 1 이상의 집적회로에 실장되어 있다.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 사이의 수평방향의 어긋남≫
도 96 (a)는 3D 영상을 촬영하는 한 쌍의 비디오 카메라(CML, CMR)의 수평 화각(HAL, HAR)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6 (a)을 참조하면, 한 쌍의 비디오 카메라(CML, CMR)는 수평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좌측의 비디오 카메라(CML)는 레프트 뷰를 촬영하고, 우측의 비디오 카메라(CMR)는 라이트 뷰를 촬영한다. 이들 비디오 카메라(CML, CMR)의 수평 화각(HAL, HAR)은 크기는 동일하지만, 위치는 다르다. 따라서 좌측의 비디오 카메라(CML)의 수평 화각(HAL)에만 포함되는 영역(AL)과 우측의 비디오 카메라(CMR)의 수평 화각(HAR)에만 포함되는 영역(AR)이 발생한다. 양쪽의 수평 화각(HAL, HAR)의 공통부분에 위치하는 피사체(OBC)는 어느 비디오 카메라(CML, CMR)에도 비친다. 그러나 좌측의 비디오 카메라(CML)의 수평 화각(HAL)에만 포함되는 영역(AL)에 위치하는 피사체(OBL)는 좌측의 비디오 카메라(CML)에밖에 비치지 않고, 우측의 비디오 카메라(CMR)의 수평 화각(HAR)에만 포함되는 영역(AR)에 위치하는 피사체 OBR는 우측의 비디오 카메라(CMR)에 밖에 비치지 않는다.
도 96 (b), (c)는 각각 좌측의 비디오 카메라(CML)로 촬영된 레프트 뷰(LV)와 우측의 비디오 카메라(CMR)로 촬영된 라이트 뷰(RV)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6 (b), (c)를 참조하면, 좌측의 비디오 카메라(CML)의 수평 화각(HAL)에만 포함되는 영역(AL)은 레프트 뷰(LV)에 그 좌단에 따라서 연장되고 있는 띠 형상 영역으로 포함된다. 그러나 그 띠 형상 영역(AL)은 라이트 뷰(RV)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한편, 우측의 비디오 카메라(CMR)의 수평 화각(HAR)에만 포함되는 영역(AR)은 라이트 뷰(RV)에 그 우단에 따라서 연장되고 있는 띠 형상 영역으로 포함된다. 그러나 그 띠 형상 영역(AR)은 레프트 뷰(LV)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96 (a)에 나타내는 3개의 피사체 OBL, OBC, OBR 중 우측의 피사체(OBR)는 레프트 뷰(LV)에는 포함되지 않고, 좌측의 피사체(OBL)는 라이트 뷰(RV)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그 결과, 좌측의 피사체(OBL)는 시청자의 왼쪽 눈에밖에 비치지 않고, 우측의 피사체(OBR)는 오른쪽 눈에밖에 비치지 않는다. 그 경우, 레프트 뷰(LV)와 라이트 뷰(RV)는 시청자에게 위화감을 줄 위험성이 있다.
BD-ROM 디스크(101)에서는 레프트 뷰(LV)와 라이트 뷰(RV)의 각 프레임에 포함되는 상기의 띠 형상 영역(AL, AR)의 폭(WDH)을 나타내는 정보가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에 저장되어 있다. 그 저장 장소는 각 비디오 시퀀스의 선두에 위치하는 VAU의 보충데이터이다. 단, 그 보충데이터는 도 11에 나타내고 있는 오프셋 메타데이터(1110)를 포함하는 보충데이터와는 별개이다. 한편, 재생장치(102)에서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가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상기의 띠 형상 영역(AL, AR)의 폭(WDH)을 나타내는 정보를 판독한다. 또,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는 그 정보를 플레인 가산부(5024) 내의 시차 영상 생성부(5310) 또는 표시장치(103) 내의 출력부(A104)에 전한다. 표시장치(103) 내의 수신부(A101)가 BD-ROM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로부터 3D 영상콘텐츠를 바로 판독하는 경우, 상기의 정보는 표시장치(103) 내의 신호처리부(A103)에 의해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에서 판독되어서 출력부(A104)에 전해진다. 시차 영상 생성부(A110) 또는 출력부(A104)(이하, 시차 영상 생성부(A110) 등이라고 한다)는 그 정보를 이용하여 좌 영상 플레인과 우 영상 플레인을 가공하고, 상기의 띠 형상 영역(AL, AR)을 배경색 또는 흑색으로 동일하게 전부 칠한다. 즉, 각 띠 형상 영역(AL, AR)에 포함되는 화소 데이터를 동일한 배경색 또는 흑색의 데이터로 재기록한다.
도 96 (d), (e)는 각각 가공 후의 좌 영상 플레인이 나타내는 레프트 뷰(LV)와 우 영상 플레인이 나타내는 라이트 뷰(RV)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6 (d)을 참조하면, 좌측의 비디오 카메라(CML)의 수평 화각(HAL)에만 포함되는 영역(AL)은 폭(WDH)의 흑색 띠(BL)로 숨겨져 있다. 한편, 도 96 (e)을 참조하면, 우측의 비디오 카메라(CMR)의 수평 화각(HAR)에만 포함되는 영역(AR)은 폭(WDH)의 흑색 띠(BR)로 숨겨져 있다. 이들의 결과, 시청자의 각 눈에는 레프트 뷰(LV)와 라이트 뷰(RV)에서 공통되는 영역밖에 비치지 않으므로 그 시청자에게 위화감을 줄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시차 영상 생성부(5310)는 도 55에 나타내는 크로핑 처리와 마찬가지로 좌 영상 플레인과 우 영상 플레인의 각각으로부터 상기의 띠 형상 영역(AL, AR) 중 외측의 절반의 영역에 포함되는 화소 데이터를 제거해도 좋다. 그 경우, 시차 영상 생성부(5310) 등은 각 띠 형상 영역(AL, AR)의 나머지 절반의 영역을 배경색 또는 흑색으로 동일하게 전부 칠하는 동시에, 그 반대 측의 단부에 각 띠 형상 영역(AL, AR)의 절반의 폭의 배경색 또는 흑색의 띠 형상 영역을 부가한다. 이에 의해 시청자의 어느 눈에도 레프트 뷰(LV)와 라이트 뷰(RV)에서 공통되는 영역이 나타내는 영상이 화면의 중앙에 비치고, 배경색 또는 흑색의 띠가 화면의 양단에 비친다. 그 결과, 그 시청자에게 위화감을 줄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다.
그 외에, 시차 영상 생성부(5310) 등은 좌 영상 플레인과 우 영상 플레인을 다음과 같이 처리해도 좋다. 시차 영상 생성부(5310)는 먼저 도 55에 나타내는 크로핑 처리와 마찬가지로 각 영상 플레인으로부터 상기의 띠 형상 영역(AL, AR) 내의 화소 데이터를 제거한다. 다음에, 시차 영상 생성부(5310) 등은 스캘링 처리에 의해 나머지의 영역 내의 화소 데이터로부터 각 영상 플레인을 재구성한다. 이에 의해 나머지의 영역이 나타내는 영상이 프레임 전체에 확대 표시된다. 그 결과, 시청자의 각 눈에는 레프트 뷰(LV)와 라이트 뷰(RV)에서 공통되는 영역밖에 비치지 않으므로 그 시청자에게 위화감을 줄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다.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 사이의 수직방향의 어긋남≫
도 97 (a)는 3D 영상을 촬영하는 한 쌍의 비디오 카메라(CML, CMR)의 수직 화각(VAL, VAR)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7 (a)을 참조하면, 이들 비디오 카메라(CML, CMR)의 수직 화각(VAL, VAR)은 크기는 동일하지만 위치는 다르다. 따라서 좌측의 비디오 카메라(CML)의 수직 화각(VAL)에만 포함되는 영역(AT)과 우측의 비디오 카메라(CMR)의 수직 화각(VAR)에만 포함되는 영역(AB)이 발생한다. 양쪽의 수직 화각(VAL, VAR)의 공통 부분에 위치하는 피사체(OBJ)는 어느 비디오 카메라(CML, CMR)에도 비친다. 그러나 좌측의 비디오 카메라(CML)의 수직 화각(VAL)에만 포함되는 영역(AT)에 위치하는 피사체는 좌측의 비디오 카메라(CML)에밖에 비치지 않고, 우측의 비디오 카메라(CMR)의 수직 화각(VAR)에만 포함되는 영역(AB)에 위치하는 피사체는 우측의 비디오 카메라(CMR)에밖에 비치지 않는다.
도 97 (b)는 좌측의 비디오 카메라(CML)로 촬영된 레프트 뷰(LV)와 우측의 비디오 카메라(CMR)로 촬영된 라이트 뷰(RV)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7 (b)를 참조하면, 좌측의 비디오 카메라(CML)의 수직 화각(VAL)에만 포함되는 영역(AT)은 레프트 뷰(LV)에 그 상단을 따라서 연장되고 있는 띠 형상 영역으로 포함된다. 그러나 그 띠 형상 영역(AT)은 라이트 뷰(RV)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한편, 우측의 비디오 카메라(CMR)의 수직 화각(VAR)에만 포함되는 영역(Ab)는 라이트 뷰(RV)에 그 하단을 따라서 연장되고 있는 띠 형상 영역으로 포함된다. 그러나 그 띠 형상 영역(Ab)는 레프트 뷰(LV)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또, 띠 형상 영역(AT, AB)의 위치는 레프트 뷰(LV)와 라이트 뷰(RV)에서 역의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레프트 뷰(LV)와 라이트 뷰(RV)에서 상기의 띠 형상 영역(AT, AB)의 유무가 다른 경우, 도 97 (a)에 나타내는 피사체(OBJ)의 수직 방향의 위치는 레프트 뷰(LV)와 라이트 뷰(RV)에서 띠 형상 영역(AT, AB)의 높이(HGT)만큼 어긋난다. 그 결과, 시청자의 왼쪽 눈에 비치는 피사체(OBJ)와 오른쪽 눈에 비치는 피사체(OBJ)는 수직 방향의 위치가 다르므로 그 시청자에게 위화감을 줄 위험성이 있다.
BD-ROM 디스크(101)에서는 마스크영역 정보가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에 저장되고, 특히 각 비디오 시퀀스의 선두에 위치하는 VAU의 보충데이터에 저장되어 있다. 단, 그 보충데이터는 도 11에 나타내고 있는 오프셋 메타데이터(1110)를 포함하는 보정데이터와는 별개이다. 마스크영역 정보는 레프트 뷰(LV)와 라이트 뷰(RV)의 각 프레임에 포함되는 상기의 띠 형상 영역(AT, AB)의 높이(HGT)를 나타낸다. 한편, 재생장치(102)에서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가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마스크영역 정보를 판독하여 플레인 가산부(5024) 내의 시차 영상 생성부(5310) 또는 표시장치(103) 내의 출력부(A104)에 전한다. 표시장치(103) 내의 수신부(A101)가 BD-ROM 디스크 등의 정보 매체로부터 3D 영상콘텐츠를 바로 판독하는 경우, 마스크영역 정보는 표시장치(103) 내의 신호처리부(A103)에 의해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에서 판독되어서 출력부(A104)에 전할 수 있다.
시차 영상 생성부(5310) 또는 출력부(A104)(이하, 시차 영상 생성부(5310) 등이라고 한다)는 마스크영역 정보가 나타내는 띠 형상 영역(AT, AB)의 높이(HGT)를 이용하여 좌 영상 플레인과 우 영상 플레인을 다음의 순서로 가공한다. 먼저, 시차 영상 생성부(5310) 등은 좌 영상 플레인 내의 화소 데이터의 위치를 하 방향으로 높이(HGT)의 절반(HGT/2)만큼 이동시키고, 우 영상 플레인 내의 화소 데이터의 위치를 상 방향으로 높이(HGT)의 절반(HGT/2)만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각 영상 플레인 중 상기의 띠 형상 영역(AT, AB) 이외의 영역이 나타내는 영상과 화면에서 수직방향의 중심이 일치한다. 한편, 좌 영상 플레인에서는 상단에서 띠 형상 영역(AT)의 상반분(上半分)이 제거되고, 하단에서 높이(HDT/2)의 띠 형상 영역에 빈 영역이 발생한다. 우 영상 플레인에서는 하단에서 띠 형상 영역(AB)의 하반분(下半分)이 제거되고, 상단에서 높이(HDT/2)의 띠 형상 영역에 빈 영역이 발생한다. 다음에, 시차 영상 생성부(5310)는 각 띠 형상 영역을 배경색 또는 흑색으로 동일하게 전부 칠한다. 즉, 각 띠 형상 영역에 포함되는 화소 데이터를 동일한 배경색 또는 흑색의 데이터로 재기록한다.
도 97 (c)는 가공 후의 좌 영상 플레인이 나타내는 레프트 뷰(LV)와 우 영상 플레인이 나타내는 라이트 뷰(RV)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7 (c)를 참조하면, 레프트 뷰(LV)와 라이트 뷰(RV)는 수직 방향의 중심 위치가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97 (a)에 나타내는 피사체(OBJ)의 수직 방향의 위치는 레프트 뷰(LV)와 라이트 뷰(RV)에서 동일하다. 한편, 레프트 뷰(LV)의 상단에서는 좌측의 비디오 카메라(CML)의 수직 화각(VAL)에만 포함되는 영역(AT)이 높이(HGT/2)의 흑색 띠(BT)로 숨겨지고, 라이트 뷰(RV)의 하단에서는 우측의 비디오 카메라(CMR)의 수직 화각(VAR)에만 포함되는 영역(AB)이 높이(HGT/2)의 흑색 띠(BB)로 숨겨져 있다. 또, 레프트 뷰(LV)의 하단에는 높이(HGT/2)의 흑색 띠(BB)가 부가되고, 라이트 뷰(RV)의 상단에는 높이(HGT/2)의 흑색 띠(BT)가 부가되어 있다. 이러한 결과, 시청자의 각 눈에는 레프트 뷰(LV)와 라이트 뷰(RV)에서 공통되는 영역밖에 비치지 않고, 또한 각 눈에 비치는 피사체의 수직 방향의 위치가 일치한다. 이렇게 해서 그 시청자에게 위화감을 줄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다.
그 외에, 시차 영상 생성부(5310) 등은 좌 영상 플레인과 우 영상 플레인을 다음과 같이 처리해도 좋다. 먼저, 플레인 가산부(5024)는 도 55에 나타내는 크로핑 처리와 마찬가지로 각 영상 플레인으로부터 상기의 띠 형상 영역(AT, AB) 내의 화소 데이터를 제거한다. 다음에, 시차 영상 생성부(5310)는 스켈링 처리에 의해 나머지의 영역 내의 화소 데이터로부터 각 영상 플레인을 재구성한다. 이에 의해 나머지의 영역이 나타내는 영상이 프레임 전체에 확대 표시되므로 시청자의 각 눈에는 레프트 뷰(LV)와 라이트 뷰(RV)에서 공통되는 영역밖에 비치지 않는다. 또, 각 눈에 비치는 피사체의 수직 방향의 위치가 일치한다. 이렇게 해서 그 시청자에게 위화감을 줄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다.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 사이의 그래픽스 영상의 어긋남>
1 플레인+오프셋 모드의 재생장치가 하나의 그래픽스 플레인에 큰 오프셋을 부여하여 한 쌍의 그래픽스 플레인을 생성하는 경우, 그 쌍의 일방의 좌단부 또는 우단부에 타방의 우단부 또는 좌단부에는 포함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도 98 (a)는 그래픽스 플레인(GPL)이 나타내는 그래픽스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8 (a)을 참조하면, 그 그래픽스 플레인(GPL)은 3종류의 그래픽스 부품 OB1, OB2, OB3을 나타낸다. 특히 좌측의 그래픽스 부품(OB1)의 좌단은 그래픽스 플레인(GPL)의 좌단에서 거리 D1에 위치하고, 우측의 그래픽스 부품(OB3)의 우단은 그래픽스 플레인(GPL)의 우단에서 거리 D3에 위치한다. 도 98 (b), (c)는 각각 그래픽스 플레인(GPL)에 우측방향과 좌측방향의 오프셋을 부여한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8 (b)를 참조하면, 도 55에 나타내고 있는 크로핑 처리와 마찬가지로 그래픽스 플레인(GPL)의 우단에서는 오프셋 값과 동일한 폭(OFS)의 띠 형상 영역(AR1)이 제거되고, 좌단에는 폭(OFS)의 투명한 띠 형상 영역(AL1)이 부가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그래픽스 부품(OB1-OB3)의 수평방향의 위치가 원래의 위치로부터 오프셋 값과 동일한 거리(OFS)만큼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한편, 도 98 (c)를 참조하면, 그래픽스 플레인(GPL)의 좌단에서는 폭(OFS)의 띠 형상 영역(AL2)이 제거되고, 우단에는 폭(OFS)의 투명한 띠 형상 영역(AR2)이 부가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그래픽스 부품(OB1-OB3)의 수평방향의 위치가 원래의 위치로부터 거리(OFS)만큼 왼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또, 도 98 (b), (c)를 참조하면, 오프셋 값과 같은 거리(OFS)는 좌측의 그래픽스 부품(OB1)의 좌단과 그래픽스 플레인(GPL)의 좌단 사이의 거리(D1)보다 크고, 우측의 그래픽스 부품(OB3)의 우단과 그래픽스 플레인(GPL)의 우단 사이의 거리(D3)보다 크다. 따라서 우측방향의 오프셋이 부여된 그래픽스 플레인(GP1)에서는 우측의 그래픽스 부품(OB3)의 우단의 일부(MP3)가 떨어지고, 좌측방향의 오프셋이 부여된 그래픽스 플레인(GP2)에서는 좌측의 그래픽스 부품(OB1)의 좌단의 일부(MP1)가 떨어져 있다. 그러나 좌측의 그래픽스 부품(OB1)의 누락 부분(MP1)은 우측방향의 오프셋이 부여된 그래픽스 플레인(GP1)에는 포함되고, 우측의 그래픽스 부품(OB3)의 누락 부분(MP3)은 좌측방향의 오프셋이 부여된 그래픽스 플레인(GP2)에는 포함된다. 그 결과, 이들 누락 부분(MP1, MP3)은 시청자의 한쪽 눈에밖에 비치지 않으므로 시청자에게 위화감을 줄 위험성이 있다.
재생장치(102)에서는 플레인 가산부(5024) 내의 각 크로핑 처리부(5331-5334)가 오프셋 정보(5307)를 이용하여 그래픽스 플레인(GPL)에 대한 오프셋 제어를 실시한다. 이때 각 크로핑 처리부(5331-5334)는 그래픽스 플레인(GPL)의 좌단 또는 우단으로부터 띠 형상 영역을 절취한다. 즉, 그 띠 형상 영역 내의 화소 데이터를 투명색의 데이터로 재기록한다. 각 띠 형상 영역은 그래픽스 플레인(GPL)의 좌단 또는 우단에 따라서 연장하고 있으며, 그 폭이 오프셋 값과 같다. 그 외에, 표시장치(103) 내의 출력부(A104)가 시스템 타깃 디코더(5023) 또는 표시장치(103) 내의 신호처리부(A103)로부터 오프셋 정보를 수신하고, 그 오프셋 정보를 이용하여 그래픽스 플레인(GPL)의 좌단 또는 우단으로부터 띠 형상 영역을 절치해도 좋다. 도 98 (b), (c)에는 절취 대상의 띠 형상 영역 AS1, AS2가 나타나 있다. 우측방향의 오프셋이 부여된 그래픽스 플레인(GP1)에서는 절취 대상의 띠 형상 영역(AS1)이 좌측의 그래픽스 부품(OB1)의 누락 부분(MP1)을 포함한다. 좌측방향의 오프셋이 부여된 그래픽스 플레인(GP2)에서는 절취 대상의 띠 형상 영역(AS2)이 우측의 그래픽스 부품(OB3)의 누락 부분(MP3)을 포함한다.
도 98 (d), (e)는 각각 우측방향과 좌측방향의 오프셋이 부여된 그래픽스 플레인(GP1, GP2)이 나타내는 그래픽스 영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8 (d), (e)를 참조하면, 이들 그래픽스 플레인(GP1, GP2)에서는 3종류의 그래픽스 부품 OB1-OB3의 형상이 일치하고 있다. 그 결과, 시청자의 각 눈에는 공통의 그래픽스 영상밖에 비치지 않는다. 이렇게 해서 그 시청자에게 위화감을 줄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다.
그 외에, BD-ROM 디스크(101) 상의 PG 스트림 또는 IG 스트림에서 재생되는 그래픽스 플레인 및 재생장치(102)에 의해 생성되는 그래픽스 플레인에 대하여 그래픽스 부품의 배치에 관한 다음의 조건이 규정되어도 좋다. 도 99는 그 조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9를 참조하면, 그래픽스 플레인(GPL)에는 왼쪽 윗부분을 원점(0,0)으로 하는 xy직교좌표가 설정되어 있다. x좌표와 y좌표는 각각 그래픽스 플레인(GPL)의 수평좌표와 수직 좌표이다. 여기서, 그래픽스 플레인(GPL)의 오른쪽 아래부분의 좌표를 (TWD, THG)로 한다. 그 xy좌표를 이용하여 상기의 조건은 다음과 같이 규정된다: 각 프레임에서 그래픽스 부품 OB1, OB2, OB3은 다음의 4점 (OFS,0), (TWD-OFS,0), (TWD-OFS,THG), (OFS,THG)를 정점으로 하는 직사각형 영역 내에 배치되지 않으면 안 된다. 즉, 그래픽스 플레인(GPL)의 좌단과 우단의 각각에 따라서 연장되고 있는 폭(OFS)의 띠 형상 영역(AL, AR)에서는 그래픽스 부품의 배치가 금지된다. 도 98 (b), (c)로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이들 띠 형상 영역(AL, AR)은 오프셋 제어에 의해 절취된다. 따라서 이들 띠 형상 영역(AL, AR)으로의 오프셋 부품의 배치가 금지되어 있으면, 그래픽스 플레인(GPL)에 오프셋이 부여된 후에도 그래픽스 부품의 형상에 변화는 없다. 그 결과, 시청자의 각 눈에는 공통의 그래픽스 영상밖에 비치지 않으므로 그 시청자에게 위화감을 줄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다.
<방송, 통신회로를 경유한 데이터 배신(配信)>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2에 의한 기록매체는 광 디스크 외에, 예를 들어 SD 메모리카드를 포함하는 휴대성 반도체 메모리장치 등, 패키지 미디어로 이용 가능한 리모트 미디어 전반을 포함한다. 또, 실시형태 1, 2,의 설명에서는 미리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 즉, BD-ROM 또는 DVD-ROM 등의 기존의 판독전용의 광 디스크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방송으로 또는 네트워크 경유로 배신된 3D 영상의 콘텐츠를 단말장치에 의해 BD-RE 또는 DVD-RAM 등의 기존의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에 기록할 때 실시형태 1, 2에 의한 익스텐트의 배치가 이용되어도 좋다. 여기서, 그 단말장치는 재생장치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재생장치와는 다른 장치여도 좋다.
<반도체 메모리카드의 재생>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2에 의한 기록매체로 광 디스크에 대신하여 반도체 메모리카드를 이용했을 때의 재생장치의 데이터 판독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재생장치 중 광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부분은 예를 들어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 의해 구성된다. 이에 대해, 반도체 메모리카드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부분은 전용의 인터페이스(I/F)로 구성된다. 더 상세하게는 재생장치에 카드 슬롯이 설치되고, 그 내부에 상기의 I/F가 탑재된다. 그 카드 슬롯에 반도체 메모리카드가 삽입될 때 그 I/F를 통해서 그 반도체 메모리카드가 재생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반도체 메모리카드로부터 데이터가 그 I/F를 통해서 재생장치에 판독된다.
<BD-ROM 디스크 상의 데이터에 대한 저작권 보호기술>
여기서, 이후의 보충사항의 전제로 BD-ROM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BD-ROM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의 일부가 예를 들어 저작권의 보호 또는 데이터의 비닉성(秘匿性)의 향상의 관점에서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 암호화 데이터는 예를 들어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또는 그 외의 스트림을 포함한다. 그 경우, 암호화 데이터는 이하와 같이 해독된다.
재생장치에는 미리 BD-ROM 디스크 상의 암호화 데이터를 해독하기 위한 「키」의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의 일부, 즉 디바이스 키가 기억되어 있다. 한편, BD-ROM 디스크에는 그 「키」의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의 다른 일부, 즉 MKB(미디어 키 블록)와 그 「키」자체의 암호화 데이터, 즉 암호화 타이틀 키가 기록되어 있다. 디바이스 키, MKB 및 암호화 타이틀 키는 서로 대응되며, 또 도 2에 나타내는 BD-ROM 디스크(101) 상의 BCA(201)에 기록된 특정의 ID, 즉 볼륨 ID에도 대응되어 있다. 디바이스 키, MKB, 암호화 타이틀 키 및 볼륨 ID의 조합이 정당하지 않으면 암호화 데이터의 해독은 할 수 없다. 즉, 이들 조합이 정당한 경우에만 상기의 「키」, 즉 타이틀 키가 생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디바이스 키, MKB 및 볼륨 ID를 이용하여 암호화 타이틀 키가 복호된다. 그에 따라서 타이틀 키를 도출할 수 있었을 때에만 그 타이틀 키를 상기의 「키」로 이용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해독할 수 있다.
BD-ROM 디스크 상의 암호화 데이터를 재생장치에 의해 재생하려고 해도 예를 들어 그 BD-ROM 디스크 상의 암호화 타이틀 키, MKB 및 볼륨 ID에 미리 대응된 디바이스 키가 그 재생장치 내에 기억되어 있지 않으면 그 암호화 데이터를 재생할 수 없다. 왜냐하면, 그 암호화 데이터의 해독에 필요한 키, 즉 타이틀 키는 MKB, 디바이스 키 및 볼륨 ID의 정당한 조합으로 암호화 타이틀 키를 복호하지 않으면 도출할 수 없기 때문이다.
BD-ROM 디스크에 기록되어야 할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먼저 보호 대상의 스트림을 타이틀 키로 암호화하여 BD-ROM 디스크에 기록한다. 다음에, MKB, 디바이스 키 및 볼륨 ID의 조합으로부터 키를 생성하고, 그 키로 상기의 타이틀 키를 암호화하여 암호화 타이틀 키로 변환한다. 또, MKB, 볼륨 ID 및 암호화 타이틀 키를 BD-ROM 디스크에 기록한다. 그 BD-ROM 디스크에서는 상술한 키의 생성에 이용된 디바이스 키를 구비한 재생장치로밖에 암호화된 비디오 스트림 및/또는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더로 복호 할 수 없다. 이렇게 해서 BD-ROM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BD-ROM 디스크에서의 데이터의 저작권 보호의 구조는 BD-ROM 디스크 이외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판독기입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장치, 특히 SD카드 등의 휴대성 반도체 메모리카드에도 적용 가능하다.
<전자배신을 이용한 기록매체로의 데이터의 기록>
전자배신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재생장치에 3D 영상의 AV스트림 파일 등의 데이터(이하, 배신 데이터라고 한다)를 전달하고, 또 그 재생장치에 그 배신 데이터를 반도체 메모리카드에 기록시키는 처리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 이하의 동작은 상기의 재생장치에 대신하여 그 처리에 특화한 단말장치에 의해 이루어져도 좋다. 또, 기록 처의 반도체 메모리카드가 SD 메모리카드인 경우를 상정한다.
재생장치는 상기와 같이 카드 슬롯을 구비하고 있다. 그 카드 슬롯에는 SD 메모리카드가 삽입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재생장치는 먼저 네트워크상의 배신 서버에 배신 데이터의 송신요구를 송출한다. 이때 재생장치는 SD 메모리카드로부터 그 식별정보를 판독하여, 그 식별정보를 송신요구와 함께 배신 서버에 송출한다. SD 메모리카드의 식별정보는 예를 들어 그 SD 메모리카드 고유의 식별번호, 더 구체적으로는 그 SD 메모리카드의 일련번호이다. 이 식별정보는 상술한 볼륨 ID로 이용된다.
배신 서버에는 배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그 배신 데이터 중 비디오 스트림 및/또는 오디오 스트림 등, 암호화에 의한 보호의 필요한 데이터는 소정의 타이틀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되어 있다. 그 암호화 데이터는 동일한 타이틀 키로 복호가 가능하다.
배신 서버는 재생장치와 공통의 비밀키로 디바이스 키를 보유하고 있다. 또, 배신 서버는 SD 메모리카드와 공통의 MKB를 보유하고 있다. 배신 서버는 재생장치로부터 배신 데이터의 송신요구와 SD 메모리카드의 식별정보를 접수한 때 먼저 디바이스 키, MKB 및 그 식별정보로부터 키를 생성하고, 그 키로 타이틀 키를 암호화하여 암호화 타이틀 키를 생성한다.
배신 서버는 다음에 공개키 정보를 생성한다. 그 공개키 정보는 예를 들어 상술한 MKB, 암호화 타이틀 키, 서명정보, SD 메모리카드의 식별번호 및 디바이스 리스트를 포함한다. 서명 정보는 예를 들어 공개키 정보의 해시치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리스트는 무효로 해야 할 디바이스, 즉, 배신 데이터 중의 암호화 데이터를 부정하게 재생할 위험성이 있는 디바이스의 리스트이다. 그 리스트에는 예를 들어 재생장치의 디바이스 키, 재생장치의 식별번호, 재생장치에 내장된 디코더 등, 각종 부품의 식별번호, 또는 기능(프로그램)이 특정되어 있다.
또. 배신 서버는 배신 데이터와 공개키 정보를 재생장치에 송출한다. 재생장치는 그들을 수신하여 카드 슬롯 내의 전용 I/F를 통해 SD 메모리카드에 기록한다.
SD 메모리카드에 기록된 배신 데이터 중 암호화 데이터는 예를 들어 공개키 정보를 이하와 같이 이용하여 복호된다. 먼저 공개키 정보의 인증으로 다음의 3종류의 체크 (1)-(3)를 한다. 또, 그들은 어떠한 순서로 이루어져도 좋다.
(1) 공개키 정보에 포함되는 SD 메모리카드의 식별정보가 카드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SD 메모리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번호와 일치하는가 여부.
(2) 공개키 정보로부터 산출되는 해시치가 서명 정보에 포함되는 해시치와 일치하는가 여부.
(3) 공개키 정보가 나타내는 디바이스 리스트로부터 당해 재생장치가 제외되어 있는가 여부. 구체적으로는 디바이스 리스트로부터 당해 재생장치의 디바이스 키가 제외되고 있는가 여부.
상술한 체크 (1)-(3)중 어느 하나의 결과가 부정적일 때 재생장치는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처리를 중지한다. 반대로, 상술한 체크 (1)-(3)의 모든 결과가 긍정적일 때 재생장치는 공개키 정보의 정당성을 인정하고, 디바이스 키, MKB 및 SD 메모리카드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공개키 정보 내의 암호화 타이틀 키를 타이틀 키에 복호한다. 또, 재생장치는 그 타이틀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예를 들어 비디오 스트림 및/또는 오디오 스트림으로 복호한다.
이상의 구조에는 다음의 이점이 있다. 전자 배신시에 이미 부정사용의 위험성이 있는 재생장치, 부품 및 기능(프로그램) 등이 알려져 있는 경우, 이들 식별정보가 디바이스 리스트에 열거되고, 공개키 정보의 일부로 배신된다. 한편, 배신 데이터를 요구한 재생장치는 반드시 그 디바이스 리스트 내의 식별정보를 그 재생장치 및 그 부품 등의 식별정보와 비교해야 한다. 이에 의해 그 재생장치 또는 그 부품 등이 디바이스 리스트에 나타나 있으면, 비록, SD 메모리카드의 식별번호, MKB, 암호화 타이틀 키 및 디바이스 키의 조합이 정당해도 그 재생장치는 공개키 정보를 배신 데이터 내의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에는 이용할 수 없다. 이렇게 해서 배신 데이터의 부정사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반도체 메모리카드의 식별정보는 반도체 메모리카드 내의 기록영역 중 특히 비닉성이 높은 기록영역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만일 그 식별정보, 예를 들어 SD 메모리카드에서는 그 일련번호가 부정하게 개찬된 경우 SD 메모리카드의 불법복제가 용이하게 실행 가능하게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즉, 그 개찬의 결과, 동일한 식별정보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카드가 복수 존재하게 되면, 상술한 체크(1)에서는 정규품과 위법한 복제품의 식별을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도체 메모리카드의 식별정보는 비닉성이 높은 기록영역에 기록하여 부정한 개찬으로부터 보호되지 않으면 안 된다.
반도체 메모리카드 내에 이와 같은 비닉성이 높은 기록영역을 구성하는 수단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먼저 통상의 데이터용의 기록영역(이하, 제 1 기록영역이라고 한다)에서 전기적으로 분리된 다른 기록영역(이하, 제 2 기록영역이라고 한다)이 설치된다. 다음에, 제 2 기록영역으로의 액세스 전용의 제어회로가 반도체 메모리카드 내에 설치된다. 이에 의해 제 2 기록영역에는 그 제어회로를 개재해서만 액세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2 기록영역에는 암호화된 데이터만이 기록되고, 그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기 위한 회로가 제어회로 내에만 포함된다. 이에 의해 제 2 기록영역 내의 데이터로의 액세스는 그 데이터를 제어회로에 복호시키지 않으면 불가능하다. 그 외에, 제 2 기록영역 내의 각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제어회로에만 보유시켜도 좋다. 그 경우, 제 2 기록영역 내의 데이터의 어드레스는 제어회로에밖에 특정할 수 없다.
반도체 메모리카드의 식별정보가 제 2 기록영역에 기록되었을 경우, 재생장치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전자 배신을 이용하여 배신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여 반도체 메모리카드에 기록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처리를 한다. 먼저 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메모리카드 I/F를 개재하여 상기의 제어회로에 대하여 제 2 기록영역에 기록된 반도체 메모리카드의 식별정보로의 액세스 요구를 발행한다. 제어회로는 그 요구에 따라서 먼저 제 2 기록영역으로부터 그 식별정보를 판독한다. 다음에, 제어회로는 메모리카드 I/F를 개재하여 상기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그 식별정보를 보낸다. 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그 후, 그 식별정보와 함께 배신 데이터의 송신요구를 배신 서버에 송출한다. 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그 요구에 따라서 배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공개키 정보와 배신 데이터를 메모리카드 I/F를 개재하여 반도체 메모리카드 내의 제 1 기록영역에 기록한다.
또, 상기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반도체 메모리카드 내의 제어회로에 대하여 상기의 액세스 요구를 발행하기 전에, 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자체의 개찬의 유무를 체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체크에는 예를 들어 X.509에 준거한 디지털 증명서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 배신 데이터는 상기와 같이, 반도체 메모리카드 내의 제 1 기록영역에 기록되면 좋고, 그 배신 데이터로의 액세스는 반도체 메모리카드 내의 제어회로에 의해 제어되지 않아도 좋다.
<실시간 리코딩에의 적용>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는 AV스트림 파일 및 플레이리스트 파일은 오서링 시스템에서의 프리리코딩 기술에 의해 BD-ROM 디스크에 기록되어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그러나 AV스트림 파일 및 플레이리스트 파일은 실시간 리코딩에 의해 BD-RE 디스크, BD-R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카드 등의 기록가능한 기록매체(이하, BD-RE 디스크 등이라고 한다)에 기록되어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것이라도 좋다. 그 경우, AV스트림 파일은 아날로그 입력신호를 기록장치가 실시간으로 복호함으로써 얻어진 트랜스포트 스트림이라도 좋다. 그 외에, 기록장치가 디지털 입력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퍼셜화함으로써 얻어지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이라도 좋다.
실시간 리코딩을 실행하는 기록장치는 비디오 인코더, 오디오 인코더, 멀티플렉서 및 소스 패킷다이저를 포함한다. 비디오 인코더는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하여 비디오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오디오 인코더는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여 오디오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멀티플렉서는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MPEG2-TS형식의 디지털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소스 패킷다이저는 MPEG2-TS형식의 디지털 스트림 내의 TS 패킷을 소스 패킷으로 변환한다. 기록장치는 각 소스 패킷을 AV스트림 파일에 저장하고, BD-RE 디스크 등에 기록한다.
AV스트림 파일의 기록처리와 병행하여 기록장치의 제어부는 클립정보파일과 플레이리스트 파일을 메모리 상에서 생성하여 BD-RE 디스크 등에 기록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 의해 녹화 처리가 요구된 때 제어부는 먼저 AV스트림 파일에 맞춰서 클립정보파일을 생성하여 BD-RE 디스크 등에 기록한다. 그 경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비디오 스트림 내의 하나의 GOP의 선두가 검출될 때마다, 또는 비디오 인코더에 의해 비디오 스트림 내의 하나의 GOP가 생성될 때마다 제어부는 그 GOP의 선두에 위치하는 I픽처의 PTS와 그 GOP의 선두가 저장된 소스 패킷의 SPN을 취득한다. 또, 제어부는 그 PTS와 SPN과의 쌍을 하나의 엔트리포인트로 클립정보파일의 엔트리 맵에 추기한다. 여기서, 그 엔트리포인트에는 「is_angle_change 플래그」가 추가된다. is_angle_change 플래그는 그 GOP의 선두가 IDR 픽처일 때는"온"으로 설정되고, 그 GOP의 선두가 IDR 픽처는 아닐 때는"오프"로 설정된다. 또, 클립정보파일 내에는 스트림 속성정보가 기록대상의 스트림의 속성에 따라서 설정된다. 이렇게 해서 AV스트림 파일과 클립정보파일이 BD-RE 디스크 등에 기록된 후, 제어부는 그 클립정보파일 내의 엔트리 맵을 이용하여 플레이리스트 파일을 생성하고, BD-RE 디스크 등에 기록한다.
<매니지드 카피>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재생장치는 매니지드 카피에 의해 BD-ROM 디스크(101) 상의 디지털 스트림을 다른 기록매체에 기록해도 좋다. 「매니지드 카피」는 BD-ROM 디스크 등의 판독전용 기록매체로부터 기록 가능한 기록매체에 디지털 스트림, 플레이리스트 파일, 클립정보파일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카피하는 것을 서버와의 통신에 의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만 허가하기 위한 기술을 말한다. 그 기록 가능한 기록매체는 BD-R, BD-RE, DVD-R, DVD-RW 및 DVD-RAM 등의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 하드 디스크 및 SD 메모리카드, 메모리 스틱(등록상표), 콤팩트 플래시(등록상표), 스마트미디어(등록상표) 및 멀티미디어 카드(등록상표) 등의 휴대성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포함한다. 매니지드 카피는 판독전용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백업 횟수의 제한 및 백업 처리에 대한 과금을 가능하게 한다.
BD-ROM 디스크로부터 BD-R 디스크 또는 BD-RE 디스크로의 매니지드 카피가 이루어지는 경우, 양 디스크의 기록용량이 동일할 때는 카피 원의 디스크에 기록된 비트 스트림이 그대로 차례로 카피 되면 좋다.
매니지드 카피가 이종(異種)의 기록매체 간에 이루어질 때는 트랜스 코드가 필요하다. 「트랜스 코드」란, 카피 원의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털 스트림을 카피 처의 기록매체의 애플리케이션 포맷에 적합하게 하기 위한 처리를 말한다. 트랜스 코드는 예를 들어 MPEG2-TS형식에서 MPEG2 프로그램 스트림 형식으로 변환하는 처리 및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의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비트레이트를 낮게 해서 재부호화하는 처리를 포함한다. 트랜스 코드에서는 상술한 실시간 리코딩에 의해 AV스트림 파일, 클립정보파일 및 플레이리스트 파일이 생성되지 않으면 안 된다.
<데이터구조의 기술방법>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데이터구조 중 「소정 형의 정보가 복수 존재한다」라고 하는 반복구조는 for문에 제어 변수의 초기치와 반복조건을 기술함으로써 정의된다. 또, 「소정의 조건이 성립할 때에 소정의 정보가 정의된다」라고 하는 데이터구조는 if문에 그 조건과 그 조건의 성립시에 설정되어야 할 변수를 기술함으로써 정의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1에 의한 데이터구조는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에 의해 기술된다. 따라서 그 데이터구조는 「구문 분석」, 「최적화」, 「자원 할당」 및 「코드 생성」이라고 하는 컴파일러에 의한 번역 과정을 거쳐서,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코드로 변환되어서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에서의 기술에 의해, 그 데이터구조는 오브젝트 지향언어에서의 클래스 구조체의 메소드 이외의 부분, 구체적으로는 그 클래스 구조체에서의 배열형의 멤버 변수로 취급되어서 프로그램의 일부를 이룬다. 즉, 그 데이터구조는 프로그램과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따라서 그 데이터구조는 컴퓨터 관련의 발명으로 보호를 받아야 한다.
<재생 프로그램에 의한 플레이리스트 파일, 클립정보파일의 관리>
플레이리스트 파일과 AV스트림 파일이 기록매체에 기록될 때 그 기록매체에는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형식의 파일로 기록된다. 재생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플레이리스트 파일에 따라서 AV스트림 파일을 재생시킨다. 재생 프로그램은 기록매체로부터 컴퓨터 내의 메모리장치에 로드된 후, 그 컴퓨터에 의해 실행된다. 그 로드 처리는 컴파일 처리 또는 링크 처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재생 프로그램은 메모리장치 내에서는 복수의 섹션으로 분할된다. 이들 섹션은 text 섹션, data 섹션, bss 섹션 및 stack 섹션을 포함한다. text 섹션은 재생 프로그램의 코드 열, 변수의 초기치 및 재기록 불가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data 섹션은 초기치를 갖는 변수 및 재기록 가능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data 섹션은 특히 기록매체 상에 기록된 수시로 액세스 되는 파일을 포함한다. bss 섹션은 초기치를 갖지 않는 변수를 포함한다. bss 섹션 내의 데이터는 text 섹션 내의 코드가 나타내는 명령에 따라서 참조된다. 컴파일 처리 또는 링크 처리에서는 컴퓨터 내의 RAM에 bss 섹션용의 영역이 확보된다. stack 섹션은 필요에 따라서 일시적으로 확보되는 메모리 영역이다. 재생 프로그램에 의한 각 처리에서는 로컬 변수가 일시적으로 사용된다. stack 섹션은 이러한 로컬 변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의 실행이 개시될 때 bss 섹션 내의 변수는 제로로 초기화되고, stack 섹션에는 필요한 메모리 영역이 확보된다.
플레이리스트 파일 및 클립정보파일은 상술한 것과 같이, 기록매체 상에서는 이미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코드로 변환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파일은 재생 프로그램의 실행시, text 섹션 내의 「재기록 불가의 데이터」, 또는 data 섹션 내의 「수시로 액세스 되는 파일」로 관리된다. 즉, 플레이리스트 파일 및 클립정보파일은 재생 프로그램의 실행시에 그 구성요소 중에 포함된다. 그러므로, 플레이리스트 파일 및 클립정보파일은 재생 프로그램에서 단순한 데이터의 제시를 넘은 역할을 담당한다.
본 발명은 입체 시 영상의 재생기술에 관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기록매체 상에 기록된 데이터블록의 각 사이즈를 조건 1-5가 만족되도록 설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분명하게 산업상 이용 가능하다.
RTS2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
SEXT1[i] (i+1)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
SEXT2[i] (i+1)번째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
TJUMP 점프시간
LB 층 경계
EXTSS[0] 층 경계(LB)의 직전에 배치된 제 1 익스텐트 SS
EXTSS[1] 층 경계(LB)의 직후에 배치된 제 2 익스텐트 SS
NAV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의 기록영역
EXTSS[10] 기록영역 NAV의 직전에 배치된 제 3 익스텐트 SS
EXTSS[11] 기록영역 NAV의 직후에 배치된 제 4 익스텐트 SS
D[k]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B[k]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Claims (8)

  1. 입체 시 영상의 메인 뷰를 구성하는 메인 뷰 비디오 스트림이 다중화된 메인 뷰 스트림, 입체 시 영상의 서브 뷰를 구성하는 서브 뷰 비디오 스트림이 다중화된 서브 뷰 스트림 및 관리정보가 기록된 기록매체로,
    상기 서브 뷰 비디오 스트림은 상기 메인 뷰 비디오 스트림을 참조하여 부호화되어 있고,
    상기 관리정보는 상기 메인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와 상기 서브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기록매체는 소정 수 이상의 섹터 또는 층 경계가 존재하는 롱 점프 영역을 갖고,
    상기 메인 뷰 스트림은 복수의 메인 뷰 데이터블록으로 분할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서브 뷰 스트림은 복수의 서브 뷰 데이터블록으로 분할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서브 뷰 데이터블록이 교대로 연속해서 배치된 데이터로서, 입체 시 영상이 재생될 때에 하나의 익스텐트로 참조되는 익스텐트 블록이 복수 구성되어 있고,
    각 익스텐트 블록은 서브 뷰 데이터블록을 선두의 데이터블록으로 하고, 또한 서브 뷰 데이터블록과 메인 뷰 데이터블록의 쌍을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하며,
    제 1 익스텐트 블록은 제 2 익스텐트 블록의 직전에 또는 제 3 익스텐트 블록의 다음에 판독되고, 상기 제 1 익스텐트 블록에서 하나의 쌍을 구성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서브 뷰 데이터블록의 각 사이즈의 최대치는 상기 서브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 상기 하나의 쌍이 상기 제 1 익스텐트 블록에서 선두의 쌍인지 여부 및 상기 제 1 익스텐트 블록의 기록영역과 상기 제 2 익스텐트 블록의 기록영역의 사이, 또는 상기 제 1 익스텐트 블록의 기록영역과 상기 제 3 익스텐트 블록의 기록영역의 사이에 상기 롱 점프 영역이 존재하는가 여부에 의해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쌍을 구성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서브 뷰 데이터블록에서는 사이즈의 최대치의 조합은 제 1에서 제 4까지의 패턴으로 분류되고,
    상기 제 1 패턴은 상기 서브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가 소정치 미만인 경우에서의 조합이며,
    상기 제 2 패턴은 상기 서브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가 상기 소정치를 초과하고 있고, 상기 제 1 익스텐트 블록에서 상기 하나의 쌍이 선두의 쌍에서부터 세어서 2번째 이후의 쌍이며, 또한 상기 제 1 익스텐트 블록의 기록영역과 상기 제 2 익스텐트 블록의 기록영역의 사이에 상기 롱 점프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서의 조합이고,
    상기 제 3 패턴은 상기 서브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가 상기 소정치를 초과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익스텐트 블록에서 상기 하나의 쌍이 선두의 쌍이고, 또한 상기 제 1 익스텐트 블록과 상기 제 3 익스텐트 블록의 사이에 상기 롱 점프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서의 조합이며,
    상기 제 4 패턴은 상기 제 1에서 제 3까지의 패턴의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서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에서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의 최대치는 제 1의 값이고, 서브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의 최대치는 제 2의 값이며,
    상기 제 2 패턴에서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의 최대치 및 서브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의 최대치는 모두 제 3의 값이고,
    상기 제 3 패턴에서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의 최대치는 상기 제 1의 값이고, 서브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의 최대치는 상기 제 2의 값이며,
    상기 제 4 패턴에서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의 최대치는 상기 제 1의 값이고, 서브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의 최대치는 제 4의 값이며,
    상기 제 1의 값, 상기 제 4의 값, 상기 제 2의 값, 상기 제 3의 값의 순으로 값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4. 복수의 데이터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스트림과 관리정보가 기록된 기록매체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평면 시 재생에 이용되는 메인 뷰 스트림 및 상기 메인 뷰 스트림과 조합되어서 입체 시 영상의 재생에 이용되는 서브 뷰 스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블록은 상기 메인 뷰 스트림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서브 뷰 스트림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서브 뷰 데이터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블록의 종류에는 공통 데이터블록과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 및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이 있고,
    상기 공통 데이터블록은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서브 뷰 데이터블록의 양방을 포함하고, 평면 시 재생시 및 입체 시 재생시의 양방에서 액세스 되며,
    상기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은 메인 뷰 데이터블록만을 포함하고, 평면 시 재생시에만 액세스 되며,
    상기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은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서브 뷰 데이터블록의 양방을 포함하고, 입체 시 재생시에만 액세스 되며,
    상기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에 포함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에 포함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은 동일한 내용이고,
    상기 관리정보는 상기 메인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 상기 서브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 입체 시 영상 재생경로 정보 및 평면 시 영상 재생경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입체 시 영상 재생경로 정보는 입체 시 재생시에 상기 공통 데이터블록 및 상기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에 포함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 및 서브 뷰 데이터블록을 재생하는 경로를 나타내고,
    상기 평면 시 영상 재생경로 정보는 평면 시 재생시에 상기 공통 데이터블록 및 상기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에 포함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을 재생하는 경로를 나타내며,
    상기 기록매체는 소정 수 이상의 섹터 또는 층 경계가 존재하는 롱 점프 영역을 갖고,
    상기 공통 데이터블록 중 제 1 공통 데이터블록과 제 2 공통 데이터블록은 그 순으로 판독되고, 상기 제 1 공통 데이터블록의 기록영역과 상기 제 2 공통 데이터블록의 기록영역의 사이에는 상기 롱 점프 영역이 존재하며,
    상기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과 상기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 중 내용이 대응하는 제 1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과 제 1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은 상기 제 1 공통 데이터블록의 기록영역과 상기 롱 점프 영역의 사이, 또는 상기 롱 점프 영역과 상기 제 2 공통 데이터블록의 기록영역의 사이에 기록되고,
    상기 제 1 공통 데이터블록, 상기 제 2 공통 데이터블록 및 상기 제 1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에 포함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의 최소치는 적어도 재생장치가 평면 시 재생시에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당해 메인 뷰 데이터블록을 판독하는 속도, 당해 메인 뷰 데이터블록의 비트 레이트 및 상기 재생장치가 평면 시 재생시에 상기 롱 점프 영역을 점프하는데 필요한 시간에 의해 결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공통 데이터블록, 상기 제 2 공통 데이터블록, 상기 제 1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 및 상기 제 1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에 포함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의 최대치는 적어도 상기 서브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 및 이어서 판독되는 2개의 데이터블록의 기록영역 간에 상기 롱 점프 영역이 존재하는가 여부에 의해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5. 기록매체로부터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장치로,
    상기 기록매체에는 입체 시 영상의 메인 뷰를 구성하는 메인 뷰 비디오 스트림이 다중화된 메인 뷰 스트림, 입체 시 영상의 서브 뷰를 구성하는 서브 뷰 비디오 스트림이 다중화된 서브 뷰 스트림 및 관리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서브 뷰 비디오 스트림은 상기 메인 뷰 비디오 스트림을 참조하여 부호화되어 있으며,
    상기 관리정보는 상기 메인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와 상기 서브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기록매체는 소정 수 이상의 섹터 또는 층 경계가 존재하는 롱 점프 영역을 가지며,
    상기 메인 뷰 스트림은 복수의 메인 뷰 데이터블록으로 분할되어 배치되고, 상기 서브 뷰 스트림은 복수의 서브 뷰 데이터블록으로 분할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서브 뷰 데이터블록이 교대로 연속해서 배치된 데이터로서, 입체 시 영상이 재생될 때에 하나의 익스텐트로 참조되는 익스텐트 블록이 복수 구성되어 있고,
    각 익스텐트 블록은 서브 뷰 데이터블록을 선두의 데이터블록으로 하고, 또한 서브 뷰 데이터블록과 메인 뷰 데이터블록의 쌍을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하며,
    제 1 익스텐트 블록은 제 2 익스텐트 블록의 직전에, 또는 제 3 익스텐트 블록의 다음에 판독되고, 상기 제 1 익스텐트 블록에서 하나의 쌍을 구성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서브 뷰 데이터블록의 각 사이즈의 최대치는 상기 서브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 상기 하나의 쌍이 상기 제 1 익스텐트 블록에서 선두의 쌍인지 여부 및 상기 제 1 익스텐트 블록의 기록영역과 상기 제 2 익스텐트 블록의 기록영역의 사이, 또는 상기 제 1 익스텐트 블록의 기록영역과 상기 제 3 익스텐트 블록의 기록영역의 사이에 상기 롱 점프 영역이 존재하는가 여부에 의해 결정되어 있으며,
    상기 재생장치는,
    익스텐트 블록을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판독하는 판독부,
    상기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익스텐트 블록으로부터 상기 메인 뷰 스트림과 상기 서브 뷰 스트림을 추출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에 의해 추출된 메인 뷰 스트림을 저장하는 제 1 리드 버퍼,
    상기 스위치부에 의해 추출된 서브 뷰 스트림을 저장하는 제 2 리드 버퍼, 및
    상기 제 1 리드 버퍼로부터 상기 메인 뷰 스트림을 판독해서 복호 하고, 상기 제 2 리드 버퍼로부터 상기 서브 뷰 스트림을 판독해서 복호 하는 복호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리드 버퍼는 상기 재생장치가 상기 롱 점프 영역을 점프하는데 요하는 점프시간, 상기 판독부가 입체 시 재생시에 상기 익스텐트 블록을 판독할 때의 판독속도, 상기 롱 점프 영역의 직후에 기록된 서브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 및 상기 메인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에 의해 결정되는 최소치 이상의 용량을 갖고,
    상기 제 2 리드 버퍼는 상기 롱 점프 영역의 직전에 기록된 메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 상기 롱 점프 영역의 직후에 기록된 서브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 상기 점프시간, 상기 판독속도 및 상기 서브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에 의해 결정되는 최소치 이상의 용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6. 복수의 데이터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스트림과 관리정보가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장치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평면 시 재생에 이용되는 메인 뷰 스트림 및 상기 메인 뷰 스트림과 조합되어서 입체 시 영상의 재생에 이용되는 서브 뷰 스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블록은 상기 메인 뷰 스트림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서브 뷰 스트림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서브 뷰 데이터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블록의 종류에는 공통 데이터블록과,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과,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이 있고,
    상기 공통 데이터블록은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서브 뷰 데이터블록의 양방을 포함하고, 평면 시 재생시 및 입체 시 재생시의 양방에서 액세스 되며,
    상기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은 메인 뷰 데이터블록만을 포함하고, 평면 시 재생시에만 액세스 되며,
    상기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은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서브 뷰 데이터블록의 양방을 포함하고, 입체 시 재생시에만 액세스 되며,
    상기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에 포함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에 포함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은 동일한 내용이고,
    상기 관리정보는 상기 메인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 상기 서브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 입체 시 영상 재생경로 정보 및 평면 시 영상 재생경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입체 시 영상 재생경로 정보는 입체 시 재생시에 상기 공통 데이터블록 및 상기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에 포함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 및 서브 뷰 데이터블록을 재생하는 제 1의 경로를 나타내고,
    상기 평면 시 영상 재생경로 정보는 평면 시 재생시에 상기 공통 데이터블록 및 상기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에 포함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을 재생하는 제 2의 경로를 나타내며,
    상기 기록매체는 소정 수 이상의 섹터 또는 층 경계가 존재하는 롱 점프 영역을 갖고,
    상기 공통 데이터블록 중 제 1 공통 데이터블록과 제 2 공통 데이터블록은 그 순으로 판독되고, 상기 제 1 공통 데이터블록의 기록영역과 상기 제 2 공통 데이터블록의 기록영역의 사이에는 상기 롱 점프 영역이 존재하며,
    상기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과 상기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의 중 내용이 대응하는 제 1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과 제 1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은 상기 제 1 공통 데이터블록의 기록영역과 상기 롱 점프 영역의 사이, 또는 상기 롱 점프 영역과 상기 제 2 공통 데이터블록의 기록영역의 사이에 기록되고,
    상기 제 1 공통 데이터블록, 상기 제 2 공통 데이터블록 및 상기 제 1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에 포함되어 있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의 최소치는 적어도 상기 재생장치가 평면 시 재생시에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당해 메인 뷰 데이터블록을 판독하는 속도, 당해 메인 뷰 데이터블록의 비트 레이트 및 상기 재생장치가 평면 시 재생시에 상기 롱 점프 영역을 점프하는데 필요한 시간에 의해 결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공통 데이터블록, 상기 제 2 공통 데이터블록, 제 1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 및 상기 제 1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에 포함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의 최대치는 적어도 상기 서브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 및 이어서 판독되는 2개의 데이터블록의 기록영역 간에 상기 롱 점프 영역이 존재하는가 여부에 의해 결정되어 있으며,
    상기 재생장치는,
    데이터블록을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판독하는 판독부,
    상기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블록으로부터 상기 메인 뷰 스트림과 상기 서브 뷰 스트림을 추출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에 의해 추출된 메인 뷰 스트림을 저장하는 제 1 리드 버퍼,
    상기 스위치부에 의해 추출된 서브 뷰 스트림을 저장하는 제 2 리드 버퍼 및 상기 제 1 리드 버퍼로부터 상기 메인 뷰 스트림을 판독하여 복호 하고, 상기 제 2 리드 버퍼로부터 상기 서브 뷰 스트림을 판독하여 복호 하는 복호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재생장치는 입체 시 영상의 재생시에는 상기 제 1의 경로에 따라서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서브 뷰 데이터블록을 재생하고, 평면 시 영상의 재생시에는 상기 제 2의 경로에 따라서 메인 뷰 데이터블록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7. 입체 시 영상의 메인 뷰를 구성하는 메인 뷰 비디오 스트림이 다중화된 메인 뷰 스트림, 입체 시 영상의 서브 뷰를 구성하는 서브 뷰 비디오 스트림이 다중화된 서브 뷰 스트림 및 관리정보가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대하여 영상·음성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집적회로로,
    상기 서브 뷰 비디오 스트림은 상기 메인 뷰 비디오 스트림을 참조하여 부호화되어 있고,
    상기 관리정보는 상기 메인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와 상기 서브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기록매체는 소정 수 이상의 섹터 또는 층 경계가 존재하는 롱 점프 영역을 갖고,
    상기 메인 뷰 스트림은 복수의 메인 뷰 데이터블록으로 분할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서브 뷰 스트림은 복수의 서브 뷰 데이터블록으로 분할되어 배치되어 으며,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서브 뷰 데이터블록이 교대로 연속해서 배치된 데이터로서, 입체 시 영상이 재생될 때에 하나의 익스텐트로 참조되는 익스텐트 블록이 복수 구성되어 있고,
    각 익스텐트 블록은 서브 뷰 데이터블록을 선두의 데이터블록으로, 또한 서브 뷰 데이터블록과 메인 뷰 데이터블록의 쌍을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하며,
    제 1 익스텐트 블록은 제 2 익스텐트 블록의 직전에, 또는 제 3 익스텐트 블록의 다음에 판독되고, 상기 제 1 익스텐트 블록에서 하나의 쌍을 구성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서브 뷰 데이터블록의 각 사이즈의 최대치는 상기 서브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 상기 하나의 쌍이 상기 제 1 익스텐트 블록에서 선두의 쌍인지 여부 및 상기 제 1 익스텐트 블록의 기록영역과 상기 제 2 익스텐트 블록의 기록영역의 사이, 또는 상기 제 1 익스텐트 블록의 기록영역과 상기 제 3 익스텐트 블록의 기록영역의 사이에 상기 롱 점프 영역이 존재하는가 여부에 의해 결정되어 있으며,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서브 뷰 데이터블록은 각각 영상계 데이터를 포함하고,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서브 뷰 데이터블록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음성계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는,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의 제어를 실행하는 주 제어부와,
    외부의 장치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익스텐트 블록을 상기 외부의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메모리에 일단 저장한 후, 상기 영상계 데이터와 상기 음성계 데이터로 다중 분리하는 스트림 처리부와,
    상기 음성계 데이터와 상기 영상계 데이터를 각각 복호 하는 신호처리부와,
    복호 된 상기 영상계 데이터와 상기 음성계 데이터를 출력하는 AV 출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스트림 처리부는 수신된 익스텐트 블록의 저장 처를 상기 메모리 내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의 사이에서 전환하는 스위칭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익스텐트 블록 중 상기 복수의 메인 뷰 데이터블록에 속해 있는 데이터를 상기 제 1 영역에 저장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뷰 데이터블록에 속해 있는 데이터를 상기 제 2 영역에 저장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8. 복수의 데이터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스트림과 관리정보가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대하여 영상·음성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집적회로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평면 시 재생에 이용되는 메인 뷰 스트림 및 상기 메인 뷰 스트림과 조합되어서 입체 시 영상의 재생에 이용되는 서브 뷰 스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블록은 상기 메인 뷰 스트림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서브 뷰 스트림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서브 뷰 데이터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블록의 종류에는 공통 데이터블록과,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과,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이 있고,
    상기 공통 데이터블록은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서브 뷰 데이터블록의 양방을 포함하며, 평면 시 재생시 및 입체 시 재생시의 양방에서 액세스 되며,
    상기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은 메인 뷰 데이터블록만을 포함하고, 평면 시 재생시에만 액세스 되고,
    상기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은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서브 뷰 데이터블록과의 양방을 포함하고, 입체 시 재생시에만 액세스 되며,
    상기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에 포함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에 포함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은 동일한 내용이고,
    상기 관리정보는 상기 메인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 상기 서브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 입체 시 영상 재생경로 정보 및 평면 시 영상 재생경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입체 시 영상 재생경로 정보는 입체 시 재생시에 상기 공통 데이터블록 및 상기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에 포함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 및 서브 뷰 데이터블록을 재생하는 제 1 경로를 나타내고,
    상기 평면 시 영상 재생경로 정보는 평면 시 재생시에 상기 공통 데이터블록 및 상기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에 포함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을 재생하는 제 2 경로를 나타내며,
    상기 기록매체는 소정 수 이상의 섹터 또는 층 경계가 존재하는 롱 점프 영역을 갖고,
    상기 공통 데이터블록 중 제 1 공통 데이터블록과 제 2 공통 데이터블록은 그 순으로 판독되고, 상기 제 1 공통 데이터블록의 기록영역과 상기 제 2 공통 데이터블록의 사이에는 상기 롱 점프 영역이 존재하며,
    상기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과 상기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 중 내용이 대응하는 제 1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과 제 1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은 상기 제 1 공통 데이터블록의 기록영역과 상기 롱 점프 영역의 사이, 또는 상기 롱 점프 영역과 상기 제 2 공통 데이터블록의 기록영역의 사이에 기록되고,
    상기 제 1 공통 데이터블록, 상기 제 2 공통 데이터블록 및 상기 제 1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에 포함되어 있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의 최소치는 적어도 재생장치가 평면 시 재생시에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당해 메인 뷰 데이터블록을 판독하는 속도, 당해 메인 뷰 데이터블록의 비트 레이트 및 상기 재생장치가 평면 시 재생시에 상기 롱 점프 영역을 점프하는데 필요한 시간에 의해 결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공통 데이터블록, 상기 제 2 공통 데이터블록, 제 1 평면 시 전용 데이터블록 및 상기 제 1 입체 시 전용 데이터블록에 포함되는 메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의 최대치는 적어도 상기 서브 뷰 스트림의 시스템 레이트 및 이어서 판독되는 2개의 데이터블록의 기록영역 간에 상기 롱 점프 영역이 존재하는가 여부에 의해 결정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복수의 서브 뷰 데이터블록은 각각 영상계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메인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복수의 서브 뷰 데이터블록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음성계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는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의 제어를 실행하는 주 제어부와,
    외부의 장치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블록을 상기 외부의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메모리에 일단 저장한 후, 상기 영상계 데이터와 상기 음성계 데이터로 다중 분리하는 스트림 처리부와,
    상기 음성계 데이터와 상기 영상계 데이터를 각각 복호 하는 신호처리부와,
    복호 된 상기 영상계 데이터와 상기 음성계 데이터를 출력하는 AV 출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스트림 처리부는 수신된 데이터블록의 저장 처를 상기 메모리 내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의 사이에서 전환하는 스위칭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블록 중 상기 복수의 메인 뷰 데이터블록에 속해 있는 데이터를 상기 제 1 영역에 저장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뷰 데이터블록에 속해 있는 데이터를 상기 제 2 영역에 저장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며,
    입체 시 영상의 재생시에는 상기 제 1의 경로에 속하는 데이터에 대하여 영상·음성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KR1020117018087A 2009-09-25 2010-09-24 기록매체, 재생장치 및 집적회로 KR201201065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4580409P 2009-09-25 2009-09-25
US61/245,804 2009-09-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541A true KR20120106541A (ko) 2012-09-26

Family

ID=43795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087A KR20120106541A (ko) 2009-09-25 2010-09-24 기록매체, 재생장치 및 집적회로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8164619B2 (ko)
EP (1) EP2482563B1 (ko)
JP (3) JP4847631B2 (ko)
KR (1) KR20120106541A (ko)
CN (1) CN102362504B (ko)
AU (1) AU2010299386B2 (ko)
BR (1) BRPI1013557A8 (ko)
CA (1) CA2749147C (ko)
DK (1) DK2482563T3 (ko)
ES (1) ES2624769T3 (ko)
MX (1) MX2011009811A (ko)
RU (1) RU2535443C2 (ko)
TW (1) TW201134193A (ko)
WO (1) WO2011036888A1 (ko)
ZA (2) ZA20110548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8304A1 (ko) * 2012-12-21 2014-06-26 전자부품연구원 영상단말기 및 데이터 수신 방법
US10554944B2 (en) 2015-01-09 2020-02-04 Sony Corporation Playing apparatus, play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220165375A (ko) 2021-06-08 2022-12-15 김형규 태양광을 뿌려주는 곡선 살 블라인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01013B2 (en) * 2008-11-18 2012-10-30 Panasonic Corporation Reproduction device, reproduction method, and program for stereoscopic reproduction
US8335425B2 (en) * 2008-11-18 2012-12-18 Panasonic Corporation Playback apparatus, playback method, and program for performing stereoscopic playback
US8284236B2 (en) * 2009-02-19 2012-10-09 Sony Corporation Preventing interference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content in a stereoscopic display
KR20110029319A (ko) * 2009-09-15 2011-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시스템 및 영상 처리 방법
KR101694821B1 (ko) * 2010-01-28 201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시점 비디오스트림에 대한 링크 정보를 이용하는 디지털 데이터스트림 전송 방법와 그 장치, 및 링크 정보를 이용하는 디지털 데이터스트림 전송 방법과 그 장치
KR20110088334A (ko) * 2010-01-28 2011-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스트림 생성 방법 및 장치, 3차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스트림 수신 방법 및 장치
JP5577805B2 (ja) * 2010-04-08 2014-08-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505637B2 (ja) * 2010-06-24 2014-05-28 ソニー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および立体表示装置の表示方法
EP2608547B1 (en) * 2010-08-17 2018-03-2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signal
JP5594045B2 (ja) * 2010-10-14 2014-09-24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20127266A1 (en) * 2010-11-24 2012-05-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ereoscopic 3d broadcasting service compatible with hd broadcasting service
JP5957770B2 (ja) * 2011-06-01 2016-07-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映像処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集積回路
JP5860634B2 (ja) * 2011-08-23 2016-02-16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サーバプログラム、サーバ装置、および、サーバシステム
WO2013027408A1 (ja) * 2011-08-24 2013-02-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記録媒体、再生装置、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CN102427542B (zh) * 2011-09-28 2014-07-30 深圳超多维光电子有限公司 一种立体图像处理方法、图像处理装置和相应的终端设备
TWI461066B (zh) * 2011-11-03 2014-11-11 Ind Tech Res Inst 彈性調整估算搜尋範圍的移動估算方法及視差估算方法
WO2013099289A1 (ja) * 2011-12-28 2013-07-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再生装置、送信装置、再生方法及び送信方法
TWI466538B (zh) * 2012-01-20 2014-12-21 Altek Corp 影像處理方法及其裝置
US9804668B2 (en) * 2012-07-18 2017-10-31 Verimatri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apid content switching to provide a linear TV experience using streaming content distribution
EP2875417B1 (en) 2012-07-18 2020-01-01 Verimatri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apid content switching to provide a linear tv experience using streaming content distribution
WO2014042034A1 (ja) * 2012-09-12 2014-03-20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TWI463432B (zh) * 2012-10-05 2014-12-01 Genesys Logic Inc 圖像資料處理方法
TWI483229B (zh) * 2012-12-22 2015-05-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顯示裝置及其畫面處理方法
US20140193083A1 (en) * 2013-01-09 2014-07-1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of an image to a set of images
CN104183253B (zh) * 2013-05-24 2018-05-11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音乐播放系统、装置及方法
JP2015023575A (ja) * 2013-07-19 2015-02-0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TW201528775A (zh) 2014-01-02 2015-07-16 Ind Tech Res Inst 景深圖校正方法及系統
US9348495B2 (en) 2014-03-07 2016-05-24 Sony Corporation Control of large screen display using wireless portable computer and facilitating selection of audio on a headphone
CN104021179B (zh) * 2014-06-05 2017-05-31 暨南大学 一种大数据集下相似性数据的快速识别算法
US9917894B2 (en) 2014-08-06 2018-03-13 Quest Software Inc. Accelerating transfer protocols
US9990352B2 (en) 2014-08-06 2018-06-05 Quest Software Inc. Chunk compression in a deduplication aware client environment
US9984093B2 (en) 2014-08-06 2018-05-29 Quest Software Inc. Technique selection in a deduplication aware client environment
US20160044077A1 (en) * 2014-08-06 2016-02-11 Dell Products L.P. Policy use in a data mover employing different channel protocols
US10459886B2 (en) 2014-08-06 2019-10-29 Quest Software Inc. Client-side deduplication with local chunk caching
JP6241692B2 (ja) * 2014-09-12 2017-12-06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197771B2 (ja) * 2014-09-25 2017-09-20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画像接合装置、撮像装置、画像接合方法、及び画像接合プログラム
WO2016059759A1 (ja) * 2014-10-17 2016-04-21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記録媒体、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6346880B2 (ja) * 2014-10-17 2018-06-20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記録媒体
WO2016157860A1 (ja) * 2015-03-27 2016-10-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録画再生装置、および番組情報の表示方法
US9357101B1 (en) * 2015-03-30 2016-05-31 Xerox Corporation Simultaneous duplex magnification compensation for high-speed software image path (SWIP) applications
KR20230016816A (ko) * 2021-07-27 2023-02-03 주식회사 세미파이브 시스템 온 칩에서 기능 블록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온 칩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36777B (en) 1995-09-29 2001-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reproducing bitstream having non-sequential system clock data seamlessly therebetween
US6484266B2 (en) 1995-09-29 2002-11-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n apparatus for reproducing bitstream having non-sequential system clock data seamlessly therebetween
EP0888018B1 (en) 1996-02-28 2006-06-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having plural streams of digital video data recorded thereon in interleaved manner, an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recording on, and reproducing from, the optical disk
JP4059355B2 (ja) * 1996-04-04 2008-03-1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並びに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EP2259585B1 (en) 1996-12-04 2013-10-16 Panasonic Corporation Optical disk for high resolution and three dimensional video recording, optical disk reproduction apparatus, and optical disk recording apparatus
WO1999012348A1 (en) 1997-08-29 1999-03-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for recording high resolution and normal image, optical disc player, optical disc recorder, and playback control information generator
US20040005138A1 (en) * 2001-03-22 2004-01-08 Kazuyoshi Yano Reproduction system, electronic apparatus and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tion apparatus
JP2003101957A (ja) * 2001-09-19 2003-04-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アングル再生装置
JP2003199047A (ja) * 2001-12-28 2003-07-11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記録又は再生制御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制御信号を含むデータ構造
JP3659498B2 (ja) * 2002-01-18 2005-06-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記録又は再生制御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制御信号を含むデータ構造
JP4017437B2 (ja) * 2002-04-24 2007-12-0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記録又は再生制御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制御信号を含むデータ構造
JP3859168B2 (ja) * 2003-01-20 2006-12-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記録又は再生制御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制御信号を含むデータ構造
KR20050097507A (ko) * 2003-01-20 2005-10-07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정보 재생 장치및 방법, 정보 기록 재생 장치 및 방법, 기록 또는 재생제어용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데이터 구조
EP2088779B1 (en) * 2003-07-03 2011-01-05 Panasonic Corporation Reproduction apparatus, reproduction method, recording medium,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MXPA05008086A (es) * 2003-07-07 2005-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dio de almacenamiento de informacion que guarda datos de multiples angulos y metodo de grabacion y aparato de reproduccion del mismo.
JP4591405B2 (ja) * 2006-05-10 2010-12-0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A2696147C (en) 2008-09-17 2016-02-02 Panasonic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playback device, and integrated circuit
WO2010076846A1 (ja) 2008-12-29 2010-07-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記録媒体、再生装置、及び集積回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8304A1 (ko) * 2012-12-21 2014-06-26 전자부품연구원 영상단말기 및 데이터 수신 방법
US10554944B2 (en) 2015-01-09 2020-02-04 Sony Corporation Playing apparatus, play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220165375A (ko) 2021-06-08 2022-12-15 김형규 태양광을 뿌려주는 곡선 살 블라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1036888A1 (ja) 2013-02-14
JP2011223605A (ja) 2011-11-04
EP2482563B1 (en) 2017-02-15
CA2749147A1 (en) 2011-03-31
AU2010299386A1 (en) 2011-07-28
MX2011009811A (es) 2011-09-29
JP5551654B2 (ja) 2014-07-16
US8164619B2 (en) 2012-04-24
EP2482563A1 (en) 2012-08-01
RU2535443C2 (ru) 2014-12-10
US8520056B2 (en) 2013-08-27
JP4856780B2 (ja) 2012-01-18
ZA201205541B (en) 2013-05-29
EP2482563A4 (en) 2013-08-21
ZA201105480B (en) 2012-12-27
WO2011036888A1 (ja) 2011-03-31
ES2624769T3 (es) 2017-07-17
TW201134193A (en) 2011-10-01
CN102362504B (zh) 2014-07-09
US20120177343A1 (en) 2012-07-12
JP2011250416A (ja) 2011-12-08
US20110187817A1 (en) 2011-08-04
RU2011139100A (ru) 2013-10-27
BRPI1013557A8 (pt) 2017-07-11
AU2010299386B2 (en) 2014-10-09
DK2482563T3 (en) 2017-03-27
CN102362504A (zh) 2012-02-22
BRPI1013557A2 (pt) 2017-06-06
CA2749147C (en) 2017-05-16
JP4847631B2 (ja)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6780B2 (ja) 記録媒体、及び再生装置
JP5451656B2 (ja) 記録媒体、再生装置、及び集積回路
JP5547668B2 (ja) 記録媒体、再生装置、符号化装置、集積回路、及び再生出力装置
JP5457465B2 (ja) 表示装置と方法、送信装置と方法、及び受信装置と方法
EP2416581A1 (en)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device, and integrated circuit
WO2010100875A1 (ja) 記録媒体、再生装置、及び集積回路
WO2010098134A1 (ja) 記録媒体、再生装置、及び集積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