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6250A - 희생양극이 구비된 파형 피복금속관 - Google Patents

희생양극이 구비된 파형 피복금속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6250A
KR20120106250A KR1020110024241A KR20110024241A KR20120106250A KR 20120106250 A KR20120106250 A KR 20120106250A KR 1020110024241 A KR1020110024241 A KR 1020110024241A KR 20110024241 A KR20110024241 A KR 20110024241A KR 20120106250 A KR20120106250 A KR 20120106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core
sacrificial anode
tube wall
metal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6232B1 (ko
Inventor
이석정
Original Assignee
이석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정 filed Critical 이석정
Priority to KR1020110024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232B1/ko
Publication of KR20120106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F16L9/06Corrug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vention Of Electric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형 피복금속관의 금속심재에 희생양극을 단순구조로 맞댐 고정시켜서 제품의 경계성을 향상시키며, 파형 피복금속관의 금속심재에 보다 간편하고 견실하게 장착하여 제품의 품질과 취급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킨 파형 피복금속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파형 피복금속관은 소요두께를 가지는 금속심재(11)의 외면에 피복층(12)이 형성되며 굴곡파형(A)들이 반복되는 관벽(10)을 갖는 것에 있어서, 상기 관벽(10)의 금속심재(11) 외면에 접촉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전도성의 외측 결착수단(20)을 구비하되, 상기 외측 결착수단(20)으로서 상기 관벽(10)의 외측에 금속심재(11)와 전기적 통전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외측 희생양극(30)을 장착하여서 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파형 피복금속관은 소요두께를 가지는 금속심재(11)의 외,내면에 피복층(12)이 형성되며 굴곡파형(A)들이 반복되는 관벽(10)을 갖는 것에 있어서, 상기 관벽(10)의 금속심재(11) 외,내면에 접촉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전도성의 외측 및 내측 결착수단(20)(40)을 구비하되, 상기 외측 및 내측 결착수단(20)(40)으로서 상기 관벽(10)의 외,내측에 금속심재(11)와 전기적 통전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외측 및 내측 희생양극(30)(50)을 장착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희생양극이 구비된 파형 피복금속관{omitted}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피복층의 손상으로 인해 지중에 노출된 금속심재의 부식을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한 희생양극이 구비된 파형 피복금속관에 관한 것이다.
지중에 매설되어 사용되는 강관은 그 재질 자체의 불균일성 또는 지중 환경의 불균일성 등에 의한 부분적인 전위차로 지중과 전류교환작용을 하게 되는데, 이때 강관에서 전위가 낮은 부분은 지중으로 전류를 방출하면서 점차로 부식 상태로 변화되고, 강관에서 전위가 높은 부분은 지중으로부터 저전위의 전류를 받아서 방식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래에는 강관의 외면에 피복층을 형성하여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강관이 부식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피복강관이 개발되어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피복강관은 취급 또는 사용 중 피복층 손상으로 인해 강관의 외면이 지중에 노출되어 지중과 전류교환작용을 하게 되므로, 강관에서 전위가 낮은 부분이 지중으로 전류를 방출하면서 점차로 부식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피복강관의 전체적인 사용수명이 크게 단축되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희생양극을 이용한 피복강관의 부식방지방법이 개발되어 있다. 이 희생양극을 이용한 피복강관의 부식방지방법에 따르면, 피복강관을 구성하고 있는 강관 보다 전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저전위의 금속으로 만들어진 희생양극을 구비하고, 지중에 피복강관을 매설할 때 강관에 희생양극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서, 피복강관의 피복층 손상으로 인해 강관의 외면이 지중에 노출되어 전류교환작용을 하게 되면, 저전위의 희생양극은 지중으로 전류를 방출하는 상태로 희생적으로 소모되고, 강관의 외면은 지중으로부터 저전위의 전류를 받아 방식 상태로 유지되게 하여서, 피복층이 손상된 피복강관의 전체적인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되었다.
한편, 희생양극을 이용한 피복강관의 부식방지방법과 관련하여 안출된 것으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1-0104137호(2001년 11월 24일 공개)에는 "강관에 폴리에틸렌, 에폭시, 콜탈 에나멜, 아스팔트 등 피복재를 피복한 후 관단을 탈피하고, 상기 탈피 부분에 희생양극을 결합시킨 후 에폭시 또는 도료 등으로 피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희생양극이 부착된 피복강관"이 게재되어 있다.
이 선출원공개발명은 강관에 부착된 희생양극을 갖추고 있어 피복재가 손상되면 지중에 노출되어 전류교환작용하게 되는 강관에 부식이 발생됨을 방지하여 줌은 물론이고, 제품 생산시 강관에 희생양극을 직접 부착할 수 있어 시공시 현장에서 희생양극을 용접 부착하여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여서 시공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제품의 품질을 확인 후 출하하게 하여서 시공시 결함이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게 되는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출원공개발명은 강관에 희생양극을 부착하기 위해서, 피복강관의 피복재를 탈피하여서 강관이 노출되게 하고, 노출된 강관 부분에 희생양극을 결합하며, 희생양극이 결합된 강관 부분을 다시 피복하는 등의 복잡한 작업과정을 수행하게 되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강관에 희생양극을 부착하기 위한 과정이 까다롭고 번거로워서 생산성이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중량의 희생양극을 강관에 직접 부착하게 되는 만큼 피복강관의 전체적인 무게부담이 가중되어서 취급 및 시공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강관에 희생양극을 부착할 때에 와이어로 연결하는 작업과 함께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해서 강관에 희생양극을 고정시키는 작업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46740호(2009년 11월 25일 공고)에는 "상기 강관의 표면에 형성된 제1 결합편; 상기 강관의 표면과 제1 결합편 위에 피복된 피복재; 상기 제1 결합편과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결합편; 일단부에 상기 제2 결합편이 고정 설치되는 도전성 와이어; 및 상기 도전성 와이어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희생양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결합편의 피복재가 탈피된 상태에서 제2 결합편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생양극 부착용 와이어가 설치된 피복강관"이 게재되어 있다.
이 선출원등록고안은 희생양극을 부착하기 위한 도전성 와이어를 제1 결합편과 제2 결합편으로서 강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피복재가 손상되어 지중에 강관이 노출되더라도 부식됨을 방지하여 줄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강관으로부터 도전성 와이어를 간단히 분리시켜서 희생양극과 피복강관을 나누어서 용이하게 취급 및 운반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강관에 도전성 와이어를 간단히 결합하여 희생양극을 설치할 수 있어 현장에서 피복강관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출원등록고안은 강관에 희생양극을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도전성 와이어와 함께 강관 측에는 제1 결합편을 도전성 와이어 측에는 제2 결합편을 갖추어야 점을 감안하여 볼 때, 피복강관에 강관의 부식방지를 위한 구조가 불필요하게 복잡해지고 구성부품이 증가하게 되므로, 현장에서 취급 및 시공하는 작업자의 부담을 가중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생산원가를 상승시켜서 고가로 제공되는 등의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첫째 파형 피복금속관에 희생양극을 단순구조로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제품의 경계성을 향상시킨 희생양극이 구비된 파형 피복금속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둘째 파형 피복금속관에 보다 간편하고 견실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제품의 품질과 취급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킨 희생양극이 구비된 파형 피복금속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도 소요두께를 가지는 금속심재(11)의 외면에 피복층(12)이 형성되며 굴곡파형(A)들이 반복되는 관벽(10)을 갖는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한다.
단, 본 발명의 희생양극이 구비된 파형 피복금속관(1)은 상기 관벽(10)의 금속심재(11) 외면에 접촉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전도성의 외측 결착수단(20)을 구비하되, 상기 외측 결착수단(20)으로서 상기 관벽(10)의 외측에 금속심재(11)와 전기적 통전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외측 희생양극(30)을 장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관벽(10)의 금속심재(11)와 접촉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전도성의 외측 결착수단(20)을 매개로 하여 상기 관벽(10)의 외측에 금속심재(11)와 전기적 통전상태로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외측 희생양극(30)을 장착함으로써, 첫째 기본적으로 피복층(12)이 손상되어 지중에 금속심재(11)의 외면이 노출되더라도 외측 희생양극(30)으로 부식이 발생됨을 방지하여서 파형 피복금속관(1)의 전체적인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둘째 관벽(10)의 금속심재(11) 부식 방지를 위한 외측 희생양극(30)을 단순구조로 장착하게 하여서 관리대상의 구성부품을 감축시킨 만큼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 공급할 수 있으며, 셋째 관벽(10)의 금속심재(11) 부식 방지를 위한 외측 희생양극(30)을 간단히 탈부착하게 하여서 공장에서는 생산능률이 향상되게 하고 현장에서는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하여 주며, 넷째 관벽(10)의 금속심재(11) 부식 방지를 위한 외측 희생양극(30)을 견고히 부착하게 하여서 취급 및 시공시 임의로 탈락됨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장점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피복 파형강관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피복 파형강관을 일부절결 일측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피복 파형강관을 요부발췌 분리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피복 파형강관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피복 파형강관을 일부절결 일측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피복 파형강관을 요부발췌 분리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희생양극이 구비된 파형 피복금속관(1)을 살펴 보면, 금속심재(11)와 피복층(12)으로 이루어지며 굴곡파형(A)들이 형성된 관벽(10)과, 관벽(10)의 외측에 금속심재(11)와 통전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외측 결착수단(20)과, 외측 결착수단(20)을 통해 관벽(10)의 금속심재(11)와 통전되며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외측 희생양극(30)을 구성품으로 하여, 관벽(10)의 금속심재(11) 외면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하면서도 단순 간단하고 견실하게 외측 희생양극(30)을 장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관벽(10)은 내부에 빈 통로가 확보되도록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내부에 확보된 빈 통로로 통수될 수 있게 하여 주는 구성부이다.
그리고, 상기 관벽(10)은 소요두께를 가지는 금속심재(11)의 외면에 이질의 피복층(12)이 피복된 코팅금속판을 소재로 원통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하여서, 본 발명 실시예의 파형 피복금속관(1)을 지중에 매립하여 사용할 때 금속심재(11)의 외면에 부식이 발생됨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관벽(10)은 금속심재(11)의 외면에만 피복층(12)이 형성되게 한 것으로, 지중에 매설하여 사용하는 중에 금속심재(11)의 내표면은 부식될 염려가 낮고 상대적으로 외표면은 부식될 염려가 높은 가스관이나 배선관 등의 용도로 적합하다.
여기에서, 상기 금속심재(11)는 내압강도가 우수한 강철판을 소재로 하여 관벽(10) 자체의 형태유지능력이 향상되도록 하고, 상기 피복층(12)은 방식성능이 우수한 폴리에틸렌수지 또는 아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소재로 하여 금속심재(11)의 외면이 방식되도록 코팅처리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관벽(10)은 폭방향으로 굴곡지게 가공한 금속심재(11)의 외면에 피복층(12)이 형성된 코팅금속판이 연이어지게 하면서 나선형 원통체로 감아서 나선형의 외측골부(A1)와 내측골부(A2)로 굴곡진 굴곡파형(A)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관벽(10)은 반복되는 굴곡파형(A)들로서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작용받게 되는 하중에 효율적으로 감당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관벽(10)에 형성된 굴곡파형(A)의 외측골부(A1)와 내측골부(A2)는 말굽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관벽(10)에 형성된 굴곡파형(A)의 외측골부(A1)와 내측골부(A2)는 사각형의 단면형상 또는 삼각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하여서 될 수도 있다.
또, 상기 관벽(10)의 양측단에는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형 돌출부(B)를 가져서, 이웃하는 파형 피복금속관(1) 상호 간을 별도의 연결기구(미도시)로 연결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외측 결착수단(20)은 상기 관벽(10)의 금속심재(11) 외면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외측 희생양극(30)을 상기 관벽(10)의 외측에 착탈식으로 장착할 수 있게 하여 주는 구성부이다.
그리고, 상기 외측 결착수단(20)은 상기 관벽(10)의 금속심재(11)에 일단이 접촉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며 타단에는 숫나사(21a)를 형성하여서 된 고정봉(21)과, 고정봉(21)의 숫나사(21a)에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22a)를 형성하여서 된 고정너트(22)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외측 결착수단(20)은 상기 외측 희생양극(30)을 관통하도록 끼워진 고정봉(21)의 숫나사(21a)에 고정너트(22)의 암나사(22a)를 체결하고 조여서, 상기 관벽(10)의 외측에 금속심재(11)와 전기적으로 통전되며 착탈가능한 상태로 외측 희생양극(30)을 장착할 수 있게 하여 준다.
또, 상기 외측 결착수단(20)의 고정봉(21) 일단을 상기 관벽(10)의 피복층(12)을 인위적으로 탈피시켜서 노출된 금속심재(11)의 외면에 맞댐 용접하여 고정 설치하고, 상기 관벽(10)의 금속심재(11) 외면에 고정 설치된 외측 결착수단(20)의 고정봉(21) 일단 주위의 피복층(12) 탈피 부분이 기밀재(23)로 방수되게 하여서, 상기 외측 결착수단(20)을 관벽(10)에 견고히 설치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상기 외측 결착수단(20)의 고정봉(21) 설치를 위해 조치되었던 피복층(12) 탈피 부분이 기밀재(23)로 방수되게 하여 지중으로부터 유입되어 금속심재(11)와 접촉하려는 수분을 확실히 차단하여 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외측 결착수단(20)은 상기 관벽(10)에 형성된 굴곡파형(A)의 외측골부(A1) 중심선 상에 적어도 1개조 이상 고정 설치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상기 외측 결착수단(20)으로 상기 관벽(10)에 형성된 굴곡파형(A)의 외측골부(A1) 내에 외측 희생양극(30)이 위치하도록 삽입 장착하여서, 상기 외측 희생양극(30)이 상기 관벽(10)의 외부로 융기된 굴곡파형(A)의 내측골부(A2) 외면 정상부 보다 돌출되어 취급 및 시공시 걸리적거림으로 인한 작업상 번거로움이나 불편을 유발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외측 결착수단(20)은 상기 관벽(10)에 형성된 굴곡파형(A)의 외측골부(A1) 중심선 상에 간격을 두고 2개조를 고정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상기 외측 결착수단(20)은 상기 외측 희생양극(30)의 길이에 따라 상기 관벽(10)에 형성된 굴곡파형(A)의 외측골부(A1) 내에 안정적으로 장착하기에 적합한 개수와 간격으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 희생양극(30)은 상기 관벽(10)의 외측에 피복된 피복층(12)이 손상되면 지중에 노출되어서 발생되는 금속심재(11) 외면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주는 구성부이다.
그리고, 상기 외측 희생양극(30)은 상기 관벽(10)의 금속심재(11)에 비해 전위가 낮은 비철금속을 소재로 하여 외측골부(A1)에 상응하는 곡률로 만곡지게 형성하되, 그 단면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체결공(31)을 형성하여서, 상기 관벽(10)의 금속심재(11)에 일단이 고정되도록 설치된 외측 결착수단(20)의 고정봉(21)을 체결공(31)에 끼우고 고정너트(22)로 조여서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외측 희생양극(30)은 피복층(12)이 손상되면 지중에 노출되어 전류교환작용으로 발생되는 금속심재(11) 외면의 부식현상을 확실히 방지하여 주게 됨은 물론이고, 관벽(10)의 외측에 단순하고 간단하게 설치하게 되어 불필요한 구성품을 감축하고 조립 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관벽(10)의 외측에 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취급 및 시공시 임의로 탈락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외측 희생양극(30)의 체결공(31)은 상기 관벽(10)에 형성된 굴곡파형(A)의 외측골부(A1)에 고정 설치된 외측 결착수단(20)과 상응하는 개수와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외측 희생양극(30)의 체결공(31) 상단에는 너트체결용 홈부(31a)를 형성하며, 상기 외측 희생양극(30)의 체결공(31) 하단에는 기밀재용 홈부(31b)를 형성하여서 된다. 이 너트체결용 홈부(31a)는 상기 외측 결착수단(20)의 고정봉(21)에 체결된 고정너트(22)가 내부로 삽입 위치되게 하여서 걸리적거리지 않게 하여 주며, 기밀재용 홈부(31b)는 상기 관벽(10)의 외측에 고정되는 외측 결착수단(20)의 고정봉(21) 일단 주위의 피복층(12) 탈피 부분이 방수되게 한 기밀재(23)가 눌려진 상태로 내부에 끼워져서 상기 외측 희생양극(30)이 상기 관벽(10)에 형성된 굴곡파형(A)의 외측골부(A1) 내에 밀착 고정될 수 있게 하여 준다.
또, 상기 외측 희생양극(30)은 상기 관벽(10)의 금속심재(11) 보다 상대적으로 전위가 낮은 아연이나 아연합금, 마그네슘이나 마그네슘 합금 및 알루미늄 등을 소재로 성형하여서, 상기 관벽(10)의 금속심재(11)에 대하여 부식 방지기능을 충실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외측 희생양극(30)은 상기 관벽(10)에 형성된 굴곡파형(A)의 외측골부(A1)와 상응하는 말굽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외측 희생양극(30)은 상기 관벽(10)에 형성된 굴곡파형(A)의 외측골부(A1)와 상응하는 사각형의 단면형상 또는 삼각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도 소요두께를 가지는 금속심재(11)의 외,내면에 피복층(12)이 형성되며 굴곡파형(A)들이 반복되는 관벽(10)을 갖는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한다.
단, 본 발명의 희생양극이 구비된 파형 피복금속관(1)은 상기 관벽(10)의 금속심재(11) 외,내면에 접촉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전도성의 외측 및 내측 결착수단(20)(40)을 구비하되, 상기 외측 및 내측 결착수단(20)(40)으로서 상기 관벽(10)의 외,내측에 금속심재(11)와 전기적 통전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외측 및 내측 희생양극(30)(50)을 장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르면, 관벽(10)의 금속심재(11)와 접촉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전도성의 외측 및 내측 결착수단(20)(40)을 매개로 하여 상기 관벽(10)의 외,내측에 금속심재(11)와 전기적 통전상태로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외측 및 내측 희생양극(30)(50)을 장착함으로써, 첫째 기본적으로 피복층(12)이 손상되어 지중에 금속심재(11)의 외,내면이 노출되더라도 외측 및 내측 희생양극(30)(50)으로 부식이 발생됨을 방지하여서 파형 피복금속관(1)의 전체적인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둘째 관벽(10)의 금속심재(11) 부식 방지를 위한 외측 및 내측 희생양극(30)(50)을 단순구조로 장착하게 하여서 관리대상의 구성부품을 감축시킨 만큼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 공급할 수 있으며, 셋째 관벽(10)의 금속심재(11) 부식 방지를 위한 외측 및 내측 희생양극(30)(50)을 간단히 탈부착하게 하여서 공장에서는 생산능률을 향상시키고 현장에서는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하여 주며, 넷째 관벽(10)의 금속심재(11) 부식 방지를 위한 외측 및 내측 희생양극(30)(50)을 견고히 부착하게 하여서 취급 및 시공시 임의로 탈락됨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장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희생양극이 구비된 파형 피복금속관(1)을 살펴 보면, 금속심재(11)와 피복층(12)으로 이루어지며 굴곡파형(A)들이 형성된 관벽(10)과, 관벽(10)의 외,내측에 금속심재(11)와 통전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외측 및 내측 결착수단(20)(40)과, 외측 및 내측 결착수단(20)(40)을 통해 관벽(10)의 금속심재(11)와 통전되며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외측 및 내측 희생양극(30)(50)을 구성품으로 하여, 관벽(10)의 외,내측에 금속심재(11) 외,내면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하면서도 단순 간단하고 견실하게 외측 및 내측 희생양극(30)(50)을 장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관벽(10)은 내부에 빈 통로가 확보되도록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내부에 확보된 빈 통로로 통수될 수 있게 하여 주는 구성부이다.
그리고, 상기 관벽(10)은 소요두께를 가지는 금속심재(11)의 외,내면에 이질의 피복층(12)이 피복된 코팅금속판을 소재로 원통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하여서, 본 발명 일실시예의 파형 피복금속관(1)을 지중에 매립하여 사용할 때 금속심재(11)의 외,내면에 부식이 발생됨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관벽(10)은 금속심재(11)의 외,내면에 피복층(12)이 형성되게 한 것으로, 지중에 매설하여 사용하는 중에 금속심재(11)의 외,내면이 모두 부식될 염려가 높은 상,하수관, 오수관 등의 용도로 적합하다.
여기에서, 상기 금속심재(11)는 내압강도가 우수한 강철판을 소재로 하여 관벽(10) 자체의 형태유지능력이 향상되도록 하고, 상기 피복층(12)은 방식성능이 우수한 폴리에틸렌수지 또는 아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소재로 하여 금속심재(11)의 외,내면이 방식되도록 코팅처리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관벽(10)은 폭방향으로 굴곡지게 가공한 금속심재(11)의 외,내면에 피복층(12)이 형성된 코팅금속판이 연이어지게 하면서 나선형 원통체로 감아서 나선형의 외측골부(A1)와 내측골부(A2)로 굴곡진 굴곡파형(A)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관벽(10)은 반복되는 굴곡파형(A)들로서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작용받게 되는 하중에 효율적으로 감당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관벽(10)에 형성된 굴곡파형(A)의 외측골부(A1)와 내측골부(A2)는 말굽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관벽(10)에 형성된 굴곡파형(A)의 외측골부(A1)와 내측골부(A2)는 사각형의 단면형상 또는 삼각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하여서 될 수도 있다.
또, 상기 관벽(10)의 양측단에는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형 돌출부(B)를 가져서, 이웃하는 파형 피복금속관(1) 상호 간을 별도의 연결기구(미도시)로 연결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외측 및 내측 결착수단(20)(40)은 상기 관벽(10)의 금속심재(11) 외,내면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외측 및 내측 희생양극(30)(50)을 상기 관벽(10)의 외,내측에 착탈식으로 장착할 수 있게 하여 주는 구성부이다.
그리고, 상기 외측 및 내측 결착수단(20)(40)은 각각 상기 관벽(10)의 금속심재(11)에 일단이 접촉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며 타단에는 숫나사(21a)(41a)를 형성하여서 된 고정봉(21)(41)과, 고정봉(21)(41)의 숫나사(21a)(41a)에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22a)(42a)를 형성하여서 된 고정너트(22)(42)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외측 및 내측 결착수단(20)(40)은 각각 상기 외측 및 내측 희생양극(30)(50)을 관통하도록 끼워진 고정봉(21)(41)의 숫나사(21a)(41a)에 고정너트(22)(42)의 암나사(22a)(42a)를 체결하고 조여서, 상기 관벽(10)의 외,내측에 금속심재(11)와 전기적으로 통전되며 착탈가능한 상태로 외측 및 내측 희생양극(30)(50)을 장착할 수 있게 하여 준다.
또, 상기 외측 및 내측 결착수단(20)(40)의 고정봉(21)(41)은 각각 그 일단을 상기 관벽(10)의 외,내측에 형성된 피복층(12)을 인위적으로 탈피시켜서 노출된 금속심재(11)의 외,내면에 맞댐 용접하여 고정 설치하고, 상기 관벽(10)의 금속심재(11) 외,내면에 고정 설치된 외측 및 내측 결착수단(20)(40)의 고정봉(21)(41) 일단 주위의 피복재(12) 탈피 부분이 기밀재(23)(43)로 방수처리 되게 하여서, 상기 외측 및 내측 결착수단(20)(40)을 상기 관벽(10)에 견고히 설치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상기 외측 및 내측 결착수단(20)(40)의 고정봉(21)(41) 설치를 위해 조치된 피복층(12) 탈피 부분이 기밀재(23)(43)로 방수되게 하여 지중으로부터 유입되어 금속심재(11)와 접촉하려는 수분을 확실히 차단하여 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외측 및 내측 결착수단(20)(40)은 각각 상기 관벽(10)에 형성된 굴곡파형(A)의 외측골부(A1)와 내측골부(A2) 중심선 상에 적어도 1개조 이상 고정 설치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상기 외측 결착수단(20)으로 상기 관벽(10)에 형성된 굴곡파형(A)의 외측골부(A1) 내에 외측 희생양극(30)이 위치하도록 삽입 장착하여서, 상기 외측 희생양극(30)이 상기 관벽(10)의 외부로 융기된 굴곡파형(A)의 내측골부(A2) 외면 정상부 보다 돌출되어 취급 및 시공시 걸리적거림으로 인한 작업상 번거로움이나 불편을 유발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고, 상기 내측 결착수단(40)으로 상기 관벽(10)에 형성된 굴곡파형(A)의 내측골부(A2) 내에 내측 희생양극(50)이 위치하도록 삽입 장착하여서, 상기 내측 희생양극(50)이 상기 관벽(10)의 내부로 융기된 굴곡파형(A)의 외측골부(A1) 내면 정상부 보다 돌출되어 내부로 흐르는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 일실시예에서 상기 외측 및 내측 결착수단(20)(40)은 각각 상기 관벽(10)에 형성된 굴곡파형(A)의 외측골부(A1)와 내측골부(A2) 중심선 상에 간격을 두고 2개조를 고정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상기 외측 및 내측 결착수단(20)(40)은 각각 상기 외측 및 내측 희생양극(30)(50)의 길이에 따라 상기 관벽(10)에 형성된 굴곡파형(A)의 외측골부(A1)와 내측골부(A2) 내에 안정적으로 장착하기에 적합한 개수와 간격으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 및 내측 희생양극(30)(50)은 상기 관벽(10)의 외,내측에 피복된 피복층(12)이 손상되면 지중에 노출되어서 발생되는 금속심재(11) 외,내면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주는 구성부이다.
그리고, 상기 외측 및 내측 희생양극(30)(50)은 각각 상기 관벽(10)의 금속심재(11)에 비해 전위가 낮은 비철금속을 소재로 하여 외측골부(A1)와 내측골부(A2)에 상응하는 곡률로서 만곡지게 형성하되, 그 단면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체결공(31)(51)을 형성하여서, 상기 관벽(10)의 금속심재(11) 외,내측에 일단이 고정되도록 설치된 외측 및 내측 결착수단(20)(40)의 고정봉(21)(41)을 체결공(31)(51)으로 끼우고 고정너트(22)(42)로 조여서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외측 및 내측 희생양극(30)(50)은 외,내측의 피복층(12)이 손상되면 지중에 노출되어 전류교환작용으로 발생되는 금속심재(11) 외,내면의 부식 현상을 확실히 방지하여 주게 됨은 물론이고, 관벽(10)의 외,내측에 단순하고 간단하게 설치하게 되어 불필요한 구성품을 감축하고 조립 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관벽(10)의 외,내측에 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취급 및 시공시 임의로 탈락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외측 및 내측 희생양극(30)(50)의 체결공(31)(51)은 각각 상기 관벽(10)에 형성된 굴곡파형(A)의 외측골부(A1)와 내측골부(A2)에 고정 설치되는 외측 및 내측 결착수단(20)(40)과 상응하는 개수와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외측 및 내측 희생양극(30)(50)의 체결공(31)(51) 상단에는 너트체결용 홈부(31a)(51a)를 형성하며, 상기 외측 및 내측 희생양극(30)(50)의 체결공(31)(51) 하단에는 기밀재용 홈부(31b)(51b)를 형성하여서 된다. 이 너트체결용 홈부(31a)(51a)는 상기 외측 및 내측 결착수단(20)(40)의 고정봉(21)(41)에 체결된 고정너트(22)(42)가 내부로 삽입 위치되게 하여서 걸리적거리지 않게 하여 주며, 기밀재용 홈부(31b)(51b)는 상기 관벽(10)의 외,내측에 고정되는 외측 및 내측 결착수단(20)(40)의 고정봉(21)(41) 일단 주위의 피복층(12) 탈피 부분이 방수되게 한 기밀재(23)(43)가 눌려진 상태로 내부에 끼워져서 상기 외측 및 내측 희생양극(30)(50)이 상기 관벽(10)에 형성된 굴곡파형(A)의 외측골부(A1)와 내측골부(A2) 내에 밀착 고정될 수 있게 하여 준다.
또, 상기 외측 및 내측 희생양극(30)(50)은 각각 상기 관벽(10)의 금속심재(11) 보다 상대적으로 전위가 낮은 아연이나 아연합금, 마그네슘이나 마그네슘 합금 및 알루미늄 등을 소재로 성형하여서, 상기 관벽(10)의 금속심재(11)에 대하여 부식 방지기능을 충실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에서 상기 외측 및 내측 희생양극(30)(50)은 각각 상기 관벽(10)에 형성된 굴곡파형(A)의 외측골부(A1)와 내측골부(A2)에 상응하는 말굽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외측 및 내측 희생양극(30)(50)은 상기 관벽(10)에 형성된 굴곡파형(A)의 외측골부(A1)와 내측골부(A2)에 상응하는 사각형의 단면형상 또는 삼각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1: 파형 피복금속관 10: 관벽
11: 금속심재 12: 피복층
A: 굴곡파형 A1: 외측골부
A2: 내측골부 B: 플랜지형 돌출부
20, 40: 외측 및 내측 결착수단 21, 41: 고정봉
22, 42: 고정너트 23, 43: 기밀재
30, 50: 외측 및 내측 희생양극 31, 51: 체결공

Claims (8)

  1. 소요두께를 가지는 금속심재(11)의 외면에 피복층(12)이 형성되며 굴곡파형(A)들이 반복되는 관벽(10)을 갖는 것에 있어서,
    상기 관벽(10)의 금속심재(11) 외면에 접촉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전도성의 외측 결착수단(20)을 구비하되, 상기 외측 결착수단(20)으로서 상기 관벽(10)의 외측에 금속심재(11)와 전기적 통전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외측 희생양극(30)을 장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희생양극이 구비된 파형 피복금속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결착수단(20)은 상기 관벽(10)의 금속심재(11)에 일단이 접촉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며 타단에는 숫나사(21a)를 형성하여서 된 고정봉(21)과, 고정봉(21)의 숫나사(21a)에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22a)를 형성하여서 된 고정너트(22)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희생양극이 구비된 파형 피복금속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결착수단(20)의 고정봉(21) 일단을 상기 관벽(10)의 피복층(12)을 인위적으로 탈피시켜서 노출된 금속심재(11)의 외면에 맞댐 용접하여 고정 설치하고, 상기 관벽(10)의 금속심재(11) 외면에 고정 설치된 외측 결착수단(20)의 고정봉(21) 일단 주위의 피복층(12) 탈피 부분이 기밀재(23)로 방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희생양극이 구비된 파형 피복금속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희생양극(30)은 상기 관벽(10)의 금속심재(11)에 비해 전위가 낮은 비철금속을 소재로 하여 외측골부(A1)에 상응하는 곡률로 만곡지게 형성하되, 그 단면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체결공(31)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희생양극이 구비된 파형 피복금속관.
  5. 소요두께를 가지는 금속심재(11)의 외,내면에 피복층(12)이 형성되며 굴곡파형(A)들이 반복되는 관벽(10)을 갖는 것에 있어서,
    상기 관벽(10)의 금속심재(11) 외,내면에 접촉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전도성의 외측 및 내측 결착수단(20)(40)을 구비하되, 상기 외측 및 내측 결착수단(20)(40)으로서 상기 관벽(10)의 외,내측에 금속심재(11)와 전기적 통전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외측 및 내측 희생양극(30)(50)을 장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희생양극이 구비된 파형 피복금속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및 내측 결착수단(20)(40)은 각각 상기 관벽(10)의 금속심재(11)에 일단이 접촉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며 타단에는 숫나사(21a)(41a)를 형성하여서 된 고정봉(21)(41)과, 고정봉(21)(41)의 숫나사(21a)(41a)에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22a)(42a)를 형성하여서 된 고정너트(22)(42)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희생양극이 구비된 파형 피복금속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및 내측 결착수단(20)(40)의 고정봉(21)(41)은 각각 그 일단을 상기 관벽(10)의 외,내측에 형성된 피복층(12)을 인위적으로 탈피시켜서 노출된 금속심재(11)의 외,내면에 맞댐 용접하여 고정 설치하고, 상기 관벽(10)의 금속심재(11) 외,내면에 고정 설치된 외측 및 내측 결착수단(20)(40)의 고정봉(21)(41) 일단 주위의 피복재(12) 탈피 부분이 기밀재(23)(43)로 방수처리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희생양극이 구비된 파형 피복금속관.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및 내측 희생양극(30)(50)은 각각 상기 관벽(10)의 금속심재(11)에 비해 전위가 낮은 비철금속을 소재로 하여 외측골부(A1)와 내측골부(A2)에 상응하는 곡률로서 만곡지게 형성하되, 그 단면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체결공(31)(51)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희생양극이 구비된 파형 피복금속관.
KR1020110024241A 2011-03-18 2011-03-18 희생양극이 구비된 파형 피복금속관 KR101346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241A KR101346232B1 (ko) 2011-03-18 2011-03-18 희생양극이 구비된 파형 피복금속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241A KR101346232B1 (ko) 2011-03-18 2011-03-18 희생양극이 구비된 파형 피복금속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250A true KR20120106250A (ko) 2012-09-26
KR101346232B1 KR101346232B1 (ko) 2014-01-02

Family

ID=47112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241A KR101346232B1 (ko) 2011-03-18 2011-03-18 희생양극이 구비된 파형 피복금속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2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2659A (zh) * 2020-05-29 2020-09-18 上海二十冶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热风炉管道喷涂半径精确控制的安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5086A (ja) * 1994-03-31 1995-03-03 Nishihara Eisei Kogyosho:Kk 有機質材料によりライニングされた複数のライニング管が溶接されて形成されているライニング管路
JP2657634B2 (ja) 1995-01-27 1997-09-24 株式会社エスティム 犠牲陽極取付装置
JP3577536B2 (ja) * 2001-02-14 2004-10-13 英夫 森 水道管電気防食における陽極電極取り付け方法と取り付け装置
KR200351431Y1 (ko) * 2004-02-23 2004-05-24 주식회사 삼진정밀 부식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2659A (zh) * 2020-05-29 2020-09-18 上海二十冶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热风炉管道喷涂半径精确控制的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6232B1 (ko) 201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0378B1 (en) Grounding fitting
CN109416064B (zh) 附接装置
JPS6315353B2 (ko)
KR101028147B1 (ko) 송전변전 배전 강재 전신주 이음장치
KR101346232B1 (ko) 희생양극이 구비된 파형 피복금속관
KR101193516B1 (ko) 해조부착판 및 그 제조방법
CN201317810Y (zh) 水中更换的参比电极
JP5501171B2 (ja) 鋼管杭の防食施工方法
KR101033642B1 (ko) 송전변전 배전 철탑기둥 이음부 부식방지 장치
JP6640573B2 (ja) 流電陽極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電気防食構造
JP5690679B2 (ja) 防汚パネル部材、それを設置した構造物、陰極部材および防汚パネル部材の連結構造
CN218633282U (zh) 一种烟囱用避雷设备
CN211138336U (zh) 一种新型绝缘型金属电线导管
KR20120000304A (ko) 피복유볼트
GB2528932A (en) Cable tie and method of establishing electrical connections on an aircraft and an aircraft electrical connection arrangement
KR20110125350A (ko) 전주근가용 피복 유 볼트
JP5661010B2 (ja) 防汚パネル部材の連結構造、防汚パネル、それを設置した構造物、および防汚パネル用の連結部材
KR100418969B1 (ko) 희생양극이 부착될 수 있는 와이어가 용접된 피복강관
CN216558379U (zh) 一种穿设有管道的自然通风冷却塔
CN220435709U (zh) 一种铝合金管件
CN215399250U (zh) 一种新型的舷外管肘板
CN216787635U (zh) 一种防水铝单板
CN217151482U (zh) 一种用于钢筋混凝土土杆的钢管式抱箍装置
JP4784952B1 (ja) 金属体の防食構造
JP5832219B2 (ja) 防汚パネル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