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6183A - Japanese roma-ji keyboard input system - Google Patents
Japanese roma-ji keyboard input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06183A KR20120106183A KR1020110024122A KR20110024122A KR20120106183A KR 20120106183 A KR20120106183 A KR 20120106183A KR 1020110024122 A KR1020110024122 A KR 1020110024122A KR 20110024122 A KR20110024122 A KR 20110024122A KR 20120106183 A KR20120106183 A KR 201201061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
- input
- keyboard
- specific
- key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6—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a keyboar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5—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chord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데스크톱 PC, 노트북, 넷북, 태블릿 PC, PDA, 네비게이션, MP3, 휴대폰, 스마트폰 등 각종 단말기에 있어서, 로마자를 활용한 일본어 입력 키보드 자판 및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apanese input keyboard keyboard and input method using Roman characters in various terminals such as a desktop PC, a notebook computer, a netbook, a tablet PC, a PDA, navigation, an MP3, a mobile phone, and a smartphone.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일본어 입력 방식은 수많은 방식이 있으나, 카나(かな) 입력방식과 로마자 입력 방식이 가장 대표적이며, 그중 에서도 로마자 방식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re are many Japanese input methods currently used, but the Kana input method and the Roman input method are the most representative, and the Roman input method is the most widely used.
그런데, 로마자 입력방식의 경우, 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일본국헌법전문'을 대상으로 입력타수를 검토한 결과, 총 타수 1475중에서 좌수 530, 우수 945 로서, 우수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키보드는 기본적으로 양손을 사용함으로, 양손을 번갈아 사용하여 입력하는 소위 교호타건(交互打鍵)이 바람직하지만, 로마자 입력방식의 경우, 왼손(좌수)는 물론이고 오른손(우수)를 사용하는 소위 동수(同手)타건을 많이 요하며, 이로 인한 손가락의 피로와 입력속도 저하를 유발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Roman input method, according to a study, the input strokes were reviewed for the 'Japanese Constitution Specialist', and the total number of strokes was 530 left and 945 out of 1475. . Since the keyboard uses two hands basically, alternating keys are used to input two hands alternately.However, in the Roman input method, the left hand (left hand) as well as the right hand (excellent) are used.同 手) It requires a lot of key, which causes finger fatigue and input speed decrease.
특히 요음 혹은 '요음을 포함하는 특정 문자열(예: you, yuu)' 입력이 어려운데, 예를 들어, きょう 를 입력하려면 k,y,o,u 를 입력해야 함으로, 무려 4타를 우수 연속 동수(同手)타건을 요한다.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enter a note or a specific string containing the note (eg, you, yuu). For example, to enter き ょ う, you need to type k, y, o, u.同 手) Requires a gun.
교호타건(交互打鍵)이 가능한 종래기술로는, 야마토 나라베 (和ならべ) 를 비롯하여, 키보드의 좌우에 자모음을 구분 배치한 자판이 있지만, '요음을 포함하는 특정 문자열(ょう, ゅう, ャ-, ュ-, ョ-) 을 일괄 입력 하지 못 할 뿐 아니라, 이들은 종래 자판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자판배치이므로, 사용자는 자판배치를 새로 암기해야 하는 결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Conventional techniques that can be used for alternating tackle include Yamato Narabe, and keyboards with separate consonants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keyboard. Not only does it not allow you to enter, ャ-, ュ-, ョ-) at a time, but these are new layouts that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s. to be.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로마자 입력방식의 경우, 소위 동수(同手)타건을 많이 요하며, 이로 인한 손가락의 피로와 입력속도 저하를 유발한다. 특히 요음 혹은 '요음을 포함하는 특정 문자열'의 경우, 우수 동수 타건을 많이 요할 뿐 아니라, 입력타수 자체가 많아서 입력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종래의 로마자 입력 자판의 기본 형태를 가능한 유지하면서도, 특정 문자열을 일괄 입력하되, 좌우 교호타건 (交互打鍵)으로 입력할 수 있는 능률적인 일본어 로마자입력 자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교호타건이란 상호 교차한다는 의미로서, 한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 좌우수를 번갈아 사용하여 입력함을 의미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Roman input method, a so-called equal key is required a lot, which causes finger fatigue and a decrease in input spe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note or a 'character string including the note', it requires a lot of excellent evenness cases, and it is difficult to input because there are many input strokes.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efficient Japanese Roman input keyboard capable of inputting a specific character string collectively, but using left and right alternating keys, while maintaining the basic form of a conventional Roman input keyboard as much as possible. Alternately, the term "intersecting" means to cross each other, and to input a letter by using alternating left and righ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을 제공하며, 상기 자판상의 다수의 키는, 좌수 와 우수 영역의 키로 구분설정이 가능하고, 상기 자판은 미리 지정된 다중키를 포함하며, 반대측 자음에 연이어 상기 다중키를 누르면, 기본 키코드와는 다른 키코드에 해당하는 특정 문자열이 입력되도록 설정하여, 특정 문자열을 한 타로 일괄 입력하되, 자음에 연이어 교호타건으로 입력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판의 모음키는 좌우 대칭 구조로 배치한 것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문자열은, 요음, '요음을 포함하는 특정 문자열' 혹은 연모음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Japanese Roman input keyboard keyboard is provided, and a plurality of keys on the keyboard can be set to b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area keys, and the keyboard is a predetermined multiple If the multi-key is pressed after the consonant on the opposite side, a specific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a key code different from the basic key code is set so that a specific character string is inputted in one batch, but alternately after the consonant. It includes what you can do. Also preferably, the vowel keys of the keyboard may include a symmetrical arrangement. Also preferably, the specific character string may include a rhythm, 'a specific character string including a rhythm' or a soft vowe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로마자를 활용하여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는 단말기의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을 제공하며, 상기 키보드 자판은 자음키, 모음키를 포함하여 다수의 키를 보유하며, 상기 다수의 키는, 좌수 와 우수 영역으로 구분설정이 가능하고, 미리 지정된 특정 자음키를 길게 누른 상태에서, 당해 자음키와는 반대편 키를 조작하면, 당해 자음에 연이어, 상기 반대편 키에 할당된 특정 문자열이 입력되도록 설정하며, 상기 특정 문자열은, 상기 좌수 와 우수 영역에 이중으로 배치한 것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Japanese Roman input keyboard keyboard of a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Japanese using Roman characters, wherein the keyboard keyboard includes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nd vowel keys. And a plurality of keys can b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regions, and if a key opposite to the consonant key is operated while pressing and holding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consonant key, A specific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opposite key is set to be input, and the specific character string includes a double arrangement in the left and right regio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로마자를 활용하여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는, 단말기의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을 제공하며, 상기 키보드 자판은 자음키, 모음키를 포함하여 다수의 키를 보유하며, 상기 다수의 키는, 좌수와 우수 영역키, 그리고 상기 좌수와 우수 영역 중간의 경계키로 구분설정이 가능하고, 상기 경계키에는 좌측 과 우측의 두 종류의 키코드가 할당되며, 상기 좌수와 우수 영역키에는 기본 키코드와 제2키코드가 할당되며, 사용자가 특정 자음키를 조작하고, 당해 자음키와 반대편의 키를 조작하면, 상기 자음키 조작에 할당된 문자열에 연이어, 상기 반대편 키의 제2키코드에 해당하는 문자열이 입력되고, 사용자가 상기 경계키를 조작하고 상기 좌수 영역키를 조작하면, 상기 경계키의 우측 키코드에 해당하는 문자열이 입력된 후, 상기 좌수 영역키의 제2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되고, 사용자가 상기 경계키를 조작하고 상기 우수 영역키를 조작하면, 상기 경계키의 좌측 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된 후, 상기 우수 영역키의 제2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되는 것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Japanese Roman input keyboard keyboard of a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Japanese using Roman characters, the keyboard keyboard including a consonant key and a vowel key. The plurality of keys can b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area keys, and a boundary key between the left and right areas, and two types of key codes are assigned to the boundary key. And a basic key code and a second key code are assigned to the left and right range keys. When a user operates a specific consonant key and operates a key opposite to the consonant key, the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consonant key operation is successively connected. When a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second key code of the opposite key is input, and the user manipulates the boundary key and the left field key, the character string is input to the right key code of the boundary key. After the corresponding character string is input, the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second key code of the left-hand area key is input, and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boundary key and the superior area key, the character string is assigned to the left key code of the boundary key. After the inputted character string is input, the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second key code of the even-numbered area key is inpu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단말기에서 로마자를 활용하여 일본어를 입력하는, 일본어 로마자 키보드 자판의 입력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키보드 자판은 자음키, 모음키를 포함하여 다수의 키를 보유하며, 상기 다수의 키는, 좌수 와 우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모음키를 조작시에는 미리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되고, 상기 다수의 키중 일부를, 복수의 키코드가 할당되는 다중키로 설정하며, 상기 복수의 키코드는, 기본 키코드와 제2 키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키는 상기 좌수 와 우수 영역에 이중으로 배치하며, 미리 지정된 특정 자음키 조작에 연이어, 당해 자음키와는 반대편 다중키를 조작하면, 상기 특정 자음키 조작에 할당된 문자열의 입력에 연이어, 상기 다중키의 제2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되도록 설정하며, 상기 특정 문자열을 한 타로 일괄 입력하되, 자음에 연이어 교호타건으로 입력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Japanese Roman keyboard input method for inputting Japanese using Roman characters in a terminal, the keyboard including a consonant key and a vowel key. A plurality of keys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regions, and when a vowel key is operated, a pre-assigned character string is input, and some of the plurality of keys are assigned a plurality of key codes. And a plurality of key codes including a basic key code and a second key code, wherein the multiple keys are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regions twice, and subsequent to a predetermined specific consonant key operation. Is configured to input a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second key code of the multi-key following the input of the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specific consonant key operation when the other multi-key is operated. And, the specific character strings are input in one stroke, but it includes the one that can be entered in the alternating consecution subsequent to the consona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단말기에서 로마자를 활용하여 일본어를 입력하는, 일본어 로마자 키보드 자판의 입력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키보드 자판은 자음키, 모음키를 포함하여 다수의 키를 보유하며, 상기 다수의 키는, 좌수 와 우수 영역으로 구분하고, 미리 지정된 특정 자음키를 길게 누른 상태에서, 당해 자음키와는 반대편 키를 조작하면, 당해 자음에 연이어, 상기 반대편 키에 할당된 특정 문자열이 입력되도록 설정하며, 상기 특정 문자열은, 상기 좌수 와 우수 영역에 이중으로 배치한 것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Japanese Roman keyboard input method for inputting Japanese using Roman characters in a terminal, the keyboard including a consonant key and a vowel key. And the plurality of keys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regions, and the key opposite to the consonant key is operated while the predetermined consonant key is pressed and held in advance, followed by the consonant key. A specific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is set to be input, and the specific character string includes a double arrangement in the left and right regio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단말기에서 로마자를 활용하여 일본어를 입력하는, 일본어 로마자 키보드 자판의 입력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키보드 자판은 자음키, 모음키를 포함하여 다수의 키를 보유하며, 상기 다수의 키는, 좌수와 우수 영역키, 그리고 상기 좌수와 우수 영역 중간의 경계키로 구분하고, 상기 경계키에는 좌측 과 우측의 두 종류의 키코드가 할당되며, 상기 좌수와 우수 영역키에는 기본 키코드와제2키코드가 할당되며, 사용자가 특정 자음키를 조작하고, 당해 자음키와 반대편의 키를 조작하면, 상기 자음키 조작에 할당된 문자열에 연이어, 상기 반대편 키의 제2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되고, 사용자가 상기 경계키를 조작하고 상기 좌수 영역키를 조작하면, 상기 경계키의 우측 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된 후, 상기 좌수 영역키의 제2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되고, 사용자가 상기 경계키를 조작하고 상기 우수 영역키를 조작하면, 상기 경계키의 좌측 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된 후, 상기 우수 영역키의 제2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되는 것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Japanese Roman keyboard input method for inputting Japanese using Roman characters in a terminal, the keyboard including a consonant key and a vowel key. And a plurality of keys, each of which is divided into a left number and a good range key, and a boundary key between the left and right regions, and two types of key codes of left and right sides are assigned to the boundary key. The primary and second key codes are assigned to the and the even-area keys. When the user operates a specific consonant key and operates a key opposite to the consonant key, the opposite side is connected to the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consonant key operation. When the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second key code of the key is input, and the user manipulates the boundary key and the left-hand area key, the statement assigned to the right key code of the boundary key After inputting a string, a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second key code of the left-hand area key is input, and when a user manipulates the boundary key and the superior area key, the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left key code of the boundary key After the input, the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second key code of the even-numbered key is input.
본 발명은, 요음, '요음을 포함하는 특정 문자열' 혹은 연모음과 같은 특정 문자열을 일괄입력함으로써, 타수가 감소하며, 또한 이는 자음에 이어서 좌우 교호타건(交互打鍵)으로 입력을 하게됨으로써, 로마자를 활용한 일본어 키보드 입력에 있어, 손가락의 피로가 감소하며, 그 속도와 능률이 향상될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strokes is reduced by collectively inputting a specific character string such as a note, 'a specific character string containing a yo' or a soft vowel, and this is inputted by the left and right alternating keys following the consonant, thereby providing a roman character. In Japanese keyboard input using the keyboard, finger fatigue will be reduced, and speed and efficiency will be improved.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컴퓨터 키보드의 일본어 입력 자판 배치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키보드 자판의 기본 키코드 배치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키보드 자판의 제2 키코드 배치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키보드 자판의 제3 키코드 배치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입력의 자세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키보드 자판의 제2 키코드 배치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상 자판의 기본 키코드 배치도.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상 자판의 제2 키코드 배치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상 자판에 있어서, 실제 사용중의 키코드 배치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음키를 슬라이드 했을 때 추가로 입력되는 문자열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12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음키를 슬라이드 했을 때 입력될 수 있는 문자열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음키 혹은 특수키를 슬라이드 했을 때 입력될 수 있는 문자열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14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상 자판의 키코드 배치도.
도 15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상 자판의 기본 키코드 배치도.
도 1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상 자판의 제2 키코드 배치도.
도 1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입력의 자세한 흐름도.1 is a layout diagram of a Japanese input keyboard of a computer keyboar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2 is a block diagram of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3 is a basic key code layout of the computer keyboard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ayout view of a second keycode of a computer keyboard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layout diagram of a third keycode of a computer keyboard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etailed flowchart of Japanese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layout diagram of a second keycode of a computer keyboard key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layout diagram of a basic keycode of a keyboard on a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layout diagram of a second keycode of a keyboard on a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layout diagram of key codes in actual use in the keyboard on a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haracter string additionally input when the vowel key is s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haracter string that can be input when the vowel key is s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haracter string that can be input when the consonant key or a special key slid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key code arrangement diagram of a keyboard on a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layout diagram of a basic keycode of a keyboard on a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layout view of a second keycode of a keyboard on a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detailed flowchart of Japanese inpu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종 단말기의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에 있어서, 좌우수를 번갈아 사용하여 입력하는 방식으로 미리 지정된 특정 문자열을 쉽게 일괄 입력하는 수단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Japanese Roman alphabet input keyboard of various terminals provides a means for easily collectively inputt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string by inputting alternately using left and right.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로마자를 활용한 일본어 입력 키보드 자판배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일부 기호를 제외하고는 영문 QWERTY 자판과 동일한 배치를 하고 있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Japanese input keyboard keyboard layout utilizing Roman characters according to the prior art. Except for some symbols, the layout is the same as the English QWERTY keyboard.
도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로마자를 활용하여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사용자가 키보드(14)상의 로마자가 할당된 특정키를 조작하면, 해당 키조작에 대응하는 키코드가 컴퓨터(11)로 전송된다. 컴퓨터(11)에서는 CPU(중앙연산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CPU에 의해서 구동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과 각종 응용 프로그램 등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작동하고 있다. 여기에는 본 발명의 일본어 입력자판에 연계된 '일본어 입력 응용 프로그램'(미도시) 이 포함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로마자-카나(かな)변환 프로그램(12)과 키코드 변환 프로그램(13)을 포함한다. 상기 '일본어 입력 응용 프로그램'은, 오퍼레이팅 시스템과 협력하여, 키보드상의 키를 단독으로 혹은 다수의 키 조합에 의하여 조작시 발생하는 신호를 접수하고 이를 분석하며, 미리 할당된 작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문자열이 입력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computer system capable of inputting Japanese using Roman charac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operates a specific key assigned to the Roman characters on the
Microsoft Windows (등록상표) IME 와 같은 로마자-카나(かな)변환 프로그램(12)은, 로마자를 일본어의 카나 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로마자-카나(かな)변환 테이블을 보유하고 있으며, 상기 테이블에 따라, 입력된 로마자를 일본어 카나 로 변환시킨다.The Roman-
상기 키보드(14)에서 전달된 단수 혹은 복수의 키코드는, 필요시 컴퓨터(11)의 키코드 변환 프로그램(13)에 의해 미리 지정된 특정 키코드로 변환이 되며, 그 후, 로마자-카나(かな)변환 프로그램(12)(일본어 변환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로마자-카나(かな)변환 테이블에 따라서, 카나 로 변환되어 최종 입력된다. 입력된 결과는 컴퓨터(11)와 연결된 모니터(10)에 표시된다.The singular or plural keycodes transmitted from the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판의 기본키코드의 배열을 보여주는 배치도이다. 우선, 키보드 자판을 좌수(왼손)영역과 우수(오른손) 영역으로 나누었으며, 예를 들어 우수영역를 기준으로 했을 때, 만일 같은 우수 영역을 지칭할 경우는 '동측', 그리고 반대편인 좌수 영역을 지칭할 경우는 '반대측'으로 지칭하도록 하였다.3 is a layout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basic key codes of a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keyboard keyboard is divided into left-handed (left hand) area and right-handed (right hand) area. For example, when referring to the same good area, if it refers to the same good area, it refers to the 'east' and the opposite left area. In case of doing so, it is referred to as 'the opposite side'.
기본 모음(a,i,u,e,o)은 좌우 대칭 구조가 되도록 각각 좌우에 배열하였는데, e 를 제외하고는 종래의 로마자 입력 자판의 위치에서 해당 모음을 찾을 수 있다. 자음은 가능한 기존 로마자 입력자판의 배열을 보존하면서 일부가 변경되었는데, r,w 를 제외하고는 기존 로마자 자판의 위치와 동일하다. r 은 발음이 유사한 L 자리에 있고, w 는 한칸 옆으로 이동한 것으로서 익히기 쉽다.The basic vowels (a, i, u, e, o) are arranged to the left and right to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except for e, the vowels can be found at the position of the conventional Roman input keyboard. The consonants have changed in part, preserving the possible arrangement of existing Roman input keyboards, except for r and w, which are identical to the positions of existing Roman keyboards. r is located at the L position with a similar pronunciation, and w is moved to the side by one, which is easy to learn.
또한 추가된 키로는 특수키(S1, S2)와 nn(ん) , xtu(촉음 っ) 을 추가 하였다. 특수키는 외래어 및 의성어 등에 자주 사용되는 특수한 요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nn(ん) 키와 xtu키는 한 타로 각각 'ん' 과 촉음 'っ' 을 입력할 수 있는 키이다.In addition, special keys (S1, S2), nn (ん), and xtu (tactile っ) were added. The special key serves to input a special note that is frequently used in foreign words and onomatopoeia. The nn (ん) and xtu keys are used to enter 'ん' and tac 'っ' respectively.
또한, 특정 자판에는, 기본 키코드 뿐 아니라, 다른 키코드를 할당된다. 본 발명을 기술함(청구항 포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복수의 키코드가 할당된 키 혹은 자판을 소위 "다중키"로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본키코드를 기준으로, w, z, s, x, d, t, g, b, y, h, n, m, k, r, p, S1 ,S2, 、(쉼표), 。(마침표), ?(점) 이 배치된 키를 다중키로 설정하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중키는, 반대편의 미리 지정된 특정 자음키 입력에 연이어 입력되면 기본 키코드가 아닌 다른 키코드가 입력되는데, 상기 미리 지정된 특정 자음키는 w, s, z, d, t, g, b, y, h, n, m, k, r, p 이다. 상기 다중키는 상기 좌수 와 우수 영역에 이중으로 배치하여, 키보드상의 어느 위치의 자음키를 누르던지, 교호타건으로 특정 문자열을 입력할 수 있다. 이중으로 배치하였다는 것은, 예를 들어, 좌수 영역에 배치된 단수 혹은 복수의 다중키를 우수 영역에도 동일하게 혹은 이와 유사하게 또 다시 배치하였다는 것을 지칭한다.In addition, not only the basic keycode but also another keycode is assigned to a specific keyboar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claims), a key or keyboard to which a plurality of key codes are assigned in this way is referred to as a "multi-key". In this embodiment, w, z, s, x, d, t, g, b, y, h, n, m, k, r, p, S1, S2, ... (comma) ),。 (Period) and? (Dot) are set to multiple key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multi-key is consecutively inputted on the opposite side of a predetermined specific consonant key input, a key code other than the default key code is input. The predetermined specific consonant key is w, s, z, d, t, g, b, y, h, n, m, k, r, p. The multi-key can be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regions twice, so that a specific character string can be input by alternating keys, regardless of which consonant key is pressed on the keyboard. By dual arrangement, for example, means that the singular or plural multiple keys arranged in the left-hand area are identically or similarly arranged again in the even area.
예를 들어, 우수 영역에 속하는 자음키인 p 를 누르면 이와 반대측, 즉 좌수 영역의 다중키중 하나인 s키는 you 로 키코드 테이블이 변환된다. 이를 좀더 자세히 기술하면 아래와 같다.For example, pressing p, the consonant key belonging to the even region, converts the keycode table to you on the other side, that is, the s key, which is one of the multiple keys in the left-hand region. This i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마자를 활용한 일본어 입력 프로세스의 자세한 흐름도이다. 키보드 상의 특정 자음키가 눌러지면(S21), 당해 자음키의 자음 키코드가 입력되며, 그후 본 프로세스는, 당해 특정 자음키가 단독으로 눌러진 것인지, 아니면 특수키 입력이 선행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2). 만일 특수키에 연이어 자음키가 눌러진 것이라면, 컴퓨터에 설치된 키코드 변환 프로그램은, 반대측 다중키의 키코드 테이블을 표1에 정리한 바와 같이, 제3 키코드 테이블에 따라 변환 설정하고(S24), 스텝 25로 진행한다. 만약 상기 특정 자음키가 특수키 입력이 선행되지 않고 단독으로 눌러진 것이라면, 반대측 다중키의 키코드는 표1과 같이, 제2 키코드 테이블에 따라 변환 설정된다(S23). 반대측이라함은 S21에서 눌러진 특정 자음키가 우수 영역인지 좌수 영역인지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그후 프로세스는, 연이어 모음키 혹은 반대측 다중키가 눌러지는지를 판별하며 대기하는데, 만일 모음키가 눌러지면(S25), 당해 모음키에 해당하는 키코드가 발생하고(S29), 일본어 변환 프로그램에 의하여 로마자-카나 변환 테이블에 따라서 해당 일본어로 변환되어 입력된 후, 스텝 28로 진행한다. 만일 반대측 다중키가 눌러진다면(S26), 변환된 키코드 테이블(제2, 혹은 제3)에 따라 변환된 키코드가 발생된다(S27). 그후에는, 역시 일본어 변환 프로그램에 의하여 일본어로 변환되어 입력되며, 반대측 다중키의 키코드는 원래의 키코드(기본 키코드) 로 복귀한다(S28). 만일 모음키, 반대측 다중키가 모두 눌러지지 않은 상태라면, 프로세스는 스텝25로 복귀하여, 키 입력 여부를 감시하며 대기한다.6 is a detailed flowchart of a Japanese input process utilizing Roman charac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pecific consonant key on the keyboard is pressed (S21), the consonant key code of the consonant key is input, and then the process determines whether the specific consonant key is pressed alone or if a special key input has been preceded ( S22). If the consonant key is pressed consecutively to the special key, the keycode conversion program installed in the computer converts and sets the keycode table of the opposite multi-key according to the third keycode table as shown in Table 1 (S24). Proceed to step 25. If the specific consonant key is pressed alone without being preceded by a special key input, the key codes of the opposite multiple keys are converted and set according to the second key code table as shown in Table 1 (S23). The opposite side is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specific consonant key pressed in S21 is an excellent region or a left-hand region. The process then waits for successively determining whether the vowel key or the opposite multiple key is pressed. If the vowel key is pressed (S25), a key code corresponding to the vowel key is generated (S29), and the Japanese conversion program is executed. After the Japanese characters are converted and input according to the Roman-Kana conversion tabl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8. If the opposite multiple key is pressed (S26), the converted keycod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onverted keycode table (second or third) (S27). After that, Japanese is also converted and inputted by the Japanese conversion program, and the key codes of the opposite multiple keys are returned to the original key codes (basic key codes) (S28). If neither the vowel key nor the opposing multiple key is press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25, where it waits for the key input.
본 발명의 기술(記述)에 있어서(청구항 포함), 본래 혹은 기본 키코드라함은, 제2, 제3 키코드 처럼 특정 조건하에서 변경되는 키코드가 아닌, 디폴트(default) 상태에서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키코드를 말한다. 표1은 다중키의 기본 키코드와 제2, 제3 키코드 테이블의 내용을 정리하였다. 단, 예를 들어, k 로 표시된 키코드는, 엄밀하게는, k 가 아니고, 해당 '키코드가 컴퓨터로 전달되면 k 가 입력되도록 미리 지정된' 어떤 특정한 키코드를 의미하겠지만, 편의상 k 로 표시하고, 기술한다(기타 자판 포함). 또한, S1, S2키는 실제로 'S1', 'S2' 가 입력되는 것이 아니며, S1, S2에 해당하는 지정된 특정 키코드가 발생함을 의미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claims), the original or default keycode is basically set in a default state, not a keycode that is changed under specific conditions, such as the second and third keycodes. Say the keycode. Table 1 summarizes the basic keycodes of the multiple keys and the contents of the second and third keycode tables. However, for example, a keycode indicated by k is not strictly k, but rather means a particular keycode that 'predefines k to be entered if the keycode is passed to the computer', but for convenience, denoted by k, Describe (including other keyboards). In addition, the S1 and S2 keys are not actually 'S1', 'S2' is input, it means that a specific specific key code corresponding to S1, S2 is generated.
이상의 내용을 좀더 일반화하여 기술하면, 우선, 모음키를 조작시에는 상기 조작에 미리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된다. 또한, 미리 지정된 특정 자음키 조작에 연이어, 당해 자음키와는 반대편의 다중키를 조작하면, 상기 특정 자음키 조작에 할당된 문자열의 입력에 연이어, 상기 다중키의 제2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 입력된다. 예를 들어, s 키를 단독으로 탭하면, 기본 키코드인 s 가 입력된다. 그러나 반대편 자음에 연이어 입력되면, 제2키코드인 you 가 입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은 키를 누르는(press) 것으로 기술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키보드는 화면상에 표시된 키보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키를 누르는 조작은 탭(tap)이며, 이뿐 아니라 다양한 제스쳐(gesture)를 포함한다. 상기 제스쳐는 슬라이드 혹은 플릭 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 플릭, 탭 은, 오래전에 상용화 된 기술로서, 각각의 의미를 기술하지는 아니한다.To make the above description more general, first, when a vowel key is operated, a character string previously assigned to the operation is input. Further, following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consonant key operation, if a multiple key opposite to the consonant key is operated, the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second key code of the multi-key following the input of the string assigned to the specific consonant key operation Is entered. For example, tapping the s key alone enters the default keycode s. However, if the consonants are entered consecutively, the second key code, you, is entered. 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is described as pressing a key.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the keyboard may be a keyboard displayed on the screen, in which case the operation of pressing a key is a tap, as well as including various gestures. The gesture includes a slide or flick. The slides, flicks, and tabs have been commercially available for a long time and do not describe their meanings.
단, S1*, S1* 는 해당 특정 키코드 발생However, S1 * and S1 * generate the specific keycode
다시 정리하면, 미리 지정된 특정 자음키가 눌러지면, 반대측 다중키의 키코드 테이블이 변환이 되는데, 당해 자음키가 단독으로 눌러지면, 제2키코드로, 특수키에 연이어 자음키가 눌러지면 제3키코드로 변환된다.In other words, when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consonant key is pressed, the key code table of the opposite multiple key is converted. When the consonant key is pressed by itself, the second key code is used as the second key code. 3 Keycodes are converted.
제2키코드 테이블의 배치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기본모음(a,i,u,e,o)은 다중키가 아니므로 변동이 없으나, 편의상 함께 표시한다. 그 결과, 사용자 입장에서는, 특정 자음을 누른 후 반대측의 무려 15개에 달하는 키중 하나를 선택하여 누르면 되는데, 기본 모음은 물론이고, 요음(소문자 ゃ, ゅ, ょ) 를 한 타로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요음을 포함하는 특정 문자열 (ょう, ゅう, ャ-, ュ-, ョ-) 또한 한 타로 일괄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모음이 연달아 입력되는 연(連)모음(이중모음)중에서도 출현빈도가 높은 ai, ou 를 일괄 입력한다.The arrangement of the second key code table is as shown in Fig. 4, and since the basic bar (a, i, u, e, o) is not a multi-key, there is no change, but is displayed together for convenience. As a result, the user can select one of 15 keys on the opposite side after pressing a specific consonant. In addition to the basic vowel, the user can enter the main sound (lowercase letters ゃ, ゅ, ょ) in one strok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llectively input a certain character string (요 う, ゅ う, ャ-, ュ-, ョ-) containing the yo-yo. In addition, ai and ou with a high frequency of occurrence are also collectively inputted among vowels (double vowels) in which vowels are successively input.
예를 들어, 우수 영역인 p 를 누르고 좌수영역 s 를 연이어 누르면, 컴퓨터에서는 pyou 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여, 일본어 변환 프로그램 에서는 ぴょう 로 변환입력되며, 그 결과가 화면에 표시된다. 반대로 좌수 영역인 z 를 누르고 우수영역인 k 를 연이어 입력하면 zyuu 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여 じゅう 가 입력되어 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yy 는 y 로 인식하는데, 예를 들어, y를 누르고 s 를 누르면 yyou 즉 you 가 입력 된 것으로 인식하여, よう 가 입력된다. 대문자 や, よ, ゆ, よう, ゆう, ヤ-, ヨ-, ユ- 는 y 를 누른 후, 해당하는 좌측 다중키를 누르면 입력이 되며, 또한 종래의 로마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해도 된다. 예를 들어, よう 를 입력할 경우, 종래의 로마자 입력 방식으로 y, o, u 를 입력해도 되고, 본 방식대로 y,s 혹은 y,z 를 입력하면 된다. あ행으로 시작하는 あい, おう 는 종래의 로마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한다. しゃ, しょ, しゅ 와 같이, 소문자 요음을 포함하는 문자열 입력시, 종래의 로마자 입력 방식처럼 y를 사용하여 입력하지 않고, 본 발명의 방식으로 입력한다. 예를 들어 しゃ 는 s,y,a 로 입력하지 않고, s, m 으로 입력한다.For example, if p is pressed and the left-handed area s is pressed in succession, the computer recognizes that pyou has been entered, and the Japanese conversion program converts it to Japanese, and the resul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n the contrary, if you press z, which is the left-hand area, and enter k, which is the even area, consecutively, zyuu is recognized as input and じ ゅ う is displayed on the screen. Also, yy is recognized as y. For example, if y is pressed and s is pressed, yyou, that is, you are entered, and よ う is entered. Capital letters や, よ, ゆ, よ う, ゆ う, ヤ-, ヨ-, ユ-can be entered by pressing y and then pressing the corresponding left multi-key, or may be input by a conventional Roman input method. For example, in the case of inputting よ う, y, o, u may be input by a conventional Roman input method, and y, s or y, z may be input according to this method.あ い and お, starting with line あ, are entered using the conventional Roman input method. When inputting a character string including lowercase consonants, such as し ゃ, し, し ゅ, the input is performed us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using y as in the conventional Roman input method. For example, し ゃ is entered as s, m, not s, y, a.
또한 소문자를 단독으로 입력시에는 x 를 활용하여 종래의 로마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한다. 기본모음(a,i,u,e,o) 은 다중키가 아니므로, 좌우수 어느 영역의 키이건 자유롭게 사용자 편의에 따라 입력하면 된다.In addition, when inputting a lowercase letter alone, x is used in a conventional Roman input method. Since the basic vowels (a, i, u, e, o) are not multi-keys, the keys of any of the left and right areas can be freely input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그 결과, 종래의 로마자 입력 자판의 기본 배치를 가능한 유지하면서도, 카나(かな) 를 모두 좌우수 교호타건으로 입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요음 및 '요음을 포함하는 특정 문자열', 특정 연모음 을 한 타로 일괄 입력 하되, 교호타건으로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자음을 입력한 후, 마치 반대측에 무려 15개의 특수한 모음키가 배치되어 있다는 감각으로 효율적으로 일본어를 입력 할 수 있다.As a result, while maintaining the basic layout of the conventional Roman input keyboard as much as possible, it is possible to input both kanas as left and right alternating keys, as well as to create a specific string including a note, 'a certain string including the note', You can enter the tarot as a batch, but you can enter it as an alternation. Therefore, after inputting consonants, the user can efficiently input Japanese in the sense that 15 special vowel keys are arranged on the opposite side.
다음으로 특수키에 대하여 기술한다. 특수키(S1, S2)는 특수 요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외래음키'로 알려져 있는 키이다. 상술 한 바와 같이 특수키에 연이어 특정 자음을 누르면 반대측 다중키의 키코드는 제3 키코드로 변환되며, 그 배치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다. 기본모음(a,i,u,e,o)은 다중키가 아니므로 변동이 없으나 편의상 함께 표시한다. 제3키코드는 제2 키코드 중에서, you, yuu, ai, ou 를 삭제하고 대신 외래어나 의성어 등에서 자주 등장하는 a-, i-, e-, o- 를 배치하여, 장음(-)을 포함하는 특수요음을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くぅ- 와 같은 u- 를 사용하는 특수요음은 사용례가 적어 u- 는 제외하였다. S1 키를 활용한 특수요음 입력예를 표3에 정리 하였다(장음 포함 요음키는 테이블 기재 생략).Next, the special key will be described. The special keys S1 and S2 allow input of a special note, and are generally known as 'foreign key'. As described above, when a specific consonant is followed by a special key, the key code of the opposite multiple key is converted into a third key code, and the arrangement thereof is as shown in FIG. Since the basic vowels (a, i, u, e, o) are not multiple keys, they do not change but are displayed together for convenience. The third key code deletes you, yuu, ai, and ou among the second key codes, and instead, a-, i-, e-, and o- which frequently appear in foreign words or onomatopoes are placed to include a long sound (-). Special notes can be easily entered. Special sounds that use u- like く 가-are rarely used, so u- is excluded. Examples of special note input using the S1 key are summarized in Table 3 (note keys with long notes omitted).
대부분 S1를 1회 누른 후, 특정 자음을 누르면 되지만, と, ど 로 시작하는 특수요음의 경우에는 S1을 2회 누른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보면 표3과 같이, S1, k, a 를 연달아 누르면 くぁ 가 입력되도록 일본어 변환 프로그램의 로마자-카나 변환 테이블에 등록 설정한다.Most people press S1 once and then press a specific consonant, but for special notes beginning with と, ど press S1 twice. As a specific example, as shown in Table 3, when S1, k and a are pressed in succession, registration is set in the Roman-Kana conversion table of the Japanese conversion program so that く ぁ is inputted.
t* 와 d* 는 S1키를 2회 누른다.t * and d * press the S1 key twice.
표4는 장음을 포함하는 특수요음 입력예를 일부 정리하였다. 예를 들어, S1, k, s 를 연달아 누르면, S1, k, o- 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며, 일본어 변환 프로그램에서 くぉ- 로 변환하여 최종 입력된다.Table 4 summarizes some examples of special note input including long sound. For example, when S1, k, and s are pressed in succession, S1, k, and o- are recognized as input, and the Japanese conversion program converts to Ku- and finally inputs them.
S2를 사용하는 특수요음은 표5에 정리 하였으며, 주로 き, し, ち 와 같이, い 단으로 시작하는 요음 입력에 요긴하게 활용된다. 역시 S2를 1회 누른 후 특정 자음을 누르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S2 를 2회 누르면 つ 로 시작하는 특수요음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2 2회, t, o 를 누르면 つぉ 가 입력된다. 장음기호(-)를 포함하는 요음은 S1을 활용한 입력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입력이 가능하다.The special sounds using S2 are summarized in Table 5, and are mainly used for input of note sounds beginning with い, such as き, し, ち. Also, S2 is pressed once and then a specific consonant is pressed, but S2 is pressed twice to enter a special note starting with つ. For example, if you press t, o twice in S2, つ ぉ is entered. The sound containing the long sign (-) can be input in the same way as the input method using S1.
t* 는 t 를 S2키를 2회 누른다.t *
상기 표에서는, 일상적으로 거의 사용하지 않는 특수요음까지도 가능한 모두 포함시키도록 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예를 들었을 뿐이며, 실제로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주로 많이 사용하는 특수요음을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드시 특수키를 별도로 추가 설정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입력되는 자음과 동측의 특정 자음을 특수키 역할을 하도록 지정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좌수 영역에는 s , 우수 영역에는 r 을 특수키로 지정하고, 예를 들어 d,s,a 를 연달아 누르면 どぁ 가 입력되고, k,r,a 를 연달아 누르면 〈ぁ 가 입력되는 방식이다.In the above table, it is included to include all the special sounds that are rarely used on a daily basi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n practice, it is preferable to arrange and use special sounds that are frequently us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Also, it is not necessary to additionally set special keys.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ate a specific consonant on the ipsilateral side of the input consonant to serve as a special key. For example, specify s in the left-hand area and r in the even field as a special key.For example, if you press d, s, a consecutively, ど ぁ is input, and if you press k, r, a consecutively, 〈ぁ is entered. to be.
이상의 결과, 기본 모음, 요음 및 '요음을 포함하는 특정 문자열', 특정 연모음 을 한 타로 일괄 입력 할 수 있으며, 이는 좌우 대칭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자음키가 좌수영역이건, 우수영역이건 따로따로 자판배치를 암기할 필요 없이, 동일한 감각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좌우수 교호타건으로 입력가능하다는 큰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로마자 입력 자판의 기본 형태를 가능한 유지하였으므로, 사용자는 완전히 새로운 자판을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적은 학습으로도 본 발명의 입력 방식에 쉽게 익숙해 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기타 입력방법은 종래의 로마자 입력자판과 동일하다.As a result, the basic vowel, the rhythm, the 'specific string including the yo' and the specific vowel can be entered in one stroke, and it has a symmetrical structure, so that the consonant key is either left-handed area or excellent area. It is possible to input in the same sense without having to memorize the layout, and they all have a big feature that they can be input by right and left alternating keys. In addition, since the basic form of the conventional Roman input keyboard is maintained as much as possible, the user may easily memorize the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little learning, rather than memorizing a completely new keyboard. Other input method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conventional Roman input keyboard.
이상의 입력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들어보면, 표 6에 정리한 바와 같으며, 예를 들어, 巧妙 (こうみょう) 를 종래의 로마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할 경우, 총 7타 중 우수 타건수가 7타로서 모든 타건이 우수연속타건으로 이루어져 매우 불편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좌수 영역의 모음키를 활용함으로써, 총 타수 4타, 우수 타수 2타로서, 총 타수가 크게 감소하였을 뿐 아니라, 좌우수 교호타건으로 매우 쉽게 입력이 가능하다.As a specific example of the above input method, it is as summarized in Table 6. For example, when 巧妙 (こ う み ょ う) is input by the conventional Roman input method, the number of excellent hits in a total of 7 hits is 7 It is very inconvenient that all the keystrokes are made of excellent consecutive keystrokes.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tilizing the vowel keys in the left hand area, the total number of strokes is significantly reduced as a total of 4 strokes and 2 excellent strokes, and it is very easy to input the left and right alternate keys.
단, 1. 괄호안은 타수(우수타수/총타수)(1) The number in parentheses is good at bats
2. k i k o k u * 및 m i n i k u i *: 좌수영역 모음 활용시2. k i k o k u * and m i n i k u i *: When using left-hand collection
이상의 실시예에서, 요음 및 '요음을 포함하는 특정 문자열' (ょう, ゅう, ャ-, ュ-, ョ-) 및 연모음을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적절히 배치하였으나, 하나의 예를 든 것일 뿐, 다양한 문자열을 다양한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you, yuu 를 따로 배치하지 않고, 각각 yo-, yu- 와 같은 자판에 배치하였다. 히라가나 입력모드에서, 혹은 히라가나로 변환시에는 각각 you 혹은 yuu 가 입력되고, 가타카나 입력모드에서, 혹은 변환시에는 각각 yu- 혹은 yo- 가 입력된다(흐름도 생략). 이는 you, yuu 는 주로 히라가나 입력시 많이 사용되고, yu-, yo- 는 주로 가타카나 입력시 많이 사용되는 점을 편리하게 활용한 것이다. 그 대신 남는 자판 공간을 활용하여, 연모음을 추가로 배치가능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ei, uu 를 추가배치하였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ound string and 'specific string including the sound' (ょ う, ゅ う, ャ-, ュ-, ョ-) and the vowels are properly arranged so as to efficiently input the rhythm. It is only possible to place various strings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you and yuu are not disposed separately, but are arranged on a keyboard such as yo- and yu-, respectively. In hiragana input mode or when converting to hiragana, you or yuu are input respectively, and in katakana input mode or when converting, yu- or yo- is input respectively (flow is omitted). You and yuu are mainly used for entering hiragana, and yu- and yo- are mainly used for typing Katakana. Instead, the remaining vowel space can be further utilized by utilizing the remaining keyboard space. In this embodiment, ei and uu are additionally arranged.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기본모음키(a,i,u,e,o)를 좌우 대칭이 되도록 재배치 하였으나, 종래의 로마자 입력 자판의 모음배치를 그대로 두고, 나머지 자판을 활용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다중키의 키코드를 컴퓨터에 설치된 키코드변환 프로그램에서 변환하였지만, 키보드에 설치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아예 키코드를 변환하여 발생 시킨다거나, 혹은 키코드 자체는 변화가 없지만, 일본어 변환 프로그램을 설정하여 본래와는 다른 카나 문자열이 입력되도록 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상의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basic vowel keys (a, i, u, e, o) have been rearranged to be symmetrical,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rest of the keyboard while leaving the vowel arrangement of the conventional Roman input keyboard. In the above embodiment, the key code of the multiple keys is converted by a key code conversion program installed in the computer, but the microprocessor installed in the keyboard generates the key code by converting it at all, or the key code itself is not changed, but the Japanese conversion is performed. The same effect as the above embodiment can be obtained in various ways, such as by setting a program so that a different kana character string is input.
이상 종래의 컴퓨터 키보드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서의 키보드 자판이라 함은 독립된 기계적 키보드에 제한되지 않으며, 각종 노트북, PDA, table PC, 스마트폰 등 각종 정보처리 장치 즉 단말기에 있어서, 키보드 방식으로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는 제반 입력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Although a conventional computer keyboard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e keyboard keyboar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n independent mechanical keyboard, and in various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such as various notebooks, PDAs, table PCs, smartphones, or the like, a keyboard It includes all the input devices that can input Japanese in a manner.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컴퓨터와는 달리, 협소한 화면상의 자판공간으로 인하여, 10 손가락을 모두 사용하지 않고, 통상 양 엄지 손가락으로 입력을 하게 되어, 동수(同手)타건뿐 아니라 동지(同指) 타건을 많이 요한다. 예를 들어, みゅう(myuu)의 경우, 우수 엄지 동수(同手) 동지(同指) 타건 연속 4타가 되어 입력이 매우 어렵지만, 본 발명을 활용한다면 m,d 를 누르면 되므로, 교호 타건 2타로 간단히 입력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unlike a computer, due to the narrow space on the screen, the user does not use all 10 fingers, but usually inputs with both thumbs. But it also requires a lot of comrades. For example, in the case of myuu, it is very difficult to input four consecutive even-matched comrades in a row, but if you use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press m, d. Input is possible.
일실시예에 의하면, 도 8, 9, 10에 도시한바와 같이, tablet PC 와 같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상의 자판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활용가능하다. 이 경우, 도2에서 제시한 컴퓨터 시스템은,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일체형 컴퓨터 혹은 단말기에 해당한다. 또한, 도2의 키보드는,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화면상 자판에 해당되며, 도2의 모니터는 터치스크린에 해당된다. 또한 도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단말기는 CPU(중앙연산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CPU에 의해서 구동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과 각종 응용 프로그램 등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작동하고 있다. 여기에는 본발명의 일본어 입력자판에 연계된 '일본어 입력 응용 프로그램' 이 포함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로마자-카나(かな)변환 프로그램과 키코드 변환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상기 '일본어 입력 응용 프로그램'은, 오퍼레이팅 시스템과 협력하여, 키보드상의 키를 단독으로 혹은 다수의 키 조합에 의하여 조작시 발생하는 신호를 접수하고 이를 분석하며, 미리 할당된 작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문자열이 입력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키의 '조작'은 단순히 한 번 누르는 '탭(tap)' 뿐 아니라, 슬라이드(slide)나 플릭(flick)과 같은 각종 제스쳐를 포함하며, 이는 단독 조작뿐 아니라, 예를 들어, 다른키를 길게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조작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9, 10, in the keyboard on the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such as a tablet PC, it can be utilized in almost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is case, the computer system shown in Fig. 2 corresponds to one integrated computer or terminal in this embodiment. In addition, the keyboard of FIG. 2 corresponds to a keyboard o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and the monitor of FIG. 2 corresponds to the touch screen. In addition, as in the case of Figure 2, th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not shown) including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the software program such as an operating system (operating system) and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driven by the CPU It's working. This includes a "Japanese input application program" associated with the Japanese input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Roman-Kana conversion program and a key code conversion program. The Japanese input application program, in cooperation with the operating system, receives and analyzes signals generated when operating keys on the keyboard alone or by a plurality of key combinations, analyzes them, and performs preassigned tasks. Performs a function to input a specific string desired by the user. The 'manipulation' of the key includes not only a single tap, but also a variety of gestures such as slides and flicks. It includes the operation performed in the state pressed and held.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본 실시예의 특이점을 기술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종래의 로마자 자판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한 것이 특징이다. 자판내용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빈 자판은 스페이스, 엔터키, 기호전환 등, 각종 기능키이다. 촉음(っ)은 같은 자음(단, y, n 제외)을 연달아 2번 눌러서 입력하며(예: tt), ん 은 nn 으로 입력한다(로마자 입력방식과 동일). 도9는 제2 키코드의 배치도이며, x 를 제외한 자음이 눌러지면 반대편 다중키는 제2키코드로 변환된다. 종래의 로마자 자판상 "원래위치"(도1에 도시한 위치)의 기본 모음(a,i,u,e,o)은 키코드의 변동이 없지만 편의상 함께 표시한다. 도9는 밑줄친 e, i 를 제외하고는 좌우 대칭이다. 제3 키코드는 별도로 제공하지 않는다. 특정 자음에 연이어 입력할 경우, e,i 는, 종래 로마자 입력자판상 원래 위치의 자판을 활용해도 되고, 본 발명에 의한, 반대편 제2 키코드에 의하여 제공하는 자판을 활용해도 된다. 또한, yu-, yo- 는 카타카나 입력모드 혹은 키타카나로 변환시에는 yu-, yo- 로 일괄입력되지만, 히라가나 입력시에는 각각 yuu, you 로 일괄입력된다. 그 결과, 예를 들어 도10과 같이, 우수엄지로 k(동그라미 표시)를 누르면(탭하면), 반대편 즉 좌수 영역의 다중키의 키코드테이블은 제2키코드로 변환이 되어, 마치 무려 13 개의 모음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는 감각으로 원하는 문자열을 간단히 단 1타로 일괄입력이 가능하다. 제2키코드의 내용은 처음 연습과정에는 화면에 표시하다가 익숙해지면 외워서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히라가나 모드에서, k, f 를 연달아 누르면 きゅう 가 일괄입력되며, 카타카나로 변환하면 キュ- 가 입력된다. 외래음(특수요음)은 S1, S2키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또다른 입력방식을 제공하는데, 예를 들어, k 를 길게 누른 상태(탭하고 릴리스 하지 않은 상태)에서 a 를 누르면, a 대신 wa 가 입력된다. 그 결과, 단말기에서는, k, wa 의 키코드가 발생하여, 일본어 변환 프로그램에 의하여 くぁ 가 입력되는 방식이다. 즉 자음키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키를 누르면, 해당 순열에 따라서, 미리 지정된 외래음이 입력된다. 이는 타수를 줄일 수 있을 뿐아니라, 상기 S1키 기능을 보완하여 더욱 편리하게 특수요음(외래음)을 입력할 수 있다.The singularity of this embodiment different from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is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position of the conventional Roman keyboard is maintained as it is. Blank keyboards that do not display their contents are various function keys such as space, enter key, and symbol switch. The tactile sound (っ) is input by pressing the same consonant (except y and n) twice in succession (e.g. tt), and enter ん as nn (same as the Roman input method). Fig. 9 is a layout diagram of the second keycode, and when the consonants other than x are pressed, the opposite multiple keys are converted to the second keycode. The basic vowels (a, i, u, e, o) of the "original position" (the position shown in Fig. 1) on the conventional Roman keyboard are not displayed but are displayed together for convenience. 9 is symmetric except for underlined e, i. The third key code is not provided separately. When inputting consecutively to a specific consonant, e, i may utilize the keyboard of the original position on a conventional Roman input keyboard, or may utilize the keyboard provided by the opposite 2nd key code by this invention. In addition, yu- and yo- are collectively entered as yu- and yo- when converting to katakana input mode or kitakana, but yuu and you are collectively entered as hiragana. As a resul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when k (circle display) is pressed with an excellent thumb (tap), the key code table of the multiple keys on the opposite side, i.e., the left-hand area, is converted to the second key code. It is possible to input the desired string simply by one stroke in the sense that one of the vowel keys is selected. The contents of the second key cod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during the first practice, and then memorized and inputted. For example, in hiragana mode, when k and f are pressed in succession, キ ゅ う is collectively input, and when it is converted to katakana, キ ュ-is input. Foreign sounds (special sounds) can be input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mbodiment using the S1 and S2 keys. In the present embodiment, another input method is provided, for example, when a is pressed while pressing and holding k (without tapping and releasing), wa is input instead of a. As a result, in the terminal, key codes of k and wa are generated, and ku ぁ is input by the Japanese conversion program. That is, when another key is pressed while the consonant key is being pressed, a predetermined foreign sound is input in accordance with the permutation. This not only reduces the number of strokes, but also supplements the S1 key function to allow the input of a special note (external sound) more conveniently.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일괄 입력되는 문자열에 추가로 장음기호(-), ん, 촉음(っ) 이 연달아 입력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1, in addition to the character strings input in a batch, a long sound symbol (-), a sound, and a tactile sound っ may be provided in succession.
즉, 모음키 혹은 특정 다중키를 특정 제스쳐(gesture)의 형태로 조작시 입력되는 문자열은, 당해 모음키, 혹은 다중키를 탭 했을 때 입력되는 문자열뿐 아니라, 이에 연이어 추가로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로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은, 장음기호(-), 촉음(xtu;っ), nn(ん),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키코드 중에서, a,i,u,e,o,ya,yo,yu 의 8개 자판중 어느하나를 입력시, 탭(누르는)하는 기능 뿐 아니라, 플릭(flick) 혹은 슬라이드(slide)하는 기능이 지원된다. 상기 8개 자판에 있어서 제2키코드는, 단지 상기 자판을 탭하여서 발생하는 것만이 아니고, 슬라이드 혹은 플릭 에 의하여 발생하는 키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혹은 플릭 과 같은, 제스쳐의 특정 방식에 따라( 예컨대 특정 방향), 미리 할당된 특정 키코드가 입력된다. 특정 자판을 슬라이드 혹은 플릭하여 특정 문자열을 입력하는 기술 자체는 이미 상용화된 것이므로 상술하지 않는다. 또한 기본모음(a,i,u,e,o)은 상기 제2키코드의 위치뿐아니라, 원래 위치의 모음자판에 있어서도, 디폴트 상태(default)에서, 기본 키코드에, 탭 뿐 아니라, 슬라이드 혹은 플릭에 의하여 입력되는 키코드가 포함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a 키의 기본 키코드는 4 가지가 구비되며, 상기 키를 탭하면, a 가 입력되도록 할당하고, 상하 및 우로 슬라이드 (혹은 플릭)하면, 각각 a-, ann, axtu 의 키코드가 입력되도록 할당한다. 또한, c 키를 반대편 자음입력에 연이어 조작하면, 제2키코드가 입력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c 키를 단순탭시에는 yu 가 입력되고, 상하 및 우로 슬라이드 (혹은 플릭)하면, 각각 yu-, yunn, yuxtu 의 키코드가 발생하도록 키코드를 할당한다. 즉 이 경우, 제2키코드는 4가지가 구비된다. 단, 상기 yu- 는 카타카나 입력시의 경우이며, 히라가나 입력시에는 yuu 가 발생한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우수로 k 를 누른후, 좌수 손가락으로 a 자판에서 위쪽으로 플릭(flick) 혹은 슬라이드(slide)하면, 단말기에서는, ka- 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고, 일본어 변환 프로그램에서는 か- 로 변환하여 입력한다. 또한, k 를 누르고 a 자판에서 우측으로 플릭(flick) 혹은 슬라이드(slide)하면 kaxtu 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고 かっ 가 입력되며, a 자판에서 아래쪽으로 플릭(flick) 혹은 슬라이드(slide)하면 kann 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고 かん 이 입력된다. 또한 g 를 누르고(탭) m자판에서 우측으로 플릭(flick) 혹은 슬라이드(slide)하면 ぎょっ 이 입력되며, 만일 위쪽으로 플릭(flick) 혹은 슬라이드(slide)하면 ぎょう 가 입력되고, 만일 카타카나로 변환하면 ギョ- 가 입력된다. 상기 ギョ- 는, g, k 를 연달아 탭해도 입력가능하다.That is, a string input when a vowel key or a specific multiple key is manipulated in the form of a specific gesture is not only a character string input when the vowel key or a multiple key is tapped, but also a specific character string that is additionally input after this. In addition, the additional input specific character string includes at least one of a long sign (-), a tactile (xtu; っ), and nn (ん). Specifically, in the second key code, not only the function of tapping when pressing any one of the eight keyboards of a, i, u, e, o, ya, yo, and yu, but also flicks. Alternatively, the ability to slide is supported. In the eight keyboards, the second keycode is not only generated by tapping the keyboard, but also includes a keycode generated by a slide or flick, according to a specific manner of gestures such as the slide or flick ( For example, a specific direction), a predetermined key code assigned in advance is input. The technique of inputting a specific character string by sliding or flicking a specific keyboard is already commercially available and thus will not be described. In addition, the default bar (a, i, u, e, o) is not only the position of the second key code, but also the vowel keyboard of the original position, in the default state, the default key code, not only tabs, but also slides. Alternatively, it is preferable to set the keycode inputted by the flick. For example, four basic key codes of the a key are provided, and when the key is tapped, the a key is assigned so that a is inputted, and if the user slides up or down (or flicks) the key codes of a-, ann, and axtu, respectively, to be input. Assign. Further, when the c key is operated in succession to the opposite consonant input, the second key code is input. Specifically, when the c key is pressed, yu is input, and when the c key is slided up or down (or flick), respectively, Assign keycodes to generate keycodes of-, yunn, yuxtu. In this case, four types of second key codes are provided. However, yu- is a case of katakana input, and yuu occurs at hiragana input. As a result, for example, if k is pressed to even, then flicks or slides upward on the a keyboard with the left-handed finger, the terminal recognizes that ka- is input, and in Japanese conversion program かConvert to and enter. Also, if you press k and flick or slide to the right from a keyboard, kaxtu is recognized as input and か っ is entered. If you flick or slide down from a keyboard, kann is entered. It is recognized as being done and か ん is inputted. You can also press g (tab) and flick or slide to the right in the m keyboard to enter ぎ ょ っ, and if you flick or slide up, you will enter, う. When converting, the input is input. The channel can be input even if g and k are successively tapped.
그 결과, 예를 들어, くん 을 입력하려면, 종래 방식으로는 k,u,n,n 로서, 우수 동수 연속 4타를 요하지만, 본 방식에서는, k 를 누르고, r 자판에서 아래로 플릭, 혹은 슬라이드 하기만 하면 됨으로, 교호타건 2타(슬라이드도 한 타로 간주)로 간단히 입력가능하다.As a result, for example, to input く ん, k, u, n, n are conventionally required, and even four consecutive equal numbers are required. In this system, k is pressed and flicks down from the r keyboard. All you have to do is slide it, and you can simply enter it as two alternating guns.
그 결과, 특정 자음을 탭한 후, 상기 13개의 문자열을 교호타건으로 일괄 입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a,i,u,e,o,ya,yo,yu 의 8개 자판을 3가지 방향으로 플릭 혹은 슬라이드 하는 기능을 추가로 제공하여, 중복되는 3가지 (ya-, yu-, yo-)를 제외한 무려 21 (24 - 3 = 21)가지 입력옵션이 추가되어, 자음 하나에 연이어, 총 무려 34가지의 입력옵션을 제공하며, 이는 단 한 타로, 그것도 좌우 교호타건으로 입력 할 수 있다.As a result, after tapping a specific consonant, not only can the 13 character strings be alternately inputted in an alternate key, but also the eight keyboards of a, i, u, e, o, ya, yo, and yu in three directions. Flick or slide function is added, and 21 (24-3 = 21) input options are added except for three overlapping items (ya-, yu-, yo-). It offers 34 different input options, which can be entered with just one tare, even left and right alternated.
또한 상기 제2키코드의 내용을 단독으로 대문자로 입력하기 원한다면, c 자판을 활용가능하다. c 자판을 누르고 반대편 제2키코드를 입력하면, 해당 제2키코드의 일본어가 그대로 입력되도록 일본어 변환 프로그램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c 를 누르고 y 를 누르면, c, ou 가 입력되며, 일본어 변환 프로그램에서는 おう 로 변환입력한다. 만일 c, j 를 연달아 입력하면, ゆう 가 입력된다. ゆう 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y, u 혹은 y, y, u 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입력하는 방법도 가능하다.In addition, if you want to input the contents of the second key code in uppercase alone, c keyboard can be used. c When the keyboard is pressed and the second key code on the opposite side is input, the Japanese conversion program is set so that the Japanese of the second key code is input as it is. For example, if you press c and then y, c, ou is entered, and the Japanese conversion program converts it to お う. If you enter c and j consecutively, ゆ う is entered. A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a method of inputting a key code corresponding to y, u or y, y, u is also possible.
또한 상기 S1키를 길게 누르면, 본 발명의 입력방식이 불활성화되어, 종래의 로마자 방식으로 복귀하며, 또다시 상기 S1키를 길게 누르면 본 발명의 입력방식이 활성화되도록 설정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1 key is pressed for a long time, the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activated, and the method returns to the conventional Roman type method, and when the S1 key is pressed for a long time, the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t to be activated.
일실시예에서는, ai, ou 와 같은 이중모음(연모음)을, 특정 모음키상에서 슬라이드 혹은 플릭하는 방법으로 입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12와 같이, 예를 들어, o자판을 위로 슬라이드 하면 oi 가 입력되고, 우측으로 슬라이드하면 ou 가 입력되는 방식이다. 이는 제2키코드로 변환된 a,i,u,e,o 자판 뿐 아니라, 종래 로마자 입력 자판의 원래 위치에서도 활용가능하므로, 특정 자음에 연이어 좌우교호타건으로 입력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a double vowel (a soft vowel), such as ai, ou, can be set to be input by sliding or flicking on a specific vowel ke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when the o keyboard is slid up, oi is input, and when it is slid right, ou is input. This can be used not only in the a, i, u, e, o keyboard converted to the second key code, but also in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conventional Roman input keyboard, so that it can be input by left and right alternating keys following a specific consonant.
또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도 12와 같이, 특수요음을 슬라이드(혹은 플릭)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모음키 혹은 다중키를 특정 제스쳐의 형태로 조작시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은, 당해 모음, 혹은 다중키를 탭 했을 때 입력되는 문자열뿐 아니라, 이에 추가로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로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은, s, h, y, w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추가로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은, 당해 모음, 혹은 다중키를 탭 했을 때 입력되는 문자열에 앞서서 입력된다. 즉 특정 자음을 탭한 후, 반대편의 모음키(원래의 위치, 혹은 제2키코드)에서 슬라이드 (혹은 플릭)하면, 상기 자음키코드에 연이어, 특수요음을 입력할 수 있는 미리 지정된 특정 키코드가 입력된다. 예를 들어, t 를 누르고, 반대편 i 혹은 S2 자판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드 혹은 플릭하면, t, hi 가 입력되어, てぃ 가 입력되며, 아래로 슬라이드 혹은 플릭하면 t, wi 가 입력되어, とぃ 가 입력된다. 즉 i 자판의 경우, 위,아래, 좌, 우로 슬라이드 (혹은 플릭)하면, 각각, si, wi, yi, hi 의 키코드가 발생된다. 이 또한 종래 로마자 입력자판의 원래 위치 뿐 아니라, 또한 제2키코드로 변환된 a,i,u,e,o 자판에서도 활용가능하므로, 특정 자음에 연이어 좌우교호타건으로 입력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12, a special sound may be input in a slide (or flick) manner. The specific character string input when the vowel key or multiple keys are manipulated in the form of a specific gesture includes not only a character string input when the vowel or multiple keys are tapped, but also a specific character string additionally inputted thereto. The specific string to be included includes any one of s, h, y, and w. In this case, the additionally input specific character string is input before the character string input when the vowel or the multi-key is tapped. In other words, after tapping a specific consonant, if you slide (or flick) from the opposite vowel key (the original position or the second keycode), a predetermined specific keycode that can input a special note following the consonant keycode is entered. Is entered. For example, if you press t and slide or flick to the right on the opposite i or S2 keyboard, t, hi is entered, て ぃ is entered, and if you slide or flick down, t, wi is entered, と ぃIs entered. That is, in the case of the i keyboard, when the user slides (or flicks) up, down, left, and right, key codes of si, wi, yi, and hi are generated. This can be used not only in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conventional Roman input keyboard, but also in a, i, u, e, and o keyboards converted to the second key code, so that it is possible to input a left and right alternate key following a specific consonant.
상기예에서는 옆으로 슬라이드(혹은 플릭) 하는 방식을 포함하였으나, 스마트폰과 같이 좌우 공간이 협소한 자판의 경우는, 위아래로 슬라이드(혹은 플릭) 하는 기능만을 활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의하면, 예를 들어, 도12의 경우, i 자판에 있어서, 상하로 슬라이드 (혹은 플릭)하는 방식만을 제공하고, 좌우로 슬라이드 (혹은 플릭)하는 방식은 삭제한다. 이 경우, 또다른 입력방식을 제공하는데, 특정자음을 길게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어떤 키(예를 들어 모음키)를 슬라이드 (혹은 플릭)하면, 상기 특정자음의 키코드뿐 아니라, 상기 슬라이드 (혹은 플릭)하는 방식에 따라서 미리 지정된 문자열이 연이어 일괄 입력되는 방식이다. 즉 특정키를 길게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키를 조작하면, 상기 특정키와 상기 다른키의 조작내용에 따라서, 당해 조합에 미리 할당된 특정 문자열이 입력되며, 상기 키 조작은, 단순탭 뿐 아니라 슬라이드 (혹은 플릭)와 같은 각종 제스쳐가 포함된다(흐름도 생략). 예컨대, 자음키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i 자판을 상하로 슬라이드 (혹은 플릭)하면, 상기 자음의 키코드에 연이어, 각각 hi, yi 가 입력된다. 그 결과, t 키를 누르고(릴리스 한 후), i 자판상에서 위 혹은 아래로 슬라이드 (혹은 플릭)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つぃ, とぃ 가 입력되지만, 상기 t 키를 길게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i 자판에서 위 혹은 아래로 슬라이드 (혹은 플릭)하면, 각각 てぃ, ちぃ 가 입력된다.In the above example, a method of sliding sideways (or flicking) is included. However, in the case of a keyboard having a narrow left and right space such as a smartphone, it may be set to utilize only a function of sliding up or down (or flick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or example, in FIG. 12, in the i keyboard, only the method of sliding up or down (or flick) is provided, and the method of sliding left or right (or flick) is deleted. In this case, another input method is provided. When a certain key (for example, a vowel key) is slid (or flicked) while pressing and holding a specific consonant, the slide (or flick) as well as the key code of the specific consonant According to the method, a predetermined string is input in succession. That is, when another key is operated while the specific key is pressed and held, a specific character string pre-assigned to the combination is inp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ents of the specific key and the other key, and the key operation is not only a simple tab. Various gestures such as slides (or flicks) are included (flow is also omitted). For example, if the i keyboard is slid (or flicked) up and down while the consonant key is being pressed, hi and yi are input in succession to the key code of the consonant, respectively. As a result, when the t key is pressed (after release) and the user slides up or down on the i keyboard (or flicks), as described above, Tsu and To are input, respectively, but the t key is pressed and held. , I slide (or flick) up or down on the keyboard to enter て ぃ and ち ぃ respectively.
일실시예에 의하면, 도13과 같이, 자음키를 활용해서 특수요음(외래음)을 입력할 수도 있다. 자음키를 특정 제스쳐의 형태로 조작시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은, 당해 자음과, 연이어 추가로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로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은, s, h, y, w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특정 자음키를 조작하면, 미리 지정된 특수요음을 입력할 수 있는 문자열의 키코드가 입력되고, 반대편 다중키는 제2키코드로 변환되며, 상기 키 조작은 슬라이드(혹은 플릭)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t 자판을 상하좌우로 슬라이드 (혹은 플릭)하면, 각각 ts, tw, ty, th의 키코드가 입력되어 각각 つ,と,て,ち로 시작하는 특수요음을 입력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반대편 다중키는 제2키코드로 변환된다. 구체적으로는, t 자판을 우측으로 슬라이드하고, s 를 누르면, 미리 지정된 th 와 i 가 각각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여, てぃ 가 입력된다. 만일 스마트폰과 같이, 좌우가 협소한 자판의 경우는, 좌우로 슬라이드 (혹은 플릭)하는 대신, S1,S2키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S1, t, i 를 누르면 ちぃ 가 입력되고, S2, t, i 를 누르면 てぃ 가 입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물론 S1키자체를 슬라이드 혹은 플릭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예컨대, S1 을 단순히 탭하고 t, i 를 탭하면 ちぃ 로 변환입력되며, S1 키에서 위로 슬라이드 (혹은 플릭)하고(S-up), t, i 를 탭하면, つぃ 로 변환입력되도록 일본어 변환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13, a special sound note (external sound) may be input by using a consonant key. The specific character string input when the consonant key is operated in the form of a specific gesture includes the consonant and a specific character string additionally inputted in succession, and the additionally input specific character string is any one of s, h, y, and w. It includes. Specifically, when a specific consonant key is manipulated, a key code of a character string capable of inputting a predetermined special note is input, and the opposite multiple key is converted into a second key code, and the key operation is a slide (or flick). Include. For example, if you slide (or flick) the t keyboard up, down, left, and right, the key codes of ts, tw, ty, and th are input, respectively, and you can enter special notes starting with つ, と, て and ち respectively. The opposite multiple key is converted into a second key code. Specifically, when the t keyboard is slid to the right and s is pressed, it is recognized that th and i specified in advance are input, respectively, and te is input. If the keyboard is narrow, such as a smartphon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S1 and S2 keys instead of sliding (or flicking) the left and right. For example, if S1, t, i is pressed, the text input is input, and if S2, t, i is pressed, the input is input. Of course, you can set the S1 key to slide or flick itself. For example, simply tap S1 and tap t, i to enter ち ぃ, slide up (or flick) the S1 key (S-up), tap t, i to convert to つ ぃ Japanese conversion You can set the program.
이와 같은 슬라이드 (혹은 플릭)기술은, 종래의 로마자 입력 자판에 그대로 활용한다면, 동수타건으로 인한 불편이 발생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좌우수 교호타건이 가능하므로 매우 효율적인 실시가 가능하게된다.If the slide (or flick) technology is used as it is in the conventional Roman input keyboard, inconvenience may occur due to the same number of shots, but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right and left alternating shots to be performed very efficiently.
상기 기술에 있어서, 슬라이드 (혹은 플릭)의 특정 방향을 기준으로 특정 문자열을 할당하여 입력하도록 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예를 든 것으로, 단독 혹은 조합에 의한, 어떠한 형태의 미리 지정된 제스쳐(gesture)에 따라서 특정 문자열이 입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In the above technique, although a specific character string is assigned and input based on a specific direction of a slide (or flick), this is one example, an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gesture of some form, alone or in combination. You can set a specific string to be entered.
상기 실시예에서는, 자음키를 누르면 제2타째에는 반대측 다중키의 키코드가 변환되도록 하였으나, 동측의 다중키의 키코드도 일부, 함께 변환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consonant key is pressed, the key code of the opposite multi-key is converted at the second other key, but the key code of the multiple key of the i-side may be set to be converted together.
좌우수를 번갈아 사용하여 입력하는 방식으로 미리 지정된 특정 문자열을 빠르게 일괄 입력할 수 있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14에 도시하였다. 로마자를 활용하여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는, 단말기의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에 있어서, 상기 자판상의 다수의 키를 좌수 와 우수 영역으로 구분설정하고, 미리 지정된 특정 자음키를 길게 누른 상태에서, 당해 자음키와는 반대편 키를 조작하면, 당해 자음에 연이어, 상기 반대편 키에 할당된 특정 문자열이 입력되도록 설정하고, 상기 특정 문자열은, 상기 좌수 와 우수 영역에 이중으로 배치한다. 즉, 어떤 자음키를 길게 탭하고(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반대편의 특정키를 탭하면, 당해 자음에 연이어, 상기 특정키에 미리 할당된 특정 문자열이 일괄 입력되며, 일본어 변환 프로그램에 의하여 일본어로 변환되어 최종 입력된다. 상기 특정 문자열은, 요음 및 '요음을 포함한 특정 문자열'이 포함되며, 구체적으로는, ya, yu, yo, ya-, yu-/yuu, yo-/you 를 자판에 배치하여 할당하되, 자판의 좌우에 이중으로 배치하였으며, 좌우 대칭이 되도록 배치하였다. 역시 상기 yu-, yo- 는 카타카나 입력시의 경우이고, 히라가나 입력시에는 yuu, you 가 입력된다. 예를 들어, k 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d 를 누르면, 단말기에서는 k, yuu 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며(히라가나 입력의 경우), 일본어 변환 프로그램에 의하여 きゅう 로 변환 입력된다. 또한, s 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o 를 누르면 しょ 가 일괄 입력된다. 외래어는 종래의 로마자 입력 방식 그대로 입력가능하다. 그 결과, 종래의 로마자 입력 방식에서 특히 타수가 많고 동수타건으로 인해 입력이 어려웠던 각종 요음 및 이를 포함한 문자열을 좌우수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단 2타로 매우 쉽게 입력할 수 있다. 역시 상기 자판의 특정 문자열은 좌우에 이중으로 배치되었을 뿐 아니라, 좌우 대칭구조로 배치되어 있어, 매우 쉽게 익히고 활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キュ- 를 입력하려면, 종래의 로마자 입력 방식에서는, 'kyu-' 를 입력해야 하므로 동수타건 연속4타이며, 누르기 특히 힘든 장음기호(-)가 포함되어 입력하기 어렵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히 우수로 k 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좌수로 d 를 누르기만 하면, きゅう 가 입력되고, 이를 카타카나로 변환하기만 하면 된다. 특정 키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키를 누르면, 미리 지정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자체는 컴퓨터 키보드에서 상용화된 기술이므로 상술하지 않는다.FIG. 14 show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specific predetermined character string can be quickly inputted in batches by alternately using left and right numbers. In a Japanese Roman input keyboard keyboard of a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Japanese by utilizing a Roman character, a plurality of keys on the keyboard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regions, and the predetermined consonant key is pressed while the predetermined consonant key is pressed. When the key opposite to the key is operated, the consonant is set so that a specific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opposite key is input in succession, and the specific character string is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regions twice. In other words, when a certain consonant key is pressed and held (tap), the specific key on the opposite side is tapped, followed by the consonant, and the specific character strings pre-assigned to the specific key are collectively inputted and converted into Japanese by the Japanese conversion program. And finally input. The specific string may include a note and 'a specific string including the yo', and specifically, ya, yu, yo, ya-, yu- / yuu and yo- / you may be assigned to the keyboard and assigned to the keyboard. The left and right are arranged in a double, and arranged to be symmetrical left and right. Again, yu- and yo- are for katakana input, and yuu and you are input for hiragana input. For example, when d is pressed while k is pressed, the terminal recognizes that k and yuu have been input (in the case of hiragana input), and is converted into Ki by the Japanese conversion program. In addition, when o is pressed while s is pressed, し ょ is input collectively. The foreign language can be input as it is in the conventional Roman input method. As a result, in the conventional Roman alphabet input method, the number of strokes, which is difficult to input due to the same number of strokes, can be very easily inputted with only two strokes by efficiently utilizing left and right strings and strings including the same. In addition, the specific character string of the keyboard is not only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ouble, but arrang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it is very easy to learn and utilize. For example, in order to input キ ュ-, the conventional Roman input method requires 'kyu-' to be input. According to this, simply press d with the left hand while k is pressed with even, and Kiuki is inputted, and it is only necessary to convert it to katakana. If another key is pressed while the specific key is pressed, the technician body performing the predetermined specific function is not commercially described since it is a commercially available technology in computer keyboards.
이상, 종래의 키보드 자판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실시예를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키보드의 한행에 배치되는 자판수를 하나 줄인 형태를 제공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 which preserved the form of the conventional keyboard keyboard is describe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rm in which the number of keyboards arranged on one line of the keyboard is reduced by one.
로마자를 활용하여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는, 단말기의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자판은 자음키, 모음키를 포함하여 다수의 키를 보유하며, 상기 다수의 키는, 좌수와 우수 영역키, 그리고 상기 좌수와 우수 영역 중간의 경계키로 구분하고, 상기 경계키에는 좌측 과 우측의 두 종류의 키코드가 할당되며, 상기 좌수와 우수 영역키에는 기본 키코드와 제2키코드가 할당되며, 사용자가 특정 자음키를 조작하고, 당해 자음키와 반대편의 키를 조작하면, 상기 자음키 조작에 할당된 문자열에 연이어, 상기 반대편 키의 제2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되고, 사용자가 상기 경계키를 조작하고 상기 좌수 영역키를 조작하면, 상기 경계키의 우측 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된 후, 상기 좌수 영역키의 제2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되고, 사용자가 상기 경계키를 조작하고 상기 우수 영역키를 조작하면, 상기 경계키의 좌측 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된 후, 상기 우수 영역키의 제2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되도록 한다.In the Japanese Roman input keyboard keyboard of the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Japanese by using the Roman characters, the keyboard keyboard has a plurality of keys including a consonant key and a vowel key, and the plurality of keys are left and right regions. A key and a boundary key between the left and right regions, and two types of key codes of left and right sides are allocated to the boundary keys, and a basic key code and a second key code are allocated to the left and right region keys. When the user manipulates a specific consonant key and operates a key opposite to the consonant key, the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second key code of the opposite key is input following the string assigned to the consonant key operation. When the boundary key is operated and the left field key is operated, a character string allocated to the right key code of the boundary key is input, and then a character assigned to the second key code of the left field key. Is input, and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boundary key and manipulates the even area key, the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left key code of the boundary key is input, and then the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second key code of the even area key is To be entered.
이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도15와 같이, 키보드자판을 좌수 영역키, 우수 영역키, 그리고 가운데 경계키 로 구분한다. 경계키(t/y, g/h, v/b)는 좌측키코드와 우측키코드가 있는데, 예를 들어, t/y 는 t 가 좌측키코드이고, y 가 우측키코드이다. 도16은 제2키코드 배치도이며, 경계키는 해당하지 않는다. x 를 제외한 자음키가 눌러진 후 반대편 키가 눌러지면, 상기 자음키와 반대편 키의 기본 키코드가 우선 입력된 후, 키코드 변환 프로그램에서는, 자음키에 연이어 반대편 키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반대편 키코드를 제2키코드로 변환 입력한다(흐름도생략). 이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다중키를 설정하는 것과 매우 유사한 방식이다.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 15, the keyboard keyboard is divided into a left area key, an even area key, and a center boundary key. The boundary keys (t / y, g / h, v / b) have a left key code and a right key code. For example, t / y has t as a left key code and y as a right key code. Fig. 16 is a second key code arrangement diagram, and the boundary keys do not correspond. If the opposite key is pressed after the consonant keys other than x are pressed, the basic keycodes of the consonant key and the opposite key are first inputted, and then the keycode conversion program recognizes that the opposite key is entered in succession to the consonant key, The opposite keycode is converted into the second keycode (flow diagram is omitted). This is a very similar way to setting up multiple keys in the above embodiment.
도1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경계키를 누르면(S31), 당해 경계키의 키코드(예: t/y)가 입력된 후, 프로세스는 좌수 혹은 우수 영역키가 눌러지는지를 감시하며 대기한다.Referring to Fig. 17, when the user presses the boundary key (S31), after the key code (e.g. t / y) of the boundary key is input, the process waits for monitoring whether the left or even area key is pressed.
만일 좌수 영역키가 눌러지면(S32), 당해 키의 기본 키코드가 입력된 후, 프로세스는 상기 S31에서 눌러진 경계키가, 선행하는 같은 경계키의 입력에 연이어 입력(연속 입력)된 것인지를 판별하며(S38), 만일 연속입력이 아니라면, 1회 단독으로 눌러진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경계키의 키코드는 우측 키코드로 변환 입력되고(S40), 상기 입력된 좌수 영역키의 키코드는 해당하는 제2키코드로 변환 입력된다(S41).If the left-hand area key is pressed (S32), after the basic key code of the key is input, the process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boundary key pressed in S31 is successively inputted (continuous input) following the previous input of the same boundary key. If it is not (S38), if it is not continuous input, it is determined that it is pressed by itself only once, and the key code of the boundary key is converted into the right key code (S40), and the key code of the input left-hand area key corresponds to A second key code is converted and input (S41).
그후 S42 에서는 이를 일본어로 변환하여 입력하며, 프로세스는 종료된다.S42 then converts it to Japanese and enters it, and the process ends.
만일 S38에서 같은 경계키가 2회 연속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2회입력된 경계키 키코드는 우측 키코드 2회 입력으로 변환되고(S39), 프로세스는 S41 로 진행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38 that the same boundary key has been input two times in succession, the boundary key keycode inputted twice is converted into two times of the right key code (S39),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41.
만일 상기 경계키 입력(S31)에 연이어, 우수 영역키가 눌러지면(S33), 당해 키의 기본키코드가 입력된 후, 프로세스는 상기 S31에서 눌러진 경계키가, 선행하는 같은 경계키의 입력에 연이어 입력된 것인지를 판별하며(S34), 만일 연속입력이 아니라면, 1회 눌러진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경계키의 키코드는 좌측 키코드로 변환 입력되고(S36), 상기 입력된 우수 영역키의 키코드는 해당하는 제2키코드로 변환 입력된다(S37). 그후 S42 에서는 이를 일본어로 변환하여 입력하며, 프로세스는 종료된다.If the superior area key is pressed in succession to the boundary key input S31 (S33), after the basic key code of the key is input, the process inputs the same boundary key that is preceded by the boundary key pressed in S31. (S34), and if it is not continuous input, it is determined that it is pressed once, and the key code of the boundary key is converted into the left key code and input (S36). The keycode is converted into the corresponding second keycode (S37). S42 then converts it to Japanese and enters it, and the process ends.
만일 S34에서 같은 경계키가 2회 연속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2회입력된 경계키 키코드는 좌측 키코드 2회 입력으로 변환되고(S35), 프로세스는 S37 로 진행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34 that the same boundary key has been input two times in succession, the boundary key keycode inputted twice is converted into two inputs of the left key code (S35),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37.
즉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 키코드 순열이 입력되면, 이를 키코드 변환 프로그램이 미리 설정된 상기 프로세스의 알고리즘에 따라, 필요시 키코드를 변환하며, 그후 일본어 변환 프로그램에서 일본어로 최종 입력하게된다. 예컨대, 경계키를 누르고 좌수영역키를 누르면, 상기 경계키와 좌수 영역키는 각각 우측키코드와 제2키코드가 입력된다. 구체적으로는, t/y 키를 누르고 w 를 누르면, 우측키코드인 y 와 w 의 제2키코드인 o 가 입력되어, 일본어 변환 프로그램에서 よ 로 변환되어 입력된다. 또한, 경계키를 연속 두 번 입력후 좌우수 영역키를 누르면, 좌우수 영역중 어느쪽인지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키코드가 발생하되, 경계키의 우측 혹은 좌측 키코드는 두 번 입력된다. 예를 들어, k, a, t/y, t/y, o 를 입력하면, 단말기에서는, 경계키 2회 입력후 우측 영역 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ka 에 연이어, 좌측키코드인 t 가 2회 입력되고, o키의 제2키코드인 o(무변화) 가 입력되어, katto 가 입력되어, 일본어 변환 프로그램에 의해 かっと 가 최종 입력된다.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specific keycode permutation is input by the user, the keycode conversion program converts the keycode if necessary according to the algorithm of the process set in advance, and then finally inputs it into Japanese by the Japanese conversion program. do. For example, when the boundary key is pressed and the left area key is pressed, the right key code and the second key code are input to the boundary key and the left area key, respectively. Specifically, when the t / y key is pressed and w is pressed, y, which is the right key code and o, which is the second key code of w, is input, and is converted into yo in the Japanese conversion program. In addition, if the left and right area keys are pressed after the boundary key is input twice in succession, the key codes as described above are generated according to which of the left and right areas, but the right or left key codes of the boundary keys are input twice. For example, if k, a, t / y, t / y, and o are input, th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right region key is input after two boundary key inputs. It is input twice, o (unchanged) which is the second key code of the o key is input, katto is input, and katatsu is finally input by the Japanese conversion program.
상기 좌수 영역키, 우수 영역키, 그리고 가운데 경계키의 조작에 있어서, 탭뿐 아니라, 슬라이드 (혹은 플릭)하는 등의 제스쳐를 사용한 입력방식을 지원한다. 즉 상기 경계키의 좌우측 키코드 및 좌우수 영역키의 제2키코드는, 단순히 탭하였을 때 입력되는 키코드 뿐 아니라, 슬라이드 (혹은 플릭)했을 때 입력되는 키코드를 구비한다.In the operation of the left area key, the even area key, and the center boundary key, input methods using gestures such as not only tabs but also slides (or flicks) are supported. That is, the left and right key codes of the boundary key and the second key codes of the left and right area keys include not only a key code input when tapping, but also a key code input when sliding (or flicking).
좀더 구체적으로는, 경계키를 조작한 후, 좌수 영역키를 조작하면, 상기 경계키에서 발생한 키코드는 우측키코드로 변환되며, 상기 좌수 영역키에서 발생한 키코드는 '제2키코드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t/y 자판을 우측으로 슬라이드하고, 우수영역인 i 를 위로 슬라이드 하면, 단말기에서는, t/y-right 와 i-up 에 해당하는 키코드가 발생하며, 이를 키코드 변환 프로그램에서는, 경계키 조작에 연이어 우수영역키가 조작된 것으로 인식하고, t/y-right 중에서도 좌측키코드인 t-right 와, i-up 의 제2키코드인 i-up(무변화) 으로 변환하게된다. 그 결과, 이에 미리 할당된 키코드인 th 와 i- 가 입력되어, 일본어 변환 프로그램에서는 てぃ- 로 변환 입력한다. 또한, 자음에 연이어 입력되는, ょう, ゅう, ャ-, ュ-, ョ- 는, 상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ya, yo, yu 가 할당된 자판을 위로 슬라이드 (혹은 플릭)하여 입력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left key area key is operated after the boundary key is operated, the key code generated by the boundary key is converted into the right key code, and the key code generated by the left area key is converted into the 'second key code. For example, if you slide the t / y keyboard to the right and slide the i-best region up, the terminal generates key codes corresponding to t / y-right and i-up. After the boundary key operation, the superior area key is recognized as being operated, and among the t / y-right, the left key code is converted into t-right and the second key code of i-up is i-up (unchanged). . As a result, th and i-, which are pre-assigned key codes, are inputted, and the Japanese conversion program converts and inputs て ぃ-. In addition, ょ う, ゅ う, ャ-, ュ-, ョ-, which are input after the consonants, are input by sliding (or flicking) the keyboard to which ya, yo, and yu are assigned, similar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do.
그결과,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좌우수 교호타건으로 인한 일본어 입력의 능률향상뿐 아니라, 한행에 배치하는 자판수가 10개에서 9개로 감소하여, 자판 하나의 폭이 11.1% 가 증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자판의 협소한 폭으로인한 불편은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단말기에서는 매우 오래전부터 인지되었으나 해결되지 않은 절실한 현실적 문제라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As a result,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not only is the Japanese input efficiency improved by the left and right alternating strokes but also the number of keyboards arranged in a row decreases from 10 to 9, and the width of one keyboard is expected to increase by 11.1%. Can be. Discomfort due to the narrow width of the keyboard has been recognized for a long time in a small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but can be said to be an urgent and practical problem that has not been solved.
이상의 기술(記述)에 있어 개시한 다양한 키조작방법에, 미리 지정된 특정 문자열이 할당되어 입력되는 예를 기술하였으나, 이는 예를 든 것일 뿐, 상기 다양한 키조작방법에 다양한 특정 문자열을 할당할 수 있는, 수많은 조합이 존재한다는 것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an example in which a predetermined specific character string is input to the various key manipulation methods disclosed in the above description is described.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various specific character strings can be assigned to the various key manipulation methods. Indeed, it will be apparent to one of ordinary knowledge that there are numerous combinations.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intended to describ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and not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nyone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Claims (52)
상기 키보드 자판은 자음키, 모음키를 포함하여 다수의 키를 보유하며,
상기 다수의 키는, 좌수 와 우수 영역으로 구분설정이 가능하고,
상기 모음키를 조작시에는 미리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되고,
상기 다수의 키중 일부를, 복수의 키코드가 할당되는 다중키로 설정하며,
상기 복수의 키코드는, 기본 키코드와 제2 키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키는 상기 좌수 와 우수 영역에 이중으로 배치하며,
미리 지정된 특정 자음키 조작에 연이어, 당해 자음키와는 반대편 다중키를 조작하면,
상기 특정 자음키 조작에 할당된 문자열의 입력에 연이어,
상기 다중키의 제2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되도록 설정하며,
상기 특정 문자열을 한 타로 일괄 입력하되, 자음에 연이어 교호타건으로 입력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In the input method of the Japanese Roman keyboard keyboard, using the Roman characters to input Japanese on the terminal,
The keyboard keyboard has a plurality of keys, including consonant keys, vowel keys,
The plurality of keys can b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regions,
When the vowel key is operated, a pre-allocated string is input.
Some of the plurality of keys are set to multiple keys to which a plurality of key codes are assigned;
The plurality of key codes include a basic key code and a second key code,
The multi-key is placed in the left hand and the even region in duplicate,
Subsequent to the operation of a predetermined consonant key, if the user operates the multiple key opposite to the consonant key,
Subsequent to the input of the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specific consonant key operation,
A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second key code of the multi-key is set to be input.
While the specific character strings are collectively input in one stroke, the Japanese roman alphabet input keyboard keyboar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onants can be input in succession with alternating keys.
요음, '요음을 포함하는 특정 문자열' 혹은 연모음중 적어도 어느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pecific string is,
A Japanese roman input keyboard keyboard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note, a 'character string containing the note' or a vowel.
ya, yu, yo, ya-, yu-, yo-, you, yuu, ai, ou,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pecific string is,
A Japanese roman input keyboard keyboard comprising at least one of ya, yu, yo, ya-, yu-, yo-, you, yuu, ai, ou.
상기 키를 조작할 경우,
히라가나 입력시에는 각각 you, yuu 가 입력되고,
카타카나 입력시에는 각각 yo-, yu- 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you, yuu are placed in the same key, yo-, yu-, respectively,
When operating the above key,
When entering hiragana, you and yuu are entered respectively.
Japanese roman input keyboard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yo- and yu- are inputted at the time of katakana input.
미리 지정된 특정한 형태의 제스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sonant key, the vowel key, or the multi-key manipulation is performed by:
A Japanese Roman input keyboard keyboard comprising a predetermined form of a gesture.
상기 모음키 혹은 다중키를 특정 제스쳐의 형태로 조작시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은,
당해 모음, 혹은 다중키를 탭 했을 때 입력되는 문자열과,
연이어 추가로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로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은,
장음기호(-), 촉음(xtu;っ), nn(ん),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The claim according to claim 7 or 9,
The specific string input when the vowel key or multiple keys are operated in the form of a specific gesture,
A string that is entered when you tap the vowel or multiple keys,
Contains a specific string of characters to be entered in succession,
The specific string that is additionally input,
A Japanese Roman input keyboard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long sign (-), a tactile (xtu; っ), and a nn (ん).
상기 모음키 혹은 다중키를 특정제스쳐의 형태로 조작시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은,
연모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The claim according to claim 7 or 9,
When the vowel key or multiple keys are manipulated in the form of a specific gesture, a specific character string is input.
A Japanese Roman input keyboard keyboard characterized by a collection of years.
상기 모음키 혹은 다중키를 특정 제스쳐의 형태로 조작시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은,
당해 모음, 혹은 다중키를 탭 했을 때 입력되는 문자열과,
추가로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로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은,
s, h, y, w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당해 모음, 혹은 다중키를 탭 했을 때 입력되는 문자열에 앞서서 입력되어,
특수요음을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The claim according to claim 7 or 9,
The specific string input when the vowel key or multiple keys are operated in the form of a specific gesture,
A string that is entered when you tap the vowel or multiple keys,
Contains additional strings that are additionally entered.
The specific string that is additionally input,
any one of s, h, y, w,
It is entered before the vowel or string entered when tapping multiple keys.
Japanese Roman input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easy to input special notes.
당해 자음과,
연이어 추가로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로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은,
s, h, y, w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특수요음을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The method of claim 7 or 9, wherein the specific character string input when the consonant key is operated in the form of a specific gesture,
The consonant,
Contains a specific string of characters to be entered in succession,
The specific string that is additionally input,
including any of s, h, y, w,
Japanese Roman input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easy to input special notes.
상기 특정 자음을 길게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모음키, 혹은 상기 반대편 다중키를 조작하면,
미리 할당된 특정 문자열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The method of claim 1,
With the specific consonant pressed for a long time
When operating the vowel key or the opposite multiple key,
Japanese Roman input keyboard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a certain pre-assigned character string is input.
상기 모음키, 혹은 상기 반대편 다중키의 키 조작은,
슬라이드 혹은 플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The method of claim 14,
The key operation of the vowel key or the opposite multiple key is
Japanese Roman input keyboard keyboard, including slide or flick.
상기 특정 자음을 길게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모음키, 혹은 상기 반대편 다중키를 조작한 결과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은, 특수요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The claim according to claim 14 or 15,
With the specific consonant pressed for a long time
The Japanese character keyboard input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cific character string that is input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of the vowel key or the opposite multiple keys.
상기 키보드 자판은 자음키, 모음키를 포함하여 다수의 키를 보유하며,
상기 다수의 키는, 좌수 와 우수 영역으로 구분설정이 가능하고,
미리 지정된 특정 자음키를 길게 누른 상태에서, 당해 자음키와는 반대편 키를 조작하면,
당해 자음에 연이어, 상기 반대편 키에 할당된 특정 문자열이 입력되도록 설정하며,
상기 특정 문자열은, 상기 좌수 와 우수 영역에 이중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In the Japanese Roman input keyboard keyboard of the terminal that can input Japanese using Roman characters,
The keyboard keyboard has a plurality of keys, including consonant keys, vowel keys,
The plurality of keys can b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regions,
If you press and hold a specific consonant key in advance, and operate the key opposite to the consonant key,
Subsequent to the consonant, a specific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opposite key is inputted,
And the specific character string is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regions in duplicate.
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In the seventeenth aspect, the operation of the opposite key,
Japanese Roman input keyboard keyboard characterized by being tabs.
슬라이드 혹은 플릭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In the seventeenth aspect, the operation of the opposite key,
Japanese Roman keyboard input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or flick.
요음, 혹은 '요음을 포함하는 특정 문자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specific string is,
A Japanese Roman input keyboard keyboard comprising a note or 'specific string containing the note'.
ya, yu, yo, ya-, yo-, yu-, you, yuu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specific string is,
A Japanese roman input keyboard keyboard comprising any one of ya, yu, yo, ya-, yo-, yu-, you, and yuu.
상기 키보드 자판은 자음키, 모음키를 포함하여 다수의 키를 보유하며,
상기 다수의 키는, 좌수와 우수 영역키, 그리고 상기 좌수와 우수 영역 중간의 경계키로 구분설정이 가능하고,
상기 경계키에는 좌측 과 우측의 두 종류의 키코드가 할당되며,
상기 좌수와 우수 영역키에는 기본 키코드와제2키코드가 할당되며,
사용자가 특정 자음키를 조작하고, 당해 자음키와 반대편의 키를 조작하면,
상기 자음키 조작에 할당된 문자열에 연이어, 상기 반대편 키의 제2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되고,
사용자가 상기 경계키를 조작하고 상기 좌수 영역키를 조작하면,
상기 경계키의 우측 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된 후,
상기 좌수 영역키의 제2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되고,
사용자가 상기 경계키를 조작하고 상기 우수 영역키를 조작하면,
상기 경계키의 좌측 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된 후,
상기 우수 영역키의 제2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In the Japanese Roman input keyboard keyboard of the terminal that can input Japanese using Roman characters,
The keyboard keyboard has a plurality of keys, including consonant keys, vowel keys,
The plurality of keys can b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area keys, and a boundary key between the left and right areas.
The boundary key is assigned two types of key codes, left and right,
A basic key code and a second key code are assigned to the left and right range keys.
When a user operates a specific consonant key and operates a key opposite to the consonant key,
Following the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consonant key operation, a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second key code of the opposite key is input,
If a user operates the boundary key and the left area key,
After the string assigned to the right keycode of the boundary key is input,
A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second key code of the left-hand area key is input,
If a user manipulates the boundary key and the good region key,
After the string assigned to the left keycode of the boundary key is input,
And a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second key code of the even region key is input.
상기 제2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 특정 문자열을 한 타로 일괄 입력하되, 자음 혹은 경계키에 연이어 교호타건으로 입력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24. The apparatus of claim 23, wherein the second key code is disposed in the left hand and the even region in duplicate.
Characterized in the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second key code in a single batch, the Japanese roman alphabet input keyboard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onant or boundary keys can be entered in alternating cases.
ya, yu, yo, ya-, yo-, yu-, you, yuu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second key code,
A Japanese roman input keyboard keyboard comprising any one of ya, yu, yo, ya-, yo-, yu-, you, and yuu.
상기 키보드 자판은 자음키, 모음키를 포함하여 다수의 키를 보유하며,
상기 다수의 키는, 좌수 와 우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모음키를 조작시에는 미리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되고,
상기 다수의 키중 일부를, 복수의 키코드가 할당되는 다중키로 설정하며,
상기 복수의 키코드는, 기본 키코드와 제2 키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키는 상기 좌수 와 우수 영역에 이중으로 배치하며,
미리 지정된 특정 자음키 조작에 연이어, 당해 자음키와는 반대편 다중키를 조작하면,
상기 특정 자음키 조작에 할당된 문자열의 입력에 연이어,
상기 다중키의 제2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되도록 설정하며,
상기 특정 문자열을 한 타로 일괄 입력하되, 자음에 연이어 교호타건으로 입력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키보드 자판의 입력방법.In the input method of the Japanese Roman keyboard keyboard, using the Roman characters to input Japanese on the terminal,
The keyboard keyboard has a plurality of keys, including consonant keys, vowel keys,
The plurality of keys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regions,
When the vowel key is operated, a pre-allocated string is input.
Some of the plurality of keys are set to multiple keys to which a plurality of key codes are assigned;
The plurality of key codes include a basic key code and a second key code,
The multi-key is placed in the left hand and the even region in duplicate,
Subsequent to the operation of a predetermined consonant key, if the user operates the multiple key opposite to the consonant key,
Subsequent to the input of the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specific consonant key operation,
A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second key code of the multi-key is set to be input.
Inputting the specific character strings in one batch, but inputting the alternating consonants consecutively with consonants, Japanese Japanese keyboard input method.
요음, '요음을 포함하는 특정 문자열' 혹은 연모음중 적어도 어느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키보드 자판의 입력방법.The method of claim 27, wherein the specific string is,
An input method of a Japanese Roman keyboard keyboard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note, a 'character string containing the note' or a vowel.
ya, yu, yo, ya-, yu-, yo-, you, yuu, ai, ou,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키보드 자판의 입력방법.The method of claim 30, wherein the specific string is,
An input method of a Japanese Roman keyboard keyboard comprising at least one of ya, yu, yo, ya-, yu-, yo-, you, yuu, ai, and ou.
상기 키를 조작할 경우,
히라가나 입력시에는 각각 you, yuu 가 입력되고,
카타카나 입력시에는 각각 yo-, yu- 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키보드 자판의 입력방법.32.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you and yuu are placed on the same key as yo- and yu-, respectively,
When operating the above key,
When entering hiragana, you and yuu are entered respectively.
Input method of Japanese Roman keyboard input, characterized in that yo- and yu- are inputted at the time of katakana input.
미리 지정된 특정한 형태의 제스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키보드 자판의 입력방법.28. The method of claim 27, wherein the consonant key, the vowel key, or the multiple key operation is performed by:
An input method for a Japanese Roman keyboard input keyboard comprising a predetermined form of a gesture.
상기 모음키 혹은 다중키를 특정 제스쳐의 형태로 조작시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은,
당해 모음, 혹은 다중키를 탭 했을 때 입력되는 문자열과,
연이어 추가로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로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은,
장음기호(-), 촉음(xtu;っ), nn(ん),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키보드 자판의 입력방법.The claim according to claim 33 or 35, wherein
The specific string input when the vowel key or multiple keys are operated in the form of a specific gesture,
A string that is entered when you tap the vowel or multiple keys,
Contains a specific string of characters to be entered in succession,
The specific string that is additionally input,
An input method of a Japanese roman keyboard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long sign (-), a tactile (xtu; っ), and a nn (ん).
상기 모음키 혹은 다중키를 특정제스쳐의 형태로 조작시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은,
연모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키보드 자판의 입력방법.The claim according to claim 33 or 35, wherein
When the vowel key or multiple keys are manipulated in the form of a specific gesture, a specific character string is input.
Japanese Roman keyboard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vowels.
상기 모음키 혹은 다중키를 특정 제스쳐의 형태로 조작시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은,
당해 모음, 혹은 다중키를 탭 했을 때 입력되는 문자열과,
추가로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로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은,
s, h, y, w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당해 모음, 혹은 다중키를 탭 했을 때 입력되는 문자열에 앞서서 입력되어,
특수요음을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키보드 자판의 입력방법.The claim according to claim 33 or 35, wherein
The specific string input when the vowel key or multiple keys are operated in the form of a specific gesture,
A string that is entered when you tap the vowel or multiple keys,
Contains additional strings that are additionally entered.
The specific string that is additionally input,
any one of s, h, y, w,
It is entered before the vowel or string entered when tapping multiple keys.
Japanese Roman keyboard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easy to input special notes.
당해 자음과,
연이어 추가로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로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은,
s, h, y, w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특수요음을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키보드 자판의 입력방법.36. The method of claim 33 or 35, wherein the specific character string input when the consonant key is operated in the form of a specific gesture,
The consonant,
Contains a specific string of characters to be entered in succession,
The specific string that is additionally input,
including any of s, h, y, w,
Japanese Roman keyboard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easy to input special notes.
상기 특정 자음을 길게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모음키, 혹은 상기 반대편 다중키를 조작하면,
미리 할당된 특정 문자열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키보드 자판의 입력방법.28. The method of claim 27,
With the specific consonant pressed for a long time
When operating the vowel key or the opposite multiple key,
Input method of Japanese Roman keyboard input, characterized in that a predetermined character string is input in advance.
상기 모음키, 혹은 상기 반대편 다중키의 키 조작은,
슬라이드 혹은 플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키보드 자판의 입력방법.The method of claim 40,
The key operation of the vowel key or the opposite multiple key is
Input method of Japanese Roman keyboard keyboard, including slide or flick.
상기 특정 자음을 길게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모음키, 혹은 상기 반대편 다중키를 조작한 결과 입력되는 특정 문자열은, 특수요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키보드 자판의 입력방법.The claim according to claim 40 or 41, wherein
With the specific consonant pressed for a long time
A specific character string input as a result of operating the vowel key or the opposite multi-key includes a special sound.
상기 키보드 자판은 자음키, 모음키를 포함하여 다수의 키를 보유하며,
상기 다수의 키는, 좌수 와 우수 영역으로 구분하고,
미리 지정된 특정 자음키를 길게 누른 상태에서, 당해 자음키와는 반대편 키를 조작하면,
당해 자음에 연이어, 상기 반대편 키에 할당된 특정 문자열이 입력되도록 설정하며,
상기 특정 문자열은, 상기 좌수 와 우수 영역에 이중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키보드 자판의 입력방법.In the input method of the Japanese Roman keyboard keyboard, using the Roman characters to input Japanese on the terminal,
The keyboard keyboard has a plurality of keys, including consonant keys, vowel keys,
The plurality of keys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regions,
If you press and hold a specific consonant key in advance, and operate the key opposite to the consonant key,
Subsequent to the consonant, a specific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opposite key is inputted,
And the specific character string is arranged in double in the left and right regions.
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키보드 자판의 입력방법.44. The method of claim 43 wherein the manipulation of the opposite key is
Input method of Japanese Roman keyboard keyboard characterized by being tab.
슬라이드 혹은 플릭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키보드 자판의 입력방법.44. The method of claim 43 wherein the manipulation of the opposite key is
Input method of Japanese Roman keyboard input keyboard characterized by slide or flick.
요음, 혹은 '요음을 포함하는 특정 문자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키보드 자판의 입력방법.The method of claim 43, wherein the specific string is,
Input method of Japanese Roman keyboard keyboard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rhythm or "a specific string containing a rhythm".
ya, yu, yo, ya-, yo-, yu-, you, yuu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키보드 자판의 입력방법.The method of claim 47, wherein the specific string is,
An input method of a Japanese Roman keyboard keyboard comprising any one of ya, yu, yo, ya-, yo-, yu-, you, and yuu.
상기 키보드 자판은 자음키, 모음키를 포함하여 다수의 키를 보유하며,
상기 다수의 키는, 좌수와 우수 영역키, 그리고 상기 좌수와 우수 영역 중간의 경계키로 구분하고,
상기 경계키에는 좌측 과 우측의 두 종류의 키코드가 할당되며,
상기 좌수와 우수 영역키에는 기본 키코드와제2키코드가 할당되며,
사용자가 특정 자음키를 조작하고, 당해 자음키와 반대편의 키를 조작하면,
상기 자음키 조작에 할당된 문자열에 연이어, 상기 반대편 키의 제2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되고,
사용자가 상기 경계키를 조작하고 상기 좌수 영역키를 조작하면,
상기 경계키의 우측 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된 후,
상기 좌수 영역키의 제2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되고,
사용자가 상기 경계키를 조작하고 상기 우수 영역키를 조작하면,
상기 경계키의 좌측 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된 후,
상기 우수 영역키의 제2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키보드 자판의 입력방법.In the input method of the Japanese Roman keyboard keyboard, using the Roman characters to input Japanese on the terminal,
The keyboard keyboard has a plurality of keys, including consonant keys, vowel keys,
The plurality of keys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area keys, and a boundary key between the left and right areas.
The boundary key is assigned two types of key codes, left and right,
A basic key code and a second key code are assigned to the left and right range keys.
When a user operates a specific consonant key and operates a key opposite to the consonant key,
Following the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consonant key operation, a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second key code of the opposite key is input,
If a user operates the boundary key and the left area key,
After the string assigned to the right keycode of the boundary key is input,
A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second key code of the left-hand area key is input,
If a user manipulates the boundary key and the good region key,
After the string assigned to the left keycode of the boundary key is input,
And a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second key code of the even region key is input.
상기 제2키코드에 할당된 문자열 특정 문자열을 한 타로 일괄 입력하되, 자음 혹은 경계키에 연이어 교호타건으로 입력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키보드 자판의 입력방법.50. The apparatus of claim 49, wherein the second key code is disposed in the left hand and the even region in duplicate.
And collectively inputting a specific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second key code into a single stroke, and inputting alternately a consonant or a boundary key to a consonant or boundary key.
ya, yu, yo, ya-, yo-, yu-, you, yuu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로마자 키보드 자판의 입력방법.54. The method of claim 49, wherein the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second key code is
An input method of a Japanese Roman keyboard keyboard comprising any one of ya, yu, yo, ya-, yo-, yu-, you, and yuu.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4122A KR101236169B1 (en) | 2011-03-16 | 2011-03-16 | Japanese roma-ji keyboard input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4122A KR101236169B1 (en) | 2011-03-16 | 2011-03-16 | Japanese roma-ji keyboard input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6183A true KR20120106183A (en) | 2012-09-26 |
KR101236169B1 KR101236169B1 (en) | 2013-02-27 |
Family
ID=47112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4122A KR101236169B1 (en) | 2011-03-16 | 2011-03-16 | Japanese roma-ji keyboard input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616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91334A1 (en) * | 2022-03-29 | 2023-10-05 | 양기호 | Key array for inputting romaji and keyboard of having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4914B1 (en) | 2014-12-23 | 2016-02-17 | 조석환 | Terminal with the Hankyoreh unified standard keyboard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28760A (en) | 2001-05-04 | 2002-11-15 | Shunji Matsuno | Keyboard and key array changing system |
JP2006293794A (en) | 2005-04-13 | 2006-10-26 | Slash:Kk | Japanese style keyboard |
-
2011
- 2011-03-16 KR KR1020110024122A patent/KR10123616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91334A1 (en) * | 2022-03-29 | 2023-10-05 | 양기호 | Key array for inputting romaji and keyboard of hav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36169B1 (en) | 2013-0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398717B (en) | Display variable keyboard and input method | |
JPH1115584A (en) | Character input system by keyboard and electronic equipment | |
JPS62248023A (en) | Input keyboard device | |
CN104020951A (en) | Interactive sliding Pinyin input method based on touch device | |
KR101236169B1 (en) | Japanese roma-ji keyboard input system | |
Nakamura et al. | A Japanese Bimanual Flick Keyboard for Tablets That Improves Display Space Efficiency. | |
JP5882497B2 (en) | Small Japanese keyboard and method | |
Felzer et al. | OnScreenDualScribe: a computer operation tool for users with a neuromuscular disease | |
Felzer et al. | DualScribe: A keyboard replacement for those with Friedreich’s Ataxia and related diseases | |
WO2017086396A1 (en) | Touch operation-based character input device, method, and program | |
JP2008123114A (en) | Electronic equipment with character input keyboard | |
JP3222445B2 (en) | Electronic equipment with character input keyboard | |
CN101359258A (en) | Four-node input method and keyboard layout thereof | |
JP4229528B2 (en) | Key input device | |
JP4761234B2 (en) | Input method of portable input terminal | |
KR101483170B1 (en) | Mobile Terminal comprising Simple English Keypad | |
Lockerman et al. | Text entry using five to seven physical keys | |
JP2010211447A (en) | Character input method and keyboard using the same | |
JP2007323541A (en) | Five key input device | |
KR101263273B1 (en) | Combination Keyboard | |
US20220027046A1 (en) | Data input device, and data input method that are configured to switch display of character input buttons in response to input operations in two directions | |
JP6482622B2 (en) | Asian language high-speed input system | |
KR20140093151A (en) | Vowel Center Cluster Swipe Pad | |
KR20050115792A (en) | Sisc: smart input system for chinese | |
KR101550140B1 (en) | The method to input character in touch scre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