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5792A - Sisc: smart input system for chinese - Google Patents

Sisc: smart input system for chine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5792A
KR20050115792A KR1020040041206A KR20040041206A KR20050115792A KR 20050115792 A KR20050115792 A KR 20050115792A KR 1020040041206 A KR1020040041206 A KR 1020040041206A KR 20040041206 A KR20040041206 A KR 20040041206A KR 20050115792 A KR20050115792 A KR 20050115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hinese
input method
keyboard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2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태선
Original Assignee
장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태선 filed Critical 장태선
Priority to KR1020040041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5792A/en
Publication of KR20050115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792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자(漢字) 입력 처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조합식이나 병음식(음차법) 입력법과는 달리, A) 수만 개의 한자 문자가 이미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도움 없이 해결된다는 점, B)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영문 키보드 시스템을 그대로 이용한다는 점, C) 마우스의 도움 없이 키보드 상에서 해결되도록 4방향 원터치 서치 바를 새로이 도입하였다는 점, D) 한자의 개념을 처음 접하는 외국인이나 어린 아이도 손쉽게 익힐 수 있도록 각 부수를 모양 별로 분류하고 그 모양에 따라 키 위치를 배정하였다는 점, E) 한자 어학 구조상 자주 이용되는 품사를 키보드에 배치함으로써 알파벳 시스템과의 불화음성을 극복하였다는 점, F) 위의 상기된 특징으로 인하여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모바일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 같은 소형 입력 기기에서의 사용에서도 큰 장점을 발휘한다는 점, 이상 6가지의 특성과 이점을 갖추어서 빠른 습득 속도와 고속도 타이핑 속도를 자랑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 Chinese character, and unlike the conventional combination or bottled food input method, A) tens of thousands of Chinese characters are solved without the help of an already stored database. A) It uses the globally used English keyboard system, C) It introduces a new 4-way one-touch search bar to solve it on the keyboard without the help of a mouse. D) It is easy to learn foreigners and young children who are new to the concept of Chinese characters. Each part was classified by shape and key position was assigned according to the shape.E) Overcoming dissonance with the alphabet system was overcome by placing parts of speech that are frequently used in Chinese kanji linguistic structure on the keyboard. Due to the above-mentioned features, small input devices such as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obile phone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ce, etc.)) It also shows great advantages in the use of Esso, and has six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so it has fast acquisition speed and high speed typing speed.

Description

스마트 중문자 입력법 {SISC: Smart Input System for Chinese} Smart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SISC: Smart Input System for Chinese}

우선, 종래의 기술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눈다. 각 한자의 고유음(固有音)을 알파벳 식으로 표기하여 해당되는 한자를 동음(同音) 그룹에서 찾는 병음식과 한자의 특성을 살려 부수, 획수, 도형상 형태를 고려하여 조합을 통해 한자를 만드는 조합식이다. First, the prior art is largely divided into two. By writing the unique sound of each Chinese character in alphabetical form, we make the Chinese characters by combin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bottled food and Chinese characters which find the relevant Chinese characters in the group It is a combination formula.

병음식의 장점은 1) 영문 키보드의 이점을 살릴 수 있다는 점과 2) 조합 형태가 불투명하거나 그 구성이 기억이 나지 않는 한자를 발음을 통해 찾을 수 있다는 점이 있다. 단점으로서는 1) 이미 저장된 문자(Font)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이 불가피하며, 2) 병음 입력 후 소요되는 추가 시간(키보드에서 마우스로 움직이는 시간 + 마우스로 원하는 글자를 찾는 시간 + 다시 키보드로 돌아오는 시간 + 알파 (재정비하여 키보드에 적응, 집중하는 시간 등등))이 길어 정상적인 타이핑이었다면 추가시간 당 평균 10~15 타 이상을 손해 볼 수 있다. 또 3) 병음을 모르는 한어 사용 인구에게 불리하며 간체만을 아는 중국인, 또는 반대로 번체만을 아는 중국인이 새로운 글자를 접하였을 때 이를 컴퓨터상에 입력할 수 없는 난제가 생긴다. The advantages of the bottled food are 1) the advantage of the English keyboard, and 2) the combination of the opaque or the composition can not remember the Chinese characters can be found through pronunciation. Disadvantages include: 1) the use of a previously stored font database is inevitable, and 2) additional time after pinyin input (time to move the mouse on the keyboard + time to find the desired character with the mouse + time to return to the keyboard + alpha) If you've had long typing, you can lose more than 10-15 hits per additional hour. 3) It is disadvantageous to Chinese-speaking population who do not know Pinyin, and Chinese who only knows Simplified Chinese, or conversely, when Chinese who only knows Traditional Chinese encounter new letters, it is difficult to input them on the computer.

조합식의 장점은 1) 문자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은 선택사항이며, 2) 병음을 몰라도 보이는 데로 한자를 입력시킬 수 있으며, 3) 한자만의 과학적 특성을 살릴 수 있다는 점이다. 단점은 1) 과학적 특성을 살리려면 영문 키보드 시스템이 부적절하여 특수 키보드의 사용이 요구되며, 2) 그렇게 된다면, 중국어를 사용하는 시스템은 세계 공통 문화에서 고립될 수밖에 없다. 3) 반대로, 영문 키보드를 그대로 이용하자면, 타이핑 때 손의 중심 위치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알파벳 26개 안에 부수나 도형을 억지로 배치시켜야하므로, 조합을 수월하기 위한 분류가 비균등화 되거나 사용자가 익히기 어려운 체제로 변하게 된다. 4) 어느 입력기를 사용하던 간에 획수가 많거나 구성이 까다로운 글자는 표현하기 힘들며 6~7타 이상이 될 것이다. 5) 병음은 아나 그 구성의 순서나 구성원을 정확히 기억 못 할 경우, 원했던 글자와는 다른 형상을 표현하게 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자전(字典)에 없는 글자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보낼 수 있으나, 비슷한 글자가 존재할 경우 해결할 수 없다.) The advantage of the combination is that 1) the use of the character database is optional, 2) the Chinese characters can be entered as they appear without knowing the Pinyin, and 3) the scientific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characters can be saved. Disadvantages include: 1) the use of special keyboards due to the inadequate use of English keyboard systems, and to the use of scientific features; 3) On the contrary, if you want to use the English keyboard as it is, you must forcibly place the number of copies or shapes in the 26 most used alphabets at the center of the hand when typing, so that the classification to facilitate the combination is uneven or difficult to learn. Will change. 4) Regardless of which input method you use, letters with many strokes or difficult constructions will be difficult to express and will be more than 6-7 strokes. 5) Pinyin, however, does not accurately remember the order of its composition or members, and expresses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ired letter. (To prevent this, you can use the database to send a warning message about characters that are not in the rotation, but you can't solve them if there are similar characters.)

다음은 현재까지 알려진 대표적인 특허 사례를 통하여 종래기술에 대한 기본 소개와 그 공통점, 그리고 문제점을 분석한 것이다. The following is a basic introduction to the prior art, its commonness, and problems through representative patent cases known to date.

I. 병음식 (또는 음차(音差)법)I. Bottled Food (or Tuning fork)

I.1. 영문 표기법 (예: Microsoft IME System): 한자의 병음(Pin Yin)을 영문으로 표기하면 대표 글자가 나온다. 이때 원하는 글자가 대표 글자가 아닐 경우, 서치 키(IME의 경우, 우측 화살표 키)를 누르고 동음에 따라 분류된 글자들이 열거되어 있는 서치 바가 나오면 그 중 하나를 숫자를 직접 입력하거나 마우스를 통해 입력한다. 이때, 동음 한자어의 수가 서치 바의 한계(IME의 경우 6개)를 넘을 경우, 서치 바의 그 다음 페이지를 참조하여야 한다. 그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페이지 이동 버튼(IME의 경우 손모양의 화살표)을 눌러야 한다. I.1. English notation (e.g. Microsoft IME System): Pinyin of Chinese characters in English gives a representative character. At this time, if the desired letter is not the representative letter, press the search key (right arrow key in the case of IME), and when the search bar comes up with the letter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om, enter one of them directly or use the mouse. . If the number of homonym Chinese words exceeds the limit of the search bar (6 in the case of IME), the next page of the search bar should be referred to. To move to the next page, you must press the page navigation buttons (or hand-shaped arrows in the case of IMEs).

I.2. 한글 표기법 (예: 아래아 한글, 훈민정음): 병음 대신, 한자의 우리나라 식 고유음을 쓴 후 한자 변환 키(아래아 한글의 경우, F9도 됨)를 누르면, 서치창문이 열리는데 이 때 원하는 글자를 키보드의 화살표키나 마우스를 사용해 고르면 된다. 이때 서치 창문의 기본 한계 보다 더 많은 동음어가 수록되어 있을 경우, 스크롤바나 다음 페이지 버튼을 이용해야 한다. I.2. Hangul notation (e.g., Hangah Hangul, Hunminjeongeum): Instead of Pinyin, you can write the Korean intrinsic sound of Hanja, and then press the Hanja conversion key (F9 can be F9). Use the arrow keys or the mouse to choose. If there are more homonyms than the basic limits of the search window, use the scroll bar or the next page button .

I.3. 주음부호 표기법: 병음의 영문 표기법을 모르는 중국인들을 위한 시스템으로 한자의 발음을 한자 자체로 표기한 후, 그 발음에 해당하는 동음어 중 원하는 글자를 찾는 방법이다. 한자의 발음 표기법에 필요한 한자들은 키보드에 배치되어 있다. 예: 好자의 발음은 영문 표기법으로 [hao]가 되지만 중국식 표기법은 [ ]가 된다. (엄)은 C키에 해당되며 (요)는 L키에 해당된다. I.3. Zhuyin notation: This system is for Chinese people who don't know the Pinyin English notation. The Chinese characters needed for the phonetic notation of Chinese characters are placed on the keyboard. Example: 好 pronunciation is [hao] in English, but Chinese notation is [ ]. (Um) corresponds to the C key (Yo) corresponds to the L key.

I.4. 그 외: 영문식 표기, 한글식 표기, 중국식 표기 외에 일본식, 말레이시아식, 러시아식 등 각 언어마다 발음 표기법을 다르게 할 수 있지만 그 원리는 같다. I.4. Others: In addition to English notation, Korean notation, and Chinese notation, pronunciation notation can be different for each language such as Japanese, Malaysian, and Russian, but the principle is the same.

위에 상기된 종래기술의 문제점: 한자의 음을 모를 경우를 해결하지 않았다는 점 (부수 입력 법을 겸비하여야 하나 아직 뛰어나고 편리한 부수 입력법이 나오지 않은 상태이므로 미해결 상태로 남아 있음), 서치 시간이 동음어 수에 비례하며 타이핑의 연결성을 방해, 그리고 지연 상태를 야기한다는 점 (음에 해당하는 모든 동음어를 빠짐없이 수록하자면 위의 문제는 더 심각하게 된다). The problem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s that it does not solve the case of not knowing the kanji's sound (it should have a combined input method, but it remains unsolved because there is no excellent and convenient copy input method yet), and the search time is the same number Proportional to, interfering with the connectivity of the typing, and causing a delay (the problem is even worse if you include all the homologs for the sound).

예 (간단한 글자의 경우): 石(shi)같이 간단한 글자라도 위의 병음식으로 찾으려면 70개 이상의 동음어에서 찾아야 한다. MS IME의 경우, 최대 6자까지 디스플레이 하므로 12번의 서치 화면 바꾸기를 시도하여야 원하는 글자를 얻는 경우도 있다. (서치 화면 1회 조회 시간(마우스 클릭 시간 + 확인 시간)은 약 0.5~1초, 즉 원하는 글자가 맨 마지막 화면에 있을 시 최대 12초까지의 시간 허비를 뜻한다.) 글자 하나당 평균 3초의 시간이 낭비된다고 한다면 A4 사이즈 한 장의 문서에 1000개의 한자(줄당 35개씩 하여 30줄)가 있다고 가정할 때, 영문 문서에 비해 페이지 당 3000초를 허비하게 된다. 3000초는 거의 1시간에 달하는 귀중한 시간이다. Example (for simple letters): Even simple letters such as 石 (shi) must be found in more than 70 homonyms to find the bottled food above. MS IME displays up to 6 characters, so you may have to try 12 search screens to get the character you want. (Search time per search screen (mouse click time + confirmation time) means about 0.5 ~ 1 second, that is, up to 12 seconds of time when the desired letter is on the last screen.) Average time of 3 seconds per letter If this is wasted, assuming that there are 1000 Chinese characters (30 lines per 35 lines) in an A4 sized document, it would take 3000 seconds per page compared to an English document. 3000 seconds is a precious time of nearly one hour.

II. 부수 조합식II. An associated combination

II.1. 이관동의 특허 공개 제 10-2004-0011816호: 이 부수 조합 식에서는 부수 구성의 순서가 중요하며 문자 데이터베이스와 부수 데이터베이스가 필수적이다. 제 1부수로 판단되는 부수를 입력하면 제 1부수로 만들어진 모든 한자중 제 2 부수 후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사용자가 이를 선택한 후, 제 1 부수와 제 2 부수 순으로 만들어진 모든 한자 중 제 3 부수 후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이 방식을 원하는 글자가 나올 때까지 반복한다. 제시되는 부수 후보 수는 부수 계열 수에 반비례하여 줄어들게 된다. 즉 n 부수 후보 수는 n-1 부수 후보 수보다 적다. II.1. Lee Kwan-dong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11816: In this subcombination formula, the order of subcompositions is important, and a character database and an auxiliary database are essential. If the number of copies determined as the first copy is entered, the second copy candidate among all the Chinese characters created as the first copy is presented to the user. After the user selects it, the third candidate of all Chinese characters created in the first and second copies is presented to the user. Repeat this until you get the letter you want. The number of collateral candidates presented decrease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number of collateral series. That is, the number of n side candidates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n-1 side candidates.

II.2. 어윤형의 특허 공개 제 2001-0069565호: 한자 부수의 사용빈도와 한자의 사용빈도 등을 활용하여 부수로 먼저 조회한 후 사용빈도에 따라 소정 개수의 한자를 디스플레이 한다는 방법이다. II.2. Eoyun Hyeong Patent Publication No. 2001-0069565: It is a method to display a predetermined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after first inquiring by the number of copies using the frequency of use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frequency of use of Chinese characters.

II.3. 특허 공개 US 제 5.790.926호(8진법): 한자의 모서리 형태에 따라 모든 한자나 부수를 4개의 위상학적인 패턴(Topological Patterns)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이 시스템은 전체 한자의 형태를 4개의 패턴에 따라 4개의 프레임 코드(Frame Code)를 지정하고, 또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 또한 그 4개의 패턴에 따라 4개의 아이디 코드(ID Code)를 지정하여 총 8개의 숫자로 된 번호를 각 한자에 부여하는데, 그 코딩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II.3. Patent Publication US 5.790.926 (octal): The system claims that all Chinese characters or copie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opological patterns according to the corner shape of the Chinese character. Specify four frame codes according to the pattern, and the number of copies that make up Chinese characters, and four ID codes according to the four patterns, assigning a total of eight numeric numbers to each Chinese character. To do this, the method of coding was devised.

II.4. 특허 공개 제 -006943호: 위의 미국 특허 8진 입력법과 유사하지만, 4개의 패턴 대신 5개의 패턴을 사용하고 한자의 처음 두 획과 마지막 두 획의 기본 형태를 코딩하는 방법을 강구한 시스템이다. II.4. Patent Publication No. -006943: Similar to the US patent octal input method above, but using 5 patterns instead of 4 patterns and devising a method of coding the basic form of the first two strokes and the last two strokes of a Chinese character.

II.5. 왕마의 특허 공개 US 제 4.684.926호(오필자형 입력법): 현재 중국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부수 입력 방법으로 한자 부수의 형태를 다섯 가지 필획 모양( )을 기준으로 25종류로 분류하고 부수와 부수 역할의 글꼴들을 25개의 키에 각각 배치하였다. 키 당 할당된 부수의 수는 일정하지 않고 적게는 3개는 많게는 12개까지 돼있다. II.5. US Patent No. 4.684.926 (Oh-philic input method) of the royal horse: A representative copy input method currently used in China. ), And 25 fonts were assigned to each of the 25 keys. The number of copies allocated per key is not constant, at least three and as many as twelve.

II.6. 특허 공개 US 제 4.920.492호(창힐수입 입력법): 왕마오필법과 비슷한 간접 입력 방법으로 부수를 포함한 글꼴들을 분류하여 각각 소정의 키에 소속시킨 후 별도의 규칙에 따라 입력한다. II.6. Patent Publication No. US 4.920.492 (Chang-Hil Import Input Method): An indirect input method similar to the Wang Mao Phil method, classifies fonts containing copies and assigns them to a predetermined key and inputs them according to a separate rule.

II.7. 그 외: 한자 부수와 부수식의 글꼴을 특정 규칙(전체 모양, 사용빈도, 기본 필획 모양, 모서리 형태, 부수 순서 등)으로 분류한 뒤 키 당 소정 개수의 부수를 할당시다는 원리는 같다. II.7. Others: The principle of assigning a certain number of copies per key after classifying kanji and subscript fonts into specific rules (total shape, frequency of use, basic stroke shape, corner shape, sequential order, etc.) is the same.

위에 상기된 종래기술의 문제점: 부수 조합식의 가장 큰 문제는 부수를 키보드에 어떻게 배치하느냐 이고 이를 어떻게 사용자에게 습득시키느냐 이다. 한번 숙달되면 영어같이 빠르게 칠 수 있다는, 대표적인 부수식 왕마 오필자법도 일반인이 이를 습득하려면 전문적인 코스를 통해 1달 이상 트레이닝을 받아야 한다니 이는 대중화 PC시대에 안 맞는 현실이다. 부수 조합식의 또 하나의 큰 문제는 종래기술은 한자에 익숙한 사람, 부수 구조에 익숙한 사람들로 대상의 범위가 좁다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종래시스템은, 간단하면서도 부수 조합 구조가 불분명한 글자, 부수인지 아닌지 불확실한 글자, 부수 조합 수가 높은 글자 등의 처리가 시원스럽게 설명이 되지 않았고 부분적으로만 문제를 해결하여 사용자들이 사용하면서 불편을 겪게 된다. The problem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biggest problem with the collateral combination is how to arrange the collateral on the keyboard and how to learn it to the user. Once mastered, you can play as fast as English, the representative incidental royal horse pilgrim method is that it is not suitable for the popular PC age, the general public must be trained for a month or more through a professional course. Another big problem of the incidental combination is that the prior art is narrow in scope to those who are familiar with Chinese characters and those who are familiar with incidental structures. And finally, the conventional system is simple, but it is not convenient to process the characters of unclear combinations of characters, uncertainty of whether or not the number of collaterals, letters with a high number of collateral combinations, etc. Will suffer.

III. 도형 조합식III. Shape combination

III.1. 특허 공개 제 1983-0003768호: 한자의 형태를 8가지(수평자획, 수직자획, 점자획, 빗선 자획, 시계방향자획, 반시계반향자획, 우회전자획 및 좌회전자획)로 나눈 후 1부터 8까지의 등가 숫자를 부여하고 자획의 순서에 따라 한자를 입력한다. III.1. Patent Publication No. 1983-0003768: Chinese characters divided into eight types (horizontal stroke, vertical stroke, braille stroke, oblique stroke, clockwise stroke, counterclockwise stroke, right turn stroke and left turn stroke) Give an equivalent number and enter Chinese characters in the order of stroke.

III.2. 유춘영의 특허 공개 제 2003-0055232호: 한자의 형태를 27종의 대표 문형(文型)으로 구분하고 그 것을 26개의 알파벳 키에 배치한 후, 키 당 대표 문형에 해당되는 부수를 선택하게끔 되어 있다. III.2. Yu Chun Young Patent Publication No. 2003-0055232: The Chinese character is divided into 27 representative sentence forms and placed on 26 alphabet keys, and then the number of copies corresponding to the representative sentence pattern per key is selected.

III.3. 어윤형의 특허 공개 제 2001-0043294호: 한자 구성을 8개의 기본 획(점, 가로획, 세로획, 갈고리, 오른쪽 삐침, 왼쪽 삐침, 오른쪽 파임, 왼쪽 파임)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III.3. Eoyun Hyeong Patent Publication No. 2001-0043294: It is intended to express the Chinese character composition into eight basic strokes (points, horizontal strokes, vertical strokes, hooks, right peep, left peep, right peep, left plow).

III.4. 이혜정의 특허 공개 제 2001-0025673호(8진 입력법)/0025723호(24진 입력법): 한자 구성을 작게는 8개의 필획 모양(, 왼쪽 삐침, 오른쪽 삐침, 기역자, 니은자, 乙), 크게는 24개의 형태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III.4. Lee, Hye-Jung's Patent Publication No. 2001-0025673 (octal input method) / 0025723 (24-digit input method): 8 stroke shapes with a small kanji composition ( , Left peep, right peep, translator, Nieunja, 乙), and 24 types were expressed.

III.5. 그 외: 한자의 형태를 제한된 수의 도형 모양으로 나누는 법과, 한자 고유의 기본 획을 중심으로 나누는 법,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에는 큰 차이가 없다. 이 기본 획들을 직접, 또는 간접 조합하여 원하는 한자를 얻는다는 원리는 비슷하다. III.5. Others: There are no big differences between dividing Chinese characters into a limited number of figure shapes and dividing them into basic strokes. The principle of obtaining the desired Chinese characters by combining these basic strokes directly or indirectly is similar.

위에 상기된 종래기술의 문제점: 도형식 조합의 가장 큰 문제는 타수(打數)이다. 위에 상기된 종래기술들은 하나같이 쉬운 글자로 된 예제를 위주로 문제 해결을 설명하였기 때문에 발명 자체가 비현실적이라 말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설사 그렇게 쉽게 조합이 된다하더라도 타수에서 경쟁성이 없는 시스템임이 입증된다. 예를 들어, 이혜정의 8진법을 통해 校(교)자를 표현하자면, kldujkdudu 순서로 10타가 소요된다. 校자의 경우, 그 형태가 그리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10타가 소요된다. 좀 더 복잡한 자 같은 경우 20타 이상이 소요된다. 간체자의 경우, 도형식 조합이 부수식 조합보다 유리한 점이 있긴 하나 도형식은 높은 타수 외에도 어떤 형태와 순서로 조합하여야 하는지에 사용자가 크게 불편해할 수 있다. 또 타수가 많아질수록 실수를 하여 엉뚱한 글자가 나오는 경우도 초래할 수 있다. 위의 예에서 kldujkdudu에서 오타를 치거나 순서를 바꾼다면 원하지 않는 글자가 나오는 것이다. The problem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biggest problem of the combination of shapes is the number of strokes.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described problem solving mainly on the example of easy letters, it can be said that the invention itself is unrealistic. Not only that, even if it is so easily combined, it proves to be a competitive system at bat. For example, in the case of Lee Hye-jeong's octal method, it takes 10 strokes in kldujkdudu order. In the case of the letter, it takes 10 strokes without being too complicated. More complex In the case of a ruler, it takes more than 20 strokes In the case of Simplified Chinese, graphic combinations have advantages over subcombination combinations, but users can be greatly uncomfortable with what form and order they should combine in addition to high strokes. Also, the more strokes you make, the more mistakes you can make. In the example above, if you make a typo or change the order in kldujkdudu, you will get some unwanted characters.

앞에 요약에서 소개된 6가지의 특징을 위주로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을 설명하자면,Focusing on the six features introduced in the preceding summary , the technology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the prior art in the field are described.

A) 수만 개의 한자 문자가 이미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도움 없이 해결된다는 점: 병음식은 물론이고 부수의 조합을 통해 한자를 만드는 부수 조합식 역시 완전한 조합식이 아니라 입력된 자판의 종류와 순서에 따라 이미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문자를 찾아오는 식이다.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데이터베이스의 사용 여부가 피부로 느껴질 수 있는 속도의 차이를 주지 않아 고려될 사항이 아니나, 프로그램 설계 측면에서는 큰 차이가 있다. 규칙적인 패턴과 과학적인 구성을 가진 중국어의 시스템 특성을 무시하고 데이터베이스로 대체한다면 영문 같이 글자 하나하나를 조작하고 다루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차후 등록되는 문자에 관해 데이터베이스를 계속 업데이트해야하는 시스템상의 취약점을 안고 있다. 부수식 조합 외에 도형식 조합이 있지만, 이 또한 데이터베이스 없이는 원하는 글자를 만들 수 없는 취약점이 있다. 도형식에서는 도형의 입력 순서가 절대적으로 중요하며 입력된 도형 내용과 순서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매핑(Mapping)시켜야 한다. 이때 사용자가 글자를 조합하는 순서를 모를 경우 전혀 다른 글자가 나올 수 있음을 상기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위에 열거된 문제를 극복하였다. A) Tens of thousands of Chinese characters can be solved without the help of an already stored database: not only bottled foods but also subsidiary formulas that create Chinese characters through a combination of subsidiary characters are already stored according to the type and order of the input keyboard. Retrieves a character from a databas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whether or not to use the database does not give a difference in speed that can be felt by the skin. If you ignore the system characteristics of Chinese with regular patterns and scientific configurations and replace them with a database, you will have difficulty in manipulating and handling each character in English, and there is a system vulnerability that requires you to continuously update the database for future registered characters. In addition to subcombination combinations, there are also prototypical combinations, but there are also vulnerabilities that cannot be produced without the database. In the drawing form, the order of input of figures is absolutely important and should be mapped to database according to the inputted contents and order of figures. In this case,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if the user does not know the order of combining letters, completely different letters may appear. 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 problems listed above.

B)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영문 키보드 시스템을 그대로 이용한다는 점: 병음식 입력 방법의 경우, 영문 키보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영문 키보드의 알파벳 배치와 다른 구조를 가져 도우미 스티커를 자판 위에 붙여야하지만, 일부 부수식 입력 방법과는 달리, 특수 제작된 키보드나 키 수를 늘린 키보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부수식 입력 방식의 문제는 214개의 부수를 26개 알파벳 자판에 배치하는 문제였는데 한 자판에 배당되는 부수 수가 너무 많음으로 인해 사용자가 이를 습득하기에 많은 시간이 걸리며 배당된 부수 수가 5개 이상일 경우 서치 시간도 늘어난다. 본 발명은 위에 열거된 문제를 극복하였다. B) Use of the English keyboard system used worldwide: As for the bottled food input method, the English keyboard can be used as it is. Of course, you need to put a helper sticker on the keyboard because it has a different structure from the English alphabet, but unlike some of the incidental input methods, there is no need to use a specially designed keyboard or an increased number of keys. The problem with the incidental input method was to place 214 copies on 26 alphabetic keyboards, and the number of copies assigned to one keyboard is too long for the user to acquire them. It also increases time. 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 problems listed above.

C) 마우스의 도움 없이 키보드 상에서 해결되도록 4방향 원터치 서치 바를 도입하였다는 점: 병음식 입력 방법 사용 시 동음 그룹에서 원하는 글자를 찾을 때, 그리고 조합식 입력 방법에서도 같은 키에서 원하는 글자를 찾을 때, 추가 시간이 허용된다. 이 추가 시간을 여기서 서치 시간이라 부르기로 한다. 또 글자를 찾을 때 나타나는 추가 화면을 서치 바로 명명한다. 서치 시간은 마우스를 사용하여야 할 경우 더 늘어난다. 마우스 사용 없이, 그룹에 속한 글자들을 번호로 매겨 키보드 상에서 번호로 입력하는 방법도 있으나, 1) 그룹에 속한 구성원들 수가 10개를 넘을 경우 1타(打) 처리가 불가능하며, 2) 서치는 글자마다 매번 사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번호가 위치된 키보드 최상단은 타이핑하는 손의 중심 위치에서 멀어 영문 타이핑 시, 잘 안 쓰이는 부분이다. (그런 이유로 숫자들과 여러 기호들이 그 곳에서 배치되었다) 3) 종래의 일자형 서치 바는 같은 그룹에 속한 구성원들을 한 번에 인식하는데 시간이 걸린다. 본 발명은 위에 열거된 문제를 극복하였다. C) introduced a four-way one-touch search bar to solve on the keyboard without the help of a mouse: when using the bottled input method to find the desired letter in the hom group, and when using the combined input method to find the desired letter on the same key, Extra time is allowed. This additional time is called search time here. The additional screen that appears when you search for letters is named Search Bar . Search time is further increased when the mouse must be used. There is also a method of inputting numbers on the keyboard by numbering letters belonging to the group without using a mouse. However, 1) If the number of members in the group exceeds 10, one stroke cannot be processed. Although it can be used every time, the top of the keyboard where the number is located is far from the center of the typing hand. (That is why numbers and symbols were placed there.) 3) A conventional straight search bar takes time to recognize members of the same group at once. 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 problems listed above.

D) 한자의 개념을 처음 접하는 외국인이나 어린 아이도 손쉽게 익힐 수 있도록 각 부수를 모양 별로 분류하고 그 모양에 따라 키 위치를 배정하였다는 점: 손을 쓰는 운동신경 중 중심이 되는 수목(手目) 배위력(Hand-Eye Coordination)은 눈으로 보는 것과 손으로 감지하는 것을 얼마만큼 빠르게 연관(Associate)시키느냐 에 달려 있다. 키보드상의 수목 배위력이란, 눈으로 보는 한자의 형태와 그 형태에 따라 움직이는 손가락의 위치와의 연관성을 지는 능력을 말한다. 현재 나온 입력 방법에서는 부수나 도형을 모양 별로 분류하였으나 고르게 배치되지 아니 됐으며 수목 배위 기능을 적절히 살리지 못 하였다. 즉, 분류된 그룹의 특성과 배정된 키의 위치와 연관성이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도형 조합식의 오필자형 시스템에서 영문 G키에 실린 부수들(王, 主, 一, 五, )은 한 일(一)자가 들어간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전체 형태로 보았을 때 다른 그룹(A키의 工, F키의 土, 士 등, D키의 三)과의 차이를 부여할 만한 유사성이 없으며 부수들의 공통점(한 일(一)자)과 그 위치 설정과의 뚜렷한 관계가 없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위에 열거된 문제를 극복하였다. D) For each foreigner or young children who are new to the concept of Chinese characters, each part is classified by shape and the key position is assigned according to the shape. Hand-Eye Coordination depends on how quickly you associate your sight with your hand. The tree coordination on the keyboard refers to the ability of the Chinese character to be seen and the position of the finger moving according to the form. In the current input method, the number of copies or figures is classified by shape, but they are not evenly arranged and the tree coordination function is not properly utilized. In other words,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ed group and the location of the assigned key. For example, in the typographic system of typical figure combinations, the parts of the G key in English (王, 主, 一, 五, ) Have one thing in common, but there is no similarity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other groups (the A key, the F key, and the other, etc.). There is no clear relationship between their commonality and their location. 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 problems listed above.

E) 한자 어학 구조상 자주 이용되는 품사를 키보드에 배치함으로써 알파벳 시스템과의 불화음성을 극복하였다는 점: 알파벳 시스템은 전형적이고 수평적인 조합형이어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구성원의 성격이 동등하여 구성 방법이나 위치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영문 키보드 시스템은 이러한 알파벳 구조에 적절하게 만들어져 있는데, 어학 구조상 자주 쓰이는 품사들도 몇 타 안에 입력될 수 있기 때문에 그 빈도에 상관없이 품사를 따로 키보드에 배치하여 불러올 필요가 없다. 이러한 점은 알파벳 시스템 언어에 한한 것이므로 다른 시스템의 언어가 영문 키보드를 이용하고자 하면 키 배치를 영어 계통의 언어와 같이 하면 안 된다. 종래의 입력 기술들은 이를 고려하지 않고 26개의 알파벳 키에 억지로 부수나 도형을 배치시키고 있다. 이 점이 기존 입력 방식들의 문제 중 하나이다. 중국어의 알파벳 시스템과의 불화음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단축키 개념의 설정이 필요하다. 워드 작업에서도 자주 쓰이면서 글자 수가 많은 단어를 단축키에 저장하여 필요할 때 불러오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화학을 전공하는 학생은 단축키 1번을 누르면 자주 쓰이는 Hidrogen을 불러올 수 있는 방법이다. 여기서 Hydrogen을 치기 위해서 7타를 쳐야 한다. 단축키를 누르는 1타에 비하면 6타가 절약되는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단축키가 10개 이상이 되거나 단축키의 단어가 자주 쓰이지 않는다면 큰 효과가 없다. 어느 단축키에 내가 필요한 단어가 있는지 쉽게 파악이 안 될 경우, 머뭇거리고 주춤하게 되는데 이때 1~2초의 시간이 흐른다면 초당 3타를 치는 속도를 가정한다면, 절약된 6타를 다시 잃게 된다. 단축키 시스템의 또 하나의 문제는 단축키 지정이 보통 숫자와 보조키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숫자가 있는 최상단 위치는 타이핑하는 손의 중심에서 멀기 때문에 타이핑을 지연시키는 악영향을 유발시킨다. 본 발명은 이러한 난제를 극복하였다. E) Overcoming dissonance with the alphabetic system by arranging parts of speech that are frequently used in Chinese language structure on the keyboard: The alphabetical system is a typical horizontal combination,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mbers input by the user are equal. There is no need to consider. The English keyboard system is designed for this alphabetic structure. Because the parts of speech that are frequently used in the language structure can be input within a few letters, there is no need to place parts of speech on the keyboard regardless of the frequency. This is limited to the alphabetic system language, so if the language of another system wants to use the English keyboard, the key layout should not be the same as the language of the English system. Conventional input technologies forcibly arrange copies or figures on 26 alphabet keys without considering this. This is one of the problems of existing input methods. In order to overcome the dissonance with the Chinese alphabet system, it is necessary to set up the hot key concept. There is a way to save frequently used words in a word operation and save them in shortcut keys and load them when needed. For example, a chemistry student can press the hotkey 1 to bring up the popular Hidrogen. You have to hit seven strokes to hit Hydrogen here. That's six strokes compared to one hitting a shortcut. However, this doesn't have much effect if you have more than 10 shortcuts or the words in the shortcuts aren't used often. If you can't easily figure out which key word you need, you'll be hesitant and faltering. If you're assuming a speed of three strokes per second for a second or two, you'll lose six strokes again. Another problem with hotkey systems is that hotkey assignments often use numbers and modifiers, and the topmost positions with numbers are far from the center of the typing hand, causing the negative effect of delaying typing. 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se challenges.

F) 위의 상기된 특징으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모바일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 같은 소형 입력 기기에서의 사용에서 큰 장점을 발휘한다는 점: 타이핑 부분의 26개의 키 수도 많은 것은 아닌데 소형 단말기의 경우는 그 수가 12개로 줄어들어 더 난감하다. 그래서 처음 키보드를 고려해서 고안된 시스템은 더 적은 공간(소형 단말기 키)에 시스템의 구성원들을 무리하게 재배정하면서 문제가 생긴다. 한자를 이루는 도형을 종류 별로 나눈 오필자형(5진법), 8진법, 24진법의 종래의 기술도 9, 또는 12개로 구성된 숫자판에 자연스럽게 매치될 수 없는 것이다. 또 처음부터 소형 단말기용으로 고안된 어윤형의 시스템 역시 상하대칭 키, 커서이동 키 등 추가키가 필요하며 7개의 기본 획과 2개의 부수 위치로 9진 시스템을 형성하였으나 기본 획의 모양과 키 위치와는 관련이 적다. F) The above-mentioned features provide a great advantage in use in small input devices such as mobile terminals (mobile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etc.): the number of 26 keys in the typing area is not large, but small In the case of terminals, the number is reduced to 12, which is more difficult. So a system originally designed with keyboards in mind has a problem with overriding members of the system in less space (small terminal keys). Conventional techniques of five-digit, octal, and 24-decimal divisions of figures that make up Chinese characters cannot be naturally matched to nine or twelve numbers. In addition, Eoyun-type system designed for small terminal from the beginning also needs additional keys such as up-down symmetry key, cursor movement key, and formed a hexadecimal system with 7 basic strokes and 2 subsidiary positions. Is less relevant.

우선, 본 발명의 D항의 수목 배위력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입력 부위가 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숫자판이 본 발명과 체질적으로 맞게 됨을 알 수 있다. First, it can be seen that due to the tree coordination force of the D term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tangular number plate serving as an input por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stitutionally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시스템의 주 발명 사항은 조합식에서의 문제와 병음식에서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한다. The main invention of the system solves the problem of the combination and the bottle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은 위에 상기한 문제를 고려한 후, 이를 다시 사용 대상에 따라 두 경우로 크게 분할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거의 모든 사용자가 이 두 경우에 동시 속한다고 볼 수 있으나 본인이 어느 부류인가 알고 싶다면 자신이 어는 경우에서 더 불편함을 느끼는 지 판단하면 된다.After consider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by dividing it into two cases according to the use object. Nearly all users belong to both cases at the same time, but if you want to know what kind of person you are, you can judge if you feel more uncomfortable in freezing.

A) 시각 인식을 통해야 하는 경우: 중국 신문, 서적, 문서 등을 접할 때 모르는 한자의 뜻을 알고자 하는 경우이다. 즉, 글자의 이름(예: 중국식 병음)을 모르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이다. 상형 문자 시스템은 뜻을 모르고도 단어를 읽을 수 있는 알파벳 시스템과 다르기 때문이다. 한자를 처음 접하는 외국인과 어린 아이는 즉시 이 경우에 속한다. 중국인의 경우에도 간체를 쓰는 젊은 세대 또한 옛 문서를 접할 시, 번체로 나온 글을 읽을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지는 데 이 또한 이 경우에 속한다. 또 한자를 쓰는 문화권이지만 한자의 뜻은 알아도 그 음을 모르는 경우, 눈으로 보이는 것을 컴퓨터 상에 옮기고자 할 때의 경우도 포함한다. 이 모든 경우는 조합식을 통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은 조합식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위주로 고안되었다. 하지만 제 2의 경우에도 같은 원리로 솔루션을 제시한다. A) When you need to recognize visually: You want to know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that you do not know when you read Chinese newspapers, books and documents. This is caused by not knowing the names of letters (such as Chinese Pinyin). This is because the hieroglyphic system is different from the alphabetic system that can read words without knowing the meaning. Foreigners and young children who are new to Chinese characters immediately fall into this case. Even in the case of Chinese, the younger generation who writes Simplified also encounters a situation where they cannot read traditional texts when they come across old documents. It is also a culture that uses kanji, but if you know the meaning of kanji but don't know the sound, it includes the case where you want to move what you see on the computer. All of these cases are solved through combination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around the problems occurring in the combination. But in the second case, the same principle is presented.

B) 기억을 통해야 하는 경우: 작문(Free writing), 인터넷에서의 문자 통신 (이메일, 쪽지, 채팅 등)을 할 경우를 뜻한다. 이 때 한자를 읽을 수는 있어도 쓰려면 한자의 부수 구성을 알고 있어야 하는데 부수 구성을 모르는 부류가 여기에 속한다. 이러한 현상은 문맹률이 비교적 높은 중국에서 볼 수 있는데 말은 할 수 있고 또 동음어 중 원하는 글자를 인식할 수 있으나 직접 쓰는 능력이 부족한 경우이다. 이런 경우, 불가피하게 병음식을 도입하여야 하는데 본 발명의 원리는 이 병음식에도 획기적인 기능을 제시한다. B) If you need to remember: This means writing free or texting on the Internet (email, messages, chat, etc.). At this time, even if you can read Chinese characters, you need to know the composition of Chinese characters. This phenomenon can be seen in China, where illiteracy is relatively high. It is possible to speak and recognize the desired letters among the homophones, but lacks the ability to write directly. In this case, inevitably a bottled food should be introduced, and the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s a revolutionary function in this bottled food.

본 발명은 키보드 타법(打法: stroke)을 제1타(代表打: first stroke)와 제2타(補助打: second stroke)로 나누고 제1타와 제2타를 하나로 묶어 일정타(一正打: one main stroke)로 간주한다. 제1타 후 키를 누르면 자동으로 나오는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대표 글자가 나옴으로 원하는 글자가 바로 그 글자일 경우 영문식 일타 처리가 가능하다. 그렇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나온 4방향 서치바에서 원터치로 원하는 글자를 선택하게 되는데 이때 추가되는 타를 제2타로 명명한다. 제2타는 E,R,T,G,H 이렇게 모여 있는 다섯 키 중 하나를 선택함이 되므로 빠른 속도로 입력될 수 있어 반타에 해당된다. 또 대표 글자의 사용도가 전체 문장에서 10% 이상만 차지한다고 가정하여도, 숙달된 타자수(打者手)에게는 제1타와 제2타가 1.5타가 되지 못하여 실질적으로 일타(一打)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예: Q키의 은 제 1타인 q와 제 2타인 h로 구성되는데 qh를 1정타로 보면 된다.)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a keyboard stroke into a first stroke and a second stroke, and binds the first and second strokes together to form a constant stroke. Note: Considered as one main stroke. After pressing the first stroke, the most representative appearance letter that comes out automatically comes out, so if the desired letter is that letter, it is possible to process the English type. Otherwise, you can select the letters you want with one touch from the 4-way search bar that comes out automatically. Since the second stroke selects one of the five keys, such as E, R, T, G, and H, it can be input at a high speed and thus corresponds to the banta. In addition, assuming that the use of the representative letter occupies more than 10% of the entire sentence, the first and second strokes do not become 1.5 strokes for the mastered batters, so they are practically close to one stroke. have. (Eg Q key Is composed of the first tin q and the second tin h, which can be regarded as one hit.)

본 발명은 모든 한자를 5정타(五正打)안에 조합될 수 있게 고안되었다. 병음식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병음을 입력한 후 3타 내에 원하는 한자를 찾을 수 고안하였다. 즉, 영문식이나 중국식 병음 표기의 경우 2타로 모든 병음을 표기할 수 있으니 도합 5타 내에 어떠한 한자라도 찾을 수 있게 된다. 한국식 음 표기의 경우 3타 내에 모든 음을 표기할 수 있으니 도합 6타가 된다. 여기서 5~6타 내에 모든 한자를 표현하려는 의도는 본 입력 시스템의 다중 성격으로 인해 생기는 복잡함을 영어 타이핑보다 빠른 속도로 보완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중 성격이란 조합식과 병음식을 다 갖추었다는 뜻이다. 복잡함이란 A의 경우에 속한 사용자라 할지라도 조합식을 주로 이용하다가도 글자의 형태는 어렴풋이 기억이 나고 발음만 아는 글자가 있을 경우, B의 상황에 해당되어 병음식으로 해결해야 하므로 본 발명의 사용 도중, 이 방식에서 저 방식으로 옮기는 체제에 익숙하여야 한다는 뜻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so that all Chinese characters can be combined in five hits. Likewise, in the case of a bottled food, it was designed to find the desired Chinese character within three strokes after entering the pinyin. That is, in the case of English or Chinese Pinyin notation, all the Pinyin can be represented by 2 strokes, so any Chinese character can be found within 5 strokes in total. In the case of Korean note notation, all the notes can be written within three strokes, resulting in a total of six strokes. The intention here is to express all the Chinese characters within 5-6 strokes to compensate for the complexity of the input system's multiple personalities faster than English typing. Multi-person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having both a combination and a bottled food. Complexity is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belongs to the case of A, but mainly using the combination formula, if the letter form is vaguely remembered and only the pronunciation knows the letter, it should be solved with the food of the situation in B In the meantime, you should be familiar with the system of moving from this to that metho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상기된 두 경우를 위주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면,If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bove two cases,

A) 시각 인식을 통해야 하는 경우: 1) 자주 쓰이는 품사의 처리: 본 발명은 자주 쓰이는 품사를 단축 설정을 통해 1정타로 해결한다. 영어에서 자주 쓰이는 품사 중, 전치사(예: to, for, at, in), 인칭 대명사(예: I, you, he), 접속사(and, or, as) 등은 2~3타 내에 해결되므로 따로 단축 설정을 할 필요가 없다. 이 기술은 간단한 대화 문장의 90%까지 차지할 수 있는 품사들을 키에 단축 설정시킴으로써 인터넷상에서 빠른 대화를 가능케 한다. A) In case of visual recognition: 1) Processing of frequently used parts of speech: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frequently used parts of speech with a single stroke through shortening. Among the parts of speech that are frequently used in English, prepositions (eg, to, for, at, in), personal pronouns (eg, I, you, he), and conjunctions (and, or, as) are resolved within two or three strokes. There is no need to do a quick setup. This technology enables quick conversations on the Internet by shortening parts of speech that can take up to 90% of simple conversation sentences into keys.

예: 我想 (나는 너를 생각한다. I think of you.)Example: 我 想 (I think of you.)

위의 글은 e-tr-eh의 3정타 (5타 미만)로 해결된다. 이는 같은 표현을 영어(11타)나 한글(21타)로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비해 훨씬 빠른 것이다. The above article is solved by three hits (less than five) on e-tr-eh. This is much faster than trying to input the same expression in English (11 strokes) or Korean (21 strokes).

2) 부수의 기하학적(geometrical) 배치 처리: 키보드나 소형 단말기의 입력 부분에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나 도형을 어떻게 배치하느냐가 최대의 문제였다. 214개를 26개의 영문키에 배치하려면 키 당 평균 8.02의 부수가 들어갈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여기서 SHIFT같은 보조키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부수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은 52군데이다. 다시 말해서 한 타(打) 당 4~5개씩 보이게끔 하면 되는 것이다. 하지만 정작, 문제는 여기에 있지 않다. 첫째, 한자가 이런 식으로 균등하게 분류될 수 있게끔 만들어진 언어가 아니라는 점, 둘째, 26개의 모양 그룹으로 나눈다 하더라도 26이란 수는 사용자가 종류별 인식을 하기에는 너무 큰 수이다. 셋째, 종류별로 인식을 하더라도 그 종류와 그 것의 키보드상의 배치와 어떠한 연관이 있어야 사용자가 습득하기 편한 것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일반적인 사고방식을 통해 이해될 수 있는 규칙을 세워 부수를 기하학적 개념의 8그룹으로 분류하고 (도표 1 참조) 그 8그룹의 위치는 바로 키보드의 기하학적 형태와 연관시킨 것이다. 8이란 수는 사용자가 각 종류를 파악하기에 적당한 수이며, 기하학적 연관성은 사용자가 수목 배위력을 통해 빠르게 습득하기에 가장 적절한 방법인 것이다. 여기서 한자의 기하학적 모양 중 우측 하단 모서리 () 모양이 없음을 상기하면 왜 9가 아니고 8그룹이 됐는지를 알 수 있다. 부수는 옥편에 있는 214개의 부수를 위주로 하되, 부수 같은 형태로 되어 있고 자주 조합되어 쓰이나 옥편에는 없는 문형들도 포함시켰다. 이는 본 발명에서 그 대상이 부수의 존재와 그 조합 방식을 아는 지식 계층뿐만 아니라 초보자, 외국인, 학생 등 배우는 자까지 포함되어 그들이 보는 시각에서 자연스러운 조합 해결 방법을 고려하였기 때문이다.2) Coordinated geometrical arrangement process: The biggest problem was how to arrange the number of figures or figures that make up Chinese characters on the input part of the keyboard or small terminal. If you place 214 in 26 English keys, you get an average of 8.02 copies per key. Here, you can use a supplementary key such as SHIFT, so there are 52 places for placing copies. In other words, you can make four to five pieces per shot. But the problem is not here. First, Chinese characters are not designed to be classified evenly in this way. Second, even if they are divided into 26 shape groups, the number 26 is too large for users to recognize by type. Third, even if it is recognized by type, it is easy for a user to learn when it is related to the type and its layout on the keyboard. Thus, the present invention sets a rule that can be understood by the user through a general way of thinking, classifies the copies into eight groups of geometric concepts (see Figure 1), and the positions of those eight group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geometry of the keyboard. The number 8 is suitable for the user to grasp each kind, and the geometric association is the most appropriate way for the user to learn quickly through tree coordination. Where the lower right corner of the Chinese character's geometric shape ( Recalling that there is no shape, you can see why it is not a nine but an eighth group. Copies were based on the 214 copies on the roof, but also included patterns that were in the form of copies and frequently combined but not on the roof. This is becaus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arner such as a beginner, a foreigner, a student, as well as a knowledge class who knows the existence of a collateral and a combination method thereof, and considers a natural combination solution from their perspective.

예: 口口는 부수도 아니고 옥편에 존재하지 않은 문형(文型)이다. 하지만 사용자의 입장에서 볼 때 이 자는 하나의 세트같이 붙어 다니며 부수의 역할을 함으로 부수 같은 존재로 인식된다. 부수같이 자주 쓰이므로 이 문형이 나올 때마다 매번 口자를 두 번 입력하는 일도 번거로운 것이다. 따라서 이 문형은 본 시스템에서 부수로 포함되었다. 조합에 자주 쓰이는 다음의 글자에서 부수 역할을 한다:Example: 口 口 is not an accessory but a sentence type that does not exist on the roof. However,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is person is perceived as a collateral by sticking together as a set and acting as a collateral. Since it is often used as an accessory, it is cumbersome to enter the word twice each time this sentence occurs. Therefore, this sentence is included as an incidental part of the system. It plays a role in the following letters that are often used in combinations:

單, 勸,.單, 勸, .

또 부수의 모양을 자연스런 도형학적 시각과 기능면에서 판단하였기 때문에 옥편에 있는 분류법과 다소 다를 수 있다. It may also b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taxonomy on the roof because it was judged from the natural morphological perspective and function.

예: (포)Yes: (artillery)

는 몸 부수로 옥편에 분류되어 있으나 본 시스템에서는 이 부수를 몸 그룹이 아닌 우견(右肩) 그룹(Right Shoulder Group)에 포함시켰다. 이는 우견 그룹의 부수들은 자신의 우측 기둥에서 왼 편, 그리고 상단 천정에서 아래쪽으로 추가되는 글자에게 공간을 내주는 성격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에서 나올 수 있는 등의 형태를 보더라도 양 기둥이나 천정과 바닥사이에 글자를 받아들이는 몸 그룹(門, 行 등)과 틀린 성격을 지님을 알 수 있다. The body parts are classified on the roof by the body parts, but in this system, they are included in the Right Shoulder Group rather than the body group. This is because the vice-groups give space to the letters that are added to the left side of the right column and downwards from the top ceiling. therefore That can come from Looking at the shape of the back, it can be seen that the body group (門, 行, etc.) accepts letters between the two pillars or the ceiling and the floor.

3) 음수(音首)의 처리: 여기서 음수(音首)란 기능면에서 부수(部首)의 상반되는 역할을 한다. 부수가 한자에 의미를 부여한다면, 음수는 한자에 발음을 부여한다. 음수 역시 부수로 되어 있고, 부수 중 음수로서 사용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음수와 부수의 구분을 정확히 나눌 필요는 없다. 처음 보는 글자에서는 어느 것이 음수이고 어느 것이 부수인지 (예: (얼)에서 부수는 (초)가 아니라 子(자)이다. 참고: 의 속자이다.) 정확히 모를 때가 있다. 그런 이유로 사용자가 음수와 부수 개념으로 구분한 뒤 조합을 하기엔 무리가 있다. 또 부수 수 214개 보다 많은 음수를 수록할 공간도 없는 형편이다. 그렇다고 음수를 전혀 배제할 수도 없는 이유는 음수 역시 대표 부수들만은 못 하지만 대부분의 부수만큼 한자 구성에서 자주 쓰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음수를 하나의 셋업(Set-up) 부수로 보면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음수를 선별하여 키보드에 배치하고 배치 방법은 부수의 기하학적 배치법을 따라 사용자가 음수의 모양에 따라 키 위치를 찾을 수 있게끔 하였다.3) Treatment of Negative Numbers: Negative numbers here play the opposite role of minority in terms of function. If the copy adds meaning to a Chinese character, a negative number gives a pronunciation to a Chinese character. Negative numbers are also negative, and sometimes they are used as negative numbers, so it is not necessary to correctly divide the negative and the negative. The first letter you see is which is negative and which is negative (e.g. Cracking in (Seconds) not 子 (child). Reference: silver I don't know exactly. For this reason, it is hard for the user to separate the negative and the secondary concepts and combine them. In addition, there is no room to store more negative numbers than 214 copies. However, negative numbers cannot be excluded at all because negative numbers are not only representative copies, but are used in Chinese characters as often as most copies. Think of negative numbers here as a set-up cop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nd arranges negative numbers on the keyboard, and the arrangement method allows the user to find key position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negative numbers according to the additional geometrical arrangement method.

4) 분류법: 언어학적으로 한어(漢語)는 상형(象形)문자 구조이므로 자로 잰 듯이 균등한 분류는 기대하기 힘들다. 하지만 가장 자연스런 해결책에 접근한 방식을 본 발명이 제시한다. 사용자가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4방향 원터치 서치 바를 이용하기에 가장 이상적인 분류법은 키당 그룹 멤버 수를 6개로 제한하는 것이다. 대표 글자 1개와 4방향 4) Taxonomy: As it is linguistically, Chinese is a hieroglyphic structure, so it is hard to expect a uniform classific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y of approaching the most natural solution. The ideal classification for using a four-way one-touch search bar that users can see at a glance is to limit the number of group members per key to six. One representative letter and four directions

과 중간에 배치되는 나머지 5개가 한 그룹을 이룬다. 물론, 6을 못 채우는 경우도 있지만 본 발명은 육자(六字) 분류법이 부수를 나누기에 가장 적합한 법으로 보고 있다. 알파벳 26개의 키 중 21개의 키와 추가 키 1개, 이렇게 22개가 부수에 사용되는 데 SHIFT를 이용한 보조 공간을 포함하면 최대 22x2x6 = 264자까지 수록할 수 있는 것이다. And the remaining five in the middle form a group. Of course, in some cases it can not fill 6,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suitable method for dividing the number of hexagram (六 字) classification. Twenty-one of the 26 keys of the alphabet and one additional key, 22 of which are used for copying, can contain up to 22x2x6 = 264 characters if you include an auxiliary space using SHIFT.

5) 영문 키보드의 활용: 영문 키보드의 타이핑 부분은 크게 세 구역으로 나뉘어져 있다: 키보드의 둘째 줄에 시작하는 숫자-기호 구역(14개), 알파벳 구역(26개), 그리고 부호 구역(7개). SHIFT 보조키의 이용은 영문에서는 대문자를 표시하기 위해 쓰이나 한자에는 대소문자 구분이 없으므로, SHIFT 보조키를 사용해 글자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두 배로 늘릴 수 있다. ALT 보조키의 경우, 일부 워드 프로세서나 유틸리티 프로그램에서 쓰이나 보통 숫자 또는 F시리즈(키보드 최상단에 위치)의 기능키와 조합을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부족한 공간을 늘리기 위해 알파벳과 조합하여 쓴다. 띄어쓰기가 적고 문장 부호의 사용을 하지 않아도 의문문, 감탄문 등을 만들 수 있는 중국어의 특징 때문에 부호 구역의 7개의 키를 조합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5) Using the English Keyboard: The typing portion of the English keyboard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the number-symbol section (14), the alphabet section (26), and the sign section (7), starting on the second line of the keyboard. . The SHIFT modifier key is used to display capital letters in English, but Chinese characters are not case sensitive, so you can double the space for letters by using the SHIFT modifier key. In the case of the ALT auxiliary key, it is used in some word processors or utility programs, but in combination with a normal number or a function key of the F series (located at the top of the keyboard),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alphabet to increase the space. The seven keys in the code zone can be used for combinations because of the Chinese character, which allows for spacing and interrogation without the use of spaces and punctuation.

6) 데이터베이스의 처리: 문자 데이터베이스의 사이즈는 전체 한자 수와 같다고 볼 수 있다. 문자 데이터베이스의 목적은 각 문자마다의 그래픽 표현, 의미, 그리고 음 표기이다. 하지만 입력 시스템에서는 글자의 의미를 사용자에게 말해주어야 할 의무는 없다. 그리고 특히 제대로 된 조합식 입력 시스템이라면 그래픽 표현도 214개의 부수를 저장한 부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이룰 수 있으므로 수만 개의 문자가 든 문자 데이터베이스는 무의미하다. 중국어의 경우, 데이터베이스 없이 조합식 입력 시스템을 통해 수만 개 문자의 각 의미를 구축할 수 있다. 물론, 인공 두뇌식의 고도의 프로그래밍 기술이 동원되어야 할 것이다. 6) Database Processing: The size of a character database is equal to the total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The purpose of a character database is a graphical representation, meaning, and phonetic notation for each character. However, the input system is not obliged to tell the user what the letters mean. And especially with a true combinational input system, a graphical represent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a collateral database of 214 copies, so a character database with tens of thousands of characters is meaningless. In Chinese, a combined input system without a database can build tens of thousands of characters each. Of course, a high level of programming technology will be mobilized.

B) 기억을 통해야 하는 경우: 1) 자주 쓰이는 품사의 처리: 종래의 병음식의 경우, 자주 쓰이는 품사도 자주 안 쓰이는 다른 단어들과 마찬가지로 오랜 서치 시간을 통해 입력되었다. 서치 1회가 10~15타에 해당되는 시간(3~4초)으로 보통 지연되면 막대한 손실이 아닐 수 없다. 본 시스템을 통하면 기본적으로 2타에 병음을 입력한 후, 서치에서 최고 3타까지 소요된다고 가정, 총 5타까지 걸릴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최대 5타, 평균 4타 정도면 영어 계통의 언어에 비해 그리 느린 편이 아니다. 오히려 고급 문장일수록 글자 수가 많은 품사를 자주 쓰게 되는데 영어의 경우만 하더라도 therefore, through, even though, despite that, except that 등은 7~10타 이상이다. B) When to remember: 1) Handling of frequently used parts of speech: In the case of conventional bottled foods, frequently used parts of speech, like other words that are not frequently used, are entered through long search times. If a search is usually delayed by 10-15 strokes (3-4 seconds), it is a huge loss. This system basically calculates that it can take up to 5 strokes, assuming that it takes up to 3 strokes in search after entering Pinyin on 2 strokes. A maximum of five strokes and an average of four strokes are not very slow compared to the English language. Rather, high-level sentences often use parts of speech with a large number of letters. Therefore, in English, therefore, through, even though, despite that, except that is more than 7-10 strokes.

2) 많은 동음어의 처리: 병음식의 문제는 무엇보다 병음을 표기한 후 그 음에 속한 동음어를 어떻게 사용자에게 표시하여야 하느냐이다. 일단, 한글 표기법(I.2 참조)의 경우, 서치 윈도우가 나오는데, 서치 윈도우는 화면의 타이핑 면적을 너무 많이 차지하여 부담을 주며, 타이핑 작업이 일시 중단되는 느낌을 준다. 영문 표기법(I.1 참조)의 경우, 한 줄 폭의, 서치 윈도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서치 바가 있지만, 작고 부담이 없는 반면, 한 바에 표시할 수 있는 최대 동음어 수를 넘을 경우, 그 다음 서치 구역으로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보통 음마다 10~20개 이상의 동음어가 있으므로 이런 문제는 타이핑의 심각한 지연을 야기하여 큰 문제이다. 본 발명은 한 음당 표시되는 동음어의 수를 6개로 제한하여 A 경우에서 사용되는 4방향 원터치 서치 바를 이용할 수 있게끔 하였다. 2) Handling of many homonyms: The problem with bottled foods is, first of all, how to mark the pinyin and then display the homonyms belonging to it. For Korean notation (see I.2), a search window appears, which takes up too much of the typing area of the screen and makes the typing work pause. In English notation (see I.1), there is a search bar that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search window, which is one line wide, but smaller and more casual, but exceeding the maximum number of homologs that can be displayed in one bar, There is an inconvenience to move to. Since there are usually more than 10 to 20 homologs per note, this problem is a big problem because it causes serious delays in typing. The present invention limits the number of homophones displayed per note to six so that the four-way one-touch search bar used in case A can be used.

3) 영문 키보드의 활용: 중국어에는 21개의 자음과 6개의 기본 모음이 있어서 26개의 키를 중심으로 한 영문 키보드의 사용이 적절하다. 본 발명에서는 두 타 내에 모든 병음이 입력될 수 있는 병음식을 수용하고 키보드 상에서 4방향 원터치 서치 바를 통하여 동음어를 입력할 수 있게끔 하였다. 3) Use of English keyboard: Chinese has 21 consonants and 6 basic vowels, so it is appropriate to use English keyboard with 26 key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a bottle food that can be input all pinyin within two strokes and to input the homonym through a four-way one-touch search bar on the keyboard.

4) 데이터베이스의 처리: 본 발명을 통하면 병음식에서도 문자 데이터베이스와 병음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합식 해결 방법을 통하여 모든 한자의 이름은 영문 코드화로 명명 될 수 있고 부수의 조합으로 만들어 질 수 있으므로 214개의 부수가 저장된 부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면 모든 한자를 표기할 수 있다. 기존의 병음 데이터베이스는 수만 개가 넘는 한자를 등록하고 각 글자마다 해당되는 병음을 적어 넣어 데이터베이스의 사이즈가 표현하고자 하는 모든 한자 수와 동일하여만 하였다. 본 시스템은, 존재하는 한자 수와 상관없이 존재하는 병음 수로 병음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사이즈를 대폭 축소시켰다. 4) Processing of Database: The present invention can avoid the use of character database and Pinyin database in bottled food. Through the combined solu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Chinese characters can be named in English encoding and can be made of a combination of copies, so that all Chinese characters can be written using a collateral database in which 214 copies are stored. In the existing Pinyin database, more than tens of thousands of Chinese characters are registered, and the corresponding pinyin is written for each character, so that the size of the database is equal to the number of all Chinese characters to be expressed. The system greatly reduced the size of the database by constructing the Pinyin database with the existing Pinyin number regardless of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발명의 기본 구성Basic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조합식 입력 방법과 병음식 입력 방법을 동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부수를 그 모양의 8가지 기하학적 형태와 기능에 따라 8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이 기하학적 형태는 키보드의 직사각형 형태와 일치하여 키보드 상에서의 배치가 수월하고 사용자가 쉽게 익힐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use a combination input method and a bottle food input method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copies into eight groups according to the eight geometric shapes and functions of the shape. This geometry matches the rectangular shape of the keyboard, making it easy to place on the keyboard and easy for the user to learn.

8개 그룹은 각각 신체의 구성 부분의 한자 이름을 가지며 그 대표 형태는 사각형을 이용하여 부수로서 사용되는 위치를 검은 선 테두리로 표시하였다. (회색 테두리는 부수의 원래 위치 외에 제 2 위치에서 사용됨을 표시)Each of the eight groups has names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body, and the representative form is represented by a black line border indicating the position used as an accessory using a rectangle. (The gray border indicates that it is used in the second position in addition to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copy)

(左肩), (頭), (右肩), (左腕), (體), (右腕), (脚), (足) (左肩), (頭), (右肩), (左腕), (體), (右腕), (脚), (足)

(도1 참조) (See Figure 1)

(키보드용)(For keyboard)

본 발명의 구성에 필요한 키보드 상에서의 입력키들은 다음과 같다: 1) 한자/영어 모드 전환 특수키, 또는 콤보키 2) 스페이스 바 3) 33개의 알파벳, 숫자/기호, 부호 키 4) SHIFT/ALT 보조키 5) 숫자판(NUMPAD)의 숫자키 5개(0부터 4) (복제(Clon) 용) 6) ESC 키 The input keys on the keyboard required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1) Chinese / English mode switching special key, or combo key 2) Space bar 3) 33 alphabetic, numeric / symbol, sign keys 4) SHIFT / ALT Auxiliary Key 5) 5 Numeric Keys (0 to 4) on the Numpad (for Clon) 6) ESC Key

1)에서 키보드에 한자 전환 특수키가 없다면 SHIFT와 SPACE 식의 콤보키로 전환키를 대체한다. 영문 모드 상태에서 콤보키를 누르면 한자 모드로 바꾸어 조합식 입력을 사용할 수 있다. 다시 콤보키를 누르면 영문 모드로 돌아간다. 이것을 기본 설정으로 하고 병음식 입력, 키보드 보기, 간체자 모드 등 옵션을 바꾸려면 윈도우사에서 본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별도의 메뉴를 통해 초기 설정을 정한다. 병음시과 조합식을 동시에 쓰려는 사용자에 한해 전환키는 영어 모드 → 조합식 입력법 → 병음식 입력법 → 영어 모드 순으로 키를 누를 때마다 모드를 바꾸어준다. 2)에서 스페이스 바의 사용은 한 글자의 조합이 끝남을 수동적으로 컴퓨터에 알리고 다음 글자를 옆에 입력할 수 있게끔 커서이동이 된다. 5정타를 넘거나 규칙에 어긋나는 조합이 될 경우 자동적으로 옆으로 이동하여 새 글자를 시작한다. 3)에서 47개의 키 중 E,R,T,G,H는 4방향 서치바에서 방향 선택 키의 역할은 한다. 4)에서 SHIFT키는 47개의 키와 조합되어 사용되며 ALT키는 33개의 키와 조합된다. 5)에서 NUMPAD의 숫자 키 중 2부터 4는 이중, 삼중, 사중 형태로 자신을 복제하는 글꼴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1은 자신을 이중으로 하되 몸 기능을 한다. 즉, 그 다음에 오는 글자를 몸 중간에 삽입시킬 수 있다. 6)에서 ESC키는 서치 바가 나온 후, 이를 무효화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다. If the keyboard does not have a Chinese character conversion special key in 1), it is replaced by a combination key of SHIFT and SPACE type. If you press the combo key in the English mode, you can switch to the Chinese character mode and use the combined input. Press the combo key again to return to English mode. If this is the default setting and you want to change the options, such as bottled food input, keyboard view, simplified mode, etc., Windows sets the initial settings through a separate menu presented by the system to the user. For users who want to use Pinyin and combinations at the same time, the switch key changes the mode each time the key is pressed in the order of English mode → Combination input method → Bottle food input method → English mode. The use of the space bar in 2) moves the cursor to manually tell the computer that the combination of characters has ended and to enter the next character next to it. If you have more than 5 hits or a combination that goes against the rules, it will automatically move to the side and start a new letter. Of the 47 keys in 3), E, R, T, G, and H serve as direction selection keys in the 4-way search bar. In 4), the SHIFT key is used in combination with 47 keys and the ALT key is combined with 33 keys. In 5), 2 to 4 of NUMPAD's numeric keys are intended to represent fonts that duplicate themselves in double, triple or quadruple forms. 1 doubles himself but functions as a body. That means you can insert the next letter in the middle of your body. In 6), ESC key can be used when you want to invalidate after search bar.

(휴대용 단말기용 (4x3 직사각형 입력 패드))(4x3 Rectangular Input Pad for Portable Terminals)

본 발명의 구성에 필요한 휴대용 단말기 상에서의 입력키들은 다음과 같다: 1) 한자/영어 모드 전환 특수키 (또는 선택 메뉴에서 선택) 2) 오른쪽 화살표 키 3) 0을 제외한 9개의 숫자키 4) 왼쪽 화살표 키와 0. 5) 0 키 6) 왼쪽 화살표 키 The input keys on the portable terminal required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1) Chinese / English mode switch special key (or select from the selection menu) 2) Right arrow key 3) Nine numeric keys except 0 4) Left Arrow keys and 0. 5) 0 key 6) Left arrow key

1)에서 선택 메뉴를 통해 초기 설정을 바꿀 수 있으며 한자/영어 모드 전환 특수키가 없다면 역시 메뉴에서 모드를 선택한다. 2)에서 맨 아랫줄의 오른쪽 화살표 키는 키보드용 구성의 스페이스 바 역할을 한다. 3)에서 9개의 숫자키 중 짝수키(2,4,6,8)와 중앙키(5)는 방향 선택 키의 역할을 한다. 4)에서 왼쪽 화살표 키는 SHIFT키의 역할, 그리고 0은 ALT키 역할을 한다. 5)에서 서치바가 나온 상태에서 0은 글꼴의 복제(Clon) 기능을 한다. 6)에서 서치바가 나온 상태에서 왼쪽 화살표키는 선택한 부수의 무효화를 뜻하는 ESC키의 역할을 한다. The initial setting can be changed through the selection menu in 1). If there is no special Chinese / English mode switching key, select the mode from the menu as well. In 2), the bottom right arrow key serves as a space bar for the keyboard configuration. In 3), even-numbered keys (2, 4, 6, 8) and center keys (5) serve as direction selection keys. In 4), the left arrow key serves as the SHIFT key and 0 serves as the ALT key. With search bar in 5), 0 acts as a clone of the font. With the search bar in 6), the left arrow key serves as the ESC key to invalidate the selected copies.

발명의 상세 구성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입력키의 상세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nput ke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키보드용) (For keyboard)

크게 3 부분으로 나눈다. 1) 내용 입력키 2) 품사 입력키 3) 방향 선택키Divide into three parts. 1) Content input key 2) Parts of speech input key 3) Direction selection key

1) 내용 입력키는 Q줄에서 Z줄까지 33개의 알파벳/부호 키 중 E,R,T,G,H 다섯 개의 키를 제외한 28개의 키를 말한다. 내용 입력키는 조합식에서는 부수를 내용으로 하며 병음식에서는 영어의 알파벳을 내용으로 하다.1) Content input key is 28 keys except E, R, T, G, H five keys among 33 alphabet / sign keys from Q line to Z line. The content input key is the number of copies in the combination and the alphabet of English in the bottle.

2) E,R,T,G,H는 명사를 제외한 자주 쓰이는 품사를 입력할 수 있는 키이다. 또 상단의 숫자/기호 키들은 숫자를 비롯하여 자주 쓰이는 명사들을 테마별로 분리하였다. 품사 입력키는 다른 글자와 조합을 하지 않는다.2) E, R, T, G, and H are keys for entering commonly used parts of speech except nouns. The top number / symbol keys also separate the numbers and the most common nouns by theme. The part-of-speech input key does not combine with other characters.

3) E,R,T,G,H는 동시에 방향 선택키의 역할 한다. 이 역할은 서치 바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었을 시만 작동한다. 3) E, R, T, G and H simultaneously serve as direction selection keys. This role only works when the search bar is displayed on the screen.

내용 입력키 중 가장 핵심 부분인 부수 입력키는 총 22개의 키를 이용하며 부수의 기하학적 모양에 따라 배치된다. 키 마다 배치된 4각 도형의 검정 테두리는 소속된 부수의 제 1기능, 회색 테두리는 그 부수의 제 2기능을 나타낸다.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content input keys is the coarse entry key, which uses a total of 22 keys and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coarse geometry. The black border of the quadrangular figure arranged for each key represents the first function of the associated copy, and the gray border represents the second function of the copy.

예를 들어, 심(心)은 모양의 좌완(변) 기능이 제 1이고 심모양의 발 기능이 제 2이다.For example, the heart The shape of the left arm (leg) is first and the heart-shaped foot function is second.

그러므로 해당 도형은이다. (도 2 참조)Therefore, the shape to be. (See Figure 2)

1) 내용 입력키: 내용 입력키는 크게 3 부분으로 나뉜다: 부수 입력키, 매직 입력키, 특수모양 입력키1) Content input key: The content input key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parts: subordinate input key, magic input key, special shape input key.

1_A) 부수 입력키: 기본 모드(아무 보조키 없이)와 시프트(SHIFT) 모드 시, 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 글자를 배치하였다. 앨트(ALT) 모드 시엔 4타 이상의 음수를 배치하였다. (4타 이내 음수는 조합식으로 얻어야 한다) 각 모드의 대표자는 제일 빈도수가 높은 부수이며, 기본 모드의 대표자는 시프트 모드의 대표자보다 빈도수가 높다. 1_A) Copies input key: In the basic mode (no auxiliary key) and the shift mode, a letter serving as a copy is placed. In the Alt mode, at least four negative numbers were placed. (Negative numbers within four strokes must be obtained in combination) The representative of each mode is the most frequent number, and the representative of the basic mode has a higher frequency than the representative of the shift mode.

상단 qwyuiop, 중단 asdhjkl, 하단 zxcvbnm.으로 나뉘어져 있고 모두 22키이다. It is divided into top qwyuiop, suspended asdhjkl, bottom zxcvbnm. And all are 22 keys.

상단(qwyuiop)은 방향 품사키인 e,r,t를 제외하며 상단 양쪽 코너와 상단을 포함하여 모두 7키이다. 즉, 8개 그룹중 좌견(左肩), 머리(頭), 그리고 우견(友肩) 그룹을 포함한다. 시프트(SHIFT)와 앨트(ALT)의 보조키를 이용하여 각 6자씩 키 당 최대 18자의 구성원을 가질 수 있다. 각 키 안의 모드마다 그 세부 모양에 따라 특징이 있고 한 키와 이웃 키 사이에도 연관성이 있는 점이 특징이어서 사용자가 쉽게 익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a 참조) The top (qwyuiop) has seven keys, including the top two corners and the top, except for the direction pawns e, r, t. That is, the eight groups include the dog, head, and right dog groups. Up to 18 characters per key can be used for each 6-character key using the modifier keys of SHIFT and ALT. Each mode within each key is characterized by its detailed shape, and there is an association between one key and a neighbor ke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learn. (See Figure 3A)

중단(asdhjkl)은 방향 품사키인 g,h를 제외하며 중단 양쪽 기둥과 중심을 포함하여 모두 7키이다. 즉, 8개 그룹 중 좌완(左腕), 몸(體), 그리고 우완(友腕) 그룹을 포함한다. 시프트(SHIFT)와 앨트(ALT)의 보조키를 이용하여 각 6자씩 키 당 최대 18자의 구성원을 가질 수 있다. 각 키 안의 모드마다 그 세부 모양에 따라 특징이 있고 한 키와 이웃 키 사이에도 연관성이 있는 점이 특징이어서 사용자가 쉽게 익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b 참조) The asdhjkl is seven keys, including both the columns and the center of the suspension, excluding g, h, which is the direction pawn. That is, the eight groups include the left arm, the body, and the right arm. Up to 18 characters per key can be used for each 6-character key using the modifier keys of SHIFT and ALT. Each mode within each key is characterized by its detailed shape, and there is an association between one key and a neighbor ke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learn. (See Figure 3b)

하단(zxcvbnm.)은 부호 키(<)를 추가하여 하단 왼쪽 코너와 하단을 포함하여 모두 8키이다. 즉, 8개 그룹중 다리(脚), 발(足) 그룹을 포함한다. 시프트(SHIFT)와 앨트(ALT)의 보조키를 이용하여 각 6자씩 키 당 최대 18자의 구성원을 가질 수 있다. 각 키 안의 모드마다 그 세부 모양에 따라 특징이 있고 한 키와 이웃 키 사이에도 연관성이 있는 점이 특징이어서 사용자가 쉽게 익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c 참조)The bottom (zxcvbnm.) Is all 8 keys including the bottom left corner and the bottom by adding the sign key (<). That is, the leg and foot groups of eight groups are included. Up to 18 characters per key can be used for each 6-character key using the modifier keys of SHIFT and ALT. Each mode within each key is characterized by its detailed shape, and there is an association between one key and a neighbor ke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learn. (See Figure 3c)

1_B) 매직 입력키: 매직 입력키는 키보드 상단 좌측의 키로서 중심 모양의 부수나 글자를 조합한 뒤 점이나 획 수(數)에 따라 해당키를 누르면 시스템이 자동으로 위치를 선정하여 점이나 획을 중심 모양의 글자에 조합시킨다. 데이터베이스 없이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글자 형태마다 점을 받아들이는 위치가 틀리고 규칙적인 룰에 의해 조합 위치를 정하기 때문이다.1_B) Magic Input Key: The Magic Input Key is located at the top left of the keyboard. After combining the number or letters of the center shape as a key and pressing the corresponding key according to the number of points or strokes, the system automatically selects the position and combines the points or strokes with the letter of the center shape. This is possible without a database because the position where the dot is taken for each character type is wrong and the combination position is determined by regular rules.

1_C) 특수형태 입력키: 특수형태 입력키는 부호 키 6개 중 3개만 사용할 수도 있고 6개 다 사용할 수 있다. 특수형태 키는 조합 구성이 뚜렷하지 않은 한자들을 도형식으로 짜 맞추기 위해 만든 구역이다. 특수형태의 글자들은 자주 쓰이지도 않고 그 전체수가 소수이지만 이 특수형태 입력키를 이용하여 쉽게 해결할 수 있다. 1_C) Special Shape Input Keys: The special type input keys can only use 3 or 6 of the 6 sign keys. The special form key is a section created to map Chinese characters whose composition is not obvious. Special types of letters are not frequently used and their total number is few, but they can be easily solved using this special type input key.

2_A) 품사 입력키 (방향 선택 키): 품사 입력키에서도 각 분야에서 빈도수가 가장 높은 품사가 대표키이며 단자(單字)뿐만 아니라 이중 품사도 수용을 하여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하였다. 품사를 문장에서 주로 자주 쓰이는 위치 별로 (예로 접속사-대명사-부사-동사-감탄사 순) 키보드에 배치하였고 그 품사의 분류를 접속사 및 시제 부사, 대명사(인칭, 의문, 지시), 부정 부사 및 개사(介詞: 국문에서 전치사에 해당), 동사, 조사와 감탄사 및 의성어, 이렇게 다섯 그룹으로 구분하여 문자의 빠른 구성을 도왔다. (도 3d 참조) 2_A) Part-of-speech input key (direction select key): Part-of-speech input key is the most frequent part-of-speech key in each field, and accommodates both parts as well as terminals. Parts of speech are placed on the keyboard by positions commonly used in sentences (eg, conjunctions-pronouns-adverbs-verbs-interjections), and the parts of the parts are placed into conjunctions, tense adverbs, pronouns (personality, questions, instructions), indefinite adverbs, and pronouns (介詞: equivalent to prepositions in Korean), verbs, investigations, interjections, and onomatopoes, which helped the quick organization of letters. (See FIG. 3D)

2_B) 품사 입력키 (숫자 키): 자주 쓰이는 명사 위주의 품사를 테마별(예: 십이지 십간, 방향, 시공간 등등)로 나눠 사용자의 빠른 습득을 도왔다. 사용자 정의 코너도 만들어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단어를 단축 설정할 수 있게끔도 하였다. (도 3e 참조) 2_B) Part-of-speech input keys (numeric keys): Helps users learn quickly by dividing frequently used noun-oriented parts of speech into themes (eg, zodiac, direction, space-time, etc.). Custom corners were also created to allow users to shorten frequently used words. (See Figure 3E)

(휴대용 단말기용 (4x3 직사각형 입력 패드)) (4x3 Rectangular Input Pad for Portable Terminals)

크게 3 부분으로 나눈다. 1) 내용 입력키 2) 품사 입력키 3) 방향 선택키Divide into three parts. 1) Content input key 2) Parts of speech input key 3) Direction selection key

1) 내용 입력키는 1부터 9까지의 9개의 숫자 키를 말한다. 내용 입력키는 조합식에서는 부수를 내용으로 하며 병음식에서는 영어의 알파벳을 내용으로 하다.1) The content input key is 9 numeric keys from 1 to 9. The content input key is the number of copies in the combination and the alphabet of English in the bottle.

2) E,R,T,G,H는 명사를 제외한 자주 쓰이는 품사를 입력할 수 있는 키이다. 품사 입력키는 다른 글자와 조합을 하지 않는다.2) E, R, T, G, and H are keys for entering commonly used parts of speech except nouns. The part-of-speech input key does not combine with other characters.

3) E,R,T,G,H는 동시에 방향 선택키의 역할 한다. 이 역할은 서치 바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었을 시만 작동한다. 3) E, R, T, G and H simultaneously serve as direction selection keys. This role only works when the search bar is displayed on the screen.

4x3 직사각형 입력 패드 상에서 내용 입력키들의 기하학적 배치와 5개의 방향 선택키 배치가 가능하다. 각 코너는 키보드의 코너와 일치되나 그 외의 부분은 중복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이 문제는 4방향 서치 바의 사용을 한 번 더 하여 중복되는 키들을 디스플레이하여 선택하게끔 할 수 있다. 4x3 직사각형 입력 패드는 키보드 보다 1타 더 추가될 수 있다. The geometric arrangement of the content entry keys and the five direction selection key arrangements are possible on the 4 × 3 rectangular input pad. Each corner is coincident with the corner of the keyboard, but the other parts are duplicated. However, this problem can be used once again by using the four-way search bar to display and select duplicate keys. The 4x3 rectangular input pad can be added one more than the keyboard.

(도 4a, 4b 참조) (See Figures 4A, 4B)

발명의 작용    Invention

본 발명의 전반적인 작용은 다음과 같으며 더 나아가 상세히 경우별로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an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each case.

본 발명은 타이핑 도중, 멈춤 없이, 그리고 키보드만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 시간은 한 글자 당 최대 5정타가 되도록 고안되었다. 특수한 분류법을 사용하여 조합식이나 병음식에서 한 그룹 당 최대 6개까지 소속될 수 있게끔 하여 4방향 서치 바의 사용을 가능하게끔 하였으며 4방향 원터치 서치 바를 키보드 상에서 구현하여 마우스의 사용이 필요 없고 1타에 서치 및 선택을 할 수 있게 되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input Chinese characters during typing, without stopping, and using only the keyboard, and the input time is designed to be up to 5 hits per character. Using a special classifica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use up to six groups per combination in a combination or bottled food, enabling the use of four-way search bars.The four-way one-touch search bar is implemented on the keyboard, eliminating the need for using a mouse. You can search and make choices.

(조합식 입력법)(Combination Input Method)

이 경우는 보이는 한자를 컴퓨터상에 옮기려는 경우를 말한다. 사용자는 다음의 두 규칙만 유의하면 된다.In this case, you want to move the visible Chinese characters on the computer. The user only needs to pay attention to the following two rules.

제 1 규칙: 왼쪽 상단에서 오른쪽 하단으로 가는 순서로 부수를 입력하면 된다.Rule # 1: Enter the number of copies in the order from top left to bottom right.

제 2 규칙: 분리될 수 있는 모양이거나 세트 모양을 띤다면 세트 부수식으로 찾으면 된다. Rule # 2: If you have a separable or set shape, look for a set subunit.

글자의 경우별로 사용자가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내자면In the case of letters, to show how users can handle them

i) 대표 부수의 입력: 원하는 글자가 대표 부수(木, 心, 水, 人, 土, 足 등)일 경우 1타에 입력된다. 대표 부수는 주로 부수로서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것을 선정하여 배당된 키를 누르면 즉시 텍스트로 표시되게끔 되어있다. 부수로서 사용빈도가 높을 뿐 어학에서의 사용빈도는 낮을 수 있다. (예: 등) i) Enter the number of representative copies: If the desired letter is the representative copy number (木, 心, 水, 人, 土, 足, etc.), it is entered in one stroke. Representative copies are mainly selected as the most frequently used copies and are displayed as text immediately when the assigned key is pressed. As a side note, the frequency of use may be high, but the frequency of use in languages may be low. (Yes: Etc)

ii) 품사의 입력: 명사를 제외하고 E,R,T,G,H 다섯 키에 표시되는 품사는 모두 90개이다. 여기 나오는 품사의 부수 조합 형태는 비교적 간단한 편이어서 3~4정타내에 조합할 수 있으므로 중문학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는 조합식으로 품사를 얻을 수 있다. ii) Part of speech: There are 90 parts of speech on the five keys E, R, T, G, and H except for nouns. Partial combination forms of parts here are relatively simple and can be combined within 3 to 4 hits, so us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Chinese literature can get parts of speech in combination.

iii) 조합이 쉬운 글자의 입력: 부수와 부수 사이 구별이 쉬운 글자를 뜻한다. 이러한 글자들은 사용자가 우선 제 1규칙에 따라 부수들을 순서대로 입력한다. iii) Input of easy-to-combine letters: Letters that make it easy to distinguish between copies and copies. These letters are entered first by the user in order of copies according to the first rule.

예1: 渭(위)는 제1규칙에 따라 왼쪽에서부터 보이는 부수 자부터 입력하고 위에서부터 아래로 田자와 月자를 차례로 입력한다.Example 1: 渭 (top) is the number of copies seen from the left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rule Enter the characters first, followed by the 田 and 月 characters from top to bottom.

예2: 邁(매)는 제1규칙에 따라 왼쪽에서부터 보이는 부수 자부터 입력하고 위에서부터 아래로 자, 田자, 그리고 자를 차례로 입력한다. (정통 획순에 의하면 자는 밑받침 그룹에 속해 제일 나중에 쓰나 여기서는 사용자의 일반 사고방식에 알맞은 제 1규칙을 존중한다.)Example 2: 매 (hawk) is the number of copies seen from the left according to the first rule Enter characters first and then top to bottom Now, Tadaza, and Enter the characters in order. (According to the orthodox stroke order The ruler belongs to the underlay group and is used last, but respects the first rule that fits the user's general mindset.)

예3: 蓮(연)은 제1규칙에 따라 위의 자보다 왼쪽 상단을 먼저 치고 있으니 초를 먼저 입력하고 왼쪽에서부터 보이는 부수 자를 입력한 후 車를 입력한다.Example 3: 연 (year) is the above end Since we are hitting the upper left corner first After entering the characters, enter 車.

iv) 조합 수가 많아 보이는 글자의 입력: 글자의 구성원 수가 많아 보이는 때이다. 한자의 부수를 잘 모르는 사용자의 경우, 龍, 鼻, 齊 등 복잡한 부수를 조합하려 할 경우가 있다. 이러한 부수도 3~5정타 안에 조합을 할 수 있으나 일단 의심을 하여 키 배치도에서 찾아본 후 복잡한 부수와 음수에 익숙해지는 것이 좋다. 제 2규칙을 통하여 세트 부수 형태를 파악한 후, 그 모양으로 키보드 위치를 알아 쉽게 찾을 수 있다. iv) Input of characters that appear to have a large number of combinations: It is a time when a large number of members of a character appear. If you are not familiar with Chinese characters, you may want to combine complex copies such as 부, 鼻, 齊. These copies can be combined within 3 to 5 hits, but once you have a doubt, look for them in the key layout and get used to the complex numbers and negative numbers. After grasping the set number of copies through the second rule, the position of the keyboard can be easily found by the shape.

v) 복제 글꼴이 있는 글자의 입력: 글꼴 중 복제된 것이 있다면 숫자판의 숫자를 사용하여 입력한다. 1,2는 2중, 3은 3중, 4는 4중을 뜻한다. 1과 4는 다음 글자를 안으로 받아들이는 몸 기능을 갖추었다. v) Entering letters with duplicate fonts: If any of the fonts are duplicates, use the numbers on the number pad. 1,2 means double, 3 means triple, 4 means quad. 1 and 4 have a body function that accepts the next letter inward.

예1: 品은 口자를 입력한 후 3을 누르면 된다.Example 1: Type 3 for the item and press 3.

예2: 林은 木자을 입력한 후 2를 누르면 된다.Example 2: 林 enters the wooden characters and press 2.

예3: 藥에서 자를 입력한 후, 자와 1을 차례로 입력한 후, 白자를 입력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木자를 입력한다.Example 3: at 藥 After entering your characters, Enter 1 followed by 1 followed by 白. And finally, enter 木.

예4: 器는 口자와 4를 차례로 입력한 후, 大자를 입력한다. Example 4: 器 enters 口 followed by 4, followed by 大.

vi) 점, 획이 많은 글자의 입력: 글자의 중심 모양은 눈에 익은 부수이나 점, 획을 정확한 위치에 조합해야 할지 모르는 경우이다. 이럴 경우, 글자의 중심 모양을 입력한 후 점이나 필획 수를 세어 해당되는 매직키를 누르면 시스템이 알아서 위치를 정하여 점과 획을 제 위치에 만들어 준다. vi) Entry of letters with lots of strokes and strokes: The shape of the center of a letter is a case where you may need to combine the number of points, strokes, and strokes that you are familiar with. In this case, enter the center shape of the letter, count the number of points or strokes, press the corresponding magic key, and the system will determine the position and make the points and strokes in place.

vii) 조합이 까다로워 보이는 글자의 입력: 부수와 부수 사이 구별이 힘들고 전체적으로 하나로 연결된 모양을 형성하는 경우이다. 주로 자주 안 쓰이는 글자이며 부수 구조를 잘 아는 지식인에게도 힘든 글자이므로 별도로 쉬운 방법을 익히면 된다. 이러한 글자는 소수(20~30개 미만)이기 때문에 본 시스템의 도움말을 참조하여 별도로 익히면 된다. vii) Input of difficult-to-combine characters: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copies and copies, and form a whole connected shape. It is a letter that is not frequently used, and it is also difficult for an intellectual who knows the substructure. Since these letters are prime numbers (less than 20-30), you can learn them separately by referring to the help of this system.

(병음식 입력법)(Bottle food input method)

이 경우는 음이 생각나지만 정확한 부수 조합 형태나 순서가 기억이 안 나는 한자를 컴퓨터상에 옮기려는 경우를 말한다. 본 시스템은 현존하는 병음식 중 가장 뛰어난 영어 표기법 병음식 중 두 타(打)내에 병음을 입력할 수 있는 이타(二打) 병음식을 기본으로 한다. In this case, you want to move a Chinese character that reminds you of the sound but does not remember the exact subcombination form or order. The system is based on the Ita bottled food, which can enter Pinyin within two strokes of the best English notation bottled foods in existence.

i) 동음어 수가 5개 미만일 경우: 원하는 글자의 음을 표기한 후, 해당되는 동음어가 5개 미만일 경우, 4방향 서치바에 5개의 동음어를 직접 표기한다. i) If the number of homonyms is less than five: After writing the sound of the desired letter, if there are less than five homonyms, write five homonyms directly on the four-way search bar.

ii) 동음수(音首) 수가 5개 미만일 경우: 원하는 글자의 음을 표기한 후, 해당되는 동음어가 5개 이상이지만 동음수는 5개 미만일 경우, 4방향 서치바에 동음의 음수를 표기한다. 이후, 원하는 글자를 조합식으로 얻든지 아니면 그 다음 단계의 4방향 서치바에서 맞는 부수를 찾아 선택한다. ii) If there are less than 5 homophones: After the desired letter is written, if there are more than 5 related homophones but less than 5 homophones, the negative numbers should be written on the 4-way search bar. After that, get the combination of letters you want, or find the number of copies in the next four-way search bar.

iii) 동음수 수가 5개 이상일 경우: 4방향 서치 바의 다음 화면 이동 키인 중앙을 눌러 다음 화면에서 찾는 식을 택한다. 동음수 수가 5개 이상을 가진 음은 많지 않고 그렇다고 하더라도 서치 화면이 3개 이상까지 가야 하는 경우도 드물다. iii) If there are 5 or more equal numbers: Press the center, the next screen movement key on the 4-way search bar, and select the formula to find on the next screen. Not many notes have five or more equal numbers, and even so, the search screen rarely needs to go up to three or more.

본 발명은 한어의 입력 방법에 관한 난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였다는 점에서 다른 입력 시스템과 개념적인 차이를 두었다. 그 차이는 발명의 효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ptually different from other input systems in that it fundamentally solves the difficulty of inputting Korean. The difference is prominent in the effects of the invention.

1) 모든 경우와 모든 대상: 대상은 간체를 사용하는 중국 본토인은 물론, 번체에 익숙한 노인 세대와 중국외의 동양 문화권의 한어 사용자, 중국어를 처음 배우는 외국인, 그리고 학생 등 모든 경우의 대상자를 포함한다. 본 시스템의 획기적인 원리를 이용해 조합식 입력법은 물론, 병음식 입력법에서도 큰 효과를 내기 때문에 사용자가 병음식과 조합식을 필요에 따라 각각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All cases and all subjects: The subjects include not only the mainland Chinese who use Simplified Chinese, but also elderly people who are familiar with traditional Chinese, Chinese speakers of Oriental culture outside China, foreigners who are new to Chinese, and students. Using the breakthrough principle of this system, the combination input method as well as the bottled food input method has a great effect, so the user can use the bottled food and the combination meal as needed.

2) 스피드 입력: 5정타 내에 모든 한자를 입력할 수 있고 키 배치가 과학적이고 자연스럽기 때문에 종래의 도형 조합식 입력법의 느린 타이핑 속도(10~15타), 종래의 부수 조합식 입력법의 복잡한 키 구성, 그리고 병음식 입력법의 느린 서치 속도를 다 극복하였다. 2) Speed input: All Chinese characters can be entered within 5 hits, and the key layout is scientific and natural, so the slow typing speed (10-15 strokes) of the conventional combinational input method is complicated, Overcome the slow search speed of key composition and bottle typing.

3) 단축 입력: 자주 쓰이는 품사를 키보드 상에서 기본적으로 설정해 주므로 영문 키보드 상에서의 한어의 고질적인 취약점이었던 느린 입력 속도를 보완할 수 있게 되었다. 오히려, 중국어 문장의 함축성을 고려하고 2타 내에 입력되는 품사의 활용을 생각한다면 같은 의미의 영어 문장보다 빠르게 입력될 수 있다. 3) Shortcut input: By setting the part of speech frequently used on the keyboard by default,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slow input speed, which is a chronic weakness of the Korean language on the English keyboard. Rather, considering the implications of Chinese sentences and considering the use of parts of speech that are input within two strokes, they can be entered faster than English sentences of the same meaning.

4) 기능적 효과: 최적의 타이핑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마우스의 사용이 없고 인체공학적인 면을 고려한 키 배치를 한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초기 설정 외에 타이핑 도중에는 마우스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아 타이핑이 지연되지 않으며 인체공학적인 면을 고려해 자주 쓰이는 방향 선택키를 입력 부위의 중앙에 위치시켰다. 수십 개의 글자가 있는 서치 창면이나 서치 바 대신 4방향 서치 바를 통해 한 눈에 들어 올 수 있는 선택 메뉴를 제시하여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4) Functional effect: In order to create an optimal typing environment, a system with a key layout considering the ergonomics without using a mouse was constructed. In addition to the initial setting, there is no need to use the mouse during typing, so typing is not delayed. Instead of a search window with dozens of letters or a search bar, the four-way search bar offers a selection menu that can be seen at a glance to reduce eye fatigue.

5) 시스템의 혁신: 본 발명은 한어의 과학적 특성을 최대한 사용하여, 문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지 않고도 문자 표현과 그 문자의 병음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은 프로그래밍 설계 측면에서 큰 장점이 되어 차후에 인공 두뇌식의 한자 사전의 구축을 꾀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점은 사라지는 한자, 새로 생기는 한자, 그리고 새로운 간체화에 대한 시스템적 준비를 해 줄 수 있다. 5) Innovation of the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makes full use of the scientific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language, so that the character representation and the pinyin of the character can be obtained without using a character database. This is a great advantage in terms of programming design, which will allow for the construction of a cybernetic dictionary in the future. This can also provide systematic preparation for disappearing Chinese characters, emerging Chinese characters, and new simplified characters.

6) 근본적 해결의 종합 효과: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얻는 최대 장점은 적용 반경이 넓어지는 종합 효과라 할 수 있다. 우선, 한자의 모양을 기하학적 배치에 응용하였기 때문에 기본 입력 기기의 공통점인 입력 부위의 직사각형 개념을 최대한 응용할 수 있다. 따라서 PC용 키보드 외에 핸드폰 같은 소형 입력기기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단축 입력 개념을 통해 짧은 시간 내에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달하여야 하는 채팅, 쪽지보내기에서 중국어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이 발명을 통해, 정보화 시대에 경쟁성이 없어 후진어로 전락되고 만 중국어에 대한 인식을 과학적이고 경쟁성 있는 언어로 바꿀 수 있는 계기가 형성된다. 6) Comprehensive effect of fundamental solution: The biggest advantage of fundamentally solving a problem is the comprehensive effect of wider application radius. First, the shape of the Chinese characters is applied to the geometric arrangement, so that the concept of the rectangle of the input area, which is common to the basic input devices, can be applied to the maximum. Therefore, it can be used in small input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in addition to PC keyboards. In addition, the shortened input concept enables the efficient use of Chinese in chatting and sending messages that require a message to be delivered to the other party in a short time. As a result, through this invention, there is no competition in the information age, and it becomes an inferior language, and the opportunity to change Chinese perception into a scientific and competitive language is formed.

도면 1: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인 부수를 기하학적 분류법에 의해 8개 그룹으로 나눈 도면.1 is a diagram of the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ivided into 8 groups by geometric classification.

도면 2: 그 8개 그룹의 대표 도형을 그 형태에 따라 4방향키와 함께 키보드에 표시한 도면. 2 is a diagram in which the representative figures of the eight groups are displayed on the keyboard together with the four-way keys according to the shape.

도면 3a, 도면 3b, 도면 3c: 각 부수 입력키의 대표 부수와 모드 별로 그 특징을 적은 도면.3A, 3B, and 3C are diagrams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presentative copy key and mode of each copy input key.

도면 3d: 자주 쓰이는 품사의 키 배치와 그 분류법을 나타낸 도면.3d shows key placement and classification of commonly used parts of speech.

도면 3e: 자주 쓰이는 명사를 테마별로 나누고 키 배치한 도면.Drawing 3e: A diagram of the most common nouns by theme and key layout.

도면 4a: 본 발명의 대표 도면 2를 4x3직사각형 입력 패드용으로 표시한 도면.4A: Representative Figure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for a 4x3 rectangular input pad.

도면 4b: 본 발명의 대표 도면 2를 4x3직사각형 입력 패드용으로 표시한 도면. FIG. 4b is a representation of a representative figure 2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4x3 rectangular input pad. FIG.

Claims (8)

문자의 입력 방법에서 In input method of letter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치 화면의 표기 방법에 있어서,In the notation method of the search screen to provide a user, 서치 화면이 한 눈에 인식하기 쉬운 4방향 형태인 점과;The search screen is a four-way shape that is easy to recognize at a glance; 각 방향과 중앙에 같은 그룹의 구성원이 수록되어 있다는 점과;Members of the same group in each direction and center; 한 번에 최대 5개 까지 수록할 수 있다는 점과; Up to five at a time; 키보드 상에서 원터치로 (1타에) 선택이 가능하다는 점과; One-touch selection on the keyboard; 구성원이 5개 이상일 경우 중앙을 선택하여 그 다음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점(이 경우, 총 구성원 수는 (서치 화면수 * (5 - 1)) + 1이다)과;If there are 5 or more members, the center can be selected and moved to the next screen (in this case, the total number of members is (number of search screens * (5-1)) + 1); 본 발명은 이 4방향 원터치 서치 바를 처음 도입하였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 한자 입력 방법.The present invention has introduced a four-way one-touch search bar for the first time. 문자의 입력 방법에 있어서, In the input method of the character, 자주 쓰이는 품사를 키보드 상에 미리 설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는 점과;Providing frequently used parts of speech on the keyboard in advance to the user; 품사를 문장에서 주로 자주 쓰이는 위치 별로 키보드에 배치하였다는 점(예: 접속사-대명사-부사-동사-감탄사 순)과; That parts of speech are placed on the keyboard by positions commonly used in sentences (eg, conjunctions, pronouns, adverbs, verbs, interjections); 그 품사의 분류를 접속사 및 시제 부사, 대명사(인칭, 의문, 지시), 부정 부사 및 개사(介詞: 국문에서 전치사에 해당), 동사, 조사와 감탄사 및 의성어, 이렇게 다섯 그룹으로 구분한 것과;The classification of parts of speech is divided into five groups: conjunctions and tense adverbs, pronouns (personality, questions, instructions), indefinite adjectives and consonants (介詞: corresponding to prepositions in Korean), verbs, investigations, interjections, and onomatopoeia; 자주 쓰이는 명사, 형용사, 동사를 13개의 테마별로 키보드에 배치하였다는 점(예: 십이지 십간, 방향, 시공간 등등)과;Placing common nouns, adjectives, and verbs on the keyboard in 13 themes (eg, duodenum, direction, space-time, etc.); 이 기능을 조합식 입력 방법이나, 병음식 입력 방법과 동행하여 쓴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is function is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combined input method or the bottle food input method. 한자의 조합식 입력 방법에 있어서,In the combination method of Chinese characters, 모든 부수를 부수의 기하학적 기본 모양틀과 기능에 따라 8개 그룹으로 나눈 점과;Dividing all copies into eight groups according to their geometric basic shape and function; 그 그룹이 각각Each of those groups (左肩), (頭), (右肩), (左腕), (體), (右腕), (脚), (足) 의 8가지 대표 형태를 가지고 있는 점과; (左肩), (頭), (右肩), (左腕), (體), (右腕), (脚), (Iii) has eight representative forms; 그 214개의 부수의 분류를 빈도수가 가장 높은 대표자 외에 4개 내지 5개의 구성원으로 하여 4방향 서치 바를 이용할 수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 한자 입력 방법.A kanji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 four-way search bar can be used in which the 214 copies are classified into four to five members in addition to the representative of the highest frequency.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조합식 입력 방법은,The combinational input method, 상기의 분류법이 기하학적 기준에 의거하였기 때문에 각 그룹을 그 대표 모양에 따라 키보드에 배치할 수 있다는 점과; Since the above classification is based on geometric criteria, each group can be arranged on the keyboard according to its representative shape; 4x3 직사각형의 입력 패드에 배치할 수 있는 점과;A dot that can be placed on a 4x3 rectangular input pad; 부수 입력키의 배치를 상단 qwyuiop, 중단 asdhjkl, 하단 zxcvbnm.으로 나누고 시프트(SHIFT)와 앨트(ALT)의 보조키를 이용하여 각 6자씩 키 당 최대 18자의 구성원을 가질 수 있으며 각 키 안의 모드마다 그 세부 모양에 따라 각 특징이 있고 한 키와 이웃 키 사이에도 연관성이 있는 점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익힐 수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 한자 입력 방법.The layout of the secondary input keys can be divided into upper qwyuiop, interrupted asdhjkl, lower zxcvbnm., And by using the modifier keys of SHIFT and ALT, each member can have up to 18 characters per key, 6 characters each.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user can easily learn because there are each feature according to the detailed shape and there is also an association between one key and the neighbor key.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조합식 입력 방법은,The combinational input method, 부수마다 알파벳 한자와 숫자 하나로 된 2자리 수의 고유 코드를 지정할 수 있어, 모든 한자를 10자리 수의 코드로 표기하는 점과;A two-digit unique code consisting of a kanji character and a single digit for each copy number, indicating that all kanji characters are represented by a ten digit code; 그 점을 문자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한자 입력 방법. Kanji input method characterized by applying the point to a character database. 한자의 병음식 입력 방법에 있어서,In the Chinese food bottle input method, 한자의 음을 입력한 후, 수십 개의 동음어를 사용자에게 표기하는 대신, 한자의 음을 나타내는 음수(音首)를 사용자에게 표기하는 점과;After inputting a kanji note, instead of writing dozens of homologs to the user, writing a negative number representing the kanji note to the user; 사용자가 원하는 글자의 음수를 선택한 후, 해당되는 부수를 선택하여 최종 원하는 글자를 얻을 수 있다는 점과;Selecting a negative number of letters desired by a user, and then selecting a corresponding number of letters to obtain a final desired letter; 이러한 이중 단계를 이용하여 원하는 글자를 얻는 다는 점과;Using these dual steps to obtain the desired letters; 수만 개의 한자와 병음이 든 병음 데이터베이스 대신, 수백 개의 음수가 든 음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 똑같은 음을 가진 한자들을 조합하기 위해 필요한 부수의 코드를 제 10항의 부수 코드법에 따라 표기한 후 그 음수에 소속시킨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 병음식 입력 방법.Instead of the Pinyin database with tens of thousands of Chinese characters and Pinyin, use a negative database with hundreds of negative numbers to indicate the number of codes needed to combine the same Chinese characters with the same note, according to the code method of paragraph 10, Bottling input method characterized by using a database. 본 입력 방법은,This input method is 상기 명시된 특징을 종합적으로 갖추었다는 점과;Comprehensively equipped with the features specified above; 이 특징을 살리면서 모든 간체를 수용한 한자 입력 방법.Kanji input method that accommodates all the simplified while utilizing this feature. 상기 조합식 입력 방법은,The combinational input method, 휴대용 통신 장치(노트북, 핸드폰, 전자사전, 전자수첩,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 한자 입력 방법.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laptop, mobile phone, electronic dictionary, electronic notebook,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1020040041206A 2004-06-05 2004-06-05 Sisc: smart input system for chinese KR200501157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206A KR20050115792A (en) 2004-06-05 2004-06-05 Sisc: smart input system for chine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206A KR20050115792A (en) 2004-06-05 2004-06-05 Sisc: smart input system for chine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792A true KR20050115792A (en) 2005-12-08

Family

ID=37289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206A KR20050115792A (en) 2004-06-05 2004-06-05 Sisc: smart input system for chine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5792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40584B (en) * 2006-09-07 2013-01-02 日升企业 Pictographic character search method
CN107615218A (en) * 2015-12-16 2018-01-19 梁晨 Sound trail keyboard and input method
KR101872879B1 (en) * 2017-09-18 2018-07-3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Keyboard for typing chinese charact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40584B (en) * 2006-09-07 2013-01-02 日升企业 Pictographic character search method
CN107615218A (en) * 2015-12-16 2018-01-19 梁晨 Sound trail keyboard and input method
KR101872879B1 (en) * 2017-09-18 2018-07-3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Keyboard for typing chinese character
US10747430B2 (en) 2017-09-18 2020-08-18 Benedea Inc. Keyboard for typing Chinese charac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9459B2 (en) Man-machine interface that predicts user input in real time
KR101791929B1 (en) Integrated keyboard for inputting multiple languages
US20090179780A1 (en) Hand-held thumb touch typable ascii/unicode keypad for a remote, mobile telephone or a pda
KR20080094360A (en) The letter input structure which uses a morse code and input method
JP2019532428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102459508B1 (en) Japanese characters inputting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same
JP3738066B2 (en) Screen touch input device
CN102422621A (en) Alphabet input method and apparatus
KR20050115792A (en) Sisc: smart input system for chinese
KR20130069391A (en) Apparatus and method of japanese compact keyboard
KR101249329B1 (en) Keyboard with descendants and typing method thereof
KR20110105227A (en) Korean letter input device and method
KR101282760B1 (e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egi keyboard layout
CN101719023A (en) Hand-held chinese character input keyboard and operation method
KR101018821B1 (en) Method for creating chinese character and key input apparatus therefor
JP2009059331A (en) Input keyboard for portable terminal
KR101445061B1 (en) the hangul input button layout structure for smartphone
JP3110695B2 (en) Key input device
JP4761234B2 (en) Input method of portable input terminal
KR20120080474A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by a manner of drawing line
JP6924752B2 (en) Kanji and number input keyboard using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and its input method
JP2001075708A (en) Key input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japanese
TWI320898B (en) Input method for chinese character through numeral keyboard
KR100596478B1 (en) Vowel Oriented Alphabet Keyboard
KR20230121558A (en) PC keyboard and keyboard for game including Japanese characters inpu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