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6068A -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보호 필름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보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6068A
KR20120106068A KR1020110023917A KR20110023917A KR20120106068A KR 20120106068 A KR20120106068 A KR 20120106068A KR 1020110023917 A KR1020110023917 A KR 1020110023917A KR 20110023917 A KR20110023917 A KR 20110023917A KR 20120106068 A KR20120106068 A KR 20120106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
display pane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3194B1 (ko
Inventor
강한준
윤성환
전승환
이은구
Original Assignee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율촌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3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194B1/ko
Publication of KR20120106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5Vinyl resins, e.g. polyvinyl chloride [PV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coating being discontinu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CD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점착제 코팅부와 점착제 비코팅부를 포함하되, 상기 점착제 코팅부는 기재 필름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에 부착되며, 상기 점착제 비코팅부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부에 위치되고 상기 표시부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은 화면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착제가 패널의 화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기재 필름의 가장자리 영역에 부분 코팅되어, 점착제의 전사에 따른 액정 폴(Pol) 얼룩 등의 화면 오염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보호 필름{FILM FOR PROTECTING SCREEN OF DISPLAY PANEL}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재 필름 상에 점착제를 코팅하되, 점착제를 패널의 화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기재 필름의 가장자리 영역에 부분 코팅함으로써, 점착제의 전사에 따른 화면의 오염을 방지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예를 들어 LCD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컴퓨터 모니터, TV 및 각종 광고판 등의 표시 장치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도 1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반적인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P)은 영상 등이 표시되는 화면으로서의 표시부(10)와, 상기 표시부(10)의 측면에 형성되어 표시부(10)를 지지하는 지지체로서의 프레임(20)을 갖는다. 
디스플레이 패널(P)은 일반적으로 그의 정면(앞면)에, 즉 표시부(10)의 표면에 화면 보호 필름이 부착된 상태로 소비자에게 유통, 보급되고 있다.  화면 보호 필름은 통상적으로 접착 테이프(tape)에 의해 패널(P)에 부착, 고정되었다.  화면 보호 필름은 패널(P)의 화면, 즉 패널(P)의 표시부(10)를 외력이나 오염으로부터 보호한다.  이러한 화면 보호 필름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등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상기 PET 필름은 내오염성 및 내마모성 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화면 보호 필름을 패널(P)에 접착 테이프(tape)로 부착한 경우, 화면 보호 필름과 패널(P) 사이의 빈 공간으로 이물질이 혼입되어 스크래치(scratch)나 오염이 발생되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화면 보호 필름에는 일반적으로 패널(P)과의 부착성(밀착성) 개선을 위한 점착제가 코팅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화면 보호 필름은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에 코팅된 점착제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상기 기재 필름은 전술한 바와 같은 PET 필름 등이 주로 사용되고, 점착제층은 주로 아크릴계 점착제가 코팅되어 형성된다.  이때, 점착제층은 기재 필름의 표면 전체 영역에 코팅된다.  이에 따라, 점착제층이 패널(P)의 표시부(10)에 부착되어, 필름과 패널(P)의 부착력 개선으로 이물질의 혼입이 방지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은 점착제의 코팅에 의해 이물질의 혼입은 방지되고 있으나, 오히려 점착제에 의해 얼룩 등의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점착제가 패널(P)의 표시부(10), 즉 화면에 전사되어 액정 폴(Pol) 얼룩 등의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기재 필름 상에 점착제를 코팅하되, 점착제를 패널의 화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기재 필름의 가장자리 영역에 부분 코팅함으로써,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함은 물론, 점착제의 전사에 따른 액정 폴(Pol) 얼룩 등의 화면 오염을 방지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시부와 프레임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보호 필름으로서,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점착제 코팅부와 점착제 비코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 코팅부는 기재 필름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에 부착되며,
상기 점착제 비코팅부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부에 위치되고, 상기 표시부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점착제 코팅부는 프레임의 측면 및 배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제 코팅부와 점착제 비코팅부의 경계선에 꺾임부가 형성된 것이 좋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기재 필름은 프레임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꺾어지는 제1꺾임부와, 프레임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꺾어지는 제2꺾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점착제 코팅부는 제2꺾임부에서 꺾어져 프레임의 배면에 부착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착제가 패널의 화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기재 필름의 가장자리 영역에 부분 코팅되어, 점착제의 전사에 따른 액정 폴(Pol) 얼룩 등의 화면 오염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반적인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보인 화면 보호 필름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에 보인 화면 보호 필름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구현예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6에 보인 화면 보호 필름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구현예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의 평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100)의 평면 구성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 보인 화면 보호 필름(100)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100)과 디스플레이 패널(P)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이때, 도 3은 디스플레이 패널(P)에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100)이 부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P)은, 영상 등이 표시되는 화면으로서의 표시부(10)와, 상기 표시부(10)의 측면에 형성되어 표시부(10)를 지지하는 지지체로서의 프레임(20)을 갖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P)은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패널(P)은, 예를 들어 LCD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및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표시부(10)와 프레임(20)을 가지는 것이면 좋다.  상기 표시부(10)는 유리 또는 투명 필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20)은 금속재, 플라스틱재, 석재(대리석 등) 또는 세라믹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0)은 상기 금속재, 플라스틱재 등의 표면에 수지가 코팅된 형태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100)은 위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P)에 부착되어 패널(P)의 표면을 보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100)은 패널(P)의 표시부(10)를 포함하는 전면(정면)을 보호하며, 패널(P)의 전면(정면)은 물론 측면 및/또는 배면을 보호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100)은 기재 필름(1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재 필름(110)의 어느 한 면에는 점착제가 코팅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점착제는 기재 필름(110)의 표면 전체에 코팅되지 않고, 기재 필름(110) 표면의 일부 영역에 부분 코팅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100)은 기재 필름(110)과, 상기 기재 필름(110) 상에 형성된 점착제 코팅부(120)와 점착제 비코팅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점착제 코팅부(120)는 점착제가 코팅된 부분으로서, 여기에는 구체적으로 점착제층(12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점착제 코팅부(120)는 기재 필름(110)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점착제 코팅부(120)는 기재 필름(110)의 중앙 영역을 제외한 주변부(테두리)에 점착제층(125)이 코팅되어 형성된다.  이때, 점착제 코팅부(120)는 x-y 평면에서 x 방향(가로 방향) 또는 y 방향(세로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x 및 y 방향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x 방향(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첨부된 도 8에서는 x 및 y 방향 모두에 형성된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제 코팅부(120)는 기재 필름(110)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되, 도 2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기재 필름(110)의 x 방향의 상하측, y 방향의 좌우측 또는 상하좌우측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상하측에 형성된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8은 상하좌우측 모두에 형성된 것으로서, 기재 필름(110)의 주변부를 따라 가장자리 전체 역역에 형성된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125)은 코팅부(120)의 전체 면적에 대해 전면(全面) 코팅되거나, 점 코팅(dot coating) 또는 그리드(grid) 형상으로 코팅될 수 있다.  도 2는 전면 코팅된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아울러, 도 4 및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점착제층(125)은 코팅부(120)에 라인(Line) 형상으로 코팅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점착제층(125)이 라인 형상으로서, x 방향으로 상하측에 2줄씩 형성된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패널(P)에 부착 시, 상기 점착제 코팅부(120)가 패널(P)의 프레임(20)에 부착된다.  즉, 점착제 코팅부(120)에 형성된 점착제층(125)이 프레임(20)에 부착되어,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100)과 패널(P) 간의 부착력이 도모된다.  이때, 도 3에서는 기재 필름(110)과 표시부(10)의 계면에 공간이 형성된 모습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은 실제로는 밀착된다. 
상기 점착제 비코팅부(130)는 점착제가 코팅되지 않은 부분으로서, 이는 점착제 코팅부(120)를 제외한 영역이다.  패널(P)에 부착 시, 상기 점착제 비코팅부(130)는 패널(P)의 표시부(10)에 위치된다.  이때, 점착제 비코팅부(130)는 표시부(10)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점착제 비코팅부(130)의 면적(S130)과 상기 표시부(10)의 면적(S10)은 S130 ≥ S10을 만족한다.  따라서 패널(P)에 부착 시,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 즉 패널(P)의 표시부(10)는 점착제층(125)과 접촉되지 않아 점착제가 전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100)은 패널(P)에 부착 시, 점착제 코팅부(120)가 프레임(20)에 부착되어 패널(P)과의 부착력이 도모되고, 점착제가 코팅되지 않은 점착제 비코팅부(130)는 패널(P)의 표시부(10)에 위치되어 점착제가 패널(P)의 표시부(10)에 전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점착제 전사에 따른 액정 폴(Pol) 얼룩 등의 오염 발생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점착제 코팅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패널(P)의 프레임(20)에 부착되는데, 이때 상기 점착제 코팅부(120)는 프레임(20)의 전면(21), 측면(22) 및/또는 배면(23)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구현예로서, 점착제 코팅부(120)가 프레임(20)의 전면(21)에 부착되는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점착제 코팅부(120)는 프레임(20)의 측면(22) 및 배면(23)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부착되는 것이 좋으며, 이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100)을 도시한 것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구현예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100)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에는 패널(P)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점착제 코팅부(120)는 프레임(20)의 측면(22)에 부착될 수 있는데, 이때 기재 필름(110)은 패널(P)의 측면(22)까지 덮을 수 있는 크기(넓이)를 갖는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제 코팅부(120)는 점착제 비코팅부(130)와의 경계선에서 꺾어져 프레임(20)의 측면(22)에 부착된다.  이때, 점착제 코팅부(120)의 꺾임이 용이하도록 상기 경계선에는 꺾임부(1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점착제 코팅부(120)와 점착제 비코팅부(130)의 경계선에는 점착제 코팅부(120)의 꺾임을 용이하게 하는 꺾임부(1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꺾임부(112)는 코팅부(120)의 꺾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꺾임부(112)는 기재 필름(110)에, 즉 코팅부(120)와 비코팅부(130)의 경계선이 위치하는 기재 필름(110)에 칼집 또는 미세 구멍의 천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꺾임부(112)는 레이저 조사 등의 방법으로 주위보다 상기 경계선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식각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경계선의 연질화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점착제 코팅부(1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20)의 배면(23)에 부착될 수 있는데, 이때 기재 필름(110)은 패널(P)의 배면(23)까지 덮을 수 있는 크기(넓이)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점착제 코팅부(120)가 프레임(20)의 배면(23)에 부착되는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 필름(110)은 두 군데의 꺾임부(113)(11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재 필름(110)은 프레임(20)의 측면(22)에 밀착되도록 꺾어지는 제1꺾임부(114)와, 프레임(20)의 배면(23)에 밀착되도록 꺾어지는 제2꺾임부(1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꺾임부(114)는 패널(P)에 부착 시, 프레임(20)의 모서리에 위치되는 지점에 형성되며, 이러한 제1꺾임부(114)에서 꺾어진 측면 밀착부(113)는 프레임(20)의 측면(22)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제2꺾임부(112)는 측면 밀착부(113)와 점착제 코팅부(120)의 사이에 형성되며, 이러한 제2꺾임부(112)에서 꺾어진 점착제 코팅부(120)는 프레임(20)의 배면(23)에 부착된다.  상기 제1꺾임부(114) 및 제2꺾임부(112)의 형성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아울러, 다른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측면 밀착부(113)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프레임(20)의 배면(23)에서는 물론 프레임(20)의 측면(22)에서도 부착력이 도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20)의 배면(23)에는 점착제 코팅부(120)가 부착되고, 프레임(20)의 측면(22)에는 점착제가 코팅된 측면 밀착부(113)가 부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점착제 코팅부(120)가 프레임(20)의 측면(22) 및/또는 배면(23)에 부착되는 경우, 이물질 혼입 방지성이 더 향상된다.  구체적으로, 기재 필름(110)이 패널(P)의 전면(前面)을 감싼 다음, 프레임(20)의 측면(22)에 부착되거나, 패널(P)의 전면(前面)은 물론 측면(22)까지 감싼 다음, 프레임(20)의 측면(23)에 부착되어 패널(P)의 표시부(10)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이때, 상기 점착제 코팅부(120)가 프레임(20)의 측면(22) 및/또는 배면(23)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기재 필름(110)은 패널(P)의 측면(22) 및/또는 배면(23)까지 덮을 수 있는 크기(넓이)를 갖는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제4구현예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100)의 평면 구성도로서,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점착제 코팅부(120)가 x 및 y 방향으로 기재 필름(110)의 가장자리 상하좌우측 모두에 형성된 모습을 보인 것이다.  즉, 기재 필름(110)의 주변부를 따라 가장자리 전체 역역에 형성된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기재 필름(110)은 투명, 반투명 및 불투명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투명 또는 반투명이다.  또한, 기재 필름(110)은 1층 또는 2층 이상의 다층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재 필름(110)은 1개의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거나, 2개 이상의 수지 필름이 합지된 것이어도 좋다.  아울러, 기재 필름(110)은 1종의 수지 또는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수지가 혼합된 복합 재질이어도 좋다.  기재 필름(110)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올레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 및 이들의 공중합체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 또는 상기 필름이 2개 이상 합지된 적층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110)은 미연신 또는 연신 필름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PET 필름, PC 필름, PVC 필름 및 폴리올레핀 필름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2이상이 합지된 적층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은 PE 및 PP 필름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상기 PP 필름은 OPP 필름(Oriented Polypropylene film, 연신 PP 필름) 및 CPP 필름(Cast Polypropylene film, 미연신 PP 필름) 등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PE 필름의 경우 복합 PE 필름이 좋으며, 구체적으로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및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가 2층 또는 3층 이상으로 적층 합지된 복합 PE 필름이 좋다.  일례로, LDPE/HDPE/LDPE이 적층 합지된 3층 복합 PE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기재 필름(110)은 컬링(Curling) 현상이 없으며, 투습 방지능이 우수한 것이 좋다.  기재 필름(110)은, 바람직하게는 필름의 강성(경도 등)을 나타내는 척도인 Stiffness(빳빳함 정도)가 우수한 것이 좋다. Stiffness가 우수한 경우, 패널(P)에 부착 시 취급성 및 밀착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기재 필름(110)은, 바람직하게는 Stiffness가 TD(길이 방향) 및 MD(폭 방향) 5 ~ 50gf/5mm인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50gf/5mm인 것이 좋다.  상기 Stiffness 값은 통상적인 필름의 Stiffness 측정방법(예, Loop Stiffness 측정방법)에 준하는 측정치로서, 기재 필름(110)이 상기 범위의 Stiffness를 가지는 경우, 패널(P)에 부착 시 훌렁거림이 없어 취급성이 좋고, 컬링(Curling) 현상이 없어 패널(P)과의 밀착력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 필름(110)은 PC 필름, PVC 필름 및 폴리올레핀 필름(PE 필름 및 PP 필름 등)으로부터 선택되고, Stiffness가 15 ~ 50gf/5mm인 것,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50gf/5mm인 것을 사용하면 좋다.  이러한 필름은, PET 필름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적정 Stiffness 값을 가져 패널(P)에 부착 시 취급성 및 밀착성이 좋으며, 내마모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여 본 발명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 코팅부(120)에 형성된 점착제층(125)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점착제층(125)은, 점착제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아크릴레이트 18 ~ 60중량부, 반응성 경화제 0.1 ~ 10 중량부, 및 용매 35 ~ 80중량부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코팅되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성분 및 함량으로 조성된 아크릴계 점착제는 100gf(gram force) 이상의 양호한 점착 강도를 갖는다.
이때, 상기 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18중량부 미만이면 점착강도가 미미하고, 60중량부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 및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다. 즉, 점도가 높아진 경우, 코팅 시 점착제 파이버(fiber)의 발생에 의해 작업 환경이 좋지 않고 코팅속도를 증가시킬 수 없어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성 경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아소시아네이트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반응성 경화제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경화가 미미할 수 있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 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알코올류 및 케톤류 등의 유기 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코팅성을 고려하여 상기 범위에서 적절히 조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응성 경화제의 경우 점착제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0.2 ~ 5중량부로 포함된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반응성 경화제가 0.2 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된 경우 프레임(20)에 점착제가 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착제층(125)은, 점착제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아크릴레이트 20 ~ 60중량부, 반응성 경화제 0.2 ~ 5 중량부, 및 용매 35 ~ 80중량부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코팅되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성분 및 함량으로 조성된 아크릴계 점착제는 프레임(20)에 전사되지 않아, 패널(P)로부터 필름(100)의 제거 시 깨끗한 표면성을 유지시키면서, 프레임(20)이 플라스틱재는 물론 석재나 금속재로 구성된 경우 프레임(20)과의 점착력이 우수하여 본 발명에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보호 필름(100)은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하여 이물질의 혼입에 따른 스크래치나 오염을 방지한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점착제 코팅부(120)가 프레임(20)의 측면(22) 및/또는 배면(23)에 부착된 경우, 패널(P)의 표시부(10)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점착제가 패널(P)의 표시부(10)에, 즉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에 접촉되지 않아 점착제의 전사에 따른 액정 폴(Pol) 얼룩 등의 화면 오염이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는 점착제의 조성에 따른 점착 강도와 전사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예를 예시한 것이다.
[실시예]
하기 [표 1] 및 [표 2]에 보인 바와 같이, 각 실시예에 따라 점착제의 성분 및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표 1]에서와 같이, 실시예 1 ~ 5의 경우에는 점착제의 주제인 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을 달리하였다.  그리고 [표 2]에서와 같이, 실시예 6 ~ 10의 경우에는 반응성 경화제(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을 달리하였다.
< 실시예 1 ~ 5에 따른 점착제의 조성, 단위 : 중량부 >
비 고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아크릴레이트
15 20 30 40 50
반응성경화제
(이소시아네이트계)
1 1 1 1 1
에틸아세테이트
84 79 69 59 49
합 계
100 100 100 100 100
< 실시예 6 ~ 10에 따른 점착제의 조성, 단위 : 중량부 >
비 고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아크릴레이트
30 30 30 30 30
반응성경화제
(이소시아네이트계)
0.1 0.2 1 3 5
에틸아세테이트
69.9 69.8 69 67 65
합 계
100 100 100 100 100
상기 각 실시예에 따른 점착제에 대해 점착 강도와 점착제 전사 여부를 평가하였다.  점착 강도는 강도 시험기를 이용하여 180도 박리각으로 측정하였으며, 점착제 전사 여부는 Al 금속판에 대한 전사 여부를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 점착 강도 및 점착제 전사 여부 평가 결과 >
비 고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점착 강도
(gf)
30 140 350 470 600 850 680 350 210 110
점착제 
전사 여부
X X X X X O X X X X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 5에서 점착 주제인 아크릴레이트 함량이 증가할수록 점착 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20중량부 이상에서 100gf 이상의 점착 강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5너무 높은 경우 점도 증가로 코팅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6 ~ 10에서 알 수 있듯이, 반응성 경화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점착 강도가 떨어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 6에서와 같이 반응성 경화제의 함량이 극히 낮을 경우 점착 주제인 아크릴레이트 미반응분 발생에 의해 점착 강도는 증가하지만, 이로 인하여 점착제의 전사가 발생되었다.  아울러, 반응성 경화제의 함량이 5중량부를 초과하여 너무 많은 경우, 점착 강도가 100gf 이하로 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양호한 점착 강도를 가지면서 점착제 전사가 없도록 하기 위해서는, 점착 주제(아크릴레이트)의 경우에는 20중량부 이상, 반응성 경화제의 경우에는 0.2중량부 이상의 범위에서 조성하는 것이 적합함을 알 수 있다.
10 : 표시부 20 : 프레임
100 : 화면 보호 필름 110 : 기재 필름
112, 114 : 꺾임부 120 : 점착제 코팅부
125 : 점착제층 130 : 점착제 비코팅부
P : 패널

Claims (9)

  1. 표시부와 프레임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보호 필름으로서,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점착제 코팅부와 점착제 비코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 코팅부는 기재 필름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에 부착되며,
    상기 점착제 비코팅부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부에 위치되고, 상기 표시부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보호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코팅부는 프레임의 측면 및 배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보호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코팅부와 점착제 비코팅부의 경계선에 꺾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보호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프레임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꺾어지는 제1꺾임부와, 프레임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꺾어지는 제2꺾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점착제 코팅부는 제2꺾임부에서 꺾어져 프레임의 배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보호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염화비닐(PVC) 및 폴리올레핀 필름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의 적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보호 필름.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Stiffness가 15 ~ 50gf/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보호 필름.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염화비닐(PVC) 및 폴리올레핀 필름으로부터 선택되고, Stiffness가 15 ~ 50gf/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보호 필름.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코팅부는, 점착제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아크릴레이트 18 ~ 60중량부, 반응성 경화제 0.1 ~ 10중량부, 및 용매 35 ~ 80중량부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코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보호 필름.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코팅부는, 점착제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아크릴레이트 20 ~ 60중량부, 반응성 경화제 0.2 ~ 5 중량부, 및 용매 35 ~ 80중량부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코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보호 필름.
KR1020110023917A 2011-03-17 2011-03-17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보호 필름 KR101273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917A KR101273194B1 (ko) 2011-03-17 2011-03-17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보호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917A KR101273194B1 (ko) 2011-03-17 2011-03-17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보호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068A true KR20120106068A (ko) 2012-09-26
KR101273194B1 KR101273194B1 (ko) 2013-06-17

Family

ID=47112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917A KR101273194B1 (ko) 2011-03-17 2011-03-17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보호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1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2685A1 (en) * 2013-07-01 2015-01-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tection film suitable for illuminated display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9544A (ja) * 1992-02-24 1993-12-21 Sekisui Chem Co Ltd ブラウン管用表面保護フィルムもしくはシート及びブラウン管の保護方法
JP2000305064A (ja) * 1999-04-16 2000-11-02 Nitto Denko Corp 液晶モジュール用保護シート及び保護シート付液晶モジュール並びに液晶モジュールの液晶表示部保護方法
JP2004117790A (ja) * 2002-09-26 2004-04-15 Toppan Printing Co Ltd 表示ディスプレイ用保護フィルム
KR101099462B1 (ko) * 2008-10-29 2011-12-2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보호필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2685A1 (en) * 2013-07-01 2015-01-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tection film suitable for illuminated display devices
US10185058B2 (en) 2013-07-01 2019-01-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tection film suitable for illuminated display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3194B1 (ko) 201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299B1 (ko) 터치패널용 보호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43333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풀-커버 보호 필름
JP5412321B2 (ja) 透明性に優れた離型フィルム
KR20180034056A (ko) 표시 장치용 윈도우 및 표시 장치
KR20130081576A (ko) 투명 적층체, 표시장치용 윈도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080160242A1 (en) Double sided acrylic adhesive tapes and their usage
TW200918998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40335316A1 (en) Display panel with front plate, and display device
JP2009237489A (ja) 表面保護フィルム付き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0264748A (ja) 凹凸追従性積層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TWI644130B (zh) 偏光板、圖像顯示裝置及偏光板的製造方法
JP2012532036A (ja) 剥離層を有するシリコーン光学フィルム
EP2447177A1 (en) Anti-static packaging bag for liquid crystal module and liquid crystal module packaging method
EP3031602A1 (en) Transparent laminate and protective tool including same
TWI748682B (zh) 撓性影像顯示裝置及用於其之光學積層體
KR101273194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보호 필름
KR102185698B1 (ko) 곡면 디스플레이용 보호필름
KR101460242B1 (ko) 내충격성과 방수 기능을 포함한 모바일 기기 모듈 고정용 점착 필름
KR101491080B1 (ko)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 보호용 프로텍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88262A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커버 글라스 윈도우 구조
KR20120069307A (ko) 광학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글래스 비산 방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3090774U (ja) 表示画面用光学フィルター
KR20090124840A (ko)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6782676B2 (ja)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60040922A (ko) 방현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