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5963A - 트럭용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트럭용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5963A
KR20120105963A KR1020110023727A KR20110023727A KR20120105963A KR 20120105963 A KR20120105963 A KR 20120105963A KR 1020110023727 A KR1020110023727 A KR 1020110023727A KR 20110023727 A KR20110023727 A KR 20110023727A KR 20120105963 A KR20120105963 A KR 20120105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truck
wing body
fixing means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이
Original Assignee
(주)서진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진엠텍 filed Critical (주)서진엠텍
Priority to KR1020110023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5963A/ko
Publication of KR20120105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3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compartments other than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e.g. luggage or 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7Latch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용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평면 직사각형 형태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양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면 플레이트부; 및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윙바디부; 를 포함하는 트럭용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럭용 적재장치에는 화물고정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발판을 구비한 윙 바디 차량에 의해 작업자가 적재함에 손쉽게 올라가거나 내려올 수 있으며 윙바디 차량에 화물을 실어 이동하는 경우, 이동하는 윙바디 차량의 화물을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트럭용 적재장치{Loading Apparatus for Trucks}
본 발명은 트럭용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윙바디장치를 구비하는 트럭의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트럭용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윙바디 차량의 측면플레이트 내측으로 절첩이 가능한 발판을 형성하여 승탑자가 측면플레이트 측에서 쉽게 적재함에 승탑할 수 있도록 하고, 윙바디 내부에 조명장치를 형성하여 야간에 적재함에서 작업시 확인이 쉽도록 하며, 적재함 바닥부 등에 화물고정장치를 형성하여 트럭 이동시 화물을 고정시켜 움직이지 않도록 한 트럭용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 차량으로는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이 눈이나 비로부터 보호되고 화물운송시 화물이 적재함 밖으로 낙하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박스차량이 많이 사용되며 이러한 박스차량은 후방이 개폐되는 캐비닛형과 윙바디형이 알려져 있다. 상기의 윙바디형 화물차량은 화물의 상하차 시간이 많이 단축되기 때문에 그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윙바디(wing body)는 트럭의 적재함에 형성되는 것으로, 적재함 양측면에 윙(wing)을 형성하고 상기 윙을 유압 및 공압으로 작동하는 실린더나 감속모터, 가스식 쇽업쇼버, 스프링 등에 의해 들어올리므로써 화물의 적재를 용이하게 하고 화물을 보다 안전하게 운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형적인 윙바디 트럭의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1은 천정프레임, 2는 상부힌지, 3은 윙부, 4는 적재함, 5는 측면플레이트를 각각 가리킨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윙바디 트럭은 상측 중앙의 전후방으로 천정프레임(1)을 형성하고 상기 천정프레임(1)의 상부에 다수의 상부힌지(2)가 고정설치되어 양측으로 상측과 양측면을 덮을 수 있는 윙부(3)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적재함(4)의 하부 양측으로는 일정길이로 분할된 측면플레이트(5)가 상기 적재함(4) 바닥과 다수의 힌지에 의해 절첩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윙바디 트럭에는 윙부의 일측 또는 타측을 개방하고, 적재함의 상부에 구비된 측면플레이트를 별도로 개방하여 통상의 지게차에 의하여 화물을 적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윙바디 차량은 차량의 전높이(overall height) 즉 지면의 접지면에서 자동차의 가장 높은 부분의 높이가 높아 지면에서 적재함의 높이도 높아져 측면플레이트를 개방한 후 사용자가 적재함에 올라가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차량의 측면으로는 승하차를 하지 못하였으며 승하차를 하기 위해서는 배면을 개방한 후에 차량의 배면에 설치된 범퍼를 밟고 올라가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윙바디 차량을 이용하여 야간에 하역작업을 하는 경우, 별도의 조명장치가 없어, 윙바디를 개방하여 화물의 적재 및 하역시 잘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윙바디 차량에 화물을 적재하고 이동하는 경우, 화물이 윙바디 차량의 적재함의 일부에만 적재된 경우, 화물이 적재함 내에서의 이동에 의해 화물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윙바디 차량에 작업자가 올라가는 경우 쉽게 올라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윙바디 차량의 내부에 조명장치를 구비하여 야간작업시 우수성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윙바디 차량에 화물을 실어 이동하는 경우, 이동하는 윙바디 차량의 화물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평면 직사각형 형태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양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면 플레이트부; 및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윙바디부; 를 포함하는 트럭용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럭용 적재장치에는 화물고정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적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윙바디부에는, 상기 윙바디부 내면에 형성된 윙바디 수용홈과, 상기 윙바디 수용홈에 실장되는 조명수단과 상기 수용홈을 개폐시킬 수 있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플레이트부에는 발판용 수용홈과 상기 발판용 수용홈에 위치되어 회동 가능한 발판과 상기 발판을 발판용 수용홈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발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물고정장치는, 바닥부와 측면 플레이트부의 모서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저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형성된 암나사산에 결합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복수개의 스크류와, 상기 각각의 가이드레일의 상측에 고정결합되는 복수개의 바 고정수단 및 각각의 가이드레일의 상측에 형성된 바 고정수단에 걸쳐 위치되는 화물고정용 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바 고정수단은 ㄱ자 형상이거나, T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물고정장치는, 상기 측면플레이트부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저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형성된 암나사산에 결합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복수개의 스크류와, 상기 각각의 가이드레일의 상측에 고정결합되는 복수개의 바 고정수단 및 각각의 가이드레일의 상측에 형성된 바 고정수단에 걸쳐 위치되는 화물고정용 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바 고정수단은 ㄱ자 형상이거나, T자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판을 구비한 윙 바디 차량에 의해 작업자가 적재함에 손쉽게 올라가거나 내려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명수단을 구비한 윙 바디 차량에 의해 어두운 장소 또는 야간작업시 화물을 쉽게 적재 또는 하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윙바디 차량에 화물을 실어 이동하는 경우, 이동하는 윙바디 차량의 화물을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윙바디 차량을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적재장치를 구비한 트럭의 배면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적재장치의 투명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트럭용 적재장치의 조명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적재장치를 구비한 트럭의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적재장치의 발판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적재장치의 바닥부에 형성된 화물고정장치의 부분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적재장치의 화물고정장치의 화물 고정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적재장치의 화물고정장치의 화물 고정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적재장치의 바닥부에 형성된 화물고정장치의 부분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적재장치의 화물고정장치의 화물 고정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적재장치의 화물고정장치의 화물 고정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평면도)을 각 나타낸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용상태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적재장치를 구비한 트럭의 배면사시도를,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적재장치의 투명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트럭용 적재장치의 조명장치의 결합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윙바디부(100)와, 측면플레이트부(120)와 후방개폐부(130)와 전면부(150)와 바닥부(140)로 형성되는 공간을 '적재공간'이라 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적재공간 중 윙바디부와 측면플레이트부에 의해 폐쇄되는 부분 중의 윗부분을 상면부, 측면부분을 측면부라 하여 기재토록 한다.
도 2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적재장치는 적재공간의 상면부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프레임(1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적재공간의 상면부와 양측면부를 개폐시킬 수 있는 복수개의 윙바디부(110)와 상기 적재공간의 양 측면부와 바닥면이 접하는 부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측면 플레이트부(120)와 상기 적재공간의 후면을 개폐시킬 수 있는 후방개폐부(130)와 상기 적재공간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150) 및 바닥면을 형성하는 사각 평면 형상의 바닥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윙바디부(110)는 적재공간의 상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프레임(112)에 힌지(114)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윙바디부(110)는 도 2a를 참조하면 프레임(112)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적재공간의 상면부와 양측면부를 개폐할 수 있다.
윙바디부(110)의 개폐는 자동차로부터 발생되는 에너지 또는 외부에너지를 이용한 유압실린더(116)를 이용하여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윙바디부(110)에는 조명장치(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11)는 윙바디부(110)를 폐쇄하였을 때에는 안쪽에 위치되도록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11)는 윙바디 수용홈(113)과 조명수단(115) 그리고 개폐부(117)를 포함한다.
윙바디 수용홈(113)은 조명수단(115)을 수용하기 위해 윙바디 내부로 오목한 홈을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조명수단(115)을 실장하기 위한 것이다.
조명수단(115)은 윙바디 수용홈(113)에 위치되는데, 적재공간에 위치한 화물 등에 의해 조명수단(115)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조명수단(115)으로서는 일반적인 형광등 또는 발광 다이오드(LED)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명수단(115)에는 전원공급장치(미도시)가 연결되는데, 차량의 연료를 이용하여 발생되는 에너지를 이용하거나, 별도의 외부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다.
윙바디 수용홈(113)에는 조명수단(115)을 보호하기 위한 개폐부(117)가 구비되는데, 개폐부(117)는 윙바디 수용홈(113)에 결합되어 조명수단(115)을 보호한다.
상기 개폐부(117)와 윙바디 수용홈(113)과의 결합은 나사결합, 본딩 결합 등 여러가지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적재장치를 구비한 트럭의 배면사시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적재장치의 발판장치의 결합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적재장치의 측면 플레이트부(120)에는 발판장치(121)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플레이트부(120)는 적재공간의 측면부와 적재공간의 바닥부가 형성하는 모서리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120)는, 화물을 싣고 이동하는 경우에는 고정단(120A)이 아래측에 위치하고 자유단(120B)이 상측에 위치하여 적재공간의 양측면 하단부를 폐쇄시킨다. 그리고 윙바디부(110)는 측면 플레이트부(120)의 자유단(120B)을 외부로부터 감싸면서 화물을 보호할 수 있다.
화물을 적재공간으로부터 내리는 경우 먼저 윙바디부(110)를 개방한 다음 측면 플레이트부(120)의 자유단(120B)을 아래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측면 플레이트부(120)의 고정단(120A)에 구비된 회동수단에 의해 가능하며 상기 회동수단은 힌지일 수 있다.
발판장치(121)는 측면 플레이트부(120)를 개방하였을 때 외측에 위치하도록, 즉 측면 플레이트부(120)를 폐쇄하였을 때에는 내측에 위치하도록 위치된다.
상기 발판장치(121)는 발판용 수용홈(123)과 상기 발판용 수용홈(123)에 위치되어 회동 가능한 발판(125)과 상기 발판(125)을 발판용 수용홈(123)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27)을 포함한다.
발판용 수용홈(123)은 발판(125)을 수용하기 위해 측면 플레이트부(120) 내부로 오목한 홈을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발판을 실장하기 위한 것이다.
발판(125)은 발판용 수용홈(123) 내부에 위치되는데, 측면 플레이트부(120)를 폐쇄하는 경우 적재공간에 위치한 화물 등에 의해 화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발판(125)에는 중공부(128)가 구비되는데 이는 작업자가 발판장치를 사용하고자 할 때,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장치(121)에는 회동수단(129)이 구비되어, 상기 회동수단(129)은 발판(125)을 90°로 접고 펼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동수단(129)은 작업자가 발판 사용시에는 상기 발판(125)을 발판용 수용홈(123)으로부터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후에는 상기 발판(125)을 발판용 수용홈(123)에 실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발판(125)은 고정수단(127)을 이용하여 발판용 수용홈(123)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수단(127)은 발판용 수용홈(123)에 구비된 홀과 고정수단(127)에 구비된 홀을 나사결합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125)과 발판 고정수단(127)과 회동수단(129)을 별도로 구비된 결합편(126)에 결합시키고 상기 결합편(126)이 발판용 수용홈(123)에 결합되는 방법으로도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적재장치의 바닥부에 형성된 화물고정장치의 부분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적재장치의 바닥부(140)에는 화물고정장치(141)가 구비된다.
상기 화물고정장치(141)는 저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적재공간의 측면부와 바닥부가 이루는 모서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42)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레일(142)은 적재공간의 바닥부와 양측면부가 만나는 지점에 길이방향으로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물고정장치(141)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143)의 수나사산과 가이드레일(142)의 저면에 형성된 암나사산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143)의 회전으로 가이드레일(142)을 길이방향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물고정장치(141)는 가이드레일(142)의 상부에 고정결합되는 복수개의 바 고정수단(1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 고정수단(145)은 양측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42)에 각각 복수개 구비되며 ㄱ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화물고정장치(141)는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바 고정수단(145)에 걸쳐 위치되는 화물고정용 바(147)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레일(142)의 상단에 구비된 바 고정수단(145)에 걸쳐서 화물 고정용 바(147)가 위치되고, 양측에 각각 형성된 스크류(143)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레일(142)을 이동시킴으로서 화물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적재장치의 화물고정장치의 화물 고정 순서를 나타내는 측면도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적재장치의 화물고정장치의 화물 고정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를 각 나타낸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적재장치는 화물(F)을 적재공간에 위치시킨 후 화물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적재공간을 상측에서 봤을 경우, 좌측에 위치하는 화물고정장치를 141a, 우측에 위치하는 화물고정장치를 141b로 표시하여 설명하되, 좌우측의 설명이 필요없는 경우 141과 같이 기재하여 설명토록 한다. 이와 같은 표시 방식은 스크류와 바 고정수단도 동일하다.
먼저 화물(F)을 적재공간에 위치시킨 후 화물고정용 바(147)의 양 끝단을 가이드레일(142a, 142b) 상부에 고정되어 위치하는 두개의 바 고정수단(145a, 145b)에 걸쳐서 위치시킨다.
화물고정용 바(147)를 바 고정수단(145a, 145b)에 걸쳐 위치시킨 후 좌측의 화물고정장치(141a)에 구비된 스크류(143a)를 회전하면 좌측의 가이드레일(142a)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우측의 화물고정장치(141b)에 구비된 스크류(143b)를 회전하면 우측의 가이드레일(142b)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가이드레일(142a, 142b)을 화물(F)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스크류(143a, 143b)를 회전시키면 스크류(143a, 143b) 회전은 가이드레일(142a, 142b)의 이동과 동시에 가이드레일(142a, 142b)의 상부에 고정된 바 고정수단(145a, 145b)을 이동시키고, 바 고정수단(145a, 145b)의 이동은 화물고정용 바(147)를 이동시켜 궁극적으로 적재된 화물(F)과 화물고정용 바(147)를 접촉시킴으로써 화물을 고정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고정장치(141)는 적재공간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적재공간의 중간 및 상단부분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고정장치(141)는 측면플레이트부(120)에 형성될 수도 있고, 윙바디부(1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화물고정장치(141)가 측면플레이트부(120)나 윙바디부(110)에 형성되는 경우도 화물고정장치(141)가 위치하는 장소만 다를 뿐 나머지 설명은 도6 내지 도 9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다.
그리고 화물(F)을 적재공간으로부터 내리기 위해서는 먼저 화물과 접촉되어 있는 화물고정용 바(147)를 화물과 분리시켜야 하는 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반대의 방법으로 화물고정을 해지시킬 수 있다.
즉, 먼저 가이드레일(142a, 142b)을 화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스크류(143a, 143b)를 회전시키면, 스크류(143a, 143b)의 회전은 가이드레일(142a, 142b)의 이동을 유도하고, 가이드레일(142a, 142b)의 이동은 바 고정수단(145a, 145b)을 이동시키고 바 고정수단(145a, 145b)의 이동은 화물고정용 바(147)를 화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적재된 화물과 화물고정용 바(147)와의 접촉을 해지시켜 화물고정용 바(147)를 바 고정수단(145a, 145b)으로부터 분리하여 화물고정을 해지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적재장치의 바닥부에 형성된 화물고정장치의 부분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적재장치의 바닥부(140)에는 화물고정장치(241)가 구비된다.
상기 화물고정장치(241)는 저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적재공간의 측면부와 바닥부가 이루는 모서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42)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레일(242)은 적재공간의 바닥부와 양측면부가 만나는 지점에 길이방향으로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물고정장치(241)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2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243)의 수나사산과 가이드레일(242)의 저면에 형성된 암나사산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243)의 회전으로 가이드레일(242)을 길이방향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물고정장치(241)는 가이드레일(242)의 상부에 고정결합되는 복수개의 바 고정수단(2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 고정수단(245)은 양측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242)에 각각 복수개 구비되며 T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화물고정장치(241)는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바 고정수단(245)에 걸쳐 위치되는 화물고정용 바(247)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레일(242)의 상단에 구비된 바 고정수단(245)에 걸쳐서 화물 고정용 바(247)가 위치되고, 양측에 각각 형성된 스크류(243)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레일(242)을 이동시킴으로서 화물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적재장치의 화물고정장치의 화물 고정 순서를 나타내는 측면도를,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적재장치의 화물고정장치의 화물 고정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를 각 나타낸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럭용 적재장치는 화물(F)을 적재공간에 위치시킨 후 화물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적재공간을 상측에서 봤을 경우, 좌측에 위치하는 화물고정장치를 241a, 우측에 위치하는 화물고정장치를 241b로 표시하여 설명하되, 좌우측의 설명이 필요없는 경우 241과 같이 기재하여 설명토록 한다. 이와 같은 표시 방식은 스크류와 바 고정수단도 동일하다.
먼저 화물(F)을 적재공간에 위치시킨 후 화물고정용 바(247)의 양 끝단을 가이드레일(242a, 242b) 상부에 고정되어 위치하는 두개의 바 고정수단(245a, 245b)에 걸쳐서 위치시킨다.
화물고정용 바(247)를 바 고정수단(245a, 245b)에 걸쳐 위치시킨 후 좌측의 화물고정장치(241a)에 구비된 스크류(243a)를 회전하면 좌측의 가이드레일(242a)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우측의 화물고정장치(241b)에 구비된 스크류(243b)를 회전하면 우측의 가이드레일(242b)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가이드레일(242a, 242b)을 화물(F)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스크류(243a, 243b)를 회전시키면 스크류(243a, 243b) 회전은 가이드레일(242a, 242b)의 이동과 동시에 가이드레일(242a, 242b)의 상부에 고정된 바 고정수단(245a, 245b)을 이동시키고, 바 고정수단(245a, 245b)의 이동은 화물고정용 바(247)를 이동시켜 궁극적으로 적재된 화물(F)과 화물고정용 바(247)를 접촉시킴으로써 화물을 고정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고정장치(141)는 적재공간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적재공간의 중간 및 상단부분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고정장치(241)는 측면플레이트부(120)에 형성될 수도 있고, 윙바디부(1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화물고정장치(241)가 측면플레이트부(120)나 윙바디부(110)에 형성되는 경우도 화물고정장치(241)가 위치하는 장소만 다를 뿐 나머지 설명은 도10 내지 도 13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다.
그리고 화물(F)을 적재공간으로부터 내리기 위해서는 먼저 화물과 접촉되어 있는 화물고정용 바(147)를 화물과 분리시켜야 하는 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반대의 방법으로 화물고정을 해지시킬 수 있다.
즉, 먼저 가이드레일(242a, 242b)을 화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스크류(243a, 243b)를 회전시키면, 스크류(243a, 243b)의 회전은 가이드레일(242a, 242b)의 이동을 유도하고, 가이드레일(242a, 242b)의 이동은 바 고정수단(245a, 245b)을 이동시키고 바 고정수단(245a, 245b)의 이동은 화물고정용 바(247)를 화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적재된 화물과 화물고정용 바(247)와의 접촉을 해지시켜 화물고정용 바(247)를 바 고정수단(245a, 245b)으로부터 분리하여 화물고정을 해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윙바디부 111 : 조명장치
112 : 프레임 113 : 윙바디 수용홈
114 : 힌지 115 : 조명수단
116 : 유압실린더 117 : 개폐부
120 : 측면플레이트부 121 : 발판장치
123 : 발판용 수용홈 125 : 발판
126 : 결합편 127 : 고정수단
128 : 중공부 129 : 회동수단
140 : 바닥부 141 : 화물고정장치
142 : 가이드레일 143 : 스크류
145 : 바 고정수단 147 : 화물고정용 바

Claims (7)

  1.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직사각형 형태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양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면 플레이트부; 및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윙바디부; 를 포함하는 트럭용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는 화물고정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적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윙바디부에는, 상기 윙바디부 내면에 형성된 윙바디 수용홈과, 상기 윙바디 수용홈에 실장되는 조명수단과 상기 수용홈을 개폐시킬 수 있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적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플레이트부에는 발판용 수용홈과 상기 발판용 수용홈에 위치되어 회동 가능한 발판과 상기 발판을 발판용 수용홈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발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적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고정장치는,
    바닥부와 측면 플레이트부의 모서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저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형성된 암나사산에 결합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복수개의 스크류와, 상기 각각의 가이드레일의 상측에 고정결합되는 복수개의 바 고정수단 및 각각의 가이드레일의 상측에 형성된 바 고정수단에 걸쳐 위치되는 화물고정용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적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 고정수단은 ㄱ자 형상이거나, T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적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고정장치는,
    상기 측면플레이트부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저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형성된 암나사산에 결합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복수개의 스크류와, 상기 각각의 가이드레일의 상측에 고정결합되는 복수개의 바 고정수단 및 각각의 가이드레일의 상측에 형성된 바 고정수단에 걸쳐 위치되는 화물고정용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적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 고정수단은 ㄱ자 형상이거나, T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적재장치.
KR1020110023727A 2011-03-17 2011-03-17 트럭용 적재장치 KR20120105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727A KR20120105963A (ko) 2011-03-17 2011-03-17 트럭용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727A KR20120105963A (ko) 2011-03-17 2011-03-17 트럭용 적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963A true KR20120105963A (ko) 2012-09-26

Family

ID=47112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727A KR20120105963A (ko) 2011-03-17 2011-03-17 트럭용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596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685B1 (ko) * 2014-06-17 2015-12-22 유운모 화물차량용 윙바디
KR102100619B1 (ko) * 2019-11-14 2020-04-14 박대흠 윙바디트럭의 화물지지장치
KR102261714B1 (ko) * 2020-12-17 2021-06-08 스틸로지스 주식회사 이중 적재함을 구비한 윙바디 화물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685B1 (ko) * 2014-06-17 2015-12-22 유운모 화물차량용 윙바디
KR102100619B1 (ko) * 2019-11-14 2020-04-14 박대흠 윙바디트럭의 화물지지장치
KR102261714B1 (ko) * 2020-12-17 2021-06-08 스틸로지스 주식회사 이중 적재함을 구비한 윙바디 화물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999B1 (ko) 루프박스, 루프박스를 장착한 차량루프와 루프박스를 내장한 자동차
CN207106653U (zh) 用于车辆货物区域的工作表面装置和车辆
CA2793670C (en) Ramp storage case assembly for pickup trucks
CN101765384B (zh) 灯具
US20120267913A1 (en) Vehcile topper that encloses the cargo bed of a vehicle such as a pickup truck, yet provides convenient open access thereto
US6105843A (en) External equipment carrier with cargo box for vehicle
JP6309901B2 (ja) コンテナー
US20150090315A1 (en) Mobile solar power system and method for deploying same
KR20120105963A (ko) 트럭용 적재장치
MX2016000239A (es) Caja de almacenamiento oculta y mesa utilitaria multiuso para camionetas livianas.
CA2347353A1 (en) Pick-up box extension
RU2012132509A (ru) Погрузочная платформа
CA2276970A1 (en) External equipment carrier with cargo box for vehicle
CN110303975A (zh) 适用于车厢的折盖
US20180083567A1 (en) Mobile solar power system and method for deploying same
GB2490909A (en) A reconfigurable vehicle partition and ramp
KR20160020769A (ko) 확장가능한 컨테이너
KR101488384B1 (ko) 접이식 컨테이너
KR101804446B1 (ko) 특장차용 리프트 게이트
FR3053959B1 (fr) Protection de porte passagers d'avion
ATE380714T1 (de) Koffervorrichtung für ein auto
KR100852968B1 (ko) 시위대 진입방지를 위한 경찰차량용 탑차
JP2020511370A (ja) 折り畳み式インターモーダルコンテナおよび折り畳み式インターモーダルコンテナ組立体
JP6727727B2 (ja) 発光体を備えたフロアプレート
ES2372671T3 (es) Dispositivo de movimiento para elementos deslizantes asociados con medios de transporte y medios de transporte así equipad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