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5731A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5731A
KR20120105731A KR20110023351A KR20110023351A KR20120105731A KR 20120105731 A KR20120105731 A KR 20120105731A KR 20110023351 A KR20110023351 A KR 20110023351A KR 20110023351 A KR20110023351 A KR 20110023351A KR 20120105731 A KR20120105731 A KR 20120105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nction box
hole
housing
disposed
battery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23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2936B1 (ko
Inventor
윤지형
Original Assignee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3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936B1/ko
Priority to US13/421,482 priority patent/US8852773B2/en
Publication of KR20120105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7Types of temperature control for achieving uniformity or desired distribution of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1Surfa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 dissipation or radiation, e.g. fin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2Gases with free flow by convection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열 특성을 향상시키고 셀간 온도 편차를 줄일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구비한 배터리 모듈,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배터리 모듈을 수용하며 냉매의 유로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배터리 모듈 주변의 일정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유로와 나란하게 배치된 관통홀을 구비한 정션 박스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방열 특성을 향상시키고 셀간 온도 편차를 줄일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지로, 하나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져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카메라, 캠코더 등의 휴대용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거나, 다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으로 이루어져 고출력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전기 자동차(EV)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실내의 다양한 전장품 및 모터 구동 장치들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정션 박스(Junction Box)를 통해 배선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정션 박스에는 과전류 및 과부하에 대한 보호 장치로써 저항, 퓨즈 또는 릴레이 등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저항, 퓨즈 또는 릴레이 등의 발열 부품은 많은 열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열은 정션 박스에 가까운 배터리 셀을 더 열화시킴으로써 팩 내 셀간 불균일한 열화를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열 특성을 향상시키는 구조의 배터리 팩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열 특성을 향상시키고 셀간 온도 편차를 줄일 수 있는 전지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션 박스 내에 히트 싱크 구조를 배치하여 정션 박스 내의 전자 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킴으로써 배터리 셀을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전지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구비한 배터리 모듈,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배터리 모듈을 수용하며 냉매의 유로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배터리 모듈 주변의 일정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유로와 나란하게 배치된 관통홀을 구비한 정션 박스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이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냉매의 유입구인 적어도 하나의 인렛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냉매의 유출구인 적어도 하나의 아웃렛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아웃렛을 대체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아웃렛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적어도 두 개의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2 관통홀은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션 박스의 육면을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 인접한 하부면, 상기 하부면과 대향하는 상부면, 상기 배터리 모듈과 인접한 제1 면, 상기 제1 면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제2 면, 제3 면 및 제4 면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3 면이 상기 하우징의 냉매 유출면과 대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션 박스는 상기 제3 면의 중심이 상기 냉매 유출면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션 박스는 상기 제3 면의 중심이 상기 냉매 유출면의 중심과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션 박스는 상기 제2 면 및 제4 면 중 한 면이 상기 냉매 유출면과 맞닿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션 박스는 상기 제2 면 및 제4 면이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션 박스는 복수개로 구비되되,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션 박스는 상기 관통홀의 외벽과 접촉하는 전자 부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부품은 발열 소자일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의 내벽에 방열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열 부재는 방열 핀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방열 핀은 복수개로 구비되되, 상기 관통홀의 내벽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의 두께 방향으로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면체형일 수 있다.
상기 냉매는 유체이거나 기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열 특성을 향상시키고 셀간 온도 편차를 줄일 수 있는 전지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션 박스 내에 히트 싱크 구조를 배치하여 정션 박스 내의 전자 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킴으로써 배터리 셀을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전지 팩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 효율이 향상되어 복수회의 충방전에 의해서도 배터리 셀이 쉽게 열화되지 않는 배터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의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정션 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배터리 모듈울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정션 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정션 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정션 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정션 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배터리 모듈울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일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10)을 구비한 배터리 모듈(110),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배터리 모듈(110)을 수용하며 냉매의 유로가 형성된 하우징(130) 및 상기 배터리 모듈(110) 주변의 일정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유로와 나란하게 배치된 관통홀(127)을 구비한 정션 박스(120)를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110)을 수용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110)은 배터리 셀(10)의 측면이 대면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하우징(130)의 육면은 정션 박스(120)의 하부면(126)과 인접한 하우징 하부면(136), 하우징 하부면(136)과 대향하는 하우징 상부면(135), 인렛(137)이 형성된 냉매 유입면(131), 아웃렛(138)이 형성된 냉매 유출면(133), 냉매 유입면(131)과 냉매 유출면(133) 사이에 위치하며 동시에 하우징 하부면(136)과 하우징 상부면(135) 사이에 위치하는 제1 하우징 측면(132) 및 하우징 제1 하우징 측면(132)과 대향하는 제2 하우징 측면(134)으로 정의된다.
배터리 셀(10)을 냉각시키는 냉매는 하우징(130)의 냉매 유입면(131)에 형성된 인렛(137)을 통해 배터리 팩(100)의 내부에 투입된다. 다음, 냉매는 배터리 셀(10)의 주변 공간 및 배리어(115)에 의해 배터리 셀(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과한 후, 하우징(130)의 냉매 유출면(133)에 형성된 아웃렛(138)을 통해 배터리 팩(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30)에는 인렛(137), 배터리 셀(10)의 주변 공간 및 사이 공간과 아웃렛(138)으로 이어지는 냉매의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30)에는 냉매의 유입구인 인렛(137)과 냉매의 유출구인 아웃렛(138)이 구비된다.
또한, 배터리 모듈(110)과 하우징(130)의 냉매 유출면(133)의 사이에는 관통홀(127)을 갖는 정션 박스(120)가 구비된다. 여기서, 관통홀(127)은 상술한 냉매의 유로와 나란하게 형성된다.
정션 박스(120)의 육면을 하우징 하부면(136)과 인접한 하부면(126), 하부면(126)과 대향하는 상부면(126), 배터리 모듈(110)과 인접한 제1 면(121), 제1 면(12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제2 면(122), 제3 면(123) 및 제4 면(124)으로 정의하면, 도 1의 정션 박스(120)의 여러 면 중 가장 하우징(130)과 인접한 제3 면(123)이 하우징(130)의 냉매 유출면(133)과 대면하게 배치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션 박스(120)는 제3 면(123)의 중심이 하우징(130)의 냉매 유출면(133)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정션 박스(120)는 하우징(130)의 냉매 유출면(133)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정션 박스(120)에는 전자 부품(129)이 구비되는데, 전자 부품(129)은 관통홀(127)의 외벽(127ow)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관통홀(127)의 내벽(127iw)에는 방열 핀 형상의 방열 부재(128)가 구비된다. 방열 핀 형상의 방열 부재(128)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관통홀(127)의 내벽(127iw)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여기서, 전자 부품(129)은 과전류 및 과부하에 대한 보호 장치인 저항, 퓨즈 또는 릴레이 등으로 많은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 부품으로, 이와 같이 발생되는 열은 배터리 셀(10)을 열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정션 박스(120)의 전자 부품(129)과 접촉하는 관통홀(127)의 내벽(127iw)에 방열 부재(128)이 배치됨으로써 전자 부품(129)을 용이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관통홀(127)의 내벽(127iw)에는 냉매가 접촉하여 흐르게 되므로 방열 부재(128)의 방열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션 박스(120)에 관통홀(127)을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냉매의 흐름이 정션 박스 앞에서 둔화되어 발생하는 프레셔 드랍(pressure drop)을 저감하여 방열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고 셀간 온도 편차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홀(127)의 두께 방향으로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면체형으로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방열 부재(128)의 형태로 방열 핀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방열 부재(128)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방열 부재(128)가 관통홀(127)의 내벽(127iw)의 일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방열 부재(128)는 내벽(127iw)의 전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냉매로는 유체 또는 기체가 모두 사용 가능하다.
또한, 도 2를 참조하여 하우징(130)에 수용되는 배터리 모듈(110)을 살펴보면, 상기 배터리 모듈(110)은 일방향으로 정렬되고, 양극 단자(11) 및 음극 단자(12)를 구비한 복수개의 배터리 셀(10)을 포함하는데, 상기 배터리 셀(10)은 이웃하는 배터리 셀(10)의 넓은 면이 서로 대면하도록 정렬된다.
상기 배터리 모듈(110)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10)은 전지 케이스에 양극판, 음극판 및 이들 극판들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진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수용시킨 후, 캡 플레이트(14)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한 전지 케이스를 밀폐시킴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14)에는 양극판과 연결되는 양극 단자(11), 음극판과 연결되는 음극 단자(12)인 전극 단자들이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양극판 및 음극판은 전해액과 반응하여 전기 화학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데, 이때 발생한 에너지는 양극 단자(11) 및 음극 단자(12)를 통하여 외부로 전달된다. 또한, 양극 단자(11) 및 음극 단자(12)의 사이에는 벤트(13)가 구비되어 기체를 방출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터리 셀(10)이 리튬 이온 이차전지로서 각형인 것을 일 예로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리튬 폴리머 전지 또는 원통형 전지 등 다양한 형태의 전지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110)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10)과, 서로 공간적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쌍의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111, 112)와, 상기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111, 11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13, 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111, 112)는 각각 최외각의 배터리 셀(10)과 면접촉하도록 배치되어, 복수개의 배터리 셀(10)을 내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연결 부재(113, 114)는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111, 112)를 연결하는데, 상기 연결 부재(113, 114)의 일단은 제1 엔드 플레이트(111)에 체결되고, 상기 연결 부재(113, 114)의 타단은 제2 엔드 플레이트(112)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111, 112)와 상기 연결 부재(113, 114)는 볼트, 너트 등의 부재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113, 114)는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111, 112)를 연결하여, 복수개의 배터리 셀(10)이 정렬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동시에 상기 배터리 셀(10)의 양측면과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터리 셀(10)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두 개의 측면부 연결 부재(113)와 상기 배터리 셀(10)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하나의 바닥부 연결 부재(114)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연결 부재(113, 114)가 구비되는 위치 및 형태 등은 배터리 모듈(110)의 설계에 의하여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배터리 셀(10)은 상기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111, 112), 측면부 연결 부재(113) 및 바닥부 연결 부재(114)에 의해 구획된 공간 내에 고정되어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유동하지 않는다. 여기서, 이웃한 두 배터리 셀(10)의 양극 단자(11) 및 음극 단자(12)는 버스바(bus-bar, 15)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버스바(15)에는 양극 단자(11) 및 음극 단자(12)가 관통할 수 있는 홀이 구비되고, 상기 단자들이 관통하여 연결된 버스바(15)는 너트(16) 등의 부재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셀(10)과 배터리 셀(10) 사이에는 배리어(115)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115)에는 스페이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이웃하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10)을 이격시키고, 상기 배터리 셀(10) 사이의 공간을 형성시켜 배터리 셀(10)을 냉각시키는 냉매의 이동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냉매는 배리어(150)와 배터리 셀(10) 사이의 공간에 유입되어 배터리 셀(10)의 넓은 면과 접하여 열을 교환하고, 유입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다음,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정션 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200)은 제1 실시예와 정션 박스(220)가 배치되는 위치에 차이점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고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하우징(230)의 육면은 정션 박스(220)의 하부면(226)과 인접한 하우징 하부면(236), 하우징 하부면(236)과 대향하는 하우징 상부면(235), 인렛(237)이 형성된 냉매 유입면(231), 아웃렛(238)이 형성된 냉매 유출면(233), 냉매 유입면(231)과 냉매 유출면(233) 사이에 위치하며 동시에 하우징 하부면(236)과 하우징 상부면(235) 사이에 위치하는 제1 하우징 측면(232) 및 하우징 제1 하우징 측면(232)과 대향하는 제2 하우징 측면(234)으로 정의된다.
정션 박스(220)의 육면을 하우징 하부면(236)과 인접한 하부면(226), 하부면(226)과 대향하는 상부면(225), 배터리 모듈(110)과 인접한 제1 면(221), 제1 면(22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제2 면(222), 제3 면(223) 및 제4 면(224)으로 정의하면, 도 4의 정션 박스(220)의 여러 면 중 제3 면(223)이 하우징(230)의 냉매 유출면(233)과 대면하고, 제2 면(222)이 제1 하우징 측면(232)과 대면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정션 박스(220)의 제2 면(222)은 제2 하우징 측면(234)과 대면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션 박스(220)는 제3 면(223)의 중심이 하우징(230)의 냉매 유출면(233)의 중심과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정션 박스(120)는 하우징(130)의 냉매 유출면(133)의 중심이 아닌 구석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아웃렛(238)은 정션 박스(220)가 배치되지 않은 쪽의 냉매 유출면(233) 쪽에 배치된다.
정션 박스(220)에는 전자 부품(229)이 구비되는데, 전자 부품(229)은 관통홀(227)의 외벽(227ow)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관통홀(227)의 내벽(227iw)에는 방열 핀 형상의 방열 부재(228)가 구비된다. 방열 핀 형상의 방열 부재(228)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관통홀(227)의 내벽(227iw)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여기서, 전자 부품(229)은 과전류 및 과부하에 대한 보호 장치인 저항, 퓨즈 또는 릴레이 등으로 많은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 부품으로, 이와 같이 발생되는 열은 배터리 셀(20)을 열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정션 박스(220)의 전자 부품(229)과 접촉하는 관통홀(227)의 내벽(227iw)에 방열 부재(228)를 배치함으로써 전자 부품(229)을 용이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관통홀(227)의 내벽(227iw)에는 냉매가 접촉하여 흐르게 되므로 방열 부재(228)의 방열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션 박스(220)에 관통홀(227)을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냉매의 흐름이 정션 박스 앞에서 둔화되어 발생하는 프레셔 드랍(pressure drop)을 저감하여 방열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고 셀간 온도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다음,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정션 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300)은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정션 박스(320)가 배치되는 위치 및 관통홀(327)의 개수에 차이점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고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하우징(330)의 육면은 정션 박스(320)의 하부면(326)과 인접한 하우징 하부면(336), 하우징 하부면(336)과 대향하는 하우징 상부면(335), 인렛(337)이 형성된 냉매 유입면(331), 냉매 유입면(331)과 대향하게 형성된 냉매 유출면(333), 냉매 유입면(331)과 냉매 유출면(333) 사이에 위치하며 동시에 하우징 하부면(336)과 하우징 상부면(335) 사이에 위치하는 제1 하우징 측면(332) 및 하우징 제1 하우징 측면(332)과 대향하는 제2 하우징 측면(334)으로 정의된다.
정션 박스(320)의 육면을 하우징 하부면(336)과 인접한 하부면(326), 하부면(326)과 대향하는 상부면(325), 배터리 모듈(110)과 인접한 제1 면(321), 제1 면(32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제2 면(322), 제3 면(323) 및 제4 면(324)으로 정의하면, 도 5의 정션 박스(320)의 여러 면 중 제3 면(323)이 하우징(330)의 냉매 유출면(333)과 대면하고, 제2 면(322) 및 제4 면(324)이 각각 제1 하우징 측면(332) 및 제2 하우징 측면(334)과 대면하게 배치된다.
즉, 정션 박스(320)의 제3 면(323)은 하우징(330)의 냉매 유출면(333)의 전체면에 대면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정션 박스(320)에는 2개의 관통홀(327)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300)에는 별도의 아웃렛은 구비되지 않는다.
정션 박스(320)에는 전자 부품(329)이 구비되는데, 전자 부품(329)은 관통홀(327)의 외벽(327ow)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관통홀(327)의 내벽(327iw)에는 방열 핀 형상의 방열 부재(328)가 구비된다. 방열 핀 형상의 방열 부재(328)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관통홀(327)의 내벽(327iw)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여기서, 전자 부품(329)은 과전류 및 과부하에 대한 보호 장치인 저항, 퓨즈 또는 릴레이 등으로 많은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 부품으로, 이와 같이 발생되는 열은 배터리 셀(30)을 열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정션 박스(320)의 전자 부품(329)과 접촉하는 관통홀(327)의 내벽(327iw)에 방열 부재(328)를 배치함으로써 전자 부품(329)을 용이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관통홀(327)의 내벽(227iw)에는 냉매가 접촉하여 흐르게 되므로 방열 부재(328)의 방열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방열 부재(328)를 갖는 두 개의 관통홀(327)이 배치됨으로써 이전 실시예에 비하여 방열 효율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션 박스(320)에 관통홀(327)을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냉매의 흐름이 정션 박스 앞에서 둔화되어 발생하는 프레셔 드랍(pressure drop)을 저감하여 방열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고 셀간 온도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다음,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정션 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400)은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와 정션 박스(420)의 개수에 차이점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고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하우징(430)의 육면은 정션 박스(420)의 하부면(426)과 인접한 하우징 하부면(436), 하우징 하부면(436)과 대향하는 하우징 상부면(435), 인렛(437)이 형성된 냉매 유입면(431), 냉매 유입면(431)과 대향하게 형성된 냉매 유출면(433), 냉매 유입면(431)과 냉매 유출면(433) 사이에 위치하며 동시에 하우징 하부면(436)과 하우징 상부면(435) 사이에 위치하는 제1 하우징 측면(432) 및 하우징 제1 하우징 측면(432)과 대향하는 제2 하우징 측면(434)으로 정의된다.
정션 박스(420)의 육면을 하우징 하부면(436)과 인접한 하부면(426), 하부면(426)과 대향하는 상부면(425), 배터리 모듈(110)과 인접한 제1 면(421), 제1 면(42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제2 면(422), 제3 면(423) 및 제4 면(424)으로 정의하면, 도 6의 정션 박스(420)의 여러 면 중 가장 하우징(430)과 인접한 제3 면(423)이 하우징(430)의 냉매 유출면(433)과 대면하고, 2개의 정션 박스(420)가 일정 간격을 두도록 배치된다.
또한, 2개의 정션 박스(420)에는 각각 관통홀(427)이 구비되므로, 전체적으로 2개의 관통홀(427)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400)에는 도 6과 같이 별도의 아웃렛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정션 박스(420)가 배치되지 않는 냉매 유출면(433)에 아웃렛이 구비될 수도 있다.
정션 박스(420)에는 전자 부품(429)이 구비되는데, 전자 부품(429)은 관통홀(427)의 외벽(427ow)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관통홀(427)의 내벽(427iw)에는 방열 핀 형상의 방열 부재(428)가 구비된다. 방열 핀 형상의 방열 부재(428)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관통홀(427)의 내벽(427iw)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여기서, 전자 부품(429)은 과전류 및 과부하에 대한 보호 장치인 저항, 퓨즈 또는 릴레이 등으로 많은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 부품으로, 이와 같이 발생되는 열은 배터리 셀(40)을 열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정션 박스(420)의 전자 부품(429)과 접촉하는 관통홀(427)의 내벽(427iw)에 방열 부재(428)를 배치함으로써 전자 부품(429)을 용이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관통홀(427)의 내벽(427iw)에는 냉매가 접촉하여 흐르게 되므로 방열 부재(428)의 방열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정션 박스(420)가 2개 배치됨에 따라 방열 부재(428)를 갖는 두 개의 관통홀(427)이 배치됨으로써 이전 실시예에 비하여 방열 효율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션 박스(420)에 관통홀(427)을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냉매의 흐름이 정션 박스 앞에서 둔화되어 발생하는 프레셔 드랍(pressure drop)을 저감하여 방열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고 셀간 온도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열 특성을 향상시키고 셀간 온도 편차를 줄일 수 있는 전지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션 박스 내에 히트 싱크 구조를 배치하여 정션 박스 내의 전자 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킴으로써 배터리 셀을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전지 팩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 효율이 향상되어 복수회의 충방전에 의해서도 배터리 셀이 쉽게 열화되지 않는 배터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30, 40: 배터리 셀 100, 200, 300, 400: 배터리 팩
110, 210, 310, 410: 배터리 모듈 120, 220, 320, 420: 정션 박스
130, 230, 330, 430: 하우징

Claims (20)

  1. 일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구비한 배터리 모듈;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배터리 모듈을 수용하며 냉매의 유로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배터리 모듈 주변의 일정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유로와 나란하게 배치된 관통홀을 구비한 정션 박스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냉매의 유입구인 적어도 하나의 인렛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냉매의 유출구인 적어도 하나의 아웃렛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아웃렛을 대체하는 배터리 팩.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아웃렛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배터리 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적어도 두 개의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로 이루어지는 배터리 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2 관통홀은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배터리 팩.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 박스의 육면을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 인접한 하부면, 상기 하부면과 대향하는 상부면, 상기 배터리 모듈과 인접한 제1 면, 상기 제1 면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제2 면, 제3 면 및 제4 면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3 면이 상기 하우징의 냉매 유출면과 대면하게 배치되는 배터리 팩.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 박스는 상기 제3 면의 중심이 상기 냉매 유출면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배터리 팩.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 박스는 상기 제3 면의 중심이 상기 냉매 유출면의 중심과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배터리 팩.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 박스는 상기 제2 면 및 제4 면 중 한 면이 상기 냉매 유출면과 맞닿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배터리 팩.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 박스는 상기 제2 면 및 제4 면이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배터리 팩.
  13.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 박스는 복수개로 구비되되,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배터리 팩.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 박스는 상기 관통홀의 외벽과 접촉하는 전자 부품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은 발열 소자인 배터리 팩.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내벽에 방열 부재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부재는 방열 핀의 형상인 배터리 팩.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핀은 복수개로 구비되되, 상기 관통홀의 내벽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배터리 팩.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두께 방향으로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면체형인 배터리 팩.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유체이거나 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KR1020110023351A 2011-03-16 2011-03-16 배터리 팩 KR101252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351A KR101252936B1 (ko) 2011-03-16 2011-03-16 배터리 팩
US13/421,482 US8852773B2 (en) 2011-03-16 2012-03-15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351A KR101252936B1 (ko) 2011-03-16 2011-03-16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731A true KR20120105731A (ko) 2012-09-26
KR101252936B1 KR101252936B1 (ko) 2013-04-09

Family

ID=4682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351A KR101252936B1 (ko) 2011-03-16 2011-03-16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52773B2 (ko)
KR (1) KR1012529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07025A (zh) * 2014-08-06 2016-12-07 罗伯特·博世有限公司 电的能量存储器模块和相应的模块化构造的能量存储器
KR20180047791A (ko) * 2016-11-01 2018-05-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기차용 통합 고전압 정션 유니트
KR20180067757A (ko) * 2016-12-12 2018-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정션블록의 장착구조
KR20180120055A (ko) * 2017-04-26 2018-11-05 크로마 에이티이 인코포레이티드 지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31449B (zh) * 2012-11-19 2014-12-03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用电池包的散热结构
USD751936S1 (en) * 2014-02-14 2016-03-22 Checkpoint Systems, Inc. Deactivator
USD743285S1 (en) * 2014-02-14 2015-11-17 Checkpoint Systems, Inc. Deactivator
USD751935S1 (en) * 2014-02-14 2016-03-22 Checkpoint Systems, Inc. Deactivator
US20170244141A1 (en) * 2016-02-22 2017-08-24 Faraday&Future Inc. Temperature dependent fuse for battery cooling system
US10608301B2 (en) 2017-08-29 2020-03-31 Nio Usa, Inc. Power electronics with integrated busbar cooling
US10217693B1 (en) * 2017-08-29 2019-02-26 Nio Us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high voltage component cooling in electric vehicle for fast charge
US10991924B2 (en) * 2017-10-19 2021-04-27 Tiveni Mergeco, Inc. Pressure equalization between battery module compartments of an energy storage system and external environment
US11682806B2 (en) * 2020-03-18 2023-06-20 Subaru Corporation Battery stack structure
DE102021209304A1 (de) 2021-08-25 2023-03-02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Kühlvorrichtung zur Kühlung eines Batteriezellstapels und Batterie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424525S (en) 1998-07-16 2000-05-09 Hubbell Incorported Non-metallic housing for a pin and sleeve wiring device
KR100534730B1 (ko) 2003-08-14 200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냉각장치
KR20060027579A (ko) * 2004-09-23 2006-03-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온도 제어 시스템
KR100932214B1 (ko) 2005-10-14 2009-1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전소자를 이용한 전지팩의 열교환 시스템
JP2008311016A (ja) * 2007-06-13 2008-12-25 Toyota Motor Corp 電池パック
KR20090018417A (ko) 2007-08-17 2009-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 전력차단장치용 냉각시스템
JP2010097872A (ja) * 2008-10-17 2010-04-30 Denso Corp 電池冷却装置
USD688211S1 (en) 2010-07-26 2013-08-20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Junction box
USD676814S1 (en) 2012-06-05 2013-02-26 Ivan W. Paul Electrical junction box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07025A (zh) * 2014-08-06 2016-12-07 罗伯特·博世有限公司 电的能量存储器模块和相应的模块化构造的能量存储器
KR20180047791A (ko) * 2016-11-01 2018-05-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기차용 통합 고전압 정션 유니트
KR20180067757A (ko) * 2016-12-12 2018-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정션블록의 장착구조
KR20180120055A (ko) * 2017-04-26 2018-11-05 크로마 에이티이 인코포레이티드 지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52773B2 (en) 2014-10-07
US20120237804A1 (en) 2012-09-20
KR101252936B1 (ko) 2013-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936B1 (ko) 배터리 팩
KR101261736B1 (ko) 배터리 팩
CN110100351B (zh) 包括具有百叶窗翼片形状的导热媒介的电池组
KR101230130B1 (ko) 배터리 팩
KR101252963B1 (ko) 방열 특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
KR101219226B1 (ko) 배터리 팩
KR101252944B1 (ko) 방열 특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
KR101271883B1 (ko) 배터리 모듈
KR101282519B1 (ko) 배터리 모듈
KR101723016B1 (ko) 전지 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 어셈블리
KR101709555B1 (ko) 냉매 유로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KR100717751B1 (ko) 이차 전지 모듈
JP2007048750A (ja) 電池モジュール
KR20150102632A (ko) 이차 전지 팩
CN110710051A (zh) 电池组
KR20070018507A (ko) 이차 전지 모듈
CN109643833B (zh) 电池模块
WO2013080338A1 (ja) 電池ブロック及びそれを有する電池モジュール
KR20160142663A (ko) 배터리 모듈
KR20160068446A (ko) 배터리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CN110770965A (zh) 具有改进的冷却结构的电池模块
KR20160087093A (ko) 고정 브라켓이 형성되어 있는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전지팩
KR20140089627A (ko) 이차 전지용 배터리 팩
KR20150123495A (ko) 냉매 유로가 형성된 카트리지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120062320A (ko) 냉각 효율이 향상된 이차전지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