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5362A - 카드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카드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5362A
KR20120105362A KR1020120023239A KR20120023239A KR20120105362A KR 20120105362 A KR20120105362 A KR 20120105362A KR 1020120023239 A KR1020120023239 A KR 1020120023239A KR 20120023239 A KR20120023239 A KR 20120023239A KR 20120105362 A KR20120105362 A KR 20120105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onnector
housing
shell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1541B1 (ko
Inventor
가츠히코 고바야시
준야 츠지
유키 구도
데츠키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20105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의 폭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카드가 카드 수용공간에 대해 크게 기울어져 인발 혹은 삽입된 경우에도 카드 가이드부의 카드에 대한 안내성능이 열화되지 않는 카드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카드용 커넥터는 카드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해당 하우징에 취부되어 상기 카드에 접촉하는 콘택트와, 상기 하우징 상에 재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저벽과의 사이에 상기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금속제 쉘을 구비한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카드의 삽발 시에 상기 카드를 안내하는 카드 가이드부를 상기 쉘의 상벽에서 해당 상벽에 대해 둔각, 나아가 상기 카드 수용공간의 경사 내측을 향해 뻗도록 휨가공한다.

Description

카드용 커넥터{Card Connector}
본 발명은 메모리카드 등의 카드가 접속되는 카드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메모리카드 등의 카드가 접속되는 카드용 커넥터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카드용 커넥터는 카드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취부된 복수의 콘택트와, 하우징 상에 재치되고 하우징의 저벽과의 사이에 카드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금속제 쉘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하우징에는 이른바 푸쉬-푸쉬방식의 인젝트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인젝트 기구는 카드의 선단에 당접하여 카드 배출방향으로 용수철부재에 의해 부세되어 카드를 배출하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더를 카드 배출방향을 따라 감합위치 및 배출위치에 정지시키는 캠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푸쉬-푸쉬방식의 인젝트 기구를 구비한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는 슬라이더가 배출위치에 있는 때에 카드를 삽입한다. 카드를 삽입하면 카드의 전단이 슬라이더에 당접한다. 그리고 더욱 카드의 후단을 압압하면 슬라이더가 전진하여 감합위치가 되고 카드와 콘택트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카드의 삽입이 완료된다. 카드를 배출하는 때에는 카드 삽입완료 상태로부터 카드를 다시 압압하여 카드를 뗀다. 그러면 용수철부재의 작용에 의해 슬라이더가 후퇴하여 배출위치가 되고, 카드도 슬라이더와 함께 후퇴한다. 이 상태에서 카드를 커넥터에서 후방으로 인출함으로써 카드를 커넥터로부터 빼낼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의 배출위치에 있어서 카드의 예기치 않은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카드의 측둘레에는 절결이 형성되고, 슬라이더에는 그 절결에 록되는 록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 2005-353372호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카드용 커넥터에 삽발되는 카드는 일반적으로 미니SD카드라 불리는 것으로, 절결의 크기가 카드의 표면적에 대해 매우 작다. 따라서 카드의 삽발 시, 특히 카드를 커넥터에서 인발하는 때에 커넥터에 대해 카드가 비스듬히 인발될 가능성이 낮다.
또한 설사 커넥터에 대해 카드가 비스듬히 인발되더라도 그 경사량이 작다. 이 때문에 카드의 삽발을 안내하는 카드 가이드부를 하우징의 측부에 설치하였으며 그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커넥터의 폭방향 치수를 비교적 작게 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마이크로 SD라 불리는 메모리카드도 보급되고 있고, 마이크로 SD의 절결의 크기는 카드의 표면적에 대해 크다. 따라서 카드의 삽발 시, 특히 카드를 커넥터로부터 인발하는 때에 커넥터에 대해 카드가 비스듬히 인발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커넥터에 대해 카드가 비스듬히 인발된 때에는 그 경사량도 크다. 이 때문에 삽발을 안내하는 카드 가이드부를 하우징의 측부에 설치하는 경우, 그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고, 커넥터의 폭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해결책을 생각할 수 있다. 도 10은 카드를 안내하는 카드 가이드부를 하우징 상에 재치된 금속제 쉘로부터 당해 쉘에 대해 수직 하방으로 휨가공한 카드용 커넥터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A)는 카드가 카드 수용공간에 대해 정규 상태로 삽입 및 인발되는 상태, (B)는 카드가 카드 수용공간에 대해 크게 기울어져 삽입 및 인발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 (A), (B)에 나타내는 카드용 커넥터(101)에 있어서, 카드(C)의 삽발을 안내하는 카드 가이드부(122)는 하우징(110) 상에 재치된 금속제 쉘(120)로부터 당해 쉘(120)의 상벽(121)에 대해 수직 하방으로 휨가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카드 가이드부(122)를 금속제 쉘(120)로부터 휨가공함으로써 기계적 강도가 강해지고,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며, 커넥터(101)의 폭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0(A), (B) 중 부호 111은 하우징의 저벽, 130은 록부재, 131은 후크부이다.
그러나 도 10(A), (B)에 나타내는 카드용 커넥터(101)에 있어서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C)를 카드 수용공간(112)으로부터 인발하거나(지면에 대해 앞측으로) 혹은 삽입하는 때에, 카드(C)가 카드 수용공간(112)에 대해 정규 상태로 인발 혹은 삽입되면 카드 가이드부(122)의 카드(C)에 대한 가이드량은 δ1으로 비교적 크다.
한편 카드(C)가 카드 수용공간(112)에 대해 크게 기울어져 인발 혹은 삽입되면,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C)가 카드 가이드부(122)를 압압한다. 이 때문에 카드 가이드부(122)가 고정단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꺽여 비스듬하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카드 가이드부(122)가 금속제로 기계적 강도가 강해도 이러한 현상은 일어난다.
이 경우, 카드(C)가 카드 가이드부(122)의 아래로 기어들어가기 쉽게 되고, 그로 인해 쉘(120)이 부상한다. 쉘(120)이 부상하면 카드 가이드부(122)의 카드(C)에 대한 가이드량은 δ1보다 작은 δ2가 된다. 그러면 카드 가이드부(122)의 카드(C)에 대한 안내성능이 일층 악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커넥터의 폭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카드가 카드 수용공간에 대해 크게 기울어져 인발 혹은 삽입된 경우에도 카드 가이드부의 카드에 대한 안내성능이 열화되지 않는 카드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관계되는 카드용 커넥터는 카드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해당 하우징에 취부되어 상기 카드에 접촉하는 콘택트와, 상기 하우징 상에 재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저벽과의 사이에 상기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금속제 쉘을 구비한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카드의 삽발 시에 상기 카드를 안내하는 카드 가이드부를 상기 쉘의 상벽에서 해당 상벽에 대해 둔각, 나아가 상기 카드 수용공간의 경사 내측을 향해 뻗도록 휨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중 청구항 2에 관계되는 카드용 커넥터는 청구항 1기재의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카드 가이드부의 하측에 상기 카드를 록하는 록부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카드용 커넥터에 의하면, 카드의 삽발 시에 카드를 안내하는 카드 가이드부를 쉘의 상벽에서 해당 상벽에 대해 둔각, 나아가 수용공간의 경사 내측을 향해 뻗도록 휨가공한다. 이 때문에 카드가 카드 수용공간에 대해 크게 기울어져 삽입 혹은 인발된 경우에 카드에 압압되어 카드 가이드부가 고정단을 중심으로 하여 폭방향 외측으로 꺽인다. 이때 카드에 카드 가이드부가 압압됨으로써 쉘을 눌러 내리는 힘이 작용하고, 쉘을 부상시키는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카드 가이드부의 카드에 대한 가이드량도 증가한다. 따라서 카드 가이드부의 카드에 대한 안내성능은 열화되지 않는 카드용 커넥터로 할 수 있다.
또한 카드 가이드부는 금속제 쉘의 상벽에서 휨가공되어 있으므로 기계적 강도가 강해지고,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며, 카드용 커넥터의 폭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카드용 커넥터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드용 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우측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도 1(B)에서의 화살표2C로 나타내는 부분의 확대도, (D)는 도 1(A)에서의 2D-2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카드용 커넥터로부터 쉘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카드용 커넥터로부터 쉘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A)는 우측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도 3(B)에서의 화살표 4C로 나타내는 부분의 확대도, (D)는 도 3(A)에서의 4D-4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카드용 커넥터에 카드가 삽입되고, 슬라이더가 배출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카드용 커넥터에 카드가 삽입되고, 슬라이더가 배출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A)는 우측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도 5(A)에서의 6C-6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의 상태로부터 쉘을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카드가 카드 수용공간에 대해 기울어져 삽입 및 인발되는 경우의 도 1에 나타내는 카드용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카드 가이드부의 작용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A)는 카드가 카드 수용공간에 대해 정규 상태로 삽입 및 인발되는 상태, (B)는 카드가 카드 수용공간에 대해 크게 기울어져 삽입 및 인발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카드 가이드부를 하우징 상에 재치된 금속제 쉘로부터 당해 쉘에 대해 수직하방으로 휨가공한 카드용 커넥터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A)는 카드가 카드 수용공간에 대해 정규 상태로 삽입 및 인발되는 상태, (B)는 카드가 카드 수용공간에 대해 크게 기울어져 삽입 및 인발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카드용 커넥터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카드용 커넥터(1)는 마이크로SD라 불리는 메모리카드 등의 카드(C; 도 7참조)가 삽입 및 배출되는 것이다. 카드(C)는 대략 구형 평판상으로 형성되고, 일방의 측둘레(도 7에서 우측둘레)에는 절결(C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C1)의 크기는 미니SD라 불리는 카드에 형성된 절결보다도 카드(C)의 표면적에 대해 비교적 크다.
카드(C)는 카드용 커넥터(1)를 기준으로 하여 전방(도 7에서의 하방)에서 후방(도 7에서의 상방)으로 삽입된다. 이하, 도 7에서의 「하」를 「전」, 도 7에서의「상」을 「후」로 한다.
카드용 커넥터(1)는 카드(C)를 수용하는 하우징(10)과, 복수의 콘택트(20)와, 금속제 쉘(30)과, 카드 검지 스위치기구(40)와, 푸쉬-푸쉬방식의 인젝트기구(50; 도 3(A)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하우징(10)은 대략 구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1(B), 도 2(C),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에서 취부되는 쉘(30)과 저벽(11)과의 사이에 카드(C)를 수용하는 카드 수용공간(12)을 갖는다. 하우징(10)은 절연성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콘택트(20)는 하우징(10)의 폭방향(도 1(A)에서의 좌우방향)을 따라 1열상으로 하우징(10)의 저벽(11)에 취부된다(도 3(A)참조). 각 콘택트(20)는 도전성 금속판을 타발 및 휨가공하여 형성된다. 각 콘택트(20)의 접촉부는 카드 수용공간(12) 내에 돌출하고, 당해 카드 수용공간(12)에 수용되는 카드(C)의 도전패드(미도시)에 접촉한다. 각 콘택트(20)의 기판접속부는 하우징(10)의 하방으로 뻗어 도시하지 않은 회로기판에 접속된다.
금속제 쉘(30)은 금속판을 타발 및 휨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하우징(10)의 상면을 덮는 대략 평판상으로 형성된 상벽(31)을 갖는다. 쉘(30)은 하우징(10) 상에 재치되고, 하우징(10)의 저벽(11)과의 사이에 카드(C)를 수용하는 카드수용공간(12)을 형성한다. 그리고 쉘(30)은 상벽(31)의 폭방향 양측에 설치된 측벽부 및 상벽(31)의 후단에 설치된 후벽에 의해 하우징(10)에 고정된다.
이 쉘(30)에는 도 1(A), 도 2(D), 도 5(A) 및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C)의 삽발 시에 카드(C)를 안내하는 카드 가이드부(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카드 가이드부(32)는 도 1(A) 및 도 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쉘(30)의 전단 근방이며 카드수용공간(12)의 일측둘레근방(도 2(D)에서의 우측둘레근방)의 위치에 설치된다.
카드 가이드부(32)는 도 2(D) 및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셀(30)의 상벽(31)에서 해당 상벽(31)에 대해 둔각, 나아가 카드수용공간(12)의 경사 내측을 향해 뻗도록 휨가공된다. 여기서 「둔각」이란 도 2(D)에 나타낸 쉘(30)의 상벽(31)과 카드 가이드부(32)가 이루는 각도(180°- θ)가 둔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각도(θ)는 65°~ 80°가 최적이다. 그 이유는 65°보다 작으면 카드(C)에 파고들기 쉬워지고, 80°보다 크면 카드(C)에 대한 안내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카드 가이드부(32)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카드검지기 스위치기구(40)는 하우징(10)의 후단에 취부된 금속제의 제1 단자와, 쉘(30)의 후단에 설치된 금속제의 제2 단자(42)로 이루어진다. 제1 단자(41)와 제2 단자(42)는 서로 접촉가능하게 되어 있다.
인젝트기구(50)는 이른바 푸쉬-푸쉬방식이라 불리는 것이며, 하우징(10)에 배치되어 카드배출방향(뒤에서 앞방향)으로 카드(C)를 배출하는 것이다. 이 인젝트기구(50)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60)와 캠기구(70)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더(60)는 하우징(10)의 폭방향 일단측(도 3(A)에서의 우단측)에 배치되고, 배출위치(도 3(A), 도 5 내지 도 7참조), 압압위치(미도시) 및 감합위치(미도시)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더(60)는 하우징(10)과 슬라이더(60)와의 사이에 배치된 용수철부재(80)에 의해 카드배출방향으로 부세된다.
이 슬라이더(60)에는 슬라이더(60)의 배출위치에 있어서 카드(C)의 예기치못한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카드(C)의 절결(C1)에 록되는 록부재(61)가 설치되어 있다. 록부재(61)는 탄성 변형가능한 금속제 부재이며, 그 선단에는 카드(C)의 절결(C1)에 록되는 만곡형상의 후크부(62)가 설치되어 있다.
록부재(61)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의 후크부(62)가 슬라이더(60)의 전측에 위치하도록 슬라이더(60)에 취부된다. 후크부(62)는 록부재(61)의 선단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을 향해 즉, 카드수용공간(12)을 향해 뻗어 있다. 그리고 록부재(61)의 후크부(62)는 도 2(C),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 가이드부(32)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캠기구(70)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트형의 캠기구(72)와, 캠기구(72)를 따라 접동하는 캠로드(71)로 구성되어 있다. 캠기구(72)는 슬라이더(6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캠로드(71)는 그 후단부가 하우징(10)에 접동이 자유롭게 축지되고, 캠로드(61)의 전단부가 캠기구(72)를 따라 접동하도록 되어 있다. 캠로드(61)는 직선상의 금속봉의 양단을 동일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된다.
다음으로 카드 가이드부(32)의 작용에 대해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하우징(10) 내에 카드(C)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때에는 슬라이더(60)가 도 7에 나타내는 배출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카드(C)를 카드 수용공간(12) 내에 삽입하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C)의 선단이 슬라이더(60)의 돌기부(63)에 당접하고, 도 5(A)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C)의 절결(C1)에 록부재(61)의 후크부(62)가 록된다.
이 카드(C)의 삽입조작 시에 도 5(A), (B),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C)는 쉘(30)의 폭방향 일단측에 있는 카드 가이드부(32)와 쉘(30)의 폭방향 타단측에 있는 쉘(30)의 측벽부에 의해 안내된다. 그리고 이 카드(C)의 삽입조작 시에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C)가 카드수용공간(12)에 대해 정규 상태로 삽입되면, 카드 가이드부(32)의 카드(C)에 대한 가이드량은 δ3으로 비교적 커져 있다.
한편 카드(C)의 삽입조작 시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C)가 카드수용공간(12)에 대해 기울어져 삽입되는 경우가 있다. 도 8에 있어서는 그 경사각이Δ로 표시되어 있다. 특히 카드(C)에 형성된 절결(C1)의 크기는 카드(C)의 표면적에 대해 비교적 크므로, 카드(C)가 카드수용공간(12)에 대해 크게 기울어져 삽입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C)에 압압되어 록부재(61)가 폭방향 외측으로 변위함과 동시에, 카드(C)가 카드 가이드부(32)를 압압한다. 이에 의해 카드 가이드부(32)가 고정단을 중심으로 하여 폭방향 외측으로 휜다. 이때에 카드 가이드부(32)는 쉘(30)의 상벽(31)으로부터 해당 상벽(31)에 대해 둔각 나아가 카드수용공간(12)의 경사 내측을 향해 뻗도록 휨가공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카드(C)에 카드 가이드부(32)가 압압됨으로써 쉘(30)을 눌러 내리는 힘이 작용하므로, 쉘(30)을 부상시킬 수 있는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카드 가이드부(32)의 카드(C)에 대한 가이드량도 δ4가 되어 증가한다. 따라서 카드 가이드부(32)의 카드(C)에 대한 안내성능은 열화되지 않는다.
그리고 카드(C)의 삽입을 속행하고, 슬라이더(60)가 하우징(10)의 후벽에 당접하기까지 슬라이더(60) 및 카드(C)를 전진시킨다. 그러면 슬라이더(60) 및 카드(C)는 압압위치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카드(C)로부터 손을 떼면 용수철부재(80)의 작용에 의해, 슬라이더(60)가 카드배출방향(전방향)으로 부세되고, 카드(C)도 슬라이더(60)와 함께 카드배출방향으로 이동하여, 감합위치가 된다. 이 감합위치에서 카드(C)의 삽입이 완료되고 카드(C)의 하면에 형성된 도전패드에 콘택트(20)의 접촉부가 접촉한다.
한편, 카드(C)의 배출을 행하는 때에는 감합위치의 상태에서 카드(C)를 다시 압압하여 슬라이더(60)가 하우징(10)의 후벽에 당접하기까지 슬라이더(60) 및 카드(C)를 진행시키고, 이 상태에서 카드(C)로부터 손을 뗀다. 그러면 용수철부재(80)의 작용에 의해 슬라이더(60)가 카드배출방향(전방향)으로 부세되어 카드(C)도 슬라이더(60)와 함께 카드배출방향으로 이동하고, 도 5 내지 7에 나타내는 배출위치가 된다. 이 상태에서 카드(C)를 카드수용공간(12)으로부터 인발한다. 이에 따라 카드(C)를 빼낼 수 있다.
이 카드(C) 인발조작 시의 카드 가이드부(32)의 작용은 카드(C)의 삽입조작 시의 카드 가이드부(32)의 작용과 동일하다. 즉 카드(C)의 인발조작 시에 도 5(A), (B),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C)는 쉘(30)의 폭방향 일단측에 있는 카드 가이드부(32)와 쉘(30)의 폭방향 타단측에 있는 쉘(30)의 측벽에 의해 안내된다. 그리고 이 카드(C)의 인발조작 시에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C)가 카드수용공간(12)에 대해 정규 상태로 인발되면, 카드 가이드부(32)의 카드(C)에 대한 가이드량은 δ3으로 비교적 크다.
한편 카드(C)의 인발조작 시에 카드(C)가 카드수용공간(12)에 대해 크게 기울어져 인발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C)에 압압되어 록부재(61)가 폭방향 외측으로 변위함과 동시에, 카드(C)가 카드 가이드부(32)를 압압한다. 이에 따라 카드 가이드부(32)가 고정단을 중심으로 하여 폭방향 외측으로 꺽인다. 이때 카드 가이드부(32)는 쉘(30)의 상벽(31)으로부터 해당 상벽(31)에 대해 둔각 나아가 카드수용공간(12)의 경사 내측을 향해 뻗도록 휨가공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카드(C)에 카드 가이드부(32)가 압압됨으로써 쉘(30)을 눌러내리는 힘이 작용하고, 쉘(30)을 부상시키는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카드 가이드부(32)의 카드(C)에 대한 가이드량도 δ4가 되어 증가한다. 따라서 카드 가이드부(32)의 카드(C)에 대한 안내성능은 열화되지 않는다. 카드(C)의 삽입조작 시보다 카드(C)의 인발조작 시의 쪽이 카드(C)가 기울어지는 경우가 많고, 카드 가이드부(32)를 상벽(31)에 대해 둔각으로 형성하는 실익은 크다.
또한 카드 가이드부(32)를 상벽(31)으로부터 휨가공된 금속제 쉘(30)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기계적 강도가 강해지고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며, 카드용 커넥터(1)의 폭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카드 가이드부(32)의 하측에 카드(C)를 록하는 록부재(61)를 배치하였으므로, 카드용 커넥터(1)에 있어서 카드 가이드부(32)와 록부재(61)의 쌍방을 배치하는 때에 폭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경, 개량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드용 커넥터(1)에 삽입되는 카드(C)는 마이크로 SD라 불리는 메모리카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메모리 카드나 SIM카드 등이어도 좋다.
또한 록부재(61)는 반드시 카드 가이드부(32)의 하측에 배치되지 않아도 좋다.
1: 카드용 커넥터 10: 하우징
11: 저벽 12: 카드수용공간
20: 콘택트 30: 쉘
31: 상벽 32: 카드 가이드부
61: 록부재 C: 카드

Claims (2)

  1. 카드를 수용하는 하우징;
    해당 하우징에 취부되어 상기 카드에 접촉하는 콘택트; 및
    상기 하우징 상에 재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저벽과의 사이에 상기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금속제 쉘을 구비한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카드의 삽발 시에 상기 카드를 안내하는 카드 가이드부를 상기 쉘의 상벽에서 해당 상벽에 대해 둔각, 나아가 상기 카드 수용공간의 경사 내측을 향해 뻗도록 휨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가이드부의 하측에 상기 카드를 록하는 록부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KR1020120023239A 2011-03-15 2012-03-07 카드용 커넥터 KR1019115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56752A JP2012195090A (ja) 2011-03-15 2011-03-15 カード用コネクタ
JPJP-P-2011-056752 2011-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362A true KR20120105362A (ko) 2012-09-25
KR101911541B1 KR101911541B1 (ko) 2018-10-25

Family

ID=46815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239A KR101911541B1 (ko) 2011-03-15 2012-03-07 카드용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238114A1 (ko)
JP (1) JP2012195090A (ko)
KR (1) KR101911541B1 (ko)
CN (1) CN1026839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667B1 (ko) * 2011-03-28 2012-11-15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JP5970391B2 (ja) * 2013-02-25 2016-08-17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カードコネクタ
CN111740255A (zh) * 2020-07-03 2020-10-02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电连接器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32601U (en) * 2001-06-13 2003-05-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onic card connector
JP2003223957A (ja) * 2002-01-29 2003-08-08 Kyocera Elco Corp カード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JP4673006B2 (ja) * 2004-06-09 2011-04-20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JP4028530B2 (ja) * 2004-07-22 2007-12-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ードソケット
TWM289915U (en) * 2005-10-07 2006-04-21 Molex Taiwan Ltd Connector of electronic card
CN2932724Y (zh) * 2006-03-21 2007-08-08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卡连接器的遮蔽壳体
CN101237095B (zh) * 2007-02-02 2012-07-1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CN201117911Y (zh) * 2007-10-19 2008-09-1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组件
JP4545202B2 (ja) * 2008-02-28 2010-09-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CN201194265Y (zh) * 2008-04-03 2009-02-11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卡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38114A1 (en) 2012-09-20
CN102683998A (zh) 2012-09-19
JP2012195090A (ja) 2012-10-11
CN102683998B (zh) 2016-05-11
KR101911541B1 (ko) 2018-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21939B1 (en) SIM card connector
US8308495B2 (en) Push-push card connector
US9236692B2 (en) Card connector
CN201178196Y (zh) 电子卡连接器
US6669494B2 (en) Card connector having improved stopper for eject mechanism
JP573868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7445512B1 (en) Multi-in-one card connector having a lift board
JP5824357B2 (ja) コネクタ
JP2007012550A (ja) ハートカムを用いたイジェクト機構付きのカード用コネクタ
US20110250772A1 (en) Small sized stacked card connector with ejector facilitating ejection of a sim card
JP2011165560A (ja) カードコネクタ
JP430741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KR20120105362A (ko) 카드용 커넥터
US7153165B2 (en) Terminal-protective card connector
KR20130029338A (ko) 카드 커넥터
US7040928B1 (en) Terminal-protective card connector
US6988904B1 (en) Push-push card connector
KR101574726B1 (ko) 수동 카드 이젝터를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US20080132110A1 (en) Card connector capable of detecting inserted card
KR20140106399A (ko) 카드 커넥터
US8109773B1 (en) Multi-function card connector
TWI628869B (zh) Card connector
US7011549B1 (en) Damage-free card connector
US9501672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preventing card from flying out of the receiving space
CN214254790U (zh) 堆叠式卡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