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3973A -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3973A
KR20120103973A KR1020110021985A KR20110021985A KR20120103973A KR 20120103973 A KR20120103973 A KR 20120103973A KR 1020110021985 A KR1020110021985 A KR 1020110021985A KR 20110021985 A KR20110021985 A KR 20110021985A KR 20120103973 A KR20120103973 A KR 20120103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ouble bottom
bottom plate
supports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5865B1 (ko
Inventor
김경환
Original Assignee
김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환 filed Critical 김경환
Priority to KR1020110021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865B1/ko
Publication of KR20120103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8Framework supporting the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이중바닥판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이러한 이중바닥판 어셈블리는, 지주를 구비하고 이 지주가 실내바닥면 상에 세워진 상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들과, 상기 지지대들의 지주 상부에 얹혀져서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연결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이중바닥판들과, 상기 이중바닥판들 하측에서 상기 지지대들의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이중바닥판들의 가장자리 하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바들로 구성되는 연결지지부와, 상기 연결지지부 하측에서 상기 지지대들의 지주 사이를 연결 상태로 잡아주면서 상기 이중바닥판들이 실내바닥면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지지부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연결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잡아주면서 상기 이중바닥판들이 수직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바닥판 어셈블리{access floor assembley}
본 발명은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대한 설치 안전성이 대폭 향상된 이중바닥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는 각종 전산장비나, 통신장비들은 대부분 실내바닥면에서 일정 간격을 띄우고 설치된 "이중바닥판체(access floor)"라고 불리우는 조립식 바닥판 위에 올려진 상태로 배치된다.
즉, 상기 이중바닥판체는, 실내바닥면 위로 통로가 확보된 상태로 제공되므로 각종 케이블류의 배선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특히 여러 가닥의 케이블류들이 가려진 상태로 배선이 가능하므로 실내 미관을 높일 수 있고, 통행에 불편을 야기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한 이중바닥판체는, 복수 개의 이중바닥판들이 실내바닥면에 설치된 지지대들 측에 얹혀져서 실내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띄우고 평면을 이루도록 조립 설치된 어셈블리 형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들은, 이중바닥판들을 안정적으로 받쳐주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실내바닥면에서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띄운 상태로 복수 개가 배치되고, 이격 배치된 지지대들 사이는 연결바들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바들로 지지대들을 연결하면 이 지지대들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잡아줄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상기 지지대들로 이중바닥판들을 받쳐 준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들이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수평 방향(측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이중바닥판체는 한 방향 이상으로 진동이나 충격이 작용하는 환경에서는 안전 상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진(地震)과 같이 한 방향 이상(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할 때 에는 이중바닥판들이 수직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없으므로 만족할 만한 설치 안전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특히, 이중바닥판들 위에는 대부분 중량물인 대형의 전산장비나 통신장비들이 올려져서 비교적 큰 하중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상태이므로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이나 진동에 대한 설치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하면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없고, 자칫 대형의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한 요인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한 방향 이상으로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는 환경에서도 한층 향상된 설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중바닥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지주를 구비하고 이 지주가 실내바닥면 상에 세워진 상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들;
상기 지지대들의 지주 상부에 얹혀져서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연결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이중바닥판들;
상기 이중바닥판들 하측에서 상기 지지대들의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이중바닥판들의 가장자리 하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바들로 구성되는 연결지지부;
상기 연결지지부 하측에서 상기 지지대들의 지주 사이를 연결 상태로 잡아주면서 상기 이중바닥판들이 실내바닥면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연결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잡아주면서 상기 이중바닥판들이 수직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지지부;
를 포함하는 이중바닥판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실내바닥면에서 지지대들로 이중바닥판들의 하부를 받쳐주면서 각종 전산장비나, 통신장비들의 케이블 배선을 위한 공간(통로)이 아래쪽에 확보된 평면의 바닥면(설치면)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지지대 측에 이중바닥판들을 설치한 상태에서 두 방향(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상기 이중바닥판들이 유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지진과 같이 한 방향 이상의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는 환경에서도 한층 향상된 설치 안전성(내진성) 및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중바닥판 어셈블리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중바닥판 어셈블리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중바닥판 어셈블리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중바닥판 어셈블리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면 부호 2는 지지대들을 지칭하고, 도면 부호 4는 이중바닥판들을 지칭한다.
상기 지지대(2)들은, 실내바닥면(F) 상에서 간격을 띄우고 복수 개가 배치되어 이중바닥판(4)들을 받쳐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대(2)들은, 지주(P1)를 구비하고 이 지주(P1)는 실내바닥면(F)에 놓여지는 베이스플레이트(P2) 측에 일단이 고정되어 세워진 상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지주(P1) 상부에는 이중바닥판(4)의 모서리 하부와 대응하도록 형성된 통상의 지지플레이트(P3)가 설치된다. 이 지지플레이트(P3)는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지주(P1) 상부와 나사 결합으로 연결되어 정,역 회전 조작에 의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지지대(2)들은 도 1에서와 같이 실내바닥면(F) 상에서 이중바닥판(4)들의 모서리 위치와 대응하도록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각각 띄우고 상기 지주(P1)가 세워진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이중바닥판(4)들은 네 군데 모서리 하부가 상기 지지대(2)들의 지지플레이트(P3) 측에 얹혀져서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배치된다.
즉, 상기 이중바닥판(4)들은 모서리 하부가 상기 지지대(2)들의 지지플레이트(P3) 측에 각각 얹혀진 상태로 지지되면서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이중바닥판(4)들은 금속을 통상의 방법으로 가공하거나 성형하여 대략 사각(또는 직사각) 모양을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중바닥판(4) 세부 구조는 해당 분야에서 이미 널리 알려지고 사용하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중바닥판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대(2)들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이중바닥판(4)들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지지부(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지지부(6)는, 상기 이중바닥판(4)들의 모서리들 사이의 가장자리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지지대(2) 측에 연결되는 연결바(B)들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바(B)들은, 상기 지지대(2)들 간격과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된 금속바(또는 합성수지바)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B)들은 도 1에서와 같이 인접 배치된 지지대(2) 사이에서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지지대(2)들의 지지플레이트(P3)와 연결 고정되어 상기 지지대(2)들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B)들의 단부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상의 방법으로 체결하여 상기 지지대(2)들의 지지플레이트(P3) 측에 연결 고정할 수 있다.
상기한 연결바(B)들은, 상기 지지대(2)들 상부에 이중바닥판(4)들의 모서리 하부가 얹혀진 상태로 놓여질 때 상기 이중바닥판(4)들의 모서리와 모서리 사이의 가장자리 하부를 지지하면서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다.
그러면, 이중바닥판(4)들이 상기 지지대(2)들 측에 놓여질 때 가장자리 전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평면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중바닥판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대(2) 측에 놓여진 이중바닥판(4)들의 유동을 억제하기 위한 제1 지지부(8)와, 제2 지지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지지부(8)와, 제2 지지부(10)는 특히, 상기 지지대(2) 측에 이중바닥판(4)들이 설치된 상태에서 두 방향(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부 진동이나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이중바닥판(4)들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지지부(8)는, 지지대(2)들의 지주(P1)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잡아주면서 실내바닥면(F) 상에서 이중바닥판(4)들이 수평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지지부(8)는, 지지대(2)들의 지주(P1)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제1 지지구(H1)와, 이 제1 지지구(H1)의 양쪽 단부를 상기 지주(P1) 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구(H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구(H1)는 인접 배치된 지지대(2)들의 지주(P1)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연장된 금속바(또는 합성수지바)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지지구(H1)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이중바닥판(4) 아래쪽에서 상기 연결바(B)와 대략 평행한 상태로 두 개의 지지대(2)의 사이를 연결 고정하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H2)는 상기 지주(P1) 둘레와 대응하는 고정홀(H3)을 구비하고, 이 고정홀(H3)의 외부면 상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구(H1)의 단부와 연결되기 위한 복수 개의 연장부(H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구(H2)들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대(2)의 지주(P1) 측에 상기 고정홀(H3)을 끼워서 상기 연장부(H4)들이 실내바닥면(F) 상에서 다른 지지대(2)들의 지주(P1)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고정구(H2)는 상기 연장부(H4) 측에 제1 지지구(H1)의 단부를 고정할 때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H5)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고정구(H2)는, 상기 연장부(H4)와, 제1 지지구(H1)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 조작시 상기 고정홀(H3)의 내부면이 안쪽을 향하여 조여지거나 벌어지면서 상기 지지대(2)의 지주(P1) 외부면에 탄력적으로 고정되거나, 고정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구(H2)는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홀(H3) 외부면 상에 네 개의 연장부(H4)가 외측을 향하여 각각 연장 형성되고, 이 네 개의 연장부(H4) 내측에는 상기 고정홀(H3) 일측과 서로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 조임홈(H6)들이 각각 형성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구(H2)의 구조에 의하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홀(H3) 내측에 상기 지지대(2)의 지주(P1)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H4)와, 제1 지지구(H1) 단부를 체결부재(H5)로 체결하면 상기 조임홈(H6)의 내부 공간이 좁혀지면서 상기 고정홀(H3)의 둘레부가 오므라진다.
그러면, 상기 고정홀(H3) 측에 끼워진 지주(P1) 외부면이 조여지므로 한 번의 체결 조작으로 상기 제1 지지구(H1)와 고정부(H2) 그리고, 상기 제1 지지구(H2)와 지주(P1)를 간편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구조에 의하면, 제1 지지부(8)의 체결 작업이 용이하고, 이에 소요되는 시간도 대폭 줄일 수 있으므로 한층 향상된 체결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2)의 지주(P1) 측에 제1 지지구(H1)와, 고정구(H2)를 고정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체결부재(H5)를 풀거나 조이는 조작에 의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구(H2)를 상기 지주(P1)를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제1 지지구(H1)의 높낮이도 간편하게 조절 및 셋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지지부(10)는, 상기 제1 지지부(8) 측에서 상기 이중바닥판(4)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지지구(V1)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지지구(V1)는, 상기 제1 지지구(H1)와, 상기 연결바(B)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특히, 상기 제2 지지구(V1)는 상기 제1 지지구(H1)와 연결바(B)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벌어질 때 이와 대응하는 연결 상태로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지지구(V1)는 상기 연결바(B)와, 제1 지지구(H1)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벌어질 때 힌지 구조에 의해 연결 상태가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지지구(V1)는 도 2에서와 같이 상부는 상기 연결바(B) 측에 힌지(Q1) 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지지구(V1)의 하부는 일측이 힌지(Q2) 결합으로 연결되고 이 힌지(Q2) 지점 외측에는 장방향의 가이드홀(V2)이 제공되는 상태로 약간 더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2 지지구(V1) 하부의 가이드홀(V2) 측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V3)를 끼워서 상기 제1 지지구(H1) 측에 체결 고정할 때 상기 가이드홀(V2) 구간 내에서 상기 제2 지지구(V1)의 하부 고정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한 제2 지지구(V1)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대(2)들의 지주(P1) 사이에 배치된 제1 지지구(H1)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이 제1 지지구(H1)와, 연결바(B) 간격과 대응하도록 상부 및 하부 힌지(Q1, Q2) 고정 지점의 절첩 동작이 이루어지고, 하부는 상기 가이드홀(V2)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고정 위치를 변화시킨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1 지지구(H1)의 높낮이 조절시, 이 제1 지지구(H1)와 연결바(B) 사이의 간격과 대응하도록 상기 제2 지지구(V1)의 연결 고정 상태를 간편하게 재 세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지지부(8)와, 제2 지지부(10) 구조에 의하면, 지지대(2)들 사이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는 상태로 한 번 더 잡아주면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이중바닥판(4)들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실내바닥면(F) 상에서 지지대(2)들 위에 이중바닥판(4)들을 설치한 상태에서 특히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는 환경(지진)에서도 설치 안전성(내진성) 및 신뢰도를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1 지지부(8)는, 상기 지지대(2)들의 지주(P1) 사이에 제1 지지구(H1)를 연결할 때 고정구(H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간편하게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상태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한층 향상된 체결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2 지지부(10), 상기 지지대(2)들 사이에서 상기 제1 지지부(8)의 제1 지지구(H1) 높낮이 위치를 조절할 때 이 제1 지지구(H1)와 연결바(B)의 간격과 대응하도록 제2 지지구(V1)의 연결 상태가 절첩 동작에 의해 적절하게 변화되므로 한층 향상된 설치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다.
2: 지지대 4: 이중바닥판 6: 연결지지부
8: 제1 지지부 10: 제2 지지부 F: 실내바닥면

Claims (10)

  1. 지주를 구비하고 이 지주가 실내바닥면 상에 세워진 상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들;
    상기 지지대들의 지주 상부에 얹혀져서 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연결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이중바닥판들;
    상기 이중바닥판들 하측에서 상기 지지대들의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이중바닥판들의 가장자리 하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바들로 구성되는 연결지지부;
    상기 연결지지부 하측에서 상기 지지대들의 지주 사이를 연결 상태로 잡아주면서 상기 이중바닥판들이 실내바닥면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연결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잡아주면서 상기 이중바닥판들이 수직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지지부;
    를 포함하는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들은,
    상기 지주의 양쪽 단부 중에서 일측 단부는 실내바닥면과 대응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이중바닥판과 대응하는 지지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중바닥판들은,
    상기 지지대들의 지주 측에 가장자리 모서리들 하부가 각각 얹혀진 상태로 배치되는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부는,
    상기 지지대의 지주들 사이에서 상기 연결바 일단이 일측 지주와 대응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타측 지주와 대응하도록 연결되는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지지대들의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배치되는 제1 지지구와, 이 제1 지지구의 단부와 고정되고 상기 지주 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구로 구성되는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구는,
    상기 지지대들의 지주 간격과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금속바 또는 합성수지바로 구성되는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지지대들의 지주 둘레와 대응하는 고정홀과, 이 고정홀의 외부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구의 단부와 연결되기 위한 복수 개의 연장부와, 이 연장부들 내측에서 상기 고정홀 일측과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 조임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연장부와, 제1 지지구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조임홈이 눌려질 때 상기 고정홀의 내부면이 조여지거나 벌어지면서 상기 지주 외부면을 가압하거나 가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셋팅되는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 측에서 상기 이중바닥판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지지구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지지구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연결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구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연결지지부 측에 일단 및 타단이 힌지 결합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연결지지부 간격이 실내바닥면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좁혀지거나 벌어질 때 일단 및 타단이 절첩 동작되고 어느 한쪽 단부의 위치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연결 각도가 변화될 수 있도록 셋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KR1020110021985A 2011-03-11 2011-03-11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KR101285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985A KR101285865B1 (ko) 2011-03-11 2011-03-11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985A KR101285865B1 (ko) 2011-03-11 2011-03-11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973A true KR20120103973A (ko) 2012-09-20
KR101285865B1 KR101285865B1 (ko) 2013-07-12

Family

ID=47111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985A KR101285865B1 (ko) 2011-03-11 2011-03-11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8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308B1 (ko) * 2014-04-28 2014-07-17 (주)파워엔텍 3차원 지진격리장치를 갖춘 이중마루 모듈
KR101982672B1 (ko) * 2018-10-11 2019-05-30 (주)우드코리아 내진 기능이 부가된 이중 바닥 패널
KR20190129714A (ko) * 2018-05-11 2019-11-20 박종수 바닥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6844Y2 (ko) * 1974-07-16 1978-07-07
JPS63125042U (ko) * 1987-02-05 1988-08-15
KR100750338B1 (ko) 2005-12-20 2007-08-17 황기태 보강 액세스 플로어
KR100966090B1 (ko) 2009-12-04 2010-06-28 (주)파워엔텍 내진성능을 갖춘 이중바닥 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308B1 (ko) * 2014-04-28 2014-07-17 (주)파워엔텍 3차원 지진격리장치를 갖춘 이중마루 모듈
KR20190129714A (ko) * 2018-05-11 2019-11-20 박종수 바닥구조
KR101982672B1 (ko) * 2018-10-11 2019-05-30 (주)우드코리아 내진 기능이 부가된 이중 바닥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5865B1 (ko) 201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2789B1 (en) A point-fixed curtain wall hanging system
US7891152B2 (en) Sliding door arrangement
US7659865B2 (en) Adjustable fast set antenna frame
US20150342082A1 (en) Framework for electronic or network cabinets
US10327542B2 (en) Frame structure for a table
TWI632882B (zh) 滑軌總成
KR101285865B1 (ko)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KR101388823B1 (ko) 폼 장치
KR20210026806A (ko) 면진구동부를 가감할 수 있는 면진기능 이중마루
JP2018138717A (ja) 梁枠の取付構造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梁枠受け部材及び梁枠渡し部材
CN105216671A (zh) 一种车载折叠桌
KR101281159B1 (ko)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CN211847055U (zh) 一种快速拼装桅柱式高空作业平台
JP5178225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におけるパネル設置方法
JP4367940B2 (ja) 軽金属製手摺
CN205908585U (zh) 六方接头构件
JP6666812B2 (ja) 建物ユニットの天井パネル取付け方法
CN205896636U (zh) 新式的用于安装手机信号放大器的支架
JP6651948B2 (ja) 戸袋の取付構造
JP2015151710A (ja) 折板屋根用の安全設備
KR20130099581A (ko) 지지대 일체형 발판 브라켓
KR20190091791A (ko) 내진형 조임틀 장치
KR101313415B1 (ko) 프로파일 연결체의 하부 지지구조
KR20180002609U (ko) 아파트 동출입구의 안전망 설치세트
TWI612767B (zh) 板片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