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3785A - 도어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도어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3785A
KR20120103785A KR1020110021607A KR20110021607A KR20120103785A KR 20120103785 A KR20120103785 A KR 20120103785A KR 1020110021607 A KR1020110021607 A KR 1020110021607A KR 20110021607 A KR20110021607 A KR 20110021607A KR 20120103785 A KR20120103785 A KR 20120103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furniture
closing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만
Original Assignee
(주)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 filed Critical (주)삼우
Priority to KR1020110021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3785A/ko
Publication of KR20120103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0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in which a torsion spring rotates a member around an axis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the pist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05F7/04Arrangement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ratt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유동을 방지하는 차단장치 및 도어의 자동개폐를 강제하는 개폐장치가 가구의 하측에 구비되는 도어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설치구조는, 좌우 또는 전후로 유동하는 도어(10)와; 가구(F)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10)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는 차단장치(100)와; 상기 가구(F)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10)의 자동 개폐를 강제하는 개폐장치(200)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차단장치(100)의 일측에는, 상기 개폐장치(200)와 간섭되는 링크(19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단장치와 개폐장치의 교환이나 수리 작업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도어 설치구조{ Installing structure of door }
본 발명은 도어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유동을 방지하는 차단장치 및 도어의 자동개폐를 강제하는 개폐장치가 가구의 하측에 구비되는 도어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문틀 하단부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좌우로 유동하는 형태(미닫이문)가 주류를 이루었다.
그리고, 근래에는 상단부에 바퀴가 구비되고, 가구(문틀 등)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좌우로 유동하는 오버행 타입의 도어가 출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오버행 타입의 도어는, 도어 상단부가 가구(문틀 등)의 상부에 매달려 좌우로 유동하며, 하단은 바닥면에 닿지 않는다.
따라서, 도어의 좌우 유동시 도어의 하단부는 전후로 흔들림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도어의 개폐시 문틀과 충돌하거나 갑자기 정지하게 되는 경우에는 도어가 상방으로 튀어오르게 되므로 상단부의 도어 바퀴가 레일을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오버행 타입의 도어가 설치되는 욕실의 가구 등은 천장에 근접하여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가구의 상면에 개폐장치나 기타 구조물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좁은 틈새 공간을 통해 부품의 교환이나 수리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의 바퀴가 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차단장치 및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가 가구의 하측에 구비되는 도어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폐장치와 간섭되어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링크가, 가구의 하측에 구비되는 차단장치에 일체로 형성되는 도어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설치구조는,
좌우로 유동하는 도어와; 가구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는 차단장치와; 상기 가구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자동 개폐를 강제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장치의 일측에는, 상기 개폐장치와 간섭되는 링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장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유동하는 유동어셈블리와, 상기 유동어셈블리와 도어의 하단을 연결하는 지지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링크는, 상기 결합부재의 일단으로부터 상하로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도어 설치구조에 따르면, 좌우로 개폐되는 도어에 도어의 흔들림(전후 유동) 및 상하 유동을 방지하는 차단장치 및 도어의 자동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개폐장치가 가구의 하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가 좌우로 개폐되는 경우에도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도어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설비의 서비스작업(교환이나 수리 등)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즉, 욕실 등의 가구는 대부분 천장에 근접하도록 설치되는데, 차단장치와 개폐장치가 가구의 상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천장과 가구 사이의 틈새가 좁아 부품의 교환이나 수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차단장치와 개폐장치가 가구의 하측에 구비되므로, 가구가 천장과 근접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도 부품의 교환이나 수리와 같은 서비스작업이 편리하게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개폐장치와 간섭되는 링크가 차단장치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즉, 차단장치를 구성하는 지지어셈블리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별도의 링크를 설치하는 번거로움이 줄어들게 되어 작업능률이 향상됨을 물론, 재료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개폐장치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개폐장치의 내부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설치구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설치구조는, 좌우 또는 전후로 유동하는 도어(10)와, 가구(F)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10)의 유동을 안내하는 레일(20)과, 상기 레일(20)을 따라 구르는 바퀴(30)와, 상기 도어(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도어(10)의 전후 또는 좌우로의 흔들림과 상하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차단장치(100) 등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도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가구(F)의 일측에 매달리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0)의 상단에는 후측(도 1에서는 우측)으로 바퀴지지대(40)가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바퀴지지대(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
Figure pat00001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우측(도 1에서) 하단에는 상기 바퀴(30)가 설치된다. 즉, 상기 바퀴(30)는 상기 도어(1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이러한 바퀴(30)는, 상기 바퀴지지대(40)에 의해 도어(10)와 연결된다.
한편, 문틀과 같은 가구(F)의 상단부에는 레일(20)이 좌우(도 1에서는 전후)로 길게 설치되고, 이러한 레일(20)을 따라 상기 바퀴(30)가 구르게 된다.
상기 차단장치(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0)의 하단 후측(도 1에서는 우측)에 구비된다. 즉, 상기 가구(F)의 하측에 차단장치(100)가 구비되어, 도어(10) 하단부의 흔들림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차단장치(100)는, 내부에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110')이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10)과, 상기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유동하는 유동어셈블리(120)와, 상기 유동어셈블리(120)와 도어(10)의 하단을 연결하는 지지어셈블리(18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레일(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n'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방이 개구되어진다. 이와 같이 하방이 개구된 상기 가이드레일(110) 내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어셈블리(120)의 대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지지어셈블리(180)는 상기 유동어셈블리(120)가 상기 도어(10)와 함께 유동하도록 연결하게 된다.
상기 유동어셈블리(120)는, 상기 지지어셈블리(180)의 단부에 상하로 구비되는 지지축(130)과, 상기 지지축(130)의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체(140)와, 상기 회전체(140)가 상기 가이드레일(110)에 밀착되도록 강제하는 탄성부재(150)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축(130)은, 전체적으로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반부에는 상기 회전체(140) 등의 설치를 위해 굴곡이 더 형성된다.
상기 지지축(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어셈블리(180)의 우측단(도 1에서)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축(130)은, 상기 지지어셈블리(180)에 장착된 채로 상하로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130)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체(140)에 수용되는 헤드부(130a)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축(130)의 하단에는, 상기 탄성부재(150)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상기 회전체(140)의 상단부와 가이드레일(110)의 접촉 강도를 조절하는 조임부재(132)가 더 구비된다.
상기 조임부재(132)는, 사람이 별도의 연장 없이 조일 수 있는 너트(일명 '나비너트' 등)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130)의 하단에는, 너트로 이루어지는 상기 조임부재(132)가 나사 체결되도록 수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조임부재(132)와 지지어셈블리(180) 사이에는 와셔와 같은 방지부재(134)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방지부재(134)는, 상기 조임부재(132)의 풀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회전체(140)는, 상기 가이드레일(110)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지지축(13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회전체(140)에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상면과 접촉하여 구름 운동하는 회전볼(142)과, 상기 회전체(140)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링부재(144) 등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볼(14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구(球)로 이루어져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140)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볼(142)이 수용되는 볼홈(142')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링부재(144)는, 오-링과 같은 탄성재질의 링(ring)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체(140)의 외주면을 감싸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볼(142)의 측면 테두리에는 상기 링부재(144)가 설치되는 링홈(144')이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140)의 하단 중앙부분에는 상방으로 함몰된 헤드홈(146)이 더 형성된다. 상기 헤드홈(146)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축(130)의 헤드부(130a)가 수용된다.
한편, 상기 지지축(130)에는, 상기 탄성부재(150)의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턱(136)이 더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축(130)의 헤드부(130a) 하측에는 링 형태의 지지턱(136)이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150)의 상단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턱(136)은, 상기 탄성부재(150)의 상단부가 상기 회전체(140)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탄성부재(150)를 지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지지턱(136)을 별도로 구비하지 아니하고, 상기 탄성부재(150)의 상단부가 상기 회전체(140)의 저면에 직접 접촉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탄성부재(150)는, 탄성력을 가지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은 상기 지지턱(136)에 접하고, 하단은 상기 지지어셈블리(180)의 상면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지어셈블리(180)는, 상기 도어(1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82)와, 상기 고정부재(182)에 결합되는 결합부재(18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182)는, 상기 도어(10)의 하단에 고정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82)는 스크류 등에 의해 도어(10)의 하단에 고장 장착된다.
상기 결합부재(186)는, 상기 고정부재(182)의 후측(도 1에서는 우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186)의 후측(도 1에서는 우측)단은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링크(190)를 형성한다. 즉, 상기 링크(190)는, 상기 결합부재(186)의 일단으로부터 상하로 연장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구(F)의 하단에는 개폐장치(2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개폐장치(200)는, 가구(F)의 하단 후측(도 1에서는 우측)에 장착되어, 상기 링크(19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도 2에는 상기 지지어셈블리(18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어셈블리(180)는, 고정부재(182)와 결합부재(186)로 이루어지진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186)의 좌측단은 상기 고정부재(182)의 우측단에 결합볼트(188)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182)의 좌측단은 상기 도어(10)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182)의 우측단 중앙부부분에는 상기 결합부재(186)의 좌측단이 결합되는 결합부(184)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결합부(184)의 하측에 상기 결합부재(186)의 좌측단이 삽입되어 결합볼트(188)로 고정된다.
상기 결합부(184)에는 상기 결합볼트(188)가 나사 체결되는 체결공(18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186)의 좌측단에는 상기 결합볼트(188)에 끼워지는 결합구(186')가 좌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186')의 전후 폭은, 상기 결합볼트(188)의 나사부 직경보다는 크고, 머리부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186)의 우측은 우측으로 더 연장된 다음, 상측으로 벤딩되어 링크(190)를 형성한다. 즉, 상기 결합부재(186)의 우측단은 상측으로 절곡되어 더 연장됨으로써 상기 개폐장치(200)와 간섭되는 링크(190)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링크(190)의 상단이 아래에서 설명할 개폐장치(200)의 돌기(232,233) 사이에 삽입되어 도어(10)의 개폐를 유도하게 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개폐장치의 외관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일측 케이스가 벗겨진 상태의 개폐장치 내부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개폐장치(200)는, 서로 대칭되는 구성을 가지는 한 쌍의 케이스(210,210')와, 상기 한 쌍의 케이스(210,210')에 각각 형성되는 안내홈(240)을 따라 슬라이딩 유동하는 걸림스위치(230)와, 상기 걸림스위치(230)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당김부재(250)와, 상기 걸림스위치(230)의 유동 속도를 조절하는 1 이상의 댐퍼(26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케이스(210,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의 후방케이스(210) 및 전방의 전방케이스(210') 2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전방케이스(210')와 후방케이스(210)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볼트(bolt) 등으로 서로 체결된다.
상기 케이스(210,210')의 상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걸림스위치(230)의 돌기(232,233)가 돌출되는 돌출홈(212)이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전방케이스(210')와 후방케이스(210)는 서로 대칭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전방케이스(210')와 후방케이스(210)의 우측부분에는 안내홈(240)이 소정 길이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240)은, 아래에서 설명할 걸림스위치(230)에 형성되는 가이드핀(236,237)이 수용되어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홀(hole)이다.
상기 안내홈(240)은, 상기 후방케이스(210)에는 후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방케이스(210')에는 전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케이스(210,210')의 각각의 안내홈(240)에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핀(236,237) 전후단이 삽입되어, 케이스(210,210')의 길이방향(좌우)으로 유동된다.
상기 안내홈(240)은,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핀(236,237)이 상기 개폐장치(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수평홀(242)과, 상기 수평홀(242)의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가이드핀(236,237)의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가이드홀(244)과, 상기 가이드홀(244)의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핀(236,237)이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홀(24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210,210')의 양단과 중앙 부분에는 다수의 체결홀(220)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220)은 상기 전방케이스(210')와 후방케이스(210)가 서로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 볼트(bolt)와 같은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스위치(230)는, 링크(190)가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부분이며, 상기 개폐장치(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유동한다.
상기 걸림스위치(230)는, 상기 링크(190)가 걸어지는 돌기(232,233)와, 상기 당김부재(250)의 일단이 걸어지는 당김부재체결단(234)과, 상기 안내홈(240)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가이드핀(236,237)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기(232,233)는, 상기 걸림스위치(230)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스위치(230)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단 좌측에 형성되는 닫힘돌기(232)와, 상단 우측단에 형성되는 열림돌기(23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닫힘돌기(232)와 열림돌기(233) 사이에는 소정의 거리가 형성된다. 상기 닫힘돌기(232)는 상기 도어(10)가 닫히는 경우에 상기 링크(190)와 먼저 접하는 부분이며, 상기 열림돌기(233)는 상기 도어(10)가 열리는 경우에 링크(190)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핀(236,237)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상기 안내홈(240)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유동하는 것으로, 상기 걸림스위치(230)의 중앙 부근 우측단에 전후로 서로 대칭되게 돌출 형성되는 제1가이드핀(236)과, 상기 걸림스위치(230)의 중앙 부근 좌측단에 전후로 서로 대칭되게 전후로 돌출 형성되는 제2가이드핀(23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당김부재체결단(234)은, 상기 돌기(232,233)와 대칭되는 하단에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스위치(230)의 하단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여기에 상기 당김부재(250)의 일단(우측단)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당김부재체결단(234)의 위치는, 상기 가이드핀(236,237)의 위치보다 항상 하측에 위치된다. 즉, 상기 당김부재(250)의 우측단이 연결되는 당김부재체결단(234)의 위치는, 상기 개폐장치(200)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가이드핀(236)보다 아래에 위치된다. 이는 상기 걸림스위치(230)가 상기 안내홈(240)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한 다음 다시 좌측으로 슬라이딩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걸림스위치(230)의 하단부를 당겨 걸림스위치(230)가 고정되도록 하는 당김부재체결단(234)은, 상기 걸림스위치(230)의 회전 중심(작용점) 역할을 하는 상기 제1가이드핀(236)보다 적어도 하측에 위치되어야 하는데, 이는 상기 제1가이드핀(236)이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홀(246)에 정지한 채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당김부재(250)는, 도시되 바와 같이, 좌측단은 상기 개폐장치(200)의 케이스(210,210') 하단 좌측에 연결되고, 우측단은 상기 걸림스위치(230)의 당김부재체결단(234)에 연결된다. 그리고, 이러한 당김부재(250)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걸림스위치(230)가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계속적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상기 댐퍼(260)는, 2 이상이 구비되기도 하며, 상기 걸림스위치(230)의 유동 속도를 조절한다. 즉, 상기 댐퍼(260)는, 상기 걸림스위치(230)의 복귀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스(210,21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댐퍼(260)는, 원기둥 형상의 댐퍼본체(262)와, 상기 댐퍼본체(262)로부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로드(264)와, 상기 로드(264)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연결단(26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댐퍼본체(262)는, 내부에 오일(oil)과 같은 유체가 내장되는 것으로, 이러한 댐퍼본체(262)는 많이 사용되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상세 구성과 작용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연결단(266)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는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걸림스위치(230)에 끼워져 걸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단(266)이 상기 걸림스위치(230)에 연결되므로, 상기 걸림스위치(230)가 좌측으로 복귀하는 경우에는 상기 댐퍼(260)에 의해 도어(10)의 이동 속도가 감속되어 결국, 도어(10)의 닫힘 속도가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10,210')에는 당김부재수용부(216)가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당김부재수용부(216)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당김부재(250)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이러한 당김부재수용부(216)의 좌측에는 당김부재(250)의 좌측단이 걸어지는 당김부재걸림턱(216a)이 더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도어 설치구조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도어(10)를 좌우(도 1에서는 전후)로 밀면, 도어(10)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바퀴(30)와 유동어셈블리(120)도 도어(10)와 함께 좌우로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퀴(30)는, 상기 레일(20)을 따라 유동하게 되고, 상기 유동어셈블리(120)는 상기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유동한다.
이때, 상기 회전체(140)가 상기 지지축(13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링부재(144)가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내측면을 따라 구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0)의 하단은 전후(도 1에서는 좌우)유동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0)는 상단부가 가구(F)에 매달려 있으므로, 자연적으로 도어(10)는 상단을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 하게 된다. 즉, 도 1에서는 도어(10) 하단부가 우측으로 이동하려 하게 된다.
그러나, 도 1과 같이, 상기 회전체(140)의 링부재(144)가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내측면에 접하면서 회전하므로, 상기 도어(10)의 전후(도 1에서는 좌우)유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도어(10)를 열거나 닫다가 도어(10)가 갑자기 정지하는 경우에는, 도어(10)가 관성에 의해 상측으로 튀어오르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회전체(140)의 회전볼(142)이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내측 상면에 접한 상태로 유동하고 있으므로, 도어(10)의 상방 유동이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바퀴(30)가 상측으로 유동하여 레일(20)을 이탈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링크(190)는, 상기 닫힘돌기(232)와 열림돌기(233)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걸림스위치(230)를 이동시키거나, 반대로 걸림스위치(230)에 의해 상기 링크(190)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걸림스위치(230)가 우측단(도 4에서)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링크(190)가 걸림스위치(230)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그리고, 우측단에 위치한 걸림스위치(230)에 링크(190)가 접촉하게 되면, 상기 당김부재(250)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걸림스위치(230)가 좌측(도 4에서)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닫힘돌기(232)와 열림돌기(233)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링크(190)가 함께 이동하므로, 도어(10)의 열림이나 닫힘이 자동적으로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링크(190)가 결합부재(186)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링크(190)가 결합부재(186)에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10. 도어 20. 레일
30. 바퀴 40. 바퀴지지대
100. 차단장치 110. 가이드레일
120. 유동어셈블리 130. 지지축
140. 회전체 142. 회전볼
180. 지지어셈블리 190. 링크
200. 개폐장치 210, 210'. 케이스
230. 걸림스위치 250. 당김부재
260. 댐퍼

Claims (3)

  1. 좌우로 유동하는 도어(10)와;
    가구(F)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10)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는 차단장치(100)와;
    상기 가구(F)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10)의 자동 개폐를 강제하는 개폐장치(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장치(100)의 일측에는,
    상기 개폐장치(200)와 간섭되는 링크(19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설치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장치(100)는,
    가이드레일(110)과, 상기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유동하는 유동어셈블리(120)와, 상기 유동어셈블리(120)와 도어(10)의 하단을 연결하는 지지어셈블리(18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어셈블리(180)는,
    상기 도어(1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82)와, 상기 고정부재(182)에 결합되는 결합부재(186)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링크(190)는, 상기 결합부재(186)의 일단으로부터 상하로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설치구조.
KR1020110021607A 2011-03-11 2011-03-11 도어 설치구조 KR20120103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607A KR20120103785A (ko) 2011-03-11 2011-03-11 도어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607A KR20120103785A (ko) 2011-03-11 2011-03-11 도어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785A true KR20120103785A (ko) 2012-09-20

Family

ID=47111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607A KR20120103785A (ko) 2011-03-11 2011-03-11 도어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37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227B1 (ko)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
KR101114478B1 (ko) 자동 폐쇄 장치가 설치된 하부 장착형 슬라이딩 장치
JP2010261301A (ja) 旋回可能に保持された仕切り要素の変位装置及び家具製品
KR101197538B1 (ko) 도어 또는 서랍의 개폐조절장치
KR101138288B1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20120103785A (ko) 도어 설치구조
RU2632397C2 (ru) Подвижная деталь для направленного перемещения детали мебели в направлении перемещения и мебельная фурнитура
KR101333053B1 (ko)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더 장착장치
KR101156640B1 (ko) 도어 개폐구조
KR200467766Y1 (ko) 미닫이의 도어 롤러 장착용 브래킷
KR200478368Y1 (ko) 슬라이드레일 자동폐쇄장치
KR101640993B1 (ko) 도어용 힌지 장치
KR101113134B1 (ko) 도어 개폐구조
KR200462046Y1 (ko) 도어 개폐구조
KR20110033673A (ko) 도어 개폐구조
JP6227965B2 (ja) 引戸用安定具
KR101156639B1 (ko) 도어 설치구조
KR20140127129A (ko) 롯드바 지지대
KR101333052B1 (ko)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더 장착장치
CN108825028B (zh) 一种推拉门滑动轮组合件
KR200196800Y1 (ko) 세면대용 배수 밸브장치
KR200458679Y1 (ko) 붙박이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1254787B1 (ko) 시스템창호용 스테이바
KR200439694Y1 (ko) 미닫이도어용 이동안내부재의 고정구조
KR20110054851A (ko) 도어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