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3148A - 약물 정량주입장치의 약물 주입량 조절기. - Google Patents

약물 정량주입장치의 약물 주입량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3148A
KR20120103148A KR1020110021231A KR20110021231A KR20120103148A KR 20120103148 A KR20120103148 A KR 20120103148A KR 1020110021231 A KR1020110021231 A KR 1020110021231A KR 20110021231 A KR20110021231 A KR 20110021231A KR 20120103148 A KR20120103148 A KR 20120103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capillary
tube
elastic r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운
Original Assignee
김기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운 filed Critical 김기운
Priority to KR1020110021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3148A/ko
Publication of KR20120103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1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13Flow controllers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low 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의 주입량을 조절절하는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물 저장부의 압력으로 약물을 주입하는 기기의 모세관의 구경과 길이를 변경하여 약물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조절기로 모세관에 설치한 탄성링을 이용하여 모세관 막힘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약물 정량주입장치의 약물 주입량 조절기.{The Flow controller of Infusion device}
본 발명은 약물을 인체에 주입하기 위한 약물 주입기의 약물 주입량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 물질의 탄성력이나, 화학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 압력을 이용하여 약물을 주입하는 기기의 약물 주입량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 모세관을 이용하여 약물 주입량을 조절할 때 공기에 의한 모세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기기에 부착될 수 있다.
치료목적으로 인체에 약물을 주입하는 기기는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연질튜브를 일정간격으로 눌러 약물을 일정한 속도로 주입하는 기계식과 탄성 물질의 팽창 압력이나,화학반응으로 가스를 발생시켜 발생한 가스의 압력으로 약물을 주입하는 일회용 약물 주입기 등이 있다. 탄성 물질의 팽창압력을 이용하는 일회용 약물 주입기는 탄성 물질로 이루어진 약물 저장 주머니에 약을 주입하면 약물이 주입됨에 따라 약물저장주머니가 팽창하게 되며, 팽창된 주머니는 원래 형태로 복원하려는 수축압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수축압력은 약물저장 주머니에 연결된 연결관으로 약물을 밀어내며 연결관 끝단에 부착된 약물 주입량 조절장치에서 모세관의 길이와 구경에 따라 주입량을 조절하게 된다. 약물 저장 용기의 압력으로 연결관을 통해 배출되는 약물이 모세관을 통과하여 모세관의 저항에 의해 압력 및 유속이 줄어들게 된다. 즉 약물 저장부에서 발생하는 압력이 일정하고 모세관의 길이와 구경을 변경하면 모세관의 구경과 길이에 따라 일정한 속도록 약물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등록특허 10-514151 약액공급량 조절기", "공개특허 특 2003-0089478 주입량 조절장치", "1019970053948 의약품 주입기","공개특허 10-2005-0033968 납작한 원형의약액 공급기" 등이 약물 주입기에 관련한 특허들이다. 위 특허에서는 약물 저장부의 팽창압력 및 가스를 발생시켜 압력을 유지하는 방안들에 관한 특허로 약물 주입량 조절에 관련해서 구체적으로 거론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이들 특허를 바탕으로 한 제품들은 공통으로 모세관을 사용하여 약물 주입량을 조절하고 있다.
이러한 모세관을 이용한 약물 주입량 조절기는 모세관의 구경이 작아 이물질이나 다른 요인에 의한 막힘에 취약하다.
도 3a에서 도시한 봐와 같이 약물 유입부(210)로부터 약물이 들어오면 모세관 주위의 공기가 모세관을 통해 빠져나간다. 이때 모세관의 구경(0.1mm ~ 0.01mm)이 약물유입 부의 구경(1.0mm)보다 작아 약물유입부로 들어오는 약물의 양이 모세관을 통과해 나가는 공기의 양보다 상대적으로 많아 순간적으로 체류공간(610)에 공기가 압축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약물 체류공간(610)을 통과한 약물이 모세관 입구(620)에 닿게 되면 물과 압축된 공기가 번갈아 모세관을 통해 빠져나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렇게 물과 공기가 순서대로 통과하면(630,640) 모세관 현상과 각각 물방울의 표면장력이 약물 저장부의 압력으로 밀어내는 힘보다 커 모세관 막힘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약물 체류 공간(610)의 약물은 모세관 주위(660)가 틈이 작고 공기가 압축된 힘에 의하여 약물이 채워 지지 않고 공기가 잔류하다가 약물이 모세관을 통해 배출됨에 따라 약물과 함께 모세관으로 배출되면서 모세관을 막거나 장시간 공기와 약물과 접촉하여 약물 속에 용해된 약이 산화 또는 결정화가 진행되어 모세관 주변을 막는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도3b와 같이 모세관 상단에 원형의 단면을 같거나 안 쪽의 단면이 원형인 오링(680)을 모세관 상단 면에 설치하는 경우 약물체류 공간은 상대적으로 작게 되어 약물유입부(210)로부터 약물이 들어오면 모세관을 쉽게 통과하게 된다. 하지만 오링의 원형면과 모세관 상단 면이 밀착되며 형성되는 작은 틈(690)이 생기고 이 부분은 약물로 채워지기 전 약물이 모세관을 먼저 통과하기에 작은 틈 주위로 공기가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기는 약물과 장시간 접촉을 하여 약물속의 약성분을 산화 시키거나 결정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제품 사용 중 발생하는 외부 충격에 의해 공기가 모세관으로 유입되어 약물과 공기에 의한 막힘 현상을 발생한다.
이렇게 막힌 모세관은 약물이 더 이상 통과할 수 없어 약물 주입량 조절기로서의 기능을 잃게 된다. 따라서 환자의 치료지연 및 통증유발 등의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모세관 상단의 약물체류공간을 최소로 하여 공기와 약물이 동시에 모세관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모세관 막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세관 상단에 탄성 물질로 이루어진 탄성링을 설치하여 모세관과 탄성링을 밀착시켜 공기가 체류하는 공간을 최소로 하여 공기가 모세관을 통해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봐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물주입량 조절용 밸브는 모세관 상단에 위치한 탄성링이 모세관과 약물주입용 밸브 상측과의 약물체류공간을 최소화하여 약물유입시 공기가 모세관을 통해 원활히 배출하게 하여 약물과 공기에 의한 모세관 막힘을 방지하며 모세관 주위의 공기정체를 방지하여 하여 약물주입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따른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
도 1b는 도1a의 확대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구성품인 약물 유입관체의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구성품인 약물 유출관체의 단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구성품인 구성 품인 탄성링의 단면도.
도 2d는 본 발명의 구성품인 모세관의 단면도.
도 3a는 약물과 공기 혼합에 의한 모세관 막힘을 나타낸 단면도.
도 3b는 종전기술을 나타낸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도 4b는 본 발명의 구성품인 탄성링의 다양한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에서 도시한 봐와 같이 본 발명의 약물주입량 조절밸브는 연결관을 통해 약물 저장부와 연결되는 약물유입관체(100), 다른 기구나 주삿바늘 등에 연결되어 약물을 전달하는 약물 유출관체(200), 약물유출관체 상단에 위치하며 약물 유입관체와 모세관 사이의 약물 체류공간을 최소로 하여 모세관 이외로 약물의 누수를 방지하는 탄성링(300),약물 주입량을 조절하는 모세관(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약물 유입관체(100)는 도 2a에서 도시한 봐와 같이 약물 저장부와 연결관으로 연결되는 약물유입부(110)와 연결관과 약물유입부를 접착조립 할 때 연결관을 정확한지점에 위치하게 하여 연결관의 말단이 모세관과 모세관상단의 링상단면(310)에 밀착되어 유로를 막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20), 탄성링의 상단면(310)과 밀착조립되어 약물의 체류공간을 최소로 하는 탄성링 1차 씰링부(130), 탄성링(300)의 외측면 씰링부(350)와 밀착조립되어 약물누수를 방지하는 2차 씰링부(140), 약물주입량 조절밸브를 주삿바늘이나 3way밸브 등과 연결할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연결 강도를 높이는 날개(150)로 구성된다.
상기 약물유출관체(200)는 도2b에 도시한 봐와 같이 탄성링의 씰링부(340)와 조립되어 약물의 누수를 방지하며 모세관이 약물유출관체의 정위치에 조립되게 하는 링밀착부(210), 주사바늘이나 3way등과 같은 외부기기에 연결되는 팁(220), 주사바늘이나 3way등과 연결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나사선(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링(300)은 탄성 변형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 단일 편으로 제조되며 도1b에 도시한 봐와 같이 모세관 상단(410)이 탄성링의 상단밑면(320)에 밀착되어 조립되고, 탄성링의 상단면(310)은 약물 유입관체의 링밀착부(130)와 밀착조립되면 도3a의 약물체류공간(610)이 제거되어 연결관을 통해 들어오는 약물이 링상단(310)에 형성된 원형의 구멍을 통해 모세관 유로로 직접 약물이 통과되어 모세관상단의 약물정체공간에 형성되는 공기 압축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공기와 약물의 혼입에 의한 모세관 막힘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모세관은 도1b에 도시한 봐와 같이 모세관 상단(410)을 탄성링의 모세관조립부(330)에 넣어 모세관이 탄성링의 상단하부(320)와 밀착되게 조립한 뒤, 약물유출부의 링밀착부(210)에 탄성링의 씰링부(330)를 넣어 밀착 되도록 한 뒤 약물유입부(200)를 조립한다. 약물 유입부의 탄성링 밀착부(130)가 탄성링의 측면부(350)를 압축시켜 약물유출관체(200)의 링밀착부(210)와 링의 실링부(340)가 밀착하게 되어 모세관 이외로의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모세관은 유리등의 경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통형의 기둥형태로 그 가운데가 원형개구(지름0.1mm~0.01mm)로 관통되어 있다. 약물 저장부의 팽창압력으로 연결관으로 배출된 약물은 모세관의 원형관통개구를 통과하며 유량 및 압력이 줄어들게 한다. 따라서 모세관의 길이 및 원통개구의 크기를 변경하여 약물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연결관을 통해 약물 저장부와 연결되는 약물유입관체(100)와 다른 기구나 주삿바늘 등에 연결되어 약물을 전달하는 약물 유출관체(200), 약물유출관체와 약물 유입관체 사이의 결합 단면에 위치하며 모세관 이외로 약물의 누수를 방지하는 탄성링(300),약물 주입량을 조절하는 모세관(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약물주입량조절기.
  2. 청구 1항에 있어서 탄성링(300)은 평면형태의 상단밑면(320)이 모세관 상단(410)과 밀착되어 조립되고, 탄성링의 상단 면(310)은 약물 유입관 체의 링 밀착부(130)와 밀착조립되어 연결관을 통해 들어오는 약물이 링 상단(310)에 형성된 원형의 구멍을 통해 모세관 유로로 직접 약물이 통과되어 모세관 유로 외로 약물이 흘러들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주입량 조절기.
  3. 청구 1항에 있어서 탄성링(300)의 씰링부(340)는 약물 유출부(200)의 탄성링 밀착부(210)에 밀착되게 조립되며 탄성링의 약물 유입관체(100)와 약물 유출관체(200)가 조립될 때 약물유입관 체의 2차씰링부(140)와 탄성링의 측면부(350)가 밀착조립되어 약물이 모세관 외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며 탄성링(300)의 모세관 조립부(330)에 조립된 모세관이 약물의 압력이나 기타 요인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주입량 조절기.
  4. 청구 1항에 있어 탄성링은 링 상단면(310)과 씰링부(340)가 일체형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량 조절기.
  5. 청구 1항에 있어 탄성링은 링 상단면(310)과 씰링부(340)가 분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량 조절기.
  6. 청구항 5에 있어 모세관의 상 단면과 밀착조립되는 탄성링의 상단밑면(320)은 직선형태의 단면으로 구성되며 링 안쪽의 개구는 상단밑면(320)에서 상단면(310)에 이르는 단면이 직선이나 사선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량 조절기.

KR1020110021231A 2011-03-10 2011-03-10 약물 정량주입장치의 약물 주입량 조절기. KR201201031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231A KR20120103148A (ko) 2011-03-10 2011-03-10 약물 정량주입장치의 약물 주입량 조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231A KR20120103148A (ko) 2011-03-10 2011-03-10 약물 정량주입장치의 약물 주입량 조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148A true KR20120103148A (ko) 2012-09-19

Family

ID=47111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231A KR20120103148A (ko) 2011-03-10 2011-03-10 약물 정량주입장치의 약물 주입량 조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31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441A (ko) * 2020-11-08 2022-05-1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441A (ko) * 2020-11-08 2022-05-1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16567A (en) Syringe valve
US4813937A (en) Ambulatory disposable infusion delivery system
US8765055B2 (en) Bubble trap systems for infusion pump devices
US20130253448A1 (en) Hypodermic Needle With Multiple Dispersement Openings
US5395324A (en) Apparatus for the reliable filling of the container of an infusion pump
US6494867B1 (en) Medical device
US5224934A (en) Patient controlled bolus dosage infuser
US3667464A (en) Fluid dispensing device
TW201729854A (zh) 注射器填充適配器
CN102438678A (zh) 具有受控流速的可注射产品的给药装置
KR101745445B1 (ko) 가압형 약물 주입 시스템
BRPI0818296B1 (pt) sistema de geração de aerossol e método de produzir aerossol
US20220184297A1 (en) Microdrop drip chamber
JP2022119971A (ja) 無針注射装置用注射ノズル
JP2005533586A (ja) 浸透圧駆動装置を備える投与装置
KR100805314B1 (ko) 약액 정량주입 밸브
US9849233B1 (en) Disposable infusion pump system for ambulatory patients
KR20120103148A (ko) 약물 정량주입장치의 약물 주입량 조절기.
KR20140065198A (ko) 수액세트
WO2004052430A3 (en) Infusion apparatus for infusion bags
RU265256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микроколичеств текучей среды
KR200482070Y1 (ko) 필터를 갖는 비강내 약물 분사 장치
KR101492231B1 (ko) 탄성체 튜브를 이용한 약물 주입장치
CN211751504U (zh) 一种微型微量免配药输注泵
KR100399643B1 (ko)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