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2441A -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 - Google Patents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2441A
KR20220062441A KR1020200148182A KR20200148182A KR20220062441A KR 20220062441 A KR20220062441 A KR 20220062441A KR 1020200148182 A KR1020200148182 A KR 1020200148182A KR 20200148182 A KR20200148182 A KR 20200148182A KR 20220062441 A KR20220062441 A KR 20220062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lumen
catheter
talc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1585B1 (ko
Inventor
김화영
안중환
안효영
윤대중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48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585B1/ko
Priority to PCT/KR2021/015575 priority patent/WO2022098019A1/ko
Publication of KR20220062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7Side holes, e.g. their profiles or arrangements; Provisions to keep side holes unblock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491Surgical glue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0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26Sprayable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2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ir or other gas pressure applied to the liquid or other product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491Surgical glue applicators
    • A61B2017/00522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025/0073Tip designed for influencing the flow or the flow velocity of the fluid, e.g. inserts for twisted or vortex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1Pleural cav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흉강내 섬유가교도포법 시술을 위한 탈크 분사 카테터 모듈에 관한 것으로, 부분 마취상태에서 암으로 인해 발생한 흉수를 제거한 후 재발되지 않도록 폐의 흉곽 내 흉막을 유착시키기 위해 약물이 환부에 고르게 분사되고 체액에 의한 분말 뭉침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어 시술 성공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카테터 모듈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은, 카테터의 단부와 연결되어 고정되는 카테터연결부(100); 중공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카테터에서 유입되는 약물과 상기 약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희석된 탈크가 이동하는 약물루멘(200); 상기 약물루멘(200)과 나란한 위치에서 공기가 이동하도록 중공형으로 마련된 에어루멘(300); 상기 에어루멘(300)에서 연장 연결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약물루멘(200)을 이동한 약물 및 탈크가 유입되며 압축되는 압축유로(400); 및 상기 약물루멘(200)에서 연장 연결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약물루멘(200)에서 방출된 상기 약물과 탈크가 상기 압축유로(400)의 측면으로 유입되도록 커브관으로 마련된 약물루멘출구부(220); 상기 압축유로(400)에서 연장 연결되고, 상기 압축유로(400)에서 유출되는 공기와 상기 약물루멘출구부(220)에서 유출된 약물 및 탈크가 함께 분출되어 환부에 분사되는 약물분출구(500);로 구성하되, 상기 압축유로(400)는 병목현상 구간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에어루멘(300)보다 좁은 지름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TALC SPRAY MODULE OF CATHETER FOR FIBER GLUE APPLICATION UNDER PLEUROGRAPHY}
본 발명은 경흉강내 섬유가교도포법 시술을 위한 탈크 분사 카테터 모듈에 관한 것으로, 부분 마취상태에서 암으로 인해 발생한 흉수를 제거한 후 재발되지 않도록 폐의 흉곽 내 흉막을 유착시키기 위해 약물이 환부에 고르게 분사되고 체액에 의한 분말 뭉침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어 시술 성공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카테터 모듈이다.
카테터는 관내 진단, 처리 및 의료기기 구조체의 전달을 위해 혈관 및 기관내로 도입되는 것으로, 현재 카테터는 약물이 고르게 분사되지 않아 약물이 묻지 않는 곳은 흉막이 유착되지 않아 다시 물이 차며, 끝단에 체액이 묻으면 약재가 체액과 엉켜서 출구가 막히는 현상이 시술을 중단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약물을 효율적으로 분사하고 출구 막힘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약물이 통과되는 끝단의 약물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의 카테터 분사구는 끝단에 부가적인 형상이 없다. 흉곽 내 흉막을 유착시키기 위해 카테터 직경에 비해 기흉의 직경이 클 경우 약물을 고르게 분사하기 위해서는 카테터 위치를 옮기며 여러 번 분사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카테터 분사구는 체액에 의한 분사구 불능이 발생할 수 있다. 카테터 분사구에 체액이 묻으면, 탈크가 분사되지 않고 분사구에 체액과 엉켜서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고 막힌 분사구를 뚫기 위해 공기를 다량 분사하게 된다. 이로 인해 분사구에 모여 있던 탈크가 한 번에 다량 분사되거나, 분사구가 뚫리지 않을 경우 시술을 중단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24011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와 흉곽 내 흉막을 유착시키기 위해 약물을 고르게 도포할 수 있도록 구조가 마련된 카테터 분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테터 분사구에 체액에 의한 탈크 뭉침을 극복함으로써 효율적인 시술이 가능한 카테터 분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은,
카테터의 단부와 연결되어 고정되는 카테터연결부(100);
중공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카테터에서 유입되는 약물과 상기 약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희석된 탈크가 이동하는 약물루멘(200);
상기 약물루멘(200)과 나란한 위치에서 공기가 이동하도록 중공형으로 마련된 에어루멘(300);
상기 에어루멘(300)에서 연장 연결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약물루멘(200)을 이동한 약물 및 탈크가 유입되며 압축되는 압축유로(400); 및
상기 약물루멘(200)에서 연장 연결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약물루멘(200)에서 방출된 상기 약물과 탈크가 상기 압축유로(400)의 측면으로 유입되도록 커브관으로 마련된 약물루멘출구부(220);
상기 압축유로(400)에서 연장 연결되고, 상기 압축유로(400)에서 유출되는 공기와 상기 약물루멘출구부(220)에서 유출된 약물 및 탈크가 함께 분출되어 환부에 분사되는 약물분출구(500);로 구성하되,
상기 압축유로(400)는,
병목현상 구간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에어루멘(300)보다 좁은 지름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루멘(300)과 압축유로(400)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사이각인 입구각(410)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물분출구(500)에서 상기 공기, 약물 및 탈크가 분사되는 끝단의 각인 출구각(510)은 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축유로(400)의 단면적(A2)은 아래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어기서, A1은 에어루멘(300)의 단면적, V1은 에어루멘(300) 내부 속도, V2는 압축유로(400) 내부 속도이다).
상기 에어루멘(300) 내부 속도는 상기 압축유로(400) 내부속도보다 느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축유로(400)의 단면적(A2)은 아래 [수학식 2]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어기서, A1은 에어루멘(300)의 단면적, P1은 에어루멘(300) 내부압력, P2는 압축유로(400) 내부압력, D는 약물의 밀도이다).
상기 에어루멘(300) 내부압력은 상기 압축유로(400) 내부압력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테터 단부와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되, 상기 카테터연결부(100)와 실링하는 제1실링면(110); 상기 약물루멘(200)과 실링하는 제2실링면(210); 및 상기 에어루멘(300)과 실링하는 제3실링면(31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은 오리피스 구조가 마련되어 약물이 끝단에서 고루 분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분사방식을 이용하여 분사구 막힘을 해결함으로써, 섬유아교도포법을 효율적으로 시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의 제1실시예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실링면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의 제2실시예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좌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실링면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의 압축유로(400)에 마련된 입구각(410) 및 약물분출구(500)에 마련된 출구각(5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인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은,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의 제1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카테터연결부(100), 약물루멘(200), 에어루멘(300), 압축유로(400), 약물루멘출구부(220) 및 약물분출구(5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카테터연결부(100)는 카테터의 단부와 연결되어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카테터 단부와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되 제1실링면(110), 제2실링면(210) 및 제3실링면(31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실링면(110)은 상기 카테터연결부(100)와 상기 카테터 단부를 실링한다.
상기 제2실링면(210)은 상기 약물루멘(200)과 상기 카테터 단부를 실링한다.
상기 제3실링면(310)은 상기 에어루멘(300)과 상기 카테터 단부를 실링한다.
상기 실링은 실리콘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카테터와 본 발명인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을 결합할 때 누기와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약물루멘(200)은 중공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카테터에서 유입되는 약물과 상기 약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희석된 탈크가 이동한다. 상기 약물루멘(200)은 상기 탈크가 희석된 약물이 흐르는 통로이다.
다음으로, 상기 에어루멘(300)은 상기 약물루멘(200)과 나란한 위치에서 공기가 이동하도록 중공형으로 마련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루멘(300)은 상기 약물루멘(200)과 비교할 때 단면적이 넓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에어루멘(300)의 외주면과 내주면 두께는 상기 약물루멘(200)의 외주면과 내주면 두께보다 두껍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압축유로(400)는 상기 에어루멘(300)에서 연장 연결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약물루멘(200)을 이동한 약물 및 탈크가 유입되며 압축된다.
상기 에어루멘(300)과 압축유로(400)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사이각인 입구각(410)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구각(410)이 30° 미만이면 상기 에어루멘(300)에서 압축유로(400) 내부의 단면적이 좁아지면서 유속이 빨라지게 될 때 상기 에어루멘(300)과 압축유로(400) 사이의 관의 연결이 유연하지 않아 걸림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입구각(410)이 30°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에어루멘(300)에서 압축유로(400) 내부의 단면적 차이가 크지 않아 유속을 증가시키기 어려우므로 상기 조건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약물루멘출구부(220)는 상기 약물루멘(200)에서 연장 연결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약물루멘(200)에서 방출된 상기 약물과 탈크가 상기 압축유로(400)의 측면으로 유입되도록 커브관으로 마련된다. 즉,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약물루멘출구부(220)와 상기 압축유로(400)는 수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약물분출구(500)는 상기 압축유로(400)에서 연장 연결되고, 상기 압축유로(400)에서 유출되는 공기와 상기 약물루멘출구부(220)에서 유출된 약물 및 탈크가 함께 분출되어 환부에 분사된다.
상기 약물분출구(500)에서 상기 공기, 약물 및 탈크가 분사되는 끝단의 각인 출구각(510)은 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구각(510)이 5° 미만이면 상기 약물분출구(500)와 외부 사이의 연결이 유연하지 않아 걸림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출구각(510)이 5°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약물분출구(500)와 외부의 단면적 차이가 유속을 증가시키기 어려우므로 상기 조건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유로(400)는 병목현상 구간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에어루멘(300)보다 좁은 지름으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약물을 효과적으로 분사하기 위해서는 약물과 탈크가 흩어지면서 환부에 안개처럼 뿌려져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에어루멘(300)에 공기가 고속으로 흐르면서 상기 약물분출구(500)의 압력을 낮추어야 한다. 상기 약물과 탈크를 분사하는 과정에서 상기 약물을 잘게 부수어 분무가 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상기 약물루멘(200)을 흐르는 약물이 상기 약물루멘출구부(220)를 지나 약물분출구(500)에서 흩어지면서 안개처럼 뿌려지기 위해서는 상기 약물분출구(500) 주위의 압력이 낮아져야 한다. 상기 약물분출구(500) 주위의 압력을 낮추기 위해서는 상기 에어루멘(300)을 통해 흐르는 공기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아래 [수학식 1]에 의해 상기 에어루멘(300)의 단면적(A1), 상기 에어루멘(300) 내부 속도(V1), 상기 압축유로(400)의 단면적(A2), 상기 압축유로(400) 내부 속도(V2)의 관계를 이용하여 직경이 좁아지는 상기 압축유로(400)를 마련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유로(400)의 단면적(A2)은 아래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된다.
Figure pat00003
(어기서, A1은 에어루멘(300)의 단면적, V1은 에어루멘(300) 내부 속도, V2는 압축유로(400) 내부 속도이다).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상기 에어루멘(300) 내부 속도(V1)는 상기 압축유로(400) 내부속도(V2)보다 느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에어루멘(300) 내부를 흐르는 유동은 상기 에어루멘(300)의 단면적(A1)이 상기 압축유로(400) 단면적(A2) 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에어루멘(300) 내부압력(P1)은 상기 압축유로(400) 내부압력(P2) 보다 크다. 따라서, 아래 [수학식 2]에 의해 약물의 밀도(D)에서 상기 에어루멘(300) 내부압력(P1)은 상기 압축유로(400) 내부압력(P2) 보다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유로(400)의 단면적(A2)은 아래 [수학식 2]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어기서, A1은 에어루멘(300)의 단면적, P1은 에어루멘(300) 내부압력, P2는 압축유로(400) 내부압력, D는 약물의 밀도이다).
제2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의 제2실시예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카테터연결부(100), 약물루멘(200), 압축유로(400) 및 약물분출구(5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카테터연결부(100)는 카테터의 단부와 연결되어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카테터 단부와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되 제1실링면(110) 및 제2실링면(21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실링면(110)은 상기 카테터연결부(100)와 상기 카테터 단부를 실링한다.
상기 제2실링면(210)은 상기 약물루멘(200)과 상기 카테터 단부를 실링한다.
상기 실링은 실리콘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카테터와 본 발명인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을 결합할 때 누기와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약물루멘(200)은 중공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카테터에서 유입되는 약물, 상기 약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희석된 탈크 및 상기 약물과 탈크를 이동시키는 공기가 함께 유입되어 유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압축유로(400)는 상기 약물루멘(200)에서 연장 연결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약물루멘(200)을 이동한 약물 및 탈크가 유입되며 압축된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제2실시예의 상기 약물루멘(200)은 상기 에어루멘(300) 없이 상기 약물루멘(200)에서 연장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실시예의 압축유로(400)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탈크와 약물이 혼합된 용액을 분사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압축유로(400)는 분사구를 6개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약물루멘(200)과 압축유로(400)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사이각인 입구각(410)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약물분출구(500)는 상기 압축유로(400)에서 연장 연결되고, 상기 압축유로(400)에서 유출되는 약물, 탈크 및 공기가 함께 분출되어 환부에 분사된다.
상기 약물분출구(500)에서 상기 공기, 약물 및 탈크가 분사되는 끝단의 각인 출구각(510)은 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축유로(400)는 병목현상 구간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약물루멘(200)보다 좁은 지름으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약물을 효과적으로 분사하기 위해서는 약물과 탈크가 흩어지면서 환부에 안개처럼 뿌려져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약물루멘(200)에 공기가 고속으로 흐르면서 상기 약물분출구(500)의 압력을 낮추어야 한다. 상기 약물과 탈크를 분사하는 과정에서 상기 약물을 잘게 부수어 분무가 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상기 약물루멘(200)을 흐르는 약물이 상기 약물분출구(500)에서 흩어지면서 안개처럼 뿌려지기 위해서는 상기 약물분출구(500) 주위의 압력이 낮아져야 한다. 상기 약물분출구(500) 주위의 압력을 낮추기 위해서는 상기 약물루멘(200)을 통해 흐르는 공기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아래 [수학식 1]에 의해 상기 에어루멘(300)의 단면적(A1), 상기 에어루멘(300) 내부 속도(V1), 상기 압축유로(400)의 단면적(A2), 상기 압축유로(400) 내부 속도(V2)의 관계를 이용하여 직경이 좁아지는 상기 압축유로(400)를 마련한다. 따라서 상기 압축유로(400)의 단면적(A2)은 아래 [수학식 3]에 의해 계산된다.
Figure pat00005
(어기서, A3은 약물루멘(200)의 단면적, V3은 약물루멘(200) 내부 속도, V2는 압축유로(400) 내부 속도이다).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상기 약물루멘(200) 내부 속도(V3)는 상기 압축유로(400) 내부속도(V2)보다 느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약물루멘(200) 내부를 흐르는 유동은 상기 약물루멘(200)의 단면적(A3)이 상기 압축유로(400) 단면적(A2) 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약물루멘(200) 내부압력(P3)은 상기 압축유로(400) 내부압력(P2) 보다 크다. 따라서, 아래 [수학식 4]에 의해 약물의 밀도(D)에서 상기 약물루멘(200) 내부압력(P3)은 상기 압축유로(400) 내부압력(P2) 보다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유로(400)의 단면적(A2)은 아래 [수학식 4]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6
(어기서, A3은 약물루멘(200)의 단면적, P3은 약물루멘(200) 내부압력, P2는 압축유로(400) 내부압력, D는 약물의 밀도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은 오리피스 구조가 마련되어 약물이 끝단에서 고루 분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분사방식을 이용하여 분사구 막힘을 해결함으로써, 섬유아교도포법을 효율적으로 시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카테터연결부
110. 제1실링면
200. 약물루멘
210. 제2실링면
220. 약물루멘출구부
300. 에어루멘
310. 제3실링면
400. 압축유로
410. 입구각
500. 약물분출구
510. 출구각

Claims (16)

  1. 카테터의 단부와 연결되어 고정되는 카테터연결부(100);
    중공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카테터에서 유입되는 약물과 상기 약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희석된 탈크가 이동하는 약물루멘(200);
    상기 약물루멘(200)과 나란한 위치에서 공기가 이동하도록 중공형으로 마련된 에어루멘(300);
    상기 에어루멘(300)에서 연장 연결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약물루멘(200)을 이동한 약물 및 탈크가 유입되며 압축되는 압축유로(400); 및
    상기 약물루멘(200)에서 연장 연결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약물루멘(200)에서 방출된 상기 약물과 탈크가 상기 압축유로(400)의 측면으로 유입되도록 커브관으로 마련된 약물루멘출구부(220);
    상기 압축유로(400)에서 연장 연결되고, 상기 압축유로(400)에서 유출되는 공기와 상기 약물루멘출구부(220)에서 유출된 약물 및 탈크가 함께 분출되어 환부에 분사되는 약물분출구(500);로 구성하되,
    상기 압축유로(400)는,
    병목현상 구간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에어루멘(300)보다 좁은 지름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루멘(300)과 압축유로(400)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사이각인 입구각(410)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분출구(500)에서 상기 공기, 약물 및 탈크가 분사되는 끝단의 각인 출구각(510)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유로(400)의 단면적(A2)은 아래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 :
    [수학식 1]
    Figure pat00007

    (어기서, A1은 에어루멘(300)의 단면적, V1은 에어루멘(300) 내부 속도, V2는 압축유로(400) 내부 속도이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루멘(300) 내부 속도는 상기 압축유로(400) 내부속도 보다 느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유로(400)의 단면적(A2)은 아래 [수학식 2]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 :
    [수학식 2]
    Figure pat00008

    (어기서, A1은 에어루멘(300)의 단면적, P1은 에어루멘(300) 내부압력, P2는 압축유로(400) 내부압력, D는 약물의 밀도이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루멘(300) 내부압력은 상기 압축유로(400) 내부압력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단부와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되,
    상기 카테터연결부(100)와 실링하는 제1실링면(110);
    상기 약물루멘(200)과 실링하는 제2실링면(210); 및
    상기 에어루멘(300)과 실링하는 제3실링면(31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
  9. 카테터의 단부와 연결되어 고정되는 카테터연결부(100);
    중공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카테터에서 유입되는 약물, 상기 약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희석된 탈크 및 상기 약물과 탈크를 이동시키는 공기가 함께 유입되어 유출되는는 약물루멘(200);
    상기 약물루멘(200)에서 연장 연결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약물루멘(200)을 이동한 약물, 탈크 및 공기가 압축되는 압축유로(400); 및
    상기 압축유로(400)에서 연장 연결되어 상기 압축유로(400)에서 압축되어 유출되는 약물, 탈크 및 공기가 환부에 분사되는 약물분출구(500);로 구성하되,
    상기 압축유로(400)는,
    상기 약물루멘(200)을 이동한 약물 및 탈크가 상기 약물루멘(200)보다 고압에서 압축되도록 상기 에어루멘(300)보다 좁은 지름으로 마련되고, 다수의 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루멘(300)과 압축유로(400)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사이각인 입구각(410)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분출구(500)에서 상기 공기, 약물 및 탈크가 분사되는 끝단의 각인 출구각(510)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유로(400)의 단면적(A2)은 아래 [수학식 3]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 :
    [수학식 3]
    Figure pat00009

    (어기서, A3은 약물루멘(200)의 단면적, V3은 약물루멘(200) 내부 속도, V2는 압축유로(400) 내부 속도이다).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루멘(200) 내부 속도는 상기 압축유로(400) 내부속도보다 느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유로(400)의 단면적(A2)은 아래 [수학식 4]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 :
    [수학식 4]
    Figure pat00010

    (어기서, A3은 약물루멘(200)의 단면적, P3은 약물루멘(200) 내부압력, P2는 압축유로(400) 내부압력, D는 약물의 밀도이다).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루멘(200) 내부압력은 상기 압축유로(400) 내부압력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단부와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되,
    상기 카테터연결부(100)와 실링하는 제1실링면(110); 및
    상기 약물루멘(200)과 실링하는 제2실링면(21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
KR1020200148182A 2020-11-08 2020-11-08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 KR102511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182A KR102511585B1 (ko) 2020-11-08 2020-11-08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
PCT/KR2021/015575 WO2022098019A1 (ko) 2020-11-08 2021-11-01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182A KR102511585B1 (ko) 2020-11-08 2020-11-08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441A true KR20220062441A (ko) 2022-05-17
KR102511585B1 KR102511585B1 (ko) 2023-03-16

Family

ID=81458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182A KR102511585B1 (ko) 2020-11-08 2020-11-08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1585B1 (ko)
WO (1) WO2022098019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2343A (ko) * 2005-05-06 2008-02-11 디터 부르쯔 분사노즐, 분사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20120103148A (ko) * 2011-03-10 2012-09-19 김기운 약물 정량주입장치의 약물 주입량 조절기.
JP2014184347A (ja) * 2008-04-22 2014-10-02 Becton Dickinson & Co カテーテル孔アレイの効率を改善する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KR20180081653A (ko) * 2017-01-06 2018-07-17 (주)엠큐어 가스 및 약물주입장치
KR102024011B1 (ko) 2018-12-28 2019-09-24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카테터 고정밴드에 설치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약물투여시스템
KR20190121553A (ko) * 2018-04-18 2019-10-28 라이프리버 주식회사 분사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분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14154A0 (en) * 1994-06-17 1995-10-31 Trudell Medical Ltd Nebulizing catheter system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JP2003126268A (ja) * 2001-10-22 2003-05-07 Sumitomo Bakelite Co Ltd 生体組織接着剤塗布用具
JPWO2019155870A1 (ja) * 2018-02-07 2021-04-08 ニッタ株式会社 噴霧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2343A (ko) * 2005-05-06 2008-02-11 디터 부르쯔 분사노즐, 분사장치 및 그 작동방법
JP2014184347A (ja) * 2008-04-22 2014-10-02 Becton Dickinson & Co カテーテル孔アレイの効率を改善する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KR20120103148A (ko) * 2011-03-10 2012-09-19 김기운 약물 정량주입장치의 약물 주입량 조절기.
KR20180081653A (ko) * 2017-01-06 2018-07-17 (주)엠큐어 가스 및 약물주입장치
KR20190121553A (ko) * 2018-04-18 2019-10-28 라이프리버 주식회사 분사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분사장치
KR102024011B1 (ko) 2018-12-28 2019-09-24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카테터 고정밴드에 설치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약물투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8019A1 (ko) 2022-05-12
KR102511585B1 (ko)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3964B2 (ja) 鼻治療のための噴霧器
CN102355922B (zh) 一种血管进入装置
JP6091469B2 (ja) カテーテル孔アレイの効率を改善する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AU2016225798B2 (en) Miniature fluid atomizer
JP6005643B2 (ja) 流れ分断機能を有するカテーテルの孔
CN103209729B (zh) 用来增进导管孔阵列效率的系统和方法
CN103721880B (zh) 喷嘴及其用途、带喷嘴的医疗设备、流体混合方法及装置
CN103842018B (zh) 具有压力致动的可分裂特征部的导管
JP2010505551A (ja) 脈管アクセス装置の流体流れの方向
CN208598970U (zh) 一种灌注化疗用防堵引流管
US10322271B2 (en)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the effective and reliable delivery of controlled amounts of a medical fluid
KR102077790B1 (ko) 분사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분사장치
US20210268179A1 (en) Cannula and infusion devices
KR20220062441A (ko) 경흉강 섬유아교도포법 시술용 카테터 탈크 분사 모듈
US1118564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nriched medical suspension
CN109821088A (zh) 一种灌肠器
CN206462964U (zh) 一种内窥镜检查用自动碘染装置
CN213312833U (zh) 腹腔双冲洗双套管
JP2741323B2 (ja) 生体組織接着剤塗布用チューブ
CN209596379U (zh) 一种可加压的导尿管
CN106860949A (zh) 自动止液输液器
KR102385837B1 (ko)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
EP4144505A1 (en) In vivo vessel repair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CN208426535U (zh) 一种喷洒导管
JP2022504800A (ja) 空気フィルタ装置及びこれを含む薬液注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