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1801A -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 - Google Patents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1801A
KR20120101801A KR1020110019829A KR20110019829A KR20120101801A KR 20120101801 A KR20120101801 A KR 20120101801A KR 1020110019829 A KR1020110019829 A KR 1020110019829A KR 20110019829 A KR20110019829 A KR 20110019829A KR 20120101801 A KR20120101801 A KR 20120101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wing
fastened
plat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9772B1 (ko
Inventor
김재문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에스텍 filed Critical (주)케이에스텍
Priority to KR1020110019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772B1/ko
Publication of KR20120101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1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4Piles with prefabricated supports or anchoring parts; Anchor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6Protect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48Piles varying in construction along their length, i.e. along the body between head and shoe, e.g.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long their leng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2Compacting the soil at the footing or in or along a casing by forcing cement or like material through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2Pile s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3Ground anchors with pivotable anchor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92Shapes conical or conve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의 강관몸체와; 상기 강관몸체의 선단에 체결되는 후면판과 외부면에 판상의 보강날개가 다수 개 체결되는 측면판 및 원추형의 삽입머리가 체결되는 전면판이 순차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강관몸체보다 큰 직경을 갖는 중공의 보강머리와; 상기 강관몸체의 후단 외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체결되는 판상의 몸체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날개는 보강날개와 상호 교차되어 강관몸체의 후단 외부면에 체결되는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의 강관몸체를 지상의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주된 지지체로 하여, 강관몸체 보다 큰 직경을 갖고 강관몸체의 선단에 체결되며 보강날개를 구비하는 중공의 보강머리를 통하여 지중에 매설된 강관 말뚝의 인발저항력을 향상시키고, 강관몸체의 후단 외부면에 체결되는 판상의 몸체날개를 통하여 지중에 매설된 강관 말뚝의 휨 모멘트를 보강가능함과 동시에, 상기의 몸체날개와 보강날개가 상호 교차되어 보강머리 또는 강관몸체에 각각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강날개 및 몸체날개의 지중 매설로 인하여 발생한 날개 매설 삽입경로를 상호보강하여,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을 보다 견고하게 지중에 매설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Steel pipe for supporting a structure}
본 발명은 강관전주, 통합전주, 조명탑, 전광표지판, CCTV, 통합형 신호등, 교통신호등 또는 이동통신기지국 등과 같은 구조물의 지지하는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의 강관몸체를 지상의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주된 지지체로 하여, 강관몸체 보다 큰 직경을 갖고 강관몸체의 선단에 체결되며 보강날개를 구비하는 중공의 보강머리를 통하여 지중에 매설된 강관 말뚝의 인발저항력을 향상시키고, 강관몸체의 후단 외부면에 체결되는 판상의 몸체날개를 통하여 지중에 매설된 강관 말뚝의 휨 모멘트를 보강가능함과 동시에, 상기의 몸체날개와 보강날개가 상호 교차되어 보강머리 또는 강관몸체에 각각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에 관한 분야이다.
지상에 위치하는 각종의 구조물은 안정된 고정을 위하여 지중에 말뚝과 같은 기초구조물을 매설한 후, 매설된 기초구조물과 연계하여 견고하게 고정 지지된다. 때문에 지상의 구조물을 보다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중에 매설되는 구조물 지지용 말뚝이 휨 모멘트 또는 인발력 등으로부터 저항력을 갖을 수 있도록 견고하게 매설되는 것이 우선이라 할 수 있고,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다음과 같은 대표적인 기술을 제시하였다.
우선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2171호는 날개벽의 부착을 통해 인발저항 및 모멘트에 대한 내력이향상된 말뚝에 관한 것으로서, 강관으로 이루어진 말뚝의 두부 및 하부 외주면에 날개벽을 형성하여 말뚝의 인발저항력을 향상시키고, 말뚝의 두부에서 단면 2차 모멘트를 증가시킴으로써 모멘트에 효과적으로 저항하도록 하는 말뚝을 제시하였으나, 강관으로 이루어진 말뚝에 단순히 날개벽만을 형성시키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날개벽의 지중 매설 시에 형성되는 날개벽 삽입경로에 의한 말뚝의 흔들림을 보강시키는 구성이 미흡한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의한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은 단순히 일정의 길이를 갖는 강관몸체를 항타기 또는 바이브레이터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지중에 매설되거나, 강관몸체의 외부면에 다수 개의 날개가 체결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지중에 매설되어 지상의 구조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였으나, 지상의 구조물의 흔들림과 같은 역할적 에너지에 의하여 강관 말뚝이 흔들리고 부러지거나, 뽑일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일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의 강관몸체와; 상기 강관몸체의 선단에 체결되는 후면판과 외부면에 판상의 보강날개가 다수 개 체결되는 측면판 및 원추형의 삽입머리가 체결되는 전면판이 순차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강관몸체보다 큰 직경을 갖는 중공의 보강머리와; 상기 강관몸체의 후단 외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체결되는 판상의 몸체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날개는 보강날개와 상호 교차되어 강관몸체의 후단 외부면에 체결되는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을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은 일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의 강관몸체를 지상의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주된 지지체로 하여, 강관몸체 보다 큰 직경을 갖고 강관몸체의 선단에 체결되며 보강날개를 구비하는 중공의 보강머리를 통하여 지중에 매설된 강관 말뚝의 인발저항력을 향상시키고, 강관몸체의 후단 외부면에 체결되는 판상의 몸체날개를 통하여 지중에 매설된 강관 말뚝의 휨 모멘트를 보강가능함과 동시에, 상기의 몸체날개와 보강날개가 상호 교차되어 보강머리 또는 강관몸체에 각각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강날개 및 몸체날개의 지중 매설로 인하여 발생한 날개 매설 삽입경로를 상호보강하여,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을 보다 견고하게 지중에 매설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과 구조물을 체결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이 몰탈 분출구를 더 포함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을 나타내는 사시도(볼트체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에 절개부가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에 절개부가 구성되고 몰탈 분출구를 포함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절개부가 구성)과 체결베이스의 체결을 나타내는 사시도(볼트체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의 또 다른 체결베이스를 나타내는 하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과 체결베이스 및 구조물의 결합을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의 또 다른 체결베이스를 나타내는 하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과 체결베이스 및 구조물의 결합을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에 보강날개가 나사형으로 보강머리에 체결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과 삽입머리를 결합의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14 내지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과 삽입머리의 결합을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을 나타내는 매설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을 나타내는 매설 단면도.
본 발명은 강관전주, 통합전주, 조명탑, 전광표지판, CCTV, 통합형 신호등, 교통신호등 또는 이동통신기지국 등과 같은 구조물(70)의 지지하는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에 관한 것으로서, 지상의 구조물(70)과 체결되어 구조물(70)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중에 설치되는 강관 말뚝에 있어서, 일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의 강관몸체(10)와; 상기 강관몸체(10)의 선단(11)에 체결되는 후면판(21)과 외부면에 판상의 보강날개(40)가 다수 개 체결되는 측면판(22) 및 원추형의 삽입머리(50)가 체결되는 전면판(23)이 순차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강관몸체(10)보다 큰 직경을 갖는 중공의 보강머리(20)와; 상기 강관몸체(10)의 후단(12) 외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체결되는 판상의 몸체날개(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날개(30)는 보강날개(40)와 상호 교차되어 강관몸체(10)의 후단(12) 외부면에 체결되는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일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의 강관몸체(10)는 도 1과 같이 지상의 구조물(70)을 지지하기 위한 주된 지지체로서, 강관몸체(10)의 길이와 직경은 강관 말뚝이 매설되는 지반의 상태 또는 체결되어 지지되는 지상구조물(7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3과 같이 상기 강관몸체(10)의 선단(11)에 체결되는 후면판(21)과 외부면에 판상의 보강날개(40)가 다수 개 체결되는 측면판(22) 및 원추형의 삽입머리(50)가 체결되는 전면판(23)이 순차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강관몸체(10)보다 큰 직경을 갖는 중공의 보강머리(20)를 체결하여, 강관 말뚝이 지중에 매설된 이후 지상 구조물(70)의 흔들림에 의한 인발력으로 인한 강관 말뚝의 뽑힘을 방지할 수 있는 인발저항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후면판(21), 측면판(22) 및 전면판(23)이 순차적으로 체결되어 구성되는 보강머리(20)는 강관몸체(10)보다 큰 직경을 갖으며 강관몸체(10)의 선단(11)에 체결되기 때문에, 강관 말뚝이 항타 또는 바이브레이팅으로 지중에 매설된 이후, 후면판(21)의 상면에 흙이 매입되어 걸림턱 역할을 하여 강관 말뚝이 지중에 보다 견고하게 매설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때, 후면판(21), 측면판(22) 및 전면판(23) 간의 체결은 보강머리(20)가 중공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면 어떠한 체결방법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나, 제조상의 편의를 위하여 용접방식을 통하여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중공의 강관몸체(10)와 중공의 보강머리(20)가 상호 통기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보강머리(20, 강관 말뚝과 동일한 개념임.)의 지중 삽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한 후면판(21)에 보강머리(20)의 중공과 외부가 통기 가능하도록 하는 몰탈 분출구(24)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중에 매설된 강관몸체(10)의 후단(12)에 시멘트 등과 같은 몰탈(80)을 주입하고, 강관몸체(10)에 주입된 몰탈이 보강머리(20) 내부를 거쳐서 후면판(21)의 몰탈 분출구(24)로 분출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여, 도 16와 같이 후면판(21)의 상면에 흙이 매입되어 걸림턱 역할을 하는 보강머리(20)에 흙을 대신하여 몰탈(80)을 주입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실현하였다. 이때, 후면판(21)의 몰탈 분출구(24)는 강관몸체(10)보다 직경이 큰 보강머리(20)가 지중에 삽입되면서 확보한 강관몸체(10)의 외부면과 흙의 사이 공간에 몰탈(80)을 분출하기 때문에 종래기술에 의한 강관말뚝에 비하여 몰탈 처리가 용이한 효과를 실현한다.
또한 측면판(22)의 외부면에 체결되는 판상의 보강날개(40)는 지중에 매설된 보강머리(20)가 보다 견고하게 지탱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강관 말뚝이 매설되는 지반의 상태 또는 체결되어 지지되는 지상 구조물(7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판상 또는 길이를 갖는 것을 이용가능하고, 측면판(22)과의 체결방법에 있어서는 측면판(22)과 다수 개의 보강날개(40)를 용접방법으로 선가공하는 방법도 가능하고, 운반 및 시공의 용이성을 위하여 볼트 또는 끼움식 체결방법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강관몸체(10)의 선단(11)이 보강머리(20)의 전면판(23)까지 연장구성되어 강관몸체(10)의 선단(11)과 전면판(23)이 상호 체결되고, 전면판(23)과 후면판(21) 사이에 내입된 강관몸체(10)의 일정 부분에 다수 개의 몰탈 분출구(24')를 구성함으로써, 항타 또는 바이브레이팅되는 본 발명에 의한 강관 말뚝의 후면판(21)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 실현이 가능하다. 즉, 강관몸체(10)의 선단(11)과 상호체결되는 보강머리(20)의 후면판(21)은 단단한 지반에 대한 강관 말뚝 매설 시, 항타 또는 바이브레이팅에 의하여 가해지는 강관몸체(10) 선단(11)의 가압력으로 휘어질 수 있는 우려가 있는데, 상기와 같은 구성의 강관몸체(10)와 보강머리(20)의 체결은 강관몸체(10)에 가해지는 항타 또는 바이브레이팅에 의한 가압력을 보강머리(20)의 최선단(11)인 전면판(23)까지 연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보강머리(20)를 항타 또는 바이브레이팅에 의한 가압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또한 전면판(23)과 후면판(21) 사이에 내입된 강관몸체(10)의 일정 부분에 다수 개의 몰탈 분출구(24')는 강관몸체(10)의 중공으로 주입되는 몰탈을 보강머리(20)에 구성된 몰탈 분출구(24)를 통하여 보강머리(20) 외부로 분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보강머리(20) 내부와 보강머리(20) 내부에 내입된 강관몸체(10) 간의 통기를 확보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보강날개(40)는 도 12와 같이 삽입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나사형으로 보강머리(20)에 체결되는 구성을 하여, 항타 또는 바이브레이팅을 통하여 강관 말뚝이 지중에 매설될 때, 회전하며 지중에 매설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가능하고, 회전하며 지중에 삽입되는 강관 말뚝은 보강날개(20)의 삽입경로가 회전되는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강관 말뚝의 수직 인발저항력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강관몸체(10)의 후단(12) 외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체결되는 판상의 몸체날개(30)를 포함하는 구성을 하여, 지중에 매설된 강관 말뚝의 지표부근의 지중에서 발생할 수 있는 힘에 대한 휨 모멘트를 보강하는 효과를 실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강관 말뚝에 체결된 지상의 구조물(70)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기의 몸체날개(30)와 보강날개(40)가 상호 교차되어 강관몸체(10) 또는 보강머리(20)에 각각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강머리(20)에 체결된 보강날개(40)가 지중에 삽입되면서 흙(지중)에 형성된 보강날개(40)에 의한 다수 개의 삽입경로와 삽입경로 사이로 강관몸체(10)에 체결된 몸체날개(30)가 위치되어 흙속에 삽입되므로, 흙속에 선삽입된 보강날개(40)의 삽입경로가 몸체날개(30)의 삽입에 의하여 메워질 뿐만 아니라, 흙속에 삽입되는 몸체날개(30)가 보강날개(40)의 삽입경로를 따라 흙속에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강관 말뚝이 매설되는 지반을 다쳐가며 몸체날개(30)가 지중에 삽입되어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을 보다 견고하게 지중에 매설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보강머리(20)를 포함하는 강관 말뚝이 항타 또는 바이브레이팅을 통하여 지중에 삽입될 때, 흙에 대한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보강머리(20)의 전면판(23)에 원추형의 삽입머리(50)가 체결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삽입머리(50)의 형태는 원추형뿐만 아니라 흙에 대한 마찰력을 줄일 수 있는 구성이면 도 7과 같이 어떠한 형태의 것도 무방하나, 다수 개의 판상 삽입날개가 상호 연계되어 다각 원추형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성의 삽입머리(50)는 지반에 강관 말뚝을 삽입할 때에는 삽입머리(50)가 흙에 대한 마찰이 최소화되고, 지반에 매설완료된 후에는 다수 개의 판상 날개로서 휨 모멘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5와 같이 강관몸체(10)의 중공과 보강머리(20)의 중공이 상호 통기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삽입머리(50)를 다수 개의 판상 삽입날개가 상호 연계되어 판상 삽입날개 사이 및 판상 삽입날개 간의 중심에 보강머리(20)의 중공과 통기 가능한 몰탈 분출구(24")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다각 뿔대형의 지지대(51)와; 상기 다각 뿔대형의 지지대(51)의 외부에 체결되는 원추형 커버(52);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원추형 커버(52)를 보강머리(20)의 전면판(23)과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하여 몰탈 분출구(24")로 분출되는 몰탈이 외부로 분출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지중에 매설된 강관몸체(10)의 후단(12)에 시멘트 등과 같은 몰탈(80)을 주입하면, 몰탈이 보강머리(20) 내부를 거쳐서 몰탈 분출구(24")로 분출되고, 분출된 몰탈은 도 17과 같이 강관 말뚝의 선단측(보강머리(20) 주변)에 양생되어 강관 말뚝의 인발저항력이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실현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강관 말뚝은 지상의 구조물(70)과 직접 체결되어 지상의 구조물(70)을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나, 도 8 또는 10과 같이 지상의 구조물(70)과 체결되는 상부(61)와; 강관몸체(10)의 후단(12)과 체결되는 몸체체결부(62)와 몸체날개(30)와 체결되는 날개체결부(63)로 구성되는 하부(64);를 포함하여 일정의 높이를 형성하며 구성되는 체결베이스(60)를 더 포함하여 지상의 구조물(70)과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지상의 구조물(70)과 체결되는 상부(61)는 각종 구조물(70)의 체결체와 대응가능한 볼트 또는 너트 등의 체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부(64)의 몸체체결부(62)는 강관몸체(10)의 일측 말단의 직경보다 큰 내주를 갖아, 강관몸체(10)의 일측 말단이 끼워져 내입되는 끼움체결되거나, 강관몸체(10)의 후단(12) 일부가 몸체체결부(62) 내부에 인입됨과 동시에 볼트ㆍ너트 체결되는 형태로도 구성가능하며, 하부(64)의 날개체결부(63)는 다수 개의 몸체날개(30)와 각각 대응하여 암ㆍ수 대응에 의한 끼움체결 또는 볼트ㆍ너트를 이용한 체결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 8 내지 9와 같이 체결베이스(60)의 몸체체결부(62)를 강관몸체(10)의 일측 말단의 직경보다 큰 내주를 갖아, 강관몸체(10)의 일측 말단이 끼워져 내입되도록 하고, 날개체결부(63)를 각각의 몸체날개(30)에 대응하는 판상이 체결판 형태로 구성되도록 하여, 몸체날개(30)는 볼트와 너트로서 날개체결부(63)와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구성의 체결베이스(60)와 강관 말뚝의 체결은 강관몸체(10)가 몸체체결부(62)에 끼워져 체결되는 끼움체결을 실현함과 동시에, 볼트와 너트로서 몸체날개(30)와 날개체결부(63)을 재차 견고하게 체결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은 도 10 내지 11과 같이 상기 몸체체결부(62)를 구성하지 아니하고, 상기 날개체결부(63)를 체결베이스(60)의 하부(64)에서 상부(61)로 관통하도록 구성하여 몸체날개(30)의 말단이 날개체결부(63)에 대응 삽입되며, 날개체결부(63)에 삽입된 몸체날개(30)의 말단과 날개체결부(63)는 용접되어 체결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서, 몸체체결부(62)와 날개체결부(63)의 구성을 단순화 시킴과 동시에 몸체날개(30)와 날개체결부(63)의 끼움체결에 대한 용접체결로서 체결베이스(60)와 강관 말뚝의 견고한 체결을 실현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61), 몸체체결부(62)와 날개체결부(63)로 구성되는 하부(64) 및 높이를 형성하며 구성되는 체결베이스(60)를 이용하여 지상의 구조물(70)과 강관 말뚝을 체결할 때에, 도 5 내지 7와 같이 상기 몸체날개(30)는 강관몸체(10)의 말단 결착부가 절개되어 소정의 절개부(31)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체결부(62)는 몸체날개(30)의 절개부(31)에 내입되어 체결되도록 구성하여, 체결베이스(60)의 몸체체결부(62)와 강관몸체(10)의 말단이 보다 견고한 체결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가능하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강관몸체 11 : 선단
12 : 후단 20 : 보강머리
21 : 후면판 22 : 측면판
23 : 전면판 24, 24', 24" : 몰탈 분출구
30 : 몸체날개 31 : 절개부
40 : 보강날개 41 : 통기홀
50 : 삽입머리 60 : 체결베이스
61 : 상부 62 : 몸체체결부
63 : 날개체결부 64 : 하부
70 : 구조물 80 : 몰탈

Claims (9)

  1. 지상의 구조물(70)과 체결되어 구조물(70)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중에 설치되는 강관 말뚝에 있어서,
    일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의 강관몸체(10)와;
    상기 강관몸체(10)의 선단(11)에 체결되는 후면판(21)과 외부면에 판상의 보강날개(40)가 다수 개 체결되는 측면판(22) 및 원추형의 삽입머리(50)가 체결되는 전면판(23)이 순차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강관몸체(10)보다 큰 직경을 갖는 중공의 보강머리(20)와;
    상기 강관몸체(10)의 후단(12) 외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체결되는 판상의 몸체날개(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날개(30)는 보강날개(40)와 상호 교차되어 강관몸체(10)의 후단(12) 외부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몸체(10)의 중공과 보강머리(20)의 중공은 상호 통기 가능하고, 상기 후면판(21)은 보강머리(20)의 중공과 외부가 통기 가능하도록 하는 몰탈 분출구(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몸체(10)는 선단(11)이 보강머리(20)의 전면판(23)까지 연장구성되어 선단(11)과 전면판(23)이 상호 체결되고, 전면판(23)과 후면판(21) 사이에 내입된 일정 부분에 다수 개의 몰탈 분출구(24')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머리(50)는 다수 개의 판상 삽입날개가 상호 연계되어 다각 원추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몸체(10)의 중공과 보강머리(20)의 중공은 상호 통기 가능하고,
    상기 삽입머리(50)는 다수 개의 판상 삽입날개가 상호 연계되어 판상 삽입날개 사이 및 판상 삽입날개 간의 중심에 보강머리(20)의 중공과 통기 가능한 몰탈 분출구(24")를 더 포함하는 다각 뿔대형의 지지대(51)와; 상기 다각 뿔대형의 지지대(51)의 외부에 체결되는 원추형 커버(5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원추형 커버(52)는 보강머리(20)의 전면판(23)과 소정의 간격을 갖아 몰탈 분출구(24")로 분출되는 몰탈이 외부로 분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의 구조물(70)과 강관 말뚝의 체결은 지상의 구조물(70)과 체결되는 상부(61)와; 강관몸체(10)의 일측 말단과 체결되는 몸체체결부(62)와 몸체날개(30)와 체결되는 날개체결부(63)로 구성되는 하부(64);를 포함하여 일정의 높이를 형성하며 구성되는 체결베이스(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
  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날개(30)는 강관몸체(10)의 후단(12) 결착부가 절개되어 소정의 절개부(31)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체결부(62)는 몸체날개(30)의 절개부(31)에 내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체결부(62)는 강관몸체(10)의 일측 말단의 직경보다 큰 내주를 갖아, 강관몸체(10)의 일측 말단이 끼워져 내입가능하고,
    상기 날개체결부(63)는 각각의 몸체날개(30)에 대응하는 판상이 체결판 형태로 구성되어 몸체날개(30)는 볼트와 너트로서 날개체결부(63)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체결부(62)는 구성되지 아니하고,
    상기 날개체결부(63)는 체결베이스(60)의 하부(64)에서 상부(61)로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몸체날개(30)의 말단이 날개체결부(63)에 대응 삽입되며, 날개체결부(63)에 삽입된 몸체날개(30)의 말단과 날개체결부(63)는 용접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
KR1020110019829A 2011-03-07 2011-03-07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 KR101329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829A KR101329772B1 (ko) 2011-03-07 2011-03-07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829A KR101329772B1 (ko) 2011-03-07 2011-03-07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1801A true KR20120101801A (ko) 2012-09-17
KR101329772B1 KR101329772B1 (ko) 2013-11-15

Family

ID=47110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829A KR101329772B1 (ko) 2011-03-07 2011-03-07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77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66606A (zh) * 2013-04-18 2013-08-28 中天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加强破土能力的桩尖
KR101417636B1 (ko) * 2013-05-03 2014-07-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시공용 가이드 및 이를 활용한 풍력발전 하부구조물의 시공방법
CN107460870A (zh) * 2017-09-21 2017-12-12 河海大学 一种近海滩涂水文观测站用桩杆
KR20180043472A (ko) * 2016-10-20 2018-04-30 진흥산업주식회사 전주 설치용 베이스 조립체
CN109252529A (zh) * 2018-11-12 2019-01-22 同济大学浙江学院 一种端部延伸注浆钢管土钉
CN110410121A (zh) * 2019-08-09 2019-11-05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破碎岩体锚杆支护装置
KR20200001808A (ko) * 2018-06-28 2020-0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류용 파일 및 이의 설치 방법
US20220205206A1 (en) * 2020-12-31 2022-06-30 Ryan Ayers Mechanical Soil Stabilizer and Method for Soil Stabiliz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154B1 (ko) 2013-12-12 2015-11-03 (주)케이에스텍 지주용 스크류 파일
KR101624897B1 (ko) * 2014-10-02 2016-05-27 주식회사 제이에스그린 기초파일
KR101837951B1 (ko) * 2016-07-06 2018-03-13 장성근 도로시설물 지주 고정용 파일
KR101750435B1 (ko) * 2016-09-01 2017-07-03 이강석 강관주
KR102055189B1 (ko) * 2017-06-27 2019-12-13 (주)태진에스티아이 강관주 설치용 하부 베이스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8336B2 (ja) * 1992-01-29 1995-08-23 日本地工株式会社 パンザマスト基礎杭とその打設工法
KR960004092Y1 (ko) * 1992-10-08 1996-05-21 정병수 지주받침용 지지봉
KR100861938B1 (ko) * 2008-05-27 2008-10-09 (주)신성피씨 연약지반 보강 앵커 및 상기 앵커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58696B1 (ko) * 2009-06-01 2010-05-18 한창헌 쐐기력을 이용한 프리텐션 네일공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66606A (zh) * 2013-04-18 2013-08-28 中天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加强破土能力的桩尖
KR101417636B1 (ko) * 2013-05-03 2014-07-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시공용 가이드 및 이를 활용한 풍력발전 하부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80043472A (ko) * 2016-10-20 2018-04-30 진흥산업주식회사 전주 설치용 베이스 조립체
CN107460870A (zh) * 2017-09-21 2017-12-12 河海大学 一种近海滩涂水文观测站用桩杆
KR20200001808A (ko) * 2018-06-28 2020-0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류용 파일 및 이의 설치 방법
CN109252529A (zh) * 2018-11-12 2019-01-22 同济大学浙江学院 一种端部延伸注浆钢管土钉
CN109252529B (zh) * 2018-11-12 2023-11-28 同济大学浙江学院 一种端部延伸注浆钢管土钉
CN110410121A (zh) * 2019-08-09 2019-11-05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破碎岩体锚杆支护装置
US20220205206A1 (en) * 2020-12-31 2022-06-30 Ryan Ayers Mechanical Soil Stabilizer and Method for Soil Stabilization
US11879229B2 (en) * 2020-12-31 2024-01-23 Ryan Ayers Mechanical soil stabilizer and method for soil stabil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9772B1 (ko) 201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772B1 (ko) 구조물 지지용 강관 말뚝
US9157207B2 (en) Composite pile formed of interconnected rigid hollow tubes
US20130031857A1 (en) Anchor system for securing a concrete wall panel to a supporting concrete foundation
ES2562757T3 (es) Construcción de cimentación de una instalación marítima, particularmente de un aerogenerador marítimo, a instalar de manera silenciosa, y procedimiento de montaje para ello
KR100930829B1 (ko) 락볼트 연결용 커플러를 갖는 판넬
KR101510297B1 (ko) 제거 가능한 프리스트레싱 강관 쏘일 네일링 구조
JP2981213B1 (ja) 基礎杭と建物・建築物躯体構造
KR101506953B1 (ko) 목재 데크로드의 기둥결속을 위한 기초철물
US201102143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signs to concrete road barriers
US6799401B1 (en) Hollow pole anchoring system
US20100126085A1 (en) Swimming Pool Brace Assembly
US20190145075A1 (en) Collar and anchor kits
KR101406217B1 (ko) 신설 및 기존 건물의 침하 발생 방지를 위한 기초슬래브와 파일의 결합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JP2011184870A (ja) 標識類連結用アンカー杭
JP4108690B2 (ja) 落石防止柵
KR101784114B1 (ko) 지주 기초석 구조
KR101864173B1 (ko) 원지반 부착식 자연암반형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US20040148878A1 (en) Garden stake support
JP2015113563A (ja) 螺旋杭および埋設方法
KR101345397B1 (ko) 가설방음벽용 포스트 부재
KR102043124B1 (ko) 기능성 앵커 지압판
KR102054172B1 (ko) 설치 해체가 용이한 일반 토공사 흙막이 및 시공공법
US11459784B2 (en) Anchor disc device
KR101085796B1 (ko) 콘크리트 기초 일체형 기둥 정착구조
KR101224872B1 (ko) 섬유보강재를 이용한 자연석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