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9913A -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9913A
KR20120099913A KR1020110018431A KR20110018431A KR20120099913A KR 20120099913 A KR20120099913 A KR 20120099913A KR 1020110018431 A KR1020110018431 A KR 1020110018431A KR 20110018431 A KR20110018431 A KR 20110018431A KR 20120099913 A KR20120099913 A KR 20120099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transparent window
transparent
pointer
drawing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4526B1 (ko
Inventor
박재현
Original Assignee
박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현 filed Critical 박재현
Priority to KR20110018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526B1/ko
Priority to PCT/KR2011/007244 priority patent/WO2012118256A1/ko
Priority to CN201180070569.XA priority patent/CN103688239B/zh
Publication of KR20120099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9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09G2340/125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wherein one of the images is motion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상에 포인터 움직임에 따른 그리기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 투명 윈도를 적용함으로써, 다른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내용에 영향을 받지 않고 포인터 움직임을 따르는 그리기 동작의 의한 결과를 항상 표시되게 할 수 있는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은, 투명 윈도의 속성 및 상기 투명 윈도 상에 포인터의 이동을 따라 그려지는 그림의 속성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투명 윈도의 속성을 따르는 투명 윈도를 최상위 윈도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투명 윈도 상에 상기 포인터 이동을 따르는 그리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 이동을 따르는 그리기 동작을 일시 중단하는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그리기 동작을 일시 중단하는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그리기 동작에 의한 결과물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기 투명 윈도 하부의 상기 포인터 위치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METHOD FOR DRAWING USING A TRANSPARENT WINDOW}
본 발명은 투명 윈도를 위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상에 포인터 움직임에 따른 그리기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 투명 윈도를 적용함으로써, 다른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내용에 영향을 받지 않고 포인터 움직임을 따르는 그리기 동작의 의한 결과를 항상 표시되게 할 수 있는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상에 포인터 등을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는 기법은,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 전체를 캡쳐한 후 캡쳐된 화면 상에 그림을 그리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그림을 그리기 위한 캡쳐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그림을 그리기 동작의 실행 중에 다른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다른 응용 프로그램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특히, 종래의 방식은 캡쳐된 정지 화면을 이용하므로, 동영상 강의 등과 같은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동시에 그리기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그리기 동작을 실행하면서 인터넷 등을 통한 다른 컨텐츠를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여러 가지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기법들이 제안되었으나, 컴퓨터 시스템에 별도의 부가 하드웨어를 구비하여야 함에 따라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거나, 컴퓨터 시스템의 다른 부분에 영향을 주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상에 포인터 움직임에 따른 그리기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 투명 윈도를 적용함으로써, 다른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고 있는 내용에 영향을 받거나 영향을 미치지 않고 그리기가 가능한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투명 윈도의 속성 및 상기 투명 윈도 상에 포인터의 이동을 따라 그려지는 그림의 속성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투명 윈도의 속성을 따르는 투명 윈도를 최상위 윈도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투명 윈도 상에 상기 포인터 이동을 따르는 그리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 이동을 따르는 그리기 동작을 일시 중단하는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그리기 동작을 일시 중단하는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투명 윈도 하부의 상기 포인터 위치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그리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본 발명의 투명도에 의해서 제어되는 투명 윈도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그리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본 발명의 투명윈도는 마우스나 키보드 등 기타 입력장치의 이벤트를 받지 않고 그대로 통과하는 클릭 쓰루(Click Through)가 되는 투명윈도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투명 윈도가 최상위 윈도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 윈도가 최상위 윈도가 아닌 경우, 상기 투명 윈도를 다시 최상위 윈도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투명 윈도가 최상위 윈도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사전 설정된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포인터 위치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이후, 사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거나, 사전 설정된 복귀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그리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투명 윈도의 속성은, 상기 투명 윈도의 투명도, 크기, 모양, 위치, 색상 및 밝기에 대한 정보, 상기 동작을 일시 중단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그림의 속성은, 상기 그림을 그리는 포인터의 크기 및 모양과, 상기 그림의 선 굵기 및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포인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일반적인 입력 장치로, 키보드, 마우스, 레이저 포인터 및 리모콘, 또한 터치 입력을 받는 터치 패드, 적외선 터치 센서, 초음파 터치 센서, 카메라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에 의해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그리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복수 개의 상기 투명 윈도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 개의 투명 윈도를 이용하여 상기 포인터의 이동을 따르는 그리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투명 윈도는 다양한 기법을 통해 투명 윈도를 만들 수 있으며, 입력장치의 이벤트를 그대로 통과하는 클릭 쓰루(Click-Trough) 투명 윈도 중 적어도 둘 이상의 과정을 이용하여 제작된 투명 윈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투명 윈도는 상호 상이한 투명도와 다른 투명 방법을 가지며, 상기 복수 개의 투명 윈도 중 적어도 하나는 최상위 투명 윈도로 설정하고 상기 포인터에 의한 입력값을 입력 받는데 적용되며, 전체 투명 윈도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최상위 윈도가 입력 받은 입력값에 따라 그림을 그리는데 적용되어 다양한 이중(Double)그리기, 삼중(Triple)그리기, 입체 그리기, 투명/불투명 그리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 윈도를 적용하고 투명 윈도 상에 그리기를 실행함으로써 실행중인 동영상이나 다른 응용프로그램을 함께 디스플레이 하고 활용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그리기 동작을 위한 입력을 제외한 나머지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현재까지 그리기 된 결과물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해당 포인팅 위치에 대응되는 투명 윈도 하부의 기능들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그리기 동작을 수행 중에도 다른 응용 프로그램 및 다른 컴퓨터 기능들을 실행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투명 윈도를 최상위 윈도로 유지하기 위한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투명 윈도가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의 투명 윈도가 실행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투명 윈도 실행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투명 윈도의 속성 및 투명 윈도 상에 그려지는 그림에 관련된 그림 속성을 설정하는 단계(S11)와, 상기 설정된 투명 윈도 속성에 따라 투명 윈도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투명 윈도 상에 그리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S12)와, 상기 포인터 이동을 따르는 그리기 동작을 일시 중단하는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13) 및 상기 그리기 동작을 일시 중단하는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투명 윈도 하부의 상기 포인터 위치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S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가 포인터를 이용하여 그림 그리기를 수행하기 위해서, 먼저 사용자는 그림 그리기를 수행하는 배경이 되는 투명 윈도를 실행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는,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일반적인 입력 장치로, 키보드, 마우스, 레이저 포인터 및 리모콘, 또한 터치 입력을 받는 터치 패드, 적외선 터치 센서, 초음파 터치 센서, 카메라 터치 센서 등과 같이 다양한 사용자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투명 윈도의 속성 및 투명 윈도 상에 그려지는 그림에 관련된 속성을 사전에 결정하거나 투명 윈도의 실행 명령 시 결정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사전에 결정되거나 사용자의 투명 윈도 실행 명령과 함께 결정된 투명 윈도의 속성 및 투명 윈도 상에 그려지는 그림에 관련된 속성을 설정(S11)하고 그에 따른 투명 윈도를 디스플레이 (S12)하는 중간에
사용자가 투명 윈도의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면(예를 들어, 아이콘의 더블 클릭에 의한 실행 명령), 그리기 동작 수행을 중지하고 윈도속성을 변경하여 투명윈도 하부의 해당 포인터 위치에 대응되는 기능 수행(S14)인 더블클릭이 실행 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투명 윈도의 속성은, 상기 투명 윈도의 투명도, 크기, 모양, 위치, 색상 및 밝기에 대한 정보와, 그리기 동작을 일시 중단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림의 속성은, 상기 그림을 그리는 포인터의 크기 및 모양과, 상기 그림의 선 굵기 및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되는 투명 윈도는 최상위 윈도로 설정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 상에 다른 응용 프로그램이나 윈도가 실행 중인 경우에도, 투명 윈도가 최상위 윈도로 설정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투명 윈도의 속성 중 투명 비율이 100%로 설정된 경우에, 디스플레이 화면 상 투명 윈도가 최상위로 존재하더라도 기존에 실행 중이던 응용 프로그램이나 윈도를 그대로 볼 수 있다.
상기 투명 윈도는, 이미 알려진 기술로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 체제(예를 들어, 윈도 XP, 윈도 Vista, 윈도 7, MAC, Linux 등)에서 정의된 기본 윈도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법을 적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구현하자고 하는 투명 윈도는 직접 픽셀(Pixel)을 제어 하여 한 화면의 윈도색과 나머지 윈도색을 직접 비트(Bit)값을 섞어서 투명 윈도를 만드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윈도를 만들 때 빈 화면에 아무것도 없이 크기와 영역만 존재하는 투명윈도가 있다. 그리고, 예전 Microsoft사의 Win98 시절부터 있어왔던 투명 윈도에 대한 기술로 알파 블렌딩(Alpha Blending)기법으로 이 기술은 화면의 한 화면과 나머지 화면에 대한 투명도(ALPHA)에 의한 투명 화면을 만드는 투명 윈도이다. 그리고 또한 특정 마스킹 색상을 이용하여 윈도에서 그 마스크 색상만 지워서 투명하게 만드는 투명 윈도도 있다. 그리고, 최근 Vista와 Win7부터는 본격적인 투명 처리에 대한 기법들이 연구되면서 다양한 투명 윈도 기법들이 나왔는데 최근에는 레이어 처리된 윈도 속성을 통한 투명 윈도도 나왔다. 마지막으로 이런 투명한 윈도 자체에 메시지 이벤트를 받지 않고 그대로 통과하는 클릭쓰루 (Click-Through) 기법을 통한 투명 윈도들도 나오고 있다.
포인터 이동을 통해 그리기 동작이 실행되면, 최상위에 존재하는 투명 윈도에 그림이 그려지게 되므로, 기존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이나 윈도에 의해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고, 원하는 그림을 그릴 수 있다.
도 3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투명 윈도가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도 3의 (a)는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화면(30) 상에 투명 윈도(40)가 배치된 예를 도시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 윈도의 하부에 동영상 강의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31)을 실행하여 동영상 강의를 시청하면서, 포인터를 이용하여 투명 윈도(40) 상에 그리기 동작을 수행하여 동영상 강의에 대한 메모(32) 등을 디스플레이 상에 기재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포인터 이동을 따르는 그리기 동작을 일시 중단하는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13) 및 상기 그리기 동작을 일시 중단하는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투명 윈도 하부의 상기 포인터 위치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S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투명 윈도는 그리기 동작을 위한 입력을 제외한 나머지 입력에 대해서 투명 윈도가 존재하지 않는 것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윈도를 클릭쓰루(Click-Through)가 되게 만듦으로써, 다른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되는 그 하부에 배치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예가 도 3에 도시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윈도(40)를 이용하여 동영상 강의(31)를 시청하면서 특정 영역(32)에 그리기를 수행하던 중, 인터넷 검색이 필요한 경우를 가정한다. 포인터(33)를 투명 윈도 하부의 바탕화면에 존재하는 인터넷 브라우져 실행 아이콘(34) 상으로 이동시키고 더블 클릭을 실시한다. 이 더블 클릭은 사용자가 그림을 그리는 것을 중단하는 입력으로 인식될 수 있다.
투명 윈도가 디스플레이 되는 동안, 사용자의 더블 클릭은 그리기 동작을 위한 입력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고, 이에 따라 포인터(33)가 존재하는 위치에 대응되는 투명 윈도 하부의 아이콘(34)이 더블 클릭된 것으로 입력되면서, 도 3의 (b)와 같이 인터넷 브라우져(31')가 실행될 수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그리기 내용은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포인터 위치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S14) 이후, 사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거나, 사전 설정된 복귀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그리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S12)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수시로 이루어지는 투명 윈도의 최상위 윈도화 과정(S13 및 S14)에 의해 투명 윈도(40)는 다시 최상위 윈도가 될 수 있으며, 다시 투명 윈도 상의 일 영역(35)에 그리기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그리기 동작을 위한 입력을 제외한 나머지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포인팅 위치에 대응되는 투명 윈도 하부의 기능들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그리기 동작을 수행 중에도 다른 응용 프로그램 및 다른 컴퓨터 기능들을 실행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투명 윈도를 최상위 윈도로 유지하기 위한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투명 윈도가 최상위 윈도인지 판단하는 단계(S21) 및 상기 투명 윈도가 최상위 윈도가 아닌 경우, 상기 투명 윈도를 다시 최상위 윈도로 설정하는 단계(S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림 그리기 동작이 끊김 또는 지워짐 현상 없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투명 윈도 상에 그리기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사전 설정된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투명 윈도가 최상위 윈도인지 점검하고(S21), 최상위 윈도가 아닌 경우에는 자동으로 투명 윈도를 최상위 윈도가 되도록 설정(S22)해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다른 응용 프로그램이나 윈도의 동작과는 상관 없이 지워짐이나 끊김이 없이 그림 그리기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복수의 투명 윈도를 배치하여 그림 그리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의 투명 윈도(40, 41)가 실행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상기 복수 개의 투명 윈도는, 전술한 다양한 투명 윈도 제작 기법 중 서로 다른 둘 이상의 기법으로 제작된 투명 윈도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투명 윈도는, 상기 배경기술에서 언급한대로 알파블렌딩 기법과 직접 픽셀 처리,. 레이어 처리된 윈도속성, 빈 화면으로 만든 투명윈도, 클릭쓰루, 중 적어도 둘 이상의 과정을 이용하여 제작된 투명 윈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투명 윈도는 상호 상이한 투명도를 가지며, 상기 복수 개의 투명 윈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포인터에 의한 입력값을 입력 받는데 적용되고, 전체 투명 윈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입력값에 따라 그림을 그리는데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투명윈도를 통해 그리기를 할 경우, 그리는 화면 자체가 투명해지기 때문에 그리기 자체가 투명해지게 된다. 따라서 그리기를 불투명하게 할 경우에는 다른 투명에 그리기를 하면 불투명하게 그리기를 할 수가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투명 윈도(40, 41)을 적용하고, 적용하고, 도4의 최상위 투명 윈도(41)의 투명도를 최소로 낮춰서 하부가 그대로 다 보이도록 하고 그 밑에 다른 투명(40)를 만드는데 이 투명도로 만드는 윈도가 아닌 빈 화면의 투명윈도를 만들어서 그리기를 하면 투명윈도(40)은 불투명하게 그릴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 및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30: 디스플레이 화면 31: 실행 중 윈도
32, 35: 그리기가 수행된 영역 33: 포인터(펜)
34: 아이콘 31: 신규 실행된 윈도
40: 투명 윈도 41: 최상위 투명 윈도

Claims (16)

  1. 투명 윈도의 속성 및 상기 투명 윈도 상에 포인터의 이동을 따라 그려지는 그림의 속성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투명 윈도의 속성을 따르는 투명 윈도를 최상위 윈도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투명 윈도 상에 상기 포인터 이동을 따르는 그리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 이동을 따르는 그리기 동작을 일시 중단하는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그리기 동작을 일시 중단하는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그리기 동작에 의한 결과물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기 투명 윈도 하부의 상기 포인터 위치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윈도가 최상위 윈도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 윈도가 최상위 윈도가 아닌 경우, 상기 투명 윈도를 다시 최상위 윈도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윈도가 최상위 윈도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사전 설정된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윈도의 속성은,
    상기 투명 윈도의 투명도, 크기, 모양, 위치, 색상 및 밝기에 대한 정보, 상기 동작을 일시 중단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의 속성은,
    상기 그림을 그리는 포인터의 크기 및 모양과, 상기 그림의 선 굵기 및 색상, 모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일반적인 입력 장치로, 키보드, 마우스, 레이저 포인터 및 리모콘, 그리고 터치 입력을 받는 터치 패드, 적외선 터치 센서, 초음파 터치 센서, 카메라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에 의해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복수 개의 상기 투명 윈도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 개의 투명 윈도를 이용하여 상기 포인터의 이동을 따르는 그리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윈도는,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 체제에서 제공하는 기본 윈도의 색상과 상기 기본 윈도가 배치되는 영역의 하부 영역의 색상을 직접 픽셀(Pixel)로 제어하여 사전 설정된 투명 비율에 따라 픽셀 혼합하여, 상기 기본 윈도를 상기 투명 윈도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제어 방법.
  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윈도는,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 체제에서 제공하는 기본 윈도를 만들 때 크기와 모양 만을 결정하고, 화면은 빈 화면으로 함으로써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제어 방법.
  10.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윈도는,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 체제에서 제공하는 기본 윈도에서 삭제할 마스크 색상(Mask Color)을 지정하고, 상기 지정한 마스크 색상으로 상기 해당 기본 윈도 내에서 상기 마스크 색상 영역만을 제거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제어 방법.
  11.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윈도는,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 체제에서 제공하는 기본 윈도의 레이어(Layer) 윈도 속성의 투명도(ALPHA)에 따라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제어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투명 윈도는,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 체제에서 제공하는 기본 윈도의 색상과 상기 기본 윈도가 배치되는 영역의 하부 영역의 색상을 직접 픽셀(Pixel)로 제어하여 사전 설정된 투명 비율에 따라 픽셀 혼합하여, 상기 기본 윈도를 상기 투명 윈도로 제작하는 제1 제작 기법;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 체제에서 제공하는 기본 윈도의 크기와 모양 만을 결정하고, 화면은 빈 화면으로 처리함으로써 상기 투명 윈도를 제작하는 제2 제작 기법;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 체제에서 제공하는 기본 윈도에서 삭제할 마스크 색상(Mask Color)을 지정하고, 상기 지정한 마스크 색상으로 상기 해당 기본 윈도 내에서 상기 마스크 색상 영역만을 제거하여 상기 투명 윈도를 제작하는 제3 제작 기법; 및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 체제에서 제공하는 기본 윈도의 레이어(Layer) 윈도 속성의 투명도(ALPHA)에 따라 상기 투명 윈도를 제작하는 제4 제작 기법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제작 기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투명 윈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투명 윈도는 상호 상이한 투명도를 가지며, 상기 복수 개의 투명 윈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포인터에 의한 입력값을 입력 받는데 적용되고, 상기 전체 투명 윈도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입력값에 따라 그림을 그리는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윈도 하부의 상기 포인터 위치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의 입력 이벤트를 그대로 통과 시키는 클릭쓰루(Click-Through) 윈도로 속성 변경 하거나 또는 윈도 영역을 지워서 이벤트를 통과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윈도 하부의 상기 포인터 위치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 위치에서 해당 투명 윈도가 사용자 입력 이벤트를 받고 그 투명 윈도 아래에 있는 윈도에게 이벤트를 전달 또는 생성 시켜서 이벤트를 통과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위치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이후, 사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거나, 사전 설정된 복귀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그리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
KR20110018431A 2011-03-02 2011-03-02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 KR101334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18431A KR101334526B1 (ko) 2011-03-02 2011-03-02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
PCT/KR2011/007244 WO2012118256A1 (ko) 2011-03-02 2011-09-30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
CN201180070569.XA CN103688239B (zh) 2011-03-02 2011-09-30 利用透明窗口的绘图动作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18431A KR101334526B1 (ko) 2011-03-02 2011-03-02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913A true KR20120099913A (ko) 2012-09-12
KR101334526B1 KR101334526B1 (ko) 2013-11-28

Family

ID=46758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18431A KR101334526B1 (ko) 2011-03-02 2011-03-02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34526B1 (ko)
CN (1) CN103688239B (ko)
WO (1) WO20121182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6283A1 (ko) * 2013-02-18 201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81385B (zh) * 2014-09-17 2017-03-15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输入法虚拟键盘的调整方法和输入法装置
CN106648432A (zh) * 2016-12-26 2017-05-10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大屏显示设备的控制方法和控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600B1 (ko) * 2000-04-17 2003-04-21 (주)네이스텍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방법
JP4574113B2 (ja) * 2000-09-08 2010-11-04 株式会社デジタル・ナレッジ 表示画面に付加情報を重畳表示するためのファイルを作成する装置及び磁気記録媒体
KR20020096219A (ko) * 2001-06-19 2002-12-31 (주)엔제이프로 반투명 그림창을 이용한 프리젠테이션용 그래픽 툴 제공방법
KR100593837B1 (ko) * 2001-10-17 2006-07-03 박남교 인터넷 동영상에 연동 기능을 부가한 능동적 학습 자료제공 방법
US7830372B2 (en) * 2004-08-30 2010-11-09 Qnx Software Systems Gmbh & Co. K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ransparent access to hardware graphic layers
JP2006251000A (ja) * 2005-03-08 2006-09-21 Fujitsu Ltd 重畳表示可能なディスプレイコントローラ
CN100451956C (zh) * 2006-05-24 2009-01-14 北京壁虎科技有限公司 基于绘图引擎的屏幕显示方法
US8191003B2 (en) * 2007-02-14 2012-05-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transparent windows
CN101739202B (zh) * 2009-11-06 2011-11-30 谢达 一种局部会自动透视的用户界面显示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6283A1 (ko) * 2013-02-18 201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US10474312B2 (en) 2013-02-18 2019-11-12 Lg Electronics Inc. Operation method of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18256A1 (ko) 2012-09-07
CN103688239B (zh) 2016-07-06
KR101334526B1 (ko) 2013-11-28
CN103688239A (zh)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0755B2 (en) System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US9658766B2 (en) Edge gesture
CN110597444B (zh) 一种书写笔迹显示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US201402234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uitive user interaction between multiple devices
US20120304107A1 (en) Edge gesture
US20120304132A1 (en) Switching back to a previously-interacted-with application
US20130219343A1 (en) Thumbnail-image selection of applications
US20120304114A1 (en) Managing an immersive interface in a multi-application immersive environment
WO2021068366A1 (zh) 智能交互平板的书写操作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EP2715504A1 (en) Edge gesture
CA2835931A1 (en)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JP2014220720A (ja) 電子機器、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651079A (zh) 书写笔迹显示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03076984A (zh) 触摸屏交互方法和系统
KR101334526B1 (ko)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
JP2009116727A (ja) 画像入力表示装置
WO2023134655A1 (zh) 操作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41778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15018426A (ja) 情報表示装置
US10156976B2 (en) System and method in managing low-latency direct control feedback
JP2009301523A (ja) タッチパネル式操作電子機器
TWI566162B (zh) 圖形化使用者界面之智慧圖示選擇方法
TWI687863B (zh) 顯示裝置與其的操作方法
CN110851066B (zh) 一种支持多显示屏触控的方法和装置
US20140040799A1 (en) Efficient usage of screen real estate on a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