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26283A1 -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26283A1
WO2014126283A1 PCT/KR2013/001264 KR2013001264W WO2014126283A1 WO 2014126283 A1 WO2014126283 A1 WO 2014126283A1 KR 2013001264 W KR2013001264 W KR 2013001264W WO 2014126283 A1 WO2014126283 A1 WO 201412628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 screen
screen
screens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126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경민
공용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768,378 priority Critical patent/US10474312B2/en
Priority to PCT/KR2013/001264 priority patent/WO2014126283A1/ko
Publication of WO201412628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2628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8Suspend and resume; Hibernate and awa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0Mixing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an operation, e.g. adding, o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can switch the screen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for making voice and video calls,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and storing data.
  • the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s are diversified, they are equipped with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pictures or videos, playing music files or video files, playing games, receiving broadcasts, wireless Internet, and the like. It is implemented in the form.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terminal includes displaying a window screen of a foreground task at the top, and one or more window screens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layers below the window screen of the foreground task. Entering a stacked window screen moving mode,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window screens according to a user's moving command, and changing a transparency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window screen stacked on the selected window screen among the plurality of window screens And receiving an input for determining the selected window screen, displaying the selected window screen as a foreground screen, and ending the window screen moving mode.
  •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terminal includes stacking and displaying a plurality of window screens in a plurality of layers,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window screens according to a user's moving command, and a plurality of window screens. Changing the transparency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window screen stacked on the selected window screen and displaying the selected window screen in full screen upon receiving an input for determining the selected window screen.
  • the screen and the task can be switched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9 to 15 are views for explaining various embodiments of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rtable terminal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camera, a navigation computer, a tablet computer ( tablet computer, e-book terminal, and the like.
  •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 camera a navigation computer
  • tablet computer tablet computer, e-book terminal, and the like.
  •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merely given in consideration of ease of prepara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o not give particular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Therefore, the “module” and “uni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functions.
  •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d a memory. 160, an interface unit 170, a controller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included. Such components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two or more components into one component, or by dividing one or more components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cessary when implemented in an actual application.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7, and a GPS module 119.
  •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t least one of a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 terrestrial channel, and the like.
  •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mean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a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pre-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a terminal.
  •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not only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but also a broadcast signal having a data broadcast signal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this case,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using various broadcast systems, and in particula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and media forward link only (MediaFLO). ), Digital broadcast signals may be received using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such as DVB-H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and ISDB-T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 Digital broadcast signals may be received using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such as DVB-H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and ISDB-T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ll broadcast systems providing broadcast signals as well as such digital broadcast systems.
  • 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voice call signal, video call signal, or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may be embedded or external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may include Wireless LAN (Wi-Fi), Wireless Broadband (Wibro),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and the like.
  •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7 refers to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the like may be used.
  •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 UWB Ultra Wideband
  • ZigBee ZigBee
  •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 the GPS (Global Position System) module 119 receives posi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 the A / V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3.
  • the camera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all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wo or more cameras 121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pect of the terminal.
  • the microphone 123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and output in the call mode.
  • the microphone 123 may use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 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key input data input by the us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 the user input unit 130 may be configured of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constant voltage / capacitance), etc. that may receive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ressing or touch manipulation.
  • the user input unit 130 may be configured as a jog wheel or a jog method or a joystick that rotates a key, a finger mouse, or the like.
  • the touch pad form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unit 151 to be described later,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 the sensing unit 140 detects a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such as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contac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Generate a sensing signal.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may be sensed. In addition, it may be responsible for sensing functions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supplied with power,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a pressure sensor 143, a motion sensor 145, and the like.
  • the proximity sensor 141 may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an object present in the vicinity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without mechanical contact.
  • the proximity sensor 141 may detect a proximity object by using a change in an alternating magnetic field or a change in a static magnetic field, or by using a change rate of capacitan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which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user is holding. Two or more proximity sensors 141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pect.
  • the pressure sensor 143 may detect whether pressure is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nd the like.
  • the pressure sensor 143 may be installed at a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at requires the detection of pressure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 a touch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and a greater pressure than the touch input are applied according to a signal output from the pressure sensor 143.
  • the pressure touch input can be identified.
  • the signal output from the pressure sensor 143 it can also know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display unit 151 when the pressure touch input.
  • the pressure sensor 143 may be detected to detect which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held by the user.
  • the motion sensor 145 detects th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or the like.
  • the acceleration sensor that can be used for the motion sensor 145 is an element that converts an acceleration signal in one direction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is widely used with the development of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technology.
  • 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 Accelerometers measure the acceleration of a large value embedded in an airbag system of a car and used to detect a collision, and to measure the acceleration of a minute value used as an input means such as a game by recognizing a minute motion of a human hand.
  • Accelerometers are usually configured by mounting two or three axes in one package.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nly one axis may be needed. Therefore, if for some reason it is necessary to use the acceleration sensor in the X-axis or Y-axis direction instead of the Z-axis direction, the acceleration sensor may be mounted on the main substrate using a separate engraving substrate.
  • the gyro sensor is a sensor for measuring the angular velocity, and may sense a direction returned to the reference direction.
  •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sensors for user authentication.
  • a sensor for recognizing body temperature, fingerprint, iris, face, etc. may be provided and required according to a user authentication method set in the mobile terminal 100.
  • a sensor may be provided.
  • the output unit 15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n alarm signal.
  • 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3, an alarm unit 155, and a haptic module 157.
  •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a call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the call.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display a captured or received image, respectively, or simultaneously, and display a UI and a GUI.
  • UI user interface
  • GUI graphic user interface
  •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touch pad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and constitute a touch screen
  • the display unit 151 is an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May also be used.
  •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touch screen panel and a touch screen panel controller.
  • the touch screen panel is a transparent panel attached to the outsid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al bu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 the touch screen panel keeps an eye on the contact result and sends corresponding signals to the touch screen panel controller when there is a touch input.
  • the touch screen panel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s and then transmits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so that the controller 180 can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touch input and which area of the touch screen has been touched.
  • 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mposed of an electronic paper (e-Paper).
  • Electronic paper e-Paper
  • e-Paper is a kind of reflective display that has excellent visual characteristics with high resolution, wide viewing angle and bright white background like conventional paper and ink.
  • the e-paper can be implemented on any substrate such as plastic, metal, paper, etc., and the image is maintained even after the power is cut off, and there is no back light power, so the battery life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ng. Can be maintained.
  • As the electronic paper hemispherical twist balls filled with electrostatics may be used, or electrophoresis and microcapsules may be used.
  •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3D display).
  •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may exist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ex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and the in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may be simultaneously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 the sound output module 153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ound output module 153 outputs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nd a message reception sound.
  • the sound output module 153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 the alarm unit 155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and the like.
  • the alarm unit 155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 the signal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vibration.
  • the alarm unit 155 may output a signal to inform the call signal when the call signal or the message is received.
  • the key signal is input, the alarm unit 155 may output the signal as a feedback to the key signal input.
  • the user may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n event through the signal output from the alarm unit 155.
  • the signal for notifying the event occurrence i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als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sound output module 153.
  • the haptic module 157 generates various haptic effects that a user can feel.
  •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7 is a vibration effect.
  • the haptic module 157 When the haptic module 157 generates vibration by the tactile effect,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7 may be converted, and may be output by combining different vibrations or sequentially.
  • the haptic module 157 may be operated by a pin array that vertically moves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by the stimulation through the injection force or the suction force of the air through the injection or inlet, or by the stimulus that strikes the skin surface.
  • Various tactile effects can be generated, such as effects of stimulation through contact of electrodes, effects of stimulation using electrostatic force, and effects of reproducing cold / warm feeling using elements capable of endothermic or exothermic heat.
  • the haptic module 157 may not only deliver the haptic effect through direct contact, but also may realize the haptic effect through the muscle sensation of a user's finger or arm. Two or more haptic modules 157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 configuration aspect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memory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180 and may provid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or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It can also be done.
  • input or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 the memory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M
  • the storage medium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perat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50 on the Internet.
  •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 wired / wireless headsets, external chargers, wired / wireless data ports, memory cards,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cards, and user identity module (UIM) cards.
  •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 UIM user identity module
  • the interface unit 170 may receive data from such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 power and transmit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may transmit data in the mobil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
  •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onnected cradle is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from the cradle by the user may be carried. It may be a passage that is delivered to the terminal 100.
  • 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unit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playback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 the multimedia playback module 181 may be configured in hardware in the controller 180 or may be configured in software separately from the controller 180.
  • 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 the portable terminal 1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may be configured to be operable in a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through a frame or packet, including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satellite based communication system. have.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2.
  •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appearance.
  • a bar type portable terminal having a front touch screen among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folder type, a bar type, a swing type, a slider type, and the lik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bar type portable terminal, but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portable terminals including the aforementioned type.
  • the case forming the exterior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formed by the front case 100-1 and the rear case 100-2.
  •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100-1 and the rear case 100-2.
  • the front case 100-1 the display unit 151, the first audio output module 153a, the first camera 121a, and the first to third user input units 130a, 130b, and 130c are provided.
  • the fourth user input unit 130d, the fifth user input unit 130e, and the microphone 123 may be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rear case 100-2.
  • 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touch pad is overlapped in a layer structure so that the display unit 151 operates as a touch screen to input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 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3a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 the first camera 121a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suitab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video of a user or the like.
  • the microphone 123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suitable for receiving a user's voice or other sound.
  • the first to fifth user input units 130a, 130b, 130c, 130d, and 130e and the sixth and seventh user input units 130f and 130g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user input unit 130, and the user may feel tactile. Any manner may be employed as long as it is a tactile manner.
  • the user input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pad capable of receiving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ressing or touch manipulation, or a manipulation method such as a wheel or jog or a joystick that rotates a key. Or the like.
  • the first to third user input units 130a, 130b, and 130c are for inputting commands such as start, end, scroll, and the like
  • the fourth user input unit 130d is for inputting a selection of an operation mode or the like. It is for.
  • the fifth user input unit 130e may operate as a hot-key for activating a special function in the mobile terminal 100.
  • a second camera 121b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of the rear case 100-2, and the sixth and seventh user inputs 130f, 130g) and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disposed.
  • the second camera 121b may have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camera 121a, and may have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camera 121a.
  • a flash (not shown) and a mirror (not shown) may b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121b.
  • another camera may be further provided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121b to be used for capturing a 3D stereoscopic image.
  • the flash shines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with the second camera 121b.
  • the mirror allows the user to see his / her own face or the like when photographing (self-photographing) the user using the second camera 121b.
  • a second sound output module (not shown)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rear case 100-2.
  • the second sound output module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3a and may be used for a call in the speakerphone mode.
  •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us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data is exchanged with an external device.
  • an antenna (not shown)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may be disposed in one region of the front case 100-1 and the rear case 100-2. The antenna may be installed to be pulled out of the rear case 100-2.
  • the power supply unit 190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mounted on the rear case 100-2 side.
  •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for example, a rechargeable battery,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case 100-2 for charging.
  • the second camera 121b and the like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disposed in the rear case 100-2,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first camera 121a may be rotatably formed to be able to photograph up to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second camera 121b.
  • the multi-tasking function that can simultaneously execute various tasks (tasks), such as playing a text message or downloading data while listening to music. There is a tendency to strengthen.
  •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often uses a relatively small screen. Therefore,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screen size, only the window screen of the foreground task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window screen of the background task is often processed to not appear on the screen.
  • the data related to the window screen to be switched to the background task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can be displayed again when it is switched to the foreground or the visible stat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mmand or situation.
  • Tasks that do not appear on the screen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may be running in the backgrou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terminal, the screen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has a limited siz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isplay a plurality of running applications on one screen at the same time. Therefore, most applications cannot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background. Is executed, and only a specific applic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 FIG. 4 illustrates examples of switching an application program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in various operating systems. More specifically, it shows the method of viewing the recently used application list.
  • a thumbnail image of window screen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tasks may be displayed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and the task and the window screen may be switch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 icons corresponding to different application programs are displayed at one area of the screen, for example, at the bottom of the screen, and the user touches the icon.
  •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n the background state can be switched to the foreground and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 thumbnail images of window screen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tasks are displayed on one region of the screen, for example, the left side of the screen, and the task and the corresponding images are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Switched to the window screen.
  • the screen is switched to the window screen of the corresponding task and the user desired task is executed.
  • a mobile terminal using a small screen is difficult to grasp at a glance the information on the applications running in the background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screen size, the operation switching of the application is usually sequential It is difficult for users to properly utilize the multitasking functions supported by the mobile terminal.
  • thumbnail images are displayed very small, and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grasp the contents intuitively with thumbnail images and icons, and there is a limit to the number of images that can be displayed on one screen. It was only possible to switch between applications, and not to switch the window screen within one application.
  • FIGS. 5 and 6 illustrate examples of conventional screen movement and navigation.
  • an execution screen 520 of the application 511 is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51 in the foreground. do.
  • the user may return to the home screen by selecting the back button 522, and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items 521 to check the screen 530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 the back button 532 may be selected to return to the previous screen 520, and the up button 531 may be used to return to the upper level screen 520. You can go up.
  • a screen 621 of a corresponding lower level may be displayed. Meanwhile, the user may switch to the screens 622 and 623 having the same level by a drag input or the like.
  • the user may select the back button 627 to return to the previous screen and use the Up button 625 to go up to the upper level screen 610.
  • the application and the window screen operate only in a manner predefined by the developer.
  • the window screen for example, can only move between activities in a manner designated / implemented by the application, and the user cannot arbitrarily move to a specific activity.
  • the first run activity 1 is marked as a foreground activity, then switched to activity 2, activity 2 is marked as a foreground activity, activity 1 is converted to a background activity, and in the activity stack structure, It is located at.
  • activity 3 is marked as a foreground activity
  • activity 2 is converted to a background activity, and in the activity stack structure, it is located above activity 1 below the foreground activity 3 do.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freely moving to a screen to be used by a user. Accordingly,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user enters a window screen moving mode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S710).
  • the controller 180 enters the window screen moving mode. You can control to switch.
  • the screen of the window screen moving mode may be expressed as if a plurality of window screens are stacked with trump cards.
  • the stacked plurality of window screens include window screens of a foreground task.
  • the window screen of the foreground task may be displayed at the top, and one or more window screens may be stacked in a plurality of layers below the window screen of the foreground task.
  • one or more window screens stacked under the window screen of the foreground task may be window screens of a background task.
  • the screen of the window screen movement mode may be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window screen of the foreground task, wherein cards composed of the window screens are stacked in a plurality of layers.
  • a window of a window screen moving mode which displays a window screen of a task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for example, a screen of an application currently being executed at the top, and a background state below the screen. You can display the screens of the converted applications as if they were stacked.
  •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window screen of the foreground task at the top, and one or more window screens are stacked in a plurality of layers below the window screen of the foreground task.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display the screen of the visual stack structure such as on the display unit 151.
  • the window screen moving mode entry step (S710) only one or more window screens stacked below the window screen of the foreground task may be displayed.
  •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the window screen of the foreground task as it is, but the remaining window screens may display only a form stacked below the window screen of the foreground task or display only partial contents of corners. .
  • the window screen moving mode entry step (S710)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dow screen of the foreground task is reduced to display.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o reduce and display the window screen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the process of reducing the window screen of the foreground task as it is, thereby visually expressing the entry of the window screen moving mode.
  • the plurality of window screens may be displayed to be located above the window screen of the recently used task.
  • the controller 180 can continuously arrange the plurality of window screens in the order of use. For example, at the top, a window screen used when the window screen moving mode is entered may be displayed, and window screens having a relatively past time point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as the plurality of layers are lowered. Therefore, the oldest window screen remaining in the history will be disposed in the lower layer of the bedrooms structure having the plurality of layers.
  •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ayers may include a plurality of window screens. That is, two or more window screens may be arranged on at least one layer.
  • the window screen branched out of the plurality of window screens may be displayed to include a window screen that satisfies a predetermined criterion. That is, one embodiment may maintain all of the duplicated window screens by branching, and in another embodiment, may delete the duplicated window screens according to the setting contents.
  • the branched window screens in this specification refer to screens that can be progressed by being connected to a plurality of lower level window screens from one upper level window screen.
  • the window screens 610, 621, 622, and 623 illustrated in FIG. 6 may correspond.
  • the window screens may have relatively little need to maintain data of some window screens.
  • data related to some window screens may be deleted without maintaining in a history stored in the memory 16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 the operation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changing the display state of the selected window screen (S720).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o change the display state of at least one of color, size, thickness, and transparency of the selected window screen among the plurality of window screens constituting the stack structure.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add a graphic effect to emphasize the outer edge of the selected window screen.
  • the user may selec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window screens by a touch, a motion input, or the like.
  • the initial selection window screen may be a top window screen.
  • the window screen moving mode is entered, the uppermost window screen may be automatically selected even if the user does not make a special input.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o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mmand.
  • the controller 180 If the user inputs a cancel command (S740), the controller 180 returns to the window screen of the foreground task when the user enters the window screen moving mode, that is, the highest activity (S750). Control to end the window screen moving mode.
  • the cancel command may be set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button and / or a predetermined opera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back button, the controller 180 may end the window screen moving mode while returning to the step before entering the window screen moving mode.
  • the controller 180 may select another window screen among the plurality of window screens (S790). That is, the controller 180 selects the selected window screen. By moving the screen, the window screen selected as the main screen can be changed.
  • the movement command of the user may be an input of dragg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or an input of tilting the portable terminal.
  •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window screens (S790) may change the window screen selec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ag input or the tilted input.
  • the controller 180 changes to a window screen of another layer among the plurality of layers, and when the drag input or the tilting input is per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You can change to the window screen. That is, the controller 180 may move the window screen in another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directionality of the user's input. For example, when the user performs a touch input of dragg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or tilts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selected window screen may be changed to a window screen disposed on the upper or lower layer of the currently selected window screen. . In addition, when the user performs a touch input of dragg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ilts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lected window screen may be changed to another window screen among the window screens arranged on the same floor.
  • the operation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S790) of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window screen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window screens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command of the user It may be characterized by selecting a window screen recently used.
  • the controller 180 may change the display state of the selected window screen according to the movement and selection of the window screen.
  • the controller 180 may change the display stat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window screen stacked on the selected window screen among the plurality of window screens.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change the transparency of the window screens located on the window screen selected by the movement (S795).
  • the transparency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window screen stacked on the selected window screen may be increased.
  • the transparency change step (S795) the transparency change step,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the remaining areas other than the border area of the window screen stacked on the selected window screen transparently.
  •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selected window screen as a foreground screen, that is, the entir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51 (S760).
  • the window screen movement mode may be terminated.
  •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e selected window screen as a foreground screen, and the entire display unit 151 You can control the display to the screen.
  • the determination command may be set to a long press input for maintaining a touch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terminal includes stacking and displaying a plurality of window screens in a plurality of layers (S810), and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window screens according to a movement command of a user ( (S820), changing a transparency of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window screen stacked on the selected window screen among the plurality of window screens (S830); and receiving an input for determining the selected window screen, receiving the selected window screen. It may include the step of displaying in full screen (S840).
  • the plurality of window screen display steps (S810) may be displayed to be located above the window screen of a recently used task.
  • the movement command of the user may be an input of dragg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or an input of tilting the portable terminal.
  • the step of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window screens (S820) may be characterized by changing the window screen selec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ag input or the tilt input.
  • the controller 180 changes to a window screen of another layer among the plurality of layers, and when the drag input or the tilting input is per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You can control to change to the window screen.
  • 9 to 15 are views referred to for describing various embodiments of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 the plurality of window screens 911, 912, 913, 914, and 915 may be displayed as being stacked in a stack structu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selected window screen according to the directional input.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screen and slides it to the right or left side 920, the specific screen may be selected as the main screen according to the sliding degree. Alternatively, when the mobile terminal is tilted to the right or left side 920, the main screen may be selected based on the tilt direction and degree.
  • controller 180 may increase the transparency of the screens on the stack based on the selected main screen to make it transparent.
  • the window screen may be displayed in full screen and then the window movement and selection process may be terminated.
  •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ayers constituting the stack structure may include two or more window screens.
  • two window screens 1011a and 1011b may be included in an arbitrary layer, and a layer 1012, 1013, 1014, and 1015 may be configured under one window screen.
  • the controller 180 changes to a window screen of another layer of the plurality of layers and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1030.
  • the control may be changed to the window screen of the same layer.
  • the window screen may be changed to another window screen 1011b of the same floor. Can be. If another window screen 1011b is selected, the selected window screen may be changed by input in the opposite direction.
  • a specific screen of another layer may be selected as the main screen.
  • the main screen may be selected for a specific screen of another layer according to the tilting direction.
  • 11 to 1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tack structure of window screens and a moving method of a selected window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1 to 14 are exemplary operatio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pped to other operations.
  • the window screens A, B, and C are stacked in order, and the window screens are stacked.
  • Two window screens D and E are stacked on C.
  • the window window C When the window screen D is selected by selecting a predetermined item from the window screen C, the window window C returns to the window screen C through a back button input or the like. D and E are generated.
  • the window screen stack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similarly to the order of use of the user. As shown in FIG. 11, a previous screen of an arbitrary window screen is disposed on a lower layer of an arbitrary window screen, and a window screen proceeding from an arbitrary window screen is disposed on an upper layer. In addition, window screens D and E, which proceed from the same window screen C, are arranged on the same floor.
  • the controller 180 changes to a window screen of another layer of the plurality of layers, and when the drag input or the tilting input is per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1120. It can be controlled to change to the window screen of the same layer.
  • the selected window screen when the user drags in the left direction or tilts the portable terminal, the selected window screen may be changed to the window screen A disposed on the lower floor.
  • the selected window screen when the user drags in the right direction or tilts the portable terminal, the selected window screen may be changed to the window screen C disposed on the upper floor. If there is an inpu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re is no moving object, so that the selected window screen B can be maintained.
  • the selected window screen may be changed to the window screen B disposed on the lower floor.
  • the selected window screen when the user drags in the right direction or tilts the portable terminal, the selected window screen may be changed to the window screen D or E disposed on the upper floor.
  • the window screen E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window screen E whose use order is relatively more recent.
  • the window screen D is displayed darker, and if there is an input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window screen E may be displayed darker. In this state, when the user drags in the right direction or tilts the portable terminal, the window screen D or E arranged on the upper floor may be changed to the darker window screen.
  • window screens are arranged and managed linearly according to a history of use, it has to go through several steps in order to switch between window screens D and E.
  • a simple one-step operation It is possible.
  • window screens A and B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window screen B.
  • Two window screens C and D are stacked.
  • the window screen D is stacked on the window screen C.
  • the selected window screen when the user drags in the left direction or tilts the portable terminal, the selected window screen may be changed to the window screen B disposed on the lower floor.
  • the selected window screen when the user drags in the right direction or tilts the portable terminal, the selected window screen may be changed to the window screen D disposed on the upper floor.
  • the selected window screen C is maintained, and if there is an input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window screen E can be selected.
  • the selected window screen may be changed to the window screen C disposed on the lower floor. If the input is made in the other direction, the window screen D can be maintained since there is no moving object.
  • the user when the window screen D is selected, the user may be set to jump to the window screen E at a time when the user drags downward or tilts the portable terminal.
  • window screens A and B are stacked in order.
  • Two window screens C and E are stacked on the window screen B.
  • window screens D and G on the window screen C are stacked on the window screen E.
  • the window is set to jump to the window screen D at once.
  • the speed of screen movement can be greatly improved.
  • FIG. 14 and 15 illustrate various embodiments of forming a stack structure when a user uses a plurality of window screens in the order of A, B, C, D, C, E, B, and F.
  • FIG. 14 and 15 illustrate various embodiments of forming a stack structure when a user uses a plurality of window screens in the order of A, B, C, D, C, E, B, and F.
  • 14B and 14C illustrate embodiments of deleting an arbitrary window screen according to a setting.
  • window screens A and B are stacked in order, and two window screens E and F are stacked on the window screen B.
  • window screens A and B are stacked in order, and two window screens C and F are stacked on the window screen B.
  • This case is an example set to delete two branches to be placed on the highest layer such as a back button input when a branch is formed.
  • window screens A and B are stacked in order, and two window screens C and F are stacked on the window screen B.
  • two window screens D and E are stacked on the window screen C.
  • FIG. it is an example set to keep the window screens as long as the memory space allows.
  • an arbitrary window screen can be quickly selected, and a predetermined window screen can be deleted or maintained according to a setting.
  • a predetermined window screen can be deleted or maintained according to a setting.
  • the portable terminal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all or part of each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may alternatively be configured in combination.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processor-readable code in a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Examples of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 a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processor-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포어그라운드 태스크(task)의 윈도우(window) 화면을 가장 위에 표시하고, 포어그라운드 태스크의 윈도우 화면 아래에 하나 이상의 윈도우 화면이 복수의 층으로 쌓여 있는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사용자의 이동 명령에 따라 복수의 윈도우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윈도우 화면 위에 쌓여 있는 윈도우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투명도를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윈도우 화면을 결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윈도우 화면을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화면으로 표시하고,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화면 및 태스크를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전환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면을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전환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면 및 태스크를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전환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포어그라운드 태스크(task)의 윈도우(window) 화면을 가장 위에 표시하고, 포어그라운드 태스크의 윈도우 화면 아래에 하나 이상의 윈도우 화면이 복수의 층으로 쌓여 있는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사용자의 이동 명령에 따라 복수의 윈도우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복수의 윈도우 화면 중 선택된 윈도우 화면 위에 쌓여 있는 윈도우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투명도를 변경하는 단계와, 선택된 윈도우 화면을 결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윈도우 화면을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화면으로 표시하고,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윈도우 화면을 복수의 층으로 쌓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이동 명령에 따라 복수의 윈도우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복수의 윈도우 화면 중 선택된 윈도우 화면 위에 쌓여 있는 윈도우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투명도를 변경하는 단계와 선택된 윈도우 화면을 결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윈도우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 및 태스크를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전환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종래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
도 9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누름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휴대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휴대 단말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의 어느 면을 쥐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휴대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휴대 단말기(100)의 외곽부에 배치되는 경우, 압력을 검출하여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의 어느 면을 쥐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체온, 지문, 홍채, 얼굴 등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에 설정되는 사용자 인증 방법에 따라 필요한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 보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본체,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0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및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4 사용자 입력부(130d), 제5 사용자 입력부(130e), 및 마이크(123)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 130d, 130e)와 후술하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누름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4 사용자 입력부(130d)는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5 사용자 입력부(130e)는 휴대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00-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와,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미도시)와 거울(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 인접하게 다른 카메라를 더 설치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의 촬영을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플래쉬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00-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가 교환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 케이스(100-1) 및 리어 케이스(100-2)의 일 영역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0-2) 측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제2 카메라(121b) 등이 리어 케이스(100-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종래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음악을 들으며 문자를 보내거나 데이터 자료를 다운로드 하면서 게임을 하는 등, 동시에 여러 가지 태스크(Task : 작업)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멀티태스킹(Multi Tasking) 기능이 강화되는 추세에 있다.
현재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범용 운영체제는 대부분 2개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실행하는 멀티태스킹을 지원하고 있다. 이 경우 현재 사용자의 입력을 받고 있는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을 포어그라운드 태스크(foreground task)라 하고, 그 외의 모든 응용 프로그램을 백그라운드 태스크(background task)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는 상대적으로 소형 화면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화면 크기의 제한으로 포어그라운드 태스크의 윈도우(window) 화면만이 화면에 나타나고 백그라운드 태스크의 윈도우 화면은 화면에 나타나지 않도록 처리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백그라운드 태스크로 전환되는 윈도우 화면에 관한 데이터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소정 명령 또는 상황에 따라 포어그라운드로 전환되거나 가시(visible)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다시 표시될 수 이TEk.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화면에 나타나지 않는 태스크들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일 수 있다. 휴대 단말기의 특성상 이동 단말기에 탑재되는 화면은 제한된 크기를 가지고, 이에 따라, 수행중인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들을 한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의 응용 프로그램들은 화면상에 표시되지 못한 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특정 애플리케이션만이 화면상에 표시된다.
따라서, 멀티태스크 환경에서는 응용 프로그램을 빠르게 전환하거나, 화면을 빠르게 전환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요구된다.
도 4는 여러 운영체제에서의 멀티태스크 환경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전환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더욱 자세히는, 최근에 사용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보기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복수의 태스크에 대응하는 윈도우 화면들의 썸네일 이미지들이 표시되는 화면으로 전환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태스크 및 윈도우 화면이 전환될 수 있다.
또는, 도 4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화면의 일영역, 예를 들어, 화면의 하단에, 각각 다른 응용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아이콘을 터치하면, 백그라운드 상태에 있던 애플리케이션 중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어그라운드로 전환하고, 전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4의 (c)를 참조하면, 화면의 일영역, 예를 들어, 화면의 좌측에, 복수의 태스크에 대응하는 윈도우 화면들의 썸네일 이미지들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태스크 및 그에 대응하는 윈도우 화면으로 전환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복수의 태스크에 대응하는 윈도우 화면 또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태스크의 윈도우 화면으로 전환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태스크가 실행된다. 그러나, PC나 TV와 달리, 소형 화면을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는 화면 크기의 제약으로 인하여,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응용 프로그램들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가 한눈에 파악하기 어렵고, 응용 프로그램의 작업 전환이 통상 순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휴대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멀티태스킹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기가 어렵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을 매우 작게 표시되고, 썸네일 이미지와 아이콘으로는 사용자가 그 내용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힘들다, 또한, 한 화면에 나타낼 수 있는 이미지의 개수에도 한계가 있고, 응용 프로그램들 간의 전환만 가능하고,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 내에서의 윈도우 화면 전환을 할 수 없었다.
한편, 도 5와 도 6은 종래 방식의 화면 이동, 내비게이션(navigation)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대부분의 휴대 단말기는 화면 사이즈 제약 등의 이유로 한번에 하나의 윈도우 화면만 표시가 된다. 따라서, 윈도우 화면과 윈도우 화면 간의 이동을 위해서는 백(Back) 버튼 또는 업(Up) 버튼을 사용하여 개발자가 미리 정해놓은 화면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홈(home) 화면(510)에서 소정 애플리케이션(511)을 실행하면, 애플리케이션(511)의 실행 화면(520)이 포어그라운드로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전체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백(Back) 버튼(522)을 선택하여 홈 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고, 복수의 항목 중 어느 하나(521)를 선택하여 선택한 항목에 대응하는 화면(530)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소정 화면(530)에서도, 백 버튼(532)을 선택하여 이전 화면(520)으로 되돌아갈 수 있고, 업(Up) 버튼(531)을 이용하여 상위 레벨(level)의 화면(520)으로 올라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소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위 화면(610)에서 특정 항목(611)을 선택하면, 대응하는 하위 레벨의 화면(621)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드래그 입력 등으로 동일한 레벨의 화면들(622, 623)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백 버튼(627)을 선택하여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갈 수 있고, 업(Up) 버튼(625)을 이용하여 상위 레벨(level)의 화면(610)으로 올라갈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애플리케이션 및 윈도우 화면은 개발자가 미리 정의한 방식으로만 동작한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에서 지정/구현한 방식으로만 윈도우 화면, 예를 들어, 액티비티(Activity) 간의 이동이 가능할 뿐이고, 사용자 임의로 특정 액티비티로 이동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최초로 실행된 액티비티 1이 포어그라운드 액티비티로써 표시되다가, 액티비티 2로 전환되면, 액티비티 2가 포어그라운드 액티비티로써 표시되고, 액티비티 1은 백그라운드 액티비티로 전환되고, 액티비티 스택(stack) 구조에서는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액티비티 3으로 전환하면, 액티비티 3이 포어그라운드 액티비티로써 표시되고, 액티비티 2는 백그라운드 액티비티로 전환되고, 액티비티 스택(stack) 구조에서는 포어그라운드 액티비티 3의 하측에 액티비티 1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사용자가 백 버튼 등을 통하여 액티비티 2로 다시 전환하면, 액티비티 3은 삭제 처리된다.
즉, 액티비티들을 리니어(linear)하게 히스로리(History)가 유지되므로 임의의 화면으로 이동하기 어렵고, 백(Back) 하면 현재 Activity(화면)이 히스토리에서 삭제됨으로써, 포워드(Forward) 방향 이동이 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화면으로 자유롭게 이동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로 진입한다.(S710) 사용자가 특정 버튼은 하거나 기설정된 모션(motion)을 취하면, 제어부(180)는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의 화면은 복수의 윈도우 화면이 트럼프 카드가 쌓여 있는 것처럼 표현할 수 있다.
쌓여 있는 복수의 윈도우 화면은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태스크(task)의 윈도우 화면을 포함한다. 상기 포어그라운드 태스크의 윈도우 화면이 가장 위에 표시되고, 상기 포어그라운드 태스크의 윈도우 화면 아래에 하나 이상의 윈도우 화면이 복수의 층으로 쌓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어그라운드 태스크의 윈도우 화면 아래에 쌓여 있는 하나 이상의 윈도우 화면은, 백그라운드(background) 태스크의 윈도우 화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의 화면은 윈도우 화면들로 구성된 카드들이 복수의 층으로 쌓여 있고, 가장 위에는 포어그라운드 태스크의 윈도우 화면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의 화면으로, 메인 화면에서 표시되고 있던 태스크의 윈도우 화면, 예를 들어,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가장 위에 표시하고, 그 아래에는 백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된 애플리케이션의 화면들이 쌓여 있는 것처럼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으로 진입하면, 포어그라운드 태스크의 윈도우(window) 화면을 가장 위에 표시하고, 상기 포어그라운드 태스크의 윈도우 화면 아래에 하나 이상의 윈도우 화면이 복수의 층으로 쌓여 있는 것과 같은 시각적인 스택(stack) 구조의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시각화된 스택 구조를 통하여 직관적으로 백그라운드로 동작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히스토리(history)에 남아 있는 윈도우 화면의 개수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 진입 단계(S710)에는, 상기 포어그라운드 태스크의 윈도우 화면 아래에 쌓여 있는 하나 이상의 윈도우 화면은, 일부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어그라운드 태스크의 윈도우 화면은 그대로 보여주지만, 나머지 윈도우 화면들은 상기 포어그라운드 태스크의 윈도우 화면의 아래에 쌓여 있는 형태만을 표시하거나, 모서리의 일부 내용만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 진입 단계(S710)는, 상기 포어그라운드 태스크의 윈도우 화면을 축소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의 진입에 따라, 제어부(180)는 전체 화면에 표시되고 있던 윈도우 화면을 축소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포어그라운드 태스크의 윈도우 화면이 축소되는 과정을 그대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함으로써,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의 진입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 진입 단계(S710)는, 상기 복수의 윈도우 화면을 최근에 이용한 태스크의 윈도우 화면일수록 상측에 위치하게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복수의 윈도우 화면을 이용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위에는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의 진입 시에 이용하고 있던 윈도우 화면을 표시하고, 복수의 층 아래로 갈수록 이용 시간이 상대적으로 더 과거의 시점인 윈도우 화면들을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스택 구조의 가자 아래층에는 히스토리(history)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윈도우 화면이 배치될 것이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복수의 층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윈도우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한 층에는 2개 이상의 윈도우 화면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 진입 단계(S710)는, 상기 복수의 윈도우 화면 중에서 분기된 윈도우 화면은 기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윈도우 화면을 포함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즉, 일실시예는 분기에 의해 중복된 윈도우 화면을 모두 유지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중복되는 윈도우 화면 중 설정 내용에 따라 삭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분기된 윈도우 화면은 하나의 상위 레벨 윈도우 화면에서 여러 개의 하위 레벨 윈도우 화면으로 연결되어 진행할 수 있는 화면들을 말한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예시한 윈도우 화면들(610, 621, 622, 623)이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윈도우 화면들을 업/백 버튼을 이용하여 상위/하위 레벨의 윈도우 화면간의 전환이 자주 발생하므로 일부 윈도우 화면의 데이터는 유지할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일부 윈도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는 소정 기준에 따라 메모리(160)에 저장되는 히스토리(history)에 유지하지 않고 삭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선택된 윈도우 화면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720)
제어부(180)는, 스택 구조를 구성하는 복수의 윈도우 화면 중 선택된 윈도우 화면의 색상, 크기, 두께,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선택된 윈도우 화면의 외곽 테두리를 강조하는 그래픽 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모션 입력 등으로 복수의 윈도우 화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초기 선택 윈도우 화면은 최상위 윈도우 화면일 수 있다.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를 진입한 시점에서는 사용자가 특별한 입력을 하지 않더라도 최상위의 윈도우 화면이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 명령을 입력받으면(S730), 입력받은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취소 명령을 입력하면(S740),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취소 명령에 따라, 상기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 진입시의 포어그라운드 태스크의 윈도우 화면, 즉 최상위 액티비티(activity)로 돌아가고(S750), 상기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를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취소 명령은 소정 버튼 및/또는 소정 동작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백(back) 버튼을 터치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 진입 이전 단계로 되돌아가면서 상기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입력이 이동 명령에 대응하는 경우에는(S780),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윈도우 화면 중 다른 하나의 윈도우 화면을 선택할 수 있다.(S790) 즉, 제어부(180)는 선택되는 윈도우 화면을 이동하여, 메인 화면으로 선택되는 윈도우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의 이동 명령은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drag)하는 입력이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를 기울이는 입력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복수의 윈도우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790)는, 상기 드래그 입력 또는 상기 기울이는 입력의 방향에 따라 선택되는 윈도우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입력 또는 상기 기울이는 입력이 제1 방향으로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층 중 다른 층의 윈도우 화면으로 변경하고, 제2 방향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동일한 층의 윈도우 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입력의 방향성에 대응하여 윈도우 화면을 다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좌우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을 수행하거나, 휴대 단말기를 좌우 방향으로 기울이는 경우에, 현재 선택된 윈도우 화면의 위 층 또는 아래 층에 배치된 윈도우 화면으로 선택된 윈도우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을 수행하거나, 휴대 단말기를 상하 방향으로 기울이는 경우에, 동일한 층에 배치된 윈도우 화면 중 다른 윈도우 화면으로 선택된 윈도우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상기 복수의 윈도우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790)에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 명령에 대응하는 윈도우 화면이 복수인 경우에, 더 최근에 이용한 윈도우 화면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윈도우 화면의 이동 및 선택의 변경에 따라서, 제어부(180)는 선택된 윈도우 화면의 표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S720)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윈도우 화면 중 상기 선택된 윈도우 화면 위에 쌓여 있는 윈도우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표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이동에 의하여 선택된 윈도우 화면 위에 위치하는 윈도우 화면들의 투명도를 변경할 수 있다.(S795)
상기 투명도 변경 단계(S795)는, 상기 선택된 윈도우 화면 위에 쌓여 있는 윈도우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투명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도 변경 단계(S795)는, 상기 투명도 변경 단계는, 상기 선택된 윈도우 화면 위에 쌓여 있는 윈도우 화면의 테두리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투명하게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이 최종 결정 명령에 대응하는 경우에는(S760),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윈도우 화면을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화면, 즉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고(S770), 상기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를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윈도우 화면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중 일영역을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윈도우 화면을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화면으로 결정하고,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결정 명령은 소정 시간 이상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 롱 프레스(long press) 입력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윈도우 화면을 복수의 층으로 쌓아 표시하는 단계(S810), 사용자의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윈도우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820), 상기 복수의 윈도우 화면 중 상기 선택된 윈도우 화면 위에 쌓여 있는 윈도우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투명도를 변경하는 단계(S830)와, 상기 선택된 윈도우 화면을 결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윈도우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S8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상술한 특징들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윈도우 화면 표시 단계(S810)는, 최근에 이용한 태스크의 윈도우 화면일수록 상측에 위치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이동 명령은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drag)하는 입력이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를 기울이는 입력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복수의 윈도우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820)는, 상기 드래그 입력 또는 상기 기울이는 입력의 방향에 따라 선택되는 윈도우 화면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래그 입력 또는 상기 기울이는 입력이 제1 방향으로 수행되는 경우에,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층 중 다른 층의 윈도우 화면으로 변경하고, 제2 방향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동일한 층의 윈도우 화면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5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윈도우 화면들(911, 912, 913, 914, 915)이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스택 구조로 쌓여 있는 것처럼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향성 있는 입력에 따라, 선택되는 윈도우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여 오른쪽 또는 왼쪽(920)으로 슬라이딩하면 슬라이딩 정도에 따라 특정 화면을 메인 화면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휴대 단말기를 오른쪽 또는 왼쪽(920)으로 기울이면 기울임 방향 및 정도에 따라 특정 화면을 메인 화면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선택된 메인 화면을 기준으로 스택(Stack)의 위에 있는 화면들을 투명도를 증가시켜 투명하게 만들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현재 불투명하게 선택된 화면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소정 위치를 터치하면 그 윈도우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한 후 윈도우 이동 및 선택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쉬운 화면 간 전환이 가능하고, 화면 사이즈(size)의 제약으로 인해 포어그라운드의 윈도우 화면 하나만을 표시하고 이용하는 모든 기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스택 구조를 구성하는 복수의 층 증 적어도 하나는 2개 이상의 윈도우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임의의 층에는 2개의 윈도우 화면(1011a, 1011b)를 포함하고, 그 아래에는 하나의 윈도우 화면들로(1012, 1013, 1014, 1015) 층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입력 또는 상기 기울이는 입력이 제1 방향(1020)으로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층 중 다른 층의 윈도우 화면으로 변경하고, 제2 방향(1030)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동일한 층의 윈도우 화면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층의 윈도우 화면(1011a, 1011b) 중 하나(1011a)가 선택된 경우에 사용자가 아래쪽을 향하여 드래그하거나 휴대 단말기를 기울이면 동일한 층의 다른 윈도우 화면(1011b)으로 윈도우 화면이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윈도우 화면(1011b)이 선택되어 있던 경우에는 반대 방향의 입력으로 선택된 윈도우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여 오른쪽 또는 왼쪽 방향(1020)으로 드래그하면 다른 층의 특정 화면을 메인 화면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휴대 단말기를 오른쪽 또는 왼쪽 방향(1020)으로 기울이면 기울임 방향에 따라 다른 층의 특정 화면을 메인 화면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화면들의 스택 구조 및 선택된 윈도우 화면의 이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에서 소정 방향에 따른 동작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동작에 매핑(Mapping)될 수도 있다.
도 11의 (a)와 (b)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복수의 윈도우 화면을 A, B, C, D, C, E 순서로 이용한 경우에는 윈도우 화면 A, B, C가 차례로 쌓이고, 윈도우 화면 C 위에 2개의 윈도우 화면 D, E가 쌓이게 된다.
윈도우 화면 C에서 소정 항목을 선택하여 윈도우 화면 D가 표시된 상태에서, 백 버튼 입력 등을 통하여 윈도우 화면 C로 돌아간 후 윈도우 화면 E로 진행한 경우에 윈도우 화면 C를 기점으로 하여 브랜치(BRANCH) 윈도우 화면 D와 E가 생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화면 스택 구조는 사용자의 이용 순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과 같이, 임의의 윈도우 화면의 아래 층에는 임의의 윈도우 화면의 이전 화면이 배치되고, 위 층에는 임의의 윈도우 화면으로부터 진행한 윈도우 화면이 배치된다. 또한, 동일한 윈도우 화면(C)으로부터 진행된 윈도우 화면(D, E)는 동일한 층에 배치된다.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입력 또는 상기 기울이는 입력이 제1 방향(1110)으로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층 중 다른 층의 윈도우 화면으로 변경하고, 제2 방향(1120)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동일한 층의 윈도우 화면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화면 B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왼쪽 방향으로 드래그하거나, 휴대 단말기를 기울인 경우에는 선택된 윈도우 화면이 아래 층에 배치된 윈도우 화면 A로 변경될 수 있다. 반대로 윈도우 화면 B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오른쪽 방향으로 드래그하거나, 휴대 단말기를 기울인 경우에는 선택된 윈도우 화면이 위 층에 배치된 윈도우 화면 C로 변경될 수 있다. 만약, 상하 방향으로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이동 대상이 없으므로, 선택된 윈도우 화면 B를 유지할 수 있다.
윈도우 화면 C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왼쪽 방향으로 드래그하거나, 휴대 단말기를 기울인 경우에는 선택된 윈도우 화면이 아래 층에 배치된 윈도우 화면 B로 변경될 수 있다.
반대로 윈도우 화면 C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오른쪽 방향으로 드래그하거나, 휴대 단말기를 기울인 경우에는 선택된 윈도우 화면이 위 층에 배치된 윈도우 화면 D 또는 E로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용 순서가 상대적으로 더 최근인 윈도우 화면 E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상하 방향으로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이동 대상이 없으므로, 선택된 윈도우 화면 C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실시예에 따라서는 위쪽 방향으로의 입력이 있으면 윈도우 화면 D를 더 진하게 표시하고, 아래쪽 방향으로의 입력이 있으면 윈도우 화면 E를 더 진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오른쪽 방향으로 드래그하거나, 휴대 단말기를 기울인 경우에는 위 층에 배치된 윈도우 화면 D 또는 E 중 더 진하게 표시된 윈도우 화면으로 변경될 수 있다.
종래에는 이용 히스토리(history)에 따라 리니어(linear)하게 윈도우 화면들이 정렬되고 관리되므로 윈도우 화면 D, E 간의 전환을 위해서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 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간편한 한 단계의 동작만으로 가능하다.
도 12의 (a)와 (b)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복수의 윈도우 화면을 A, B, C, D, B, E 순서로 이용한 경우에는 윈도우 화면 A, B가 차례로 쌓이고, 윈도우 화면 B 위에 2개의 윈도우 화면 C, D가 쌓이게 된다. 또한, 윈도우 화면 C 위에 윈도우 화면 D가 쌓이게 된다.
윈도우 화면 C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왼쪽 방향으로 드래그하거나, 휴대 단말기를 기울인 경우에는 선택된 윈도우 화면이 아래 층에 배치된 윈도우 화면 B로 변경될 수 있다. 반대로 윈도우 화면 C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오른쪽 방향으로 드래그하거나, 휴대 단말기를 기울인 경우에는 선택된 윈도우 화면이 위 층에 배치된 윈도우 화면 D로 변경될 수 있다.
만약, 위쪽 방향으로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이동 대상이 없으므로, 선택된 윈도우 화면 C를 유지하고, 아래쪽 방향으로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윈도우 화면 E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윈도우 화면 D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왼쪽 방향으로 드래그하거나, 휴대 단말기를 기울인 경우에는 선택된 윈도우 화면이 아래 층에 배치된 윈도우 화면 C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방향으로 입력이 이루어지면, 이동 대상이 없으므로 윈도우 화면 D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윈도우 화면 D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아래쪽 방향으로 드래그하거나, 휴대 단말기를 기울인 경우에는 윈도우 화면 E로 한번에 점프(jump)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3의 (a)와 (b)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복수의 윈도우 화면을 A, B, C, D, B, E, F, G 순서로 이용한 경우에는 윈도우 화면 A, B가 차례로 쌓이고, 윈도우 화면 B 위에 2개의 윈도우 화면 C, E가 쌓이게 된다. 또한, 윈도우 화면 C 위에 윈도우 화면 D가 윈도우 화면 E 위에 윈도우 화면 F, G가 쌓이게 된다.
이 경우에도,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윈도우 화면 G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아래쪽 방향으로 드래그하거나, 휴대 단말기를 기울인 경우에는 윈도우 화면 D로 한번에 점프(jump) 이동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윈도우 화면 이동의 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와 도 15는 사용자가 복수의 윈도우 화면을 A, B, C, D, C, E, B, F 순서로 이용한 경우, 스택 구조를 형성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의 (b)와 (c)는 설정에 따라 임의의 윈도우 화면을 삭제 처리하는 실시예들이다.
도 14의 (b)를 참조하면, 윈도우 화면 A, B가 차례로 쌓이고, 윈도우 화면 B 위에 2개의 윈도우 화면 E, F가 쌓이게 된다. 즉, 윈도우 화면 C, D의 이용 내역은 삭제된다. 이 경우는 브랜치(brnach)가 형성된 경우에 가장 최근에 이용한 2개의 브랜치만 유지하도록 설정된 예이다. 도 14의 (c)를 참조하면, 윈도우 화면 A, B가 차례로 쌓이고, 윈도우 화면 B 위에 2개의 윈도우 화면 C, F가 쌓이게 된다. 즉, 윈도우 화면 D, E의 이용 내역은 삭제된다. 이 경우는 브랜치(brnach)가 형성된 경우에 백 버튼 입력 등의 가장 높은 층에 배치될 2개의 브랜치를 삭제하도록 설정된 예이다.
한편, 도 15의 (b)를 참조하면, 윈도우 화면 A, B가 차례로 쌓이고, 윈도우 화면 B 위에 2개의 윈도우 화면 C, F가 쌓이게 된다. 또한, 윈도우 화면 C 위에 2개의 윈도우 화면 D, E가 쌓이게 된다. 이 경우는, 메모리 공간이 허용하는 한 윈도우 화면들을 최대한 유지하도록 설정된 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의 윈도우 화면을 빠르게 선택할 수 있고, 소정 윈도우 화면을 설정에 따라 삭제하거나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화면들을 탐색하면서, 점프(jump) 이동하거나, 포워드(forward) 방향의 브랜치(branch)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 및 태스크를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전환할 수 있고, 시각적인(visual) 효과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20)

  1.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태스크(task)의 윈도우(window) 화면을 가장 위에 표시하고, 상기 포어그라운드 태스크의 윈도우 화면 아래에 하나 이상의 윈도우 화면이 복수의 층으로 쌓여 있는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사용자의 이동 명령에 따라 복수의 윈도우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윈도우 화면 중 상기 선택된 윈도우 화면 위에 쌓여 있는 윈도우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투명도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윈도우 화면을 결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윈도우 화면을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화면으로 표시하고, 상기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어그라운드 태스크의 윈도우 화면 아래에 쌓여 있는 하나 이상의 윈도우 화면은, 백그라운드(background) 태스크의 윈도우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 진입 단계는, 상기 포어그라운드 태스크의 윈도우 화면 아래에 쌓여 있는 하나 이상의 윈도우 화면은, 일부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 진입 단계는, 상기 복수의 윈도우 화면을 최근에 이용한 태스크의 윈도우 화면일수록 상측에 위치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 진입 단계는, 상기 복수의 윈도우 화면 중에서 분기된 윈도우 화면은 기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윈도우 화면을 포함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윈도우 화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 진입 단계는, 상기 포어그라운드 태스크의 윈도우 화면을 축소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 명령은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drag)하는 입력이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를 기울이는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윈도우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드래그 입력 또는 상기 기울이는 입력의 방향에 따라 선택되는 윈도우 화면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윈도우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드래그 입력 또는 상기 기울이는 입력이 제1 방향으로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층 중 다른 층의 윈도우 화면으로 변경하고, 제2 방향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동일한 층의 윈도우 화면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윈도우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 명령에 대응하는 윈도우 화면이 복수인 경우에, 더 최근에 이용한 윈도우 화면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윈도우 화면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도 변경 단계는, 상기 선택된 윈도우 화면 위에 쌓여 있는 윈도우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투명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도 변경 단계는, 상기 선택된 윈도우 화면 위에 쌓여 있는 윈도우 화면의 테두리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투명하게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취소 명령에 따라, 상기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 진입시의 포어그라운드 태스크의 윈도우 화면으로 돌아가고, 상기 윈도우 화면 이동 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6. 복수의 윈도우 화면을 복수의 층으로 쌓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윈도우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윈도우 화면 중 상기 선택된 윈도우 화면 위에 쌓여 있는 윈도우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투명도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윈도우 화면을 결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윈도우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윈도우 화면 표시 단계는, 최근에 이용한 태스크의 윈도우 화면일수록 상측에 위치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 명령은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drag)하는 입력이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를 기울이는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윈도우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드래그 입력 또는 상기 기울이는 입력의 방향에 따라 선택되는 윈도우 화면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윈도우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드래그 입력 또는 상기 기울이는 입력이 제1 방향으로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층 중 다른 층의 윈도우 화면으로 변경하고, 제2 방향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동일한 층의 윈도우 화면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PCT/KR2013/001264 2013-02-18 2013-02-18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WO2014126283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68,378 US10474312B2 (en) 2013-02-18 2013-02-18 Operation method of portable terminal
PCT/KR2013/001264 WO2014126283A1 (ko) 2013-02-18 2013-02-18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1264 WO2014126283A1 (ko) 2013-02-18 2013-02-18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26283A1 true WO2014126283A1 (ko) 2014-08-21

Family

ID=51354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1264 WO2014126283A1 (ko) 2013-02-18 2013-02-18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74312B2 (ko)
WO (1) WO20141262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37925A1 (en) * 2014-12-24 2016-06-29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information via a user interf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92454S1 (en) * 2013-08-12 2017-07-18 Sears Brands,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set of icons
USD773479S1 (en) * 2013-09-06 2016-12-06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icon group
USD757029S1 (en) * 2013-10-11 2016-05-24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9041S1 (en) * 2013-10-17 2016-06-14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9040S1 (en) * 2013-10-17 2016-06-14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6318S1 (en) 2014-03-07 2016-09-13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9882960B2 (en) 2014-12-30 2018-01-30 Airwatch Llc Security framework for media playback
US20160188196A1 (en) * 2014-12-30 2016-06-30 Airwatch Llc Floating media player
US10809875B2 (en) * 2015-08-03 2020-10-20 Lenovo (Beijing) Co., Ltd. Display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8491127B (zh) * 2018-03-12 2020-02-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输入法界面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8809812B (zh) * 2018-04-18 2021-02-26 李世伟 通信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2241227A (zh) * 2019-07-19 2021-01-1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界面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D946018S1 (en) 2020-06-18 2022-03-15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3190340B (zh) * 2021-05-28 2023-12-05 成都统信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任务切换方法及计算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8628A1 (ko) * 2010-07-13 2012-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대기화면 구성방법
WO2012030001A1 (ko) * 2010-09-01 201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101139688B1 (ko) * 2011-10-06 2012-05-02 이현수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의 부가정보 온 스크린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20058050A (ko) * 2010-11-29 2012-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KR20120099913A (ko) * 2011-03-02 2012-09-12 박재현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4009752U1 (de) * 2003-06-20 2004-11-11 Apple Computer Inc., Cupertino Computersystem mit einer Benutzerschnittstelle, Datenträger und Signalfolge
US20090158212A1 (en) * 2007-02-06 2009-06-18 Access Systems America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recently-used and in-use applications for ease of navigation on an electronic device
GB201107273D0 (en) * 2011-04-28 2011-06-15 Inq Entpr Ltd Application control in electronic devices
KR102006470B1 (ko) * 2011-12-28 2019-08-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8628A1 (ko) * 2010-07-13 2012-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대기화면 구성방법
WO2012030001A1 (ko) * 2010-09-01 201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20120058050A (ko) * 2010-11-29 2012-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KR20120099913A (ko) * 2011-03-02 2012-09-12 박재현 투명 윈도를 이용한 그리기 동작 제어 방법
KR101139688B1 (ko) * 2011-10-06 2012-05-02 이현수 이동 단말기에서 동영상의 부가정보 온 스크린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37925A1 (en) * 2014-12-24 2016-06-29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information via a user interface
CN105739849A (zh) * 2014-12-24 2016-07-06 索尼公司 用于通过用户界面呈现信息的方法和系统
US9953446B2 (en) 2014-12-24 2018-04-24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information via a us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74312B2 (en) 2019-11-12
US20160004388A1 (en)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26283A1 (ko)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WO2016195291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7007060A1 (ko) 이동 단말기
WO2014157897A1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tasks
WO20150165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ock or unlock in
WO2015199304A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4119835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WO20151786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put using display
WO2021095925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8139691A1 (ko) 이동 단말기
WO2016195193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8101508A1 (ko) 이동 단말기
WO2016125971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1002238A2 (ko) 복수의 가상 스크린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8135675A1 (ko) 전자장치
EP4111673A1 (en) Electronic device for communicating in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thereof
WO2019142958A1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126709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1006371A1 (ko) 이동 단말기
WO2020130199A1 (ko) 이동 단말기
WO2017039061A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8143744A1 (ko)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화면 제어 방법
WO2016182134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0138540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85940A1 (ko) 웨어러블 표시 장치에 복수의 오브젝트들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751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68378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751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