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8664A - 소화 기관에서 국소 활성을 가진 항체 치료법 - Google Patents

소화 기관에서 국소 활성을 가진 항체 치료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8664A
KR20120098664A KR1020127011319A KR20127011319A KR20120098664A KR 20120098664 A KR20120098664 A KR 20120098664A KR 1020127011319 A KR1020127011319 A KR 1020127011319A KR 20127011319 A KR20127011319 A KR 20127011319A KR 20120098664 A KR20120098664 A KR 20120098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tnf
administration
patient
se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1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바라 에스. 폭스
더글라스 씨. 스태포드
Original Assignee
아바시아 바이오로직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바시아 바이오로직스, 인크. filed Critical 아바시아 바이오로직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20098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6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4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cytokines, lymphokines or interferons
    • C07K16/241Tumor Necrosis F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proteinaceous materials, e.g. enzymes, hormones, lymphok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31Rectum, an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route of administration
    • A61K2039/541Mucosal route
    • A61K2039/542Mucosal route oral/gastrointes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dose, timing or administration sched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1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heir source of isolation or production
    • C07K2317/12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heir source of isolation or production isolated from milk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6Antagonist effect on antigen, e.g. neutralization or inhibition of bin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icrobi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기관에 또는 소화기관의 점막 방벽아래에 치료 효과를 가지나, 항체의 전신 투여후 임상적 이익에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 전신 순환계로 항체 수준이 전달되지는 않는 항체 치료법의 방법 및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화기관에 또는 소화기관의 점막 방벽아래에 치료요법적으로 효과적인 항체 치료의 치료 조성물을 더 설명하는데, 이 조성물은 항체의 전신 투여후 부작용 및 전신 면역억제와 연관된 전신 순환계로 항체를 전달하지는 않는다.

Description

소화 기관에서 국소 활성을 가진 항체 치료법{ANTIBODY THERAPEUTICS WITH LOCAL ACTIVITY IN THE DIGESTIVE TRACT}
항체 치료법(Antibody therapeutics)은 중요한 약제임이 증명되었다. 그러나, 항체의 이용은 신체를 통하여 여러 부위들에서 항체의 활성으로 인한 부작용에 의해 흔히 제한된다. 예를 들면, TNF (Remicade, Humira, Cimzia)에 특이적인 항체들은 염증성 장 질환의 치료에 유효하다. 그러나, 이러한 항체의 사용은 전신 면역억제로 인하여 악성 종양 위험 증가 및 심각한 감염의 위험 증가와 연관된다 (Bongartz et al , 2006, JAMA , 295, 2275-85). 따라서, 임상적 이익이 최대가 되는 부위로 항체를 지향시키고, 다른 부위들에서는 항체의 활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항체 치료법의 약제학적 조성물과 방법들을 만들 필요가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소화 기관(digestive tract)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소화 기관에 항체를 지향시키고, 다른 부위들에서는 항체의 활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항체 치료법의 약제학적 조성물과 방법들이 필요하다.
항체 치료법의 사용은 투여된 항체의 면역원성에 의해 또한 빈번하게 제한된다. 치료물질(therapeutic agent)에 대한 항체의 유도는 활성의 상실과 연관되며, 그리고 불리한 주입 반응들에 대한 가능성과 연관된다. 항체가 비-인간 종으로부터 유도된 경우 대부분 명백하게 면역원성이 보인다. 그러나, 인간 항-인간항체 반응(HAHA)의 존재에 대해 설명되었으며, 임상적 우려의 중요한 원인이다(Ritter et al ., 2001, Cancer Res , 61, 6851-9; Tracey et al , 2008, Pharmacol Ther , 111, 244-79). 따라서, 면역원성을 최소화시키면서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항체 치료법의 약제학적 조성물 및 방법을 만들 필요가 있다.
염증성 장 질환의 치료에서, 전신으로 투여된 항-TNF 항체들로 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중화 항체 유도로 인하여 항체 요법에 흔히 비-반응성이 된다(Tracey et al ., 2008, Pharmacol Ther , 111, 244-79). 기존 항-TNF 항체 치료법에 비-반응성이 되는 환자들을 치료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방법들을 만들 필요가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소화 기관내에서 또는 소화 기관의 점막 방벽(mucosal barrier) 아래에서 치료요법적으로 유효하지만, 항체의 전신 투여 후 임상적 이익에 필수적인 것으로 보였던 전신 순환계로 항체 수준을 전달하지 않는 항체 치료법의 방법 및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화 기관내에서 또는 소화 기관의 점막 방벽 아래에서 치료요법적으로 유효하지만, 항체의 전신 투여 후 전신 면역억제 및 불리한 사건들과 연관된 전신 순환계로 항체의 수준을 전달하지 않는 항체 치료법의 방법 및 조성물을 더 제공한다.
도 1은 염증성 장 질환의 마우스 모델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항-TNF 항체, AVX-470를 다양한 투약량으로 경구 투여후 내시경검사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다.
도 2는 혈청내 소 면역글로블린 항체 수준들의 탐지용 ELISA 분석의 표준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다.
도 3은 햄스터 볼 주머니의 착색된 단편들의 현미경 사진인데, 패널 A는 방사선 조사를 받은 좌측 구강 볼 주머니에서 소 면역글로블린이 탐지될 수 있음을 보여주지만, 패널 B는 방사선 조사를 받지 않은 우측 볼 주머니의 외측 면에서만 소 면역글로블린이 발견되었음을 나타낸다.
도 4는 GI 급성 방사선 증후군(GI acute radiation syndrome)을 가진 생쥐에서 경구 항-TNF 항체로 치료를 받은 후, 생쥐의 생존율(%)을 나타내는 그래프다.
도 5는 GI 급성 방사선 증후군(GI acute radiation syndrome)을 가진 생쥐에서 경구 항-TNF 항체로 치료를 받은 후, 공장(jejunal) 기저막(lamina propria)의 착색된 단편들의 현미경 사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소화 기관"은 입, 인두, 식도, 위, 소장(십이지장, 공장, 회장), 대장(맹장, 결장, 직장) 및 항문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경구 강(cavity)"은 입, 인두 및 식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위장 관(gastrointestinal tract)", 또는 "GI 관"은 위, 소장(십이지장, 공장, 회장), 대장(맹장, 결장, 직장) 및 항문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항-TNF 항체의 혈청 수준들, 예를 들면, 임상적 이익과 연관된 수준은 0.5 ㎍/㎖ 이상의 농도이다(Nestorov , 2005, J Rheumatol Suppl , 74, 13-8; Tracey et al , 2008, Pharmacol Ther , 111, 244-79). 불리한 사건들과 관련된 항-TNF 항체의 혈청 수준은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지만, 임상적 이익을 위하여 필요한 수준보다는 더 큰 것으로 본다(Nestorov , 2005, J Rheumatol Suppl , 74, 13-8). 따라서, 기존 비경구적 TNF 길항제들과 비교하였을 때, 본 발명의 치료 조성물들 및 방법들은 축소된 전신 면역억제, 축소된 전신 분포, 축소된 면역원성, 축소된 속성 내성(tachyphylaxis) (중화 항체의 유도에 의해 또는 또다른 기전에 의한 것이건) 그리고 축소된 즉각적 부작용들(가령, 주입반응들)과 연관된다.
본 발명의 치료 항체 조성물들은 소화 기관의 외부 치료 항체의 활성을 최소화시키고, 치료 항체에 대한 중화 면역 반응의 유도를 또한 최소화시킨다. 치료 조성물들은 소화 기관의 관강(luminal) 면에 국소적으로 전달되는 항체들이다. 본 발명의 항체들은 예를 들면, 경구 투여, 직장 투여에 의해 소화 기관으로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볼 점막(buccal), 점막접착성 막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경구 강으로의 모든 투약형을 포함한다. 이 항체들은 소화 기관의 점막 방벽을 통과하여 점막아래(submucosal) 공간으로 진입하여 이들의 표적과 상호작용할 수 있지만, 전신 순환계로 진입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소화 기관의 관강 표면에서 또는 이 부근에서 뿐만 아니라 상피의 기저 측면과 같은 점막 방멱 아래에서 발현되는 생물학적 표적들, 점막하조직에서 발현된 표적들, 측면 세포간 공간에서 발현된 표적 그리고 기저막에서 발현되는 표적들에게 지향된 항체의 용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항체들은 점막 방벽에 이미 존재하는 손상의 결과로 점막 방벽을 횡단한다. 건강한 개체들에서, 소화 기관은 관강 면에 제공되는 단백질들에 대해 정상적으로 상대적으로 불투성이다. 그러나, 많은 질병 상태에서, 이 소화 기관은 증가된 침투성을 나타낸다(McGuckin et al , 2009, Inflamm Bowel Dis , 15, 100-13). 이러한 증가된 침투성은 내장의 관강 면에 제공된 항체가 점막 방벽을 횡단하는 것을 허용한다(Worledge et al , 2000, Dig Dis Sci , 45, 2298-2305).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항체들은 점막 방벽을 가로질러 항체의 통과를 촉진시키는 조제물의 특정 측면의 결과로서 점막 방벽을 횡단한다. 키토산, 폴리-L-아르기닌 및 카르보폴을 포함하는 침투 증강제들이 이용가능하다.
당업계에서 집합적으로 염증성 장 질환으로 통칭되는 Crohn 질환 및 궤양성 대장염을 가진 환자들은 염증성 사이토킨 TNF에 대하여 지향된 항체들로 흔히 치료받는다. 이들 환자들에서, 항체에 의해 얻어지는 임상적 이익과 투여된 항-TNF 항체의 바닥 혈청 농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Seow et al., Gut ., 1/2010; 59(1): 49-54) ( Karmiris et al , 11/2009, Gastroenterology ; 137(5): 1628-40). 소화기 염증의 치료에 이 항체가 유효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혈청내에서 항체의 특정 농도를 얻어야만 한다는 것을 이들 데이터들은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항체를 이용한 소화기 염증의 국소 치료가 치료적으로 유효하다는 의외의 발견을 하였다. 이러한 국소 또는 지역적 제공은 경구 또는 직장 투여와 같은 항체의 국소 투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소화 기관에게 “국소 제공(topical application)”용어는 구강에 국소 및/또는 표면 투여, 소화 기관에게 경구 또는 직장 투여에 의한 운반, 또는 소화 기관의 관강 측면에 항체가 접촉되도록 항체를 가져가는 임의의 다른 경로로 정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들 항체가 주사에 의해 제공되었을 때 임상적 효과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기존에 간주되었던 혈청 수준 이하로 항체의 수준을 유지하면서, 소화 기관에게 본 발명의 이러한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투여함으로써 소화기 염증을 치료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투여된 항체의 혈청 수준은 당분야에 공지된 표준 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을 때 약 1 ㎍/㎖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500 ng/㎖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150 ㎍/㎖ 미만,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약 50 ng/㎖ 미만이다.
혈청내 항체 수준들의 측정은 선행기술에서 공지된 것과 같이 표준 분석법을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한 가지 분석은 항체에 TNF 결합을 탐지하는 방사능면역분석(RIA)이다(Svenson et al , Rheumatology 2007 46: 1828-1834). 간략하게 말하면, 1% 환자 혈청을 분당 5000 count의 125I-TNF의 5,000 counts per min/0.1 ㎖에 첨가한다. 4°C에서 2시간 동안 항온처리 한 후, 치료 항체에 이용되는 항체 종에 특이적인 토끼 항체를 추가하여 자유 추적자와 항체-결합된 추적자를 분리시킨다. 환자 혈청에서 소 항-TNF 항체를 탐지하기 위하여, 소 면역글로블린 (중쇄+ 경쇄)에 특이적인 토끼 항체를 이용한다. 환자 혈청에서 인플리시마브(마우스-인간 IgG1:κ 키메라 항체)의 탐지를 위하여, 인간 Fcγ에 특이적인 토끼 항체를 이용한다. 토끼 항체는 이용가능한 치료 항체의 >95%를 침전시킬 수 있는 양으로 첨가한다. 추가 2시간 후, 2.5 ㎖ 냉각 분석 완충액을 추가하고, 4°C에서 10분간 4000g에서 원심분리에 의해 결합된 그리고 자유 125I-TNF를 분리시킨다. 감마 카운더를 이용하여 펠렛 활성에서 방사능활성을 측정한다. 표준 곡선을 만들기 위하여 치료 항체를 참조로 이용한다. 인플리시마브(infliximab)의 경우, 분석의 탐지 한계는 전체 혈청에서 0.4 ㎍/㎖이다(Bendtzen , Arthritis and Rheumatism , Vol . 54, No . 12, December 2006, pp 3782-3789, 2006).
혈청에서 항체 수준들을 탐지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또다른 분석은 효소 연결된 면역흡착 분석법(ELISA)이다 (Wolbink , Ann Rheum Dis 2005; 64:704-707). 간략하게 말하면, 바닥이 판판한 미량적정 플레이트는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TNF에 대해 지향된 마우스 단클론 항체로 피복시킨다(웰당 100㎕내 2 ㎍/㎖). 1시간 동안 HPE 완충액내 재조합 TNF (웰당 100㎕내 0.1 ㎍/㎖)를 첨가한다. 인산염 완충된 염/0.2% Tween으로 세척 후, 환자의 혈청 시료들은 HPE 완충액에서 상이한 희석배로 첨가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항온처리된다. 플레이트는 인산염 완충된 염/0.2% Tween으로 세척하고, 그 다음 치료 항체로 이용된 항체 종에 특이적 항체에 콘쥬게이트 된 양고추냉이 과산화효소(HRP)로 항온처리한다. 환자 혈청내에서 소 항-TNF 항체를 탐지하기 위하여, 양의 항-소 IgG (h+1)를 이용한다. 인플리시마브 탐지를 위하여, 단클론 항-인간 IgG를 이용한다. HRP-라벨된 항체들은 실온에서 1시간 동안 100 ㎖ HPE 완충액에 첨가한다. 그 다음, 세척 후, 테트라메틸벤지딘을 추가한다. 반응은 2 M H2SO4를 첨가하여 중단시킨다. 그 다음 450 nm에서 흡수도를 결정한다. 결과는 각 플레이트에서 치료 항체 (예를 들면, 소 항-TNF 항체 또는 인플리시마브)의 적정 곡선에 관계한다. 인플리시마브의 경우 최저 탐지 수준은 0.2 ㎍/㎖ 이다(Wolbink , page 704, supra).
혈청내 치료 항체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이들 두 가지 분석법은 표적 항원(가령, TNF)에 결합하는 항체의 능력의 탐지에 근거한다. 대안 분석법은 치료 항체 자체의 존재를 측정한다. 치료 항체가 키메라 또는 인화(humanized) 단클론 항체인 경우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환자에게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항체로부터 이러한 치료 항체를 구별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비-인간항체 치료를 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실시예 3 참고). 다클론 항체의 경우, 투여된 항체의 오직 일부만 표적 항원에 특이적이며, 표적 항원에 결합할 것이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측정되는 중요한 항체 농도는 표적 항원에 특이적인 치료 항체의 농도이며, 이는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성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투여된 항체의 혈청 수준들이 항체 자체의 탐지를 통하여 정량화될 때, 표적 항원에 특이적인 투여된 항체의 비율을 결정하기 위한 실험을 실행해야 한다. 이러한 비율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방법의 설명은 실시예 1에서 제공한다.
인플리시마브의 경우 정점 혈장 수준은 118 ㎍/㎖으로 보고되었으며, 아달리무마브(adalimumab)는 4.7 ㎍/㎖으로 보고되었다(Tracey , 2008 supra). 수득된 정점 혈장 수준들은 투여 경로 및 투약 일정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주사된 항-TNF 항체들에 대하여 임상적으로 효과적인 혈청 농도는 0.8-1.4 ㎍/㎖이다(Tracey et al , 2008, Pharmacol Ther , 111, 244-79).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화학요법 또는 방사능 요법으로 인한 명백한 궤양 또는 염증 발달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TNF, TNF-카파, Ifn-감마, IL-1 베타, IL-2, IL-6, IL-12, IL-13, IL-15, IL-17, IL-18, IL-21, IL-23, IL-27, IL-32, IL-33 및 IL-35를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염증을 조절하는 사이토킨에 특이적인 항체들을 소화 기관의 증가된 침투성을 가진 환자의 소화기관에 국소적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높은 수준의 방사능에 노출로 인한 위장 급성 방사선 증후군의 발달을 방지하기 위하여, TNF, TNF-카파, Ifn-감마, IL-1 베타, IL-2, IL-6, IL-12, IL-13, IL-15, IL-17, IL-18, IL-21, IL-23, IL-27, IL-32, IL-33 및 IL-35를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염증을 조절하는 사이토킨에 특이적인 항체들을 소화 기관의 증가된 침투성을 가진 환자의 소화기관에 국소적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염증성 장 질환을 포함하는 자가면역 질환으로 인한 명백한 궤양 또는 염증의 발달을 방지하기 위하여, TNF, TNF-카파, Ifn-감마, IL-1 베타, IL-2, IL-6, IL-12, IL-13, IL-15, IL-17, IL-18, IL-21, IL-23, IL-27, IL-32, IL-33 및 IL-35를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염증을 조절하는 사이토킨에 특이적인 항체들을 소화 기관의 증가된 침투성을 가진 환자의 소화기관에 국소적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지방변증(celiac disease)를 치료하기 위하여, TNF, TNF-카파, Ifn-감마, IL-1 베타, IL-2, IL-6, IL-12, IL-13, IL-15, IL-17, IL-18, IL-21, IL-23, IL-27, IL-32, IL-33 및 IL-35를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염증을 조절하는 사이토킨에 특이적인 항체들을 소화 기관의 증가된 침투성을 가진 환자의 소화기관에 국소적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점막 상피 세포들의 기저측면상에서 발현되는 Toll-유사 수용체들에 특이적인 항체들은 내장 염증성 질환자의 환자의 소화기관 점막에 치료물질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TNF, TNF-카파, Ifn-감마, IL-1 베타, IL-2, IL-6, IL-12, IL-13, IL-15, IL-17, IL-18, IL-21, IL-23, IL-27, IL-32, IL-33 및 IL-35를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염증을 조절하는 사이토킨에 특이적인 항체들은 염증성 장 증후군을 가진 환자의 소화기관에 치료물질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내장에서 발현되는 세로토닌에 대한 수용체들(5-HT1A, 5-HT1B/B, 5-HT2A, 5-HT2B, 5-HT3, 5-HT4, 5-HT7, 5-HT1P)을 포함하는 소화 기관의 점막 방벽 아래에서 발현되는 장 신경전달물질 또는 이의 수용체들 또는 운반물질들에 지향된 항체들은 소화 기관의 침투성이 증가된 환자들에서 약학 물질로 이용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음식 섭취를 조절하는 펩티드 또는 이러한 펩티드의 수용체들에 지향된 항체들은 소화 기관의 침투성이 증가된 환자들에서 약학 물질로 이용된다. 이러한 펩티드들은 CCK, GLP1, GIP, 옥신토모둘린, PYY3-36, 엔테로스타틴, APOAIV, PP, 아밀린, GRP 및 NMB, 위의 렙틴 그리고 그레린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Cummings and Overduin , 2007, J Clin Invest , 111, 13-23).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직장결장 암 세포상의 상피 성장 인자 수용체에 지향된 항체들은 소화 기관의 침투성이 증가된 환자들에서 치료물질로 이용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소화기관으로 운반된 가용성 사이토킨에 특이적인 항체들은 소화 기관내에서 이들 사이토킨 수준을 감소시키지만, 전신 순환계내 수준은 감소시키지 않는다. 사이토킨의 수준은 사이토킨의 직접적 측정 또는 사이토킨에 반응하는 대표 표식의 분석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소화기관으로 전달되는 가용성 사이토킨에 특이적인 항체들은 소화 기관내 그리고 전신 순환계내에 있는 이들 사이토킨의 수준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소화 기관으로 전달되는 임상적 장점을 가지는 항체들은 항체의 후속 투여에 대한 반응을 억제하거나 또는 항체의 후속 투여에 대한 해로운 반응을 야기하는데 충분한 투여된 항체에 대한 항체 반응을 유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유지 요법(maintenance therapy) 후 유도된 항체 반응의 부족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일시적 투약후 유도된 항체 반응의 부족을 볼 수 있다. 항체 반응은 치료 항체에 특이적인 항체의 직접적 측정에 의해 또는 치료 항체의 반복된 투약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의 평가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한 가지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치료 항체의 3회 이상 투약에 노출된 후, 본 발명의 치료 항체에 대해 환자의 2% 미만이 항체를 발달시킨다. 한 가지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항체의 3회 이상 투약은 항체의 효과를 낮추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체의 첫 투여일로부터 약 1개월 기간에 걸쳐,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항체의 첫 투여일로부터 약 6개월, 더욱 바람직하게는 항체의 첫 투여일로부터 약 1년, 그리고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항체의 첫 투여일로부터 약 10년의 기간에 걸쳐 1, 2, 3 또는 그 이상의 투약 후에도 항체의 효과가 감소되지 않는다.
치료 항체 (TA)에 대한 항체 반응의 측정은 선행 기술에 공지된 것과 같은 표준 분석법을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한 가지 분석법은 RIA (Svenson 2007 supra)이다. 치료 항체는 클로라민-T를 이용하여 125I 라벨시키고, 분자 크기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정제하고, 그리고 치료 항체에 특이적인 것으로 알려진 적절한 항체에 결합을 유지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테스트한다. 125I-라벨된 TA는 환자 혈청 (1% 또는 이보다 더 낮은)과 함께 4℃에서 18시간 동안 공동-항온처리한다. 항-TA 활성은 10% 혈청내에서 AA의 >80%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제 2 항체를 포함하는 친화력 매트릭스에 125I-TA 결합에 의해 분석된다. 인플리시마브의 경우, 이 제 2 항체는 항-인간-λ-경쇄다. 소 항-TNF 항체의 경우, 이 제 2 항체는 항-소 IgG (h + 1)이다. 평균 배경 결합을 계산하고, 배경 값의 2배를 이용하여 양성 및 음성 샘플을 구별한다.
치료 항체에 대한 항체 반응을 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또다른 분석은 고형상 RIA (Svenson , 2007 supra)이다. TA (8 ㎍/㎖)는 미량적정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인간 혈청 알부민으로 비-점령된 부위를 차단시킨다. 환자 혈청은 10% 또는 이보다 더 낮은 수준들을 이용하여, 100 ㎕/웰에서 이중으로 추가한다. 4°C에서 하룻밤 항온처리한 후, 웰은 냉각 분석 완충액으로 세척하고, 125I-라벨된 TA 6000 cpm 0.1㎖를 웰에 첨가한다. 4°C에서 3시간 후, 웰을 세척하고, 결합된 cpm을 측정한다.
치료 항체에 대한 항체 반응 분석은 특정 상황에 대해 개작될 필요가 있을 것이라는 것은 당분야 숙련자에게 잘 알려진 것이며, 방법 및 고려사항들은 잘 인지되고 있다(Gorovits , The AAPS Journal, Vol . 11, No . 1, March 2009). 양성 및 음성 샘플을 구별하는데 이용된 분석 컷-오프 변수를 계산하기 위하여 수집한 데이터의 통계학적 분석이 연루될 수 있는 치료 항체에 대한 사전 기존 항체 반응의 잠재적 존재가 특히 중요하다. 소 항체 치료법에 대한 항체 반응의 분석을 위하여, 주어진 환자에서 치료전과 치료후 샘플의 직접적 비교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자는 치료 항체로 치료하는 과정 동안 항-TA 항체 수준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치료 항체에 대항하는 유도된 항체 반응을 가지는 것으로 특징된다. 사전 기존 항체 반응이 탐지되지 않는 치료 항체들의 경우, 환자는 항체 반응이 배경보다 2배 이상 클 경우, 치료 항체에 대항하는 유도된 항체 반응을 가지는 것으로 특징된다.
치료 항체에 대한 항체 반응은 아달리무마브로 치료된 환자의 2.8% - 3.7%, 인플리시마브로 치료된 환자의 5% - 18% 그리고 세르톨리주마브로 치료된 환자의 8% - 12.3%에서 염증성 장 질환을 위한 유지 요법동안 볼 수 있었다(Cassinotti , Inflamm Bowel Dis15 (8), August 2009). 일시적 투약은 치료 항체에 대한 항체 반응의 더 높은 빈도를 야기하였고, 인플리시마브를 제공받은 환자의 36%-61%가 항체 반응을 일으켰다.
소화 기관에 추가하여, 본 발명은 비뇨생식계 및 호흡계를 포함하는 점막 방벽을 가진 다른 조직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눈과 피부를 포함하는 상피계를 가진 다른 조직에도 또한 적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치과 및 구강 상처들, 식도 상처들 또는 부분적 내장 절제로 인하여 외과적으로 유도된 외상, 공장조루술(jejunostomy), 회장조루술(ileostomy), 결장절개 또는 기타 외과적 과정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 물리적인 외상을 통하여 소화 기관의 점막 방벽은 갈라지거나 또는 면역학적으로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수 있다. 소화 기관의 점막 방벽은 허혈 또는 재관류 손상으로 인하여 또한 갈라질 수 있다. 소화 기관의 점막 방벽은 암 화학요법, 암 방사능 요법으로 인한 손상 또는 치료 세팅의 외부에서 고준위 방사능에 노출로 인하여 또한 갈라질 수 있다.
소화 기관의 점막 방벽은 치주 질환, 아프타성 구내염(aphthous stomatitis), 소화기관의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또는 기생충 감염, 소화 궤양, 스트레스로 인한 궤양 또는 H. pylori 감염, 식도 역류에 의한 손상, 염증성 장 질환, 소화 기관의 암으로 인한 손상, 지방변증을 포함하는 음식 과민증,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성 약물(NSAIDs)에 의해 유도된 궤양 또는 기타 복용한 또는 전신으로 운반된 약물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총체적인 염증 및/또는 궤양으로 갈라지거나 또는 면역학적으로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수 있다.
소화 기관의 점막 방벽의 갈라지거나 또는 면역학적으로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설명된 것일 수 있지만, 외부 화상, 외상, 페혈증 또는 쇼크, 염증성 장 증후군, 당뇨병(특히, 유형 I 당뇨병), 아토피성 피부염, 강직성 척추염을 포함하는 자가 면역 질환을 앓는 환자들, Sjogren 증후군, 울혈성 심부전 또는 다발성 경화증과 연관된 내장 방벽 기능의 상실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방벽 결함의 생물학적 근거는 잘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병원균에 의한 감염 또한 방벽 기능의 특이적 붕괴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일부 질환 또는 장애들에서, 변경된 방벽 침투성은 명백한 염증의 발달 이전에 존재할 수 있으며, 그리고 항체들은 방벽 침투성 변경된 시점 뿐만 아니라 염증 및 궤양 시기 동안에 적용할 수 있다. 염증 전 증가된 침투성을 포함하는 질환 및 장애는 화학요법 또는 방사능 요법에 의해 유도된 점막염, 고준위 비-치료 방사능에 노출에 의해 유도된 점막염, 염증성 장 질환 및 지방변증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일부 질환 또는 장애에서, 변경된 방벽 침투성은 소화 기관의 별개 부분들에 있을 수 있으며 명백한 염증 및/또는 궤양은 이 소화 기관의 다른 부분들에 존재한다. 증가된 침투성과 염증 또는 궤양의 물리적으로 별도의 지역들을 포함하는 질환 및 장애는 Crohn 질환과 궤양성 대장염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변경된 침투성의 지역 뿐만 아니라 명백한 염증과 궤양 부위를 통과하는데 본 발명의 항체들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벽 결함의 잠재적 원인을 해결하도록 기획된 치료법으로 항체의 이용을 포함한다. 이러한 항체들은 상처 치유를 강화시키는, 단단한 접합의 기능을 변경시키는 생물학적 표적에 지향될 수 있으며, 또는 침투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또는 앞으로 밝혀질 다른 표적에 지향될 수 있다. 적합한 표적들은 오클루딘(occludin), 클라우딘(claudins), 접합성 흡착 분자, ZO-1, E-캐드헤드린, 콕사키 아데노바이러스 수용체 그리고 클라우딘의 방출에 관련된 엘라스타제와 같은 세린 프로테아제를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방벽 결함의 잠재적 원인에 무관한 생물학적 표적들에 결합하도록 기획된 약제학적 물질로 항체의 이용을 포함한다. 이러한 항체들은 방벽 결함을 야기하였던 동일한 질환 상태와 관련된 질환 및 장애들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항체들은 방벽 결함을 야기하였던 질환 상태에 무관한 질환 및 장애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구강의 장애의 경우, 본 발명의 이 항체들은 구강세척제, 린스, 페이스트, 겔 또는 다른 적합한 조제형내에서 운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체들은 활성 항체와 점막 표면 사이에 접촉을 증가시키도록 기획된 조제형, 가령, 볼 패취, 볼 테이프, 점막접착성 막, 설하 테블릿, 로젠지, 웨이퍼, 씹을 수 있는 테블릿, 신속 또는 빠르게 용해되는 테블릿, 발포성 테블릿, 또는 볼 또는 설하 고형과 같은 조제형내에서 전달될 수 있다. 소화 기관 장애의 경우, 캡슐, 테블릿, 액체 조제물 형태로 경구 복용 또는 소화 기관으로 약물을 도입시키도록 기획된 유사한 형태로 경구 복용에 의해 항체가 전달될 것이다. 대안으로, 하부 소화 기관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좌약 또는 관장에 의해 항체가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제물은 당업계 숙련자들에게 잘 공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용어들 "항체" 또는 "항체들"은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인지하는 면역글로블린 유전자로부터 골격구조 부분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 또는 이의 단편들을 지칭한다. 인지된 면역글로블린 유전자들은 카파, 람다, 알파, 감마, 델타, 입실론 및 뮤 불변 부위 유전자 뿐만 아니라 무수한 면역글로블린 가변 부분 유전자들을 포함한다. 경쇄는 카파 또는 람다로 분류된다. 중쇄는 감마, 뮤, 알파, 델타, 입실론으로 분류되고, 다시 차례로 면역글로블린 부류, IgG, IgM, IgA, IgD 및 IgE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항체의 항원-결합 부분은 표적 수용체에 결합 특이성 및 친화력에 가장 중요할 것이다. 예시적인 면역글로블린 (항체) 구조 단위는 4량체를 포함한다. 각 4량체는 동일한 두 개의 폴리펩티드 쇄 쌍을 포함하고, 각 쌍은 하나의 “경쇄”(약 25 kD)와 하나의 “중쇄”(약 50-70 kD)를 가진다. 각 쇄의 N-말단은 항원 인지를 주로 담당하는 약 100개 내지 110개 또는 그 이상의 아미노산의 가변 부분이 된다. 용어 가변 경쇄(VL) 및 가변 중쇄(VH)는 차례로 이들 경쇄와 중쇄를 말한다.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항체들은 고유 면역글로블린 또는 다양한 펩티다제의 분해로 인하여 만들어진, 특이적 결합에 대하여 고유 항체와 경쟁할 수 있는, 특징이 잘 파악된 다수의 단편들로 존재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펩신은 힌지 부분에서 이황화결합 연결 아래에서 항체를 절단하여 Fab의 이량체인 F(ab)'2를 만들고, Fab 자체는 이황화 결합에 의해 VH - CH1에 결합된 경쇄다. F(ab)'2는 힌지 부분에서 이황화 결합 연결을 파괴시키는 유순한 조건하에 환원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F(ab)'2 이량체는 Fab' 단량체로 전환된다. Fab' 단량체는 기본적으로 힌지 부분의 일부를 가진 Fab다(Fundamental Immunology ( Paul ed ., 3d ed . 1993) 참고. 다양한 항체 단편들은 고유 항체의 분해에 대해 특징화되지만, 당업자는 이러한 단편들을 화학적으로 또는 재조합 DNA 방법을 이용하여 새로(de novo) 합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항체"는 전체 항체의 변형에 의해 생산된 항체 단편들, 또는 화학적으로 또는 재조합 DNA 방법을 이용하여 새로(de novo) 합성된 항체들(가령, 단일 쇄 Fv, 상보성 결정 부위 (CDR) 단편들, 또는 폴리펩티드에 특이적 수용체 결합을 부여하는데 충분한 면역 글로블린의 최소한 일부분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 또는 파아지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확인된 단편들을 또한 포함한다(가령, McCafferty et al , Nature 348: 552-554 (1990) 참고).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들 "단클론 항체" 또는 "단클론 항체들"은 단일 분자 조성물의 항체들의 조합물을 말한다. 단클론 항체 조성물은 표적 수용체의 특정 에피토프에 대한 단일 결합 특이성 및 친화력을 나타낸다.
"에피토프"는 항체가 결합하는 분자의 부분이다. 에피토프는 분자의 비-인접 부분들(가령, 폴리펩티드내에서 폴리펩티드의 1차 서열내에서 인접하지 않지만 폴리펩티드의 3차 및 4차 구조에서는 서로 충분히 근접하여 항체가 결합되는 아미노산 잔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다클론 항체"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항원상에 몇 가지 상이한 특이적 항원 결정부위에 결합하거나 또는 이와 반응할 수 있는 상이한 항체 분자들의 조성물을 지칭한다. 다클론 항체의 항원 특이성에서 가변성은 다클론 항체를 구성하는 개별 항체들의 가변 부분들내에, 특히, 상보적 결정 부위(CDR)1, CDR2 및 CDR3 부분들내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다클론 항체는 아래에서 명시된 바와 같이, 표적 항원 또는 이의 부분들을 동물에 면역주사하여 준비한다. 대안으로, 다클론 항체는 표적 수용체에 대한 바람직한 특이성을 가지는 다중 단클론 항체들을 혼합함으로써 준비할 수 있다(가령, Nowakowski , A. et al , 2002. Proc Natl Acad Sci USA 99, 11346-11350 및 미국 특허 제5,126,130호).
면역주사를 맞은 동물들의 혈액, 젖, 초유 또는 난으로부터 분리된 다클론 항체 조합물은 일반적으로 표적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들에 추가하여, 면역원에 특이적이지 않은 항체들을 포함한다. 표적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들은 다클론 항체 조합물로부터 정제할 수 있으며 또는 추가 정제없이 다클론 항체 조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 이용된 것과 같은 용어 "다클론 항체"는 표적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가 풍부한 항체 조합물 및 정제되지 않은 조합물 모두를 지칭한다. 특이적 표적에 대한 항체들을 위한 다클론 항체들을 농축시키는 다양한 기술이 당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최근, 예방 및 치료용 투여에 적합한 고도의 특이적 다클론 항체들의 재조합 생산 기술이 개발되었다(WO 2004/061104). 재조합 다클론 항체 (rpAb)는 별도의 취급, 제조, 정제 또는 재조합 다클론 단백질을 구성하는 개별 구성요소들의 특징화 없이 단일 조합물로써 생산 생물 반응기로부터 정제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항체는 젖 또는 초유로부터 유도된 다클론 항체다. 한 구체예에서, 다클론 항체는 소, 염소, 양, 낙타 또는 물소와 같은 반추동물의 젖 또는 초유로부터 유도된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항체는 인간의 젖 또는 초유로부터 분리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다클론 항체는 소, 바람직하게는 면역주사를 맞은 소의 젖 또는 초유로부터 분리된다. 소의 초유(초기 젖)는 본 발명을 위한 항체의 바람직한 원료다. 소에서, 항체는 태반을 통과하지 않고, 따라서, 모든 수동 면원은 젖을 통하여 새로 태어난 송아지에게로 전달된다. 그 결과, 소는 분만 직후 초유로 항체의 큰 덩어리를 방출하고, 초유내 단백질의 대략 50%는 면역글로블린이다. 출생 후 첫 4시간이내, 초유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면역글로블린 농도는 50 ㎎/㎖이며(Butler and Kehrli , 2005, Mucosal Immunology, 1763-1793), 24시간 후에 25 - 30 ㎎/㎖으로 떨어진다(Ontsouka et al , 2003, J Dairy Sci, 86, 2005-11). 초유 및 우유는 경구 전달을 위한 다클론 항체의 유일한 안전한 원료다. 일반 우유는 1.5 g/L IgG를 함유하기 때문에 소 면역글로블린에 인간은 이미 광범위하게 노출된다.
"키메라항체"는 (a) 불변 영역 또는 이의 일부분이 변경되거나, 대체되거나 또는 교환되어 항원 결합 부위(가변 영역)가 상이한 또는 변경된 부류의 불변 영역, 효과물질 기능 및/또는 종에 연결되거나 또는 전혀 다른 분자 가령, 키메라 항체에 새로운 성질을 부여하는, 가령, 효소, 톡신, 호르몬, 성장인자, 약물 등에 연결된 항체 분자; 또는 (b) 가변 영역, 또는 이의 일부분이 상이한 또는 변경된 항원 특이성을 가진 불변 영역으로 변경, 대체 또는 교환된 항체 분자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816,567호 및 Morrison , 1985, Science 229: 1202-07 참고.
본 발명은 모방 항체들, 예를 들면, 아파타머(aptamers), 나노바디(nanobodies) 및 피브로넥틴-기반 항체 모방체로 의도된 분자의 용도를 더 고려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융합 단백질”의 사용을 고려하는데, 여기에서 융합 단백질은 항체 분자의 일부분이 표적 수용체에 대한 리간드에 융합되어, 표적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만들어진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표적에 특이적인 항체의 유도체를 제공한다. 유도화된 항체는 특정 용도에서 증가된 반감기와 같은 항체에게 바람직한 성질을 부여하는 임의의 분자 또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화된 항체는 예를 들면, 탐지가능한(또는 라벨링된) 모이어티(가령, 방사능활성, 발색성, 항원성 또는 효소적 분자, 탐지가능한 베드(가령 자성 또는 전자조밀한(가령, 골드 베드) 또는 또다른 분자(가령, 바이오틴 또는 스트렙타아비딘)에 결합하는 분자, 치료 또는 진단 모이어티(가령, 방사능활성, 세포독성, 또는 약제학적 활성 모이어티), 또는 특정 용도를 위하여 항체의 적합성을 증가시키는 분자(가령, 인간 개체와 같은 개체에 투여, 또는 다른 생체내 또는 시험관 용도)를 포함할 수 있다. 항체를 유도화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는 분자의 예는 알부민 (가령, 인간 혈청 알부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을 포함한다. 항체의 알부민-링크된 그리고 페길화된(PEGylated) 유도체들은 당업계 공지된 기술들을 이용하여 준비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항체는 트란스티렉틴(TTR) 또는 TTR 변이체에 콘쥬게이트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연결된다. TTR 또는 TTR 변이체는 예를 들면, 덱스트란, 폴리(n-비닐 피롤리돈),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프로필렌 글리콜 호모폴리머, 폴리프로필렌 산화물/에틸렌 산화물 코폴리머, 폴리옥시에틸화된 폴리올 및 폴리비닐 알코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학물질로 화학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치료 조성물들을 이용하여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들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용어 "환자"는 동물을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동물은 포유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포유류는 인간이다. "환자"는 예를 들면, 개, 고양이, 말, 소, 돼지, 기니아 피그, 물고기, 새 및 이와 유사한 것을 또한 지칭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들 및 방법들은 동물 치료에 동등하게 적합하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항체들은 반려 동물들, 노동 동물들 또는 식용으로 사육되는 동물들의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데 이용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안정화된 항체들은 새로 태어난 동물들, 바람직하게는 소, 말, 양 또는 돼지에게 수동 면역을 제공하는데 이용된다.
용어 “치료”, “치료하다” 및 “치료하는”은 장애, 질환, 병 또는 다른 이상(여기에서는 집합적으로 “이상”이라고 함)의 최소한 하나의 증상의 완화, 치료 또는 예방, 또는 이상의 심각성의 감소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완벽한 치료에 영향을 줄 필요가 없고, 질환의 모든 증상 또는 현시를 근절시킬 필요가 없으며, 실행가능한 치료 물질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당업계에서 인식되는 것과 같이, 치료물질로 이용되는 약물들은 주어진 질환 상태의 심각성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유용한 치료 물질로 간주되는 질환의 모든 현시를 제거할 필요는 없다. 유사하게, 예방목적으로 투여된 치료는 실행가능한 예방제를 구성하기 위하여 이상의 개시를 방지하는데 있어서 완벽하게 효과적일 필요는 없다. 질환의 영향을 단순히 감소시키거나(예를 들면, 질환의 증상 횟수를 감소시키거나 중증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또다른 치료의 효과를 증가시킴으로써, 또는 또다른 유익한 효과를 만듦으로써), 또는 개체에서 질환이 발생하거나 또는 악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한 구체예에서, 환자에게 조성물의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이 투여되었다는 것은 특정 장애의 중증도를 반영하는 지표의 기저수준이상으로 지속적인 개선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들은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운반체 또는 부형제와 함께 조제된 본 발명의 항체의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항체의 “치료요법적으로 유효량”은 임의의 의학적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합당한 이익/위험 비율에서 치료된 개체에게 치료 효과를 부여하는 조성물의 양을 의미한다. 치료 효과는 여기에서 이용된 용어로 환자를 “치료”하는데 충분하다.
여기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운반체 또는 부형제”는 임의의 유형의 물질 또는 조제 보조물을 포집하는 비-독성, 비활성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필러, 희석제를 의미한다.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운반체로 작용할 수 있는 물질들의 일부 예로는 락토즈, 글루코즈 및 슈크로즈와 같은 슈가; 옥수수 전분 및 감자 전분과 같은 전분; 카르복시메틸 나트륨 셀룰로오즈, 에틸 셀룰로오즈 및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와 같은 셀룰로오즈 및 이의 유도체들; 분말로된 트라가탄; 맥아; 젤라틴; 활석; 코코아 버터 및 좌약 왁스와 같은 부형제; 땅콩유, 면실유, 홍화유, 참기름, 올리브유, 옥수수유 및 콩기름과 같은 기름;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글리콜; 에틸 올레이트, 에틸 라우레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한천; 수산화 마그네슘 및 수산화 알루미늄과 같은 완충 물질; 알긴산; 발열물질 없는 물; 등장성 염수; 링거 용액; 에틸 알코올, 그리고 인산염 완충액 용액들 뿐만 아니라 라우릴 설페이트 나트륨 및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과 같은 기타 비-독성 양립성 윤활제들이며, 뿐만 아니라, 발색제, 방출제, 피복제, 감미제, 풍미제 그리고 방향제 및 항산화제 또한 조제업자의 판단에 따라 조성물내에 존재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투약형은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에멸젼, 마이크로에멸젼, 용액, 현탁액, 시럽 및 엘륵시르를 포함한다. 활성 화합물에 추가하여, 액체 투약형은 당분야에 공통적으로 이용되는 비활성 희석제, 예를 들면, 물 또는 기타 용매들, 가령,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에틸 카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베질 벤조산,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디메틸포름아미드, 오일(특히, 목화씨, 땅콩, 옥수수, 싹, 올리버, 피마자유, 그리고 참기름), 글리세롤, 테트라하이드로푸르퓨릴 알코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그리고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그리고 이의 혼합물과 같은 가용화제 및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비활성 희석제 이외에, 경구 조성물들은 습윤제, 유화제, 현탁제, 감미제, 풍미제 및 방향제와 같은 보조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직장 투여용 조성물들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합물들과 코코아 버터,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실온에서는 고체이지만 체온에서는 액체가 되어 직장 또는 질내 공동에서 용융되어 활성 화합물을 방출하는 좌약 왁스와 같은 적합한 비-자극 부형제 또는 운반체를 혼합시킴으로써 만들 수 있는 좌약이다. 한 구체예에서, 직장 투여용 조성물들은 관장제 형태내에 있다.
경구 투여용 고체 투약형은 캡슐, 태블릿, 알약, 분말 및 과립을 포함한다. 이러한 고체 투약형에서, 활성 화합물은 구연산 나트륨 또는 인산 이칼슘염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부형제 또는 운반체와 혼합되거나 및/또는 a) 전분, 락토즈, 슈크로즈, 글루코즈, 만니톨, 및 규산과 같은 충전제 또는 증량제, b) 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알긴산염,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슈크로즈 및 아카시아와 같은 결합제, c) 글리세롤과 같은 습윤제, d) 한천-한천, 탄산칼슘, 감자 또는 타포이카 전분, 알긴산, 특정 규산염 및 탄산 나트륨과 같은 붕해제, e) 파라핀과 같은 용액 지연제, f) 4차 암모니움 화합물과 같은 흡수 가속화제, g) 예를 들면, 세틸 알코올 및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습윤제, h) 카올린 및 벤토나이트 점토와 같은 흡수제, 그리고 i) 활석, 스테아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고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라우릴 설페이트 나트륨과 같은 윤활제 및 이의 혼합물과 혼합될 수 있다. 캡슐, 태블릿 및 알약의 경우, 투약형은 완충 물질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한 유형의 고체 조성물들은 락토즈 또는 유당과 같은 부형제와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이와 유사한 것을 이용한 연질 및 경질-충전된 젤라틴 캡슐내 충진제로 이용될 수 있다.
안정화된 항체들은 위의 분해(gastric degradation)에 대해 강화된 안정성을 가지기는 하지만, 위의 분해에 대해 추가 보호 수준을 제공하기 위하여 일부 조건하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이것이 바람직한 경우, 장용피를 위한 많은 선택권이 있다(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330,338호 및 제4,518,433호). 한 구체예에서, 장용피는 막 피복을 용해시키고, 활성 성분을 방출하기 위하여 위장-이후 pH의 변화를 이용한다. 소장으로 단백질 치료제를 전달하기 위하여 피복 및 조제물이 개발되었고, 이러한 방법은 본 발명의 항체 운반에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슐린의 장용피 형태는 경구 운반을 위하여 개발되었다(Toorisaka et al , 2005, J Control Release , 107, 91-6).
또한, 태블릿, 당과, 캡슐, 알약, 및 과립의 고형 투약형은 약제 분야에 잘 알려진 다른 피복 및 껍질로 만들 수 있다. 이들은 선택적으로 불투명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내장관의 특정 부분에서만 활성 성분들을 선택적으로 지연된 방식으로 방출하는 조성물일 수도 있다. 이용될 수 있는 임베딩(embedding) 조성물의 예는 폴리머 물질 및 왁스를 포함한다.
유효 투여량은 투여 경로 및 다른 물질과의 공동-이용 가능성에 따라 다양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조성물들의 총 일일 이용은 적절한 의학적인 판단 범위내에서 주치의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임의의 특정 환자에 대한 특정 치료 유효 투여량은 치료될 장애 및 장애의 중증도; 이용되는 특정 화합물의 활성; 이용되는 특이적 조성물; 환자의 나이, 체중, 전반적인 건강, 성별 및 식사;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이용된 특정 화합물의 배설율; 음식 섭취와 관련하여 화합물의 전달 시기; 치료 기간; 이용되는 특정 화합물과 복합하여 또는 동시에 이용되는 약물; 및 의료 분야에 잘 공지된 유사 인자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인자들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여 경로는 카테테르 또는 공급 튜브를 통하여 경구 투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들은 약 1 ㎎/day 내지 약 1 g/day의 투약량으로,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 ㎎/day 내지 약 500 ㎎/day,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 ㎎/day 내지 약 100 ㎎/day의 투약량으로 개체에게 본 발명의 항체를 포함하는 제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과 관계한다. 한 구체예에서, 다클론 항체 조합물은 약 100 ㎎ 내지 약 50 g/day, 더 바람직하게는 약 500 ㎎/day 내지 약 10 g/day,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 g/day 내지 약 5 g/day의 항체 투약량으로 개체에게 투여되며, 여기에서 다클론 항체 조합물은 표적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들에 대해 농축되지 않았다.
치료 섭생(Treatment regimens)은 여기에서 공개된 내과 장애를 치료하기 위하여 하루에 1회, 하루에 2회, 또는 하루에 3회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항체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여기에서 공개된 내과 장애를 치료하기 위하여본 발명의 항체 조성물은 하루에 4회, 하루에 6회 또는 하루에 8회 투여된다. 한 구체예에서, 여기에서 공개된 내과 장애를 치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항체 조성물은 주당 1회, 주당 2회, 또는 주당 3회 이상 투여된다.
본 발명의 방법들 및 조성물들은 환자를 괴롭히는 이상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하나 이상의 추가 치료 물질과 복합하여 본 발명의 항체 이용을 포함한다.
이러한 물질들의 예는 단백질로 구성된(proteinaceous) 및 비-단백질로 구성된 약물을 모두 포함한다. 다중 치료법이 공동-투여된 경우, 따라서 당분야에서 인지되는 바와 같이, 투약량은 조절될 수 있다. “공동-투여” 및 복합 요법은 동시 투여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항체는 환자에게 최소한 하나의 다른 치료 물질이 투여되는 것과 관련된 치료 과정 동안 최소한 한번 투여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TNF에 특이적인 항체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젖으로부터 유도된, 다클론 항-TNF 항체들을 이용하여 염증, 특히 염증성 장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들과 방법들을 포함하는데, 이때 항-TNF 항체의 피크 혈청 농도는 1㎍/㎖ 아래, 바람직하게는 300 ng/㎖ 아래, 바람직하게는 100 ng/㎖ 아래에서 유지시킨다. 또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젖에서 유도된 다클론, 항-TNF 항체들을 이용하여 점막염, 특히 구강 점막염을 치료하는 조성물과 방법을 포함하는데, 이때 항-TNF 항체의 피크 혈청 농도는 1㎍/㎖ 아래로 유지된다. 기타 바람직한 구체예들은 소화 기관에 국소적으로 투여되었을 때 이들 항체들에 접근가능한 표적들에 특이적인 본 발명의 항체들을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는 소화 기관 장애에 관한 것이며, 이때 항체 혈청 농도는 또한 여기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1㎍/㎖ 아래로 유지된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징들 또는 특정 구체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이에 한정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없다.
실시예
실시예 1. 소의 항- TNF 항체 분석
소의 다클론 항-TNF 항체 (AVX-470)는 뮤린 TNF로 소를 면역주사하고, 출산후 초유를 수거하여 만들었다. 면역글로블린은 황산 암모니움 침전에 의해 초유 유장으로부터 정제하였고: SDS-PAGE에 의하면 조합물은 70% 순도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글루텐으로 면역주사를 맞은 소의 초유의 기준 면역글로블린을 나란히 정제하였다. 반-정제된 면역글로블린 조합물의 단백질 농도는 BCA 분석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AVX-470의 TNF-중화 활성은 표준 L929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AVX-470으로 실행한 첫 기능 실험은 햄스터에서 실행되었기 때문에, 햄스터 TNF를 중화시키는 능력을 평가하였다. 햄스터 비장세포들은 24시간 동안 2 ng/㎖으로 LPS로 자극을 하였고, 상청액은 햄스터 TNF의 원천으로 이용되었다. AVX-470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대조군 소의 항-글루텐 항체 또는 정제된 토끼 항-TNF 항체 (Biovision)는 햄스터 LPS 상청액(이하 햄스터 TNF로 지칭함)의 1:100 희석비로 37℃에서 2시간 동안 항온처리하였다. 햄스터 TNF-항체 조합은 1 ㎍/㎖ 악티노마이신 D와 함께 하롯밤동안 도말된 L929 세포로 이동시켰다(웰당 3.5 x 104 세포). 배양물은 하룻밤동안 항온처리하였고, 세포 증식은 WS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모든 분석은 3중으로 실행하였다.
표 1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햄스터 TNF는 L929 세포들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억제는 정제된 토끼 항-TNF 항체 및 AVX-470에 의해 약량-의존적 방식으로 차단되었지만, 대조군 소의 항-글루텐 항체에 의해서는 차단되지 않았다. 0.5 ㎍/㎖의 정제된 항-TNF 항체 및 200 ㎍/㎖ AVX-470에 의해 최대 억제의 절반이 일어났다. 이들 데이터에 근거하여, AVX-470내 항체의 0.25%는 TNF에 특이적이라는 것을 예측한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2. TNBS -유도된 결장염을 경구 항- TNF 항체로 치료
소의 다클론 항-TNF 항체 (AVX-470)는 뮤린 TNF으로 면역주사를 맞은 소의 초유로부터 분리하였다. 초유 유장은 초유에서 지방을 제거하고, pH 4.6에서 항온처리하여 카제인을 침전시킴으로써 만들어졌다. 면역주사를 맞은 소의 유장을 모우고, 친황성 흡착 크로마토그래피(thiophilic adsorbent chromatography)에 의해 정제하였다. 나란하게 대조군 항체는 면역주사를 맞지 않은 동물의 초유로부터 정제하였다.
C57BL/6 마우스((8-9 주령) Charles River Laboratories, Wilmington, MA)에게 50% 에탄올내 0.1 mL TNBS (트리니트로벤젠 술포네이트) (4 ㎎)을 직장으로 투여하였다. TNBS 모델은 염증성 장 질환의 잘-용인되는 모델이다. 대조군 동물은 에탄올을 단독 투여하였다. 12마리 동물이 TNBS-치료 군에 이용되었고, 다른 각 군에는 8마리 동물이 있다. 동물들에게 AVX-470 (5 ㎎, 1.5 ㎎ 또는 0.5 ㎎), 대조군 소의 항체 (1.5 ㎎) 또는 염수를 하루에 2차례 0.1 ml의 경구 위관영양으로 투약하였다. 항체는 -1일 시점부터 3일 시점까지 투여되었다.
각 마우스는 희생되기 전 5일 시점에 이소플루란 마취하에 비디오 내시경검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내시경 과정 동안 영상 및 비디오를 기록하여 결장염의 정도와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였다. 결장염의 중증도는 0-4 등급을 이용하여 내용을 알지 못하는 관찰자(blinded observer)에 의해 기록되었다(0= 정상; 1= 혈관질 상실; 2= 혈관질 상실 및 부서질것 같음; 3= 부서질것 같음 그리고 침식; 4= 궤양 및 출혈). 군 간의 차이는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AVX-470의 경구 투여는 염증성 장 질환에 대한 인정 모델에서 결장염의 중증도를 감소시켰다.
실시예 3. TNBS -유도된 결장염을경구 항- TNF 항체로 치료후 혈청 항체 수준들
실시예 2에서 마우스를 희생시킨 후, 혈액 샘플을 심장 구멍을 통하여 수거하고, 혈청을 준비하고 냉동시켰다. ELISA으로 소 면역 글로블린의 존재에 대해 각 마우스의 혈청을 분석하였다. 플레이트는 양의 항-소 IgG (h+1) 항체를 5 ㎍/㎖ (Bethyl Laboratories, Montgomery, TX)으로 피복하였다. 마우스 혈청의 연속 희석물(3-배 희석, 1 : 100 희석에서 출발)은 이중으로 분석하였다. 항체는 HRP-라벨된 양의 항-소 IgG (h+1) 항체, 10 ng/㎖와 TMB 기질 (SigmaAldrich, St. Louis, MO)로 탐지되었다. 소의 참고 혈청 (Bethyl Laboratories)을 이용한 표준 곡선은 모든 ELISA 플레이트에서 실시하였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이 분석은 10 ng/㎖이상의 소 면역글로블린 농도를 바로 탐지한다.
모든 마우스의 혈청은 ELISA에서 분석하였다. 소 항체 (AVX-470 또는 대조군 항체)가 투여된 32마리 마우스중 31 마리에서는 5일 시점에 혈청에서 탐지가능한 소 면역글로블린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ELISA의 탐지 한계는 10 ng/㎖이었고, 혈청은 1 : 100 희석에서 분석하였다. 따라서, 혈청 샘플은 1 ㎍/㎖ 미만의 소 면역글로블린을 보유하였다.
마우스 #23의 혈청에서 매우 높은 수준의 면역글로블린(0.95 ㎎/㎖)이 탐지되었다. 이 마우스는 최대 약량의 AVX-470 (5 ㎎)으로 치료된 군에 속하였다. 마우스의 혈청 용적인 대략 1 ㎖이었고, 이 데이터에서 공급된 약량의 20%가 혈청내 존재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러나, 이 군내 다른 7마리 마우스들은 1 ㎍/㎖ 미만(1000-배 이상 더 낮은)의 소 면역글로블린의 혈청 수준들을 보유한다고 가정하면, 이 결과는 아마도 샘플의 오염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 마우스 #23은 고투여량 처리된 군에서 내시경검사의 최대 수치를 가졌다는 것을 주목해야한다.
실시예 1에서 나타낸 데이터는 AVX-470내 면역글로블린의 1% 미만이 TNF에 특이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TNF-특이적 항체의 혈청 농도는 유의적인 임상 효과를 볼 수 있었던 이 실험에서 10 ng/㎖ 미만이었다. 주사된 항-TNF 항체들에 대한 임상적으로 유효한 혈청 농도는 0.8-1.4 ㎍/㎖이었다 (Tracey et al , 2008, Pharmacol Ther , 117, 244-79).
실시예 4. 구강 점막염을 국소 항- TNF 항체로 치료
소의 다클론 항-TNF 항체 (AVX-470)는 뮤린 TNF으로 면역주사를 맞은 소의 초유로부터 분리하였다. 초유 유장은 초유에서 지방을 제거하고, pH 4.6에서 항온처리하여 카제인을 침전시킴으로써 만들어졌다. 면역주사를 맞은 소의 유장을 모우고, 황화암모늄 염 침전에 의해 정제하였다. 나란하게 대조군 항체는 면역주사를 맞지 않은 동물의 초유로부터 정제하였다.
Syrian Golden 햄스터 (군당 8마리 햄스터)를 마취시키고, 차폐용 납(lead shield)을 이용하여 좌측 볼 파우치를 뒤집어 고정시키고 단리하였다. 0일 시점에 모든 동물에게 단일 약량의 방사선(40 Gy/dose)을 분당 2.0 Gy의 속도로 투여하였다. 방사선은 50 ㎝의 초점 거리에서 16kV 전위(15-ma) 원천으로 생성되었고, 0.35㎜ Cu 여과 시스템으로 강화되었다. 이 모델에서, 점막염 중증도는 14일 시점에 절정에 도달하였고, 18일 시점에 낫기 시작한다. 방사선 조사 직후 0일 시점에서 시작하여, 햄스터의 좌측 볼 주머니로 염 완충액내 1 ㎎의 AVX-470을 28일간의 연구 기간동안 매일 2회씩 투여하였다.
염 대조군과 7 ㎎ 소의 초유 항-글루텐 항체를 투여한 군의 2가지 대조군이 포함되었다. 점막염의 중증도는 6일 시점에 시작하여 28일 시점까지 이틀에 한번씩 평가하였다. 동물은 마취를 시켰고, 좌측 볼 주머니는 뒤집어서 사진을 찍었다. 연구 종료시, 영상들을 무작위로 하고, 각 영상 확인자를 모르는 2명의 기록자에 의해 독립적인 방식으로 수치를 기록하였다.
점막염은 인정된 사진 등급과 비교하여 시각적으로 등급을 매겼다. 등급 0: 주머니는 완벽하게 건강함. 홍반이나 혈관확장이 없음; 등급 1 : 가벼운 내지 심각한 홍반과 혈관확장. 점막의 부식은 없음; 등급 2: 심각한 홍반 및 혈관확장. 점막의 외관상 양상의 부식으로 벗겨진 지역들이 있음. 점막의 점묘의 감소; 등급 3: 한군데 이상의 지역에서 회백색 궤양이 형성. 궤양은 허위막으로 인하여 황/회색을 띈다. 궤양의 점증 크기는 주머니의 ~¼ 에 이른다. 심각한 홍반 및 혈관확장; 등급4: 궤양의 점증 크기는 주머니의 약 ½ 에 이른다. 유연성 상실. 심각한 홍반 및 혈관확장; 등급 5: 사실상 주머니 모두 궤양화된다. 유연성 상실(주머니는 입에서 부분적으로만 빼낼 수 있다).
군간에 점막염 심각성의 차이는 궤양이 있는(가령, 등급 3 이상) 각 동물의 일수를 계산하여 평가할 수 있다. 궤양은 구강 점막의 물리적 완결상태가 갈라진 질환의 발달 점이며, 임상적으로 유의적인 종결점이다. 표 2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1 ㎎의 AVX-470으로 치료를 받은 동물은 등급 3 이상의 점막염을 가진 동물 일수의 수를 26% 감소시켰다. 항-글루텐 항체를 이용한 치료는 질환 결과에 효과가 없었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5. 구강 점막염을 국소 항- TNF 항체로 치료후 혈청 항체 수준들
실시예 4에서 햄스터를 희생시킨 후, 혈액 샘플을 심장 구멍을 통하여 수거하고, 혈청을 준비하고 냉동시켰다. ELISA으로 소 면역 글로블린의 존재에 대해 각 햄스터의 혈청을 분석하였다. 플레이트는 양의 항-소 IgG (h+1) 항체를 5 ㎍/㎖ (Bethyl Laboratories, Montgomery, TX)으로 피복하였다. 마우스 혈청의 연속 희석물(3-배 희석, 1 : 100 희석에서 출발)은 이중으로 분석하였다. 항체는 HRP-라벨된 양의 항-소 IgG (h+1) 항체, 10 ng/㎖와 TMB 기질 (SigmaAldrich, St. Louis, MO)로 탐지되었다. 소의 참고 혈청 (Bethyl Laboratories)을 이용한 표준 곡선은 모든 ELISA 플레이트에서 실시하였다.
모든 햄스터의 혈청은 ELISA에서 분석하였다. 소 항체 (AVX-470 또는 대조군 항-글루텐 항체)가 투여된 햄스터중 28일 시점에 혈청에서 탐지가능한 소 면역글로블린을 가지고 있는 햄스터는 없었다. ELISA의 탐지 한계는 10 ng/㎖이었고, 혈청은 1 : 100 희석에서 분석하였다. 따라서, 혈청 샘플은 1 ㎍/㎖ 미만의 소 면역글로블린을 보유하였다.
실시예 6. 볼 주머니의 방사능조사후 면역조직화학에 의해 국소 조직에서 탐지된 소의 항체
Syrian Golden 햄스터는 실시예 4에서와 같이 좌측 볼 주머니에 40 Gy 방사능을 제공받았다. 방사능 조사후 12일에 동물은 볼 주머니 모두에 1 ㎎의 AVX-470 단일 투약을 받았다. 투약 1시간 후 동물을 희생시키고, 볼 주머니를 잘라내고, 포르말린에 고정시키고, 파라핀에 묻고, 절단하였다. 단편들은 Vector Laboratories의 Vectastain Elite ABC 키트를 이용하여 소 면역글로블린 존재에 대해 착색하였다. 이 키트는 염소 IgG를 인식하도록 기획되지만, 소 면역글로블린과 교차 반응한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소 면역글로블린은 좌측 볼 주머니내 점막 아래 공간을 통하여 바로 감지될 수 있지만(패널 A), 방사선 조사를 받지 않은 우측 볼 주머니의 외면에서만 발견되었다(패널 B).
실시예 7. GI 급성 방사선 증후군을 경구 항- TNF 항체로 치료
소의 다클론 항-TNF 항체 (AVX-470)는 뮤린 TNF으로 면역주사를 맞은 소의 초유로부터 분리하였다. 초유 유장은 초유에서 지방을 제거하고, pH 4.6에서 항온처리하여 카제인을 침전시킴으로써 만들어졌다. 면역주사를 맞은 소의 유장을 모우고, 친황성 흡착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C3H/HeNcrl 마우스에게 0일 시점에 전체 몸 방사능조사(8 Gy/dose)를 단일 투여하였다. 방사선은 50 ㎝의 초점 거리에서 160kV 전위(15-ma) 원천으로 생성되었고, Kimtron Polaris II 방사 원천을 이용한 0.35㎜ Al 여과 시스템으로 강화되었다. 조사는 분당 < 100 cGy의 속도로 전신을 향하였다. 동물은 염수 또는 6㎎ AVX-470으로 하루에 2차례 투약받았다. 첫 투약은 조사후 10분에 제공되었고, 동물은 10일 시점 내내 투약받았다. 각 군의 3마리 동물은 1일과 7일 시점에 희생시켰고, 실시예 8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실험에 이용하였다. 군마다 남아있는 16마리 동물의 생존을 모니터하였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AVX-470로 처리된 군(■)은 Kaplan-Meier Log 등급 테스트(p=0.002)에서 생존에 대해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개선을 나타내었고, 대조군 염수로 처리된 군에서는 한 마리도 없는 것과 비교하여 연구 종료까지 3마리의 마우스가 생존하였다(○).
실시예 8. GI ARS 를 경구 항- TNF 항체로 치료한 후 혈청 항체 수준들
실시예 7에서 마우스를 1일과 7일 시점에 희생시킨 후, 혈액 샘플을 심장 구멍을 통하여 수거하고, 혈청을 준비하고 냉동시켰다. ELISA으로 소 면역 글로블린의 존재에 대해 각 마우스의 혈청을 분석하였다. 플레이트는 양의 항-소 IgG (h+1) 항체를 5 ㎍/㎖ (Bethyl Laboratories, Montgomery, TX)으로 피복하였다. 마우스 혈청의 연속 희석물(3-배 희석, 1 : 100 희석에서 출발)은 이중으로 분석하였다. 항체는 HRP-라벨된 양의 항-소 IgG (h+1) 항체, 10 ng/㎖와 TMB 기질 (SigmaAldrich, St. Louis, MO)로 탐지되었다. 소의 참고 혈청 (Bethyl Laboratories)을 이용한 표준 곡선은 모든 ELISA 플레이트에서 실시하였다.
모든 마우스의 혈청은 ELISA에서 분석하였다. 소 항체 (AVX-470 또는 대조군 항-글루텐 항체)가 투여된 마우스중 1일 또는 7일 시점에 혈청에서 탐지가능한 소 면역글로블린을 가지고 있는 마우스는 없었다. ELISA의 탐지 한계는 10 ng/㎖이었고, 혈청은 1 : 100 희석에서 분석하였다. 따라서, 혈청 샘플은 1 ㎍/㎖ 미만의 소 면역글로블린을 보유하였다.
실시예 9. TBI 에 이어서 면역 조직화학에 의한 소장 기저막에서 탐지된 소 항체
C3H/HeN 마우스에게 실시예 8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전신에 8.55 Gy 투여량의 방사능을 조사하였다. 조사 직후 시작하여, 동물들은 10 ㎎ AVX-470으로 하루에 1번 투약받았다. 조사후 96 hr에, 동물들을 희생시키고, 이들의 소장을 제거하였다. 공장(jejunum) 단편들을 포르말린에 고정시키고, 파라핀에 묻어 절단내었다. 단편들은 Vector Laboratories의 Vectastain Elite ABC 키트를 이용하여 소 면역글로블린 존재에 대해 착색하였다. 이 키트는 염소 IgG를 인식하도록 기획되지만, 소 면역글로블린과 교차 반응한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소 면역글로블린은 기저막에서 탐지될 수 있다.
여기에서 언급된 특허 및 과학 문헌들은 당업계 기술을 가진 자들이 이용가능한 지식을 규정한다. 여기에서 언급된 모든 미국 특허 및 공개된 또는 비-공개된 미국 특허 출원은 참고자료에 통합된다. 여기에서 언급된 공개된 외국 특허 및 특허 출원들은 참고자료에 통합된다. 기타 공개된 자료, 서류, 원고 및 과학 문헌 모두 참고자료에 통합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예를 참고하여 특히 나타내고 설명되지만, 당업계 숙련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포함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형태 및 내용에서 다양한 변화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여기에서 설명된 구체예들은 상호 배타적이지 않으며, 다양한 구체예들의 특징은 본 발명의 전체 또는 일부에 복합될 수 있다는 것 또한 인지해야만 한다.

Claims (38)

  1. 젖에서 유도된 다클론 항-TNF 항체를 소화 기관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항-TNF 항체의 투여후 환자의 혈청내 항-TNF 항체의 피크 수준은 약 1 ㎍/㎖ 미만인,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치료 항-TNF 항체의 3회 이상의 투약에 노출된 후 환자의 약 2% 미만이 치료 항-TNF 항체에 대한 항체를 발달시키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치료 항-TNF 항체의 3회 이상의 투약은 6개월에 걸쳐 항-TNF 항체의 효과를 낮추지 않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항-TNF 항체의 투여후 환자의 혈청내 탐지가능한 항-TNF 항체의 피크 수준은 약 10ng/㎖ 미만인,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항-TNF 항체는 경구 또는 직장으로 투여되는, 방법.
  6. 소에서 유도된 다클론 항-TNF 항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이 항체는 염증성 장 질환을 국소적으로 치료하는데 유효한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하며, 조성물을 투여할 때, 항-TNF 항체의 투여후 환자의 혈청내 탐지가능한 항-TNF 항체의 피크 수준은 약 1 ㎍/㎖ 미만인,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항-TNF 항체의 투여후 환자의 혈청내 탐지가능한 항-TNF 항체의 피크 수준은 약 10ng/㎖ 미만인, 조성물.
  8. 청구항 6에 있어서, 경구 또는 직장 투여용으로 조제된 조성물.
  9. 소에서 유도된 다클론 항-TNF 항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염증성 장 질환을 가진 환자의 국소적으로 치료하는데 이용하는 용도에 있어서, 항-TNF 항체의 투여후 환자의 혈청내 탐지가능한 항체의 피크 수준은 약 1 ㎍/㎖ 미만인, 용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치료 항-TNF 항체의 3회 이상의 투약에 노출된 후 환자의 약 2% 미만이 치료 항-TNF 항체에 대한 항체를 발달시키는, 용도.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치료 항-TNF 항체의 3회 이상의 투약은 6개월에 걸쳐 항-TNF 항체의 효과를 낮추지 않는, 용도.
  12. 청구항 9에 있어서, 항-TNF 항체의 투여후 환자의 혈청내 탐지가능한 항-TNF 항체의 피크 수준은 약 10ng/㎖ 미만인, 용도.
  13. 청구항 9에 있어서, 항-TNF 항체는 경구 또는 직장으로 투여되는, 용도.
  14. 항-염증성 사이토킨에 특이적인 소에서 유도된 다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이 항체는 환자의 소화 기관의 염증을 국소적으로 치료하는데 유효한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하며, 조성물을 투여할 때, 항체의 투여후 환자의 혈청내 탐지가능한 항체의 피크 수준은 약 1 ㎍/㎖ 미만인, 조성물.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항-염증성 사이토킨은 TNF, TNF-카파, Ifh-감마, IL-1 베타, IL-2, IL-6, IL-12, IL-13, IL-15, IL-17, IL-18, IL-21, IL-23, IL-27, IL-32, IL-33, IL-35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항-염증성 사이토킨은 TNF인, 조성물.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경구 또는 직장 투여용으로 조제된 조성물.
  18. 환자의 소화기관에 염증성 사이토킨에 특이적인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의 소화 기관의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항체의 투여후 환자의 혈청내 항체의 피크 수준은 약 1 ㎍/㎖ 미만인,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GI 기관의 침투성은 염증으로 인하여 증가된, 방법.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염증은 화학요법, 방사능요법, 비-치료 방사능 노출, 염증성 장 질환, 지방변증, 염증성 장 증후군, 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성 약물의 결과인, 방법.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염증성 사이토킨은 TNF, TNF-카파, Ifh-감마, IL-1 베타, IL-2, IL-6, IL-12, IL-13, IL-15, IL-17, IL-18, IL-21, IL-23, IL-27, IL-32, IL-33, IL-35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2. 청구항 18에 있어서, 치료 항체의 3회 이상의 투약에 노출된 후 환자의 약 2% 미만이 치료 항체에 대한 항체를 발달시키는, 방법.
  23. 소에서 유도된 항-염증성 사이토킨에 특이적인 다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환자의 위장관 염증을 국소적으로 치료하는데 이용하는 용도에 있어서, 항체의 투여후 환자의 혈청내 탐지가능한 항체의 피크 수준은 약 1 ㎍/㎖ 미만인, 용도.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염증은 화학요법, 방사능요법, 비-치료 방사능 노출, 염증성 장 질환, 지방변증, 염증성 장 증후군, 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성 약물의 결과인, 용도.
  25. 청구항 23에 있어서, 염증성 사이토킨은 TNF, TNF-카파, Ifh-감마, IL-1 베타, IL-2, IL-6, IL-12, IL-13, IL-15, IL-17, IL-18, IL-21, IL-23, IL-27, IL-32, IL-33, IL-35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용도.
  26. 청구항 23에 있어서, 항체의 투여후 환자의 혈청내 탐지가능한 항체의 피크 수준은 약 10ng/㎖ 미만인, 용도.
  27. 청구항 23에 있어서, 치료 항체의 3회 이상의 투약에 노출된 후 환자의 약 2% 미만이 치료 항체에 대한 항체를 발달시키는, 용도.
  28. 청구항 23에 있어서, 항체의 3회 이상의 투약은 6개월에 걸쳐 항체의 효과를 낮추지 않는, 용도.
  29. 젖에서 유도된 다클론 항-TNF 항체를 위장(GI) 관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점막염을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항-TNF 항체의 투여후 환자의 혈청내 항-TNF 항체의 피크 수준은 약 1 ㎍/㎖ 미만인, 방법.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항-TNF 항체의 투여후 환자의 혈청내 탐지가능한 항-TNF 항체의 피크 수준은 약 10ng/㎖ 미만인, 방법.
  31. 청구항 29에 있어서, 점막염은 구강 점막염인, 방법.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항-TNF 항체는 구강 강(cavity)의 투여용으로 조제된, 방법.
  33. 청구항 29에 있어서, 점막염은 위장 점막염인, 방법.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항-TNF 항체는 위장관으로 투여하기 위해 조제된, 방법.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항-TNF 항체는 경구 또는 직장 전달용으로 조제된, 방법.
  36. 항체를 소화 기관에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소화 기관에 항체를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환자의 소화 기관의 점막 방벽은 항체가 침투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면역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며, 이때 항체는 소화 기관의 관강 표면상에 또는 소화 기관의 점막 방벽아래 생물학적 표적에 특이적이며, 항체의 투여후 환자의 혈청내 항체의 피크 수준은 약 1 ㎍/㎖ 미만인, 방법.
  37. 청구항 36에 있어서, 항체는 젖에서 유도된 다클론 항체인, 방법.
  38. 청구항 36에 있어서, 항체는 TNF, TNF -카파, Ifn-감마, IL-1 베타, IL-2, IL-6, IL-12, IL-13, IL-15, IL-17, IL-18, IL-21, IL-23, IL-27, IL-32, IL- 33, IL-35, toll-유사 수용체들, 장 신경전달물질들 또는 이의 수용체들 또는 운반물질들, 음식 섭취를 조절하는 또는 이들 수용체들을 조절하는 펩티드들, 결장직장 암 세포상에 있는 상피 성장 인자 수용체들로부터 선택된 생물학적 표적에 특이적인, 방법.
KR1020127011319A 2009-10-15 2010-10-15 소화 기관에서 국소 활성을 가진 항체 치료법 KR201200986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199609P 2009-10-15 2009-10-15
US61/251,996 2009-10-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664A true KR20120098664A (ko) 2012-09-05

Family

ID=43876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1319A KR20120098664A (ko) 2009-10-15 2010-10-15 소화 기관에서 국소 활성을 가진 항체 치료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3) US20120258118A1 (ko)
EP (2) EP2488202B1 (ko)
JP (1) JP2013508300A (ko)
KR (1) KR20120098664A (ko)
CN (1) CN102596248A (ko)
AU (1) AU2010306563B2 (ko)
CA (1) CA2777823A1 (ko)
ES (1) ES2547872T3 (ko)
HK (1) HK1173973A1 (ko)
HU (1) HUE027077T2 (ko)
NZ (1) NZ599315A (ko)
PL (1) PL2488202T3 (ko)
PT (1) PT2488202E (ko)
WO (1) WO20110473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34139C (en) 2007-10-02 2019-12-24 Avaxia Biologics, Inc. Antibody therapy for use in the digestive tract
CA2816551A1 (en) * 2010-11-03 2012-05-10 Mcmaster University Method of treating mucosal inflammation
CN103917555A (zh) * 2011-08-01 2014-07-09 艾瓦夏生物制剂公司 人tnf特异性的牛科动物多克隆抗体
US9580501B2 (en) * 2011-12-16 2017-02-28 Synthon Biopharmaceuticals B.V. Anti-TNF alpha monoclonal secretory IgA antibodies and methods f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AU2015204674B2 (en) 2014-01-10 2020-09-03 Anaptysbio, Inc. Antibodies directed against interleukin-33 (IL-33)
FR3022462B1 (fr) * 2014-06-18 2018-04-27 Laboratoire Francais Du Fractionnement Et Des Biotechnologies Composition orale d'anticorps anti-tnfalpha
GB201701404D0 (en) * 2017-01-27 2017-03-15 Micropharm Ltd Therapies for treating inflammatory disorders
EP3409688A1 (en) 2017-05-31 2018-12-05 Tillotts Pharma Ag Topical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using anti-tnf-alpha antibodies and fragments thereof
EP3553155A1 (en) 2018-03-12 2019-10-16 INDIAN OIL CORPORATION Ltd. Nano perovskite materials as combustion improver for liquid and gaseous fuels
GB201812261D0 (en) * 2018-07-27 2018-09-12 Micropharm Ltd Therapies for treating oral mucositis
CN110672860B (zh) * 2019-11-04 2023-07-14 中国科学院近代物理研究所 五种细胞因子组合作为电离辐射损伤生物标志物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0338A (en) 1978-10-02 1982-05-18 Purdue Research Foundation Pharmaceutical coating composition, and preparation and dosages so coated
US4518433A (en) 1982-11-08 1985-05-21 Fmc Corporation Enteric coating for pharmaceutical dosage forms
US4816567A (en) 1983-04-08 1989-03-28 Genentech, Inc. Recombinant immunoglobin preparations
US5126130A (en) 1986-11-24 1992-06-30 The Childrens Hospital Incorporated Monoclonal antibodies reactive with specific antigenic sites on human cytomegalovirus glycoprotein a
CA2132953C (en) * 1992-03-26 2001-01-30 Howard C. Krivan Monospecific polyclonal antibodies to shiga-like toxins
US20030186882A1 (en) * 2001-07-31 2003-10-02 Podolsky Daniel K.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distal bowel lesions
US6395273B1 (en) * 1998-06-10 2002-05-28 Promega Corporatio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DE602004002275T2 (de) 2003-01-07 2007-09-06 Symphogen A/S Verfahren zur herstellung rekombinanterpolyklonaler proteine
US20040185047A1 (en) * 2003-03-21 2004-09-23 Jill Giles-Komar Anti- TNF antibodies, compositions, methods and uses
CN101715456A (zh) * 2007-04-16 2010-05-26 菲仕兰产品有限公司 来自乳汁的抗原特异性抗体、其制备方法以及应用
EP1982999A1 (en) * 2007-04-16 2008-10-22 Friesland Brands B.V. Milk derived antigen specific antibodies,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EP2215474A4 (en) * 2007-07-16 2012-07-18 Avaxia Biologics Inc ANTIBODY THERAPY FOR MODULATING THE FUNCTION OF DARM RECEPTORS
CA2734139C (en) * 2007-10-02 2019-12-24 Avaxia Biologics, Inc. Antibody therapy for use in the digestive tr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0306563B2 (en) 2013-11-28
PT2488202E (pt) 2015-10-19
PL2488202T3 (pl) 2015-12-31
NZ599315A (en) 2014-05-30
US20170008957A1 (en) 2017-01-12
HK1173973A1 (en) 2013-05-31
CA2777823A1 (en) 2011-04-21
EP2488202A1 (en) 2012-08-22
AU2010306563A1 (en) 2012-05-03
WO2011047328A1 (en) 2011-04-21
US20120258118A1 (en) 2012-10-11
HUE027077T2 (en) 2016-08-29
CN102596248A (zh) 2012-07-18
ES2547872T3 (es) 2015-10-09
EP2992900A1 (en) 2016-03-09
JP2013508300A (ja) 2013-03-07
US20140010822A1 (en) 2014-01-09
EP2488202A4 (en) 2013-01-23
EP2488202B1 (en)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9955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TNF-specific antibodies for oral delivery and methods of use thereof to treat inflammatory bowel disease
CA2734139C (en) Antibody therapy for use in the digestive tract
EP2488202B1 (en) Antibody therapeutics with local activity in the digestive tract
CA2836799C (en) Use of anti-cgrp or anti-cgrp-r antibodies or antibody fragments to treat or prevent chronic and acute forms of diarrhea
EP2004232A2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renal disease with antibodies and their equivalents
US8728471B2 (en) Antibody therapy for treatment of diseases associated with gluten intolerance
JP2010501596A (ja) 抗体含有組成物を用いた非感染性の病状の処置および/または予防
Griffiths et al.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 targeted oral anti-TNFα therapy
JP2004514423A (ja) トランスジェニックxenomouse(登録商標)から獲得されるpeudomonasaeruginosalpsに対するヒト抗体
JP2020506882A (ja) 炎症性障害の治療療法
BRPI0208124B1 (pt) Uso de um anticorpo igy imunologicamente específico para a proteína paa associada à virulência de escherichia coli de ligação e eliminação (aeec)
JP2018537117A (ja) 腸内消化に対する改善された安定性を有する抗体
US20170342149A1 (en) Antibody therapy for modulating function of intestinal receptors and methods of treating diabetes and obesity
AU2013245509A1 (en) Antibody therapeutics with local activity in the digestive tract
CN107106672B (zh) 用于预防和治疗免疫介导性疾病的针对胞壁酰肽的单克隆抗体
JP2001081049A (ja) 胃炎・胃又は十二指腸潰瘍治療・予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