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8504A - 플러그 도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플러그 도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8504A
KR20120098504A KR1020120019665A KR20120019665A KR20120098504A KR 20120098504 A KR20120098504 A KR 20120098504A KR 1020120019665 A KR1020120019665 A KR 1020120019665A KR 20120019665 A KR20120019665 A KR 20120019665A KR 20120098504 A KR20120098504 A KR 20120098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ail portion
guide
straight rail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2150B1 (ko
Inventor
노준형
Original Assignee
(주)보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체스 filed Critical (주)보체스
Publication of KR20120098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6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0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fold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작동부의 신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어 고장 및 오동작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제작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플러그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도어의 플러깅 동작을 유도하기 위한 제1 도어용 유도부를 구비하는 플러깅 동작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어용 유도부는,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이동몸체와, 제1 유도 레일과, 제1 도어와 연결되는 제1 도어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이동몸체와 상기 제1 도어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제1 링크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유도 레일은 상기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전방 직선 레일부와, 상기 제1 전방 직선 레일부로부터 상기 제1 도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꺾여서 연장되는 제1 곡선 레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링크 구조는 상기 제1 이동몸체 및 상기 제1 도어 연결부재와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유도 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유도 링크에서 상기 제1 도어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제1 전방 직선 레일부와 상기 제1 곡선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도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플러그 도어 시스템 {PLUG DOOR SYSTEM}
본 발명은 플러그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작동부의 신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어 고장 및 오동작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제작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플러그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철도 차량이나 버스 등의 대형 차량에는 승/하차를 위한 출입구에 운전자나 승무원이 간단한 조작을 통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자동 개폐되는 도어가 설치된다.
이러한 자동 개폐식 도어는 슬라이딩 방식이나 회동 방식 등 다양한 개폐 구조를 가지며, 전동식이나 유압식 등 다양한 방식의 구동장치에 의해 작동된다. 예를 들어 지하철(전철) 차량의 출입구에는 한 쌍의 도어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유압식 또는 전동식 도어 시스템이 설치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방식 도어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은 도어가 차체에 밀착될 수 없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도어가 닫혔을 때에도 도어와 차체 간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차량의 내부와 외부 간의 밀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차량의 주행 소음을 비롯한 외부 소음이 그대로 실내에 유입되고, 냉방 및 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가 낭비되며, 차량의 주행 중에 도어의 요동으로 인한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도어의 외벽면과 차량의 외벽면 간에 형성되는 단차로 인해 차량의 주행 중에 공기에 의한 항력과 소음이 크게 발생하며, 차체와 도어 간의 단차진 부분에 이물질이 적치되고, 특히 동절기에는 눈이나 빗물이 결빙되어 도어의 작동 불량이나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슬라이딩 방식 도어의 문제점들은 차량의 운행 속도가 높아질수록 심해지는데, 차량의 고속화에 대한 요구는 갈수록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플러그 도어 시스템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 플러그 도어 시스템은 도어가 출입구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개폐되는 것으로, 도어가 차체의 벽면 또는 포켓 내부를 따라 출입구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 후 출입구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차체에 밀착된 상태로 폐쇄 동작이 이루어지고, 도어가 출입구의 외측으로 인출된 후 차체의 벽면 또는 포켓 내부를 따라 출입구의 측방으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개방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도어가 출입구 내부에 밀착된 상태로 닫히므로, 도어에 의한 밀폐성이 개선되어 차량 실내와 실외 간의 소음 및 열 전달이 효과적으로 차단되고, 도어의 요동으로 인한 주행 중 소음 및 진동도 방지된다. 또한, 도어의 외벽면과 차량의 외벽면 간에 단차가 생기지 않으므로, 주행 중 공기에 의한 항력과 소음 발생이 현저하게 감소되고, 이물이나 결빙으로 인한 작동불량, 고장 등도 방지된다.
그러나, 슬라이딩 방식은 도어를 1축방향, 즉 차량의 벽체를 따르는 방향만으로 이동시키는 구조인데 반해, 플러그 도어 시스템은 도어를 2축방향, 즉 차량의 벽체를 따르는 방향 및 출입구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고, 각 방향의 이동이 적절하게 연동되어야 하는 구조이므로, 도어의 개폐 동작을 위한 동력전달구조, 연동구조, 지지구조 등이 복잡하게 될 수밖에 없다. 특히, 종래의 플러그 도어 시스템은 각 축방향의 이동을 연동시키는 수단으로서 다수의 링크부재와 레버부재 등을 이용한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설치 공간을 과다하게 차지하며, 작동부의 내구성 및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개폐 동작의 신뢰성 및 작동부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고장 및 오동작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제작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플러그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제1 도어의 플러깅 동작을 유도하기 위한 제1 도어용 유도부를 구비하는 플러깅 동작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어용 유도부는,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이동몸체와, 제1 유도 레일과, 제1 도어와 연결되는 제1 도어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이동몸체와 상기 제1 도어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제1 링크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유도 레일은 상기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전방 직선 레일부와, 상기 제1 전방 직선 레일부로부터 상기 제1 도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꺾여서 연장되는 제1 곡선 레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링크 구조는 상기 제1 이동몸체 및 상기 제1 도어 연결부재와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유도 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유도 링크에서 상기 제1 도어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제1 전방 직선 레일부와 상기 제1 곡선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도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링크 구조는 상기 제1 도어 연결부와 상기 제1 유도 링크가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제1 유도 롤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유도 롤러는 상기 제1 전방 직선 레일부에서 상기 제1 도어측 표면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링크 구조는 상기 제1 전방 직선 레일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지지 롤러의 반대편에서 상기 제1 전방 직선 레일부와 접하는 제1 지지 롤러와, 상기 제1 유도 롤러와 상기 제1 지지 롤러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지지 링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도 레일은 상기 제1 전방 직선 레일부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전방 직선 레일부보다 상기 제1 도어로부터 더 멀게 위치하는 제1 후방 직선 레일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전방 직선 레일부와 상기 제1 후방 직선 레일부의 사이에 상기 제1 지지 롤러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방 직선 레일부와 상기 제1 후방 직선 레일부는 상기 제1 곡선 레일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링크 구조는 상기 제1 전방 직선 레일부와 상기 제1 후방 직선 레일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보조 롤러와, 상기 제1 보조 롤러와 상기 제1 지지 롤러를 연결하는 제1 보조 링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플러깅 동작 유도부는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제2 도어의 플러깅 동작을 유도하기 위한 제2 도어용 유도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도어용 유도부는,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이동몸체와, 제2 유도 레일과, 상기 제2 도어와 연결되는 제2 도어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이동몸체와 상기 제2 도어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제2 링크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유도 레일은 상기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전방 직선 레일부와, 상기 제2 전방 직선 레일부로부터 상기 제2 도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꺾여서 연장되는 제2 곡선 레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링크 구조는 상기 제2 이동몸체 및 상기 제2 도어 연결부재와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유도 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유도 링크에서 상기 제2 도어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제2 전방 직선 레일부와 상기 제2 곡선 레일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 도어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작동부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켜 제작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고장 및 오동작으로 인한 불편과 위험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도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도어 시스템의 사시도로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도어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도어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도어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도어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플러깅 동작 유도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도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도어 시스템의 사시도로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에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도어 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도어 시스템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도어 시스템의 측면도이며,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도어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플러깅 동작 유도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플러그 도어 시스템(100)은, 도어부(110)와, 도어 지지부(120)와, 도어 개폐 구동부(130)와, 플러깅 동작 유도부(140)를 포함한다. 플러그 도어 시스템(100)은 출입구가 형성된 차량의 벽체에 고정 설치되어서 차량의 출입구를 개폐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차량의 벽체가 연장된 좌우방향을 슬라이드 동작방향으로 정의하고, 차량의 벽체에 대해 직각인 방향을 플러그 동작방향이라 정의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이 용이하도록 슬라이드 동작방향 및 플러그 동작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대체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기준축(도 4의 CL)을 도입한다.
도어부(110)는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기준축(CL)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도어(110a)와 제2 도어(110b)를 구비한다. 제1 도어(110a)와 제2 도어(110b)는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각각 이동하며 차량의 출입구를 개폐한다. 또한, 제1 도어(110a)와 제2 도어(110b)는 서로 접한 상태에서 플러그 동작방향을 따라 차량의 벽체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가능하다.
도어 지지부(120)는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기준축(CL)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도어 지지구조(120a)와 제2 도어 지지구조(120b)를 구비한다. 도어 지지부(120)는 제1 도어(110a)와 제2 도어(110b)를 차량의 벽체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 도어 지지구조(120a)는 제1 도어(110a)를 지지하며, 제2 도어 지지구조(120b)는 제2 도어(110b)를 지지한다.
도어 개폐 구동부(130)는 구동모터(131)와 볼스크루 장치를 구비한다. 도어 개폐 구동부(130)는 제1 도어(110a)와 제2 도어(110b)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동모터(131)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전기회전모터로서, 제1 도어(110a)와 제2 도어(110b)를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한다.
볼스크루 장치는 스크루 봉(132)과, 직선이동부(133)를 구비한다. 볼스크루 장치(131)는 구동모터(131)로부터 제공되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스크루 봉(132)은 차량의 출입구(미도시)의 상부에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스크루 봉(132)은 기준축(CL)에 대해 대칭으로 위치하는 분리된 제1 안내부(132a)와 제2 안내부(132b)를 구비한다. 제1 안내부(132a)는 제1 도어(110a)와 대응하는 측에 위치하며, 제2 안내부(132b)는 제2 도어(110b)와 대응하는 측에 위치한다. 제1 안내부(132a)의 나사산과 제2 안내부(132b)의 나사산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직선이동부(133)는 스크루 봉(132)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직선이동하는 제1 이동자(133a)와 제2 이동자(133b)를 구비한다. 제1 이동자(133a)는 스크루 봉(132)의 제1 안내부(132a)의 회전에 따라 직선이동하며, 제2 이동자(133b)는 스크루 봉(132)의 제2 안내부(132b)의 회전에 따라 직선이동한다. 제1 안내부(132a)의 나사산과 제2 안내부(132b)는 나사산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이동자(133a)와 제2 이동자(133b)는 스크루 봉(13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직선이동하게 된다. 제1 이동자(133a)는 제1 도어(110a)와 연결되며 제2 이동자(133b)는 제2 도어(110b)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볼스크루 장치가 하나의 스크루 봉(132)에 나사산 방향이 반대인 두 부분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나사산 방향이 동일한 분리된 두 개의 스크루 봉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전기회전 모터는 각 스크루 봉에 대해 별도로 구비되며, 동작시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가 됨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 개폐 구동부로서, 볼스크루 장치와 볼스크루 장치를 구동시키는 전기회전모터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어 개폐 구동부를 이러한 구조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에 직선운동을 구동시킬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구동장치가 도어 개폐 구동부로서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장치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플러깅 동작 유도부(140)는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기준축(CL)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도어용 유도부(140a)와, 제2 도어용 유도부(140b)를 구비한다. 플러깅 동작 유도부(140)는 제1 도어(110a)와 제2 도어(110b)의 플러깅 동작을 유도한다. 제1 도어용 유도부(140a)는 제1 도어(110a)의 플러깅 동작을 유도하도록 제1 도어(110a) 측에 위치하고, 제2 도어용 유도부(140b)는 제2 도어(110b)의 플러깅 동작을 유도하도록 제2 도어(110b) 측에 위치한다.
제1 도어용 유도부(140a)는 제1 유도 레일(111a)과, 제1 이동몸체(115a)와, 제1 도어 연결부재(116a)와, 제1 링크 구조(117a)를 구비한다.
제1 유도 레일(111a)은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1 유도 레일(111a)은 제1 전방 직선 레일부(112a)와, 제1 후방 직선 레일부(113a)와, 제1 곡선 레일부(114a)를 구비한다. 제1 전방 직선 레일부(112a)는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연장된다. 제1 후방 직선 레일부(113a)는 제1 전방 직선 레일부(112a)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제1 전방 직선 레일부(112a)와는 플러그 동작방향을 따라 제1 도어(110a)와 더 먼 방향인 후방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곡선 레일부(114a)는 제1 도어(110a)가 닫히는 방향으로의 끝에서 제1 전방 직선 레일부(112a)와 제1 후방 직선 레일부(113a)를 연결한다. 즉, 제1 곡선 레일부(114a)는 반원형태로서, 제1 도어(110a)가 닫히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1 곡선 레일부(114a)는 제1 전방 직선 레일부(112a)로부터 후방으로 곡선을 이루며 꺾어져 연장된다.
제1 이동몸체(115a)는 제1 유도 레일(111a)에 다수의 롤러(1151a, 1152a, 1153a, 1154a)를 통해 결합되어서,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직선이동한다. 제1 이동몸체(115a)는 도어 개폐 구동부(130)의 제1 이동자(133a)와 연결되어서, 제1 이동자(133a)의 이동에 따라서 함께 직선이동한다.
제1 도어 연결부재(116a)는 제1 도어(110a)에 고정결합되며, 제1 링크 구조(117a)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링크 구조(117a)는 제1 유도 롤러(1171a)와, 제1 지지 롤러(1172a)와, 제1 보조 롤러(1173a)와, 제1 유도 링크(1174a)와, 제1 보조 링크(1175a)와, 제1 지지 링크(1176a)를 구비한다. 제1 유도 롤러(1171a)는 제1 전방 직선 레일부(112a)의 전방측 면(1121a)에 접한다. 제1 유도 롤러(1171a)는 제1 이동 몸체(115a)에 대해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제1 도어(110a)가 닫히는 쪽에 위치한다. 제1 지지 롤러(1172a)는 제1 전방 직선 레일부(112a)와 제1 후방 직선 레일부(113a)의 사이에 제1 유도 롤러(1171a)와 가장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며, 제1 전방 직선 레일부(112a)의 후방측 면(1122a)에 접한다. 제1 보조 롤러(1173a)는 제1 전방 직선 레일부(112a)와 제1 후방 직선 레일부(113a)의 사이에 제1 지지 롤러(1172a)에 대하여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제1 도어(110a)가 열리는 쪽에 위치한다. 제1 유도 링크(1174a)는 제1 이동몸체(115a)와 제1 도어 연결부재(116a)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유도 링크(1174a)에서 제1 도어 연결부재(116a)가 연결된 위치에는 제1 유도 롤러(1171a)가 결합된다. 제1 보조 링크(1175a)에는 제1 지지 롤러(1172a)와 제1 보조 롤러(1173a)가 각각 결합된다. 제1 지지 링크(1176a)는 제1 유도 링크(1174a)와 제1 유도 롤러(1174a)가 결합되는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보조 링크(1175a)와는 제1 지지 롤러(1172a)가 결합되는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도어용 유도부(140b)는 제2 유도 레일(111b)과, 제2 이동몸체(115b)와, 제2 도어 연결부재(116b)와, 제2 링크 구조(117b)를 구비한다.
제2 유도 레일(111b)은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2 유도 레일(111b)은 제2 전방 직선 레일부(112b)와, 제2 후방 직선 레일부(113b)와, 제2 곡선 레일부(114b)를 구비한다. 제2 전방 직선 레일부(112b)는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연장된다. 제2 후방 직선 레일부(113b)는 제2 전방 직선 레일부(112b)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제2 전방 직선 레일부(112b)와는 플러그 동작방향을 따라 제2 도어(110b)와 더 먼 방향인 후방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2 곡선 레일부(114b)는 제2 도어(110b)가 닫히는 방향으로의 끝에서 제2 전방 직선 레일부(112b)와 제2 후방 직선 레일부(113b)를 연결한다. 즉, 제2 곡선 레일부(114b)는 반원형태로서, 제2 도어(110b)가 닫히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2 곡선 레일부(114b)는 제2 전방 직선 레일부(112b)로부터 후방으로 곡선을 이루며 꺾어져 연장된다.
제2 이동몸체(115b)는 제2 유도 레일(111b)에 다수의 롤러(미도시)를 통해 결합되어서,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직선이동한다. 제2 이동몸체(115b)는 도어 개폐 구동부(130)의 제2 이동자(133b)와 연결되어서, 제2 이동자(133b)의 이동에 따라서 함께 직선이동한다.
제2 도어 연결부재(116b)는 제2 도어(110b)에 고정결합되며, 제2 링크 구조(117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링크 구조(117b)는 제2 유도 롤러(1171b)와, 제2 지지 롤러(1172b)와, 제2 보조 롤러(1173b)와, 제2 유도 링크(1174b)와, 제2 보조 링크(1175b)와, 제2 지지 링크(1176b)를 구비한다. 제2 유도 롤러(1171b)는 제2 전방 직선 레일부(112b)의 전방측 면(1121b)에 접한다. 제2 유도 롤러(1171b)는 제2 이동 몸체(115b)에 대해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제2 도어(110b)가 닫히는 쪽에 위치한다. 제2 지지 롤러(1172b)는 제2 전방 직선 레일부(112b)와 제2 후방 직선 레일부(113b)의 사이에 제2 유도 롤러(1171b)와 가장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며, 제2 전방 직선 레일부(112b)의 후방측 면(1122b)에 접한다. 제2 보조 롤러(1173b)는 제2 전방 직선 레일부(112b)와 제2 후방 직선 레일부(113b)의 사이에 제2 지지 롤러(1172b)에 대하여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제2 도어(110b)가 열리는 쪽에 위치한다. 제2 유도 링크(1174b)는 제2 이동몸체(115b)와 제2 도어 연결부재(116b)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유도 링크(1174b)에서 제2 도어 연결부재(116b)가 연결된 위치에는 제2 유도 롤러(1171b)가 결합된다. 제2 보조 링크(1175b)에는 제2 지지 롤러(1172b)와 제2 보조 롤러(1173b)가 각각 결합된다. 제2 지지 링크(1176b)는 제2 유도 링크(1174b)와 제2 유도 롤러(1174b)가 결합되는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보조 링크(1175b)와는 제2 지지 롤러(1172b)가 결합되는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도 4 및 도 6에는 도어(110a, 110b)가 열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열린 상태에 대응하는 플러깅 동작 유도부(140)의 제1 도어용 유도부(140a)의 상태는 도 8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제1 유도 롤러(1171a)는 제1 전방 직선 레일부(112a)의 전방측 면(1121a)에 접해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도어(110a)를 닫기 위하여 도어 개폐 구동부(130)를 구동시키면, 도어 개폐 구동부(130)의 작동에 의해 제1 이동몸체(115a)는 제1 도어(110a)가 닫히는 방향인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 이동 몸체(115a)의 이동에 따라 제1 링크 구조(117a)도 함께 밀려서 이동하게 된다. 제1 링크 구조(117a)가 화살표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다가, 제1 지지 롤러(1172a)가 제1 곡선 레일부(114a)에 걸리면, 제1 지지 롤러(1172a)는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제1 유도 롤러(1171a)는 제1 이동몸체(115a)에 의해 밀리는 제1 유도 링크(1174a)에 의해 제1 곡선 레일부(114a)의 바깥면을 따라 움직여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어 연결부재(116a)를 플러그 동작방향 안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에 따라, 제1 도어 연결부재(116a)에 연결된 제1 도어(110a)가 플러그 동작방향 안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도어용 유도부(140b)도 제1 도어용 유도부(140a)와 함께 연동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게 된다. 또한, 제1 도어(110a)과 제2 도어(110b)가 열릴 때에는 상기 설명한 닫힐 경우의 반대 순서로 동작하게 됨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당업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플러그 도어 시스템 110 : 도어부
110a : 제1 도어 111a : 제1 유도 레일
115a : 제1 이동몸체 116a : 제1 도어 연결부재
117a : 제1 링크 구조 110b : 제2 도어
111b : 제2 유도 레일 115b : 제2 이동몸체
116b : 제2 도어 연결부재 117b : 제2 링크 구조
120 : 도어 지지부 120a : 제1 도어 지지구조
120b : 제2 도어 지지구조 130 : 도어 개폐 구동부
131 : 구동모터 132 : 스크루 봉
133 : 직선이동부 133a : 제1 이동자
133b : 제2 이동자 140 : 플러깅 동작 유도부
140a : 제1 도어용 유도부 140b : 제2 도어용 유도부

Claims (7)

  1. 제1 도어의 플러깅 동작을 유도하기 위한 제1 도어용 유도부를 구비하는 플러깅 동작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어용 유도부는,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이동몸체와, 제1 유도 레일과, 상기 제1 도어와 연결되는 제1 도어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이동몸체와 상기 제1 도어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제1 링크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유도 레일은 상기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전방 직선 레일부와, 상기 제1 전방 직선 레일부로부터 상기 제1 도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꺾여서 연장되는 제1 곡선 레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링크 구조는 상기 제1 이동몸체 및 상기 제1 도어 연결부재와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유도 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유도 링크에서 상기 제1 도어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제1 전방 직선 레일부와 상기 제1 곡선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도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구조는 상기 제1 도어 연결부와 상기 제1 유도 링크가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제1 유도 롤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유도 롤러는 상기 제1 전방 직선 레일부에서 상기 제1 도어측 표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도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구조는 상기 제1 전방 직선 레일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지지 롤러의 반대편에서 상기 제1 전방 직선 레일부와 접하는 제1 지지 롤러와, 상기 제1 유도 롤러와 상기 제1 지지 롤러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지지 링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도어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도 레일은 상기 제1 전방 직선 레일부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전방 직선 레일부보다 상기 제1 도어로부터 더 멀게 위치하는 제1 후방 직선 레일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전방 직선 레일부와 상기 제1 후방 직선 레일부의 사이에 상기 제1 지지 롤러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도어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방 직선 레일부와 상기 제1 후방 직선 레일부는 상기 제1 곡선 레일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도어 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구조는 상기 제1 전방 직선 레일부와 상기 제1 후방 직선 레일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보조 롤러와, 상기 제1 보조 롤러와 상기 제1 지지 롤러를 연결하는 제1 보조 링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도어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러깅 동작 유도부는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제2 도어의 플러깅 동작을 유도하기 위한 제2 도어용 유도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도어용 유도부는,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이동몸체와, 제2 유도 레일과, 상기 제2 도어와 연결되는 제2 도어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이동몸체와 상기 제2 도어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제2 링크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유도 레일은 상기 슬라이드 동작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전방 직선 레일부와, 상기 제2 전방 직선 레일부로부터 상기 제2 도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꺾여서 연장되는 제2 곡선 레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링크 구조는 상기 제2 이동몸체 및 상기 제2 도어 연결부재와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유도 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유도 링크에서 상기 제2 도어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제2 전방 직선 레일부와 상기 제2 곡선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도어 시스템.
KR1020120019665A 2011-02-25 2012-02-27 플러그 도어 시스템 KR101262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399 2011-02-25
KR20110017399 2011-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504A true KR20120098504A (ko) 2012-09-05
KR101262150B1 KR101262150B1 (ko) 2013-05-14

Family

ID=47109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665A KR101262150B1 (ko) 2011-02-25 2012-02-27 플러그 도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150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4246B2 (ja) 2008-11-25 2012-08-22 泰平電機株式会社 アウトスライドドア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2150B1 (ko) 201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04488B1 (en) Built-in plug-pull door device for track vehicle
KR101390113B1 (ko) 플러그 도어 시스템
CN107386857B (zh) 内藏式塞拉门
CN106428068B (zh) 一种用于轨道交通列车的滑动踏板装置
CN203175249U (zh) 一种塞拉门系统承载驱动装置
KR101428853B1 (ko) 세미플러그형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US20190176856A1 (en) Lock Mechanism for Improved Door Panel Seal
KR101157715B1 (ko) 저상버스 및 저상 승객 수송차량용 전기식 플러그 인/아웃 슬라이딩 출입문장치
CN104695796A (zh) 一种摆动式塞拉门机构
EP2752351B1 (en) Vehicle door device
CN101929133B (zh) 自动检票机剪式门机
CN111946191A (zh) 滑动车门及车辆
CN110552580B (zh) 一种单电机控制式塞拉门装置
CN103015828B (zh) 基于曲柄滑块机构原理的开闭机构
KR101450366B1 (ko) 플러그 도어 시스템
US6854212B2 (en) Belt drive system for sliding vehicle door
KR101262149B1 (ko) 플러그 아웃 도어 시스템
KR101262150B1 (ko) 플러그 도어 시스템
CN108505875B (zh) 闭锁机构及开关门方法及包含该闭锁机构的塞拉门
CN210554815U (zh) 一种对开门设备及轿厢
KR200426905Y1 (ko) 스크린 도어 개폐장치
CN207363469U (zh) 一种内藏式塞拉门
WO2011078598A3 (ko) 미닫이문 개폐장치
CN207943749U (zh) 一种无井道电梯轿厢
CN102206977A (zh) 塞拉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