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7870A - 위성 방송 수신기에 적용되는 듀얼 튜너 - Google Patents

위성 방송 수신기에 적용되는 듀얼 튜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7870A
KR20120097870A KR1020110017374A KR20110017374A KR20120097870A KR 20120097870 A KR20120097870 A KR 20120097870A KR 1020110017374 A KR1020110017374 A KR 1020110017374A KR 20110017374 A KR20110017374 A KR 20110017374A KR 20120097870 A KR20120097870 A KR 20120097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roadcast signal
input
broadcast
tu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7661B1 (ko
Inventor
이재순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7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661B1/ko
Publication of KR20120097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55Demodulation-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via a GHz frequency band, e.g. via satell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성방송 수신기에 적용되는 듀얼 튜너에 관한 것으로, 주제어부로부터 스위치 오프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동작을 중지하는 제1 저잡음증폭기;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스위치 오프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동작을 중지하는 제1 감쇠기;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스위치 오프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동작을 중지하는 제2 저잡음증폭기;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스위치 오프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동작을 중지하는 제2 감쇠기; 제1 방송신호의 일부는 통과시키고 일부는 분기시키거나 제1 방송신호는 차단하고 제2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1 경로 조절부; 및 제2 방송신호의 일부는 통과시키고 일부는 분기시키며, 제2 방송신호는 차단하고 제1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2 경로 조절부를 포함하여 제1 안테나에서 수신한 방송 신호와 제2 안테나에서 수신한 방송 신호간의 간섭을 최소화한다.

Description

위성 방송 수신기에 적용되는 듀얼 튜너{Dual tuner using for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본 발명은 위성방송 수신기에 적용되는 듀얼 튜너에 관한 것이다.
듀얼 튜너는 위성방송 수신기에서 하나의 방송신호에 2 개의 방송채널을 모두 선국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방송 신호에서 각각의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는 하나의 수신기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는 종래의 듀얼 튜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1에서 입력되는 고주파신호에서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 1 튜너부(11)와, 상기 제 1 튜너부(11)에서 변환 출력된 중간주파수를 OFDM신호로 복조하는 제 1 복조부(12)와, 안테나2에서 입력되는 고주파신호에서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 출력하는 제 2 튜너부(13)와, 상기 제 2 튜너부(13)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를 OFDM신호로 복조하는 제 2 복조부(14)로 구성된다.
상기 듀얼 튜너는 안테나1에서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제2 튜너부(13)에서 처리하도록 하거나, 안테나2에서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제1 튜너부(11)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듀얼 튜너에 있어서 안테나1에서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제1 튜너부(11)와 제2 튜너부(13)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경우에 제2 튜너부(13)의 앞단에 위치하는 저잡음 증폭기(미도시) 등이 온된 상태에서 있어 안테나 2에서 수신한 고주파 신호가 제1 튜너부(11)와 제2 튜너부(13)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듀얼 튜너에 있어서 안테나 2에서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제1 튜너부(11)와 제2 튜너부(13)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경우에도 제1 튜너부(11)의 앞단에 위치하는 저잡음 증폭기(미도시) 등이 온된 상태에서 있어 안테나1에서 수신한 고주파 신호가 제1 튜너부(11)와 제2 튜너부(13)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하나의 안테나에서 수신한 방송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에 다른 안테나에서 수신한 방송 신호로부터 영향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위성 방송수신기에 적용되는 듀얼 튜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제1 방송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며, 주제어부로부터 스위치 오프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동작을 중지하는 제1 저잡음증폭기; 상기 제1 저잡음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제1 방송 신호를 감쇠시켜 출력하며,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스위치 오프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동작을 중지하는 제1 감쇠기; 제2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제2 방송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며,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스위치 오프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동작을 중지하는 제2 저잡음증폭기; 상기 제2 저잡음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제2 방송 신호를 감쇠시켜 출력하며,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스위치 오프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동작을 중지하는 제2 감쇠기; 위성방송수신기의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단일 경로 설정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1 감쇠기로부터 입력되는 제1 방송신호를 통과시키고,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제1 방송신호 이중경로 설정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제1 방송신호의 일부는 통과시키고 일부는 분기시키며,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제2 방송신호 이중경로 설정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제1 방송신호는 차단하고 제2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1 경로 조절부; 상기 제1 경로 조절부에서 출력되는 제1 방송신호 또는 제2 방송신호의 고주파 신호에서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된 채널의 제1 방송신호 또는 제2 방송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튜너부; 위성방송수신기의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단일 경로 설정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2 감쇠기로부터 입력되는 제2 방송신호를 통과시키고,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제2 방송신호 이중경로 설정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제2 방송신호의 일부는 통과시키고 일부는 분기시키며,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제1 방송신호 이중경로 설정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제2 방송신호는 차단하고 제1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2 경로 조절부; 및 상기 제2 경로 조절부에서 출력되는 제1 방송신호 또는 제2 방송신호의 고주파 신호에서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된 채널의 제1 방송신호 또는 제2 방송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튜너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저잡음 증폭기는 상기 제1 위성안테나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 증폭기; 및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스위칭 오프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증폭기에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1 증폭기용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저잡음 증폭기는 상기 제2 위성안테나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 증폭기; 및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스위칭 오프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증폭기에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2 증폭기용 스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경로 조절부는, 위성방송수신기의 주제어부로부터 단일 경로 설정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1 감쇠기로부터 입력되는 제1 방송신호를 통과시키고,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제1 방송신호 이중경로 설정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제1 방송신호의 일부는 통과시키고 일부는 분기시키는 제1 분배기; 및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제2 방송신호 이중경로 설정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제1 방송신호는 차단하고 제2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 경로 조절부는, 위성방송수신기의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단일 경로 설정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2 감쇠기로부터 입력되는 제2 방송신호를 통과시키고,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제2 방송신호 이중경로 설정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제2 방송신호의 일부는 통과시키고 일부는 분기시키는 제2 분배기; 및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제1 방송신호 이중경로 설정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제2 방송신호는 차단하고 제1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튜너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제1 복조부; 및 상기 제2 튜너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제2 복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제어부에서 상기 제1 경로 조절부로 전송되는 제어신호들은 상기 제1 복조부에 포함된 제1 마이컴을 경유하여 입력되고, 상기 주제어부에서 상기 제2 경로 조절부로 전송되는 제어신호들은 상기 제2 복조부에 포함된 제1 마이컴을 경유하여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안테나에서 수신한 방송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에 다른 안테나에서 수신한 방송 신호로부터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이처럼, 하나의 안테나에서 수신한 방송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에 다른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방송 신호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어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선명한 화질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2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듀얼 튜너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성방송 수신기에 적용되는 듀얼튜너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저잡음증폭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성방송 수신기에 적용되는 듀얼 튜너에 있어서, 제2 저잡음 증폭기와 제2 감쇠기가 온/오프 상태에 있을 때 제1 분배기의 앞단에서 신호 크기를 측정한 데이터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성방송 수신기에 적용되는 듀얼 튜너에 있어서, 제2 저잡음 증폭기와 제2 감쇠기가 온/오프 상태에 있을 때 제2 분배기의 앞단에서 신호 크기를 측정한 데이터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제, 도 2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성방송 수신기에 적용되는 듀얼튜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성방송 수신기에 적용되는 듀얼튜너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성방송수신기에 적용되는 듀얼튜너(100)는, 제1 위성안테나(ANT1)에 접속되어 있는 제1 저잡음 증폭기(110), 제2 위성안테나(ANT2)에 접속되어 있는 제2 저잡음 증폭기(120), 상기 제1 저잡음 증폭기(110)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감쇠시켜 출력하는 제1 감쇠기(130), 상기 제2 저잡음 증폭기(120)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감쇠시켜 출력하는 제2 감쇠기(140), 제1 감쇠기(130)의 방송 신호를 분기시키고 제2 감쇠기(140)의 방송 신호에 대한 전송 경로를 제공하는 제1 경로 조절부(150), 제2 감쇠기(140)의 방송 신호를 분기시키고 제1 감쇠기(130)의 방송 신호에 대한 전송 경로를 제공하는 제2 경로 조절부(160), 제1 경로 조절부(150)에서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제1 튜너부(170), 제2 경로 조절부(160)에서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제2 튜너부(18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튜너부(170)는 제1 복조부(210)에 접속되어 있고, 제2 튜너부(180)는 제2 복조부(22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복조부(210)와 제2 복조부(220)는 내부에 각각의 제어 장치인 제1, 제2 마이컴(211, 221)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마이컴(211)은 제1 저잡음 증폭기(110)와, 제1 감쇠기(130) 그리고 제1 경로 조절부(15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마이컴(221)은 제2 저잡음 증폭기(120)와, 제2 감쇠기(140) 그리고 제2 경로 조절부(16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듀얼 튜너에 있어서 제1 저잡음 증폭기(110)는 제1 위성 안테나(ANT1)를 통한 방송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이득으로 증폭하여 출력하며, 제1 마이컴(211)에서 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동작을 중지한다.
이처럼, 제1 저잡음 증폭기(110)가 동작을 중지하게 되면 듀얼튜너(100)의 내부에 제1 위성 안테나(ANT1)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전달되지 않아 제2안테나(ANT2)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 신호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1 감쇠기(130)는 제1 저잡음 증폭기(110)에서 증폭된 방송 신호를 감쇠시켜 출력하며, 제1 마이컴(211)에서 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동작을 중지한다.
이처럼, 제1 감쇠기(130)가 동작을 중지하게 되면 듀얼튜너(100)의 내부에 제1 위성 안테나(ANT1)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전달되지 않아 제2안테나(ANT2)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 신호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제1 경로 조절부(150)는 제1 분배기(151)와 제1 스위치(15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분배기(151)는 제1 감쇠기(130)에서 입력되는 제1 위성안테나의 수신 방송 신호를 제2 경로 조절부(160)로 분기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 스위치(152)는 제2 경로 조절부(160)에서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제1 튜너부(170)로 전달하는 전송 경로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제2 경로 조절부(160)는 제2 분배기(161)와 제2 스위치(16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 분배기(161)는 제2 저잡음 증폭기(140)에서 입력되는 제2 위성 안테나의 수신 방송 신호를 제1 경로 조절부(150)로 분기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스위치(162)는 제1 경로 조절부(150)에서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제2 튜너부(180)로 전달하는 전송 경로를 설정한다.
한편, 제1 튜너부(170)는 상기 제1 경로 조절부(150)에 의해 제1 방송 신호로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제2 튜너부(180)는 제2 경로 조절부(160)에 의해 제2 방송 신호로 선택된 채널에 해당되는 고주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제1 복조부(210)는 제1 튜너부(170)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제2 복조부(220)는 제2 튜너부(180)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은 제1 복조부(210)와 제2 복조부(220)는 내부에 제어장치로 마이컴(211, 221)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러한 마이컴(211, 221)은 외부의 주제어부(미도시)에서 경로 설정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경로 설정 제어신호에 따라 제1 저잡음 증폭기(110), 제2 저잡음 증폭기(120), 제1 감쇠기(130), 제2 감쇠기(140), 제1 분배기(151), 제2 분배기(161), 제1 스위치(152), 제2 스위치(162)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성방송 수신기에 적용되는 듀얼튜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제1 위성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기를 원하는 경우( 또는 부화면으로 표시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주제어부는 제1 마이컴(211)과 제2 마이컴(221)에 단일경로 설정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제1 마이컴(211)은 제1 경로 조절부(150)에 단일경로 설정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제1 위성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제1 튜너부(170)로 향하도록 하여 단일경로를 설정하며, 제2 마이컴(221) 또한 제2 경로 조절부(160)에 단일경로 설정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제2 위성안테나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제2 튜너부(180)로 향하도록 하여 단일경로를 설정한다.
이처럼 단일 경로가 설정되면, 제1 저잡음 증폭기(110)는 제1 안테나에서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고, 제1 감쇠기(130)는 제1 저잡음 증폭기(110)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방송 신호에 감쇠를 제공하며, 제1 튜너부(150)는 제1 감쇠기(130)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제1 IF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그에 따라 제1 복조부(210)가 복조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제2 저잡음 증폭기(120)는 제2 안테나에서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며, 제2 감쇠기(140)는 제2 저잡음 증폭기(120)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감쇠시켜 출력하며, 제2 튜너부(160)는 제2 감쇠기(140)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제2 IF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그에 따라 제2 복조부(220)가 복조하여 하드디스크에 저장한다.
한편, 사용자가 제1 위성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중에서 하나의 채널을 디스플레이하고 다른 채널을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주제어부는 제1 마이컴(211)과 제2 마이컴(221)에 제1 방송신호 이중경로 설정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제1 마이컴(211)은 제1 경로 조절부(150)에 제1 방송신호 이중경로 설정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제1 위성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제1 튜너부(170)로 향하도록 하고 그와 동시에 제2 경로 조절부(160)로 분기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마이컴(221)은 제2 경로 조절부(160)를 제1 방송신호 이중경로 설정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제1 위성 안테나에서 수신되어 분기되는 신호를 제2 튜너부(180)로 향하도록 설정한다. 또한, 제2 마이컴(221)은 제2 저잡음 증폭기(120)와 제2 감쇠기(140)로 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처럼 이중 경로가 설정되면, 제1 저잡음 증폭기(110)는 제1 안테나에서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고, 제1 감쇠기(130)는 제1 저잡음 증폭기(110)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감쇠시켜 출력하며, 제1 튜너부(170)는 제1 감쇠기(130)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제1 IF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그에 따라 제1 복조부(210)가 복조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제2 튜너부(180)는 제2 저잡음증폭기(120)에서 증폭되고, 제2 감쇠기(140)에서 감쇠된 방송 신호를 제2 IF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그에 따라 제2 복조부(220)가 복조하여 하드디스크에 저장한다.
이때, 제2 저잡음 증폭기(120)와 제2 감쇠기(140)는 제2 마이컴(221)의 스위칭 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을 중지하여 제2 안테나에서 입력되는 신호의 전송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서 제1 경로 조절부(150)의 동작을 살펴보면, 제1 분배기(151)는 제1 방송신호 이중경로 설정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제1 안테나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제2 경로 조절부(160)의 제2 스위치(162)로 분기시킨다.
그리고, 제1 스위치(152)는 제1 마이컴(211)에서 제1 방송신호 이중경로 설정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제1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를 제1 튜너부(17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2 경로 조절부(160)의 제2 스위치(162)는 제2 마이컴(221)에서 제1 방송신호 이중경로 설정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제1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를 제2 튜너부(180)로 전달한다.
한편, 사용자가 제2 위성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방송신호중에서 하나의 채널을 디스플레이하고 다른 채널을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주제어부는 제1 마이컴(211)과 제2 마이컴(221)에 제2 방송신호 이중경로 설정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제2 마이컴(221)은 제2 경로 조절부(160)를 제어하여 제2 위성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제2 튜너부(180)로 향하도록 하고 그와 동시에 제1 경로 조절부(150)로 분기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마이컴(211)은 제1 경로 조절부(150)를 제어하여 제2 위성 안테나에서 수신되어 분기되는 신호를 제1 튜너부(170)로 향하도록 설정한다. 또한, 제1 마이컴(211)은 제1 저잡음 증폭기(110)와 제1 감쇠기(130)로 스위칭 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처럼 이중 경로가 설정되면, 제2 저잡음 증폭기(120)는 제2 안테나에서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고, 제2 감쇠기(140)는 제2 저잡음 증폭기(120)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감쇠시켜 출력하며, 제2 튜너부(180)는 제2 감쇠기(140)에서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제2 IF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그에 따라 제2 복조부(220)가 복조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제1 튜너부(170)는 제2 저잡음증폭기(120)에서 증폭되고, 제2 감쇠기(140)에서 감쇠된 방송 신호를 제1 IF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그에 따라 제1 복조부(210)가 복조하여 하드디스크에 저장한다.
이때, 제1 저잡음 증폭기(110)와 제1 감쇠기(130)는 제1 마이컴(211)의 스위칭 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제1 안테나에서 입력되는 신호의 전송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서 제2 경로 조절부(160)의 동작을 살펴보면, 제2 분배기(161)는 제2 방송신호 이중경로 설정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제2 안테나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제1 경로 조절부(150)의 제1 스위치(152)로 분기시킨다. 그리고, 제2 스위치(162)는 제2 마이컴(221)에서 제2 방송신호 이중경로 설정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제2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를 제2 튜너부(18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1 경로 조절부(150)의 제1 스위치(152)는 제1 마이컴(211)에서 제2 방송신호 이중경로 설정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제2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를 제1 튜너부(17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저잡음 증폭기(110)-제1 감쇠기(130)- 제1 경로 조절부(150) 및 제2 경로 조절부(160)-제1 튜너부(170) 및 제2 튜너부(180)로 이어지는 이중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1 저잡음 증폭기(110)와 제1 감쇠기(130)를 온시키고, 제2 저잡음 증폭기(120)와 제2 감쇠기(140)를 오프시키며, 제2 저잡음 증폭기(120)-제2 감쇠기(140)-제1 경로 조절부(150) 및 제2 경로 조절부(160)-제1 튜너부(170) 및 제2 튜너부(180)로 이어지는 이중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1 저잡음 증폭기(110)와 제1 감쇠기(130)를 오프시키고, 제2 저잡음 증폭기(120)와 제2 감쇠기(140)를 온시킴으로 두개의 입력 단자에 의한 절연 특성을 제공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은 이중 경로를 설정할 때에 제1 저잡음 증폭기(110)와 제1 감쇠기(130)가 동작을 중지하게 되고, 이때 듀얼튜너(100)의 내부에 제1 위성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전달되지 않아 제2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와 간섭을 발생하지 않으며, 동일하게 제2 저잡음 증폭기(120)와 제2 감쇠기(140)가 동작을 중지하게 될 때 듀얼튜너(100)의 내부에 제2 위성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전달되지 않아 제1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와 간섭을 발생하지 않아 절연특성이 우수하다.
도 3은 도 2의 제1 저잡음 증폭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저잡음 증폭기(110)는, 상기 제1 위성 안테나(ANT1)를 통한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이득으로 증폭하는 증폭기(110A)와, 전원공급단자와 증폭기(110A)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의 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SW)에 따라, 전원공급단자로부터 증폭기(110A)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증폭기(110A)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증폭기용 스위치(110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 저잡음 증폭기(110)의 증폭기용 스위치(110B)는 제1 복조부(210)의 마이컴(211)에서 입력되는 스위칭 오프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증폭기(110A)로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한편, 여기에서 도 3은 도 2의 제1 저잡음 증폭기(110)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도 2의 제2 저잡음 증폭기(120)도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성방송 수신기에 적용되는 듀얼 튜너에 있어서, 제2 저잡음 증폭기와 제2 감쇠기가 온/오프 상태에 있을 때 ANT1과 ANT2의 절연(ISOLATOIN) 특성을 검증한 데이터 그래프이다.
도 4의 검증한 데이터 그래프는 도 2의 ANT2에 -30dBm의 신호를 광대역 신호(Wide signal, spectrum generator의 Tracking generator on 상태의 출력 신호)로 하여 입력하고 제2 저잡음 증폭기와 제2 감쇠기를 ON/OFF하면서 제1 분배기(151)의 입력단을 측정점으로 하여 측정한 데이터이다(ANT1에는 신호가 인가되지 않았다).
도 4에서 BLUE 색깔의 그래프는 제2 저잡음 증폭기와 제2 감쇠기가 ON 상태에서의 반대쪽 입력에서의 신호 크기를 측정한 것이고, GREEN 색깔의 그래프는 제2 저잡음 증폭기와 제2 감쇠기가 OFF 상태에서의 반대쪽 입력에서의 신호 크기를 측정한 것이다.
이처럼 같은 조건에서 제2 저잡음 증폭기와 제2 감쇠기의 ON/OFF와의 차이가 반대쪽의 데이터에 영향을 주어 7dBc의 차이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제2 저잡음 증폭기와 제2 감쇠기를 ON 시킨상태보다 OFF을 시키는 것이 상대적으로 ANT1,ANT2의 입력에 의한 절연(ISOLATION) 특성의 개선되었음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도 5는 ANT2에 -30dBm의 신호를 광대역 신호(Wide signal, spectrum generator의 Tracking generator on 상태의 출력 신호)로 하여 입력하고 제2 저잡음 증폭기와 제2 감쇠기를 ON/OFF하면서 제2 분배기(161)의 입력단을 측정점으로 하여 측정한 데이터이다.
도 5에서 BLUE 색깔의 그래프는 제2 저잡음 증폭기와 제2 감쇠기의 ON 상태에서의 신호 크기를 측정한 것이고, GREEN 색깔의 그래프는 제2 저잡음 증폭기와 제2 감쇠기의 OFF 상태에서의 신호 크기를 측정한 것으로 차이가 있다.
이처럼 같은 조건에서 제2 저잡음 증폭기와 제2 감쇠기의 ON/OFF와의 차이가 데이터에 영향을 주는 절연(ISOLATION) 특성을 검토한 결과 30dBc의 차이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제2 저잡음 증폭기와 제2 감쇠기를 ON 시킨상태보다 OFF를 시키는 것이 상대적으로 ANT1, ANT2의 입력에 의한 절연(ISOLATION) 특성의 개선되었음을 보여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10, 120 : 저잡음증폭기 110A : 증폭기
110B : 증폭기용 스위치 130, 140 : 감쇠기
150, 160 : 경로 조절부 151, 161 : 분배기
152, 162 : 스위치 170, 180 : 튜너부
210, 220 : 복조부

Claims (5)

  1. 제1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제1 방송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며, 주제어부로부터 스위치 오프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동작을 중지하는 제1 저잡음증폭기;
    상기 제1 저잡음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제1 방송 신호를 감쇠시켜 출력하며,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스위치 오프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동작을 중지하는 제1 감쇠기;
    제2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제2 방송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며,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스위치 오프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동작을 중지하는 제2 저잡음증폭기;
    상기 제2 저잡음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제2 방송 신호를 감쇠시켜 출력하며,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스위치 오프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동작을 중지하는 제2 감쇠기;
    위성방송수신기의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단일 경로 설정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1 감쇠기로부터 입력되는 제1 방송신호를 통과시키고,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제1 방송신호 이중경로 설정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제1 방송신호의 일부는 통과시키고 일부는 분기시키며,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제2 방송신호 이중경로 설정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제1 방송신호는 차단하고 제2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1 경로 조절부;
    상기 제1 경로 조절부에서 출력되는 제1 방송신호 또는 제2 방송신호의 고주파 신호에서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된 채널의 제1 방송신호 또는 제2 방송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튜너부;
    위성방송수신기의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단일 경로 설정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2 감쇠기로부터 입력되는 제2 방송신호를 통과시키고,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제2 방송신호 이중경로 설정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제2 방송신호의 일부는 통과시키고 일부는 분기시키며,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제1 방송신호 이중경로 설정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제2 방송신호는 차단하고 제1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2 경로 조절부; 및
    상기 제2 경로 조절부에서 출력되는 제1 방송신호 또는 제2 방송신호의 고주파 신호에서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된 채널의 제1 방송신호 또는 제2 방송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튜너부를 포함하는 위성방송수신기에 적용되는 듀얼튜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잡음 증폭기는 상기 제1 위성안테나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 증폭기; 및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스위칭 오프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증폭기에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1 증폭기용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저잡음 증폭기는 상기 제2 위성안테나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 증폭기; 및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스위칭 오프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증폭기에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2 증폭기용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위성방송수신기에 적용되는 듀얼튜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로 조절부는,
    위성방송수신기의 주제어부로부터 단일 경로 설정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1 감쇠기로부터 입력되는 제1 방송신호를 통과시키고,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제1 방송신호 이중경로 설정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제1 방송신호의 일부는 통과시키고 일부는 분기시키는 제1 분배기; 및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제2 방송신호 이중경로 설정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제1 방송신호는 차단하고 제2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는 위성방송 수신기에 적용되는 듀얼 튜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 조절부는,
    위성방송수신기의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단일 경로 설정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2 감쇠기로부터 입력되는 제2 방송신호를 통과시키고,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제2 방송신호 이중경로 설정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제2 방송신호의 일부는 통과시키고 일부는 분기시키는 제2 분배기; 및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제1 방송신호 이중경로 설정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제2 방송신호는 차단하고 제1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방송수신기에 적용되는 듀얼튜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너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제1 복조부; 및
    상기 제2 튜너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제2 복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제어부에서 상기 제1 경로 조절부로 전송되는 제어신호들은 상기 제1 복조부에 포함된 제1 마이컴을 경유하여 입력되고, 상기 주제어부에서 상기 제2 경로 조절부로 전송되는 제어신호들은 상기 제2 복조부에 포함된 제1 마이컴을 경유하여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방송수신기에 적용되는 듀얼튜너.
KR1020110017374A 2011-02-25 2011-02-25 위성 방송 수신기에 적용되는 듀얼 튜너 KR101237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374A KR101237661B1 (ko) 2011-02-25 2011-02-25 위성 방송 수신기에 적용되는 듀얼 튜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374A KR101237661B1 (ko) 2011-02-25 2011-02-25 위성 방송 수신기에 적용되는 듀얼 튜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870A true KR20120097870A (ko) 2012-09-05
KR101237661B1 KR101237661B1 (ko) 2013-02-28

Family

ID=47109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374A KR101237661B1 (ko) 2011-02-25 2011-02-25 위성 방송 수신기에 적용되는 듀얼 튜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6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278A (ko) 2013-06-28 2015-01-07 삼성전기주식회사 듀얼 튜너에서 신호 간섭을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83862B1 (ko) * 2013-06-19 2015-01-16 삼성전기주식회사 듀얼 튜너에서의 노이즈 간섭 방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7236A (ja) 2002-10-28 2004-05-20 Hitachi Ltd デジタル放送用受信装置
KR100757446B1 (ko) * 2005-12-30 2007-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 및 그의 수신감도개선방법
JP2008153845A (ja) 2006-12-15 2008-07-03 Hitachi Media Electoronics Co Ltd デジタル放送用受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862B1 (ko) * 2013-06-19 2015-01-16 삼성전기주식회사 듀얼 튜너에서의 노이즈 간섭 방지 방법
KR20150002278A (ko) 2013-06-28 2015-01-07 삼성전기주식회사 듀얼 튜너에서 신호 간섭을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7661B1 (ko)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91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간섭 위상잡음 제거방법
CA2997256C (en) Flexible multi-channel wireless audio receiver system
US202000995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bining signals from multiple active wireless receivers
US20120157029A1 (en) Antenna switch circuit and method of switching the same
US20070207768A1 (en) Telephone signal cancellation circuit,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circuit and portable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US20120092561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Television Signals
JPH10256932A (ja) アナログ・ディジタル放送共用受信チューナ
KR101237661B1 (ko) 위성 방송 수신기에 적용되는 듀얼 튜너
KR100723147B1 (ko) 듀얼 밴드 튜너 모듈
CN107113017A (zh) 天线切换布置及相应的设备
KR101045760B1 (ko) 방향성 커플러를 이용한 브이에이치에프용 능동형 무전기 안테나 분배기
KR100639491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KR20120007350A (ko) 강전계 영역을 보완한 위성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246708B1 (ko) 자동이득제어회로
JP2010233023A (ja) 無線通信装置
CN109633579B (zh) 一种固定中频接收通道校准信号产生方法及产生电路
KR20060088255A (ko) 시분할 듀플렉스 시스템의 rf 송수신기
KR20100048093A (ko) 위성방송 수신기에 적용되는 듀얼 튜너
KR20040032672A (ko) 순방향 제거 기법을 이용한 수신기
JP6874291B2 (ja) 受信機、アンテナシステム、受信機の受信フロントエンド、無線信号の受信方法
JP2004104277A (ja) 過入力保護回路
KR100384463B1 (ko) 디지털 지상파 튜너의 루프쓰루 회로
JP2004236131A (ja) フィルタ装置及びテレビ受信システム
KR101101627B1 (ko) 광대역 방송 수신 장치
JP2007081975A (ja) テレビ受信用増幅装置,及び,テレビ受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