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5495A - 필터하우징 - Google Patents

필터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5495A
KR20120095495A KR1020110014842A KR20110014842A KR20120095495A KR 20120095495 A KR20120095495 A KR 20120095495A KR 1020110014842 A KR1020110014842 A KR 1020110014842A KR 20110014842 A KR20110014842 A KR 20110014842A KR 20120095495 A KR20120095495 A KR 20120095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ousing
filter
fluid
housing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대현
Original Assignee
장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대현 filed Critical 장대현
Priority to KR1020110014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5495A/ko
Publication of KR20120095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4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유체공급배관에서 공급된 유체가 필터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유체공급이동 통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된 필터하우징의 내부를 이동하여 각 필터하우징 내부의 필터카트리지를 통과하고, 필터카트리지를 통과한 유체는 필터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유체배출이동 통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된 필터하우징의 내부를 이동하여 유체배출배관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하우징은 카트리지의 교체 시에 필터 하우징 이동을 위한 상부 방향으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복수의 필터 하우징을 설치함에 있어 연결배관이 필요 없으며, 공기 배출 및 유체 드레인용 배관이 필요없는 필터 하우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필터하우징{Filter Housing Unit}
LCD, PDP, OLED, PCB 분야 제품 생산을 위해서는 세정, 에칭, 박리 등 다양한 공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공정처리를 위한 설비의 대부분은 처리액을 사용한다.
설비에서 처리액을 사용하는 방법은 설비 내부에 처리액을 저장하는 저장조를 설치하고 펌프를 이용하여 대상물에 스프레이 하는 방법으로, 저장조에 한번 공급된 처리액은 일정 시간 또는 일정 개수 이상의 대상물을 처리할 때까지 연속적으로 순환하여 사용한다. 즉, 스프레이 된 처리액은 다시 저장조로 회수되고 회수된 처리액은 다시 스프레이 되는 방식이다. 이렇게 순환하여 사용하는 처리액은 시간이 갈수록 오염되기 때문에 펌프에 의하여 가압 된 처리액을 스프레이 하기 전에 필터를 사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설치된 필터 카트리지는 일정 시간 사용 또는 오염물에 의하여 수명이 다할 경우 필터 카트리지를 교체하여 사용하고, 필터 하우징 또한 필수적으로 카트리지를 교체할 수 있는 형태가 채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필터는 필터 하우징과 카트리지로 구성된다. 필터 하우징은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필터 카트리지는 흐르는 유체에 포함된 오염물이 여과되는 부분으로서 오염이 진행되어 수명이 다하면 교체하는 부분이다.
도 8과 같이, 종래의 필터 하우징(50)은 하우징-헤드(51), 하우징-컵(53), 너트(52)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헤드(51)에는 유체공급배관(55)과 유체배출배관(56)이 있으며 카트리지가 접속된다. 카트리지는 하우징-컵(53) 내부에 있다. 하우징-컵(53)은 카트리지를 감싸고 있는 부분으로서 카트리지 교체 시에는 작업자가 카트리지를 빼내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반드시 하우징-헤드(51)에서 분리하여야 한다. 도 8은 하우징-컵(53)이 하우징-헤드(51)에서 분리되는 간격(G)을 대략 나타내고 있으며, 하우징-컵(53-1)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실제 장비에서 적용되는 경우에는 필터 하우징이 1개만 사용될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두 개 이상 복수로 설치된다. 필터 하우징이 복수로 설치될 경우에는 도 9와 같이 연결 배관을 설치하여 필터 하우징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림에서와 같이 연결 배관을 사용할 경우에는 연결하는 필터 하우징의 숫자에 따라서 필요 공간이 급속히 증가하고 여러 가지 배관 자재가 소모되어 설비 제작 비용이 증가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카트리지 교체형 필터 하우징(50)은 카트리지의 교체시에 도 8과 같이 반드시 하우징-컵을 분리해야만 카트리지를 하우징-헤드에서 분리, 교체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카트리지를 하우징-헤드(51)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하우징-컵(53)을 카트리지를 교체할 수 있는 간격(G)만큼 위쪽으로 이동해야만 한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하여 하우징-컵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필터 하우징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일정 공간에 방해물이 없어야 한다. 물론, 필터 하우징이 거꾸로 매달려 설치되는 경우에는 하부 방향으로 방해물이 없어야 한다.
또한, 필터 하우징을 병렬로 연결하기 위하여 배관을 할 경우에는, 배관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공간과 자재가 필요하여, 설비의 제작에 있어 비용의 상승 및 설계에 제한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도 10과 같이 종래의 필터 하우징을 사용함에 있어서 필수적인 사항은, 설치된 필터 하우징의 상부에는 공기 배출용 배관이 필요하고, 필터 하우징의 하부에는 필터 카트리지 교체시에 필터 하우징 내부에 있는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드레인(DRAIN) 배관이 필요하다. 이러한 공기 배출 및 드레인용 배관은 각 필터 하우징에 필요하기 때문에 제작이 번거롭고 설비 제작 비용 증가의 원인이다.
이렇게 종래의 필터 하우징은 설치 및 사용에 있어서 공간의 제약과 설비의 설계 및 제작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설비가 현장에 설치된 후에도 사용자가 카트리지를 교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하우징(110, 120, 130)을 세로 방향으로 3개 적층 한 필터하우징(100)은
접속된 유체공급배관(200)과 유체공급통로(111)를 통하여 필터카트리지(C)에 오염된 유체를 공급하고, 오염되어 공급된 유체를 인접한 제2필터하우징(120)으로 공급하는 유체공급통로(112), 필터카트리지를 통과하여 여과된 유체를 인접한 제2필터하우징으로 배출하는 유체배출통로(113), 필터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카트리지(C)와 인접한 필터하우징과 접속하는 부분에 누액 방지를 위하여 설치된 패킹(800), 수명이 다한 필터카트리지의 교체를 위한 커버(300)와 패킹(310)을 포함하고, 오염되어 공급된 유체는 설치된 필터카트리지(C)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이 제거되어 배출되고, 오염되어 공급된 유체의 일부를 인접한 제2필터하우징으로 공급하는 제1필터하우징(110),
인접한 제1필터하우징(110)에서 공급되는 오염된 유체가 통과되는 유체공급통로(121), 인접한 제3필터하우징(130)으로 오염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배출통로(122), 인접한 제1필터하우징에서 공급되는 여과된 유체가 통과하는 유체공급통로(124), 인접한 제1필터하우징에서 공급되는 여과된 유체와 내부에 설치된 필터카트리지를 통과하여 여과된 유체를 인접한 제3필터하우징으로 배출하는 유체배출통로(123), 필터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카트리지, 인접한 필터하우징과 접속하는 부분에 누액 방지를 위하여 설치된 패킹(800), 수명이 다한 필터카트리지의 교체를 위한 커버(300)와 패킹(310)을 포함하고, 오염되어 공급된 유체는 설치된 필터카트리지(C)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이 제거되어 배출되고, 오염되어 공급된 유체의 일부를 인접한 제3필터하우징(130)으로 공급하는 제2필터하우징(120),
접속된 유체배출배관(250), 인접한 제2필터하우징(120)에서 공급되는 오염된 유체가 통과하는 유체공급통로(131), 인접한 제2필터하우징에서 공급되는 여과된 유체가 통과하는 유체공급통로(134), 인접한 제2필터하우징에서 공급되는 여과된 유체와 내부에 설치된 필터카트리지를 통과하여 여과된 유체를 유체배출배관으로 배출하는 유체배출통로(133), 필터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카트리지(C), 인접한 필터하우징과 접속하는 부분에 누액 방지를 위하여 설치된 패킹(800), 수명이 다한 필터카트리지의 교체를 위한 커버(300)와 패킹(310)을 포함하고, 오염되어 공급된 유체는 설치된 필터카트리지(C)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이 제거되어 배출되는 제3필터하우징(130)을 포함한다.
상기의 필터하우징(110, 120, 130)은 내부에 형성된 통로로 유체가 이동하므로 외부배관이 필요없는 필터 하우징을 제공한다.
각 필터하우징의 후면에 필터카트리지(C) 교체를 위하여 형성된 위한 커버(COVER)(300)가 있으며, 커버는 판재 형태로서 분리가 간편하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하우징은 유체배출배관(250)이 필터하우징의 상단부에 접속되므로 유체 유입시에 필터하우징 내부의 공기는 유체배출배관을 통해 배출되고, 유체공급배관이 필터 하우징의 하단부에 있어 유체의 흐름이 중지되면 중력에 의하여 필터하우징 내부의 유체가 유체공급배관으로 흘러 드레인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 하우징은 카트리지의 교체 시에 필터 하우징 이동을 위한 상부 방향으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복수의 필터 하우징을 설치함에 있어 연결배관이 필요 없으며, 공기 배출 및 유체 드레인용 배관이 필요없는 필터 하우징을 제공한다.
도 1: 필터하우징이 3개 연속 세로 방향으로 적층되었을 경우의 외형도.
도 2: 필터하우징이 3개 연속 세로 방향으로 적층되었을 경우의 조립 단면 및 유체 흐름표시도.
도 3: 제1필터 하우징의 단면도 및 외형도.
도 4: 제2필터 하우징의 단면도 및 외형도.
도 5: 제3필터 하우징의 단면도 및 외형도.
도 6: 1개의 필터하우징에 유체 공급 및 배출 배관이 동시에 형성되었을 경우 및 각도를 가지며 설치되었을 경우의 외형도.
도 7: 카트리지 분리, 교체 예시도
도 8: 종래의 필터 하우징 구성.
도 9: 종래의 필터 하우징을 설치함에 있어 연결 배관을 표시한 그림.
도 10: 종래의 필터 하우징을 사용함에 있어 필요한 공기 배출 및 유체 드레인용 배관을 표시한 그림.
도 11: 본 발명에 의한 필터하우징을 2연속 수직으로 적층하였을 경우의 외형도.
도 12: 본 발명에 의한 필터하우징을 3연속 수평으로 적층하였을 경우의 외형도 및 단면도.
본 발명에 의한 필터하우징(110, 120, 130)을 세로 방향으로 3개 적층 한 필터하우징(100)은
접속된 유체공급배관(200)과 유체공급통로(111)를 통하여 필터카트리지(C)에 오염된 유체를 공급하고, 오염되어 공급된 유체를 인접한 제2필터하우징(120)으로 공급하는 유체공급통로(112), 필터카트리지를 통과하여 여과된 유체를 인접한 제2필터하우징으로 배출하는 유체배출통로(113), 필터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카트리지(C)와 인접한 필터하우징과 접속하는 부분에 누액 방지를 위하여 설치된 패킹(800), 수명이 다한 필터카트리지의 교체를 위한 커버(300)와 패킹(310)을 포함하고, 오염되어 공급된 유체는 설치된 필터카트리지(C)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이 제거되어 배출되고, 오염되어 공급된 유체의 일부를 인접한 제2필터하우징으로 공급하는 제1필터하우징(110),
인접한 제1필터하우징(110)에서 공급되는 오염된 유체가 통과되는 유체공급통로(121), 인접한 제3필터하우징(130)으로 오염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배출통로(122), 인접한 제1필터하우징에서 공급되는 여과된 유체가 통과하는 유체공급통로(124), 인접한 제1필터하우징에서 공급되는 여과된 유체와 내부에 설치된 필터카트리지를 통과하여 여과된 유체를 인접한 제3필터하우징으로 배출하는 유체배출통로(123), 필터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카트리지, 인접한 필터하우징과 접속하는 부분에 누액 방지를 위하여 설치된 패킹(800), 수명이 다한 필터카트리지의 교체를 위한 커버(300)와 패킹(310)을 포함하고, 오염되어 공급된 유체는 설치된 필터카트리지(C)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이 제거되어 배출되고, 오염되어 공급된 유체의 일부를 인접한 제3필터하우징(130)으로 공급하는 제2필터하우징(120),
접속된 유체배출배관(250), 인접한 제2필터하우징(120)에서 공급되는 오염된 유체가 통과하는 유체공급통로(131), 인접한 제2필터하우징에서 공급되는 여과된 유체가 통과하는 유체공급통로(134), 인접한 제2필터하우징에서 공급되는 여과된 유체와 내부에 설치된 필터카트리지를 통과하여 여과된 유체를 유체배출배관으로 배출하는 유체배출통로(133), 필터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카트리지(C), 인접한 필터하우징과 접속하는 부분에 누액 방지를 위하여 설치된 패킹(800), 수명이 다한 필터카트리지의 교체를 위한 커버(300)와 패킹(310)을 포함하고, 오염되어 공급된 유체는 설치된 필터카트리지(C)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이 제거되어 배출되는 제3필터하우징(130)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제1필터하우징(110)은 제2필터하우징(120)의 인접한 상류 필터하우징이라고 할 수 있고, 제2필터하우징(120)은 제1필터하우징(110)의 인접한 하류 필터하우징이라고 할 수 있고, 제2필터하우징(120)은 제3필터하우징(130)의 인접한 상류 필터하우징이라고 할 수 있고, 제3필터하우징(130)은 제2필터하우징(120)의 인접한 하류 필터하우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상류 필터하우징은 오염된 유체를 공급해 주거나 여과된 유체가 유입되는 필터하우징이라고 할 수 있고, 하류 필터하우징은 오염된 유체를 공급받거나 여과된 유체를 배출하는 필터하우징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의 필터하우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필터하우징(110)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유체공급배관(200)에 공급된 유체는 연결되는 통로(111)를 따라서 필터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필터카트리지와, 인접한 제2필터하우징(120)으로 연결되는 통로(112, 121)를 따라서 제2필터하우징(102)으로 이동한다.
즉, 공급된 유체의 일부는 제2필터하우징(120)으로 이동하고, 일부는 필터카트리지(C)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이 여과된 후 필터하우징(110, 120, 130) 내부에 형성된 유체통로를 따라서 유체배출배관(250)로 이동한다.
제1필터하우징의 유체공급배관은 필터하우징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단부는 필터하우징의 어느 위치이든 관계없이 유체공급이 정지되었을 경우에 필터하우징 내부의 유체가 중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유체공급 배관으로 흘러나갈 수 있는 위치이면 충분하다.
제2필터하우징(120)으로 이동한 유체는 필터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필터카트리지를 통과하거나 인접한 제3필터하우징(130)으로 연결되는 통로(122, 131)를 따라서 제3필터하우징(130)으로 이동한다.
즉, 공급된 유체의 일부는 제3필터하우징(130)으로 이동하고, 일부는 필터카트리지(C)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이 여과된 후 유체배출배관(250)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2필터하우징에서는 제1필터하우징의 필터카트리지를 통과한 유체와 제2필터하우징의 필터카트리지를 통과한 유체가 합류하여 유체배출배관으로 이동한다.
제3필터하우징(130)으로 이동한 유체는 내부에 위치하는 필터카트리지(C)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이 여과된 후 유체배출배관(250)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3필터하우징에서는 제1필터하우징과 제2필터하우징의 필터카트리지를 통과한 유체와 제3필터하우징의 필터카트리지를 통과한 유체가 합류하여 유체배출배관으로 이동한다.
상기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필터하우징은 내부에 형성된 통로로 유체가 이동하므로 외부연결배관이 필요없는 필터하우징을 제공한다.
도 3은 제1필터하우징의 외형 및 내부를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으며, 도 4는 제2필터하우징의 외형 및 내부를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으며, 도 5는 제3필터하우징의 외형 및 내부를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도 1, 2에서와 같이 각 필터하우징의 후면에 필터카트리지(C) 교체를 위하여 커버(COVER)(300)와 패킹(PACKING)(310)이 있다.
커버(300)는 필터카트리지(C)를 제거하고, 삽입하기 위한 최소한의 크기이면 충분하다. 물론 커버의 형태는 사각, 원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커버는 리크(LEAK, 접속부위 불량으로 유체가 소량 흘러나오는 것)가 없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일반적으로 오링(O-RING), 패킹(PACKING)과 나사 또는 클램프를 사용하여 실링(SEALING)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1, 2와 같이 패킹과 나사를 이용하여 실링 한 예를 도시하였다.
필터하우징은 커버의 형상과 실링 성능을 고려하여 사각 기둥, 원통 등 여러 형태로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사각 형상을 예로 도시하였다.
하우징의 이동 없이 필터카트리지를 교체할 수 있는 필터하우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필터카트리지(C)는 필터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된 커버(300)를 통하여 수명이 다한 필터카트리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제품을 설치할 수 있다.
제거하는 순서 및 방법은 도 7과 같이 가) -> 나) -> 다) -> 라) 순서로 진행한다. 가) 단계는 필터하우징 내부에 필터카트리지가 설치된 초기 상태이며, 나) 단계에서는 필터하우징의 커버(300)를 제거하고, 다) 단계에서는 필터카트리지를 필터하우징에서 분리하고, 라) 단계에서는 필터카트리지를 필터하우징 밖으로 이동시킨다.
카트리지를 삽입하는 것은 상기 설명의 역순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필터하우징은 공기 배출 배관 및 유체 드레인 배관이 없는 필터하우징을 제공한다.
도 9에서와 같이 종래의 필터 하우징은 유체가 필터 하우징의 하부로 유입되어 하부로 배출되는 구조로서, 필터카트리지가 완전히 유체에 잠기게 되어야만 필터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유체가 유입되기 전에 존재하는 공기의 체적 때문에 카트리지의 상부까지 유체의 액면이 차오르지 못한다.
또한, 도 10에서와 같이 유체공급배관과 유체토출배관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특수한 구조로 인하여 필터 하우징 내부의 유체의 드레인을 위해서는 별도의 배관이 필요하다. 물론 필요시에만 사용을 위해서 수동 또는 자동 밸브의 설치가 필수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하우징은 유체배출배관(250)이 필터하우징의 상단부에 접속되므로 유체 유입시에 공기는 유체배출배관을 통해 배출된다. 물론 필터하우징 내부의 공기는 빠져나가게 된다.
여기서 상단부는 필터하우징의 어느 위치이든 관계없이, 유체가 공급될 경우에 필터하우징 내부에서 위로 몰리게 되는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위치이면 충분하고, 공기가 배출된 후에는 여과된 유체가 유체배출배관으로 흘러나갈 수 있는 위치이면 충분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필터하우징은 유체공급배관(200)이 필터하우징의 하단부에 있어, 유체의 흐름이 중지되면 중력에 의하여 필터하우징 내부의 유체가 유체공급배관으로 흐르므로 드레인용 배관이 필요 없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하우징에 있어
인접한 필터하우징은 서로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2와 같이 접촉하는 면 사이에 패킹(800)을 이용하여 실링(SEALING)할 수 있다.
물론 금형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또한 서로 인접하여 접촉하는 것의 한 종류라고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는 인접한 필터하우징 사이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파이프 또는 연결구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 또한 인접한 필터하우징이 서로 접촉하는 것의 한 변형에 지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본 제출서에는 3개가 연속된 필터하우징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필터하우징은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필터하우징의 수량은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11의 2연속 필터하우징과 같이 복수 개의 필터하우징을 사용자가 원하는 숫자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도 6과 같이 하나의 필터하우징에 유체공급배관, 유체배출배관이 동시에 연결되는 필터하우징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필터하우징은 수직, 수평 또는 경사를 가지면서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경사를 가지면서 설치되는 경우에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로서 도 6에서는 5°경사를 가지는 경우의 필터하우징을 도시하였다. 필터하우징이 경사를 가질 경우에는 필터하우징 내부의 유체의 드레인이 더욱 빨리 될 수 있고, 필터하우징 내부의 잔유량이 감소한다.
또한, 필터하우징의 유체공급배관 또는 유체배출배관은 위치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유체공급배관 및 유체배출배관의 위치가 서로 다른 필터하우징에 설치가 가능하다. 유체공급배관은 필터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고, 유체배출배관은 필터하우징의 다른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유체배관의 수량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유체공급배관 및 유체배출배관은 복수 개로 구성할 수 있다. 필터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카트리지의 수량 또한 필터하우징의 크기에 따라서 복수 개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필터하우징을 복수 개로 연결하여 사용함에 있어, 도 1과 같이 세로 방향으로 필터하우징을 적층 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도 12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적층 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로 방향으로 적층된 필터하우징은 세로 방향으로 적층된 필터하우징과 동일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유체공급배관은 필터하우징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유체 공급 및 드레인 기능을 가지고, 유체배출배관은 필터하우징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유체 배출 및 공기 배출 기능을 한다. 인접한 필터하우징으로 오염된 유체를 공급하는 통로는 유체가 드레인 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필터하우징 내부의 바닥면과 같은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본 발명에 의한 필터하우징을 세로 방향으로 3개 적층 한 필터하우징.
110: 제1필터하우징.
120: 제2필터하우징.
130: 제3필터하우징.
200: 유체공급배관 접속부.
250: 유체배출배관 접속부.
300: 각 필터하우징의 커버.
310: 각 필터하우징 커버의 패킹.
111, 112, 113, 121, 122, 123, 124, 131, 133, 134: 유체통로.
C: 각 필터하우징의 필터 카트리지.

Claims (12)

  1. LCD, OLED, PCB 장비에 적용되는 필터카트리지 교체형 필터 하우징에 있어;
    유체공급배관에서 공급된 유체가 필터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유체공급이동 통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된 필터하우징의 내부를 이동하여 각 필터하우징 내부의 필터카트리지를 통과하고, 필터카트리지를 통과한 유체는 필터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유체배출이동 통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된 필터하우징의 내부를 이동하여 유체배출배관으로 이동하는 필터하우징으로서, 유체 드레인 및 공기 배출용 배관이 필요 없고, 필터하우징 및 필터카트리지가 지면과 수평 또는 경사를 가지면서 설치되고, 단수 또는 복수의 필터하우징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적층 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하우징.
  2. LCD, OLED, PCB 장비에 적용되는 필터 카트리지 교체형 필터 하우징에 있어;
    유체공급배관(200)과 제2필터하우징(120)의 유체공급통로(121) 및 유체배출통로(124)가 접속하고, 오염되어 공급된 유체를 필터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필터카트리지(C)를 통하여 오염물을 제거하여 제2필터하우징 또는 유체배출배관으로 배출하고, 오염되어 공급된 유체를 인접한 제2필터하우징으로 공급하는 제1필터하우징(110),
    제1필터하우징(110)의 유체공급통로(112) 및 유체배출통로(113)가 접속하고, 제3필터하우징(130)의 유체공급통로(131) 및 유체배출통로(134)가 접속하고, 제1필터하우징에서 공급된 오염 유체를 내부에 설치된 필터카트리지(C)를 통하여 오염물을 제거하여 배출하고, 제1필터하우징에서 공급된 오염 유체를 제3필터하우징으로 공급하고, 내부에 설치된 필터카트리지와 제1필터하우징에서 공급된 여과된 유체를 제3필터하우징으로 배출하는 제2필터하우징(120),
    제2필터하우징(120)의 유체공급통로(122) 및 유체배출통로(123)가 접속하고, 제2필터하우징에서 공급된 오염 유체를 내부에 설치된 필터카트리지(C)를 통하여 오염물을 제거하여 배출하는 제3필터하우징(130)을 포함하는 복수의 필터하우징을 연속적으로 연결한 필터하우징.
  3. LCD, OLED, PCB 장비에 적용되는 필터 카트리지 교체형 필터 하우징에 있어;
    유체공급배관이 접속되고 오염되어 공급된 유체를 내부에 설치된 필터카트리지로 공급하는 통로 및 인접한 하류 필터하우징으로 공급하는 통로를 가지고, 필터카트리지를 통과한 유체가 유체배출배관 또는 인접한 하류 필터하우징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가지고, 카트리지 교체를 위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하우징.
  4. LCD, OLED, PCB 장비에 적용되는 필터 카트리지 교체형 필터 하우징에 있어;
    인접한 상류 필터하우징과 접속하고 유체가 공급되는 통로, 인접한 하류 필터하우징과 접속하고 유체를 공급하는 통로, 여과된 유체가 유체배출배관 또는 상류 필터하우징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 인접한 하류 필터하우징에서 공급되는 여과된 유체가 상류 필터하우징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 필터카트리지가 내부에 위치하고 필터카트리지 교체를 위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하우징.
  5. LCD, OLED, PCB 장비에 적용되는 필터 카트리지 교체형 필터 하우징에 있어;
    하류 필터하우징과 접속하고 유체가 공급되는 통로, 여과된 유체가 유체배출배관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 필터카트리지가 내부에 위치하고 필터카트리지 교체를 위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하우징.
  6. LCD, OLED, PCB 장비에 적용되는 필터 카트리지 교체형 필터 하우징에 있어;
    유체공급배관이 필터하우징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인접한 필터하우징과 연결되어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있어, 유체 흐름이 중지될 경우에 해당 필터하우징 및 인접 필터하우징 내부의 유체가 유체공급배관으로 드레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하우징.
  7. LCD, OLED, PCB 장비에 적용되는 필터 카트리지 교체형 필터 하우징에 있어;
    유체배출배관 접속부가 필터하우징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유체 유입 시에 상부로 몰리는 공기를 유체배출배관으로 배출하여 별도의 공기 배출용 배관이 필요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하우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은 필터하우징 사이의 접촉하는 면에 패킹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하우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은 인접한 필터하우징을 가로 방향으로 적층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하우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은 복수 개의 유체공급배관, 유체배출배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하우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은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 카트리지가 단수 또는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하우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은 인접한 필터하우징을 세로 방향으로 적층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하우징.

KR1020110014842A 2011-02-20 2011-02-20 필터하우징 KR201200954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842A KR20120095495A (ko) 2011-02-20 2011-02-20 필터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842A KR20120095495A (ko) 2011-02-20 2011-02-20 필터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495A true KR20120095495A (ko) 2012-08-29

Family

ID=46885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842A KR20120095495A (ko) 2011-02-20 2011-02-20 필터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54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69138A (zh) * 2022-04-13 2022-06-28 中国石油大学(北京) 一种滤芯支撑装置及智能聚结过滤分离设备
KR20220128697A (ko) * 2021-03-15 2022-09-22 정현산 무단수 배관용 필터 교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697A (ko) * 2021-03-15 2022-09-22 정현산 무단수 배관용 필터 교체 장치
CN114669138A (zh) * 2022-04-13 2022-06-28 中国石油大学(北京) 一种滤芯支撑装置及智能聚结过滤分离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90358B1 (en) Multi-purpose water tank
KR102122995B1 (ko) 여과 장치
KR20120095495A (ko) 필터하우징
KR101184882B1 (ko) 공기배출, 유체 드레인 및 연결배관이 필요없는 연속필터하우징
KR101210969B1 (ko) 펌프 흡입용 t자형 스트레이너
CN203874899U (zh) 一种供水系统用y型过滤器
CN113103062A (zh) 供液装置及具有其的机床
KR20120026713A (ko) 공기배출 및 연결배관이 필요없는 연속필터하우징
JP5526253B1 (ja) 濾過装置
KR100924931B1 (ko) 세정장비 및 기판세정방법
KR100679132B1 (ko)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
KR101548045B1 (ko) 액체 저류 장치의 여과장치
CN109433691B (zh) 一种烟用爆珠洗丸装置
KR101273930B1 (ko) 거품 처리 장치
CN108072041B (zh) 一种火电厂用的排渣系统
KR20110009482U (ko) 카트리지 교체가 편리한 필터 하우징
JP2012020256A (ja) 次亜塩素酸ソーダの注入装置
KR200426268Y1 (ko) 산업용 유체 여과장치
RU169752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нефтяных 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вых резервуаров от отложений
KR102670865B1 (ko) 산업용 배관장치 세정 시스템
JP5817414B2 (ja) 止まり穴洗浄装置および止まり穴洗浄方法
KR20130057212A (ko) 여과율과 여과면적을 향상시킨 폐수 여과장치
CN215466547U (zh) 一种齿轮油泵加工用清洗装置
JP5004298B2 (ja) 濾過装置、及び濾過装置における濾材の洗浄方法
TW201821145A (zh) 過濾器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