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5161A - 배터리 팩의 충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의 충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5161A
KR20120095161A KR1020110014661A KR20110014661A KR20120095161A KR 20120095161 A KR20120095161 A KR 20120095161A KR 1020110014661 A KR1020110014661 A KR 1020110014661A KR 20110014661 A KR20110014661 A KR 20110014661A KR 20120095161 A KR20120095161 A KR 20120095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ircuits
circuit
output
sens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1036B1 (ko
Inventor
표영학
서상철
유창석
세르게이 바시체프
남진원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4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036B1/ko
Priority to CN201110119266.4A priority patent/CN102646998B/zh
Publication of KR20120095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1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 H02J7/0071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in response to charge current gradi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의 충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원을 입력 받아 전류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류 생성 회로를 포함하는 전류 생성 회로부; 충전 시 입력되는 전원을 분배하여 상기 전류 생성 회로에 전달하고, 방전 시 상기 전류 생성 회로로부터 모아지는 전류를 전원부에 전달하는 전원 전달부; 상기 전류 생성 회로 각각의 출력 전류를 감지하는 제 1 전류 감지 회로부; 상기 전류 생성 회로부 전체의 출력 전류를 감지하는 제 2 전류 감지 회로부; 및 상기 제 1 전류 감지 회로부를 통해 감지된 출력 전류와 상기 제 2 전류 감지 회로부를 통해 감지된 출력 전류를 비교하고, 상기 전류 생성 회로 간의 전류 밸런싱이 유지되도록 상기 전류 생성 회로 각각을 제어하는 전류 제어 회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충방전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의 충방전 시스템{SYSTEM FOR CHARGE AND DISCHARGE OF 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의 충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의 요구 사양이 날로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차 전지의 생산 및 테스트에 필요한 충방전기의 출력 전류 요구 사양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현재, 수백 암페어(A) 정도의 최대 전류를 생성할 수 있는 충방전기가 개발 및 생산되고 있으며, 향후 최대 출력 전류 용량에 대한 요구 사양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 사양에 대하여 대응하기 위해서는 고전류 및 전류 정밀도에 대한 기본적인 사양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전류 생성 모듈의 설계 개발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MOSFET 등의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요구 사양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고전류용 충방전기를 구현할 수 있으나, 상기 요구 사양이 높아짐에 따라 각 부품들의 단가가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게 되어 회로 제작 비용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저전류 생성 모듈들을 연결하여 고전류를 생성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경우, 각 저전류 생성 모듈 간의 동기 및 개별 전류 제어 등의 문제로 인해 모듈 간 전류 불균형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특정 모듈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충방전 회로의 안정성 및 수명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모듈 각각을 제어하는 방식의 경우, 모듈 전체의 전류를 각 모듈의 전류 합으로 계산하여 추정하게 되므로, 특정 모듈의 전류 센싱 값에 오차가 있게 되면 모듈 전체의 전류에 대한 정밀도가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전류 생성 모듈 별 전류 밸런싱을 안정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고전류의 전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는 충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충방전 시스템은, 전원을 입력 받아 전류를 생성하는 복수의 전류 생성 회로를 포함하는 전류 생성 회로부; 충전 시 입력되는 전원을 분배하여 상기 전류 생성 회로에 전달하고, 방전 시 상기 전류 생성 회로로부터 모아지는 전류를 전원부에 전달하는 전원 전달부; 상기 전류 생성 회로 각각의 출력 전류를 감지하는 제 1 전류 감지 회로부; 상기 전류 생성 회로부 전체의 출력 전류를 감지하는 제 2 전류 감지 회로부; 및 상기 제 1 전류 감지 회로부를 통해 감지된 출력 전류와 상기 제 2 전류 감지 회로부를 통해 감지된 출력 전류를 비교하고, 상기 전류 생성 회로 간의 전류 밸런싱이 유지되도록 상기 전류 생성 회로 각각을 제어하는 전류 제어 회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전류 감지 회로부를 통해 감지된 출력 전류의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 제어 회로부는 상기 전류 생성 회로부 내부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전류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전달부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전류 제어 회로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류 감지 회로부는 복수의 전류 감지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 감지 회로는 감지된 출력 전류를 상기 전류 제어 회로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 제어 회로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와 상기 전류 감지 회로를 통해 감지된 출력 전류를 비교하고, 상기 전류 생성 회로를 통해 각각 생성되는 전류의 값이 서로 동일해지도록 상기 전류 생성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 생성 회로는 서로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전류 감지 회로는 상기 전류 생성 회로를 통해 생성된 전류가 출력되는 경로 상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 2 전류 감지 회로부는 상기 전류 생성 회로의 출력 전류가 합쳐지는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 제어 회로부는 상기 전류 생성 회로부 내부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전류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전달부는 상기 제 2 전류 감지 회로부를 통해 감지된 출력 전류를 상기 전류 제어 회로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류 감지 회로부는 복수의 전류 감지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 감지 회로는 감지된 출력 전류를 상기 전류 제어 회로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 제어 회로는, 상기 제 2 전류 감지 회로부를 통해 감지된 출력 전류와 상기 전류 감지 회로를 통해 감지된 출력 전류를 비교하고, 상기 전류 생성 회로를 통해 각각 생성되는 전류 값이 서로 동일해지도록 상기 전류 생성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 생성 회로는 서로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전류 감지 회로는 상기 전류 생성 회로를 통해 생성된 전류가 출력되는 경로 상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 2 전류 감지 회로부는 상기 전류 생성 회로의 출력 전류가 합쳐지는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류 생성 모듈 별 전류 밸런싱을 안정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고전류의 전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는 충방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방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충방전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방전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방전 시스템(100)은, 전류 생성 회로부(110), 전원 전달부(120), 제 1 전류 감지 회로부(130), 제 2 전류 감지 회로부(140), 전류 제어 회로부(150) 및 데이터 처리부(160)를 포함한다.
전류 생성 회로부(110)는 전원부(1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입력 받고 배터리(20)의 충방전에 필요한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류 생성 회로부(110)는 병렬 연결된 복수의 전류 생성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 생성 회로부(110)는 병렬 연결된 제 1 내지 제 3 전류 생성 회로(110a, 110b, 11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전류 생성 회로(110a, 110b, 110c)는 전류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류 생성 회로부(110)가 3개의 전류 생성 회로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원 전달부(120)는 배터리(20)의 충전 시 전원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분배하여 전류 생성 회로부(110)의 제 1 내지 제 3 전류 생성 회로(110a, 110b, 110c)에 각각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전달부(120)는 배터리(20)의 방전 시 전류 생성 회로부(110)의 제 1 내지 제 3 전류 생성 회로(110a, 110b, 110c)로부터 모아지는 전류를 전원부(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전달부(120)는 데이터 처리부(160)를 통해 처리된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전류 제어 회로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전류 제어 회로부(150)가 전류 생성 회로부(110) 내부에 설치된 경우, 데이터 처리부(160)를 통해 처리된 데이터는 전류 생성 회로부(110)를 통하여 전류 제어 회로부(150)로 전달될 수도 있다. 전원 전달부(120)는, 전원부(10)와 전류 생성 회로부(110)의 전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류 생성 회로부(110), 전원 전달부(120) 및 전류제어 회로부(150)의 구성 관계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 1 전류 감지 회로부(130)는 전류 생성 회로부(110)의 출력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전류 감지 회로부(130)는 제 1 내지 제 3 전류 감지 회로(130a, 130b, 13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류 감지 회로(130a)는 제 1 전류 생성 회로(110a)의 출력 전류(131a)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 1 전류 생성 회로(110a)를 통해 생성된 전류(131a)가 출력되는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전류 감지 회로(130a)는 감지된 출력 전류(131a)를 전류 제어 회로부(150)의 제 1 전류 제어 회로(150a)로 피드백할 수 있다.
제 2 전류 감지 회로(130b)는 제 2 전류 생성 회로(110b)의 출력 전류(131b)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 2 전류 생성 회로(110b)를 통해 생성된 전류(131b)가 출력되는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전류 감지 회로(130b)는 감지된 출력 전류(131b)를 전류 제어 회로부(150)의 제 2 전류 제어 회로(150b)로 피드백할 수 있다.
제 3 전류 감지 회로(130c)는 제 3 전류 생성 회로(110c)의 출력 전류(131c)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 3 전류 생성 회로(110c)를 통해 생성된 전류(131c)가 출력되는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3 전류 감지 회로(130c)는 감지된 출력 전류(131c)를 전류 제어 회로부(150)의 제 3 전류 제어 회로(150c)로 피드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류 감지 회로부(130)는 고가의 고정밀 전류 센서가 적용될 필요는 없으며, 비교적 저가의 전류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는 제 1 전류 감지 회로부(130)가 3개의 전류 감지 회로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전류 감지 회로 및 전류 제어 회로의 개수는 전류 생성 회로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 2 전류 감지 회로부(140)는 전류 생성 회로부(110) 전체의 출력 전류(141, 이하 총 출력 전류라고 함)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 1 내지 제 3 전류 생성 회로(110a, 110b, 110c)의 출력 전류(131a, 131b, 131c)가 합쳐지는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전류 감지 회로부(140)는 감지된 총 출력 전류(141)를 데이터 처리부(160)로 피드백할 수 있다.
전류 제어 회로부(150)는 제 1 내지 제 3 전류 생성 회로(110a, 110b, 110c)에서 생성되는 전류(131a, 131b, 131c)의 밸런싱(balancing)이 유지되도록 제 1 내지 제 3 전류 생성 회로(110a, 110b, 110c)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전류 제어 회로부(150)는 복수의 전류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 제어 회로부(150)는 제 1 내지 제 3 전류 제어 회로(150a, 150b, 15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전류 제어 회로(150a, 150b, 150c)는 제 1 내지 제 3 전류 생성 회로(110a, 110b, 110c) 내부에 각각 구성되거나 외부에 구성되어 각각의 전류 생성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는 제 1 내지 제 3 전류 제어 회로(150a, 150b, 150c)가 제 1 내지 제 3 전류 생성 회로(110a, 110b, 110c) 내부에 각각 구성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하다.
전류 제어 회로부(150)의 동작 원리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스템을 통해 생성되는 최종 출력 전류는 설정된 목표 값으로 유지되지만, 각각의 전류 생성 모듈에서 생성되는 전류는 다양한 외부 요인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제어 회로부(150)는 총 출력 전류(141)를 기준으로 제 1 내지 제 3 전류 생성 회로(110a, 110b, 110c)에서 생성될 전류의 크기를 조절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동작 원리를 바탕으로 전류 제어 회로부(15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전류 제어 회로(150a)는 제 1 전류 생성 회로(110a) 내부에 구성되어 제 1 전류 생성 회로(110a)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전류 제어 회로(150a)는, 데이터 처리부(160)와 전원 전달부(120)를 통해 총 출력 전류(141)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 받고, 제 1 전류 감지 회로(130a)를 통해 감지된 출력 전류(131a)를 피드백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전류 제어 회로(150a)는 총 출력 전류(141)와 제 1 전류 감지 회로(130a)를 통해 감지된 출력 전류(131a)를 비교하여, 총 출력 전류(141)를 기준으로 출력 전류(131a)가 적절한 전류 크기를 갖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제 1 전류 제어 회로(150a)는 상기 판단 결과를 바탕으로 제 1 전류 감지 회로(130a)에서 생성되는 전류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제 1 전류 감지 회로(130a)를 제어할 수 있다.
제 2 전류 제어 회로(150b)는 제 2 전류 생성 회로(110b) 내부에 구성되어 제 2 전류 생성 회로(110b)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전류 감지 회로(130b)는, 데이터 처리부(160)와 전원 전달부(120)를 통해 총 출력 전류(141)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 받고, 제 2 전류 감지 회로(130b)를 통해 감지된 출력 전류(131b)를 피드백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 2 전류 제어 회로(150b)는 총 출력 전류(141)와 제 2 전류 감지 회로(130b)를 통해 감지된 출력 전류(131b)를 비교하여, 총 출력 전류(141)를 기준으로 출력 전류(131b)가 적절한 전류 크기를 갖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제 2 전류 제어 회로(150b)는 상기 판단 결과를 바탕으로 제 2 전류 감지 회로(130b)에서 생성되는 전류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제 2 전류 감지 회로(130b)를 제어할 수 있다.
제 3 전류 제어 회로(150c)는 제 3 전류 생성 회로(110c) 내부에 구성되어 제 3 전류 생성 회로(110c)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3 전류 감지 회로(130c)는, 데이터 처리부(160)와 전원 전달부(120)를 통해 총 출력 전류(141)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받고, 제 3 전류 감지 회로(130c)를 통해 감지된 출력 전류(131c)를 피드백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 3 전류 제어 회로(150c)는 총 출력 전류(141)와 제 3 전류 감지 회로(130c)를 통해 감지된 출력 전류(131c)를 비교하여, 총 출력 전류(141)를 기준으로 출력 전류(131c)가 적절한 전류 크기를 갖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제 3 전류 제어 회로(150)는 상기 판단 결과를 바탕으로 제 3 전류 감지 회로(130c)에서 생성되는 전류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제 3 전류 감지 회로(130c)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3 전류 제어 회로(150a, 150b, 150c)는 제 1 내지 제 3 전류 생성 회로(110a, 110b, 110c)의 전류 제어가 균형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 처리부(160)는 제 2 전류 감지 회로부(140)으로부터 총 출력 전류(141)를 피드백 받고,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60)는 변환된 데이터를 전원 전달부(120)를 통하여 제 1 내지 제 3 전류 제어 회로(150a, 150b, 150c)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전류 제어 회로(150a, 150b, 150c)가 제 1 내지 제 3 전류 생성 회로(110a, 110b, 110c) 내부에 구성될 경우, 변환된 데이터는 제 1 내지 제 3 전류 생성 회로(110a, 110b, 110c)를 통하여 제 1 내지 제 3 전류 제어 회로(150a, 150b, 150c)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전류 제어 회로(150a, 150b, 150c)가 제 1 내지 제 3 전류 생성 회로(110a, 110b, 110c) 외부에 구성될 경우, 변환된 데이터는 전원 전달부(120)를 통하여 제 1 내지 제 3 전류 제어 회로(150a, 150b, 150c)에 직접 전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160)는 제 2 전류 감지 회로부(140)를 통해 감지된 총 출력 전류(141)의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피드백함으로써, 노이즈(noise) 등의 외부 영향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처리부(160)는 생략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전원 전달부(120)는 제 2 전류 감지 회로부(140)를 통해 감지된 총 출력 전류(141)를 제 1 내지 제 3 전류 제어 회로(150a, 150b, 150c)로 직접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전류 제어 회로(150a, 150b, 150c)는 전달된 총 출력 전류(141)와 제 1 내지 제 3 전류 감지 회로(130a, 130b, 130c)를 통해 감지된 출력 전류(131a, 131b, 131c)를 각각 비교하여 제 1 내지 제 3 전류 생성 회로(110a, 110b, 110c)를 각각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류 생성 모듈 별 전류 밸런싱을 안정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고전류의 전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 전원부
20: 배터리
100: 충방전 시스템
110: 전류 생성 회로부
110a: 제 1 전류 생성 회로
110b: 제 2 전류 생성 회로
110c: 제 3 전류 생성 회로
120: 전원 전달부
130: 전류 감지 회로부
130a: 제 1 전류 감지 회로
130b: 제2 전류 감지 회로
130c: 제 3 전류 감지 회로
140: 제 2 전류 감지 회로부
150: 전류 제어 회로부
150a: 제 1 전류 제어 회로
150b: 제 2 전류 제어 회로
150c: 제 3 전류 제어 회로
160: 데이터 처리부

Claims (10)

  1. 전원을 입력 받아 전류를 생성하는 복수의 전류 생성 회로를 포함하는 전류 생성 회로부;
    충전 시 입력되는 전원을 분배하여 상기 전류 생성 회로에 전달하고, 방전 시 상기 전류 생성 회로로부터 모아지는 전류를 전원부에 전달하는 전원 전달부;
    상기 전류 생성 회로 각각의 출력 전류를 감지하는 제 1 전류 감지 회로부;
    상기 전류 생성 회로부 전체의 출력 전류를 감지하는 제 2 전류 감지 회로부; 및
    상기 제 1 전류 감지 회로부를 통해 감지된 출력 전류와 상기 제 2 전류 감지 회로부를 통해 감지된 출력 전류를 비교하고, 상기 전류 생성 회로 간의 전류 밸런싱이 유지되도록 상기 전류 생성 회로 각각을 제어하는 전류 제어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충방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류 감지 회로부를 통해 감지된 출력 전류의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충방전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 회로부는 상기 전류 생성 회로부 내부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전류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전달부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전류 제어 회로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충방전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 감지 회로부는 복수의 전류 감지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 감지 회로는 감지된 출력 전류를 상기 전류 제어 회로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충방전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 회로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와 상기 전류 감지 회로를 통해 감지된 출력 전류를 비교하고, 상기 전류 생성 회로를 통해 각각 생성되는 전류의 값이 서로 동일해지도록 상기 전류 생성 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충방전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생성 회로는 서로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전류 감지 회로는 상기 전류 생성 회로를 통해 생성된 전류가 출력되는 경로 상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 2 전류 감지 회로부는 상기 전류 생성 회로의 출력 전류가 합쳐지는 경로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충방전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 회로부는 상기 전류 생성 회로부 내부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전류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전달부는 상기 제 2 전류 감지 회로부를 통해 감지된 출력 전류를 상기 전류 제어 회로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충방전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 감지 회로부는 복수의 전류 감지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 감지 회로는 감지된 출력 전류를 상기 전류 제어 회로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충방전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 회로는, 상기 제 2 전류 감지 회로부를 통해 감지된 출력 전류와 상기 전류 감지 회로를 통해 감지된 출력 전류를 비교하고, 상기 전류 생성 회로를 통해 각각 생성되는 전류 값이 서로 동일해지도록 상기 전류 생성 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충방전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생성 회로는 서로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전류 감지 회로는 상기 전류 생성 회로를 통해 생성된 전류가 출력되는 경로 상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 2 전류 감지 회로부는 상기 전류 생성 회로의 출력 전류가 합쳐지는 경로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충방전 시스템.
KR1020110014661A 2011-02-18 2011-02-18 배터리 팩의 충방전 시스템 KR101201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661A KR101201036B1 (ko) 2011-02-18 2011-02-18 배터리 팩의 충방전 시스템
CN201110119266.4A CN102646998B (zh) 2011-02-18 2011-05-04 电池包的充电和放电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661A KR101201036B1 (ko) 2011-02-18 2011-02-18 배터리 팩의 충방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161A true KR20120095161A (ko) 2012-08-28
KR101201036B1 KR101201036B1 (ko) 2012-11-14

Family

ID=46659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661A KR101201036B1 (ko) 2011-02-18 2011-02-18 배터리 팩의 충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01036B1 (ko)
CN (1) CN10264699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579A (ko) * 2016-07-21 2018-01-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0924A (zh) * 2013-12-16 2014-04-16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充电的方法、组件及终端
CN104505890B (zh) * 2014-12-24 2017-02-0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14696403B (zh) * 2020-12-31 2024-02-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源适配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551B1 (ko) * 2003-03-06 2005-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충방전기용 전원장치
CN101917036A (zh) * 2010-07-28 2010-12-15 镇江恒驰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管理系统的动态均衡充放电实现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579A (ko) * 2016-07-21 2018-01-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US11427093B2 (en) 2016-07-21 2022-08-30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1036B1 (ko) 2012-11-14
CN102646998A (zh) 2012-08-22
CN102646998B (zh)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3152B2 (en) Power stabilization system and power stabilizing method
US10730398B2 (en) Batter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US10566843B2 (en) Wireless charging circuit
US9647463B2 (en) Cell balancing module and method in voltage balancing device for a stack of batteries which compares the cell voltages to a coded reference voltage derived from at least two reference voltages
US8716980B2 (en) Charge and discharge system of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controlling charge and discharge of secondary battery
US20160079799A1 (en)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power control
US20160020636A1 (en) Radio frequency (rf) power harvesting circuit
KR100969589B1 (ko) 급속 충전용 배터리 모듈 관리 시스템
US20140079963A1 (en) Battery System Control Method
US10530017B2 (en) Storage-battery control system
KR102564853B1 (ko) 배터리 제어 장치,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배터리 제어 방법
US20080074077A1 (en) System of supplying power between portable devices and portable device used therein
TW201703384A (zh) 行動裝置充電系統及相關的適應性電源轉換器與充電控制電路
KR101201036B1 (ko) 배터리 팩의 충방전 시스템
AU2015323230B2 (en) Electrical storage system,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20130169214A1 (en) Series-Type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Method Thereof
JPWO2012124221A1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蓄電池システム
WO2018155270A1 (ja) 充電システム、電池パック、及び保護装置
US10461377B2 (en) Method for controlling charge capacity of UPS battery
KR20210022418A (ko)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의 운용 방법
CN109120059A (zh) 用于控制不间断电源系统的方法以及相关联的电源系统
US10205341B2 (en) Direct current backup system
CN107919691B (zh) 电池包、充电组合和电动工具
JP5515997B2 (ja) 電源監視制御装置
US20200067354A1 (en)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