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4635A - 엘이디 빔 조사기용 승강 어셈블리를 구비한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 - Google Patents

엘이디 빔 조사기용 승강 어셈블리를 구비한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4635A
KR20120094635A KR1020110014013A KR20110014013A KR20120094635A KR 20120094635 A KR20120094635 A KR 20120094635A KR 1020110014013 A KR1020110014013 A KR 1020110014013A KR 20110014013 A KR20110014013 A KR 20110014013A KR 20120094635 A KR20120094635 A KR 20120094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irradiator
lens
road guide
beam irradi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4468B1 (ko
Inventor
최순조
Original Assignee
영광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광산업(주) filed Critical 영광산업(주)
Priority to KR1020110014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468B1/ko
Publication of KR20120094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7Displays with power supply provided by solar cells or photoc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with rotatable, swingable or adjustable signs or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빔 조사기용 승강 어셈블리를 구비한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에 에 관한 것으로, LED 빔 조사기용 승강 어셈블리를 구비하여 도로안내표지판에 대하여 원활한 조사가 이루어지는 한편, LED 빔 조사기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주 또는 상기 지주로부터 연장된 수평지지체에 지지되고 전면 표면에는 문자나 도형이 인쇄된 도로안내표지판과, 도로안내표지판 전면을 향하여 LED 빔을 확산시켜 조사하는 LED 빔 조사기와, 지주로부터 전측으로 이격되어 세워지는 조사기용 수직지지체와, LED 빔 조사기를 장착하고 조사기용 수직지지체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박스와, 조사기용 수직지지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기어와, 조사기용 수직지지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종동풀리와, 일단부는 종동풀리를 경유하여 승강박스를 지지하고 타단부는 구동기어에 감기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이디 빔 조사기용 승강 어셈블리를 구비한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ROAD SIGNS RECOGNITION APPARATUS WITH UP-DOWN ASSEMBLY FOR LED BEAM IRRADIATOR}
본 발명은 도로안내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LED 빔 조사기용 승강 어셈블리를 구비하여 도로안내표지판에 대하여 원활한 조사가 이루어지는 한편, LED 빔 조사기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LED 빔 조사기용 승강 어셈블리를 구비한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안내표지판은 도로의 가장자리나 인도 등에 설치되어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문자나 기호, 도형 등을 사용하여 차량의 진행방향 및 안내표시를 함으로써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도로나 지역 안내를 하는 교통 안내 시설물을 일컫는다. 이러한 도로안내표지판은 반드시 광원이 있어야만 빛을 반사하고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의 위치에 매달리는 것이기 때문에 야간에 운전자들이 도로안내표지판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향등을 키거나 느린 속도로 가까이 접근한 상태에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시 사고의 위험성이 있었다.
따라서, 도로안내표지판은 야간에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야광물질을 도색한 표지판이나 백열등, LED 램프 등의 다양한 광원을 사용하여 표지판을 내부 또는 외부로 조명하는 다양한 조명 조명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야광물질은 장시간 사용에 따른 마모와 광량 부족으로 인한 야간 시인성이 떨어지고 별도의 외부 광원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a 및 도 1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주에 설치된 LED 빔 조사기(40)를 사용하여 도로안내표지판(10)을 전면이나 측면에서 조사하는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가 개시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를 살펴보면 LED 빔 조사기(40)가 체결기구(20,30)에 의해 지주(1)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의한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의 경우 지주(1) 상단부에 설치된 LED 빔 조사기(40)가 한번 설치되고 나면 체결기구(20,30)를 해체하지 않는 한 아래로 내릴 수 없는 관계로 LED 빔 조사기(40)가 고정나거나 개선이 필요한 경우 유지 및 보수작업이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에 사용되는 LED 빔 조사기(40)의 경우 다수의 LED(63)를 구비하고 이들 주변으로 전등갓(a1)이 설치된 구성을 하고 있었는데, 이같은 LED 빔 조사기(40)의 경우 적정거리에 떨어진 도로안내표지판에 LED(63) 빔을 조사하여 시인성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의한 LED 빔 조사기(40)는 도로안내표지판(10)의 이격거리에 따라 LED(63) 빔의 조사범위를 조절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LED 빔 조사기(40)와 도로안내표지판(10)은 항상 어느 정도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되어야만 하였다.
아울러, 내부 표면을 반사재질로 한 전등갓(a1)을 사용하기는 하지만 많은 양의 LED(61a)가 필요하여 에너지 소비가 많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LED 빔 조사기용 승강 어셈블리를 구비하여 도로안내표지판에 대하여 원활한 조사가 이루어지는 한편, LED 빔 조사기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LED 빔 조사기용 승강 어셈블리를 구비한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는,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주 또는 상기 지주로부터 연장된 수평지지체에 지지되고 전면 표면에는 문자나 도형이 인쇄된 도로안내표지판과; 상기 도로안내표지판 전면을 향하여 LED 빔을 확산시켜 조사하는 LED 빔 조사기와; 상기 지주로부터 전측으로 이격되어 세워지는 조사기용 수직지지체와; 상기 LED 빔 조사기를 장착하고 상기 조사기용 수직지지체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박스와; 상기 조사기용 수직지지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기어와; 상기 조사기용 수직지지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종동풀리와; 일단부는 상기 종동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승강박스를 지지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기어에 감기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된 보조기어가 더 구비되고, 각각 진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진출하면 상기 구동기어 및 보조기어를 담당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억제시키는 제1스토퍼 핀 및 제2스토퍼 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의 전면 중심부에는 전동드릴의 소켓이 끼워지는 소켓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사기용 수직지지체에 대한 상기 승강박스의 승강 슬라이딩을 위해 상기 조사기용 수직지지체와 상기 승강박스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T'형 단면의 슬라이딩 레일과 '
Figure pat00001
'형 단면의 슬라이딩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로안내표지판의 전면에는 형광 광각 초고휘도 반사지가 덧붙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 빔조사기는, LED와; 상기 LED 전면 인근에 설치되는 제1렌즈와; 상기 제1렌즈의 전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렌즈와; 상기 제1렌즈를 진퇴시켜 상기 제2렌즈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해주는 이격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격조절부재는, 전단부에는 상기 LED 및 제1렌즈가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돌출된 형태의 이동체가 설치된 LED 하우징과, 상기 LED 하우징을 외측에서 감싸주며, 외벽에는 상기 LED 하우징의 이동체를 관통한 상태로 위치시키는 사선방향의 가이드홀이 구비되어, 회전시 상기 가이드홀에 의해 이동체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LED 하우징을 진퇴시켜주는 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터의 후측에 설치되어 상기 로터와 연결되어 상기 로터를 회전시켜주는 모터와; 상기 LED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전지 및 충전 배터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와 태양전지 사이에는, 상기 태양전지 및 충전 배터리측 전선이 연결된 제1접속단자를 구비한 제1소켓몸체와, 상기 LED측 전선이 연결되고 상기 제1접속단자와 마주 접하여 통전되는 제2접속단자를 구비한 제2소켓몸체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는 각각 접시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는, LED 빔 조사기용 승강 어셈블리를 구비하여 도로안내표지판에 대하여 원활한 조사가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LED 빔 조사기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 어셈블리가 와이어 앤 풀리 방식으로 이루어져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 LED 빔 조사기를 원활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를 감는 구동기어를 드릴의 소켓으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힘들이지 않고서도 LED 빔 조사기를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LED 빔 조사기는 상호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2개의 렌즈를 활용한 간단하면서 독특한 구성에 의해 근거리에 떨어져있는 경우는 물론 거의 이격 없이 인접해있는 도로안내표지판에 대해서도 원활한 조사가 가능하도록 LED 빔의 조사범위를 용이하게 조절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고휘도 LED만을 사용하더라도 도로안내표지판을 충분히 밝혀줄 수 있기 때문에 적은 에너지만 소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에너지 소모가 적기 때문에 작은 크기의 태양전지만을 설치하여 야간에 필요한 전력을 생산 및 공급하기가 용이하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의한 백라이트 타입의 도로안내표지판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의 정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사기용 수직지지체 및 승강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참조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어셈블리의 와이어 앤 풀리 방식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어셈블리의 기어박스 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절개도 및 정면 절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어셈블리의 슬라이딩 레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LED 빔 조사기의 외부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LED 빔 조사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LED 빔 조사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절개도.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빔 조사기의 조사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내부 진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빔 조사기의 태양광 이용구조를 도시한 참조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빔 조사기의 소켓부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 구성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는 야간에 운전자들이 도로안내표지판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향등을 키거나 느린 속도로 가까이 접근한 상태에서 확인해야할 필요없이 야간에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높은 시인성을 갖는 동시에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는 도로안내표지판이 지지되는 지주(110) 또는 지주(110)로부터 연장된 수평지지체(110a)와는 별도로 빔 조사기(140)를 지지하는 조사기용 수직지지체(150)를 구비한다.
상기 조사기용 수직지지체(140)는 지주(110)로부터 전측으로 이격된 거리에 세워진다. 또한 상기 조사기용 수직지지체(140)에는 빔 조사기(140)를 승강시켜주는 승강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이처럼 상기 빔 조사기(140)가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평상시에는 높이 조절을 통하여 상기 빔 조사기(140)를 조사기용 수직지지체(140)의 상부나 중간 위치에 위치시켜 도로안내표지판(120)에 대한 LED(142a) 빔의 조사를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지만, 빔 조사기(140)를 조사기용 수직지지체(140)의 하부로 내리게 되면 유지 및 보수 등에 한층 편리하다.
아래에서는 상기 승강박스(189)가 상기 조사기용 수직지지체를 따라 승강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사기용 수직지지체 및 승강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참조도이고,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어셈블리의 와이어 앤 풀리 방식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승강 어셈블리는 빔 조사기(140)를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조사기용 수직지지체(150)의 슬라이딩 레일(151)을 따라 승강되고 상기 빔 조사기(140)가 장착된 승강박스(189)와, 상기 승강박스(189)를 지지하여 승강시켜주는 와이어(184)와, 상기 와이어(184)를 감아주고 풀어주는 구동기어(182), 상기 와이어(184)를 상측에서 지지하면서 방향을 전환시켜주는 종동풀리(187)를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상기 승강 어셈블리가 빔 조사기(140)가 장착된 승강박스(189)를 승강시키는 방식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와이어 앤 풀리 방식을 따른다. 이 방식에 의하면 와이어(184)와 변형된 풀리 형태의 구동기어(182) 및 종동풀리(187)에 의해 빔 조사기(140)가 장착된 승강박스(189)를 상부로 끌어올리기도 하고 하부로 내리기도 할 수 있다.
이같은 구성을 살펴보면, 와이어(184)가 상부에 설치된 종동풀리(187)를 경유하여 일측 끝단에 상기 승강박스(189)를 지지하고 있고, 하부에서는 상기 구동기어(182)가 그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와이어(184)의 타측을 감거나 풀어주면서 와이어(184)의 일측에 지지된 승강박스(189)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준다.
여기서 도 6에는 도 7과 달리 승강박스(189)에 무게추(188)가 매달린 것으로 도시되었다. 이처럼 무게추(188)를 상기 승강박스(189)에 달아주면 상기 승강박스(189) 및 빔 조사기(140)의 무게가 가볍더라도 상기 승강박스(189)의 승강동작, 특히 하강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구동기어(182)로부터 와이어(184)를 풀어주면서 승강박스(189)를 하강시키려면 상기 승강박스(189) 및 빔 조사기(140)의 무게에 의한 자유낙하에 의존하게 되는데 이때 무게추(188)가 추가되면 상기 승강박스(189)의 하강동작이 훨씬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어셈블리의 기어박스 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절개도 및 정면 절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어셈블리의 슬라이딩 레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어셈블리는, 기어박스(181) 내부에 구동기어(182)와 상기 구동기어(182)와 치합된 보조기어(183)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기어(182)의 샤프트(182a)는 와이어(184)를 감는 보빈 역할을 하며 그 양끝단이 상기 기어박스(181)에 설치된 U자형의 지지프레임(18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된다. 또한, 상기 종동기어(183)의 샤프트(183a) 역시 그 양끝단이 상기 U자형의 지지프레임(18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기어(182)의 전면 중심부에는 전동드릴의 소켓이 끼워지는 소켓홀(182b)이 구비된다. 이로써,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전동드릴을 사용하여 구동기어(182)를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힘들이지 않고서도 상기 승강박스(189)를 승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어박스(181)에는 상기 구동기어(182) 및 보조기어(183) 각각을 담당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억제시키는 제1스토퍼 핀(185)과 제2스토퍼 핀(186)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제1스토퍼 핀(185)은 기어박스(181) 및 지지프레임(181a) 전면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진출시 그 끝단이 구동기어(182)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된 핀 홀(182c)에 삽입되면서 구동기어(182)가 회전하지 않도록 억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스토퍼 핀(186) 역시 기어박스(181) 및 지지프레임(181a) 전면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진출시 그 끝단이 보조기어(183)의 기어이에 걸쳐지면서 보조기어(183)가 회전하지 않도록 억제하게 된다. 상기 제2스토퍼 핀(186)은 상기 보조기어(183)에 원활하게 걸쳐질 수 있도록 끝단이 L자형으로 꺾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처럼, 제1스토퍼 핀(185)과 제2스토퍼 핀(186)이 구비되면 불필요한 구동기어(182)의 회전으로 와이어(184)가 풀리는 문제를 이중잠금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구동기어(182)를 회전시켜 와이어(184)를 감거나 풀어야할 경우 제1스토퍼 핀(185)과 제2스토퍼 핀(186) 모두를 기어박스(181) 밖에서 후퇴시켜주기만 하면 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182)의 전면 중심부에는 전동드릴의 소켓이 끼워지는 소켓홀(182b)이 더 구비된다. 이로써,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전동드릴을 사용하여 구동기어(182)를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승강박스(189)를 힘들이지 않고서도 쉽게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조사기용 수직지지체(150)에는 상기 승강박스(189)의 승강시 슬라이딩되도록 'T'형 단면의 슬라이딩 레일(151)이 구비되고, 상기 승강박스(189)에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151)과 대응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
Figure pat00002
'형 단면의 슬라이딩 홈(189a)이 구비된다. 이로서 상기 조사기용 수직지지체(150)를 따라 승강박스(189)의 상하방향 승강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상기 승강박스(189) 내에 장착되는 LED 빔 조사기(14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LED 빔 조사기의 외부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LED 빔 조사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LED 빔 조사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절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LED 빔 조사기(140)는 LED(142a)와, 외부 케이싱(141a,141b,141c,141d)과, 제1렌즈(144a) 및 제2렌즈(144b)와, 이격조절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격조절부재(143,144)에 의해 제1렌즈(144a) 및 제2렌즈(144b)의 이격거리가 변화되면서 LED(142a)의 조사범위가 조절된다.
여기서 상기 제1렌즈(144a)는 LED(142a)가 장착된 LED 홀더(142b) 전면에서 상기 LED(142a)를 감싸면서 설치된다. 이로써, LED(142a)의 조사범위를 1차로 확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렌즈(144b)는 외부케이싱의 전면커버(141b)에 고정된다. 이로써, 상기 제1렌즈(144a)의 전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렌즈(144a)에 의해 확대된 LED(142a) 빔의 조사범위를 다시 한번 더 확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이같은 2개의 렌즈(144a,144b)에 의해 LED(142a) 빔의 조사범위를 급격히 확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격조절부재(143,144)는 제1렌즈(144a)와 제2렌즈(144b)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격조절부재(143,144)는, 전단부에 상기 LED(142a) 및 제1렌즈(144a)가 장착된 LED 홀더(142b)가 설치되어 지지되는 LED 하우징(143)과, 상기 LED 하우징(143)을 외측에서 감싸면서 이동시켜주는 로터(1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로터(144)에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홀(144a)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LED 하우징(143)의 외벽에는 돌출된 형태로 상기 로터(144)의 가이드홀(144a)을 따라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하는 이동체(143a)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로터(144)의 외주면에는 환형의 회전돌기(144c)가 구비되어 바디 케이싱(141a)의 내주면에 형성된 원주방향의 회전홈(141a-2)에 삽입된다. 이로써 상기 로터(144)가 상기 바디 케이싱(141a)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한다.
또한, 상기 LED 하우징(143)의 전단부에는 설치된 LED 홀더(142b)는 LED(142a)의 주변을 감싸는 접시형태로 이루어져 LED(142a)에서 조사되는 광을 모아서 상기 제1렌즈(144a)를 통해 투사시켜준다.
이같은 이격조절부재(143,144)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로터(144)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이동체(143a)가 상기 가이드홀(144a)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진 또는 후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LED 하우징(143) 및 이에 장착된 제1렌즈(144a)가 전진 또는 후퇴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렌즈(144a)가 전진하면 제2렌즈(144b)와의 이격거리가 줄어들고 후퇴하면 제2렌즈(144b)와의 이격거리가 늘어난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빔 조사기의 조사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내부 진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도 15a와 같이 상기 제1렌즈(144a)가 후퇴하여 제1렌즈(144a) 및 제2렌즈(144b)간 이격거리가 늘어나면 제1렌즈(144a)를 통해 이격거리를 두고 확대된 LED(142a) 빔이 제2렌즈(144b)에 의해 한번 더 퍼지게 되어 조사범위는 급격히 늘어나지면 조사의 세기는 약해지면서 어두워진다. 반면 도 15b와 같이 상기 제1렌즈(144a)가 전진하여 제1렌즈(144a) 및 제2렌즈(144b)간 이격거리가 줄어들면 LED(142a) 빔이 모아지게 되어 조사범위는 줄어들지만 조사의 세기는 강해지면서 밝아진다.
따라서 주변 환경에 따라 LED(142a) 빔이 조사되는 범위 및 밝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안개가 진하게 낀 날이나 비나 눈이 오는 날에는 상기 제1렌즈(144a)를 전진시켜 밝게 조절해줄 수 있고 상대적으로 맑은 날에는 상기 제1렌즈(144a)를 후퇴시켜 조사의 세기를 약하게 조절해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빔 조사기(140)는 상기 로터(144)를 회전시켜주는 모터(145)가 상기 로터(144)의 후측에 설치된다. 상기 모터(145)의 샤프트(145a)는 상기 로터(144) 후단에 구비된 샤프트 끼움부(144d)에 끼워져서 결합된다. 이같이 전동에 의해 상기 로터(144)를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145)가 구비되면 사용자가 외부 스위치(미도시됨)를 통해 모터(145)를 구동시킴으로써 LED(142a) 조사범위를 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은 LED 빔 조사기(140)는 도로안내표지판(120)이 근거리에 떨어져서 적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경우는 물론, 거의 이격거리 없이 매우 인접해 있는 경우라 할지라도 조사범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원활한 조사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LED 빔 조사기(140)를 구비한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는 야간에 운전자들이 도로안내표지판(120)을 확인하기 위해서 상향등을 키거나 느린 속도로 운행하면서 확인해야할 필요없이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높은 시인성을 갖는 동시에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도로안내표지판(120) 전면에 형광 광각 초고휘도 반사지(121)가 부착된다면 본 발명의 LED 빔 조사기(140)에서 조사되는 LED(142a) 빔과의 복합작용에 의해 더 높은 시인성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케이싱(141a,141b,141c,141d)은 상기 이격조절부재(143,144) 등 주요부위를 감싸는 바디케이싱(141a)을 비롯하여 상기 바디케이싱(141a)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제2렌즈(144b)의 주변을 감싸면서 LED(142a) 빔을 안내하는 전면커버(141b)와, 상기 바디케이싱(141a)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145)를 감싸주는 모터케이싱(141c)과, 상기 모터케이싱(141c)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후면 케이싱(141d)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들 바디케이싱(141a)과, 전면커버(141b)와, 모터케이싱(141c)과, 후면케이싱(141d)은 수나사(141a-1) 또는 암나사를 구비하여 나사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후면 케이싱(141d)은 충전 배터리(163)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감싸는 역할을 수해하기 때문에 충전 배터리(163)의 부피에 따라 가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빔 조사기의 태양광 이용구조를 도시한 참조구성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빔 조사기의 소켓부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빔 조사기(140)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태양광 전력공급부(1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태양광 전력공급부(160)의 기판(161)을 중심으로 빔 조사기(140)의 LED(142a)와 태양전지(162, Solar Cell) 및 충전 배터리(163)가 전선(164a,164b)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태양전지(162)는 반도체 pn접합으로 구성되며 태양광이 조사되면 광에너지에 의한 전자-양공 쌍이 생겨나고, 전자와 양공이 이동하여 n층과 p층을 가로질러 전류가 흐르게 되는 광기전력 효과(photovoltaic effect)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태양전지(162)는 상기 빔 조사기(140)에 장착된 단 하나의 LED(142a)만을 담당하여 전력을 공급하면 되기 때문에 작은 크기의 것으로 구비되어도 충분하다. 그리고 상기 태양전지(162)의 설치위치는 태양광을 받기 쉬운 위치라면 어느 곳이라도 무방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지주(110) 상단부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상기 충전 배터리(163)는 상기 태양전지(162)에서 주간에 생산한 전력을 저장하고 있다가 야간에 상기 LED(142a)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빔 조사기(140)에 대한 태양전지(162) 및 충전 배터리(163)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편리해지도록 상기 LED(142a)와 태양전지(162) 사이에는 접속 및 분리 가능한 소켓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소켓부는, 상기 태양전지(162)측의 전선이 연결된 제1접속단자(166a)를 구비한 제1소켓몸체(165a)와, 상기 LED(142a)측 전선이 연결되고 상기 제1접속단자(166a)와 마주 접하여 통전되는 제2접속단자(166b)를 구비한 제2소켓몸체(165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접속단자(166a) 및 제2접속단자(166b)는 각각 넓은 면적을 갖고 서로 접촉하기 용이하도록 접시형태의 것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접속단자(166a) 및 제2접속단자(166b) 중 적어도 하나는 스프링(167)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서는 제1접속단자(166a)의 후단에 스프링(167)이 설치되어 상기 제1접속단자(166a)를 탄성지지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이같은 스프링(167)의 설치로 상기 제1접속단자(166a)와 제2접속단자(166b)는 접촉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소켓몸체(165a)와 제2소켓몸체(165b)의 중앙부에는 상호 대응하여 삽입되는 삽입돌기(165c)와 삽입홀(165d)이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돌기(165c)는 상기 삽입홀(165d)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선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삽입돌기(165c)와 삽입홀(165d)이 구비되면 상기 제1소켓몸체(165a)와 제2소켓몸체(165b)가 대향할 때 서로 어긋나지 않게 되어 제1접속단자(166a)와 제2접속단자(166b)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지주 110a : 수평지지체
120 : 도로안내표지판 121 : 형광 광각 초고휘도 반사지
140 : LED 빔 조사기 141a,141b,141c,141d : 외부 케이싱 142a : LED 142b : LED 홀더
143 : LED 하우징 143a : 이동체
144 : 로터 144a : 가이드홀
144a,144b : 제1렌즈, 제2렌즈 145 : 모터
150 : 조사기용 수직지지체 151 : 슬라이딩 레일
160 : 전력공급부 161 : 기판
162 : 태양전지 163 : 배터리
164a,164b : 전선 181 : 기어박스
182 : 구동기어 183 : 보조기어
184 : 와이어 185 : 제1스토퍼 핀
186 : 제2스토퍼 핀 187 : 풀리
188 : 무게추 189 : 승강박스

Claims (9)

  1.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주 또는 상기 지주로부터 연장된 수평지지체에 지지되고 전면 표면에는 문자나 도형이 인쇄된 도로안내표지판과;
    상기 도로안내표지판 전면을 향하여 LED 빔을 확산시켜 조사하는 LED 빔 조사기와;
    상기 지주로부터 전측으로 이격되어 세워지는 조사기용 수직지지체와;
    상기 LED 빔 조사기를 장착하고 상기 조사기용 수직지지체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박스와;
    상기 조사기용 수직지지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기어와;
    상기 조사기용 수직지지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종동풀리와;
    일단부는 상기 종동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승강박스를 지지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기어에 감기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된 보조기어가 더 구비되고,
    각각 진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진출하면 상기 구동기어 및 보조기어를 담당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억제시키는 제1스토퍼 핀 및 제2스토퍼 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의 전면 중심부에는 전동드릴의 소켓이 끼워지는 소켓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기용 수직지지체에 대한 상기 승강박스의 승강 슬라이딩을 위해 상기 조사기용 수직지지체와 상기 승강박스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T'형 단면의 슬라이딩 레일과 '
    Figure pat00003
    '형 단면의 슬라이딩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안내표지판의 전면에는 형광 광각 초고휘도 반사지가 덧붙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빔조사기는, LED와; 상기 LED 전면 인근에 설치되는 제1렌즈와; 상기 제1렌즈의 전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렌즈와; 상기 제1렌즈를 진퇴시켜 상기 제2렌즈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해주는 이격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격조절부재는, 전단부에는 상기 LED 및 제1렌즈가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돌출된 형태의 이동체가 설치된 LED 하우징과, 상기 LED 하우징을 외측에서 감싸주며, 외벽에는 상기 LED 하우징의 이동체를 관통한 상태로 위치시키는 사선방향의 가이드홀이 구비되어, 회전시 상기 가이드홀에 의해 이동체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LED 하우징을 진퇴시켜주는 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후측에 설치되어 상기 로터와 연결되어 상기 로터를 회전시켜주는 모터와;
    상기 LED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전지 및 충전 배터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LED와 태양전지 사이에는, 상기 태양전지 및 충전 배터리측 전선이 연결된 제1접속단자를 구비한 제1소켓몸체와, 상기 LED측 전선이 연결되고 상기 제1접속단자와 마주 접하여 통전되는 제2접속단자를 구비한 제2소켓몸체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는 각각 접시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
KR1020110014013A 2011-02-17 2011-02-17 엘이디 빔 조사기용 승강 어셈블리를 구비한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 KR101244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013A KR101244468B1 (ko) 2011-02-17 2011-02-17 엘이디 빔 조사기용 승강 어셈블리를 구비한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013A KR101244468B1 (ko) 2011-02-17 2011-02-17 엘이디 빔 조사기용 승강 어셈블리를 구비한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635A true KR20120094635A (ko) 2012-08-27
KR101244468B1 KR101244468B1 (ko) 2013-03-18

Family

ID=46885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013A KR101244468B1 (ko) 2011-02-17 2011-02-17 엘이디 빔 조사기용 승강 어셈블리를 구비한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4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5698A (zh) * 2017-08-08 2018-02-16 广西南宁东能建筑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交通指示牌装置
KR20210052893A (ko) * 2019-11-01 2021-05-11 김길남 야간 교통정보 표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505B1 (ko) * 2018-07-20 2019-05-02 안규영 안내판용 지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8011A (ja) 1998-12-22 2000-07-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ポール
JP2003317531A (ja) * 2002-04-19 2003-11-07 Sumikei-Nikkei Engineering Co Ltd 照明塔における照明架台の昇降装置
KR200377655Y1 (ko) * 2004-10-22 2005-03-11 (주)피 알 에스 표시물의 조명 전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5698A (zh) * 2017-08-08 2018-02-16 广西南宁东能建筑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交通指示牌装置
CN107705698B (zh) * 2017-08-08 2019-09-03 台州中海道路设施有限公司 一种交通指示牌装置
KR20210052893A (ko) * 2019-11-01 2021-05-11 김길남 야간 교통정보 표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4468B1 (ko) 2013-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194B1 (ko) 시인성을 향상시킨 태양광을 이용하는 도로표지판
KR101197319B1 (ko) 도로의 조명장치
KR101064132B1 (ko) 신호등용 엘이디 조명장치
US20100296274A1 (en) Solar energy lamp having fiber display
KR101244468B1 (ko) 엘이디 빔 조사기용 승강 어셈블리를 구비한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
KR101255678B1 (ko) 도로명 및 도로안내 표지판용 엘이디 조명기구
KR200449936Y1 (ko) 태양광 정류장
KR20100125128A (ko) 조사각의 조절기능을 갖는 방범 조명등
KR20130125636A (ko) 회전형 정보게시대
KR100712136B1 (ko) 도로표지판
KR20110037101A (ko) 횡단보도용 복합신호등
KR101065772B1 (ko) 엘이디 빔 반사를 이용한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
KR20200123975A (ko) 쏠라셀 발전장치
JP2001026914A (ja) 自発光性視線誘導標
KR101217872B1 (ko) 도로안내표지판용 엘이디 빔 조사기 및 이를 구비한 도로안내표지판 식별장치
KR101071407B1 (ko) 유지관리가 용이한 태양광 및 풍력을 이용한 led 가로등
KR20160121926A (ko) 태양전지모듈이 결합된 도로용 조명장치
CN210151609U (zh) 一种用于园林建筑的高度可调式警示装置
KR101306852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방향 지시판
JP2011231462A (ja) 自発光体付車止めブロック
KR200272030Y1 (ko) 도로 안전표지 및 가로등 조명장치
KR200425798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안내표지판
KR200494944Y1 (ko) 라바콘
CN212691653U (zh) 一种维护方便的太阳能路灯
KR100799696B1 (ko)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의 승강 캐리어 안전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