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3941A - 인간에서 hiv에 대한 광범위한 t-세포 반응의 생성 - Google Patents

인간에서 hiv에 대한 광범위한 t-세포 반응의 생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3941A
KR20120093941A KR1020127011933A KR20127011933A KR20120093941A KR 20120093941 A KR20120093941 A KR 20120093941A KR 1020127011933 A KR1020127011933 A KR 1020127011933A KR 20127011933 A KR20127011933 A KR 20127011933A KR 20120093941 A KR20120093941 A KR 20120093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va
hiv
recombinant
nef
g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1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채플린
리차드 니콜스
Original Assignee
버베리안 노딕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버베리안 노딕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버베리안 노딕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20093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3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7/00Viruses; Bacteriophages; Compositions thereof;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61K39/21Retroviridae, e.g. equine infectious anemia vi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5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animal cells
    • C12N15/86Viral v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25Virus
    • A61K2039/5256Virus expressing foreign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dose, timing or administration schedu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7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sponse, e.g. Th1, Th2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1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dsDNA viruses
    • C12N2710/00011Details
    • C12N2710/24011Poxviridae
    • C12N2710/24111Orthopoxvirus, e.g. vaccinia virus, variola
    • C12N2710/24141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 C12N2710/24143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viral genome or elements thereof as genetic ve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1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dsDNA viruses
    • C12N2710/00011Details
    • C12N2710/24011Poxviridae
    • C12N2710/24111Orthopoxvirus, e.g. vaccinia virus, variola
    • C12N2710/24171Demonstrated in vivo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40/00Reverse transcribing RNA viruses
    • C12N2740/00011Details
    • C12N2740/10011Retroviridae
    • C12N2740/16011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 C12N2740/16111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concerning HIV env
    • C12N2740/16134Use of virus or viral component as vaccine, e.g. live-attenuated or inactivated virus, VLP, viral prote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40/00Reverse transcribing RNA viruses
    • C12N2740/00011Details
    • C12N2740/10011Retroviridae
    • C12N2740/16011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 C12N2740/16211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concerning HIV gagpol
    • C12N2740/16234Use of virus or viral component as vaccine, e.g. live-attenuated or inactivated virus, VLP, viral prote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40/00Reverse transcribing RNA viruses
    • C12N2740/00011Details
    • C12N2740/10011Retroviridae
    • C12N2740/16011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 C12N2740/16311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concerning HIV regulatory proteins
    • C12N2740/16334Use of virus or viral component as vaccine, e.g. live-attenuated or inactivated virus, VLP, viral prote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AIDS & HIV (AREA)
  • Onc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 또는 백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Gag, Pol, Tat, Vif, Vpu, Vpr,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HIV 단백질 또는 이의 일부 또는 유도체, 또는 Gag, Pol, Vpu, Vpr,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HIV 단백질 또는 이의 일부 또는 유도체의 발현을 위한 하나 이상의 발현 카세트를 바이러스성 게놈안에 포함하는 재조합 변형된 우두 바이러스 앙카라 (MVA)와, HIV 감염 및 AIDS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간에서 HIV에 대한 광범위한 T-세포 반응의 생성 {GENERATION OF A BROAD T-CELL RESPONSE IN HUMANS AGAINST HIV}
본 발명은 약물 또는 백신으로 사용하기 위한 Gag, Pol, Tat, Vif, Vpu, Vpr,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HIV 단백질들 또는 이의 일부들 또는 유도체들의 발현을 위한 하나 이상의 발현 카세트를 바이러스성 게놈 안에 포함하는 재조합 변형된 우두 바이러스 앙카라 (MVA)와, HIV 감염 및 AIDS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HIV)는 후천적 면역결핍 증후군 (AIDS)의 원인 물질이다. 모든 레트로바이러스와 유사하게, 이 바이러스의 게놈은 Gag, Pol 및 Env 단백질들을 인코드한다. 추가적으로, 이 바이러스성 게놈은 가령, Tat 및 Rev와 같은 조절 단백질들 뿐만 아니라 보조 단백질들, 가령, Vpr, Vpx, Vpu, Vif 및 Nef를 더 인코드한다.
AIDS 유행의 확산을 제어하기 위한 공중 보건 노력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감염의 수는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03년말 전세계적인 확산을 3천7백8십만명의 감염 피험자로 추정하였다. 포괄적인 예방 기전의 추가적인 개선없이, 전세계적으로 새로운 HIV 감염의 수가 발생되며, 앞으로 10년간 4천5백만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2004 Report on The Global AIDS Epidemic , UNAIDS and WHO).
HIV 감염은 부분적으로 제어될 수 있지만 완치되지 못하는 만성 감염성 질환이다. 합병증을 예방하고, AIDS로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효과적인 수단들이 있다. 현재, HIV에 감염된 모든 사람이 AIDS로 진행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대부분은 AIDS로 진행될 것으로 본다.
고 활성 항-레트로바이러스 요법(HAART)으로 명명된 몇 가지 항-레트로바이러스성 물질들의 조합은 바이러스성 부하(load)를 감소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이는 T-세포 수를 개선시킬 수 있다. 이것은 HIV의 치료는 아니며, HAART에서 억제된 수준의 HIV를 가진 사람들은 여전히 이 바이러스를 다른 사람에게 옮길 수 있다. 그러나, HIV의 수준이 억제된 상태로 유지되고, CD4 수가 200 초과를 유지한다면 삶의 질과 수명은 유의적으로 개선되고 연장될 수 있다는 좋은 사례들이 있다. 유행의 지속적인 확산을 고려하여, 새로운 벡터들 또는 어쥬번트 시스템과 같은 HIV 백신의 상이한 운반 전략들이 이제 다수 개발되었고, 상이한 전-임상 세팅 뿐만 아니라 임상 시험에서 평가되었다. III상 임상 실험에 진입된 첫 번째 백신 후보물질은 백반내 외피 gp 120 단백질이다(Francis et al ., AIDS Res . Hum . Retro viruses 1998; 14 (Suppl 3)(5): S325 -31). 그러나, 첫 번째 임상 연구의 결과는 매우 전도유망한 것은 아니었다.
HAART 처방안에 이용된 약물들은 바이러스 역가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항-레트로바이러스성 처방안에 대한 몇 가지 우려들이 있다. HAART와 관련된 주요 문제점 중 하나는 (장기) 부작용이며, 이로 인한 환자의 순응이다. 환자가 투약을 빼먹는 경우, 약물 저항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항-레트로바이러스성 약물들은 고가이며, 세계적으로 감염된 피험자들의 대부분은 HIV 및 AIDS에 대한 약물 및 치료를 받지 못한다.
과거 효능에 대한 테스트를 받았던 백신은 보통 Env와 같은 단일 HIV 단백질들에 기초한다. 그러나, 면역 반응이 Env와 같은 그러한 단일 단백질에 대항하여 발생되더라도, 이러한 면역 반응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증명되었다. 효과가 없는 한 가지 이유는 특히 Env 단백질에 대한 HIV의 높은 돌연변이 비율이며, 이는 백신에 의해 유도된 면역 반응이 인지하지 못하는 바이러스 단백질을 초래한다.
효과적인 예방 치료가 없기 때문에, 임상에 효과적인 백신을 제시할 필요가 여전히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HIV-1 단백질들 Gag, Pol, Tat, Vif, Vpu, Vpr, Rev 및 Nef를 포함하는 MVA-기반 HIV 백신이 이들 HIV 단백질들 중 최대 6개에 대해 인간, 특히 HIV에 감염된 면역손상(immunocompromised) 인간에서 T-세포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MVA는 면역계에 면역우세(immunodominant) 에피토프를 제공하여, T-세포 반응이 요구되는 에피토프들이 말하자면 이들 면역우성 에피토프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이러한 발견은 기대할 수 없었다. 더욱이, 백신접종을 맞은 HIV-감염된 인간의 면역 반응은 첫 면역주사를 제공받은 후 20주까지도 기준 수준보다 여전히 더 높다는 것이 임상 실험 동안 관찰되었다.
실제로, 본 발명과는 대조적으로, 면역 세포상에 HIV 백신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인간에서의 임상 실험은 아니지만, 시험관 데이터 (in vitro) 또는 마우스 모델에서의 생체내 (in vino) 데이터를 산출하였다.
사실, 동물 연구는 동물 모델에서 종종 인간 반응 속도 및 반응의 크기를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인간 만큼 우수하지 못하다. 더욱더 마우스 및 토끼는 인간만큼 면역학적으로 더 반응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는 매우 가치가 있으며, 이들은 HIV에 감염된 인간으로부터 수득한 것이기 때문에 MVA에 의한 면역우성의 공지의 현상 측면에서 예측될 수 없었다. 부속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임상 실험에 참여한 HIV-감염된 인간들은 350/㎕ 미만의 CD4 수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와 같은 적은 수에 근거하여, 임상 실험의 참가자들에게 투여된 MVA-기반 백신에 의해 포함된 8개의 HIV-1 단백질 중 6개에 대한 그러한 광범위한 T 세포 반응을 예상할 수 없었을 것이다.
예를 들면, US2006/188961 및 WO03/097675는 MVA-기반 HIV 백신들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들 문헌들은 여기에서 설명된 재조합 MVA로 제공된 HIV-1 단백질들에 대항한 광범위한 T-세포 반응을 밝히지 못한다.
EP 1921146및 WO 01/47955는 T-세포 반응을 유도하기 위하여 Gag, Pol 및 Nef 또는 Gag, Pol, Nef, Vpr 및 Vpu의 CTL 에피토프들을 포함하는 MVA 기반 HIV 백신을 공개한다. 그러나, 이들 문헌들은 인간에서 획득한 데이터는 말할 것도 없고, 광범위한 T-세포 반응을 나타내는 데이터도 제공하지 못하였다.
WO 2006/123256은 WO 01/47955와 매우 유사하여, 좀더 특이적인 CTL 에피토프를 제외하고, WO 01/47955에서 설명하는 것 이상의 어떠한 것도 제공하지 못하였다.
WO 2008/118936은 Env, Gag, Nef, RT, Tat 및 Rev로부터 선택된 HIV 단백질을 포함하는 MVA-기반 HIV 백신을 공개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문헌은 동물 모델 데이터만을 가지고 있어 합당하게 인간에게 추정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Greenough et al . (2008), Vaccine . 26: 6883-6893 은 HAART에서 HIV에 감염된 젊은이에게 투여된, Env, Tat, Rev, Nef 및 RT를 포함하는 재조합 천연두 바이러스 HIV-1 백신의 안정성 및 면역원성 연구에 대해 보고하였다. 그러나, 저자는 이 백신은 더 이상 개발되지 않을 것이라고 보고한다.
그러나, 이 때문에, 면역손상 피험자에서의 그러한 면역 반응은 말할 것도 없고, 8개의 HIV 단백질 중 6개에 대한 광범위한 T 세포 반응을 예상할 수 없었을 것이다. 특히, 시험관 데이터와 동물 모델들 모두 특히 HIV 치료 분야에서 성공에 대한 합당한 예상을 제공하는 기초를 만들지 못할 것이다. 이는 HIV에 대한 "실제" 모델 시스템이 인간, 특히, HIV 감염된 인간이기 때문이다.
원하는 HIV 단백질들에 대항하여 면역 반응의 생성을 필수적으로 야기하지 않았던 다중 CTL 에피토프를 한 줄로 배열함으로써 면역 반응을 한층더 증가시키려는 시도(WO 01/47955 또는 WO 2008/118936) 및 동물 실험에 근거하여, 면역손상 인간에서 8개의 HIV 단백질 중 6개가 면역계에 의해 인지될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약물 또는 백신으로 사용하기 위한, Gag, Pol, Tat, Vif, Vpu, Vpr, Rev 및 Nef 또는 이의 일부들 또는 유도체들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3가지 HIV 단백질들의 발현을 위한 하나 이상의 발현 카세트를 바이러스성 게놈 안에 포함하는 재조합 변형된 우두 바이러스 앙카라 (MVA)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재조합 MVA는 약물 또는 백신용으로, Gag, Pol, Tat, Vif, Vpu, Vpr, Rev 및 Nef 또는 이의 일부들 또는 유도체들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6가지 HIV 단백질들의 발현을 위한 하나 이상의 발현 카세트를 바이러스성 게놈 안에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재조합 MVA는 약물 또는 백신용으로, Gag, Pol, Tat, Vif, Vpu, Vpr, Rev 및 Nef 또는 이의 일부들 또는 유도체들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8가지 HIV 단백질들의 발현을 위한 하나 이상의 발현 카세트를 바이러스성 게놈 안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정한 구체예들에서, 상기 재조합 MVA는 약물 또는 백신용으로, Gag, Pol, Tat, Vif, Vpu, Vpr, Rev 및 Nef 또는 이의 일부들 또는 유도체들로부터 선택된 3개 또는 4개 또는 5개 또는 6개 또는 7개 또는 8개의 HIV 단백질들의 발현을 위한 하나 이상의 발현 카세트를 바이러스성 게놈 안에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약물 또는 백신용으로, Gag, Pol, Tat, Vif, Vpu, Vpr,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8가지 HIV 단백질들과 하나 이상의 추가 구조 및/또는 보조/조절 HIV 단백질들 또는 이의 일부들 또는 유도체들의 발현을 위한 하나 이상의 발현 카세트를 바이러스성 게놈 안에 포함하는 재조합 변형된 우두 바이러스 앙카라 (MVA)를 또한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약물 또는 백신용으로, HIV 단백질들 Gag, Pol, Tat, Vif, Vpu, Vpr, Rev 및 Nef 또는 상기 단백질들의 일부들 또는 유도체들의 발현을 위한 하나 이상의 발현 카세트를 바이러스성 게놈 안에 포함하는 재조합 변형된 우두 바이러스 앙카라 (MVA)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약물 또는 백신용으로, HIV 단백질들 Gag, Pol, Vpu, Vpr, Rev 및 Nef 또는 상기 단백질들의 일부들 또는 유도체들의 발현을 위한 하나 이상의 발현 카세트를 바이러스성 게놈 안에 포함하는 재조합 변형된 우두 바이러스 앙카라 (MVA)에 관한 것이다.
특정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인간 피험자에서 Gag, Pol, Vpr, Vpu,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3가지 HIV 단백질들에 대한 T 세포 반응을 유도하는 데에 사용하기 위한, Gag, Pol, Tat, Vif, Vpu, Vpr,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6개의 HIV 단백질들 또는 상기 단백질들의 일부들 또는 유도체들의 발현을 위한 하나 이상의 발현 카세트를 바이러스성 게놈안에 포함하는 재조합 변형된 우두 바이러스 앙카라 (MVA)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정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인간 피험자에서 Gag, Pol, Vpr, Vpu,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3가지 HIV 단백질들에 대한 T 세포 반응을 유도하는 용도로 Gag, Pol, Vpu, Vpr,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6개의 HIV 단백질들 또는 상기 단백질들의 일부들 또는 유도체들의 발현을 위한 하나 이상의 발현 카세트를 바이러스성 게놈 안에 포함하는 재조합 변형된 우두 바이러스 앙카라 (MVA)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특정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인간 피험자에서 Gag, Pol, Vpr, Vpu,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3가지 HIV 단백질들에 대한 T 세포 반응을 유도하는 용도로 Gag, Pol, Tat, Vif, Vpu, Vpr,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8개의 HIV 단백질들 또는 상기 단백질들의 일부들 또는 유도체들의 발현을 위한 하나 이상의 발현 카세트를 바이러스성 게놈 안에 포함하는 재조합 변형된 우두 바이러스 앙카라 (MVA)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정의된 재조합 MVA, 특히 Gag, Pol, Tat, Vif, Vpu, Vpr,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6개의 HIV 단백질들 또는 상기 단백질들의 일부 또는 유도체의 발현을 위한 하나 이상의 발현 카세트를 바이러스 게놈 안에 포함하는 재조합 MVA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또는 백신 조성물을 또한 제공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또는 백신 조성물은 Gag, Pol, Tat, Vif, Vpu, Vpr,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8개의 HIV 단백질들 또는 상기 단백질들의 일부 또는 유도체의 발현을 위한 하나 이상의 발현 카세트를 바이러스 게놈 안에 포함하는 재조합 MVA를 포함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이 조성물은 Gag, Pol, Vpu, Vpr,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6개의 HIV 단백질들 또는 상기 단백질들의 일부 또는 유도체의 발현을 위한 하나 이상의 발현 카세트를 바이러스 게놈 안에 포함하는 재조합 MVA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약제학적 또는 백신 조성물에 포함된 MVA는 상기 약제학적 또는 백신 조성물 내에 약 2×10 TCID50/㎖의 투약량으로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약제학적 또는 백신 조성물에 포함된 MVA는 3회 간격으로 투여되도록 조제된다. 3회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0주, 4주 및 12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MVA로, 다수의 HIV 단백질들을 발현시키는 것이 이제 가능하다. 이들 다수의 단백질들은 광범위한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HIV 분리체에 대항하여 효과적인 보호성 면역 반응의 발생이 증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형된 우두 바이러스 앙카라 (MVA)는 인간 및 마우스와 비인간 영장류와 같은 몇 가지 동물 종에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MVA는 예외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세어 사용된 용어 "피험자(subject)"는 특히 인간 피험자를 지칭한다. 여기에서 언급된 인간 피험자는 예를 들면 HIV의 감염으로 인한 면역손상 피험자일 수 있고, 가령, 인간 피험자는 HIV-감염된, 예를 들면, HIV-1에 감염된다. 여기에서 언급된 인간 피험자는 350/㎕ 미만의 CD4 세포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면역손상(immunocompromised)"은 감염성 질환을 방어하거나 또는 싸우는 면역계의 능력이 기능을 하지 못하거나 또는 전적으로 없어진 상태다.
MVA는 닭 배아 섬유아세포에서 우두 바이러스(CVA)의 앙카라 계통의 장기 연속 계대에 의해 생성되었다(검토를 위하여, Mayr , A., Hochstein - Mintzel , V. and Stickl, H. [1975] Infection 3, 6-14; 스위스 특허 제568, 392호를 참고하라). 부다페스트 조약의 요구조건에 부응하도록 기탁되고,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바이러스의 생성에 유용한 MVA 바이러스 균주의 예들은 European Collection of Animal Cell Cultures (ECACC), Salisbury (UK)에 1994년 1월 27일자로 기탁된 ECACC 94012707 기탁 번호의 균주 MVA 572; 2000년 12월 7일자로 기탁된 ECACC 00120707 기탁 번호의 MVA 575; 그리고 2000년 8월 30일자로 ECACC에 기탁된 00083008 기탁번호의 MVA-BN이다.
방대한 임상 실험에서 백신 개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MVA 균주의 몇 가지 우수한 성질들이 설명되었다(Mayr et al ., Zbl . Bakt . Hyg . I, Abt . Org . B 167, 375390 [1987]). 고위험 환자들을 포함하는 120,000명 이상의 인간에서 실행한 이러한 연구 동안, 부작용은 없었다(Stickl et al ., Dtsch . med . Wschr. 99, 2386-2392 [1974]).
포유동물 세포에서 바이러스 복제 주기의 후기 단계에서 MVA가 차단됨을 추가로 밝혔다(Sutter , G. and Moss , B., Proc . Natl . Acad . Sci . USA 89, 10847-10851 [1992]). 따라서, MVA는 이의 DNA를 충분히 복제하고, 초기(early), 중기(intermediate) 및 후기(late) 유전자 산물들을 합성하지만, 성숙한 감염성 비리온으로 어셈블리할 수 없어, 감염된 세포로부터 방출될 것이다. 이러한 이유, 즉, 이의 복제-제한된 성질로 인하여, MVA는 유전자 발현 벡터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재조합 MVA는 MVA 균주 MVA 575, MVA 572 및 MVA-BN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재조합 MVA 바이러스는 인간 및 비인간 영장류에서 복제 불능이다. 용어 인간 및/또는 비인간 영장류에서 "복제 불능(imcompetent)"인 MVA 바이러스와, 동의어 인간 및/또는 비인간 영장류에서 "감염성 후손 바이러스로 복제될 능력이 없는"바이러스는 모두 상기 바이러스로 백신접종을 맞은 인간 및/또는 비인간 영장류의 세포에서 전혀 복제하지 못하는 MVA 바이러스를 특히 지칭한다. 그러나, 재조합 MVA 바이러스가 투여된 인간 및/또는 비인간 영장류의 면역계에 의해 조절되는 최소의 잔류 복제 활성을 나타내는 이들 바이러스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한 구체예에서, 복제 불능 재조합 MVA 바이러스들은 바이러스가 백신으로 이용되어 인간 및/또는 비인간 영장류의 세포를 감염시킬 수 있는 바이러스일 수 있다. "세포를 감염시킬 수 있는"바이러스는 이 바이러스, 또는 적어도 이 바이러스성 게놈이 숙주 세포에 통합되는 수준으로 숙주 세포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바이러스다.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된 이러한 바이러스들은 백신접종을 맞은 인간 및/또는 비인간 영장류의 세포를 감염시킬 수 있지만, 백신접종을 맞은 인간 및/또는 비인간 영장류의 세포 내에서 감염성 후손 바이러스로 복제될 수는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초 동물 종의 세포를 감염시킬 수 있지만, 상기 세포에서 감염성 후손 바이러스로 복제될 수 없는 바이러스는 제 2 동물 종에서는 상이하게 거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VA-BN 및 이의 유도체들(하기 참고)은 인간의 세포를 감염시킬 수 있지만, 인간 세포에서 감염성 후손 바이러스로 복제될 수는 없는 바이러스들이다. 그러나, 동일한 바이러스가 닭에서는 효과적으로 복제된다; 가령, 닭에서, MVA-BN은 세포를 감염시키고, 이들 세포에서 감염성 후손 바이러스로 복제될 수 있는 능력을 모두 가진 바이러스다.
바이러스가 인간에서 복제될 수 있는지 또는 없는 지를 예측하는데 적합한 테스트가 WO 02/42480 (전문이 참고문헌으로 본원에 통합됨)에 공개되며, 그리고 심각하게 면역손상된 AGR129 마우스 계통을 이용한다. 더욱이, AGR129 마우스를 대신하여, 성숙 B 및 T 세포들을 생산할 수 없는 임의의 기타 마우스 균주를 이용할 수 있으며, 보고된 바에 따르면 이러한 균주들은 심각하게 면역손상되고 그리고 복제 바이러스에 영향을 많이 받기 쉽다. 이러한 마우스 모델에서 얻은 결과는 인간에 대해서는 암시성이 있고,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르면, 상기 마우스 모델에서 복제 불능인 바이러스는 "인간에서 복제 불능"인 바이러스로 간주된다.
다른 구체예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이러스들은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한 가지 동물 종의 최소한 한 가지 유형의 세포에서 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백신접종을 맞고/거나 치료될 동물에 투여하기 전 바이러스를 증폭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CEF (닭 배아 섬유아세포) 세포에서 증폭될 수 있는, 그러나 인간에서 감염성 후손 바이러스로 복제될 수 없는 바이러스를 MVA-BN이라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어 바이러스의 "유도체" 또는 "변이체(variant)"는 부모 바이러스와 동일한 특징을 나타내지만, 이의 게놈의 하나 이상의 일부가 상이한 후손 바이러스를 지칭한다. 용어 "유도체" 또는 "MVA의 변이체" 또는 "MVA-BN"은 MVA와 비교하여 동일한 기능적 특징들을 가지는 바이러스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MVA-BN의 유도체/변이체는 MVA-BN, 바람직하게는 ECACC에 기탁번호 00083008로 기탁된 MVA-BN의 특징을 가진다. MVA-BN, 또는 이의 변이체의 이러한 특징들 중 하나는 이의 감쇠(attenuation) 및 인간 케라틴생성세포 세포계 HaCaT, 인간 배아 신장 세포계 293, 인간 뼈 골육종 세포계 143 B, 그리고 인간 경부 선암 세포계 HeLa와 같은 각각의 이들 인간 세포계에서 생식성 복제 능력을 가지지 못한다는 점이다.
추가적으로 및/또는 대안적으로, MVA-BN 및 유도체들은 성숙 B 및 T 세포들을 생산할 수 없는 마우스 모델에서 복제를 하지 못하는 성질을 가지고/거나 DNA 프라임/우두 바이러스 부스트 일정과 비교하였을 때, 우두 바이러스 프라임/우두 바이러스 부스트 일정에서 최소한 동일한 수준의 특정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능력을 가진다.
WO 02/42480에서 공개된 "분석 1" 및 "분석 2"중 하나 또는 두 가지에서 CTL 반응이 DNA 프라임/우두 바이러스 부스트 일정(regimes)과 비교하였을 때, 우두 바이러스 프라임/우두 바이러스 부스트 일정에서와 최소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면, 우두 바이러스, 특히 MVA 계통은 DNA 프라임/우두 바이러스 부스트 일정과 비교하였을 때, 우두 바이러스 프라임/우두 바이러스 부스트 일정에서와 최소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준의 특정 면역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DNA-프라임/우두 바이러스 부스트 일정과 비교하였을 때 우두 바이러스 프라임/우두 바이러스 부스트 투여 후 CTL 반응이 분석들 중 최소한 하나에서보다 더 높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CTL 반응은 두 가지 분석 모두에서 더 높다.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된 바이러스는 단클론 바이러스와 같은 클론 정제된 바이러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된 바이러스는 혈청에 포함된 물질에 의한 감염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무혈청 조건하에 생산되거나/계대된 바이러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MVA는 104 내지 109 TCID50/㎖ 범위의 농도로 투여되며, 바람직하게는 가령, 105 내지 5×108 TCID50/㎖ 농도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가령 106 내지 108 TCID50/㎖ 또는 107 내지 109 TCID50/㎖ 농도 범위,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가령, 108 내지 109 TCID50/㎖의 농도 범위,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108 TCID50/㎖ 농도로 투여된다. 실제 농도는 바이러스의 유형과 백신접종을 맞을 동물 종에 따라 달라진다. MVA-BN의 경우, 인간에 대한 전형적인 백신의 피하로 투여되는 투여량은 5×107 TCID50 내지 5×108 TCID50, 가령 1 또는 2×108 TCID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여기에서 설명된 재조합 MVA는 본 발명의 용도 및 방법에 적용될 때 최소한 3회 투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이 재조합 MVA는 본 발명의 용도 및 방법에 제공될 때 0, 4 및 12주 시점에 투여된다.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재조합 MVA, 특히 균주 MVA-BN 및 이의 유도체들의 단일 투여에 의해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통 유사한 프라임 부스트 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MVA, 특히 MVA-BN 및 이의 유도체를 이용할 수 있고, 가령, 첫 번째 백신 주사용으로 재조합 MVA를 이용하고, 첫 번째 백신 접종에 의해 발생된 면역 반응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첫 번째 백신 접종에 이용된 것과 동일하거나 관련된 재조합 MVA를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MVA, 특히 MVA-BN 및 이의 유도체들은 이종(heterologous) 프라임-부스터 일정에 이용될 수 있는데, 이때 하나 이상의 백신 접종은 상기에서 정의된 MVA로 실행되며, 하나 이상의 백신 접종은 또다른 유형의 백신, 가령, 또다른 바이러스 백신, 단백질 또는 핵산 백신으로 실행된다.
투여 방식은 정맥내, 근육내, 피내, 비강내 또는 피하 방식이 될 수 있다. 정맥내, 근육내 투여가 바람직하며, 특히 피하 투여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난절법(scarification)과 같은 임의의 기타 투여 방식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에 이용된 용어 "HIV"는 HIV-1 및 HIV-2를 포함하는 임의의 종류의 HIV와 HIV-1 계통분기 A, B 또는 C와 같은 상응하는 계통분기(clade)를 지칭한다. 예들로는 예컨대 계통분기 B의 균주와 같은 HIV-1 균주가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르면, 발현 카세트에 의해 인코드되는 HIV 단백질들은 HIV-1 단백질들이다.
본 출원에 사용된 용어"HIV 단백질의 일부"는 상응하는 전장 HIV 단백질의 최소한 10개의 연속 아미노산, 가령, 상기 전장 (full length) HIV 단백질의 최소한 20개, 30개 또는 40개의 연속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티드 또는 단백질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그리고 상기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고, 유전자은행 데이터베이스에 공개된 다양한 HIV 서열들, 특히 유전자은행 수납번호 K03455의 HIV-1 분리체 HXB2R의 서열을 말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HIV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의 유도체"는 대응하는 자연 발생 HIV 단백질과 비교하였을 때 변경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진 HIV 단백질들을 지칭한다. 변경된 아미노산 서열은 HIV 단백질의 서열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치환된, 삽입된 또는 결손된, 따라서 돌연변이된 서열일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HIV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의 유도체"는 단백질 유도체의 아미노산 서열을 공지의 HIV 분리체의 각 HIV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였을 때 최소한 50%의 동일성, 가령 최소한 60%, 65%, 70%, 75%, 또는 최소한 80% 또는 85%, 또는 심지어 최소한 90%, 95%, 98%, 또는 99%의 동일성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이다. 다른 분리체에서 더 낮은 상동성을 가지는 대응 단백질들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과 관계없이, 오직 하나의 HIV 분리체의 대응 단백질에서 상동성/동일성이 발견되더라도 아미노산 서열은 상기 나타낸 상동성 또는 동일성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면, 융합 단백질에서 Vpr 유도체가 하나의 HIV 분리체의 Vpr 서열에 95% 상동성을 나타내지만, 다른 (모든) HIV 분리체에 대해서는 50-70% 의 상동성만을 나타낸다면, 상기 Vpr 유도체의 상동성은 최소한 90%인 것으로 간주된다. 특히, 용어"HIV 단백질의 유도체"는 HIV-1 분리체 HXB2R (유전자은행 수납 번호 K03455)에서 각 HIV 단백질에 최소한 50%, 60%, 65%, 70%, 75%, 80%, 85% 또는 90%, 95%, 98%, 또는 99% 상동성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을 지칭한다.
HIV 단백질들의 유도체(들) 및 HIV 단백질의 일부(들)은 충분한 활성, 감소된 활성, 활성 없음, 또는 트랜스우성(transdominant) 활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이 재조합 MVA는 HIV의 조절 및/또는 보조 단백질들을 발현시킨다. 이들 단백질들은 바람직하지 못한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다. 따라서, 재조합 MVA로부터 발현된 하나 이상의 HIV 단백질들은 야생형 단백질과 비교하였을 때 감소된 활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HIV 단백질이 감소된 생물학적 활성을 가지는 지를 어떻게 결정하는 지에 대한 테스트는 당업계에 숙련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생체내 바이러스성 복제에 필수적인 Vif 단백질의 분자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Vif는 자가 연합에 대한 강력한 성향을 보유한다. 이러한 다중화는 바이러스성 삶 주기에서 Vif 기능에 중요한 것으로 보였다(Yang S. et al ., J Biol Chem 2001; 276: 4889-4893). 추가로, vif는 바이러스성 핵단백질 복합체와 특이적으로 연합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능적으로 유의적일 것이다(Khan M.A. et al., J Virol . 2001; 75 (16): 7252-65). 따라서, 감소된 활성을 가진 vif 단백질은 핵단백질 복합체에 감소된 다중화 및/또는 연합을 나타낸다.
이 Vpr 단백질은 바이러스성 삶 주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Vpr은 바이러스성 사전-통합(preintegration) 복합체의 핵 이입을 조절하고, 대식세포와 같은 비-분할 세포의 감염을 조장한다(Agostini et al ., AIDS Res Hum Retroviruses 2002; 18(4):283-8). 추가로, Vpr은 LTR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중개되는 전사촉진 활성(transactivating)을 가진다(Vanitharani R. et al ., Virology 2001; 289 (2):334-42). 따라서, 감소된 활성을 가지는 Vpr은 바이러스성 사전 통합 복합체와감소된 전사촉진 및/또는 상호작용을 가지거나 또는 심지어 전사촉진 활성 및/또는 상호작용이 없다.
Vpr에 상동성이 매우 큰 Vpx는 비-분할 세포에서 효율적인 바이러스 복제에 또한 중요하다. Vpx는 gag 전구물질 다중단백질의 p6 도메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바이러스 입자내에 포장된다. Vpr와 유사하게, Vpx는 핵안으로의 사전통합 복합체의 수송에 관여한다(Mahalingam et al ., J. Virol 2001; 75 (1):362-74). 따라서, 감소된 활성을 가진 Vpx는 gag 전구물질을 통한 사전통합 복합체로 연합되는 능력이 감소된다.
이 Vpu 단백질은 CD4의 세포질 꼬리와 상호작용하여 CD4 분해를 야기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our et al ., Virology 1995; 69 (3):1510-20). 따라서, 감소된 활성을 가지는 Vpu는 CD4 분해를 촉발시키는 능력이 감소된다.
잘 특징화된 Tat 단백질의 관련 생물학적 활성은 전사촉진 반응 요소 (TAR)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전사의 전사촉진(transactivation)이다. Tat가 TAR 외에 HIV 서열이 결핍된 이종 프로모터를 전사촉진시킬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Han P. et al ., Nucleic Acid Res 1991; 19 (25):7225-9). 따라서, 감소된 활성을 가진 Tat 단백질은 TAR 요소를 통한 프로모터의 감소된 전사촉진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랜스우성 Tat를 이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트랜스우성 Tat는 다음의 치환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22 (Cys > Gly) 및 37 (Cys>Ser)
Nef 단백질은 CD4의 세포 표면 하향조절을 유도함으로써 질환 진행을 담당하는 바이러스 복제에 필수적이다(Lou T et al ., J Biomed Sci 1997;4(4):132). 이러한 하향조절은 CD4와 Nef 사이에 직접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시작된다(Preusser A. et al .,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2;292 (3):734-40). 따라서, 감소된 기능을 가진 Nef 단백질은 CD4와의 감소된 상호작용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19개의 N 말단 아미노산이 결손된 단백질과 같이 아미노 말단이 절두된 Net 단백질들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두형 Nef, 특히 19개 N 말단 아미노산이 결손된 절두형 Nef를 이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Rev의 관련 기능은 바이러스성 RNA의 Rev-반응 요소(RRE)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시작되는 전사후 전사촉진이다(Iwai et al ., 1992; Nucleic Acids Res 1992; 20 (24):6465-72). 따라서, 감소된 활성을 가진 Rev는 RRE와의 감소된 상호작용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다르면, HIV 단백질 중 하나 이상은 개별 단백질로 발현된다.
추가의 구체예에 따르면, HIV 단백질들 중 2개 이상은 융합 단백질로 발현된다. 바람직하게는, HIV 보조/조절 단백질들 중 2개 이상은 융합 단백질로 발현된다.
본 내용에서 WO 03/097675를 참고하며, 그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에 통합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MVA, 가령, MVA-BN 및 이의 유도체들은 (i) Vif-Vpu-Vpr-Rev를 이 순서 또는 상이한 순서의 융합 단백질로 발현시킬 수 있고, 이때 Vif, Vpu, Vpr 및 Rev는 전장 단백질들, 또는 전장 단백질들의 일부 또는 유도체들을 나타내고(상기 정의 참고), (ii) Nef 또는 이의 일부 또는 유도체, 특히 첫 19개 아미노산과 같은 N-말단 아미노산이 결손된 Nef 단백질 (가령, N-말단 절두된 Nef)을 발현시킬 수 있고, (iii) Tat 또는 이의 일부 또는 이의 유도체 , 특히 트랜스우성 Tat를 발현시킬 수 있고, 그리고 (iv) 예시된 순서 또는 이의 역순, Pol-Gag로 배열된 Gag-Pol 융합 단백질을 발현시킬 수 있고, 여기서 Gag 및 Pol은 전장 단백질들, 또는 전장 단백질들의 일부 또는 유도체들을 나타낸다.
HIV 단백질들이 발현된 발현 카세트의 수는 중요하지 않다. 예를 들면, HIV 단백질들은 2개 내지 5개의 발현 카세트로부터 발현될 수 있다. 하나의 발현 카세트는 융합 단백질로 Vif-Vpu-Vpr-Rev를 발현시킬 수 있는데, 이 순서로 또는 상이한 순서로 발현되며, 이때 Vif, Vpu, Vpr 및 Rev는 전장 단백질들, 또는 전장 단백질들의 일부 또는 유도체들을 나타내고(상기 정의 참고), 제 2 발현 카세트는 Nef 또는 이의 일부 또는 유도체를 발현시킬 수 있는데, 특히 첫 19개 아미노산과 같은 N-말단 아미노산이 결손된 Nef 단백질을 발현시킬 수 있고, 제 3 발현 카세트는 Tat 또는 이의 일부 또는 유도체, 특히 트랜스우성 Tat를 발현시킬 수 있고, 그리고 제 4 발현 카세트는 Gag-Pol 융합 단백질을 발현시킬 수 있고, 여기서 Gag 및 Pol은 전장 단백질들, 또는 전장 단백질의 일부 또는 유도체들을 나타내고, 융합 단백질은 예시된 순서, 또는 역순 Pol-Gag로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Gag-Pol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발현 카세트와 Tat를 코딩하는 발현 카세트는 동일한 삽입 부위로 삽입된다.
이종 핵산 서열의 발현은 바람직하게는 천연두 바이러스 프로모터의 전사 조절하에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적합한 천연두 바이러스 프로모터의 예는 우두 ATI 프로모터 (WO 03/097844 참고)다. 각 발현 카세트의 발현은 상이한 프로모터에 의해 조절되는 것이 가능하다. 대안으로 모든 발현 카세트는 동일한 프로모터의 카피에 의해 조절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상기 예를 든 4개 발현 카세트와 같이 모든 HIV 발현 카세트가 WO 03/097844에서 정의한 우두 ATI 프로모터 또는 이의 유도체에 의해 조절되는 재조합 바이러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MVA, 가령 MVA-BN 및 이의 유도체들에서, 발현 카세트는 바이러스성 게놈내 1 내지 10개 삽입 부위로 삽입될 수 있다.
HIV 단백질들 또는 이의 일부들 또는 유도체들의 발현을 위한 재조합 MVA, 특히 MVA-BN 및 이의 변이체들은 모든 발현 카세트를 동일한 삽입 부위로 삽입하지 않는다면 용이하게 수득될 수 있다는 예상치못한 사실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상이한 발현 카세트는 바이러스성 게놈안에 1 내지 5, 또는 2 내지 8, 또는 3 내지 5, 또는 3개 삽입 부위로 삽입될 수 있다.
이종 핵산 서열은 바이러스 게놈의 비-필수 부위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이종 핵산 서열은 MVA 게놈의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결손 부위에 삽입된다(PCT/EP96/02926에 공개됨). 추가 대안에 따르면, 이종 서열은 천연두 바이러스성 게놈의 유전자간 부위(intergenic region)로 삽입될 수 있다(WO 03/097845 참고). 천연두 바이러스성 게놈으로 이종 서열을 삽입시키는 방법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 발현 카세트는 MVA 게놈, 특히 MVA-BN 및 이의 유도체들의 게놈의 하나 이상의 유전자간 부위 IGR 07/08, IGR I4L/I5L 및 IGR 136/137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재조합 MVA는 MVA-BN 또는 이의 유도체이며 그리고 다음의 발현 카세트는 다음의 삽입 부위로 삽입된다: (i) Vif-Vpu-Vpr-Rev를 이러한 순서로 또는 상이한 순서의 융합 단백질로 발현시키는 발현 카세트는 유전자간 부위 IGR 07/08로 삽입되며, 이때 Vif, Vpu, Vpr 및 Rev는 전장 단백질들, 또는 전장 단백질들의 일부 또는 유도체들을 나타내며(상기에서 정의 참고); (ii) Nef 또는 이의 일부 또는 유도체, 특히 첫 19개 아미노산과 같은 N-말단 아미노산이 결손된 Nef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제 2 발현 카세트는 IGR I4L/I5L로 삽입되며, (iii) Tat 또는 이의 일부 또는 이의 유도체, 특히 트랜스우성 Tat를 발현시키는 제 3 발현 카세트와 Gag-Pol 융합 단백질를 발현시키는 제 4 발현 카세트는 IGR 136/137로 삽입되며, 이때 Gag 및 Pol은 전장 단백질들, 또는 전장 단백질들의 일부 또는 유도체들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제 3 및 제 4 발현 카세트는 동일한 통합 부위로 삽입되고, 이들 2개 발현 카세트는 모든 가능한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IGR의 번호매김은 WO 03/097845를 참고한다. 한 측면에서 IGR I4L/I5L과, 다른 측면에서 IGR 136/137, IGR 07/08은 WO 03/097845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두 가지 상이한 번호매김 시스템에 속한다는 것을 고려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재조합 MVA는 바이러스성 게놈 내에 다음을 포함하는 재조합 MVA이다
(i) Vif-Vpu-Vpr-Rev를 융합 단백질로 발현시키고, 유전자간 부위 IGR 07/08로 삽입되는 발현 카세트;
(ii) 첫 19개 N-말단 아미노산이 결손된 Nef 단백질을 발현시키고, IGR I4L/I5L로 삽입되는 제 2 발현 카세트;
(iii) 트랜스우성 Tat를 발현시키는 제 3 발현 카세트와 Gag-Pol 융합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제 4 발현 카세트, 이들 모두 IGR 136/137로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바이러스는 보호성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용어 "보호성 면역 반응"은 백신접종을 맞은 피험자가 백신이 대항하는 병원성 물질로 인한 감염을 어떠한 방식으로든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보호성 면역 반응"을 발달시킨 이 동물은 백신접종을 맞지 않은 피험자보다 더 약한 임상 징후를 나타내고/거나 질환의 진행이 지연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의 재조합 MVA와, 약제학적으로 수용되는 운반체, 희석제, 어쥬번트 및/또는 첨가제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백신에 관한 것이다.
천연두 바이러스 제제를 준비하고, 보관하는 많은 방법이 당업계의 숙련자에게 알려져 있다. 이 내용은 WO 03053463을 참고한다.
보조 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는 물, 염, 글리세롤, 에탄올 또는 습식 또는 유화제, pH 완충 물질, 보존제, 안정화제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이다. 적합한 운반체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단백질들, 폴리사카라이드,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머 아미노산, 아미노산 코폴리머, 지질 응집체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크고, 서서히 대사되는 분자들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백신 조제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MVA 바이러스는 생리학적으로 수용가능한 형으로 전환된다. 이는 천연두에 대한 백신접종에 이용되는 천연두 바이러스 백신 조제의 경험을 바탕으로 실행될 수 있다(Stickl , H. et al . Dtsch . med . Wschr. 99, 2386-2392 [1974]에서 설명됨). 예를 들면, 정제된 바이러스는 10 mM Tris, 140 mM NaCl pH 7.4에서 조제된 5x108 TCID50/㎖의 역가로 -80℃에서 보관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MVA 바이러스는 백신 주사 조제용으로 이용된다. 예를 들면, 바이러스의 약 102 내지 108 입자들은 앰플내 2% 펩톤 및 1% 인간 알부민의 존재하에 100㎖의 인산완충된 염(PBS)에서 동결건조된다. 또 다른 비-제한적인 예에서, 백신 주사는 제제내 바이러스를 단계적으로 동결건조시켜 만들 수 있다. 특정한 구체예들에서, 이 제제는 만니톨, 덱스트란, 슈가, 글리신, 락토즈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과 같은 추가 첨가제 또는 항산화제 또는 비활성 기체와 같은 기타 보조제, 안정화제 또는 생체 투여에 적합한 재조합 단백질들(예를 들면, 인간 혈청 알부민)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유리 앰플은 밀봉되고, 4℃ 내지 실온에서 수개월간 보관될 수 있다. 그러나, 바로 필요하지 않다면, 이 앰플은 -20℃ 미만의 온도에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신 주사 또는 치료용으로, 동결건조물(lyophilisate)은 0.1 내지 0.5 ml의 수성 용액, 바람직하게는 생리학적 염 또는 Tris 완충액에 용해될 수 있고, 그리고 전신 또는 국소, 가령, 장관외, 피하, 근육내 투여되거나 또는 난절법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다른 투여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방식, 투여량 및 횟수는 당업계 숙련자가 공지의 방식으로 최적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가장 흔하게는, 환자는 첫 번째 백신 접종 후 약 1개월 내지 6개월 이내에 2번째 백신접종을 맞는다. 3번째 및 후속 접종은 앞선 주사로부터 바람직하게는 4-12 주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조합 MVA에 의해 하나 이상의 재조합에 의해 발현되는 HIV 단백질에 대항하여 강력한 항원 특이적 T-세포 반응이 유도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을 하였다. 상기에서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주어진 면역원내 많은 가능한 에피토프 중 단지 몇 개에만 숙주 면역계가 반응하는 소위 면역우세로 불리는 관찰된 현상에 비추어 예상하지 못한 결과이다. MVA 벡터들의 경우, 기존 연구에서 비-재조합 벡터 에피토프의 면역우세는 재조합 항원에 대항한 강력한 CD8 T 세포 반응의 유도를 막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Smith et al ., Immunodominance of poxviral - specific CTL in a human trial of recombinant - modified vaccinia Ankara . J. Immunol . 175:8431-8437, 2005.). 백신에 의해 유도된 T-세포 반응은 주로 천연두 바이러스성 에피토프에 대항한다는 것이 설명되었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재조합 MVA의 사용으로 다중 재조합 HIV 단백질들에 대한 강력하고 광범위한 T-세포 반응이 초래된다. 추가적으로, 이 면역 반응은 반응을 유도했던 모든 HIV 단백질들에 대하여 첫 면역주사를 받은 후 20주 기준보다 여전히 더 높았다. 이는 천연두에 대항한 초기 백신접종 및 중화 항체의 발달로 인한 주력 바이러스 벡터에 대항한 잠재적인 기존 면역의 견지에서 더 예상치못한 결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정의된 재조합 MVA 또는 인간 환자에서 최소한 3개,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4개, 최소한 5개, 또는 6개의 HIV 단백질들에 대한 T 세포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상기 정의된 재조합 MVA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백신에 관한 것이며, 이때 이 단백질들은 HIV Gag, Pol, Vpr, Vpu,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에서 정의된 재조합 MVA의 용도 또는 하나 이상의 HIV 단백질들, 특히 3개, 4개, 5개, 6개 또는 그 이상의 HIV 단백질들,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3개, 최소한 4개, 최소한 5개, 또는 최소한 6개의 HIV 단백질들에 대한 T-세포 반응을 인간 환자에서 유도하는 약물의 제조를 위한 상기에서 정의된 재조합 MVA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백신에 관한 것이며, 이때 이 단백질들은 HIV Gag, Pol, Vpr, Vpu,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또한 인간 피험자에서 Gag, Pol, Vpr, Vpu,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3개의 HIV 단백질들에 대한 T-세포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재조합 변형된 우두 바이러스 앙카라 (MVA)의 투여를 포함한다.
투여되는 재조합 MVA는 원하는 효과, 즉 Gag, Pol, Vpr, Vpu,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3개,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4개, 더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5개,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6개의 HIV 단백질에 대한 T-세포 반응을 인간 피험자에서 유도하는 바람직한 유효량이다.
특정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재조합 재조합 MVA에 관한 것으로, 이때 MVA는 Gag, Pol, Vpr, Vpu,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4개의 HIV-1 단백질에 대한 T-세포 반응을 인간 피험자에서 유도한다.
더욱 특정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재조합 MVA에 관한 것으로, 이때 MVA는 Gag, Pol, Vpr, Vpu,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5개의 HIV-1 단백질에 대한 T-세포 반응을 인간 피험자에서 유도한다.
더욱 더 특정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재조합 MVA에 관한 것으로, 이때 MVA는 Gag, Pol, Vpr, Vpu,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6개의 HIV-1 단백질에 대한 T-세포 반응을 인간 피험자에서 유도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MVA가 Gag, Pol, Vpr, Vpu,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단백질에 대한 T-세포 반응을 유도하는 HIV-1 단백질들은 Gag, Pol 및 Nef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최소한 3개의 HIV 단백질들은 Gag, Pol 및 Nef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3개의 HIV 단백질들 중 하나는 Gag, Pol, Nef, 절두된 Nef, Vpr, Vpu, 및 Ref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HIV 감염 및/또는 AIDS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상기에서 정의된 재조합 MVA 또는 상기에서 정의된 재조합 MVA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백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HIV 감염 및/또는 AIDS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약물의 제조를 위한 상기에서 정의된 재조합 MVA 또는 상기에서 정의된 재조합 MVA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백신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용어 "HIV 감염 및/또는 AIDS의 예방"은 모든 조건하에 있는 모든 피험자에서 재조합 MVA가 HIV 감염 및/또는 AIDS를 예방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지적한다. 반대로, 이 용어는 보호성 효과가 다소 낮더라도 임의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보호성 효과를 포함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재조합 MVA는 105 내지 5×108 TCID50/㎖의 투여량, 바람직하게는 2×108 TCID50/㎖의 투여량으로 투여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이 재조합 MVA는 정맥내로, 근육내로 또는 피하로 투여된다.
도 1: 8개의 HIV 단백질들 Gag, Pol, Tat, Vif, Vpu, Vpr, Rev 및 Nef를 발현시키는 MVA-BN®-MAG 구조체 (MVA-mBN120B).
도 2: HIV-특이적인 T 세포 응답자(responder) 속도. 응답자 비율은 n (응답한 피험자의 수)과 N = 15 크기의 군에 근거하여 계산되었다. RT=역 전사효소, CTL = 세포독성 T 림프구, HTL = 헬퍼 T 림프구
도 3 a-d: 표시된 HIV-1 단백질들에 대한 중앙값 SFU/1x106 PBMC. 화살표는 백신접종을 나타낸다.
실시예
다음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더 설명할 것이다. 제공된 실시예는 이 실시예에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의 용도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당업계에 숙련자들은 인지할 것이다.
실시예 1:
바이러스성 게놈 안에 절두된 nef 유전자, gag-pol 융합 유전자, 트랜스우성 Tat 유전자 그리고 Vif-Vpr-Vpu-Rev 융합 유전자를 포함하고, 이들 각 유전자들은 ATI 프로모터 조절하에 있는 재조합 MVA - BN 의 생산
MVA 벡터, mBN87은 U.S. 특허 제7,501,127호(전문이 본원에 참고로서 통합됨)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만들었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gag-pol 융합된 유전자는 HXB2 감염된 세포들의 DNA로부터 PCR에 의해 수득하였다. nef 유전자는 MVA-nef (LAI)의 DNA로부터 PCR에 의해 증폭시켜 절두된 형태를 수득하였다. 첫 19개 아미노산을 결손시켜 Nef-절두형을 만들었다. vif 및 vpu 유전자들은 제 1 분리체 MvP-899의 HIV RNA로부터 RT-PCR에 의해 생성하였고, vpr, rev 및 tat 유전자들은 HXB2의 서열에 근거하여 올리고 어닐링에 의해 합성하였다. Tat-돌연변이된 단백질은, 중요한 에피토프에는 위치하지 않지만 전사촉진 활성의 상실로 이어지는 2개 돌연변이를 Tat에 도입시켜 만들었다. 돌연변이는 다음과 같은 치환이다: 22 (Cys > Gly) 및 37 (Cys>Ser). DNA 구조체들을 재조합 벡터들안으로 클로닝시켰다.
5차례의 플락 정제 후, 외부 DNA (절두된 nef 유전자, gag-pol 융합 유전자, 트랜스우성 tat 유전자, 및 vif-vpr-vpu-rev 융합 유전자)의 삽입과 야생형 바이러스의 부재는 PCR로 확인하였다. 생성된 재조합 바이러스 클론은 mBN87A로 명명하였다. 5회 플락-정제 후, 비-선택적 조건하에 선택 카세트가 없는 재조합 바이러스 MVA-mBN87 B를 분리할 수 있었다. 표준 방법들을 이용하여 재조합 벡터의 실체를 확인하였다.
MVA-mBN87B에서, vif-vpr-vpu-rev 유전자는 말단에 정지 코돈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31개의 비-특이적 아미노산의 추가를 야기한다. 따라서, 융합 유전자에 정지 코돈을 추가하였고, 새로운 재조합 바이러스 MVA-mBN120B에 의해 클로닝되었다. 이 구조체 (도 1 참고)는 마우스에서의 전임상 연구 및 인간에서의 임상 연구에 이용되었다.
실시예 2:
마우스에서 전임상 연구
MVA-mBN120B가 성체 비트랜스제닉 마우스 (BALB/c)에서 HIV-특이적 세포성 면역 반응을 갖출 수 있는 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가장 전망있는 에피토프를 선택하였고, 각 단백질에 대해 2개의 CD4 및 2개의 CD8 T 세포 펩티드들을 합성하였다.
0일 및 21일 시점에 마우스의 피하(s.c.)로 기준 항목으로 500㎕의 TBS (Group 1) 또는 대략 4x108 TCID50 MVA-mBN120B (Group 2)을 투여하였다. 35일 시점에, 모든 동물로부터 역-궤도 관통(retro-orbital puncture)를 통하여 혈액 시료를 수거하였고, 잠재적인 미래 분석을 위하여 혈청으로 처리하였다. 혈액 수거후, 경부 탈구를 통하여 동물을 희생시키고, 그리고 IFNγ-ELISpot 분석을 이용하여 백신 삽입체내에 인코드된 HIV 특이적 펩티드로 비장세포의 재자극에 의한 세포 면역 반응의 후속 분석을 위하여 비장 생검하였다.
HIV-단백질 특이적인 세포성 면역 반응은 비장세포를 특이적 펩티드로 재자극시키고, 이후 ELISpot 분석에 의해 비장세포로부터 IFNγ 방출을 탐지함으로써 측정하였다. 이 펩티드들은 다음과 같이 펩티드 이름, T 세포 사양(restriction) 및 펩티드 서열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간단하게 설명하면, 각 펩티드 500㎍를 담고 있는 부분표본(aliquot)을 소량의 디메틸 술폭시드에 우선 용해시키고, RPMI 배지로 추가 희석하여 1mg/ml의 원액을 만든다 (펩티드 # 4, 14, 20, 및 21의 완전한 재구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5 내지 25㎕ 부피의 아세트산이 추가로 요구되었다; 펩티드 # 20, 22, 23 및 24의 완전한 재구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5 내지 25㎕의 부피가 추가로 요구되었다).
비장 균질화는 "Saw 0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Dispomix 튜브에서 실행하였다. 균질화후, 세포 현탁액을 50ml 튜브로 옮기고, 원심분리하고, 적혈구는 적혈구 세포 용해 완충액으로 5분간 용해시켰다. 두 차례 세척 단계 후, 세포 현탁액의 소량의 부분표본을 트립판 블루와 혼합시키고, 세포 농도는 카운팅 쳄버(Madaus)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카운팅하여 계산하였다. 세포 밀도는 개별 비장세포 현탁액에 대해 조정되었다. 세포들을 ELISpot 플레이트(항-IFNγ 항체로 사전 피복됨)에 도말한 후, 펩티드들을 최종 농도 2.5㎍/ml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웰당 2.5x105 비장세포의 중복 배양은 수평으로 향해있는 ELISpot 플레이트에서 수평으로 도말된 상이한 마우스의 비장세포와 수직으로 도말된 상이한 자극으로 실행되었다(가령, 플레이트 1 + 5, 2+ 6, 3 + 7, 4 + 8는 각각 펩티드 # 1 - 8, 9 - 16, 17 - 24, 25 - 32의 자극을 포함한다). 플레이트 5와 10에서, 양성 대조군으로 최종 농도 0.5㎍ 콘카나발린 A (ConA)와 0.5㎍/ml 스타필로코커스 내독소 B (SEB), 또는 음성 대조군으로 배지를 사용하여 각각 열 번호 B, E, 또는 H에서 인큐베이션을 실행하였다. 19 시간 동안 하룻밤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ELISpot 플레이트는 공급자가 권하는 방식으로 전개시켰다.
Figure pct00002
HIV-특이적인 세포 반응을 갖출 수 있는 3개의 펩티드가 확인되었다. 이들 펩티드들로부터, H2-Kd 제한된 CD8 T 세포 특이적인 펩티드 "Gag-CD8-1"로 자극한 후에 가장 높은 IFN1 반응이 측정되었다. 이 펩티드는 문헌에서 자주 언급되기 때문에 놀라운 것은 아니다(Liu et al., Vaccine, 2006, 24, page 3332). 두 번째 Gag-특이적인 CD8 T 세포 제한된 펩티드"Gag-CD8-2"는 모든 마우스에서 양호한 특이적인 IFN1 방출을 유도할 수 있었다. 이 펩티드는 지금까지 Shinoda et al . (Vaccine, 2004, 22, page 3676)에 의해서만 더 긴 펩티드에서 특이적인 CTL 반응을 유도한다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 문헌에서 설명된 더 긴 펩티드는 CD8 T 세포 에피토프 뿐만 아니라 추가 예측가능한(따라서 잠재적인) CD8 에피토프, CD4 T 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한다. 따라서, "Gag-CD8-2"가 특이적인 IFN1 방출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보여준다. 에피토프 예측에 근거하여, "Gag-CD8-2"는 H2-Dd 제한된 CD8 T 세포 에피토프다. 세 번째 반응성 펩티드 "Nef-CD4-2"는 BALB/c 마우스의 대부분에서 특이적 IFN1 방출을 유도할 수 있었다. 이 펩티드는 증식성 반응 및 세포용해 활성이 결정될 수 있는 펩티드로 Mitchel et al. (AIDS Research and Human Retroviruses, 1992, 8, page 469)에서 이미 설명되었다. 에피토프 예측으로부터 이 펩티드는 CD4 T 세포들에 대해 주로 안정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I-Ed 분자의 경우 수치 9.6과 IAd 분자의 경우 9.1이 PredBALB/C 데이타 베이스에서 확인되었지만, CD8 T 세포 제한된 H2d 분자에 대한 수치는 7.9이하였다). 놀라운 것은 3가지 반응자 이외의 펩티드들 가령, 공개된 문헌에 근거하여 선택된 "Nef-CD4-1" 또는 "Tat-CD8-1"은 특이적인 IFN1 방출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불일치의 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요약하면, BALB/c 마우스에서 MVA-mBN120B를 이용한 면역원성 연구는 HIV-다중항원 MVA-구조체가 면역원성이라는 것을 입증하였을 뿐 아니라, 면역 반응이 재조합 MVA 산물에 인코드된 최소한 2개 단백질에 대한 것이라는 점(가령, Nef 및 Gag 특이적인 반응이 탐지되었다), 즉, CD8 T 세포 제한된 면역 반응은 단일 CD8 T 세포 분자에 국한되지 않고(그 이유는 H2-Kd 및 H2-Dd 반응이 모두 유도되었기 때문이다), CD8 및 CD4 T 세포 제한된 반응 모두 MVA-구조체에 의해 유도되었다는 것을 밝혔다. 더욱이, 이들 결과는 최소한, Nef-유전자 및 Gag-유전자가 생체에서 백터로부터 발현됨을 나타낸다.
실시예 3:
인간에서 임상 연구
I상 연구에서, HIV-1 감염된 15명의 피험자에서 HIV-1 계통분기 B 하위집단(gag-pol 융합, vpr, vpu, vif, rev, tat, 및 nef를 포함하는)으로부터 9개의 유전자 중 8개를 발현시키는 재조합 MVA-BN®백신의 안전성, 반응생성력 및 면역원성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안전성 테스트는 요청된 그리고 요청되지 않은 국소 및 전신 부작용의 분석을 포함하였다. 더욱이, 벡터에 대한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 반응을 평가하였다. 상이한 HIV 항원들에 대한 광범위한 세포-중개된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그러한 상동성 프라임-부스트 백신의 가능성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거된 견본들을 또한 이용하여 백신 MVA-mBN120B 연구에 의해 유도된 HIV-특이적 면역 반응을 특이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1상 시험에서, HAART (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에 안정적인 CD4 카운트가 350>/㎕인 HIV-1 감염된 15명의 환자는 0, 4, 12주에 2×108 MVA-BN®-MAG으로 3차례 백신접종을 맞았다. 요청된 부작용(AE)은 일일 카드에 기록하였고, 요청되지 않은 AEs 및 심장 징후 및 증상은 20주에 후속 방문한 때까지 연구를 통하여 포착하였다. 환자의 혈장 HI-바이러스 양(load) 및 CD4 카운트와 같은 질환 특이적 변수들을 측정하였다. 우두 특이적인 체액성 면역 반응은 ELISA에 의해 측정하였다; HIV-1 삽입체 뿐만 아니라 우두에 대한 세포 면역 반응은 배치 분석에서 자극물질(HIV 반응 유도용)로 11개 아미노산 중첩을 가진 15-mer 펩티드와 감염다중도(MOI) 1에서의(우두 반응 유도용) MVA-BN®를 이용하여 인터페론-γ (IFN-γ) ELISPOT 분석에 의해 평가하였다.
이 연구는 CD4 카운트가 > 350 세포/㎕인 HIV-감염된 피험자에서 재조합 MVA HIV 다중항원 백신의 안전성 및 반응생성력을 평가하기 위해 실행된 단일-기관, 오픈-라벨의 1 상 연구였다.
피험자는 0일 시점과 4주 및 12주 후 2×108 조직 배양 감염성 약량 50 (TCID50) 용량의 MVA-mBN120B로 면역주사를 맞았다. 이 백신은 피하로 투여하였다.
이 연구는 최대 3주의 스크리닝 기간 및 최대 20주(12주의 프라이밍 단계와 8주의 부스터 단계)의 활성 연구 기간으로 구성되었다. 피험자당 총 연구 기간은 최대 23주였다.
적격의 피험자들은 방문(Visit) 1로 시작되는 활성 연구 단계에 참여하였다. 방문 1에서, 모든 피험자들은 첫 번째 MVA-BN120B 백신접종을 피하로 투여받았다. 모든 피험자들은 방문 3에서 4주 후 두 번째 백신접종을 그리고 방문 5에서 12주 후(방문 1 이후) 3번째 백신접종을 받았다. 각 면역접종은 MVA-mBN120B의 두 차례 투여로 구성되었는데, 각각은 투여당 1×108 TCID50의 용량이다. 이 백신은 각 팔의 삼각근 부위에 0.5㎖ MVA-mBN120B를 주사하여 피하로 투여되었다. 피험자들은 0주 시점에 한번, 4주 후와 12주 후에 한번씩의 3차례 면역주사를 맞는다. 백신접종 기간 동안 또는 접종 후 발생되는 임의의 부작용(AE)을 기록하였다.
다음의 시술 및 조사는 각 예정된 방문시에 실시되었다. 저온보존된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BMC)에서 인터페론-감마(IFN-γ)를 생산하는 세포들의 시험관내 정량적인 측정에 사용되는 효소 연계된 면역스팟(ELISPOT) 분석은 살아있는 우두 바이러스 (VV)로 자극한 후 실행하였다: 변형된 우두 바이러스 앙카라-바바리안 노르딕(MVA-BN®) 또는 우두 바이러스 웨스턴 리저브(VV-WR).
간단하게 설명하면, 96개 웰 여과 플레이트 (HTS 플레이트, Millipore)는 4℃에서 하룻밤 동안 포획 항체(제조업자(BD Biosciences, IFN-γ ELISPOT pair)의 지시에 따른 IFN-γ에 대항한 항체)로 피복하였다. 후속적으로 소생된 PBMC를 MOI 1에서 MVA-BN®와 복합하여 200㎕ 최종 용적에서 200,000 세포의 농도로 웰에 추가하였다. 인큐베이션 기간(37℃/5% CO2에서 하룻밤) 후에, 웰을 세척하였고 PBS/9% FCS 중 바이오틴-라벨된 탐지 항체를 첨가하였다. PBS/0.05% Tween 20으로 세척한 후, 스트렙타아비딘-결합된 말 양고추냉이 과산화효소(HRP, BD Biosciences)를 웰에 추가하였고, 세척 단계후, 침전 기질(AEC, 3-아미노-9-에틸카르바졸, BD Biosciences)을 추가하였다. CTL S5 Microanalyzer를 이용하여 스팟을 카운팅하여 사이토킨 생산 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보고된 값은 배경 수정하고, 1x106 PBMC로 표준화시켰다.
우두 특이적인 세포성 반응을 평가하기 위하여, MOI 1에서 살아있는 MVA-BN®으로 세포들을 자극하였다.
HIV 특이적인 세포성 반응을 평가하기 위하여, 펩티드당 5㎍/ml의 최종 농도에서 펩티드 풀(11개 아미노산 중첩을 가진 15-mer)로 세포들을 자극하였다.
15개 펩티드 풀을 자극에 이용하였고, 이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확인하였을 때, 90% 초과의 순도로 펩티드들은 합성되었다(Metabion , Martinsried , Germany and Proimmune , UK).
벡터 또는 HIV-MAG-특이적인 신호는 배경에 대해 보정한 후(배경의 2배 이상인 SFU/1x106 비자극 세포를 뺌) 1x106 세포들당 최소한 50 SFU의 빈도로 정의하였다. 배경에 대해 보정한 후 SFU/1x106 세포들의 수를 보고하였다.
벡터 또는 HIV-MAG-특이적인 T세포 반응은 기준점에서 신호를 가지지 않는 피험자에서 신호의 발생 또는 기준점에서 신호를 가진 피험자에서 기준치보다 최소한 1.7배 만큼 상대적으로 증가된 것으로 정의하였다.
하나 이상의 기준점-후 방문에서 반응을 나타낸 피험자는 응답자로 분류하였다.
특이적 신호는 상응하는 실험(자극된) 웰에서 나타나는 스팟-형성 세포들의 수로부터 배경(비자극된) 웰의 스팟-형성 세포들의 수를 차감하여 정의하였다(각 피험자, 방문 및 자극 조건에 대해). 50 미만의 스팟 형성 단위(SFU)의 특이적 신호는 반응의 계산을 위하여 0으로 되돌린다.
이전에 기준점(V1)에서 분석 컷오프 아래였던 피험자에서 1x106 PBMC당 50 SFU의 분석 컷 오프와 동일한 또는 이보다 높은 양성 특이적 신호가 나타났을 때; 또는 분석 컷오프 값과 동일한 또는 이보다 높은 기준점(V1) 신호를 가진 피험자의 경우 기준점(V1) 신호로부터 SFU의 수에서 최소한 1.7 배의 상승이 있었을 때 양성 특이적 반응으로 정의하였다. 그렇지 않으면, 각 기준점 후 또는 기준치가 빠진 경우의 반응 상태는 누락으로 정의하였고, 이를 제외한 반응은 음성으로 정의하였다.
피험자들은 다수의 기준점-후 방문에 걸쳐 한 번 이상의 반응을 가질 수 있었지만, 특이적 응답자로 간주되기 위해서는 단지 한 번의 반응만 요구되었다.
HIV 펩티드 자극은 모든 피험자에 대하여 자극 풀 (1-15), 단백질/다중단백질 (gag, pol, nef, tat, vif, 혼합형), 그리고 백신 (가령, 모든 HIV 단백질들을 포함)에 의한 3가지 수준에서 그리고 응답자만에 대한 별도 분석으로 분석되었다.
모든 샘플링 지점에 대해 자극 조건(HIV-MAG 펩티드 및 살아있는 MVA-BN®으로의 자극을 포함)에 의해 기술 통계학을 유도하였고, 그리고 관찰 횟수, 산술 평균 및 표준 편차(SD), SFU의 수치의 중앙값 및 범위를 포함하였다. 이는 모든 피험자에 대해 실행하였고, 분석의 모든 3가지 수준에서 응답자에게만 별도 분석을 실행하였다(가령, 풀 수준에서의 응답자, 단백질/다중단백질에서의 응답자 그리고 백신 수준에서 응답자).
95% Clopper-Pearson 신뢰 구간으로 양성 특이적 응답자(응답자 비율)의 수와 비율을 각 풀, 각 단백질/다중단백질에 대해 그리고 전체 HIV-MAG 백신 뿐만 아니라 MVA-BN®에 대해 표로 나타내었다. 비율은 특이적 분석에 포함된 피험자의 수에 근거하여 계산되었다. 응답자로 간주되기 위하여 피험자는 단백질/다중단백질에서 단지 한 개의 풀과 백신 수준에 반응할 것이 요구되었다. 이는 오직 한 가지 자극 조건(MVA-BN®에 의한 자극)을 이용하여 테스트된 벡터 특이적 응답자 비율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HIV 특이적 반응의 폭은 다음의 범주를 이용하여 피험자 단백질/다중단백질 반응의 누적으로 나타내었다: 1개 이상, 2 개 이상, 3개 이상, 4 개 이상, 5개 이상, 그리고 6개의 단백질들/다중단백질들에 반응하는 피험자의 수.
ELISPOT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백신접종 전, 피험자의 87%는 gag에 대해 세포성 면역 반응을 일으켰고, 피험자의 60%는 nef에 대해 세포성 면역 반응을 일으켰고, 피험자의 53%는 CTL 에피토프에 대해 세포성 면역 반응을 일으켰고, 피험자의 40%는 혼합된 단백질들 및 HTL 에피토프에 대해 세포성 면역 반응을 일으켰고, 피험자의 33%는 pol에 대해 세포성 면역 반응을 일으켰고, 그리고 피험자의 오직 7%는 tat 및 vif에 대해 세포 면역 반응을 일으켰다.
각 펩티드 풀, 단백질/다중단백질 그리고 HIV 백신 (HIV-MAG)에 대한 응답자 비율은 표 3에 요약하고, 또한 반응이 탐지된 각 시간대를 나타낸다. 응답자를 밝히기 위한 신호 반응의 사용은 SAP에서 정의되었고, 그리고 반응을 검사하는 감응성이 더 높은 방법이지만, 이 방법은 허위 양성 비율이 더 높은 경향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더욱 엄격한 응답자 정의를 이용한 보충 분석이 실행되었고, 응답자로 확인되기 위하여 두 가지 반응이 요구된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새로운 반응을 의미하는 또는 기준치 이상으로 증가된 반응을 포함하는 반응율은 MVA-BN®백신-벡터 안에 코드된 HIV 단백질에 대해 높았고, 피험자의 87%(13/15)가 반응하였다. 더욱 엄격한 응답자 정의를 이용하였을 때도, 피험자의 80%는 HIV 성분들에 대해 응답하였다. 피험자의 최대 비율은 gag에 대해 응답하였다 (73%, 11/15, 도 2 참고). gag 안에, p24는 p17(20%)보다 더 높은 응답자 비율을 초래하였다(2개의 gag-p24 풀에서 각각 40%와 47%). 더욱 엄격한 응답자 정의를 이용하였을 때도, 피험자의 60%는 gag에 대해 응답하였다. pol 및 혼합 단백질 풀에 대한 응답자 비율은 유사하였고(53%, 8/15, 도 2 참고) 그리고 pol 안에, 프로테아제 및 RT는 최대의 그리고 동일한 응답자 비율(27%)을 가졌고, 그리고 그 다음이 20% 응답자 비율을 가진 인테그라제였다. 혼합형 풀은 다중 단백질들의 펩티드를 포함하였기 때문에, 최고의 면역유발펩티드를 결정하지 못하였다. 더욱 엄격한 응답자 정의의 사용으로 pol (33%) 및 혼합형(40%) 모두에 대해 높은 응답자 비율을 초래하였다. Nef 응답자 비율은 40% (6/15, 도 2 참고)였고, 풀 4에 대한 반응이 최고였다(27%). 더욱 엄격한 응답자 정의를 이용하면 Nef 반응은 27%였다. 총 7명의 피험자 (46.7%)와 1명의 피험자 (6.7%)가 HTL 및 CTL 폴리토프 펩티드에 반응하였고, Tat 및 Vif 모두에 대해서는 응답자가 탐지되지 않았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HIV-특이적인 T 세포 반응의 폭은 새로운 또는 증가된 T 세포 반응을 일으킨 피험자에 대한 단백질들/다중단백질들의 수를 지칭한다. 표 4는 HIV 단백질들에 대한 반응의 폭을 보여준다. 백신접종으로 대부분 피험자에서 몇 가지 단백질들에 대해 반응이 일어났다. gag, pol, tat, vif, nef 및 혼합형(p2p7, vpr, rev)을 포함하는 최대 4가지 상이한 단백질들/다중단백질들에 대한 반응을 표 4에 나타낸다. 모든 피험자의 66.7%는 최소한 2개에 반응하였고, 46.7%는 최소한 3개의 단백질들/다중단백질들에 대해 반응하였다.
Figure pct00006
N = 명시된 군에서 피험자의 수, R+=상기 언급된 임의의 단백질에 대해 반응한 피험자의 수, %=N에 근거한 비율, 95% CI=Clopper-Pearson 신뢰구간, 하한 및 상한.
15명의 피험자 모두 3회 백신접종을 받았고, 연구 종료까지 처리되었다. 심각한 AE는 보고되지 않았고, 관련된 AE로 인하여 연구 과제가 철회되지 않았다. 모든 피험자들은 일반적인(대부분 매스꺼움) 그리고 국소 반응(대부분 경화)을 보고하였고, 한 피험자는 등급 3을 보고하였다(주사 부위 통증). 따라서, HIV-1 감염된 피험자들은 MVA-BN®-MAG의 투여를 잘 견뎠다.
모든 피험자들은 우두에 반응하였다. 도 4 a-d는 표시된 HIV-1 단백질들에 대해 중간 SFU/1x106 PBMC를 보여준다. 화살표는 백신접종을 나타낸다.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Gag 응답자(11/15 피험자): 13주 시점, 3번째 면역주사 후 1주에 437 SFU/1x106 PBMC 의 중간 피크
Pol 응답자(8/15 피험자): 13주 시점, 3번째 면역주사 후 1주에 80 SFU/1x106 PBMC 의 중간 피크.
Nef 응답자(6/15 피험자): 12주 시점, 2번째 면역주사 후 8주에 276 SFU/1x106 PBMC 의 중간 피크.
혼합형 폴(p2p7, vpr, rev) 응답자(8/15 피험자): 12주 시점, 2번째 면역주사 후 8주에 65 SFU/1x106 PBMC 의 중간 피크.
Gag, pol, nef 및 혼합형 반응성 IFN-γ 분비 PBMCs는 첫 번째 면역주사 후 20주에 기준점보다 높게 유지되었다.
우두-특이적인 응답자에 대한 중간 SFU 값은 12주 시점, 두 번째 면역주사 후 8주에 350 SFU/1x106 PBMC의 피크에 도달하였고, 3번째 면역주사 후에도 더 이상 증가되지 않았다. HIV 반응에 대해 관찰된 바와 같이, 우두 반응성 IFN-γ 분비 PBMCs의 수는 첫 번째 면역주사 후 20주에 기준점보다 더 높게 유지되었다. 항-우두 항체 혈청전환율은 5주 시점(두 번째 백신접종 후 1주)에 100.0%에 도달하였고, 연구 기간 동안 100%로 유지되었다. ELISA GMT에서 첫 번째 백신 접종 후 1주와 강력한 부스터 반응 후 약간 증가하였다. 우두-특이적인 항체 역가는 세 번째 면역주사 후 1주에 876의 피크에 도달하였고, 첫 번째 면역주사 후 20주에 기준점보다 훨씬 높게 유지되었다.
HIV-1 감염된 피험자에서 MVA-BN®-MAG HIV 백신 후보물질은 잘 용인되었다. HIV-특이적인 T 세포 응답자 비율은 86.7% 였고, 그리고 우두-특이적인 응답자 비율은 100%였다. 4개의 HIV 단백질/다중단백질 풀(gag, pol, nef 및 혼합형[p2p7-vpr-rev])에 대한 광범위한 세포성 면역 반응이 관찰되었다; 모든 피험자의 66.7%는 최소한 2가지 HIV-1 단백질들/다중단백질들에 반응하였고 그리고 모든 피험자의 46.7%는 최소한 3가지 HIV-1 단백질들/다중단백질들에 반응하였다. 중앙 T 세포 반응은 반응을 유도하였던 모든 HIV 단백질에 대하여 첫 면역주사후 20주에 기준점보다 더 높게 유지되었다. 이는 우두-특이적인 T 세포 반응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따라서, MVA-BN®-MAG 백신은 다중 HIV-1 단백질들과 우두에 대해 광범위한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었고, 첫 면역주사를 제공받은 후 20주에 반응은 기준점보다 여전히 더 높았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항목들을 포함한다:
1. 약물 또는 백신 용도로, Gag, Pol, Tat, Vif, Vpu, Vpr,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3가지 HIV 단백질 또는 상기 단백질들의 일부 또는 유도체들의 발현을 위한 하나 이상의 발현 카세트를 바이러스성 게놈 안에 포함하는 재조합 변형된 우두 바이러스 앙카라 (MVA).
2. 항목 1에 따라, Gag, Pol, Tat, Vif, Vpu, Vpr,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6개 HIV 단백질들 또는 상기 단백질들의 일부 또는 유도체의 발현을 위한 하나 이상의 발현 카세트를 바이러스성 게놈 안에 포함하는 재조합 변형된 우두 바이러스 앙카라 (MVA).
3. 항목 1 또는 2에 따라, HIV 단백질의 일부는 상응하는 전장 단백질의 최소한 10개의 연속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단백질인 재조합 MVA.
4. 전술한 항목 중 임의의 하나에 따라, HIV 단백질의 유도체는 HIV-1 분리체 HXB2R (유전자은행 수납번호 K03455)내 각 HIV 단백질에 최소한 50% 상동성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인 재조합 MVA.
5. 전술한 항목 중 임의의 하나에 따라, MVA 게놈은 Vif, Vpu, Vpr 및 Rev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발현 카세트, Nef을 코딩하는 발현 카세트, Gag-Pol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발현 카세트 그리고 Tat를 코딩하는 발현 카세트를 포함하는, 재조합 MVA.
6. 전술한 항목중 임의의 하나에 따라, 이때 Nef는 N-말단 절두된 Nef이고/거나 Tat는 트랜스우성 Tat인, 재조합 MVA.
7. 전술한 항목중 임의의 하나에 따라, 바이러스성 게놈 안에 하기를 포함하는 재조합 MVA:
(i) 유전자간 부분 IGR 07/08로 삽입된 융합 단백질로 Vif-Vpu-Vpr-Rev을 발현시키는 발현 카세트,
(ii) 첫 19개 N-말단 아미노산이 결손된 Nef 단백질을 발현시키고, IGR I4L/I5L안에 삽입되는 제 2 발현 카세트,
(iii) 트랜스우성 Tat를 발현시키는 제 3 발현 카세트와 Gag-Pol 융합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제 4 발현 카세트, 이두 카세트는 IGR 136/137로 삽입된다.
8. 항목 1 내지 7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재조합 MVA와, 선택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운반체, 희석제, 어쥬번트 및/또는 첨가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백신.
9. 인간 환자에서 최소한 3가지 HIV 단백질들에 대해 T-세포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항목 1 내지 7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재조합 MVA 또는 항목 8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백신, 이때 상기 단백질들은 HIV Gag, Pol, Vpr, Vpu,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다.
10. 인간 환자에서 최소한 3가지 HIV 단백질들에 대해 T-세포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약물의 제조를 위한 항목 1 내지 7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재조합 MVA 또는 항목 8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백신의 용도, 이때 상기 단백질들은 HIV Gag, Pol, Vpr, Vpu,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다.
11. 항목 9에 따른 재조합 MVA,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백신 또는 항목 10에 따른 용도, 이때 상기 HIV 단백질들은 Gag, Pol 및 Nef 이다.
12. Gag, Pol, Vpr, Vpu,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4가지 HIV 단백질에 대한 T-세포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항목 9에 따른 재조합 MVA,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백신 또는 항목 10에 따른 용도.
13. HIV 단백질 Gag, Pol, Vpr, Vpu, Rev, 및 Nef에 대한 T-세포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항목 9 또는 12에 따른 재조합 MVA,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백신 또는 항목 10 또는 12에 따른 용도.
14. HIV 감염 및/또는 AIDS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항목 1 내지 7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재조합 MVA 또는 항목 8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백신.
15. HIV 감염 및/또는 AIDS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약물의 제조를 위한 항목 1 내지 7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재조합 MVA 또는 항목 8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백신의 용도.
SEQUENCE LISTING <110> Bavarian Nordic A/S <120> GENERATION OF A BROAD T-CELL RESPONSE IN HUMANS AGAINST HIV <130> PC-0039282.00 <150> <151> <160> 32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16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1 Phe His His Val Ala Arg Glu Leu His Pro Glu Tyr Phe Lys Asn Cys 1 5 10 15 <210> 2 <211> 16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2 Asp Pro Glu Arg Glu Val Leu Glu Trp Arg Phe Asp Ser Arg Leu Ala 1 5 10 15 <210> 3 <211> 8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3 His Thr Gln Gly Tyr Phe Asp Pro 1 5 <210> 4 <211> 9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4 Arg Tyr Pro Leu Thr Phe Gly Trp Cys 1 5 <210> 5 <211> 12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5 Ile Tyr Lys Arg Trp Ile Ile Leu Gly Leu Asn Lys 1 5 10 <210> 6 <211> 12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6 Gly Leu Asn Lys Ile Val Arg Met Tyr Ser Pro Thr 1 5 10 <210> 7 <211> 9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7 Ala Met Gln Met Leu Lys Glu Thr Ile 1 5 <210> 8 <211> 9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8 Glu Ile Tyr Lys Arg Trp Ile Ile Leu 1 5 <210> 9 <211> 9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9 Val Gln Asn Ala Asn Pro Asp Cys Lys 1 5 <210> 10 <211> 9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10 Thr Ile Lys Ile Gly Gly Gln Leu Lys 1 5 <210> 11 <211> 9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11 Ile Phe Gln Ser Ser Met Thr Lys Ile 1 5 <210> 12 <211> 9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12 Gln Pro Asp Lys Ser Glu Ser Glu Leu 1 5 <210> 13 <211> 13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13 Phe Ile Thr Lys Ala Leu Gly Ile Ser Tyr Gly Arg Lys 1 5 10 <210> 14 <211> 9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14 Arg Gln Arg Arg Arg Ala His Gln Asn 1 5 <210> 15 <211> 9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15 Gln Pro Lys Thr Ala Gly Thr Asn Cys 1 5 <210> 16 <211> 9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16 Ser Phe Ile Thr Lys Ala Leu Gly Ile 1 5 <210> 17 <211> 9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17 Lys Lys Ala Lys Gly Trp Met Tyr Lys 1 5 <210> 18 <211> 9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18 Arg Cys Glu Tyr Gln Ala Gly His Asn 1 5 <210> 19 <211> 9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19 Gln Tyr Leu Ala Leu Ala Ala Leu Ile 1 5 <210> 20 <211> 9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20 Ala Gly His Asn Lys Val Gly Ser Leu 1 5 <210> 21 <211> 9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21 Lys Pro Gln Lys Thr Lys Gly His Arg 1 5 <210> 22 <211> 9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22 Trp Ala Gly Val Glu Ala Ile Ile Arg 1 5 <210> 23 <211> 9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23 Thr Tyr Gly Asp Thr Trp Ala Gly Val 1 5 <210> 24 <211> 9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24 Ala Gly Val Glu Ala Ile Ile Arg Ile 1 5 <210> 25 <211> 9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25 Ile Val Leu Ile Glu Tyr Arg Lys Ile 1 5 <210> 26 <211> 9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26 Glu Glu Ala Leu Ala Ala Leu Val Asp 1 5 <210> 27 <211> 9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27 Thr Gln Pro Ile Pro Ile Val Ala Ile 1 5 <210> 28 <211> 9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28 Val Leu Ile Glu Tyr Arg Lys Ile Leu 1 5 <210> 29 <211> 9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29 Arg Gln Ala Arg Arg Asn Arg Arg Arg 1 5 <210> 30 <211> 9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30 Ser Pro Gln Ile Leu Val Glu Ser Pro 1 5 <210> 31 <211> 9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31 Ser Gly Asp Ser Asp Glu Glu Leu Ile 1 5 <210> 32 <211> 9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32 Leu Pro Pro Leu Glu Arg Leu Thr Leu 1 5

Claims (25)

  1. 인간 피험자에서 Gag, Pol, Vpr, Vpu,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3가지 HIV 단백질들에 대한 T-세포 반응의 유도에 사용하기 위하여, Gag, Pol, Tat, Vif, Vpu, Vpr,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최소 6가지 HIV 단백질 또는 상응하는 전장 단백질의 최소 10개의 연속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이의 일부 상기 단백질들의 유도체의 발현을 위한 하나 이상의 발현 카세트를 바이러스성 게놈안에 포함하는 재조합 변형된 우두 바이러스 앙카라 (MVA), 이때 HIV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의 유도체는 공지의 HIV 분리체내 각 HIV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에 최소한 50% 상동성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인, 재조합 변형된 우두 바이러스 앙카라 (MVA).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성 게놈은 Gag, Pol, Vpu, Vpr,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6개 HIV 단백질들 또는 상기 단백질의 일부 또는 유도체의 발현용 하나 이상의 발현 카세트를 포함하는, 재조합 변형된 우두 바이러스 앙카라 (MVA).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성 게놈은 Gag, Pol, Tat, Vif, Vpu, Vpr,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8개 HIV 단백질들 또는 상기 단백질의 일부 또는 유도체의 발현용 하나 이상의 발현 카세트를 포함하는, 재조합 변형된 우두 바이러스 앙카라 (MVA).
  4. 인간 피험자에서 Gag, Pol, Vpr, Vpu,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3가지 HIV 단백질들에 대한 T-세포 반응의 유도에 사용하는 약물 또는 백신 제조용으로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재조합 변형된 우두 바이러스 앙카라 (MVA)의 용도.
  5. 인간 피험자에서 Gag, Pol, Vpr, Vpu, Rev 및 Nef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3가지 HIV 단백질들에 대한 T-세포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재조합 변형된 우두 바이러스 앙카라 (MVA)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6. MVA가 인간 피험자에서 최소한 4가지 HIV-1 단백질에 대한 T 세포 반응을 유도하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재조합 변형된 우두 바이러스 앙카라 (MVA), 청구항 4에 따른 용도 또는 청구항 5에 따른 방법.
  7. MVA가 인간 피험자에서 최소한 5가지 HIV-1 단백질에 대한 T 세포 반응을 유도하는, 청구항 1 내지 3 및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재조합 변형된 우두 바이러스 앙카라 (MVA), 청구항 4 또는 6에 따른 용도 또는 청구항 5 또는 6에 따른 방법.
  8. MVA가 인간 피험자에서 최소한 6가지 HIV-1 단백질에 대한 T 세포 반응을 유도하는, 청구항 1 내지 3, 6 및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재조합 변형된 우두 바이러스 앙카라 (MVA), 청구항 4, 6 및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용도 또는 청구항 5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
  9. 인간 피험자에서 MVA가 Gag, Pol 및 Nef를 포함하는 HIV-1 단백질에 대해 T 세포 반응을 유도하는, 청구항 1 내지 3 및 6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재조합 변형된 우두 바이러스 앙카라 (MVA), 청구항 4 및 6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용도 또는 청구항 5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
  10. 청구항 1 내지 3 및 6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재조합 변형된 우두 바이러스 앙카라 (MVA), 청구항 4 및 6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용도 또는 청구항 5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피험자는 면역손상 (immunocompromised) 피험자인, MVA, 용도 또는 방법.
  11. 청구항 1 내지 3 및 6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재조합 변형된 우두 바이러스 앙카라 (MVA), 청구항 4 및 6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용도 또는 청구항 5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피험자는 HIV-1에 감염된, MVA, 용도 또는 방법.
  12. 청구항 1 내지 3 및 6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재조합 변형된 우두 바이러스 앙카라 (MVA), 청구항 4 및 6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용도 또는 청구항 5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피험자는 350/㎕ 미만의 CD4 세포 수(cell count)를 가지는, MVA, 용도 또는 방법.
  13. MVA 게놈은 Vif, Vpu, Vpr 및 Rev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발현 카세트, Nef를 코딩하는 발현 카세트, Gag-Pol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발현 카세트 그리고 Tat를 코딩하는 발현 카세트를 포함하는,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재조합 MVA, 용도 또는 방법.
  14. Nef는 N-말단 절두된(truncated) Nef이며 및/또는 Tat는 트랜스우성(transdominant) Tat인,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재조합 MVA, 용도 또는 방법.
  15. 바이러스성 게놈안에 하기를 포함하는, 청구항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재조합 MVA, 용도 또는 방법:
    (i) 유전자간 부위 IGR 07/08로 삽입된 융합 단백질로 Vif-Vpu-Vpr-Rev을 발현시키는 발현 카세트,
    (ii) 첫 19개 N-말단 아미노산이 결손된 Nef 단백질을 발현시키고, IGR I4L/I5L안에 삽입되는 제 2 발현 카세트,
    (iii) 트랜스우성 Tat를 발현시키는 제 3 발현 카세트와 Gag-Pol 융합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제 4 발현 카세트, 이 두 카세트는 IGR 136/137로 삽입된다.
  16. 청구항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운반체, 희석제, 어쥬번트 및/또는 첨가물과 함께 투여되는 재조합 MVA.
  17. HIV 감염 및/또는 AIDS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을 위한 청구항 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재조합 MVA, 용도 또는 방법.
  18. HIV 감염 및/또는 AIDS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약물dml 제조를 위한 청구항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재조합 MVA의 용도, 용도 또는 방법.
  19. 107 내지 109 TCID50/㎖ 투여량의 재조합 MVA가 인간 피험자에 투여되는 청구항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재조합 MVA, 용도 또는 방법.
  20. 108 내지 109 TCID50/㎖ 투여량의 재조합 MVA가 인간 피험자에 투여되는 청구항 1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재조합 MVA, 용도 또는 방법.
  21. 2×108 TCID50/㎖ 투여량의 재조합 MVA가 인간 피험자에 투여되는 청구항 1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재조합 MVA, 용도 또는 방법.
  22. 재조합 MVA는 최소한 3회 투여되는, 청구항 1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재조합 MVA, 용도 또는 방법.
  23. 재조합 MVA는 0주, 4주 및 12주에 투여되는, 청구항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재조합 MVA, 용도 또는 방법.
  24. 재조합 MVA는 MVA-BN인, 청구항 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재조합 MVA, 용도 또는 방법.
  25. 청구항 1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재조합 MVA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또는 백신 조성물.
KR1020127011933A 2009-10-08 2010-10-06 인간에서 hiv에 대한 광범위한 t-세포 반응의 생성 KR201200939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4964409P 2009-10-08 2009-10-08
US61/249,644 2009-10-08
EP10001264.0 2010-02-08
EP10001264 2010-0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941A true KR20120093941A (ko) 2012-08-23

Family

ID=46396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1933A KR20120093941A (ko) 2009-10-08 2010-10-06 인간에서 hiv에 대한 광범위한 t-세포 반응의 생성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20135032A1 (ko)
EP (1) EP2486138A1 (ko)
JP (1) JP2013507107A (ko)
KR (1) KR20120093941A (ko)
CN (1) CN102656271A (ko)
AU (1) AU2010305030A1 (ko)
CA (1) CA2767924A1 (ko)
EA (1) EA201270108A1 (ko)
MX (1) MX2012002531A (ko)
SG (1) SG178909A1 (ko)
WO (1) WO20110421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20446A1 (en) * 2012-01-27 2013-07-31 Laboratorios Del Dr. Esteve, S.A. Immunogens for HIV vaccination
AU2014231229A1 (en) * 2013-03-15 2015-09-17 Bavarian Nordic A/S Single high dose of MVA induces a protective immune response in neonates and infants
MA40783A (fr) 2014-10-03 2017-08-08 Los Alamos Nat Security Llc Vaccins contre le vih comprenant un ou plusieurs antigènes episensus de population
WO2017007994A1 (en) 2015-07-08 2017-01-12 American Gen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Hiv pre-immunization and immunotherapy
FR3042121A1 (fr) 2015-10-08 2017-04-14 Jean-Marc Limacher Composition anti-tumorale
AU2017292582C1 (en) * 2016-07-08 2021-11-11 American Gen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HIV pre-immunization and immunotherapy
WO2020264310A1 (en) * 2019-06-27 2020-12-30 University Of Pittsburgh-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tecting hiv latency, treating hiv infection, and reversing hiv latency
CN116322757A (zh) 2019-11-14 2023-06-23 埃利克斯疗法公司 用于疫苗的剂量方案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87901A (fr) 1971-09-11 1972-12-18 Freistaat Bayern Represente Pa Vaccin antivariolique
DK1240186T3 (da) * 1999-12-23 2010-05-31 Medical Res Council Forbedringer i eller relateret til immunrespons mod HIV
AU8349301A (en) * 2000-07-14 2002-01-30 Univ Pennsylvania Dna vaccines encoding hiv accessory proteins
CN100537773C (zh) 2000-11-23 2009-09-09 巴法里安诺迪克有限公司 改良安卡拉痘苗病毒变体
BR0214822A (pt) 2001-12-10 2004-12-14 Bavarian Nordic As Formulações contendo poxvìrus e processo para preparar composições contendo poxvìrus estáveis
NZ536499A (en) 2002-05-16 2008-04-30 Bavarian Nordic As Fusion prote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at least four different HIV proteins selected from Vif, Vpr, Vpu, Vpx, Rev, Tat and Nef, wherein the fusion protein is not processed to individual HIV proteins having the natural N and C termini
JP4895505B2 (ja) 2002-05-16 2012-03-14 バヴァリアン・ノルディック・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変異ワクシニアウイルスアンカラ(mva)ゲノム中の挿入部位としての遺伝子間領域
KR20040108804A (ko) 2002-05-16 2004-12-24 버베리안 노딕 에이/에스 우두 ati 프로모터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변형백시니아 바이러스 안카라에서 유전자의 발현
US7501127B2 (en) * 2002-05-16 2009-03-10 Bavarian Nordic A/S Intergenic regions as novel sites for insertion of HIV DNA sequences in the genome of Modified Vaccinia virus Ankara
EP1856143A2 (en) 2005-02-24 2007-11-21 Medical Research Council Hivcon: anhiv immunogen and uses thereof
ES2281252B1 (es) 2005-07-27 2009-02-16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ificas Vectores recombinantes basados en el virus modificado de ankara (mva) como vacunas preventivas y terapeuticas contra el sida.
CA2682045A1 (en) 2007-03-26 2008-10-02 International Aids Vaccine Initiative Method of eliciting immune response with a modified mva viral hiv-1 vector
US8268327B2 (en) * 2007-04-27 2012-09-18 Bavarian Nordic A/S Immediate protection against pathogens via MVA
US20110110974A1 (en) * 2007-10-29 2011-05-12 Erik Depla Methods and kits for inducing a ctl response using a prime boost regim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56271A (zh) 2012-09-05
AU2010305030A1 (en) 2012-05-10
MX2012002531A (es) 2012-04-11
EP2486138A1 (en) 2012-08-15
US20120135032A1 (en) 2012-05-31
EA201270108A1 (ru) 2012-08-30
WO2011042180A1 (en) 2011-04-14
CA2767924A1 (en) 2011-04-14
SG178909A1 (en) 2012-04-27
JP2013507107A (ja) 2013-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67669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ducing protective immunity against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fection
US6913752B2 (en) Modified Vaccinia Ankara virus variant
US7744896B1 (en) HIV-1 Tat compositions
KR20120093941A (ko) 인간에서 hiv에 대한 광범위한 t-세포 반응의 생성
US11897919B2 (en) Multivalent HIV vaccine boos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Earl et al. Recombinant modified vaccinia virus Ankara provides durable protection against disease caused by an immunodeficiency virus as well as long-term immunity to an orthopoxvirus in a non-human primate
JP2000506727A (ja) 組換え生ネコ免疫不全ウイルスおよびプロウイルスdnaワクチン
CA2407303A1 (en) Improved immunogenicity using a combination of dna and vaccinia virus vector vaccines
US20140227311A1 (en) Method for Removing Immunosuppressive Properties of HIV Envelope Glycoproteins
WO2011047031A2 (en) Eliciting immune responses using recombinant mva viruses expressing hiv env, gag and pol anitgens
BIBERFELD et al. Protection against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2 and simian immunodeficiency virus in macaques vaccinated against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2
AU2009238330A1 (en) Generation of a broad T-cell response in humans against HIV
Gómeza et al. Generation and immunogenicity of novel HIV/AIDS vaccine candidates targeting HIV-1 Env/Gag-Pol-Nef antigens of clade C
Malm Assessing the Immunogenicity of GTU®-based HIV-1 Multigene DNA Vaccines in Murine Models
NZ767061A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ducing protective immunity against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fection
NZ730841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ducing protective immunity against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fection
NZ767061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ducing protective immunity against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fection
OA18541A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ducing protective immunity against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f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