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2791A -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2791A
KR20120092791A KR1020110012615A KR20110012615A KR20120092791A KR 20120092791 A KR20120092791 A KR 20120092791A KR 1020110012615 A KR1020110012615 A KR 1020110012615A KR 20110012615 A KR20110012615 A KR 20110012615A KR 20120092791 A KR20120092791 A KR 20120092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rol
rescue request
server
resc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4210B1 (ko
Inventor
김태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2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210B1/ko
Priority to US13/089,805 priority patent/US8509730B2/en
Publication of KR20120092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791A/ko
Priority to US13/944,271 priority patent/US941361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1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 H04M3/5116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for emergency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1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the purpose or context of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1016Tele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8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은 구조 요청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리스트를 구비하며, 상기 구조 요청 단말을 제어하는 제어 단말에 대한 구조 권한을 인증하고, 상기 구조 요청 단말과 상기 제어 단말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중계하는 서버, 구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버를 통해 제어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를 통해 제어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 결과 발생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제어 단말에게 전송하는 구조 요청 단말 및 상기 구조 요청 단말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조 권한을 상기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구조 요청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구조 요청 단말에게 전송하며, 상기 구조 요청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실행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제어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LING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구조 요청 단말로부터 구조를 요청받은 제어 단말이 서버를 통해 상기 구조 요청 단말을 원격 제어하여 구조 요청 단말의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폰, PDA, 스마트폰 등의 휴대형 단말기의 사용이 일반화됨에 따라, 다양한 부가 서비스 및 기능을 가진 휴대형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부가 서비스 및 기능은 사회 납치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SOS 서비스도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SOS 서비스는 단말에 SOS 요청을 위한 전화번호 입력 후, 위험을 감지한 사용자가 특정 조합의 키(Key)나 핫(Hot) 키로 위험을 알리면 SOS 요청, 시끄러운 소리 등을 발생시키는 기능에 국한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SOS 서비스는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에게 범죄를 범하지 않도록 경고를 주는 수준에 불과하다. 만약, 사용자가 납치를 당한 상황이라면, 납치 발생 이후에 대해서는 이러한 SOS 서비스는 무용지물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납치 발생 이후에 대해서도 납치 발생 이후 상황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납치범 검거 및 납치당한 사용자의 신변 안전을 구할 방도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 요청 단말로부터 구조를 요청받은 제어 단말이 서버를 통해 상기 구조 요청 단말을 원격 제어하여 구조 요청 단말의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은 구조 요청 단말이 구조 요청 메시지를 서버를 통해 제어 단말로 전송하는 구조 요청 단계, 상기 제어 단말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구조 요청 단말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조 권한을 획득하는 구조 권한 획득 단계, 상기 제어 단말이 상기 구조 요청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구조 요청 단말에게 전송하는 제어 명령 전송 단계 및 상기 구조 요청 단말이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 결과 발생한 결과 데이터를 상기 제어 단말에 전송하는 결과 보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은 구조 요청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리스트를 구비하며, 상기 구조 요청 단말을 제어하는 제어 단말에 대한 구조 권한을 인증하고, 상기 구조 요청 단말과 상기 제어 단말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중계하는 서버, 구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버를 통해 제어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를 통해 제어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 결과 발생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제어 단말에게 전송하는 구조 요청 단말 및 상기 구조 요청 단말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조 권한을 상기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구조 요청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구조 요청 단말에게 전송하며, 상기 구조 요청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실행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제어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 요청 단말로부터 구조를 요청받은 제어 단말이 서버를 통해 상기 구조 요청 단말을 원격 제어하여 구조 요청 단말의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SOS 서비스와는 달리 납치 이후의 상황에 대해서도 납치당한 사용자의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경찰 수사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위험에 처한 사용자를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OS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시스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OS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120)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단말(130)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 요청 단말(110)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12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 요청 단말(11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단말(13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OS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시스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SOS 서비스 시스템은 구조 요청 단말(110), 서버(120), 제어 단말(130)을 포함한다.
구조 요청 단말(110)은 긴급 상황 발생 시, 미리 등록된 제어 단말(130)에게 구조를 요청하는 단말이다. 이를 위해, 구조 요청 단말(110)은 긴급 상황 발생 시 자신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단말들에 대한 리스트를 서버(120)에 미리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구조 요청 단말(110)은 제어 단말(13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구조 요청 단말(110)의 특정 기능을 실행시킨다. 그리고 구조 요청 단말(110)은 제어 명령 실행 결과 발생한 데이터를 서버(120)를 통해 제어 단말(130)로 전송한다.
서버(120)는 구조 요청 단말(110)과 제어 단말(130)들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패킷 통신을 중계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120)는 패킷 데이터 교환망(Packet Switched Data Network, PSDN)을 이용할 수 있다. 서버(120)는 구조 요청 단말(110)의 긴급 상황 발생 시, 상기 구조 요청 단말(110)을 제어할 제어 단말(130)들에 대한 리스트를 구비한다. 또한, 서버(120)는 구조 요청 단말(110)을 제어할 표준화된 제어 명령 리스트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준화된 제어 명령 리스트를 통해 서로 다른 기종의 단말들(예를 들어, 휴대폰과 노트북) 사이에서도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제어 단말(130)은 구조 요청 단말(110)의 긴급 상황 발생 시, 원격에서 상기 구조 요청 단말(110)을 제어한다. 제어 단말(130)이 구조 요청 단말(110)을 제어하는 가장 주된 목적은 구조 요청 단말(110)의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단말(130)은 구조 요청 단말(110)의 녹음기, 카메라를 구동시켜 주변 환경을 녹음 또는 녹화하거나, 구조 요청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SOS 서비스 시스템의 구조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구조 요청 단말(110)은 긴급 상황 발생 시, 서버(120)에 구조를 요청한다. 그러면 서버(120)는 상기 구조 요청을 제어 단말(130)에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 단말(130)은 구조 요청 단말(1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서버(120)에 전송한다. 그러면 서버(120)는 수신된 제어 명령을 구조 요청 단말(110)에 전송한다.
구조 요청 단말(110)은 서버(120)로부터 전송된 제어 명령에 따라 단말의 특정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정 기능은 녹음기, 카메라, 위치 정보 획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구조 요청 단말(110)은 실행 결과 발생한 데이터를 서버(120)에 전송한다. 그러면 서버(120)는 결과 데이터를 제어 단말(130)에 전송한다.
제어 단말(130)은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결과 데이터를 확인하여 구조 요청 단말(110)의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녹음 데이터에서 기차 소리가 나면, 현재 구조 요청 단말(110)이 기차역 주변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녹화 데이터의 영상 정보를 통해 구조 요청 단말(110)의 주변 환경 정보를 보다 상세히 파악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OS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구조 요청 단말(110), 서버(120), 제어 단말(130)은 S205의 인증 단계를 통해, 구조 요청 단말(110)의 긴급 상황 발생 시, 구조 요청 단말(110)을 원격으로 제어할 제어 단말(130)들에 대한 리스트를 인증 과정을 거쳐 등록한다. 제어 단말 리스트를 서버(120)에 등록하는 자세한 과정은 도 3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구조 요청 단말(110)은 S210 단계에서, 긴급 상황 발생 시 구조 요청 메시지를 서버(120)에 전송한다. 구조 요청 메시지 전송을 위해 구조 요청 단말(110)은 SOS 서비스 메뉴를 선택하거나, 미리 설정된 핫 키를 이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긴급 상황에서는 SOS 서비스 메뉴를 선택할 여유가 없을 것이므로, 핫 키를 이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구조 요청 단말(110)이 구조 요청 메시지를 서버(120)에 전송하여 SOS 서비스를 개시하는 실시예를 개시하였지만, 반드시 구조 요청 단말(110)이 SOS 서비스를 개시할 필요는 없다. 만약, 구조 요청 단말(110) 사용자가 구조 요청을 개시할 수 없을 정도로 긴급한 상황에 처하였다면, 제어 단말(130)이 SOS 서비스를 개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단말(130)이 구조 요청 단말(110)에게 발신을 시도하였으나, 설정된 횟수 이상 응답에 실패한 경우 상기 제어 단말(130)이 구조 요청 단말(110)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SOS 서비스를 개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구조 요청 단말(110)이 SOS 서비스를 개시하였음을 가정하기로 한다.
서버(120)는 구조 요청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제어 단말(130)에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 단말(130)은 구조 요청 단말(110)을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구조 권한을 획득하기 위해, S215 단계에서 서버(120)에 구조 권한 승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서버(120)는 S220 단계에서, 미리 등록된 제어 단말 리스트를 확인하여, 상기 구조 권한 승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이 정당한 권한을 가진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서버(120)는 제어 단말 리스트에 구조 권한 승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이 포함된 경우, S225 단계에서 구조 권한 승인 메시지를 제어 단말(130)에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 단말(130)은 이하의 단계에서 구조 요청 단말(110)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단말(130)은 S230 단계에서 제어 명령을 서버(120)에 전송한다. 상기 제어 명령은 구조 요청 단말(110)을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표준화된 명령으로서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서버에 전송되는 제어 명령은 하기의 표 1과 같이 표준화될 수 있으며, 서버(120)는 표 1의 제어 명령 리스트를 미리 구비할 수 있다.
명령(command) 단말 동작
AAAAA 녹음기 실행
BBBBB 카메라 실행
CCCCC 위치 정보 획득
-
-
-
-
-
-
예를 들어, 제어 단말(130)은 구조 요청 단말(110)의 카메라를 구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BBBBB"의 SMS 메시지를 서버(120)에 전송한다. 그러면 서버(120)는 상기 SMS 메시지를 수신하여 분석한 후, 구조 요청 단말(110)의 카메라를 실행하기키 위한 제어 명령을 구조 요청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단말(130)이 구조 요청 단말(110)의 카메라를 구동시키고자 "BBBBB"의 SMS 메시지를 서버(120)에 전송하면, 상기 서버(120)는 "BBBBB"의 SMS 메시지를 구조 요청 단말(110)에게 포워딩할 수 있다. 그러면 구조 요청 단말(110)이 상기 "BBBBB"의 SMS 메시지를 해석하여 카메라 구동 명령임을 확인하고, 카메라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구조 요청 단말(110)이 표 1의 제어 명령 리스트를 구비한다.
구조 요청 단말(110)은 S235 단계에서, 제어 단말(130)로부터 전송된 제어 명령에 따라 구조 요청 단말(110)의 특정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특정 기능은 녹음기, 카메라, 위치 정보 획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구조 요청 단말(110)은 S240 단계에서, 제어 명령 실행 결과 데이터를 서버(120)를 통해 제어 단말(130)로 전송한다.
제어 단말(130)은 상기 제어 명령 실행 결과 데이터 즉, 녹음 데이터, 녹화 데이터, 위치 정보 등을 통해 구조 요청 단말(110)의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120)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서버(120)는 S305 단계에서, 인증 과정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서버(120)는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 S310 단계 이후로, 구조 요청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 S340 단계 이후로 진행한다.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 서버(120)는 S310 단계에서 구조 요청 단말(110)로부터 제어 단말 리스트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 단말 리스트는 구조 요청 단말(110)의 긴급 상황 발생 시, 구조 요청 단말(110)을 원격에서 제어할 단말들에 대한 리스트이며, 구조 요청 단말(110)의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다. 상기 제어 단말 리스트는 예를 들어, 구조 요청 단말(110) 사용자의 부모님, 친척, 친구들의 단말들일 수 있다.
서버(120)는 S315 단계에서, 제어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각 단말들에게, 구조 요청 단말(110)에 대한 제어 단말로서 등록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등록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서버(120)는 S320 단계에서, 제어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각 단말들로부터 승인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승인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서버(120)는 S335 단계로 진행하여 승인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을 인증된 제어 단말로 등록한다. 반면, S325 단계에서 거절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서버(120)는 S330 단계에서, 거절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을 제어 단말 리스트에서 제외한다.
서버(120)는 상기 과정을 거쳐 제어 단말 리스트를 확정한다.
다시 S305 단계 설명으로 복귀하여, 인증 단계가 아닌 경우, 서버(120)는 S340 단계에서 구조 요청 단계인지 확인한다. 서버(120)는 구조 요청 단말(110)로부터 구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구조 요청 단계임을 확인할 수 있다.
구조 요청 단계임을 확인한 서버(120)는 S345 단계로 진행하여, 등록된 제어 단말 리스트의 각 단말들에게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서버(120)는 S350 단계에서, 상기 구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각 단말들로부터 전송되는 구조 권한 승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서버(120)는 S355 단계에서, 상기 구조 권한 승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이 제어 단말 리스트에 등록된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등록된 단말인 경우, 서버(120)는 S360 단계에서 구조 권한 승인 메시지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서버(120)에서 전송되는 구조 권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을 제어 단말(130)로 칭할 수 있다.
서버(120)는 S365 단계에서, 제어 단말(13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제어 명령을 해석한다. 이를 위해, 서버(120)는 수신된 제어 명령과 미리 구비된 제어 명령 리스트를 서로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20)는 S370 단계에서, 해석된 제어 명령에 따라 구조 요청 단말(11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구조 요청 단말(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서버(120)가 제어 명령을 해석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구조 요청 단말(110)이 자체적으로 제어 명령을 해석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그리고 서버(120)는 S375 단계에서 구조 요청 단말로부터 제어 결과를 수신하면, S380 단계에서 상기 수신한 제어 결과를 제어 단말(130)에게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단말(130)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제어 단말(130)은 S405 단계에서, 서버(120)를 통해 구조 요청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구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러면 제어 단말(130)은 구조 요청 단말(110)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정당한 권한을 획득하기 위해, S410 단계에서 구조 권한 승인 요청 메시지를 서버(12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 단말(130)은 S415 단계에서, 구조 권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하고, 미수신 시 S420 단계에서 대기한다.
한편, 구조 권한 승인 메시지 수신 시, 제어 단말(130)은 S425 단계에서, 구조 요청 단말(110)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선택한다.
녹음기 구동을 요청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 단말(130)은 S430 단계로 진행하여 녹음기 구동 명령을 서버(120)를 통해 구조 요청 단말(130)에 전송한다. 상기 표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녹음기 구동 명령은 표준화된 명령이며, 일 실시예에 따라 "AAAAA"의 내용을 포함하는 SMS 메시지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단말(130)은 S435 단계에서, 구조 요청 단말(110)로부터 녹음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하고, 수신 시 S440 단계에서 녹음 데이터를 재생한다.
한편, 제어 단말(130)은 S425 단계에서, 구조 요청 단말(110)의 카메라 구동을 요청하고자 하는 경우 S445 단계로 진행하여 카메라 구동 명령을 서버(120)를 통해 구조 요청 단말(130)에 전송한다. 상기 표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구동 명령은 표준화된 명령이며, 일 실시예에 따라 "BBBBB"의 내용을 포함하는 SMS 메시지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단말(130)은 S450 단계에서, 구조 요청 단말(110)로부터 카메라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하고, 수신 시 S455 단계에서 카메라 데이터를 재생한다.
그리고 제어 단말(130)은 S425 단계에서, 구조 요청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자 하는 경우 S460 단계로 진행하여 위치 정보 요청 명령을 서버(120)를 통해 구조 요청 단말(110)에 전송한다. 상기 표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정보 요청 명령은 표준화된 명령이며, 일 실시예에 따라 "CCCCC"의 내용을 포함하는 SMS 메시지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단말(130)은 S470 단계에서, 구조 요청 단말(11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하고, 수신 시 S470 단계에서 위치 정보를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 요청 단말(110)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구조 요청 단말(110)은 S505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구조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구조 요청 신호는 SOS 서비스 메뉴의 선택 또는 미리 설정된 핫 키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법으로 구조 요청 신호가 입력된 것이 아니라면, 구조 요청 단말(110)은 S510 단계에서 설정된 횟수 이상 착신호가 미수신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미수신된 경우 S515 단계로 진행한다.
S515 단계로 진행한 구조 요청 단말(110)은 구조 요청 신호를 서버(120)에 전송한다. 그리고 구조 요청 단말(110)은 S520 단계에서,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제어 명령의 종류를 판단한다.
우선, 수신된 제어 명령이 녹음기 구동 명령인 경우, 구조 요청 단말(110)은 S525 단계로 진행하여 녹음기를 구동한다. 그리고 S530 단계에서, 녹음기 구동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완료 시 S535 단계에서 녹음 데이터를 서버(120)로 전송한다.
한편, 수신된 제어 명령이 카메라 구동 명령인 경우, 구조 요청 단말(110)은 S540 단계로 진행하여 카메라를 구동시키시고 바람직하게는 S545 단계에서 마이크를 온(on)할 수 있다. 그리고 구조 요청 단말(110)은 S550 단계에서 녹화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완료 시 S555 단계에서 카메라 데이터를 서버(1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수시된 제어 명령이 위치 정보 획득 명령인 경우, 구조 요청 단말(110)은 S560 단계로 진행하여 위치 정보 획득 모듈을 구동시킨다. 그리고 구조 요청 단말(110)은 S565 단계에서 위치 정보가 획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획득 시 S570 단계에서 위치 정보를 서버(120)로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12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버(120)는 무선 통신부(610), 저장부(620), 제어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610)는 서버(12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부(6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6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630)로 출력하고, 제어부(63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부(610)는 제어 단말(13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구조 요청 단말(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610)는 구조 요청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 실행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620)는 서버(12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서버(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서버(12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120)의 저장부(620)는 제어 단말 리스트(621)와 제어 명령 리스트(622)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 단말 리스트(621)는 구조 요청 단말(110)의 구조 요청 시, 구조 요청 단말(110)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단말(130)들에 대한 리스트이다. 그리고 제어 명령 리스트(622)는 구조 요청 단말(110)의 구조 요청 시, 제어 단말(130)이 구조 요청 단말(110)을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들에 대한 리스트이다. 상기 제어 명령 리스트는 표준화된 리스트로서 이종의 단말들 상호간에서도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제어부(630)는 서버(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630)는 구조 요청 단말(110)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제어 단말(130)들을 인증하고, 제어 단말(13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을 해석하여 구조 요청 단말(110)에게 전달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630)는 인증 절차 관리부(631)와 제어 명령 관리부(63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인증 절차 관리부(631)는 구조 요청 단말(110)로부터 제어 단말 리스트를 수신한다. 그러면 인증 절차 관리부(631)는 제어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각 단말들에게, 구조 요청 단말(110)에 대한 제어 단말로서 등록할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등록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인증 절차 관리부(631)는 승인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승인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을 제어 단말(130)로서 확정한다.
제어 명령 관리부(632)는 구조 요청 단말(110)의 구조 요청 시, 구조 요청 단말(11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송수신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 명령 관리부(632)는 제어 단말(13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녹음기 실행, 카메라 실행, 위치 정보 획득 등)을 수신하여, 이를 해석한 후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구조 요청 단말(110)에게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단말(13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을 그대로 구조 요청 단말(110)에게 포워딩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 요청 단말(11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부(710)는 구조 요청 단말(11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부(7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7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780)로 출력하고, 제어부(78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부(710)는 구조 요청 메시지를 서버(120)에 전송하거나,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710)는 제어 명령 실행에 따라 발생된 제어 명령 실행 결과 데이터를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위치 정보 획득 모듈(720)은 구조 요청 단말(110)의 지리학적인 위치 정보 예를 들어, 위도 또는 경도 정보를 획득하는 모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정보 획득 모듈(720)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WIPI와 같은 무선 랜 모듈일 수도 있다. 위치 정보 획득 모듈(720)은 제어부(780)로부터 위치 정보 획득 신호 인가 시, 구조 요청 단말(110)의 지리학적인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키 입력부(730)는 구조 요청 단말(110)의 기능 수행 등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이를 위해, 키 입력부(730)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키 입력부(730)는 SOS 서비스를 직접 개시하기 위한 핫 키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표시부(74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조 요청 단말(11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740)는 구조 요청 단말(11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750)는 구조 요청 단말(11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서버(110) 단락에서 기술한 바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750)는 구조 요청 단말(110)이 제어 단말(13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을 직접 해석할 수 있도록 제어 명령 리스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카메라(760)는 촬영된 이미지의 디지털화가 가능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이 경우, 이미지 센서는 CMOS, CCD, NMO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760)는 카메라 구동 제어 명령 전달 시,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버퍼에 전달하고, 상기 버퍼링된 이미지를 제어 명령 실행 결과 데이터로서 저장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77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부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처리부(770)는 녹음기 구동 제어 명령 전달 시, 마이크부를 구동하여 음성 데이터를 녹음하고, 녹음 완료 시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제어 명령 실행 결과 데이터로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구조 요청 단말(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780)는 제어 단말 리스트를 생성하여 서버(120)에 전송하고, 제어 단말(13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 명령을 실행한다. 특히, 제어부(780)는 제어 명령 실행을 위해, 제어 명령 처리부(78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어 명령 처리부(781)는 서버(120)를 통해 제어 단말(13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 명령 처리부(781)는 수신한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조 요청 단말(110)의 블록을 구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명령 처리부(781)는 녹음기 구동 명령 수신 시, 오디오 처리부(780)의 마이크부를 구동시켜 음성 데이터를 녹음한다. 또한, 제어 명령 처리부(781)는 카메라 구동 명령 수신 시, 카메라(760)를 구동시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명령 처리부(781)는 위치 정보 획득 명령 수신 시, 위치 정보 획득 모듈(720)을 구동시켜 구조 요청 단말(110)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 명령 처리부(781)는 상기 명령 실행 결과 발생한 제어 명령 실행 결과 데이터를 서버(120)를 통해 제어 단말(1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단말(13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부(810)는 제어 단말(13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부(8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8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840)로 출력하고, 제어부(84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부(810)는 구조 요청 단말(110)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서버(120)로 전송하고, 구조 요청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 실행 결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키 입력부(820)는 제어 단말(130)의 기능 수행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부(820)는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표시부(830)는 제어 단말(130)의 상태를 표시하며, 특히 구조 요청 단말(110)로부터 전송된 제어 명령 실행 결과 데이터를 시각적 방법으로 표시한다. 표시부(830)는 구조 요청 단말(110)이 전송한 영상 데이터 또는 위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840)는 제어 단말(1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840)는 구조 요청 단말(110)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서버(120)에 전송하고, 구조 요청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 실행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840)는 제어 명령 처리부(841)와 제어 명령 실행 결과 데이터 처리부(84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어 명령 처리부(84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이를 서버(120)에 전송한다. 상기 제어 명령은 표준화된 명령이며, 서버(120)의 제어 명령 리스트에 포함된 명령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제어 명령은 SMS 형태로 서버(120)에 전송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제어 명령 실행 결과 데이터 처리부(842)는 구조 요청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 실행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명령 실행 결과 데이터가 녹음 데이터인 경우 스피커를 구동시켜 녹음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또는 제어 명령 실행 결과 데이터가 카메라 데이터인 경우 표시부(830)를 구동시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한다. 제어 명령 실행 결과 데이터가 위치 정보인 경우에도, 제어 명령 실행 결과 데이터 처리부(842)는 표시부(830)를 구동시켜 위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 요청 단말로부터 구조를 요청받은 제어 단말이 서버를 통해 상기 구조 요청 단말을 원격 제어하여 구조 요청 단말의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SOS 서비스와는 달리 납치 이후의 상황에 대해서도 납치당한 사용자의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경찰 수사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위험에 처한 사용자를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서버 및 각 단말들의 내부 블록이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을 포함하며, 각 기능 블록이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이는 기술상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반드시 이와 같이 각 기능이 구분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기능 블록이 수행하는 특정 기능을 제어부 자체가 수행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구조 요청 단말 120 : 서버
130 : 제어 단말
<서버>
610 : 무선 통신부 620 : 저장부
621 : 제어 단말 리스트 622 : 제어 명령 리스트
630 : 제어부 631 : 인증 절차 관리부
632 : 제어 명령 관리부
<구조 요청 단말>
710 : 무선 통신부 720 : 위치 정보 획득 모듈
730 : 키 입력부 740 : 표시부
750 : 저장부 760 : 카메라
770 : 오디오 처리부 780 : 제어부
781 : 제어 명령 처리부
<제어 단말>
810 : 무선 통신부 820 : 키 입력부
830 : 표시부 840 : 제어부
841 : 제어 명령 처리부
842 : 제어 명령 실행 결과 데이터 처리부

Claims (16)

  1.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에 있어서,
    구조 요청 단말이 구조 요청 메시지를 서버를 통해 제어 단말로 전송하는 구조 요청 단계;
    상기 제어 단말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구조 요청 단말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조 권한을 획득하는 구조 권한 획득 단계;
    상기 제어 단말이 상기 구조 요청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구조 요청 단말에게 전송하는 제어 명령 전송 단계; 및
    상기 구조 요청 단말이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 결과 발생한 결과 데이터를 상기 제어 단말에 전송하는 결과 보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요청 단계 이전에,
    상기 서버가 상기 구조 요청 단말로부터 제어 단말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어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제어 단말 각각에 대해 제어 단말 등록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단말 등록 확인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승인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을 제어 단말로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녹음기 구동 명령, 카메라 구동 명령 또는 위치 정보 획득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이 녹음기 구동 명령인 경우,
    상기 제어 명령 전송 단계는.
    상기 제어 단말이 상기 구조 요청 단말의 녹음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녹음기 구동 제어 명령을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구조 요청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보고 단계는,
    상기 구조 요청 단말이 녹음기 구동 결과 데이터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제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단말이 수신된 녹음기 구동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이 카메라 구동 명령인 경우,
    상기 제어 명령 전송 단계는.
    상기 제어 단말이 상기 구조 요청 단말의 카메라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카메라 구동 제어 명령을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구조 요청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보고 단계는,
    상기 구조 요청 단말이 카메라 구동 결과 데이터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제어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단말이 수신된 카메라 구동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요청 단계는,
    상기 제어 단말이 상기 구조 요청 단말에게 발신을 시도하는 단계; 및
    설정된 횟수 이상 상기 구조 요청 단말에 대한 발신 실패 시, 상기 제어 단말이 상기 구조 권한 획득 단계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9. 휴대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구조 요청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리스트를 구비하며, 상기 구조 요청 단말을 제어하는 제어 단말에 대한 구조 권한을 인증하고, 상기 구조 요청 단말과 상기 제어 단말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중계하는 서버;
    구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버를 통해 제어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를 통해 제어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 결과 발생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제어 단말에게 전송하는 구조 요청 단말; 및
    상기 구조 요청 단말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조 권한을 상기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구조 요청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구조 요청 단말에게 전송하며, 상기 구조 요청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실행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제어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구조 요청 단말로부터 제어 단말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제어 단말 각각에 대해 제어 단말 등록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제어 단말 등록 확인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승인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을 제어 단말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녹음기 구동 명령, 카메라 구동 명령 또는 위치 정보 획득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이 녹음기 구동 명령인 경우,
    상기 제어 단말은,
    상기 구조 요청 단말의 녹음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녹음기 구동 제어 명령을 서버를 통해 상기 구조 요청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말은,
    상기 구조 요청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녹음기 구동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녹음기 구동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이 카메라 구동 명령인 경우,
    상기 제어 단말은,
    상기 구조 요청 단말의 카메라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카메라 구동 제어 명령을 서버를 통해 상기 구조 요청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말은,
    상기 구조 요청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카메라 구동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 구동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말은,
    상기 구조 요청 단말에게 발신을 시도하고, 설정된 횟수 이상 상기 구조 요청 단말에 대한 발신 실패 시 상기 서버에 구조 권한 승인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10012615A 2011-02-14 2011-02-14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764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615A KR101764210B1 (ko) 2011-02-14 2011-02-14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13/089,805 US8509730B2 (en) 2011-02-14 2011-04-19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 between mobile devices
US13/944,271 US9413617B2 (en) 2011-02-14 2013-07-17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 between mobile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615A KR101764210B1 (ko) 2011-02-14 2011-02-14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791A true KR20120092791A (ko) 2012-08-22
KR101764210B1 KR101764210B1 (ko) 2017-08-14

Family

ID=46637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615A KR101764210B1 (ko) 2011-02-14 2011-02-14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509730B2 (ko)
KR (1) KR1017642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3347A1 (ko) * 2013-02-05 2014-08-14 주식회사 엑스엔시스템즈 기업내 보안망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210B1 (ko) * 2011-02-14 2017-08-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9722811B2 (en) 2012-09-10 2017-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external apparatus connected with device
KR102177830B1 (ko) 2012-09-10 2020-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에 연결된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8655952B1 (en) * 2012-10-19 2014-02-18 Google Inc. Automating help tasks across multiple devices
US9137314B2 (en) * 2012-11-06 2015-09-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for personalized feedback
US11394462B2 (en) 2013-07-10 2022-07-19 Crowdcomfor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managing, and leveraging crowdsourced data
US10379551B2 (en) 2013-07-10 2019-08-13 Crowdcomfor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like interface for the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building systems
WO2015006622A1 (en) 2013-07-10 2015-01-15 Crowdcomfort, Inc. System and method for crowd-sourced environmental system control and maintenance
US10070280B2 (en) * 2016-02-12 2018-09-04 Crowdcomfor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everaging text messages in a mobile-based crowdsourcing platform
US10796085B2 (en) 2013-07-10 2020-10-06 Crowdcomfor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ross-device native functionality in a mobile-based crowdsourcing platform
US10541751B2 (en) 2015-11-18 2020-01-21 Crowdcomfor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eolocation services in a mobile-based crowdsourcing platform
CN104202370A (zh) * 2014-08-19 2014-12-10 广州金山网络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远程控制方法、系统、服务器及远程控制端
KR20160022645A (ko) * 2014-08-20 2016-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시지 전송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5516964A (zh) * 2014-09-25 2016-04-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远程控制的方法和终端
CN104993961A (zh) * 2015-06-30 2015-10-21 广州华多网络科技有限公司 设备控制方法、装置和系统
US10149114B2 (en) 2015-07-07 2018-12-04 Crowdcomfor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eolocation services in a mobile-based crowdsourcing platform
CN107484117A (zh) * 2016-06-08 2017-12-15 巧生核心有限公司 紧急求救系统
CN106685960B (zh) * 2016-12-28 2020-06-12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服务器远程管理卡登录管理方法和系统
IL301881B1 (en) 2017-02-23 2024-04-01 Magic Leap Inc Display system with variable power reflector
US11346755B2 (en) 2019-01-10 2022-05-31 Travera, Inc. Calibration of a functional biomarker instrument
KR20210038207A (ko) * 2019-09-30 2021-04-07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로그인 기반 장치 데이터 동기화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69775B1 (fr) * 1997-10-10 2000-03-03 Renault Dispositif et procede d'appel d'urgence
US20040198386A1 (en) * 2002-01-16 2004-10-07 Dupray Dennis J. Applications for a wireless location gateway
AUPQ439299A0 (en) * 1999-12-01 1999-12-2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terface system
US6853841B1 (en) * 2000-10-25 2005-02-08 Sun Microsystems, Inc. Protocol for a remote control device to enable control of network attached devices
US6970703B2 (en) * 2002-01-23 2005-11-29 Motorola, Inc. Integrated 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7245216B2 (en) * 2002-07-02 2007-07-17 Tri-Sentinel, Inc. First responder communications system
US7091852B2 (en) * 2002-07-02 2006-08-15 Tri-Sentinel, Inc. Emergency response personnel automated accountability system
JP2004254064A (ja) * 2003-02-20 2004-09-09 Nec Corp 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遠隔制御機能付き携帯型無線端末
US7146129B2 (en) * 2003-07-10 2006-12-05 Lucent Technologies Inc. Remote control of functions via wireless transmission of text-based messages
KR100566637B1 (ko) 2003-08-21 2006-03-31 주식회사 팬택 지피에스 및 이미지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통지 방법
US8265587B2 (en) * 2004-06-17 2012-09-11 Wes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mending instructions for emergency auxiliary services following an emergency services request
KR101000682B1 (ko) * 2004-08-13 2010-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rrc연결 설정방법
WO2007044972A2 (en) * 2005-10-12 2007-04-19 Snapin Software Inc. Message intercept methods, such as for customer self-support on a mobile device
KR100781707B1 (ko) * 2006-09-08 2007-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응급 시 화상통화의 자동연결 방법
US8116723B2 (en) * 2008-01-17 2012-02-14 Kaltsukis Calvin L Network server emergency information accessing method
US20090191839A1 (en) 2008-01-28 2009-07-30 Cannon Jr Thomas Calvin Personal alarm and serveillance system
US8135378B2 (en) * 2008-01-31 2012-03-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Emergency response system
KR20100070578A (ko) 2008-12-18 2010-06-28 주식회사 매크로아이 위성항법시스템을 이용한 안심존 이탈알림 영상통화자동발신
US9183560B2 (en) * 2010-05-28 2015-11-10 Daniel H. Abelow Reality alternate
KR101764210B1 (ko) * 2011-02-14 2017-08-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9294723B2 (en) * 2011-04-29 2016-03-22 Creston Electronics, Inc. Meeting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utomated equipment setup
US20120278408A1 (en) * 2011-04-29 2012-11-01 Crestron Electronics Inc. Meeting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utomated Equipment Setu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3347A1 (ko) * 2013-02-05 2014-08-14 주식회사 엑스엔시스템즈 기업내 보안망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09730B2 (en) 2013-08-13
US20120208485A1 (en) 2012-08-16
US20130304894A1 (en) 2013-11-14
US9413617B2 (en) 2016-08-09
KR101764210B1 (ko) 201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210B1 (ko)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1112243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ing electronic device security by intercepting and analyzing a communication
US9569643B2 (en) Method for detecting a security event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establishing audio transmission with a client computer
US88046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ireless connections and radio resources
US906592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xt based multimedia intercom services
KR10184428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정보에 기반한 휴대 단말기의 보안 관리 방법 및 장치
US11172037B2 (en) Claiming ownership of tracking devices
WO2020244478A1 (zh) 终端驻留方法及终端
US20120180136A1 (en) Content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KR20150026654A (ko) 전자장치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800326B2 (en) Issuing remote commands to tracking devices
JP2012123552A (ja) 認証方法、管理装置及び認証システム
EP28179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initiated audio communication
WO2016141657A1 (zh) 一种终端信息处理方法、终端、安全服务器及系统
US200700638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 Security
JP5490985B2 (ja) 無線通信端末
JP2007267327A (ja) 携帯電話機
JP2004032367A (ja) 位置検索システム
EP2654328B1 (en) Remote Request during On-Going Call
JP6650845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40002863A (ko) 안심 귀가 방법 및 시스템
CN117716751A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KR2012008210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