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0998A - Nadph 옥시다아제 억제제로서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 - Google Patents

Nadph 옥시다아제 억제제로서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0998A
KR20120090998A KR1020127007664A KR20127007664A KR20120090998A KR 20120090998 A KR20120090998 A KR 20120090998A KR 1020127007664 A KR1020127007664 A KR 1020127007664A KR 20127007664 A KR20127007664 A KR 20127007664A KR 20120090998 A KR20120090998 A KR 20120090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onally substituted
alkyl
heteroaryl
aryl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7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1273B1 (ko
Inventor
패트릭 파쥐
프란세스카 가지니
브누와 라레
Original Assignee
겐쿄텍스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겐쿄텍스 에스에이 filed Critical 겐쿄텍스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20090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2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471/1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61K31/5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having two nitrogen atoms, e.g. dilazep
    • A61K31/55131,4-Benzodiazepines, e.g. diazepam or clozapine
    • A61K31/55171,4-Benzodiazepines, e.g. diazepam or clozapine condensed with five-membered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imidazobenzodiazepines, triazol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16Otolog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4Antihaemorrhagics; Procoagulants; Haemostatic agents; Antifibrinoly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8/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8/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498/1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 C07D51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513/1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Diabetes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sychia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Obesit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Immu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와, 이의 약학 조성물 및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포스페이트 옥시다아제 (NADPH 옥시다아제)와 관련된 질환 또는 증상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NADPH 옥시다아제 억제제로서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 {PYRAZOLINE DIONE DERIVATIVES AS NADPH OXIDASE INHIBITORS}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와, 이의 약학 조성물 및 심혈관 질병, 호흡기 질환,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 피부 및/또는 뼈 질병, 신경 퇴화 질병, 신장 질병, 생식기 질환, 염증성 질환 및 암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포스페이트 옥시다아제 (NADPH 옥시다아제)의 활성 또는 기능을 조절하기 위한, 특히, 억제하기 위한 약학 제형물의 제조를 위하여 유용한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NADPH 옥시다아제 (NOX)는 생물학적 막을 가로질러 전자를 전달하는 단백질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수용체는 산소이고, 전자 전달 반응의 생성물은 과산화물이다. 그러므로, NOX 효소의 생물학적 기능은 산소로부터 반응성 산소 종 (ROS)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반응성 산소 종 (ROS)은 산소 유래 소형 분자인데, 이러한 것으로는 산소 라디칼 (과산화 음이온 [O2 -], 하이드록실 [HO], 퍼옥실 [ROO], 알콕실 [RO] 및 하이드로퍼옥실 [HOO]) 및 산화제이거나 그리고/또는 쉽게 라디칼로 변하는 특정한 비라디칼 (non-radicals)이 있다. 산화 질소 등의 질소 함유 산화제는 반응성 질소종 (RNS)으로 불린다. ROS 생성은 일반적으로 과산화물이 생성되면서 시작되는 케스케이드 반응이다. 과산화물은 자발적으로, 특히 낮은 pH에서 또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에 의하여 촉매되어 과산화수소로 신속하게 변형된다. ROS 생성의 케스케이드에서 다른 인자들로는, 산화질소와 과산화물이 반응하여 퍼옥시니트라이트를 형성하는 반응, 과산화수소로부터 차아염소산의 퍼옥시다아제 촉매 형성, 및 하이드록실 라디칼의 생성을 유도하는 철-촉매 펜톤 반응 (Fenton reaction)이 있다.
ROS는 다른 소형 무기 분자 및 DNA,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및 핵산을 비롯한 다수의 분자와 매우 잘 반응한다. 이러한 초기 반응은 2차 라디칼을 생성시킬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잠재적인 피해가 증폭된다. ROS는 세포내 피해 및 병원균 사멸 뿐 아니라, 모든 살아 있는 세포 및 조직에서 다수의 가역적인 조절 반응에 관여한다. 그러나, 기본적인 생리학적인 과정의 조절에서 ROS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ROS 생성은 표적 분자의 기능을 비가역적으로 파괴 또는 변형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ROS는 생물학적 유기체에 피해를 주는 가장 큰 기여자로서 점점 알려지고 있으며, 소위 "산화 스트레스"로 불린다.
염증 동안에, NADPH 옥시다아제는 염증 증상에 있는 혈관 세포에서 ROS 생성의 가장 중요한 급원 중 하나이다 (Thabut et al ., 2002, J. Biol . Chem ., 277:22814-22821).
폐에서, 조직은 대사 반응에 의하여 내인적으로 생성되는 (예컨대, 미토콘드리아 호흡 또는 리쿠르팅된 염증 세포의 활성화) 또는 공기 중에서 외인적으로 기인한 (예컨대, 담배 연기 또는 공기 오염) 산화제에 꾸준히 노출되고 있다. 더욱이, 폐는 다른 조직에 비하여 높은 산소 압박에 꾸준히 노출되고, 상당한 표면적을 가지고, 혈액 공급이 되며, 특히 ROS에 의하여 매개되는 상처에 취약하다 (Brigham , 1986, Chest , 89(6): 859-863). 폐 내피 세포 및 평활근 세포에서의 NADPH 옥시다아제 의존성 ROS 생성은 기재되어 있다.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서 NADPH 옥시다아제 활성화는 폐 고혈압 및 폐 혈관 수축 증가 등의 호흡기 질환의 발병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Djordjevic et al ., 2005, Arterioscler . Thromb. Vasc . Biol ., 25, 519-525; Liua et al ., 2004, Am . J. Physiol . Lung , Cell. Mol . Physiol ., 287: L111 -118). 더욱이, 폐 섬유증은 폐 염증과 과다한 ROS 생성이 특징이다.
파골세포 (Osteoclasts)는, 뼈의 턴-오버 (turn-over) (예컨대, 뼈 재흡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마크로파지형 세포인데, NADPH 옥시다아제-의존성 메카니즘을 통하여 ROS를 발생시킨다 (Yang et al ., 2002, J. Cell . Chem . 84, 645-654).
당뇨병은 인간과 동물에 있어, 산화 스트레스 (예컨대, 글루코스의 자가 산화에 의하여 ROS의 증가된 발생)를 증가시키고, 증가된 산화 스트레스는 당뇨병 합병증의 발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 래트에서 중심 망막의 증가된 과산화물 편재화 및 내피 세포 부전은 망막 내피 세포에서 NADPH 옥시다아제 활성의 영역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llis et al ., 2000, Free Rad . Biol . Med ., 28:91-101). 더욱이, 미토콘드리아 및/또는 염증에서 산화 스트레스 (ROS)를 조절하는 것은 당뇨병의 치료에 유익한 것일 수 있음이 제안된 바 있다 (Pillarisetti et al ., 2004, Expert Opin . Ther . Targets , 8(5):401-408).
ROS는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세포 증식, 고혈압 및 재관류 외상 심혈관 질병의 발병에 일반적으로 밀접하게 관여한다 (Cai et al ., 2003, Trends Pharmacol . Sci ., 24:471-478). 과산화물 생성, 예컨대 동맥 벽에서 아테롬성 동맥경화증에 대한 모든 위험 인자가 증가되는 것뿐만 아니라, ROS도 시험관내 세포 반응에서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을 유발할 수 있다 (proatherogenic)". 혈관 세포에서 ROS의 형성의 중요한 결론은 산화질소 (NO)의 소모이다. NO는 혈관 질병의 발병을 억제하고, NO의 손실은 심혈관 질병의 발병에 있어 중요하다. 풍선 외상 (balloon injury) 후 혈관 벽 중 NADPH 옥시다아제 활성에 있어서 증가가 보고된 바 있다 (Shi et al ., 2001, Throm . Vasc . Biol ., 2001, 21, 739-745).
산화 스트레스 또는 자유 라디칼 손상은 신경 퇴행성 질병에 있어서 주요 유발 인자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손상으로는 미토콘드리아 비정상, 신경 탈수초화, 세포 자멸, 신경 사멸 및 인지 행동 감소, 진행성 신경 퇴행성 질환의 발전을 잠재적으로 유도할 가능성 등이 있다 (Nunomura et al ., 2001, J. Neuropathol . Exp . Neurol ., 60:759-767; Girouard , 2006, J. Appl . Physiol . 100:328-335).
더욱이, 정자에 의한 ROS의 발생은 다수의 종에서 증명된 바 있으며, 정충내 NADPH 옥시다아제에 기여하는 것으로 제안된 바 있다 (Vernet et al ., Biol . Reprod ., 2001, 65:1102-1113). 과량의 ROS 생성은 불임과 일부 음경 질환 및 전립선암을 비롯한 정자 병리학에 관여하는 것으로 제안된 바 있다.
NADPH 옥시다아제는 막에 결합한 시토크롬 b558 도메인과 세 개의 세포질 단백질 서브유닛인 p47phox, p67phox 및 소형 GTPase인, Rac으로 이루어진다. NOX 효소의 7개의 이소폼이 동정된 바 있는데, 여기에는 NOX1, NOX2, NOX3, NOX4, NOX5, DUOX1 및 DUOX2가 있다 (Leto et al ., 2006, Antioxid Redox Signal , 8(9-10):1549-61; Cheng et al ., 2001, Gene , 16;269(1-2):131-40).
그러므로, NADPH로부터 유래된 ROS는 각종 질병, 특히 심혈관 질병 또는 질환, 호흡기 질환 또는 질병,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 또는 질환, 뼈 질환, 신경 퇴행성 질병, 염증 질병, 생식기 질환 또는 질병, 통증, 암 및 위장관의 질병 또는 질환의 발병에 기여한다. 그러므로, ROS 신호전달 캐스케이드, 특히 NADPH 옥시다아제 (NOX)에 집중하여 신규의 활성 제제를 개발하는 것이 몹시 요구되는 실정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심혈관 질병, 호흡기 질환,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 피부 및/또는 뼈 질병, 신경 퇴행성 질병, 신장 질병, 생식기 질환, 염증성 질환, 암, 알러지성 질환, 외상성 상해 (traumatisms), 패혈성, 출혈성 및 과민성 쇼크, 위장관의 질병 또는 질환, 혈관 신생 및 혈관 신생 의존성 증상 등의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포스페이트 옥시다아제 (NADPH 옥시다아제) 관련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유용한 신규 분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세포내에서 ROS 생성의 억제 또는 감소에 유용한 신규 분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관점에서는, 화학식 (I)의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와,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활성인 유도체를 제공하는데, 여기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7, R18, X 및 n은 아래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관점에서는, 의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와,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활성인 유도체를 제공하는데, 여기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7, R18, X 및 n은 아래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세 번째 관점은 1종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활성인 유도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관점은 심혈관 질환, 호흡기 질환, 대사 질환, 피부 질환, 뼈 질환, 신경 염증 및/또는 신경 퇴행성 질환, 신장 질병, 생식기 질환, 눈 및/또는 망막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 및/또는 내이에 영향을 미치는 증상, 염증성 질환, 간 질병, 통증, 암, 알러지성 질환, 외상성 상해, 패혈성, 출혈성 및 과민성 쇼크, 위장관의 질병 또는 질환, 혈관 신생 및 혈관 신생 의존성 및/또는 그외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포스페이트 옥시다아제 (NADPH 옥시다아제)와 관련된 질병 및 질환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 또는 증상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활성인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관점은, 심혈관 질환, 호흡기 질환, 대사 질환, 피부 질환, 뼈 질환, 신경 염증 및/또는 신경 퇴행성 질환, 신장 질병, 생식기 질환, 눈 및/또는 망막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 및/또는 내이에 영향을 미치는 증상, 염증성 질환, 간 질병, 통증, 암, 알러지성 질환, 외상성 상해, 패혈성, 출혈성 및 과민성 쇼크, 위장관의 질병 또는 질환, 혈관 신생 및 혈관 신생 의존성 및 그 외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포스페이트 옥시다아제 (NADPH 옥시다아제)와 관련된 질병 및/또는 질환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 또는 증상을 앓고 있는 환자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화학식 (I)에 따른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와,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활성인 유도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상기 화학식 중,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7, R18, X 및 n은 아래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여섯 번째 관점은, 심혈관 질환, 호흡기 질환, 대사 질환, 피부 질환, 뼈 질환, 신경 염증 및/또는 신경 퇴행성 질환, 신장 질병, 생식기 질환, 눈 및/또는 망막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 및/또는 내이에 영향을 미치는 증상, 염증성 질환, 간 질병, 통증, 암, 알러지성 질환, 외상성 상해, 패혈성 출혈성 및 과민성 쇼크, 위장관의 질병 또는 질환, 혈관 신생 및 혈관 신생 의존성 및 그 외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포스페이트 옥시다아제 (NADPH 옥시다아제)와 관련된 질병 및/또는 질환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 또는 증상의 치료를 위한 화학식 (I)의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활성인 유도체에 관한 것인데, 상기 화학식 중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7, R18, X 및 n은 아래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곱번 째 관점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I)의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 중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덟번 째 관점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I)의 중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아홉번 째 관점은, 화학식 (I)의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인데, 상기 식에서 R1,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7, R18, X 및 n은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R2는 H이다.
본 발명의 열번 째 관점은, 화학식 (I)의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인데, 상기 화학식 중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7, R18, X 및 n은 아래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아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다음의 문단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구성하는 각종 화학적 모이어티들의 정의를 제공하며, 이는 별도로 나타내거나 또는 더 넓은 의미를 기재하지 않는 한은, 명세서 및 청구 범위를 통하여 동일한 뜻으로 적용된다.
단독으로 또는 다른 용어와 함께 사용될 때 "알킬"이라는 용어는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C1-C20 알킬을 말하는데, 이는 곧 탄소 원자가 1 내지 20개인 1가 알킬기를 가리킨다. 이 용어는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s-부틸, i-부틸, t-부틸, n-펜틸, 1-에틸프로필, 2-메틸부틸, 3-메틸부틸, 2,2-디메틸프로필, n-헥실, 2-메틸펜틸, 3-메틸펜틸, 4-메틸펜틸, n-헵틸, 2-메틸헥실, 3-메틸헥실, 4-메틸헥실, 5-메틸헥실, n-헵틸, n-옥틸, n-노닐, n-데실, 테트라하이드로게라닐, n-도데실, n-트리데실, n-테트라데실, n-펜타데실, n-헥사데실, n-옥타데실, n-노나데실 및 n-에이코사닐 등의 작용기로 예시된다. 좋기로는, 이는 C1-C9 알킬, 더욱 좋기로는 C1-C6 알킬, 특히 좋기로는 C1-C4 알킬도 포함하는데, 즉, 탄소 원자가 1 내지 9개인 1가 알킬기와, 탄소 원자가 1 내지 6개인 1가 알킬기, 탄소 원자가 1 내지 4개인 1가 알킬기도 포함하는 것이다. 특히, 이는 C1-C6 알킬기를 포함한다.
단독으로 또는 다른 용어와 함께 사용될 때 "알케닐"이라는 용어는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C2-C20 알케닐을 포함한다. 이들은 가능한 위치에서 이중 결합의 가능한 숫자를 가질 수 있는데, 이중 결합의 배열은 (E) 또는 (Z) 구조일 수 있다. 이 용어는 비닐, 알릴, 이소프로페닐, 1-프로페닐, 2-메틸-1-프로페닐, 1-부테닐, 2-부테닐, 3-부테닐, 2-에틸-1-부테닐, 3-메틸-2-부테닐, 1-펜테닐, 2-펜테닐, 3-펜테닐, 4-펜테닐, 4-메틸-3-펜테닐, 1-헥세닐, 2-헥세닐, 3-헥세닐, 4-헥세닐, 5-헥세닐, 1-헵테닐, 1-옥테닐, 게라닐, 1-데세닐, 1-테트라데세닐, 1-옥타데세닐, 9-옥타데세닐, 1-에이코세닐, 및 3, 7, 11, 15-테트라메틸-1-헥사데세닐 등의 작용기로 예시된다. 좋기로는, 이는 C2-C8 알케닐, 더욱 좋기로는 C2-C6 알케닐을 포함한다. 그 중에서도 특히 양호한 것은 비닐 또는 에테닐 (-CH=CH2), n-2-프로페닐 (알릴, -CH2CH=CH2), 이소프로페닐, 1-프로페닐, 2-메틸-1-프로페닐, 1-부테닐, 2-부테닐, 및 3-메틸-2-부테닐 등이다.
단독으로 또는 다른 용어와 함께 사용될 때 "알키닐"이라는 용어는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C2-C20 알키닐을 포함한다. 이는 임의의 가능한 위치에 임의의 가능한 숫자의 삼중 결합이 있을 수 있다. 이 용어는 탄소 수가 2 내지 20개이고, 임의로는 이중 결합이 있는 알키닐기 등의 기, 예컨대, 에티닐 (-C≡CH), 1-프로피닐, 2-프로피닐 (프로파르길: -CH2C≡CH), 2-부티닐, 2-펜텐-4-이닐 등이 있다. 특히, 이는 C2-C8 알키닐, 더욱 좋기로는 C2-C6 알키닐 등을 포함한다. 좋기로는, 이는 C2-C6 알키닐을 포함하는데, 이는 탄소 원자 수가 2 내지 6개이고, 알키닐 불포화 자리가 1개 또는 2개 이상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헤테로알킬"이라는 용어는 C1-C12-알킬, 좋기로는 C1-C6 -알킬로서 이 중 1개 이상의 탄소 원자가 O, N, 또는 S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로 치환되는 것을 말하며, 여기에는 2-메톡시에틸 등이 있다.
"아릴"이라는 용어는 단일 링 (예컨대 페닐) 또는 다중 축합 링 (예컨대, 인데닐, 나프틸)을 가지는 탄소 원자가 6 내지 14개인 불포화 방향족 카르보사이클릭기를 말한다. 아릴에는 페닐, 나프틸, 안트릴, 페난트레닐 등이 있다.
"C1-C6 알킬 아릴"이라는 용어는 C1-C6 알킬 치환체를 가지는 아릴기를 말하는데, 여기에는 메틸페닐, 에틸페닐 등이 있다.
"아릴 C1-C6 알킬"이라는 용어는 아릴 치환체를 가지는 C1-C6 알킬기를 말하는데, 여기에는 3-페닐프로파닐, 벤질 등이 있다.
"헤테로아릴"이라는 용어는 모노사이클릭 헤테로방향족기 또는 바이사이클릭 또는 트리사이클릭 융합 링 헤테로방향족기를 말한다. 헤테로방향족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임의 치환된 피리딜, 피롤릴, 피리미디닐, 퓨릴, 티에닐, 이미다졸릴, 옥사졸릴, 이소옥사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피라졸릴, 1,2,3-트리아졸릴, 1,2,4-트리아졸릴, 1,2,3-옥사디아졸릴, 1,2,4-옥사디아졸릴, 1,2,5-옥사디아졸릴, 1,3,4-옥사디아졸릴, 1,3,4-트리아지닐, 1,2,3-트리아지닐, 벤조퓨릴, [2,3-디하이드로]벤조퓨릴, 이소벤조퓨릴, 벤조티에닐, 벤조트리아졸릴, 이소벤조티에닐, 인돌릴, 이소인돌릴, 3H-인돌릴, 벤즈이미다졸릴, 이미다조[1,2-a]피리딜, 벤조티아졸릴, 벤즈옥사졸릴, 퀴놀리지닐, 퀴나졸리닐, 프탈라지닐, 퀴녹살리닐, 시놀리닐, 나프티리디닐, 피리도[3,4-b]피리딜, 피리도[3,2-b]피리딜, 피리도[4,3-b]피리딜, 퀴놀릴, 이소퀴놀릴, 테트라졸릴, 5,6,7,8-테트라하이드로퀴놀릴, 5,6,7,8-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릴, 퓨리닐, 프테리디닐, 카르바졸릴, 잔테닐 또는 벤조퀴놀릴이 있다.
"C1-C6 알킬 헤테로아릴"이라는 용어는 C1-C6 알킬 치환체를 가지는 헤테로아릴을 말하는데, 메틸 퓨릴 등이 있다.
"헤테로아릴 C1-C6 알킬"이라는 용어는 헤테로아릴 치환체를 가지는 C1-C6 알킬기를 말하는데, 퓨릴 메틸 등이 있다.
"C2-C6 알케닐 아릴"이라는 용어는 C2-C6 알케닐 치환체를 가지는 아릴기를 말하는데, 비닐 페닐 등이 있다.
"아릴 C2-C6 알케닐"이라는 용어는 아릴 치환체를 가지는 C2-C6 알케닐기를 말하는데, 페닐 비닐 등이 있다.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이라는 용어는 C2-C6 알케닐 치환체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를 말하는데, 여기에는 비닐 피리디닐 등이 있다.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이라는 용어는 헤테로아릴 치환체를 가지는 C1-C6 알케닐기를 말하는데, 피리디닐 비닐 등이 있다.
"C3-C8-사이클로알킬"이라는 용어는 단일 링 (예컨대, 사이클로헥실) 또는 다중 축합 링 (예컨대, 노르보르닐)을 가지는 탄소 원자가 3 내지 8개인 포화된 카르보사이클릭기를 말한다. C3-C8-사이클로알킬에는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노르보르닐 등이 있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라는 용어는 전술한 정의에 따른 C3-C8-사이클로알킬기로서, 이중 최대 3개의 탄소 원자가 O, S, NR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 원자로 치환되며, 여기서 R은 수소 또는 메틸로 정의되는 것을 말한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에는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모르폴리닐, 테트라하이드로퓨라닐 등이 있다.
"C1-C6 알킬 C3-C8-사이클로알킬"이라는 용어는 C1-C6 알킬 치환체를 가지는 C3-C8-사이클로알킬기를 말하며, 메틸 사이클로펜틸 등이 있다.
"C3-C8-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이라는 용어는 C3-C8-사이클로알킬 치환체를 가지는 C1-C6 알킬기를 말하며, 3-사이클로펜틸 프로필 등이 있다.
"C1-C6 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라는 용어는 C1-C6 알킬 치환체를 가지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를 말하며, 4-메틸피페리디닐 등이 있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이라는 용어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치환체를 가지는 C1-C6 알킬기를 말하며, (1-메틸피페리딘-4-일) 메틸 등이 있다.
"카르복시"라는 용어는 -C(O)OH기를 말한다.
"카르복시 C1-C6 알킬" 이라는 용어는 카르복시 치환체를 가지는 C1-C6 알킬기를 말하며, 2-카르복시에틸 등이 있다.
"아실"이라는 용어는 -C(O)R기를 말하며, 여기서, R은 H, "알킬", 좋기로는 "C1-C6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3-C8-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C1-C6 알킬", "C3-C8-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을 포함하고, 아실의 예로는 아세틸 등이 있다.
"아실 C1-C6 알킬"이라는 용어는 아실 치환체를 가지는 C1-C6 알킬기를 말하며, 2-아세틸에틸 등이 있다.
"아실 아릴"이라는 용어는 아실 치환체를 가지는 아릴기를 말하며, 2-아세틸페닐 등이 있다.
"아실옥시"라는 용어는 -OC(O)R기를 말하며, 여기서 R은 H, "C1-C6 알킬",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3-C8-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아릴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아릴 C2-C6 알키닐", "헤테로아릴 C2-C6 알키닐", "C3-C8-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을 포함하고, 아실옥시의 예에는 아세틸옥시 등이 있다.
"아실옥시 C1-C6 알킬"이라는 용어는 아실옥시 치환체를 가지는 C1-C6 알킬기를 말하고, 2-(에틸카르보닐옥시)에틸 등이 있다.
"알콕시"라는 용어는 -O-R기를 말하는 것인데, 여기서 R은 "C1-C6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 C1-C6 알킬" 또는 "헤테로아릴 C1-C6 알킬"을 포함한다. 양호한 알콕시기로는 메톡시, 에톡시, 페녹시 등이 있다.
"알콕시 C1-C6 알킬"이라는 용어는 알콕시 치환체를 가지는 C1-C6 알킬기를 말하는 것인데, 메톡시에틸 등이 있다.
"알콕시카르보닐"이라는 용어는 -C(O)OR기를 말하는 것인데, 여기서 R은 "C1-C6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C1-C6 알킬" 또는 "헤테로알킬"을 포함한다.
"알콕시카르보닐 C1-C6 알킬"이라는 용어는 알콕시카르보닐 치환체를 가지는 C1-C6 알킬기를 말하는데, 2-(벤질옥시카르보닐)에틸 등이 있다.
"아미노카르보닐"이라는 용어는 -C(O)NRR'기를 말하는데, 여기서 R 및 R'은 독립적으로 H, C1-C6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 C1-C6 알킬" 또는 "헤테로아릴 C1-C6 알킬"이고, 아미노카르보닐의 예로는 N-페닐카르보닐 등이 있다.
"아미노카르보닐 C1-C6 알킬"이라는 용어는 아미노카르보닐 치환체를 가지는 알킬기를 말하는데, 그 예로는 2-(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에틸, N-에틸 아세트아미딜, N,N-디에틸-아세트아미딜 등이 있다.
"아실아미노"라는 용어는 -NRC(O)R'기를 말하는 것인데, 여기서 R 및 R'은 독립적으로 H, "C1-C6 알킬",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3-C8-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아릴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아릴 C2-C6 알키닐", "헤테로아릴 C2-C6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이고, 아실아미노의 예로는 아세틸아미노 등이 있다.
"아실아미노 C1-C6 알킬"이라는 용어는 아실아미노 치환체를 가지는 C1-C6 알킬기를 말하고, 2-(프로피오닐아미노)에틸 등이 있다.
"유레이도"라는 용어는 -NRC(O)NR'R''기를 말하는데, 여기서, R, R' 및 R''은 독립적으로 H, "C1-C6 알킬", "알케닐", "알키닐", "C3-C8-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아릴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아릴 C2-C6 알키닐", "헤테로아릴 C2-C6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이고, 여기서 R'과 R''은 질소 원자와 함께 결합되어 임의로는 3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링을 형성할 수 있다.
"유레이도 C1-C6 알킬"이라는 용어는 유레이도 치환체를 가지는 C1-C6 알킬기를 말하는데, 2-(N'-메틸유레이도)에틸 등이 있다.
"카르바메이트"라는 용어는 -NRC(O)OR'기를 말하는데, 여기서 R과 R'은 독립적으로, "C1-C6 알킬",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3-C8-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아릴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아릴 C2-C6 알키닐", "헤테로아릴 C2-C6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이고, 임의로는 R은 수소일 수 있다.
"아미노"라는 용어는 -NRR'기를 말하는데, 여기서, R과 R'은 독립적으로, H, "C1-C6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여기서, R과 R'은 질소 원자와 함께 결합하여 3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링을 형성할 수 있다.
"아미노 알킬"이라는 용어는 아미노 치환체를 가지는 알킬기를 말하고, 2-(1-피롤리디닐)에틸 등이 있다.
"암모늄"이라는 용어는 양으로 하전된 -N+RR'R''기를 말하는데, 여기서 R, R', R''은 독립적으로 "C1-C6 알킬, "C1-C6 알킬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R과 R'은 질소 원자와 함께 서로 결합되어 3 내지 8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링을 임의로 형성할 수 있다.
"암모늄 알킬"이라는 용어는 암모늄 치환체를 가지는 알킬기를 말하는데, 1-에틸피롤리디늄 등이 있다.
"할로겐"이라는 용어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아이오도 원자를 말한다.
"술포닐옥시"라는 용어는 -OSO2-R기를 말하며, R은 "C1-C6 알킬", 할로겐으로 치환된 "C1-C6 알킬", 예컨대, -OSO2-CF3기, "C2-C6 알케닐", "알키닐", "C3-C8-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아릴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아릴 C2-C6 알키닐", "헤테로아릴 C2-C6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술포닐옥시 C1-C6 알킬"이라는 용어는 술포닐옥시 치환체를 가지는 알킬기를 말하는데, 2-(메틸술포닐옥시)에틸 등이 있다.
"술포닐"이라는 용어는 "-SO2-R"기를 말하는데, 여기서 R은 "아릴", "헤테로아릴", "C1-C6 알킬", 할로겐으로 치환된 "C1-C6 알킬", 예컨대, -SO2-CF3기,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3-C8-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아릴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아릴 C2-C6 알키닐", "헤테로아릴 C2-C6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술포닐 C1-C6 알킬"이라는 용어는 술포닐 치환체를 가지는 알킬기를 말하는데, 2-(메틸술포닐)에틸 등이 있다.
"술피닐"이라는 용어는 "-S(O)-R"기를 말하는데, 여기서 R은 "알킬",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 가령, -SO-CF3기,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3-C8-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아릴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아릴 C2-C6 알키닐", "헤테로아릴 C2-C6 알키닐", "C3-C8-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술피닐 알킬"이라는 용어는 술피닐 치환체를 가지는 알킬기를 말하는데, 2-(메틸술피닐)에틸 등이 있다.
"술파닐"이라는 용어는 "-S-R"기를 말하는데, 여기서 R에는 H, "C1-C6 알킬", 할로겐으로 치환된 "C1-C6 알킬", 가령, -S-CF3기,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3-C8-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아릴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아릴 C2-C6 알키닐", "알키닐 헤테로아릴", "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이 포함된다. 양호한 술파닐기에는 메틸술파닐, 에틸술파닐 등이 있다.
"술파닐 C1-C6 알킬"이라는 용어는 술파닐 치환체를 가지는 C1-C5-알킬기를 말하는데, 2-(에틸술파닐)에틸 등이 있다.
"술포닐아미노"라는 용어는 -NRSO2-R'기를 말하는데, 여기서 R과 R'은 독립적으로 "C1-C6 알킬",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3-C8-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아릴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아릴 C2-C6 알키닐", "헤테로아릴 C2-C6 알키닐", "C3-C8-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이다.
"술포닐아미노 C1-C6 알킬"이라는 용어는 술포닐아미노 치환체를 가지는 알킬기를 말하는데, 2-(에틸술포닐아미노)에틸 등이 있다.
"아미노술포닐"이라는 용어는 -SO2-NRR'기를 말하는데, 여기서 R과 R'은 독립적으로 H, "C1-C6 알킬",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3-C8-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아릴 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아릴 C2-C6 알키닐", "헤테로아릴 C2-C6 알키닐", "C3-C8-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이며, R과 R'은 질소 원자와 함께 서로 결합하여 3-8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링을 임의로 형성할 수 있다. 아미노술포닐기에는 사이클로헥실아미노술포닐, 피페리디닐술포닐 등이 있다.
"아미노술포닐 C1-C6 알킬"이라는 용어는 아미노술포닐 치환체를 가지는 C1-C6 알킬기를 말하고, 2-(사이클로헥실아미노술포닐)에틸 등이 있다.
개별적인 치환체의 정의에 반하지 않는 한, 상기 모든 치환체는 모두 임의 치환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치환체의 정의에 반하지 않는 한, "치환된"이라는 용어는 "C1-C6 알킬",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3-C8-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미노", "아미노술포닐", "암모늄", "아실 아미노", "아미노 카르보닐", "아릴", "헤테로아릴", "술피닐", "술포닐", "알콕시", "알콕시 카르보닐", "카르바메이트", "술파닐", "할로겐", "트리할로메틸", "시아노", "하이드록시", "머캅토", "니트로"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5개의 치환체로 치환되는 기를 말한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복합체"라는 용어는 아래에 구체화되는 화학식 (I)의 염 또는 복합체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염의 예로는 화학식 (I)의 화합물과, 알칼리 금속 (나트륨, 칼륨 또는 리튬), 알칼리토금속 (예컨대, 칼슘 또는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 등의 금속 양이온의 하이드록사이드, 카르보네이트 또는 바이카르보네이트 등의 유기 또는 무기 염기와의 반응,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과 유기 1차 아민, 2차 아민 또는 3차 알킬 아민과의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염기 첨가 염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트리메틸아민, 에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모르폴린, N-Me-D-글루카민, N,N'-비스(페닐메틸)-1,2-에탄디아민, 트로메타민,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N-메틸모르폴린, 프로카인, 피페리딘, 피페라진 등에서 유래한 아민염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무기산 (예컨대, 염산, 브롬산, 황산, 인산, 질산 등)으로 형성된 산 첨가염으로부터 형성되는 염과, 아세트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말산, 푸마르산, 말레산, 아스코르브산, 벤조산, 타닉 (tannic)산, 팔모산, 알긴산, 폴리글루탐산, 나프탈렌 술폰산, 나프탈렌 디술폰산 및 폴리갈락투론산 등의 유기산으로 형성된 산 첨가염으로부터 형성되는 염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약학적으로 활성인 유도체"라는 용어는 수용체에게 투여하였을 때 본 발명에 기재된 활성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화합물을 말한다. "간접적으로"라는 용어는 내인성 효소 또는 대사를 통하여 활성 형태의 약물로 전환될 수 있는 프로드럭을 포함한다. 프로드럭은 화학적으로 또는 대사적으로 분해 가능한 기를 가지는 NADPH 옥시다아제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유도체이고, 생체내에서 생리학적 조건 하에 가용매에 의해 약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로 전환될 수 있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토토머도 더 포함한다.
"심혈관 질환 또는 질병"이라는 용어는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과, 특히 고혈압, 제1형 또는 제2형 당뇨병의 심혈관 합병증, 혈관 내막 증식증, 관상 동맥 질환, 대뇌, 관상 또는 동맥 혈관 경련, 내피 부전, 울혈성 심부전을 비롯한 심부전, 말초 동맥 질병, 재협착, 스텐트에 의하여 유발된 외상, 뇌졸중, 허혈성 공격, 장기 이식 후 등의 혈관 합병증, 심근 경색, 고혈압, 아테롬성 동맥경화 플라크의 형성, 혈소판 응집, 협십증, 동맥류, 대동맥 박리, 허혈성 심장 질환, 심장 비대, 폐색전, 심정맥 혈전증을 비롯한 혈전증, 혈류의 회복 또는 장기 이식, 개흉술, 혈관 형성술, 출혈성 쇼크, 심장, 뇌, 간, 신장, 망막 및 장을 비롯한 허혈성 기관의 혈관 형성술 후 산소 전달에 의한 허혈증 후 유발된 외상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내피 부전과 관련된 질병 또는 질환을 포함한다.
"호흡기 질환 또는 질병"이라는 용어는, 천식, 기관지염, 알러지성 비염, 성인 호흡기 증후군, 낭포성 섬유증, 폐 바이러스 감염 (인플루엔자), 폐 고혈압, 특발성 폐 섬유증 및 만성 폐색성 폐 질환 (COPD)을 포함한다.
"알러지성 질환"이라는 용어는 고초열 및 천식을 포함한다.
"외상성 상해"라는 용어는 다중 외상성 상해를 포함한다.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 또는 질환"이라는 용어는 비만, 대사 증후군 및 제2형 당뇨병을 포함한다.
"피부 질병 또는 질환"이라는 용어는 건선, 습진, 피부염, 상처 치유 및 흉터 형성을 포함한다.
"뼈 질환"이라는 용어는 골다공증, 오스테오포라시스 (osteoporasis), 골경화증, 치골근막염 및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을 포함한다.
"신경 퇴행성 질병 또는 질환"이라는 용어는 중추 신경계 (CNS) 퇴화 또는 변화가 특징인 질병 또는 상태를 포함하는데, 특히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턴병, 근위축성 축색 경화증, 간질 및 근디스트로피 등의 뉴런의 수준의 질병을 말한다. 이 용어는 신경 염증 및 탈수초화 상태 또는 백색질뇌병증 (leukoencephalopathies) 및 백색질장애 (leukodystrophies) 등의 질병을 더 포함한다.
"탈수초화"라는 용어는 액손을 둘러싼 수초의 분해를 포함하는 CNS의 상태 또는 질병을 이르는 말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탈수초화 질병이라는 용어는 다발성 경화증, 진행 다초점 백색질뇌병증 (PML), 탈수초증, CNS 내부의 자가반응성 백혈구를 포함하는 신경 염증, 울혈성 대사 질환, 비정상적 수초를 가지는 신경병증, 약물 유도성 탈수초화, 방사선 유도성 탈수초화, 유전성 탈수초증, 프리온 유도성 탈수초증, 뇌염 유발성 탈수초증 또는 척수 외상 등의 세포를 탈수초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증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좋기로는, 상기 증상은 다발성 경화증이다.
"신장 질병 또는 질환"이라는 용어는 당뇨병 신경병증, 신부전, 사구체 신염, 아미노 글리코사이드 및 백금 화합물의 신경 독성 및 과다 활성 방광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용어는 만성 신장 질병 또는 질환을 포함한다.
"생식기 질환 또는 질병"이라는 용어는 발기 부전, 불임 질환, 전립선 비대증 및 양성 전립선 비대증을 포함한다.
"눈 및/또는 망막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 또는 질환"이라는 용어는 당뇨병 백내장, 백내장 수술 후 망막 재혼탁화, 망막병증의 당뇨병 형태 및 기타 형태를 포함한다.
"내이에 영향을 미치는 증상"이라는 용어는 노청 (presbyacusis), 이명, 메니에르 질병 및 기타 균형 문제, 유트리쿨로리티아시스 (utriculolithiasis), 전정성 편두통 (vestibular migraine), 및 소음 유발성 청력 손상 및 약물 유도성 청력 손상 (ototoxicity)을 포함한다.
"염증성 질환 또는 질병"이라는 용어는 염증성 장 질병, 패혈증, 패혈성 쇼크, 성인 호흡기 증후군, 췌장염, 외상에 의하여 유발되는 쇼크, 기관지 천식, 알러지성 비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만성 류마티스성 관절염,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대뇌 출혈, 뇌경색, 심부전, 심근 경색, 건선, 낭포성 섬유증, 뇌졸중, 급성 기관지염, 만성 기관지염, 급성 세기관지염, 만성 세기관지염, 퇴행성 관절염, 통풍, 척수염, 강직성 척추염, 류터 증후군 (Reuter syndrome), 건선 관절염, 척추 관절염, 소아 관절염 또는 소아 강직성 척추염, 반응성 관절염, 감염성 관절염 또는 감염 후 관절염, 임균성 관절염, 매독성 관절염, 라임병, "혈관염 증후군 (angiitis syndrome)"에 의하여 유발된 관절염, 결절성 다발동맥염, 과민성 혈관염, 류제넥 육아용종 (Luegenec granulomatosis), 류마티스성 다발성 근육통, 관절 세포 류마티즘, 칼슘 결정 침착 관절염, 슈도통풍 (pseudogout), 비관절염성 류마티즘, 윤활낭염, 건초염, 상과 염증 (테니스 엘보), 손목 터널 증후군, 반복 사용 (타이핑)에 의한 질환, 관절염의 혼합된 형태, 신경장애성 관절장애, 출혈성 관절염, 혈관 자반병, 비대성 골관절증, 다중심망내조직구증, 특정 질병에 의하여 유발된 관절염, 혈액 침착, 낫세포 질병 및 다른 헤모글로빈 비정상, 과지단백증, 저감마글로불린혈증, 부갑상선기능항진증, 말단비대증, 가족성 지중해열, 베체트병, 전신 홍반성 자가 면역 질병, 다발성 경화증 및 크론병 또는 질병 등 재발성 다연골염, 만성 염증성 장질병 (IBD) 또는 NADPH 옥시다아제를 억제하기 위한 충분한 투여량으로 화학식 (I)에 의하여 표현되는 화합물의 치료 유효량을 포유류에게 투여할 것이 요구되는 관련 질병을 말한다.
"간 질병 또는 질환"이라는 용어는 간 섬유증, 알콜 유도성 섬유증, 지방변성증, 및 비알콜성 지방간염을 포함한다.
"관절염"이라는 용어는 급성 류마티스성 관절염, 만성 류마티스성 관절염, 클라미디아 관절염, 만성 흡수성 관절염, 유미 (chylous) 관절염, 장질병에 근거한 관절염, 사상균 관절염, 임질성 관절염, 통풍성 관절염, 혈우병성 관절염, 비대성 관절염, 소아 만성 관절염, 라임 관절염, 새끼 당나귀 관절염, 결절성 관절염, 오크로노틱 (ochronotic) 관절염, 건선 관절염 또는 과다 활성 관절염 또는 NADPH 옥시다아제를 억제하기 위한 충분한 투여량으로 화학식 (I)에 의하여 표현되는 화합물의 치료 유효량을 포유류에게 투여할 것이 요구되는 관련 질병을 말한다.
"통증"이라는 용어는 염증성 통증과 관련된 통각 과민을 포함한다.
"암"이라는 용어는 암종 (예컨대, 섬유육종, 점액육종, 지방육종, 연골육종, 골원성 육종, 척색종, 혈액육종, 내피 육종, 림프관 육종, 림프관내피종, 페리오스테오마 (periosteoma), 중피종, 에빙스 종양, 평활근 근육종, 횡문근육종, 결장 암종, 췌장 암종, 유방암, 난소암, 신장암, 전립선 암종, 편평세포 암종, 기저세포 암종, 선암종, 땀샘 암종, 피지선 암종, 유두 암종, 유두선암종, 낭선암종, 수질 암종, 기관지원성 암종, 신장 세포 암종, 간세포 암종, 담도 암종, 융모막암종, 정상피종, 배아 암종, 빌름스 종양, 자궁 경부 암, 오르키온쿠스 (orchioncus), 폐암, 소세포 폐암, 폐 선암종, 방광암 또는 상피암) 또는 NADPH 옥시다아제를 억제하기 위한 충분한 투여량으로 화학식 (I)에 의하여 표현되는 화합물의 치료 유효량을 포유류에게 투여할 것이 요구되는 관련 질병을 말한다.
"위장관의 질환 또는 질병"이라는 용어는 위장 점막 질환 허혈성 장 질환 관리, 장염/결장염, 암 화학 치료 또는 호중구 감소증을 포함한다.
"혈관 신생"이라는 용어는 자라는 (sprouting) 혈관 신생, 장중적 (intussusceptive) 혈관 신생, 맥관형성, 동맥 성장 (arteriogenesis) 및 림프혈관 신생을 포함한다. 혈관 신생은 기존의 모세관 또는 후모세관 작은 정맥으로부터 신규 혈관이 생성되는 것을 말하며, 암, 관절염 및 염증 등의 병리학적 증상에서 발생한다. 매우 다양한 조직 또는 조직이 모여 이루어지는 기관은 피부, 근육, 장, 연결 조직, 관절, 뼈 등의 조직 등 혈관이 혈관 생성 자극을 받으면 자랄 수 있는 곳에서 혈관 신생을 보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혈관 신생 의존성 증상"이라는 용어는 혈관 신생 또는 혈관 형성 과정이 병리학적 증상을 유지하거나 확대시키는 증상을 의미한다. 혈관 생성은 내피 세포 전구체인 혈관 시원 세포로부터 유래되는 신규 혈관의 형성에서 기인한다. 양자의 과정은 신규 혈관 생성을 초래하며, 혈관 신생 의존성 증상이라는 용어의 의미내에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사용된 "혈관 신생"이라는 용어는 혈관 형성으로부터 유래되는 것 등과, 기존의 혈관, 모세관 및 작은 정맥의 가지치기 및 뻗음으로부터 유래되는 것 등의 혈관의 신규 형성을 포함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혈관 신생 억제"는 신규 혈관 생성의 정도, 양 또는 속도를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말한다. 조직에서 내피 세포 증식 또는 이동의 정도, 양 또는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달성하는 것은 혈관 신생 억제의 구체적인 예이다. 혈관 신생 억제 활성은 암의 치료에 특히 유용한데, 이는 암 성장 과정을 표적화하여, 암 조직의 신규 혈관 생성을 결여시켜, 암 조직이 필요한 영양분을 얻지 못하게 되고, 성장이 느려지고, 더 성장되는 것이 중지되며, 늦추어 지고, 결국에는 종양의 사멸을 초래시키게 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전이 형성은 전이성 암 세포가 1차 종양에서 나와 2차 부위에서 자리 잡는 것은 전이의 성장을 지지하기 위하여 신규 혈관 생성을 요할 수 있도록 1차 종양의 혈관 생성을 또한 요구하기 때문에, 혈관 신생 억제 활성은 전이의 형성을 억제하는데 특히 효과적이고, 이에 따라 암 치료에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치료" 및 "치료하는" 등의 용어는 일반적으로 희망하는 약리학적 효과 및 생리학적 효과를 얻는 것을 가리킨다. 상기 효과는 질병, 징후 또는 증상을 예방 또는 부분적으로 예방하는 측면에서 예방적이거나, 그리고/또는 질병, 증상, 징후 또는 질병에 기여하는 부작용의 부분적 또는 완전한 치료의 의미에서 치료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치료"라는 용어는 포유류, 특히 인간에서 질병의 치료를 포괄하는 것이고, (a) 질병에 노출되었으나 아직 질병에 걸린 것으로 진단받지 않은 개체에서 질병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는 것과, (b) 질병을 억제하는 것, 즉, 질병의 발병을 중지시키는 것, 또는 질병을 완화시키는 것, 즉, 질병 및/또는 이의 징후 또는 증상의 쇠퇴를 유발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개체"라는 용어는 포유 동물을 말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의하여 설명되는 포유류는 인간, 영장류와, 고양이, 양, 돼지, 말 등의 가축이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억제제"라는 용어는 NADPH 옥시다아제의 활성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억제하고 그리고/또는 활성 산소 종 (ROS)의 발생을 억제 또는 감소시키는 분자로서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다음 화학식 (I)의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와,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활성인 유도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I)
상기 식 중, R 1 은 H; 임의 치환된 알콕시카르보닐;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2-C6 알키닐; 임의 치환된 알콕시; 임의 치환된 알콕시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아미노알킬; 임의 치환된 아실; 임의 치환된 아릴, 가령 임의 치환된 페닐 (예: 2-클로로페닐, 2-메톡시페닐);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아릴; 임의 치환된 아릴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아릴; 임의 치환된 아릴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3-C8-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C3-C8-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3-C8-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및 임의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 2 는 H; 임의 치환된 알콕시카르보닐; 임의 치환된 아실; 임의 치환된 아실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2-C6 알키닐; 임의 치환된 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C3-C8-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3-C8-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아릴 C1-C6 알킬 및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 3 은 H; 임의 치환된 알콕시카르보닐; 임의 치환된 아실;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2-C6 알키닐; 임의 치환된 아릴;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아릴; 임의 치환된 아릴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아릴; 임의 치환된 아릴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3-C8-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C3-C8-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3-C8-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및 임의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 4 , R 5 , R 6 , R 7 , R 8 R 9 H; 할로겐; 니트로;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2-C6 알키닐; 임의 치환된 아미노; 임의 치환된 아미노알킬; 임의 치환된 알콕시; 임의 치환된 알콕시 C1-C6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R 10 은 H 및 임의 치환된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 11 은 H; 임의 치환된 알콕시카르보닐; 임의 치환된 아실;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2-C6 알키닐; 임의 치환된 알콕시; 임의 치환된 알콕시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아미노알킬; 임의 치환된 아실; 임의 치환된 아릴;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아릴; 임의 치환된 아릴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아릴; 임의 치환된 아릴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3-C8-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C3-C8-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3-C8-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및 임의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 12 은 H; -Z-NR13R14; -CHR17R18; 임의 치환된 알콕시카르보닐, 가령 임의 치환된 카르복실레이트 (예: tert-부틸 카르복실레이트); 임의 치환된 아실;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2-C6 알키닐; 임의 치환된 알콕시; 임의 치환된 알콕시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아미노알킬; 임의 치환된 아실; 임의 치환된 아릴;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아릴; 임의 치환된 아릴 C1-C6 알킬, 가령 임의 치환된 페닐 C1-C6 알킬, 가령 임의 치환된 페닐 메틸 (예: 벤질, 2-클로로벤질, 3-메톡시벤질, 3-클로로벤질, 4-클로로벤질, 2-메톡시벤질;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C1-C6 알킬, 가령 임의 치환된 피리딘 C1-C6 알킬 (예: 임의 치환된 피리딘 메틸, 가령 피리딘-2-일메틸, 피리딘-3-일메틸) 또는 임의 치환된 퓨라닐 C1-C6 알킬 (e.g. 임의 치환된 퓨란 메틸, 가령 퓨란-3-일메틸) 또는 임의 치환된 피라졸릴 C1-C6 알킬 (예: 임의 치환된 피라졸릴 메틸, 가령 1-메틸-1H-피라졸-3-일;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아릴; 임의 치환된 아릴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3-C8-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C3-C8-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3-C8-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및 임의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 13 , R 14 , R 17 R 18 은 H;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2-C6 알키닐; 임의 치환된 아릴;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아릴; 임의 치환된 아릴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아릴; 임의 치환된 아릴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3-C8-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C3-C8-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3-C8-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및 임의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X는 O, NR12, S, S=O 및 S(O)2로부터 선택되며; Z는 C(O); C(S) 및 SO2로부터 선택되고; n은 0 및 1의 정수로부터 선택된다.
조성물
본 발명은 조성물로서 약제 또는 치료제를 제공하고, 또한 의학적 질환, 특히 NADPH 옥시다아제에 의하여 매개되는 질환, 가령, 심혈관 질환 또는 질병, 호흡기 질환 또는 질병,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 또는 질환, 피부 질환, 뼈 질환, 신경 염증 질환, 신경 퇴행성 질환, 신장 질병, 생식기 질환, 눈 및/또는 망막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 또는 질환, 내이에 영향을 미치는 증상, 염증성 질환 또는 질병, 간 질병, 통증, 암, 혈관 신생, 혈관 신생 의존성 증상 및/또는 위장관의 질병 또는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특히 포유류 환자, 가장 좋기로는 인간 환자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임의의 형태의 1종 이상의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명반, 안정화제, 항미생물제, 완충제, 착색제, 향료, 애쥬번트 등의 1종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애쥬번트,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와 함께 약학 조성물 형태 또는 단위 투여량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형태는 정제 또는 충진된 캡슐 등의 고체이거나, 또는 용액, 현탁액, 에멀전, 엘릭시르 등의 액체, 또는 이들로 채워진 캡슐 (이는 모두 경구용이다), 또는 비경구용 (피하를 포함) 주사용 멸균 액체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약학 조성물 및 이의 단위 투여형은 추가의 활성 화합물 또는 성분을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으면서, 통상의 비율로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단위 투여형은 사용될 목적하는 1일 투여량 범위에 적합한 활성 성분의 적당한 유효량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좋기로는 주사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용액, 에멀젼, 시럽 및 엘릭시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액체 제형일 수 있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액체 형태는 완충제, 현탁제 및 분산화제, 색소 및 향료 등의 적당한 비수성 비히클 또는 수성 비히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조성물은 사용 전에 물 또는 다른 적당한 비히클로 재구성하기 위한 건조 제품으로서 제형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액체 조제물은 현탁제, 에멀전화제, 비수성 비히클 및 보존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현탁제로는 소르비톨 시럽, 메틸 셀룰로스, 글루코스/슈가 시럽, 젤라틴,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겔 및 수소화 식용 지방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멀젼화제로는 레시틴,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및 아카시아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수성 비히클로는 식용 오일, 아몬드 오일, 분획화 코코넛 오일, 오일성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및 에틸 알콜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존제로는 메틸 또는 프로필 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및 소르브산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타 물질 및 가공 기술 등은 다음 문헌 [Part 5 of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 21 st Edition, 2005, University of the Sciences in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문헌은 본 발명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의 고체 조성물은 통상의 방식으로 제형된 정제 또는 로젠지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에 적합한 정제 및 캡슐은 결합제, 충진제, 윤활제, 붕해제 및 습윤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통상의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결합제로는 시럽, 아카시아, 젤라틴, 소르비톨, 트라가칸스, 점액질 녹말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충진제로는 락토스, 슈가,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옥수수 녹말, 칼슘 포스페이트 및 소르비톨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윤활제로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탈크,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실리카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붕해제로는 감자 녹말 및 소듐 녹말 글리콜레이트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습윤제로는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제는 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는 방법에 따라 코팅될 수 있다.
주사 가능한 조성물은 보통 주사용 멸균 식염수 또는 인산 완충 식염수 또는 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주사용 담체에 기반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좌약으로 제형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좌약은 코코아 버터 또는 글리세리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좌약 기재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흡입용 제형물일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것으로는 분말 형태로 투여될 수 있거나,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또는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등의 프로펠런트를 사용한 에어로졸 형태로 투여될 수 있는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젼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크림, 연고, 로션, 페이스트, 약제가 든 플라스터, 팻치 또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수성 또는 비수성 비히클을 포함하는 경피용 제형물로 제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주사 또는 연속 주입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방법의 비경구 투여용으로 제형될 수도 있다. 주사용 제형은 현탁액, 용액 또는 오일 비히클 또는 수성 비히클 중의 에멀젼 형태일 수 있고, 또한 현탁제, 안정화제 및 분산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제형용 제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 조성물은 멸균수, 발열 인자 무함유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적합한 비히클로 재구성하기 위한 분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식 또는 근육내 주사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는 데포 (depot) 제제로 제형될 수도 있다. 이 조성물은 적당한 중합체 물질 또는 소수성 물질 (예컨대, 허용 가능한 오일 중의 에멀젼으로서), 이온 교환 수지, 또는 거의 용해되지 않는 유도체 (예컨대, 거의 용해되지 않는 염으로서)와 함께 제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리포좀 제제로서 제형될 수도 있다. 리포좀 제제는 해당 세포 또는 각질층 (stratum corneum)을 침투할 수 있고, 세포막과 융합되어, 리포좀 내의 내용물을 세포내로 전달하는 리포좀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적당한 제형물은 니오좀 (niosome)을 사용할 수 있다. 니오좀은 리포좀과 유사한 지질 비히클인데, 그 막은 대부분 비이온성 지질로 구성되어 있고, 이의 일부 형태는 각질층을 통과하여 화합물을 수송하기에 적합한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서방형 또는 서방 약물 전달 시스템의 형태로 투여될 수도 있다. 서방 약물 전달에 대한 사항은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에 기재된 물질에서 찾아볼 수 있다.
투여 방식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설하, 경피, 직장내, 점액내, 국소적으로, 흡입을 통하여, 볼 또는 코 투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임의의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에는 정맥내, 동맥내, 복막내, 피하내, 근육내, 흉선내, 및 관절내 투여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을 서서히 방출시키는 이식물의 형태, 또는 서서히 주입되는 정맥 주사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는 정맥내 또는 피하 투여된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되며, 이것이 본 발명을 어떠한 방식으로든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단일 투여량 또는 여러회 투여량으로서 개체에게 투여되는 투여량은 약동학적 특성, 환자의 컨디션 및 특징 (성별, 연령, 체중, 건강 상태, 크기), 징후의 위중도, 현재 받고 있는 치료법, 치료법의 빈도 및 목적하는 효과 등의 여러 가지 인자에 따라 달라진다.
조합체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 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과 이들의 약학 제형물은 단독으로, 또는 고형암에 대한 통상의 화학 치료에 사용되는 물질 및 전이의 수립을 조절하기 위한 물질 또는 호르몬 치료에 사용되는 물질 또는 프로그램된 세포 사멸을 촉발함에 의하여 작용하는 임의의 다른 물질 등의 암 치료에 유용한 보조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보조제는 예컨대 메토트렉제이트 (Abitrexate®), 플루오로우라실 (Adrucil®), 하이드록시우레아 (Hydrea®), 및 머캅토퓨린 (Purinethol®) 등의 DNA 분자 빌딩 블록의 합성을 사전에 중지하는 카테고리로부터, 예컨대, 시스플라틴 (Platinol®), 및 항생제 다우노루비신 (Cerubidine®), 독소루비신 (Adriamycin®) 및 에토포사이드 (VePesid®) 등의 세포의 핵에서 DNA에 직접적으로 피해를 입히는 약물의 카테고리로부터, 예컨대, 빈블라스틴 (Velban®), 빈크리스틴 (Oncovin®) 및 파시탁셀 (Taxol®) 등의 체세포 분열 방추사의 합성 또는 분해에 영향을 주는 약물의 카테고리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및 이의 약학 제형물은 사이토카인 수용체쇄의 유전자 전달 및 수용체 표적화 사이토톡신 투여 등의 세포 표면 단백질을 표적화하는 약제와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및 이의 약학 제형물은 방사선 치료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 제형물의 투여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 제형물은 암 치료에 유용한 보조제 또는 다른 치료법을 개체에게 사용하기 전에, 이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예컨대, 다중 약물 치료법) 치료 유효량으로 투여된다. 상기 보조제와 함께 동시에 투여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 제형물은 동일한 조성물 또는 상이한 조성물로 투여될 수 있고, 동일한 투여 경로 또는 상이한 투여 경로로 투여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방법은 암 치료에 사용할 것이 예상되는데,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투여는 통상적으로 화학 치료, 호르몬 치료 또는 방사선 치료 도중에 또는 후에 수행된다.
또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방법은 암 치료에 사용할 것이 예상되는데,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투여는 통상적으로 화학 치료, 호르몬 치료 또는 방사선 치료 후에 수행되고, 이러한 치료 후에, 암 조직은 암 조직에 혈액 공급 및 영양분의 공급에 의하여 회복하기 위한 혈관 신생을 유도함으로써 독성 공격에 반응하게 될 것이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투여는 전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고형암을 제거하는 수술 후에 수행한다.
환자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환자는 심혈관 질환 또는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이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환자는 호흡기 질환 또는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이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환자는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 또는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이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환자는 피부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이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환자는 뼈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이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환자는 신경 염증 질환 및/또는 신경 퇴행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이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환자는 신장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이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환자는 생식기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이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환자는 눈 및/또는 망막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 또는 질환 및/또는 내이에 영향을 미치는 증상을 앓고 있는 환자이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환자는 염증성 질환 또는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이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환자는 간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이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환자는 염증성 통증 등의 통증을 앓고 있는 환자이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환자는 암을 앓고 있는 환자이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환자는 혈관 신생 증상 또는 혈관 신생 의존성 증상을 앓고 있는 환자이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환자는 알러지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이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환자는 외상성 상해를 앓고 있는 환자이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환자는 패혈성, 출혈성 및 과민성 쇼크를 앓고 있는 환자이다.
한 가지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환자는 위장관 질병 또는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도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의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와,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활성인 유도체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R1은 임의 치환된 아릴 및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7, R18, X 및 n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의되는 것인 본 발명의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R2는 H이고, R1,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7, R18, X 및 n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의되는 것인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R3은 H이고, R1, R2,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7, R18, X 및 n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의되는 것인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R4는 H이고, R1, R2, R3,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7, R18, X 및 n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의되는 것인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R4 및 R5는 H이고, R1, R2, R3,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7, R18, X 및 n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의되는 것인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R4, R5, R6, R7, R8 및 R9는 H이고, R1, R2, R3, R10, R11, R12, R13, R14, R17, R18, X 및 n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의되는 것인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R10은 H이고,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1, R12, R13, R14, R17, R18, X 및 n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의되는 것인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R11은 H이고,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2, R13, R14, R17, R18, X 및 n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의되는 것인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R12는 H이고,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3, R14, R17, R18, X 및 n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의되는 것인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R12는 임의 치환된 아릴 C1-C6 및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3, R14, R17, R18, X 및 n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의되는 것인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R12는 임의 치환된 알콕시카르보닐이고,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3, R14, R17, R18, X 및 n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의되는 것인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X는 0이고,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및 n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의되는 것인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X는 NR12이고,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7, R18 및 n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의되는 것인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n은 0이고,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7, R18 및 X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의되는 것인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n은 1이고,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7, R18 및 X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의되는 것인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R2 , R3 , R4, R5, R6, R7, R8, R9 , R10 및 R11은 H이고; R1, R12, R13, R14, R17, R18, X 및 n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의되는 것인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R2 , R3 , R4, R5, R6, R7, R8, R9 , R10 및 R11 및 R17은 H이고; R12는 -CHR17R18이며, X는 NR12이고, R1, R18 및 n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의되는 것인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에 따른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 [여기서 R1, R2 , R3 , R4, R5, R6, R7, R8, R9 , R10, R11, R12, R13, R14, R17, R18, X 및 n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의된다],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활성인 유도체의 심혈관 질환, 호흡기 질환, 대사 질환, 피부 질환, 뼈 질환, 신경 염증 및/또는 신경 퇴행성 질환, 신장 질병, 생식기 질환, 눈 및/또는 망막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 및/또는 내이에 영향을 미치는 증상, 염증성 질환, 간 질병, 통증, 암, 알러지성 질환, 외상성 상해, 패혈성, 출혈성 및 과민성 쇼크, 위장관 질환, 혈관 신생, 혈관 신생 의존성 증상 및 그외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포스페이트 옥시다아제 (NADPH 옥시다아제)와 관련된 질병 및 질환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 또는 증상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심혈관 질환, 호흡기 질환, 대사 질환, 피부 질환, 뼈 질환, 신경 염증 및/또는 신경 퇴행성 질환, 신장 질병, 생식기 질환, 눈 및/또는 망막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 및/또는 내이에 영향을 미치는 증상, 염증성 질환, 간 질병, 통증, 암, 알러지성 질환, 외상성 상해, 패혈성, 출혈성 및 과민성 쇼크, 위장관 질환, 혈관 신생, 혈관 신생 의존성 증상 및 그외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포스페이트 옥시다아제 (NADPH 옥시다아제)와 관련된 질병 및 질환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 또는 증상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화학식 (I)에 따른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 [여기서 R1, R2 , R3 , R4, R5, R6, R7, R8, R9 , R10, R11, R12 R13, R14, R17, R18, X 및 n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의된다],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활성인 유도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음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들을 포함한다.
2-(2-클로로페닐)-10-(피리딘-2-일메틸)-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 [4',3':3,4]피리도[1,2-a][1,4]디아제핀-1,5(7H)-디온;
10-벤질-2-(2-메톡시페닐)-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4',3':3,4]피리도[1,2-a][1,4]디아제핀-1,5(7H)-디온;
10-벤질-2-(2-클로로페닐)-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4',3':3,4]피리도[1,2-a] [1,4]디아제핀-1,5(7H)-디온;
10-(2-클로로벤질)-2-(2-클로로페닐)-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4',3':3,4] 피리도[1,2-a][1,4]디아제핀-1,5(7H)-디온;
2-(2-클로로페닐)-10-(3-메톡시벤질)-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4',3':3,4] 피리도[1,2-a][1,4]디아제핀-1,5(7H)-디온;
10-(3-클로로벤질)-2-(2-클로로페닐)-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4',3':3,4] 피리도[1,2-a][1,4]디아제핀-1,5(7H)-디온;
2-(2-클로로페닐)-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4',3':3,4]피리도[1,2-a][1,4] 디아제핀-1,5(7H)-디온;
tert-부틸 2-(2-클로로페닐)-1,5-디옥소-2,3,5,8,9,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 [4',3':3,4] 피리도[1,2-a][1,4]디아제핀-10(7H)-카르복실레이트;
10-(4-클로로벤질)-2-(2-클로로페닐)-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4',3':3,4] 피리도[1,2-a] [1,4]디아제핀-1,5(7H)-디온;
2-(2-클로로페닐)-10-(2-메톡시벤질)-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4',3':3,4] 피리도[1,2-a][1,4]디아제핀-1,5(7H)-디온;
2-(2-클로로페닐)-10-(4-메톡시벤질)-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4',3':3,4] 피리도[1,2-a][1,4]디아제핀-1,5(7H)-디온;
2-(2-클로로페닐)-10-(퓨란-3-일메틸)-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4',3':3,4] 피리도[1,2-a][1,4]디아제핀-1,5(7H)-디온;
9-벤질-2-(2-클로로페닐)-2,3,7,8,9,10-헥사하이드로피라졸로[4',3':3,4]피리도[1,2-a] 피라진-1,5-디온;
2-(2-클로로페닐)-2,3,7,8-테트라하이드로-1H-피라졸로[4',3':3,4]피리도[2,1-c][1,4]옥사진-1,5 (10H)-디온;
2-(2-메톡시페닐)-10-(피리딘-2-일메틸)-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 [4',3':3,4]피리도[1,2-a][1,4]디아제핀-1,5(7H)-디온;
10-(3-메톡시벤질)-2-(2-메톡시페닐)-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 [4',3':3,4]피리도[1,2-a][1,4]디아제핀-1,5(7H)-디온;
2-(2-클로로페닐)-10-[(1-메틸-1H-피라졸-3-일)메틸]-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4',3':3,4]피리도[1,2-a][1,4]디아제핀-1,5(7H)-디온; 및
2-(2-클로로페닐)-10-(피리딘-3-일메틸)-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 [4',3':3,4]피리도[1,2-a][1,4]디아제핀-1,5(7H)-디온.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아래 화학식 (II)의 중간체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02
상기 식 중, R1,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R17, R18, X 및 n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R15는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가령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또는 부틸이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메틸 [(4Z)-4-(4-벤질-1,4-디아제판-2-일리덴)-1-(2-클로로페닐)-5-옥소-4,5-디하이드로-1H-피라졸-3-일]아세테이트; 및 메틸 [(4Z)-4-(4-벤질-1,4-디아제판-2-일리덴)-1-(2-메톡시페닐)-5-옥소-4,5-디하이드로-1H-피라졸-3-일]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본 발명의 화학식 (II)에 따른 중간체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화학식 (V)의 화합물을 화학식 (IV)의 아민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II)의 중간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3
상기 식 중, R1,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R17, R18, X 및 n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염기의 존재 하에,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사이클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4
상기 식 중, R1,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R17, R18, X 및 n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고, R2는 H이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염기의 존재하에, 화학식 (Ia)의 화합물을 알킬화제 또는 커플링제와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5
상기 식 중, R1,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7, R18, X 및 n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고, R2는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나, H는 아니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심혈관 질환, 호흡기 질환, 대사 질환, 피부 질환, 뼈 질환, 신경 염증 및/또는 신경 퇴행성 질환, 신장 질병, 생식기 질환, 눈 및/또는 망막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 및/또는 내이에 영향을 미치는 증상, 염증성 질환, 간 질환, 통증, 암, 알러지성 질환, 외상성 상해, 패혈성, 출혈성 및 과민성 쇼크, 위장관 질환, 혈관 신생, 혈관 신생 의존성 증상 및 그 외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포스페이트 옥시다아제 (NADPH 옥시다아제)와 관련된 질병 및 질환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 또는 증상을 앓고 있는 환자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혈관 신생 억제가 필요한 환자에서 혈관 신생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여기서 이 방법은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혈관 신생 억제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종양 혈관 신생 억제에 의하여 종양의 신규 혈관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유사하게, 본 발명은 혈관 신생 억제 방법을 실시함으로써 종양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방법은 종양, 고형 종양, 전이, 암, 흑색종, 피부암, 유방암, 혈관종 또는 맥관섬유종 등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종양 조직의 치료에 사용할 것이 예상되는데, 여기서 억제하여야 할 혈관 신생은 종양 조직의 혈관 신생이 존재하는 종양 조직 혈관 신생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방법에 의하여 치료 가능한 통상의 고형 종양 조직은 피부, 흑색종, 폐, 췌장, 유방, 결장, 후두, 난소, 전립선, 결장, 두부, 경부, 정소, 림프종, 골수, 뼈, 육종, 신장, 땀샘 등의 조직의 종양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치료될 암의 다른 예로는 교아세포종이 있다.
다른 특정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방법은 염증이 생긴 조직의 치료에 사용될 것이 예상되는데, 억제되어야 할 혈관 신생은 염증이 생긴 조직의 신규 혈관 생성이 존재하는 염증이 생긴 조직 혈관 신생이다. 이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및 방법은 만성 관절 류마티즘에 걸린 환자 등의 관절염 조직에서, 면역 또는 비 면역 염증성 조직에서, 건선 조직 등에서, 혈관 신생을 억제하는 것이 고려된다.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조직의 혈관 신생을 억제한다. 조직에서 혈관 신생의 정도와,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달성 가능한 억제의 정도는 전술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하여 평가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에 따른 1종 이상의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와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프로그램 ACD/Name (product version 10.01)에서 사용되는 IUPAC 표준에 따라 명명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이의 토토머, 이의 기하 이성질체, 에난티오머, 부분입체 이성질체 및 라세미체 형태 등의 이의 광학 활성 형태,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예시된 유도체는 다음의 일반적인 방법 및 식을 사용하여 쉽게 입수 가능한 출발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통상의 또는 양호한 실험 조건 (예컨대, 반응 온도, 시간, 시약의 몰수, 용매 등)이 주어진 경우에,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다른 실험 조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최적의 반응 조건은 사용되는 특정 시약 또는 용매에 따라 다양할 수 있지만, 이러한 조건은 보통의 최적화 절차를 사용하여 이 업계의 숙련자가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인용된 모든 참조 문헌은 그들 모두가 본 발명에 참조로서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기재된 특정 실시 상태로 그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개별적인 구체적인 실시 상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며, 균등한 방법 및 구성 성분을 본 발명에 포함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개시되고 설명된 것 외에,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도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의 기재를 바탕으로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이러한 변형도 역시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는데,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려고 제시한 것이고,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 합성:
화학식 (I)에 따른 신규 유도체는 다음의 일반식 및 방법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입수 가능한 출발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통상의 또는 양호한 실험 조건 (예컨대, 반응 온도, 시간, 시약의 몰수, 용매 등)이 주어진 경우에,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다른 실험 조건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최적의 반응 조건은 사용되는 특정 시약 또는 용매에 따라 다양할 수 있지만, 이러한 조건은 보통의 최적화 절차를 사용하여 이 업계의 숙련자가 결정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일반 합성 절차는 아래 반응식 1에 개괄된다. 화학식 (I)의 피라졸로 피리딘 유도체 [여기서, 치환체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7, R18, X 및 n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는 아래의 반응식 1에 개괄된 합성 방법에 따라, 화학식 (VIII)의 맞춤 제작되거나 시판되는 치환된 히드라진 유도체, 화학식 (IX)의 아세톤 디카르복실레이트 유도체, 화학식 (IV)의 1차 아민 유도체와, 화학식 (VI)의 트리알킬 오르토 에스테르 유도체로부터 4 내지 5단계로 제조된다. 더욱 구체적인 방법에서, 벤젠, 톨루엔 등의 적당한 용매 중에서 또는 화학식 (VIII)에 따른 화합물의 고유 반응성에 따라 시간에 따라 비반응성인 기타 용매 중에서 환류 조건 하에 중성 조건에서, 화학식 (VIII)의 히드라진 유도체 [여기서, R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정의된다]는 화학식 (IX)의 아세톤 디카르복실레이트 유도체 [여기서, R3 및 R15는 아래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다]와 반응하여, 화학식 (VII)에 따른 해당 4-치환된 2-하이드록실 피라졸 유도체를 생성한다.
[반응식 1]
Figure pct00006
아세트산 존재 및 환류 조건하에, 상기 화학식 (VII)의 중간체 화합물을 화학식 (VI)의 트리알킬 오르토 에스테르 유도체 [여기서, R4, R5 및 R16 은 전술한 바와 같다]와 더 반응시켜 화학식 (V)의 중간체를 형성시킨다. 용매 중에서, 가령 0℃ 내지 실온에서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화학식 (V)의 중간체 화합물을 화학식 (IV)의 1차 아민 유도체 [여기서, R6, R7, R8, R9, R10, R11, X, 및 n은 전술한 바와 같다]와 반응시켜, 화학식 (III)의 중간체 화합물을 생성시킨다. 화학식 (III)의 중간체 화합물은 보통은 분리되지 않고, 동일한 반응 조건에서 그 자리에서 (in situ) 화학식 (II)의 중간체를 스스로 생성시키거나 또는 가끔 열을 가하면 얻어진다 [여기서, R1,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5, X 및 n은 전술한 바와 같다].
바람직하기로는 가령, 소듐 메탄올레이트, 소듐 이소프로판올레이트 등의 염기의 존재하에 양성자 용매 중에서,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알려져 있는 표준 환류 조건을 사용하여 화학식 (II)의 중간체 화합물을 사이클화시킨 다음에, 화학식 (Ia)의 피라졸로 유도체, 즉 R2가 H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분리한다. 이 반응은 실온의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용매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고유 반응성의 시간에 따라, 실온에서 비반응성인 다른 용매 중에서 수행할 수 있지만, 전술한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알려져 있는 표준 조건을 사용하여, 기존의 가열법 또는 마이크로파 기술을 필요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다음 단계에서, 기존의 가열법 또는 마이크로파 기술을 사용하여, 가령, N,N-디메틸포르마이드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의 적당한 용매 중의 염기로서, 가령, 트리에틸아민, 소듐 하이드라이드 또는 포타슘 카보네이트의 존재 하에, 화학식 (Ia)의 피라졸로 피리딘 유도체를 화학식 R2W의 알킬화제 [여기서, R2 및 W는 전술한 바와 같다], 가령, 염화알킬, 브롬화알킬, 요오드화알킬, 또는 메실화 알킬과 반응시켰다. 또는, 기존의 가열법 또는 마이크로파 기술을 사용하여, 적당한 용매, 가령, N,N-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클로로메탄 등의 적당한 용매 중의 적당한 염기 중에서, 가령, 트리에틸아민 중에서, 가령, N,N'-디사이클로헥실카르보이미드 등의 커플링제의 존재하에, 무수물, 아실 클로라이드 또는 카르복실산으로 화학식 (Ia)의 피라졸로 피리딘 유도체 [여기서, R2는 전술한 바와 같다]를 반응시켰다. 이러한 단계들 후에, 반응식 2에 나타내어진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표준 조건을 사용하여 화학식 (Ib)의 피라졸로 피리딘 유도체를 분리한다.
[반응식 2]
Figure pct00007
또 다른 추후의 단계에서, 화학식 (Ia) 또는 화학식 (Ib)의 피라졸로 피리딘 유도체를, 기존의 가열법 또는 광화학법을 사용하여, 메조-테트라페닐포르핀의 존재 하에 m-클로로퍼벤조산 또는 산소와 같은 산화제로 처리하였다. 이 반응은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또는 디클로로메탄 등의 용매 또는 화학식 (Ia) 또는 (Ib)의 화합물의 고유 반응성에 따라 실온에서 비반응성인 다른 용매 중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 후에, 화학식 (Ic) 또는 (Id)의 피라졸로 피리딘 유도체를 상기 반응식 2에 나타낸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표준 조건을 사용하여 분리한다.
화학식 (IV')의 1차 아민 유도체 [여기서, X는 NCHR17R18이고, 치환체 R6, R7, R8, R9, R10, R11, R17, R18 및 n은 전술한 바와 같다]는 화학식 (X)에 따라 주문 제작한 치환된 아민 유도체, 또는 시판되는 치환된 아민 유도체, 화학식 (XII)에 따른 알데하이드 또는 케톤 유도체로부터, 아래 반응식 3에 개괄된 합성 경로를 따라 1 내지 2 단계로 화학식 (XI) 또는 (X)의 중간체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pct00008
더욱 구체적인 방법에서, 화학식 (X)의 치환된 아민 유도체 [여기서, R6, R7, R8, R9, R10, R11 및 n은 전술한 바와 같다]는, 소듐 오로하이드라이드 등의 환원제의 존재하에, 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메탄 및 메탄올 등의 용매, 또는 화학식 (XII)의 화합물의 고유 반응성에 따라 시간에 따라 비반응성인 다른 용매 중에서, 화학식 (XII)의 알데하이드 또는 케톤 유도체 [여기서, R17, R18 은 전술한 바와 같다]와 반응시켜, 화학식 (XI) 또는 화학식 (IV') [즉, X가 NCHR17R18인 화학식 (IV)의 화합물]의 해당 아민 유도체를 생성시킨다. 화학식 (XI)에 따른 중간체 화합물을 반응식 3에 나타낸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표준 조건을 사용하여 디옥산 등의 적당한 용매 중의 염산으로 더 처리하여, 화학식 (IV')의 1차 아민 유도체 [여기서, R6, R7, R8, R9, R10, R11, R17, R18 및 n은 전술한 바와 같다]를 생성시킨다.
다음 약자는 아래와 같은 정의를 각각 나타낸다:
(옹스트롱), Ac 2 O (아세트산 무수물), eq. (당량), min (분), h (시간), g (그램), MHz (메가헤르쯔), mL (밀리리터), mm (밀리미터), mmol (밀리몰; millimole), mM (밀리몰; millimolar), ng (나노그램), nm (나노미터), rt (실온), α-SMA (알파 평활근 액틴), BLM (블레오마이신), BSA (소 혈청 알부민), DCE (디클로로에탄), DCF (2,7-디클로로디하이드로플루오레신), DCM (디클로로메탄), DEPC (디에틸 피로카르보네이트), DIPEA (디-이소프로필 에틸아민), DMSO (디메틸 술폭사이드), 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 DAPI (4,6 디아미디노-2-페닐인돌), DPI (디페닐-이오도늄), cHex (사이클로헥산), EDTA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EGF (내피 성장 인자),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FC (실리카 겔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GAPDH (글리세르알데하이드 3 포스페이트 데하이드로게나아제), HBSS (행크스 완충 염 용액), HP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 2 DCF - DA (2',7'-디클로로디하이드로플루오레신 디아세테이트), MEM (2-메톡시에톡시메틸), MS (질량 분광기), MOPS (3-(N-모르폴리노)프로판술폰산, NaBH 4 (소듐 보로하이드라이드), NADPH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디포스페이트 환원형), NBT (니트로블루 테트라졸륨), NMR (핵 자기 공명), PBS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 PetEther (석유 에테르), ROS (반응성 산소 종), RIPA (방사면역침전 완충액), SDS (소듐 도데실 술페이트), SOD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 SPA (섬광 근접 측정법), tBuOK (포타슘 tert-부톡사이드), TEA (트리에틸 아민),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GF (종양 성장 인자 베타), THF (테트라하이드로퓨란), TLC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TRIS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UV (자외선).
전술한 일반 합성 방법이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및/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필요한 중간체를 생성시키는데 적용할 수 없는 경우,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적당한 제조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화학식 (I)의 개별 화합물에 대한 합성 경로는 각 분자의 구체적인 치환체에 따라 달라지게 되고, 필요한 중간체의 사용 가능성에 따라 달라지며, 다시 한번 말하지만, 이러한 인자들은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모든 보호 및 탈보호법에 대해서는 다음 문헌 [Philip J. Kocienski , in " Protecting Groups", Georg Thieme Verlag Stuttgart , 2005 및 Theodora W. Greene 및 Peter G. M. Wuts in "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 Wiley Interscience , 4 th Edition 2006.]을 참조할 것.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적당한 용매의 증발로부터 결정화함으로써 용매 분자와 결합하여 분리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첨가염은 염기 중심 (basic center)를 함유하는데, 이러한 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자유 염기 용액은 적당한 용액 중에 또는 순수 (neat) 용액 중에서 적당한 산으로 처리할 수 있고, 생성된 염은 반응 용매의 진공 하에 여과 또는 증발시킴으로써 분리시킨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기 첨가 염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액을 적당한 염기로 처리함으로써 유사한 방식으로 얻을 수 있다. 양자의 염 타입 모두 이온 교환 수지법을 사용하여 형성되거나 상호 교환될 수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아니된다.
아래 실시예에 제공된 HPLC, NMR 및 MS 데이터는 다음과 같이 얻었다. HPLC: 컬럼 Waters Symmetry C8 50 x 4.6 mm, 조건: MeCN/H2O, 5 내지 100% (8분), 최대 플롯 230-400 nm; 최대 스펙트럼: PE-SCIEX API 150 EX (APCI 및 ESI), LC/MS 스펙트럼: Waters ZMD (ES); 1H-NMR: Bruker DPX-300MHz.
제조 HPLC 정제는 컬럼 Prep Nova-Pak®HR C186 ㎛ 60Å, 40x30 mm (최대 100 mg) 또는 XTerra®Prep MS C8, 10 ㎛, 50x300 mm (최대 1g)이 장착된 HPLC Waters Prep LC 4000 System으로 수행하였다. MeCN/H2O 0.09% TFA의 구배, 254 nm 및 220 nm에서 UV 검출; 유속 20 mL/min (최대 50 mg)으로 모든 정제를 수행하였다. TLC 분석은 Merck Precoated 60 F254 플레이트 상에서 수행한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는 사이클로헥산/EtOAc 또는 DCM/MeOH 혼합물을 용리액으로서 사용하여 SiO2 지지체 상에서 수행한다.
실시예 1: 2-(2- 클로로페닐 )-10-(피리딘-2- 일메틸 )-2,3,8,9,10,11- 헥사하이드로 -1H- 피라졸로[4',3':3,4]피 리도[1,2-a][1,4] 디아제핀 -1,5(7H)- 디온 (1) (화합물 Ia , 반응식 1)의 제조
Figure pct00009
실시예 3에 개괄된 일반 방법에 따라, 2-클로로페닐히드라진, 디메틸 3-옥소펜탄디오에이트, 2-클로로-1,1,1-트리에톡시에탄, 3-프로판-1,3-디아민 및 피리딘-2-카르브알데하이드로부터 출발하여, 표제 화합물 (1)을 32% 수율로 황색 고체로 분리하였다 (HPLC에 의한 순도:97%). MS(ESI+): 422.9.
실시예 2: 10-벤질-2-(2- 메톡시페닐 )-2,3,8,9,10,11- 헥사하이드로 -1H- 피라졸 로[ 4',3':3,4]피 리도[1,2-a][1,4] 디아제핀 -1,5(7H)- 디온 (2) (화합물 Ia , 반응식 1)의 제조
Figure pct00010
실시예 3에 개괄된 일반 방법에 따라, 2-메톡시페닐히드라진, 디메틸 3-옥소펜탄디오에이트, 2-클로로-1,1,1-트리에톡시에탄, 3-프로판-1,3-디아민 및 벤즈알데하이드로부터 출발하여, 표제 화합물 (2)를 32% 수율로 황색 고체로 분리하였다 (HPLC에 의한 순도 94%). MS(ESI+): 417.7.
실시예 3: 10-벤질-2-(2- 클로로페닐 )-2,3,8,9,10,11- 헥사하이드로 -1H- 피라졸 로[ 4',3':3,4]피 리도[1,2-a][1,4] 디아제핀 -1,5(7H)- 디온 (3) (화합물 Ia , 반응식 1)의 제조
Figure pct00011
a) 메틸 [1-(2- 클로로페닐 )-5- 하이드록시 -1H- 피라졸 -3-일]아세테이트 (화학식 ( VII )의 화합물, 반응식 1)
Figure pct00012
무수 톨루엔 (50 ml) 중의 2-클로로페닐히드라진 (1.82 g, 10.16 mmol, 1 eq.) 현탁액에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1 ml, 12.19 mmol, 1.2 equiv.)과 디메틸 3-옥소펜탄디오에이트 (1.77 g, 10.16 mmol, 1 eq.)를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생성 혼합물을 딘-스탁 장치 (Dean-Stark apparatus)를 사용하여 130-140℃로 가열하였다 (일부 습윤 톨루엔이 증발되도록 둔다). 2시간 후에, 하이드라존 중간체가 깔끔하게 형성되었다.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1 ml, 12.19 mmol, 1.2 eq.)을 더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딘-스탁 장치를 사용하여 140℃로 46시간 가열하였다. 잔여 하이드라존 대부분은 톨루엔으로 미정제 혼합물을 세척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생성된 갈색 오일을 SiO2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였다. 순수한 메틸 [1-(2-클로로페닐)-5-하이드록시-1H-피라졸-3-일]아세테이트 1.65 g을 황색 고체로 얻었다. 수율 61%. MS(ESI+): 267.8; MS(ESI-): 265.6.
b) 메틸 [4-( 클로로아세틸 )-1-(2- 클로로페닐 )-5- 하이드록시 -1H- 피라졸 -3-일]아세테이트 (화학식 (V)의 화합물, 반응식 1)
Figure pct00013
전 단계에서 얻은 메틸 [1-(2-클로로페닐)-5-하이드록시-1H-피라졸-3-일] 아세테이트 (화학식 (IV)의 화합물, 0.60 g) 혼합물을 질소 하에 아세토니트릴 (5 ml) 및 빙초산 (14 mg, 0.1 eq.) 및 2-클로로-1,1,1-트리에톡시에탄 (1.5 g)에 현탁시키고, 45-60분간 70℃로 가열하였다. 생성된 적색 용액을 진공 농축시켜 적색 시럽을 만들고, 이 시럽을 사이클로헥산으로 세척한 다음에, 진공 건조시켰다. 상대적인 불안정성 때문에, 메틸 [4-(클로로아세틸)-1-(2-클로로페닐)-5-하이드록시-1H-피라졸-3-일]아세테이트의 정제는 더 수행하지 않았다. (0.77 g, 정량적 수율). MS(ESI+): 344.3; MS(ESI-): 342.2.
c) 메틸 [(4Z)-4-(4-벤질-1,4- 디아제판 -2- 일리덴 )-1-(2- 클로로페닐 )-5-옥소-4,5-디 하이 드로-1H- 피라졸 -3-일]아세테이트 (화학식 ( II )의 화합물, 반응식 1)
Figure pct00014
0℃에서, 아세토니트릴 3 ml 중의, 전 단계에서 얻은 메틸 [4-(클로로아세틸)-1-(2-클로로페닐)-5-하이드록시-1H-피라졸-3-일]아세테이트 (화학식 (V)의 화합물, 1.88 mmol, 1 eq.) 용액에, N-벤질프로판-1,3-디아민 (0.277 mg, 0.9 eq.)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0.5시간 교반하였다. 생성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0.1%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하여 실리카 플러그로 정제하였다. 용매를 진공 증발시키고, 그대로 두었더니 적색 고체로 분리되었으며, 상기 고체는 순수한 메틸 [(4Z)-4-(4-벤질-1,4-디아제판-2-일리덴)-1-(2-클로로페닐)-5-옥소-4,5-디하이드로-1H-피라졸-3-일] 아세테이트 (0.530 g)로 밝혀졌다. 수율 71 %. MS(ESI+): 454.0.
d) 10-벤질-2-(2- 클로로페닐 )-2,3,8,9,10,11- 헥사하이드로 -1H- 피라졸로[4',3':3,4]피 리도[1,2-a][1,4] 디아제핀 -1,5(7H)- 디온 (화학식 ( Ia )의 화합물, 반응식 1)
질소 하에, MeOH (3 ml) 중에 소듐 (0.055 g, 2.4 mmol, 2 eq.)을 녹여 얻은 MeONa의 이소프로판올 용액을 메틸 [(4Z)-4-(4-벤질-1,4-디아제판-2-일리덴)-1-(2-클로로페닐)-5-옥소-4,5-디하이드로-1H-피라졸-3-일] 아세테이트 (화학식 (II)의 화합물 (530 mg, 1.2 mmol, 1 eq.)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0.5시간 교반한 다음에, 냉각시키고 물 (8 mL)로 희석한 다음에, 1M HCl 용액을 첨가하여 pH 6으로 중화시켰다.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진공 건조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순수한 생성물 10-벤질-2-(2-클로로페닐)-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4',3':3,4]피리도[1,2-a][1,4] 디아제핀 -1,5(7H)-디온 129 mg을 생성시켰다. 수율 26%. 1HNMR (500MHz, DMSO-d6): 1.62-1.68 (m, 2H); 2.83 (t, 2H, J=7.5Hz); 3.62-3.66 (m, 2H); 4.40-4.76 (m, 2H); 5.73 (s, 1H); 7.21-7.32 (m, 5H); 7.44-7.50 (m, 2H); 7.55-7.60 (m, 1H); 7.61-7.67 (m, 1H); 10.75-10.68 (bs, 1H). MS(ESI+): 421.9.
실시예 4: 10-(2- 클로로벤질 )-2-(2- 클로로페닐 )-2,3,8,9,10,11- 헥사하이드로 -1H-피 라졸로[4',3':3 ,4]피리도[1,2-a][1,4] 디아제핀 -1,5(7H)- 디온 (4) (화합물 Ia, 반응식 1)의 제조
Figure pct00015
실시예 3에 개괄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2-클로로페닐히드라진, 디메틸 3-옥소펜탄디오에이트, 2-클로로-1,1,1-트리에톡시에탄, 3-프로판-1,3-디아민 및 2-클로로벤즈알데하이드로부터 출발하여, 표제 화합물 (4)를 황색 고체로서 28% 수율로 분리하였다 (HPLC에 의한 순도 98%). MS(ESI+): 456.3;
실시예 5: 2-(2- 클로로페닐 )-10-(3-메톡시벤질)-2,3,8,9,10,11- 헥사하이드로 -1H-피 라졸로[4',3':3 ,4]피리도[1,2-a][1,4] 디아제핀 -1,5(7H)- 디온 (5) (화합물 Ia, 반응식 1)의 제조
Figure pct00016
실시예 3에 개괄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2-클로로페닐히드라진, 디메틸 3-옥소펜탄디오에이트, 2-클로로-1,1,1-트리에톡시에탄, 3-프로판-1,3-디아민 및 3-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로부터 출발하여, 표제 화합물 (5)를 황색 고체로서 35% 수율로 분리하였다 (HPLC에 의한 순도 95%). MS(ESI+): 451.9.
실시예 6: 10-(3- 클로로벤질 )-2-(2- 클로로페닐 )-2,3,8,9,10,11- 헥사하이드로 -1H-피 라졸로[4',3':3 ,4]피리도[1,2-a][1,4] 디아제핀 -1,5(7H)- 디온 (6) (화합물 Ia, 반응식 1)의 제조
Figure pct00017
실시예 3에 개괄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2-클로로페닐히드라진, 디메틸 3-옥소펜탄디오에이트, 2-클로로-1,1,1-트리에톡시에탄, 3-프로판-1,3-디아민 및 3-클로로벤즈알데하이드로부터 출발하여, 표제 화합물 (6)을 황색 고체로서 32% 수율로 분리하였다 (HPLC에 의한 순도 98%). MS(ESI+): 456.4;
실시예 7: 2-(2- 클로로페닐 )-2,3,8,9,10,11- 헥사하이드로 -1H- 피라졸로 [4',3':3,4]피리도[1,2-a][1,4] 디아제핀 -1,5(7H)- 디온 (7) (화합물 Ia , 반응식 1)의 제조
Figure pct00018
실시예 3에 개괄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2-클로로페닐히드라진, 디메틸 3-옥소펜탄디오에이트, 2-클로로-1,1,1-트리에톡시에탄 및 3-프로판-1,3-디아민으로부터 출발하여, 표제 화합물 (7)을 황색 고체로서 24% 수율로 분리하였다 (HPLC에 의한 순도 98%). MS(ESI+): 331.9.
실시예 8: tert -부틸 2-(2- 클로로페닐 )-1,5- 디옥소 -2,3,5,8,9,11- 헥사하이드로 -1H- 피라졸로[4',3':3,4]피 리도[1,2-a][1,4] 디아제핀 -10(7H)- 카르복실레이트 (8) (화합물 Ia , 반응식 1)의 제조
Figure pct00019
실시예 3에 개괄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2-클로로페닐히드라진, 디메틸 3-옥소펜탄디오에이트, 2-클로로-1,1,1-트리에톡시에탄, 3-프로판-1,3-디아민 및 디-tert-부틸 카르보네이트로부터 출발하여, 표제 화합물 (8)을 황색 고체로서 36% 수율로 분리하였다 (HPLC에 의한 순도 97%). MS(ESI+): 431.9.
실시예 9: 10-(4- 클로로벤질 )-2-(2- 클로로페닐 )-2,3,8,9,10,11- 헥사하이드로 -1H-피 라졸로[4',3':3 ,4]피리도[1,2-a][1,4] 디아제핀 -1,5(7H)- 디온 (9) (화합물 Ia, 반응식 1)의 제조
Figure pct00020
실시예 3에 개괄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2-클로로페닐히드라진, 디메틸 3-옥소펜탄디오에이트, 2-클로로-1,1,1-트리에톡시에탄, 3-프로판-1,3-디아민 및 4-클로로벤즈알데하이드로부터 출발하여, 표제 화합물 (9)를 황색 고체로서 30% 수율로 분리하였다 (HPLC에 의한 순도 98%). MS(ESI+): 456.4.
실시예 10: 2-(2- 클로로페닐 )-10-(2-메톡시벤질)-2,3,8,9,10,11- 헥사하이드로 -1H- 피라졸로[4',3':3,4]피 리도[1,2-a][1,4] 디아제핀 -1,5(7H)- 디온 (10) (화합물 Ia, 반응식 1)의 제조
Figure pct00021
실시예 3에 개괄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2-클로로페닐히드라진, 디메틸 3-옥소펜탄디오에이트, 2-클로로-1,1,1-트리에톡시에탄, 3-프로판-1,3-디아민 및 2-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로부터 출발하여, 표제 화합물 (10) 황색 고체로서 33% 수율로 분리하였다 (HPLC에 의한 순도 94%). MS(ESI+): 451.9.
실시예 11: 2-(2- 클로로페닐 )-10-(4-메톡시벤질)-2,3,8,9,10,11- 헥사하이드로 -1H- 피라졸로[4',3':3,4]피 리도[1,2-a][1,4] 디아제핀 -1,5(7H)- 디온 (11) (화합물 Ia, 반응식 1)의 제조
Figure pct00022
실시예 3에 개괄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2-클로로페닐히드라진, 디메틸 3-옥소펜탄디오에이트, 2-클로로-1,1,1-트리에톡시에탄, 3-프로판-1,3-디아민 및 4-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로부터 출발하여, 표제 화합물 (11) 황색 고체로서 32% 수율로 분리하였다 (HPLC에 의한 순도 96%). MS(ESI+): 451.9.
실시예 12: 2-(2- 클로로페닐 )-10-( 퓨란 -3- 일메틸 )-2,3,8,9,10,11- 헥사하이드로 -1H- 피라졸로[4',3':3,4]피 리도[1,2-a][1,4] 디아제핀 -1,5(7H)- 디온 (12) (화합물 Ia, 반응식 1)의 제조
Figure pct00023
실시예 3에 개괄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2-클로로페닐히드라진, 디메틸 3-옥소펜탄디오에이트, 2-클로로-1,1,1-트리에톡시에탄, 3-프로판-1,3-디아민 및 퓨란-3-카르브알데하이드로부터 출발하여, 표제 화합물 (12)를 황색 고체로서 32% 수율로 분리하였다 (HPLC에 의한 순도 95%). MS(ESI+): 411.9.
실시예 13: 9-벤질-2-(2- 클로로페닐 )-2,3,7,8,9,10- 헥사하이드로 피라졸로[ 4',3':3,4]피 리도[1,2-a]피라진-1,5- 디온 (13) (화합물 Ia , 반응식 1)의 제조
Figure pct00024
실시예 3에 개괄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2-클로로페닐히드라진, 디메틸 3-옥소펜탄디오에이트, 2-클로로-1,1,1-트리에톡시에탄 및 N-벤질에탄-1,2-디아민으로부터 출발하여, 표제 화합물 (13)을 황색 고체로서 18% 수율로 분리하였다 (HPLC에 의한 순도 90%). MS(ESI+): 408.0.
실시예 14: 2-(2- 클로로페닐 )-2,3,7,8- 테트라하이드로 -1H- 피라졸로 [4',3':3,4]피리도[2,1-c][1,4]옥사진-1,5(10H)- 디온 (14) (화합물 Ia , 반응식 1)의 제조
Figure pct00025
실시예 3에 개괄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2-클로로페닐히드라진, 디메틸 3-옥소펜탄디오에이트, 2-클로로-1,1,1-트리에톡시에탄 및 2-아미노에탄올로부터 출발하여, 표제 화합물 (14)를 황색 고체로서 35% 수율로 분리하였다 (HPLC에 의한 순도 91%). MS(ESI+): 318.8.
실시예 15: 2-(2- 메톡시페닐 )-10-(피리딘-2- 일메틸 )-2,3,8,9,10,11- 헥사하이드로 -1H- 피라졸로[4',3':3,4]피 리도[1,2-a][1,4] 디아제핀 -1,5(7H)- 디온 (15) (화합물 Ia , 반응식 1)의 제조
Figure pct00026
실시예 3에 개괄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2-메톡시페닐히드라진, 디메틸 3-옥소펜탄디오에이트, 2-클로로-1,1,1-트리에톡시에탄, 3-프로판-1,3-디아민 및 피리딘-2-카르브알데하이드로부터 출발하여, 표제 화합물 (15)를 황색 고체로서 30% 수율로 분리하였다 (HPLC에 의한 순도 94%). MS(ESI+): 418.6.
실시예 16: 10-(3-메톡시벤질)-2-(2- 메톡시페닐 )-2,3,8,9,10,11- 헥사하이드로 -1H- 피라졸로[4',3':3,4]피 리도[1,2-a][1,4] 디아제핀 -1,5(7H)- 디온 (16) (화합물 Ia, 반응식 1)의 제조
Figure pct00027
실시예 3에 개괄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2-메톡시페닐히드라진, 디메틸 3-옥소펜탄디오에이트, 2-클로로-1,1,1-트리에톡시에탄, 3-프로판-1,3-디아민 및 3-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로부터 출발하여, 표제 화합물 (16)을 황색 고체로서 33% 수율로 분리하였다 (HPLC에 의한 순도 97%). MS(ESI+): 447.6;.
실시예 17: 2-(2- 클로로페닐 )-10-[(1- 메틸 -1H- 피라졸 -3-일) 메틸 ]-2,3,8,9,10,11-헥사하이드로-1H- 피라졸로[4',3':3,4]피 리도[1,2-a][1,4] 디아제핀 -1,5(7H)-디온 (17) (화합물 Ia , 반응식 1)의 제조
Figure pct00028
실시예 3에 개괄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2-클로로페닐히드라진, 디메틸 3-옥소펜탄디오에이트, 2-클로로-1,1,1-트리에톡시에탄, 3-프로판-1,3-디아민 및 1-메틸-1H-피라졸-3-카르브알데하이드로부터 출발하여, 표제 화합물 (17)을 황색 고체로서 29% 수율로 분리하였다 (HPLC에 의한 순도 93%). MS(ESI+): 425.9.
실시예 18: 2-(2- 클로로페닐 )-10-(피리딘-3- 일메틸 )-2,3,8,9,10,11- 헥사하이드로 -1H- 피라졸로[4',3':3,4]피 리도[1,2-a][1,4] 디아제핀 -1,5(7H)- 디온 (18) (화합물 Ia , 반응식 1)의 제조
Figure pct00029
실시예 3에 개괄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2-클로로페닐히드라진, 디메틸 3-옥소펜탄디오에이트, 2-클로로-1,1,1-트리에톡시에탄, 3-프로판-1,3-디아민 및 피리딘-3-카르브알데하이드로부터 출발하여, 표제 화합물 (18)을 황색 고체로서 30% 수율로 분리하였다 (HPLC에 의한 순도 98%). MS(ESI+): 422.9.
실시예 19: 상이한 세포 배양액 중의 반응성 산소 종의 수준 측정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활성은 세포내 산소로부터의 반응성 산소 종 (ROS)의 형성을 억제 또는 감소시키는 활성에 대하여 시험할 수 있다. 화합물의 활성을 아래 프로토콜에 따라, 니트로블루 테트라졸륨, Amplex Red, 화학발광 (루미놀) 및 2',7'-디클로로디하이드로플루오레신 디아세테이트 (H2DCF-DA) 등의 상이한 기법에 의하여 다음 세포 배양액에서 시험한다.
인간 미세아교 세포주
인간 미세아교 세포주 (HMC3, 인간 미세아교 세포주 클론 3)(Janabi et al., 1995, Neurosci . Lett . 195:105)를 10% FBS와 함께 50 U/ml 페니실린 G 소듐 50 ㎍/ml 스트렙토마이신 술페이트를 함유하는 MEM (이글의 최소 필수 배지) 중에서 배양하고, 37℃에서 24시간 인큐베이트하였다. O2 - 형성을 검출하기 전에, IFN-γ (인간 IFN-γ Roche. 11 040 596 001)를 10 ng/ml 24 h의 최종 농도에 대하여 배양 배지에 첨가하였다.
인간 탯줄 정맥 내피 세포 ( HUVEC )
HUVEC을 하이드로코르티손 (1 ㎍/mL, CalbioChem), 소 뇌 추출물 (12 ㎍/mL), 젠타마이신 (50 ㎍/mL, CalbioChem), 암포테리신 B (50 ng/mL, CalBioChem EGF (10 ng/mL, 및 10% FCS)이 보충된 내피 기본 배지 중에서 4대까지 배양하였다. 5대째 배양이 시작되었을 때, 별도 지시 사항이 없으면 세포를 EGF 부재 중에 저농도 FCS (2%)로 배양하였다. 5대 배양한 세포를 모든 실험에 사용하였다. 세포를 OxLDL (산화된 저밀도 지단백질)과 함께, 또는 대조군으로서 완충액과 함께 24시간 인큐베이션하고, O2 - 형성에 대하여 검출하였다.
HL -60 세포
인간 급성 골수성 백혈병 세포주 HL-60을 10% 가열 불활성화된 송아지 혈청, 2 mM 글루타민, 100 U/ml 페니실린 (Sigma) 및 100 ㎍ 스트렙토마이신 (Sigma)이 보충된 RPMI 1640 (Invitrogen)에서 5% CO2가 있는 습기 대기 중 37℃에서 배양하였다. HL60이 호중구 표현형으로 분화하는 것은 배양 배지에 Me2SO (6일간 최종 농도 1.25% v/v)를 첨가함으로써 촉발시켰다.
1. 니트로블루 테트라졸륨 ( NBT )
세포내 및 세포외 과산화물을 정량적 니트로블루 테트라졸륨 (NBT) 시험을 사용하여 비색법으로 측정하였다. 과산화 음이온 존재하에, SOD에 의하여 억제 가능한 형태로, NBT로부터 미세한 청색 침전물인 포르마잔으로 전환되는 것은 분광기 (Fluostar Optima spectrometer (BMG labtech))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적절한 자극과 함께 인큐베이션한 후, 세포를 트립신 처리하고 (1X Trypsin-EDTA), 원심분리로 수집하고, PBS로 세척하여, 배지를 제거하였다. 5 X 105 개 세포를 48웰 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하고,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800 U/mL SOD을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는 0.5 mg/mL NBT를 함유하는 행크스 밸런스드 염 용액 중에서 인큐베이션한다. 대조군으로서, DPI는 최종 10 μM 농도로 포함되었다. 2.5시간 후, 세포를 고정하고 메탄올로 세척하여, 환원되지 않은 NBT를 제거하였다. 환원된 포르마잔을 230 ㎕의 2M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및 280 ㎕의 디메틸술폭사이드 중에 용해시켰다. 흡수를 630 nm에서 측정하였다. 계산을 위하여, 630 nm에서의 흡수를 각 개별적인 웰에 대하여 정규화하였다. 4개의 블랭크 값의 평균을 각 시점에 대한 각 보정된 값으로부터 감산하였다. NOX 활성은 대조군 세포에서의 활성 %로 표현하였다. DPI로 처리한 세포의 잔여 활성은 보통 <10%였다.
2. Amplex Red
세포외 과산화수소를 Amplex UltraRed (Molecular Probe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를 트립신 처리(1X Trypsin-EDTA)하고, 원심 분리로 수집하고, 1% 글루코스가 보충된 HBSS 중에 재현탁시켰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200 ㎕ 시험 완충액 (0.005 U/mL 호스래디쉬 퍼옥사이드 (Roche)를 함유하는 HBSS 1% 글루코스) 및 50 μM Amplex Red 중의 50,000개 세포의 밀도로 세포를 검은 96웰 플레이트에 시딩하였다. 대조군으로서, DPI를 10 μM의 최종 농도로 포함시켰다. 플레이트 판독기 [fluorescent Optima Fluorescent plate reader]에 플레이트를 두고, 이를 20분간 37℃에 두었다. 형광을 15분간 각각 544 nm 및 590 nm에서 여기 및 방출 파장으로 측정하였다. NOX 활성은 대조군 세포에서 활성의 %로 표현하였다. DPI로 처리한 세포의 잔여 활성은 보통 <10%이다.
아래 표 1은 전술한 바와 같이, DMSO-분화된 HL60 세포를 사용하여 Amplex Red에 의하여 측정된 NOX 활성의 억제 %를 요약한 것이다.
표 1
Figure pct00030
아래 표 2는 전술한 바와 같이, DMSO-분화된 HL60 세포를 사용하여 Amplex Red에 의하여 측정된 NOX 활성의 IC50을 요약한 것이다.
표 2
Figure pct00031
3. 화학 발광 (루미놀)
ROS를 화학 발광 탐침 루미놀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를 배양하고, 이를 Amplex Red법과 같이 플레이팅하였는데, 다만 이 때는 Amplex Red제를 10 ㎍/mL 루미놀 (Sigma 09235)로 대체한 것만 달랐다. 발광을 플레이트 판독기 [FluoStar Optima fluorescent plate reader]의 발광 기능을 사용하여 60분간 37℃에서 연속 기록하였다. 4개의 블랭크 값의 평균을 각 시점에 대한 각 보정된 값으로부터 감산하였다. NOX 활성은 대조군 세포에서의 활성의 %로 표현하였다. DPI-처리된 세포의 잔여 활성은 보통 <10%이었다.
4. 2',7'- 디클로로디하이드로플루오레신 디아세테이트 ( H 2 DCF - DA )
HUVEC을 커버슬립에 플레이팅하고, 0.5% BSA 중에 밤새 휴지시킨 후, TGF-β로 자극하였다. 세포를 암소에서 페놀-레드 무함유 배지 중에 10분간 5μM의 CM-H2DCFDA와 함께 로딩하고, 본 발명의 화합물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TGF-β (R&D Systems)로 처리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DAPI로 핵을 고정하고 염색한 후 면역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하거나, 또는 공초점 현미경으로 그대로 검사하였다. DCF 형광을 488 nm 여기 파장 및 515 내지 540 nm 방출 파장에서 가시화하였다. 표지자 염료의 광 산화를 피하기 위하여, 모든 샘플에 대하여 동일한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1회 신속하게 스캐닝하여 이미지를 수집하였다. 계산을 위하여, 540 nm에서의 흡수를 각 개별 웰에 대한 540 nm에서의 흡수에 대하여 정규화하였다. 4개의 블랭크 값의 평균을 각 시점에 대한 각 보정된 값으로부터 감산하였다. NOX 활성은 대조군 세포에서의 활성의 %로서 표현하였다. DPI로 처리한 세포의 잔여 활성은 보통 <10%이다.
실시예 20: 본태성 고혈압 래트 ( SHR )에서 혈압 측정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고혈압 치료에 대한 능력을 시험하기 위하여, 다음 분석법을 수행한다.
수축기 혈압이 170 mmHg 이상인 11주령 SHR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10:00 내지 12:00 h 사이에 약 3, 10, 30 및 100 mg/kg의 투여량으로 래트에게 경구 투여한다. 평균, 수축기 혈압 및 이완기 혈압 및 심장 박동수를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처음 투여한 후 2, 4, 6, 8 및 24시간 후에 모니터링하여, 1일간 역학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다음, 혈압을 각 24시간의 아침에 2주간 2일마다 모니터링하고, 화합물의 반감기를 측정하였다.
최종 주사 후, 24시간 시점을 관찰한다. 화합물 제거를 관찰하기 위하여 처리하지 않고 1주 더 동물을 제어한다. 위관에 대하여 적합하게 만든 특수 니들을 사용한 위관으로 2주간 동물을 1일에 1회 5 ml/kg로 처리한다. 동물을 사용하기에 앞서, 이들을 2일간 적응시키고, 1주 더 훈련시킨다. 혈압은 테일-커프 플레티스모그래피 (tail-cuff plethysmography) (Codas 6, Kent)를 사용하여 깨어 있는 래트에서 측정한다. 몇일 간 훈련 후, SBP 가변성이 ≤ 40 mm Hg, 즉, +/- 20 mm Hg인 경우 동물을 몇 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실험 최소 2일전에 기준선 측정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시작하기에 앞서, 균일한 군을 만들기 위하여 동물을 무작위로 섞는다.
실시예 21: 마우스에서 블레오마이신 유도된 폐 외상
본 발명의 화합물의 호흡기 질환 또는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능력을 시험하기 위하여, 다음 분석법을 수행한다.
특발성 폐 섬유증 등의 호흡기 질환 또는 질병에 필적할 만한 폐 병변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동물에 블레오마이신 (BLM)의 1회 치사 투여량보다는 적은 양을 기관지 투여한다 (0.9% NaCl 40 ㎕ 중에 용해된 마우스당 0.0125 UI). 대조군 동물에도 동일한 프로토콜을 수행하지만, 다만 BLM 대신에 식염수 동량을 기관지내 투여한다. 기관지 점적 주사를 케타민 (80 mg/ 체중 (kg), i.p.) 및 자일라진 (20 mg/체중 (kg), i.p.) 마취 하에 수행한다.
기관내 BLM 또는 식염수 투여 5주 후에는, 소듐 펜토바르비탈을 치사량 투여한 후, 복강 동맥을 절단하여 동물을 희생시킨다. 폐의 무게를 달고, 생화학 (군당 n=10 폐), 및 조직학 (군당 n=5) 연구를 위하여, 아래와 같이 따로 처리한다. 동물을 무작위로 4개의 군으로 나눈다: 대조군-식염수 (n=8) 및 대조군 + BLM (n=15); 화합물 투여량 1 + BLM (n=15) 및 화합물 투여량 2 + BLM (N=15). 처리 비히클 또는 화합물은 5주간 투여한다.
예방 모델에서는, 5주간 0일째에 시작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식염수/대조군을 마우스에 매일 경구 투여하고, 치료 모델에서는 10일째에 시작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식염수/대조군을 마우스에 최대 5주간 매일 경구 투여하였다. 산 용해성 콜라겐의 전체 폐 축적물을 시르콜 (Sircol) 분석법으로 분석한다.
예방 모델
전술한 프로토콜의 가장 넓은 라인을 따랐다. 0일째에, 동물에게 블레오마이신 (20 ㎕) 0.0125 UI를 기관지내 주사하여 폐 병변을 발생시켰다. 예방 모델군에게는 0일째에 시작하여, 5주간 날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경구 투여하였다. 동물들을 4개의 군으로 무작위로 나누었다. 즉, 대조군-식염수 (n=11); 대조군 + BLM (n=12); os 본 발명의 화합물 3을 40 mg/kg+ BLM (n=12); 및 os 피르페니돈 (Pirfenidone) (AQCHEM, ref P1002) (폐, 신장 및 간을 비롯한 다발성 섬유증에서 활성이 입증된 항섬유증제)을 100 mg/kg + BLM (n=12). 기관지 내에 BLM 또는 식염수를 처리하고 35일 후에, 동물을 희생시키고, 폐를 시르콜 (SIRCOL) 분석법 (TebuBio, ref S1000)으로 콜라겐 침착 및 염증의 정량 분석에 대하여 상기 지시된 바대로 처리하였다. 40 mg/kg의 투여량의 화합물 3은 블레오마이신 대조군과 비교하여 46%의 콜라겐 침착을 억제할 수 있었으며, 이는 100 mg/kg (45%)의 피르페니돈에 필적할 만한 것이다.
치료 모델
전술한 프로토콜의 가장 넓은 라인을 따랐다. 0일째에, 동물에게 블레오마이신 (40 ㎕) 0.0125 UI를 기관지내 주사하여 폐 병변을 발생시켰다. 치료 모델군에게는 10일째에 시작하여, 35일째까지 3.5주간 날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경구 투여하였다. 동물들을 6개의 군으로 무작위로 나누었다. 즉, 대조군-식염수 (n=8); 2개의 군 대조군+BLM (n=13); os 본 발명의 화합물 3을 40 mg/kg+ BLM (n=13); os당 본 발명의 화합물 3을 10 mg/kg+ BLM (n=13)및 os 피르페니돈 (AQCHEM, ref P1002)을 100 mg/kg + BLM (n=13). 하나의 블레오마이신 대조군을 10일째에 중단시키고, 동물을 희생시키고, 콜라겐 수준을 측정하였다. 다른 군에 대해서는, 기관지내 BLM 또는 식염수를 투여한 후 35일 째에, 동물을 희생시키고, 폐를 전술한 바와 같이 콜라겐 침착 및 염증의 정량 분석에 대하여 상기 지시된 바대로 처리하였다. 투여량 40 mg/kg 및 투여량 10 mg/kg의 화합물 3은 각각 블레오마이신 대조군에 비하여 52% 및 64%의 콜라겐 침착을 억제할 수 있었으며, 이는 피르페니돈 100 mg/kg (12%)보다 더 높은 수준이다.
그러므로, 상기 결과는 폐 섬유증 등의 호흡기 질환 또는 질병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이 예방 효과 및 치료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강력하게 뒷받침한다.
실시예 22: 암의 동물 모델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암을 치료하기 위한 능력, 특히 종양 성장 및/또는 혈관 신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능력을 시험하기 위하여, 다음의 분석법을 수행한다.
생체내 혈관 신생 분석법
7주 내지 10주령 C57BL6/J 암컷에, 500 ng/ml의 혈관 신생 인자 (b-FGF 또는 VEGF)가 보충된 Matrigel 성장 인자 400 ㎕를 피하 주사한다. 그래프트 1주 후, 마우스를 MicroCT (Skyscan)를 사용하여 스캐닝한다. 혈관 밀도를 가시화하기 위하여 트레이서 (400 ㎕ 요오드화 리포좀)를 마우스의 안구 후방에 주사한다. 이어서, 스캔 사진을 Recon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고, 플러그 중의 회색 밀도를 플러그 중 모든 슬라이드에서 계수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10일간, 1일에 1회, 적절한 투여량 1 및 2로 경구 투여한다. 결과는 회색 밀도로 표현되는데, 이는 혈관 밀도에 상응한다. Matrigel 플러그도 냉동시키고, 혈관을 가시화하기 위하여 CD31에 대하여 염색한다.
종양 성장 분석법
5 .105 루이스 (Lewis) 폐암종 세포 (LLC1)를 마우스의 등에 피하 주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40 mg/kg을 매일 per os로 마우스에 처리한다. 대조군 종양이 약 1 cm 길이에 다다랐을 때,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종양을 회수하여 중량을 달고 냉동시킨다. 치료 분석을 위하여, 종양이 약 0.5 cm로 성장한 후부터, 마우스에 LLC1 세포를 주사하였는데, 마우스를 처리하고 종양 크기를 매일 분석한다. 희생 후, 종양을 냉동시키고, 종양 섹션을 항-CD31 항체로 염색하고, ROS 수준을 분석한다.
실시예 23: 인간 폐 섬유아세포 ( IMR -90)에 대한 효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호흡기 질환 또는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능력을 시험하기 위하여 다음 분석법을 수행한다.
α-SMA 단백질 발현
본 발명의 화합물의 활성은 IMR-90 세포에서의 α-SMA 단백질 발현의 정량 분석에 의한, 인간 폐 섬유아세포에서 미오피브로블라스트 (myofibroblasts)로의 TGFβ 유도성 분화에 대한 효과를 통하여 분석한다.
IMR-90 세포 (ATCC (LGC), ref ATCC-CCL-186)를 5% C02가 공급된 공기 중에서 37℃의 10% 송아지 혈청 (FCS)이 보충된 이글의 최소 필수 배지 [Eagle's Minimum Essential Medium (EMEM)]에서 배양하였다. 75-80% 컨플루언스에 이른 세포를 트립신-EDTA 혼합물을 사용하여 계대 배양하였다. 세포를 웰당 200,000개 세포의 밀도로 6웰 플레이트에 시딩하고, 10% FCS가 보충된 EMEM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어서, FCS가 없는 EMEM으로 배지를 교체하여 세포를 스타빙시켰다. 24시간 후에, 세포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0.1, 1 및 10 μM)으로 처리하였다. 1시간 후에, 세포를 48시간 동안 TGFβ (2.5 ng/ml)에 노출시켰다. 화합물 및 TGFβ 스톡 솔루션을 EMEM 중에서 준비하였다. 배양 배지 중의 DMSO 농도는 최종 1%였다. 대조군을 비히클 (DMSO)로 처리하였다. 수확한 당일에, 세포를 차게 해 둔 PBS로 세척하고, 프로테아제 억제제 (Complete, Roche)가 보충된 PBS 1.1 ml 중의 세포 스크래퍼로 세포를 탈착하였다. 세포를 10,000 x g로 10분간 4℃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세포 펠릿을 프로테아제 억제제 (Complete, Mini Protease Inhibitor Cocktail Tablets, Roche ref 11836153001, 공급업자가 제공한 가능한 프로테아제 억제제 리스트)가 보충된 RIPA 용해 완충액 (Sigma) (150 mM NaCl, 1.0% IGEPAL® CA-630, 0.5%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0.1% SDS, 50 mM Tris, pH 8.0) 65 ㎕ 중에 균질화하고, 간단히 초음파처리하였다. 용해물을 냉동시키고 분석전까지 -80℃에서 보관하였다. 용액 중의 단백질을 브래드포드법 (Sigma, ref B6919)으로 측정하고, RIPA 완충액 및 로딩 완충액 (Tris-base 0.31 M, 글리세롤 10%, SDS 2%, β-머캅토에탄올 5%, 브로모페놀 블루 0.002%)의 혼합물 중에 0.25 ㎍/㎕의 최종 농도로 희석시켰다. 샘플을 95℃에서 5분간 가열하고, 단백질을 일정한 전압 (200 V, 60분)에서 NuPage 12% Bis-Tris 겔 및 MOPS 러닝 완충액 (50 mM MOPS, 50 mM Tris, 3.5 mM 소듐 도데실 술페이트, 0.8 mM EDTA)을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단백질을 트랜스퍼 완충액 (Invitrogen)을 사용하여 습윤 조건 하에 재수화된 니트로셀룰로스 멤브레인으로 일정한 전압 (35 V)에서 75분간 전달시켰다. 멤브레인을 PBS-Tween (0.05% Tween) 중의 5% 탈지 분유 분말로 블록킹하였다. 블록킹 후에, 멤브레인을 3% 건조 분유 및 PBS-T 중에 1차 항체 (항-α-SMA)로 밤새 인큐베이팅하였다. 항-α-SMA 항체 (RnDsystem, MAB1420)를 1:3000으로 희석하였다. 멤브레인을 PBS로 세정하고, 3% 건조 분유 및 PBS-T 중에 1/3,000로 희석된 GAPDH 1차 항체 (SantaCruz, sc47724)와 1시간 인큐베이트하여, 각 레인 중에 단백질 동량이 있는지를 증명하였다. 이어서, 멤브레인을 PBS-T로 세정하고, 호스래디쉬 퍼옥시다아제 컨쥬게이팅된 염소 항-마우스 IgG (1:4,000)으로 탐침하였다. 세 번째 세척을 수행하고, 블롯을 화학 발광법 (ECL; Amersham Biosciences, Buckinghamshire, UK)으로 나타나게 하였다. 자가방사기록사진을 이미지 스캐너로 스캐닝하고, 퍼블릭 도메인 NIH ImageJ program (http://rsbweb.nih.gov/ij/; Vittal , 2007, JPET ; 321:35-44)을 사용하여 이미지 분석법으로 처리하였다. 데이터는 임의의 농도 단위로 얻어, 동일한 블롯 상에 가시화된 대조군 샘플의 스캔으로부터 얻은 농도 수준의 백분율로 전환하였다. α-SMA의 강도는 GAPDH의 강도에 대하여 연관이 있었다. 데이터를 평균 ± SEM으로 나타내고, 2개 군 간의 통계학적 비교를 스튜던트 t-테스트로 수행하였다.
HSP -47 단백질 발현
본 발명의 화합물의 활성을 IMR-90 세포 중의 HSP-47 단백질 발현의 정량 분석법으로, 인간 폐 섬유아세포에서 미오피브로블라스트로의 TGF-β 유도된 분화의 효과에 대한 이들의 효과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IMR-90 세포를 배양하고, 시딩하고, 스타빙시킨 다음에, 본 발명의 화합물로 처리하였다.
수확 당일에 세포를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하였다. 블록킹한 다음에, 멤브레인을 전술한 바와 같이 밤새 인큐베이팅하였다. 항-Hsp47 항체 (Abcam, ab13510)를 1:3000으로 희석하였다. 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멤브레인을 세정하였다. 자가방사기록사진을 전술한 바와 같이 분석하였다. Hsp47의 강도를 GAPDH의 강도에 대하여 연관 분석하였다.
화합물 3은 0.1-20 μM 농도 범위로 인간 미오피브로블라스트 분화 (α-SMA ) 및 세포외 매트릭스 축적 (HSP47)의 바이오마커를 억제할 수 있었다 (각각 21 내지 51% 및 89 내지 77%). 그러므로, 이들 결과는 섬유증 메카니즘이 관여하는 질병 또는 질환, 가령 폐 섬유증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3의 효과를 강력하게 뒷받침한다.
Col3a mRNA 수준
본 발명의 화합물의 활성을 IMR-90 세포에서 Col3a mRNA 수준의 정량 분석법에 의한, 인간 폐 섬유아세포에서 미오피브로블라스트로의 TFG-β 유도된 분화에 대한 이들의 효과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IMR-90 세포를 전술한 바와 같이 배양하였다. 배지를 사흘마다 갈아주었다. 75-80% 컨플루언스에 다다른 세포를 트립신-EDTA 혼합물을 사용하여 계대 배양하였다. 8대 이하의 계대 배양한 것으로부터의 IMR-90 세포만을 자발적 분화를 예방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RNA 분리를 위하여, IMR-90 세포를 200,000 세포/웰의 비율로 6웰 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하고, EMEM 완전 배지에서 24시간 생장시켰다. 이튿날, 배지로부터 FBS를 제거함으로써 세포의 생장을 어레스팅시켰다. 세포를 TGF-β로 처리하기 1시간 전에 0.1 및 20 μM의 최종 농도로 본 발명의 화합물에 노출시켰다. 미오피브로블라스트로의 분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IMR-90 세포를 2.5 ng/ml의 농도로 TGF-β와 함께 24시간 인큐베이팅시켰다. 화합물 및 TGF-β 스톡 용액을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DMSO 농도 및 대조군도 전술한 바와 같다.
제조업자의 지침에 따라서 RNeasy Mini (Qiagen, ref 74104) 키트를 사용하여 총 RNA를 분리하였다. 약술하자면 세포 용해물을 RNeasy Mini 키트에 의하여 제공되는 RLT 용해 완충액 존재하에 20 게이지 니들을 사용하여 균질화하고, 균질화를 완성하기 위하여 QIAshredder (Qiagen, ref 79654) 컬럼에 전달시켰다. 이어서, 에탄올을 용해물에 첨가하여, RNeasy 멤브레인에 RNA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촉진하는 조건을 만들어주었다. 이어서, 이 샘플을 RNeasy 스핀 컬럼에도 적용한다. 총 RNA는 멤브레인에 결합한다. 잔여 게노믹 DNA는 실온에서 15분간 DNase (Qiagen, ref 79254) 30 유닛과 함께 RNA 샘플을 인큐베이팅함으로써 제거하였다. 오염물을 RNeasy Mini 키트에 의하여 제공되는 세척 완충액으로 세척 단계에서 효율적으로 세척해 내었다. RNA 샘플을 DEPC 워터 중에 100 ng/㎕으로 희석하였다. cDNA로의 역전사는 제조업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PrimerScript (Takara, ref DRR027sp) 역전사효소를 사용하여 총 RNA 5000 ng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COL3a의 발현은 정량적 리얼 타임 PCR로 분석하였다. 2X SYBR Green I Master Mix (Applied Biosystems, ref 4309155) 완충액, 각 특정 프라이머 0.3 mM, cDNA 주형 (500 ng 총 RNA) 및 H2O (멸균 PCR급)을 함유하는 10 ㎕ 최종 반응액 중에서 증폭을 수행하였다.
프라이머는 Primer Express® 2.0 Software (Applied Biosystems)를 사용하여 디자인하였고, Invitrogen에 의하여 합성되었다. 인간 COL3a에 대한 PCR 프라이머는 다음과 같다:
-Col3a 정방향 프라이머:5' TTA AAG GAA AGA CAC TCC GAT CAG AGA TGA 3'
-Col3a 역방향 프라이머:5' AAT GTT TCC GGA GTA GGG GAG TCT TTT T 3'
ABI prism® 7900 Ht 검출 시스템 (Applied Biosystems) 상에서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증폭 프로그램에는 95℃에서 10분간 초기 변성 단계와, 15초간 95℃에서 변성 사이클 45회, 1분간 60℃에서 어닐링 단계 및 1분간 72℃에서 연장 단계가 포함된다. 온도 변화율은 20℃/s이었다. 각 단계 말기에 형광 측정을 수행하였다. 증폭 후에, PCR의 특이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용융 곡선을 얻었다. 이 분석은 각 조건으로부터 RNA 샘플에 대하여 3회씩 수행하였다.
COL3a에 대하여 얻은 전사체 수준을 geNorm 소프트웨어 (Vandesompele et al., 2002, Genome Biol ., Jun 18; 3(7))를 사용하여 일롱게이션 팩터-1 컴플렉스 (EEF1A)의 알파 서브 유닛, 베타 글루코로니다아제 (GUSB) 및 베타 마이크로튜블린에 대한 전사체 수준에 대하여 정규화하였다.
대조군 샘플로부터 얻은 전사체 수준에 비교하여 몇배 단위로 데이터를 전환시켰다. 데이터를 평균 ± SEM으로 나타내고, 2개 군 간의 통계학적 비교를 스튜던트 t-테스트로 수행하였다.
PLOD2 mRNA 수준
본 발명의 화합물의 활성을 IMR-90 세포에서 PLOD2 mRNA 수준의 정량 분석법에 의한, 인간 폐 섬유아세포에서 미오피브로블라스트로의 TFG-β 유도된 분화에 대한 이들의 효과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IMR-90 세포를 전술한 바와 같이 배양하였다. 배지를 사흘마다 갈아주었다. 75-80% 컨플루언스에 다다른 세포를 트립신-EDTA 혼합물을 사용하여 계대 배양하였다. 8대 이하의 계대 배양한 것으로부터의 IMR-90 세포만을 자발적 분화를 예방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RNA 분리 및 cDNA로의 역전사를 위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였다. PLOD2의 발현을 COL3a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인간 PLOD2에 대한 PCR 프라이머는 다음과 같다:
- PLOD2 정방향 프라이머:5' TGG CTA CTT CTC GCT CTG CT 3'
- PLOD2 역방향 프라이머:5'TTC CTG TTG TGC CAA AAT AAT AGT G 3'
데이터를 전술한 바와 같이 분석하였다.
화합물 3은 0.1-20 μM의 농도로 콜라겐 축적 (Coll3a) 및 콜라겐 섬유 가교 결합 효소 (PLOD2)의 바이오마커를 억제할 수 있었다 (각각 0 내지 57% 및 1% 내지 36%). 화합물 3은 폐 섬유아세포 (IMR-90) 세포에서 Col3a 및 PLOD2 mRNA 수준의 TGFβ-유도 증가를 억제하였다. 이들 데이터는 화합물 3이 섬유아세포가 미오피브로블라스트로 TGFβ-유도성 분화하는 것을 억제하고, 그 다음의 단계인 콜라겐의 과다 생성도 억제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들 결과는 호흡기 질환 또는 질병, 가령 폐 섬유증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치료 효과를 강력하게 뒷받침한다.

Claims (19)

  1. 화학식 (I)의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활성인 유도체:
    [화학식 (I)]
    Figure pct00032

    R 1 은 H; 임의 치환된 알콕시카르보닐;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2-C6 알키닐; 임의 치환된 알콕시; 임의 치환된 알콕시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아미노알킬; 임의 치환된 아실; 임의 치환된 아릴;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아릴; 임의 치환된 아릴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아릴; 임의 치환된 아릴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3-C8-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C3-C8-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3-C8-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및 임의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 2 H; 임의 치환된 알콕시카르보닐; 임의 치환된 아실; 임의 치환된 아실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2-C6 알키닐; 임의 치환된 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C3-C8-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3-C8-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아릴 C1-C6 알킬 및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 3 H; 임의 치환된 알콕시카르보닐; 임의 치환된 아실;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2-C6 알키닐; 임의 치환된 아릴;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아릴; 임의 치환된 아릴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아릴; 임의 치환된 아릴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3-C8-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C3-C8-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3-C8-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및 임의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 4 , R 5 , R 6 , R 7 , R 8 R 9 은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니트로;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2-C6 알키닐; 임의 치환된 아미노; 임의 치환된 아미노알킬; 임의 치환된 알콕시; 임의 치환된 알콕시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 10 은 H 및 임의 치환된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 11 은 H; 임의 치환된 알콕시카르보닐; 임의 치환된 아실;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2-C6 알키닐; 임의 치환된 알콕시; 임의 치환된 알콕시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아미노알킬; 임의 치환된 아실; 임의 치환된 아릴;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아릴; 임의 치환된 아릴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아릴; 임의 치환된 아릴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3-C8-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C3-C8-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3-C8-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및 임의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 12 는 H; -Z-NR13R14; -CHR17R18; 임의 치환된 알콕시카르보닐; 임의 치환된 아실;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2-C6 알키닐; 임의 치환된 알콕시; 임의 치환된 알콕시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아미노알킬; 임의 치환된 아실; 임의 치환된 아릴;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아릴; 임의 치환된 아릴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아릴; 임의 치환된 아릴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3-C8-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C3-C8-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3-C8-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및 임의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 13 , R 14 , R 17 R 18 은 각각 독립적으로 H;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2-C6 알키닐; 임의 치환된 아릴;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아릴; 임의 치환된 아릴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아릴; 임의 치환된 아릴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임의 치환된 C3-C8-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C3-C8-사이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3-C8-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임의 치환된 C1-C6 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및 임의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X는 O, NR12, S, S=O 및 S(O)2로부터 선택되고; Z는 C(O); C(S) 및 SO2로부터 선택되며; n은 0 및 1으로부터 선택되는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은 임의 치환된 아릴 및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7, R18, X 및 n은 선행하는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인 유도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는 NR12이고;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7, R18, 및 n은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인 유도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X는 NH이고;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및 n은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인 유도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는 O이고;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3, R14, 및 n은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인 유도체.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R12는 임의 치환된 아릴 C1-C6 알킬 및 임의 치환된 헤테로아릴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3, R14, X 및 n은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인 유도체.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R12는 임의 치환된 알콕시카르보닐이고;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3, R14, X 및 n은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인 유도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R2 , R3 , R4, R5, R6, R7, R8, R9 , R10 및 R11 H이고; R1, R12, R13, R14, R17, R18, X 및 n은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인 유도체.
  9. 다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유도체.
    2-(2-클로로페닐)-10-(피리딘-2-일메틸)-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 [4',3':3,4]피리도[1,2-a][1,4]디아제핀-1,5(7H)-디온;
    10-벤질-2-(2-메톡시페닐)-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4',3':3,4] 피리도[1,2-a][1,4]디아제핀-1,5(7H)-디온;
    10-벤질-2-(2-클로로페닐)-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4',3':3,4] 피리도[1,2-a] [1,4]디아제핀-1,5(7H)-디온;
    10-(2-클로로벤질)-2-(2-클로로페닐)-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 [4',3':3,4] 피리도[1,2-a][1,4]디아제핀-1,5(7H)-디온;
    2-(2-클로로페닐)-10-(3-메톡시벤질)-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 [4',3':3,4] 피리도[1,2-a][1,4]디아제핀-1,5(7H)-디온;
    10-(3-클로로벤질)-2-(2-클로로페닐)-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 [4',3':3,4] 피리도[1,2-a][1,4]디아제핀-1,5(7H)-디온;
    2-(2-클로로페닐)-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4',3':3,4]피리도[1,2-a] [1,4] 디아제핀-1,5(7H)-디온;
    tert-부틸 2-(2-클로로페닐)-1,5-디옥소-2,3,5,8,9,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 [4',3':3,4] 피리도[1,2-a][1,4]디아제핀-10(7H)-카르복실레이트;
    10-(4-클로로벤질)-2-(2-클로로페닐)-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 [4',3':3,4] 피리도[1,2-a] [1,4]디아제핀-1,5(7H)-디온;
    2-(2-클로로페닐)-10-(2-메톡시벤질)-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 [4',3':3,4] 피리도[1,2-a][1,4]디아제핀-1,5(7H)-디온;
    2-(2-클로로페닐)-10-(4-메톡시벤질)-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 [4',3':3,4]피리도[1,2-a][1,4]디아제핀-1,5(7H)-디온;
    2-(2-클로로페닐)-10-(퓨란-3-일메틸)-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 [4',3':3,4] 피리도[1,2-a][1,4]디아제핀-1,5(7H)-디온;
    9-벤질-2-(2-클로로페닐)-2,3,7,8,9,10-헥사하이드로피라졸로[4',3':3,4]피리도[1,2-a] 피라진-1,5-디온;
    2-(2-클로로페닐)-2,3,7,8-테트라하이드로-1H-피라졸로[4',3':3,4]피리도[2,1-c][1,4] 옥사진-1,5 (10H)-디온;
    2-(2-메톡시페닐)-10-(피리딘-2-일메틸)-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4',3':3,4]피리도[1,2-a][1,4]디아제핀-1,5(7H)-디온;
    10-(3-메톡시벤질)-2-(2-메톡시페닐)-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 [4',3':3,4]피리도[1,2-a][1,4]디아제핀-1,5(7H)-디온;
    2-(2-클로로페닐)-10-[(1-메틸-1H-피라졸-3-일)메틸]-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4',3':3,4]피리도[1,2-a][1,4]디아제핀-1,5(7H)-디온; 및
    2-(2-클로로페닐)-10-(피리딘-3-일메틸)-2,3,8,9,10,11-헥사하이드로-1H-피라졸로 [4',3':3,4]피리도[1,2-a][1,4]디아제핀-1,5(7H)-디온.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유도체 1종 이상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캐리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11. 의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유도체.
  12. 심혈관 질환, 호흡기 질환, 대사 질환, 피부 질환, 뼈 질환, 신경 염증 및/또는 신경 퇴행성 질환, 신장 질병, 생식기 질환, 눈 및/또는 망막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 및/또는 내이에 영향을 미치는 증상, 염증성 질환, 간 질병, 통증, 암, 알러지성 질환, 외상성 상해, 패혈성, 출혈성 및 과민성 쇼크, 위장관의 질병 또는 질환, 혈관 신생, 혈관 신생 의존성 증상 및 그외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포스페이트 옥시다아제 (NADPH 옥시다아제)와 관련된 질병 및/또는 질환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 또는 증상의 치료용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
  13. 화학식 (II)의 중간체:
    [화학식 (II)]
    Figure pct00033

    상기 식 중, R1,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R17, R18, X 및 n은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바와 같고, R15는 임의 치환된 C1-C6 알킬이다.
  14. 메틸 [(4Z)-4-(4-벤질-1,4-디아제판-2-일리덴)-1-(2-클로로페닐)-5-옥소-4,5-디하이드로-1H-피라졸-3-일]아세테이트; 및 메틸 [(4Z)-4-(4-벤질-1,4-디아제판-2-일리덴)-1-(2-메톡시페닐)-5-옥소-4,5-디하이드로-1H-피라졸-3-일]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13항에 기재된 중간체.
  15. 화학식 (V)의 화합물을 화학식 (IV)의 아민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II)의 중간체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34

    상기 식 중, R1,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R17, R18, X 및 n은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바와 같다.
  16. 염기의 존재 하에,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사이클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35

    상기 식 중, R1,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R17, R18, X 및 n은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바와 같고; R2는 H이다.
  17. 염기의 존재 하에, 화학식 (Ia)의 화합물을 알킬화제 또는 커플링제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36

    상기 식 중, R1,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3, R14, R17, R18, X 및 n은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바와 같고; R2는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바와 같지만, H는 아니다.
  18.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화합물 [여기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7, R18, X 및 n은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바와 같다],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활성인 유도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 호흡기 질환, 대사 질환, 피부 질환, 뼈 질환, 신경 염증 및/또는 신경 퇴행성 질환, 신장 질병, 생식기 질환, 눈 및/또는 망막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 및/또는 내이에 영향을 미치는 증상, 염증성 질환, 간 질병, 통증, 암, 알러지성 질환, 외상성 상해, 패혈성, 출혈성 및 과민성 쇼크, 위장관의 질환, 혈관 신생, 혈관 신생 의존성 증상 및 그외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포스페이트 옥시다아제와 관련된 질병 및 질환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 또는 증상을 앓고 있는 환자의 치료 방법.
  19.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화합물 [여기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7, R18, X 및 n은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바와 같다],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활성인 유도체를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혈관 신생 억제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혈관 신생 억제가 필요한 환자에서의 혈관 신생의 억제 방법.
KR1020127007664A 2009-09-28 2010-09-27 Nadph 옥시다아제 억제제로서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 KR1017912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71466A EP2305679A1 (en) 2009-09-28 2009-09-28 Pyrazoline dione derivatives as nadph oxidase inhibitors
EP09171466.7 2009-09-28
PCT/IB2010/054329 WO2011036651A1 (en) 2009-09-28 2010-09-27 Pyrazoline dione derivatives as nadph oxidase inhibi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998A true KR20120090998A (ko) 2012-08-17
KR101791273B1 KR101791273B1 (ko) 2017-10-27

Family

ID=4134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7664A KR101791273B1 (ko) 2009-09-28 2010-09-27 Nadph 옥시다아제 억제제로서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9394306B2 (ko)
EP (2) EP2305679A1 (ko)
JP (1) JP5707406B2 (ko)
KR (1) KR101791273B1 (ko)
CN (1) CN102686590B (ko)
AU (1) AU2010299487B2 (ko)
BR (1) BR112012004208A2 (ko)
CA (1) CA2770278C (ko)
CY (1) CY1119780T1 (ko)
DK (1) DK2483271T3 (ko)
ES (1) ES2644857T3 (ko)
HK (1) HK1171748A1 (ko)
HR (1) HRP20171638T1 (ko)
HU (1) HUE035058T2 (ko)
IL (1) IL218814A0 (ko)
LT (1) LT2483271T (ko)
ME (1) ME03040B (ko)
NO (1) NO2483271T3 (ko)
PL (1) PL2483271T3 (ko)
PT (1) PT2483271T (ko)
RS (1) RS56542B1 (ko)
RU (1) RU2569855C2 (ko)
SI (1) SI2483271T1 (ko)
WO (1) WO20110366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02835A1 (en) 2007-06-04 2008-12-17 GenKyo Tex Pyrazolo pyridine derivatives as NADPH oxidase inhibitors
EP2165707A1 (en) 2008-09-23 2010-03-24 Genkyo Tex Sa Pyrazolo pyridine derivatives as NADPH oxidase inhibitors
EP2166009A1 (en) 2008-09-23 2010-03-24 Genkyo Tex Sa Pyrazolo pyridine derivatives as nadph oxidase inhibitors
EP2166010A1 (en) 2008-09-23 2010-03-24 Genkyo Tex Sa Pyrazolo pyridine derivatives as NADPH oxidase inhibitors
EP2361911A1 (en) 2010-02-18 2011-08-31 GenKyoTex SA Pyrazolo piperidine derivatives as NADPH oxidase inhibitors
WO2013078261A1 (en) * 2011-11-22 2013-05-30 The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Treatment of muscular conditions and muscular dystrophies
EP2825165A1 (en) * 2012-03-16 2015-01-21 Glucox Biotech AB Thiophene-based compounds exhibiting nox4 inhibitory activity and use thereof in therapy
US9687490B2 (en) 2012-10-24 2017-06-27 Glucox Biotech Ab Triaz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conditions associated with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 oxidase
EP2857399A1 (en) 2013-10-03 2015-04-08 GenKyoTex SA Compound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PDE5 inhibitor-poorly responsive erectile dysfunction
JP2018505226A (ja) 2015-02-16 2018-02-22 グルコックス・バイオテック・アーベー N2−(3,4−ジメチルフェニル)−6−((4−(p−トリル)ピペラジン−1−イル)メチル)−1,3,5−トリアジン−2,4−ジアミン
EP3098220A1 (en) 2015-05-28 2016-11-30 GenKyoTex S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nadph oxidase inhibitor and its polymorphs and uses thereof
EP3661509A4 (en) 2017-08-04 2021-01-13 Skyhawk Therapeutic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ULATING THE SPLICE
EP3479843A1 (en) * 2017-11-01 2019-05-08 GenKyoTex Suisse SA Use of nox inhibitors for treatment of cancer
KR20210135241A (ko) 2019-02-05 2021-11-12 스카이호크 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스플라이싱을 조절하는 방법 및 조성물
CN113677344A (zh) 2019-02-06 2021-11-19 斯基霍克疗法公司 用于调节剪接的方法和组合物
WO2023101418A1 (ko) * 2021-12-03 2023-06-08 (주)인비보텍 난청 또는 이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1407A (en) 1973-03-01 1976-01-06 American Hoechst Corporation Method of treatment with and compositions containing condensed pyrroles bearing an N-phenyl substituent
DE3728278A1 (de) 1986-12-17 1988-06-23 Bayer Ag Herbizide und fungizide mittel auf basis von substituierten pyrazolin-5-on derivaten
DE19518082A1 (de) 1995-05-17 1996-11-21 Merck Patent Gmbh 4(-Arylaminomethylen)-2,4-dihydropyrazol-3-one
US5763496A (en) 1995-11-27 1998-06-09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vention of atherosclerosis using NADPH oxidase inhibitors
TW432073B (en) 1995-12-28 2001-05-01 Pfizer Pyrazolopyridine compounds
WO1998037068A1 (en) 1997-02-21 1998-08-2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Benzoic acid derivatives and related compounds as antiarrhythmic agents
IL144468A0 (en) 2000-07-27 2002-05-23 Pfizer Prod Inc Use of growth hormone secretagogues for improvement of functional health status
JP4196678B2 (ja) 2001-04-26 2008-12-17 味の素株式会社 複素環化合物
CA2483306A1 (en) 2002-04-23 2003-11-06 Shionogi & Co., Ltd. Pyrazolo[1,5-a]pyrimidine derivative and nad(p)h oxidase inhibitor containing the same
WO2004005267A2 (en) 2002-07-03 2004-01-15 Janssen Pharmaceutica, N.V. Heteroaryl compounds useful in treating inflammatory disorders
CN1774243A (zh) 2003-02-28 2006-05-17 霍华德弗洛里实验生理及医药学院 治疗组合物
US20070082910A1 (en) 2003-04-08 2007-04-12 Mitsubishi Pharma Corporation Specific nad(p)h oxidase inhibitor
TW200533356A (en) 2004-02-24 2005-10-16 Mitsubishi Pharma Corp Fused pyridazine derivatives
RU2266906C1 (ru) * 2004-04-29 2005-12-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Химического Разнообразия" (ООО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Химического Разнообразия") Анелированные карбамоилазагетероциклы,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варианты),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фокусированная библиотека
CA2582674A1 (en) 2004-10-04 2006-04-20 Myriad Genetics, Inc. Compounds for alzheimer's disease
FR2882654B1 (fr) 2005-03-01 2007-04-27 Servier Lab Utilisation de derives de la diosmetine pour le traitement et la prevention des pathologies thrombotiques
US7759337B2 (en) 2005-03-03 2010-07-20 Amgen Inc. Phthalazine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US20070014739A1 (en) 2005-07-14 2007-01-18 Eldridge Gary 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biofilms and bacterial infections
DE102005048897A1 (de) 2005-10-12 2007-04-19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iacylindazol-derivate als Inhibitoren von Lipasen und Phospholipasen
AU2007234399A1 (en) 2006-04-04 2007-10-11 Myriad Genetics, Inc. Compounds for diseases and disorders
EP2002835A1 (en) * 2007-06-04 2008-12-17 GenKyo Tex Pyrazolo pyridine derivatives as NADPH oxidase inhibitors
EP2000176A1 (en) 2007-06-04 2008-12-10 GenKyo Tex Tetrahydroindole derivatives as NADPH Oxidase inhibitors
CL2008003595A1 (es) 2007-12-03 2009-11-20 Takeda Pharmaceuticals Co Compuestos heterociclicos nitrogenados, antagonistas del receptor de taquiquinina; agente farmaceutico que comprende el compuesto; y uso en la profilaxis o el tratamiento de una enfermedad del tracto urinario inferior, una enfermedad gastrointestinal o una enfermedad del sistema nervioso central.
FR2929276B1 (fr) 2008-04-01 2010-04-23 Servier Lab Nouveaux derives de diosmetin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qui les contiennent
EP2165707A1 (en) 2008-09-23 2010-03-24 Genkyo Tex Sa Pyrazolo pyridine derivatives as NADPH oxidase inhibitors
EP2166010A1 (en) 2008-09-23 2010-03-24 Genkyo Tex Sa Pyrazolo pyridine derivatives as NADPH oxidase inhibitors
EP2166009A1 (en) 2008-09-23 2010-03-24 Genkyo Tex Sa Pyrazolo pyridine derivatives as nadph oxidase inhibitors
EP2166008A1 (en) 2008-09-23 2010-03-24 Genkyo Tex Sa Pyrazolo pyridine derivatives as NADPH oxidase inhibitors
EP2361912A1 (en) 2010-02-18 2011-08-31 GenKyoTex SA Pyrazolo piperidine derivatives as NADPH oxidase inhibitors
EP2361911A1 (en) 2010-02-18 2011-08-31 GenKyoTex SA Pyrazolo piperidine derivatives as NADPH oxidase inhibi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2483271T3 (da) 2017-11-27
ES2644857T3 (es) 2017-11-30
KR101791273B1 (ko) 2017-10-27
JP2013505930A (ja) 2013-02-21
AU2010299487B2 (en) 2016-03-24
US20120172352A1 (en) 2012-07-05
JP5707406B2 (ja) 2015-04-30
ME03040B (me) 2018-10-20
WO2011036651A1 (en) 2011-03-31
LT2483271T (lt) 2017-11-10
NO2483271T3 (ko) 2018-01-13
RS56542B1 (sr) 2018-02-28
EP2305679A1 (en) 2011-04-06
CA2770278A1 (en) 2011-03-31
CY1119780T1 (el) 2018-09-05
CN102686590B (zh) 2015-09-16
HK1171748A1 (zh) 2013-04-05
IL218814A0 (en) 2012-06-28
EP2483271A1 (en) 2012-08-08
BR112012004208A2 (pt) 2016-03-29
EP2483271B1 (en) 2017-08-16
PT2483271T (pt) 2017-11-15
SI2483271T1 (en) 2018-01-31
HRP20171638T1 (hr) 2017-12-01
PL2483271T3 (pl) 2018-02-28
CA2770278C (en) 2018-08-14
CN102686590A (zh) 2012-09-19
HUE035058T2 (en) 2018-05-02
RU2569855C2 (ru) 2015-11-27
RU2012117796A (ru) 2013-11-20
US9394306B2 (en) 2016-07-19
AU2010299487A1 (en) 201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273B1 (ko) Nadph 옥시다아제 억제제로서 피라졸린 디온 유도체
JP5932008B2 (ja) Nadphオキシダーゼインヒビターとしてのピラゾロピリジン誘導体を含む医薬製剤
JP5666454B2 (ja) Nadphオキシダーゼインヒビターとしてのピラゾロピリジン誘導体
US9012449B2 (en) Pyrazolo pyridine derivatives as NADPH oxidase inhibitors
RU2548022C2 (ru) Пиразолопиридиновые производные как ингибиторы надфн-оксидазы
KR20130010109A (ko) Nadph 옥시다아제 억제제인 피라졸로 피페리딘 유도체
KR20130002317A (ko) Nadph 옥시다아제 억제제인 피라졸로 피페리딘 유도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