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0693A -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0693A
KR20120090693A KR1020110011246A KR20110011246A KR20120090693A KR 20120090693 A KR20120090693 A KR 20120090693A KR 1020110011246 A KR1020110011246 A KR 1020110011246A KR 20110011246 A KR20110011246 A KR 20110011246A KR 20120090693 A KR20120090693 A KR 20120090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ar
coupled
bracket
ba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0944B1 (ko
Inventor
김철년
황인창
Original Assignee
(주)디에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스시 filed Critical (주)디에스시
Priority to KR1020110011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944B1/ko
Publication of KR20120090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럼버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자동차 시트 내부의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척추 및 등 부위를 지지하는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시트백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서포트부재; 서포트부재의 후방에 설치되며, 서포트부재의 상부에 상단이 힌지 결합되는 'U'자 형태의 가이드바; 가이드바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이동브래킷; 한 쌍의 이동브래킷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스크류바; 및 스크류바의 양측에 설치되고, 한 쌍의 이동브래킷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와이어;를 포함하며, 스크류바의 축회전시 한 쌍의 이동브래킷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탄성와이어가 서포트부재 방향으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LUMBAR SUPPORT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럼버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자동차의 시트백 내부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척추 및 등 부위를 지지하는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내부에는 탑승자가 앉을 수 있도록 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시트는 탑승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과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 탑승자의 팔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 및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로 이루어진다.
그 중 본 발명과 관련이 있는 시트백을 자세히 살펴보면, 시트백의 내부에는 시트백의 뼈대가 되는 시트백 프레임이 설치되고, 시트백 프레임의 내부에는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이때,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는 자동차의 운행중 탑승자의 피로를 줄이기 위해 탑승자의 척추 형상에 맞출 수 있도록 가변형 구조를 가진다.
종래의 가변형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를 살펴보면, 시트백 프레임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봉에 돌출부를 형성한 뒤, 이 돌출부에 탑승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서포트부재를 설치하여, 시트에 앉은 탑승자의 자세에 따라 회전봉이 회전하면서 서포트부재를 시트백 프레임의 전후로 이동시켜 탑승자의 허리를 받쳐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변형 럼버 서포트 구조는, 다수의 부품들에 의해 조립?제작됨으로써 고장 발생율이 높고, 제작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자동차의 운행중 도로사정이나 교통상황 등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과 충격이, 돌출부를 통해 탑승자의 허리부위에 전달되면서, 탑승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되거나 부상발생의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자동차 시트 내부의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척추 및 등 부위를 지지하는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시트백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서포트부재; 서포트부재의 후방에 설치되며, 서포트부재의 상부에 상단이 힌지 결합되는 'U'자 형태의 가이드바; 가이드바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이동브래킷; 한 쌍의 이동브래킷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스크류바; 및 스크류바의 양측에 설치되고, 한 쌍의 이동브래킷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와이어;를 포함하며, 스크류바의 축회전시 한 쌍의 이동브래킷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탄성와이어가 서포트부재 방향으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자동차 시트 내부의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척추 및 등 부위를 지지하는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시트백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서포트부재; 서포트부재의 후방에 설치되며, 서포트부재의 상부에 상단이 힌지 결합되는 'U'자 형태의 가이드바; 가이드바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이동브래킷; 한 쌍의 이동브래킷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스크류바; 및 스크류바의 양측에 설치되고, 한 쌍의 이동브래킷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와이어;를 포함하며, 스크류바의 축회전시 한 쌍의 이동브래킷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탄성와이어가 서포트부재 방향으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여기서 한 쌍의 이동브래킷은, 가이드바의 상측에 가이드바를 가로질러 결합되는 상단이동브래킷과, 가이드바의 하측에 가이드바를 가로질러 결합되는 하단이동브래킷을 포함한다.
또한, 이동브래킷은, 스크류바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중앙에 돌출 형성되고, 양측에는 가이드바가 지지되는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며, 가이드부의 일면에는 가이드바가 수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가이드부의 타면에는 탄성와이어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아울러, 가이드바의 일측에는 가이드바를 시트프레임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브래킷이 구비된다.
또한, 가이드바의 하단에 구동모터가 결합되는데, 이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스크류바의 축회전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에 의하면,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럼버서포트의 돌출 정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차량 주행중 럼버서포트에 가해지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탑승자의 부상방지와 함께 쾌적한 주행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가벼운 합성수지 재질의 부재가 적용되어 차량 경량화에 일조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과 시간의 절감에 의한 가격 경쟁력 향상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가 시트백 프레임 내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의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10)는, 자동차 시트 내부의 시트백 프레임(1, 도 5 참조)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척추 및 등 부위를 지지하게 되며, 시트백 프레임(1)의 내부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척추 및 등 부위를 지지하는 서포트부재(20)와, 서포트부재(20)의 상부에 상단이 힌지결합되어 서포트부재(20)의 후방에 설치되는 'U'자 형태의 가이드바(30)와, 가이드바(3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이동브래킷(50)과, 한 쌍의 이동브래킷(50)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스크류바(60)와, 스크류바(60)의 양측에 설치되며 한 쌍의 이동브래킷(50)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와이어(70)를 포함하며, 스크류바(60)의 축회전시 한 쌍의 이동브래킷(5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탄성와이어(70)가 서포트부재(20) 방향으로 만곡되면서 서포트부재(20)를 탑승자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시트백 프레임(1)은 자동차 시트의 시트백 내부에 설치되어 시트백의 형상을 유지시키고, 시트 쿠션과 연결되어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시트백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서포트부재(20)는 차량 탑승자의 척추 및 등을 지지하는 것으로, 합성수지 재질 또는 얇은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대략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고, 양측에는 다수의 측면날개(21)가 서포트부재(2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연장 형성되는데, 이때 탑승자의 척추 형상에 대응하여 중앙부는 길이방향으로 약간 오목하게 들어가고, 각각의 측면날개(21)는 전방으로 약간 기울어져서 탑승자의 등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탑승자의 부상이나 측면날개(21)의 파손방지를 위해 측면날개(21)의 선단부는 반대방향으로 약간 꺾여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서포트부재(20)의 상부 양측에는 후술하는 가이드바(30)의 양측 상단이 각각 피봇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부(22)가 형성된다.
가이드바(30)는 소정 굵기의 와이어가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상단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시트백 프레임(1)에 결합되는데, 가이드바(30)의 개방된 양측 상단은 끝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내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부(31)가 형성되고, 가이드바(30)의 폐쇄된 하단은 후방으로 절곡되어 클립(미도시)에 의해 시트백 프레임(1)에 결합된다.
여기서, 가이드바(30)의 절곡부(31)는 전술한 서포트부재(20)의 끼움부(22)에 피봇 결합되며 따라서, 서포트부재(20)는 끼움부(22)를 중심으로 탑승자를 향해 전후방향 회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가이드바(30)의 양측에는 서로 대향하는 높이에서 전방으로 경사진 경사부(32)가 각각 형성되고, 이 경사부(32)의 아래에는 가이드바(30)를 가로질러 결합브래킷(40)이 결합되는데, 결합브래킷(40)의 하단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고 체결공(411)을 가진 체결부(41)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고, 이 체결부(41)는 시트백 프레임(1)의 일측에 볼트 등 체결구에 의해 결합된다.
한편, 한 쌍의 이동브래킷(50)이 가이드바(30)의 상측과 하측에 이격하여 결합되는데, 이때 한 쌍의 이동브래킷(50)은 상단이동브래킷(51)과 하단이동브래킷(52)으로 이루어지며, 가이드바(30)의 상측에는 상단이동브래킷(51)이 가이드바(30)를 가로질러 결합되고, 가이드바(30)의 하측에는 하단이동브래킷(52)이 가이드바(30)를 가로질러 결합되며, 상단이동브래킷(51)과 하단이동브래킷(52) 사이에 스크류바(60)가 수직하게 설치된다.
이때, 이동브래킷(50)은 차량 경량화를 위해 가벼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이며, 상단이동브래킷(51)과 하단이동브래킷(52)은 대칭 형상으로서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는데, 상단이동브래킷(51)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하단 중앙부에는 스크류바(60)의 상단이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511)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양측에는 가이드부(512)가 하향 돌출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부(512)의 전면에는 후술하는 탄성와이어(70)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도록 가로방향으로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고, 가이드부(512)의 후면에는 가이드바(30)의 일측이 수용되도록 세로방향으로 가이드홈(513)이 형성된다.
이때, 스크류바(60)의 회전시 상단이동브래킷(51)과 하단이동브래킷(52)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가이드바(3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는데, 필요에 따라 상단이동브래킷(51)은 고정된 상태에서 하단이동브래킷(52)이 상단이동브래킷(5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하거나, 하단이동브래킷(52)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단이동브래킷(51)이 하단이동브래킷(52)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단이동브래킷(51)은 하단이동브래킷(52) 방향으로, 그리고 하단이동브래킷(52)은 상단이동브래킷(51) 방향으로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이를 위해 스크류바(60)의 나사산이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상하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바(60)의 양측에는, 상단이동브래킷(51)과 하단이동브래킷(52) 사이에 한 쌍의 탄성와이어(70)가 설치된다.
이때, 탄성와이어(70)는 일측 단부가 개방된 'U'자 형상이고, 일측 단부의 양단이 대향 절곡되어 상단이동브래킷(51) 또는 하단이동브래킷(52)의 결합홈(미도시)에 힌지 결합되며, 폐쇄된 하단부는 하단이동브래킷(52) 또는 상단이동브래킷(51)의 결합홈(미도시)에 힌지 결합된다.
하단이동브래킷(52)의 하부에는 구동모터결합부(80)가 결합되며, 구동모터(81)는 기어박스(82)와 연결되고 브래킷에 의해 구동모터결합부(80)에 결합되어, 가이드바(30)의 하단에 설치된다.
이때, 스크류바(60)의 하단은 기어박스(82)에 결합되며 따라서, 구동모터(81) 작동시 구동모터(81)의 회전력이 기어박스(82)를 거쳐 스크류바(60)에 전달되어 스크류바(60)가 축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가 시트백 프레임 내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1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탑승자가 구동모터(81)를 작동시켜 스크류바(6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단이동브래킷(51)은 하단이동브래킷(52) 방향으로 이동하고, 하단이동브래킷(52)은 상단이동브래킷(5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와이어(70)가 원호형태로 만곡되면서 서포트부재(20)를 밀어서 탑승자의 등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차량 주행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은 탄성와이어(70)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이후, 구동모터(81)의 작동이 중지되면 서포트부재(20)는 회동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며, 구동모터(81)를 다시 작동시켜 스크류바(6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상단이동브래킷(51)과 하단이동브래킷(52)이 원위치로 이동하고, 서포트부재(20)는 후방으로 회동하여 원위치된다.
한편, 상단이동브래킷(51)이 고정된 상태에서 하단이동브래킷(52)이 상단이동브래킷(51)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하단이동브래킷(52)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단이동브래킷(51)이 하단이동브래킷(52)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서포트부재(20)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시트백 프레임 10 : 럼버서포트 어셈블리
20 : 서포트부재 30 : 가이드바
40 : 결합브래킷 50 : 이동브래킷
51 : 상단이동브래킷 511 : 결합부
512 : 가이드부 513 : 가이드홈
52 : 하단이동브래킷 60 : 스크류바
70 : 탄성와이어 80 : 구동모터결합부
81 : 구동모터 82 : 기어박스

Claims (5)

  1. 자동차 시트 내부의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척추 및 등 부위를 지지하는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서포트부재;
    상기 서포트부재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서포트부재의 상부에 상단이 힌지 결합되는 'U'자 형태의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이동브래킷;
    상기 한 쌍의 이동브래킷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스크류바; 및
    상기 스크류바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이동브래킷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바의 축회전시 상기 한 쌍의 이동브래킷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탄성와이어가 상기 서포트부재 방향으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동브래킷은,
    상기 가이드바의 상측에 상기 가이드바를 가로질러 결합되는 상단이동브래킷과, 상기 가이드바의 하측에 상기 가이드바를 가로질러 결합되는 하단이동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브래킷은,
    상기 스크류바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중앙에 돌출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바가 지지되는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바가 수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타면에는 상기 탄성와이어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의 일측에 상기 가이드바를 상기 시트프레임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브래킷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의 하단에 구동모터가 결합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스크류바가 축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

KR1020110011246A 2011-02-08 2011-02-08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 KR101220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246A KR101220944B1 (ko) 2011-02-08 2011-02-08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246A KR101220944B1 (ko) 2011-02-08 2011-02-08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693A true KR20120090693A (ko) 2012-08-17
KR101220944B1 KR101220944B1 (ko) 2013-02-05

Family

ID=46883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246A KR101220944B1 (ko) 2011-02-08 2011-02-08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9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624B1 (ko) * 2012-10-12 2014-01-20 홍정명 자동차 시트의 럼버 서포트
US9796309B2 (en) 2015-06-02 2017-10-24 Hyundai Motor Company Lumbar support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3293A (en) 1977-09-06 1979-05-08 Nepsco, Inc. Back rest
JPH07265167A (ja) * 1994-03-28 1995-10-17 Tachi S Co Ltd シートのランバーサポート構造
JPH0884637A (ja) * 1994-09-20 1996-04-02 Araco Corp 車両用シート
US6652028B2 (en) * 2001-11-02 2003-11-25 L & P Propert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lumbar support with variable apex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624B1 (ko) * 2012-10-12 2014-01-20 홍정명 자동차 시트의 럼버 서포트
US9796309B2 (en) 2015-06-02 2017-10-24 Hyundai Motor Company Lumbar suppor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0944B1 (ko)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59919C (en) Adjustable headrest for an aircraft seat
US9371011B2 (en)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KR102299335B1 (ko) 차량의 시트 위치 조절 장치
KR101585850B1 (ko) 파워 헤드레스트 장치
JP6795914B2 (ja) ランバーサポートアセンブリ
US20130134756A1 (en) Seat-cushion shell unit and shell seat for vehicle
CN102216117A (zh) 车辆座椅特别是商用车辆座椅
JP2003125891A (ja) 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KR101149075B1 (ko)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101220939B1 (ko) 럼버서포트 어셈블리
KR101388983B1 (ko) 승하강이 용이한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US10933787B2 (en) Head restraint follower
KR101620231B1 (ko) 차량용 후석 리클라이닝 장치
KR101724915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101220944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
JP6427385B2 (ja) 車両用後席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130012317A (ko)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101252497B1 (ko) 리어시트 편의 장치
KR20210021020A (ko) 차량 시트용 등받이 및 등받이 헤드 모듈
KR101252499B1 (ko) 리어시트 편의 장치
KR102411246B1 (ko)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KR101785277B1 (ko) 시트 플랫화를 위한 시트쿠션 이동장치
KR101621208B1 (ko)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
KR20120047421A (ko)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101518645B1 (ko) 후석 시트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