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0570A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0570A
KR20120090570A KR20110011060A KR20110011060A KR20120090570A KR 20120090570 A KR20120090570 A KR 20120090570A KR 20110011060 A KR20110011060 A KR 20110011060A KR 20110011060 A KR20110011060 A KR 20110011060A KR 20120090570 A KR20120090570 A KR 20120090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container
earthworm
treatment apparatus
receiv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11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8890B1 (ko
Inventor
김대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안
Priority to KR20110011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890B1/ko
Publication of KR20120090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01K67/0332Earthwo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렁이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고 분변토를 얻을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Treating apparatus of waste food}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렁이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고 분변토를 얻을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는 환경오염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그 처리에 있어서도 악취가 심하여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근래에는 지렁이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지렁이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분해하는 방법은 처리 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이다. 지렁이를 사육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함과 동시에 지렁이 배설물인 분변토 생산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지렁이는 체내에 중금속 등의 독극물을 축적하기 때문에 분변토는 좋은 비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지렁이 배설물인 분변토는 탈취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냄새의 탈취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지렁이는 온도에 민감하여 15~25℃에서 사육하기가 적합하고, 0℃이하와 40℃이상에서 살 수 없으며, 0~5℃사이에는 겨울잠을 잔다. 따라서 지렁이를 사육하기 위해서는 15~25℃의 온도를 잘 유지시켜줘야 한다. 또한, 지렁이를 사육하기 위해서는 산소를 많이 공급해줘야 하며, 어두운 곳에서 활동하므로 사육장을 어둡게 해줘야 한다.
지렁이 등의 토양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종래기술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3332호의 "토양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상기 토양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 및 분변토 배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1)과 상부에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받았다가 필요 시 하부로 떨어뜨려 줄 수 있는 급이용 컨트롤 패널(2)과, 상기 급이용 컨트롤 패널(2)에서 위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급이용 컨트롤 패널(2)에 쌓인 음식물 쓰레기를 고르게 펴주기 위해 횡방향으로 운동하는 스키머(3)를 포함하는 급이용 스크레이퍼(4) 및 상기 급이용 컨트롤 패널(2)의 하부에 형성되어 토양생물이 생장하는 산실(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는 부피가 크고, 구조가 복잡하며, 제작원가가 높기 때문에 가정에서 사용하기 적합하지 못하다.
가정에서 지렁이를 사육하며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부피가 작고, 제작원가가 낮으며, 지렁이를 사육하기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작원가를 낮추면서 지렁이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고 분변토를 만들 수 있도록 지렁이가 살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지며 음식물이 투입되는 상단수용용기와, 지면에 다수의 다리로 지지되고, 상기 상단수용용기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상단수용용기와 연통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진 하단수용용기로 구성되어지는 수용용기; 상기 상단수용용기의 상부개구에 결합되며 상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뚜껑; 상기 상단수용용기에 수용되며 지렁이가 사육되는 제1분변토; 상기 상단수용용기의 하부개구에 구비되되, 상기 지렁이가 통과 가능한 그물망; 상기 지렁이의 배설물이 모여서 형성되며, 상기 하단수용용기에 저장되는 제2분변토; 상기 하단수용용기의 바닥과 연통되어 침전수를 배출하는 결합원통부; 및 상기 결합원통부와 결합되어 침전수가 저장되는 원형캡;을 포함하되, 상기 지렁이의 호흡을 위해 산소가 공급될 수 있도록 내외부를 연통하는 통공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통공은, 상기 상단수용용기와 하단수용용기의 결합부, 상기 상단수용용기와 뚜껑의 결합부, 뚜껑 및 원형캡의 둘레면을 따라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기 수용용기 및 뚜껑의 외부프레임이 우레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수용용기는, 내측 둘레면에 탄소장판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수용용기는 바닥면이 하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통공은, 빛이 통과하지 못하고, 수분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외면에서 내면으로 갈수록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지그재그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중금속 등을 포함하는 독극물을 체내에 축적하는 지렁이가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고 비료와 액비를 얻을 수 있으며, 탈취능력을 가지는 분변토 사용으로 인한 음식물 쓰레기의 탈취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우레탄으로 형성되어, 일반재료로 제작되지 못하는 독특한 형상을 반복 생산할 수 있으므로 심미성을 줄 수 있고, 짧은 경화 시간으로 빠르게 반복 제작이 가능하여 저가 제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단열성이 우수하여 지렁이가 활동하기 적합한 온도를 유지시키기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단수용용기에 탄소장판이 구비되어 지렁이가 사육되는 제1분변토의 온도를 높일 수 있어 겨울철에도 지렁이가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산소가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 형성된 통공이 빛이 통과하지 못하고, 수분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지렁이를 사육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정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통공을 형성하는 실시예 1을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통공을 형성하는 실시예 2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수용용기에서 제2분변토를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상단수용용기가 다수 구비된 단면도.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렁이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고 분변토를 얻을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2는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의 정면도를, 도3은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에 통공(300)을 형성하는 실시예 1을 나타낸 단면도를, 도4는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에 통공(300)을 형성하는 실시예 2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5는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의 수용용기(100)에서 제2분변토(122)를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6은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의 상단수용용기(110)가 다수 구비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는 수용용기(100)가 구비된다. 상기 수용용기(100)는 상단수용용기(110)와 하단수용용기(120)로 분리된다. 상기 상단수용용기(11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지며 음식물이 투입된다. 하단수용용기(120)는 지면에 다수의 다리(121)로 지지되고, 상기 상단수용용기(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상단수용용기(110)와 내부가 연결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상단수용용기(110)는 상부개구(111)에 상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뚜껑(200)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단수용용기(110)에는 지렁이(113)가 사육되는 제1분변토(112)가 수용된다. 상기 제1분변토(112)는 상기 지렁이(113)를 양식한 흙을 그대로 옮겨 넣으며, 탈취능력을 가지는 상기 지렁이(113)의 배설물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단수용용기(110)의 하부개구(114)에는 상기 지렁이(113)가 통과 가능한 그물망(115)이 구비된다. 상기 그물망(115)은 상기 지렁이(113)가 사육되는 제1분변토(112)를 지탱하면서 상기 상단수용용기(110)와 하단수용용기(120)의 내부를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상기 제1분변토(112)에 사육되는 지렁이의 배설물이 상기 하단수용용기(120)에 떨어져 모여서 상기 제2분변토(122)가 된다. 상기 제2분변토(122)는 중금속 등의 독극물을 체내에 축적하는 상기 지렁이(113)의 배설물이기 때문에 비료로 사용하기 적합하다. 또한, 상기 상단수용용기(110)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면, 상기 제1분변토(112)가 탈취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냄새의 탈취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하단수용용기(120)는 상기 하단수용용기(120)의 바닥과 연통되어 침전수를 배출하는 결합원통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원통부(130)는 상기 하단수용용기(120)의 제2분변토(122)를 제외한 침전수만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하단수용용기(120)의 바닥과 연통되는 일단에 제2분변토(122)가 통과하지 못하고 침전수만 통과가능한 걸름망(1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원통부(130)는 원형캡(140)이 결합되어 침전수를 저장한다. 음식물 쓰레기는 다량의 수분을 포함하고, 음식물 쓰레기에서 배출된 수분이 침전수가 되며, 상기 침전수가 상기 제1분변토(112) 및 제2분변토(122)를 거쳐 상기 원형캡(140)에 저장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중금속 등의 독극물을 상기 지렁이(113)가 섭취하고 체내에 축적시키기 때문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서 배출되어 상기 원형캡(140)에 저장된 침전수는 액비로 활용하기 적합하다.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는 내부에 사육되는 지렁이(113)의 호흡을 산소가 공급될 수 있도록 내외부를 연통하는 통공(300)을 다수 형성한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원통부(130)는 상기 원형캡(140)과 결합되는 타단의 외주면에 숫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캡(140)은 상부 내주면에 상기 숫나사선에 대응하는 암나사선이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상기 원형캡(140) 내부에 모아진 침전수를 처리하기 용이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는 상기 상단수용용기(110)가 상기 지렁이(113)의 활동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최소 너비 40cm, 폭 50cm, 높이 20cm 이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통공(300)은, 상기 상단수용용기(110)와 하단수용용기(120)의 결합부, 상기 상단수용용기(110)와 뚜껑(200)의 결합부, 상기 뚜껑(200) 및 원형캡(140)의 둘레면을 따라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렁이(113)는 많은 산소를 필요로 하므로 밀폐된 공간에 공기의 순환이 최대한 이루어지도록 상기 통공(300)을 다수 형성하여야 한다. 하지만 상기 제1분변토(112) 및 제2분변토(122)가 쌓여 있는 부분의 둘레면에 상기 통공(300)을 형성할 경우 제1분변토(112) 및 제2분변토(122)에 의해 상기 통공(300)이 막힐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단수용용기(110)와 하단수용용기(120)의 결합부, 상기 상단수용용기(110)와 뚜껑(200)의 결합부, 상기 뚜껑(200) 및 상기 원형캡(140)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통공(300)은 상기 지렁이(113)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 외부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렁이(113)가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는, 상기 수용용기(100) 및 뚜껑(200)의 외부프레임이 우레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레탄은 일반재료로 제작되지 못하는 독특한 형상을 반복 생산할 수 있어 심미성을 줄 수 있고, 짧은 경화 시간으로 빠르게 반복 제작이 가능하여 저가 제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렁이(113)를 사육하기에 적합한 온도는 15~25℃정도인데 상기 우레탄은 단열성이 우수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 내부의 온도를 15~25℃정도로 유지하기 용이하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상단수용용기(110)는, 내측 둘레면에 탄소장판(1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렁이(113)는 0~5℃에서는 겨울잠을 자고, 0℃이하에서는 죽는다. 따라서, 전력소모가 적으며 친환경적인 탄소 발열체로 형성된 상기 탄소장판(123)을 구비하여, 추운 겨울에도 상기 지렁이(113)가 활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분변토(122)의 온도를 높여 줄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하단수용용기(120)는 바닥면이 하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0) 내부의 수분이 침전되어 형성되는 상기 침전수가 상기 하단수용용기의 바닥과 연통되는 상기 결합원통부(130)로 유입되기 용이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에 형성되는 통공(300)의 형상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3은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에 통공을 형성하는 실시예 1을 나타내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실시예1의 통공(300)은, 외면에서 내면으로 갈수록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통공(300)의 형상은 빛이 통과하지 못하고, 수분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렁이(113)는 눈을 대신하며 어둠과 밝음 정도를 구분하는 안점이라는 감각을 가지고 있으며 어두운 곳에서 활동한다. 따라서 상기 지렁이(113)가 활동하기 적합한 환경을 갖추기 위해 상기 통공(300)을 빛이 통과하지 못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지렁이는 체내수분함량이 약80%정도이며 체내에 수분이 마르면 죽기도 하지만 산소를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 내부에 수분이 너무 많으면 산소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죽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에 투입되는 음식물에 포함되는 수분과 별도의 수분을 공급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 내부의 수분함량이 60%이상을 유지하도록 관리하되 그 외의 수분이 유입되어 익사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통공(300)을 수분이 유입되지 못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상기 통공(300)을 외면에서 내면으로 갈수록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도4는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에 통공을 형성하는 실시예 2를 나타내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실시예 2의 통공(300)은, 지그재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통공(300)의 형상은 빛이 통과하지 못하고, 수분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렁이(113)는 눈을 대신하며 어둠과 밝음 정도를 구분하는 안점이라는 감각을 가지고 있으며 어두운 곳에서 활동한다. 따라서 상기 지렁이(113)가 활동하기 적합한 환경을 갖추기 위해 상기 통공(300)을 빛이 통과하지 못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지렁이(113)는 체내수분함량이 약80%정도이며 체내에 수분이 마르면 죽기도 하지만 산소를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 내부에 수분이 너무 많으면 산소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죽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에 투입되는 음식물에 포함되는 수분과 별도의 수분을 공급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 내부의 수분함량이 60%이상을 유지하도록 관리하되 그 외의 수분이 유입되어 익사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통공(300)을 수분이 유입되지 못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상기 통공(300)을 지그재그로 형성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는 상기 하단수용용기(120)의 상부까지 제2분변토(122)가 쌓이면 상기 상단수용용기(110)를 상기 하단수용용기(120)에서 분리하여 상기 하단수용용기(120)의 제2분변토(122)를 걷어내어 퇴비로 활용하고, 상기 상단수용용기(110)를 뒤집어 상기 제1분변토(112)와 지렁이(113)를 상기 하단수용용기(120)에 옮긴다. 이후, 상기 상단수용용기(110)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상기 지렁이(113)가 상기 그물망(115)을 통과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섭취하고 배설하는 활동을 계속하여 다시 상기 상단수용용기(110)에 제1분변토(112)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수용용기(120)에 제2분변토(122)가 형성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는 상기 상단수용용기(110)가 다수 구비되어 다수의 단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상기 상단수용용기(110)를 다수 구비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를 다수 구비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는, 내부에 중금속 등을 포함하는 독극물을 체내에 축적하는 상기 지렁이(113)를 구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고 비료와 액비를 얻을 수 있으며, 탈취능력을 가지고 있는 제1분변토(112)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여 탈취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를 우레탄으로 형성하여, 일반재료로 제작되지 못하는 독특한 형상을 반복생산할 수 있으므로 심미성을 줄 수 있고, 짧은 경화 시간으로 빠르게 반복 제작이 가능하여 저가 제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단열성이 우수하여 지렁이가 활동하기 적합한 온도를 유지시키기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상단수용용기(110)에 탄소장판(123)을 구비하여 겨울철에도 상기 지렁이(113)가 활동할 수 있는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산소가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된 상기 통공(300)을 빛이 통과하지 못하고, 수분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렁이(113)를 사육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00 : 수용용기
110 : 상단수용용기 111 : 상부개구
112 : 제1분변토 113 : 지렁이
114 : 하부개구 115 : 그물망
120 : 하단수용용기 121 : 다리
122 : 제2분변토 123 : 탄소장판
130 : 결합원통부 131 : 걸름망
140 : 원형캡
200 : 뚜껑
300 : 통공

Claims (7)

  1.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지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상단수용용기(110)와, 지면에 다수의 다리(121)로 지지되고, 상기 상단수용용기(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상단수용용기(110)와 연통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진 하단수용용기(120)러 구성되어지는 수용용기(100);
    상기 상단수용용기(110)의 상부개구(111)에 결합되며 상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뚜껑(200);
    상기 상단수용용기(110)에 수용되며 지렁이(113)가 사육되는 제1분변토(112);
    상기 하단수용용기(120)의 하부개구(114)에 구비되되, 상기 지렁이(113)가 통과 가능한 그물망(115);
    상기 제1분변토(112)에서 떨어지는 상기 지렁이(113)의 배설물이 모여서 형성되며, 상기 제2수용용기(120)에 저장되는 제2분변토(122);
    상기 하단수용용기(120)의 바닥과 연통되어 침전수를 배출하는 결합원통부(130); 및
    상기 결합원통부(130)에 결합되어 침전수가 저장되는 원형캡(140);
    을 포함하되, 상기 지렁이(113)의 호흡을 위해 산소가 공급될 수 있도록 내외부를 연통하는 통공(300)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300)은, 상기 상단수용용기(110)와 하단수용용기(120)의 결합부, 상기 상단수용용기(110)와 뚜껑(200)의 결합부, 상기 뚜껑(200) 및 상기 원형캡(140)의 둘레면을 따라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는,
    상기 수용용기(100) 및 뚜껑(200)의 외부프레임이 우레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수용용기(110)는,
    내측 둘레면에 탄소장판(12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수용용기(120)는,
    바닥면이 하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300)은,
    빛이 통과하지 못하고, 수분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외면에서 내면으로 갈수록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300)은,
    빛이 통과하지 못하고, 수분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11060A 2011-02-08 2011-02-08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18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11060A KR101318890B1 (ko) 2011-02-08 2011-02-08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11060A KR101318890B1 (ko) 2011-02-08 2011-02-08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570A true KR20120090570A (ko) 2012-08-17
KR101318890B1 KR101318890B1 (ko) 2013-10-17

Family

ID=46883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11060A KR101318890B1 (ko) 2011-02-08 2011-02-08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8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10034A (zh) * 2017-03-08 2017-06-09 华北理工大学 蚯蚓去除污泥中重金属的装置及去除方法
CN108142373A (zh) * 2016-12-05 2018-06-12 山东巧宾农业科技有限公司 去除油脂后的有机垃圾残渣生态化处理和转化利用的方法
CN111226873A (zh) * 2020-03-31 2020-06-05 中国农业科学院果树研究所 桃小食心虫幼虫的饲料饲养装置及饲料饲养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046B1 (ko) * 2019-10-11 2020-08-14 이보라 친환경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594Y1 (ko) 2001-01-29 2001-09-25 주식회사 웜바이오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지렁이 사육장치
JP2003136046A (ja) 2001-11-02 2003-05-13 Murakami Shokai:Kk ミミズを用いた生ゴミ処理器
KR100621166B1 (ko) 2005-07-20 2006-09-07 (주)바이오 에코테크 지렁이 사육장치
KR101138817B1 (ko) 2009-10-23 2012-04-25 주식회사 피플어스 음식물쓰레기 처리용 지렁이 화분받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2373A (zh) * 2016-12-05 2018-06-12 山东巧宾农业科技有限公司 去除油脂后的有机垃圾残渣生态化处理和转化利用的方法
CN106810034A (zh) * 2017-03-08 2017-06-09 华北理工大学 蚯蚓去除污泥中重金属的装置及去除方法
CN111226873A (zh) * 2020-03-31 2020-06-05 中国农业科学院果树研究所 桃小食心虫幼虫的饲料饲养装置及饲料饲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8890B1 (ko) 201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5889B1 (ko) 동애등에 사육 장치
KR101946833B1 (ko) 유용곤충 산란 시스템
CN104206331B (zh) 生态化养鱼设施及其工艺
KR10131889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014911A (ko) 동애등에 사육 및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20130001836U (ko) 지렁이 사육상
KR20130141144A (ko) 이동 및 조립이 용이한 지렁이 사육장치
CN105175030A (zh) 一种用草木灰处理粪便的干式回收方法及装置
CN110771551A (zh) 生态全智能循环水养虾系统
CN206791431U (zh) 一种具有自动清洁功能的黑水虻养殖设备
CN213127634U (zh) 一种工厂化水蛭立体多功能养殖装置
KR200472827Y1 (ko) 화분 매립형 지렁이먹이통
JP2003334516A (ja) ミミズを用いた生ゴミ処理器とミミズの回収方法
KR20130011235A (ko) 아파트형 농장
GB234978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aring and collection of aquatic organisms
KR100621166B1 (ko) 지렁이 사육장치
CN204157472U (zh) 一种生态化养鱼设施
KR100566945B1 (ko) 지렁이 사육상자
CN207911828U (zh) 利用黑水虻处理厨余的循环式装置
CN213369441U (zh) 一种水稻套养淡水鱼的试验装置
CN208022921U (zh) 一种畜生用牲畜粪便处理装置
CN216363243U (zh) 一种无害化处理蔬菜废弃物蚯蚓饲养池
KR20110033580A (ko) 자연생태정원용 수질 정화장치
KR101875408B1 (ko) 동애등에 돔형 사육설비의 정화장치
CN212260173U (zh) 一种可种植蔬菜的阳台经济养鱼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