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1166B1 - 지렁이 사육장치 - Google Patents

지렁이 사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1166B1
KR100621166B1 KR1020050066067A KR20050066067A KR100621166B1 KR 100621166 B1 KR100621166 B1 KR 100621166B1 KR 1020050066067 A KR1020050066067 A KR 1020050066067A KR 20050066067 A KR20050066067 A KR 20050066067A KR 100621166 B1 KR100621166 B1 KR 100621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eding
earthworm
container
vessel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윤환
박광일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 에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 에코테크 filed Critical (주)바이오 에코테크
Priority to KR1020050066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1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01K67/0332Earthwo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 A01K2227/703Worms, e.g. Caenorhabdities eleg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렁이 사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분변토를 수용하고, 분리가능하게 상하로 적층되며 지렁이가 사육되는 한 쌍의 사육용기와; 한 쌍의 사육용기 중 최상단에 배치된 사육용기 내에 마련되어, 사육용기의 상층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분변토를 간편하게 수거할 수 있으며, 지렁이에 대한 혐오감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지렁이 사육장치{EARTHWORM CULTUR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렁이 사육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육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렁이 사육장치 10a,10b : 사육용기
13a,13b : 급기공 15a,15b : 관통공
20 : 받침대 25 : 커버
30 : 화분
본 발명은, 지렁이 사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변토를 간편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지렁이 사육장치의 구조를 개선한 지렁이 사육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렁이는 땅 속에 서식하면서 부숙중인 유기물을 먹고 살며, 지렁이 자체는 의약품, 화장품 원료, 낚시 미끼로 이용되고 있으며, 지렁이의 배설물(이하, '분변 토'라고 함)은 유기질 비료, 탈취제, 미생물 캐리어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지렁이의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유기성 폐기물을 지렁이에게 공급하는, 소위 '지렁이 처리'는 가장 환경 친화적인 폐기물 처리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에는 심각한 환경오염원으로 작용하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 하수슬러지, 가축분뇨 등의 유기성 폐기물을 지렁이에게 먹임으로써, 폐기물을 안정화시키고, 그 부산물을 재활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현행 음식물 쓰레기 배출 및 수거 체계에서는 조리전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와 조리후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 염분이나 수분이 높은 음식물 쓰레기와 낮은 음식물 쓰레기가 구분되지 않고 배출되기 때문에, 혼합되어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 및 염분의 농도가 전반적으로 높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 내의 높은 염분 및 수분은 음식물 쓰레기를 양질의 퇴비나 가축 사료로의 재활용하는데 기술적인 면이나 비용면에서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한편, 가정 단위에서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는 쓰레기 성상별로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지렁이가 쉽게 먹을 수 있는 것(염분과 기름기가 없는 것, 맛이 자극적이지 않은 것)과 먹을 수 없는 것(염분과 기름기가 많은 것, 맛이 자극적인 것)으로 구분하여 지렁이가 먹을 수 있는 것은 가정 내에서 지렁이로 처리하여 재활용함으로써, 가정밖으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50% 이상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지렁이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지렁이 사육장치가 한 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84996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지렁이 사육장치는 통상의 화분의 하단에 1단으로 이루어진 서랍형태의 화분 받침대로 이루어진다.
지렁이 사육장치 내에는 지렁이와 분변토가 섞여 있는데, 지렁이는 사육장치의 상층부에 주로 서식하며, 사육장치에 지렁이 먹이를 뿌려주면 지렁이가 먹이를 먹고 배설하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 지렁이 사육장치에는 분변토로 가득차게 된다.
한편, 분변토로 가득찬 지렁이 사육장치에 먹이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사육장치로부터 분변토의 일부를 제거해 주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1단형 화분 받침대식 지렁이 사육장치에서는, 사육장치 내의 분변토를 사육장치 밖으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분변토 내의 지렁이가 분변토와 함께 배출되므로, 이후 다시 지렁이를 사육장치로 넣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지렁이는 심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 효율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화분관리자에게는 지렁이에 대한 혐오감을 부추기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변토를 간편하게 수거할 수 있으며, 지렁이에 대한 혐오감을 줄일 수 있는 지렁이 사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렁이 사육장치에 있어서, 분변 토를 수용하고, 분리가능하게 상하로 적층되며 지렁이가 사육되는 한 쌍의 사육용기와; 상기 한 쌍의 사육용기 중 최상단에 배치된 사육용기 내에 마련되어, 상기 사육용기의 상층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렁이 사육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사육용기의 하부면은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망상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지렁이 및 분변토가 인접한 사육용기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육용기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의 단면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사육용기 중 최상단에 배치된 사육용기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사육용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화분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사육용기 내로 수분을 원활하게 공급하여 지렁이의 서식 조건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육용기의 상단부 둘레에는 다수의 급기공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상기 사육용기 내로 외부의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렁이 사육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렁이 사육장치(1)는 분변토를 수용하고 상하로 적층되며 지렁이가 사육되는 한 쌍의 사육용기(10a,10b)와, 한 쌍의 사육용기(10a,10b) 중 최상단에 배치된 사육용기(10a) 내에 마련되어 사육용기(10a)의 상층부를 덮는 커버(25)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의 한 쌍의 사육용기(10a,10b)는 상방이 개구된 원통형상을 가 지며, 한 쌍의 사육용기(10a,10b)는 단을 이루며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리상, 최하단에 위치하는 사육용기를 제1사육용기(10a)라 하고, 최상단에 위치하는 사육용기를 제2사육용기(10b)라 한다. 각 사육용기(10a,10b)의 상단부 개구 둘레에는 다수의 급기공(13a,13b)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취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한 쌍의 사육용기(10a,10b)가 적층될 때 외부의 공기가 다수의 급기공(13a,13b)을 통해 사육용기(10a,10b) 내로 원활하게 공급된다. 또한, 각 사육용기(10a,10b)의 하부면은 지렁이 및 분변토가 통과하는 다수의 관통공(15a,15b)이 형성된 망상체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망상체의 관통공(15a,15b)의 크기는 5∼7mm 인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한편, 지렁이는 사육용기(10a,10b)의 상층부에 알을 낳고 부화기간이 30일이며, 지렁이가 배설한 분변토가 10cm 쌓이는 데는 40일 이상 걸리므로, 이에 지렁이의 부화기간을 고려하여 각 사육용기(10a,10b)의 높이는 12∼15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하단에 배치된 제1사육용기(10a)의 하부측에는 제1사육용기(10a)를 지지하는 원반형상의 받침대(20)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25)는 시이트 형상을 가지며,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2사육용기(10b) 내의 상층부에 노출되게 마련된다. 커버(25)는 제2사육용기(10b) 내의 수분이 증발되어 건조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화분(30)으로부터 제공되는 물이 바로 제2사육용기(10b) 내로 유입되어 제2사육용기(10b)가 과습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즉 제2사육용기(10b) 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최상단에 배치된 사육용기(10b)의 상측에는 식물이 재배되는 통상의 화분(30)이 분리가능하게 적층되어 있으며, 이 화분(30)은 제2사육용기(10b)의 개구를 폐쇄한다. 화분(30)은 각 사육용기(10a,10b)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화분(30)의 하부면에는 물이 통과하는 다수 개의 물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화분(30)은 제2사육용기(10b) 내로 수분을 원활하게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화분(30)은 각 사육용기(10a,10b)와 단을 형성하며 적층가능하도록 화분(30)의 하단부가 각 사육용기(10a,10b)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렁이 사육장치(1)를 이용하여 지렁이를 사육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받침대(20) 위에 한 쌍의 사육용기(10a,10b)와 화분(30)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킨다. 이 때, 제1사육용기(10a)에 일정량의 분변토와 함께 지렁이를 수용시킨다.
다음, 화분(30)을 제2사육용기(10b)로부터 분리하고, 제1사육용기(10a)의 상측에 위치한 제2사육용기(10b)의 바닥에 지렁이의 먹이로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다.
그리고, 제2사육용기(10b)의 바닥에 놓여진 먹이의 표면을 커버(25)로 덮어, 제2사육용기(10b) 내에서의 지렁이의 서식 조건을 조성하고, 먹이의 수분 증발을 방지한다.
제2사육용기(10b) 내로 먹이가 투입되면, 제1사육용기(10a)의 분변토에 서식하고 있던 지렁이들이 망상체로 이루어진 제2사육용기(10b)의 관통공(15b)을 통해 제2사육용기(10b)로 이동하여 먹이를 먹고 배설을 한다.
지렁이가 먹이를 다 먹으면 제2사육용기(10b)의 상층부에 먹이를 다시 투입하고, 투입된 먹이는 지렁이에 의해 분해 배설되어 분변토를 이룬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제2사육용기(10b)에도 분변토가 쌓이게 되고, 결국 제2사육용기(10b)에는 분변토가 가득차게 된다.
제2사육용기(10b)에 분변토가 가득차게 되면 더 이상 먹이를 공급할 공간이 없게 되므로, 제2사육용기(10b)에 쌓인 분변토를 외부로 배출할 필요가 있게 된다.
한편, 지렁이 사육장치(1) 내의 지렁이는 먹이가 존재하는 사육용기의 상층부에 90% 이상이 서식하므로, 지렁이 사육장치(1)로부터 분변토를 배출하는 경우, 한 쌍의 사육용기(10a,10b)를 상호 분리하여, 최하단에 위치한 제1사육용기(10a) 내의 분변토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 때, 제1사육용기(10a) 내의 분변토가 분리 배출되기 전에, 제1사육용기(10a) 내에 서식하는 지렁이는 먹이 섭취를 위해 상측에 위치한 제2사육용기(10b)로 이동하게 된다. 특히, 제2사육용기(10b) 내의 지렁이들에 의해 제2사육용기(10b) 내에 분변토가 쌓이기 전에 제1사육용기(10a)에 산란된 지렁이 알은 부화하여 제2사육용기(10b)로 이동함으로써, 제1사육용기(10a) 내의 분리 배출되는 분변토 내에는 지렁이가 거의 없게 된다.
이어서, 비어 있는 제1사육용기(10a)를 분변토로 채워진 제2사육용기(10b)의 상측에 적층함으로써, 즉 제1사육용기(10a)와 제2사육용기(10b)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지렁이 사육장치(1)는 최초의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 전과 유사한 상태로 된 다.
그리고, 제2사육용기(10b)의 상측에 위치한 제1사육용기(10a)의 바닥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 후 커버(25)로 먹이의 표면을 덮으면, 제2사육용기(10b) 내에 서식하던 지렁이들이 제1사육용기(10a)의 망상체의 관통공(15a)을 통해 제1사육용기(10a)로 이동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먹고 배설함으로써 제1사육용기(10a) 내에 분변토를 만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즉 각 사육용기(10a,10b)의 상하 위치를 바꾸어 가면서, 양질의 분변토를 간편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분변토는 양질의 유기질 비료이므로, 화분이나 화단에 뿌려 거름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사육용기를 상하로 분리가능하게 적층함으로써, 관리자가 직접 지렁이를 손으로 만지지 않고 분변토를 간편하게 회수할 수 있고, 지렁이에 대한 혐오감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렁이의 생태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사육용기가 원형 단면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한 쌍의 사육용기는 원형 단면형상 이외에 타원형, 다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사육용기 중 최상단에 배치된 사육용기의 상부에 화분이 적층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화분은 선택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사육용기를 상하로 분리가능하게 적층함으로써, 분변토를 간편하게 수거할 수 있으며, 지렁이에 대한 혐오감을 줄일 수 있는 지렁이 사육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5)

  1. 지렁이 사육장치에 있어서,
    분변토를 수용하고, 분리가능하게 상하로 적층되며 지렁이가 사육되는 한 쌍의 사육용기와;
    상기 한 쌍의 사육용기 중 최상단에 배치된 사육용기 내에 마련되어, 상기 사육용기의 상층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렁이 사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용기의 하부면은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망상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렁이 사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용기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의 단면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렁이 사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사육용기 중 최상단에 배치된 사육용기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사육용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화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렁이 사육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용기의 상단부 둘레에는 다수의 급기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렁이 사육장치.
KR1020050066067A 2005-07-20 2005-07-20 지렁이 사육장치 KR100621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067A KR100621166B1 (ko) 2005-07-20 2005-07-20 지렁이 사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067A KR100621166B1 (ko) 2005-07-20 2005-07-20 지렁이 사육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193U Division KR200398838Y1 (ko) 2005-07-20 2005-07-20 지렁이 사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1166B1 true KR100621166B1 (ko) 2006-09-07

Family

ID=37624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067A KR100621166B1 (ko) 2005-07-20 2005-07-20 지렁이 사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11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232B1 (ko) * 2010-10-05 2012-11-02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버미팜 목재를 이용한 지렁이 사육 상자
KR101318890B1 (ko) 2011-02-08 2013-10-17 주식회사 삼안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72827Y1 (ko) 2012-03-29 2014-05-23 김유신 화분 매립형 지렁이먹이통
CN115024282A (zh) * 2022-06-28 2022-09-09 河南清大富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立体式蚯蚓养殖系统及蚯蚓养殖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232B1 (ko) * 2010-10-05 2012-11-02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버미팜 목재를 이용한 지렁이 사육 상자
KR101318890B1 (ko) 2011-02-08 2013-10-17 주식회사 삼안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72827Y1 (ko) 2012-03-29 2014-05-23 김유신 화분 매립형 지렁이먹이통
CN115024282A (zh) * 2022-06-28 2022-09-09 河南清大富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立体式蚯蚓养殖系统及蚯蚓养殖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4490B2 (en) Process and method for optimizing production of food and feed
JP5653915B2 (ja) コウカアブの生産方法
US6780637B2 (en) Disposal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ly bio-converting putrescent wastes
JP5913044B2 (ja) 有機肥料及び飼料製造システム
BR112013027504B1 (pt) sistema para produção de um fertilizante orgânico
JP2010110307A (ja) 昆虫育成堆肥床
Miller et al. Digestion of poultry manure by Musca domestica
KR101405889B1 (ko) 동애등에 사육 장치
KR20190110257A (ko) 유충 사육 자동화 장치
KR101027277B1 (ko) 해삼 및 전복 종묘 복합 양식 방법
US20180148391A1 (en) Vermicast production through conversion of biodegradable organic matter
KR20170007376A (ko) 웜 수확 장치
KR100621166B1 (ko) 지렁이 사육장치
KR200472827Y1 (ko) 화분 매립형 지렁이먹이통
KR100566945B1 (ko) 지렁이 사육상자
KR200465765Y1 (ko) 뒤영벌 증식 및 여왕벌 계대용 겸용상자
KR200398838Y1 (ko) 지렁이 사육장치
Tuck et al. Foraging behaviour of Armadillidium vulgare (Isopoda: Oniscidea) in heterogeneous environments
JP2007289048A (ja) 畜舎
KR20160137275A (ko) 곤충 유충 사육 장치 및 방법
TWM551534U (zh) 便於收集蟲體及飼養黑水虻之廢料處理裝置
KR100701485B1 (ko) 실내 배치가능한 애완동물용 사육장
RU259573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вермикультуры технологически специализированного дождевого червя eisenia foetida и получения биогумуса
RU2115638C1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органических отходов животного происхождения в кормовой белок и биогумус
RU2807445C1 (ru) Отсек роста насекомых, система их выращивания и способы выращивания насекомы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