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9620A - 원자로용 제어봉 구동기구 - Google Patents

원자로용 제어봉 구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9620A
KR20120089620A KR1020127000769A KR20127000769A KR20120089620A KR 20120089620 A KR20120089620 A KR 20120089620A KR 1020127000769 A KR1020127000769 A KR 1020127000769A KR 20127000769 A KR20127000769 A KR 20127000769A KR 20120089620 A KR20120089620 A KR 20120089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screw
control rod
latch
rod
drive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0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빈 제이. 스탬보
폴 케이. 데산티스
앨런 알. 맥코비액
존 피이. 맥로린
Original Assignee
뱁콕 앤드 윌콕스 뉴클리어 오퍼레이션즈 그룹,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뱁콕 앤드 윌콕스 뉴클리어 오퍼레이션즈 그룹, 인크. filed Critical 뱁콕 앤드 윌콕스 뉴클리어 오퍼레이션즈 그룹, 인크.
Publication of KR20120089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96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7/00Control of nuclear reaction
    • G21C7/06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application of neutron-absorbing material, i.e. material with absorption cross-section very much in excess of reflection cross-secti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7/00Control of nuclear reaction
    • G21C7/06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application of neutron-absorbing material, i.e. material with absorption cross-section very much in excess of reflection cross-section
    • G21C7/08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application of neutron-absorbing material, i.e. material with absorption cross-section very much in excess of reflection cross-section by displacement of solid control elements, e.g. control rods
    • G21C7/10Construction of control elements
    • G21C7/117Clusters of control rods; Spider constructi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7/00Control of nuclear reaction
    • G21C7/06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application of neutron-absorbing material, i.e. material with absorption cross-section very much in excess of reflection cross-section
    • G21C7/08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application of neutron-absorbing material, i.e. material with absorption cross-section very much in excess of reflection cross-section by displacement of solid control elements, e.g. control rods
    • G21C7/12Means for moving control elements to desired position
    • G21C7/14Mechanical drive arrang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9/00Emergency protection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e.g. safety valves provided with pressure equalisation devices
    • G21C9/02Means for effecting very rapid reduction of the reactivity factor under fault conditions, e.g. reactor fuse; Control elements having arrangements activated in an emerge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원자로 내에 사용하기 위한 제어봉 구동기구(CRDM)로서, CRDM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봉과 연결된 연결로드; 리드 스크류; 리드 스크류를 선형적으로 이동시키도록 된 구동기구; 전자석 코일조립체; 및 전자석 코일조립체의 전압인가에 응답하여 연결로드를 리드 스크류에 잠그고 또 전자석 코일조립체의 전압해제에 응답하여 리드 스크류로부터 연결로드의 잠금을 해제하는 래치 조립체; 를 포함한다. 래치조립체는 리드 스크류에 고정되고 또 이와 선형적으로 이동하는 한편, 전자석 코일조립체는 리드 스크류외 이동하지 않는다. 전자석 코일조립체는, 구동기구가 리드 스크류를 선형적으로 이동시키는 선형적인 이동 스트로크와 적어도 같은 공간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원자로용 제어봉 구동기구{Control rod drive mechanism for nuclear reactor}
본 발명은 원자로용 제어봉 구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09년 6월 10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185,887호의 이익을 주장하고, 이 미국 가출원 제61/185,887호는 그 전체로써 여기에 참조로 통합된다.
가압수형 원자로(pressurized water reactor: PWR) 또는 다른 타입의 원자로에서, 핵반응을 제어하기 위하여 이동가능한 제어봉들이 사용된다. 제어봉들은 중성자 흡수재료를 포함하고, 또 원자로 코어(reactor core)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제어봉들이 원자로 코어로 더 깊이 삽입될수록, 더 많은 중성자가 흡수되고 또 핵반응속도가 더 느려진다. 삽입량의 정밀한 제어 및 정확한 계측은, 반응성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유용하다. 제어봉 구동기구(CRDM)가 이러한 제어를 제공한다.
비상시에, 핵반응을 신속하게 정지시키기 위하여 제어봉들이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그러한 "긴급정지(scram)"에서, 제어봉들을 삽입하기 위한 대체적인 신속한 기구(mechanism)를 갖는 것이 유용하다. 추가로 또는 대신에, 완전히 삽입된(그리하여 핵반응을 "off"시킴) 또는 완전히 인출된(그리하여 원자로를 작동시킴) 제어봉들을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한 시스템에서, "on/off" 제어봉들은 종종 "셧다운 로드(shutdown rod)"로 불리고, 연속적으로 제어 가능한 제어봉들은 종종 "그레이 로드(gray rod)"로 불린다.
이러한 고려사항들이 주어진 상황에서, 분리가능한 롤러-너트 조립체에 의해 결합되는 리드 스크류를 채용하는 제어봉 구동기구(CRDM)를 구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정상작동 동안에, 롤러-너트 조립체는, 가압스프링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확정적인 자기력에 의하여 리드 스크류상에 체결된다. 롤러-너트를 회전시킴으로써, 리드 스크류, 또 그리하여 부착된 제어봉들이 원자로 코어를 향하여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도록 정밀하게 제어가능한 방식으로 이동된다. 긴급정지에서, 전류가 차단되어 자력을 차단하고, 가압스프링은 분리가능한 롤러-너트를 개방하며, 리드 스크류를 포함하는 그레이 로드가 긴급정지한다. 그러한 구성의 예가, 예컨대 Domingo Ricardo Giorsetti의 MIT 핵공학과, M.S.N.E. 논문, "정치 및 해상 원자력 플랜트들 사이의 기술적 차이의 분석"에 개시되고, 이는 그 전체로서 여기에 참조로 통합된다.
일체 가압수형 원자로(integral PWR)에 대하여, CRDM을 외부에 장착하고 또 제어봉들을 압력용기 내부에 적합한 피드쓰루(feedthrough)로써 결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피드쓰루의 양을 감소하기 위하여, CRDM을 압력용기 내에 통합하는 것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예컨대, 1992년 10월 일본 원자에너지학회에 의하여 발행된 고등 원자력 반응로의 디자인 및 안전에 관한 국제회의(ANP '92)(1992년 10월 25-29, 일본 동경)의 회보 중에서, Ishizaka등의 "고등 해상 원자로 X (MRX)용 내장형 CRDM의 개발"를 참조하라.
기존의 CRDM 디자인은 어떤 불리함을 갖는다. 이러한 불리함들은 내부 CRDM 디자인이 선택될 때 증가하는바, 복잡한 전기-기계식 CRDM은 압력용기 내에서 고압 및 고온환경에서 본질적이다. 압력용기 내에서 CRDM을 내부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은 또한 구조적으로도 쉽지 않다.
분리가능한 롤러-너트는, 정상작동 동안에 그레이 로드의 삽입 정확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리드 스크류와 복잡한 결합을 형성한다. 리드 스크류에 롤러-너트를 재부착하는 것은 복잡할 수 있고, 접촉이 다시 이루어졌을 때 바로 명확하지않을 수 있어서, 긴급정지로부터 복귀한 후에 위치상 오프셋을 유발한다. 리드 스크류를 긴급정지하는 것은, 리드 스크류의 나사 또는 구조적 완전성에 회복할 수 없는 손상을 야기하는 가능성을 또한 갖는다. 또한, 시간경과에 따른 마모는 복잡하고 분리가능한 롤러-너트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다른 고려사항은 신뢰성이다. 로드 긴급정지는 안전에 직결되는 특성이므로, 냉각수 손실사고(loss od collant accident: LOCA), 또는 정전, 대형 압력변화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다른 고장모드에서 일지라도 신뢰성있게 작동하여야 한다.
제어봉 위치검출기도 일반적으로 복잡한 기기이다. 몇몇 시스템에서, 외부 위치검출기가 채용되는바, 이는 얍력용기 벽을 가로지르는 피드쓰루를 필요로 한다. MRX 원자로의 내부 CRDM을 위하여, 복잡한 위치검출기가 설계되는바, 변환기는 자기저항성(magnetoresistive) 도파관을 통과하는 비틀림 스트레인 펄스를 생성하고, 또 로드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자기장 상호작용들이 측정된다. 일반적으로, 자기저항을 기초로 작동하는 내부 위치검출기는 온도에 기인하는 재료 저항성의 변화로 인하여 에러가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원자로용 연료봉 구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한 관점에서, 원자로에 사용하기 위한 제어봉 기구는, 중성자를 흡수하기 위하여 원자로 코어에 삽입하도록 구성된 제어봉;과 제어봉에 연결된 연결로드(connecting rod); 모터 구동 너트와 맞물린 리드 스크류를 포함하고서 상기 너트의 회전이 리드 스크류의 선형이동을 유발하는 구동기구; 및 연결로드를 리드 스크류와 함께 이동하도록 작동적으로 연결하는 래치(latch); 를 포함하고서, 상기 연결로드를 리드 스크류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래치 개구부가 전력의 손실 또는 제거에 응답하도록 된다.
본 개시의 다른 관점에서, 제어봉 제어방법은, 리드 스크류를 사용하여 제어봉을 선형적으로 이동시키고; 또 긴급정지(scram)에 응답하여, 연결로드를 리드 스크류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포함하고서, 제어봉은 긴급정지하지만 리드 스크류는 긴급정지하지 않도록 된다.
본 개시의 다른 관점에서, 원자로는, 원자로 코어;과 원자로 코어를 포함하는 하부 용기섹션, 원자로 코어의 위쪽 및 하부 압력섹션의 위쪽에 배치된 상부 용기 섹션, 및 원자로 코어의 위쪽에 위치되고 또 하부 용기섹션과 상부 용기섹션 사이에 배치된 중간 플랜지를 포함하는 압력용기; 및 중간 플랜지에 의해 지지된 내부 제어봉 구동기구(CRDM);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관점에서, 원자로 내에 사용하기 위한 제어봉 구동기구(CRDM)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봉과 연결된 연결로드; 리드 스크류; 리드 스크류를 선형적으로 이동시키도록 된 구동기구; 전자석 코일조립체; 및 전자석 코일조립체의 전압인가에 응답하여 연결로드를 리드 스크류에 잠그고 또 전자석 코일조립체의 전압해제에 응답하여 리드 스크류로부터 연결로드의 잠금을 해제하는 래치 조립체;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여러 구성부품과 구성부품들의 배열들, 및 여러 공정작동과 공정작동의 배열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면은 다만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위한 목적이고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가압경수형 원자로(PWR)의 예시적인 원자로 용기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예시적인 원자로 용기의 상부 내부 섹션을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3-5는, 유압리프트를 채용하는 셧다운 제어봉 시스템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6-15는, 긴급정지를 위한 전자기 그레이 로드 및 자기 래치 시스템을 갖춘 제어봉 시스템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압수형 원자로(PWR)의 예시적인 원자로 용기가 도식적으로 도시된다. 예시적인 주(primary) 원자로 용기(10)는, 원자로 코어(12), 내부 헬리컬 증기발생기(14), 및 내부 제어봉(20)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원자로 용기는 4개의 주요 구성부품, 즉 1) 하부용기(22), 2) 상부 내장재(24), 3) 상부용기(26) 및 4) 상부용기 헤드(28) 를 포함한다. 하부 및 상부 용기(22, 26) 섹션 사이에 중간 플랜지(29)가 배치된다. 다른 용기 구성들이 또한 고려된다. 도 1은 도식적인 것으로 증기발생기 내부로 및 그로부터의 2차 냉각수 유동을 위한 압력용기 관통구성(penetrations), 전기적 구성부품들을 위한 전기적 관통구성 등과 같은 상세사항은 포함하지 않는다.
도 1의 예시적인 원자로 용기(10)의 하부용기(22)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적합한 구성을 가질 수 있는 원자로 코어(12)를 갖는다. 하나의 적합한 구성은, 연료조립체를 포함하고 또 원자로에 연료를 재보급하기 위하여 교체될 수 있으며, 하부용기에 의해 지지되는 스테인리스 강철 코어 형(former)구조체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상부용기(26)는, 내부 증기발생기 디자인(종종 일체형 PWR디자인이라고 불림)를 갖는 이러한 예시적인 PWR을 위한 증기발생기(14)를 수용한다. 도 1에서, 증기발생기(14)는 도식적으로 도시된다. 원통형상 내부 쉘(shell) 또는 상부 유동 덮개(shroud: 30)는, 헬리컬 증기발생기(14)가 위치된 환상의 하강영역(34)으로부터 중앙의 상승영역(32)을 분리한다. 예시적인 증기발생기(14)는, 다른 디자인이 고려되지만, 헬리컬 코일 디자인이다. 주 원자로 냉각수는 증기발생기(14)의 튜브 외부를 가로질러 흐르고 또 보조 냉각수는 증기발생기(14)의 튜브 내부를 흐른다.일반적인 순환패턴에서, 주 냉각수는 원자로 코어(12)에 의하여 가열되고 또 중앙의 상승영역(32)을 통하여 상승하여 덮개(30)의 정상부(top)로부터 배출되며, 주 냉각수는 하강영역(34)을 매개로 아래로 복귀하여 증기발생기(14)를 가로질러 흐른다. 그러한 주 냉각수 유동은, 자연대류에 의해, 내부 또는 외부 주 냉각수 펌프(도시 안 됨)에 의해, 또는 펌프보조의 자연대류의 조합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비록 일체형 PWR디자인이 설명되었지만, 원자로 용기가 외부 증기발생기(도시 안 됨)를 갖는 것이 또한 고려되는바, 이 경우 압력용기 관통구성들이 외부 증기발생기로 및 그로부터 주 냉각수의 이송을 허용한다. 예시적인 상부 용기헤드(28)는 별개의 구성부품이다. 용기헤드가 상부용기(26)와 일체로 되는 것이 또한 고려되는바, 이 경우 증기발생기(14)와 상부덮개(30)는 용기헤드의 내부의 러그(lug)들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지지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내부 증기발생기(14)를 포함하는 일체형 PWR로서, 일반적으로 헬리컬, 수직의, 경사진 등등의 여러 기하학적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분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증기발생기를 갖는 것이 유리하고, 그 파이프 또는 튜브들은 일반적으로 열적 균일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하강영역(34) 내에 서로 겹쳐서 배치(interleave)된다; 그러나, 단지 하나의 증기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이 고려된다. 예시적인 증기발생기(14)가 덮개(30)에 인접하여 배치 또는 감싸진 것으로 도시되지만, 일반적으로 증기발생기는 하강영역(34)의 실질적인 체적을 채울 수 있고, 또 몇몇 실시예들에서 증기발생기는 덮개(30)의 외부표면과 압력용기(10)의 내부표면 사이의 환상 체적을 실질적으로 채울 수 있다. 내부 증기발생기(14) 또는 그 부위들은 덮개(30)의 위쪽 상승영역(32)에, 또는 압력용기(10)내의 어디에라도 전체로 또는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한편, 몇몇 실시예에서, PWR은 일체형 PWR이 아닐 수도 있는바, 즉 몇몇 실시예에서, 도시된 내부 증기발생기는 하나 이상의 외부 증기발생기를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PWR은 예로 든 것이고, 다른 실시예들에서 내부 또는 외부 증기발생기를 갖춘 비등수형 원자로(boiling water reactor: BWR) 또는 기타 원자로 디자인이 채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내장재(24) 섹션이 보다 상세히 도시된다. 예시적인 디자인에서, 상부 내장재(24) 섹션은 제어봉 드라이브 또는 구동기구(40, 42) 및 제어봉 안내프레임(44)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고, 또 제어봉 구동 동력 및 제어기기 신호들이 통과하는 구조체이다. 이는 상부용기(26)와 내부 증기발생기(14)가 제어봉 드라이브 및 관련 구조체와 독립적으로 제거되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나 CRDM지지 및 내부 증기발생기 지지를 위하여 공통 섹션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더욱 통합된 디자인이 또한 고려된다.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특히 참조하면, 상부 내장재(24)구조는, 상부 내장재 배스킷(basket: 46), CRDM 지지구조(48), 제어봉 안내프레임(44), 및 제어봉 구동기구(40, 42) 자체를 포함한다. 상부 내장재 배스킷(46)은 적절하게는, 중간 플랜지(29)와 제어봉 안내프레임(44)을 위한 지지구조를 포함하는 용접된 구조이다.
적절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봉 안내프레임(44)은 제위치에 볼트체결된 별개의 304L 스테인리스강철 용접된 구조이고, 중간 플랜지(29)는 SA508 Gr 4N Cl 2 탄소강 단조품이며, 구조체의 나머지는 304L 스테인리스강철이다. CRDM지지구조(48)는, 제어봉 구동기구(40, 42)를 위한 지지격자들 및 내부 기기를 위한 안내구조를 포함한다. 이들 모두는 적절하게는 304L 스테인리스강철이다. CRDM지지구조(48)는 상부 내장재 배스킷(46)에 볼트결합된다. 이들은 단지 예시적인 재료 및 구성이고, 다른 구성 및/또는 원자로에 적합한 재료들이 또한 고려된다.
도 2의 예시적인 예는, 2가지 타입의 제어봉 구동기구(40, 42)를 채용한다: 코어(core) 내부로 완전히 삽입 또는 인출되는 셧다운 로드들을 작동하는 유압식 제어봉 구동기구(42)타입과; 정상적인 원자로 작동 동안에 원자반응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코어의 수명에 걸쳐 다양한 양으로 삽입되는 그레이 로드(gray rod)들을 작동하는 전기식 제어봉 구동기구(40)타입이다. 그레이 로드들은 또한 긴급정지하도록, 즉 어떤 비상조건 동안에 원자로 코어(12)내부로 급속히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셧다운 로드(shutdown rod)들을 완전히 생략하는 것이 고려되는바, 이 경우 그레이 로드들은 또한 셧다운 작동을 제공한다.
도 2를 계속 참조하면서 도 3-5를 더 참조하여, 셧다운 로드들의 구성이 설명된다. 셧다운 로드들은, 모두가 하나의 열(bank)로 작동되고 또 모두가 하나의 셧다운 로드 구동기구(42)에 의하여 움직이는 스파이더(spider) 등에 장착된 클러스터(cluster)들 내에 적절히 배열된다. 도 3-5는 단지 하나의 셧다운 로드 구동기구(42)만을 도시하고, 스파이더 및 개별적인 셧다운 로드는 도시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은, 셧다운 로드들이 2가지 "on/off" 방식으로 사용되고, 반응을 폐쇄하기 위하여 원자로 코어(12) 내부로 모두 완전히 삽입되거나 또는 정상적인 원자로 작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원자로 코어(12)로부터 모두 완전히 인출된다는 사실을 설명한다.
도 3을 특히 참조하면, 셧다운 로드 구동기구(42)는 실린더 하우징(50), 실린더 캡(52), 실린더 기저판(54) 및 셧다운 로드 격자(lattice: 도시 안 됨)에 연결을 제공하는 연결로드(56)를 포함한다. 도 3-5의 셧다운 로드 구동기구(42)는, 원자로 코어(12)로부터 셧다운 로드 열을 고정하기 위하여 약 500 °F (260 ℃) 및 1600 psi 로 고압 인젝션 펌프로부터 원자로 냉각수 잔류 청소(inventory clean-up) 복귀유체를 사용하는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구동기구이다.
도 4를 특히 참조하면, 인출위치의 로드를 갖춘 피스톤 영역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4의 확대부위에서, 상승 피스톤(62), 피스톤 링(64)(몇몇 실시예에서 금속재질임), 긴급정지 버퍼, 및 버퍼 작동(cocking)스프링과 함께 실린더 캡(52)의 통기부(60)가 도시된다. 도 4에 도시된 인출위치는, 가압된 셧다운 제어구동기구 실린더(42)에 대응한다.
도 5를 특히 참조하면, 삽입위치의 로드를 갖춘 피스톤 영역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5의 확대부위는, 상승 피스톤(62), 피스톤 링(64), 긴급정지 버퍼 또는 긴급정지 버퍼 실린더(66), 로드 안내부싱(70), 및 로드 밀봉링(72)(몇몇 실시예에서 금속재질임)이 도시된다. 실린더 기저판(54)은 압력포트 또는 입구포트(74)를 포함하기 위하여 확대된 부위에 도시된다. 도 5에 도시된 삽입위치는, 압력해제된 셧다운 제어구동기구 실린더(42)에 대응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냉각수는 피스톤 및 샤프트 시일(64, 72)을 지나 누출되도록 되고 또 원자로 용기(10)로 복귀되는 잔류의 일부가 된다. 셧다운 제어구동기구 실린더(42)는 원자로 코어(12) 위에 장착된다. 실린더(42)를 작동하기 위한 유압라인(도시 안 됨)이 플랜지(29)를 통해 배선되고 또 기기라인들이, 그레이 로드 구동기구(40)를 위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된 공통 커넥터들에 가압도관을 매개로 배선된다. 제어봉 스파이더들을 셧다운 로드 격자에 연결하는 연장로드(extension rod)들은, 하나의 고정된 클러스터가 다른 세트들의 제어봉들이 낙하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격자를 통하여 슬라이딩하도록 선택적으로 설계된다. 추가로, 연장로드들은, 상부 내장재(24)들이 제거될 때, 셧다운 로드들이 코어 내에 잔류하도록 제어봉 스파이더로부터 분리되도록 설계된다. 분리 및 재결합은 연료 재공급 작동 동안에 원격설비(remote tooling)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정상적인 원자로 작동 동안에, 셧다운 로드들은, 셧다운 로드 유압실린더 (42)의 가압작동에 의하여 원자로 코어로부터 완전히 매달려져(즉, 인출위치에)있다. 예컨대, 하나의 적합한 실시예에서, 고압 인젝션 펌프로부터 냉각수 잔류청소 복귀유체가, 실린더 기저판(54)의 입구포트(74)를 통하여 상승 실린더(62)의 하부측으로 500 °F (260 ℃) 및 1600 psi 로 공급된다. 이러한 예에서, 피스톤(52)위의 실린더(50)에 존재하는 유체는, 실린더 캡 통기구(60)를 통해 원자로 용기(10)로부터 공급되고, 또 그러므로 600 °F (315 ℃) 및 1500 psi 의 원자로 용기 조건이 되며, 그 결과 피스톤(62)을 가로 질러 100 psi 의 차압이 생긴다. 피스톤의 크기는, 발생된 차압이 셧다운 로드와 지지 스파이더 및 기타 관련된 구성부품들의 특정한 하중을 지지하고 또 셧다운 로드 열을 실린더 행정거리를 통해 피스톤(62)의 상사점까지 상승시키기에 충분하도록 선택된다.
용기가 가압된 긴급정지 시에, 셧다운 로드 열은, 상승 피스톤(62)의 바닥부 쪽에 가압 냉각수의 공급을 중지하고 또 공급라인을 대기압으로 연통시킴으로써 급격히 해제된다. 앞서 언급된 예에서, 상승 피스톤(62)의 정상부 표면에서의 용기압력은 피스톤에 걸쳐 초기의 1500psig 차압을 생성하는 것으로 예상되고, 이는 중력의 영향과 함께 (상승 피스톤(62), 긴급정지 버퍼 피스톤 (66), 코킹 스프링(68), 연결로드(56) 및 셧다운 로드 격자(도시 안 됨)을 포함하는)이동조립체(translating assembly)를, 도 5에 도시된 완전 삽입위치를 향하여 아래쪽으로 하강시킨다. 이동조립체의 하강 동안에, 버퍼 코킹스프링(68)의 힘은 상승 피스톤(62)의 구멍으로부터 버퍼 피스톤(66)을 고정지지하고, 2개의 피스톤(62, 66) 사이의 유체충전된 공간을 유지한다. 버퍼 피스톤(66)의 바닥표면이 실린더 조립체의 고정된 기저판(54)에 충격을 가하면, 상승 피스톤(62)의 계속된 이동은 제어된 유동 제한부재(restriction)을 통하여 분리된 유체를 배출하고, 그리하여 이동 조립체의 운동에너지를 분산시킨다. 또한, 운동에너지는 이동 조립체의 구성부품들, 특히 길고 비교적 가는 연결로드(56)의 탄성변형을 통하여 분산된다. 다른 운동에너지 분산기구가 또한 고려된다. 유체가 공간으로부터 배출되면, 상승 피스톤(62)이 버퍼 피스톤(66)에 충격을 가하여 이동 조립체가 정지하도록 한다.
도 1과 2를 계속 참조하면서 또 도 6-14를 추가로 참조하여, 그레이 로드 및 관련된 구동기구(4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기재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2개의 다른 그레이 로드 구성(타입 1과 타입 2). 그레이 로드(80)들은 그레이 로드 클러스터들로 배열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또는 4개의 그룹으로 차례로 서로 연결되고 또 연결로드(82)들에 의하여 지지된다. 타입 1의 구성은 하나의 연결로드/클러스터 유닛 대신에 카운터 웨이트(84)를 또한 포함한다. 특히, 요크(86)는 2개의 연결로드(82)와 카운터 웨이트(84)를 연결하여 타입 1의 구성을 형성한다. 요크(88)는 3개의 연결로드(82)를 연결하여 타입 2의 구성을 형성한다. 그레이 로드 드라이브(40)들은 원자로 코어(12)위에 장착된다. 도 7은, CRDM지지구조(48)에 대하여, 그레이 로드 드라이브(40) 및 셧다운 로드 상승 실린더(50)들의 위치들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셧다운 로드 상승 실린더(50)들은 중앙에 위치된다. 각각이 요크(86)를 포함하는 타입 1의 2개 로드 구성들을 구동하는, 4개의 외부의 그레이 로드 드라이브들은 동시에 구동된다. 각각이 요크(88)를 포함하는 타입 2의 4개 로드 구성들을 구동하는, 2개의 내부의 그레이 로드 드라이브들은 동시에 구동된다. 이러한 다른 세트의 드라이브(40)는 선택적으로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전력 및 신호 연결들이, 압력기밀 도관 또는 코어내부 기기가이드(90)를 통해 중간 플랜지(29)(도 7에는 도시 안 됨)에 적절히 배선된다.
셧다운 로드에서와 같이, 제어봉 스파이더를 로드격자에 연결하는 연장로드들은, 하나의 고정된 클러스터가 다른 세트의 제어봉들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격자를 통하여 슬라이딩하도록 선택적으로 설계된다. 또한, 상부 내장재들이 제거되거나 또는 그들의 지지스탠드에 있으면서 제거될 때, 그레이 로드들이 코어 내에 잔류하도록 연장로드들이 제어봉 스파이더로부터 해제되게 선택적으로 설계된다. 그레이 로드 제어기구를 위한 2개의 적절한 설계형태는 "자기 잭(magnetic jack)" 타입 및 "파워 스크류 잭(power screw jack)" 타입을 포함한다. 이들 중, 파워 스크류 타입은 그레이 로드 클러스터들을 위하여 더 정확한 위치제어를 제공하도록 되고,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는 파워 스크류 타입 제어기구를 채용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그레이 로드 제어기구(40)는 볼 너트 상승로드(lifting rod) 구성을 채용한다. 도 8은 완전히 삽입된 상태(왼쪽 도면)와 완전히 인출된 상태(오른쪽 도면) 양쪽을 도시한다. 도 8의 도면들은 타입 2 구성의 요크(88)을 도시하는바, 타입 1의 배열을 위해서는 요크(88)가 요크(86)로 교체된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바닥부 스토퍼/버퍼 조립체(100)는, 선택적으로 전자석 코일조립체를 위하여 구비된 추가적인 측면 지지부로써, 원자로 지지부(101) 상에 장착된다. 바닥부 스토퍼(100)의 정상부에 장착된 하부 및 상부 지지튜브(102, 104)들은, 리드 스크류/토크 수용조립체를 위하여 안내를 제공한다. 볼 너트/모터 조립체(106)는 상부 지지튜브(104)의 정상부에 장착되고 또 전자석 코일조립체(108)는 모터의 정상부에 장착된다. 전자석 코일조립체(108) 내에는, (잠가지면) 상승/연결로드 조립체(112)(삽입된 상태에서 연장되게 도시됨, 즉 왼쪽 도면)를 지지하는 상승 로드-리드 스크류 래치조립체(110)가 위치된다.
볼 너트/모터 조립체(106)와 바닥부 스토퍼 조립체(100) 사이의 지지튜브(102, 104)에 위치 표시기 조립체가 장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위치 표시기는, 비록 다른 장착위치들이 고려될 수 있지만, 래치조립체(110) 아래에 적절히 장착된 스트링 전위차계(string potentiometer)이다. 도시된 스트링 전위차계는, 지지튜브(102)상에 장착된 인장된 스풀(120)과 상승/연결로드 조립체(112)에 부착된 단부를 갖는 "스트링(string)" 또는 케이블과 같은 것을 포함하고서, 상승/연결로드 조립체(112)(또, 그리하여 부착된 그레이 로드 클러스터들)이 원자로 코어(12)(도 8에는 도시 안 됨)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스트링 또는 케이블(122)이 인장에 대항하여 스풀(122)로부터 인출된다. 만일 동작이 역전되면, 인장된 스풀(122)의 인장은 스트링 또는 케이블(122)이 스풀(120)상에 되돌려 감겨지도록 유발한다. 회전센서(124)는, 기준 표지(fiducial marker) 또는 회전 거리(metric)의 통과를 계수하는 엔코더를 사용하여 인장된 스풀(120)의 회전을 측정한다. 스트링 전위차계의 장착은, 인장된 스풀(120)이 그레이 로드들과 함께 이동하지않는 위치에 장착되고 또 스트링 또는 케이블(122)이 그레이 로드들과 이동하도록 고정되는한, 도시된 것과 달리 될 수 있다. 회전센서(124)를 인장된 스풀(120)과 통합하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스트링 전위차계는, 그레이 제어봉과 함께 이동하는 연결로드 또는 다른 구성부품(112)의 위치와 일치하는 전기적 출력신호를 제공하여, 원자로 코어(12) 내에서 그레이 제어봉들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전기적인 위치표시신호는, 소형이고 및/또는 다른 전기적인 피드쓰루와 통합될 수 있는 전기적인 피드쓰루(도시 안 됨)를 매개로 원자로 용기(10)로부터 전달된다. 위치 표시기 장치는, 원자로 용기온도 및 방사선 레벨에서 작동하기 위하여 구성되고 보정된다.
도 8을 참조하고 또 도 6-14를 추가로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레이로드 CRDM(40)의 이동조립체는, 리드 스크류/토크(torque) 수용조립체;와 상승로드/연결로드 조립체; 및 상승로드를 리드 스크류와 작동적으로 연결하는 래치시스템;의 3가지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도 9는, 리드 스크류/토크 수용조립체의 사시도(왼쪽) 와 단면도(오른 쪽)를 도시한다. 모터 조립체는 고정자(132)와 회전자(134)를 수용하는 고정자 하우징(130)을 포함한다. 상부 고정자 단부판(136)과 조정가능한 스페이서(140)를 갖는 래디얼 베어링(138)은 모터 조립체의 상부부위를 완성하는 한편, 하부 하우징(142)과 추력베어링(144)은 모터 조립체의 하부부위를 완성한다. 하부 하우징(142) 내에 배치된 하부 볼-너트조립체(150)는 회전자(134)에 나사체결되고, 상부 볼-너트조립체(152)도 역시 회전자(134)에 나사체결된다. 양쪽 볼-너트조립체(150, 152)는 리드 스크류(160)(도 9에 부분적으로 도시됨)와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도 9는 상승로드(112) 및 상부 지지튜브(104)의 부위들을 추가로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승로드-리드 스크류 래치조립체(110)와 전자석 코일조립체(108)의 일부를 포함하여, 래치시스템이 도시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것은, 상승로드(112)의 단부(111)와 래치조립체(110)에서 또는 그 안에서 끝나는 리드 스크류(160)의 근접 단부이다. 래치(170)들은, 정상작동 동안에는 상승로드(112)의 정상부 단부(111)를 직접 리드 스크류(160)에 연결하고, 또 긴급정지(도 11 참조) 동안에는 연결로브(112)를 분리한다. 상승로드(112)의 바닥부는 연결로드(82)의 정상부에 나사체결되어(중간 요크(86) 또는 중간요크(88)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연속적인 상승로드/연결로드 조립체를 생성한다. 연결로브(82)의 바닥부는 제어봉 스파이더들에 직접 결합되어 제어봉들을 기구에 부착한다. 선택적으로, 자석(113)이 상승로드(112)의 정상부 단부(111)에 인접위치되어 자석식 위치표시기(도 21 참조)를 위한 자기신호를 제공한다. 도 10은, 도 9에서 완전히 도시된 모터 하우징(130), 고정자(130) 및 회전자(134)의 부위들을 포함하는 모터의 일부를 또한 도시한다.
래치(170)들은, 래치 스프링(174)을 위한 스프링 가이드를 포함하는 래치 하우징(172) 내에 수납된다. 도시된 래치 시스템 실시예의 추가적인 구성부품들은, 래치(170)들 상에 전자석 코일다발을 형성하는 전자석(177)들과 고정자석(178)들을 수납하는 전자석 하우징(176)을 포함한다. 리드 스크류(160)는 래치 하우징(172)의 래치시스템 베이스(179)내에 나사체결된다. 래치(170)들은 회동위치(180)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배열되어 아래쪽 방향의 로드 하중으로 인한 안전한 긴급정지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리드 스크류(160)는, 리드 스크류 위치의 아주 미세한 제어 및 그 결과 제어봉 조립체의 위치의 아주 미세한 제어를 허용하는 볼-너트 모터조립체(도 9에 가장 잘 도시됨)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모터(예컨대, 고정자(132), 회전자(134))는, 회전자(134)가 영구자석인 동기모터이다. 이러한 디자인은, 컴팩트하고 단순하다는 이점을 갖지만, 다른 모터 구성들이 또한 고려된다.
리드 스크류(160)는 긴급정지하지 않는다. 대신에, 긴급정지 동안에, 상승로드/연결로드 조립체의 상승로드(112)의 정상부 단부는 자기적으로 동작된 래치시스템(도 11 참조)에 의하여 리드 스크류(160)로부터 분리된다. 전자석(177)으로 전력이 차단되면, 안전한 래치시스템은 리드 스크류(16)로부터 상승/연결로드 조립체(및 그리하여 제어봉 조립체)를 해제한다. 바닥부 스토퍼 및 버퍼시스템(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 4 및 5를 참조하여 여기서 설명된 예시적인 셧다운 로드의 바닥부 스토퍼 및 버퍼시스템과 적절히 유사함)은, 긴급정지 스트로크(stroke)의 단부의 운동에너지를 분산하고 또 로드 바닥부 높이를 설정하기 위하여 베이스/버퍼조립체 내에 통합된다. 모터 토크에 반응하기 위하여 리드 스크류(160)에 토크 수용부(도시 안 됨)가 부착되어 리드 스크류/제어봉 조립체의 이동을 제공한다.
정상상태, 즉 긴급정지 이전의 상태가 도 9와 10에 도시된다. 도 9는, 볼-너트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10은 정상작동을 위하여 결합된 래치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170)상의 영구자석(178)들은 자기적으로 자화된 전자석(177)쪽으로 끌려져서, 회동위치(180)들을 중심으로 래치(170)들을 회동시키고 또 래치(170)들을 상승로드(112)의 대응영역과 맞물리게 한다. 그래서 래치(170)들은 도 10에 도시된 정상상태에서 상승로드(112)와 결합된다. 또한, 래치시스템(179)은 리드 스크류(160)에 나사체결되거나 아니면 이에 결합된다. 따라서 도 10의 정상상태에서, 상승로드(112)는 래치시스템을 매개로 리드 스크류(160)와 결합되고, 또 그리하여 도 9에 도시된 볼-너트조립체가 리드 스크류(160)를 이동시키면, 상승로드(112)가 리드 스크류(160)와 함께 이동된다.
긴급정지(scram)가 도 11을 참조하여 기재되는바, 이는 긴급정지 동안에 상승로드(112) 및 제어봉 조립체를 도시한다. 긴급정지를 시작하기 위하여, 전자석(177)으로의 전력이 차단, 즉 전원이 오프된다. 이는 래치(170)의 영구자석(178)에서의 끌어당기는 힘을 제거하고, 또 래치 스프링(174)이 회동위치(180)들을 중심으로 래치(170)들을 회동시키기 위하여 신장되고 또 상승로드(112)의 대응영역으로부터 멀어진다. 이는 상승로드(112)로부터 래치(170)를 분리하고, 상승/연결로드 조립체(및 그리하여 제어봉 조립체)가 원자로(12)를 향하여 낙하한다. 리드 스크류(160)는 도 11에서 여전히 앞선 인출높이(즉, 리드 스크류(160)가 긴급정지하지 않은)에 위치하나, 전자석(177)으로의 전력이 차단되었으므로 코일들로부터 자장은 제거된다.
도 11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위치(180)들을 중심으로 한 래치(170)들의 회동작동은 위치(181)에서 래치 하우징(172)의 스프링 가이드(172)와 부딪힘으로써 정지된다.
도 11을 계속 참조하고 또 도 12와 13을 추가로 참조하면, 긴급정지 후 기구를 재결합하기 위하여, 리드 스트류(16)는 볼-너트 모터 조립체(다시 도 9 참조)를 매개로 완전히 삽입된 위치로 구동된다. 리드 스크류의 완전 삽입을 확인하기 위하여 리드스크류 바닥부 위치센서가 사용된다. 도 12를 특히 참조하면, 리드 스크류(160)가 완전히 삽입된 위치에 근접함에 따라, 바닥에 긴급정지된 상승로드(112)의 정상부 (111)상의 각이 진 캠면(angled camming surface)은 래치(170)들을 완전 이탈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석으로 전력이 복구되면, 래치(170)들은 상승로드(112)의 대응영역과 완전히 재결합하여, 상승/연결로드 조립체가 다시 한번 리드 스크류(160)에 연결된다. 그러면 정상작동이 도 10에서와 같이 재개된다. 반복하자면, 도 12는 상승로드(112)의 재결합을 위하여 준비위치에서 완전히 삽입된 위치까지 되돌려진 리드 스크류(160)를 도시한다. 전자석 코일(177)로의 전력은 여전히 차단되어 있고 또 래치(170)들은 여전히 분리되어 있다. 상승로드(112)의 정상부(111)상의 각이 진 캠면(182)은, 래치(17)들을 상승로드(112)의 정상부(111)와 부분적인 결합이 되도록 되돌려 이동시킨다. 도 13은 리드 스크류(160)가 여전히 바닥위치에 있으나 전자석 코일(177)로 전력은 복구된 것을 도시한다. 복구된 자장은 이제 래치(170)들이 상승로드(112)의 대응영역과 재결합되게 한다.
도 9는 하부 및 상부 볼-너트 조립체(150, 152)를 포함한 볼-너트 조립체의 적절한 실시예를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압력용기 환경에서 작동하기 위하여 적절히 구성된 실질적으로 임의 타입의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4와 15를 참조하면, 브러시없는 DC 전자식으로 제어된 (BLDC)모터를 하부 볼-너트 조립체(185)에 채용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된다. 조립체(184, 185)는 볼-너트 조립체(106)의 예시적인 실시예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BLDC 모터 (184)는, 고정자 외부쉘(187)과 고정자 내부쉘(188) 사이에 배치되고 또 고정자 상부하우징(189)과 고정자 하부하우징(190)에 고정된 고정자 코어 조립체(186)를 포함한다. 영구자석 회전자(191)는 영구자석(192)들을 포함한다. BLDC 모터 (184)는, 회전자 자석(192)들과 고정자 코어조립체(186)의 현재 장착된 회전자 도체들의 자속(magnetic flux)의 상호작용으로부터 토크를 생성한다. 하부 볼-너트 조립체(185)는 도 9의 하부 볼-너트 조립체(150)와 유사하다. 그러나 도 14의 예시적인 조립체에서, 도 9의 상부 볼-너트 조립체(152)에 대응하는 상부 볼-너트 조립체가 없다. 도 14의 조립체는, 래디얼 베어링(193)과, 쓰러스트 베어링 잠금너트(195)에 의해 고정된 쓰러스트 베어링(194) 및, 모터 상부 캡(196)을 또한 포함한다. 절연되고 또 전기적으로 견고한 모터로의 전기연결이 리드선 패킹마개(gland: 197)에 의하여 제공된다. 예컨대, 몇몇 적절한 절연된 리드선 패킹마개들이 Conax® Technologies (미국, 뉴욕주, 버팔로)로부터 입수 가능하다.도 15를 참조하면, BLDC 모터 (184)와 하부 볼-너트 조립체(185)가, 도 10-13의 제어봉 구동기구(CRDM)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도 15의 예시적인 CRDM은 또한, 앞서 기술된 전자석 코일다발 조립체(177), 상승로드-리드스크류 래치조립체(110), 리드 스크류(160), 및 상승로드(112)를 포함한다. 볼-너트 조립체(185)는 리드 스크류(160)와 결합하여, 모터(184)가 영구자석 회전자(191)와 고정된 볼-너트 조립체(185)를 회전시킴에 따라 리드 스크류(160)가 선형적으로 구동된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개시된 원자로 디자인의 이점은, 중간 섹션이 내장재 지지플랜지 또는 "중간 플랜지"(29)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섹션은 비교적 얇게 만들어질 수 있고, 또 제어봉기구를 위한 지지를 제공하고 코어 내부 배선을 위한 가이드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섹션은 제어봉 구동기구(CRDM)를 위하여 전기식 및 유압식 입력을 제공한다. 원자로 냉각수 배출 관통구성(도시 안 됨)이 섹션에 선택적으로 통합된다. 이러한 배출라인은, 만일 통합된다면, 원자로가 냉각수 손실(LOCA)장소로서의 잠재성을 한정하거나 또는 제거하기 위하여 가압될 때마다 내부 밸브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고립된다.
CRDM을 포함하는 도시된 상부 내장재(24)들은 도시된 단열(thermal insulation)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적어도 약 650 °F (343 ℃)의 설계온도를 견딜 수 있는 단열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들 구성부품들을 단열하는 것이 고려된다. 단열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외부 냉각수는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요구되지 않을 것이다. 예컨대, 냉각수는, 작동환경에 의하여 부과된 열부하(heat duty)의 심각성을 감소하기 위하여 전기장치로 공급될 수 있다. 단열시스템은 압력용기 내에서 전기적인 CRDM을 위치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이는 원자로 용기(10)의 전체 높이를 감소시키고, 원자로 용기(10)내부로의 관통구성들의 숫자를 크게 감소시키며, 또 완전한 원자로 모듈이 하나의 유닛으로 배송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이점은 봉쇄(containment)구조(도시 안 됨)의 전체 높이의 감소이다. 비록 단열의 사용이 이로운 것으로 생각되지만, 다른 고려된 해결방안은 단열을 하지않고 수냉(water cooling)의 사용 및/또는 높은 작동온도를 견딜 수 있는 재료들의 선택을 포함한다.
도시된 원자로 실시예는 일체형 가압수형 원자로(PWR)구성이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개시된 기술, 장치 등이, 내부 CRDM 조립체, 효율적인 제어 위치센서 등을 유리하게 통합할 수 있는 비등수형 원자로(BWRs)와 같은 다른 타입의 원자로 용기에 적절히 사용되는 것도 기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또 기술되었다. 명백히, 상기 상세설명을 읽고 이해하면 수정 및 변경들이 달리 이루어질 것이다. 본 발명은 그러한 수정 및 변경들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등가물의 보호범위 내에 속하는 한 그러한 수정 및 변경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6)

  1. 원자로에 사용하기 위한 제어봉 기구로서, 이 제어봉 기구가:
    중성자를 흡수하기 위하여 원자로 코어에 삽입하도록 구성된 제어봉;과
    제어봉에 연결된 연결로드;
    모터 구동 너트와 맞물린 리드 스크류를 포함하고서 상기 너트의 회전이 리드 스크류의 선형이동을 유발하는 구동기구; 및
    연결로드를 리드 스크류와 함께 이동하도록 작동적으로 연결하는 래치; 를 포함하고서, 상기 연결로드를 리드 스크류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래치 개구부가 전력의 손실 또는 제거에 응답하도록 된 제어봉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봉은 스파이더조립체를 매개로 연결로드와 연결된 복수의 제어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래치를 자기적으로 제어하는 전자석을 추가로 포함하고서, 상기 전자석으로의 전력이 손실 또는 제거되면, 래치를 개방하여 리드 스크류로부터 연결로드를 분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래치가 구동기구에 의하여 선형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선형이동 스트로크와 적어도 같은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 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전력이 전자석으로 공급될 때 전자석으로 이끌려지는 영구자석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 기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기계적으로 개방되게 밀어부쳐지고 또 전자석으로 전력공급은 래치를 기계적으로 폐쇄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스프링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개방되게 밀어부쳐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 기구.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구동기구가 리드 스크류의 선형이동을 야기할 때 리드 스크류와 함께 이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을 수용하는 전자석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래치는 또한 상기 전자석 하우징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 기구.
  10. 리드 스크류를 이용하여 제어봉을 선형적으로 이동시키고; 및
    긴급정지에 응답하여, 리드 스크류로부터 제어봉을 분리시켜, 제어봉은 긴급정지하나 리드 스크류는 긴급정지하지 않는; 제어봉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스크류로부터 제어봉을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봉을 리드 스크류에 결합하는 래치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를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래치를 자기적으로 폐쇄하는 전자석으로부터 전력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봉은, 이 제어봉과 연결된 하부 단부와 리드 스크류와 연결된 상부 단부를 갖춘 연결로드에 의하여 리드 스크류에 결합되고, 상기
    상기 래치를 분리하는 단계는, 리드 스크류로부터 연결로드의 상부 단부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 제어방법.
  14. 원자로 코어;와
    이 원자로 코어를 포함하는 하부 용기섹션, 원자로 코어의 위쪽 및 하부 압력섹션의 위쪽에 배치된 상부 용기 섹션, 및 원자로 코어의 위쪽에 위치되고 또 하부 용기섹션과 상부 용기섹션 사이에 배치된 중간 플랜지를 포함하는 압력용기; 및 중간 플랜지에 의해 지지된 내부 제어봉 구동기구(CRDM);를 포함하는 원자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플랜지의 위쪽 압력용기 내에 배치된 일체형 증기발생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RDM을 지지하고 또 중간 플랜지에 결합된 내장재 배스킷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플랜지에 의하여 지지된 제어봉 가이드 프레임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플랜지에 의하여 지지된 유압식 셧다운 로드 구동기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CRDM의 모터들을 포함하는 내부 CRDM은 압력용기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간 플랜지는 내부 CRDM에 전기식 및 유압식입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CRDM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봉과 연결된 연결로드; 와
    리드 스크류;
    리드 스크류의 선형이동을 제공하는 구동기구; 및
    (i) 연결로드가 리드 스크류에 잠금되어 구동기구에 의하여 리드 스크류가 선형적으로 이동될 때 연결로도가 리드 스크류와 함께 이동하는 잠금상태와, (ii) 연결로드가 리드 스크류에 잠가지지 않은 비잠금상태를 갖는 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21. 원자로에 사용하기 위한 제어봉 구동기구(CDRM)로서, 이 제어봉 구동기구가:
    적어도 하나의 제어봉과 연결된 연결로드;
    리드 스크류;
    리드 스크류를 선형적으로 이동시키도록 된 구동기구;
    전자석 코일조립체; 및
    전자석 코일조립체의 전압인가에 응답하여 연결로드를 리드 스크류에 잠그고 또 전자석 코일조립체의 전압해제에 응답하여 리드 스크류로부터 연결로드의 잠금을 해제하는 래치 조립체; 를 포함하는 제어봉 구동기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조립체는 리드 스크류와 결합되고 또 이와 선형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 구동기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코일조립체는 리드 스크류와 함께 이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 구동기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코일조립체는, 구동기구가 리드 스크류를 선형적으로 이동시키도록된 선형이동 스트로크와 적어도 같은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 구동기구.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조립체는 잠금해제 상태로 기계적으로 밀어부쳐지고 또 래치 조립체가 잠가지도록 유발하는 기계적인 밀어부침을 극복하는 전자석 코일조립체의 자화에 응답하는 힘을 받는 자석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 구동기구.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조립체는 전자석 코일조립체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 구동기구.
KR1020127000769A 2009-06-10 2010-06-09 원자로용 제어봉 구동기구 KR201200896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588709P 2009-06-10 2009-06-10
US61/185,887 2009-06-10
US12/722,662 2010-03-12
US12/722,662 US8811561B2 (en) 2009-06-10 2010-03-12 Control rod drive mechanism for nuclear reactor
PCT/US2010/037955 WO2010144563A1 (en) 2009-06-10 2010-06-09 Control rod drive mechanism for nuclear rea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9620A true KR20120089620A (ko) 2012-08-13

Family

ID=43306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769A KR20120089620A (ko) 2009-06-10 2010-06-09 원자로용 제어봉 구동기구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811561B2 (ko)
EP (1) EP2441074B8 (ko)
JP (1) JP5746158B2 (ko)
KR (1) KR20120089620A (ko)
CN (1) CN102483962B (ko)
AU (1) AU2010258777B2 (ko)
BR (1) BRPI1013151A2 (ko)
CA (2) CA2765101C (ko)
MX (1) MX2011013338A (ko)
RU (1) RU2578172C2 (ko)
SG (2) SG10201402809SA (ko)
UA (1) UA105667C2 (ko)
WO (1) WO2010144563A1 (ko)
ZA (1) ZA2011088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1562B2 (en) * 2010-03-12 2014-08-19 Babcock & Wilcox Nuclear Operations Group, Inc. Control rod drive mechanism for nuclear reactor
US9378853B2 (en) * 2010-10-21 2016-06-28 Bwxt Nuclear Energy, Inc. Support structure for a control rod assembly of a nuclear reactor
US10032529B2 (en) * 2010-12-09 2018-07-24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Nuclear reactor internal electric control rod drive mechanism assembly
US9620255B2 (en) * 2010-12-20 2017-04-11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Nuclear control rod position indication system
US9812225B2 (en) 2011-04-13 2017-11-07 Bwxt Mpower, Inc. Compact integral pressurized water nuclear reactor
US9394908B2 (en) 2011-05-17 2016-07-19 Bwxt Nuclear Energy, Inc. Pressurized water reactor with upper vessel section providing both pressure and flow control
US9985488B2 (en) * 2011-07-22 2018-05-29 RWXT Nuclear Operations Group, Inc. Environmentally robust electromagnets and electric motors employing same for use in nuclear reactors
US9805832B2 (en) 2012-02-27 2017-10-31 Bwxt Mpower, Inc. Control rod drive mechanism (CRDM) mounting system for pressurized water reactors
US20160293280A9 (en) * 2012-02-27 2016-10-06 Bwxt Mpower, Inc. Crdm internal hydraulic connector
US9911512B2 (en) * 2012-02-27 2018-03-06 Bwxt Mpower, Inc. CRDM internal electrical connector
US20130223579A1 (en) * 2012-02-28 2013-08-29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Control rod drive mechanism ("crdm") assembly for a nuclear reactor
US9887015B2 (en) * 2012-04-17 2018-02-06 Bwxt Mpower, Inc. Suspended upper internals with tie rod couplings for compact nuclear reactor
US10102932B2 (en) 2012-04-17 2018-10-16 Bwxt Mpower, Inc. Power distribution plate for powering internal control rod drive mechanism (CRDM) units
WO2013162898A2 (en) 2012-04-17 2013-10-31 Babcock & Wilcox Mpower, Inc. Riser transition element for compact nuclear reactor
CN104488035A (zh) 2012-04-17 2015-04-01 巴布科克和威尔科克斯M能量股份有限公司 带有紧凑上部堆内构件组件的一体式压水反应堆
US9666313B2 (en) * 2012-04-17 2017-05-30 Bwxt Mpower, Inc. Small modular reactor refueling sequence
WO2013158491A1 (en) 2012-04-17 2013-10-24 Babcock & Wilcox Mpower, Inc. Suspended upper internals for compact nuclear reactor including a mid-hanger plate
US8958519B2 (en) * 2012-04-17 2015-02-17 Babcock & Wilcox Mpower, Inc. Incore instrumentation cable routing and support element for pressurized water reactor
US9972407B2 (en) * 2012-04-17 2018-05-15 Bwxt Mpower, Inc. Small modular reactor fuel assembly
CN104520938A (zh) * 2012-04-17 2015-04-15 巴布科克和威尔科克斯M能量股份有限公司 控制棒驱动机构内部电连接器
US9620253B2 (en) 2012-04-17 2017-04-11 Bwxt Mpower, Inc. Riser cone apparatus to provide compliance between reactor components and minimize reactor coolant bypass flow
US20130301786A1 (en) * 2012-04-17 2013-11-14 Babcock & Wilcox Mpower Inc Suspended upper internals for compact nuclear reactor including an upper hanger plate
US9754688B2 (en) 2012-04-17 2017-09-05 Bwx Technologies, Inc. Suspended upper internals for compact nuclear reactor including a lower hanger plate
US11935663B2 (en) 2012-05-21 2024-03-19 Smr Inventec, Llc Control rod drive system for nuclear reactor
WO2014025700A2 (en) 2012-08-06 2014-02-13 Holtec International, Inc. Fail-safe control rod drive system for nuclear reactor
KR20130131929A (ko) * 2012-05-25 2013-12-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4채널 제어봉 위치전송기가 수용된 제어봉 구동장치 상부슈라우드
US10096388B2 (en) 2013-03-15 2018-10-09 Bwxt Mpower, Inc. Extruded guide frame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US10229760B2 (en) * 2013-03-15 2019-03-12 Bwxt Mpower, Inc. CRDM with separate scram latch engagement and locking
WO2014197068A2 (en) 2013-03-15 2014-12-11 James Inman Upper vessel transport
US9865364B2 (en) * 2013-03-15 2018-01-09 Bwxt Mpower, Inc. CRDM with separate SCRAM latch engagement and locking
CN103527907B (zh) * 2013-09-16 2015-08-19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一种核测量系统核探测器悬架装置
CN103559919B (zh) * 2013-10-31 2015-12-09 四川华都核设备制造有限公司 控制棒驱动机构及控制棒驱动方法
CN103646673B (zh) * 2013-12-13 2016-02-03 中国科学院上海应用物理研究所 一种控制棒驱动机构的落棒系统及方法
FR3039695B1 (fr) 2015-07-29 2017-09-01 Soc Technique Pour L'energie Atomique Reacteur nucleaire avec entrainement des organes de controle de la reactivite du coeur de type vis-ecrou
US10269460B2 (en) 2015-07-31 2019-04-23 Nuscale Power, Llc Control rod position indicator
CN105788668A (zh) * 2016-05-06 2016-07-20 上海核工程研究设计院 一种具有可分开螺母驱动的控制棒驱动机构
CN105957560A (zh) * 2016-07-05 2016-09-21 上海核工程研究设计院 一种压水堆核电站的反应堆堆本体结构
CN106205748B (zh) * 2016-08-31 2018-05-18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反应堆控制棒驱动机构
US10847272B2 (en) * 2016-12-30 2020-11-24 Nuscale Power, Llc Control rod drive mechanism (CRDM) with remote disconnect mechanism
US10790066B2 (en) * 2017-12-04 2020-09-29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Rotational apparatus usable with control drum apparatus in nuclear environment
EP3732693A2 (en) 2017-12-29 2020-11-04 NuScale Power, LLC Controlling a nuclear reaction
CN108735310A (zh) * 2018-06-04 2018-11-02 江苏核电有限公司 一种控制棒驱动机构电气参数测量的模拟培训装置
CN111627573A (zh) * 2019-02-27 2020-09-04 陈敏 核能发电设备的绝对安全控制系统
KR102187262B1 (ko) * 2019-04-25 2020-12-04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영구자석이 매입된 제어봉 구동장치
CN110349684B (zh) * 2019-07-15 2021-03-09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反应性控制装置
US11990248B2 (en) * 2019-08-29 2024-05-21 BWXT Advanced Technologies LLC Robust nuclear propulsion fission reactor with tri-pitch patterned core and drum absorbers
CN112017800B (zh) * 2020-07-31 2022-03-29 清华大学 棒位测量传感器承压壳及控制棒水压驱动系统
CN111933314B (zh) * 2020-08-07 2022-05-10 上海核工程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核反应堆非能动停堆装置
US20220059247A1 (en) * 2020-08-18 2022-02-24 Battelle Energy Alliance, Llc Control rod system for reactor applications
CN112102974A (zh) * 2020-09-14 2020-12-18 中核核电运行管理有限公司 一种核反应堆控制棒驱动杆高度测量装置
CN112071445A (zh) * 2020-09-21 2020-12-11 四川大学 回旋电磁式控制棒驱动机构与方法
CN115376709A (zh) * 2022-09-27 2022-11-22 上海核工程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电机丝杠式控制棒驱动机构及其驱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41783A (fr) * 1959-08-06 1960-09-23 Creusot Forges Ateliers Dispositif pour la réalisation de mouvements rectilignes contrôlés
US3607629A (en) * 1968-01-24 1971-09-21 Westinghouse Electric Corp Drive mechanism for control elements
US3853699A (en) * 1970-07-08 1974-12-10 Westinghouse Electric Corp Nuclear reactor having control-rod retaining means
DE2044303C3 (de) * 1970-09-08 1974-06-06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Doppelsteuerelement für Druckwasserreaktoren
US3741867A (en) * 1971-06-15 1973-06-26 Gulf Oil Corp Control rod drive system
DE2204182A1 (de) * 1972-01-29 1973-08-02 Interatom Regel- und abschaltvorrichtung fuer kernreaktoren
US3857599A (en) * 1972-12-01 1974-12-31 Combustion Eng Gripper device
US3959072A (en) * 1973-09-27 1976-05-25 Combustion Engineering, Inc. Compactable control element assembly for a nuclear reactor
GB1576758A (en) * 1977-05-10 1980-10-15 Zhuchkov I Control rod drive of nuclear reactor
US4187145A (en) * 1977-07-25 1980-02-05 Combustion Engineering, Inc. Hydraulic latch scram release mechanism
SU757020A1 (ru) * 1978-06-26 1996-01-27 А.К. Бялко Герметичный привод стержней компенсирующих и аварийной защиты
FR2472227A1 (fr) * 1979-12-21 1981-06-26 Framatome Sa Perfectionnement aux dispositifs a mouvement lineaire
FR2474743B1 (fr) * 1980-01-24 1986-10-31 Jeumont Schneider Dispositif electromagnetique du type vis-ecrou a securite
FR2475782B1 (fr) * 1980-02-12 1986-11-28 Framatome Sa Perfectionnement aux dispositifs de commande des barres de reglage d'un reacteur nucleaire
US4484093A (en) * 1982-12-08 1984-11-2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Linear motion device and method for inserting and withdrawing control rods
US4663576A (en) * 1985-04-30 1987-05-05 Combustion Engineering, Inc. Automatic controller for magnetic jack type control rod drive mechanism
US4649016A (en) * 1985-10-09 1987-03-10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motely operable fuel transfer system for nuclear reactor
US4713210A (en) * 1985-11-18 1987-12-15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 rod driveline and grapple
JPS62217187A (ja) * 1986-03-19 1987-09-24 動力炉・核燃料開発事業団 原子炉の制御棒駆動機構
US5089211A (en) * 1991-02-11 1992-02-18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 rod drive
JPH06235786A (ja) * 1993-02-10 1994-08-23 Toshiba Corp 原子炉停止装置
JP3358917B2 (ja) * 1995-05-12 2002-12-24 日本原子力研究所 制御棒駆動装置
JPH1130683A (ja) * 1997-07-09 1999-02-02 Japan Atom Energy Res Inst 原子炉制御棒の駆動装置
FR2813701B1 (fr) * 2000-09-01 2002-11-29 Transnucleaire Panier de rangement pour matieres radioactives
JP2003130981A (ja) * 2001-10-29 2003-05-08 Japan Atom Energy Res Inst 原子炉の制御棒駆動装置
JP2003270375A (ja) * 2002-03-13 2003-09-25 Japan Atom Energy Res Inst 受動的原子炉停止機構
JP4105052B2 (ja) * 2003-07-22 2008-06-18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原子力プラント構造材料の応力腐食割れを緩和する方法
US8532246B2 (en) * 2007-08-17 2013-09-10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Nuclear reactor robust gray control r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41074A1 (en) 2012-04-18
ZA201108877B (en) 2012-07-25
EP2441074A4 (en) 2016-07-27
CN102483962B (zh) 2015-01-21
EP2441074B1 (en) 2018-08-22
CA2765101A1 (en) 2010-12-16
CA2765101C (en) 2021-10-19
CA3128766C (en) 2023-10-03
BRPI1013151A2 (pt) 2016-04-05
AU2010258777B2 (en) 2015-08-06
SG10201402809SA (en) 2014-08-28
WO2010144563A1 (en) 2010-12-16
SG176306A1 (en) 2012-01-30
CN102483962A (zh) 2012-05-30
MX2011013338A (es) 2012-05-08
JP5746158B2 (ja) 2015-07-08
JP2012529657A (ja) 2012-11-22
US8811561B2 (en) 2014-08-19
UA105667C2 (uk) 2014-06-10
US20100316177A1 (en) 2010-12-16
EP2441074B8 (en) 2019-01-09
RU2012101952A (ru) 2013-07-27
AU2010258777A1 (en) 2012-01-12
CA3128766A1 (en) 2010-12-16
RU2578172C2 (ru) 2016-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9620A (ko) 원자로용 제어봉 구동기구
KR20130044228A (ko) 원자로용 제어봉 구동기구
JP5886312B2 (ja) 原子炉内構造物の液圧式制御棒駆動機構装置
US10629313B2 (en) Control rod drive mechanism (CRDM) mounting method for pressurized water reactors
US20210151207A1 (en) Control rod drive mechanism ("crdm") assembly for a nuclear reactor
JP4707217B2 (ja) 沸騰水型原子炉
EP2839485B1 (en) Small modular reactor control rod guid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