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9153A -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9153A
KR20120089153A KR1020110010351A KR20110010351A KR20120089153A KR 20120089153 A KR20120089153 A KR 20120089153A KR 1020110010351 A KR1020110010351 A KR 1020110010351A KR 20110010351 A KR20110010351 A KR 20110010351A KR 20120089153 A KR20120089153 A KR 20120089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tation
information
design drawing
surv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5856B1 (ko
Inventor
이승주
Original Assignee
(주)코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세코 filed Critical (주)코세코
Priority to KR1020110010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856B1/ko
Publication of KR20120089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9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 시공 현장에 있는 측량기로부터 측량되어 전송된 도로에 대한 측량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는 도로 설계 도면을, 설계 회사에서 생성된 도로 기초 도면을 이용하여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설계 사무소에서 제작된 도로 기초 도면을 이용하여, 스테이션이 설정되어 있는 도로 설계 도면을,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생성할 수 있는,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은, 도로 기초 도면을 다운로드받는 단계; 상기 도로 기초 도면 상에 도시된 도로 선형의 첫 번째 스테이션의 번호, 상기 첫 번째 스테이션의 시작점의 위치, 각 스테이션 간의 거리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번호, 상기 위치, 상기 거리정보, 스테이션을 설정하고자 하는 도로 선형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도로 선형의 종류를 이용하여, 상기 도로 선형에 대한 스테이션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스테이션 정보가 포함된 상기 도로 기초 도면을 도로 설계 도면으로 저장하는 단계; 및 측량기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측점에 대한 측량정보를 상기 도로 설계 도면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METHOD FOR GENERATING A ROAD FLOOR PLAN}
본 발명은 토목 시공 현장에 있는 측량기로부터 측량되어 전송된 도로에 대한 측량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는 도로 설계 도면을, 설계 회사에서 생성된 도로 기초 도면을 이용하여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용되고 있는 측량 방법은, 측량기사가 현장에서 측량기(레벨)와 표척(프리즘)을 사용하여 현황을 측량한 후, 그 측량정보를 디스켓 등으로 저장하여 설계실로 가지고 와서, 상기 측량정보를 기초로 하여 컴퓨터 지원 설계(CAD : Computer Aided Design)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도로 또는 건물 등의 구조물 등에 대한 작도를 행하였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는 경우, 작업능률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실시간 적인 작도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이러한 측량방법에서는 측량과 작도의 실시간 적인 병행이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측량기사가 직접 단말기를 가지고 다니면서, 측량기를 통해 현장에서 수집된 측량정보를 이용하여, 측량된 구조물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 상에 표시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있다.
즉, 측량기를 통해 측량된 측량정보는 단말기로 유무선을 통해 다운로드 되며, 측량사는 측량된 측점들에 대한 측량정보를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측량정보에는 좌표정보, 고도정보 및 거리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도로나 철로를 건설하기 위한 측량에서는, 측량하고자 하는 도로 설계 도면이 확보되어야 하며, 측량사는 이러한 도로 설계 도면을 참고하여 측량 지점을 판단하는 한편, 측량된 측점에 대한 측량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단말기에는 도로 설계 도면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측량사는 해당 도로 설계 도면을 확인하면서, 각 측점을 측량한 후, 측량된 측점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도로 설계 도면은, 설계 사무소에서 도로 기초 도면으로 제작된 후, 측량 사무소로 전달되며, 측량 사무소의 측량사는 도로 기초 도면을 측량에 필요한 도로 설계 도면으로 변환시킨 후, 자신의 단말기에 도로 설계 도면을 다운로드 받아 상기한 바와 같이 각종 측량에 이용한다.
한편, 도로와 같이, 장거리에 걸친 공사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거리마다 도로를 구분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리를 위해서는 도로를 일정한 거리마다 구분하여야 하며, 이처럼 일정한 거리마다 구분된 영역을 스테이션이라 한다.
따라서, 측량사가 도로 설계 도면을 단말기에 다운로드 하여 이용하기에 앞서, 설계 사무소로부터 전달받은 도로 기초 도면에 대하여, 일정한 거리마다 스테이션을 설정하는 변환 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스테이션을 설정하는 변환 과정이 개인용 컴퓨터(PC)와 같은 별도의 정보처리 장치에서 변환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졌다.
즉, 종래에는 사용자가 도로 기초 도면을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 장치에 다운로드하여 변환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도로 기초 도면 상의 도로 선형의 거리를 측정하여, 일정 거리마다 스테이션을 구분하는 과정을 직접 수행하였다.
상기 과정을 통해 스테이션이 설정된 도로 설계 도면이 완성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측량사는 도로 설계 도면을 자신의 단말기에 다운로드 한 상태에서 각종 측량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도로 기초 도면에 대하여 스테이션을 설정하는 변환 과정을 별도의 정보처리 장치에서 이용한 후, 변환된 도로 설계 도면을 다시 단말기에 다운로드하여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도로 기초 도면을 도로 설계 도면으로 변환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불편한 점이 많았다.
즉, 종래에는, 도로 기초 도면(설계 사무소에서 제작된 도면)을 단말기에서 이용 가능한 도로 설계 도면(스테이션이 설정되어 있는 도면)으로 변경시키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과 비용이 추가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계 사무소에서 제작된 도로 기초 도면을 이용하여, 스테이션이 설정되어 있는 도로 설계 도면을,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생성할 수 있는,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은, 도로 기초 도면을 다운로드받는 단계; 상기 도로 기초 도면 상에 도시된 도로 선형의 첫 번째 스테이션의 번호, 상기 첫 번째 스테이션의 시작점의 위치, 각 스테이션 간의 거리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번호, 상기 위치, 상기 거리정보, 스테이션을 설정하고자 하는 도로 선형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도로 선형의 종류를 이용하여, 상기 도로 선형에 대한 스테이션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스테이션 정보가 포함된 상기 도로 기초 도면을 도로 설계 도면으로 저장하는 단계; 및 측량기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측점에 대한 측량정보를 상기 도로 설계 도면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설계 사무소에서 제작된 도로 기초 도면을 이용하여, 스테이션이 설정되어 있는 도로 설계 도면을,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생성함으로써, 측량 및 건설 기간을 단축시키는 한편, 건설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측량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일실시예 내부 구성도.
도 3은 발명에 따른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로 설계 도면의 일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측량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측량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토목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측량을 수행하기 위한 측량기(20), 위치정보를 송출하는 위성(30) 및 측량기와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받은 측량정보를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CAD : Computer Aided Design)의 작도 방법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해 줄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10)를 포함한다.
측량기(20)는 토목 시공 현장에서 구조물의 높이, 길이, 좌표 등을 측량하기 위해 이용되는 다양한 형태 및 종류의 측량장치들이 적용될 수 있다. 측량기(20)는 위성항법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을 통한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5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측량기(20)와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측량기에서 측량된 측량정보를 수신하는 한편, 수신된 측량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캐드도면 상에 구조물을 시각적으로 표현해 주기 위한, 측량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측량 프로그램은 컴퓨터 지원 설계(CAD : Computer Aided Design)(이하, 간단히 '캐드'라 함)를 기반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측량 프로그램은, 캐드를 기반으로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는, 측량기로부터 전송되어온 측량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캐드도면상에 표시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황선 연결, 문자 표기 등의 편집 작업과 출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측량사 등)가 다양한 형태의 심벌을 캐드도면 상에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컴퓨터 지원 설계(CAD)란, 사용자 단말기와 같은 컴퓨터에 기억되어 있는 설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도 또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화면을 보면서 그릴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려진 지도 또는 구조물을 화면을 통해 출력해 줄 수 있는 방식을 말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측량 프로그램이란, 상기한 바와 같은 캐드를 지원하는 캐드 프로그램과, 측량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접목시킨 프로그램을 말하는 것으로서, 측량기(20)에 의해 측량된, 구조물의 좌표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측량정보를 캐드도면에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다양한 형태로 편집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측량 프로그램은 측량정보를 이용하여 각종 구조물들을 도면 상에 표시함에 있어서, 구조물들을 단순히 그래픽적으로만 표시해 주는 것이 아니라, 각종 편집 및 응용이 가능하도록 캐드 기반상에서 구조물들을 표시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측량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특히, 피디에이(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는 정보 수집, 저장, 작성, 검색 및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형 기기를 지칭한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기(10)는 작고 가벼우며, 휴대하고 다니면서 다양한 정보를 액세스하기에 적합한 휴대형 기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그 일예로 PDA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PDA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휴대형 기기들이 사용자 단말기로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일실시예 내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기(10)의 내부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3), 본 발명에 이용되는 측량 프로그램 과 측량된 측량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5), 측량기(또는 측량기 내부의 구성 요소)와 유선 또는 무선(블루투스 등)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11), 상기 인터페이스, 입력부, 저장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이용되는 측량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부(12) 및 제어부를 통해 실행된 각종 결과물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0)에서의 측량 및 전송 방법은 저장부(15)에 저장되어 있는 측량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써, 측량 프로그램은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실행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되는 측량 프로그램은 상기한 바와 같이 컴퓨터 지원 설계(CAD)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측량 프로그램들은 단순히 측량기로부터 전송된 측량정보들을 수집하거나 수집된 측량정보들을 기반으로 하여 간단한 형태로 스케치하는 것에 불과했으며, 이를 좀더 다양한 형태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컴퓨터 지원 설계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상기 측량정보들을 입력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이용되는 측량 프로그램은, 컴퓨터 지원 설계(CAD)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하여, 측량과 관련된 프로그램이 접목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로 측량정보를 표시 및 편집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3은 발명에 따른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우선, 첫 번째 과정은, 사용자가 도로 기초 도면 파일을 사용자 단말기(10)에 저장하는 과정으로서, 사용자는 설계 사무소로부터 도로 기초 도면 파일(캐드도면)을 전달받아 사용자 단말기(10)에 다운로드하여 저장한다(100). 여기서, 도로 기초 도면은 캐드를 이용하여 지도 상에 도로의 형상(이하, 간단히 '도로 선형'이라 함)을 나타낸 것으로서, 스테이션과 같은 정보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다음으로, 두 번째 과정은, 도로 기초 도면 상에 스테이션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도로 기초 도면 상에서 도로 선형의 종류, 스테이션의 시작 번호, 스테이션의 시작 위치 등을 선택하는 과정이다(200). 즉, 공사 길이가 긴 도로의 경우에는 하나의 도로 기초 도면으로 전체 도로 구간이 표시될 수 없으며, 이 경우, 각 공사 구간별로 구분되어 도로 기초 도면이 작성될 수 있는바, 각 도로 기초 도면의 첫 번째 스테이션이 전체 공사 도로 구간에서 첫 번째 스테이션이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변환하고자 하는 도로 기초 도면 상에 표시되어 있는 도로 선형의 첫 번째 스테이션에 대한 스테이션 번호를 입력한다. 또한, 사용자는 첫 번째 스테이션의 시작점 등을 선택할 수 있으며, 각 스테이션의 거리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로 기초 도면 상에 도로를 표시하기 위해 도시되어 있는 도로 선형이 어떠한 종류의 선형인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세 번째 과정은, 제어부가 입력된 각 스테이션간의 거리 정보, 스테이션의 시작 위치, 스테이션 시작 번호 및 도로를 형성하는 선형의 종류 등을 이용하여, 도로 기초 도면을 각 스테이션으로 구분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도로 설계 도면을 생성하는 과정이다(300). 즉, 본 과정을 통해 스테이션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도로 설계 도면이 생성된다. 여기서 스테이션 정보란, 도로 기초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는 도로 선형을 일정 거리마다 구분한 정보를 말하는 것으로서, 각 스테이션의 시작점 및 끝점의 좌표, 각 스테이션의 번호 등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 과정은, 사용자가 측량기를 이용하여 토목 시공 현장에서 도로의 각 측점에 대해 측량을 실시한 후, 측량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부가 입력된 측량정보를 이용하여 각 측점의 측량정보를 상기 과정을 통해 생성된 도로 설계 도면 상에 출력하는 과정이다(400). 즉, 네 번째 과정은 세 번째 과정을 통해 생성된 도로 설계 도면을 응용하여 다양한 측량을 수행하는 과정으로서,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되는 도로 설계 도면은 측점이 몇 번째 스테이션에 해당되고, 옵셋값은 얼마인지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스테이션의 물량 측량(기성및 횡단측량)에 이용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설계 사무소에서 제작된 도로 기초 도면을 이용하여, 측량 시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이용 가능한 도로 설계 도면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것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로 설계 도면에 대하여 설명한 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이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로 설계 도면의 일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로의 기본적인 구조와 스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로 설계 도면이란 건설하고자 하는 도로의 형태, 곡률, 거리, 경사, 폭, 도로 깊이 등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 것이며, 실제 건설 현장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로 설계 도면을 일정 구간마다 분할하여 각 구간의 횡단도면을 작성한 후 상기 각 구간의 횡단도면을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공사를 진행하거나 기성을 작성하고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도로 설계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에 의해 생성된 도로 설계 도면으로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도로 설계 도면은 도로상의 각 위치(측점)별로 그에 해당되는 좌표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해당 도로 상의 특정 위치를 스타일러스펜 또는 마우스 등을 통해 선택하면, 해당 특정 위치의 좌표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도로 설계 도면은 측량사가 실제로 토목 시공 현장에 나가 측량을 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즉, 측량사는 도로 설계 도면이 지시하는 지역에 나가, 도로 설계 도면 상에서 도로가 될 지역의 수많은 측점들을 측량하여 측량정보들을 수집하게 되며,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부는 측량된 측량정보들을 이용하여 각 측점에 대한 측량정보를 도로 설계 도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도로 설계 도면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설계 사무소에서 제작된 도로 기초 도면을 본 발명에 따라 변환시킨 것으로서, 도로 기초 도면은 단순히 지도 상에 도로의 형상만을 도시하고 있을 뿐, 도로와 같이 긴 구간에 걸쳐 공사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요구되는 스테이션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도로 기초 도면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을 통해 스테이션 정보가 포함된 도로 설계 도면으로 변환되어야 한다. 이러한, 스테이션 정보가 포함된 도로 설계 도면의 일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로 설계 도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시점의 센터점(A)을 기준점으로 하여 20미터마다 도로를 수직으로 가로질러 도로를 일정 구간별로 구분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도로를 수직으로 가로지른 선을 간단히 경계선(B)이라 하겠다.
이때, 상기 각 경계선(B)은 측량의 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도로의 시점부터 종점까지의 구간을 경계선을 이용하여 10개의 스테이션으로 구분한 경우에, 상기 10개의 스테이션에 대한 각각의 횡단도면을 기준으로 주변의 지역을 측량한 후, 상기 각 스테이션별로 물량을 계산하는 등의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도로 설계 도면의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20미터마다 스테이션을 설정하여 총 200m 구간을 10개의 스테이션으로 구분하였으며, 따라서 최소 10개의 횡단도면이 존재하고 기성 작성 시의 물량 계산도 상기 10개의 스테이션을 기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20미터의 길이는 임의적인 숫자로써, 지형의 상태에 따라 개별적으로 달리 설정될 수도 있다. 즉, 10미터 구간마다 스테이션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 10미터 간격으로 설정한 경우에 있어서도 필요한 경우에는 두 개의 스테이션 사이에 별도의 스테이션을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도로 설계 도면은, 측량사가 측량을 수행하는 경우 및 수행된 측량 결과를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실제 건설 과정에서는 각 스테이션별로 물량을 계산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도 3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도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부가, 도로 기초 도면을 이용하여 도로 설계 도면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기(10)의 메인 화면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기(10)는 PDA와 같이 휴대가 용이한 단말기로서, 사용자 단말기에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측량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측량사)는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측량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사용자가 측량 프로그램을 실행한 경우에 출력되는 화면은 도 5의 (b)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5의 (b)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실행되고 있는 측량 프로그램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캐드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은, 측량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되는 다양한 측량 방법들 중의 하나로서, 이러한 측량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측량 프로그램에는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보기', '편집', '설정, '현황'과 같은 다양한 주메뉴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주메뉴들 각각은 다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세부메뉴들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 CAD to Road 메뉴'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은 주메뉴들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특히, 설정 메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우선, 첫 번째 과정(100)으로서, 사용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설정 메뉴에 포함되어 있는 세부메뉴들 중 CAD to Road 메뉴(104)를 이용하여 별도의 개인용 컴퓨터(PC) 또는 저장매체(USB) 등에 저장되어 있는 도로 기초 도면을 사용자 단말기(10)로 다운로드 한다. 이러한 초기 도로 도면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도로 기초 도면은 설계 사무소에서 CAD 등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제작된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도로 기초 도면 상에 표시되어 있는 도로는, 단순히 지도 상에 표시되어 있는 도로의 형상으로서, 도로의 건설에 반드시 요구되는 스테이션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다음으로, 두 번째 과정(200)으로서, 사용자는 도로 기초 도면 상에 스테이션을 설정하기 위해, 도로 기초 도면 상에서, 도로 선형의 종류를 선택하고, 도로 기초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는 첫 번째 스테이션의 시작점을 선택하고, 첫 번째 스테이션의 시작 번호를 입력하고, 스테이션간의 거리 정보 등을 입력한다.
즉, 사용자는 CAD to Road 메뉴 상에서 제공되는 세부 메뉴를 이용하여 도로 기초 도면 상에 도로로 표시되어 있는 선형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도로를 형성하는 선형의 종류에 따라, 선형을 따라 형성되는 도로의 거리 측정 방법 등이 변경될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는 도로를 형성하는 선형의 종류를 세부 메뉴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도로 선형의 경우라도, 각 구간별로 선형의 종류가 다를 수 있는바, 도 6에서 A-B는 단곡선 구간, B-C는 난형곡선구간(RAMP), C-D는 단곡선구간, D-E는 클로소이드 구간을 나타낸다. 즉, 일반적으로 도로 선형은 라인, 완화곡선(클로소이드, 3차포물선 등)(폴리선으로 구성), 아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바, 이러한 선형들은 그 특성에 따라 거리를 산출하는 방식 등에 차이가 생길 수 있으므로, 도로 선형이 각 구간별로 서로 상이하다면 사용자는 각 구간의 도로 선형의 종류를 개별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부는 이러한 선형을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거리를 계산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도로 선형의 종류를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어부가 도로 선형의 종류를 물어보는 메시지를 출력하면, 사용자는 도로 선형의 종류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각 구간에 해당되는 지점을 스타일러스펜 또는 마우스 또는 손가락 등으로 선택한 후, 해당 구간의 선형의 종류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세부 메뉴를 이용하여 도로 기초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는 도로 선형의 시작점과 끝점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도로 기초 도면 상에서의 첫 번째 스테이션의 시작점과 마지막 번째 스테이션의 끝점을 선택하면, 이후, 제어부는 상기 시작점부터 끝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면서, 일정 거리마다 스테이션을 구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시작점과 끝점의 선택은 사용자가 해당 지점을 스타일러스펜 등을 이용하여 선택하는 과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세부 메뉴를 이용하여 상기 시작점을 포함하는 첫 번째 스테이션의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공사 기간이 긴 도로의 경우에는 하나의 도로에 대하여 복수 개의 도로 기초 도면이 생성될 수 있는바, 이러한 경우에도, 전체 도로의 스테이션은 일련번호로 표시되어야 함으로, 사용자는 선택된 도로 기초 도면 상에 표시되어 있는 도로가 전체 공사 구간의 몇 번째 스테이션에 해당되는 도로인지를 입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세부 메뉴를 이용하여 스테이션간의 거리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스테이션간의 거리는 도로의 전체 길이 및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는바, 사용자는 원하는 스테이션간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최종적으로 스테이션을 설정할 도로 선형(객체, entity)을 선택한다. 이러한, 선택은 사용자가 도로 기초 도면 상의 도로 선형들 중 스테이션 설정을 원하는 도로 선형을 스타일러스펜 또는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선택하는 동작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두 번째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부가, 도로 기초 도면을 이용하여 스테이션을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스테이션 설정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세부 메뉴를 선택하여 입력한다. 이때, 사용자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불러오거나, 별도로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을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도로 기초 도면 상에 표시되어 있는 도로 선형 또는 도로 선형 상의 특정 지점을 선택함으로써, 스테이션 설정에 필요한 정보들을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세 번째 과정(300)은, 제어부가 도로 기초 도면 상에 스테이션을 설정함으로써, 도로 설계 도면을 생성하는 과정으로서, 상기 두 번째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도로 기초 도면 상에 스테이션 설정을 위한 각종 정보를 입력한 후, 실행메뉴를 실행시키면, 제어부는 기 입력된 각 스테이션간의 거리 정보, 스테이션 시작 번호, 첫 번째 스테이션의 시작점, 마지막 스테이션의 끝점 및 도로 선형를 형성하는 선형의 종류 등을 이용하여, 도로 기초 도면 상에 스테이션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도로 설계 도면을 생성한다.
이때, 각 스테이션을 구분하는 경계선(도 4에 도시된 (B))은 도로 선형의 중심라인에 수직한 선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설계 도면 상에 표시될 수도 있으나,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스테이션을 구분하는 경계선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화면상에 보일 수도 있고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도로 기초 도면 상에 스테이션을 설정하기 위해, 별도의 설계제원을 입력하지 않아도 되며, 도로 기초 도면 상에 그려진 도로 선형을 추출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스테이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과정을 통해 생성된 도로 설계 도면은 도로 설계 도면 파일로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다.
마지막 네 번째 과정(400)으로서, 사용자가 측량기(20)를 이용하여 토목 시공 현장에서 도로의 각 측점에 대해 측량을 실시한 후, 측량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부가 입력된 측량정보를 이용하여 각 측점(802)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설계 도면 상에 출력한다.
즉, 네 번째 과정은 세 번째 과정을 통해 생성된 도로 설계 도면과 측량기를 이용하여 측량을 수행한 후, 측량에 따른 측량정보를 도로 설계 도면 상에 출력하는 과정이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도로 설계 도면 파일을 생성한 후, 사용자 단말기는 토목 공사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각 스테이션에 해당하는 지점에 대하여 측량된 측량정보를 입력받게 된다.
예를 들어, 측량사는 토목 공사 현장에서 측량기(20)를 이용하여 측량을 실행하게 되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기(10)는 상기 측량에 따른 측량정보를 입력받게 되며,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부는 입력된 측량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0)의 제어부는 입력된 측점의 측량정보를 상기 도로 설계 도면 파일의 정보와 분석하여 상기 측점이 전체 도로 구간 중, 몇 번째 스테이션에 해당되는 점이고, 상기 스테이션의 센터 점으로부터의 좌우이격 거리(옵셋)는 얼마이며, 지반고는 얼마인지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저장하는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점을 도로 설계 도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측량된 측점의 좌표정보가 스테이션으로부터의 허용 오차를 벗어난 경우에는 측량된 측점에 대하여는 저장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되는 도로 설계 도면은 측량기를 통해 측정된 측점이 몇 번째 스테이션에 해당되고, 옵셋값은 얼마인지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스테이션의 물량 계산에 이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토목 공사 현장에서의 각 스테이션별 물량 계산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따라서, 토목 공사 수행 시 월별 또는 분기별로 작성되어야 하는 기성이 간편하게 작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사용자 단말기 20 : 측량기
30 : 위성

Claims (7)

  1. 도로 기초 도면을 다운로드받는 단계;
    상기 도로 기초 도면 상에 도시된 도로 선형의 첫 번째 스테이션의 번호, 상기 첫 번째 스테이션의 시작점의 위치, 각 스테이션 간의 거리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번호, 상기 위치, 상기 거리정보, 스테이션을 설정하고자 하는 도로 선형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도로 선형의 종류를 이용하여, 상기 도로 선형에 대한 스테이션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스테이션 정보가 포함된 상기 도로 기초 도면을 도로 설계 도면으로 저장하는 단계; 및
    측량기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측점에 대한 측량정보를 상기 도로 설계 도면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점의 위치는,
    스타일러스펜이나 마우스를 통해 상기 도로 선형 상에서 선택된 지점의 좌표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선형의 종류는,
    상기 도로 선형의 분석에 의해 선택되거나, 또는,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선형의 종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도로 선형의 종류는 상기 도로 선형의 특정 구간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구간 별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을 설정하고자 하는 도로 선형에 대한 정보는, 상기 도로 기초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는 도로 선형의 선택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량기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측량정보를 상기 도로 설계 도면 상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측점이 상기 스테이션들 중, 몇 번째 스테이션에 해당되는 점인지를 상기 도로 설계 도면 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량기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측량정보를 상기 도로 설계 도면 상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측점이 상기 스테이션의 센터 점으로부터의 좌우이격 거리(옵셋)는 얼마이며, 지반고는 얼마인지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
KR1020110010351A 2011-02-01 2011-02-01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 KR101205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351A KR101205856B1 (ko) 2011-02-01 2011-02-01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351A KR101205856B1 (ko) 2011-02-01 2011-02-01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9153A true KR20120089153A (ko) 2012-08-09
KR101205856B1 KR101205856B1 (ko) 2012-11-28

Family

ID=4687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351A KR101205856B1 (ko) 2011-02-01 2011-02-01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8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0269A (ko) * 2019-02-18 2020-08-26 조창희 도로 설계 도면 관리서버 및 관리방법
KR102236119B1 (ko) * 2020-08-05 2021-04-02 조창희 도로 설계 도면의 관리서버
KR102236153B1 (ko) 2020-08-05 2021-04-06 주식회사 하나엔지니어링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도로 설계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0269A (ko) * 2019-02-18 2020-08-26 조창희 도로 설계 도면 관리서버 및 관리방법
KR102236119B1 (ko) * 2020-08-05 2021-04-02 조창희 도로 설계 도면의 관리서버
KR102236153B1 (ko) 2020-08-05 2021-04-06 주식회사 하나엔지니어링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도로 설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5856B1 (ko)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08508B (zh) 一种露天矿山治理勘查设计方法
CN106779417A (zh) 工程勘察信息数字化采集、管理及综合应用方法
CN103699634A (zh) 一种一站式管线探测的数据建库方法及系统
US20110043517A1 (en) Adaptive snapping
CN105631935A (zh) 基于bim的三维地质自动化建模方法
CN104679822A (zh) 一种地理国情外业调绘方法
KR101450133B1 (ko) 증강현실기반 지하매설물의 단면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701862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composite indexable linear data structure to permit selection of map elements based on linear elements
CN104833347A (zh) 基于gps定位的灌区渠系勘测方法及勘测系统
CN102495879A (zh) 基于地面lidar的工业架空管线量测方法
KR101205856B1 (ko)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
KR101254317B1 (ko) 컴퓨터 지원 설계방식 기반의 좌표변환 방법
CN108121853B (zh) 一种基于AutoCAD计算挖填方工程量的系统与方法
KR100599530B1 (ko)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측량 방법
KR101591285B1 (ko)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지질조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질조사방법
KR101248414B1 (ko) 측량정보를 이용한 구조물 표시 방법
KR101274575B1 (ko) 컴퓨터 지원 설계방식 기반의 측설점 도출방법
CN108509720B (zh) 一种电力管线用附带地质状况切换的坐标系转换方法
KR101321109B1 (ko) 멀티 히든 포인트 측량 방법
CN104931015A (zh) 基于dtm数据模型的横断面自动成图系统与方法
KR20200065352A (ko) 드론을 활용한 선제적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및 방법
Azaronak Building 3D models from geotechnical data
KR100581380B1 (ko) 다수의 측량 장치로부터 전송된 측량값을 이용한 작도 방법
CN105279305A (zh) 一种地面三维激光扫描技术测站选取方法
KR100550267B1 (ko)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