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0267B1 -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 - Google Patents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0267B1
KR100550267B1 KR1020040001485A KR20040001485A KR100550267B1 KR 100550267 B1 KR100550267 B1 KR 100550267B1 KR 1020040001485 A KR1020040001485 A KR 1020040001485A KR 20040001485 A KR20040001485 A KR 20040001485A KR 100550267 B1 KR100550267 B1 KR 100550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information
personal computer
fil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3648A (ko
Inventor
이승주
Original Assignee
(주)코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세코 filed Critical (주)코세코
Priority to KR1020040001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0267B1/ko
Publication of KR20050073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6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distance between parent and child or surveyor and i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현장에서 측량된 측점 값에 사용자 정의 목록에 입각하여 현황도 및 등고선 작성에 필요한 코드를 부여하여 측점 정보로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내업 시 상기 측점 정보 및 사용자 정의 목록에 입각하여 현황도 및 등고선을 자동적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측량 시스템에 적용되는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에 있어서, 측량기로부터 측량된 측점값 및 현황도 작성을 위한 사용자 정의 목록에 따라 상기 측점값에 부여된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측점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입력된 다수의 측점 정보에 대한 현황도 작성 요청을 수신하는 제2단계; 상기 현황도 작성 요청에 따라 상기 측점 정보의 측점값을 추출하는 한편, 상기 측점값에 부여된 코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의 목록과 비교하므로써 상기 코드가 의미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제3단계; 상기 측점값을 도면상에 출력하는 한편, 추출된 상기 코드의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을 상기 도면상에 출력하는 제4단계; 및 저장되어 있는 모든 측점 정보에 대하여 상기 제3단계 및 제4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 하므로써 현황도를 작성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현황도, 등고선, 프로젝트 파일

Description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Method For Auto-Making A Topography}
도 1a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측량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1b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개인용 컴퓨터의 일실시예 내부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 중 측점 정보 입력 과정에 이용되는 사용자 정의 목록의 일예시도.
도 4a 내지 도 4d 는 본 발명에 따른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 중 현황도 작성 과정에 이용되는 다양한 화면 구성도.
도 5a 내지 도 5f 는 본 발명에 따른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 중 등고선 작성 과정에 이용되는 다양한 화면 구성도.
본 발명은 토목 시공 현장에서 측량된 측점 정보들을 이용하여 현황도 및 등고선 등을 자동으로 작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용되고 있는 측량 방법은, 측량기사가 현장에 나가 레벨과 표척(프리즘)을 사용하여 토지를 측량한 후, 그 측점 값을 저장한 측점 정보를 야장에 적 어 오거나, 측량기의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여 설계실로 가지고 와서, 상기 측점 정보를 기초로 하여 컴퓨터 지원 설계(CAD : Computer Aided Design)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도로 설계 등의 작도를 행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측점 정보는 단순히 측량 지역의 좌표 및 지반고 등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만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측점 정보를 이용하여 현황도 및 등고선과 같은 복잡한 도면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야장에 측번 별로 메모를 하여 일일이 캐드 도면에 수작업으로 입력하여, 입력된 측점의 코드를 캐드상에서 조회하여 현황도를 작성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측량 방법에 있어서는, 측점 정보를 이용하여 작성한 다양한 형태의 도면들을 개별적으로 밖에 관리할 수 없으므로, 하나의 측점 정보를 이용하여 작성된 다수의 도면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측점 정보 파일을 이용하여 현황도, 등고선, 단지 및 도로의 종횡단 도면 등 여러 개의 도면을 생성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도면들을 개별관리하게 되면 수정 및 편집 작업을 해야 할 경우에 번거로운 과정들을 수행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측점 정보 파일을 수정한 경우라면, 상기 측점 정보 파일을 이용하여 작성된 현황도를 불러 다시 수정을 해야 하며, 마찬가지로 상기 측점 정보 파일을 이용하여 작성된 등고선 도면도 다시 불러 수정을 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현장에서 측량된 측점 값에 사용자 정의 목록에 입각하여 현황도 및 등고선 작성에 필요한 코드를 부여하여 측점 정보로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내업 시 상기 측점 정보 및 사용자 정의 목록에 입각하여 현황도 및 등고선을 자동적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측점 정보를 이용하여 작성된 다수의 도면들을 하나의 프로젝트 파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측량 시스템에 적용되는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에 있어서, 측량기(20)로부터 측량된 측점값(N,E,Z 값) 및 현황도 작성을 위한 사용자 정의 목록에 따라 상기 측점값에 부여된 코드(P code) 정보를 포함하는 측점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를 통해 입력된 다수의 측점 정보에 대한 현황도 작성 요청을 수신하는 제 2 단계; 상기 현황도 작성 요청에 따라 상기 측점 정보의 측점값(N,E,Z 값)을 추출하는 한편, 상기 측점값에 부여된 코드(P code)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의 목록과 비교하므로써 상기 코드(P code)가 의미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제 3 단계; 상기 측점값을 도면상에 출력하는 한편, 추출된 상기 코드(P code)의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을 상기 도면상에 출력하는 제 4 단계; 및 저장되어 있는 모든 측점 정보에 대하여 상기 제 3 단계 및 제 4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므로써 현황도를 작성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3 단계의 상기 코드(P code)가 의미하는 정보는, 코드, 심벌이름, 심벌표시, 지반고, 현황선 연결, 심벌연속, 스케일, 회전, 폐합 여부에 대한 항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항목 중 표시된 정보를 제 5 단계를 통해 상기 도면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측량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며, 도 1b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개인용 컴퓨터의 일실시예 내부 구성도이다.
먼저,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측량 시스템은, 각종 토목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측량을 수행하기 위한 측량기(20) 및 본 발명에 따른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개인용 컴퓨터(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개인용 컴퓨터(10)는 데스크탑 컴퓨터 및 노트북 컴퓨터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측량 현장에서의 활용을 감안할 때 노트북 컴퓨터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측량 현장에서 측량을 수행하는 경우(이 경우 상기 개인용 컴퓨터(10)로는 노트북 컴퓨터가 이용됨)를 제외하고는 데스크탑 컴퓨터 및 노트북 컴퓨터를 통칭하여 개인용 컴퓨터(10)라 하겠다.
또한, 상기 개인용 컴퓨터(10)는 측량기(20)로부터 측량된 측점에 대한 정보를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량기(20)로부터 직접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량 현장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개인용 컴퓨터(10)는 측량 현장에서 측량된 측점 정보가 플로피 디스켓, 컴팩트 디스크(CD)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휴대용 저장매체(3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저장매체의 리더기를 통 해 상기 측점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b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개인용 컴퓨터의 일실시예 내부 구성도로써,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기 개인용 컴퓨터(10)는 일반적인 개인용 컴퓨터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개인용 컴퓨터(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3),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측량 프로그램 및 측량된 측점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5), 상기 측량기(또는 네트워크)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11), 상기 인터페이스, 입력부, 저장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이용되는 상기 측량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부(12)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실행된 각종 결과물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은 상기 저장부(15)에 저장되어 있는 측량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써, 상기 측량 프로그램은 상기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실행된다.
이때, 상기 측량 프로그램은 컴퓨터 지원 설계(CAD) 방식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구현되어 있어, 상기 측점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하여 필요한 여러 가지 현황 데이터를 다양한 형태로 입력, 수정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측량 프로그램은 직접 측량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이용될 수 있으나, 측량된 측점 정보를 이용하여 현황도, 등고선, 단지 및 도로 설계 등을 자동적으로 작성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는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은 현장에 있는 측량기(20)를 통해 직접 측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현황도 등을 자동으로 작성할 수도 있으나, 개인용 컴퓨터에서 구현되는 특성 상(이동의 불편) 현장에서의 측량 보다는 측량된 측점 정보(N, E, Z, P Code)를 입력받아 상기 현황도 등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방법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10)는 현장에서 측량된 측점 정보를 개인 휴대 단말기(PDA) 또는 기타 통신용 단말기를 통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받거나, 상기한 바와 같은 휴대용 저장매체(30) 또는 측점 데이터가 저장된 측량기를 통해 입력받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측량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을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즉, 첫번째 과정은, 측량기로부터 측량된 측점 정보를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입력받는 과정이다(100).
두번째 과정은, 상호 관련된 측점들이 현황선으로 연결되고, 각종 심벌, 문자 등이 표시되는 현황도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과정이다(200).
세번째 과정은, 상기 측점 정보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라인을 적용하여 삼각망을 구성하므로써 도면상에 등고선을 표시하는 과정이다(300).
마지막으로 네번째 과정은, 동일한 측점 정보를 이용하여 작성된 상기 현황도 정보, 등고선 정보 및 기타 상기 측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측량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정보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프로젝트 파일을 작성하는 과정이다(400).
즉, 본 발명은 현황도의 자동 작성 방법을 기본으로 하되, 등고선 작성 방법 및 프로젝트 파일 작성 방법을 포함하고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 중 측점 정보 입력 과정에 이용되는 사용자 정의 목록의 일예시도로써, 상기 도 2 에 도시된 측점 정보 입력 과정(100)에 이용되는 사용자 정의 목록 파일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측량 프로그램은 상기 개인용 컴퓨터(10)의 저장부(15)에 탑재되어 실행되며, 현황도 작성에 필요한 측점 정보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입력받게 된다.
상기 개인용 컴퓨터(10)에서 측점 정보를 입력받는 다양한 경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상기 측점 정보란, 측점의 좌표, 지반고 및 측점 코드로 구성된 정보를 말하는 것으로써, 다수의 측점들에 대한 측점 정보들은 하나의 측점 정보 파일[*.NEZ, *.ELT, *.ENZ 등]로 관리될 수 있다.
첫째, 직접 측량에 의한 측점 정보 입력 방법이 있다. 즉, 상기 도 1a 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측량 현장에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10)를 측량기(20)와 연결시킨 후 상기 측량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 정보를 전송받는 방법이다.
이때, 상기 측량에 의해 측점 정보를 입력 받은 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측량하고자 하는 위치에 상기 측량기(20)를 세우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10)를 상기 측량기(20)와 연결시킨 후 상기 개인용 컴퓨터(10)에서 구동되는 측량 프로그램을 실행 시켜 상기 측량기(20)의 기계점 좌표, 방위각, 프리즘고, 기계고를 입력한다.
다음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폴맨을 이동시키고 상기 측량기(20)로 측정을 수행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측량기(20)에서 측정을 하면 기계점과 폴맨 사이의 거리와 방위각을 구할 수 있으며, 상기 측량기(20)에서는 이 두 값과 기계점 좌표를 이용하여 폴맨 위치의 측점 값(N, E, Z 값)을 구한 후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상기 개인용 컴퓨터(1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개인용 컴퓨터(10)에서 상기 측량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상기 측점 정보를 전송 받아 저장하기 전에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정의목록'에 입각하여 원하는 현황도가 그려질 수 있도록 코드를 입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 정의 목록'은 국가지리정보원(NGIS)에서 제공하는 모든 심볼을 포함하고 있으며 현황선 연결에 대한 여러 가지 양식을 갖추고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측량기(20)로부터 전송된 측점 값(N,E,Z 값)을 저장할 때, 도 3 을 참조하여 상기 측점 값에 부여될 코드(예를 들어, 'AAB001' 또는 'R' 등)(이하, 간단히 "P code"라 함)를 선택하여 함께 저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측점값 및 P code는 상기한 바와 같은 파일(*.NEZ 파일 등)에 저장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측점 값(N,E,Z 값) 및 P code 를 포함한 정보를 측점 정보라 하겠다.
한편, 도 3 에 도시된 '사용자 정의 목록'은 별도의 파일(이하, 간단히 "사용자 정의목록 파일"이라 함)로 관리되며, 해당 항목들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코드(즉, P code)는 국가지리정보원(NGIS)의 표준 도식 코드로써, 상기 코드에 대하여 현황도에 표시하는 원리는 1과0으로 나타난 항목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즉, “1”인 경우 활성 되고 “0”인 경우 비활성 되어진다.
또한, 상기 사용자 코드 시작이라는 항목은 현장, 회사마다 P Code를 부여하는 이름이 다르기 때문에, 각 현장, 회사에서 사용되어지는 P Code를 상기 표준 도식 코드로 대체 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항목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심벌이름”은 그 코드에 대한 심벌이름을 말하는데 “사용자 코드 시작” 이외에는 코드와 같은 이름을 부여하고, 그 외(사용자 코드 시작 해당란)에는 사용자가 정한 코드는 “코드”란에 사용자가 정한 코드이름을, “심벌이름”에는 국가지리정보(NGIS)의 표준 도식 코드를 기재하면 된다.
또한, “설명”에는 심벌에 대한 이름이나 설명할 말을 기재하면 된다. “심벌”은 코드에 대하여 심벌을 표기 할 경우“1”로 기재하고 표기하지 않을 경우는 “0”로 기재하면 된다. “지반고”도 앞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지반고를 표기 할 경우 “1”로 기재하고 표기하지 않을 경우는 “0”로 기재하면 된다. “현황선”은 같은 코드를 가진 전점과 현황선으로 연결할 경우에는 “1”로, 그러하지 않을 경우는“0” 표기하면 된다. “심벌연속” 은 철조망이나 담, 석축 등의 연속되게 일정한 간격으로 심벌을 나타내어 주는 경우 사용하면 된다. “스케일”은 심벌의 크기를 정하여 주는 부분이므로 사용자가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CivilPro의 심벌은 1/1000 도면에 맞는 크기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명심하고 다른 축척으로 사용할 경우는 스케일을 조정하여야 한다. “회전”은 심벌을 회전할 경우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폐합”항목은 집이나 블록, 담 등의 라인이 폐합을 원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측점 값에 P code를 입력한 측점 정보는 상기 개인용 컴퓨터(10)에 저장되며, 측정한 각 측점 값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둘째,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입력 방법이 있다. 즉, 상기 개인용 컴퓨터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라면, 우선 측량현장의 측량기에서 상기 방법에 의해 측량된 측점 정보를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 후 상기 개인용 컴퓨터(10)를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측점 정보를 전송받는 방법이다.
셋째, 휴대용 저장매체를 통한 입력 방법이 있다. 즉, 우선 측량현장의 측량기에서 상기 방법에 의해 측량된 측점 정보를 플로피 디스켓, 컴팩트 디스크(CD)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휴대용 저장매체(30)에 저장한 후 상기 휴대용 저장매체(30)에 대한 리더기를 상기 개인용 컴퓨터(10)에 접속하여 상기 측점 정보를 전송받는 방법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은, 상기 측량 프로그램을 구비한 상기 개인용 컴퓨터(10)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입력받은 측점 정보를 이용하여 현황도, 등고선, 단지 및 도로설계, 프로젝트 파일 생성 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d 는 본 발명에 따른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 중 현황도 작성 과정에 이용되는 다양한 화면 구성도로써, 상기 도 2 에 도시된 현황도 작성 과정(200)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화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4a 는 상기 도 3 에서 설명한 과정을 통해 저장된 측점 정보 파일(예를 들어, *.NEZ 파일)을 상기 측량 프로그램 상에서 '열기' 메뉴를 통해 오픈(Open)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점의 기본적인 정보(N,E,Z 값)만이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각 측점을 마우스로 클릭(또는 마우스를 상기 측점위에 위치하거나, 상기 측점위에서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클릭 후 나타나는 메뉴에서 정보 보기를 선택)하거나 '측점정보조회'메뉴를 이용하여 상기 측점에 대한 각종 정보, 예를 들어, 상기 N,E,Z 값, P code 정보 및 측번 등에 대한 정보가 활성화 되어 나타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측점 정보 파일을 오픈한 상태에서 상기 측량 프로그램의 현황도 자동 작성 메뉴를 선택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어부(12)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정의목록 파일에서 상기 측점 정보의 P code에 해당하는 항목을 추출한 후 상기 항목에서 정의된 내용에 따라 현황도를 자동으로 작성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사용자 정의목록 파일에서 상기 측점 정보의 P code 에 해당하는 항목들 중, 심벌(심벌이름)을 취득한 후, 심벌 표기 여부(0-표기 안함, 1-심벌 표기) 및 지반고[Z] 표기 여부를 결정(0-표기 안함, 1-지반고[Z] 표기)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항목들을 통해 현황선 표기 여부(연속으로 같은 코드의 측점이 존재하는 경우 전점과 현황선을 연결함, 0-연결 안함, 1-현황선 연결) 및 심벌 연속 표기 여부(일정한 간격으로 취득한 심벌을 표기함, 0-표기 안함, 기타 정수-정수 간격으로 심벌 표기)를 결정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외에도,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항목들을 통해 스케일(표기된 심벌의 크기 조정), 회전(표기된 심벌의 회전), 폐합 여부(0-폐합 안함, 1-현황선 폐합) 등의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항목에 맞게 도면상에 출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2)는 하나의 측점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항목 내용에 따라 해당 내용을 출력하는 한편, 또 다른 측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되며, 모든 측점 정보에 대해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한 후 종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작성된 현황도의 일예를 도 4b 에 도시하였다.
한편, 도 4c 는 도 4b 에 도시된 현황도의 일부분을 확대한 것으로써, 도 4c 를 참고하여 상기 현황도로부터 알 수 있는 정보들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4c 에 도시된 다수의 측점들 중 하나의 측점(A) 정보를 조회해 보면, 상기 측점(A)의 측번(PNo)은 87번이며, P Code가 L 임을 알 수 있다.
이때, 도 3 에 도시된 사용자 정의 목록 파일(Codetemp.txt)에서 P code L을 확인해보면 아래의 [표 1] 에 도시된 내용과 같은 데이터임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04000878865-pat00001
즉, 상기 측점(A)의 경우 가로등(AE141) 심벌을 스케일 1로 입력하고, 지반고도 표기하게 되어져 있어, 상기 도 3 에 도시된 사용자 정의 목록(Codetemp.txt)에서 정의 된 내용이 현황도 자동 작성 후 그대로 도면에 표기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현황도 자동 작성에 있어서, 현황선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4d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측점정보에는 P code가 부여되어 있으며, 동일한 P code를 갖는 측점들에 대하여 상기 폐합여부 정보를 바탕으로 현황선을 연결하게 된다.
이때, 종래에는 도 4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합을 이루는 점들에 P code를 부여함에 있어, 한 측점에 대하여 하나의 P code만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중복되는 점의 경우 두 번 측정하여 각각의 측점에 따른 코드를 부여하여 현황선 자동 연결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예를 들어, 폐합을 이루는 그룹(A그룹, B그룹)별로 각각의 P code를 부여함에 따라, 중복되는 점들(측점3 및 측점4)의 경우에는 두 번의 측량을 통해 각각의 그룹에서 지정한 P code(A, B)를 부여받게 된다. 즉, 중복되는 점에 대하여는 현황선 연결을 위해 각각의 그룹에서 지정한 코드를 부여하기 위하여 두 번의 측량을 수행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도 4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측점3 및 측점4 에 대하여 A코드 및 B코드를 합친(A+B) 형태로 P code를 부여함으로써, 현황선 연결을 위해 중복되는 점을 두 번 측정할 필요 없이 단 한번의 측정으로 필요한 현황선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측점3 및 측점4를 측정하는 경우 상기 측점들에 대한 P code를 (A+B)형태로 입력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측점들이 A코드를 갖는 측점들과 B코드를 갖는 측점들에 공통인 점으로 파악하여 현황선 작성 시 각각의 코드에 따라 각각의 현황선을 자동으로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은, 상기 측량기(20)에서 측정된 측점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현황도를 작성하는 한편, 현황도의 현황선을 연결함에 있어서도 중복된 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한다는 특징이 있다.
도 5a 내지 도 5f 는 본 발명에 따른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 중 등고선 작성 과정에 이용되는 다양한 화면 구성도로써, 상기 도 2 에 도시된 등고선 작성 과정(300)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화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은 상기 측량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되는 것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현황도 작성뿐만 아니라 등고선을 작성하는 방 법도 포함하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f 를 참조하여 등고선 작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때, 등고선이란, 측점 정보를 기반으로하여 구성된 삼각망을 이용하여 같은 높이의 지점을 선으로 연결한 것을 말한다.
한편, 일반적으로는 측점 정보를 이용해 삼각망을 구성한 후 상기 삼각망을 이용하여 등고선을 작성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측점 정보를 이용하여 삼각망을 구성한 후 상기 도 4a 내지 도 4d 를 통해 작성된 현황도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라인 작성을 거쳐 등고선을 작성하므로써 보다 실지형과 유사한 등고선을 작성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등고선을 작성하기 위하여 우선,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측점 정보 파일의 측점 정보들을 이용하여 삼각망을 구성하게 된다.
즉, 삼각망 구성(Triangulate)은 등고선 작성의 초기 단계 작업으로써, 하나의 측점과 주변의 근접 점을 기준으로 하여 삼각망을 구성한다. 이때, 삼각망을 구성하는 이유는 측점과 측점 사이에 지반고 차이를 등배분하여 각 지역의 지반고를 자동으로 계산 해주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5a 는 상기 측량 프로그램 상에서 [등고선 작성] 메뉴의 중메뉴 중 [삼각망 구성] 메뉴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부(12)에 의해 삼각망이 구성되어 상기 출력부(14)를 통해 출력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과정을 통해 삼각망이 구성되면, 다음으로 브레이크 라인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브레이크 라인 작성 과정은 실제 지형과 가장 유사하게 등고선을 그려주기 위한 것이다.
즉, 브레이크 라인 작성은 삼각망의 삼각형의 한 변이 지정된 선상에 있게 하여 삼각망이 지나가지 않게 하기 위한 것으로써, 주로 고도(Elevation)가 일정하게 변화하는 곳에 적용된다. 이때, 도 5a 는 상기와 같은 브레이크 라인 작성 과정을 거치지 않은 삼각망을 나타낸 것이며, 도 5b 는 상기와 같은 브레이크 라인의 적용에 의해 변화된 삼각망을 도시한 것으로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망의 각 변과 브레이크 라인이 겹쳐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c 는 상기와 같은 브레이크 라인 과정을 거치지 않고 등고선을 작성한 경우와 거친 경우의 등고선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브레이크 라인 적용 과정을 도 5d 내지 도 5f 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옹벽이 있는 지역에 대해 현황 작업을 한 데이터를 예로 하여 설명하면, 현황도는 도 5d 와 같다. 즉, 도 5d 에 도시된 현황선은 옹벽을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옹벽의 좌측은 지반고가 5인 고지대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옹벽의 우측은 지반고가 1인 저지대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도 5d 에 도시된 네 개의 측점을 이용하여 삼각망을 구성하면 도 5e 와 같이 삼각망이 구성된다. 그러나, 도 5e 에 도시된 삼각망을 보면 옹벽 A 지점의 지반고가 3으로 계산된다. 왜냐하면 지반고가 5인 측점과 1인 측점 사이에 놓여진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 5d 의 현황도를 확인하면 A지점은 옹벽의 중간지점으로써 지반고가 5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e 를 통헤 구해진 삼각망만을 가지고 등고선을 그릴 경우에는 실지형과 다른 데이터를 취득할 수 밖에 없다.
한편,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도 5d 에 도시된 현황선(옹벽)을 브레이크 라인으로 적용하여 삼각망을 구성하면 도 5f 와 같이 삼각망이 구성되고 현황도에서와 같이 A지점의 높이가 5로 구해짐을 알 수 있다.
즉, 브레이크 라인 적용 과정은 현황도의 현황선을 삼각망의 한변으로 흡수하므로써, 실지형에 가까운 등고선을 그리기 위한 과정이다.
한편, 사용자는 등고선을 상기 출력부(14)에 출력할 때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표시할지의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기본값을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미리 설정해두면, 상기와 같은 설정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등고선의 곡선도를 선택할 수도 있다. 즉, 등고선 곡선도는 0~10까지 정의할 수 있는데, 0일 경우에는 곡선도가 없이 폴리선이 딱딱한 느낌으로 그려지며, 10으로 갈수록 곡선도의 적용이 많아진다. 이때, 보통의 경우 상기 등고선의 곡선도를 2~4정도로 선택하면 꼬임이 없는 상태로 등고선이 보기좋게 작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측점 정보 파일을 통해 삼각망을 구성하고 브레이크라인 작성 과정을 수행한 후 사용자가 상기 중메뉴 중[등고선 그리기]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삼각망 구성 정보 및 브레이크 라인 정보를 이용하여 등고선을 작성하게 되며, 작성된 등고선을 상기 출력부(14)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 도 2 에 도시된 프로젝트 파일 작성 과정(4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을 이용하여 현황도 및 등고선 작성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지 및 도로의 종횡단 도면 (이하, 간단히 "종횡단 도면"이라 함) 등도 작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하나의 측점 정보 파일을 열어, 현황도, 등고선 및 종횡단 도면 등 여러 개의 도면을 생성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현황도, 등고선 및 종횡단 도면 등은 각각 별도의 도면 파일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각의 도면 파일들을 개별관리하게 되면 수정 및 편집 작업을 해야 할 경우에 상기 종래 기술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생기게 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 도면 파일들을 하나의 프로젝트 파일로 만들어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프로젝트 파일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측량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된 현황도 파일, 등고선 파일, 종단 도면 파일 및 횡단 도면 파일 등을 프로젝트 파일을 생성할 폴더에 저장한다. 이때, 저장할 도면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나 상기 출력부(14)의 화면 크기의 제한 상 4개 정도의 도면파일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정을 통해 도면파일이 저장되면, 사용자는 상기 측량 프로그램의 [측점 파일 저장하기]메뉴를 선택하여(프로젝트 파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측점 정보 파일(*.NEZ 파일 등)이 필요하기 때문임) 상기 도면 파일들이 이용한 측점 정보 파일을 상기 폴더에 저장한다.
한편, 상기 측점 정보 파일을 저장할 때, 상기 출력부(14)의 화면으로 [프로 젝트 파일을 생성할 것인지를 질의하는 메시지창]이 활성화되며, [예]를 누르게 도면 상기 각 도면 파일들(현황도 파일, 등고선 파일, 종단 도면 파일 및 횡단 도면 파일 등)에 대한 파일 경로가 적힌 프로젝트 파일(*.CPJ)이 상기 폴더에 저장된다.
즉, 상기 폴더에는 상기 측점 정보 파일(*.NEZ)과 동일한 이름으로 하여 [*.CPJ]라는 프로젝트 파일이 생성되어 저장되며, 상기 프로젝트 파일(*.CPJ)을 메모장에서 열어보면, 프로젝트로 조합된 각 도면 파일들의 경로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폴더에는 상기 각 도면 파일들(현황도 파일, 등고선 파일, 종단 도면 파일 및 횡단 도면 파일 등) 및 상기 도면 파일들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젝트 파일(*.CPJ)과 상기 각 도면 파일들이 이용하고 있는 측점 정보 파일(*.NEZ)이 저장되는 것으로써, 상기와 같은 프로젝트 파일(*.CPJ)에 의한 각 도면 파일들이 통합적으로 관리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폴더에 상기 프로젝트 파일(*.CPJ)과 함께 저장된 상기 측점 정보 파일(*.NEZ)을 열 때, 상기 출력부(14)의 화면에는 상기 프로젝트 파일을 열 것인지를 물어보는 메시지가 출력된다.
이때, "예"라는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프로젝트 파일(*.CPJ)을 참고로 하여 상기 프로젝트 파일에 의해 저장된 각 도면들(현황도 파일, 등고선 파일, 종단 도면 파일 및 횡단 도면 파일 등)을 출력부(14)의 화면을 통해 출력하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프로젝트 파일로 저장된 다수의 도면 파일들을 하나의 화면을 통해 관리할 수 있으므로, 도면간의 수정, 수정에 따른 도면의 재생성, 데이터 수정 및 계획 수정에 따른 도면 간 연동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아니오"라는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측점 정보 파일(*.NEZ)만을 상기 출력부(14)의 화면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측량기를 통해 측량된 측점 정보에 P code를 부여함으로써, 현황도 및 등고선 등을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성된 현황도 파일, 등고선 파일, 종단 도면 파일 및 횡단 도면 파일 등을 하나의 프로젝트 파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측량기를 통해 측량된 측점 정보를 이용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현황도 및 등고선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점 정보를 이용하여 작성된 현황도 파일, 등고선 파일, 종단 도면 파일 및 횡단 도면 파일 등을 하나의 프로젝트 파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도면 파일들을 수정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측량 시스템에 적용되는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에 있어서,
    측량기(20)로부터 측량된 측점값(N,E,Z 값) 및 현황도 작성을 위한 사용자 정의 목록에 따라 상기 측점값에 부여된 코드(P code) 정보를 포함하는 측점 정보를 개인용 컴퓨터(10)가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개인용 컴퓨터가, 상기 제 1 단계를 통해 입력된 다수의 측점 정보에 대한 현황도 작성 요청을 수신하는 제 2 단계;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제어부가, 상기 현황도 작성 요청에 따라 상기 측점 정보의 측점값(N,E,Z 값)을 추출하는 한편, 상기 측점값에 부여된 코드(P code)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의 목록과 비교하므로써 상기 코드(P code)가 의미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제 3 단계;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제어부가, 상기 측점값을 도면상에 출력하는 한편, 추출된 상기 코드(P code)의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을 상기 도면상에 출력하는 제 4 단계;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제어부가, 저장되어 있는 모든 측점 정보에 대하여 상기 제 3 단계 및 제 4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므로써 현황도를 작성하는 제 5 단계;
    상기 개인용 컴퓨터가, 상기 제 1 단계를 통해 입력된 다수의 측점 정보에 대한 등고선 작성을 위하여 삼각망 구성 요청을 수신하는 제 6-1 단계;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제어부가, 상기 측점 정보를 이용하여 삼각망을 구성하는 제 6-2 단계;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제어부가, 상기 삼각망의 삼각형의 한변이 지정된 선상에 있게 하여 삼각망이 지나가지 않게 하므로써, 실지형에 가까운 등고선을 구하기 위한 브레이크 라인 적용 작업을 수행하는 제 6-3 단계; 및
    등고선 작성 요청이 수시된 경우,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제어부가, 상기 제 6-2 단계를 통해 획득한 삼각망 구성 정보 및 상기 제 6-3 단계를 통해 획득한 브레이크 라인 정보를 이용하여 등고선을 도면상에 출력하는 제 6-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3 단계의 상기 코드(P code)가 의미하는 정보는, 코드, 심벌이름, 심벌표시, 지반고, 현황선 연결, 심벌연속, 스케일, 회전, 폐합 여부에 대한 항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항목 중 상기 코드(P code)에 표시된 정보는 상기 제 4 단계를 통해 상기 도면상에 출력되고,
    상기 제 1 단계를 통해 저장된 측점값들에 있에서, 상기 코드(P code)의 폐합 항목에 따라 폐합되는 하나의 A그룹의 측점들 중 폐합되는 또 다른 B그룹의 측점들과 중복되는 측점A의 측점값A는, A그룹 또는 B그룹에 대한 측량과정 중 한 번만 측량되어 설정된 값으로서, 상기 측점값A에 부여된 코드(P code) 정보에는 상기 그룹들에 대한 폐합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를 통해 상기 측정값A를 포함하는 그룹들이 폐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를 통해 입력된 다수의 측점 정보는 하나의 측점 정보 파일로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제어부가 상기 제 5 단계에 의해 작성된 현황도 파일을 상기 측점 정보 파일과 매핑하여 하나의 프로젝트 파일로 저장하는 제 7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파일에는 상기 측점 정보 파일에 의해 작성된 등고선 파일, 종단 도면, 횡단 도면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제어부가, 상기 등고선을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때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표시할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한편, 설정된 값에 따라 상기 등고선을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표시하는 제 7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제어부가, 상기 등고선의 곡선도를 설정하는 한편, 설정된 값에 따라 상기 등고선의 곡선도를 조정하여 표시하는 제 7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
KR1020040001485A 2004-01-09 2004-01-09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 KR100550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485A KR100550267B1 (ko) 2004-01-09 2004-01-09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485A KR100550267B1 (ko) 2004-01-09 2004-01-09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648A KR20050073648A (ko) 2005-07-18
KR100550267B1 true KR100550267B1 (ko) 2006-02-07

Family

ID=37262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485A KR100550267B1 (ko) 2004-01-09 2004-01-09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02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691B1 (ko) 2006-07-28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동 소자를 구비한 반도체 패키지 및 이것으로 구성되는반도체 메모리 모듈
KR101236185B1 (ko) * 2010-12-17 2013-02-28 (주)코세코 터널형 구조물 시공에 따른 내공측량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648A (ko) 2005-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2278B2 (en) Providing graphical indication of label boundaries in digital maps
Keil et al. Creating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s based on open geospatial data and game engines
US20130057550A1 (en) Three-dimensional map drawing system
KR102120680B1 (ko) 3차원 bim 객체 모델링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bim 객체 모델링 시스템
KR101450133B1 (ko) 증강현실기반 지하매설물의 단면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6416315A (zh) 用于布建地理围栏的方法和设备
KR100550267B1 (ko) 현황도 자동 작성 방법
KR102149283B1 (ko) 분양 정보를 포함한 지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0599530B1 (ko)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측량 방법
CN106504024A (zh) 一种城市地理信息处理方法
KR101205856B1 (ko) 도로 설계 도면 생성 방법
Yang et al. A new GIScience application for visualized natural resources management and decision support
US201600487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e Request Entry Configured for Defining Multiple Excavation Sites as Part of a Single Locate Request
KR100581380B1 (ko) 다수의 측량 장치로부터 전송된 측량값을 이용한 작도 방법
CN103714494B (zh) 电力线路建立方法及装置
Kanapaka et al. A survey of tools for visualizing geo spatial data
JP3673504B2 (ja) 地理情報検索システムと地理情報検索プログラム
JP5220938B1 (ja) 地図表示装置、地図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651593B1 (ko) 단독건축물 자동건축설계 장치 및 방법
US11373256B2 (en) Editing and representing property values for a digital map
KR20120102218A (ko) 측량정보를 이용한 구조물 표시 방법
Baek et al. The design of an automatically generated system for cross sections of underground utilities using augmented reality
JP2007188027A (ja) Svgフォーマットを用いた地図データの更新システム
Schoenstein AutoCAD Land Development Desktop Release 2i
Defu et al. Building an interactive web-based GIS system for planning of geological survey 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