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8260A -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8260A
KR20120088260A KR1020110009499A KR20110009499A KR20120088260A KR 20120088260 A KR20120088260 A KR 20120088260A KR 1020110009499 A KR1020110009499 A KR 1020110009499A KR 20110009499 A KR20110009499 A KR 20110009499A KR 20120088260 A KR20120088260 A KR 20120088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maining
images
output
featur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8328B1 (ko
Inventor
이현규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9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328B1/ko
Publication of KR20120088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46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간의 순서에 따르는 n개(여기서 n은 자연수)의 제1출력영상들 각각에 대하여 특징점을 도출하는 특징점도출부; 상기 제1출력영상들 중 하나를 기준영상으로 설정하며, 상기 기준영상을 제외한 n-1개의 상기 제1출력영상들을 제1나머지영상으로 하는 기준영상설정부; 표시장치의 표시틀에 상기 기준영상을 맞게 대응시키고, 상기 표시틀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영상에 포함된 상기 특징점의 좌표를 기준좌표로써 도출하는 기준좌표도출부; 상기 제1나머지영상에 포함된 상기 특징점의 좌표가 상기 표시틀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좌표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제1나머지영상 각각의 위치를 변화시켜 n-1개의 제2나머지영상들을 생성하는 제2나머지영상생성부; 및 상기 기준영상 및 상기 제2나머지영상들을 시간의 순서에 따르는 n개의 제2출력영상으로 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니터 또는 CRT(Cathode Ray Tube) 모니터와 같은 표시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영상 촬영장치는 동영상 촬영중 사용자의 손떨림 또는 지지대의 흔들림 등에 의해 불안정하게 흔들리는 영상이 촬영되기 쉽다. 이렇게 불안정한 동영상의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 촬영장치의 이미지센서에 맺힌 원시영상들의 특징점을 기준으로 크롭(crop)을 수행하여 흔들림이 보정된 보정영상들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동영상 촬영장치에 이와 같은 보정모듈을 탑재하는 경우 동영상 촬영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의 로드가 급격히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크롭을 수행할 경우, 사용자는 일부 정보가 손실된 영상을 볼 수 밖에 없으며, 보정영상들의 보정 정도를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서 표시부에 출력되는 동영상의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는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시간의 순서에 따르는 n개(여기서 n은 자연수)의 제1출력영상들 각각에 대하여 특징점을 도출하는 특징점도출부; 상기 제1출력영상들 중 하나를 기준영상으로 설정하며, 상기 기준영상을 제외한 n-1개의 상기 제1출력영상들을 제1나머지영상으로 하는 기준영상설정부; 표시장치의 표시틀에 상기 기준영상을 맞게 대응시키고, 상기 표시틀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영상에 포함된 상기 특징점의 좌표를 기준좌표로써 도출하는 기준좌표도출부; 상기 제1나머지영상에 포함된 상기 특징점의 좌표가 상기 표시틀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좌표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제1나머지영상 각각의 위치를 변화시켜 n-1개의 제2나머지영상들을 생성하는 제2나머지영상생성부; 및 상기 기준영상 및 상기 제2나머지영상들을 시간의 순서에 따르는 n개의 제2출력영상으로 하여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기준영상설정부는 최초의 상기 제1출력영상을 상기 기준영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출력영상, 제2출력영상 및 이후에 언급되는 제3출력영상은 비디오 데이터이며, 상기 n개는 프레임 개수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기준영상에 포함된 상기 특징점의 위치와 상기 제1나머지영상 각각에 포함된 상기 특징점의 위치의 차이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차이값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기준좌표도출부 및 상기 제2나머지영상생성부를 활성화하는 판별부; 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나머지영상은 상기 표시틀을 기준으로 상기 제1나머지영상의 위치가 변화될 때 영상이 없는 부분으로 나타나는 여백부를 포함하며, k번째(여기서 k는 n-1보다 같거나 작은 자연수) 상기 제2나머지영상의 상기 여백부는 k-1번째까지의 상기 제2나머지영상이 누적되어 채워지도록 하여 n-1개의 제3나머지영상들을 생성하는 제3나머지영상생성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준영상 및 상기 제3나머지영상들을 시간의 순서에 따르는 n개의 제3출력영상으로 하여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3나머지영상생성부는 상기 제3나머지영상에서 상기 제2나머지영상의 상기 여백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나머지부분과 다르게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3나머지영상생성부는 상기 제3출력영상 중 상기 이전 프레임의 상기 제2출력영상으로 채워진 여백부는 나머지부분과 명도, 채도, 투명도 또는 해상도가 다르게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표시장치는 LCD모니터 또는 CRT모니터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시간의 순서에 따르는 n개(여기서 n은 자연수)의 제1출력영상들 각각에 대하여 특징점을 도출하는 단계; (b) 상기 제1출력영상들 중 하나를 기준영상으로 설정하며, 상기 기준영상을 제외한 n-1개의 상기 제1출력영상들을 제1나머지영상으로 하는 단계; (c) 표시장치의 표시틀에 상기 기준영상을 맞게 대응시키고, 상기 표시틀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영상에 포함된 상기 특징점의 좌표를 기준좌표로써 도출하는 단계; (d) 상기 제1나머지영상에 포함된 상기 특징점의 좌표가 상기 표시틀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좌표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제1나머지영상 각각의 위치를 변화시켜 n-1개의 제2나머지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기준영상 및 상기 제2나머지영상들을 시간의 순서에 따르는 n개의제2출력영상으로 하여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최초의 상기 제1출력영상을 상기 기준영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출력영상, 제2출력영상 및 이후에 언급되는 제3출력영상은 비디오 데이터이며, 상기 n개는 프레임 갯수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b) 단계 이후에, 상기 기준영상에 포함된 상기 특징점의 위치와 상기 제1나머지영상 각각에 포함된 상기 특징점의 위치의 차이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차이값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c) 단계를 진행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나머지영상은 상기 표시틀을 기준으로 상기 제1나머지영상의 위치가 변화될 때 영상이 없는 부분으로 나타나는 여백부를 포함하며, (d) 단계 이후에, k번째(여기서 k는 n-1보다 같거나 작은 자연수) 상기 제2나머지영상의 상기 여백부는 k-1번째까지의 상기 제2나머지영상이 누적되어 채워지도록 하여 n-1개의 제3나머지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상기 기준영상 및 상기 제3나머지영상들을 시간의 순서에 따르는 n개의 제3출력영상으로 하여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단계; 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3나머지영상에서 상기 제2나머지영상의 상기 여백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나머지부분과 다르게 나타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3출력영상 중 상기 이전 프레임의 상기 제2출력영상으로 채워진 여백부는 나머지부분과 명도, 채도, 투명도 또는 해상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표시장치에서 흔들림 보정을 수행하므로, 모니터를 포함하는 감시시스템에서 모니터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표시장치로 교체하여도 사용자는 흔들림이 보정된 동영상을 볼 수 있다.
또한, 표시부에 출력되는 영상의 어느부분이 보정되었으니 파악할 수 있으므로, 영상의 신뢰도를 사용자 스스로 평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보정부가 흔들림을 보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2의 보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보정부가 흔들림이 보정된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표시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는 영상소스를 입력받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거나 디코딩하여 디지털 비디오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소스입력부(100), 영상소스입력부(100)로부터 비디오데이터를 입력받아 흔들림을 보정하여 보정비디오데이터를 출력하는 보정부(200) 및 보정비디오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표시장치(1)란, LCD 모니터 또는 CRT 모니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시 시스템에 포함되는 모니터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장치(1)는 텔레비전 또는 컴퓨터에 연결된 모니터 등일 수 있으며, 표시장치(1)의 구현기술은 LCD,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uminescence emitting diode display), CRT 등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1)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보정부(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영상소스입력부(100)는 A/D컨버터(Analog digital converter)(110), 디코더(120) 및 비디오데이터공급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영상촬영장치, 또는 동영상재생장치로부터 영상소스입력부(100)로 RGB(Red, Green, Blue)아날로그소스가 입력되는 경우, RGB아날로그소스는 A/D컨버터(110)를 통해 디지털 비디오데이터로 변환된다. 한편, 동영상촬영장치, 또는 동영상재생장치로부터 영상소스입력부(100)로 디지털방식의 비디오압축소스가 입력되는 경우 디코더(120)를 통해 디코딩되어 비압축 비디오데이터로 변환된다. 즉, 도 1의 영상소스의 일 예는 도 2의 RGB아날로그소스 및 비디오압축소스 일 수 있다.
이렇게 변환된 비디오데이터는 비디오데이터공급부(130)를 통해 보정부(200)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보정부(200)로 공급되는 비디오데이터를 제1출력영상이라고 지칭한다. 제1출력영상에는 영상소스입력부(100)로 입력된 영상소스가 포함하는 흔들림이 그대로 포함되어 있다.
한편, 보정부(200)에서 흔들림이 보정된 보정비디오데이터는 표시부(300)로 입력된다. 여기서 표시부(300)로 공급되는 보정비디오데이터는 도 2의 보정부(200)의 경우 제2출력영상이라고 지칭하며, 뒤에 설명할 도 3의 보정부(201)의 경우 제3출력영상이라고 지칭한다.
도 2의 보정부(200)는 특징점도출부(210), 기준영상설정부(220), 기준좌표도출부(230) 및 제2나머지영상생성부(240)를 포함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6은 도 2의 보정부가 흔들림을 보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와 도 3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특징점도출부(210)는 시간의 순서를 따르는 n개의 제1출력영상들 각각에 대하여 특징점(Q)을 도출한다. 제1출력영상은 비디오데이터이므로, 여기서 n은 자연수이며, 프레임 개수 일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출력영상은 제1프레임출력영상(M1), 제2프레임출력영상(M2), 제3프레임출력영상(M3) 내지 제n프레임출력영상(Mn)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특징점(Q)이란, 영상에서 특징이 될만한 두드러지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특징점(Q)은 각 프레임출력영상의 일 지점의 휘도 또는 채도와 인접지점의 휘도 또는 채도를 비교하여, 휘도 또는 채도의 차이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경우 일 지점을 특징점(Q)으로 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예를 들어 각 프레임출력영상에서 에지를 분석하여 오브젝트(object)를 추출하고, 해당 오브젝트를 특징점(Q)으로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얼굴인식을 통해 얻은 얼굴을 특징점(Q)으로 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특징점(Q)을 설정하는 방법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촬영된 동영상에 흔들림이 있어, 각 프레임출력영상의 특징점(Q)는 서로 다른 위치에 나타나게 된다.
기준영상설정부(220)는 제1출력영상들 중 하나를 기준영상(R0)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기준영상(R0)을 제외한 n-1개의 제1출력영상들을 제1나머지영상(N1)으로 지칭한다. 기준영상(R0)은 흔들림 보정에 사용될 기준이 되는 영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제1출력영상들 중 시간적으로 최우선의 영상인 제1프레임출력영상(M1)을 기준영상(R0)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기준영상(R0)을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특징점(Q)이 소정의 위치에 존재하는 영상을 기준영상(R0)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기준좌표도출부(230)는 표시장치(1)의 표시틀(F)을 기준으로 기준영상 (R0)에 포함된 특징점 (Q)의 좌표를 기준좌표로써 도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준영상설정부(220)에서 설정된 기준영상 (R0)을 표시장치(1)의 표시틀(F)에 맞게 대응시키고, 표시틀(F)을 기준으로 기준영상 (R0)에 포함된 특징점 (Q)의 좌표를 기준좌표로써 도출한다. 여기서 표시틀(F)이란, 예를 들어 모니터의 표시부(300)의 가장자리에 해당할 수 있다.
기준좌표도출부(230)는 기준영상 (R0)이 표시장치(1)의 화면틀에 맞게 표시된다는 조건하여, 기준영상 (R0)에 포함된 특징점 (Q)의 좌표를 도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준영상 (R0)에 포함된 특징점 (Q)의 기준좌표는 (x1, y1) 일 수 있다. 이후에 표시틀(F)을 기준으로 도출된 기준좌표(x1, y1)는 제1나머지영상들(N1)의 특징점 (Q)을 재배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2나머지영상생성부(240)는 기준좌표도출부(230)에서 얻은 기준좌표를 통해 제1나머지영상에 포함된 특징점 (Q)의 위치를 변화시킨 제2나머지영상(N2)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2나머지영상생성부(240)는 제1나머지영상(N1)에 포함된 특징점 (Q)의 좌표가 표시틀(F)을 기준으로 기준좌표와 동일하게 되도록 제1나머지영상(N1) 각각의 위치를 변화시킨 제2나머지영상들(N2)을 생성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나머지영상들(N2)에 포함된 특징점 (Q)도 각각 표시틀(F)을 기준으로 기준좌표에 배치되기 때문에, 결국 기준영상(R0) 및 제2나머지영상들(N2)에 포함된 특징점(Q)은 모두 같은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여기서 제2나머지영상들(N2)은 n-1개로 제2`프레임영상(M2`), 제3`프레임영상(M3`) 내지 제n`프레임영상(Mn`)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5를 비교하여 영상의 이동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제2프레임영상(M2)은 특징점 (Q)이 기준좌표보다 +x방향 및 +y방향으로 더 올라가 있었다. 따라서, 제2`프레임영상(M2)은 표시틀(F)을 기준으로, 제2프레임영상(M2)이 -x방향 및 -y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이동해야 한다. 결국, 도 5를 참조하면, 제2`프레임영상(M2`)의 경우, 특징점(Q)이 기준좌표에 맞추도록 영상 전체가 이동하므로, 우측R 및 상측T에 여백부(20)가 발생한다. 도 6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표시틀(F)을 기준으로 제2나머지영상들(N2)의 좌측을 L, 우측을 R, 상측을 T, 하측을 B로 표시한다.
같은 방식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제3프레임영상(M3)은 특징점(Q)이 기준좌표보다 -x방향 및 -y방향으로 더 내려가 있었다. 따라서, 제3`프레임영상(M3`)은 표시틀(F)을 기준으로, 제3프레임영상(M3)이 +x방향 및 +y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이동해야 한다. 결국, 도 5를 참조하면, 제3`프레임영상(M3`)의 경우, 특징점(Q)이 기준좌표에 맞추도록 영상 전체가 이동하므로, 좌측L 및 하측B에 여백부(30)가 발생한다. 제n`프레임영상(Mn`)의 경우도 동일하게 여백부(40)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여백부(20,30,40)란, 제2나머지영상들(N2) 각각에 포함된 것으로, 표시틀(F)을 기준으로 제1나머지영상들(N1)의 위치가 전체적으로 이동됨으로써, 제2나머지영상들(N2) 각각에 나타나는 영상이 없는 부분을 지칭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기준영상(R0) 및 제2나머지영상들(N2)이 표시부(300)에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표시틀(F)에 맞게 영상은 편집되어 표시부(300)에 표시되게 된다. 도 6과 같이 기준영상(R0) 및 제2나머지영상들(N2)이 시간의 순서대로 표시부(300)에 표시되는 동영상의 경우, 특징점(Q)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사용자는 흔들림이 보정된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표시부(300)는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도 2의 표시장치(1)에 의하면, 표시부(300)는 기준영상(R0) 및 흔들림이 보정된 제2나머지영상(N2)을 시간의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2나머지영상들(N2)에 여백부(20,30,40)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 흔들림이 보정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흔들림의 보정된 영상의 이해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보정부(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보정부(201)는 도 2에 도시된 보정부(200)의 구성요소에 판별부(221) 및 제3나머지영상생성부(250)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중복된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판별부(221) 및 제3나머지영상생성부(250)의 기능에 초점을 맞춰 설명한다.
판별부(221)는 기준영상 (R0)과 제1나머지영상들(N1)을 비교하여 흔들림 보정을 수행할 것인지 판별한다. 구체적으로, 기준영상 (R0)에 포함된 상기 특징점 (Q)의 위치와 제1나머지영상 (N1) 각각에 포함된 특징점 (Q)의 위치의 차이값을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 결과 차이값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에는 기준좌표도출부(230), 제2나머지영상생성부(240) 및 제3나머지영상생성부(250) 등을 활성화한다. 반면, 비교 결과 차이값이 설정값 초과인 경우에는 기준좌표도출부(230), 제2나머지영상생성부(240) 및 제3나머지영상생성부(250) 등을 비활성화한다.
물론 판별부(221)는 도 2의 보정부(200)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판별부(221)는 비교결과에 따라 기준좌표도출부(230) 및 제2나머지영상생성부(240)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한다.
여기서 특징점 (Q)의 위치란, 각 영상을 기준으로, 각 영상에 포함된 특징점 (Q)의 좌표값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차이값이란, 특징점 (Q) 좌표 사이의 거리로 절대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설정값이란, 사용자가 지정하거나, 프로그램에 의해 설정된 값일 수 있다.
판별부(221)는 특징점 (Q)의 위치가 설정값 이하로 변화한 경우에는 비의도적인 흔들림이 발생하였다고 보고,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한 기능부들을 활성화한다. 그러나, 판별부(221)는 특징점 (Q)의 위치가 설정값을 초과하여 변화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화면을 전환한 것이라고 보고, 흔들림 보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판별부(221)가 존재함으로써, 흔들림 보정을 수행해야 할 영상들과 그렇지 않은 영상들을 구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흔들림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보정부(201)에 의하면, 제3나머지영상생성부(250)에서 제2나머지영상(N2)의 여백부(20,30,40)에 누적된 이전 프레임의 영상을 채운 제3나머지영상(N3)을 생성하여, 표시부(300)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8은 도 7의 보정부(201)가 수행하는 기능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3나머지영상생성부(250)는 k번째(여기서 k는 n-1보다 같거나 작은 자연수) 제2나머지영상(N2)의 여백부(20,30,40)를 k-1번째까지의 제2나머지영상(N2)이 누적되어 채워지도록 하여 제3나머지영상들(N3)을 생성한다. 여기서 제3나머지영상들(N3)은 n-1개로 제2``프레임영상(M2``), 제3``프레임영상(M3``) 내지 제n``프레임영상(Mn``)을 포함한다.
도 6 및 도 8을 통하여 제3나머지영상생성부(250)의 기능을 자세히 알아본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프레임영상(M2`)의 여백부(20)가 이전 프레임의 영상인 기준영상 (R0)으로 채워진 제2``프레임영상(M2``)이 생성된다. 또한, 제3`프레임영상(M3`)의 여백부(30)가 이전 프레임의 누적영상인 제2``프레임영상(M2``)으로 채워진 제3``프레임영상(M3``)이 생성된다. 다시 말하면, 제3`프레임영상(M3`)의 여백부(30)는 기준영상 (R0) 및 제2`프레임영상(M2`)으로 채워진다. 그리고, 제n`프레임영상(Mn`)의 여백부가 이전 프레임이 누적영상인 제n-1``프레임영상으로 채워진 제n``프레임영상(Mn``)이 생성된다. 즉, 제n`프레임영상(Mn`)의 여백부(40)는 기준영상 (R0)부터 제n-1`프레임영상까지 누적영상에 의해 채워진다.
제3나머지영상(N3)은 여백으로 남겨둘 수 있는 부분을 이전 프레임의 누적영상으로 채움으로써, 영상 손실을 최대한 줄이면서 표시부(300)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특징점 (Q) 이외의 부분은 사용자가 크게 주목하는 부분이 아니므로, 현재 프레임의 영상이 아닌 이전 프레임의 영상으로 대체하여도 무방하다.
제3나머지영상생성부(250)는 제3나머지영상(N3)을 생성할 때, 제2나머지영상(N2)의 여백부(20,30,40)에 대응하는 제3나머지영상의 부분은 나머지 부분과 다르게 나타낼 수 있다. 즉, 이전 프레임의 누적영상으로 채워진 제1부분(21,31,41)과, 종래 제2나머지영상들(N2)이 보존된 제2부분(22,32,42)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다른 방식으로 나타내는 것이란, 명도, 채도, 투명도 또는 해상도를 다르게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부분(21,31,41)은 제2부분(22,32,42)보다 명도가 낮거나, 채도가 낮거나, 투명도가 높거나, 해상도를 낮게 나타낼 수 있다.
제3나머지영상생성부(250)에서 제1부분(21,31,41)을 제2부분(22,32,42)과 다른 방식으로 나타냄으로써, 제1부분(21,31,41)이 해당 프레임의 원래 영상이 아님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의 이해도를 높이며, 영상의 신뢰도를 직접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표시장치(1)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S801에서, 표시장치(1)가 영상소스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영상소스는 RGB아날로그소스일 수도 있고 비디오 압축 소스일 수도 있다.
S802에서 영상소스는 아날로그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바뀌거나, 압축을 푸는 동작과 같이 영상처리를 수행하여 비디오데이터로 변환되어 보정부(200,201)에 입력된다. 여기서, 보정부(200,201)에 입력되는 비디오데이터는 n개의 프레임 개수를 가지는 제1출력영상들일 수 있다.
S803에서 표시장치(1)는 보정부(200,201)가 활성화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약, 보정부(200,201)가 활성화되어 있다면, 흔들림 보정을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보정부(200,201)가 비활성화되어 있다면 제1출력영상은 흔들림 보정을 수행하지 않고, 표시부(300)에 그대로 출력된다. (S813)
S804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출력영상들 각각에 대하여 특징점(Q)을 도출한다. 그리고, S805에서 제1출력영상들 중 하나를 기준영상(R0)으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기준영상(R0)을 제외한 나머지 제1출력영상들은 제1나머지영상(N1)으로 지칭한다. S804 및 S805 단계는 그 시간적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한다.
S806에서, 기준영상(R0)에 포함된 특징점(Q)의 위치와 제1나머지영상(N1) 각각에 포함된 특징점(Q)의 위치의 차이값을 도출하여, 차이값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흔들림 보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차이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흔들림 보정을 수행하지 않고 제1출력영상을 표시부(300)에 그대로 출력한다. (S816)
S807에서는 기준영상(R0)을 표시틀(F)에 맞게 대응시키고, 표시틀(F)을 기준으로 기준영상(R0)에 포함된 특징점(Q)의 기준좌표를 도출한다.
S808에서는 표시틀(F)을 기준으로 제1나머지영상(N1)에 포함된 특징점(Q)을 기준좌표로 이동시킨 제2나머지영상(N2)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2나머지영상(N2) 및 기준영상(R0)을 시간의 순서에 따르는 제2출력영상들로 하여 표시부(30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S809에서는 제2나머지영상(N2)에 포함된 여백부(20,30,40)를 이전 프레임의 누적영상으로 채워지도록 하여 제3나머지영상(N3)을 생성한다. 그리고, 제3나머지영상(N3) 및 기준영상(R0)을 시간의 순서에 따르는 제3출력영상들로 하여 표시부(300)에 출력할 수 있다. (S811)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S810에서 제3나머지영상(N3)에서 이전 프레임의 누적영상으로 채워진 제1부분(21,31,41)은, 종래 제2나머지영상들(N2)이 보존된 제2부분(22,32,42)과 서로 다른 방식으로 나타내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이렇게 제1부분(21,31,41)과 제2부분(22,32,42)이 다르게 나타내어진 제3나머지영상(N3) 및 기준영상(R0)을 시간의 순서에 따르는 제3출력영상들로 하여 표시부(300)에 출력할 수 있다. (S811)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응용 예로 S810단계의 제3나머지영상(N3)에 종래의 흔들림 보정 기술을 적용하여 보정 효율을 높일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3나머지영상(N3)의 특징점(Q)을 중심으로 크롭(crop)을 진행하여 얻은 제4나머지영상과 기준영상을 시간의 순서에 따라 출력영상으로 하여 표시부(300)에 출력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표시장치
100: 영상소스입력부
200: 보정부
210: 특징점도출부
220: 기준영상설정부
221: 판별부
230: 기준좌표도출부
240: 제2나머지영상생성부
250: 제3나머지영상생성부
R0: 기준영상
Q: 특징점
F: 표시틀
20,30,40: 여백부

Claims (17)

  1. 시간의 순서에 따르는 n개(여기서 n은 자연수)의 제1출력영상들 각각에 대하여 특징점을 도출하는 특징점도출부;
    상기 제1출력영상들 중 하나를 기준영상으로 설정하며, 상기 기준영상을 제외한 n-1개의 상기 제1출력영상들을 제1나머지영상으로 하는 기준영상설정부;
    표시장치의 표시틀에 상기 기준영상을 맞게 대응시키고, 상기 표시틀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영상에 포함된 상기 특징점의 좌표를 기준좌표로써 도출하는 기준좌표도출부;
    상기 제1나머지영상에 포함된 상기 특징점의 좌표가 상기 표시틀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좌표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제1나머지영상 각각의 위치를 변화시켜 n-1개의 제2나머지영상들을 생성하는 제2나머지영상생성부; 및
    상기 기준영상 및 상기 제2나머지영상들을 시간의 순서에 따르는 n개의 제2출력영상으로 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영상설정부는
    최초의 상기 제1출력영상을 상기 기준영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력영상 및 제2출력영상은 비디오데이터이며,
    상기 n개는 프레임 갯수인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영상에 포함된 상기 특징점의 위치와 상기 제1나머지영상 각각에 포함된 상기 특징점의 위치의 차이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차이값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기준좌표도출부 및 상기 제2나머지영상생성부를 활성화하는 판별부;
    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나머지영상은 상기 표시틀을 기준으로 상기 제1나머지영상의 위치가 변화될 때 영상이 없는 부분으로 나타나는 여백부를 포함하며,
    k번째(여기서 k는 n-1보다 같거나 작은 자연수) 상기 제2나머지영상의 상기 여백부는 k-1번째까지의 상기 제2나머지영상이 누적되어 채워지도록 하여 n-1개의 제3나머지영상들을 생성하는 제3나머지영상생성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준영상 및 상기 제3나머지영상들을 시간의 순서에 따르는 n개의 제3출력영상으로 하여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출력영상은 비디오데이터이며,
    상기 n개는 프레임 갯수인 표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나머지영상생성부는
    상기 제3나머지영상에서 상기 제2나머지영상의 상기 여백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나머지부분과 다르게 나타내는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나머지영상생성부는
    상기 제3출력영상 중 상기 이전 프레임의 상기 제2출력영상으로 채워진 상기여백부는 나머지부분과 명도, 채도, 투명도 또는 해상도가 다르게 나타내는 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LCD모니터 또는 CRT모니터인 표시장치.
  10. (a) 시간의 순서에 따르는 n개(여기서 n은 자연수)의 제1출력영상들 각각에 대하여 특징점을 도출하는 단계;
    (b) 상기 제1출력영상들 중 하나를 기준영상으로 설정하며, 상기 기준영상을 제외한 n-1개의 상기 제1출력영상들을 제1나머지영상으로 하는 단계;
    (c) 표시장치의 표시틀에 상기 기준영상을 맞게 대응시키고, 상기 표시틀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영상에 포함된 상기 특징점의 좌표를 기준좌표로써 도출하는 단계;
    (d) 상기 제1나머지영상에 포함된 상기 특징점의 좌표가 상기 표시틀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좌표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제1나머지영상 각각의 위치를 변화시켜 n-1개의 제2나머지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기준영상 및 상기 제2나머지영상들을 시간의 순서에 따르는 n개의제2출력영상으로 하여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최초의 상기 제1출력영상을 상기 기준영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력영상 및 제2출력영상은 비디오데이터이며,
    상기 n개는 프레임 갯수인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b) 단계 이후에,
    상기 기준영상에 포함된 상기 특징점의 위치와 상기 제1나머지영상 각각에 포함된 상기 특징점의 위치의 차이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차이값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c) 단계를 진행하는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나머지영상은 상기 표시틀을 기준으로 상기 제1나머지영상의 위치가 변화될 때 영상이 없는 부분으로 나타나는 여백부를 포함하며,
    (d) 단계 이후에,
    k번째(여기서 k는 n-1보다 같거나 작은 자연수) 상기 제2나머지영상의 상기 여백부는 k-1번째까지의 상기 제2나머지영상이 누적되어 채워지도록 하여 n-1개의 제3나머지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상기 기준영상 및 상기 제3나머지영상들을 시간의 순서에 따르는 n개의 제3출력영상으로 하여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단계;
    인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출력영상은 비디오데이터이며,
    상기 n개는 프레임 갯수인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나머지영상에서 상기 제2나머지영상의 상기 여백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나머지부분과 다르게 나타내는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출력영상 중 상기 이전 프레임의 상기 제2출력영상으로 채워진 상기여백부는 나머지부분과 명도, 채도, 투명도 또는 해상도가 다르게 나타내는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10009499A 2011-01-31 2011-01-31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KR101228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499A KR101228328B1 (ko) 2011-01-31 2011-01-31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499A KR101228328B1 (ko) 2011-01-31 2011-01-31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260A true KR20120088260A (ko) 2012-08-08
KR101228328B1 KR101228328B1 (ko) 2013-01-31

Family

ID=46873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499A KR101228328B1 (ko) 2011-01-31 2011-01-31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32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6514B2 (ja) 1996-07-08 2006-05-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カメラ揺れ補正方法および画像監視システム
KR101012481B1 (ko) * 2008-04-22 2011-02-08 주식회사 코아로직 동영상 손떨림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0985805B1 (ko) * 2009-03-26 2010-11-0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응적인 칼만필터를 이용한 영상 안정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8328B1 (ko) 201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2951B1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US20190335154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KR20200045740A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US20150097976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180035076A1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video processing system, and video processing method
US8976298B2 (en) Efficient 2D adaptive noise thresholding for video processing
KR102268517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잔상 저감장치와 저감방법
US113632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video operations
US874970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image processing program
JP4580347B2 (ja) フリッカ映像変換装置、そのプログラ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映像表示装置
KR101228328B1 (ko)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US10205922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60055624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721432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nectable to display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nectable to external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performing image processing
US11201683B2 (en) Monitoring video broadcasts
US9747666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producing multi image
JP2006279413A (ja)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画像表示装置、画像撮像装置、動きベクトル検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8704951B1 (en) Efficient 2D adaptive noise thresholding for video processing
JP201206354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JP5409281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0154132A (ja) ガンマ補正回路およびガンマ補正方法
TWI593286B (zh) 電視系統與多媒體播放方法
JP2014183493A (ja) 情報補正装置、情報補正方法並びに情報補正用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録媒体
JP2009216819A (ja) 画像信号処理装置、画像呈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13186227A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