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8143A - 머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성이 강화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 Google Patents

머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성이 강화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8143A
KR20120088143A KR1020110009278A KR20110009278A KR20120088143A KR 20120088143 A KR20120088143 A KR 20120088143A KR 1020110009278 A KR1020110009278 A KR 1020110009278A KR 20110009278 A KR20110009278 A KR 20110009278A KR 20120088143 A KR20120088143 A KR 20120088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ud
shampoo composition
conditioning shampoo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2556B1 (ko
Inventor
남상철
고재용
Original Assignee
보령시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령시,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보령시
Priority to KR1020110009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556B1/ko
Publication of KR20120088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샴푸 베이스에 씨 실트 추출물(SEA SILT EXTRACT)과 항기능물질을 함유하여 모발이나 두피에 서식하는 각종 균들에 대한 항진균 효력과 아울러 머드 유기 효소제의 영양공급으로 윤기 있고 청결한 두피와 모발을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머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성이 강화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Conditioning Shampoo Composition containing a Mud extract and Method of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머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성이 강화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샴푸 베이스에 머드 추출물(SEA SILT EXTRACT)과 항균기능물액을 함유하여 비듬균(Pityrosporum)에 대한 항진균 효력과 아울러 머드 유기 효소제의 영양공급으로 윤기 있고 청결한 두피와 모발을 유지할 수 있게 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누구나 한번쯤은 머리나 어깨에 하얗게 비듬이 내려앉은 적이 있거나 타인의 그러한 모습을 보고 불쾌함을 느꼈던 경험을 가지고 있다. 도대체 아무것도 없는 머리에서 하얀 비듬이 나오는 이유가 무엇인지 의문을 가져본 적도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듬이란 두피에서 죽은 피부 세포가 벗겨져 나오는 것인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비듬을 건조한 피부를 가진 사람들에게서 잘 생긴다고 알고 있다.
그렇지만 지성피부나 지성두피를 가진 사람에게서 더욱 심각하게 나타난다.이러한 비듬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머리를 자주 감는 것이 최선의 방법인데, 머리를 자주 감으면 두피와 모발의 지방과 비듬이 없어진다.
하지만 지나치게 뜨거운 물로 머리를 감거나 혹은 잦은 부적절한 빗질 혹은 드라이어에 의한 뜨거운 열로 두피는 물론이거니와 모발이 손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 즉, 비듬을 없애고자 머리를 자주 감는 경우 브러싱이나 드라이어와 같은 물리적인 요인에 의하여 두피나 모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에서, 근자에는 콘디쇼닝제나 모발보호제를 샴푸에 첨가한 것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그 일예로 한방샴푸 즉, 샴푸 베이스에 은행잎, 쑥, 뽕잎 등 생 약초 추출액과 같은 두발, 두피 영양성분을 함유하여, 두피에 피지 분비가 많은 사람들이 머리를 자주 감더라도 두피와 머리카락을 건강하고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샴푸는 두피에 피지 분비가 많아서 머리를 자주 감는 사람들에 주로 영양공급을 목적으로 하고 있을 뿐, 두피와 모발에서 발생되는 균에 대한 항균 기능은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음이 현실정이다.
두피에서 서식하는 균이라고 하면 DEMODEX(모낭충)이 있는데, 데모덱스(모낭충)에는 2가지가 있다. 피지 선에 서식하는 데모덱스 브레비스와 모낭에서 서식하는 데모덱스 훠리큘럼 등이 있는데, 특히 데모덱스 훠리큘럼은 모근에 기생하고 모근벽에 구멍을 뚫고 모근부분의 영양분을 빨아들이며 모공을 넓게 만들고 모발이 쉽게 빠지도록 하며, 배설물과 죽은 잔해 등이 잔류하여 피부가 오염되며 모근주위에 염증이 생기거나 탈모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콘디쇼닝제나 모발보호제의 첨가에 의한 두피 및 모발 보호와 아울러 항균력이 강화된 샴푸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미국특허 제2,809,271호, 제4,323,683호, 제4,345,080호 및 제4,479,982호 일본특허공개 소62-077311, 소61-210022, 평1-013013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결과 개발한 것으로, 머드 추출물 첨가에 의해서는 유기 효소제의 영양공급에 의한 두피 및 모발보호 기능을, 그리고 같이 첨가되는 항기능물액(液)에 의해서는 비듬균에 대한 항진균 기능을 더욱 강화하고, 또한 두 가지의 기능을 모두 만족할 수 있게 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머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성이 강화된 콘디셔닝 샴푸 조성물은 청구항 1 기재의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총중량 중에는 씨실트 추출물과 항균기능물액(液)이 함유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씨실트 추출물의 함유량은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총중량 중 0.01~50중량%를, 그리고 상기 항균기능물액은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총중량 중 10 중량%를 각각 함유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항균기능물액은 이산화 규소(SiO2)와 산화알루미늄(Al2O3)을 혼합후 이소푸로필렌알콜(IPA)을 첨가하여 30~75℃로 가열하여 축합 반응물을 얻고 이 축합반응물에 증류수와 이산화티탄(TiO2)을 첨가하여 혼합 교반하면서 중축합 반응시키어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씨실트 추출물은 보령산 머드를 정제수로 적어도 1~3회 혹은 1~5회 세척(Washing)하여 염분을 제거하고, 세척된 머드를 다시 정제수와 1: 10(g/v)의 비율로 섞은 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 추출후 24시간 숙성하고 이를 2~3㎛의 휠터로 여과하여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머드 추추물 첨가에 의해서는 유기 효소제의 영양공급에 의한 두피 및 모발보호 효과를 얻게 하고, 또한 항기능물액 첨가에 의해서는 비듬균에 대한 항진균기능을 하게 하여, 2가지 기능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콘디셔닝샴푸와 관련하여 두피 및 모발에 대한 살균 및 항진균 효력을 알아보기 위해, 그람 음성균(E. coli)과 그람 양성균(S. aureus) 및 효모균(pityrosporum ovale)에 대한 살균시험 결과 사진들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첨가되는 항균기능물액(抗菌機能物液)의 제조공정도이고,
도 3은 섬유아 세포(Human Fibroblast)를 이용한 머드 추출물의 세포증식(Cell Proliferation)효과를 나타낸 그래푸이고,
도 4는 Corneometer CM 825를 사용하여 측정된 머드추출물의 보습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푸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콘디셔닝샴푸를 사용하기 전의 두피 및 모발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콘디셔닝샴푸를 사용한 후의 두피 및 모발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에 첨가되어 두피및 모발보호와 아울러 항진균 작용을 하는 머드 추출물(SEA SILT EXTRACT)과 항균기능물액(抗菌機能物液)을 하기 참고예 1 내지 2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여 얻는다.
<참고예1: 씨실트 추출물의 제조>
보령산 머드를 정제수로 1~3회 혹은 1~5회 세척(Washing)하여 염분을 제거한다. 이어서 염분을 제거한 머드를 정제수와 1: 10(g/v)로 섞은 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한 후 10~34시간 숙성한다. 숙성된 머드는 0.2~0.3㎛의 필터로 여과하여 최종의 머드 추출물을 얻는다.
<참고예2: 항균기능물액(抗菌機能物液)의 제조>
이산화 규소(SiO2)와 산화알루미늄(Al2O3)을 혼합후 이소푸로필렌알콜(IPA)을 첨가하여 30~75℃로 가열하여 축합 반응물을 얻고 이 축합반응물에 증류수와 이산화티탄(TiO2)을 첨가하여 혼합 교반하면서 중축합 반응시키어 얻는 것이다(도2의 공정도 참조).
상기와 같이 제조된 참고 1내지 2의 머드 추출물 및 항균기능물액이 첨가된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은 하기 표1과 같은 성분과 비율로 조성된다.
샴푸 조성물의 성분과 배합비율
재료 명 함량(중량%)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1 ~ 20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0.01~50
씨실트추출물 0.01~50
항균기능물액 10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0.1~7
코카미도푸로필베타인 0.1~6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상기 표1과 같이 칭량된,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코카미도푸로필베타인 및 정세수를 균일하게 용해시키고, 여기에 씨실트추출물, 항균기능물액을 첨가하여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표1에서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sodiumlaureth sulfate)와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ammonium lauryl sulfate)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첨가량이 상기 함량 미만이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기능이 약화 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초과하면 같이 첨가되는 다른 재료의 기능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는 얇은 필름막을 형성하여 모발에 사용시 밀착력을 좋게 하는 모발고정 및 피막형성 작용을 한다. 이 또한 첨가량이 상기 함량 미만이면 모발고정 및 피막형성 기능이 약화 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초과하면 같이 첨가되는 다른 재료의 기능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
코카미도푸로필베타인은 양쪽성 이온계면활성제의 작용을 하는 것으로, 상기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sodiumlauryl sulfate)와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ammonium lauryl sulfate)에 대한 보조계면활성제로서 첨가된다. 첨가량이 상기 함량 미만이면 양쪽성 이온 계면활성제로서의 기능이 약화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초과하면 같이 첨가되는 다른 재료의 기능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
상기 항균기능물액의 첨가는 하기 시험예와 같은데, DEMODEX(모낭충)의 종류 즉, 두피의 피지선에 서식하는 데모덱스 브레비스와 모낭에서 서식하는 데모덱스 훠리큘럼 등의 균에 대한 항균력을 갖게 하기 위함이다. 첨가량이 상기 함량 미만이면 상기 균들에 대한 항균 기능이 약화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초과하면 같이 첨가되는 다른 재료의 기능을 약화와 아울러 제조원가의 상승 요인이 될 우려가 있다.
또 씨실트추출물(머드 추출물)의 첨가 이유 또한 하기 시험예들과 같으며, 이 또한 첨가량이 상기 함량 미만이면 상기 두피와 모발에 대한 유기 효소 공급 기능이 약화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초과하면 같이 첨가되는 다른 재료의 기능의 약화와 아울러 제조원가의 상승 요인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상기 표1과 같이 칭량된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1 중량%,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0.01중량%,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0.1중량%,코카미도푸로필베타인0.1중량%, 정제수 잔량을 균일하게 용해시키고, 여기에 씨실트추출물50중량%, 항균기능물액10중량%을 첨가하여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표1과 같이 칭량된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20 중량%,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50중량%,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7중량%,코카미도푸로필베타인6중량%, 정제수 잔량을 균일하게 용해시키고, 여기에 씨실트추출물0.01중량%, 항균기능물액 10중량%를 첨가하여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1>
본 발명에 첨가된 머드의 세척(Washing)횟수에 따른 염분 함량의 측정결과 하기 표2와 같았다.
염분 함량의 측정결과
시험항목 단위 시료구분 결과치 시험방법
Cl- mg/l 1차 세척(Washing) 797 수질오염공정시험법
Cl- mg/l 2차 세척(Washing) 65.4 수질오염공정시험법
Cl- mg/l 3차 세척(Washing) 8.25 수질오염공정시험법
상기 표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머드의 염분을 제거하기 위해 여러번 washing을 하여 추출할 경우 염분에 대한 문제는 없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2>
본 발명에 첨가된 머드 추출물의 화학물질 검사결과 하기 표3과 같았다.
머드 추출물의 화학물질 검사 결과
시험항목 단위 결과치 시험방법
Na mg/l 72.9 APHA 20th Edition 1998
Mg mg/l 8.52 APHA 20th Edition 1998
Al mg/l 0.32 APHA 20th Edition 1998
Si mg/l 22.2 APHA 20th Edition 1998
K mg/l 14.9 APHA 20th Edition 1998
Ca mg/l 13.2 APHA 20th Edition 1998
Ti mg/l 비검출(N.D) APHA 20th Edition 1998
Fe mg/l 0.09 APHA 20th Edition 1998
상기 표3은 머드 추출물을 한국 화학 시험 연구원에 화학 물질검사를 의뢰하여 얻어진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머드 추출물의 화학물질 검사 결과 Na 함량이 가장 높고 Fe의 항량이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머드 추출물에는 인체에 유용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임을 알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샴푸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머드 유기물들의 영양공급으로 윤기 있고 청결한 두피와 모발을 유지할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3>
본 발명에 첨가된 머드 추출물의 오염도 검사 결과 하기 표4와 같았다.
머드 추출물의 오염도 검사 결과
시험항목 단위 결과치 시험방법
Pb mg/l 불검출(N.D) APHA 20th Edition 1998
Cr mg/l 불검출(N.D) APHA 20th Edition 1998
Cd mg/l 불검출(N.D) APHA 20th Edition 1998
CN- mg/l 불검출(N.D) APHA 20th Edition 1998
Hg mg/l 불검출(N.D) APHA 20th Edition 1998
As mg/l 불검출(N.D) APHA 20th Edition 1998
상기 표4는 머드 추출물을 한국 화학 시험 연구원에 오염물질 검사를 의뢰하여 얻어진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머드 추출물의 오염도 검사 결과 본 발명의 샴푸를 인체에 사용하는 경우 전연 문제는 없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4>
본 발명에 첨가된 머드 추출물의 생물학적 활성 실험 결과 도 3과 같았다 .
도 3은 섬유아 세포(Human Fibroblast)를 이용한 머드 추출물의 세포증식(Cell Proliferation)효과를 나타낸 그래푸로서, 머드 추출물내의 미네랄, 알루미늄, 그외 상기와 같은 화학물질 등에 의해 섬유아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3에서와 같이 100 ㎍/ml의 농도에서 약 110% 정도의 섬유아세포의 증식효과를 나타내었는바, 이러한 사실만으로도 본 발명의 샴푸를 사용시 건강한 모발 유지를 할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5>
본 발명에 첨가된 머드 추출물을 Corneometer CM 825를 사용하여 머드추출물의 보습을 측정한 결과는 도 4와 같았다. 도 4는 Corneometer CM 825를 사용하여 측정된 머드추출물의 보습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푸이다.
도 4에서 확인되는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샴푸에 첨가된 머드 추출물의 보습 측정 결과 물보다 더 좋은 보습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6>
본 발명의 샴푸에 대한 살균 효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그람 음성균인 대장균 (E.coli)과 그람 양성균인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에 대하여 살균시험을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5 내지 6및 도면 1a 내지 1e와 같았다.
살균시험결과 (단위: CFU/ml)
시험균주 초기 30분±10초 후
E. coli 4.3×105 3.7×105 (14.0 %)
S. aureus 3.1×105 2.2×105 (29.0 %)
*( ): 살균감소율(%)=(A-B)/A X 100, 여기에서, A: 초기 세균수, B: 일정시간 후 세균수.
항진균시험 결과 (단위: mm)
시험균주 전체지름(T) 시료및 Disc의 지름(D) 저지대의 폭(W)
P. Ovale 10 8 1
*성장저지대 :W= (T-D)/2, 여기에서 W : 저지대의 폭 (mm), T : 시료와 저지대의 전체 지름 (mm), D : 시료 및 Disc의 지름 (mm).
상기에서 사용된 시험 장치 및 재료는 하기와 같다.
1.시험 장치:
AutoClave (Sanyo, Japan)
Dry Oven (Jisco, 한국)
Water Bath (Polyscience, USA)
Incubator (Memmert, German)
pH Meter (Thermo Orion, USA)
Stop Watch (Time Art, Japan)
Vortex Mixer (Thermolyne, USA)
Container (Iwaki Pyrex, Japan)
Sterile Pipette (FALCON, USA)
Petri Dish (녹십자의료공업, 대한민국)
Volumetric Flask (Myung Sung, 대한민국)
Mechanical Shaker (Jisco, 대한민국)
Clean Bench (수공양행, 대한민국)
Colony Counter (덕우과학, 대한민국)
Petri Dish (녹십자, 대한민국)
2.시험 재료
1)시험균주 : Escherichia coli ATCC 25922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Pityrosporum ovale ATCC 12078
2)배지 및 시약
가. Brain Heart Infusion Broth (DIFCO, USA)
나. Brain Heart Infusion Agar (DIFCO, USA)
다. Tryptic Soy Agar (DIFCO, USA)
라. 항진균시험용 배지
Malt Extract Agar …………………………… 60.0 g
Ox-bile(desiccated) ………………………… 20.0 g
Tween 40 …………………………………… 10.0 g
Glycerol mono-oleate ………………………… 2.5 g
Distilled water ……………………………… 1.0 L
마. D/E Neutralizing Broth (DIFCO, USA)
바. 생리식염수
3.시험방법 (Test Method)
3.1. 살균력 시험 방법 : 대장균 및 황색포도상구균을 Brain Heart Infusion Broth(DIFCO)에 배양시킨 후 배양된 세균을 희석하여 초기 세균수가 105 ~ 106 CFU/mL이 되도록 조정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시험용액 (60% (w/v) 농도) 20 mL에 시험균액을 첨가하고 혼합한 후 상온에서 30분동안 방치하였을 때 세균수를 측정하여 초기 세균수에 대한 살균감소율을 알아보았다. 생리식염수를 대조로 하여 세균수를 측정한 것을 초기 세균수로 표시하였다. 단, 이때 모든 실험의 최초 희석 단계에서는 D/E Neutralizing Broth (DIFCO)를 이용하여 중화시키는 과정을 거쳐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배지에서 세균이 증식한 경우, 배지상의 균수에 희석 배수를 곱하여 산출하였으며, 배지에서 세균이 증식하지 않은 경우는 중화단계에서 이루어진 희석배수를 곱하여 『10 미만 (< 10)』으로 표시하였다. 모든 단계의 세균수의 측정은 상기 TSA (2.2항 참고)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생균수 계산은 하기 3.3항 [식1]에 따라 측정하였고 살균감소율은 [식2]에 따라 결정하였다.
3.2. 항진균력 시험 방법 (Halo test) : 미리 준비된 평판배지에 P. ovale균을 접종하여 37℃에서48시간 동안 증균시켜 시험에 사용하였다. 증식이 완료된 P. ovale균을 멸균생리식염수에 부유시켜 108 CFU/mL 농도의 균 현탁액을 준비하고 멸균 면봉을 이용하여 준비된 배지에 고르게 접종하고, 멸균된 disc(Ø 8.0)에 시료원액 20 ㎎을 처리한 뒤 disc를 배지 중앙에 놓은 후, 35±1℃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억제대 (Inhibition Zone)의 지름을 측정하였다.
3.3. 살균시험 결과 계산
1)생균수 계산 : [식1.] N = C × D,
N: 생균수, C: 집락수 (2매의 집락 수 평균치), D: 희석배수 (희석액의 희석배수)
2) 살균감소율 (%) 계산 : [식2.] R (%) = [ ( A - B ) / A ] × 100
R: 살균감소율, A: 초기 세균수, B: 일정시간 후 세균수.
3.4. 항진균시험 (Halo test) 결과 판독
성장저지대 : W= (T-D)/2, 여기에서, W : 저지대의 폭 (mm), T : 시료와 저지대의 전체지름 (mm), D : 시료 및 Disc의 지름 (mm).
4.결과(Result)
4.1. E. coli에 대한 살균시험(상기 표5 및 도면 1a, 1b참조)
E. coli에 대한 살균시험 결과, 초기 접종균수[4.3×105 CFU/mL]에서 30분 처리 후 [3.7×105CFU/mL]로 감소하였다.
4.2. S. aureus에 대한 살균시험 (상기 표5 및 도면 1c, 1d참조)
S. aureus에 대한 살균시험 결과, 초기 접종균수[3.1×105 CFU/mL]에서 30분 처리 후[2.2×105 CFU/mL]로 감소하였다.
4.3. P. ovale에 대한 항진균시험 (상기 표6 및 도면1e 참조)
저지대(Inhibition Zone)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시료 원액은 P. ovale에 대하여 1.0 mm의 저지대를 형성하였다.
상기 시험예6으로 부터는 본 발명의 샴푸가 머드추출물에 항기능물액이 더하여져서 항균 효과가 더 강화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7>
본 발명의 샴푸와 시중의 일반 샴푸를 비교 사용한바 그 결과는 하기 표7과 같았다.
구분 0회차 1회차 2회차 3회차
본발명 컨디셔닝샴푸 1.17 1.22 1.33 1.96
일반컨디셔닝샴푸 1.17 1.43 2.45 3.24
상기 표7의 시험 결과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디셔닝 샴푸는 일반샴푸에 비해 두피를 진정시키고, 유분량을 감소시키고 모공상태에서 균 발생을 현저히 억제시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컨디셔닝샴푸를 사용시 일반샴푸보다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7>
성인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컨디셔닝샴푸와 기존의 일반샴푸를 사용하게 하고, 하기와 같은 항목을 조사한바, 그 결과는 하기 표8 및 표9와 같았다.
시료 성상 색상 점도 세정력 거품력 보습력 매끄러움 상쾌함 사용감 전체평가
본 발명 8 8 9 9 9 9 8 9 9 9 8.7
대조품 7 6 6 8 7 7 8 8 5 7 6.9
시료 유분량 두피타입 모발밀도 탈모정도 모공상태 손상도 모발굵기 전체평가
본 발명 8 8 9 9 9 9 8 6.0
대조품 7 6 6 8 7 7 8 4.9
상기 표8 및 9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시험 항목들에 대한 평가영역은 0(매우나쁨)~ 10(매우만족)으로 구분하여 산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컨디셔닝샴푸의 기존의 대조군에 비하여 더 만족스러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도5 및 도6의 두피 및 모발의 상태에서 더욱 확인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컨디셔닝샴푸를 사용하기 전의 두피 및 모발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컨디셔닝샴푸를 사용한 후의 두피 및 모발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상의 시험예들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샴푸는 머드 추출물에 함유된 미네랄, 알루미늄 및 각종 유용한 화학물질에 의해 두피와 모발에 영양을 공급해주어 건강한 모발을 유지하여 준다는 것과 아울러 항균기능물액에 의해서는 두피나 모발에 서식하는 균들에 대한 항진균 효력을 발휘됨을 알 수 있다.
도1a

Claims (4)

  1.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총중량 중에는 씨실트 추출물과 항균기능물액(液)이 함유됨을 특징으로하는 머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성이 강화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씨실트 추출물의 함유량은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총중량 중 0.01~50중량%를, 그리고 상기 항균기능물액은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총중량 중 10 중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머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성이 강화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기능물액은 이산화 규소(SiO2)와 산화알루미늄(Al2O3)을 혼합후 이소푸로필렌알콜(IPA)을 첨가하여 30~75℃로 가열하여 축합 반응물을 얻고 이 축합반응물에 증류수와 이산화티탄(TiO2)을 첨가하여 혼합 교반하면서 중축합 반응시키어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성이 강화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씨실트 추출물은 보령산 머드를 정제수로 1~3회 혹은 1~5회 세척(Washing)하여 염분을 제거하고, 다시 정제수와 1: 10(g/v)로 섞은 후, 실온 3시간 동안 교반 추출한 후 24시간 숙성하고 이를 여과하여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성이 강화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20110009278A 2011-01-31 2011-01-31 머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성이 강화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1342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278A KR101342556B1 (ko) 2011-01-31 2011-01-31 머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성이 강화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278A KR101342556B1 (ko) 2011-01-31 2011-01-31 머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성이 강화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143A true KR20120088143A (ko) 2012-08-08
KR101342556B1 KR101342556B1 (ko) 2013-12-17

Family

ID=46873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278A KR101342556B1 (ko) 2011-01-31 2011-01-31 머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성이 강화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5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958B1 (ko) 2018-11-21 2020-08-04 정이라 박하, 계피, 오레가노, 생강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균효과를 갖는 기능성 샴푸 제조방법
KR20240009570A (ko) 2022-07-13 2024-01-23 재단법인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한국연합회 유지재단 머드를 이용한 고체타입 샴푸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2556B1 (ko) 2013-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31597T3 (es) Procedimiento de tratamiento de la piel con extracto de Lactobacillus
CN111991334A (zh) 一种护肤基质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523450A (zh) 一种新型洗发护发养发组合
CN106377439A (zh) 一种无添加化学合成防腐剂的防腐组合物及其应用和由其制成的化妆品
CN110709059A (zh) 一种含多元锌的去屑止痒香波组合物
CN108014032A (zh) 一种护臀湿巾及其制备方法
KR101342556B1 (ko) 머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성이 강화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2102253B1 (ko) 방부력이 우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1417307B (zh) 抗微生物混合物以及含有该抗微生物混合物的化妆品组合物
Zoya et al. Anti-dandruff activity of synthetic and herbal shampoos on dandruff causing isolate: Malassezia
KR101342552B1 (ko) 머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성이 강화된 화장용 로션 조성물
KR101342553B1 (ko) 머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성이 강화된 바디클렌저 조성물
CN104546524A (zh) 一种保湿抗菌头皮护理组合物
CN111031795A (zh) 含有4-(3-乙氧基-4-羟苯基)丁-2-酮和二醇的抗微生物混合物、以及含有该抗微生物混合物的化妆品组合物
WO2021132019A1 (ja) 皮膚常在菌叢のバランス改善剤
RU2413500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заболеваний зубов и мягких тканей полости рта и сред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KR101342555B1 (ko) 머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성이 강화된 바디로션 조성물
KR20110133982A (ko) 은-알긴산 나노복합체가 함유된 항균성 조성물
KR101342557B1 (ko) 머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성이 강화된 스킨 화장료 조성물
CN108498399B (zh) 一种具有防腐效果的复配植物提取物及其在化妆品防腐中的应用
Al-Rawi Novel natural disinfectants for contaminated cosmetic application tools
Alkhaled Comparison between the effect of Propolis and honey on oral flora: An in vivo Study
KR101342554B1 (ko) 머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성이 강화된 폼 팩 조성물
KR102633791B1 (ko) 인산염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제거 조성물
Al-Bayaty et al. Effect of mouthwash extracted from Miswak (Salvadora Persica) on periodontal pathogenic bacteria an in-vitro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