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8052A - 선박의 선저부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선저부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8052A
KR20120088052A KR1020100112219A KR20100112219A KR20120088052A KR 20120088052 A KR20120088052 A KR 20120088052A KR 1020100112219 A KR1020100112219 A KR 1020100112219A KR 20100112219 A KR20100112219 A KR 20100112219A KR 20120088052 A KR20120088052 A KR 20120088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monitoring unit
watertight cover
unit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1615B1 (ko
Inventor
박재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2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615B1/ko
Publication of KR20120088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63B45/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devices being intended to indicate the vessel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4Preventing hull fou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선박의 선저부 검사 장치는, 선박의 선저부(船低部)에 장착되는 투명 수밀 커버와, 투명 수밀 커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선저부를 감시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감시부와, 투명 수밀 커버에 장착되어 감시부와 투명 수밀 커버를 선저부의 내측 및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승강부와, 감시부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장착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의 선저부 검사 장치{EXAMINATION APPARATUS FOR LOWER PORTION OF VESSEL}
본 발명은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선저부에 이물질의 부착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의 선저부 검사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정기적으로 수중 검사를 실시하여 선저부(船低部)에 이물질의 부착 상태를 검사한다. 이러한 선저부의 이물질 부착 상태의 검사는 잠수부 또는 카메라를 장착한 무인 로봇에 의해 실시되고 있다.
이물질은 선박의 운행 중에 진흙(slime) 등이 선저부에 부착될 경우, 이 진흙에 잡초(sea weed) 또는 따개비(barnacle)가 부착되어 그 크기가 성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선저부에 친환경 도료를 적용하고 있어, 이물질이 선저부에 형성되는 속도가 더욱 빨리지고 있다.
그러나, 선저부의 확인을 위해 잠수부 또는 무인 로봇을 이용할 경우 충분하게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이물질이 과다하게 형성되어 이물질의 제거 작업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물질에 의해 선박의 운행 속도가 저하되고 연료 소모량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의 선저부의 이물질 부착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의 선저부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저부 검사 장치는, 선박의 선저부(船低部)에 장착되는 투명 수밀 커버와, 투명 수밀 커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선저부를 감시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감시부와, 투명 수밀 커버에 장착되어 감시부와 투명 수밀 커버를 선저부의 내측 및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승강부와, 상기 감시부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장착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감시부는,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 회전 바디와, 수평 회전 바디의 회전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카메라가 장착되는 수직 회전 바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감시부는 카메라의 측면 위치에 조명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수평 회전 바디에 연결축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장착되는 수평 구동 모터와, 수평 회전 바디의 회전축 위치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수직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연결축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고정 플레이트에 로드가 연결되어 감시부를 선저부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승강 이동시키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연결축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고정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랙 기어와, 랙 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와, 피니언 기어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의 선저부 검사장치는 선박의 선저부의 선박의 선저부의 이물질 부착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 선저부 검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박 선저부 검사 장치의 주요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선박의 선저부 검사장치가 선저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저부 감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저부 검사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 선저부 검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박 선저부 검사 장치의 주요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저부 검사 장치(100)는, 선박의 선저부(11, 船低部)에 설치되는 투명 수밀 커버(10)와, 투명 수밀 커버(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선저부(11)를 감시하는 카메라(21)를 포함하는 감시부(20)와, 감시부(20)에 승강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부(40)와, 감시부(2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장착되는 구동부(30)를 포함한다.
투명 수밀 커버(10)는 선박의 선저부(11)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투명 수밀 커버(10)의 승강 작동은 이하에서 승강부(40)를 설명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투명 수밀 커버(10)는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감시부(20)에 해수(sea water)가 유입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투명 수밀 커버(10)는 선저부(11) 외측으로 돌출될 경우, 유속에 의한 마찰을 최소화 하도록 원통형의 라운드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투명 수밀 커버(10)는 라운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의 형태도 가능하다. 만약 투명 수밀 커버(10)가 다각형일 경우에는 선박의 진행 방향으로 경사면(미도시)을 형성하여 마찰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투명 수밀 커버(10)는 그 전체가 강화 유리 소재 또는 투명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수밀 커버(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감시부(20)의 감시 작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감시부(20)는, 선저부(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평 회전 바디(23)와, 수평 회전 바디(23)에 돌출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카메라(21)가 장착되는 수직 회전 바디(25)를 포함한다.
이러한 감시부(20)는 구동부(30)에 의해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구동부(30)는 수평 구동 모터(31) 및 수직 구동 모터(33)를 포함한다. 수평 구동 모터(31) 및 수직 구동 모터(33)는 카메라(21)를 선저부(11)의 표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설치되며, 이에 대해서는 수평 회전 바디(23) 및 수직 회전 바디(25)를 설명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수평 회전 바디(23)는 투명 수밀 커버(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평 구동 모터(31)의 작동에 의해 회전된다. 수평 회전 바디(23)는 투명 수밀 커버(10)의 내벽면과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원통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수평 구동 모터(31)는 수평 회전 바디(23)에 수평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평 회전 바디(23)의 상측에 연결축(23a)으로 설치된다. 즉, 연결축(23a)은 일단이 투명 수밀 커버(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수평 회전 바디(23)에 연결되고, 연결축(23a)의 타단은 투명 수밀 커버(10)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커버부재(12)의 내부에서 수평 구동 모터(31)에 연결된다.
수평 회전 바디(23)에는 한 쌍의 브라켓(23b)이 돌출된다. 브라켓(23b)들 사이에는 수직 회전 바디(25)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수직 회전 바디(25)의 회전은 브라켓(23b)에 설치되는 수직 구동모터(33)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수직 구동모터(33)는 브라켓(23)에 그 몸체 부분이 장착되고, 구동축(미도시)은 수직 회전 바디(25)의 측면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수직 회전 바디(25)는 한 쌍의 브라켓(23b)들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수직 구동모터(33)는 수직 회전 바디(25)의 내측에 일체로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수직 구동모터(33)의 바디는 수직 회전 바디(25)와 일체로 장착되고, 구동축(미도시)은 브라켓(23b)에 결합되어 수직 회전 바디(25)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 회전 바디(25)는 브라켓(23b)들 사이에서 원통형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수직 회전 바디(25)는 원통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모서리를 갖는 다각기둥 형상으로도 가능하다. 수직 회전 바디(25)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에는 선저부(11)의 감시를 위한 카메라(21)가 설치된다.
카메라(21)는 본 실시예에서 무선 카메라 또는 유선 카메라 등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21)는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방식 또는 적외선 카메라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수직 회전 바디(25)는 수평 회전 바디(23)의 회전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90 각도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수평 회전 바디(23)는 선저부(11)의 표면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어 선저부(11)의 표면을 카메라(21)를 이용하여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수직 회전 바디(25)는 선저부(11)의 표면을 기준으로 상하측으로 회전되어, 선저부(11)의 표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을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수직 회전 바디(25)에는 어두운 환경에서 선저부(11)를 용이하게 확인 하도록 조명부재(27)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조명부재(27)는 카메라(21)의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어두운 환경에서도 조명부재(27)를 활용함으로써 카메라(21)를 이용한 선저부(11)의 감시 작용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승강부(40)는 감시부(20)를 선저부(11)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승강부(40)는 선저부(11)의 표면을 확인하고자 할 경우 감시부(20)를 선저부(11)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감시 작용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감시부(20)를 선저부(11)의 내부로 위치 이동시킨다. 참조번호 42는 선저부(11)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실링부재이다.
승강부(40)는 연결축(23a)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41)와, 고정 플레이트(41)에 로드(43)가 연결되어 감시부(20)를 선저부(11)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승강 이동시키는 유압 실린더(45)를 포함한다.
연결축(23a)에는 고정 플레이트(41)의 고정을 위한 제1 걸림 돌기(23c)와, 투명 수밀 커버(10)의 고정을 위한 제2 걸림 돌기(23d)가 형성된다.
따라서, 유압 실린더(45)가 작동되면, 투명 수밀 커버(10)는 로드(43)의 이동과 함께 선저부(11)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도 3은 선박의 선저부 검사장치가 선저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45)가 작동되면, 투명 수밀 커버(10)는 로드(43)의 작동에 의해 선저부(11)의 외측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감시부(20)는 선저부(11) 외측에 위치되어 선저부(11)의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참조 번호 12는 선체 내부에서 선저부 검사 장치(100)의 격리를 위한 커버부재이다. 커버부재(12)는 본 실시예의 선저부 감시 장치(100)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예를 들면, 선저부 감기 장치(100)가 밸러스트 탱크(미도시, ballast tank) 위치에 설치될 경우 밸러스트 수(ballast water)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선저부 검사 장치(100)는, 선저부(11)에 이물질이 부착됨을 신속하게 확인 가능하다. 따라서, 선박의 운행중에 이물질의 간섭에 의한 저항이 증가됨을 방지하여 선박 운행 속도의 향상이 가능하고 연료 소모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저부 검사 장치의 작용을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선저부(11)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유압 실린더(45)를 구동하여 감시부(20)를 선저부(11) 외측으로 돌출시킨다.
그리고, 수평 구동모터(31)를 구동하여 검사하고자 하는 선저부(11)의 표면의 수평 방향의 위치를 결정한다. 다음, 수직 구동모터(33)를 구동하여 검사하고자 하는 선저부(11)의 표면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의 위치를 결정한다.
다음, 작업자는 카메라(21)를 이용하여 선저부(11)의 영상을 확인하여 이물질이 선저부(11) 표면에 부착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선저부(11)에 이물질이 과다하게 부착됨으로 판단되면 이물질 제거를 실시하여, 선박의 운행중의 저항 발생을 감소시켜 선박의 운행 속도를 향상시키고 연료 소모량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저부 감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내지 도 3과 동일 참조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저부 감시장치(200)의 승강부(140)는, 연결축(23a)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141)와, 고정 플레이트(141)에 결합되는 랙 기어(143)와, 랙 기어(143)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145) 및 피니언 기어(145)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 구동모터(147)를 포함한다.
따라서, 감시부(20)는 승강 구동모터(147)의 구동에 의해 랙 기어(143)를 따라 승강되어, 선저부(11)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투명 수밀 커버 11...선저부
12...커버부재 20...감시부
21...카메라 23...수평 회전 바디
23a..연결출 23b..브라켓
23c..제1 걸림 돌기 23d..제2 걸림 돌기
25...수직 회전 바디 30...구동부
31...수평 구동 모터 33...수직 구동 모터
40...승강부 41...고정 플레이트
42...실링부재 43...로드
45...유압 실린더

Claims (6)

  1. 선박의 선저부(船低部)에 장착되는 투명 수밀 커버;
    상기 투명 수밀 커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선저부를 감시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감시부;
    상기 투명 수밀 커버에 장착되어, 상기 감시부와 상기 투명 수밀 커버를 상기 선저부의 내측 및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승강부; 및
    상기 감시부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장착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선박의 선저부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 회전 바디; 및
    상기 수평 회전 바디의 회전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카메라가 장착되는 수직 회전 바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선저부 검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카메라의 측면 위치에 조명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선저부 검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수평 회전 바디에 연결축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장착되는 수평 구동 모터; 및
    상기 수평 회전 바디의 회전축 위치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수직 구동 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선저부 검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연결축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로드가 연결되어 상기 감시부를 상기 선저부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승강 이동시키는 유압 실린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선저부 검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연결축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랙 기어;
    상기 랙 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선저부 검사 장치.
KR1020100112219A 2010-11-11 2010-11-11 선박의 선저부 검사 장치 KR101271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219A KR101271615B1 (ko) 2010-11-11 2010-11-11 선박의 선저부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219A KR101271615B1 (ko) 2010-11-11 2010-11-11 선박의 선저부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052A true KR20120088052A (ko) 2012-08-08
KR101271615B1 KR101271615B1 (ko) 2013-06-11

Family

ID=46873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219A KR101271615B1 (ko) 2010-11-11 2010-11-11 선박의 선저부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6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248A (ko) 2015-05-12 2016-11-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 및 방법
CN112557597A (zh) * 2020-12-02 2021-03-26 安徽砺剑防务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有毒气体检测装置
FR3120351A1 (fr) * 2021-03-05 2022-09-09 Dsail Element d’obturation pour passe-coque d’engin de navig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743B1 (ko) * 2016-05-26 2018-07-05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선박 저면 검사용 수중영상시스템
KR102358791B1 (ko) 2021-08-23 2022-02-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저 청소 통합 플랜트에 채용되는 이동형 검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8606A (en) 1975-10-20 1977-02-2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hip's bottom inspection apparatus
JP3079322B2 (ja) * 1992-01-17 2000-08-21 大成建設株式会社 液中検査面の検査装置及びその方法
US6100921A (en) 1998-05-11 2000-08-08 Rowley; Steven R. Thru-hull video camera
US20090128623A1 (en) 2007-11-15 2009-05-21 Gregory Whittle Hull-mounted underwater camera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vessel running gea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248A (ko) 2015-05-12 2016-11-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해양생물 모니터링 알람시스템 및 방법
CN112557597A (zh) * 2020-12-02 2021-03-26 安徽砺剑防务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有毒气体检测装置
FR3120351A1 (fr) * 2021-03-05 2022-09-09 Dsail Element d’obturation pour passe-coque d’engin de navig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1615B1 (ko) 201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615B1 (ko) 선박의 선저부 검사 장치
CN109733570A (zh) 一种轮式行走-螺旋桨推进式水下清理机器人
US20080282956A1 (en) Marine Plant For The Automatic Washing Of Boats, In Particular For Cleaning The Hull
KR20160052986A (ko) 수중 청소로봇
TW201943607A (zh) 水下船體清洗器、船體清洗系統以及清洗船體的方法
KR101549377B1 (ko) 수중 청소로봇
KR20150053442A (ko) 수중 청소로봇
KR20150058727A (ko) 수중 청소로봇
KR101655114B1 (ko) 수직 승하강 유압실린더-작동식 선박 부양 또는 침수용 보트리프트 장치
CN110861752B (zh) 一种用于水文监测的浮标投放装置
KR20170138015A (ko) 하수관로 진단을 위한 드론 방식의 전천후 촬영장치 시스템
KR101475203B1 (ko) 수중 청소로봇
KR20150053377A (ko) 수중 청소로봇
KR20160034493A (ko) 자세보정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수중청소로봇
KR101531492B1 (ko) 수중 청소로봇
KR20160061276A (ko) 핵 시설 풀 정화 장치
KR20150053466A (ko) 수중 청소로봇
KR20160034454A (ko) 자세보정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수중청소로봇
KR20160072309A (ko) 조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체면 청소로봇
KR20150053476A (ko) 수중 청소로봇
KR20150053460A (ko) 수중 청소로봇
KR101540307B1 (ko) 수중 청소로봇
KR20150053407A (ko) 수중 청소로봇
KR20170090084A (ko) 이물질수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청소로봇
CN117963099B (zh) 一种无人驾驶艇避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